KR102664909B1 - 이모빌라이저 버클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모빌라이저 버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4909B1
KR102664909B1 KR1020220037141A KR20220037141A KR102664909B1 KR 102664909 B1 KR102664909 B1 KR 102664909B1 KR 1020220037141 A KR1020220037141 A KR 1020220037141A KR 20220037141 A KR20220037141 A KR 20220037141A KR 102664909 B1 KR102664909 B1 KR 1026649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mmobilizer
occupant
control unit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7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39041A (ko
Inventor
예창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신세이프티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신세이프티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신세이프티시스템
Priority to KR1020220037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4909B1/ko
Publication of KR20230139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90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4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49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01Alarm systems associated with another car fitting or mechanism, e.g. door lock or knob, ped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4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of conditions of vehicle components, e.g. of windows, door locks or gear se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60R2022/4866Displaying or indicating arrangemen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60R2022/4883Interlock systems
    • B60R2022/4891Interlock systems preventing use of the vehicle when the seatbelt is not faste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2/00Responses or measures related to driver conditions
    • B60Y2302/01Preventing starting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2/00Responses or measures related to driver conditions
    • B60Y2302/03Actuating a signal or alarm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이모빌라이저 버클 시스템은, 전자 암호 코드를 생성하고 이를 확인하여, 상기 전자 암호 코드가 일치하는 경우에만 자동차의 제어 유닛을 통해 시동이 걸릴 수 있도록 마련된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으로서, 탑승자에 대응되는 고유 식별 코드를 송출하는 송출 유닛; 송출된 상기 고유 식별 코드에 따라 탑승자에 대응되는 상기 전자 암호 코드를 송출하는 텅 유닛; 상기 텅 유닛이 결합된 경우에만 송출된 상기 전자 암호 코드와 매칭되어 확인 코드를 송출하는 버클 유닛; 및 상기 확인 코드를 전달받아 상기 제어 유닛으로 엔진 시동을 요청하고 탑승자에 대응되게 시트벨트의 웨빙의 조절을 요청하는 이모빌라이저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모빌라이저 버클 시스템 {IMMOBILIZER BUCKLE SYSTEM}
본 발명은 이모빌라이저 버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여러 이유로 시트벨트의 중요성을 무시하고 차량의 경고알림음을 끄기 위해 불법 텅이나 클립을 꽂아 넣고 운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버클이 착용되어 보안 코드 매칭 작업 및 판독 결과가 일치되었을 경우에만 차량의 시동을 걸 수 있는 이모빌라이저 버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차량에는 탑승자의 안전을 위해 착용하지 않으면 ECU와 통신을 통해 경고알림음을 발생시키는 시트벨트 시스템이 갖추어져 있으며, 이와 별개로 차량의 보안을 위해 시동을 걸 때마다 차량의 키의 암호와 저장된 암호를 비교하고 차량의 키와 ECU가 서로 통신을 통하여 ECU에 내장된 정보와 일치하는 정보가 내장된 자동차 키에 의해서만 시동이 걸리도록하는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이 갖추어져 있다.
따라서 탑승자는 주행 전 시트벨트를 미착용을 쉽게 인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상술한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을 통해 차량의 도난을 미연에 방지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일부 탑승자들은 불편함 및 여러 이유로 시트벨트 착용의 중요성을 무시하고 경고알림음을 끄기 위해 불법텅 또는 클립을 꽂아 넣은 상태로 시트벨트를 착용하지 않고 운전하다가 탑승자가 사망하거나 중상을 입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탑승자에 대응되는 고유 식별 코드를 송출하는 송출 유닛과, 송출된 고유 식별 코드에 따라 탑승자에 대응되는 전자 암호 코드를 송출하는 텅 유닛, 텅 유닛이 결합된 경우에만 송출된 전자 암호 코드와 매칭되어 확인 코드를 송출하는 버클 유닛 및 확인 코드를 전달받아 상기 제어 유닛으로 엔진 시동을 요청하고 탑승자에 대응되게 시트벨트의 웨빙의 조절을 요청하는 이모빌라이저 유닛이 포함된 이모빌라이저 버클 시스템를 제공하는 것이 과제이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모빌라이저 버클 시스템은, 전자 암호 코드를 생성하고 이를 확인하여, 상기 전자 암호 코드가 일치하는 경우에만 자동차의 제어 유닛을 통해 시동이 걸릴 수 있도록 마련된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으로서, 탑승자에 대응되는 고유 식별 코드를 송출하는 송출 유닛; 송출된 상기 고유 식별 코드에 따라 탑승자에 대응되는 상기 전자 암호 코드를 송출하는 텅 유닛; 상기 텅 유닛이 결합된 경우에만 송출된 상기 전자 암호 코드와 매칭되어 확인 코드를 송출하는 버클 유닛; 및 상기 확인 코드를 전달받아 상기 제어 유닛으로 엔진 시동을 요청하고 탑승자에 대응되게 시트벨트의 웨빙의 조절을 요청하는 이모빌라이저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모빌라이저 유닛은, 상기 확인 코드를 전달받아, 상기 제어 유닛으로 탑승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시트벨트 리트렉터의 동작에 의해 탑승자에게 걸리는 하중을 조절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모빌라이저 유닛은, 상기 제어 유닛이 시트벨트 리트렉터의 동작에 의한 웨빙의 인입량을 조절하여 탑승자에게 걸리는 하중을 조절하도록, 상기 제어 유닛에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모빌라이저 유닛은, 상기 제어 유닛이 시트벨트 리트렉터의 동작에 의한 웨빙의 인출량을 조절하여 탑승자에게 걸리는 하중을 조절하도록, 상기 제어 유닛에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모빌라이저 유닛은, 상기 제어 유닛이 상기 확인 코드를 전달받아 시트벨트의 체결 시에 웨빙에 의해 탑승자에게 걸리는 하중을 조절하도록 상기 제어 유닛에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출 유닛은, 스마트키 및 휴대단말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송출 유닛이 스마트키인 경우에, 상기 스마트키는, 송출되는 상기 고유 식별 코드를 탑승자에 따라 설정 및 변경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키는, 상기 휴대단말기와 연동되어 상기 휴대단말기로부터 생성된 상기 고유 식별 코드를 수신받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모빌라이저 유닛은, 상기 제어 유닛이 상기 확인 코드를 전달받아 시동이 걸린 상태에서, 상기 상기 텅 유닛과 상기 버클 유닛의 체결이 해제되면 경보알람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모빌라이저 유닛은, 상기 제어 유닛이 상기 확인 코드를 전달받아 시동이 걸린 상태에서, 시트벨트의 웨빙의 하중이 기설정값 미만이 되는 경우 경보알람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모빌라이저 유닛은, 상기 제어 유닛이 상기 확인 코드를 전달받아 시트의 각도 및 높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조절하도록 상기 제어 유닛에 요청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모빌라이저 버클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일부 탑승자들이 불편함 및 여러 이유로 시트벨트 착용의 중요성을 무시하는 상황을 사전에 차단하여 시트벨트 미착용으로 인한 대형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탑승자에 대응하는 고유 식별 코드 생성을 통해 시트벨트가 착용되면 탑승자의 신체조건에 맞게 시트벨트의 웨빙이 조절되어 리트렉터의 동작시 탑승자에게 걸리는 하중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탑승자에 대응하는 고유 식별 코드 생성을 통해 시트벨트가 착용되면 탑승자의 신체조건에 맞게 시트가 조절됨으로써, 탑승자는 섬세한 조타가 가능해질 뿐만 아니라 운전의 피로도도 감소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모빌라이저 버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모빌라이저 버클 시스템의 송출유닛 및 텅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모빌라이저 버클 시스템의 송출유닛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모빌라이저 버클 시스템의 텅 유닛 및 버클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모빌라이저 버클 시스템의 이모빌라이저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모빌라이저 버클 시스템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5를 통해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모빌라이저 버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모빌라이저 버클 시스템의 송출유닛 및 텅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모빌라이저 버클 시스템의 송출유닛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모빌라이저 버클 시스템의 텅 유닛 및 버클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모빌라이저 버클 시스템의 이모빌라이저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모빌라이저 버클 시스템은, 전자 암호 코드를 생성하고 이를 확인하여, 전자 암호 코드가 일치하는 경우에만 자동차의 제어 유닛(E)을 통해 시동이 걸릴 수 있도록 마련된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일 수 있다.
여기서 제어 유닛(E)은 차량의 엔진제어유닛(Engine Control Unit)일 수 있으며, 엔진제어유닛(Engine Control Unit)을 포함하고, 변속기(TCU = Transmission Control Unit), 차체 자세 (ESC), 에어백, 타이어 공기압(TPMS)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전자제어유닛(Electronic Control Unit, 이하 ECU)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 유닛(E)은 CPU, 메모리 및 센서 컨트롤러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차량의 각종 부가기능에 따라 메모리 용량도 커진다. 수동 변속 차량은 256KB~2MB, 자동 변속 차량은 평균 4~8MB의 용량을 가지고 있고, 지멘스사의 CPU로 8~16비트 2.2~8MHz의 처리속도를 지닐 수 있다.
상술한 제어 유닛(E)과 연결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모빌라이저 버클 시스템은 크게 송출 유닛(100), 텅 유닛(200), 버클 유닛(300), 이모빌라이저 유닛(40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송출 유닛(100)은, 탑승자에 대응되는 고유 식별 코드를 생성하여 텅 유닛(200)으로 송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송출 유닛(100)은, 스마트키 및 휴대단말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출 유닛(100)이 스마트키만을 포함한 경우에, 스마트키는, 송출되는 고유 식별 코드를 탑승자에 따라 설정 및 변경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탑승자별로 개인 스마트키를 사용하여 고유 식별 코드 생성부(110)를 통해 고유 식별 코드를 생성하여 텅 유닛(200)으로 송출할 수도 있으며, 다수의 탑승자가 하나의 스마트키를 사용하여 복수의 고유 식별 코드를 생성한다 하더라도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또한 송출 유닛(100)은 상술한 스마트키 및 탑승자의 개인 휴대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스마트기는 탑승자의 개인 휴대단말기와 연동되어 휴대단말기로부터 생성된 상기 고유 식별 코드를 수신받아 저장하고 이를 텅 유닛(200)으로 송출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송출 유닛(100)이 스마트키 및 휴대단말기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휴대단말기에 고유 식별 코드 생성을 위한 전용앱을 설치함으로써, 고유 식별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텅 유닛(200)은 송출 유닛(100)에서 송출된 고유 식별 코드에 따라 탑승자에 대응되는 전자 암호 코드를 생성하고 이를 송출할 수 있다.
이때 텅 유닛(200)의 전자 암호 코드에는 탑승자의 신체정보가 포함되어 제어 유닛(E)을 통해 시트벨트의 하중, 시트의 각도, 높이 등을 탑승자에 맞게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탑승자에 대응하는 고유 식별 코드 생성을 통해 시트벨트가 착용되면 탑승자의 신체조건에 맞게 시트벨트의 웨빙이 조절되어 리트렉터의 동작시 탑승자에게 걸리는 하중이 조절됨으로써 탑승자가 무겁거나 유아인 경우에도 사고 발생시 안전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탑승자에 대응하는 고유 식별 코드 생성을 통해 시트벨트가 착용되면 탑승자의 신체조건에 맞게 시트가 조절됨으로써, 탑승자는 섬세한 조타가 가능해질 뿐만 아니라 운전의 피로도도 감소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버클 유닛(300)은 텅 유닛(200)이 결합된 경우에만 송출된 전자 암호 코드와 매칭되어 확인 코드를 생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생성된 확인 코드를 이모빌라이저 유닛(400)으로 송출할 수 있다.
여기서 버클 유닛(300)과 텅 유닛(200)이 결합된 경우에만 확인 코드를 생성하고 이를 이모빌라이저 유닛(400)으로 송출할 수만 있다면, 텅 유닛(200) 및 버클 유닛(300)의 형상, 재질 등은 다양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다만 더욱 상세한 설명을 위해 예를 들어 설명하면, 텅 유닛(200)은 버클 유닛(300)에 인입되는 텅을 감싸는 커버 내부 또는 외부에 전자 암호 코드 생성부(210)가 마련될 수 있으며, 상술한 텅의 일측에 제1 센서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버클 유닛(300)의 커버 내부 또는 외부에 확인 코드 생성부(310)가 마련될 수 있으며 제1 센서와 대향하는 버클 유닛(300)의 내부에 제2 센서가 마련될 수도 있다.
확인 코드 생성부(310) 또한 탑승자의 신체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모빌라이저 유닛(400) 은 상술한 확인 코드를 전달받아 제어 유닛(E)으로 엔진 시동을 요청하고 탑승자에 대응되게 시트벨트의 웨빙의 조절을 요청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구성을 통해 탑승자는 시트벨트를 체결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차량의 주행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의무적으로 시트벨트를 착용할 수밖에 없어, 주행중에 사고가 발생할 경우 입는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때 이모빌라이저 유닛(400) 은, 확인 코드를 전달받아, 제어 유닛(E)으로 탑승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시트벨트 리트렉터의 동작에 의해 탑승자에게 걸리는 하중을 조절하도록 요청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모빌라이저 유닛(400) 은, 제어 유닛(E)이 시트벨트 리트렉터의 동작에 의한 웨빙의 인출량을 조절하여 탑승자에게 걸리는 하중을 조절하도록, 제어 유닛(E)에 요청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모빌라이저 유닛(400) 은, 탑승자의 신체정보를 제어 유닛(E)으로 전달하고 제어 유닛(E)은 이를 통해 로드리미터를 스위칭시킴으로써, 탑승자에 따라 걸리는 하중을 다르게 하여 사고발생시 리트렉터로 인해 부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이모빌라이저 유닛(400) 은, 제어 유닛(E)이 시트벨트 리트렉터의 동작에 의한 웨빙의 인입량을 조절하여 탑승자에게 걸리는 하중을 조절하도록, 제어 유닛(E)에 요청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모빌라이저 유닛(400) 은, 탑승자의 신체정보를 제어 유닛(E)으로 전달하고 제어 유닛(E)은 이를 통해 탑승자에 따라 프리텐셔너의 인입량을 대응시킴으로써, 탑승자에 따라 걸리는 하중을 다르게 하여 사고발생시 시트벨트와 유격발생을 포함한 리트렉터로 인한 부상을 최소화시킬 수도 있다.
나아가 이모빌라이저 유닛(400) 은, 제어 유닛(E)이 확인 코드를 전달받아 시트벨트의 체결 시에 웨빙에 의해 탑승자에게 걸리는 하중을 조절하도록 제어 유닛(E)에 요청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유닛(E)은 이모빌라이저 유닛(400)으로 부터 확인 코드를 전달받아 리턴스프링에 의해 인입되는 웨빙의 길이를 가변하거나, 체결 후 차량이 주행하는 경우 웨빙이 살짝 인출되는 길이를 달리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이모빌라이저 유닛(400) 은, 제어 유닛(E)이 상술한 확인 코드를 전달받아 시동이 걸린 상태에서, 텅 유닛(200)과 버클 유닛(300)의 체결이 해제되면 경보알람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탑승자가 시트벨트가 정상적으로 체결되어 주행하는 동안, 시트벨트 체결을 해제하여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주행 중 텅 유닛(200)과 버클 유닛(300)의 체결이 해제되면 경보알람을 발생시킴과 동시에 제어 유닛(E)을 통하여 인근 관공서 서버로 이를 통보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탑승자가 시트벨트는 체결한 상태로 시트벨트에서 벗어나 주행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하여 이모빌라이저 유닛(400)은, 제어 유닛(E)이 확인 코드를 전달받아 시동이 걸린 상태에서, 시트벨트의 웨빙의 하중이 기설정값 미만이 되는 경우 경보알람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 유닛(E)을 통하여 인근 관공서 서버로 이를 통보할 수도 있다.
또한 이모빌라이저 유닛(400)은, 제어 유닛(E)이 확인 코드를 전달받아 시트의 각도 및 높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조절하도록 제어 유닛(E)에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유닛(E)은 탑승자에 따른 시트의 각도 또는 시트의 높이를 저장해두고, 탑승자에 대응되는 확인 코드에 따라 자동으로 시트의 각도 또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이모빌라이저 버클 시스템은 일부 탑승자들이 불편함 및 여러 이유로 시트벨트 착용의 중요성을 무시하는 상황을 사전에 차단하여 시트벨트 미착용으로 인한 대형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탑승자에 대응하는 고유 식별 코드 생성을 통해 시트벨트가 착용되면 탑승자의 신체조건에 맞게 시트벨트의 웨빙이 조절되어 리트렉터의 동작시 탑승자에게 걸리는 하중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탑승자에 대응하는 고유 식별 코드 생성을 통해 시트벨트가 착용되면 탑승자의 신체조건에 맞게 시트가 조절됨으로써, 탑승자는 섬세한 조타가 가능해질 뿐만 아니라 운전의 피로도도 감소될 수 있다.
100: 송출 유닛
110: 고유 식별 코드 생성부
200: 텅 유닛
210: 전자 암호 코드 생성부
300: 버클 유닛
310: 확인 코드 생성부
400: 이모빌라이저 유닛
E: 제어 유닛

Claims (10)

  1. 전자 암호 코드를 생성하고 이를 확인하여, 상기 전자 암호 코드가 일치하는 경우에만 자동차의 제어 유닛을 통해 시동이 걸릴 수 있도록 마련된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으로서,
    탑승자에 대응되는 고유 식별 코드를 송출하는 송출 유닛;
    송출된 상기 고유 식별 코드에 따라 탑승자에 대응되는 상기 전자 암호 코드를 송출하는 텅 유닛;
    상기 텅 유닛이 결합된 경우에만 송출된 상기 전자 암호 코드와 매칭되어 확인 코드를 송출하는 버클 유닛; 및
    상기 확인 코드를 전달받아 상기 제어 유닛으로 엔진 시동을 요청하고 탑승자에 대응되게 시트벨트의 웨빙의 조절을 요청하는 이모빌라이저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이모빌라이저 유닛은,
    상기 확인 코드를 전달받아, 상기 제어 유닛으로 탑승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시트벨트 리트렉터의 동작에 의해 탑승자에게 걸리는 하중을 조절하도록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어 유닛이 상기 확인 코드를 전달받아 시동이 걸린 상태에서, 상기 텅 유닛과 상기 버클 유닛의 체결이 해제되면 경보알람을 발생시키고 시트벨트의 웨빙의 하중이 기설정값 미만이 되는 경우 경보알람을 발생시킴으로써, 탑승자가 상기 텅 유닛과 상기 버클 유닛을 체결한 상태로 상기 웨빙에서 벗어나 주행하는 경우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모빌라이저 버클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모빌라이저 유닛은,
    상기 제어 유닛이 시트벨트 리트렉터의 동작에 의한 웨빙의 인입량을 조절하여 탑승자에게 걸리는 하중을 조절하도록, 상기 제어 유닛에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모빌라이저 버클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모빌라이저 유닛은,
    상기 제어 유닛이 시트벨트 리트렉터의 동작에 의한 웨빙의 인출량을 조절하여 탑승자에게 걸리는 하중을 조절하도록, 상기 제어 유닛에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모빌라이저 버클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모빌라이저 유닛은,
    상기 제어 유닛이 상기 확인 코드를 전달받아 시트벨트의 체결 시에 웨빙에 의해 탑승자에게 걸리는 하중을 조절하도록 상기 제어 유닛에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모빌라이저 버클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출 유닛은,
    스마트키 및 휴대단말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모빌라이저 버클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송출 유닛이 스마트키인 경우에,
    상기 스마트키는,
    송출되는 상기 고유 식별 코드를 탑승자에 따라 설정 및 변경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모빌라이저 버클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키는,
    상기 휴대단말기와 연동되어 상기 휴대단말기로부터 생성된 상기 고유 식별 코드를 수신받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모빌라이저 버클 시스템.
  9. 삭제
  10. 삭제
KR1020220037141A 2022-03-25 2022-03-25 이모빌라이저 버클 시스템 KR1026649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7141A KR102664909B1 (ko) 2022-03-25 2022-03-25 이모빌라이저 버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7141A KR102664909B1 (ko) 2022-03-25 2022-03-25 이모빌라이저 버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9041A KR20230139041A (ko) 2023-10-05
KR102664909B1 true KR102664909B1 (ko) 2024-05-16

Family

ID=88293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7141A KR102664909B1 (ko) 2022-03-25 2022-03-25 이모빌라이저 버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490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4818B1 (ko) * 1994-08-02 2003-03-19 나르덱가부시키가이샤 차량의도난방지장치및그코드설정방법
JP2005029147A (ja) * 2003-07-09 2005-02-03 Kia Motors Corp 自動車用シートベルト未着用警告装置及び方法
JP2021151836A (ja) * 2020-03-24 2021-09-30 株式会社日立建機ティエラ 建設機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0277U (ko) * 1996-12-30 1998-10-07 김영환 자동차 안전벨트 미착용시 엔진시동 제어장치
KR20190089556A (ko) * 2018-01-23 2019-07-31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장력조절이 가능한 안전벨트 조립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4818B1 (ko) * 1994-08-02 2003-03-19 나르덱가부시키가이샤 차량의도난방지장치및그코드설정방법
JP2005029147A (ja) * 2003-07-09 2005-02-03 Kia Motors Corp 自動車用シートベルト未着用警告装置及び方法
JP2021151836A (ja) * 2020-03-24 2021-09-30 株式会社日立建機ティエラ 建設機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9041A (ko) 2023-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131204B (zh) 自适应座椅安全带系统和方法
US6442807B1 (en) Airbag buckle assembly
US6302439B1 (en) Distributed occupant protection system and method with cooperative central and distributed protection module actuation control
JP2681441B2 (ja) 自動車の搭乗者拘束装置
US20200216005A1 (en) Method for operating a safety belt system
CN101554866B (zh) 座椅安全带系统及车辆
US20030094327A1 (en) Method of determining the load on a vehicle occupant
CN111094060B (zh) 车辆乘员约束设备和用于运行车辆乘员约束设备的方法
US7249784B2 (en) Safety arrangement
KR102664909B1 (ko) 이모빌라이저 버클 시스템
CN114715067B (zh) 车辆及其控制方法和控制装置、储存介质
US20050263990A1 (en) Seat belt system
US6719325B2 (en) Safety arrangement for a motor vehicle
US20210162946A1 (en)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whether a seatbelt is being worn
US20140214279A1 (en) Seatbelt lockout system
JP2005526655A (ja) 車両搭乗者を保護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20050178600A1 (en) Integrated occupant and crash sensing control unit
US20230052692A1 (en) Method for a safety belt system, safety belt system for a vehicle, and vehicle with a safety belt system
CN113954777A (zh) 车辆被动安全系统控制方法、装置、车辆及相关设备
US8348306B2 (en) Vehicle restraint system
GB2414445A (en) A vehicle safety arrangement with a variable restraining effect component
GB2277494A (en) Vehicle child safety seat
KR101504094B1 (ko) 차량용 에어백 제어 방법
US8478488B2 (en) Impact event countermeasure control method and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
US11718264B1 (en) Seatbelt with head restraint systems and meth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