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4800B1 - Outsole with improved fit - Google Patents

Outsole with improved f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4800B1
KR102664800B1 KR1020230152398A KR20230152398A KR102664800B1 KR 102664800 B1 KR102664800 B1 KR 102664800B1 KR 1020230152398 A KR1020230152398 A KR 1020230152398A KR 20230152398 A KR20230152398 A KR 20230152398A KR 102664800 B1 KR102664800 B1 KR 1026648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heel
sole body
sol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523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진원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릿슈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릿슈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릿슈코리아
Priority to KR1020230152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480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4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480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1/00Heels; Top-pieces or top-lifts
    • A43B21/24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medial arch, i.e. under the navicular or cuneiform bon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heel, i.e. the calcaneus bon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힐에 사용자의 발아치를 지지하는 아치 지지부를 형성하여 사용자의 발아치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는 착화감을 개선한 아웃솔을 개시한다.
착화감을 개선한 아웃솔은 신발에 결합되고, 사용자의 발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미리 설정된 두께를 가지며, 발바닥을 지지하는 솔 바디 및 솔 바디의 하면에 결합되고, 솔 바디의 길이방향을 따라 솔 바디의 후방에 배치되어 신발을 착용한 사용자의 발 뒤꿈치를 지지하는 힐을 포함하고, 힐은, 솔 바디에 결합되는 힐 바디부 및 전후 방향을 따라 힐 바디부의 전단부에 돌출 형성되고, 신발을 착용한 사용자의 발아치를 지지하는 아치 지지부를 포함한다.
Disclosed is an outsole with improved comfort that can disperse the load applied to the user's foot by forming an arch support portion on the heel to support the user's foot.
The outsole with improved fit is coupled to the shoe, supports the user's foot, has a preset thickness, is coupled to the sole body supporting the sol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ole body, and is attached to the sole bod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ole body. It includes a heel disposed at the rear to support the heel of the user wearing the shoe, wherein the heel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heel body coupled to the sole body and the front end of the heel body along the front-to-back direction, and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heel body portion coupled to the sole body. It includes an arch support portion that supports the user's feet.

Description

착화감을 개선한 아웃솔{Outsole with improved fit}Outsole with improved fit}

본 발명은 착화감을 개선한 아웃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utsole with improved comfort.

일반적으로 구두 등과 같은 신발은 발등을 감싸는 갑피와, 갑피의 하부에 결합되어 지면에 지지되는 아웃솔로 구성된다.In general, shoes such as shoes are composed of an upper that covers the instep and an outsole that is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upper and supported on the ground.

여기서, 아웃솔은 지면에 직접 접촉하는 부분으로 신발이 미끄러지지 않고 튼튼하게 서 있을 수 있고, 내구성과 마찰 저항을 높이기 위하여 다양한 재료로 제작된다.Here, the outsole is the part that directly contacts the ground, allowing the shoe to stand firmly without slipping, and is made of various materials to increase durability and friction resistance.

이와 같은, 아웃솔은 갑피의 하부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발바닥이 지지되는 패드부와, 패드부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뒤꿈치를 지지하는 힐부로 구성된다.As such, the outsole is composed of a pad portion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upper to support the sole of the user's foot, and a heel portion coupled to the pad portion to support the user's heel.

그러나, 구두 등과 같은 신발에 적용되는 아웃솔은 경량화를 위해 탄성폼 재질로 형성되는 운동화용 아웃솔과는 달리 고무나 우레탄 소재를 압축하여 제작됨으로써 운동화용 아웃솔 보다 단단하고 더 무거운 무게를 갖는다.However, unlike the outsole for sneakers, which is made of elastic foam material to reduce weight, the outsole applied to shoes, etc., is made by compressing rubber or urethane material, so it is harder and weighs more than the outsole for sneakers.

특히, 사용자의 뒤꿈치를 지지하는 힐부는 패드부에 비해 더 높은 두께로 제작되고, 더 높은 경도를 가짐에 따라 사용자가 오랜 시간 신발을 착용할 경우 사용자의 발뒤꿈치와 발아치에 통증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particular, the heel part that supports the user's heel is manufactured with a higher thickness than the pad part and has higher hardness, causing pain in the user's heel and arch when the user wears the shoe for a long time. There was this.

등록특허공보 제10-1333729호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33372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힐에 사용자의 발아치를 지지하는 아치 지지부를 형성하여 사용자의 발아치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는 착화감을 개선한 아웃솔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wearing comfort by distributing the load applied to the user's arches by forming an arch support part on the heel to support the user's arches. An outsole is provide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발뒤꿈치가 지지되는 힐에 다수의 완충수단을 마련하여 발뒤꿈치에 가해지는 하중 및 충격을 분산시킬 수 있는 착화감을 개선한 아웃솔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utsole with improved comfort that can distribute the load and impact applied to the heel by providing a plurality of cushioning means on the heel where the user's heel is supporte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아치 지지부와 다수의 완충수단을 통해 발에 가해지는 피로를 최소화하여 착화감을 증대시킬 수 있는 착화감을 개선한 아웃솔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utsole with improved comfort that can increase comfort by minimizing fatigue on the feet through an arch support portion and a plurality of cushioning means.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화감을 개선한 아웃솔은 신발에 결합되고, 사용자의 발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미리 설정된 두께를 가지며, 발바닥을 지지하는 솔 바디; 및 상기 솔 바디의 하면에 결합되고, 상기 솔 바디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솔 바디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신발을 착용한 사용자의 발 뒤꿈치를 지지하는 힐;을 포함하고, 상기 힐은, 상기 솔 바디에 결합되는 힐 바디부; 및 전후 방향을 따라 상기 힐 바디부의 전단부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신발을 착용한 사용자의 발아치를 지지하는 아치 지지부;를 포함한다.An outsole with improved f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 is coupled to a shoe and supports the user's foot, has a preset thickness, and includes a sole body supporting the sole of the foot; and a heel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ole body and disposed at the rear of the sole bod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ole body to support the heel of a user wearing the shoe. Heel body part coupled to the body; and an arch support portion protruding from the front end of the heel body portion along the front-back direction and supporting the foot of a user wearing the shoe.

상기 힐은, 상기 솔 바디에 접하여 상기 솔 바디를 지지하는 상기 힐 바디부의 상면에 함몰 형성되고, 상기 솔 바디를 통해 상기 힐 바디부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는 에어포켓; 상기 에어포켓의 중심부에 배치되고, 상기 솔 바디를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솔 바디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하는 완충기둥; 상기 힐 바디부의 하면에 형성되는 미끄럼 방지 패턴; 및 상기 힐 바디부의 하면에 미리 설정된 길이로 돌출되고, 상기 미끄럼 방지 패턴의 둘레를 감싸 상기 힐 바디부의 하면을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하는 미끄럼 방지 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heel includes an air pocket recess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heel body portion that contacts the sole body and supports the sole body, and relieves an impact applied to the heel body portion through the sole body; A buffer pillar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air pocket, elastically supporting the sole body to distribute the load applied to the sole body; An anti-slip pattern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eel body portion; and an anti-slip protrusion that protrudes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heel body to a preset length and surrounds the periphery of the anti-slip pattern to divide the lower surface of the heel body into a plurality of regions.

상기 솔 바디의 상면에 함몰 형성된 제1 안착홈에 수용되어 상기 제1 안착홈의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부를 지지하고, 상기 솔 바디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도록 구성되는 제1 완충패드; 및 상기 솔 바디의 하면에 함몰 형성된 제2 안착홈에 수용되어 상기 힐에 지지되는 탄성체 재질의 제2 완충패드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완충패드는, 내부에 공기가 충전되고, 상기 커버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패드바디; 상기 패드바디의 내부에 복수로 배치되어 상기 패드바디를 지지하고, 외력이 가해지면 압축되었다가 외력이 해제되면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되는 탄성체 재질의 제1 탄성셀들; 및 상기 패드바디의 내부에 복수로 배치되어 상기 제1 탄성셀들 사이에 배치되고. 외력이 가해지면 압축되었다가 외력이 해제되면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되며, 상기 제1 탄성셀들 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는 탄성체 재질의 제2 탄성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완충패드들은 허니콤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a first cushioning pad accommodated in a first seating groove recess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sole body, supporting a cover portion coupled to an upper part of the first seating groove, and configured to relieve an impact applied to the sole body; and second cushioning pad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ccommodated in a second seating groove recessed in the lower surface of the sole body and supported on the heel, wherein the first cushioning pad is filled with air, and the first cushioning pad is filled with air. A pad body that elastically supports the cover portion; A plurality of first elastic cells are arranged inside the pad body to support the pad body, and are compressed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and restored to their original state by elastic force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leased; and a plurality of pads arranged inside the pad body and disposed between the first elastic cells. second elastic cell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that are compressed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and restored to their original state by elastic force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leased, and are formed in a smaller size than the first elastic cells, and the second buffer pads It can be formed into a honeycomb structure.

상기 아치 지지부는 상기 힐 바디부에 좌우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발아치의 지지위치를 가변 가능하고, 상기 솔 바디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힐 바디부는, 상기 아치 지지부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 레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아치 지지부는, 상기 가이드 레일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 부재; 상기 힐 바디부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는 지지몸체; 상기 지지몸체에 형성된 지지구 수납홈에 수용되는 볼 지지 홀더; 상기 지지구 수납홈에 수용되어 상기 볼 지지 홀더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홀더 탄성 지지부재; 및 상기 볼 지지 홀더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솔 바디의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볼;을 포함할 수 있다.The arch support portion is slidably coupled to the heel body portion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o change the support position of the arch of the foot, and is configured to elastically support the sole body, and the heel body portion is configured to slide the arch support portion. It further includes a guide rail movably coupled, wherein the arch support portion includes a sliding member movably coupled to the guide rail; a support body disposed outside the heel body portion and mov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by the sliding member; a ball support holder accommodated in a support storage groove formed in the support body; a holder elastic support member accommodated in the support storage groove and elastically supporting the ball support holder; and a support ball rotatably coupled to the ball support holder and supporting a lower surface of the sole body.

상기 힐 바디부에 수용되어 상기 아치 지지부에 결합되고, 조작용 도구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아치 지지부를 좌우 방향으로 이송하도록 구성되는 아치 지지점 가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아치 지지점 가변부는, 상기 지지몸체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지지몸체를 지지하는 몸체 지지구; 상기 힐 바디부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과 연통되는 가변부 수납홈에 수용되고, 상기 조작용 도구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몸체 지지구를 좌우 방향으로 이송하도록 구성되는 지지구 이송유닛; 및 상기 힐 바디부의 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가변부 수납홈과 연통되어 상기 조작용 도구가 출입되는 도구 출입공을 개폐하는 개폐캡;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구 이송유닛은, 상기 가변부 수납홈 내에 좌우 방향을 따라 대향 배치되는 서포트 유닛들; 상기 서포트 유닛들 사이에 배치되어 양 단부가 상기 서포트 유닛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단부에 상기 조작용 도구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면체 형상의 조작헤드가 배치되는 스크류 샤프트; 및 상기 스크류 샤프트에 결합되어 상기 몸체 지지구를 지지하고, 상기 스크류 샤프트가 회전되면 상기 스크류 샤프트의 외면을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몸체 지지구를 이송하는 이송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It further includes; an arch support point variable part accommodated in the heel body part, coupled to the arch support part, and rotated by a manipulation tool to transfer the arch support part in a left and right direction, wherein the arch support point variable part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arch support part. a body support member accommodated inside the body and supporting the support body; a support transfer unit formed inside the heel body part, accommodated in a variable part storage groove in communication with the guide rail, and configured to transfer the body support member in a left and right direction while being rotated by the manipulation tool; and an opening/closing cap rotatably coupled to a side of the heel body portion and communicating with the variable portion storage groove to open and close a tool entrance/exit hole through which the manipulation tool enters and exits. The support transfer unit includes the variable portion storage groove. Support units arranged oppositely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within the secondary storage groove; a screw shaft disposed between the support units, both ends of which are rotatably coupled to the support units, and a polyhedral-shaped manipulation head on one end of which the manipulation tool is detachably coupled; and a transfer block coupled to the screw shaft to support the body support, and moving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screw shaft when the screw shaft is rotated to transport the body suppor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힐에 사용자의 발아치를 지지하는 아치 지지부가 형성되므로, 사용자의 발아치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키고, 이를 통해 발아치에 가해지는 통증 및 피로를 최소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rch support portion that supports the user's foot is formed on the heel, thereby dispersing the load applied to the user's foot, thereby minimizing pain and fatigue applied to the user's foot.

또한, 사용자의 발뒤꿈치가 지지되는 힐에 솔 바디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완충기둥 및 솔 바디를 통해 수직으로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는 에어포켓이 형성되므로, 발뒤꿈치에 가해지는 하중 및 충격을 분산시키고, 이를 통해 발뒤꿈치에 가해지는 통증 및 피로를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an air pocket is formed in the heel, where the user's heel is supported, to relieve the shock applied vertically through the shock column and sole body that elastically supports the sole body, thus dispersing the load and shock applied to the heel. This can minimize pain and fatigue on the heel.

또한, 아치 지지, 완충기둥 및 에어포켓을 통해 발에 가해지는 통증 및 피로를 최소화하므로, 착화감이 증대될 수 있다.In addition, pain and fatigue on the feet are minimized through arch support, cushioning pillars, and air pockets, thereby increasing comfort.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발명 내에 포함되어 있다.The effe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details exemplified above, and further various effects are included within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웃솔이 신발에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웃솔을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힐 바디부의 내부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완충패드 및 제2 완충패드가 솔 바디에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치 지지부의 내부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치 지지점 가변부가 힐 바디부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Figure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n outs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a shoe.
Figure 2 is a bottom view showing an outs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heel body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cushioning pads are coupled to the sole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arch support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rch support point variable part is installed on the heel body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However, various changes can be made to the embodiments, so the scope of the pat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ll changes, equivalents, or substitutes for the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rights.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of the embodiments are disclosed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may be modified and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ccordingly, the embodiments are not limited to the specific disclosed form,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ncludes change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technical spirit.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or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se terms should be interpret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named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named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examples are for descriptive purposes only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element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embodiments belong.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sense. No.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when describing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dentical components will b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if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s, the detailed descriptions are omitted.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by referr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along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The present embodiments only serve to ensure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that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s not limited.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are the same as those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has meaning.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unless clearly defin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It is not interpreted as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The shapes, sizes, proportions, angles, numbers, etc. disclosed in the drawings for explain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llustrativ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matters shown. Additionally,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When 'includes', 'has', 'consists of', etc. mentioned in the specification are used, other parts may be added unless 'only' is used. When a component is expressed in the singular, the plural is included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When interpreting a component, it is interpreted to include the margin of error even if there is no separate explicit description.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In the case of a description of a positional relationship, for example, if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two parts is described as 'on top', 'on the top', 'on the bottom', 'next to', etc., 'immediately' Alternatively, there may be one or more other parts placed between the two parts, unless 'directly' is used.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When an element or layer is referred to as “on” another element or layer, it includes instances where the element or layer is directly on top of or intervening with another element.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size and thickness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are show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size and thickness of the components shown.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Each feature of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artially or fully combined or combined with each other, and as can be ful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various technical interconnections and operations are possible, and each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It may be possible to conduct them together due to a related relationship.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웃솔이 신발에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n outs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a shoe.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화감을 개선한 아웃솔(1000)(이하 '아웃솔(1000)'이라 함)은 구두 등의 신발(S)에 결합되고, 사용자의 발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더 자세하게는 신발(S)의 하부에 결합되어 신발(S)의 바닥을 이루고, 사용자의 착용 시 지면에 지지어 사용자의 발을 지지한다.Referring to Figure 1, the outsole 10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outsole 1000') with improved f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a shoe (S) such as a shoe, and supports the user's foot. In more detail, it is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shoe (S) to form the bottom of the shoe (S), and supports the user's foot by supporting it on the ground when the user wears it.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웃솔을 나타낸 저면도이다.Figure 2 is a bottom view showing an outs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아웃솔(1000)은 솔 바디(sole body)(1) 및 힐(heel)(2)을 포함한다.1 and 2, the outsole 1000 includes a sole body (1) and a heel (2).

솔 바디(1)는 미리 설정된 두께로 제작되어 발바닥과 유사한 모양을 가지며, 신발을 착용한 사용자의 발바닥을 지지한다.The sole body 1 is manufactured to a preset thickness and has a shape similar to the sole of the foot, and supports the sole of the user wearing the shoe.

힐(2)은 솔 바디(1)의 하면에 결합되고, 솔 바디(1)의 길이방향을 따라 솔 바디(1)의 후방에 배치된다.The heel 2 i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ole body 1 and is disposed at the rear of the sole body 1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ole body 1.

힐(2)은 신발(S)을 착용한 사용자의 발 뒤꿈치 및 발아치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The heel 2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heel and arch of the user wearing the shoe S.

더 자세하게는, 힐(2)은 솔 바디(1)에 결합되는 힐 바디부(21)와, 전후 방향을 따라 힐 바디부(21)의 전단부에 돌출 형성되고, 신발(S)을 착용한 사용자의 발아치를 지지하는 아치 지지부(22)를 포함한다.More specifically, the heel 2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heel body 21 coupled to the sole body 1 and the front end of the heel body 21 along the front-to-back direction, and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front end of the heel body 21 when wearing the shoe S. It includes an arch support portion 22 that supports the user's feet.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힐 바디부의 내부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heel body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힐(2)은 수직으로 가해지는 하중을 완화하고, 지면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heel 2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that can relieve a vertically applied load and prevent slippage on the ground.

힐(2)은 에어포켓(23), 완충기둥(24), 미끄럼 방지 패턴(25) 및 미끄럼 방지 돌출부(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heel 2 may further include an air pocket 23, a buffer pillar 24, an anti-slip pattern 25, and an anti-slip protrusion 26.

에어포켓(23)은 솔 바디(1)에 접하여 솔 바디(1)를 지지하는 힐 바디부(21)의 상면에 함몰 형성되고, 솔 바디(1)를 통해 힐 바디부(21)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힐 바디부(21)는 솔 바디(1)의 하면에 접착될 수 있다. 이에, 에어포켓(23)은 진공상태가 되고, 이를 통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The air pocket 23 is formed in a depression in the upper surface of the heel body 21, which contacts the sole body 1 and supports the sole body 1, and absorbs pressure applied to the heel body 21 through the sole body 1. It can alleviate shock. For example, the heel body portion 21 may be adher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ole body 1. Accordingly, the air pocket 23 becomes a vacuum state, through which shock applied from the outside can be alleviated.

완충기둥(24)은 에어포켓(23)의 중심부에 배치되고, 솔 바디(1)를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솔 바디(1)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완충기둥(24)은 설정된 크기 이상의 하중이 가해지면 압축되면서 충격을 흡수하고, 하중이 설정된 크기 이하가 되면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되는 탄성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buffer column 24 is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air pocket 23 and elastically supports the sole body 1 to distribute the load applied to the sole body 1. For example, the buffer pillar 24 may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that absorbs shock while being compressed when a load exceeding a set size is applied, and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by elastic force when the load falls below a set size.

미끄럼 방지 패턴(25)은 힐 바디부(21)의 하면에 형성되고, 지면과의 접촉 시 미끄럼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 및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끄럼 방지 패턴(25)은 요철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The anti-slip pattern 25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eel body portion 21 and may have a structure and shape that can minimize slipping when in contact with the ground. For example, the anti-slip pattern 25 may be formed in a concavo-convex structure.

미끄럼 방지 돌출부(26)는 힐 바디부(21)의 하면에 미리 설정된 길이로 돌출되고, 미끄럼 방지 패턴(25)의 둘레를 감싸 힐 바디부(21)의 하면을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끄럼 방지 돌출부(26)는 미끄럼 방지 패턴(25)과 동일한 높이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미끄럼 방지 돌출부(26)에 의해 구획된 힐 바디부(21)의 하면은 미끄럼 방지 패턴(25)이 형성되는 논슬립 영역과, 미끄럼 방지 패턴(25)이 형성되지 않은 비논슬립 영역으로 구획될 수 있다.The anti-slip protrusion 26 protrudes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heel body 21 to a preset length and wraps around the anti-slip pattern 25 to divide the lower surface of the heel body 21 into a plurality of areas. . For example, the anti-slip protrusion 26 may protrude to the same height as the anti-slip pattern 25 . In addition, the lower surface of the heel body portion 21 divided by the anti-slip protrusion 26 will be divided into a non-slip area where the anti-slip pattern 25 is formed and a non-slip area where the anti-slip pattern 25 is not formed. You ca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완충패드 및 제2 완충패드가 솔 바디에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cushioning pads are coupled to the sole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아웃솔(1000)은 제1 완충패드(3) 및 제2 완충패드들(4)을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4, the outsole 1000 may further include a first cushioning pad 3 and second cushioning pads 4.

제1 완충패드(3)는 솔 바디(1)의 상면에 함몰 형성된 제1 안착홈(11)에 수용되어 제1 안착홈(11)의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부(12)를 지지하고, 솔 바디(1)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cushioning pad 3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seating groove 11 reces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ole body 1 and supports the cover portion 12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first seating groove 11, and the sole It may be configured to alleviate the impact applied to the body 1.

제1 완충패드(3)는 패드바디(31), 제1 탄성셀들(32) 및 제2 탄성셀들(33)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cushioning pad 3 may include a pad body 31, first elastic cells 32, and second elastic cells 33.

패드바디(31)는 내부에 공기가 충전된 밀폐된 파우치 형태로 형성되고, 커버부(12)를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The pad body 31 is formed in the form of a sealed pouch filled with air inside, and can elastically support the cover portion 12.

제1 탄성셀들(32)은 패드바디(31)의 내부에 복수로 배치되어 패드바디(31)를 지지하고, 외력이 가해지면 압축되었다가 외력이 해제되면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되는 탄성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탄성셀들(32)은 타원형 구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elastic cells 32 are arranged in plural numbers inside the pad body 31 to support the pad body 31, and ar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that is compressed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and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by elastic force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leased. It can be formed as For example, the first elastic cells 32 may be formed in an oval sphere shape.

제2 탄성셀들(33)은 패드바디(31)의 내부에 복수로 배치되어 제1 탄성셀들(3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A plurality of second elastic cells 33 may be disposed inside the pad body 31 and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elastic cells 32 .

제2 탄성셀들(33)은 외력이 가해지면 압축되었다가 외력이 해제되면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되는 탄성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elastic cells 33 may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that is compressed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and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by elastic force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leased.

예를 들어, 제2 탄성셀들(33)은 제1 탄성셀들(32) 보다 작은 크기의 구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cond elastic cells 33 may be formed in a spherical shape smaller than the first elastic cells 32.

제2 완충패드들(4)은 솔 바디(1)의 하면에 함몰 형성된 제2 안착홈(13)에 수용되고, 힐(2)에 지지되어 솔 바디(1)와 힐(2) 사이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하는 탄성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완충패드들(4)은 허니콤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cushioning pads 4 are accommodated in the second seating groove 13 reces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ole body 1, and are supported on the heel 2 and transmitted between the sole body 1 and the heel 2. It can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that cushions the impact. For example, the second buffer pads 4 may be formed in a honeycomb structure.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치 지지부의 내부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arch support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아치 지지부(22)는 힐 바디부(21)에 좌우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발아치의 지지위치를 가변 가능하고, 솔 바디(1)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arch support portion 22 is coupled to the heel body portion 21 so as to be slidably movab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so that the support position of the arch is variable, and is configured to elastically support the sole body 1. It can be.

이때, 힐 바디부(21)에는 아치 지지부(22)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 레일(211)이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a guide rail 211 may be formed on the heel body portion 21 to which the arch support portion 22 is slidably coupled.

아치 지지부(22)는 슬라이딩 부재(221), 지지몸체(222), 볼 지지 홀더(223), 홀더 탄성 지지부재(224) 및 지지볼(225)을 포함할 수 있다.The arch support portion 22 may include a sliding member 221, a support body 222, a ball support holder 223, an elastic holder support member 224, and a support ball 225.

슬라이딩 부재(221)는 가이드 레일(21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좌우 방향을 따라 가이드 레일(211)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레일(211) 및 슬라이딩 부재(221)의 단부의 형상은 'T'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sliding member 221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guide rail 211, and can be coupled to the guide rail 211 to slide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For example, the ends of the guide rail 211 and the sliding member 221 may be formed in a 'T' shape.

지지몸체(222)는 힐 바디부(21)의 외측에 배치되고, 슬라이딩 부재(221)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The support body 222 is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heel body 21 and can be mov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by the sliding member 221.

볼 지지 홀더(223)는 지지몸체(222)에 형성된 지지구 수납홈(222A)에 수용되고, 지지구 수납홈(222A) 내에서 상하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ball support holder 223 is accommodated in the support accommodating groove 222A formed in the support body 222, and can be arranged to be slidably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in the support accommodating groove 222A.

홀더 탄성 지지부재(224)는 지지구 수납홈(222A)에 수용되어 볼 지지 홀더(223)를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The holder elastic support member 224 is accommodated in the support storage groove 222A and can elastically support the ball support holder 223.

이에, 홀더 탄성 지지부재(224)는 볼 지지 홀더(223)가 하강되면 압축되었다가, 볼 지지 홀더(223)에 가해지는 하중이 설정 압력 이하로 저하되면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볼 지지 홀더(223)를 가압하여 상승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holder elastic support member 224 is compressed when the ball support holder 223 is lowered, and when the load applied to the ball support holder 223 falls below the set pressure, it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by elastic force and the ball support holder 223 is lowered. (223) can be raised by pressurizing.

지지볼(225)은 볼 지지 홀더(22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솔 바디(1)의 하면을 지지하여 발아치를 지지할 수 있다.The support ball 225 is rotatably coupled to the ball support holder 223 and can support the arch of the foot by suppor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sole body 1.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치 지지점 가변부가 힐 바디부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Figure 6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rch support point variable part is installed on the heel body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아웃솔(1000)은 아치 지지점 가변부(5)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6, the outsole 1000 may further include an arch support point variable portion 5.

아치 지지점 가변부(5)는 힐 바디부(21)에 수용되어 아치 지지부(22)에 결합되고, 조작용 도구(T)에 의해 회전되어 아치 지지부(22)를 좌우 방향으로 이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arch support point variable part 5 is accommodated in the heel body part 21, is coupled to the arch support part 22, and is rotated by the manipulation tool (T) to transport the arch support part 22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re is.

아치 지지점 가변부(5)는 몸체 지지구(51), 지지구 이송유닛(52) 및 개폐캡(53)을 포함할 수 있다.The arch support point variable part 5 may include a body support 51, a support transfer unit 52, and an opening/closing cap 53.

몸체 지지구(51)는 지지몸체(222)의 내부에 수용되어 지지몸체(222)를 지지하고, 지지구 이송유닛(52)에 결합되어 지지구 이송유닛(52)에 의해 지지몸체(222)를 좌우 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 지지구(51)는 지지몸체(222)에 비해 높은 경도를 가지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body support 51 is accommodated inside the support body 222 to support the support body 222, and is coupled to the support transfer unit 52 to support the support body 222 by the support transfer unit 52. Can be transport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For example, the body support 51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higher hardness than the support body 222.

지지구 이송유닛(52)은 힐 바디부(21)의 내부에 형성되어 가이드 레일(211)과 연통되는 가변부 수납홈(212)에 수용되고, 조작용 도구(T)에 의해 회전되면서 몸체 지지구(51)를 좌우 방향으로 이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support transfer unit 52 is formed inside the heel body 21 and is accommodated in the variable part storage groove 212 in communication with the guide rail 211, and is rotated by the manipulation tool T to support the body. It may be configured to transport the earth 51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지지구 이송유닛(52)은 서포트 유닛들(521), 스크류 샤프트(522) 및 이송블록(523)을 포함할 수 있다.The support transfer unit 52 may include support units 521, a screw shaft 522, and a transfer block 523.

서포트 유닛들(521)은 가변부 수납홈(212) 내에 좌우 방향을 따라 대향 배치되고, 스크류 샤프트(522)의 양단부를 지지할 수 있다.The support units 521 are opposed to each other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within the variable portion storage groove 212 and may support both ends of the screw shaft 522.

스크류 샤프트(522)는 서포트 유닛들(521) 사이에 배치되어 양 단부가 서포트 유닛들(5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screw shaft 522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upport units 521 and both ends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support units 521.

스크류 샤프트(522)의 일단부에는 조작용 도구(T)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면체 형상의 조작헤드(522A)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작헤드(522A)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조작용 도구(T)는 육면체 형상의 조작헤드(522A)에 결합되어 조작헤드(522A)를 회전시키는 소켓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A polyhedral-shaped manipulation head 522A to which a manipulation tool T is detachably coupled may be disposed at one end of the screw shaft 522. For example, the manipulation head 522A may be formed in a hexahedral shape, and the manipulation tool T may be formed in a socket shape that is coupled to the hexahedral manipulation head 522A and rotates the manipulation head 522A.

이송블록(523)은 스크류 샤프트(522)에 결합되어 몸체 지지구(51)를 지지하고, 스크류 샤프트(522)가 회전되면 스크류 샤프트(522)의 외면을 따라 이동되면서 몸체 지지구(51)를 이송할 수 있다.The transfer block 523 is coupled to the screw shaft 522 to support the body support 51, and when the screw shaft 522 is rotated, it moves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screw shaft 522 and supports the body support 51. It can be transported.

개폐캡(53)은 힐 바디부(21)의 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가변부 수납홈(212)과 연통되어 조작용 도구(T)가 출입되는 도구 출입공(213)을 개폐할 수 있다.The opening and closing cap 53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ide of the heel body 21 and communicates with the variable part storage groove 212 to open and close the tool entrance hole 213 through which the operation tool (T) enters and exits. there is.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아웃솔(1000)은 슬립 방지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outsole 1000 may further include a slip prevention portion (not shown).

슬립 방지부는 솔 바디(1)의 내부에 수용되어 발아치의 전방에 배치된 발바닥의 전방부를 지지할 수 있다.The slip prevention portion may be accommodated inside the sole body 1 and support the front portion of the sole disposed in front of the arch of the foot.

슬립 방지부는 솔 바디(1)가 접혀지면 일부분이 솔 바디(1)의 외부로 돌출되어 지면을 가압하고, 솔 바디(1)가 펼쳐지면 탄성력에 의해 솔 바디(1)의 내부로 수납될 수 있다.When the sole body (1) is folded, a portion of the slip prevention part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sole body (1) and presses the ground, and when the sole body (1) is unfolded, it can be stored inside the sole body (1) by elastic force. there is.

즉, 슬립 방지부는 솔 바디(1)의 내부에 수납되어 있다가, 보행을 위해 사용자가 지면을 디딜 때 솔 바디(1)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지면을 가압함으로써,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다.That is, the slip prevention portion is stored inside the sole body 1, and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sole body 1 to press the ground when the user steps on the ground for walking, thereby preventing slipping.

슬립 방지부는 가압 파우치, 승강 패드, 스파이크 부재, 패드 탄성 지지부재 및 탄성 개폐 링을 포함할 수 있다.The slip prevention unit may include a pressure pouch, a lifting pad, a spike member, a pad elastic support member, and an elastic opening/closing ring.

가압 파우치는 내부에 유체가 충전되고, 유체의 유동에 의해 팽창 또는 수축될 수 있다.The pressurized pouch is filled with fluid inside, and can be expanded or contracted by the flow of the fluid.

가압 파우치의 일부분은 보행 시 솔 바디(1)가 접혀지지 않는 솔 바디(1)의 전방부에 배치되고, 가압 파우치의 다른 일부분은 보행 시 솔 바디(1)가 접혀지는 솔 바디(1)의 중간부에 배치될 수 있다.A part of the pressurization pouch is placed on the front part of the sole body (1) where the sole body (1) is not folded when walking, and the other part of the pressurization pouch is placed on the front part of the sole body (1) where the sole body (1) is folded when walking. It can be placed in the middle.

이에, 가압 파우치는 솔 바디(1)의 중간부가 접혀지면 솔 바디(1)의 중간부에 가압되어 팽창되고, 솔 바디(1)의 중간부가 펼쳐지면 수축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pressure pouch may be expanded by pressing the middle portion of the sole body 1 when the middle portion of the sole body 1 is folded, and may be contracted when the middle portion of the sole body 1 is unfolded.

즉, 솔 바디(1)의 중간부에 가압되면, 가압 파우치의 내부에 수용된 유체는 솔 바디(1)의 중간부에 눌려 가압 파우치의 일 측으로 몰리게 되고, 이로 인해 가압 파우치가 팽창될 수 있다. 그리고, 솔 바디(1)의 중간부가 펼쳐지면, 가압 파우치에 가해지던 외력이 해제되어 일 측에 몰려 있던 유체가 분산되고, 이로 인해 가압 파우치가 수축되어 원래의 상태로 돌아갈 수 있다.That is, when the middle part of the sole body 1 is pressed, the fluid contained inside the pressure pouch is pressed against the middle part of the sole body 1 and is concentrated to one side of the pressure pouch, which may cause the pressure pouch to expand. Then, when the middle part of the sole body 1 is unfolded,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pressure pouch is released and the fluid gathered on one side is dispersed, which causes the pressure pouch to shrink and return to its original state.

승강 패드는 가압 파우치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The lifting pad may be placed at the bottom of the pressurized pouch.

승강 패드는 가압 파우치가 팽창되면 가압 파우치에 가압되어 하강되고, 패드 탄성 지지부재에 의해 상승될 수 있다.When the pressure pouch is inflated, the lifting pad is lowered by being pressed against the pressure pouch, and can be raised by the pad elastic support member.

스파이크 부재는 승강 패드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다.The spike member may be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elevating pad.

스파이크 부재는 승강 패드가 하강되면 솔 바디(1)에 형성된 관통공을 관통하여 솔 바디(1)의 외부로 돌출되고, 승강 패드가 상승되면 솔 바디(1)의 내부에 수납될 수 있다.When the lifting pad is lowered, the spike member penetrates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sole body 1 and protrudes out of the sole body 1, and when the lifting pad is raised, it can be stored inside the sole body 1.

패드 탄성 지지부재는 승강 패드와 솔 바디(1) 사이에 배치되어 승강 패드를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The pad elastic support member is disposed between the lifting pad and the sole body 1 to elastically support the lifting pad.

패드 탄성 지지부재는 승강 패드가 하강되면 압축되었다가 가압 파우치의 수축으로 인해 승강 패드에 가해지는 압력이 해제되면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승강 패드를 가압하여 상승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패드 탄성 지지부재는 다수의 절곡 구간을 다진 주름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pad elastic support member is compressed when the lifting pad is lowered, and when the pressure applied to the lifting pad is released due to contraction of the pressing pouch, it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by elastic force and can pressurize the lifting pad to raise it. For example, the pad elastic support member may be formed in a wrinkled shape with multiple bent sections.

탄성 개폐 링은 관통공이 형성된 솔 바디(1)의 내면에 결합될 수 있다.The elastic opening/closing ring may be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ole body 1 where the through hole is formed.

탄성 개폐 링은 스파이크 부재가 솔 바디(1)의 외부로 돌출되면 스파이크 부재에 가압되어 중심부가 개방되고, 스파이크 부재가 솔 바디(1)의 내부에 수납되면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되어 중심부가 폐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 개폐 링은 신축 가능한 탄성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elastic opening/closing ring is pressed against the spike member when the spike member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sole body (1), opening the center, and when the spike member is stored inside the sole body (1), it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by elastic force and the center is closed. It can be. For example, the elastic opening/closing ring may be formed of a stretchable elastic material.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힐(2)에 사용자의 발아치를 지지하는 아치 지지부(22)가 형성되므로, 사용자의 발아치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키고, 이를 통해 발아치에 가해지는 통증 및 피로를 최소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rch support portion 22 that supports the user's foot is formed in the heel 2, thereby dispersing the load applied to the user's foot, thereby reducing pain and pain applied to the foot. Fatigue can be minimized.

또한, 사용자의 발뒤꿈치가 지지되는 힐(2)에 솔 바디(1)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완충기둥(24) 및 솔 바디(1)를 통해 수직으로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는 에어포켓(23)이 형성되므로, 발뒤꿈치에 가해지는 하중 및 충격을 분산시키고, 이를 통해 발뒤꿈치에 가해지는 통증 및 피로를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a shock column (24) that elastically supports the sole body (1) on the heel (2) on which the user's heel is supported, and an air pocket (23) that relieves the shock applied vertically through the sole body (1) ) is formed, dispersing the load and impact applied to the heel, thereby minimizing pain and fatigue applied to the heel.

또한, 아치 지지, 완충기둥(24) 및 에어포켓(23)을 통해 발에 가해지는 통증 및 피로를 최소화하므로, 착화감이 증대될 수 있다.In addition, pain and fatigue on the feet are minimized through the arch support, buffer pillar 24, and air pocket 23, so the wearing comfort can be increased.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lth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of the claims als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1000. 아웃솔
1. 솔 바디
11. 제1 안착홈
12. 커버부
13. 제2 안착홈
2. 힐
21. 힐 바디부
211. 가이드 레일
212. 가변부 수납홈
213. 도구 출입공
22. 아치 지지부
221. 슬라이딩 부재
222. 지지몸체
222A. 지지구 수납홈
223. 볼 지지 홀더
224. 홀더 탄성 지지부재
225. 지지볼
23. 에어포켓
24. 완충기둥
25. 미끄럼 방지 패턴
26. 미끄럼 방지 돌출부
3. 제1 완충패드
31. 패드바디
32. 제1 탄성셀
33. 제2 탄성셀
4. 제2 완충패드
5. 아치 지지점 가변부
51. 몸체 지지구
52. 지지구 이송유닛
521. 서포트 유닛
522. 스크류 샤프트
522A. 조작헤드
523. 이송블록
53. 개폐캡
1000. Outsole
1. Sole body
11. First seating groove
12. Cover part
13. Second seating groove
2. Hill
21. Heel body part
211. Guide rail
212. Variable storage groove
213. Tool entry hole
22. Arch support
221. Sliding member
222. Support body
222A. Support storage groove
223. Ball support holder
224. Holder elastic support member
225. Support ball
23. Air pocket
24. Buffer pillar
25. Anti-slip pattern
26. Non-slip protrusions
3. First buffer pad
31. Pad body
32. First elastic cell
33. Second elastic cell
4. Second buffer pad
5. Arch support point variable part
51. Body support
52. Support transfer unit
521. Support unit
522. Screw shaft
522A. operating head
523. Transfer block
53. Opening and closing cap

Claims (3)

신발에 결합되고, 사용자의 발을 지지하는 아웃솔로서,
미리 설정된 두께를 가지며, 발바닥을 지지하는 솔 바디; 및
상기 솔 바디의 하면에 결합되고, 상기 솔 바디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솔 바디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신발을 착용한 사용자의 발 뒤꿈치를 지지하는 힐;을 포함하고,
상기 힐은,
상기 솔 바디에 결합되는 힐 바디부; 및
전후 방향을 따라 상기 힐 바디부의 전단부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신발을 착용한 사용자의 발아치를 지지하는 아치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힐은,
상기 솔 바디에 접하여 상기 솔 바디를 지지하는 상기 힐 바디부의 상면에 함몰 형성되고, 상기 솔 바디를 통해 상기 힐 바디부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는 에어포켓;
상기 에어포켓의 중심부에 배치되고, 상기 솔 바디를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솔 바디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하는 완충기둥;
상기 힐 바디부의 하면에 형성되는 미끄럼 방지 패턴; 및
상기 힐 바디부의 하면에 미리 설정된 길이로 돌출되고, 상기 미끄럼 방지 패턴의 둘레를 감싸 상기 힐 바디부의 하면을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하는 미끄럼 방지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솔 바디의 상면에 함몰 형성된 제1 안착홈에 수용되어 상기 제1 안착홈의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부를 지지하고, 상기 솔 바디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도록 구성되는 제1 완충패드; 및
상기 솔 바디의 하면에 함몰 형성된 제2 안착홈에 수용되어 상기 힐에 지지되는 탄성체 재질의 제2 완충패드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완충패드는,
내부에 공기가 충전되고, 상기 커버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패드바디;
상기 패드바디의 내부에 복수로 배치되어 상기 패드바디를 지지하고, 외력이 가해지면 압축되었다가 외력이 해제되면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되는 탄성체 재질의 제1 탄성셀들; 및
상기 패드바디의 내부에 복수로 배치되어 상기 제1 탄성셀들 사이에 배치되고. 외력이 가해지면 압축되었다가 외력이 해제되면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되며, 상기 제1 탄성셀들 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는 탄성체 재질의 제2 탄성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완충패드들은 허니콤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아치 지지부는 상기 힐 바디부에 좌우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발아치의 지지위치를 가변 가능하고, 상기 솔 바디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힐 바디부는,
상기 아치 지지부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 레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아치 지지부는,
상기 가이드 레일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 부재;
상기 힐 바디부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는 지지몸체;
상기 지지몸체에 형성된 지지구 수납홈에 수용되는 볼 지지 홀더;
상기 지지구 수납홈에 수용되어 상기 볼 지지 홀더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홀더 탄성 지지부재; 및
상기 볼 지지 홀더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솔 바디의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볼;을 포함하는, 착화감을 개선한 아웃솔.
An outsole that is coupled to a shoe and supports the user's foot,
A sole body that has a preset thickness and supports the sole; and
A heel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ole body and disposed at the rear of the sole bod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ole body to support the heel of the user wearing the shoe,
The heel is,
a heel body portion coupled to the sole body; and
An arch support portion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front end of the heel body portion along the front-back direction and supports the foot of a user wearing the shoe,
The heel is,
an air pocket recess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heel body portion that contacts the sole body and supports the sole body, and relieves impact applied to the heel body portion through the sole body;
A buffer pillar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air pocket, elastically supporting the sole body to distribute the load applied to the sole body;
An anti-slip pattern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eel body portion; and
It further includes an anti-slip protrusion that protrudes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heel body to a preset length and surrounds the periphery of the anti-slip pattern to divide the lower surface of the heel body into a plurality of regions,
a first cushioning pad accommodated in a first seating groove recess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sole body, supporting a cover portion coupled to an upper part of the first seating groove, and configured to relieve an impact applied to the sole body; and
It further includes second cushioning pads made of an elastomer material that are accommodated in a second seating groove recessed in the lower surface of the sole body and supported on the heel,
The first buffer pad is,
a pad body filled with air inside and elastically supporting the cover part;
A plurality of first elastic cells are arranged inside the pad body to support the pad body, and are compressed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and restored to their original state by elastic force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leased; and
A plurality of pads are disposed inside the pad body and are disposed between the first elastic cells. Second elastic cell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that are compressed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and restored to their original state by elastic force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leased, and are formed in a smaller size than the first elastic cells,
The second buffer pads are formed in a honeycomb structure,
The arch support part is slidably coupled to the heel body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o change the support position of the arch, and is configured to elastically support the sole body,
The heel body part,
It further includes a guide rail to which the arch support is slidably coupled,
The arch support,
a sliding member slidably coupled to the guide rail;
a support body disposed outside the heel body portion and mov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by the sliding member;
a ball support holder accommodated in a support storage groove formed in the support body;
a holder elastic support member accommodated in the support storage groove and elastically supporting the ball support holder; and
An outsole with improved fit, including a support ball rotatably coupled to the ball support holder and supporting a lower surface of the sole body.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30152398A 2023-11-07 2023-11-07 Outsole with improved fit KR10266480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52398A KR102664800B1 (en) 2023-11-07 2023-11-07 Outsole with improved f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52398A KR102664800B1 (en) 2023-11-07 2023-11-07 Outsole with improved fi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4800B1 true KR102664800B1 (en) 2024-05-10

Family

ID=91072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52398A KR102664800B1 (en) 2023-11-07 2023-11-07 Outsole with improved f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4800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22908A (en) * 2004-02-23 2007-08-16 ナイキ インコーポレーティッド A fluid-filled inner bag incorporating a foam tension member
JP3137502U (en) * 2004-07-27 2007-11-29 ボン−ホ キム Sole for bowling shoes
KR20100125548A (en) * 2009-05-21 2010-12-01 권혁수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hoes that provide prevention of O-type and X-type legs and weight-adaptive shock absorbing device
KR101071083B1 (en) * 2009-07-21 2011-10-13 김덕기 Shoes with changable heel
KR101333729B1 (en) 2012-02-22 2013-11-28 주식회사 금강 Outsole for shoes
WO2019073607A1 (en) * 2017-10-13 2019-04-18 株式会社アシックス Member for shoe soles and shoe
KR20230001869U (en) * 2022-03-17 2023-09-26 정봉금 Functional shoes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22908A (en) * 2004-02-23 2007-08-16 ナイキ インコーポレーティッド A fluid-filled inner bag incorporating a foam tension member
JP3137502U (en) * 2004-07-27 2007-11-29 ボン−ホ キム Sole for bowling shoes
KR20100125548A (en) * 2009-05-21 2010-12-01 권혁수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hoes that provide prevention of O-type and X-type legs and weight-adaptive shock absorbing device
KR101071083B1 (en) * 2009-07-21 2011-10-13 김덕기 Shoes with changable heel
KR101333729B1 (en) 2012-02-22 2013-11-28 주식회사 금강 Outsole for shoes
WO2019073607A1 (en) * 2017-10-13 2019-04-18 株式会社アシックス Member for shoe soles and shoe
KR20230001869U (en) * 2022-03-17 2023-09-26 정봉금 Functional sho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14613B1 (en) Article of footwear having multiple fluid containing members
US5987780A (en) Shoe sole including a peripherally-disposed cushioning bladder
US5784807A (en) Fluid filled support system for footwear
US6499703B2 (en) Computer wrist pad adjustable in height and hardness
KR920002231B1 (en) Shock absorbing of shoes sole
US4219945A (en) Footwear
US8763277B2 (en) Footware with shock absorbing sole
KR100942678B1 (en) Sole of shoes having
US20160255910A1 (en) Sandal With Pressure-Adjustable Air Cushion
KR102664800B1 (en) Outsole with improved fit
KR101817734B1 (en) Lower structure of footwear having shock absorption effect
US6773785B1 (en) Air cushion
CN107485116A (en) A kind of shoe-pad
CN105919220B (en) A kind of buffering shoe
KR101105829B1 (en) Insole with double structure for reducing impact
KR102296013B1 (en) Personalized insoles
ES2924194T3 (en) Footwear with elastic midsole
AU730553B2 (en) Air cushion
KR200292146Y1 (en) piston function system for footwear
CN218790824U (en) Effectual playshoes of shock attenuation
CN206101792U (en) Buffering antiskid motion shoe -pad
KR20100082946A (en) Shoe with the function of shock absorption and airing
TWM615151U (en) Pressure-relieving shoe insole with sealed airbag
KR20120061458A (en) Insol for decreasing impact during walking
KR20230088062A (en) soccer shoes for children with impact mitigation fun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