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2946A - Shoe with the function of shock absorption and airing - Google Patents

Shoe with the function of shock absorption and air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2946A
KR20100082946A KR1020090002250A KR20090002250A KR20100082946A KR 20100082946 A KR20100082946 A KR 20100082946A KR 1020090002250 A KR1020090002250 A KR 1020090002250A KR 20090002250 A KR20090002250 A KR 20090002250A KR 20100082946 A KR20100082946 A KR 201000829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sole
spring
sho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22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130826B1 (en
Inventor
임봉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일통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일통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일통상
Priority to KR1020090002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0826B1/en
Publication of KR20100082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294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0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082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3Leaf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20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0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PURPOSE: A sole having a structure for absorbing shocks is provided to secure permeability, to effectively absorb impacts using a spring which is stably contracted and expanded and a protrusion having elasticity, and to keep the inner part of shoes pleasant. CONSTITUTION: A sole having a structure for absorbing shocks is comprised of an upper sole(110) and a lower sole(120). A spring(130) is arranged on a space(122) of the lower sole. An air passage(118) passes through the upper sole in traverse direction. The bottom of the sole includes an elastic protrusion(112) in which a spring is fitted. The spring and the protrusion absorb impacts. A path(114) which is connected to the air passage is formed on the protrusion.

Description

통기성이 확보되는 신발 밑창의 충격흡수 구조{shoe with the function of shock absorption and airing}Shoe with the function of shock absorption and airing

본 발명은 신발에 적용되는 밑창의 충격흡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스프링과 고무의 탄발력을 이용하되 신발 내부로 공기공급이 원활하게 되는 통기성이 확보되는 신발 밑창의 충격흡수 구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ck absorbing structure of the sole that is applied to the shoe, and more particularly to the shock absorbing structure of the shoe sole is secured breathable to use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and rubber but the air supply is smoothly into the shoe will be.

최근에는 생활수준의 향상과 수요자의 다양한 욕구에 부응하고자 수많은 종류의 신발들이 제조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크게 밑창과, 이 밑창의 상부에 결합된 갑피로 구성되며, 특히 밑창은 신발의 중창을 이루는 미드솔과, 신발의 바닥창을 이루는 아웃솔로 구성된다.In recent years, many kinds of shoes have been manufactured to improve living standards and meet various needs of consumers. Generally, a shoe is composed of a sole and an upper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sole, and in particular, the sole is composed of a midsole forming the sole of the shoe and an outsole forming the sole of the shoe.

상기와 같은 밑창의 구성 중 미드솔은 통상 다양한 재질의 합성수지재가 발포 성형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아웃솔은 내마모성 과 미끄럼방지를 위한 기능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최근 미드솔의 재질로 사용되는 합성수지재로는 가벼울 뿐만 아니라 충격을 흡수하면서 복원력이 있고 변색방지 및 환경오염 측면에서도 유리한 EVA(ETHYLENE VINYLACETATE)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Among the configuration of the outsole as described above, the midsole is usually made of a foam-molded structur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of various materials, the outsole is made of a rubber material so as to meet the functions for wear resistance and slip, recently used as a material of the midsole As a synthetic resin, EVA (ETHYLENE VINYLACETATE), which is not only light but also absorbs shock, has resilience, and is advantageous in terms of preventing discoloration and environmental pollution, is mainly used.

상기와 같은 밑창이 적용되는 신발은 보행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는 동시에 효과적으로 분산시킴으로써 발목이나 근육등과 같은 인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줄일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따라서 다양한 충격흡수 구조가 제안된바 있는데, 예로, 밑창에 충격흡수 기능을 부여하기 위하여 미드솔에 충격흡수용 젤을 사용하거나 에어백이나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를 매설한 구조등이 그것이다.The shoe to which the sole is applied as described above should be able to reduce the impact on the human body such as ankle or muscle by absorbing the impact generated during walking and dispersing effectively. Therefore, various shock absorbing structures have been proposed. For example, a shock absorbing gel is used in the midsole to impart a shock absorbing function to the sole, or a structure in which an elastic member such as an air bag or a spring is embedded.

여기서, 스프링을 사용한 충격흡수구조에 따르면 밑창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해당 공간에 단순히 스프링을 매설하는데 그치는 것으로서 매설된 스프링이 공간 내부에서 이리 저리 움직이게 되는바, 제 위치에 고정되지 못하여 안정적인 충격흡수 효과를 구현하기 어려운 구성이었다.Here, according to the shock-absorbing structure using the spring to form a space inside the sole and simply buried the spring in the space, the buried spring is moved around in the space bar, it is not fixed in place, stable shock absorption effect It was a difficult configuration to implement.

한편, 신발 내부는 항상 습기가 많고 체온에 의해 높은 온도를 유지하고 있는바, 세균이 번식하여 냄새가 날 우려가 많았다. 따라서 충격흡수 구조에 더해 신발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여 신발 내부를 쾌적한 상태로 유지할 할 수 있도록 하는 밑창의 구조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On the other hand, the inside of the shoe is always moist and maintain a high temperature by the body temperature, there was a lot of fear that the bacteria breed and smell. Therefore, in addition to the shock-absorbing structure, the structure of the sole to supply the air into the shoe to keep the interior of the shoe in a comfortable state is required.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하는 것으로서 스프링이 안정적으로 수축과 팽창을 하여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하면서 보행시 신발 내부로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신발 내부를 쾌적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신발 밑창의 충격흡수 구조를 얻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s the spring can be stably contracted and expanded to effectively absorb the shock while supplying air into the shoe during walking to maintain the interior of the shoe in a comfortable state The purpose is to obtain a shock absorbing structure of the sole.

본 발명에 따르면, 스프링이 안정적으로 상하로 수축과 팽창을 할 수 있게 되어 탄성을 가진 돌기와 더불어 작용하여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게 되며, 보행시 자연스럽게 신발 내부로 공기가 공급됨에 따라 신발 내부를 쾌적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는 신발 밑창을 얻을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pring can be stably contracted and expanded up and down to work with elastic projections to effectively absorb shocks, and the inside of the shoes is comfortable as air is naturally supplied to the shoes during walking. You will get a shoe sole that will help you stay in shape.

본 발명은 보행시 발생하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면서도 보행시 신발 내부로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신발 내부를 쾌적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신발 밑창의 충격흡수 구조를 얻기 위해, 상부창과 하부창으로 구성된 밑창을 구비하되, 상기 하부창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스프링이 배치되고, 상기 상부창은 공기가 흐르는 공기통로가 몸체를 횡방향으로 관통하다 상면으로 뚫려 형성되는 한편 저면에는 상기 스프링이 끼워지는 탄성질의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과 돌기가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며,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sole consisting of an upper sole and a lower sole in order to effectively absorb the shock generated during walking while supplying air into the shoe during walking to maintain a comfortable state of the shoe sole. However, a space is formed in the lower window so that the spring is disposed, and the upper window is formed by opening an air passage through which the air flow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opening the upper surface, while forming an elastic protrusion in which the spring is fitted. And, the spring and the protrusion is configured to absorb the shock,

상기 돌기에는 측벽에서부터 몸체를 따라 상부로 관통되어 상기 공기통로에 연결되는 유입로가 형성되어 상기 공간에 있는 공기가 상기 유입로로를 지나 공기통로로 공급되어 신발 내부로 배출될 수 있게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이 확보되는 신발 밑창의 충격흡수 구조를 제안한다.The protrusion is formed along the body from the side wall to the upper passage is connected to the air passage is formed so that the air in the space is passed through the inlet passage to the air passage is configured to be discharged into the shoe inside We propose a shock absorbing structure of the shoe sole to ensure breathability.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5를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밑창의 제1 실시예에 의한 구조를 보여주는 각부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밑창의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밑창의 제2 실시예에 구조를 보여주는 각부 분해 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each part showing the structur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s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s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econd embodiment of the s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each part showing its structure.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밑창(100)은 크게 상부창(100)과 하부창(120)으로 구분되어 서로 접착됨으로써 밑창(100)을 구성하게 된다.As shown, the sol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divided into the upper window 100 and the lower window 120 to form a sole 100 by being bonded to each other.

하부창(120) 상면에는 공간(1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공간(122)은 하부창(120)의 상면이 패여 형성된 것으로서, 하중이 주로 가해지는 부분에 형성되는바, 통상 발 뒷꿈치 부분에 주로 설치되며 필요에 따라 앞꿈치 부분에도 형성하여 줄 수 있다. 상기 공간(122)의 크기는 도 1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스프링(130)과 돌기(112)의 구성에 따라 그 크기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다.The space 122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window 120. The space 122 is formed by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window 120 is formed, the bar is mainly formed in the portion to which the load is applied, it is usually installed in the heel portion and may be formed in the front heel portion as needed. As shown in FIGS. 1 and 3, the size of the space 122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spring 130 and the protrusion 112.

상기 하부창(120)에는 스프링(130)이 놓여지게 된다. 스프링(130)은 적당한 탄성을 가진 것으로서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된 것을 적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충격을 잘 흡수할 수 있는 형태인 육각형상으로 감겨져있는 것을 적용한다. 특히 스프링(130)을 구성하는 철선은 안정적으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판 형태로 된 것을 적용하여 줄 수 있다. The spring 130 is placed on the lower window 120. Spring 130 has a suitable elasticity can be applied to one configured in a variety of shapes, but preferably applied to the wound in a hexagonal shape that can absorb shock well. In particular, the iron wire constituting the spring 130 may be applied to the plate form to stably absorb the impact.

스프링(130)을 구성하는 철선의 폭은 3~7mm, 두께는 0.5~1.5mm의 범위의 것을 이용하며, 직경은 20~60mm가 되도록 형성하게 된다. 상기의 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스프링(130)의 탄성이 너무 작거나 커서 충격을 흡수하는 기능이 떨어지게 되기 때문에 상기 예시된 범위 내에서 형성하여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width of the iron wire constituting the spring 130 is 3 ~ 7mm, the thickness is used in the range of 0.5 ~ 1.5mm, the diameter is formed to be 20 ~ 60mm. If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130 is too small or too large to fall outside the above range it is preferable to form within the above-described range because the function to absorb the impact is reduced.

상기와 같은 스프링(130)은 하중이 가해지면 수축하면서 충격을 흡수하게 되고 팽창할 때에는 발을 밀어주게 되어 원활한 보행이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The spring 130 as described above is to absorb the impact while contracting when the load is applied, and to push the foot when inflated to play a smooth walk.

상부창(110)은 상기 하부창(120) 상부에 접착되는 것으로서, 공기가 흐르는 공기통로(118)가 몸체를 횡방향으로 관통하다 상면으로 뚫려 신발 내부에 이르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저면에는 상기 스프링(130)이 끼워지는 탄성질(고무, 실리콘, 폴리우레탄, 파이런 등)의 돌기(1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기(112)에 의해 스프링(130)이 제 위치에서 수축과 팽창을 하게 된다.The upper window 110 is bond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window 120, the air passage 118 through which the air flows is formed through the body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o the upper surface to reach the inside of the shoe. The bottom surface is formed with a protrusion 112 of elastic material (rubber, silicone, polyurethane, pylon, etc.) to which the spring 130 is fitted. The protrusion 112 causes the spring 130 to contract and expand in position.

상기 돌기(112)에는 측벽에서부터 몸체를 따라 상부로 관통되는 유입로(114)가 형성된다. 상기 유입로(114)는 하부창(120)에 형성되어 있는 공간(122)으로부터 공기가 유입되어 신발 내부로 배출하는 통로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상단이 상기 공기통로(118)에 연결되어 있다.The protrusion 112 has an inflow path 114 penetrating upward from the side wall along the body. The inflow passage 114 serves as a passage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from the space 122 formed in the lower window 120 to be discharged into the shoe, and an upper end thereof is connected to the air passage 118.

따라서, 위쪽에서 하중이 가해지게 되면 공간(112) 또한 좁아지게 되는바, 공기가 유입로(114)로 유입된 다음 공기통로(188)를 따라 이동하여 신발 내부로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유입로(114)의 입구가 돌기(112)의 측면에 형성됨으로써 공간(122) 내부 벽면 등에 의해 막히는 것이 방지되어 원활한 공기 이동이 가능해 지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when a load is applied from the upper side, the space 112 is also narrowed, and air is introduced into the inflow path 114 and then moved along the air passage 188 to be discharged into the shoe. In particular, since the inlet of the inflow path 114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protrusion 112, it is prevented from being blocked by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space 122, thereby enabling smooth air movement.

여기서, 상기 돌기(112)는 하단부를 위쪽으로 오목하게 형성하여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단부를 오목하게 형성하여 주게 되면 위쪽에서 하중이 가해져 돌기(112)가 하강할 경우, 상기 돌기(112)의 하단부가 하부창(120)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공간(122) 내부 바닥에 닿게 되는데, 이때 상기 돌기(112) 하단에 형성된 홈의 가장자리가 바닥에 닿아 수축됨과 동시에 오목한 부분에 공기가 갖힌 상태에서 하중을 지지하게 된다. Here, the protrusion 112 is preferably formed to concave the lower end upward. When the bottom portion is concave, the load is applied from the upper side when the protrusion 112 descends, so that the bottom portion of the protrusion 112 touches the inner bottom of the space 122 formed in the lower window 120. At this time, the edge of the groov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protrusion 112 is contracted to the bottom and at the same time to support the load in the air in the concave portion.

계속해서 압력이 가해지게 되면 돌기(112)의 하단 가장자리와 하부창(120)에 형성되어 있는 공간(122)의 바닥 사이가 공기 압력에 의해 벌어지면서 공기가 빠져나가게 되고, 돌기(112)는 더 하강을 하게 된다. 상기의 과정은 돌기(112)가 탄성질로 되어 있음에 따라 가능한 것이다. If pressure is continuously applied, the air escapes between the bottom edge of the protrusion 112 and the bottom of the space 122 formed in the lower window 120 by the air pressure, and the protrusion 112 further increases. You will descend. The above process is possible because the protrusion 112 is made of elastic material.

상기와 같이 공기가 빠져나가면서 돌기(112)가 계속 하강을 하게 되면 돌기(112)의 하단에 형성된 홈은 납작하게 수축 되고, 그 결과 하중이 돌기(112) 몸체에 전해지게 되면서 돌기(112) 전체가 수축을 하게 된다. 이때에는 돌기(112)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유입로(114)의 입구 또한 좁아지게 되는바, 상기 공간(122)에 있는 공기의 유출량이 감소하면서 갖히게 된다. If the protrusion 112 continues to descend as air escapes as described above, the groov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protrusion 112 is contracted flatly, and as a result, the load is transmitted to the body of the protrusion 112 and the protrusion 112. The whole contracts. At this time, the inlet of the inflow passage 114 formed on the side of the protrusion 112 is also narrowed, so that the amount of air outflow in the space 122 is reduced.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최초 돌기(112)의 하단 가장자리가 수축하면서 충격을 신속하게 흡수하다가, 공기가 압축되면서 하중을 지지하여 돌기(112)가 급격하게 하강하는 것을 막게 되고, 이어 하중이 계속 가해져 임계점에 이르게 되면 공기가 돌기(112)의 하단 홈에서 빠져나가면서 상기 홈이 납작하게 수축 되어 돌기(112) 전체가 수축을 하며 하중을 지지하게 되는바, 순차적으로 충격을 흡수하여 줄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lower edge of the initial protrusion 112 is quickly absorbed shock while contracting, while the air is compressed to support the load to prevent the projection 112 from falling sharply, then the load continues When the air reaches the critical point, the air escapes from the lower groove of the protrusion 112, and the groove is contracted flat so that the entire protrusion 112 contracts and supports the load, so that the shock can be sequentially absorbed. do.

또한 하중이 가해지는 초기에는 돌기(112)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홈의 얇은 가장자리 부분이 먼저 수축 됨에 따라 유입로(114)의 입구 면적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되는바, 공기가 원활하게 배출되며,In addition, when the load is initially applied, as the thin edge portion of the groov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protrusion 112 is first contracted, it does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inlet area of the inflow passage 114, and air is smoothly discharged.

이후 하중이 계속 가해지면 상기 홈이 납작하게 수축되면서 돌기(112)에 하중이 전달되고, 돌기(112) 전체 몸체가 수축하면서 유입로(114)의 입구 또한 좁아지게 되어 공의 유출량이 감소하는바, 일종의 쇽업소버(shock absorber)와 같은 기능을 하여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After the load is continuously applied, the grooves are contracted flat and the load is transmitted to the protrusions 112, and the inlet passage 114 is also narrowed as the entire body of the protrusions 112 is contracted to reduce the outflow of the ball. In other words, the shock absorber functions as a shock absorber.

한편,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밑창(100)은 하부창(120)에 형성되는 공간(122)과 상부창(110)에 형성된 돌기(112)의 구성을 달리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즉, 필요에 따라 상기 공간(122)의 폭을 크게 형성한 다음 하나의 공간(122)에 두 개의 스프링(130)이 배치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다. 이때 하부창(120)에는 상기 두 개의 스프링(130)이 각각 끼워질 수 있도록 두 개의 돌기(112)를 형성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On the other hand, the sol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by vary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rotrusion 122 formed in the space 122 and the upper window 110 formed in the lower window 120. That is, the width of the space 122 is formed to be large as necessary, and then two springs 130 may be disposed in one space 122. At this time, the lower window 120 should be formed of two projections 112 so that the two springs 130 are fitted, respectively.

이 구성에 따르면 하중이 많이 가해지는 뒷꿈치 부분에는 여러 개의 스프링(130)과 돌기(112)를 배치함으로써 충격을 보다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는바, 바람직하게는 뒷꿈치 부분에 하나를 형성하고 앞꿈치 부분에는 발의 볼이 넓으므로 두 개를 형성하여 줌으로써 효과적으로 충격을 흡수하여 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스프링(130)과 돌기(112)의 크기가 작을 경우에는 뒷꿈치 부분에 두 개를 형성하고 앞꿈치 부분에 세 개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absorbed more effectively by placing a plurality of springs 130 and the projection 112 in the heel portion is heavily loaded bar, preferably to form one in the heel portion Since the ball of the foot is wide in the front heel to form two to effectively absorb the shock. At this time, when the size of the spring 130 and the protrusion 112 is small, it is also possible to form two on the heel portion and three on the front heel portion.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밑창의 작용을 살펴본다.Hereinafter, look at the operation of the s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도 4a, 4b는 본 발명에 의한 밑창의 작용을 보여주는 사용상태도 이다.Figure 4a, 4b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action of the s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보행하면서 하중이 가해지게 되면 스프링(130)이 하중을 받아 수축하면서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As shown, when a load is applied while walking, the spring 130 absorbs a shock while being contracted under load.

이때, 상부창(110)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112)도 같이 하강을 하다가 하단이 하부창(120)에 형성된 공간(122)의 바닥에 접하게 되고, 계속해서 하중이 가해지면 상기 돌기(112) 또한 수축하면서 충격을 흡수하여 주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protrusion 112 formed in the upper window 110 is also lowered, and the lower end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space 122 formed in the lower window 120, and when the load is continuously applied, the protrusion 112 is applied. It also absorbs shock while shrinking.

상기 돌기(112)는 하단이 공간(122)의 바닥에 접하게 되면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오목한 홈이 공기를 가둬 둔 상태로 수축을 하다가 임계점에 이르게 도면 공기가 홈 외부로 빠져 나가면서 상기 홈이 납작해지게 된다. When the bottom 112 contacts the bottom of the space 122, the concave groove formed at the bottom thereof contracts while the air is trapped, and the drawing air exits to the outside of the groove to reach a critical point. Will be lost.

따라서, 돌기(112)의 하단이 상기 공간(122)의 바닥에 닿기 전에는 스프링(130) 만에 의해 충격을 흡수하다가, 돌기(112)의 하단이 닿게 되면서 부터 스프링(130)과 돌기(112)의 하단에 형성된 홈의 가장자리에 의해 충격이 흡수되며, 이어서 공기가 빠져나가면서 홈이 납작해지게 되면 스프링(130)과 돌기(112) 몸체가 충격을 흡수하게 되는바, 순차적으로 충격을 흡수하여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erefore, before the lower end of the protrusion 112 touches the bottom of the space 122, the shock is absorbed by the spring 130 only, and the lower end of the protrusion 112 reaches the spring 130 and the protrusion 112. The shock is absorbed by the edge of the groov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spring, and then the grooves are flattened while the air escapes, so that the spring 130 and the protrusion 112 absorb the shock, thereby sequentially absorbing the shock. I will be able to give.

한편, 상기와 같이 하중이 가해지게 되면 하부창(120)에 형성되어 있는 공간(122) 또한 하중을 받아 수축되게 된다. 이로 인해 공간(122)에 있던 공기가 돌 기(112)에 형성되어 있는 유입로(114)를 따라 유입되어 공기통로(118)를 지나 신발 내부로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when a load is applied as described above, the space 122 formed in the lower window 120 is also contracted under the load. As a result, the air in the space 122 is introduced along the inflow path 114 formed in the protrusion 112 to be discharged into the shoe through the air passage 118.

이때, 상기 유입로(114)는 최초와 상기 돌기(112)의 하단에 형성된 홈의 가장자리가 수축도리 때 까지는 거의 완전한 상태를 유지하다가, 상기 돌기(112) 하단에 형성된 홈이 납작하게 수축하면서 돌기(112)에 하중이 전해져 몸체 전체가 수축하게 되면 같이 수축하면서 입구가 좁아지게 되는바, 최초에는 급격히 공기를 유출시키다가 나중에는 유출량이 줄어들게 되면서 일종의 쇽업소버(shock absorber) 와 같은 작용을 하여 충격흡수에 도움을 주게 된다.At this time, the inflow path 114 is maintained almost completely until the first and the edge of the groove formed in the bottom of the protrusion 112 is contracted, the groove formed in the bottom of the protrusion 112 is contracted flat projection When the load is transmitted to (112) and the whole body is contracted, the inlet is narrowed while contracting together. At first, the air is rapidly discharged, and later, the amount of outflow is reduced, acting as a kind of shock absorber. It helps with absorption.

이와 같은 과정은 보행시 지속적으로 반복되면서 충격을 원활하게 흡수하여 줄 수 있음과 아울러 공기를 지속적으로 공급함으로써 신발 내부를 쾌적한 상태로 유지하는데 도움을 주게 되는 것이다. This process helps to keep the inside of the shoe in a comfortable state by continuously supplying air while being able to absorb the shock smoothly while continuously repeating when walking.

도 5a, 5b는 본 발명에 의한 밑창의 제3 실시예에 의한 각부 구조와 작용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Figure 5a, 5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and action of each par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s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밑창은 하부창(120)에 형성된 공간(122)에 케이싱(140)을 끼워넣어 형성할 수 있다. 케이싱(140)은 상기 공간(122)을 충분한 넓이로 형성한 다음 끼워 넣는 것으로서 돌기(112)와 스프링(130)을 지지하여 주는 역할을 함과 아울러 연질의 재질로 형성되는 하부창(120)이 보행시 형태가 변함에 따라 공간(122)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는 역할을 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은 케이싱(140)은 육면체 형상, 원통형 형상등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The s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may be formed by inserting the casing 140 into the space 122 formed in the lower window 120. The casing 140 has a function of supporting the protrusion 112 and the spring 130 by forming and then inserting the space 122 in a sufficient width, and a lower window 120 formed of a soft material. As the shape changes during walking, the space 122 is prevented from being deformed, thereby stably absorbing the impact. Such a casing 140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forms as needed, such as a hexahedral shape, a cylindrical shape.

그리고,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케이싱(140) 내부에는 스폰지(142)를 채워넣을 수 있다. 상기 스폰지(142)는 공극을 가진 탄성재라면 파이런, 메모리폼 등 어느 것이라도 가능한 것으로서 스프링(130)이 메이싱(140)과 마찰되어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스폰지(142)는 조각된 것을 채워 넣거나 또는 케이싱(140)의 형상에 딱 맞게 미리 형성된 것을 끼워 넣는 것이 모두 가능함은 물론이며, 스프링(130) 내부와 돌기(112) 사이의 공간이 넓을 경우 해당 부분에도 채워 넣어줄 수 있는 것으로서 당 업자의 기술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sponge 142 may be filled in the casing 14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sponge 142 may be any one of pylon, memory foam, etc., as long as it is an elastic material having voids, and serves to prevent the spring 130 from rubbing against the meshing 140 to generate noise. Here, the sponge 142 may be filled with the carved or inserted into the pre-formed to fit the shape of the casing 140, of course, the space between the spring 130 and the protrusion 112 is wide. In this case, it can be filled in the corresponding part and can be variously modified at the technical level of those skilled in the art.

도면 중 미설명 부호는 앞서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서 설명한 각부의 구성과 동일한 부분에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였는바, 형상과 기능에 있어 차이가 없으므로 재차 설명을 생략한다.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parts as the configurations of the respective parts described above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and thus the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again because there is no difference in shape and function.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밑창의 제1 실시예에 의한 구조를 보여주는 각부 분해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each part showing the structur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s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밑창의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Figure 2 is a plan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s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밑창의 제2 실시예에 구조를 보여주는 각부 분해 사시도,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each part showing a structure in a second embodiment of the s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4b는 본 발명에 의한 밑창의 작용을 보여주는 사용상태,4a, 4b is a use state showing the action of the s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a, 5b는 본 발명에 의한 밑창의 제3 실시예에 의한 각부 구조와 작용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Figures 5a, 5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and action of each par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s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밑창, 110 : 상부창,100: sole, 110: upper window,

112 : 돌기, 114 : 유입로,112: protrusion, 114: inflow passage,

118 : 공기통로, 120 : 하부창,118: air passage, 120: lower window,

122 : 공간, 130 : 스프링.122: space, 130: spring.

140 : 케이싱, 142 : 스폰지.140: casing, 142: sponge.

Claims (5)

신발에 적용되는 밑창에 있어서,Soles applied to shoes, 상기 밑창(100)은 상부창(110)과 하부창(120)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The sole 100 is composed of the upper window 110 and the lower window 120, 상기 하부창(120)에는 공간(122)이 형성되어 스프링(130)이 배치되고, A space 122 is formed in the lower window 120 so that the spring 130 is disposed. 상기 상부창(110)은 공기가 흐르는 공기통로(118)가 몸체를 횡방향으로 관통하다 상면으로 뚫려 형성되는 한편 저면에는 상기 스프링(130)이 끼워지는 탄성질의 돌기(112)가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130)과 돌기(112)가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구성되되,The upper window 110 has an air passage 118 through which the air flows and is formed through the body in a transverse direction to form an elastic protrusion 112 into which the spring 130 is fitted. The spring 130 and the protrusion 112 is configured to absorb the shock, 상기 돌기(112)에는 측벽에서부터 몸체를 따라 상부로 관통되어 상기 공기통로(118)에 연결되는 유입로(114)가 형성되어 상기 공간(122)에 있는 공기가 상기 유입로(114)로를 지나 공기통로(118)로 공급되어 신발 내부로 배출될 수 있게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이 확보되는 신발 밑창의 충격흡수 구조. The protrusion 112 penetrates upward from the side wall along the body and is connected to the air passage 118 so that air in the space 122 passes through the inflow passage 114. The shock absorbing structure of the shoe sole secured breathability,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e supplied to the air passage 118 to be discharged into the shoe. 제1 항에 있어서,According to claim 1, 상기 돌기(12)는 뒷꿈치쪽에 하나 앞꿈치쪽에 두 개가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밑창의 충격 흡수구조.The protrusion 12 is a shock absorbing structure of the sole of the shoe, characterized in that the two formed on one side of the front heel.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돌기(122)의 하단은 오목하게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밑창 의 충격흡수 구조.The lower end of the protrusion 122 is a shock absorbing structure of the shoe sol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concave. 제1 항에 있어서,According to claim 1, 상기 공간(122)에는 케이싱(140)이 마련되어 끼워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밑창의 충격 흡수구조.The shock absorbing structure of the shoe sole, characterized in that the space 122 is provided with a casing 140 is fitted. 제4 항에 있어서,5. The method of claim 4, 상기 케이싱(140) 내부에는 스폰지(142)가 채워져 소음을 방지하게 구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밑창의 충격 흡수구조.The shock absorbing structure of the shoe sole, characterized in that the casing 140 is filled with a sponge 142 is configured to prevent noise.
KR1020090002250A 2009-01-12 2009-01-12 shoe with the function of shock absorption and airing KR10113082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2250A KR101130826B1 (en) 2009-01-12 2009-01-12 shoe with the function of shock absorption and air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2250A KR101130826B1 (en) 2009-01-12 2009-01-12 shoe with the function of shock absorption and air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2946A true KR20100082946A (en) 2010-07-21
KR101130826B1 KR101130826B1 (en) 2012-04-19

Family

ID=42642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2250A KR101130826B1 (en) 2009-01-12 2009-01-12 shoe with the function of shock absorption and air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082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13803A (en) * 2018-07-19 2018-11-16 福建起步儿童用品有限公司 A kind of high efficiency of forming technique of shock-absorbing type Sports shoes of childr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9193B1 (en) 2018-03-28 2020-05-15 한지안 Outsole for ventilation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8959B1 (en) * 2006-06-20 2007-03-26 주식회사 닥터 포 닥터 Air circulate type an impact of shock-absorbing sole of sho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13803A (en) * 2018-07-19 2018-11-16 福建起步儿童用品有限公司 A kind of high efficiency of forming technique of shock-absorbing type Sports shoes of childr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0826B1 (en) 2012-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8225B1 (en) Article of footwear having improved midsole
ES2624137T3 (en) Footwear
US10786036B2 (en) Mechanical ventilation system and device for footwear
KR101241343B1 (en) Insole with the function of massage
KR100907740B1 (en) Functional shoes with shock absorption, rebound elasticity and air circulation at the same time
KR100518307B1 (en) Shoes
KR101130826B1 (en) shoe with the function of shock absorption and airing
KR20090004785A (en) The functional rolling sole of shoes
KR101333728B1 (en) Hexagon Silicone Insole for Acupressure
KR101591036B1 (en) Shoes Having a Function of Shock Absorbing and Sliding Prevention
KR100937229B1 (en) Shoes having shock absorbing function
KR200148934Y1 (en) A cushion footwear flat
KR101147675B1 (en) The ventilation shoes with an abundant outside-air
KR100775362B1 (en) Shoes with elastic bodies
KR19990069793A (en) Shoe cushioning device
KR100972043B1 (en) Absorption type sliding shoe insole to prevent shock compatibility
KR200427366Y1 (en) An sandal for shock absorption having support form of arch type
ES2924194T3 (en) Footwear with elastic midsole
KR200427686Y1 (en) Shoe insole
KR100576381B1 (en) Shoes
KR200402570Y1 (en) Two-way aircell Soft landing system of shoes
KR20110007867U (en) Insole for expelling heat sweat of foot
KR100848212B1 (en) Bottom footwear
KR200443935Y1 (en) Midsole of shoe for active walking
KR20170019952A (en)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shoes with the shock-absorbing function, and press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