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4700B1 - 다성분 재료용 동축 카트리지 및 동축 카트리지 조립 방법 - Google Patents

다성분 재료용 동축 카트리지 및 동축 카트리지 조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4700B1
KR102664700B1 KR1020217024576A KR20217024576A KR102664700B1 KR 102664700 B1 KR102664700 B1 KR 102664700B1 KR 1020217024576 A KR1020217024576 A KR 1020217024576A KR 20217024576 A KR20217024576 A KR 20217024576A KR 102664700 B1 KR102664700 B1 KR 1026647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outer tube
inner tube
tube
coaxial cart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4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0867A (ko
Inventor
랄프 그루넨펠더
에버하르트 레모
하이든 터너
Original Assignee
메드믹스 스위처랜드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EP19150167.5A external-priority patent/EP3677345A1/en
Application filed by 메드믹스 스위처랜드 아게 filed Critical 메드믹스 스위처랜드 아게
Publication of KR20210110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08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4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47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B05C17/005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 B05C17/00503Details of the outlet element
    • B05C17/00506Means for connecting the outlet element to, or for disconnecting it from, the hand tool or its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B05C17/005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 B05C17/00553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with means allowing the stock of material to consist of at least two different components
    • B05C17/00559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with means allowing the stock of material to consist of at least two different components the different components being stored in coaxial cha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9/00Packaging of material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9/10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substances isolated from one another in the package but capable of being mixed without opening the package, e.g. forming packages containing a resin and hardener isolated by a frangible part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5Containers having parallel or coaxial compartments, provided with a piston or a movable bottom for discharging contents

Abstract

본 발명은 다성분 재료용 동축 카트리지에 관한 것으로, 상기 동축 카트리지는 출구를 갖는 헤드부, 제1 성분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제1 저장실을 형성하는 내부 튜브 - 상기 내부 튜브는 상기 출구의 부분을 형성함 -, 외부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튜브는 상기 내부 튜브와 상기 외부 튜브 모두에 공통되는 길이방향 축으로 상기 외부 튜브 내에 배열되며, 상기 외부 튜브와 상기 내부 튜브 사이의 공간은 제2 성분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제2 저장실을 형성하고, 상기 외부 튜브는 상기 출구의 다른 부분을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동축 카트리지를 조립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성분 재료용 동축 카트리지 및 동축 카트리지 조립 방법
본 발명은 다성분 재료용 동축 카트리지에 관한 것으로, 상기 동축 카트리지는, 출구를 갖는 헤드부, 내부에 공간을 갖는 내부 튜브 -상기 공간은 제1 성분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제1 저장실(storage)을 형성하고, 상기 내부 튜브는 상기 출구의 부분을 형성함-, 외부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튜브는 상기 내부 튜브와 상기 외부 튜브 모두에 공통되는 길이 방향 축에서 상기 외부 튜브 내에 배열되며, 상기 외부 튜브와 상기 내부 튜브 사이의 공간은 제2 성분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제2 저장실을 형성하고, 상기 외부 튜브는 상기 출구의 다른 부분을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동축 카트리지를 조립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2-성분 동축 카트리지를 사용하여, 동일한 핸드-헬드 디스펜서(hand-held dispenser)가 1-성분 및 다성분 재료를 분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다성분 재료는, 건물 또는 차량의 보호 코팅 또는 구조적 구성요소를 서로 접착하기 위한 접착제의 사용과 같은 산업 응용 분야에서 의료 및 치과 응용 분야에 걸쳐 다양한 응용 분야에 사용된다. 예로서, 다성분 재료는 충전제(filler) 재료과 경화제(hardener)를 포함하는 2-성분 접착제이다. 동축 카트리지는 혼합 비율이라고도 하는 다양한 충전 비율, 예로서, 1:1, 2:1, 4:1, 10:1 등의 혼합 비율로 사용할 수 있다.
동축 카트리지의 생산자(producer)가 반드시 동축 카트리지 내에 저장된 다성분 재료를 생산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주로 빈 동축 카트리지가 다성분 재료의 생산자에게 공급된다. 그리고 나서 다성분 재료의 생산자는 동축 카트리지를 원하는 다성분 재료로 충전한다.
동축 카트리지를 다시 채우는 경우 동축 카트리지에서 잔류 공기를 배출하는 것과 관련하여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동축 카트리지에 저장된 성분들의 저장 수명이 단축될 수 있다. 또한, 피스톤을 카트리지에 올바르게 삽입하는 것과 관련하여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올바른 피스톤 삽입 문제로 인해 누출이 발생하여 저장 수명이 단축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많은 생산자들은 동축 카트리지에서 잔류 공기가 배출되고 피스톤이 잘못 배치되는 것과 관련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동축 카트리지를 전면 충전(front filling)하는 옵션을 선호한다.
동축 카트리지의 종래 기술 설계에 따른 다른 결점은, 재료를 분배하는 데 필요한 비교적 높은 압출력으로 인해 재료의 분배가 더 어려워진다는 것이다. 그러나 카트리지가 비워지면 카트리지 안의 폐기물로 남겨지는 재료의 양에 의해 또 다른 결점이 나타난다. 동축 카트리지가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핸드 헬드 디스펜서에 맞도록 규격화되어 있어서, 그것의 외곽 크기, 예로서, 직경 및 길이 그리고 이에 따른 최대 충전량은 미리 정해지고, 이에 따라 여분의 폐기물은 매우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에, 후자의 문제는 특히 바람직하지 않다.
예를 들어, EP1679126B1은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핸드 헬드 디스펜서와 함께 사용되도록 구성된 동축 카트리지를 개시한다. EP1679126B1에 개시된 카트리지는 충전량과 카트리지에 남아있는 폐기물 양 사이의 절충안을 달성하도록 설계되었다. 이 절충안을 달성하기 위해 두 부분으로된 피스톤 설계가 사용되고, 저장 위치에 있는 카트리지의 챔버는 카트리지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서 차례로 배열된다.
그러나, 카트리지의 비교적 복잡한 설계, 즉 두 부분으로된 피스톤의 각각의 두 부분이 카트리지의 제1 챔버의 길이만큼 축방향으로 이격되고, 이와 함께 작동하는 성분(component)들로 인해, 최대 충전량이 감소하고 일반적으로 동시에 다른 성분을 충전하는 것이 불가능하지만, 오히려 이러한 성분들을 하나씩 차례로 충전해야 하므로 충전 시간이 증가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동축 카트리지의 이용가능한 충전량을 더 증가시키면서 전면 충전된 카트리지의 카트리지 내에 남아있는 폐기물 양을 적어도 유지시키면서 나아가 감소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동축 카트리지의 조작(handling)을 개선하기 위해 분배(dispensing)하는 동안 카트리지의 압출력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능한 비용 효율적이고 간편한 방식으로 조립 및 생산될 수 있는 동축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1에 따른 배출기(discharger)에 의해 충족된다.
이러한 다성분 재료용 동축 카는리지는:
-출구를 갖는 헤드부,
-내부에 공간을 갖는 내부 튜브 - 상기 공간은 제1 성분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제1 저장실을 형성하고, 상기 내부 튜브의 부분은 상기 출구의 부분을 형성하며 -,
-외부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튜브는 상기 동축 카트리지의 길이방향 축으로 상기 외부 튜브 내에 배열되며, 상기 길이 방향 축은 상기 내부 튜브와 상기 외부 튜브 모두에 공통되며; 상기 외부 튜브와 상기 내부 튜브 사이에 형성된 공간은 제2 성분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제2 저장실을 형성하고, 상기 외부 튜브의 부분은 상기 출구의 다른 부분을 형성하며, 상기 내부 튜브는 상기 헤드부에 각각 존재하는 제1 및 제2 연결 지점에서 상기 외부 튜브와 연결되고, 상기 제1 및 제2 연결 지점은 상기 헤드부의 상이한 위치에 배열되며, 상기 상이한 위치는 길이방향 축으로부터 상이한 거리로 이격되어 배열되고, 상기 제1 연결 지점은 상기 출구에 형성된다.
이와 관련하여 출구는 일반적으로 기존의 믹서와 디스펜서에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외부 저장실 내에 내부 저장실을 형성함으로써, 복잡한 축 방향으로 이격된 피스톤의 두 부분 설계가 요구되지 않는다. 이것은 종래 기술의 동축 카트리지에서 달성할 수 있는 것보다 더 많은 저장 공간을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충전량은 EP1679126B1의 동축 카트리지로 달성할 수 있는 255mL에서 본 발명의 카트리지 설계로 달성할 수 있는 각각 276mL 281mL로 10% 증가된다.
더욱이, 동일한 축방향 높이로 제2 저장 챔버 내에 제1 저장 챔버를 형성함으로써, 동시에 두 성분의 전면 충전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카트리지를 충전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두 개의 연결 지점이 사용된다는 사실로 인해 내부 튜브와 외부 튜브 사이의 연결이 더욱 단단해짐에 따라 동축 카트리지의 강성이 증가하여 디스펜싱에 대한 압출력이 감소될 수 있다는 것 또한 밝혀졌다.
또한,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의 양, 즉, 남은 폐기물을 수집할 수 있는 부피가 감소되고, 카트리지의 정밀한 설계에 따라 4.5mL에서 5.2mL사이의 영역에 놓일 수 있다. 이에 비해 EP1679126B1의 동축 카트리지는 5mL의 데드 스페이스의 부피를 갖는다. 동축 카트리지가 그 자체로 더 단단해서 동축 카트리지에서 더 많은 필리그리(filigree) 구성들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데드 스페이스의 감소된 부피가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제시된 제2 저장 챔버와 동일한 축방향 높이로 배열되는 제1 저장 챔버를 갖는 카트리지를 설계하고, 내부 튜브와 외부 튜브를 연결하기 위한 두개의 연결 지점을 제공함으로써, 적어도 대체로 폐기물 양을 유지하면서도 충전량이 증가된 동축 카트리지를 사용할 수 있다. 피스톤의 설계를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덜 복잡하고 각 저장 챔버의 피스톤이 서로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으므로 디스펜싱에 대한 압력이 더 감소되어 핸드 헬드 디스펜서에서 동축 카트리지의 조작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및 제2 연결 지점은 상이한 유형의 연결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제1 및 제2 연결 지점이 카트리지의 헤드부에서 상이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을 뿐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 구성요소는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위치로 조정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출구와 제1 연결 지점은 제2 연결 지점보다 길이 방향 축으로부터 더 멀리 제공될 수 있다. 편심(eccentric), 즉 탈중심적 방식(decentralized manner)으로 출구와 제1 연결 지점을 형성하는 것은, 출구가 길이방향 축에 있는 것이 아닌 길이방향 축으로부터 오프셋(offset) 배열되게 함으로써, 카트리지 내에 존재하는 데드 스페이스와 그에 따른 폐기물의 양이 감소되는 것과 같이, 유리한 설계가 된다.
제1 연결 지점은, 외부 튜브의 부분으로 돌출하는 내부 튜브의 부분에 제공되는 반경 방향 외측 돌출 립(lip)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반경 방향 외측 돌출 립은 내부 튜브가 돌출해서 들어가는 외부 튜브의 부분에 형성된 계단부(step-like portion)와 맞물린다. 이러한 방식으로 출구에서 내부 및 외부 튜브 사이의 안정적인 연결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연결 지점은 내부 튜브와 외부 튜브 사이의 출구에 존재하는 스냅핏(snap fit) 연결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스냅핏 연결은 비용 효율적이고 간단한 방식으로 생산될 수 있는 두 구성요소 간의 유리한 유형의 연결이다.
제2 연결 지점은 제1 연결 지점보다 길이방향 축으로부터 더 짧은 거리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연결 지점을 제1 연결 지점보다 더 중심쪽에 형성하는 것은 내부 및 외부 튜브 사이의 연결이 개선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더욱이, 외부 튜브에 비해 내부 튜브를 위치시키고 밀봉하는 것이 더 간단하기 때문에, 동축 카트리지의 조립이 더 단순화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연결 지점 대비 더 중심쪽 설계의 제2 연결 지점으로 인해, 내부 튜브와 외부 튜브 사이의 연결이 충족시켜야하는 세가지 기능, 즉 밀봉(sealing), 유지(holding), 및 포지셔닝(positioning)이 기존의 카트리지에 비해 개선될 수 있다.
제2 연결 지점은 헤드부에서 내부 튜브의 외부 표면과 접하는 외부 튜브의 내부 표면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 지점은, 카트리지 내부의 임의의 잔여 데드 스페이스를 더욱 최소화하고, 외부 튜브에 대해 내부 튜브의 포지셔닝 및 유지를 개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밀봉부(seal)는 헤드부에서 내부 튜브와 외부 튜브 사이에 형성될 수 있고, 밀봉부는 제2 연결 지점을 둘러싸며, 선택적으로 밀봉부는 내부 튜브의 외부 표면과 접하는 외부 튜브의 내부 표면 사이에 형성된다. 내부 튜브와 외부 튜브 사이에 밀봉부를 제공함으로써 제1 및 제2 저장실 사이의 교차 오염(cross-contamination)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연결 지점은 카운터 플러그 요소(counter plug element), 특히 외부 튜브에 제공된 플러그 수용(plug-receiving) 요소와 협력(cooperate)하는 내부 튜브에 제공된 플러그 요소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선택적으로, 상기 카운터 플러그 요소는 상기 플러그 요소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러그 요소는 상기 플러그 수용 요소에 압입된다. 동축 카트리지를 조립하는 방법은 플러그 요소와 이와 협력하는 카운터 플러그 요소의 사용에 의해 단순화될 수 있다.
내부 튜브는 출구의 부분을 형성하는 상기 부분으로서 원통형 출구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원통형 출구부는 출구의 다른 부분을 형성하는 외부 튜브에 제공된 원통형 출구부로 삽입되며, 선택적으로 외부 튜브의 부분으로 돌출하는 내부 튜브의 부분은 원통형 출구부에 의해 형성되고, 내부 튜브가 돌출해서 들어가는 외부 튜브의 부분은 외부 튜브에 제공된 원통형 출구부에 의해 형성된다. 한편으로는, 서로 협력하는 원통형 부분의 제공이 동축 카트리지의 조립을 단순화한다. 다른 한편으로는, 예를 들어, 연결이 전술한 스냅핏 연결로 형성되는 경우 안정적인 연결이 형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밀봉 수단 또는 밀봉 부재가 내부 튜브의 원통형 출구부와 외부 튜브의 원통형 출구부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밀봉부는 내부 튜브와 외부 튜브의 사이에 존재하여, 한편으로는 교차 오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동축 카트리지에 저장된 성분의 저장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다.
내부 튜브의 원통형 출구부는 제1 저장실로부터 출구의 제1 출구 개구로 연결되는 제1 통로 및 제2 저장실로부터 출구의 제2 출구 개구로 연결되는 제2 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구성요소(component) 내에 두 저장실 모두로부터 출구 통로를 형성함으로서, 재료가 출구를 통해 동축 카트리지를 빠져나가기 전에 동축 카트리지 내에 저장된 재료들 사이에 교차 오염이 발생하지 않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출구는 제1 및 제2 출구 개구를 갖는 제1 및 제2 출구를 포함하는 나란히 있는 출구일 수 있다. 나란한 출구가 전면 충전 응용 분야에서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지금까지 밝혀졌다.
제1 출구 개구의 면적은 제2 출구 개구의 면적과 상이할 수 있다. 이는 특히 카트리지의 내용물이 여러 번 디스펜싱되도록 의도된 경우에 유리할 수 있는데, 이는 각 출구는 각 출구와 맞물리는 서로 다른 모양 또는 크기의 플런저를 갖는 캡으로 밀봉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서로 다른 모양 또는 크기의 구성요소들은 출구에서 일종의 정렬 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출구는 내부 밀봉 표면을 포함할 수 있고, 선택적으로 지지 리브(supporting rib)가 외부 튜브의 원통형 출구부와 내부 튜브의 원통형 출구부 사이에 제공되며, 지지 리브는 내부 밀봉 표면과 동일한 축방향 높이 또는 지지 리브와 출구 통로의 각 입구 개구 사이의 축방향 높이로 제공되며, 특히 지지 리브는 내부 밀봉 표면의 축방향 높이에 근접하게 배열된다.
내부 밀봉 표면은, 카트리지에 저장된 성분의 저장 수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위해 카트리지의 저장기간 동안 출구로 삽입될 수 있는 캡의 부분을 밀봉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내부 밀봉 표면은 카트리지를 전면 충전시 충전 노즐과 출구 사이를 밀봉하여 오염물질이 동축 카트리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지지 리브는 내부 밀봉 표면이 협력하는 각각의 부분과 맞물리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출구의 부분을 강화하는 지지 부재로서 내부 밀봉 표면의 영역에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부 튜브 및 외부 튜브는 헤드부에 형성된 각 단면으로부터 제1 및 제2 저장실 내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는 피스톤에 존재하는 리세스(recess)와 맞물리도록 형성되어 카트리지 내의 임의의 데드 스페이스를 더욱 최소화하고, 이로써 카트리지 내에 저장된 임의의 폐기물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돌출부는 피스톤의 부분과 협력하는 밀봉부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제시된 동축 카트리지는 헤드부의 반대편에 배치된 동축 카트리지의 단부에서 각 저장 챔버에 배열된 각각의 피스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동축 카트리지의 제1 및 제2 저장실(storage compartment)은 각각 2-성분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2-성분 재료는 건축 재료, 실런트(sealant), 접착 재료(bond material), 접착제(adhesive), 페인트, 코팅, 및 보호 코팅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본 명세서에서 제시된 동축 카트지리는 제품 생산뿐만 아니라 기존 제품의 수리 및 유지보수를 위한 산업 부문, 예로서 건축 산업, 자동차 산업, 항공우주 산업, 에너지 부문, 예로서 풍력 터빈 등에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제시된 동축 카트리지는 의료, 치과 또는 수의학 분야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동축 카트리지,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은 동축 카트리지를 조립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 방법은:
- 외부 튜브의 헤드부에 형성된 출구의 부분을 갖는 외부 튜브를 제공하는 단계,
- 내부 튜브를 상기 외부 튜브 내로 삽입하는 단계 - 상기 내부 튜브는 상기 출구의 나머지 부분을 포함하고 -,
- 두 개의 저장실을 갖는 동축 카트리지를 형성하기 위해, 헤드부의 두 개의 연결 지점에서 상기 내부 튜브를 상기 외부 튜브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1 연결 지점은 상기 출구에 형성되고, 선택적으로 제2 연결 지점은 내부 튜브와 외부 튜브의 접하는 면 사이에 형성된다.
동축 카트리지와 관련하여 전술한 이점은 조립 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본 명세서에 제시된 방법에 대해서도 유효하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는 다음의 도면의 설명에서 설명된다. 본 발명은 이하 실시예 및 다음의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a는 개방되고 비어있는 동축 카트리지의 측면도이다;
도 1b는 단면 라인 A-A에 따른 도 1a의 동축 카트리지의 단면도이다;
도 1c는 도 1b의 B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2a는 캡이 설치되어 보관된(filed) 동축 카트리지의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2b는 단면 라인 B-B를 따른 도 2a의 동축 카트리지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동일하거나 동등한 기능을 갖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가 사용될 것이다. 구성 요소의 방향과 관련된 설명은 도면에 표시된 위치에 따르며 실제 적용 위치에 따라 자연스럽게 달라질 수 있다.
도 1a는 개방되고 비어있는 동축 카트리지(10)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동축 카트리지(10)는 출구(14)를 갖는 헤드부(12)를 포함한다. 출구(14)는 출구(14)에 부착될 수 있는 캡(16)(도 2a 참조)에 의하여 제 위치에 유지되는 플런저(98)로 밀봉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캡(16)은 나사 연결(threaded connection)(18)에 의해 출구(14)에 부착될 수 있고, 이에 대한 외부 나사산(external thread)(18')이 도 1a에 도시되어 있다. 캡(16)을 동축 카트리지(10)의 출구(14)에 부착하기 위해, 베이어닛 유형(bayonet type)의 연결, 플러그 및 회전 유형의 연결 등의 연결과 같은 다른 형태의 연결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출구(14)의 분리벽(20)은 일반적으로 동축 카트리지(10)의 길이방향 축(A)에 평행하게 출구(14)로부터 돌출된다.
동축 카트리지(10)의 길이방향 축(A)은 동축 카트리지(10)의 공통 축과 일치하고 헤드부(12)에서 출구(14)의 반대편에 배치된 피스톤 단부(22)까지 연장된다. 출구(14)는 길이방향 축(A)에 대해 편심으로 배열된다.
카트리지(10)는 헤드부(12)에서 피스톤 단부(22)까지 연장되는 카트리지 벽(24)을 더 포함한다. 카트리지 벽(24)은 외부 튜브(26)에 의해 형성된다.
도 1b는 단면 라인 A-A에 따른 도 1a의 동축 카트리지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동축 카트리지(10)는 제1 성분(M)(도 2b 참조)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제1 저장실을 형성하는 내부 공간(30)을 갖는 내부 튜브(28)를 더 포함한다. 내부 튜브(28)는 길이 방향 축(A)으로 외부 튜브(26) 내에 배열되고, 길이방향 축(A)은 내부 튜브(28)와 외부 튜브(26) 모두에 공통된다.
외부 튜브(26)와 내부 튜브(28)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32)은 제2 성분(M')(도 2b 참조)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제2 저장실을 형성한다.
내부 튜브(28)는 헤드부(12)에 각각 존재하는 제1 및 제2 연결 지점(34, 36)에서 외부 튜브(26)와 연결된다. 제1 및 제2 연결 지점(34, 36)은 헤드부(12)에서 상이한 위치(34', 36')에 배치된다. 상이한 위치(34', 36')는 길이 방향 축(A)으로부터 서로 다른 거리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연결 지점(34, 36) 모두 길이 방향 축(A)에 대해 편심 배치된다.
제1 및 제2 연결 지점(34, 36)은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이한 유형의 연결로 형성된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것은 적어도 제1 유형의 연결(34)의 형상과 제2 유형의 연결(36)의 형상이 다르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른 형상을 갖는 것 이외에도 제1 및 제2 유형의 연결(34, 36)의 구성요소가 서로 맞물리는 방식 또한 다를 수 있다.
제1 및 제2 피스톤(38, 40)은 피스톤 단부(22)에서 공간(30, 32)에 배치된다. 제1 피스톤(38)은 내부 튜브(28) 내에 배치되고 동축 카트리지(10)로부터 재료(M)를 분배하도록 구성된다. 제2 피스톤(40)은 내부 튜브(28)와 외부 튜브 (26) 사이에 형성된 공간(32) 내에 배치되고 동축 카트리지(10)로부터 재료(M')를 분배하도록 구성된다. 제2 피스톤(40)은 중심에 구멍(40')을 갖는 링 형상의 피스톤이다.
제1 및 제2 피스톤(38, 40)은 피스톤 단부(22) 및 출구(14) 사이의 길이방향 축(A)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출구(14)를 통해 동축 카트리지(10)를 전면 충전하는 경우, 제1 및 제2 피스톤(38, 40)은 주사기를 채우는 동작과 같이, 길이 방향 축(A)을 따라, 직접 헤드부(12)에 인접하도록 이동되고 이후 피스톤 단부(22)를 향해 이동한다.
재료(M, M')를 분배하는 경우 피스톤은 피스톤 단부(22)로부터 헤드부(12)를 향해 길이방향 축(A)을 따라 반대 방향으로 이동된다. 셔틀(shuttle)(미도시) 등(도 2b와 관련하여 설명되는 박리 기구(peeler device)(110)와 같은)을 통해 제1 및 제2 피스톤(38, 40)과 협력하는 디스펜싱 장치(미도시)의 플런저는 이러한 목적으로 피스톤 단부(22)로부터 동축 카트리지(10) 내로 삽입된다.
도 1c는 도 1b의 B, 보다 구체적으로 헤드부(12)의 확대 단면도를 도시한다. 제1 연결 지점(34)은 출구(14)에 형성되고, 출구(14)와 제1 연결 지점(34)은 길이 방향 축(A)으로부터 제2 연결 지점(36)과 길이방향 축(A) 사이의 거리 D1보다 더 먼 거리 D2에 제공된다.
이와 관련하여 거리 D1은 제2 연결 지점의 임의의 부분과 길이방향 축(A) 사이에서 최단 거리임을 유의하여야 한다.
거리 D2는 예를 들어 외부 튜브(26)의 내부 반경의 0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5%의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 외부 튜브(26)의 내부 반경의 20%에 해당한다.
이와 관련하여, 거리 D2는 거리 D1보다 5% 내지100% 더 크게 선택될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거리 D1은 예를 들어 외부 튜브(26)의 내부 반경의 0 내지 45%,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5%의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 외부 튜브(26)의 내부 반경의 30%에 해당한다.
제1 연결 지점(34)은 외부 튜브(26)의 부분(46)으로 돌출하는 내부 튜브(28)의 부분(44)에 제공되는 반경 방향 외측 돌출 환형 립(annular lip)(42)을 포함하고, 반경 방향 외측 돌출 립(42)은 출구(14)에서 내부 튜브(28)가 돌출해서 들어가는 외부 튜브(26)의 부분(46)에 형성된 환형의 계단부(annular steplike portion)(48)와 맞물린다.
더 상세하게는, 제1 연결 지점(34)은 내부 튜브(28)와 외부 튜브(26) 사이에 출구에서 존재하는 스냅핏(snap fit) 연결(50)에 의해 형성되고, 스냅핏 연결(50)은 환형 계단부(48)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반경 방향 외측 돌출 환형 립(42)에 의해 형성된다.
내부 튜브(28)는 출구(14)의 부분을 형성하는 상기 부분(44)으로서 원통형 출구부(44')를 포함한다. 원통형 출구부(44')는 외부 튜브(26)에 제공된 원통형 출구부(46')로 삽입된다. 원통형 출구부(46')는 출구(14)의 상기 다른 부분(46)을 형성한다.
원통형 출구부(44')는 원통형 출구부(46')의 오목 형상의 내부 표면(46'')과 협력하는 볼록 형상의 외부 표면(44'')을 포함한다.
이와 관련하여 오목 형상의 내부 표면(46'')과 볼록 형상의 외부 표면(44')은 길이방향 축(A)에 평행하게 또는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출구(14)는 나란히 있는(side by side) 출구(14)이고, 공간(30, 32)을 향하는 출구(14)의 단부(52)는 각각 제1 및 제2 입구 개구(54, 54')를 갖는다. 단부(52)의 반대편의 단부(56)에서 출구(14)는 제1 및 제2 출구(14', 14'')의 제1 및 제2 출구 개구(58, 58')를 갖는다.
입구 개구(54)는 유체 전도 방식(fluid conducting manner)으로 재료(M)만을 공간(30)으로부터 제1 통로(60)를 통해 출구(14) 밖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출구 개구(58)와 연결된다.
입구 개구(54')는 유체 전도 방식으로 재료(M')만을 공간(32)으로부터 제2 통로(60')를 통해 출구(14) 밖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출구 개구(58')와 연결된다.
제1 출구 개구(58)의 면적은 제2 출구 개구(58')의 면적과 다르다. 실제로, 제1 출구 개구(58)의 면적은 제2 출구 개구(58')의 면적의 80 내지 120%의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내부 튜브(28)의 원통형 출구부(44')는 공간(30)에 의해 형성된 제1 저장실로부터 출구(14)의 제1 출구 개구(58)로 연결되는 제1 통로(60)와 공간(32)에 의해 형성된 제2 저장실로부터 출구(14)의 제2 출구 개구(58')로 연결되는 제2 통로(60')를 모두 포함하고, 제1 및 제2 통로(60, 60')는 분리벽(20)에 의해 서로 분리되는 것임을 유의하여야 한다. 분리벽(20)은 각 공간(30, 32)에 저장된 재료(M, M')가 서로만 접촉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내부 튜브(28)의 외벽(28')으로부터 연장되고 이와 일체로 형성된다.
이와 관련하여 내부 튜브(28)의 외벽(28')은 헤드부(12)로부터 피스톤 단부(22)로 연장되는 원통형 외벽(28')임을 유의하여야 한다.
각 출구 개구(58, 58')의 면적은 그와 관련된 각 입구 개구(54, 54')의 면적보다 크다. 이와 관련하여, 각 출구 개구(58, 58')의 면적은 각 입구 개구(54, 54')의 면적의 110 내지 150%, 특히 120 내지 135%의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제1 및 제2 출구(14', 14'')는 제1 및 제2 통로(60, 60')의 둘레에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내부 밀봉 표면(62, 62')을 포함한다. 내부 밀봉 표면(62, 62')은 각 제1 및 제2 통로(60, 60')의 부분(64, 64')에 배열되고, 부분(64, 64')은 각 입구 개구(54, 54')와 각 출구 개구(58, 58') 사이에 배열되며, 원뿔대 형상을 가지고 원뿔대의 넓은 부분이 원뿔대의 더 좁은 부분보다 각 출구 개구(58, 58')에 더 가깝게 배치된다.
내부 밀봉 표면(62, 62'), 각 부분(64, 64')은, 내부 튜브(28)의 내부 단면(66)과 내부 밀봉 표면(62, 62')의 시작(start) 사이의 거리로 측정된 축방향 높이(A1) 위에 축방향 높이(A2)에 걸쳐 연장되게 배열된다.
각 부분(64, 64')의 내부 밀봉 표면(62, 62')의 단부는 제1 및 제2 출구(14', 14'')의 출구 개구(58, 58')로부터 축방향 높이(A3)만큼 이격되며, 내부 튜브(28)의 원통형의 출구부(44')의 높이는 축방향 높이 A1 + A2 + A3의 합이다.
이와 관련하여, A1은 일반적으로 내부 튜브(28)의 내부 단면(66)과 출구 개구(58, 58') 사이에 측정된 원통형 출구부(44')의 높이의 30 내지 45%의 범위, 특히 35 내지 42%의 범위에서 선택된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A2는 일반적으로 내부 튜브(28)의 내부 단면(66)과 출구 개구(58, 58') 사이에 측정된 원통형 출구부(44')의 높이의 5 내지 15%의 범위, 특히 6 내지 10%의 범위에서 선택된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A3는 일반적으로 내부 튜브(28)의 내부 단면(66)과 출구 개구(58, 58') 사이에 측정된 원통형 출구부(44')의 높이의 40 내지 65%의 범위, 특히 50 내지 60%의 범위에서 선택된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지지 리브(supporting rib)(68)는 외부 튜브(26)의 원통형 출구부(46')와 내부 튜브(28)의 원통형 출구부(44') 사이에 배열된다. 도 1c에 도시된 지지 리브(68)는 내부 튜브(28)의 원통형 출구부(44')에 형성되나, 마찬가지로 외부 튜브(26)의 원통형 출구부(46')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시된 도면에서 지지 리브(68)는 내부 튜브(28)의 내부 단면(66)과 출구 개구(58, 58') 사이의 내부 밀봉 표면(62, 62')의 축방향 높이에 바로 근접한 축방향 높이로 배열된다.
이와 관련하여 지지 리브(68)는 내부 튜브(28)의 내부 단면(66)과 출구 개구(58, 58') 사이의 내부 밀봉 표면(62, 62')으로부터 오프셋(offset) 배열되거나 심지어 이격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센터링 리브(centering rib)(68')는 출구 개구(58, 58')와 입구 개구(54. 54') 사이, 보다 구체적으로는 지지 리브(68)와 출구 개구(58, 58') 사이, 선택적으로 내부 튜브(28)의 볼록 형상의 외부 표면(44'')상에 배열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센터링 리브(68')의 기능은, 제공되는 경우, 길이방향 축(A)에 대한 내부 튜브(28)와 외부 튜브(26)의 동축 배열을 추가로 보장하기 위해 외부 튜브(26)의 원통형 출구부(46')에 대해 내부 튜브(28)의 원통형 출구부(44')를 축방향으로 정렬하는 것이다.
두개의 환형 밀봉 립(annular sealing lip)(70, 70')은 내부 튜브(28)의 원통형 출구부(44')와 외부 튜브(26)의 원통형 출구부(46') 사이에 밀봉 부재(72, 72')로 제공된다. 도 1c에 도시된 밀봉 립(70, 70')은 외부 튜브(26)의 원통형 출구부(46')에 형성되지만, 마찬가지로 내부 튜브(28)의 원통형 출구부(44')에 형성될 수 있다.
밀봉 립(70, 70')은 재료(M, M')가 외부 튜브(26)의 원통형 출구부(46')와 내부 튜브(28)의 원통형 출구부(44') 사이에서 누출되는 것을 막기 위해, 내부 튜브(28)의 내부 단면(66)과 지지 리브(68) 사이의 축 방향 높이로 배열된다.
밀봉 부재(72, 72')는 제2 저장실을 형성하는 공간(32)에 저장된 다성분 재료(M')가 내부 튜브(28)의 원통형 출구부(44')와 외부 튜브(26)의 원통형 출구부(46') 사이에서 동축 카트리지(10)를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공된다.
도 1c는 제2 연결 지점(36)이 헤드부(12)에서 내부 튜브(28)의 외부 표면(76)과 접하는 외부 튜브(26)의 내부 표면(74)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추가로 보여준다. 외부 표면(76)은 내부 튜브(28)의 내부 단면에 대향하여 배치된다.
밀봉부(78)는 헤드부(12)에서 내부 튜브(28)와 외부 튜브(26) 사이에 형성된다. 밀봉부(78)는 제2 연결 지점(36)을 둘러싸고 외부 튜브(26)의 내부 표면(74)과 내부 튜브(28)의 외부 표면(76) 사이에 형성된다.
제2 연결 지점(36)은 내부 튜브(28)에 제공된 플러그 요소(plug element)(80)에 의해 형성되고, 플러그 요소는 외부 튜브(26)에 카운터(counter) 플러그 요소로서 플러그 수용 요소(plug receiving element)(82)와 협력한다. 플러그 수용 요소(82)는 상기 플러그 요소(80)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도시된 예에서 플러그 수용 요소(82)는 압입에 의해 상기 플러그 요소(80)를 수용한다.
플러그 요소(80)는 칼라(collar)(88)를 갖는 플러그부(86)를 가지고, 칼라(88)는 플러그 요소(80)의 단부(90)에 배열된 플러그부(86)보다 넓은 직경을 갖는다. 플러그 수용 요소(82)의 베이스(82')와 플러그 요소(80)의 단부(90) 사이에 공간(84)이 존재할 수 있다.
플러그 요소(80)를 플러그 수용 요소(82)와 연결하는 경우, 칼라(collar)(88)가 플러그 수용 요소(82) 내에 형성된 링형상의 리세스(92)와 맞물리고, 이에 따라 플러그 수용 요소(82)에 압입에 의해 수용된다.
도 2a는 출구(14)에 설치된 캡(16)을 갖는 보관된(filed) 동축 카트리지(10)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캡(16)은 출구(14)의 칼라(collar)(100)에 존재하는 외부 나사산(18')에 나사 고정된다(screwed). 칼라(100)는 외부 튜브(26)의 전방 단부(102)로부터 돌출된다.
도 2b는 단면 라인 B-B에 따른 도 2a의 동축 카트리지(10)의 단면도이다. 동축 카트리지(10)는 다성분 재료(M, M')로 채워진다. 다성분 재료(M, M')가 원하는 미리 정해진 기간 동안 저장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플런저(98)가 출구(14)의 제1 및 제2 통로(60, 60')로 삽입되고 캡(16)에 의해 출구(14)에 유지된다. 캡(16)은 출구(14)의 칼라(100)에 존재하는 외부 나사산(18')에 나사 고정됨에 의하여 출구(14)에 유지된다. 이러한 목적으로 캡(16)은 내부 나사산(18'')을 갖는다.
플런저(98)는 제1 및 제2 플런저(98', 98'')를 포함하고, 이는 각각 제1 및 제2 통로(60, 60')에 삽입되고 내부 밀봉 표면(62, 62')에 인접하여(abut) 그것들 사이에 밀봉이 존재하는 것을 보장하고 재료(M, M')가 원하는 미리 정해진 기간 동안 저장될 수 있도록 한다.
지지 리브(68)는 내부 밀봉 표면(62, 62')을 지지하도록 제공되어, 제1 및 제2 플런저(98', 98'')가 제1 및 제2 통로(60, 60')에 삽입되는 경우 내부 밀봉 표면(62, 62')이 제자리에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내부 밀봉 표면(62, 62')과 제1 및 제2 플런저(98', 98'') 사이의 밀봉 접촉을 보장한다.
다른 유형의 캡이 통상의 기술자에게 잘 알려져 있고 이 또한 물론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동축 카트리지(10)에 저장된 다성분 재료(M, M')의 원하는 미리 정해진 저장 수명을 더욱 보장하기 위해, 필름 밀봉(film seal)이 출구 개구(58, 58')의 영역에 존재할 수 있다.
또한 도 1c 및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튜브(28)의 내부 단면(66)과 외부 튜브(26)의 내부 표면(74)은 돌출부(94, 96, 96')를 포함하고, 이는 제1 및 제2 저장실을 형성하는 공간(30, 32)으로 돌출된다.
돌출부(94, 96, 96')는 제1 및 제2 피스톤(38, 40)에 존재하는 홈(104, 106, 106')과 협력한다. 제1 피스톤(38)은 돌출부(94)와 협력하는 홈(104)을 갖고, 제2 피스톤(40)은 돌출부(96, 96')와 협력하는 홈(106, 106')을 갖는다.
돌출부(94, 96, 96')는 원주 방향으로 배열되고 동축 카트리지(10)의 길이방향 축(A)를 따라 헤드부(12)로부터 멀어지는 면을 향한다. 돌출부(94, 96, 96')는 피스톤(38, 50)의 홈(104, 106, 106')에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실질적으로 내부 단면(66)과 제1 피스톤(38)의 이송 측면(conveying side)(38) 사이 그리고 내부 표면(74)과 제2 피스톤(40)의 이송 측면(40'') 사이의 공기가 갇히지 않도록 한다.
한편으로는, 이러한 돌출부(94, 96, 96')가 존재함에 따라 전면 충전시 카트리지 내에 원하는 미리 정해진 저장 수명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잔류 공기가 갇히지 않고, 일단 동축 카트리지(10)가 비워진 경우, 즉 다성분 재료(M, M')가 동축 카트리지로부터 분배된 경우, 가능한 한 적은 폐기물 재료가 동축 카트리지에 남는다.
공지된 방식 그 자체로 제1 및 제2 피스톤(38, 40)은 이의 내부 및 외부 표면에 배열되어 각 피스톤(38, 40)과 내부 및 외부 튜브(28, 26) 사이를 밀봉하는 밀봉 요소(108)를 갖는다.
또한 도 2b에는 각 이송 측면(38', 40'')에 대향되게 배치된, 제1 및 제2 피스톤(38, 40)의 측면(112)에 결합된 박리 기구(110)가 도시되어 있다.
분배 장치(dispensing device)(미도시)에서 동축 카트리지(10)를 사용하는 경우, 캡(16)과 플런저(98)는 일반적으로 제거되고 혼합 팁(mixing tip)(미도시)이 외부 나사산(18')을 통해 출구(14)의 그 자리에 부착된다.
외부 나사산(18')과 출구 개구(58, 58') 사이에 존재하는 출구(14)의 외부 표면(14''')은, 출구(14)와 혼합 팁 사이를 밀봉하는 데 적합한 밀봉 표면으로 구성되어, 다성분 재료(M, M')을 위한 배리어(barrier)를 형성하고, 재료가 외부 나사산(18')이 아닌 혼합 팁(미도시)의 출구를 통해 빠져나가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슬릿(slit)(미도시)이 외부 표면(14''')에 제공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슬릿은 외부 튜브(26)의 부분(46)을 통해 연장된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 슬릿이 제공되는 경우, 내부 튜브(28)의 부분(44)를 부분(46)으로 도입하는 방법을 더 용이하게 하고, 이는 환형 립(42)이 슬릿을 포함하는 경우 슬릿이 제공되지 않은 경우보다 부분(46)으로부터 더 쉽게 들어올릴 수 있기 때문이다.
단일 성분 분배 장치의 플런저(둘다 도시되지 않음)를 피스톤 단부(22)로 삽입하는 경우, 플런저는 제1 및 제2 피스톤(38, 40)의 측면(112)을 차례로 가압하는 박리 기구(110)를 가압한다. 단일 성분 분배 장치는 일반적으로 하나의 플런저를 가지기 때문에 제2 피스톤(40)은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않을 것이고, 벽(28') 또한 헤드부(12)를 향하는 길이 방향 축(A)을 따라 플런저의 이동을 방해할 것이다.
제2 피스톤(20)이 작동되도록 하기 위해 박리 기구(110)는 또한 제2 피스톤(40)과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외벽(28')은 임의의 지점에서 불가피하게 박리 기구(110)와 접촉할 것이기 때문에, 박리 기구(110)는 안에 갭(gap)(미도시)과 복수의 절단 블레이드(cutting blade)(미도시)을 갖는다.
절단 블레이드는 외벽(28')을 길이 방향으로 스트립으로(into strips) 절단하도록 구성된다. 그 후, 외벽(28')의 절단 스트립(cut strip)은 갭을 통해 외측 방향으로 경사진 벽(114)으로 가이드되고, 이에 의해 외벽(28')의 스트립은 반경 방향 외측으로 편향된다. 제1 및 제2 피스톤(38, 40)과 협력하는 박리 기구의 기능 및 외벽(28')의 절단 및 박리는 그 자체로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동축 카트리지를 조립하는 방법은 이하에서 설명된다.
첫번째 단계에서 외부 튜브(26)의 헤드부(12)에 형성된 출구(14)의 부분(46)을 갖는 외부 튜브가 제공된다. 외부 튜브(26)는 예를 들어 사출 성형 공정(injection molding process)으로 생산된다.
다음 단계에서 내부 튜브(28)는 외부 튜브(26) 내로 삽입되고, 내부 튜브(28)는 상기 출구(14)의 나머지 부분을 포함한다. 내부 튜브(28)는 예로서 사출 성형 공정으로 생산된다. 이와 관련하여 내부 및 외부 튜브(28, 26)는 경우에 따라서 동일한 재료로 만들어지거나 다른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내부 및 외부 튜브(28, 26)의 재료는 일반적으로 내부에 저장되는 재료(M, M')에 따라 선택된다.
이어서, 내부 튜브(28)는 두 개의 저장실을 갖는 동축 카트리지를 형성하기 위해 헤드부(12)에 존재하는 두개의 연결 지점(34, 36)에서 상기 외부 튜브(26)에 연결된다. 제1 연결 지점(34)은 출구(14)에 존재하는 스냅핏 연결(50)에 의해 형성되고, 제2 연결 지점(36)은 내부 및 외부 튜브(28, 26)의 인접 단부 표면(abutting end surface)에 존재한다.
카트리지 벽(24)의 벽 두께, 즉 외부 튜브(26)의 벽 두께는 일반적으로 1.5 내지 2.2 mm의 범위, 특히 1.6 내지 2 mm의 범위에서 선택된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내부 튜브(28)의 벽 두께는 일반적으로 0.5 내지 1.5 mm의 범위, 특히 0.7 내지 1.2 mm의 범위에서 선택된다는 점 또한 유의하여야 한다.
10 동축 카트리지
12 헤드부(head part)
14, 14', 14'', 14''' 출구(outlet), 제1 출구, 제2 출구, 외부 표면(outer surface)
16 캡(cap)
18, 18', 18'' 나사 연결(threaded connection), 외부 나사산(external thread), 내부 나사산(internal thread)
20 분리벽(dividing wall)
22 피스톤 단부(piston end)
24 카트리지 벽
26 외부 튜브(outer tube)
28, 28' 내부 튜브(innter tube), 28의 외벽
30 공간
32 공간
34, 34' 제1 연결 지점, 34의 위치
36, 36' 제2 연결 지점, 36의 위치
38, 38' 제1 피스톤, 38의 이송면(conveying side)
40, 40', 40'' 제2 피스톤, 구멍(aperture), 40의 이송면
42 환형 립(annlar lip)
44, 44', 44'' 부분(part), 28의 원통형 출구부, 볼록 형상(convexly shaped) 외부 표면
46, 46', 46'' 부분, 26의 원통형 출구부, 오목 형상(concavely shaped) 내부 표면
48 계단부(step-like portion)
50 스냅핏 연결(snap-fit connection)
52 단부(end)
54, 54' 44'의 제1 입구 개구(inlet opening), 44'의 제2 입구 개구
56 단부(52)의 반대편의 단부
58, 58' 44'의 제1 출구 개구(outlet opening), 44'의 제2 출구 개구
60, 60' 44'의 제1 통로(passage), 44'의 제2 통로
62, 62' 내부 밀봉 표면(inner sealing surface)
64, 64' 60의 부분, 60'의 부분
66 28의 내부 단면(inner end face)
68, 68' 지지 리브(supporing rib), 센터링 리브(centering rib)
70, 70' 밀봉 립(sealing lip), 밀봉 립
72, 72' 밀봉 부재(sealing member), 밀봉 부재
74 26의 내부 표면
76 28의 외부 표면
78 밀봉부(seal)
80 플러그 요소(plug element)
82, 82' 플러그 수용 요소(plug receiving element), 82의 베이스
84 공간
86 플러그부(plug part)
88 칼라(collar)
90 80의 단부(end)
92 링형상의 리세스(ring-like recess)
94 66으로부터의 돌출부(projection)
96, 96' 74로부터의 돌출부, 74로부터의 돌출부
98, 98', 98'' 플런저(plunger), 제1 플런저, 제2 플런저
100 칼라
102 전방 단부(front end)
104 홈(groove)
106, 106' 홈, 홈
108 38, 40의 밀봉 요소(sealing element)
110 박리 기구(peeler device)
112 38', 40''의 반대편에 배치된 38, 40의 면(side)
114 경사진 벽(inclined wall)
A 길이방향 축(Longitudinal axis)
M, M' 재료(material), 재료

Claims (15)

  1. 다성분 재료(multi-component materials)(M, M')용 동축 카트리지(coaxial cartridge)(10)로서,
    -출구(outlet)(14)를 갖는 헤드부(head part)(12),
    -내부에 공간(30)을 갖는 내부 튜브(28) - 상기 공간(30)은 제1 성분(component)(M)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제1 저장실(storage compartment)을 형성하고, 상기 내부 튜브(28)의 부분(44)은 상기 출구(14)의 부분을 형성함 -, 및
    - 외부 튜브(26)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 튜브(28)는 동축 카트리지(10)의 길이 방향 축(A)으로 상기 외부 튜브(26) 내에 배열되고, 상기 길이 방향 축(A)은 내부 튜브(28)와 외부 튜브(26) 모두에 공통되며; 상기 외부 튜브(26)와 상기 내부 튜브(28) 사이에 형성된 공간(32)은 제2 성분(M')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제2 저장실을 형성하고, 상기 외부 튜브(26)의 부분(46)은 상기 출구(14)의 다른 부분을 형성하며, 상기 내부 튜브(28)는 상기 헤드부(12)에 각각 존재하는 제1 및 제2 연결 지점(34, 36)에서 상기 외부 튜브(26)와 연결되고, 상기 제1 및 제2 연결 지점(34, 36)은 상기 헤드부(12)의 상이한 위치(34', 36')에 배열되며, 상기 상이한 위치(34', 36')는 길이방향 축(A)으로부터 상이한 거리로 이격되어 배열되고, 상기 제1 연결 지점(34)은 출구(14)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연결 지점(36)은 상기 외부 튜브(26)에 제공된, 플러그 수용 요소(plug receiving element)(82)와 협력하는, 내부 튜브(28)에 제공된 플러그 요소(80)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2 연결 지점(36)은 상기 헤드부(12)에서 상기 내부 튜브(28)의 외부 표면(76)에 접하는 상기 외부 튜브(26)의 내부 표면(74) 사이에 형성되고,
    밀봉부(78)는 상기 헤드부(12)에서 상기 내부 튜브(28)와 상기 외부 튜브(26)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밀봉부(78)는 상기 제2 연결 지점(36)을 둘러싸는,
    동축 카트리지(10).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연결 지점(34, 36)은 서로 다른 유형의 연결에 의해 형성되는, 동축 카트리지(10).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14)와 상기 제1 연결 지점(34)은 상기 제2 연결 지점(36)보다 상기 길이방향 축(A)으로부터 더 멀리 떨어져 제공되고; 상기 제1 연결 지점(34)은 상기 길이방향 축(A)에 대해 편심 배열되는(eccentrically arranged), 동축 카트리지(10).
  4.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지점(34)은 상기 외부 튜브(26)의 상기 부분(46)으로 돌출하는 상기 내부 튜브(28)의 상기 부분(44)에 제공되는 반경 방향 외측 돌출 립(lip)(42)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반경 방향 외측 돌출 립(42)은 상기 내부 튜브(28)가 돌출하는 상기 외부 튜브(26)의 상기 부분(46)에 형성되는 계단부(step-like portion)(48)와 맞물리는, 동축 카트리지(10).
  5.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지점(34)은 상기 내부 튜브(28)와 상기 외부 튜브(26) 사이의 출구(14)에 존재하는 스냅핏 연결(snap fit connection)(50)에 의해 형성되는, 동축 카트리지(10).
  6. 제1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 지점(36)은 상기 제1 연결 지점(34)보다 상기 길이방향 축(A)으로부터 더 짧은 거리에 형성되는, 동축 카트리지(10).
  7.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78)는 상기 내부 튜브(28)의 상기 외부 표면(76)과 접하는(abut) 상기 외부 튜브(26)의 상기 내부 표면(74) 사이에 형성되는, 동축 카트리지(10).
  8.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수용 요소(82)는 상기 플러그 요소(80)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플러그 요소(80)는 상기 플러그 수용 요소(82)로 압입되는, 동축 카트리지(10).
  9.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튜브(28)는, 상기 출구(14)의 상기 다른 부분(46)을 형성하는 상기 외부 튜브(26)에 제공된 원통형 출구부(46')로 삽입되는 상기 출구(14)의 부분을 형성하는 상기 부분(44)으로서 원통형 출구부(44')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튜브(26)의 상기 부분으로 돌출하는 상기 내부 튜브(28)의 상기 부분은 상기 원통형 출구부(44')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내부 튜브(28)가 돌출해서 들어가는 상기 외부 튜브(26)의 상기 부분(46)은 외부 튜브(26)에 제공된 원통형 출구부(46')에 의해 형성되며, 하나 이상의 밀봉 수단 또는 밀봉 부재(72, 72')가 상기 내부 튜브(28)의 상기 원통형 출구부와 상기 외부 튜브(26)의 상기 원통형 출구부 사이에 제공되는, 동축 카트리지(10).
  10.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14)는 제1 및 제2 출구 개구(58, 58')를 갖는 제1 및 제2 출구(14', 14'')를 포함하는 나란히 있는(side by side) 출구이고, 상기 제1 출구 개구(58)의 면적은 상기 제2 출구 개구(58')의 면적과 상이한, 동축 카트리지(10).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출구(14', 14'')는 내부 밀봉 표면(62, 62')을 포함하고, 지지 리브(68)가 상기 외부 튜브(26)의 원통형 출구부(44')와 상기 내부 튜브(28)의 원통형 출구부(46') 사이에 제공되며, 상기 지지 리브(68)는 상기 내부 밀봉 표면(62, 62')과 동일한 축방향 높이로 제공되거나 또는 상기 내부 밀봉 표면(62, 62')으로부터 오프셋(offset)되거나 또는 상기 지지 리브(68)의 축방향 높이와 상기 출구(14)의 통로(60, 60')의 각 입구 개구(54, 54')와의 사이에 제공되고, 상기 지지 리브(68)는 상기 내부 밀봉 표면(62, 62')의 상기 축방향 높이에 바로 근접하게 배열되는, 동축 카트리지(10).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튜브(28)의 상기 원통형 출구부(44')는 상기 제1 저장실로부터 상기 출구(14)의 상기 제1 출구 개구(58)로 연결되는 제1 통로(60) 및 상기 제2 저장실로부터 상기 출구(14)의 상기 제2 출구 개구(58')로 연결되는 제2 통로(60')를 포함하는, 동축 카트리지(10).
  13.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튜브(28)와 상기 외부 튜브(26)는 상기 헤드부(12)에 형성된 각 단면으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저장실로 돌출하는 돌출부(94, 96, 96')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12)의 반대편에 배치된, 상기 동축 카트리지(10)의 단부(22)에서 각 저장 챔버 내에 배열된 제1 및 제2 피스톤(38, 4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저장실은 각각 2-성분 재료(M, M')를 포함하는, 동축 카트리지(10).
  14.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동축 카트리지(10)의 조립 방법으로서,
    -외부 튜브(26)의 헤드부(120)에 형성된 출구(14)의 부분을 갖는 상기 외부 튜브(26)를 제공하는 단계,
    -내부 튜브(28)를 상기 외부 튜브(26) 내로 삽입하는 단계 - 상기 내부 튜브(28)는 상기 출구(14)의 나머지 부분을 포함함 -,
    - 두 개의 저장실을 갖는 상기 동축 카트리지(10)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내부 튜브(28)를 상기 헤드부(12)의 두 개의 연결 지점(34, 36)에서 상기 외부 튜브(26)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1 연결 지점(34)은 상기 출구(14)에 형성되고, 제2 연결 지점(36)은 상기 내부 튜브(28)와 상기 외부 튜브(26)의 접하는 면 사이에 형성되는, 방법.
  15. 삭제
KR1020217024576A 2019-01-03 2019-12-05 다성분 재료용 동축 카트리지 및 동축 카트리지 조립 방법 KR1026647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9150167.5A EP3677345A1 (en) 2019-01-03 2019-01-03 Coaxial cartridge for multi-component materials and method of assembling a coaxial cartridge
EP19150167.5 2019-01-03
PCT/EP2019/083826 WO2020141038A1 (en) 2019-01-03 2019-12-05 Coaxial cartridge for multi-component materials and method of assembling a coaxial cartrid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0867A KR20210110867A (ko) 2021-09-09
KR102664700B1 true KR102664700B1 (ko) 2024-05-17

Family

I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76365A (en) 1993-03-23 1994-09-28 Eugen Prestele Multi-chambered cartridge
DE20318444U1 (de) 2003-11-28 2004-03-25 Ritter Gmbh Zweiteilige Koaxialkartusche für plastische Massen
US20170253411A1 (en) 2014-09-01 2017-09-07 Illinois Tool Works Inc. Cartridge
US10144572B2 (en) 2017-02-02 2018-12-04 Nordson Corporation Dual fluid cartridge assembl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76365A (en) 1993-03-23 1994-09-28 Eugen Prestele Multi-chambered cartridge
DE20318444U1 (de) 2003-11-28 2004-03-25 Ritter Gmbh Zweiteilige Koaxialkartusche für plastische Massen
US20170253411A1 (en) 2014-09-01 2017-09-07 Illinois Tool Works Inc. Cartridge
US10144572B2 (en) 2017-02-02 2018-12-04 Nordson Corporation Dual fluid cartridge assembl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33672B1 (en) Dual fluid cartridge assembly
CN106457173B (zh) 用于多组分材料的注射器、用于激活注射器的方法、混合及分配设备以及多组分筒
US670575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ixing and dispensing components of a composition
KR102628212B1 (ko) 재사용 가능한 카트리지 피스톤
AU2010200458A1 (en) Intermediate piece for the connection of a storage container to a static mixer
JP6097743B2 (ja) 多成分カートリッジ・セット
US20140117046A1 (en) Cartridge,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and multicomponent cartridge
EP3313560B1 (en) Static mixer, method of assembling a static mixer and dispensing apparatus
US11938506B2 (en) Piston, cartridge, dispenser
JP7465270B2 (ja) 多成分材料のための同軸カートリッジ、および、同軸カートリッジを組み立てる方法
KR102664700B1 (ko) 다성분 재료용 동축 카트리지 및 동축 카트리지 조립 방법
WO1991005731A1 (en) Cartridge system for dispensing predetermined ratios of semi-liquid materials
WO2008109130A1 (en) Dual component dispenser
US20120248058A1 (en) Cartridge having a plug
CN113474263B (zh) 用于多组分材料的料筒
US10821470B2 (en) Syringe with piston assembly
CN111542399A (zh) 活塞、料筒以及使料筒排气的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