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4452B1 - 맞춤형 장식장 - Google Patents

맞춤형 장식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4452B1
KR102664452B1 KR1020210174148A KR20210174148A KR102664452B1 KR 102664452 B1 KR102664452 B1 KR 102664452B1 KR 1020210174148 A KR1020210174148 A KR 1020210174148A KR 20210174148 A KR20210174148 A KR 20210174148A KR 102664452 B1 KR102664452 B1 KR 1026644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oration
led
unit
user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4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85710A (ko
Inventor
최승룡
Original Assignee
최승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승룡 filed Critical 최승룡
Priority to KR1020210174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4452B1/ko
Publication of KR20230085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57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4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44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11/00Arrangements in shop windows, shop floors or show cases
    • A47F11/06Means for bringing about special optical effec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20Controlling the colour of the ligh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brightness or colour temperature of ambient ligh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presence or movement of objects or living be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4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electrical parameters of the light sour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맞춤형 장식장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장식장은 장식물이 올려지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의 상측에서 끼워지고 내측에 상기 장식물이 수납되고 상기 장식물의 종류에 따라 곡선형 또는 사각형 형상의 투명 소재로 제작되는 케이스; 주변의 움직임과 실내 조도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받침대의 상측에 구비되는 상기 장식물로 광을 조사하는 LED; 사용자의 스마트기기와 통신되는 통신부; 상기 LED의 점멸 관련 정보, 음악 및 효과음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 상기 음악 및 상기 효과음을 포함하는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출력부;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감지 결과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에 따라 상기 LED의 온/오프, 색상 및 밝기를 조절하고, 상기 음향출력부에 출력되는 상기 음향의 종류 및 재생 시간을 제어하며, 상기 LED 및 상기 음향출력부의 설정을 상기 스마트기기로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 및 상기 케이스는 3D 프린팅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Description

맞춤형 장식장{CUSTOMIZED DECORATIVE CABINET}
본 발명은 맞춤형 장식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식장은 진열하고자 하는 장식물을 선반위에 올려놓고 외부에 유리 등의 투명한 소재를 통해 내부를 볼 수 있게 구성한다.
상점 등에서는 정해진 장식물 규격에 맞는 크기의 장식장을 일괄적으로 제작하지만, 상점이 아닌 개인의 경우에는 소장하고자 하는 장식물의 규격이 개인에 따라 각각 다르며, 개인의 취향 및 개성에 맞는 장식장을 구매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장식장에 진열된 장식물을 돋보이게 하기 위해 조명장치 또는 음향장치를 설치하는 경우, 조명효과나 음향효과가 일정한 방식으로 제공되기 때문에 개인 취향을 만족시키기 어려운 실정이다.
KR 10-0732363 B1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장식장에 진열되는 장식물의 규격과 종류에 따라 장식장의 크기 및 디자인을 선택하고, 조명 및 음향 효과를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는 맞춤형 장식장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장식물이 올려지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의 상측에서 끼워지고 내측에 상기 장식물이 수납되고 상기 장식물의 종류에 따라 곡선형 또는 사각형 형상의 투명 소재로 제작되는 케이스; 주변의 움직임과 실내 조도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받침대의 상측에 구비되는 상기 장식물로 광을 조사하는 LED; 사용자의 스마트기기와 통신되는 통신부; 상기 LED의 점멸 관련 정보, 음악 및 효과음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 상기 음악 및 상기 효과음을 포함하는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출력부;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감지 결과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에 따라 상기 LED의 온/오프, 색상 및 밝기를 조절하고, 상기 음향출력부에 출력되는 상기 음향의 종류 및 재생 시간을 제어하며, 상기 LED 및 상기 음향출력부의 설정을 상기 스마트기기로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 및 상기 케이스는 3D 프린팅에 의해 제작되는 맞춤형 장식장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맞춤형 장식장으로의 상기 사용자의 근접을 감지하고, 상기 사용자의 키를 인식하는 모션센서;및 상기 실내의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센서;를 포함할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LED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색상 및 점멸 주기를 포함하는 패턴으로 발광하고, 밝기가 다단계로 조절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근접한 경우 상기 모션센서를 통해 감지된 사용자의 키에 따라 어른 또는 아이인지를 판단하며, 상기 사용자가 어른인 경우 상기 LED를 온(ON)하고, 상기 장식물의 종류에 따라 지정된 음향 정보를 상기 음향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가 아이인 경우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패턴에 따라 상기 LED를 온(ON) 하여 주의를 환기시키고, 상기 장식물의 종류에 따라 지정된 음향 정보를 상기 음향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도센서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LED의 밝기가 조절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장식장은 진열 장식물의 종류에 따라 크기 및 디자인을 선택하고, 그에 따라 조명효과와 음향효과를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제작함으로써, 다양한 맞춤형 장식장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장식물의 다양성과 소비자 친화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장식장은 센서부를 통해 사용자의 구분에 따라 LED의 발광 패턴을 조절함으로써, 사용자가 장식물의 관찰에 집중하도록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장식장은 센서부를 통해 사용자의 접근 여부에 따라 LED 조명을 온/오프하고 함으로써, 전력 손실을 줄여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장식장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장식장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장식장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장식장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장식장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러한 맞춤형 장식장(100)은 원목으로 제작되는 개인 소장용 물품을 보관할 수 있는 장식장일 수 있다. 여기서 맞춤형 장식장(100)은 전시 장식물(10)의 종류 및 사용자의 접근 여부에 따라 자동으로 조명과 음향출력부의 음향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도 2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맞춤형 장식장(100)은 받침대(110) 및 케이스(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받침대(110) 및 케이스(120)는 3D프린트를 활용해 개인 맞춤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맞춤형 장식장(100)은 사용자가 진열하고자 하는 장식물(10)의 종류에 따라 크기 및 디자인이 선택되고, 그에 따라 조명효과와 음향효과가 맞춤형으로 제작되어 장식물(10)의 다양성과 소비자 친화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장식물(10)이 올려지는 받침대(110) 및 받침대의 상측에서 끼워지고 내측에 장식물(10)이 수납되고 장식물(10)의 종류에 따라 곡선형 또는 사각형 형상의 투명 소재로 제작되는 케이스(120)는 장식장의 일반적인 구성요소로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장식장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장식장(100)은 센서부(130), LED(140), 통신부(150), 음향출력부(160), 제어부(170), 저장부(180) 및 전원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30)는 주변의 움직임과 실내 조도를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부(130)는 모션센서(131) 및 조도센서(132)를 포함할 수 있다.
모션센서(131)는 사용자의 근접여부와 사용자의 키를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모션센서(131)는 전방 2m까지 감지가 가능하여 맞춤형 장식장(100)으로의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모션센서(131)는 사용자의 키를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모션센서(131)는 초음파 센서일 수 있다. 여기서, 초음파센서는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반복하여 전방의 사용자의 유무와 사용자의 키를 감지할 수 있다. 그러나, 모션센서(131)는 초음파센서에 한정되지 않으며, 추가로 다양한 센서를 포함하여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모션센서(131)는 초음파센서 외에 적외선 센서, 라이다(LIDAR) 센서 등 다양한 종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조도센서(132)는 실내의 조도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조도센서(132)에서 측정된 외부조도에 따라 LED(140)의 밝기가 조절될 수 있다.
LED(140)는 맞춤형 장식장(100)에 전시된 장식물(10)을 밝히는 조명장치일 수 있다. 즉, LED(140)는 받침대(110)의 상측에 구비되는 장식물(10)로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일례로, LED(140)의 색상은 주광색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LED(140)는 외부조도에 따라 밝기가 다단계로 조절될 수 있다. 즉, LED(140)의 밝기는 강, 약의 2단계로 조절될 수 있다. LED(140)는 조도센서(132)의 측정 결과에 따라, 주간 시간 대에는 LED(140)의 밝기를 강으로 증가되고, 야간 시간대에는 LED(140)의 밝기가 약으로 감소될 수 있다.
또한, LED(14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색상 및 점멸 주기를 포함하는 패턴으로 발광할 수 있다. 이때, LED(140)는 모션센서(131)의 감지 결과에 따라 아이로 판명되는 경우, 소정 시간 점멸하며 다양한 색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맞춤형 장식장(100)은 사용자의 주의를 환기시키고, 장식물(10)의 심미적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통신부(150)는 맞춤형 장식장(100)과 스마트폰 등과 같은 스마트기기와 블루투스를 통하여 연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통신부(150)는 스마트기기와 통신되어 맞춤형 장식장(100)의 조명과 음향의 설정 값을 변경할 수 있다.
음향출력부(160)는 사용자에게 장식물(10)에 맞는 배경 음악 및 효과음을 포함하는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배경 음악 및 효과음은 후술할 저장부(180)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일례로, 음향출력부(160)는 소형 스피커일 수 있다.
제어부(170)는 맞춤형 장식장(100)의 주요 구성들과 연결되어 이들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70)는 센서부(130), LED(140), 통신부(150), 음향출력부(160) 및 저장부(180)의 동작 및 데이터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센서부(130)로부터 수신된 감지 결과에 따라 LED(140)의 온/오프, 색상 및 밝기를 조절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70)는 센서부(130)의 모션센서(131)에 의해 사용자가 근접했음을 감지하게 되면, 제어부(170)는 LED(140)의 전원을 온(ON)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반대로, 제어부(170)는 모션센서(131)에 의해 사용자가 인접 거리에 감지되지 않으면 LED(140)의 전원을 오프(OFF)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모션센서(131)에 의해 측정된 사용자의 키가 어른인 150cm 이상으로 판단되면, LED(140)의 전원을 온(ON)하고 장식물(10)의 종류에 따라 지정된 음향 정보를 음향출력부(160)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사용자의 키가 아이인 150cm 이하로 판단되면, 저장부(180)에 저장된 패턴에 따라 LED(140)를 온(ON) 하여 주의를 환기시키고, 장식물(10)의 종류에 따라 지정된 음향 정보를 음향출력부(160)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LED(140)가 저장부(180)에 저장된 설정 값에 따라 소정 시간 동안 점멸하며 어느 하나 이상의 색상을 주기적으로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170)는 조도센서(132)의 감지 결과에 따라 LED(140)의 밝기가 조절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센서부(130)의 조도센서(132)에 의해 감지된 실내의 밝기에 따라 주간으로 판단되면, LED(140)의 밝기를 강으로 증가하도록 제어하고, 야간으로 판단되면, LED(140)의 밝기를 약으로 감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통신부(150)를 통하여 맞춤형 장식장(100)의 주요 구성들과 스마트기기가 블루투스를 통하여 연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스마트기기에서 저장부(180)에 저장된 조명과 음향 설정 값을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스마트기기에는 맞춤형 장식장(100)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저장부(180)에 저장된 값에 따라 음향출력부(160)에 출력되는 음향의 종류 및 재생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저장부(180)에 저장된 장식물(10)의 종류에 따라 음향출력부(160)가 배경음악 및 효과음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배경음악 및 효과음의 재생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제어부(170)는 전시되는 장식물(10)의 종류가 악기모형이면, 음향출력부(160)가 저장부(180)에 저장된 해당 악기의 연주 음악을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장식물(10)의 종류가 식물이면, 저장부(180)에 저장된 자연의 소리(파도소리, 새소리 등)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며, 장식물(10)의 종류가 완구 및 모형이면, 저장부(180)에 저장된 해당 완구 및 모형의 주제곡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어부(170)는 통신부(150)를 통하여 스마트기기와 연동하고, LED(140) 및 음향출력부(160)의 설정을 스마트기기로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스마트기기와 연동하여 음향출력부(160)를 블루투스 스피커로 기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저장부(180)는 전시될 장식물(10)의 종류 관련 정보, LED(140) 점멸 관련 정보, 음악 및 효과음에 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80)는 센서부(130)에서 감지된 사용자 관련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일례로, 저장부(180)는 내장메모리 또는 SD 메모리 카드일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맞춤형 장식장(100)의 주요 구성들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즉, 전원공급부(190)는 센서부(130), LED(140), 통신부(150), 음향출력부(160) 및 저장부(180)에 전원을 공급하며 상시전원과 연결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장식장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장식장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장식장의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맞춤형 장식장(100)은 장식물(10,10a,10b)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형상으로 맞춤 제작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맞춤형 장식장(100)은 사각형의 받침대(110) 및 사각형의 케이스(120)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맞춤형 장식장(100)에 전시되는 장식물(10)은 악기의 모형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아노일 수 있다. 이때, 맞춤형 장식장(100)은 맞춤형으로 악기 모형에 대응하여 크기 및 디자인이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맞춤형 장식장(100)의 저장부(180)에는 피아노 연주곡이 저장되어 사용자의 근접 시 음향출력부(160)를 통해 배경음악이 출력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맞춤형 장식장(100)은 사각형의 받침대(110) 및 사각형의 케이스(120)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맞춤형 장식장(100)에 전시되는 장식물(10a)은 식물의 모형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화 나무일 수 있다. 이때, 맞춤형 장식장(100)은 맞춤형으로 조화 나무에 대응하여 크기 및 디자인이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맞춤형 장식장(100)의 저장부(180)에는 자연의 소리(파도소리, 새소리 등)가 저장되어 사용자의 근접 시 음향출력부(160)를 통해 자연의 소리가 출력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맞춤형 장식장(100)은 사각형의 받침대(110) 및 사각형의 케이스(120)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맞춤형 장식장(100)에 전시되는 장식물(10b)은 완구 모형으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봇 모형일 수 있다. 이때, 맞춤형 장식장(100)은 맞춤형으로 로봇 모형에 대응하여 크기 및 디자인이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맞춤형 장식장(100)의 저장부(180)에는 로봇 애니메이션의 주제곡이 저장되어 사용자의 근접 시 음향출력부(160)를 통해 배경음악이 출력될 수 있다.
10, 10a, 10b : 장식물 100 : 맞춤형 장식장
110 : 받침대 120 : 케이스
130 : 센서부 131 : 모션센서
132 : 조도센서 140 : LED
150 : 통신부 160 : 음향출력부
170 : 제어부 180 : 저장부
190 : 전원공급부

Claims (5)

  1. 장식물이 올려지고 3D 프린팅에 의해 제작되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의 상측에서 끼워지고 내측에 상기 장식물이 수납되고 상기 장식물의 종류에 따라 곡선형 또는 사각형 형상의 투명 소재로 제작되고 3D 프린팅에 의해 제작되는 케이스;
    상기 맞춤형 장식장으로의 상기 사용자의 근접을 감지하고, 상기 사용자의 키를 인식하는 초음파센서, 적외선 센서, 라이다(LIDAR) 센서 중에서 택일된 모션센서, 상기 실내의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주변의 움직임과 실내 조도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받침대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장식물로 광을 조사하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색상 및 점멸 주기를 포함하는 패턴으로 발광하고, 밝기가 다단계로 조절되는 LED;
    사용자의 스마트기기와 통신되는 통신부;
    상기 LED의 점멸 관련 정보, 음악 및 효과음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
    상기 음악 및 상기 효과음을 포함하는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출력부;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감지 결과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에 따라 상기 LED의 온/오프, 색상 및 밝기를 조절하고, 상기 음향출력부에 출력되는 상기 음향의 종류 및 재생 시간을 제어하며, 상기 LED 및 상기 음향출력부의 설정을 상기 스마트기기로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근접한 경우 상기 모션센서를 통해 감지된 사용자의 키에 따라 어른 또는 아이인지를 판단하며, 상기 모션센서를 통하여 확인된 사용자 구분에 따라 LED의 발광 패턴을 조절하고, 상기 장식물의 종류에 따라 지정된 음향 정보를 상기 음향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하여, 사용자 맞춤형의 조명효과와 음향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장식장.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도센서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LED의 밝기가 조절되도록 제어하는 맞춤형 장식장.
KR1020210174148A 2021-12-07 2021-12-07 맞춤형 장식장 KR1026644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4148A KR102664452B1 (ko) 2021-12-07 2021-12-07 맞춤형 장식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4148A KR102664452B1 (ko) 2021-12-07 2021-12-07 맞춤형 장식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5710A KR20230085710A (ko) 2023-06-14
KR102664452B1 true KR102664452B1 (ko) 2024-05-09

Family

ID=86745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4148A KR102664452B1 (ko) 2021-12-07 2021-12-07 맞춤형 장식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445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6521B2 (ja) * 1994-12-09 2001-05-1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論理回路の生成方法
KR100621795B1 (ko) * 2005-05-18 2006-09-19 주식회사 시공테크 전시용 진열장의 조명 장치 및 시스템
KR102137678B1 (ko) * 2020-02-26 2020-07-27 유한회사 비츠 보행자 안전 제공장치
KR102158447B1 (ko) * 2020-05-06 2020-09-22 김유권 분해 조립이 가능한 장식용 아크릴 박스 제품 및 이를 이용한 멀티 결합형 장식용 아크릴 박스 제품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2363B1 (ko) 2007-03-14 2007-06-27 주식회사 시공테크 문화재 전시용 장식장의 조명 시스템
TWM383348U (en) * 2010-01-08 2010-07-01 Jenn Yaw J Y Entpr Co Ltd Display seat rotati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6521B2 (ja) * 1994-12-09 2001-05-1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論理回路の生成方法
KR100621795B1 (ko) * 2005-05-18 2006-09-19 주식회사 시공테크 전시용 진열장의 조명 장치 및 시스템
KR102137678B1 (ko) * 2020-02-26 2020-07-27 유한회사 비츠 보행자 안전 제공장치
KR102158447B1 (ko) * 2020-05-06 2020-09-22 김유권 분해 조립이 가능한 장식용 아크릴 박스 제품 및 이를 이용한 멀티 결합형 장식용 아크릴 박스 제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5710A (ko) 2023-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64377B2 (en) Sensor-activated audible story lamp
TW201103364A (en) Lighting arrangement
US7825822B2 (en) System and method for extracting and conveying modulated AC signal information
JP2010526577A (ja) 衣類架のためのインタラクティブ照明システム
US9942960B2 (en) Ambient flame style flicker lighting system and methods
US20040095746A1 (en) Multi-color illumination apparatus
CN103513591A (zh) 一种带有画框的数字化艺术品显示器
KR102664452B1 (ko) 맞춤형 장식장
EP2033681A1 (en) Bedtime product
KR20100132959A (ko) 전자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포함하는 객체 프리젠테이션을 위한 장치
US8398270B2 (en) Ornament with display hidden when inactive
US6478448B1 (en) Decorative lighting display system
KR20120116625A (ko) 탁상용 알람시계
CN203465545U (zh) 一种带有画框的数字化艺术品显示器
KR200435648Y1 (ko) 조명을 이용한 인테리어 수족관
CN100570706C (zh) 发音装置
CN219331049U (zh) 一种拼装式带发条机芯音乐的装饰书立
AU2006232309B2 (en) System and method for extracting and conveying modulated AC signal information
US20230375169A1 (en) Mirror and cabinet apparatus
US20200329890A1 (en) Digital shadow box
CN201727313U (zh) 一种带照明功能的储物装置
KR20180035332A (ko) 기능유닛 diy 장착형 플랫폼 기반 사용자 감성맞춤식 스마트 벽걸이 생활용품
KR200324620Y1 (ko) 장식용시계
KR200371448Y1 (ko) 조명조절 기능을 갖는 다기능 거치대
KR200324619Y1 (ko) 장식용시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