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1795B1 - 전시용 진열장의 조명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시용 진열장의 조명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1795B1
KR100621795B1 KR1020050041562A KR20050041562A KR100621795B1 KR 100621795 B1 KR100621795 B1 KR 100621795B1 KR 1020050041562 A KR1020050041562 A KR 1020050041562A KR 20050041562 A KR20050041562 A KR 20050041562A KR 100621795 B1 KR100621795 B1 KR 1006217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isplay
showcase
display unit
led ligh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1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석
원상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시공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시공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시공테크
Priority to KR1020050041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17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17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17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01Devices for lighting, humidifying, heating, venti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11/00Arrangements in shop windows, shop floors or show cases
    • A47F11/06Means for bringing about special optical effects
    • A47F11/10Arrangements of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12Furni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40Lighting for industrial, commercial, recreational or military use
    • F21W2131/405Lighting for industrial, commercial, recreational or military use for shop-windows or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reezers Or Refrigerated Showcase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문화재와 같은 전시물을 전시 보관하는 진열장에 설치되는 조명장치를 LED로 적용하여, 구조를 단순화시켜 제작 과정과 비용을 대폭적으로 개선하면서 전시물의 관람에만 집중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고, 제작 설치 후에는 저 전력 고 휘도를 유지하면서 내구성이 좋아 고장 없이 오랜 기간동안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각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등 다양한 제어를 가능하게 하여 전시물에 적합한 표현과 관리를 할 수 있게 하는 전시용 진열장의 조명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 발명은, 전시물을 전시 보관하는 전시부와, 상기 전시부를 받쳐주는 하부장으로 이루어지는 전시용 진열장에 있어서, 상기 전시부의 상부에서 정해진 패턴으로 점등 또는 소등되면서 하부로 조명을 비추도록 LED 조명부가 상기 전시부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LED 조명부에 전원 공급용 전선을 통해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용 진열장의 조명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시용 진열장의 조명 장치 및 시스템{Lighting apparatus and system for show case}
도 1은 종래 전시용 진열장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전시용 진열장의 조명부를 위에서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장치를 구비한 전시용 진열장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전시용 진열장의 조명부를 위에서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도 3의 전시용 진열장을 다수 개 연결 접속하여 조명 장치를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중앙제어장치가 포함된 전시용 진열장의 조명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종래 전시용 진열장
11, 110 : 전시부 12, 120 : 하부장
13 : 조명부 14, 111 : 진열대
15, 121 : 조습제 수납부 16, 122 : 이동용 바퀴
17 : 광섬유 광원 18 : 광섬유
19 : 광섬유 덮개용 배관 20, 132 : 출광 렌즈
100 :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장치를 구비한 전시용 진열장
123 : 제어부 124 : 테입형 전선
130 : LED 조명부 131 : LED
200 : 중앙제어장치
300 :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시용 진열장의 조명 시스템
이 발명은 문화재와 같은 전시물을 전시 및 보관하는 전시용 진열장의 조명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저 전력 고 휘도를 유지하면서 다양한 제어가 가능하고 구조가 간단하고 내구성이 좋아 제작 및 유지 보수도 간편한 전시용 진열장의 조명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문화재와 같은 전시물을 일반인들에게 보여주기 위하여 진열장을 이용하고 있는데, 상기 진열장의 상부에는 조명 장치를 설치하여 전시되고 있는 각 전시물이 관람객으로 하여금 진열장 내부가 밝은 상태에서 관람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한편, 할로겐 램프는 색 온도가 3000K인 백열전구를 상회하여 백색감이 뛰어 나고 수명도 1000시간인 백열전구의 2배 정도이므로 전시 조명용으로 많이 사용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할로겐 램프는, 고온의 필라멘트 부근에서는 기체의 활동이 활발해져 할로겐과 텅스텐이 결합되거나 또는 관내 대류에 의한 운반 이동된 할로겐화 텅스텐이 다시 분리되어 필라멘트 속으로 들어가는 반응 작용이 반복되어 일어나는 할로겐 사이클의 동작을 통해 발광하므로 고온이면서 고용량이어서 고온에 잘 견디는 석영 유리관으로 조명 표면을 제작하게 된다.
그러나, 석영 유리관은 파장이 짧아 높은 에너지를 갖는 자외선(240㎚)을 그대로 투과시키므로 안료나 염료의 변색, 탈색을 가져오며 섬유나 단백질 분자를 파괴시켜 재질이 약화되는 등 전시물에 손상을 줄 가능성이 매우 크게 된다.
이로부터, 전시물에 가해지는 손상을 차단 또는 최소화하기 위한 조명 방안의 하나로서,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시물에 비춰지는 조명을 하나의 할로겐 램프에 연결시킨 다수 개의 광섬유를 통해 직접적으로 전시물에는 열과 자외선이 미치지 않게 차단시키는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즉, 문화재와 같은 전시물을 전시하는 종래 진열장(10)은, 문화재를 전시하는 전시부(11)와, 상기 전시부(11)를 받쳐주는 하부장(12) 및 상기 전시부(11) 내부를 밝게 조명하는 조명부(1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전시부(11)는 내부에 진열대(14)가 위치하고 사면이 밀폐형으로 구성되며, 이러한 밀폐형의 설치 형식에 따라 상기 전시부(11)의 사면 전체가 투명한 유리판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일부만 유리판으로 구성되어 관람객으로 하여금 상기 진 열대(14)위에 전시되고 있는 문화재와 같은 전시물을 선명하게 관람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하부장(12)에는 전시부(11) 내부의 습도를 조절하는 조습제가 수납되는 조습제 수납부(15)가 설치되며, 또한 하부장(12)의 하단부에는 이동용 바퀴(16)가 설치된다.
상기 조명부(13)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전시부(11)의 상단부에 일정 간격 또는 적절하게 배치된 다수 개의 광섬유(18)와 상기 광섬유(18)의 단부에 설치된 출광 렌즈(20)를 통해 상기 전시부(11)의 내부를 적절하게 비추게 된다.
그리고 상기 조명부(13)에서 빛을 발산하는 광섬유(18)에 빛을 공급하는, 예를 들면 할로겐 램프(도면에 도시하지 않음)와 같은 광섬유 광원(17)은 상기 하부장(12)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광섬유 광원(17) 주변에는 환기구가 형성되어 있어 내부의 할로겐 램프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시키며, 외부 공기중의 부유물이 광섬유 광원(17) 내부로 유입되지 않는 구조를 갖게 한다.
상기와 같은 광섬유 광원(17)을 점등 또는 소등시켜 광섬유(18)에 빛을 공급 또는 차단시키면서 상기 광섬유 광원(17)으로부터 발생되는 열과 고 에너지의 자외선을 차단시킨 상태로 전시부(11)를 밝게 조명하게 된다.
이 경우, 광섬유 광원(17)으로서 할로겐 램프의 온 또는 오프 스위치와 밝기를 조절하는 조도조절 스위치가 별도 설치되어 있어 전시되고 있는 문화재와 같은 전시물의 조명 특성에 맞추어 광섬유(18)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광섬유 광원(17)에서 인출되는 다수의 광섬유(18) 각각이 상기 조명부(13)에 설치될 때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전시부(11)의 일측단에 광섬유 덮개용 배관(19)을 통해 광섬유(18)를 가려지게 한다.
그러나, 상기의 문화재와 같은 전시물을 전시하는 전시용 진열장의 조명장치를 구성하는, 광섬유에 광원을 공급하는 광섬유 광원으로 사용되어지는 할로겐 램프의 경우에 제작 및 사용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먼저, 전시물에 빛을 공급하는 조명장치를 제작하는 과정에서는, 전시물을 비추는 광원으로 사용되어지고 있는 할로겐 램프가 고 전력을 소비하면서 고열을 발산하고 또한 고 에너지의 자외선을 방사하므로 직접 전시물에 빛을 공급할 수 없어, 상기 할로겐 램프와 전시물을 격리시킨 상태에서 상기 할로겐 램프로부터 발생되어지는 광원을 별도로 설치되는 다수 개의 광섬유를 통해 간접적으로 전시물에 비추어주도록 하는 것으로부터, 이에 수반되는 환기구, 배관, 고 용량의 전원공급 설비 등이 추가로 설치되어야 하는 등 제작 과정 자체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비용도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게된다.
다음으로, 전시물에 빛을 공급하는 조명장치를 사용하는 과정에서는, 광원인 할로겐 램프 하나에 연결 접속된 다수 개의 광섬유 케이블 중에서 일부의 광섬유가 단선되거나 설치 과정에서 구부러지거나 또는 환기구의 작동 과정에서 표면이 먼지로 덮여 조명장치로서의 역할을 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전시물에 비추어지는 조명의 균일한 조도를 유지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이들 광섬유의 교체 작업도 쉽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게된다.
더욱이, 잦은 조명장치의 보수 점검이나 고장 수리를 위해 작업자가 진열장 내부로 들어가기 위해 도어를 열게 될 경우에는 진열장의 내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진열장 내부의 온·습도 환경이 파괴됨과 동시에 공기 중에 있던 위험인자가 침투하게 되어 전시물에 악영향을 끼치게 되는 한편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전시되고 있는 전시물을 파손시킬 우려가 있는 등 전시물의 훼손 위험성이 증가되는 문제점도 있게된다.
특히, 하나의 할로겐 램프에 다수개의 광섬유를 연결 접속시켜 설치하는 구조를 갖는 것으로부터, 상기 할로겐 램프의 점등 또는 소등 상태에 따라 상기 할로겐 램프에 연결된 모든 광섬유들도 동일하게 점등 또는 소등 상태로 되어야 하므로 다양한 제어를 통한 전시 효과 및 관리를 효율적으로 하는데 제약이 가해질 수밖에 없는 문제점도 있게된다.
아울러, 광섬유의 설치에 따른 고정이나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가리기 위해 사용되어지는 광섬유 덮개용 배관으로 인해 전시물의 특성상 전시물에만 집중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하기 어렵게 되는 문제점도 있게 된다.
이로부터, 이 발명은 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문화재와 같은 전시물을 전시 보관하는 진열장에 설치되는 조명장치를 LED로 적용하여, 구조를 단순화시켜 제작 과정과 비용을 대폭적으로 개선하면서 전시물의 관람에만 집중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고, 제작 설치 후에는 저 전력 고 휘도를 유지하면서 내구 성이 좋아 고장 없이 오랜 기간동안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각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등 다양한 제어를 가능하게 하여 전시물에 적합한 표현과 관리를 할 수 있게 하는 전시용 진열장의 조명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 발명은, 전시물을 전시 보관하는 전시부와, 상기 전시부를 받쳐주는 하부장으로 이루어지는 전시용 진열장에 있어서, 상기 전시부의 상부에서 정해진 패턴으로 점등 또는 소등되면서 하부로 조명을 비추도록 LED 조명부가 상기 전시부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LED 조명부에 전원 공급용 전선을 통해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용 진열장의 조명 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원 공급용 전선이, 상기 전시부 표면에 부착시키는 테입형 전선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 발명은, 전시물을 전시 보관하는 전시부와, 상기 전시부를 받쳐주는 하부장과, 상기 전시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부에서 하부로 조명을 비추어주는 LED 조명부와, 상기 하부장에 설치되어 상기 LED 조명부의 점등 또는 소등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LED 조명부에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LED 조명부가 점등되도록 상기 제어부와 LED 조명부를 연결하는 전원 공급용 전선을 포함하는 다수의 전시용 진열장과; 상기 다수의 전시용 진열장의 제어부 각각과 연결 접속되어 상기 전시용 진열장의 LED 조명부 각각을 제어하는 중앙제어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용 진열장의 조명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이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장치를 구비한 전시용 진열장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전시용 진열장의 조명부를 위에서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도 3의 전시용 진열장을 다수 개 연결 접속하여 조명 장치를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중앙제어장치가 포함된 전시용 진열장의 조명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시용 진열장의 조명 장치 및 시스템에서는, 문화재를 전시하는 밀폐형 진열장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전시물로서는 문화재뿐만 아니라 관람객들에게 전시를 목적으로 하는 것이면 그 대상을 제한하지 않고 이 발명의 전시용 진열장의 조명 장치 및 시스템이 적용되어질 수 있다.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시용 진열장의 조명 장치 및 시스템(100)은, 문화재를 전시하는 전시부(110)와, 상기 전시부(110)를 받쳐주는 하부장(120) 및 상기 전시부(110) 내부를 밝게 조명하는 LED 조명부(130)로 이루어지는 형태는 종래 전시용 진열장(10)과 동일하고, 다만 조명부로서 종래 할로겐 램프와 달리 LED를 사용하는 LED 조명부(130)에 차이가 있는바, 이하에서는 상기 LED 조명부(130) 및 이러한 LED 조명부(130)와 관련 있는 구성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전압이 가해지면 빨, 노, 청, 녹, 오렌지 등 다양한 색으로 빛이 나게 되는 LED(Light Emitting Diode)의 경우에는, 반도체라는 특성으로 인해 처리속도, 전력소모, 수명 등 제반 사항에 있어서 백열등이나 형광등에 비해 많은 장점을 갖고 있으며, 특히 시인성이 뛰어나며 소자의 크기가 작아 등기구의 소형화가 쉽고 여러 형태로의 기구 설계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PC로 연결하여 중앙 제어 및 개별 온 또는 오프 제어가 가능하여 점멸을 자유스럽게 연출할 수 있다는 특징도 가지고 있어 제어 시스템을 이용한 다양한 분야에서 많은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LED(131)를 사용한 상기 LED 조명부(130)는, 종래 전시용 진열장(10)의 조명부(13) 구성과 달리, 별도의 공간을 두지 않고 상기 전시부(110) 상단부 표면에 다수의 LED(131)를 전시부(110) 내부로 돌출되게 설치된 상태에서 출광 렌즈(132)를 통해 전시되고 있는 문화재를 조명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23)의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LED 조명부(130)가 점등되도록 하는 상기 LED 조명부(13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으로서, 예를 들면 자동차 뒷면 유리에 부착되는 열선이나 안테나선에 사용되어지는 테입형 전선(124)을 사용한다.
여기서, 상기 테입형 전선(124)을 전시부(110) 상단부 표면에 직접 부착시키는 것이 가능한 것은, 종래 고전압 고용량의 할로겐 램프를 사용하여 조명하는 경우와 달리, 이 발명의 실시 예에서 조명에 사용되어지는 LED(131)가 저전압 저용량으로 구동하기 때문이다.
더욱이, 상기 LED 조명부(130)는, 종래 전시용 진열장(10)의 광섬유 광원 (17)과 달리 열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열을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는 환기부의 설치는 필요하지 않게 되며, 저전력을 실현하므로 고용량의 전력 설비가 요구되어지지도 않게된다.
그리고, 이러한 테입형 전선(124)을 사용하여 조명 장치인 LED(131)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되는 것에 의해, 종래 상기 광섬유 광원(17)에서 인출되는 다수의 광섬유(18) 각각이 상기 조명부(13)에 설치될 때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전시부(11)의 일측단에 광섬유 덮개용 배관(19)을 통해 광섬유(18)를 가려지게 하는 것과 달리, 투명한 유리판으로 형성된 상기 전시부(110)의 일측면에 단지 부착 설치하여 전시물의 특성상 전시물에만 집중시키는 분위기를 조성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던 종래 전시용 진열장(10)의 문제점을 해결하는데 효과적이며 설치 작업 자체도 간편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하부장(120)에는 제어부(123)가 설치되어, 광원으로서 LED(131)의 온 또는 오프, 밝기 조절 등의 제어를 하며, 특히 종래 광섬유 광원(17)으로 사용되어지는 할로겐 램프의 경우 광원 하나에 다수의 광섬유(18)를 세트로 광섬유(18)의 개별적인 제어가 불가능하였던 것에 대해,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LED(131)는 각각 개별 제어가 가능하여 전시되어 있는 문화재의 특성에 맞는 다양한 제어를 할 수 있게된다.
또한, 상기 전시용 진열장(100) 각각의 LED(131) 마다 제어하는 신호를 각각 보낼 수 있는 것으로부터,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시용 진열장(100) 다수 개 전체에 대한 조명을, 예를 들면 하나의 PC를 사 용하여 중앙에서 제어하는 전시용 진열장의 조명 시스템(300)을 구성할 수 있어, 종래 전시용 진열장(10)에서 하나의 할로겐 램프에 다수의 광섬유를 연결 접속하는 것에 따른 전시물의 특성에 적합하게 다양한 제어를 하는데 제약이 있었던 것을 해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시용 진열장의 조명 시스템(300)에서는, 예를 들면 하나의 PC를 사용하여 구성되는 중앙제어장치(200)를 상기 다수의 전시용 진열장(100)의 제어부(123) 각각과 연결 접속시켜 상기 전시용 진열장(100)의 LED 조명부(130)를 제어할 수 있게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시용 진열장의 조명 장치 및 시스템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시용 진열장(100)의 제어부(123)에서 상기 전시부(110)의 상단부에 설치된 상기 LED 조명부(130)를 점등하게 제어하여 전시부(110)를 조명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LED 조명부(130)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123)와 상기 LED(131)를 테입형 전선으로 연결 접속한다.
상기 제어부(123)는, 예를 들면 상기 LED 조명부(130)의 온 또는 오프 제어 이외에도 다수의 LED(131)를 순차로 또는 쌍을 이루어 일정 시간 간격으로 또는 동시에 점등이나 소등을 하게 각각의 LED(131)를 제어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123)의 제어에 의해 각각의 전시용 진열장(100)의 전시부(110) 상단부에 설치된 LED(131) 각각의 제어를 포함하여, 별도로 설치되는 중 앙제어장치(200)를 통해 상기 제어부(123)에 연결 접속시킨 상태에서 상기 다수의 전시용 진열장(100) 전체의 LED(131) 제어도 가능하여 전시되어지는 문화재의 특성에 맞춘 조명 장치의 제어가 가능한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게된다.
이로부터 조명에서 발산되는 열을 최소한으로 줄이면서 보존하고 있는 문화재와 같은 전시물을 관람자에게 보다 현실감 있고 외부의 태양 빛에서 보는 것 같은 자연스러운 효과를 주면서 다양한 제어가 가능하기 위한 것으로 이 발명의 실시 예에서 채용되어지는 LED의 활용성은 아주 크다고 할 수 있다.
이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되는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도 이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전시용 진열장의 조명 장치 및 시스템에 의하면, 문화재와 같은 전시물을 전시 보관하는 진열장에 설치되는 조명장치를 LED로 적용함으로써, 전시물을 비추는 광원으로 사용되어지고 있는 LED가 저 전력을 소비하면서 열이 거의 발산되지 않으며 또한 고 에너지의 자외선도 방사하지 않으므로 직접 전시물에 빛을 공급할 수 있어, 별도로 추가되는 장치 없이 제작 과정에서 구조를 단순화시켜 제작 공정과 비용을 대폭적으로 개선하는 효과가 있게되며, 전시물을 비추는 광원으로 사용되어지고 있는 LED가 각각마다 제어 가능하여 설치 후 사용 과정에서 다양한 제어를 통한 전시 효과 및 관리를 효율 적으로 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LED의 내구성이 좋고 저 전력을 소비하므로 고장 없이 오랜 기간 사용할 수 있어 유지 보수 과정에서 전시물의 훼손 가능성을 최소화하며 고장 시에도 해당 LED 만 교체하면 되는 것으로부터 유지 보수가 간편하게 되고, 더욱이 저 전력을 소비하므로 전력 공급을 위한 전선을 테입형으로 적용 가능하여 외부로 보여지는 전시물을 전시하고 있는 진열장에 불필요한 장치의 설치를 최대한 억제하여 전시물의 관람에만 집중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 수 있는 효과도 있게 된다.

Claims (3)

  1. 전시물을 전시 보관하는 전시부와, 상기 전시부를 받쳐주는 하부장으로 이루어지는 전시용 진열장에 있어서,
    상기 전시부의 상부에서 정해진 패턴으로 점등 또는 소등되면서 하부로 조명을 비추도록 LED 조명부가 상기 전시부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LED 조명부에 전원 공급용 전선을 통해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용 진열장의 조명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용 전선은, 상기 전시부 표면에 부착시키는 테입형 전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용 진열장의 조명 장치.
  3. 전시물을 전시 보관하는 전시부와, 상기 전시부를 받쳐주는 하부장과, 상기 전시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부에서 하부로 조명을 비추어주는 LED 조명부와, 상기 하부장에 설치되어 상기 LED 조명부의 점등 또는 소등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LED 조명부에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LED 조명부가 점등되도록 상기 제어부와 LED 조명부를 연결하는 전원 공급용 전선을 포함하는 다수의 전시용 진열장과;
    상기 다수의 전시용 진열장의 제어부 각각과 연결 접속되어 상기 전시용 진열장의 LED 조명부 각각을 제어하는 중앙제어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용 진열장의 조명 시스템.
KR1020050041562A 2005-05-18 2005-05-18 전시용 진열장의 조명 장치 및 시스템 KR1006217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1562A KR100621795B1 (ko) 2005-05-18 2005-05-18 전시용 진열장의 조명 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1562A KR100621795B1 (ko) 2005-05-18 2005-05-18 전시용 진열장의 조명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1795B1 true KR100621795B1 (ko) 2006-09-19

Family

ID=37631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1562A KR100621795B1 (ko) 2005-05-18 2005-05-18 전시용 진열장의 조명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17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5710A (ko) * 2021-12-07 2023-06-14 최승룡 맞춤형 원목 장식장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5710A (ko) * 2021-12-07 2023-06-14 최승룡 맞춤형 원목 장식장
KR102664452B1 (ko) * 2021-12-07 2024-05-09 최승룡 맞춤형 장식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02265B2 (en) Non-curvilinear LED luminaries
US8104917B2 (en) LED curtain
US20110157893A1 (en) Oled luminaire having observable surfaces with differential visual effects
KR20160146867A (ko) 라이트 조립체
KR100961726B1 (ko) Led를 이용한 조명기구
US2008000794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lluminating Article of Jewellry
KR101055177B1 (ko) Led 조명장치
KR200368496Y1 (ko) 리니어 조명장치
KR100621795B1 (ko) 전시용 진열장의 조명 장치 및 시스템
KR101055176B1 (ko) Led 조명장치
JP2007505021A (ja) エレベータの照明装置
KR101739914B1 (ko) 천장설치용 라인타입 조명기구
DE202004000004U1 (de) LED-Beleuchtung
WO2019148971A1 (zh) 灯丝灯结构
US10488017B2 (en) LED lighting device for colored lighting
KR200390836Y1 (ko) 발광다이오드형 광고 간판
KR200387500Y1 (ko) 광색 변화되는 광고판
KR100700672B1 (ko) 고휘도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조명기구와 이를 이용한조명시스템
KR101069142B1 (ko) 발광용 엘이디 모듈 및 감성 조명용 엘이디 모듈을 결합한 형광등
KR20120036673A (ko) 채널의 선정 및 조절이 가능한 트랙 조명 시스템
KR200421201Y1 (ko) 박물관 전시대용 발광다이오드 조명장치
KR20060105399A (ko) 광색 변화되는 광고판
CN219661356U (zh) 一种可变色的服装模特
KR20060011375A (ko) 색상가변형 조명장치
KR102016433B1 (ko) Led 기반의 전구를 이용한 조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