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4405B1 - 표면지문, 수치지문 및 해시값을 이용한 제품의 진위 확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표면지문, 수치지문 및 해시값을 이용한 제품의 진위 확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4405B1
KR102664405B1 KR1020230029039A KR20230029039A KR102664405B1 KR 102664405 B1 KR102664405 B1 KR 102664405B1 KR 1020230029039 A KR1020230029039 A KR 1020230029039A KR 20230029039 A KR20230029039 A KR 20230029039A KR 102664405 B1 KR102664405 B1 KR 1026644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print
product
image
authentication information
storage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9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석인수
Original Assignee
석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석인수 filed Critical 석인수
Priority to KR1020230029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44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4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44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18Certifying business or produ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7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distributed storage of data in networks, e.g. transport arrangements for network file system [NFS], storage area networks [SAN] or network attached storage [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3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cryptographic hash fun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63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certificates, e.g. public key certificate [PKC] or attribute certificate [AC]; Public key infrastructure [PKI]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llating Specific Patterns (AREA)

Abstract

표면지문, 수치지문 및 해시값을 이용한 제품의 진위 확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되며, 제품의 제품정보를 제공하는 제조사 단말, 제품의 고유식별코드, 제품의 표면특성에 따른 표면지문, 표면지문을 수치화한 수치지문, 표면지문에 기하여 발행된 NFT, 제품의 제품정보, 제품의 보증서 및 제품의 보증서를 발급한 기관정보를 포함한 인증정보를 인증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발급사 단말, 인증정보를 포함한 저장매체가 리딩 또는 스캔되는 경우, 인증정보 내 NFT의 해시값을 수신하고, 수신된 NFT의 해시값에 따른 진위 확인 결과를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 및 발급사 단말로부터 인증정보를 수신하여 인증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저장부, 인증정보를 공개키와 함께 블록체인에 등록하는 등록부, 사용자 단말에서 인증정보를 포함한 저장매체를 리딩 또는 스캔하는 경우, 인증정보 내 NFT의 해시값과 블록체인에 등록된 인증정보 내 NFT의 해시값을 비교하는 해시비교부, 해시값의 비교의 결과가 동일이면 저장매체 내 표면지문 및 수치지문을, 블록체인에 등록된 표면지문 및 수치지문과, 순차적으로 비교하는 지문비교부, 사용자 단말에서 발급사 단말에 대한 신원인증을 거쳐 소스 이미지를 전송하면, 소스 이미지에 기한 인증토큰(Non-Fungible Token)을 발행한 후, 인증토큰을 검증하여 신원정보를 발행하는 DID(Decentralized Identifiers)연동부, 지문의 비교의 결과인 진위 확인 결과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확인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표면지문, 수치지문 및 해시값을 이용한 제품의 진위 확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AUTHENTICATION SERVICE USING SURFACE FINGERPRINT, FIGURE FINGERPRINT AND HASH VALUE}
본 발명은 표면지문, 수치지문 및 해시값을 이용한 제품의 진위 확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제품의 표면지문, 수치지문 및 해시값을 비교검증함으로써 인증서의 위변조를 막고 제품의 진위를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최근, 온라인을 통한 판매가 활성화 됨에 따라 이에 관련된 사기 및 가품 피해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거래물품의 진위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꾸준히 논의되어 오고 있는데, 홀로그램 등을 이용해 소비자가 직접 확인할 수 있는 방법, 제조사에서 진위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자체기술을 마련하는 등 다양한 방법이 제시되어오고 있지만 각 방법에는 장단이 존재한다. 특별한 마크나 프린트 등을 보이지 않게 프린트하는 방법은 제조사에서 쉽게 진위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소비자가 직접 이를 식별할 수 없고 제조공정의 추가적 비용이 발생하는 등의 단점이 존재한다. 또, 고가의 상품에는 이러한 방법같이 다양한 위조품 방지 기술을 적용하고 있지만, 상대적으로 저가의 상품에 적용하기에는 현실적으로 어렵기 때문에,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도 확인가능하며 빠르고 저렴하지만 신뢰성과 보안성을 가진 위변조 방지 기술이 필요하다.
이때,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정품인증태그를 이용하여 진위여부를 확인하거나 제품의 고유식별정보를 라벨링하는 방법이 연구 및 개발되었는데,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2022-0113307호(2022년08월12일 공개) 및 한국등록특허 제10-0785765호(2007년12월18일 공고)에는 실물자산의 제품 ID, 제품정보, 진품인증서, 소유권인증서를 블록체인에 분산저장 및 공유함으로써 실물자산인 제품의 진위여부를 확인하고 소유권을 증명하는 구성과, 제품의 생산, 유통, 판매 및 거래에 이르는 전 과정에서 제품의 고유식별정보를 내장한 라벨을 기초로 제품의 진위여부를 사용자 단말을 통해 확인하도록 하는 구성이 각각 개시되어 있다.
다만, 전자의 경우 인증서 자체를 위변조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고, 위변조된 인증서를 블록체인에 선등록하는 경우도 발생될 수 있으므로 실물자산이 진정제품인지 위조제품인지의 여부는 여전히 알 길이 없다. 후자의 경우에도 고유식별정보를 내장한 라벨로 진위여부를 판단한다고 하지만, 라벨 자체도 전자의 인증서와 같이 위변조될 수 있기 때문에 제품의 진위여부를 파악하기가 어렵다. 이에, 제품의 인증서를 위변조할 수 없도록 하는 시스템의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품의 고유식별코드, 제품의 표면특성에 따른 표면지문, 표면지문을 수치화한 수치지문, 표면지문에 기하여 발행된 NFT, 제품의 제품정보, 상기 제품의 보증서 및 상기 제품의 보증서를 발급한 기관을 포함한 인증정보를 인증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인증정보 및 NFT의 해시값을 블록체인에 공개키와 함께 분산저장한 후, 사용자 단말에서 인증정보가 포함된 저장매체를 스캔 또는 리딩하는 경우, 저장매체 내 NFT의 해시값을 사용자 단말에서 수신함으로써 NFT의 진위여부를 파악하고, NFT가 위변조된 NFT가 아닌 경우 표면지문 및 수치지문을 블록체인 내 표면지문 및 수치지문과 순차적으로 비교함으로써 정품인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표면지문, 수치지문 및 해시값을 이용한 제품의 진위 확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품의 제품정보를 제공하는 제조사 단말, 제품의 고유식별코드, 제품의 표면특성에 따른 표면지문, 표면지문을 수치화한 수치지문, 표면지문에 기하여 발행된 NFT, 제품의 제품정보, 제품의 보증서 및 제품의 보증서를 발급한 기관정보를 포함한 인증정보를 인증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발급사 단말, 인증정보를 포함한 저장매체가 리딩 또는 스캔되는 경우, 인증정보 내 NFT의 해시값을 수신하고, 블록체인에 기 등록된 NFT의 해시값을 비교한 후 진위 확인 결과를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 및 발급사 단말로부터 인증정보를 수신하여 인증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저장부, 인증정보를 공개키와 함께 블록체인에 등록하는 등록부, 사용자 단말에서 인증정보를 포함한 저장매체를 리딩 또는 스캔하는 경우, 인증정보 내 NFT의 해시값과 블록체인에 등록된 인증정보 내 NFT의 해시값을 비교하는 해시비교부, 해시값의 비교의 결과가 동일이면 저장매체 내 표면지문 및 수치지문을, 블록체인에 등록된 표면지문 및 수치지문과, 순차적으로 비교하는 지문비교부, 사용자 단말에서 발급사 단말에 대한 신원인증을 거쳐 소스 이미지를 전송하면, 소스 이미지에 기한 인증토큰(Non-Fungible Token)을 발행한 후, 인증토큰을 검증하여 신원정보를 발행하는 DID(Decentralized Identifiers)연동부, 지문의 비교의 결과인 진위 확인 결과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확인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제품의 고유식별코드, 제품의 표면특성에 따른 표면지문, 표면지문을 수치화한 수치지문, 표면지문에 기하여 발행된 NFT, 제품의 제품정보, 상기 제품의 보증서 및 상기 제품의 보증서를 발급한 기관을 포함한 인증정보를 인증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인증정보 및 NFT의 해시값을 블록체인에 공개키와 함께 분산저장한 후, 사용자 단말에서 인증정보가 포함된 저장매체를 스캔 또는 리딩하는 경우, 저장매체 내 NFT의 해시값을 사용자 단말에서 수신함으로써 NFT의 진위여부를 파악하고, NFT가 위변조된 NFT가 아닌 경우 표면지문 및 수치지문을 블록체인 내 표면지문 및 수치지문과 순차적으로 비교함으로써 정품인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면지문, 수치지문 및 해시값을 이용한 제품의 진위 확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확인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면지문, 수치지문 및 해시값을 이용한 제품의 진위 확인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면지문, 수치지문 및 해시값을 이용한 제품의 진위 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 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면지문, 수치지문 및 해시값을 이용한 제품의 진위 확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표면지문, 수치지문 및 해시값을 이용한 제품의 진위 확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진위 확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제조사 단말(400), 적어도 하나의 발급사 단말(5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표면지문, 수치지문 및 해시값을 이용한 제품의 진위 확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진위 확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진위 확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제조사 단말(400), 적어도 하나의 발급사 단말(5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 제조사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발급사 단말(500) 및 진위 확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발급사 단말(5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진위 확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 및 적어도 하나의 제조사 단말(400)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RF(Radio Frequency),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Near-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표면지문, 수치지문 및 해시값을 이용한 제품의 진위 확인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제품의 진위를 확인하는 단말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 단말(100)은, 제품 내 삽입된 저장매체로부터 NFT의 해시값을 수신하고, 블록체인에 등록된 NFT의 해시값과 비교함으로써 저장매체 자체가 가품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저장매체가 정품인 경우 저장매체 내 포함된 인증정보의 표면지문의 해시값과 블록체인에 등록된 표면지문의 해시값을 비교하며, 표면지문의 해시값이 일치하는 경우 수치지문의 해시값을 블록체인에 등록된 수치지문의 해시값과 비교함으로써 제품의 진위 여부를 최종적으로 출력하는 제품의 구매자의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은 저장매체 내 NFT에 패킹된 표면지문 및 수치지문의 해시값을, 블록체인에 등록된 표면지문 및 수치지문의 해시값과 비교함으로써 저장매체 자체가 정품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저장매체가 정품인 경우 저장매체 내 표면지문 및 수치지문을, 블록체인에 등록된 표면지문 및 수치지문과, 순차적으로 비교함으로써 제품의 진위 여부를 최종적으로 출력하는 제품의 구매자의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진위 확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표면지문, 수치지문 및 해시값을 이용한 제품의 진위 확인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진위 확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제조사 단말(400)에서 발급사 단말(500)로 제품정보를 전송하여 제품의 인증정보를 담은 저장매체의 생산을 의뢰하는 경우, 발급사 단말(500)에서 생성한 인증정보를 인증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블록체인에 공개키와 함께 등록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 진위 확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저장매체를 리딩 또는 스캔하여 제품의 진위 여부를 확인할 때, 저장매체 내 인증정보와 블록체인의 인증정보를 비교한 결과를 사용자 단말(100)로 안내하면서, 인증정보 데이터베이스 내 인증정보와도 교차검증으로 비교함으로써 가품의 유통여부를 확인하는 서버일 수 있다. 만약, 인증정보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지 않은 인증정보가 확인된 경우, 진위 확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및 제조사 단말(400)로 리포트를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진위 확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조사 단말(400)은, 표면지문, 수치지문 및 해시값을 이용한 제품의 진위 확인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저장매체의 생산의뢰를 발급사 단말(500)로 전달하기 위해 제품정보를 발급사 단말(500)로 제공하는 제품의 제조사의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제조사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제조사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조사 단말(4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발급사 단말(500)은, 표면지문, 수치지문 및 해시값을 이용한 제품의 진위 확인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제조사 단말(400)로부터 제품정보를 수신하고, 인증정보가 담긴 저장매체를 생산하며, 인증정보를 블록체인에 업로드하거나 진위 확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달하여 업로드하도록 요청하는 발급사의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제조사 단말(400)에서 발급까지 담당하는 경우 발급사 단말(500)의 구성이 삭제될 수 있다. 이는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므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발급사 단말(5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발급사 단말(5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발급사 단말(5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확인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면지문, 수치지문 및 해시값을 이용한 제품의 진위 확인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진위 확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저장부(310), 등록부(320), 해시비교부(330), 지문비교부(340), 전송부(350), 해시변환부(360), 분산인증부(370) 및 DID연동부(38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위 확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제조사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발급사 단말(500)로 표면지문, 수치지문 및 해시값을 이용한 제품의 진위 확인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제조사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발급사 단말(500)은, 표면지문, 수치지문 및 해시값을 이용한 제품의 진위 확인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제조사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발급사 단말(5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저장부(310)는, 발급사 단말(500)로부터 인증정보를 수신하여 인증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제조사 단말(400)은, 제품의 제품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발급사 단말(500)은, 제품의 고유식별코드, 제품의 표면특성에 따른 표면지문, 표면지문을 수치화한 수치지문, 표면지문에 기하여 발행된 NFT, 제품의 제품정보, 제품의 보증서 및 제품의 보증서를 발급한 기관을 포함한 인증정보를 인증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제품의 고유식별코드는 일련번호(Serial Number)일 수 있고, 표면지문은 본 출원인의 한국등록특허 제10-2411652호(2022년06월22일 공고)을, 수치지문은 본 출원인의 한국등록특허 제10-2120051호(2020년06월17일 공고) 및 제10-1274098호(2013년06월13일 공고)를 참조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공지된 기술에 대해서는 중복하여 설명하지 않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추가되는 개념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인증정보에 포함되는 사항은 이하 표 1과 같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실시예에 따라 추가, 삭제 및 변경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인증정보
1 제품 고유식별코드
2 표면지문
3 수치지문
4 NFT
5 제품정보
6 보증서
7 보증서 발급기관
등록부(320)는, 인증정보를 공개키와 함께 블록체인에 등록할 수 있다. 암호화 방식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대칭키 기반 암호화와 공개키 기반 암호화가 존재한다. 대칭키 기반 암호화는 암호화와 복호화에 사용하는 암호키가 같은 암호화 방식이고, 공개키 기반 암호화는 암호화와 복호화에 사용하는 키가 각각 공개키와 비밀키로 나뉘어진 암호화 방식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공개키 기반 암호화 방식을 이용하지만, 대칭키 기반 암호화 방식을 완전히 배제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 어떠한 방식을 이용하든지 간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호화는 모두 CPA(Chosen-Plaintext Attack)에 안전한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CPA란 공격자가 원하는 평문에 대해 암호문을 만들 수 있는 것을 뜻한다. 공개키 기반 암호화는 암호화에 사용하는 암호키가 공개되어 있어 누구든 공개키를 얻어 평문을 암호화해볼 수 있기 때문에 그 자체로 CPA에 안전한 암호화 방식이지만, 대칭키 기반 암호화는 암호화와 복호화를 하는 사람만 암호키를 갖고 있기 때문에 공격자가 임의로 암호화를 해볼 수 있도록 어떤 평문을 입력하면 암호문을 출력하는 Encryption Oracle εk(·)을 갖는다고 가정한다.
<공개키 기반 암호화>
공개키 기반 암호화 알고리즘 Πasym은 세가지 알고리즘(AGen, AEnc, ADec)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하의 특징을 가질 수 있다.
●(pk, sk) ← AGen(1λ) : AGen는 암호키 생성 알고리즘으로, 보안 매개변수 λ를 입력받아 공개키 pk와 비밀키sk를 출력한다.
●C ← AEncpk(m) : AEnc는 암호화 알고리즘으로, 공개키 pk와 평문 m을 입력받아 암호문 C를 출력한다.
●m ← ADecsk(C) : ADec는 복호화 알고리즘으로, 암호키 sk와 암호문 C를 입력받아 암호문에 대한 평문 m을 출력한다.
주요 특징 중 Correctness에 관해서는, AGen을 통해 생성된 키 쌍(pk, sk)가 있을 때, 평문 m을 공개키 pk로 암호화하면 비밀키 sk를 이용해 복호화하였을 때 평문 m을 얻을 확률은 1이다.
Figure 112023025201616-pat00001
또, A-IND-CPA(Ciphertext Indistinguishability)에 대해서는, A가 생성한 평문 m0, m1에 대해 Challenger C가 두 개의 평문 중 하나를 공개키 pk를 이용해 암호화하였을 때 A가 어느 평문을 암호화한지 맞출 수 있는 확률은 무작위로 선택할 확률과 무시할 수 있는 차이만을 갖는다. 그리고, IK-CPA(Key Indistinguishability)를 갖는데, 공격자 A가 생성한 평문 m에 대하여 Challenger C가 두 개의 공개키 중 하나를 이용해 암호화하였을 때 A가 어느 공개키를 사용하여 암호화한지 맞출 수 있는 확률은 무작위로 선택할 확률과 무시할 수 있는 차이만을 갖는다.
<해시값>
표면지문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해시함수로 변환하여 해시(Hash)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해시 알고리즘은 해시함수를 구성하기 위한 방법인데, 해시 알고리즘은 결정론적 알고리즘으로 원본 데이터가 조금이라도 다를 경우 결과값도 달라진다. 단, 원본 메시지를 알고 있는 경우 암호문을 생성하는 것은 빠르고 쉽게 처리된다. 해시함수의 필수적 요소로는 역상 저항성, 제 2 역상 저항성, 충돌 저항성이 있으며 이를 통해 해시는 입력값을 수정하는 공격이나 해시만으로 원본을 찾기 어렵거나 다른 입력값에 대해 동일한 입력값을 찾는 것이 어렵도록 보장된다. 단 해시 알고리즘의 형태에 따라 각 요소 간 차이가 발생할 수는 있다. 표면지문에 대한 무결성을 검증하는 방법은 암호학적으로 안전한 일방향 해시함수(One Way Hash Function)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며, 해시함수는 디지털 서명, 메시지 인증 코드 등 정보보호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해시함수를 이용하여 무결성을 검증하는 과정은 이하 표 3과 같을 수 있다.
표면지문 →전송→ 표면지문
해시함수 해시함수
해시코드 해시코드
└→ 비교 ←┘
<해시함수 반복>
해시함수의 반복원리는 MD(Merkle-Damgard) 혹은 도메인 확장이나 운영 모드라고도 한다. 고정된 입출력 크기를 갖는 함수를 이용하여 임의의 입력을 다루는 해시함수를 구성하는 방법이다. 여기서, 고정된 입출력 크기를 갖는 함수를 압축함수라 한다. 압축함수가 충돌 저항성을 가질 경우 MD 방식으로 구성된 해시함수도 적절한 패딩(Padding)을 사용함을 전제로 충돌 저항성을 동일하게 가져갈 수 있다 여기서, 메시지는 짧은 메시지 블록으로 분해되며, 이 후 한 번에 하나씩 설계된 압축함수를 직렬로 연결하여 메시지 블록을 순차적으로 처리한다. 패딩의 경우 주어진 메시지에 일정 패딩 블록을 추가하는 형태로 MD-Strengthening 라고 불리며, SHA-1의 경우 이를 적용하면, 일반적으로 메시지의 맨 끝에 반드시 1을 붙인 후 0을 연접하여 전체 블록이 압축함수의 메시지 블록길이의 배수가 되도록 처리한다. 여기서, 나머지 64비트는 메시지의 길이로 채우는데, 출력 직전에 메시지의 길이가 추가된다. 이 같은 원리를 통해 해시는 고정된 출력 값을 가지면서 다른 입력값에 같은 출력값이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SHA>
SHA(Secure Hash Algorithm)는, TLS, SSL, PGP, SSH, IPSec 등 많은 보안 프로토콜과 프로그램에서 사용되었는데, 취약점이 발견된 이후 SHA-256으로 교체되었다. 현재 표준인 SHA-256은 다른 SHA-2 패밀리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나 64 라운드의 해시연산을 수행하며 연산결과로 출력되는 값은 256비트의 고정된 값을 출력하며, 이를 메시지 다이제스트라 한다. SHA-1 및 SHA-2까지는 블록이나 반복의 차이가 있을 뿐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지만, SHA-256은 압축을 기반으로 8 개의 32비트를 업데이트 하며 그에 따른 상태변수가 존재하고, 업데이트를 총 64번 반복하는 형태로 메시지 다이제스트를 완성한다. 단계 변환을 위한 비트 불리언 함수인 fmaj와 fIF, 두 개의 선형 함수(Σ)가 등장하며 이를 통해 값을 변경하고 압축을 수행한다. 여기서, ROTR은 x를 n 위치만큼 오른쪽으로 비트회전 하는 것이다.
Figure 112023025201616-pat00002
전체적으로, i 번째 단계는 고정된 상수 Ki와 Wi를 사용하며, Wi는 이전에 생성된 메시지로 값을 취할 수 있다. 이 과정을 통해 어떤 길이의 입력값이 들어와도 동일한 메시지 다이제스트를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은 표면지문을 기준으로 설명했으나, 표면지문 내 실사 이미지 및 인공 이미지 외에도, 수치지문에 대응하는 이미지 등 다양한 이미지에 대한 해시값을 생성할 수 있다.
단, 주의해야 할 점은 이미지에 기반한 해시값과, NFT의 해시값은 동음이의어라는 점이다. NFT의 해시값은 블록체인의 블록 내 헤더(Header)에 이전 블록(Previous Block) 크기 필드(Field)에는 현재 블록 이전의 블록 헤더 부분을 해시한 값이 저장되는데, 이는 상술한 이미지를 해시함수로 해싱한 결과인 해시와 명칭은 같지만 다른 값이므로, 이 둘은 같지 않음을 분명히 한다. 이때, 블록체인 내 블록의 구조 등은 공지기술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해시비교부(33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인증정보를 포함한 저장매체를 리딩 또는 스캔하는 경우, 인증정보 내 NFT의 해시값과 블록체인에 등록된 인증정보 내 NFT의 해시값을 비교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인증정보를 포함한 저장매체가 리딩 또는 스캔되는 경우, 인증정보 내 NFT의 해시값을 수신하고, 블록체인에 기 등록된 NFT의 해시값을 비교한 후 진위 확인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비교되는 값은 NFT가 저장된 블록체인 내 블록의 헤더 부분을 해시한 값이다. 이때, 저장매체는, 제품 내 삽입되거나 일체로 형성되고, 저장매체는, 근거리 무선통신(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기반 저장매체일 수 있고, 예를 들어, NFC 또는 RFID 태그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여기서, 저장매체는, 액티브(Active) 또는 패시브(Passive) 타입일 수 있다. 저장매체 내 상술한 해시함수 및 해시 알고리즘이 포함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액티브 타입으로, 프로그램이 구동될 수 있는 주제어장치, 전원, 메모리 등이 요구된다. 액티브 타입은 직접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타입이며, 패시브 타입은 데이터가 저장은 되어 있지만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다른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는 없다. 물론, 데이터가 저장되는 쓰기모드는 액티브 타입 및 패시브 타입 모두 가능하다. 이때, NFT의 해시값의 비교는, 저장매체 내 인증정보에 포함된 표면지문에 기하여 발행된 NFT의 해시값을, 블록체인에 등록된 NFT의 해시값과 비교함으로써, 저장매체가 가품인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지문비교부(340)는, 해시값의 비교의 결과가 동일이면 저장매체 내 표면지문 및 수치지문을, 블록체인에 등록된 표면지문 및 수치지문과, 순차적으로 비교할 수 있다. 이때, 저장매체 내 표면지문 및 수치지문을, 블록체인에 등록된 표면지문 및 수치지문과, 순차적으로 비교한다는 의미는, 저장매체 내 표면지문 및 수치지문을, 블록체인에 등록된 표면지문 및 수치지문의 이미지를 해시한 해시값을 비교한다는 의미이다. 그 이유는, 이미지 자체를 비교하는 것은 의미가 없기 때문에 표면지문 및 수치지문에 대한 해시값을 비교하는 것인데, 이미지 소유자가 여러 플랫폼에 동일한 이미지 파일을 다른 파일명으로 등록할 수 있고, 소스 이미지는 동일하고 이름만 다를 경우, 어느 것이 진품이고 희소성이 있는지 논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 다만, 특정 이름을 가진 이미지 중 어느 것이 처음이라는 것은 입증할 수 있기 때문에, 해시값을 이용해 제품의 진위를 구분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이미지 자체를 비교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출원인의 한국등록특허 제10-2411652호(2022년06월22일 공고)에 기재되어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도 4b 및 도 4c를 참조하면, 표면지문의 비교는, 제품의 실사 이미지의 표면지문이나, 제품의 인공 이미지의 실사 이미지 또는 인공 이미지의 표면지문을, 한 배 이상의 이미지 데이터로 생성하여 블록체인에 등록하고, 기 설정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CGH(Computer Generated Hologram) 패턴으로 변환한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매체에 저장한 후에, 사용자 단말(100)에서 저장매체 내 CGH 패턴에 대응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원본 이미지로 복귀시켜, 블록체인에 등록된 원본 이미지와 비교함으로써 동일여부를 검증할 수 있다.
수치지문의 비교는, 제품의 실사 이미지의 표면지문이나, 제품의 인공 이미지의 실사 이미지 또는 인공 이미지의 표면지문을, 한 배 이상의 이미지 데이터로 생성하고, 이미지 데이터 내 랜덤으로 적어도 하나의 노드(Node) 간을 잇는 링크(Link)가 교차(Cross)되도록 하고, 링크가 교차되면서 만든 교차각, 링크의 수평길이 및 링크의 수직길이 측정값을 오버레이(Overlay)하여 수치지문을 생성한 후 블록체인에 등록하고, 기 설정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CGH 패턴으로 변환한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매체에 저장한 후에, 사용자 단말(100)에서 저장매체 내 CGH 패턴에 대응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원본 이미지로 복귀시켜, 원본 이미지로부터 추출한 측정값을, 블록체인에 등록된 원본 이미지로부터 추출한 측정값과 비교함으로써 동일여부를 검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CGH 패턴에 대응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원본 이미지로 복귀시키기 위하여, 기 설정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CGH(Computer Generated Hologram) 패턴으로 변환한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매체에 저장한 후에, 사용자 단말(100)에서 저장매체 내 CGH 패턴에 내장된 암호화된 고유식별코드에 대응되는 수치지문의 이미지 데이터를 진위 확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후, 블록체인에 등록된 수치지문의 이미지 데이터와 비교검증할 수 있다. 제품의 인공 이미지의 인공 이미지의 표면지문은, 굴곡 질감형 표면에 이미지, 홀로그램, 패턴, 숫자, 문자, 도형, 선 및 일련번호를 합성하여 생산한 고유한 이미지이고, 제품의 인공 이미지의 실사 이미지의 표면지문은, 이미지, 홀로그램, 패턴, 숫자, 문자, 도형, 선 및 일련번호를 합성하여 실물의 질감형 재질면에 인쇄한 표면을 기반으로 생산한 고유한 이미지일 수 있다. 한 배 이상의 이미지 데이터는, NFT 이미지, 3D 이미지, CGH(Computer Generated Hologram) 이미지 및 X선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미지일 수 있다.
이때, DID연동부(38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발급사 단말(500)에 대한 신원인증을 거쳐 소스 이미지를 전송하면, 소스 이미지에 기한 인증토큰(Non-Fungible Token)을 발행한 후, 인증토큰을 검증하여 신원정보를 발행할 수 있다. DID연동부(38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진위 확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신원인증 등록절차를 통해 등록하면 진위 확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가 사용자 단말(100)로 고유 IP를 부여하고, 사용자 단말(100)에서 고유 IP를 이용하여 디지털 이미지를 진위 확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면, 진위 확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의 신원인증작업을 거친 후 디지털 이미지를 수신했다는 증표로 인공신원지문을 생성한 후,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의 신원정보, 디지털 이미지 및 인공신원지문이 패킹된 인증토큰을 발행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고, 적어도 하나의 다른 플랫폼으로부터 진위 확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인증토큰의 진위검증요청이 수신되면, 인증토큰 내 디지털 이미지의 해시값을, 블록체인에 기 등록된 인증토큰의 해시값과 비교하여 일치하면 인증토큰이 진품임을 확인하고, 진위 확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사용자 단말(100)의 신원인증을 확인해 블록체인에 등록했다는 증표로 발행된 인공신원지문의 인증토큰의 해시값이, 블록체인에 기 등록된 인공신원지문의 인증토큰의 해시값과 비교하여 일치하면,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의 신원정보가 유효한 것으로, DID 내 연동된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의 단말로 전파할 수 있다.
전송부(350)는, 지문의 비교의 결과인 진위 확인 결과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표면지문 및 수치지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출원인의 한국등록특허 제10-2120051호(2020년06월17일 공고)에 개시되어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표면지문>
표면지문은, 제품의 표면을 촬영한 실사 이미지 또는 제품의 표면을 기반으로 생성한 인공 이미지일 수 있다. 이때, 인공 이미지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홀로그램, 패턴, 숫자, 문자, 도형, 선 및 일련번호를 포함하는 인공객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인공객체를 랜덤으로 혼합한 후 실사 이미지에 합성하여 생성한 이미지일 수 있다. 그 외에도, 본 출원인의 선등록특허인 한국등록특허 제10-2120051호(2020년06월17일 공고)에 개시된 표면지문의 종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표면지문은, 적어도 하나의 투시조영기(Fluoroscopy), 홀로그래피 카메라 및 깊이(Depth)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제품의 표면을 3D 데이터로 생성한 후, 3D 데이터를 CGH(Computer Generated Hologram) 패턴으로 변환한 것일 수 있다. 그리고, 표면지문은, 제품의 표면을 한 배 이상으로 촬영한 촬영 이미지를 기 설정된 알고리즘으로 변형하여 복제를 방지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투시조영기는 예를 들어, 이동형 X-RAY 촬영기일 수 있다. 홀로그래피 카메라(또는 홀로그래픽 카메라)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수치지문>
제품의 표면 중 기 설정된 영역을 한 배 이상으로 촬영한 촬영 이미지 내, 랜덤으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노드(Node) 간을 잇는 링크(Link)가 교차(Cross)되도록 하고, 링크가 교차되면서 만든 교차각, 링크의 수평길이 및 링크의 수직길이를 표면지문에 오버레이(Overlay)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수치지문은, 적어도 하나의 투시조영기(Fluoroscopy) 또는 홀로그래피 카메라를 이용하여 제품의 표면을 한 배 이상으로 촬영한 촬영 이미지 내 기 설정된 영역의 깊이지도(Depth Map), 패턴, 너비, 길이 및 높이를 포함하는 영역 데이터를 저장하고, 영역 데이터를 표면지문에 워터마킹(WaterMarking)하거나, 깊이지도나 패턴을 홀로그램 콘텐츠로 제작한 결과물일 수 있다. 이때, 최근 KIST(한국과학기술연구원)에서 대형카메라 없이 스마트폰으로 3D 홀로그램을 촬영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는데, 홀로그래피 카메라는, 예를 들어 편광필터 없는 편광 이미지 센서를 이용한 카메라일 수 있으나, 역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홀로그램>
홀로그램은 기준이 되는 참조파와 물체에 반사된 물체파의 간섭으로 발생하는 프린지 패턴을 기록한 것으로, 복소평면(실수와 허수 또는 크기와 위상)의 2차원 데이터이지만 3차원의 영상정보를 담고 있다. 이 홀로그램 데이터를 디지털화한 것이 디지털 홀로그램(Digital Hologram, DH)이고, 두 파의 간섭현상을 수학적으로 모델링하여 연산하는 방식인 CGH(Computer Generated Hologram)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디지털 홀로그램은 초고부가기치의 콘텐츠이고, 이 콘텐츠를 유통하기 위해서는 콘텐츠의 변조, 복조, 위조 및 복제 등으로부터 지적재산권을 보호하는 것이 필수적이어서, 최근 디지털 워터마킹(Digital WaterMarking)이 주로 연구되고 있다. 워터마킹은 디지털 콘텐츠에 소유권자의 정보인 워터마크(WaterMark, WM))를 삽입하고, 필요시 그 정보를 추출하여 소유권을 주장하는 기술로, 주로 블라인드(Blind), 비가시성(Invisibility) 및 강인성(Robustness) 워터마킹이 사용된다.
네트워크는 원본 DH와 WM 각각의 전처리 네트워크, WM 삽입 부(Sub)네트워크, 공격 시뮬레이션, 그리고 WM 추출 네트워크로 구성된다. 이 방법은 WM의 해상도를 호스트 DH의 해상도로 키워 처리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도 이 네트워크를 홀로그램 워터마킹에 이용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딥러닝으로 DH의 워터마킹을 수행하는 딥 뉴럴 네트워크(Deep Neural Network, DNN)에 홀로그램의 특성을 고려한 손실함수의 구성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홀로그램 생성>
홀로그램은 복원(Reconstruction)시 이미지 품질이 가장 중요하다. 따라서 복원 품질을 보장하기 위하여 홀로그램의 비가시성을 위한 L1 손실함수와 WM의 추출을 위한 L2 이외에, 홀로그램의 복원 이미지 상에서의 비가시성을 위한 새로운 손실 함수항인 L3을 도입할 수 있다. WM 삽입부네트워크의 손실함수 L1은 비가시성을 위하여 수학식 3과 같이 원본 호스트 데이터(horg)와 WM된 호스트 데이터(hwnd) 간 MSE(Mean Square Error)로 설정한다. 여기서, M×N은 호스트 데이터의 해상도이다.
Figure 112023025201616-pat00003
손실함수 L2는 수학식 4와 같이 WM 전처리 부네트워크의 입력인 원본 워터마크(WMorg)와 WM 추출 부네트워크에서 추출된 워터마크(WMext) 간 MAE(Mean Absolute Error)로 설정한다. 여기서, X×Y는 워터마크의 해상도이다. ??
Figure 112023025201616-pat00004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램의 복원 성능을 위한 손실함수 L3은 홀로그램 복원 후의 비가시성을 위하여 수학식 5와 같이 원본 호스트 데이터를 복원한 복원 호스트 데이터(rorg)와 WM된 호스트 데이터를 복원한 WM 복원 호스트 데이터(rwmd) 간 MSE(mean square error)로 설정한다. 여기서, M×N은 호스트 데이터의 해상도이다.
Figure 112023025201616-pat00005
세 가지의 손실함수 중 L1과 L3을 이용하여 삽입 네트워크의 학습에, L2는 추출기 네트워크의 학습에 사용한다. 이렇게 세팅한 후, DNN의 학습 및 검증을 진행해야 하는데, JPEG Pleno가 제공하는 표준 데이터셋(DataSet)은 만들어진 방식과 기관에 따라 크게 세 가지(ERC, B-com, UBI)로 분류할 수 있다. 이로부터 총 46종류의 서로 다른 홀로그램 데이터가 제공되는데, 이 홀로그램들은 실수부와 허수부 그리고 컬러 영상의 R, G, B 채널로 구분하고, 이들을 무작위로 잘라내어 학습에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이용하는 경우, 워터마크의 비가시성, 공격에 대한 강인성, 워터마크 추출 시 호스트 정보를 사용하지 않는 Blind 워터마킹이 가능하다. 이 네트워크는 고주파 성분이 강한 DH의 특성을 감안하여 호스트 데이터를 축소하지 않고 워터마크 데이터를 확장하여 워터마크를 삽입할 수 있고, 홀로그램의 복원성능을 개선할 수 있으며, 다양한 종류와 강도의 공격에 강인하다. 물론, 상술한 방법을 이용하지 않는 것도 가능하며 다양한 방법이 이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해시변환부(360)는, NFT가 발행된 표면지문을 해시함수로 해시값으로 변환할 때, 공격에 취약하지 않도록 일방향 해시함수(One Way Hash Function) 또는 SHA-256을 이용하여 해시값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이때 해시함수는 이미지를 해싱하는 것으로 블록체인의 블록 내 헤더에 포함된 해시값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또, 일방향 해시함수 등은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중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분산저장부(370)는, 인증정보를 블록체인에 저장할 때 사물 분산신원증명인 사물 DID(Decentralized Identifier) API를 이용하여 저장하도록 하고, 사용자 단말(100)에서 인증정보를 검증하기 위해서 사물 DID 에이전트(Agent)를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물 DID API는 사물의 신원증명서비스를 위한 API일 수 있고, 사물 DID 에이전트(Agent)는, 사물의 DID를 사용자 단말(100)의 동의 하에 일시적으로 획득하거나 검증결과를 확인하는 에이전트일 수 있다. DID API를 제공하는 상용품을 이용할 수도 있는데, Luniverse, URACLE 등 다양하므로 실시예에 따라 선택하여 적용할 수도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에서 자체적으로 개발 및 서비스할 수도 있다.
이하, 상술한 도 2의 확인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에 따른 동작 과정을 도 3 및 도 4를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a) 진위 확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제조사 단말(400)로부터 인증정보 생성의뢰를 수신하면 발급사 단말(500)로 의뢰를 하거나, 제조사 단말(400)과 발급사 단말(500) 간 거래를 중개하거나, 본 발명의 플랫폼에서 직접 인증정보를 발급하는 경우, 제조사 단말(400)로부터 의뢰를 접수받는다. 그리고, (b)와 같이 제조사 단말(400)에서 인증정보가 생성되면 인증정보를 인증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인증정보를 블록체인에 등록한다. 또, 인증정보는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제품 내 삽입되거나 일체화되도록 형성된다. 이렇게 제품이 납품, 유통 및 거래되면 사용자 단말(100)에서 제품의 진위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제품 내 삽입된 저장매체를 스캔 또는 리딩하면, 저장매체, 예를 들어, NFC의 UID 정보를 수신하여 진위 확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저장된 NFC 태그의 UID 정보와 비교매칭을 통해 NFC 자체가 위조되지 않았는지를 확인한다.
그 다음, (c) 진위 확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저장매체 내 NFT에 패킹된 표면지문 및 수치지문의 해시값을, 블록체인에 등록된 표면지문 및 수치지문의 해시값을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그 다음 저장매체 내 CGH 패턴의 이미지 데이터를 표면지문으로 변환하여 블록체인에 등록된 표면지문과 비교하고, 일치하는 경우, 저장매체 내 CGH 패턴의 이미지 데이터를 수치지문으로 다시 변환 후, 수치지문으로부터 추출한 측정값과, 블록체인에 기 등록된 수치지문으로부터 추출한 측정값과 비교매칭을 함으로써 진위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인증정보와 NFT가 창작자가 지정한 최초의 소스 이미지(진품)인 것이 확인되면, 사용자 단말(100)의 DID 또는 사물 DID 시스템을 이용하여 소스 이미지를 창작한 원 작가의 신원정보를 소비자에게 제공하여 소비자가 표면지문의 제품 또는 작품을 누가 창작하였는지 확인할 수 있다.
타인이 NFC의 UID를 복제를 했다고 할지라도, NFT의 해시값이 등록된 순서로 NFT의 해시값이 원본인지의 여부를 파악할 수 있고, 표면지문을 완벽히 복제했다고 할지라도 (d)의 수치지문, 즉 표면의 수치적 특성을 반영한 지문까지는 랜덤성으로 인해 복제가능성으로 인하여 제로에 가까우므로, 이 모든 것을 순차적으로 검증할 경우 진위 확인의 정확성은 100%에 가까워지게 된다. 이 과정을 정리하면 도 4a와 같다.
이와 같은 도 2 내지 도 4의 표면지문, 수치지문 및 해시값을 이용한 제품의 진위 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표면지문, 수치지문 및 해시값을 이용한 제품의 진위 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표면지문, 수치지문 및 해시값을 이용한 제품의 진위 확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5를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5를 참조하면, 확인 서비스 제공 서버는, 발급사 단말로부터 인증정보를 수신하여 인증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S5100), 인증정보를 공개키와 함께 블록체인에 등록한다(S5200).
또, 확인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에서 인증정보를 포함한 저장매체를 리딩 또는 스캔하는 경우, 인증정보 내 NFT의 해시값과 블록체인에 등록된 인증정보 내 NFT의 해시값을 비교하고(S5300), 해시값의 비교의 결과가 동일이면 저장매체 내 표면지문 및 수치지문을, 블록체인에 등록된 표면지문 및 수치지문과, 순차적으로 비교한다(S5400).
그리고, 확인 서비스 제공 서버는, 지문의 비교의 결과인 진위 확인 결과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다(S5500).
상술한 단계들(S5100~S550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5100~S550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5의 표면지문, 수치지문 및 해시값을 이용한 제품의 진위 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표면지문, 수치지문 및 해시값을 이용한 제품의 진위 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표면지문, 수치지문 및 해시값을 이용한 제품의 진위 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면지문, 수치지문 및 해시값을 이용한 제품의 진위 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면지문, 수치지문 및 해시값을 이용한 제품의 진위 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7)

  1. 제품의 제품정보를 제공하는 제조사 단말;
    상기 제품의 고유식별코드, 제품의 표면특성에 따른 표면지문, 상기 표면지문을 수치화한 수치지문, 상기 표면지문에 기하여 발행된 NFT, 상기 제품의 제품정보, 상기 제품의 보증서 및 상기 제품의 보증서를 발급한 기관정보를 포함한 인증정보를 인증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발급사 단말;
    상기 인증정보를 포함한 저장매체가 리딩 또는 스캔되는 경우, 상기 인증정보 내 NFT의 해시값을 수신하고, 수신된 NFT의 해시값에 따른 진위 확인 결과를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발급사 단말로부터 인증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인증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인증정보를 공개키와 함께 블록체인에 등록하는 등록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인증정보를 포함한 저장매체를 리딩 또는 스캔하는 경우, 상기 저장매체의 가품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 상기 인증정보 내 NFT의 해시값과 상기 블록체인에 등록된 인증정보 내 NFT의 해시값을 비교하는 해시비교부, 상기 해시값의 비교의 결과가 동일이면 상기 저장매체 내 표면지문 및 수치지문을, 상기 블록체인에 등록된 표면지문 및 수치지문과, 순차적으로 비교하는 지문비교부, 상기 지문의 비교의 결과인 상기 진위 확인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 상기 NFT가 발행된 표면지문을 해시함수로 해시값으로 변환할 때, 공격에 취약하지 않도록 일방향 해시함수(One Way Hash Function) 또는 SHA-256을 이용하여 상기 해시값으로 변환하는 해시변환부, 상기 인증정보를 상기 블록체인에 저장할 때 사물 분산신원증명인 사물 DID(Decentralized Identifier) API를 이용하여 저장하도록 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인증정보를 검증하기 위해서 사물 DID 에이전트(Agent)를 이용하도록 하는 분산인증부를 포함하는 진위 확인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지문비교부는,
    상기 제품의 실사 이미지의 표면지문이나, 상기 제품의 인공 이미지의 실사 이미지 또는 인공 이미지의 표면지문을, 한 배 이상의 이미지 데이터로 생성하여 블록체인에 등록하고,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CGH(Computer Generated Hologram) 패턴으로 변환한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하고, 상기 인증정보를 포함한 저장매체가 리딩 또는 스캔되는 경우, 상기 저장매체 내 CGH 패턴에 대응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제품의 실사 이미지의 표면지문으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표면지문의 해시값과 상기 블록체인에 등록된 표면지문의 해시값을 비교하여 동일여부를 검증하며,
    상기 표면지문은,
    상기 제품의 표면을 한 배 이상으로 촬영한 실사 이미지 또는 상기 제품의 표면을 기반으로 생성한 인공 이미지이고, 적어도 하나의 투시조영기(Fluoroscopy), 홀로그래피 카메라 및 깊이(Depth)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제품의 표면을 3D 데이터로 생성한 후, 상기 3D 데이터를 CGH(Computer Generated Hologram) 패턴으로 변환한 후 복원한 것이고,
    상기 인공 이미지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홀로그램, 패턴, 숫자, 문자, 도형, 선 및 일련번호를 포함하는 인공객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상기 인공객체를 랜덤으로 혼합한 후 상기 실사 이미지에 합성하여 생성한 이미지이며,
    상기 수치지문은,
    상기 제품의 표면 중 기 설정된 영역을 한 배 이상으로 촬영한 촬영 이미지 내, 랜덤으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노드(Node) 간을 잇는 링크(Link)가 교차(Cross)되도록 하고, 상기 링크가 교차되면서 만든 교차각, 상기 링크의 수평길이 및 상기 링크의 수직길이를 상기 표면지문에 오버레이(Overlay)한 것이고,
    적어도 하나의 투시조영기(Fluoroscopy) 또는 홀로그래피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제품의 표면을 한 배 이상으로 촬영한 촬영 이미지 내 기 설정된 영역의 깊이지도(Depth Map), 패턴, 너비, 길이 및 높이를 포함하는 영역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영역 데이터를 상기 표면지문에 워터마킹(WaterMarking)하거나, 상기 깊이지도나 패턴을 홀로그램 콘텐츠로 제작한 결과물이며,
    상기 NFT의 해시값의 비교는,
    상기 저장매체 내 인증정보에 포함된 상기 표면지문 및 수치지문에 기하여 각각 발행된 NFT의 해시값을, 블록체인에 등록된 NFT의 해시값과 비교함으로써, 상기 저장매체가 가품인지의 여부를 확인하며,
    상기 수치지문의 비교는,
    상기 제품의 실사 이미지의 표면지문이나, 상기 제품의 인공 이미지의 실사 이미지 또는 인공 이미지의 표면지문을, 한 배 이상의 이미지 데이터로 생성하고, 상기 이미지 데이터 내 랜덤으로 적어도 하나의 노드(Node) 간을 잇는 링크(Link)가 교차(Cross)되도록 하고, 상기 링크가 교차되면서 만든 교차각, 상기 링크의 수평길이 및 상기 링크의 수직길이 측정값을 오버레이(Overlay)하여 수치지문을 생성한 후 블록체인에 등록하고, 기 설정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CGH 패턴으로 변환한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매체에 저장한 후에,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저장매체 내 CGH 패턴에 대응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원본 이미지로 복귀시켜, 상기 원본 이미지로부터 추출한 측정값을, 상기 블록체인에 등록된 원본 이미지로부터 추출한 측정값과 비교함으로써 동일여부를 검증하며,
    상기 CGH 패턴에 대응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원본 이미지로 복귀시키기 위하여, 기 설정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CGH(Computer Generated Hologram) 패턴으로 변환한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매체에 저장한 후에,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저장매체 내 CGH 패턴에 내장된 암호화된 고유식별코드에 대응되는 수치지문의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진위 확인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후, 블록체인에 등록된 수치지문의 이미지 데이터와 비교검증하며,
    상기 제품의 인공 이미지의 인공 이미지의 표면지문은,
    굴곡 질감형 표면에 이미지, 홀로그램, 패턴, 숫자, 문자, 도형, 선 및 일련번호를 합성하여 생산한 고유한 이미지이고,
    상기 제품의 인공 이미지의 실사 이미지의 표면지문은,
    이미지, 홀로그램, 패턴, 숫자, 문자, 도형, 선 및 일련번호를 합성하여 실물의 질감형 재질면에 인쇄한 표면을 기반으로 생산한 고유한 이미지이며,
    상기 한 배 이상의 이미지 데이터는,
    NFT 이미지, 3D 이미지, CGH(Computer Generated Hologram) 이미지 및 X선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지문, 수치지문 및 해시값을 이용한 제품의 진위 확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230029039A 2023-03-06 2023-03-06 표면지문, 수치지문 및 해시값을 이용한 제품의 진위 확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6644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9039A KR102664405B1 (ko) 2023-03-06 2023-03-06 표면지문, 수치지문 및 해시값을 이용한 제품의 진위 확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9039A KR102664405B1 (ko) 2023-03-06 2023-03-06 표면지문, 수치지문 및 해시값을 이용한 제품의 진위 확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4405B1 true KR102664405B1 (ko) 2024-05-10

Family

ID=91072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9039A KR102664405B1 (ko) 2023-03-06 2023-03-06 표면지문, 수치지문 및 해시값을 이용한 제품의 진위 확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440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0051B1 (ko) * 2019-11-11 2020-06-17 석인수 수치화된 표면지문을 포함한 제품의 물리적 특징정보 및 블록체인을 활용한 원본 인증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86031A (ko) * 2019-12-31 2021-07-08 주식회사 마일즈랩 블록체인 기반 원본 증명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전자 장치
KR102411652B1 (ko) * 2021-11-05 2022-06-22 석인수 Did 및 nft를 이용한 실물자산의 원본 인증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455412B1 (ko) * 2022-03-08 2022-10-17 주식회사 에스오씨 인비지블실링형 nft 이미지 거래 활성화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0051B1 (ko) * 2019-11-11 2020-06-17 석인수 수치화된 표면지문을 포함한 제품의 물리적 특징정보 및 블록체인을 활용한 원본 인증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86031A (ko) * 2019-12-31 2021-07-08 주식회사 마일즈랩 블록체인 기반 원본 증명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전자 장치
KR102411652B1 (ko) * 2021-11-05 2022-06-22 석인수 Did 및 nft를 이용한 실물자산의 원본 인증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455412B1 (ko) * 2022-03-08 2022-10-17 주식회사 에스오씨 인비지블실링형 nft 이미지 거래 활성화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04008B2 (en) Data verification
CN105024824B (zh) 基于非对称加密算法的可信标签的生成与验证方法及系统
Wong et al. Secret and public key image watermarking schemes for image authentication and ownership verification
AU2012345478B2 (en) A method of generation and transmission of secure tokens based on tokens generated by TRNG and split into shares and the system thereof
CN103679436A (zh) 一种基于生物信息识别的电子合同保全系统和方法
Anand et al. Joint watermarking-encryption-ECC for patient record security in wavelet domain
Malik et al. Novel authentication system using visual cryptography
CN107395581A (zh) 二维码生成及读取方法、装置、系统、设备和存储介质
CN102799990A (zh) 基于pki的双二维码产品防伪方案
CN113761578A (zh) 一种基于区块链的文书验真方法
KR102664405B1 (ko) 표면지문, 수치지문 및 해시값을 이용한 제품의 진위 확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
JP4105583B2 (ja) 無線タグセキュリティ拡張方法,id管理コンピュータ装置,代理サーバ装置,それらのプログラムおよびそれらのプログラムの記録媒体
O'Ruanaidh et al. Secure robust digital image watermark
Eldefrawy et al. Banknote validation through an embedded RFID chip and an NFC-enabled smartphone
CN113722749A (zh) 基于加密算法的区块链baas服务的数据处理方法及装置
JP4923388B2 (ja) 内容証明システム
CN106487495B (zh) 基于整数混沌的轻量级rfid认证方法
Tang et al. Fragile watermarking based proofs of retrievability for archival cloud data
Navale et al. M-Banking Security-a futuristic improved security approach
KR102589792B1 (ko) 연쇄상호보증 기반 전자공증 서비스 제공 시스템
Penubadi et al. Sustainable electronic document security: a comprehensive framework integrating encryption, digital signature and watermarking algorithms
Jiang et al. A Distributed Secret Sharing Method with QR Code Based on Information Hiding
Sarkar et al. Blockchain-based authenticable (k, n) multi-secret image sharing scheme
Vivek et al. Enhancing the Security of Aadhar Cards using Blockchain and Steganography
CN102841991A (zh) 持有人认证系统及其终端、认证图像分解装置及生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