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4169B1 - Active patch panel capable of setting inter-floor path of ethernet signals and integrated data distribution system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ctive patch panel capable of setting inter-floor path of ethernet signals and integrated data distribution system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4169B1
KR102664169B1 KR1020240026353A KR20240026353A KR102664169B1 KR 102664169 B1 KR102664169 B1 KR 102664169B1 KR 1020240026353 A KR1020240026353 A KR 1020240026353A KR 20240026353 A KR20240026353 A KR 20240026353A KR 102664169 B1 KR102664169 B1 KR 1026641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subscriber
output
output uni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2635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인수
우윤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혜성테크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혜성테크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혜성테크윈
Priority to KR1020240026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416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4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4169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001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using optical switching
    • H04Q11/0005Switch and router asp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0Current supply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10Packet switch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switching fabric construction
    • H04L49/101Packet switch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switching fabric construction using crossbar or matri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25Routing or path finding in a switch fabric
    • H04L49/253Routing or path finding in a switch fabric using establishment or release of connections between 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13Patch panels for monitoring, interconnecting or testing circuits, e.g. patch bay, patch field or jack field; Patching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18Electrical details
    • H04Q1/20Testing circuits or apparatus; Circuits or apparatus for detecting, indicating, or signalling faults or troub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001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using optical switching
    • H04Q11/0062Network aspects
    • H04Q11/0067Provisions for optical access or distribution networks, e.g. Gigabit Ethernet Passive Optical Network (GE-PON), ATM-based Passive Optical Network (A-PON), PON-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001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using optical switching
    • H04Q11/0005Switch and router aspects
    • H04Q2011/0052Interconnection of switches
    • H04Q2011/0058Crossbar; Matri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001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using optical switching
    • H04Q11/0062Network aspects
    • H04Q2011/0079Operation or maintenance aspects
    • H04Q2011/0083Testing; Monit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 회선을 단말장치에 연결하는 패치 패널 및 데이터 배선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더넷 신호의 층간 경로 설정이 가능한 능동형 패치 패널은 이더넷 서비스의 공급자측에 연결되는 광단자(11), 전기단자(13) 또는 SFP 단자를 구비하여 광신호 또는 전기신호를 송수신하는 공급자측 입출력부(10); 이더넷 서비스의 가입자측에 연결되는 광단자(21), 110단자(23) 또는 SFP 단자를 구비하여 댁내 아웃렛까지 광신호 또는 전기신호를 전달하는 가입자측 입출력부(20); 상기 공급자측 입출력부(10)의 특정 단자(11, 13)에서 전달된 광신호나 전기신호를 상기 가입자측 입출력부(20)의 특정 단자(21, 23)에 물리적으로 전달하거나 상기 공급자측 입출력부(10)의 특정 단자(11, 13)에서 전달된 광신호나 전기신호를 다른 공급자측 입출력부(10)의 특정 단자(11, 13)에 또는 상기 가입자측 입출력부(20)의 특정 단자(21, 23)에서 전달된 광신호나 전기신호를 다른 가입자측 입출력부(20)의 특정 단자(21, 23)에 물리적으로 전달하는 교차-연결 매트릭스 스위치부(30); 상기 공급자측 입출력 단자(11, 13)와 가입자측 입출력 단자(21, 23), 상기 공급자측 입출력 단자(11, 13)와 다른 공급자측 입출력 단자(11, 13) 또는 상기 가입자측 입출력 단자(21, 23)와 다른 가입자측 입출력 단자(21, 23)를 연결하는 명령을 수행하는 제어부(40) 및 상기 공급자측 입출력부(10), 가입자측 입출력부(20), 교차-연결 매트릭스 스위치부(30), 제어부(4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50)로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tch panel and a data wiring board system for connecting a data line to a terminal device. The active patch panel capable of setting an inter-layer path for an Ethernet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ptical terminal (11) connected to the provider of the Ethernet service, A supplier-side input/output unit (10) equipped with an electrical terminal (13) or an SFP terminal to transmit and receive optical or electrical signals; A subscriber-side input/output unit (20) that is provided with an optical terminal (21), a 110 terminal (23), or an SFP terminal connected to the subscriber side of the Ethernet service and transmits an optical signal or an electric signal to an in-house outlet; The optical signal or electric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pecific terminals 11 and 13 of the supplier's input/output unit 10 is physically transmitted to the specific terminals 21 and 23 of the subscriber's input and output unit 20, or the supplier's input and output unit 20 is transmitted. The optical signal or electric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pecific terminals 11 and 13 of the unit 10 is transmitted to the specific terminals 11 and 13 of the other supplier's input/output unit 10 or to the specific terminal of the subscriber's input/output unit 20. A cross-connection matrix switch unit (30) that physically transfers the optical or electrical signals transmitted from (21, 23) to specific terminals (21, 23) of the other subscriber's input/output unit (20); The supplier-side input/output terminals (11, 13) and the subscriber-side input/output terminals (21, 23), the supplier-side input/output terminals (11, 13) and other supplier-side input/output terminals (11, 13), or the subscriber-side input/output terminal (21) , 23) and a control unit 40 that performs a command for connecting other subscriber-side input/output terminals 21, 23, the provider-side input/output unit 10, the subscriber-side input/output unit 20, and a cross-connection matrix switch unit ( 30) and a power supply unit 50 that supplies power to the control unit 40.

Description

이더넷 신호의 층간 경로 설정이 가능한 능동형 패치 패널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배선반 시스템 {ACTIVE PATCH PANEL CAPABLE OF SETTING INTER-FLOOR PATH OF ETHERNET SIGNALS AND INTEGRATED DATA DISTRIBUTION SYSTEM USING THE SAME}Active patch panel capable of setting inter-floor paths for Ethernet signals and data wiring board system using the same {ACTIVE PATCH PANEL CAPABLE OF SETTING INTER-FLOOR PATH OF ETHERNET SIGNALS AND INTEGRATED DATA DISTRIBUTION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통신 선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데이터 회선을 단말장치에 연결하는 패치 패널 및 데이터 배선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munication line system, and more specifically to a patch panel and data wiring board system that connects a data line to a terminal device.

배선반의 국어사전의 정의는 전화 교환국에서 전화 선로를 전화기에 연결하기 전에 우선 통제하기 위하여 달아 놓은 장치인데, 일반적으로는 데이터나 전화 등 제반 통신 선로를 제어하여 단말장치에 데이터나 음성 신호를 전달하는 장치의 의미로 사용된다.The definition of a wiring board in the Korean dictionary is a device installed at a telephone exchange office to control telephone lines before connecting them to phones. In general, it controls all communication lines such as data or telephones and transmits data or voice signals to terminal devices. It is used in the sense of a device.

이러한 배선반 시스템은 규모가 큰 회사나 고층 아파트와 같이 다수의 단말장치가 있는 경우 주 배선반(Main Distribution Frame)이 복수 개의 중간 배선반(Intermediate Distribution Frame)에 연결되고, 중간 배선반이 각 단말장치에 연결되는 구조인 경우가 일반적이다.In this wiring board system, when there are a large number of terminal devices, such as in a large company or high-rise apartment, the main distribution frame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intermediate distribution frames, and the intermediate distribution frame is connected to each terminal device. Structure is common.

도 1은 종래의 배선반 시스템의 구성도로서, 종래의 배선반 시스템은 주로 지하에 위치하는 주 배선반(1) 및 건물의 각 층에 위치하는 중간 배선반(2)으로 구성된다. 주 배선반(1)은 이더넷 등 데이터 통신에 관여하는 데이터 주 배선반(3)과 전화 통화에 관여하는 음성 주 배선반(4)을 포함하고, 중간 배선반(2)은 댁내에 데이터 통신을 제공하는 패치 패널(5)과 댁내에 전화 통화를 제공하는 110 블럭(6)을 포함하여, 데이터 주 배선반(3)에서 네트워크 스위치(7)까지는 광케이블을 통해 이더넷 광신호를 전달하고, 네트워크 스위치(7)에서 패치 패널(5)까지는 UTP 패치 케이블로 수동 절체하여 연결하며, 패치 패널(5)에서 댁내 단말장치(8)까지는 UTP 케이블을 통해 이더넷 신호를 전달한다. 그리고 전화의 경우 음성 주 배선반(4)에서 110 블럭(6)을 경유하여 점퍼 케이블로 수동 절체하여 연결하고 출력110 블럭(6)에서 댁내 전화기(8-1)까지 전체 경로가 UTP 케이블로 연결된다.Figure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onventional wiring board system. The conventional wiring board system consists of a main wiring board 1 mainly located in the basement and an intermediate wiring board 2 located on each floor of the building. The main wiring board (1) includes a main data wiring board (3) involved in data communication such as Ethernet and a main voice wiring board (4) involved in phone calls, and the intermediate wiring board (2) is a patch panel that provides data communication within the house. Including (5) and the 110 block (6) that provides telephone calls within the house, Ethernet optical signals are transmitted through optical cables from the main data distribution board (3) to the network switch (7), and the patch is transmitted from the network switch (7). The panel (5) is connected by manual switching using a UTP patch cable, and the Ethernet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patch panel (5) to the in-house terminal device (8) through a UTP cable. And in the case of a telephone, it is connected by manual switching with a jumper cable from the main voice wiring board (4) via the 110 block (6), and the entire path from the output 110 block (6) to the home phone (8-1) is connected with a UTP cable. .

그런데 종래의 배선반 시스템에서는 데이터 주 배선반(2)과 댁내 단말장치(8)까지 이더넷 신호 전송 경로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UTP 패치 코드(9)로 네트워크 스위치(7)의 이더넷 출력 단자(7-1)를 패치 패널(5)의 어떤 이더넷 입력 단자(5-1)와 연결하는 지로 결정되기 때문에 고장이나 이사, 기타 여하한 사유로 결선을 변경하는 경우 작업자가 직접 패치 패널(5)에 접근하여 수동 패치 변경 작업을 통해 이더넷 출력 단자(7-1)-이더넷 입력 단자(5-1) 연결을 변경해야 하고, 단자 변경이 반영된 패치 코드 관리 대장{네트워크 스위치(7)의 이더넷 출력 단자(7-1)와 패치 패널(5)의 이더넷 입력 단자(5-1)가 패치 코드(9)로 연결된 상태를 기록한 것}을 작성 및 보관하여야 하는 유지보수의 불편함이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wiring board system, the Ethernet signal transmission path from the main data wiring board (2) to the in-house terminal device (8) is connected to the Ethernet output terminal (7) of the network switch (7) using a UTP patch cord (9), as shown in FIG. Since it is determined by which Ethernet input terminal (5-1) of the patch panel (5) is connected to -1), if the wiring is changed due to a breakdown, moving, or any other reason, the worker must directly access the patch panel (5). Therefore, the Ethernet output terminal (7-1) - Ethernet input terminal (5-1) connection must be changed through manual patch change work, and the patch code management ledger reflecting the terminal change {Ethernet output terminal (7) of the network switch (7) -1) and a record of the state in which the Ethernet input terminal (5-1) of the patch panel (5) is connected to the patch cord (9)}. There is an inconvenience in maintenance as it must be created and stored.

도 3은 종래의 통합 배선반 시스템에서 패치 코드 결선 초기(왼쪽)와 운영 중 상황(오른쪽)의 사진으로, 혹여 패치 코드 관리 대장이 분실되거나 판독이 불가능해지는 경우 패치 코드 결선 상태를 알 수 없어 패치 코드가 이더넷 출력 단자(7-1)와 패치 패널(5)을 어떻게 연결하고 있는지 일일이 확인해야 하기 때문에 막대한 시간과 인력이 요구된다.Figure 3 is a picture of the initial patch cord wiring (left) and the situation during operation (right) in a conventional integrated wiring board system. If the patch cord management ledger is lost or becomes unreadable, the patch cord wiring status is unknown and the patch cord is damaged. Because it is necessary to check one by one how the Ethernet output terminal (7-1) and the patch panel (5) are connected, a huge amount of time and manpower are required.

또 다른 데이터 배선반 시스템에 연결된 공급자 또는 가입자 간 연결, 예를 들면 건물의 1개 층에 있는 데이터 배선반 시스템에 연결되어 있는 공급자와 건물의 다른 층에 있는 데이터 배선반 시스템에 연결되어 있는 가입자 간 또는 건물의 다른 층에 있는 공급자 간, 가입자 간 연결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A connection between a provider or a subscriber connected to another data closet system, for example between a provider connected to a data closet system on one floor of a building and a subscriber connected to a data closet system on another floor of a building or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connect between providers and subscribers on different floors.

KR 10-1905583 B1 (2018. 10. 1.)KR 10-1905583 B1 (2018. 10. 1.)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원격에서 광 및 이더넷 신호의 전송 경로의 변경이 가능하고, 경로 설정 상황을 파악할 수 있고, 복수 개의 데이터 배선반 시스템 간 연결이 가능하여 특정 데이터 배선반 시스템에 연결된 공급자와 다른 데이터 배선반 시스템에 연결된 가입자 또는 특정 데이터 배선반 시스템에 연결된 가입자와 다른 데이터 배선반 시스템에 연결된 가입자 간 경로 설정이 가능한 데이터 배선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motely change the transmission path of optical and Ethernet signals, determine the path setting situation, and provide a plurality of data wiring board systems. The aim is to provide a data distribution board system that allows interconnection between providers connected to a specific data distribution board system and subscribers connected to another data distribution system, or routes between subscribers connected to a specific data distribution system and subscribers connected to another data distribution system.

본 발명에 따른 이더넷 신호의 층간 경로 설정이 가능한 능동형 패치 패널은 이더넷 서비스의 공급자측에 연결되는 광단자, 전기단자 또는 SFP 단자를 구비하여 광신호 또는 전기신호를 송수신하는 공급자측 입출력부; 이더넷 서비스의 가입자측에 연결되는 광단자, 110단자 또는 SFP 단자를 구비하여 댁내 아웃렛까지 광신호 또는 전기신호를 전달하는 가입자측 입출력부; 상기 공급자측 입출력부의 특정 단자에서 전달된 광신호나 전기신호를 상기 가입자측 입출력부의 특정 단자에 물리적으로 전달하거나 상기 공급자측 입출력부의 특정 단자에서 전달된 광신호나 전기신호를 다른 공급자측 입출력부의 특정 단자에 또는 상기 가입자측 입출력부의 특정 단자에서 전달된 광신호나 전기신호를 다른 가입자측 입출력부의 특정 단자에 물리적으로 전달하는 교차-연결 매트릭스 스위치부; 상기 공급자측 입출력 단자와 가입자측 입출력 단자, 상기 공급자측 입출력 단자와 다른 공급자측 입출력 단자 또는 상기 가입자측 입출력 단자와 다른 가입자측 입출력 단자를 연결하는 명령을 수행하는 제어부 및 상기 공급자측 입출력부, 가입자측 입출력부, 교차-연결 매트릭스 스위치부,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로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An active patch panel capable of setting an inter-layer path for Ethernet sign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put/output unit on the supplier side that transmits and receives optical or electric signals by providing an optical terminal, an electric terminal, or an SFP terminal connected to the supplier side of the Ethernet service; A subscriber-side input/output unit equipped with an optical terminal, 110 terminal, or SFP terminal connected to the subscriber side of the Ethernet service, and transmits optical or electrical signals to an in-house outlet; Physically transmits the optical signal or electrical signal transmitted from a specific terminal of the supplier-side input/output unit to a specific terminal of the subscriber-side input/output unit, or transmits the optical signal or electrical signal transmitted from a specific terminal of the supplier-side input/output unit to a specific terminal of the subscriber-side input/output unit A cross-connection matrix switch unit that physically transmits an optical signal or an electric signal transmitted to a terminal or a specific terminal of the subscriber input/output unit to a specific terminal of another subscriber input/output unit; A control unit that performs a command to connect the supplier-side input/output terminal and the subscriber-side input/output terminal, the supplier-side input/output terminal and another supplier-side input/output terminal, or the subscriber-side input/output terminal and another subscriber-side input/output terminal, the supplier-side input/output unit, and the subscriber. Its technical feature is that it consists of a side input/output unit, a cross-connection matrix switch unit, and a power supply unit that supplies power to the control unit.

본 발명에 따른 이더넷 신호의 층간 경로 설정이 가능한 능동형 패치 패널을 이용한 데이터 배선반 시스템은 단말장치가 연결된 노드의 중심에 구비되어 광역 네트워크와 상기 노드 간 데이터 통신을 라우팅하는 백본 스위치; 광입력 포트와 광출력 포트를 구비하여, 특정 광입력 포트와 특정 광출력 포트 사이에 광경로를 형성하는 제1 광분배함; 상기 백본 스위치와 제1 광분배함의 성능과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네트워크 관리 장치로 구성되는 주 배선반 및 광입력 포트와 광출력 포트를 구비하여, 상기 주 배선반에서 전달된 광신호를 광스위치와 이더넷 스위치에 전달하는 제2 광분배함; 상기 광스위치와 이더넷 스위치에서 입력되는 광신호 또는 이더넷 전기신호를 특정 댁내 아울렛까지 물리적 회선을 구성하여 연결하는 본 발명에 따른 이더넷 신호의 층간 경로 설정이 가능한 능동형 패치 패널로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The data wiring board system using an active patch panel capable of setting an inter-layer path for Ethernet sign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ckbone switch provided at the center of a node to which a terminal device is connected and routing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wide area network and the nodes; a first optical distribution box having an optical input port and an optical output port, forming an optical path between a specific optical input port and a specific optical output port; It is equipped with a main wiring board consisting of a network management device that monitors the performance and status of the backbone switch and the first optical distribution box, and an optical input port and an optical output port, and transmits the optica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ain wiring board to the optical switch and the Ethernet switch. a second optical distribution box transmitting light; The technical feature is that it consists of an active patch panel capable of setting an inter-floor path for the Ethernet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connects the optical signal or Ethernet electrical signal input from the optical switch and the Ethernet switch to a specific in-house outlet by forming a physical line. .

본 발명에 따른 이더넷 신호의 층간 경로 설정이 가능한 능동형 패치 패널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배선반 시스템은 중간 배선반의 광스위치나 이더넷 스위치, 댁내 아울렛에 연결되는 UTP 케이블의 결선 변경 없이 전기적으로 중간 배선반에서 댁내 단말장치에 이르는 신호 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An active patch panel capable of setting an inter-floor path for Ethernet sign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data wiring board system using the same can be used to electrically connect an in-house terminal device from an intermediate wiring board without changing the wiring of the optical switch or Ethernet switch of the intermediate wiring board or the UTP cable connected to an in-house outlet. You can set up a signal path leading to .

또 각 신호 경로가 전기적으로 직접 연결되므로 해킹에 대해 안전하고, 본 발명에 따른 이더넷 신호의 층간 경로 설정이 가능한 능동형 패치 패널의 상태를 모니터링함으로써 신호 경로 설정 상태를 쉽고 빠르게 파악할 수 있어 광케이블 또는 전선케이블의 선번 관리 대장을 유지할 필요가 없다.In addition, since each signal path is directly connected electrically, it is safe against hacking, and by monitoring the state of the active patch panel that can set the inter-layer path of the Ethernet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ignal path setting status can be easily and quickly determined, so that the optical cable or wire cable There is no need to maintain a line number management ledger.

또 본 발명에 따른 이더넷 신호의 층간 경로 설정이 가능한 데이터 배선반 시스템은 복수 개의 데이터 배선반 시스템을 연결하여 하나의 데이터 배선반 시스템처럼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ata wiring board system capable of setting an inter-layer path for Ethernet sign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one data wiring board system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data wiring board systems.

도 1은 종래의 배선반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배선반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스위치와 패치 패널의 결선도
도 3은 종래의 통합 배선반 시스템에서 패치 코드 결선 초기와 운영 중 상황의 사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더넷 신호의 층간 경로 설정이 가능한 능동형 패치 패널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더넷 신호의 층간 경로 설정이 가능한 능동형 패치 패널의 전면과 후면
도 6은 UTP 케이블의 전선이 110단자에 삽입 결선된 이미지
도 7은 교차-연결 매트릭스 스위치부의 구성도
도 8은 입력과 출력이 모두 광신호인 경우 교차-연결 매트릭스 스위치부가 연결된 구조도
도 9는 입력과 출력이 모두 전기신호인 경우 교차-연결 매트릭스 스위치부가 연결된 구조도
도 10은 교차-연결 매트릭스 회로가 동작하는 원리를 도시한 개념도
도 11 내지 도 14는 교차-연결 매트릭스 스위치부에서 발생되는 4가지 스위칭에 의한 회선 연결 상태도
도 15는 교차-연결 매트릭스 스위치부와 가입자측 입출력 단자 사이에 스위칭 소자가 더 구비된 실시형태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배선반 시스템의 구성도
도 17은 광 이더넷 신호가 입출력되는 본 발명에 따른 이더넷 신호의 층간 경로 설정이 가능한 데이터 배선반 시스템의 예시도
도 18은 전기 이더넷 신호가 입출력되는 본 발명에 따른 이더넷 신호의 층간 경로 설정이 가능한 데이터 배선반 시스템의 예시도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nventional wiring board system.
Figure 2 is a wiring diagram of a network switch and patch panel in a conventional wiring board system.
Figure 3 is a photograph of the initial and operational situation of patch cord wiring in a conventional integrated wiring board system.
Figure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active patch panel capable of setting an interlayer path for Ethernet sign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shows the front and back of an active patch panel capable of setting an inter-layer path for Ethernet sign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image of the wire of the UTP cable being inserted and connected to terminal 110.
Figure 7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ross-connection matrix switch unit
Figure 8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cross-connection matrix switch unit connected when both input and output are optical signals.
Figure 9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cross-connection matrix switch unit connected when both input and output are electrical signals.
Figure 10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principle of operation of the cross-connection matrix circuit.
Figures 11 to 14 are line connection state diagrams by four types of switching occurring in the cross-connection matrix switch unit.
Figure 15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a switching element is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cross-connection matrix switch unit and the subscriber-side input/output terminal.
Figure 16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data wiring board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7 is an example of a data wiring board system capable of setting an inter-layer path for Ethernet sign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which optical Ethernet signals are input and output.
Figure 18 is an example of a data wiring board system capable of setting an inter-layer path for Ethernet sign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which electric Ethernet signals are input and output.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이더넷 신호의 층간 경로 설정이 가능한 능동형 패치 패널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배선반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active patch panel capable of setting an inter-layer path for Ethernet sign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data wiring board system us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더넷 신호의 층간 경로 설정이 가능한 능동형 패치 패널의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더넷 신호의 층간 경로 설정이 가능한 능동형 패치 패널의 전면과 후면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이더넷 신호의 층간 경로 설정이 가능한 능동형 패치 패널은 공급자측 입출력부(10), 가입자측 입출력부(20), 교차-연결 매트릭스 스위치부(30), 제어부(40) 및 전원부(50)로 구성된다.Figure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active patch panel capable of setting an inter-layer path of an Ethernet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5 shows the front and back of an active patch panel capable of setting an inter-layer path of an Ethernet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ctive patch panel capable of setting an inter-layer path for Ethernet sign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lier-side input/output unit (10), a subscriber-side input/output unit (20), a cross-connection matrix switch unit (30), a control unit (40), and a power unit (50). ) is composed of.

공급자측 입출력부(10)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더넷 서비스의 공급자측에 연결되는 광단자(11), RJ-45와 같은 전기단자(13) 또는 SFP 단자를 구비하여 광신호 또는 전기신호를 송수신하는 구성요소이다. SFP 단자를 구비하는 경우 SFP 단자에 광 SFP 모듈 또는 구리 SFP 모듈을 삽입하여 광단자(11) 또는 전기단자(13)가 구비된 것처럼 사용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5(a), the supplier's input/output unit 10 is provided with an optical terminal 11, an electrical terminal 13 such as RJ-45, or an SFP terminal connected to the supplier of the Ethernet service to receive an optical signal or It is a component that transmits and receives electrical signals. When an SFP terminal is provided, an optical SFP module or a copper SFP module can be inserted into the SFP terminal and used as if an optical terminal 11 or an electrical terminal 13 is provided.

가입자측 입출력부(20)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더넷 서비스의 가입자측에 연결되는 광단자(21), 110단자(23) 또는 SFP 단자를 구비하여 댁내 아웃렛까지 광신호 또는 전기신호를 전달하는 구성요소이다. 가입자측 입출력부(20)에 SFP 단자가 구비되는 경우의 사용 방법은 공급자측 입출력부(10)의 경우와 같다. 110단자(23)는 종래의 110 블럭(6)의 출력단 부분을 지칭하는 것으로, 도 6과 같이 UTP 케이블의 전선이 110단자(23)에 삽입되어 댁내 아웃렛까지 선로를 형성한다.As shown in FIG. 5(b), the subscriber-side input/output unit 20 is provided with an optical terminal 21, a 110 terminal 23, or an SFP terminal connected to the subscriber side of the Ethernet service, and transmits an optical or electrical signal to an outlet in the home. It is a component that transmits . When the subscriber's input/output unit 20 is equipped with an SFP terminal, the method of use is the same as that of the provider's input/output unit 10. The 110 terminal 23 refers to the output terminal portion of the conventional 110 block 6. As shown in Figure 6, the wire of the UTP cable is inserted into the 110 terminal 23 to form a line to the in-house outlet.

교차-연결 매트릭스 스위치부(30)는 공급자측 입출력부(10)의 특정 단자(11, 13)에서 전달된 광신호나 전기신호를 가입자측 입출력부(20)의 특정 단자(21, 23)에 물리적으로 전달하거나 공급자측 입출력부(10)의 특정 단자(11, 13)에서 전달된 광신호나 전기신호를 다른 공급자측 입출력부(10)의 특정 단자(11, 13)에 또는 가입자측 입출력부(20)의 특정 단자(21, 23)에서 전달된 광신호나 전기신호를 다른 가입자측 입출력부(20)의 특정 단자(21, 23)에 물리적으로 전달하는 구성요소로서, 도 7과 같이 교차-연결 매트릭스 회로(31) 및 제어 회로(33)로 구성된다. 도 8은 입력과 출력이 모두 광신호인 경우 교차-연결 매트릭스 스위치부가 연결된 구조를 예시한 것이고, 도 9는 입력과 출력이 모두 전기신호인 경우 교차-연결 매트릭스 스위치부가 연결된 구조를 예시한 것이다.The cross-connection matrix switch unit 30 connects the optical signal or electric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pecific terminals 11 and 13 of the supplier's input/output unit 10 to the specific terminals 21 and 23 of the subscriber's input and output unit 20. An optical or electrical signal is physically transmitted or transmitted from specific terminals 11, 13 of the supplier's input/output unit 10 to specific terminals 11, 13 of another supplier's input/output unit 10 or the subscriber's input/output unit. It is a component that physically transmits the optical signal or electric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pecific terminals 21 and 23 of (20) to the specific terminals 21 and 23 of the input/output unit 20 on the other subscriber side, and is crossed as shown in FIG. 7. -It consists of a connection matrix circuit (31) and a control circuit (33). Figure 8 illustrates a structure in which the cross-connection matrix switch unit is connected when both the input and output are optical signals, and Figure 9 illustrates a structure in which the cross-connection matrix switch unit is connected when both the input and output are electrical signals.

교차-연결 매트릭스 스위치부(30)가 공급자측 입출력부(10)의 광단자(11)로부터 광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광신호를 디지털 전기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광전변환 회로(35)가 포함되어야 하고, 공급자측 입출력부(10)의 전기단자(13)로부터 아날로그 전기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아날로그 전기신호를 디지털 전기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PHY(Physical interface transceiver) 회로(37)가 포함되어야 한다. 이러한 변환 회로는 가입자측 입출력부(20)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구비된다. 즉, 가입자측 입출력부(20)가 광단자(21)이면 광전변환 회로(35)가, 가입자측 입출력부(20)가 110단자(23)이면 PHY 회로(37)가 포함되어야 하고, 공급자측 입출력부(10) 또는 가입자측 입출력부(20)가 SFP 단자를 포함하는 경우라면 공급자측 입출력부(10)와 가입자측 입출력부(20) 측 모두에 광전변환 회로(35)와 PHY 회로(37)가 구비되어야 한다.When the cross-connection matrix switch unit 30 receives an optical signal from the optical terminal 11 of the supplier's input/output unit 10, a photoelectric conversion circuit 35 for converting the optical signal into a digital electrical signal must be included, When receiving an analog electrical signal from the electrical terminal 13 of the supplier's input/output unit 10, a PHY (Physical interface transceiver) circuit 37 must be included to convert the analog electrical signal into a digital electrical signal. This conversion circuit is also provided in the same way for the subscriber-side input/output unit 20. That is, if the subscriber-side input/output unit 20 is an optical terminal 21, the photoelectric conversion circuit 35 must be included, and if the subscriber-side input/output unit 20 has 110 terminals 23, the PHY circuit 37 must be included, and the supplier-side input/output unit 20 must include the photoelectric conversion circuit 35. If the unit 10 or the subscriber-side input/output unit 20 includes an SFP terminal, the photoelectric conversion circuit 35 and the PHY circuit 37 are installed on both the supplier-side input/output unit 10 and the subscriber-side input/output unit 20. must be provided.

도 8 및 도 9에서 교차-연결 매트릭스 스위치부(30)가 광전변환 회로(35)와 PHY 회로(37)를 개재하여 공급자측 입출력부(10) 및 가입자측 입출력부(20)에 연결되고, 제어부(40)를 통해 신호의 물리적 연결이 제어됨을 알 수 있다. 참고로 도 8 및 도 9에서는 입력과 출력이 동일한 광신호 또는 이더넷 전기신호인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입력이 광신호이고 출력이 이더넷 전기신호이거나 입력이 이더넷 전기신호이고 출력이 광신호인 경우에도 본 발명은 성립한다.8 and 9, the cross-connection matrix switch unit 30 is connected to the supplier input/output unit 10 and the subscriber input/output unit 20 via the photoelectric conversion circuit 35 and the PHY circuit 37, It can be seen that the physical connection of signals is controlled through the control unit 40. For reference, Figures 8 and 9 illustrate the case where the input and output are the same optical signal or Ethernet electrical signal. However, even when the input is an optical signal and the output is an Ethernet electrical signal, or the input is an Ethernet electrical signal and the output is an optical signal, the present invention is established.

교차-연결 매트릭스 회로(31)는 공급자측 입출력부(10)와 가입자측 입출력부(20)를 물리적으로 연결하거나, 공급자측 입출력부(10)를 다른 공급자측 입출력부(10) 또는 가입자측 입출력부(20)를 다른 가입자측 입출력부(20)에 물리적으로 연결하는 구성요소로서,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0은 교차-연결 매트릭스 회로가 동작하는 원리를 도시한 개념도로서, 교차-연결 매트릭스 회로(31)가 입력 수 N, 출력 수 N인 N×N 매트릭스 형태일 때, k개의 공급자측 입출력부(10)를 통해 전달되는 이더넷 전기신호를 m개의 가입자측 입출력부(20)와 연결되는 광전변환 회로(35) 또는 PHY 회로(37)로 전송하는 디멀티플렉싱을 수행한 후 가입자측에서 연결이 필요한 이더넷 전기신호만 멀티플렉싱함으로써 특정 공급자측 입출력 단자(11, 13)의 디지털 전기신호가 특정 가입자측 입출력 단자(21, 2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달되도록 한다.The cross-connection matrix circuit 31 physically connects the supplier-side input/output unit 10 and the subscriber-side input/output unit 20, or connects the supplier-side input/output unit 10 to another supplier-side input/output unit 10 or the subscriber-side input/output unit 20. It is a component that physically connects the unit 20 to the input/output unit 20 on another subscriber side, and may be implemented as a field-programmable gate array (FPGA) or an 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Figure 10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principle of operation of the cross-connection matrix circuit. When the cross-connection matrix circuit 31 is in the form of an N × N matrix with the number of inputs N and the number of outputs N, k supplier-side input/output units ( 10) After performing demultiplexing to transmit the Ethernet electrical signal transmitted through By multiplexing only the electrical signals, digital electrical signals from the specific supplier's input/output terminals (11, 13)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and transmitted to the specific subscriber's input/output terminals (21, 23).

본 발명에서 디지털 전기신호의 전기적 연결을 강조하는 이유는 보안 때문이다. 공급자측 신호를 가입자측으로 전달하는 수단으로는 단자 라우팅이나 VLAN을 이용하는 등의 소프트웨어적인 방법도 있지만 이러한 방법은 네트워크를 공유하기 때문에 해킹의 위험이 있다. 최근 사회적 문제가 된 아파트의 월패드를 이용한 도촬이 네트워크를 공유하는 경우에 발생 가능한 해킹 피해의 대표 사례라 할 수 있다. 앞서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서도 언급한 바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배선반 시스템은 초고속정보통신건물과 같은 고급, 고가 건물에 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개인이나 기업에서 요구하는 보안 수준이 매우 높아 본 발명과 같은 신호의 물리적 연결은 현실적이고 실현 가능성이 높은 문제해결 수단이 된다.The reason for emphasizing the electrical connection of digital electrical signals in the present invention is security. There are software methods such as terminal routing or VLAN as a means of transmitting the signal from the provider to the subscriber, but these methods carry the risk of hacking because they share the network. Voyeurism using apartment wall pads, which has recently become a social problem, can be said to be a representative example of hacking damage that can occur when a network is shared. As previously mentioned in the technology behind the invention, the data wiring board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inly used in high-end, expensive buildings such as high-spee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buildings, and the level of security required by individuals and companies is very high, so the present invention Physical connection of the same signal becomes a realistic and feasible means of solving the problem.

앞에서는 공급자측에서 가입자측으로 디멀티플렉싱, 멀티플렉싱이 순차적으로 실행되어 주 배전반에서 댁내 아웃렛으로 향하는 방향의 통신으로 설명하였는데, 그 역방향인 댁내 아웃렛에서 주 배전반으로 향하는 방향의 통신도 동일하게 디멀티플렉싱, 멀티플렉싱이 순차적으로 실행되어 역방향으로 신호가 전송된다. 즉, 역방향 전송의 경우 가입자측 입출력부(20)가 공급자측이 되고, 공급자측 입출력부(10)가 가입자측이 되는 것이다.Previously, demultiplexing and multiplexing were performed sequentially from the provider side to the subscriber side, and it was explained as communication from the main distribution board to the in-house outlet. In the reverse direction, communication from the in-house outlet to the main distribution board was also demultiplexed and multiplexed in the same way. This is done sequentially and the signal is transmitted in the reverse direction. That is, in the case of reverse transmission, the subscriber's input/output unit 20 becomes the provider's side, and the provider's input/output unit 10 becomes the subscriber's side.

공급자측과 가입자측을 연결하는 스위칭에 사용되지 않은 교차-연결 매트릭스 회로(31)의 남은 스위칭 단자는 공급자측 간 또는 가입자측 간의 연결에 사용되고, 이를 연결용 스위칭 단자라 하자. 앞에서의 예라면 공급자측에는 N-k개의 연결용 스위칭 단자가 남아 있고, 가입자측에는 N-m개의 연결용 스위칭 단자가 남아 있는데, 이 스위칭 단자들은 각각 공급자측 스위칭 단자는 공급자측에, 가입자측 스위칭 단자는 가입자측에 연결된다. 즉, k개의 공급자측 입출력부(10)를 통해 전달되는 이더넷 전기신호를 디멀티플렉싱과 멀티플렉싱을 이용하여 m개의 가입자측 입출력부(20)와 연결되록 한 것처럼, k개의 공급자측 입출력부(10)를 통해 전달되는 이더넷 전기신호를 디멀티플렉싱하여 N-k개의 공급자측 입출력부(10)에 연결되는 광전변환 회로(35) 또는 PHY 회로(37)로 전송한 후 N-k개의 공급자측에서 연결이 필요한 이더넷 전기신호만 멀티플렉싱함으로써 k개의 공급자측 입출력 단자(11, 13)의 디지털 전기신호가 N-k개의 공급자측 입출력 단자(11, 1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달될 수 있다. 가입자측도 마찬가지 방법으로 m개의 가입자측 입출력 단자(21, 23)의 디지털 전기신호가 N-m개의 가입자측 입출력 단자(21, 23)와 연결된다.The remaining switching terminals of the cross-connection matrix circuit 31 that are not used for switching connecting the provider side and the subscriber side are used for connection between the provider side or the subscriber side, and are referred to as switching terminals for connection. In the previous example, there are N-k switching terminals for connection remaining on the supplier side, and N-m switching terminals for connection remain on the subscriber side, with the switching terminals on the supplier side remaining on the supplier side and the switching terminals on the subscriber side remaining on the subscriber side. connected. That is, as if the Ethernet electrical signals transmitted through the k supplier-side input/output units 10 are connected to the m subscriber-side input/output units 20 using demultiplexing and multiplexing, the k supplier-side input/output units 10 The Ethernet electrical signals transmitted through are demultiplexed and transmitted to the photoelectric conversion circuit (35) or PHY circuit (37) connected to the N-k suppliers' input/output units (10), and then the Ethernet electrical signals that require connection from the N-k suppliers are generated. By multiplexing, the digital electrical signals of the k input/output terminals 11, 13 on the supplier side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nd transmitted to the N-k input/output terminals 11, 13 on the supplier side. On the subscriber side, digital electrical signals from m input/output terminals 21, 23 on the subscriber side are connected to N-m input/output terminals 21, 23 on the subscriber side.

스위치 제어 회로(33)는 제어부(40)에서 전달되는 공급자측 입출력부(10)의 특정 입력 단자(11, 13)를 가입자측 입출력부(20)의 특정 입출력 단자(21, 23)로 출력하라는 명령, 공급자측 입출력부(10)의 특정 입력 단자(11, 13)를 공급자측 입출력부(10)의 특정 입출력 단자(11, 13)로 출력하라는 명령 또는 가입자측 입출력부(20)의 특정 입력 단자(21, 23)를 가입자측 입출력부(20)의 특정 입출력 단자(21, 23)로 출력하라는 명령을 교차-연결 매트릭스 회로(31)를 구동하는 전기신호 명령으로 변환하는 구성요소이다.The switch control circuit 33 outputs the specific input terminals 11 and 13 of the supplier's input/output unit 10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unit 40 to the specific input and output terminals 21 and 23 of the subscriber's input and output unit 20. A command, a command to output a specific input terminal (11, 13) of the supplier's input/output unit (10) to a specific input/output terminal (11, 13) of the supplier's input/output unit (10), or a specific input of the subscriber's input/output unit (20). It is a component that converts a command to output terminals 21 and 23 to specific input/output terminals 21 and 23 of the subscriber-side input/output unit 20 into an electrical signal command that drives the cross-connection matrix circuit 31.

교차-연결 매트릭스 스위치부(30)의 위와 같은 스위칭 동작에 의해 공급자측 입출력부(10)의 단자와 가입자측 입출력부(20)의 단자가 연결되어 공급자 - 가입자 간 회선 연결이 가능하고, 공급자측 입출력부(10)의 단자, 다른 공급자측 입출력부(10)의 단자, 다른 데이터 배선반 시스템의 공급자측 입출력부(10)의 단자 간, 가입자측 입출력부(20)의 단자, 다른 가입자측 입출력부(20)의 단자, 다른 데이터 배선반 시스템의 가입자측 입출력부(20)의 단자 간 회선 연결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여기서는 공급자측, 가입자측 각각에 N-k개의 연결용 스위칭 단자와 N-m개의 연결용 스위칭 단자가 구비되어 데이터 배선반 시스템 간 연결하는 구조로 설명하였는데, 아래에서 설명하겠지만 공급자측 또는 가입자측 중 어느 하나에 연결용 스위칭 단자가 있더라도 본 발명은 성립한다.By the above switching operation of the cross-connection matrix switch unit 30, the terminal of the input/output unit 10 on the supplier side and the terminal of the input/output unit 20 on the subscriber side are connected, enabling line connection between the supplier and the subscriber, and the terminal on the input/output unit 10 on the supplier side is connected. Between the terminals of the input/output unit 10, the terminals of other supplier input/output units 10, the terminals of the supplier input/output unit 10 of other data wiring board systems, the terminals of the subscriber input/output unit 20, the other subscriber input/output units A line connection between the terminal of (20) and the terminal of the input/output unit 20 on the subscriber side of another data wiring board system becomes possible. And here, the structure is described as connecting between data wiring board systems, with N-k switching terminals for connection and N-m switching terminals for connection on each of the provider side and the subscriber side. As will be explained below, it is connected to either the provider side or the subscriber side. Even if there is a switching terminal for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established.

도 11 내지 도 14는 교차-연결 매트릭스 스위치부에서 발생되는 스위칭에 의한 회선 연결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이 연결된 회선을 의미한다), 제1, 제2 데이터 배선반 시스템(100, 100′)의 공급자측 입출력부(10) 및 가입자측 입출력부(20) 간 임의의 회선 연결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I1 ~ I3(Input 1 ~ 3)은 공급자측 입력을, O1 ~ O3(Output 1 ~ 3)은 가입자측 출력을, CI1(Connection for Input 1)은 공급자측 연결을 CO1(Connection for Output 1)은 가입자측 연결을 의미한다.11 to 14 show a line connection state due to switching occurring in the cross-connection matrix switch unit (the portion indicated by a dotted line indicates a connected line), and the first and second data wiring board systems 100 and 100 It can be seen that an arbitrary line connection is possible between the input/output unit 10 on the provider side and the input/output unit 20 on the subscriber side. I1 ~ I3 (Input 1 ~ 3) are the supplier's input, O1 ~ O3 (Output 1 ~ 3) are the subscriber's output, CI1 (Connection for Input 1) is the provider's connection, and CO1 (Connection for Output 1) is the provider's connection. This refers to the connection on the subscriber side.

도 11은 제1 데이터 배선반 시스템 내에서 공급자측 입력 I1과 가입자측 출력 O3 사이에 경로가 형성된 예시도로서, 종래의 데이터 배선반 시스템 간 연결이 없는 경우에 해당된다.Figure 11 is an example diagram of a path formed between the supplier's input I1 and the subscriber's output O3 in the first data wiring board system, and corresponds to the case where there is no connection between the conventional data wiring board systems.

도 12는 제1 데이터 배선반 시스템의 공급자측 입력 I1과 제2 데이터 배선반 시스템의 가입자측 출력 O3 사이에 경로가 형성된 예시도로서, 제1 데이터 배선반 시스템(100)의 공급자측 연결용 스위칭 단자를을 통해 공급자측 입력 I1이 공급자측 연결 CI1에 연결되고, CI1이 제2 데이터 배선반 시스템(100′)의 공급자측 입력 I1에 연결되어 제2 데이터 배선반 시스템(100′)의 가입자측 출력 O3과 연결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본 발명에서 특정 공급자측 입출력부(10) 또는 가입자측 입출력부(20)는 데이터 배선반 시스템 간 연결을 위해 다른 데이터 배선반 시스템의 공급자측 연결용 스위칭 단자에 연결된 공급자측 입출력부(10) 또는 가입자측 연결용 스위칭 단자에 연결된 가입자측 입출력부(20)에 사전에 광선로 또는 전기선로로 연결된다.Figure 12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path formed between the supplier's input I1 of the first data wiring board system and the subscriber's output O3 of the second data wiring board system, using the switching terminal for connection to the supplier of the first data wiring board system 100. Through this, the supplier's input I1 can be connected to the supplier's connection CI1, and CI1 can be connected to the supplier's input I1 of the second data distribution panel system (100') and connected to the subscriber's output O3 of the second data distribution panel system (100'). It shows that there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pecific supplier-side input/output unit 10 or subscriber-side input/output unit 20 is connected to the supplier-side connection switching terminal of another data distribution board system for connection between data distribution board systems. It is connected in advance to the subscriber input/output unit 20 connected to the connection switching terminal via an optical line or an electric line.

도 13은 제1 데이터 배선반 시스템의 공급자측 입력 I1과 제2 데이터 배선반 시스템의 가입자측 출력 O1 사이에 경로가 형성된 예시도로서, 제1 데이터 배선반 시스템(100)의 공급자측 입력 I1이 제1 데이터 배선반 시스템(100)의 가입자측 연결용 스위칭 단자, 가입자측 연결 CO1, 제2 데이터 배선반 시스템(100′)의 가입자측 연결 CO1, 가입자측 연결용 스위칭 단자를 경유하여 가입자측 출력 O1에 연결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도 12의 경우가 제1 데이터 배선반 시스템(100)의 공급자측 연결용 스위칭 단자를 경유하는 경우이므로, 도 12와 도 13에서 공급자측 연결용 스위칭 단자 또는 가입자측 연결용 스위칭 단자 중 어느 하나만 있더라도 제1 데이터 배선반 시스템(100)과 제2 데이터 배선반 시스템(100′)의 임의의 공급자측 입출력부(10)와 가입자측 입출력부(20) 간 연결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다만, 공급자측 연결용 스위칭 단자 및 가입자측 연결용 스위칭 단자는 모두 구비되는 것이 더 바람직한데, 왜냐하면 공급자측 또는 가입자측 중 어느 하나에서 연결 제어가 더 용이한 경우가 있기 때문인데 쉬운 예가 전용 회선의 형성이다.Figure 13 is an example diagram of a path formed between the supplier's input I1 of the first data wiring board system and the subscriber's output O1 of the second data wiring board system, where the supplier's input I1 of the first data wiring board system 100 is the first data Can be connected to the subscriber-side output O1 via the switching terminal for connection to the subscriber side of the distribution board system 100, the connection CO1 to the subscriber side, the CO1 connection to the subscriber side of the second data distribution board system 100', and the switching terminal for connection to the subscriber side. shows. Since the case of FIG. 12 is a case of passing through the switching terminal for connection to the supplier of the first data wiring board system 100, even if there is only one of the switching terminal for connection to the supplier or the switching terminal to connect to the subscriber in FIGS. 12 and 13, the It can be seen that connection is possible between any supplier-side input/output unit 10 and subscriber-side input/output unit 20 of the 1 data wiring board system 100 and the second data wiring board system 100'. However, it is more desirable to have both a switching terminal for connection on the provider side and a switching terminal for connection on the subscriber side, because there are cases where connection control is easier on either the provider side or the subscriber side. An easy example is a dedicated line. It is a formation.

도 14는 제1 데이터 배선반 시스템의 가입자측 입력 O1과 제2 데이터 배선반 시스템의 가입자측 입력 O3 사이에 경로가 형성된 예시도로서, 위에서 언급한 전용 회선 형성의 경우이다. 가령 한 건물의 2개 층에서 사무실을 운영하는 가입자가 있다면 1개 층의 제1 데이터 배선반 시스템(100)의 가입자측 연결용 스위칭 단자를 경유하여 다른 층의 제2 데이터 배선반 시스템(100′)과 가입자 간 전용 회선을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는 공급자와 전혀 관련이 없으므로 굳이 공급자측 연결용 스위칭 단자를 경유하는 먼 경로를 채택할 이유가 없는 것이다.Figure 14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path formed between the subscriber input O1 of the first data distribution board system and the subscriber input O3 of the second data distribution board system, in the case of the above-mentioned dedicated line formation. For example, if there is a subscriber who operates an office on two floors of a building, the first data distribution panel system 100 on one floor is connected to the second data distribution system 100′ on the other floor via the switching terminal for connection to the subscriber. Dedicated lines can be configured between subscribers. In this case, since it is completely unrelated to the supplier, there is no reason to adopt a long route via the switching terminal for connection to the supplier.

제어부(40)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배선반 시스템의 네트워크 관리 장치(NMS) 등으로부터 공급자측 입출력 단자(11, 13)와 가입자측 입출력 단자(21, 23), 공급자측 입출력 단자(11, 13)와 다른 공급자측 입출력 단자(11, 13) 또는 가입자측 입출력 단자(21, 23)와 다른 가입자측 입출력 단자(21, 23)를 연결하라는 명령이 수신되면 이를 스위치 제어 회로(33)를 통해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이 밖에도 제어부(40)는 공급자측 입출력부(10)와 가입자측 입출력부(20) 간, 공급자측 입출력부(10) 간, 가입자측 입출력부(20) 간 단자가 연결된 회선 상태를 나타내는 선번장의 작성, 공급자측 입출력부(10)와 가입자측 입출력부(20)의 각 단자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상태로 설정하는 단자 설정(물리적 해킹의 위험이 있는 단자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 특정 회선 상태의 저장(backup), 입출력되는 광신호 또는 전기신호의 크기(레벨) 측정, 본 발명에 따른 이더넷 신호의 층간 경로 설정이 가능한 능동형 패치 패널에 이상 또는 오류 발생 시 네트워크 관리 장치에 대한 알람, 전원부(50) 제어, 전원부(50)의 전력을 전기단자(13)나 110단자(23)로 급전(PoE; Power over ethernet)하는 등 다양한 제어 활동을 수행한다.The control unit 40 receives input/output terminals 11 and 13 from the supplier, input and output terminals 21 and 23 from the subscriber, and input and output terminals 11 and 13 from the network management unit (NMS) of the data wiring board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command to connect the other supplier's input/output terminals (11, 13) or the subscriber's input/output terminals (21, 23) and the other subscriber's input/output terminals (21, 23) is received, this is performed through the switch control circuit (33). It is a component.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40 provides a line number indicating the state of the line in which the terminals between the supplier's input/output unit 10 and the subscriber's input/output unit 20, between the supplier's input/output unit 10, and the subscriber's input/output unit 20 are connected. Creation, terminal settings that set each terminal of the supplier's input/output unit 10 and the subscriber's input/output unit 20 to an activated or deactivated state (terminals at risk of physical hacking can be disabled), and storage of specific line status (backup), measurement of the size (level) of optical or electrical signals to be input and output, alarm to the network management device when an abnormality or error occurs in the active patch panel capable of setting the inter-layer path of the Ethernet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ower supply unit 50 Various control activities are performed, such as power from the control and power unit 50 to the electrical terminal 13 or the 110 terminal 23 (PoE; Power over ethernet).

전원부(50)는 공급자측 입출력부(10), 가입자측 입출력부(20), 교차-연결 매트릭스 스위치부(30) 및 제어부(40)에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요소이다.The power supply unit 50 is a component that supplies power to the supplier input/output unit 10, the subscriber input/output unit 20, the cross-connection matrix switch unit 30, and the control unit 40.

일반적으로 가입자측 입출력부(20)는 복수 개의 광단자(21) 또는 110단자(23)에 연결되는데, 댁내 아웃렛에 연결되는 광케이블이나 UTP 케이블을 잘못 연결하는 경우 어떤 케이블이 어디로 연결되었는지 찾아서 재결선해야 하기 때문에 초기 연결이 올바르게 되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Generally, the subscriber-side input/output unit 20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optical terminals 21 or 110 terminals 23. If the optical cable or UTP cable connected to the in-house outlet is incorrectly connected, you must find out which cable is connected where and rewire it.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ensure that the initial connection is made correctly.

이러한 초기 연결이 제대로 되었는지 테스트(결선 테스트)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능동형 패치 패널의 초기 설치 시 광단자(21) 또는 110단자(23)에 댁내 아웃렛에 대해 병렬로 시험장치를 연결하여 시험을 수행할 수 있는데,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능동형 패치 패널의 내부를 외부와 단절시킬 수 있도록, 특히 교차-연결 매트릭스 스위치부(30)와 광단자(21) 또는 110단자(23) 간 연결을 끊을 수 있도록 도 15에 도시된 것처럼 교차 연결 매트리스 스위치(30) 또는 가입자측 입출력부(20)와 광단자(21) 또는 110단자(23) 사이에 릴레이와 같은 스위칭 소자(19)를 구비할 수 있다{만약 스위칭 소자(19)가 없어 교차-연결 매트릭스 스위치부(30)와 광단자(21) 또는 110단자(23) 간 연결을 끊을 수 없다면 시험장치에 교차-연결 매트릭스 스위치부(30)와 댁내 아웃렛이 병렬 연결된 상태로 시험이 수행되기 때문에 댁내 아웃렛에 대한 결선 테스트가 제대로 수행될 수 없다}. 그리고 시험장치를 통해 광단자(21) 또는 110단자(23)와 댁내 아웃렛 간 연결 상태가 정상인지 여부, 저항이나 데이터 통신 속도 등의 수치를 측정하여 네트워크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In order to test whether this initial connection is correct (wiring test), a test can be performed by connecting a test device to the optical terminal 21 or the 110 terminal 23 in parallel to the in-house outlet during the initial installation of the active patch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5 so that the inside of the active patch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isconnected from the outside, especially the connection between the cross-connection matrix switch unit 30 and the optical terminal 21 or the 110 terminal 23. As shown, a switching element 19 such as a relay may be provided between the cross-connection mattress switch 30 or the subscriber input/output unit 20 and the optical terminal 21 or the 110 terminal 23 {if the switching element ( 19) If the connection between the cross-connection matrix switch unit 30 and the optical terminal 21 or the 110 terminal 23 cannot be disconnected, the cross-connection matrix switch unit 30 and the in-house outlet are connected in parallel in the test device. Since the test is performed, the wiring test for the in-house outlet cannot be performed properly}. And through the test device, the network status can be accurately determined by measuring whether the connection between the optical terminal 21 or the 110 terminal 23 and the in-house outlet is normal and measuring values such as resistance or data communication speed.

릴레이와 같은 스위칭 소자(19)의 단속은 콘솔 포트(15) 또는 NMS 포트(17)에 의한 외부명령에 수해될 수 있다. 참고로 콘솔 포트(15)는 PC에 의한 텍스트 명령을 송수신하는 포트이고, NMS 포트(17)는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에 의한 명령을 송수신하는 포트이다.The switching element 19, such as a relay, can be controlled by an external command via the console port 15 or the NMS port 17. For reference, the console port 15 is a port for sending and receiving text commands from a PC, and the NMS port 17 is a port for sending and receiving commands from a network management system.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더넷 신호의 층간 경로 설정이 가능한 능동형 패치 패널을 설명하였는데, 그 핵심은 입력 광신호(또는 입력 아날로그 전기신호)를 디지털 전기신호로 변환한 후 물리적 스위칭으로 원하는 입출력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한 후 다시 출력 광신호(또는 출력 아날로그 전기신호)로 변환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배선반 시스템 광스위치 또는 이더넷 스위치의 특정 입출력 단자가 특정 댁내 아웃렛 또는 다른 광스위치 또는 이더넷 스위치의 입출력 단자와 연결되도록 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Above, we have described an active patch panel capable of setting an interlayer path for Ethernet sign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re of which is to convert an input optical signal (or input analog electrical signal) into a digital electrical signal and then connect the electrical signal to the desired input/output terminal through physical switching. and then converted back into an output optical signal (or an output analog electrical signal), so that the specific input/output terminal of the optical switch or Ethernet switch of the data wiring board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input/output terminal of a specific in-house outlet or another optical switch or Ethernet switch. You can see that this is being done as much as possible.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배선반 시스템을 설명한다.Next, the data wiring board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배선반 시스템의 구성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배선반 시스템은 주 배선반(100) 및 중간 배선반(200)으로 구성되어, 중간 배선반(200)의 능동형 패치 패널(240)을 통해 광선로 또는 전기선로의 연결을 제어할 수 있다.Figure 16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data wiring board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wiring board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a main wiring board 100 and an intermediate wiring board 200, and the active patch panel 240 of the intermediate wiring board 200 You can control the connection of optical or electric lines through .

주 배선반(100)은 백본 스위치(110), 제1 광분배함(120) 및 네트워크 관리 장치(130)로 구성된다.The main wiring board 100 is composed of a backbone switch 110, a first optical distribution box 120, and a network management device 130.

백본 스위치(110)는 단말장치를 기간망과 같은 광역 네트워크(WAN, Wide Area Network)에 연결하기 위하여 단말장치가 연결된 노드(중간 배선반 등)의 중심에 구비되어 광역 네트워크와 노드 간 데이터 통신을 라우팅하는 구성요소이다.The backbone switch 110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node (intermediate wiring board, etc.) to which the terminal device is connected in order to connect the terminal device to a wide area network (WAN, Wide Area Network) such as a backbone network, and routes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wide area network and the nodes. It is a component.

제1 광분배함(120)은 광입력 단자와 광출력 단자를 구비하여, 특정 광입력 단자와 특정 광출력 단자 사이에 광경로를 형성하는 구성요소이다The first optical distribution box 120 is a component that has an optical input terminal and an optical output terminal and forms an optical path between a specific optical input terminal and a specific optical output terminal.

네트워크 관리 장치(130)는 백본 스위치(110)와 제1 광분배함(120)을 포함하여, 방화벽, 저장장치 등과 같이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각종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성능과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주 배선반(100)이 구성하는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구성요소이다. 부수적으로 네트워크 관리 장치(130)는 주 배선반(100)과 중간 배선반(200)의 사용하지 않는 단자를 비활성(disable) 시킴으로써 외부 침입 또는 불특정인의 운영 관리에 개입을 방지하여 보안을 강화할 수도 있다. 즉, 네트워크 관리 장치(130)를 통해 원격에서 주 배선반(100)의 제1 광분배함(120)과 중간 배선반(200)의 제2 광분배함(210)의 광단자 및 본 발명에 따른 이더넷 신호의 층간 경로 설정이 가능한 능동형 패치 패널의 입출력 단자를 활성(enable) 또는 비활성(disable) 상태로 설정함으로써 쉬운 보안 강화 및 네트워크 자원 관리가 가능하다.The network management device 130 includes the backbone switch 110 and the first optical distribution box 120, monitors the performance and status of various hardware and software connected to the network, such as firewalls, storage devices, etc., and monitors the main wiring board ( 100) is a component that manages the network comprised. Additionally, the network management device 130 may strengthen security by disabling unused terminals of the main wiring board 100 and the intermediate wiring board 200 to prevent external intrusion or unspecified persons' intervention in operation management. That is, the optical terminal of the first optical distribution box 120 of the main wiring board 100 and the second optical distribution box 210 of the intermediate wiring board 200 and the Ethernet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motely accessed through the network management device 130. It is possible to easily strengthen security and manage network resources by setting the input/output terminals of the active patch panel, which can set inter-floor paths, to enable or disable.

중간 배선반(200)은 제2 광분배함(210), 광스위치(220), 이더넷 스위치(230) 및 본 발명에 따른 이더넷 신호의 층간 경로 설정이 가능한 능동형 패치 패널(240)로 구성된다.The intermediate wiring board 200 is composed of a second optical distribution box 210, an optical switch 220, an Ethernet switch 230, and an active patch panel 240 capable of setting an interlayer path for Ethernet sign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2 광분배함(210)은 제1 광분배함(120)과 같이 광입력 단자와 광출력 단자를 구비하여, 특정 광입력 단자와 특정 광출력 단자 사이에 광경로를 형성하는 구성요소로서, 주 배선반(100)에서 전달된 광신호를 광스위치(220)와 이더넷 스위치(230)에 전달한다.The second optical distribution box 210, like the first optical distribution box 120, is provided with an optical input terminal and an optical output terminal, and is a component that forms an optical path between a specific optical input terminal and a specific optical output terminal, The optica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ain wiring board 100 is transmitted to the optical switch 220 and the Ethernet switch 230.

광스위치(220)와 이더넷 스위치(23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광신호 및 이더넷 전기신호를 스위칭하는 구성요소이다.The optical switch 220 and the Ethernet switch 230 are components that switch commonly used optical signals and Ethernet electrical signals.

본 발명에 따른 이더넷 신호의 층간 경로 설정이 가능한 능동형 패치 패널(24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광스위치(220)와 이더넷 스위치(230)에서 입력되는 광신호 또는 이더넷 전기신호를 특정 댁내 아울렛까지 물리적 회선을 구성하여 연결하는 구성요소이다.As described above, the active patch panel 240, which is capable of setting an inter-floor path for Ethernet sign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s optical signals or Ethernet electrical signals input from the optical switch 220 and the Ethernet switch 230 through a physical line to a specific in-house outlet. It is a component that composes and connects.

도 17은 광 이더넷 신호가 입출력되는 본 발명에 따른 이더넷 신호의 층간 경로 설정이 가능한 데이터 배선반 시스템의 예시도이고, 도 18은 전기 이더넷 신호가 입출력되는 본 발명에 따른 이더넷 신호의 층간 경로 설정이 가능한 데이터 배선반 시스템의 예시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이더넷 신호의 층간 경로 설정이 가능한 데이터 배선반 시스템을 이용하여 복수 개의 데이터 배선반 시스템에 접속된 공급자와 가입자를 연결하는 임의의 회선 구성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Figure 17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data wiring board system capable of setting an inter-layer path for Ethernet sign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which optical Ethernet signals are input and output, and Figure 18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data wiring board system capable of setting an inter-layer path for Ethernet sign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which electrical Ethernet signals are input and output. As an exemplary diagram of a data wiring board system, it can be seen that any line configuration connecting a provider and a subscriber connected to a plurality of data wiring board systems is possible using the data wiring board system capable of setting an inter-layer path for an Ethernet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배선반 시스템을 살펴보았는데,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배선반 시스템은 중간 배선반(200)의 제2 광분배함(210), 광스위치(220), 이더넷 스위치(230)의 결선은 전혀 손대지 않고 본 발명에 따른 이더넷 신호의 층간 경로 설정이 가능한 능동형 패치 패널(240)의 로직 제어만으로 중간 배선반(200)에서 댁내 아웃렛까지 이르는 광선로 또는 전기선로의 연결을 제어할 수 있고, 특히 각 광선로와 전기선로를 물리적으로 분리하여 해킹의 위험을 최대한 낮춘 점에서 현저한 효과가 있다 할 것이다.We have looked at the data wiring board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bove. In the data wiring board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ing of the second optical distribution box 210, the optical switch 220, and the Ethernet switch 230 of the intermediate wiring board 200 are The connection of optical or electric lines from the intermediate wiring board 200 to the in-house outlet can be controlled only by logic control of the active patch panel 240, which is capable of setting the inter-layer path of the Ethernet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any touching, and in particular, each It can be sai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in that it physically separates optical and electric lines, thereby lowering the risk of hacking as much as possible.

10 공급자측 입출력부 11, 21 광단자
13 전기단자 15 콘솔 포트
17 NMS 포트 19 스위칭 소자
20 가입자측 입출력부 23 110단자
25 테스트 단자 27 선택 스위치
30 교차-연결 매트릭스 스위치부 31 교차-연결 매트릭스 회로
33 스위치 제어 회로 35 광전변환 회로
37 PHY 회로 40 제어부
50 전원부
100 주 배전반 110 백본 스위치
120 제1 광분배함 130 네트워크 관리 장치
200 중간 배전반 210 제2 광분배함
220 광스위치 230 이더넷 스위치
240 본 발명에 따른 이더넷 신호의 층간 경로 설정이 가능한 능동형 패치 패널
10 Supplier input/output unit 11, 21 optical terminal
13 Electrical terminal 15 Console port
17 NMS port 19 switching element
20 Subscriber input/output unit 23 110 terminal
25 Test terminal 27 Select switch
30 Cross-connection matrix switch section 31 Cross-connection matrix circuit
33 Switch control circuit 35 Photoelectric conversion circuit
37 PHY circuit 40 control unit
50 power supply
100 main switchboard 110 backbone switch
120 First optical distribution box 130 Network management device
200 Intermediate distribution board 210 2nd optical distribution box
220 optical switch 230 ethernet switch
240 Active patch panel capable of setting inter-layer paths for Ethernet sign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5)

이더넷 서비스의 공급자측에 연결되는 광단자(11), 전기단자(13) 또는 SFP 단자를 구비하여 광신호 또는 전기신호를 송수신하는 공급자측 입출력부(10);
이더넷 서비스의 가입자측에 연결되는 광단자(21), 110단자(23) 또는 SFP 단자를 구비하여 댁내 아웃렛까지 광신호 또는 전기신호를 전달하는 가입자측 입출력부(20);
상기 공급자측 입출력부(10)의 특정 단자(11, 13)에서 전달된 광신호나 전기신호를 상기 가입자측 입출력부(20)의 특정 단자(21, 23)에 물리적으로 전달하거나 상기 공급자측 입출력부(10)의 특정 단자(11, 13)에서 전달된 광신호나 전기신호를 다른 공급자측 입출력부(10)의 특정 단자(11, 13)에 또는 상기 가입자측 입출력부(20)의 특정 단자(21, 23)에서 전달된 광신호나 전기신호를 다른 가입자측 입출력부(20)의 특정 단자(21, 23)에 물리적으로 전달하는 교차-연결 매트릭스 스위치부(30);
상기 공급자측 입출력 단자(11, 13)와 가입자측 입출력 단자(21, 23), 상기 공급자측 입출력 단자(11, 13)와 다른 공급자측 입출력 단자(11, 13) 또는 상기 가입자측 입출력 단자(21, 23)와 다른 가입자측 입출력 단자(21, 23)를 연결하는 명령을 수행하는 제어부(40) 및
상기 공급자측 입출력부(10), 가입자측 입출력부(20), 교차-연결 매트릭스 스위치부(30), 제어부(4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더넷 신호의 층간 경로 설정이 가능한 능동형 패치 패널.
A supplier-side input/output unit (10) that transmits and receives optical or electric signals by providing an optical terminal (11), an electric terminal (13), or an SFP terminal connected to the Ethernet service provider;
A subscriber-side input/output unit (20) equipped with an optical terminal (21), a 110 terminal (23), or an SFP terminal connected to the subscriber side of the Ethernet service to transmit optical or electrical signals to an in-house outlet;
Physically transmits the optical signal or electric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pecific terminals 11 and 13 of the supplier's input/output unit 10 to the specific terminals 21 and 23 of the subscriber's input and output unit 20, or The optical signal or electric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pecific terminals 11 and 13 of the unit 10 is transmitted to the specific terminals 11 and 13 of the other supplier's input/output unit 10 or to the specific terminal of the subscriber's input/output unit 20. A cross-connection matrix switch unit (30) that physically transfers the optical or electrical signals transmitted from (21, 23) to specific terminals (21, 23) of the other subscriber's input/output unit (20);
The supplier-side input/output terminals (11, 13) and the subscriber-side input/output terminals (21, 23), the supplier-side input/output terminals (11, 13) and other supplier-side input/output terminals (11, 13), or the subscriber-side input/output terminal (21) , 23) and a control unit 40 that performs a command to connect the input/output terminals 21 and 23 on the other subscriber side, and
The Ethernet signal,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the supplier-side input/output unit 10, the subscriber-side input/output unit 20, the cross-connection matrix switch unit 30, and the power supply unit 50 that supplies power to the control unit 40. Active patch panel with inter-floor routing.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교차-연결 매트릭스 스위치부(30)가 상기 공급자측 입출력부(10)와 가입자측 입출력부(20)를 물리적으로 연결하거나, 상기 공급자측 입출력부(10)를 다른 공급자측 입출력부(10) 또는 상기 가입자측 입출력부(20)를 다른 가입자측 입출력부(20)에 물리적으로 연결하는 교차-연결 매트릭스 회로(31) 및
상기 제어부(40)에서 전달되는 공급자측 입출력부(10)의 특정 입력 단자(11, 13)를 가입자측 입출력부(20)의 특정 입출력 단자(21, 23)로 출력하라는 명령, 공급자측 입출력부(10)의 특정 입력 단자(11, 13)를 공급자측 입출력부(10)의 특정 입출력 단자(11, 13)로 출력하라는 명령 또는 가입자측 입출력부(20)의 특정 입력 단자(21, 23)를 가입자측 입출력부(20)의 특정 입출력 단자(21, 23)로 출력하라는 명령에 따라 상기 교차-연결 매트릭스 회로(31)를 구동하는 스위치 제어 회로(3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더넷 신호의 층간 경로 설정이 가능한 능동형 패치 패널.
In claim 1,
The cross-connection matrix switch unit 30 physically connects the supplier-side input/output unit 10 and the subscriber-side input/output unit 20, or connects the supplier-side input/output unit 10 to another supplier-side input/output unit 10. or a cross-connection matrix circuit 31 that physically connects the subscriber-side input/output unit 20 to another subscriber-side input/output unit 20; and
A command to output the specific input terminals (11, 13) of the supplier's input/output unit (10)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unit (40) to the specific input/output terminals (21, 23) of the subscriber's input/output unit (20), the supplier's input/output unit A command to output the specific input terminals (11, 13) of (10) to the specific input/output terminals (11, 13) of the supplier's input/output unit (10) or the specific input terminals (21, 23) of the subscriber's input/output unit (20). An Ethernet sign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switch control circuit (33) that drives the cross-connection matrix circuit (31) according to a command to output to specific input/output terminals (21, 23) of the subscriber's input/output unit (20). Active patch panel capable of setting inter-floor paths.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교차-연결 매트릭스 회로(31)가 입력 수 N, 출력 수 N인 N×N 매트릭스 형태이고, k개의 공급자측 입출력부(10)를 통해 전달되는 이더넷 전기신호를 m개의 가입자측 입출력부(20)와 연결하며,
상기 공급자측과 가입자측을 연결하는 스위칭에 사용되지 않은 공급자측의 N-k개의 연결용 스위칭 단자가 상기 k개의 공급자측 입출력부(10)의 스위칭 단자와 연결되고, 상기 공급자측과 가입자측을 연결하는 스위칭에 사용되지 않은 가입자측의 N-m개의 연결용 스위칭 단자가 상기 m개의 가입자측 입출력부(20)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더넷 신호의 층간 경로 설정이 가능한 능동형 패치 패널.
In claim 2,
The cross-connection matrix circuit 31 is in the form of an N × N matrix with the number of inputs N and the number of outputs N. ) and connects with
Nk connection switching terminals on the provider side that are not used for switching connecting the provider side and the subscriber side are connected to the k switching terminals of the input/output units 10 on the provider side, and connect the provider side and the subscriber side. An active patch panel capable of setting an inter-layer path for an Ethernet signal, characterized in that Nm connection switching terminals on the subscriber side that are not used for switching are connected to the m number of input/output units (20) on the subscriber sid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가 상기 공급자측 입출력부(10)의 특정 단자와 가입자측 입출력부(20)의 특정 단자가 연결된 회선 상태를 나타내는 선번장의 작성, 상기 공급자측 입출력부(10)와 가입자측 입출력부(20)의 각 단자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상태로 설정하는 단자 설정, 상기 전원부(50)의 전력을 전기단자(13)나 110단자(23)로 급전(PoE)하는 제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더넷 신호의 층간 경로 설정이 가능한 능동형 패치 패널.
In claim 1,
The control unit 40 creates a line number indicating a line status in which a specific terminal of the supplier-side input/output unit 10 and a specific terminal of the subscriber-side input/output unit 20 are connected, and the supplier-side input/output unit 10 and the subscriber-side input/output unit 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Perform one or more of terminal settings to set each terminal of the unit 20 to an activated or deactivated state, and control to feed (PoE) the power of the power unit 50 to the electrical terminal 13 or the 110 terminal 23. An active patch panel capable of setting an interlayer path for Ethernet signals.
단말장치가 연결된 노드의 중심에 구비되어 광역 네트워크와 상기 노드 간 데이터 통신을 라우팅하는 백본 스위치(110);
광입력 포트와 광출력 포트를 구비하여, 특정 광입력 포트와 특정 광출력 포트 사이에 광경로를 형성하는 제1 광분배함(120);
상기 백본 스위치(110)와 제1 광분배함(120)의 성능과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네트워크 관리 장치(130)로 구성되는 주 배선반(100) 및
광입력 포트와 광출력 포트를 구비하여, 상기 주 배선반(100)에서 전달된 광신호를 광스위치(220)와 이더넷 스위치(230)에 전달하는 제2 광분배함(210);
상기 광스위치(220)와 이더넷 스위치(230)에서 입력되는 광신호 또는 이더넷 전기신호를 특정 댁내 아울렛까지 물리적 회선을 구성하여 연결하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이더넷 신호의 층간 경로 설정이 가능한 능동형 패치 패널(2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배선반 시스템.
A backbone switch 110 provided at the center of a node to which a terminal device is connected to route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wide area network and the node;
a first optical distribution box 120 having an optical input port and an optical output port, forming an optical path between a specific optical input port and a specific optical output port;
A main wiring board 100 consisting of a network management device 130 that monitors the performance and status of the backbone switch 110 and the first optical distribution box 120, and
a second optical distribution box 210 having an optical input port and an optical output port, and transmitting the optica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ain wiring board 100 to the optical switch 220 and the Ethernet switch 230;
Setting an inter-floor path for an Ethernet signal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ich connects the optical signal or Ethernet electrical signal input from the optical switch 220 and the Ethernet switch 230 to a specific in-house outlet by forming a physical line. A data wiring board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n active patch panel (240) capable of this.
KR1020240026353A 2024-02-23 2024-02-23 Active patch panel capable of setting inter-floor path of ethernet signals and integrated data distribution system using the same KR10266416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26353A KR102664169B1 (en) 2024-02-23 2024-02-23 Active patch panel capable of setting inter-floor path of ethernet signals and integrated data distribution system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26353A KR102664169B1 (en) 2024-02-23 2024-02-23 Active patch panel capable of setting inter-floor path of ethernet signals and integrated data distribution system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4169B1 true KR102664169B1 (en) 2024-05-08

Family

ID=91073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26353A KR102664169B1 (en) 2024-02-23 2024-02-23 Active patch panel capable of setting inter-floor path of ethernet signals and integrated data distribution system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4169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5583B1 (en) 2018-05-04 2018-10-10 주식회사 우리이엔시 System for managing consolidated distribution frame and method therefor
KR102508222B1 (en) * 2023-01-10 2023-03-09 주식회사 혜성테크윈 Data distribution system capable of active optical distribution
KR102529754B1 (en) * 2023-02-14 2023-05-08 주식회사 혜성테크윈 Telephone distribution system capable of active circuit distribution
US20230224614A1 (en) * 2022-01-13 2023-07-13 Equinix, Inc. Optical switch with integrated fast protection
KR102585840B1 (en) * 2023-06-07 2023-10-06 주식회사 혜성테크윈 Active patch panel and integrated data distribution system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5583B1 (en) 2018-05-04 2018-10-10 주식회사 우리이엔시 System for managing consolidated distribution frame and method therefor
US20230224614A1 (en) * 2022-01-13 2023-07-13 Equinix, Inc. Optical switch with integrated fast protection
KR102508222B1 (en) * 2023-01-10 2023-03-09 주식회사 혜성테크윈 Data distribution system capable of active optical distribution
KR102529754B1 (en) * 2023-02-14 2023-05-08 주식회사 혜성테크윈 Telephone distribution system capable of active circuit distribution
KR102585840B1 (en) * 2023-06-07 2023-10-06 주식회사 혜성테크윈 Active patch panel and integrated data distribution system u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65534B1 (en) Commmunications network
JP3126604B2 (en) Communications system
US5778116A (en) Photonic home area network fiber/power insertion apparatus
US631742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ybrid protection in a switching network
EP2201788B1 (en) Communications network
EP1708379B1 (en) Communication system having backup function for several series devices and method for carrying out the function of switching
JP2000503182A (en) METHOD AND SYSTEM FOR OPTICAL RECOVERY END SWITCH CONNECTION IN FIBER NETWORK
JP2018535613A (en) Line card chassis, multi-chassis cluster router and routing and packet processing
JP2010529784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tection of point-to-multipoint passive optical networks
KR102585840B1 (en) Active patch panel and integrated data distribution system using the same
KR102529754B1 (en) Telephone distribution system capable of active circuit distribution
CN100382521C (en) Method of supporting multi kilomega ethernet terminal photoelectric multiplex
KR102664169B1 (en) Active patch panel capable of setting inter-floor path of ethernet signals and integrated data distribution system using the same
KR100756244B1 (en) Lan repeater based power over ethernet and power over ethernet hybrid reapeater
US9585032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providing data plane redundancy
JP2009088785A (en) Optical access network system
CN1984003A (en) Distributed communication equipment architectures and techniques
US5673395A (en) Process for constructing computer network system of tenant intelligent building
KR20100001686A (en) Apparatus for relaying ethernet signal, and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having the said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very communication fault using the said apparatus
JP3837705B2 (en) Communication control system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US7158613B2 (en) Method and system for enabling circuit testing services on a multi-service provisioning platform
SA07280060B1 (en) Access apparatus and method for digital subscriber line test
CN110213140A (en) A kind of integrated access system of multi-service mode
US6212167B1 (en) Multiplexing transmitter
EP3111601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necting and disconnecting to a ring network or linear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