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4045B1 - 치료용액침투장치 - Google Patents

치료용액침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4045B1
KR102664045B1 KR1020230060721A KR20230060721A KR102664045B1 KR 102664045 B1 KR102664045 B1 KR 102664045B1 KR 1020230060721 A KR1020230060721 A KR 1020230060721A KR 20230060721 A KR20230060721 A KR 20230060721A KR 102664045 B1 KR102664045 B1 KR 1026640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atment solution
penetration device
storage unit
needle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0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근
Original Assignee
박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근 filed Critical 박근
Priority to KR1020230060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40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4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40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5/00Devices for applying media, e.g. remedies, on the human body
    • A61M35/003Portable hand-held applicators having means for dispensing or spreading integral med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2037/0007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having means for enhancing the permeation of substances through the epidermis, e.g. using suction or depression, electric or magnetic fields, sound waves or chemical ag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료용액침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치료용액배출구의 돌출 또는 함몰되는 구조를 통해 침을 더욱 효과적으로 피부에 침투시켜주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치료용액을 바르는 도구에 침을 장착시킴과 동시에 치료용액배출구의 돌출 또는 함몰되는 구조를 통해 침을 피부에 효과적으로 침투시켜 피부에 천공하여 치료용액을 피부에 효과적으로 흡수시켜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치료용액침투장치 {Treatment liquid penetration device}
본 발명은 치료용액침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치료용액배출구의 돌출 또는 함몰되는 구조를 통해 침을 더욱 효과적으로 피부에 침투시켜주어 치료용액을 피부에 잘 흡수되게 해주는 치료용액침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료용액은 손에 직접 묻혀 피부에 바르거나 도구에 치료용액을 묻혀 피부에 바르는 방법으로 나뉘어진다.
치료용액을 손에 직접 묻혀 피부에 바르는 방법과 치료용액을 도구에 묻혀 피부에 바르는 방법은 모두 피부의 표면에만 발리는 형태로 치료용액이 효과적으로 흡수되지는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침을 도입한 장치를 통해 피부에 장치를 두들겨주는 방식으로 치료용액을 내부에 침투시켜줌으로써 치료용액이 피부에 더욱 효과적으로 흡수되는 치료용액침투장치를 연구·개발하게 된 것이다.
등록특허 제10-1300188호 (2013.08.20)
본 발명은 치료용액침투장치, 치료용액을 바르는 도구에 침을 장착시킴과 동시에 치료용액배출구의 돌출 또는 함몰되는 구조를 통해 침을 더욱 효과적으로 침투시켜 피부에 천공하여 치료용액을 피부에 효과적으로 흡수시켜주는 치료용액침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부가 개방된 통형태의 몸체부(100); 상기 몸체부(100)의 상부를 둘러싸고 결합되어, 몸체부(100)를 밀봉해주는 밀봉부(200); 상기 몸체부(100)의 상단부에 형성되어진 니들부(300);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부(100)는 치료용액(L)을 저장하는 치료용액저장부(110)와, 상기 치료용액저장부(110)의 상부에 연통되어 치료용액저장부(110)를 가압시 치료용액저장부(110)에 저장된 치료용액(L)을 배출하는 치료용액배출부(120)를 포함하고,상기 밀봉부(200)는 상기 밀봉부(200)의 하단부(200a)가 치료용액배출부(120)의 외측면의 절취부(120a)와 결합되어 밀봉부(200)를 비틀어 돌리면 치료용액배출부(120)로부터 뜯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용액침투장치를 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치료용액을 바르는 도구에 침을 장착시킴과 동시에 치료용액배출구의 돌출 또는 함몰되는 구조를 통해 침을 피부에 효과적으로 침투시켜 피부에 천공하여 치료용액을 피부에 효과적으로 흡수시켜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1회용으로 세균감염의 우려가 없어 항상 위생적 사용이 가능하고 매번 정량을 사용할 수 있어 약물 남용의 가능성이 없고 과다용량 사용의 부작용을 줄일수 있으며, 두피에 병변이 있는 경우에 모발사이에도 효과적인 도포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료용액침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료용액침투장치의 일부구성인 제1실시예의 치료용액배출부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료용액침투장치의 상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치료용액침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치료용액침투장치의 일부구성인 제2실시예의 치료용액배출부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치료용액침투장치의 상부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치료용액침투장치의 작동 방법 및 그 효과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치료용액침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치료용액침투장치의 일부구성인 제3실시예의 치료용액배출부의 확대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치료용액침투장치의 상부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치료용액침투장치의 상부의 단면확대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치료용액침투장치의 작동 방법 및 그 효과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치료용액침투장치의 치료용액이 배출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 기재에 의하여 파악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게 하는 공지기술의 설명은 생략한다.
단,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또한, 본 발명의 설명 중 "상", "하" 등의 방향 한정은 이해를 돕기 위해 도 1의 형태를 기준으로 지시하는 것일 뿐, 기준선(또는 도면)을 달리하면 방향도 달리 지시될 것임을 밝혀둔다.
본 발명은 치료용액침투장치로, 치료용액을 바르는 도구에 침을 장착시킴과 동시에 치료용액배출구의 돌출 또는 함몰되는 구조를 통해 침을 더욱 효과적으로 침투시켜 피부에 천공하여 치료용액을 피부에 효과적으로 흡수시켜주는 치료용액침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때, 치료용액침투장치는 1회용으로 세균감염의 우려가 없어 항상 위생적 사용이 가능하고, 매번 정량을 사용할 수 있어 약물 남용의 가능성이 없으며, 과다 용량 사용의 부작용을 줄일수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료용액침투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료용액침투장치의 일부구성인 제1실시예의 치료용액배출부(120)의 확대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료용액침투장치의 상부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치료용액침투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치료용액침투장치의 일부구성인 제2실시예의 치료용액배출부(120)의 확대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치료용액침투장치의 상부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치료용액침투장치의 작동 방법 및 그 효과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치료용액침투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치료용액침투장치의 일부구성인 제3실시예의 치료용액배출부(120)의 확대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치료용액침투장치의 상부의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치료용액침투장치의 상부의 단면확대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치료용액침투장치의 작동 방법 및 그 효과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3은 치료용액침투장치의 치료용액이 배출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치료용액침투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치료용액침투장치는 상부가 개방된 통형태의 몸체부(100)와, 몸체부(100)의 상부를 둘러싸고 결합되어 몸체부(100)를 밀봉해주는 밀봉부(200)와, 몸체부(100)의 상단부에 형성되어진 니들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치료용액침투장치는 총 3가지 실시예로 제시된다.
제1실시예
제1실시예는 가장 기본적인 실시예이고, 후술할 제2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는 제1실시예의 치료용액배출부(120)와 밀봉부(200)의 구조에 변경을 가한 실시예이다.
제1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한 제1실시예에 따른 몸체부(100)는 몸체부(100)의 중심에 형성된 치료용액저장부(110)와, 몸체부(100)의 상부에 형성된 치료용액배출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을 참조한 제1실시예에 따른 치료용액저장부(110)는 치료용액(L)을 저장하며, 그 치료용액(L)으로는 미녹시딜용액이 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한 제1실시예에 따른 치료용액배출부(120)는 치료용액저장부(110)의 상부에 연통되어 상단부가 평평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치료용액저장부(110)를 가압시 치료용액저장부(110)에 저장된 치료용액(L)을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내지 도3 을 참조한 제1실시예에 따른 밀봉부(200)는 밀봉부(200)의 하단부(200a)가 치료용액배출부(120)의 절취부(120a)와 결합된다. 이때, 밀봉부(200)를 비틀어 돌리면 치료용액배출부(120)로부터 뜯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한 제1실시예에 따른 니들부(300)는 피부(S)에 천공하여 치료용액(L)이 피부(S)에 잘 흡수될 수 있게한다. 그 방법으로는 치료용액(L)을 배출하기 전 또는 배출하고난 후에 피부(S)의 표면에 치료용액침투장치를 두들기는 형태로 사용하는 것이다. 이때, 니들부(300)를 통해 피부(S)에 많은 천공을 내어 피부(S)에 치료용액(L)을 더 효과적으로 스며들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실시예
제2실시예는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의 치료용액배출부(120)의 구조에 변경이 가해진 실시예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한 제2실시예에 따른 치료용액배출부(120)는 치료용액배출부(120)의 상단부에 돌출형성된다. 이때, 끝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그 최상단에 니들부(300)가 배치되어있는 모근이격가이드(1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바와 같이 손(H)을 사용하여 치료용액침투장치를 피부쪽 방향으로 가압하면 복수개의 모근(M)이 모근이격가이드(125)에 의해 양방향으로 밀려난다. 이에 따른 효과로는 니들부(300)을 피부(S)에 더욱 효과적으로 침투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두피에 병변이 있는 경우에 모발사이에도 효과적인 도포가 가능하다. 이때 니들부(300)의 길이는 모근(M)의 폭(G)과 같은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2실시예에서 설명되지 않은 치료용액배출부(120)의 특징은 제1실시예를 참조한다.
제3실시예
제3실시예는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3실시예는 제1실시예의 치료용액배출부(120)와 밀봉부(200)의 구조에 변경이 가해진 실시예이다.
도 8 내지 도 10를 참조한 제3실시예에 따른 밀봉부(200)는 밀봉부(200)의 하단부(200b)가 치료용액배출부(120)의 상단의 절취부(120g)와 결합된다. 이때, 밀봉부(200)를 비틀어 돌리면 치료용액배출부(120)로부터 뜯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1을 참조한 제3실시예에 따른 치료용액배출부(120)는 경사부(120b)와, 연장부(120c)와, 니들삽입부(120d)와, 제1완곡부(120e)와, 제2완곡부(120f)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1을 참조하여 경사부(120b)에 대해 설명한다.
경사부(120b)는 절취부(120g)의 내측 모서리로부터 하방으로 직경이 감소하는 경사면을 이루도록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1을 참조하여 연장부(120c)에 대해 설명한다.
연장부(120c)는 경사부(120b)의 하단으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1을 참조하여 니들삽입부(120d)에 대해 설명한다.
니들삽입부(120d)는 연장부(120c)의 일단부에 니들부(300)가 수직방향으로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1을 참조하여 제1완곡부(120e)에 대해 설명한다.
제1완곡부(120e)는 절취부(120g)의 내측 모서리에 상방으로 완곡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이 형태로인해 피부손상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1을 참조하여 제2완곡부(120f)에 대해 설명한다.
제2완곡부(120f)는 연장부(120c)의 외측 모서리에 하방으로 완곡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이 형태로인해 피부손상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바와 같이 손(H)을 사용하여 치료용액침투장치를 피부쪽 방향으로 가압하면 피부(S)가 치료용액배출부(120)의 경사진 구조를 통해 절취부(120g)와 맞닿는 피부(S)는 밀려들어간다. 이때, 경사부(120b)와 연장부(120c)에 맞닿는 피부(S)는 경사진 구조의 내부쪽으로 융기된다. 이에 따른 효과로는 니들부(300)가 융기된 피부(S)에 밀착되어 니들부(300)를 융기된 피부(S)에 더욱 효과적으로 침투시킨다는 것이다.
제3실시예에서 설명되지 않은 치료용액배출부(120)의 특징은 제1실시예를 참조한다.
도 13에 도시된바와 같이 손(H)으로 치료용액침투장치의 치료용액저장부(110)를 가압시 치료용액저장부(110)에 저장되어 있는 치료용액(L)이 치료용액배출부(120)을 따라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0 : 몸체부
110 : 치료용액저장부
120 : 치료용액배출부
120a,120g : 절취부
120b : 경사부
120c : 연장부
120d : 니들삽입부
120e : 제1완곡부
120f : 제2완곡부
125 : 모근이격가이드
200 : 밀봉부
200a,200b : 하단부
300 : 니들부
S : 피부
L : 치료용액
M : 모근
H : 손

Claims (4)

  1. 상부가 개방된 통형태의 몸체부(100);
    상기 몸체부(100)의 상부를 둘러싸고 결합되어, 몸체부(100)를 밀봉해주는 밀봉부(200);
    상기 몸체부(100)의 상단부에 형성되어진 니들부(300);
    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부(100)는
    치료용액(L)을 저장하는 치료용액저장부(110)와,
    상기 치료용액저장부(110)의 상부에 연통되어 치료용액저장부(110)를 가압시 치료용액저장부(110)에 저장된 치료용액(L)을 배출하는 치료용액배출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치료용액배출부(120)는
    상기 치료용액배출부(120)의 상단부에 돌출형성되되, 끝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되는 모근이격가이드(125)를 포함하고,

    상기 밀봉부(200)는
    상기 밀봉부(200)의 하단부(200a)가 치료용액배출부(120)의 외측면의 절취부(120a)와 결합되어 밀봉부(200)를 비틀어 돌리면 치료용액배출부(120)로부터 뜯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니들부(300)는
    모근이격가이드(125)의 최상단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용액침투장치.
  2. 상부가 개방된 통형태의 몸체부(100);
    상기 몸체부(100)의 상부를 둘러싸고 결합되어, 몸체부(100)를 밀봉해주는 밀봉부(200);
    상기 몸체부(100)의 상단부에 형성되어진 니들부(300);
    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부(100)는
    치료용액(L)을 저장하는 치료용액저장부(110)와,
    상기 치료용액저장부(110)의 상부에 연통되어 치료용액저장부(110)를 가압시 치료용액저장부(110)에 저장된 치료용액(L)을 배출하는 치료용액배출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밀봉부(200)는
    상기 밀봉부(200)의 하단부(200b)가 치료용액배출부(120)의 상단의 절취부(120g)와 결합되어 밀봉부(200)를 비틀어 돌리면 치료용액배출부(120)로부터 뜯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치료용액배출부(120)는
    상기 절취부(120g)의 내측 모서리로부터 하방으로 직경이 감소하는 경사면을 이루도록 연장되는 경사부(120b)와,
    상기 경사부(120b)의 하단으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되는 연장부(120c)와,
    상기 연장부(120c)의 일단부에 니들부(300)가 수직방향으로 삽입되는 니들삽입부(120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용액침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용액배출부(120)는
    상기 절취부(120g)의 내측 모서리에 상방으로 완곡지게 형성되는 제1완곡부(120e)와,
    상기 연장부(120c)의 외측 모서리에 하방으로 완곡지게 형성되는 제2완곡부(120f)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용액침투장치.
  4. 삭제
KR1020230060721A 2023-05-10 2023-05-10 치료용액침투장치 KR1026640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0721A KR102664045B1 (ko) 2023-05-10 2023-05-10 치료용액침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0721A KR102664045B1 (ko) 2023-05-10 2023-05-10 치료용액침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4045B1 true KR102664045B1 (ko) 2024-05-10

Family

ID=91072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0721A KR102664045B1 (ko) 2023-05-10 2023-05-10 치료용액침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404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0669B1 (ko) * 2012-03-29 2012-11-12 장지영 피부용 자가 주입기구
KR101300188B1 (ko) 2011-01-25 2013-08-26 한국기계연구원 Pzt를 이용한 미세침 치료장치
JP2013540017A (ja) * 2010-10-12 2013-10-31 オウエン マンフォード リミティド 針シールド装置
KR101711350B1 (ko) * 2016-07-25 2017-03-02 김미영 피부용 수동식 인젝터기
KR101869465B1 (ko) * 2017-04-12 2018-06-20 (주)풍림파마텍 재사용 방지 구조를 갖는 주사바늘 캡
US20220355045A1 (en) * 2021-05-04 2022-11-10 Michael Berry Hair growth applicator and method of us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40017A (ja) * 2010-10-12 2013-10-31 オウエン マンフォード リミティド 針シールド装置
KR101300188B1 (ko) 2011-01-25 2013-08-26 한국기계연구원 Pzt를 이용한 미세침 치료장치
KR101200669B1 (ko) * 2012-03-29 2012-11-12 장지영 피부용 자가 주입기구
KR101711350B1 (ko) * 2016-07-25 2017-03-02 김미영 피부용 수동식 인젝터기
KR101869465B1 (ko) * 2017-04-12 2018-06-20 (주)풍림파마텍 재사용 방지 구조를 갖는 주사바늘 캡
US20220355045A1 (en) * 2021-05-04 2022-11-10 Michael Berry Hair growth applicator and method of us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21056B1 (en) Strong diaphragm/safe needle units and components for transfer of fluids
EP1429827B1 (en) Blood collection needle
US6554809B2 (en) Epidural catheter needle
US6371675B1 (en) Skin disinfectant applicator
US6391014B1 (en) Strong diaphragm/safe needle/converting device combinations and their individual components
US5290267A (en) Hypodermic needle
US4413993A (en) Infiltration-proof intravenous needle
JP6404837B2 (ja) 穿刺補助器具および穿刺器具セット
EP3020430B1 (en) Cannula for catgut-embedding therapy
US20020042589A1 (en) Medical injection device
KR20030037261A (ko) 의료용 베벨 바늘
CA2818132A1 (en) A needle shield and a winged needle assembly
US6517521B1 (en) Painless perforated intradermal injection needle
US2711733A (en) Hypodermic needle
KR102664045B1 (ko) 치료용액침투장치
KR20190037784A (ko) 주사장치
CN211157856U (zh) 一种用于年轻化整形手术的钝针
CN211381646U (zh) 一种低创型腰椎穿刺针
CN211068437U (zh) 一种防针刺保护装置及使用该防针刺保护装置的留置针
CN209048256U (zh) 偏心钝头侧孔逆齿提升针刀
KR20090007424U (ko) 절취선이 구비된 치료용 테이프
CN215083307U (zh) 输液港港座固定器组件及输液港港座固定器
KR200294066Y1 (ko) 미용실용 머리카락 침투방지 밴드
CN208070198U (zh) 一种瓶装药物的服用装置
JP2016077424A (ja) 留置針組立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