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3508B1 - 바이러스 감염증 검사를 위한 진단 키트 - Google Patents
바이러스 감염증 검사를 위한 진단 키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63508B1 KR102663508B1 KR1020210143271A KR20210143271A KR102663508B1 KR 102663508 B1 KR102663508 B1 KR 102663508B1 KR 1020210143271 A KR1020210143271 A KR 1020210143271A KR 20210143271 A KR20210143271 A KR 20210143271A KR 102663508 B1 KR102663508 B1 KR 10266350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ylinder
- push cap
- swap
- connecting rod
- diagnostic ki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9007 Diagnostic Kit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4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title description 4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title description 4
- 230000010460 detection of virus Effects 0.000 title 1
- 239000007853 buffer solutio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08000036142 Viral infection Diseas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0000009385 viral infec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8000005070 samp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3745 diagnosi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41000700605 Viruses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8
- 241000711573 Coronaviridae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08000015181 infectious disease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00523 samp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29920000742 Cott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4092 self-diagnosis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08000001528 Coronaviridae Infections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238 degrea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PCHJSUWPFVWCPO-UHFFFAOYSA-N gold Chemical compound [Au] PCHJSUWPFVWCP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9000010931 gol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37 gol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105 nano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41001678559 COVID-19 virus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888 f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1331 nose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241 respir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08000025721 COVID-19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41000127282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related coronavir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405 diagnostic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598 dipp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082 metal nano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06 packaging method and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285 radioa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8000034048 Asymptomatic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5473 Communicable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790 Enzym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4190 Enzym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24008 Mammal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5370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4 acut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7 anti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08091007433 antigen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000036639 antigen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84 colloidal syste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9 diges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284 exci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887 fac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634 frag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928 nasal cavity Anatomy 0.000 description 1
- 108020004707 nucleic acid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7523 nucleic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102000039446 nucleic acid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056 orga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798 organs belonging to the digestive syste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4000052769 pathogen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17 path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62 prolife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112 rose gol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41000894007 speci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92 spre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1580 syndromic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282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5486 vaccine Drug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2—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 B01L3/5029—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using swab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2—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 B01L3/5023—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with a sample being transported to, and subsequently stored in an absorbent for analysi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9/00—Supporting devices; Holding devices
- B01L9/52—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flat sample carriers, e.g. for plates, slides, chip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16—Reagents, handling or storing thereof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2—Identification, exchange or storage of information
- B01L2300/025—Displaying results or values with integrated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12—Specific details about materials
- B01L2300/123—Flexible; Elastomeri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이러스 감염증 검사를 위한 진단 키트에 관한 것으로서, 코로나바이러스(coronavirus) 등 바이러스로 인한 감염증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진단할 수 있는 진단 키트를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유로홀이 형성된 실린더를 가지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서 실린더 외부에 고정된 진단 스트립; 상기 실린더 내부에서 전후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전방 이동시 채취봉의 일단부에 고정된 검체채취부가 케이스 외부로 돌출되는 스왑; 버퍼용액이 저장된 저장챔버를 가지며 상기 채취봉의 타단부에 형성된 연결봉에 결합되어 누름 조작시 상기 스왑이 전방 이동되도록 하는 푸시캡; 및 사용자가 조작함에 따라 상기 실린더에 형성된 유로홀을 개폐하도록 케이스에 설치되는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푸시캡은 사용자가 조작함에 따라 상기 저장챔버에 저장된 버퍼용액을 상기 실린더 내부로 배출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푸시캡으로부터 실린더 내부로 배출된 버퍼용액이 레버에 의해 개방된 유로홀을 통해 실린더 외부로 배출되는 경우 상기 진단 스트립에 접촉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 감염증 검사를 위한 진단 키트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바이러스 감염증 검사를 위한 진단 키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코로나바이러스(coronavirus) 등 바이러스로 인한 감염증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진단할 수 있는 진단 키트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동물이나 인간의 몸 안에 바이러스가 침입하여 기관이나 조직에서 증식한 결과로 생기는 질병이 큰 위협이 되고 있다. 특히, 최근의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은 팬데믹(pandemic) 현상과 함께 전 세계를 공황 상태에 빠지게 하고 있으며, 자가격리, 사회적 거리두기, 재택근무 등과 같이 새로운 사회문화적 현상과 큰 변화 양상을 이끌고 있다.
코로나바이러스는 건강한 사람이라 하더라도 감염 후 호흡기나 소화기 등에 심각한 후유증을 남길수 있고, 기저질환 환자들에게는 생명을 잃을 수도 있는 무섭고 치명적인 질병을 일으킬 수 있다. 무엇보다 코로나바이러스는 전파 속도 및 확산 속도가 빠르므로 적극적인 대응과 방역이 필요하다.
코로나바이러스는 단일 가닥 RNA를 게놈(genome)으로 가지는 코로나바이러스과에 속하는 바이러스들을 지칭하며, 조류뿐만 아니라 인간을 포함한 다양한 포유류에서도 발견된다. 코로나바이러스는 그 종이 매우 다양하며, 바이러스의 특성과 숙주에 따라서 호흡기와 소화기 감염병을 모두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람에서는 2003년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었던 중증 급성 호흡기 증후군(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 SARS)과 2015년 중동 호흡기 증후군(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MERS)의 원인 바이러스로서 크게 문제된 바 있다. 최근에는 중국 우한에서 발생하여 전 세계적으로 유행하고 있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 (Coronavirus Disease-19, COVID-19)의 병원체인 SARS-CoV-2로 주목을 받고 있다.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은 높은 확산율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발병 초기의 무증상 상태에서도 전염력이 높으므로 집단 감염을 일으킬 가능성이 매우 크다. 현재 전 세계에서 치료제와 백신을 개발하고 있으나 아직 치료책이 확립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최선의 대책은 조기에 감염자를 발견하여 집단 감염을 예방하는 것이다. 따라서, 다수의 검사 대상에 대해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여부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에 대한 가장 일반적인 진단 방법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자가 진단 키트를 이용하는 방법이다. 도 1을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멸균 처리된 면봉(swab)(1)의 탈지솜 부분을 콧속(비강)으로 넣어 코 안쪽 부위(또는 비인두 부위 등)에 문질러 접촉시킴으로써 검체를 채취한다. 이때 검체가 면봉(1)의 탈지솜 부분에 묻게 된다. 이어 추출액 튜브(2)를 흔들어준 뒤 포일(foil)을 떼어내고(①), 검체를 채취한 면봉(1)을 검체 추출액이 채워진 추출액 튜브(2) 내에 넣은 뒤 위, 아래로 반복해서 휘젖는다(②).
이어 면봉(1)의 탈지솜 부분이 넣어진 상태로 추출액 튜브(2)의 바깥 표면을 손으로 눌러서 면봉의 탈지솜 부분을 추출액 내에서 짜낸 뒤(②), 면봉(1)을 추출액 튜브(2)로부터 빼내고, 이어 노즐캡(3)을 추출액 튜브(2)의 개구부에 결합하여 닫는다(③).
이와 같이 노즐캡(3)을 조립한 상태에서, 검체가 혼합되어 있는 추출액을 노줄캡(3)의 노즐을 통해 추출액 튜브(2)로부터 테스트기(4)의 투입구(5)로 몇 방을 떨어뜨린다(③). 이후 정해진 시간이 경과하고 나면, 테스트기(4)의 윈도우(6)를 통해 진단 스트립(7)에 나타나는 표식을 확인하여 양성과 음성 여부를 확인한다(④).
그러나, 이러한 자가 진단 키트를 이용하면 진단 및 검사가 간편하고 검사 결과를 신속히 알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검체 채취부터 검사 결과를 얻기까지 여러 과정을 거쳐야 한다. 또한, 자가 진단 키트를 구성하는 부품의 수가 많다. 즉, 검체 채취를 위한 면봉(1), 추출액 튜브(2), 노즐캡(4), 테스트기(4) 등 분리되어 있는 부품이 적어도 4개이다.
결국, 진단 과정에서 각 부품을 정해진 순서대로 하나씩 사용해야 하고, 검체가 채취된 면봉(1)을 개구부를 통해 추출액 튜브(2) 내에 조심스럽게 삽입하여 추출액에 담갔다가 휘저어야 하는 등 과정이 번거로우며, 검사 과정이 사용자에게 어느 정도 익숙해야만 정확한 진단이 가능하다. 이에 노인이나 손이 자유롭지 못한 환자 또는 장애인 등의 경우 직접 검체를 채취하고 추출액을 이용하는데 있어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자가 진단 키트의 부품들이 모두 분리된 상태로 보관되어야 하므로 보관 및 휴대가 불편하고, 부품들 중 하나라도 분실이 되면 사용이 불가하다. 또한, 분리 보관 및 포장되어야 하는 부품들의 수가 많기 때문에 제품의 해외 운송 및 항공 수송시 부피를 많이 차지하는 불리함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서, 종래의 과정에 비해 검사 과정이 더 간편하고, 숙련도 없이 노인이나 장애인 등 누구나 쉽게 바이러스 감염증의 검사가 가능한 진단 키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부품이나 기기가 분리되어 있는 상태가 아닌 전체가 일체로 조립된 상태로 제공되어 자가 진단을 쉽게 시행할 수 있고, 부품 분실의 위험 없이 보관 및 휴대가 간편할 뿐만 아니라, 운송시 부피 또한 축소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진단 키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유로홀이 형성된 실린더를 가지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서 실린더 외부에 고정된 진단 스트립; 상기 실린더 내부에서 전후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전방 이동시 채취봉의 일단부에 고정된 검체채취부가 케이스 외부로 돌출되는 스왑; 버퍼용액이 저장된 저장챔버를 가지며 상기 채취봉의 타단부에 형성된 연결봉에 결합되어 누름 조작시 상기 스왑이 전방 이동되도록 하는 푸시캡; 및 사용자가 조작함에 따라 상기 실린더에 형성된 유로홀을 개폐하도록 케이스에 설치되는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푸시캡은 사용자가 조작함에 따라 상기 저장챔버에 저장된 버퍼용액을 상기 실린더 내부로 배출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푸시캡으로부터 실린더 내부로 배출된 버퍼용액이 레버에 의해 개방된 유로홀을 통해 실린더 외부로 배출되는 경우 상기 진단 스트립에 접촉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 감염증 검사를 위한 진단 키트를 제공한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바이러스 감염증 진단 키트에 의하면, 전체가 일체로 조립된 상태의 구성을 가지므로 부품 또는 기기의 별도 조립이나 해체 과정 없이 누구나 쉽게 사용이 가능하며, 간단한 구성을 가지므로 원가 절감에도 기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바이러스 감염증 진단 키트에 의하면, 면봉을 튜브 내에 삽입하여 추출액에 담갔다가 휘젖는 등의 과정 없이 간단한 캡 조작과 레버 조작만으로 바이러스 감염증 진단을 간편하게 시행할 수 있고, 노인이나 손 사용이 불편한 장애인의 경우에도 쉽게 사용 및 자가 진단이 가능하다.
또한, 분리된 상태의 부품이 없으므로 부품 분실의 위험이 없고, 보관 및 휴대가 간편할 뿐만 아니라, 운송시 부피나 포장을 축소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공지의 자가 진단 키트를 이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단 키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단 키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단 키트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단 키트에서 스왑과 리턴 스프링, 푸시캡의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단 키트에서 케이스 본체를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단 키트에서 케이스 본체에 레버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단 키트에서 케이스 본체에 스트립 어셈블리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과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단 키트에서 푸시캡과 스왑의 연결봉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단 키트에서 레버 조작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과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단 키트에서 레버 조작에 의해 유로홀이 개폐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단 키트로서, 케이스의 형상을 변경한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단 키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단 키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단 키트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단 키트에서 스왑과 리턴 스프링, 푸시캡의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단 키트에서 케이스 본체를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단 키트에서 케이스 본체에 레버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단 키트에서 케이스 본체에 스트립 어셈블리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과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단 키트에서 푸시캡과 스왑의 연결봉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단 키트에서 레버 조작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과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단 키트에서 레버 조작에 의해 유로홀이 개폐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단 키트로서, 케이스의 형상을 변경한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들과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촉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 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바이러스 감염증 검사를 위한 진단 키트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코로나바이러스(coronavirus) 등 바이러스로 인한 감염증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진단할 수 있는 진단 키트에 관한 것이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단 키트(100)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2는 사용 전 상태를 나타내고, 도 3은 푸시캡(150)을 눌러 스왑(140)의 검체채취부(142)를 케이스(110)의 돌출관부(121)로부터 노출시킨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단 키트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단 키트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단 키트(100)에서 스왑(140)과 리턴 스프링(146), 푸시캡(150)의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구성을 설명하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단 키트(100)는, 케이스(case)(110), 진단 스트립(131), 스왑(swab)(140), 푸시캡(150) 및 레버(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단 키트(100)는, 유로홀(118)이 관통 형성된 실린더(112)를 가지는 케이스(110), 상기 케이스(110)에서 실린더(112) 외부에 고정된 진단 스트립(131), 상기 실린더(112) 내부에서 전후 이동 가능하도록 케이스(110)에 설치되고 전방 이동시 채취봉(141)의 일단부에 고정된 검체채취부(142)가 케이스(110) 외부로 돌출되는 스왑(140), 버퍼용액이 저장된 저장챔버(156)를 가지며 상기 채취봉(141)의 타단부에 형성된 연결봉(143)에 결합되어 누름 조작시 상기 스왑(140)이 전방 이동되도록 하는 푸시캡(150), 및 사용자가 조작함에 따라 상기 실린더(112)에 형성된 유로홀(118)을 개폐하도록 케이스(110)에 설치되는 레버(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케이스(110)는 내부공간을 가지는 케이스 본체(111)와, 상기 케이스 본체(111)의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1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 본체(111)에는 실린더(112) 및 관부(119)가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112)는 케이스 본체(111)의 내부공간에 원형 단면의 관 형상(원통 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 본체(111)에서 실린더(112)의 일단부(후단부)는 개구되어 있으며, 상기 개구된 일단부를 통해 푸시캡(150)의 일부가 실린더(112)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된다. 또한, 케이스 본체(111)의 실린더(112)에서 타단부(전단부)에는 관부(119)가 형성된다. 상기 실린더(112)와 관부(119)는 내부공간이 서로 연통되어 있다.
케이스 본체(111)에서 관부(119)는 일정 내경을 가지는 원형 단면의 관 형상(원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때 관부(119)는 실린더(112)에 비해 작은 내경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관부(119)는 실린더(112)의 상기 타단부(전단부)에 일체로 연결되도록 케이스 본체(111)에 형성된 유로관부(120)와, 케이스 본체(111)의 일단부에서 전방으로 길게 연장 및 돌출된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 돌출관부(12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케이스 본체(111)의 내측으로 위치되는 유로관부(120)와, 케이스 본체(111)의 외부로 연장된 돌출관부(121)는 내부공간이 서로 연결된 일체의 관 구조로 구비되고, 이때 양측의 내부공간이 직선의 관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유로관부(120)와 돌출관부(121)는 동일한 내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유로관부(120) 및 돌출관부(121)의 내부공간은 실린더(112)의 내부공간과도 직선의 관로를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122)는 케이스 본체(111)의 내부공간을 상측에서 덮도록 조립되며, 케이스 본체(111)에 조립된 상태에서 케이스(110)의 상면을 형성하는 부분이다. 상기 커버(122)는 후술하는 진단 스트립(131)을 상측에서 덮도록 조립된다.
커버(122)의 일측에는 케이스 본체(111)의 내부공간에 설치된 진단 스트립(131)에 표시되는 진단 결과를 보여줄 수 있도록 윈도우(123)가 관통 형성되고, 커버(122)의 타측에는 후술하는 레버(160)의 조작돌기(163)가 통과하도록 삽입되는 작동홀(124)이 관통 형성된다. 레버(160)의 조작돌기(163)는 사용자에 의해 손으로 조작될 수 있도록 커버(122)의 작동홀(124)을 통해 케이스(110)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단 키트(100)에서 케이스 본체(111)에 레버(160)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단 키트(100)에서 케이스 본체(111)에 스트립 어셈블리(130)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진단 스트립(131)은 스트립 프레임(132)에 결합된 상태로 레버(160)와 함께 케이스 본체(111)의 내부공간 중 실린더(112)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진단 스트립(131)과 스트립 프레임(132)이 일체로 결합된 구성의 스트립 어셈블리(130)가 케이스 본체(111)의 내부공간에서 실린더(112)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 본체(111)에서 실린더(112)의 외측면에 받침돌기(113)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받침돌기(113) 위에 스트립 어셈블리(130)가 안착 및 지지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케이스 본체(111)에서 실린더(112)의 상부 외측면에는 측단 지지돌기(114a,114b)가 케이스 본체(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로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실린더(112)의 상부 외측면에서 좌측과 우측에 각각 측단 지지돌기(114a,114b)가 형성될 수 있고, 좌측의 측단 지지돌기(114a)와 우측의 측단 지지돌기(114b)가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나란하게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받침돌기(113)는 좌측의 측단 지지돌기(114a)와 우측의 측단 지지돌기(114b) 사이에 배치된다. 즉, 받침돌기(113)가 좌측의 측단 지지돌기(114a)와 우측의 측단 지지돌기(114b) 사이에 위치하도록 실린더(112)의 상부 외측면에 형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좌측의 측단 지지돌기(114a)와 우측의 측단 지지돌기(114b) 사이에 복수 개의 받침돌기(113)가 케이스 본체(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정해진 간격을 두고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 본체(111)의 전단부에서 실린더(112)의 상부 외측면에 별도의 끝단 지지돌기(115)가 좌측의 측단 지지돌기(114a)와 우측의 측단 지지돌기(114b) 사이에 위치하도록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나란한 좌측의 측단 지지돌기(114a)와 우측의 측단 지지돌기(114b), 그리고 상기 끝단 지지돌기(115)가 실린더(112)의 상부 외측면에서 스트립 어셈블리(130)가 넣어져 고정되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실린더(112)의 상부 외측면에서 좌측의 측단 지지돌기(114a)와 우측의 측단 지지돌기(114b), 그리고 끝단 지지돌기(115)의 높이가 그 사이에 위치되는 받침돌기(113)들의 높이보다 높게 설정된다. 이에 스트립 어셈블리(130)가 하측의 받침돌기(113)들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상기 좌우 양측의 측단 지지돌기(114a,114b)와 상기 끝단 지지돌기(115) 사이의 공간에 넣어져 위치될 수 있다.
결국, 스트립 어셈블리(130)가 지지돌기(114a,114b,115)들 사이에 넣어져 위치된 상태일 때, 스트립 어셈블리(130)의 좌우 양 측단이 상기 좌우 양측의 측단 지지돌기(114a,114b)에 접촉된 상태로, 스트립 어셈블리(130)가 좌우 측방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 및 지지된다. 또한, 스트립 어셈블리(130)의 일단부 끝단 부위가 상기 끝단 지지돌기(115)에 접촉된 상태로, 스트립 어셈블리(130)가 전방으로 유동되지 않게 고정 및 지지된다.
이와 같이 좌측의 측단 지지돌기(114a)와 우측의 측단 지지돌기(114b), 그리고 끝단 지지돌기(115) 사이의 공간에 스트립 어셈블리(130)가 상기 받침돌기(113)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설치되며, 이렇게 설치된 스트립 어셈블리(130)의 상측을 덮을 수 있도록 전술한 바와 같이 커버(122)가 케이스 본체(111)에 결합된다. 또한, 커버(122)가 결합된 상태에서 진단 스트립(131)의 일부 구간이 상기 커버(122)의 윈도우(123)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있게 된다.
한편, 스왑(140)은 채취봉(141) 및 연결봉(143), 그리고 상기 채취봉(141)의 일단부(전단부)에 고정되는 검체채취부(1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검체채취부(142)는 멸균된 탈지솜이 될 수 있다. 상기 연결봉(143)은 푸시캡(150)이 결합되는 부분이면서 푸시캡(150)의 저장챔버(156) 내에 저장된 버퍼용액이 외부로 흘러나올 수 있는 유로를 제공하는 부분이다.
이를 위해 연결봉(143)의 외주면에는 나선형으로 유로홈(145)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봉(143)의 외주면에서 유로홈(145)의 내측 공간이 푸시캡(150)의 저장챔버(156)에 저장된 버퍼용액이 외부로 흘러나올 수 있는 유로가 된다.
상기 연결봉(143)은 채취봉(141)에서 검체채취부(142)가 결합된 일단부(전단부)와는 반대쪽의 단부, 즉 채취봉(141)의 타단부(후단부)에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연결봉(143)이 채취봉(141)의 타단부에서 축선을 따라 후방으로 길게 연장된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스왑(140)의 채취봉(141)과 연결봉(143)이 직선을 이루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스왑(140)은 케이스(110)의 실린더(112) 내부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통과하도록 설치되는데, 이때 스왑(140)의 검체채취부(142)가 케이스(110)의 돌출관부(121) 내측에 위치하도록 조립된다. 스왑(140)의 채취봉(141)은 돌출관부(121)에서 유로관부(120)를 지나 실린더(112)의 내부를 따라 길게 배치되며, 채취봉(141)에 일체로 연결된 연결봉(143) 또한 실린더(112) 내에 위치된다.
그리고, 스왑(140)은 케이스(110)의 실린더(112) 내에서 리턴 스프링(146)에 의해 탄성 지지되도록 설치되는데, 리턴 스프링(146)은 스왑(140)을 탄력적으로 리턴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리턴 스프링(146)은, 검체채취부(142)가 돌출관부(121)로부터 빠져나와 전방으로 노출되도록 스왑(140)이 전진한 상태에서, 상기 스왑(140)을 다시 후방으로 리턴 이동시키는 탄성 복원력을 제공한다.
즉, 리턴 스프링(146)이 케이스(110)와 스왑(140) 사이에 탄성 변형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며, 스왑(140)이 푸시캡(150)을 통해 가해지는 가압력에 의해 전방 이동될 때 리턴 스프링(146)이 스왑(140)에 의해 압축되었다가, 상기 푸시캡(150)을 통해 가해지던 가압력이 해제(제거)되면 리턴 스프링(146)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스왑(140)이 후방으로 리턴 이동하게 된다.
상기한 리턴 스프링에 의한 탄성 지지를 위해, 스왑(140)에는 걸림돌기(144)가 돌출 형성되고, 케이스(110)의 실린더(112) 내측면에는 스프링 지지턱(116)이 형성된다. 이때 리턴 스프링(146)은 걸림돌기(144)와 케이스(110)의 스프링 지지턱(116) 사이에 설치되고, 실린더(112) 내에서 스왑(140)의 채취봉(141) 주위를 따라 배치되도록 장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걸림돌기(144)는 스왑(140)의 채취봉(141) 외주면에 측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걸림돌기(144)는 스왑(140)의 채취봉(141)에 좌우 양측으로 각 1개씩 배치되도록 총 2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스왑(140)에서 걸림돌기(144)가 형성되는 위치는 채취봉(141)과 연결봉(143)의 경계 부위가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스프링 지지턱(116)은 상기 관부(119)가 연결된 부분인 실린더(112)의 일단부(전단부) 내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스왑(140)의 채취봉(141)에 형성된 걸림돌기(144)는 실린더(112) 내에서 스프링 지지턱(116)과 함께 리턴 스프링(146)을 지지하는 부분이면서 실린더(112) 내에서 스왑(140)이 축 방향으로 전후 이동만 가능하고 축 회전은 불가하도록 규제하는 수단이 된다. 상기 스왑(140)이 축 회전하지 않도록 규제하는 수단은, 상기와 같이 스왑(140)에 형성된 걸림돌기(144)와, 상기 실린더(112)의 내측면에 형성된 안내돌기(117)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단 키트(100)에서 케이스 본체(111)를 도시한 단면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112)의 내측면에서 상측과 하측에 1개씩의 안내돌기(117)가 형성되며, 각 안내돌기(117)가 실린더(112)의 전후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2개의 안내돌기(117)가 일정 간격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2개씩의 안내돌기(117)가 실린더(112)의 내측면에서 좌측과 우측에 각각 형성된다. 즉, 실린더(112) 내측면의 좌측과 우측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2개씩의 안내돌기(117)가 각각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실린더(112)의 내측면에서 좌측과 우측에 각각 나란하게 형성된 두 안내돌기(117)의 사이에, 상기 스왑(140)의 좌우 양측 각 걸림돌기(144)가 삽입되어 위치된다. 이로써, 케이스(110)의 실린더(112) 내에서 스왑(140)이 전후 이동하게 될 때, 상기 스왑(140)의 두 걸림돌기(144)가 각각 실린더(112)의 나란한 두 안내돌기(117) 사이에서 전후 이동하게 된다.
또한, 스왑(140)의 좌우 양측 각 걸림돌기(144)가 상기 실린더의 나란한 두 안내돌기(117) 사이에 각각 위치되므로, 스왑(140)이 회전되려고 할 때 상기 각 걸림돌기(144)가 회전방향으로는 안내돌기(117)에 걸리게 되어, 스왑(140)의 회전은 불가하다. 이와 같이 실린더(112) 내측면의 나란한 두 안내돌기(117)는 스왑(140)의 전후 이동시 걸림돌기(144)를 전후로 안내하는 역할을 함과 더불어, 스왑(140)이 회전되지 않도록 규제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단 키트(100)에서 푸시캡(150)은 연결봉(143)을 매개로 스왑(140)에 연결되며, 검체 채취시 사용자가 손으로 가압하여 누르게 되는 부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푸시캡(150)은 내부공간을 가지는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며, 푸시캡(150)의 내부공간이 버퍼용액이 채워져 저장되는 저장챔버(156)가 된다.
푸시캡(150)의 일단부(전단부)에는 연결봉(143)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홀(151)이 형성되고, 푸시캡(150)의 타단부(후단부)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가압하여 누르게 되는 부분인 플랜지부(152)가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부(152)는 도 2 내지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푸시캡(150)의 타단부에서 좌우 양 측방으로 돌출 및 확장된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푸시캡(150)의 타단부에는 내부공간인 저장챔버(156) 내에 버퍼용액을 주입하기 위한 주입홀(153)이 형성되고, 이 주입홀(153)에는 푸시캡(150)의 저장챔버(156) 내에 버퍼용액이 주입되고 난 상태에서 저장챔버(156)를 완전히 밀폐하도록 포일(foil)(154)이 부착된다.
또한, 푸시캡(150)이 결합되는 연결봉(143)에는 삽입부가 축선을 따라 후방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는 푸시캡(150)의 결합홀(151)을 통해 푸시캡(150)의 내부공간인 저장챔버(156)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위치된다.
또한, 푸시캡(150)의 결합홀(151) 내측으로 연결봉(143)의 단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며, 푸시캡(150)과 연결봉(143)의 상호 고정을 위해 푸시캡(150)의 결합홀(151) 내주면과 연결봉(143)의 외주면이 서로 접착(bonding)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단 키트에서 푸시캡과 스왑의 연결봉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푸시캡(150)의 결합홀(151) 내주면과 연결봉(143)의 외주면 사이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접착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때, 푸시캡(150)의 결합홀(151) 내주면에 접착되는 연결봉(143)의 외주면 부분은 유로홈(145)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이다.
푸시캡(150)의 결합홀(151) 내주면과 연결봉(143)의 외주면 사이의 접착은, 푸시캡(150)의 저장챔버(156) 내에 채워진 버퍼용액이 푸시캡(150)의 결합홀(151)을 통해 푸시캡(150)의 외부(실린더의 내부)로 흘러나오지 않도록 푸시캡(150)의 저장챔버(156)를 실링 및 밀폐하기 위한 것이다. 즉, 푸시캡(150)과 스왑(140)의 연결봉(143) 사이를 서로 고정함과 더불어, 양측 간의 틈새를 밀봉하여 저장챔버(156)의 밀폐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푸시캡(150)의 결합홀(151) 내주면과 연결봉(143)의 외주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상태로 연결봉(143)의 외주면에 푸시캡(150)이 조립되고 나면, 접착제가 경화되고 난 뒤 연결봉(143)의 외주면에 푸시캡(150)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고, 양측 간 틈새 밀봉 및 저장챔버(156)의 밀폐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하지만, 푸시캡(150)에 일정 크기 이상의 힘이 가해질 경우, 서로 접착되어 있던 푸시캡(150)의 결합홀(151) 내주면과 연결봉(143)의 외주면 사이가 서로 분리될 수 있는 수준으로 접착이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플랜지부(152)를 잡고 회전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푸시캡(150)을 회전시키려 할 경우, 일정 크기 이상의 회전방향 힘에 의해 서로 접착되어 있던 푸시캡(150)과 스왑(140)의 연결봉(143) 사이가 서로 분리되면서 푸시캡(150)이 스왑(140)과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푸시캡(150)과 연결봉(143)은 푸시캡(150)의 강제 회전 시 서로 분리될 수 있도록 결합된다.
다른 예로서,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단 키트에서 푸시캡과 스왑의 연결봉이 결합된 상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푸시캡(150)과 스왑(140)의 연결봉(143)이 사출 성형 시 일체화될 수 있다. 즉, 푸시캡(150)과 스왑(140)의 채취봉(141)을 성형하여 제조할 때 함께 사출 성형하여, 푸시캡(150)과 채취봉(141)의 단부에 형성된 연결봉(143)이 일체로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술한 접착 방식과 마찬가지로, 푸시캡(150)의 강제 회전 시 푸시캡(150)과 연결봉(143)이 서로 분리될 수 있도록 결합된다. 여기서, 푸시캡(150)의 결합홀(151) 내주면과 연결봉(143)의 외주면이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고, 이때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봉(143)의 외주면에 연결된 푸시캡 부위에서 그 두께가 다른 푸시캡 부위에 비해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로 형성된다. 이때, 얇은 두께의 푸시캡 부위가 연결봉(143)의 외주면에 일체로 연결되는 것이며, 원주방향 전 둘레를 따라 연결부위가 얇은 두께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푸시캡(150)에서 얇은 두께로 형성되는 연결봉(143)과의 연결부위는, 상술한 접착 방식과 마찬가지로, 푸시캡(150)을 일정 수준 이상의 힘으로 회전시킬 때 파단되는 파단 부위가 되며, 푸시캡(150)에 가해진 일정 수준 이상의 회전방향 힘에 의해 상기와 같이 파단되면서 푸시캡(150)의 체결홀 내주면과 연결봉의 외주면이 서로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도 11의 예에서도 푸시캡(150)과 연결봉(143)은 푸시캡(150)의 강제 회전 시에는 서로 분리될 수 있는 결합 구조가 된다.
또한, 푸시캡(150)은 적어도 일부가 케이스(110)의 실린더(112) 내측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데, 푸시캡(150)의 외주면에는 실린더(112)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실링을 위한 실링돌기(155)가 형성된다. 상기 실링돌기(155)는 푸시캡(150)의 외주면 전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실링돌기(155)가 푸시캡(150)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단 키트(100)에서 케이스(110)의 실린더(112), 즉 케이스 본체(111)에 형성된 실린더(112)의 상부에는 유로홀(118)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유로홀(118)은 실린더(112)의 단부에 형성될 수 있고, 상세하게는 실린더(112)에서 관부(119)가 형성 및 연결되어 있는 단부(전단부)와는 반대쪽의 단부(후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더 상세하게는 상기 유로홀(118)은 실린더(112)의 단부에서도 상기 좌측의 측단 지지돌기(114a)와 우측의 측단 지지돌기(114b) 사이의 위치인 상부에 형성될 수 있고, 이때 스트립 어셈블리(130)의 하측으로 위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유로홀(118)은 케이스 본체(111) 내에서 실린더(112) 외측에 전후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레버(160)에 의해 개폐된다. 상기 레버(160)는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레버 플레이트(161)와, 이 레버 플레이트(161)에 일체로 형성된 조작돌기(16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 중 레버 플레이트(161)가 유로홀(118)을 개폐하는 부분이며, 조작돌기(163)는 사용자가 유로홀(118)을 개폐하기 위해 손으로 잡고 조작하게 되는 부분이다.
상기 레버(160)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버 플레이트(161)가 실린더(112)의 상부 외측면에 안착된 상태가 되도록 조립되며, 레버(160)가 조립된 상태에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버(160)의 레버 플레이트(161) 상측으로 스트립 어셈블리(130)가 조립된다. 이로써, 스트립 어셈블리(130)와 실린더(112) 사이의 공간에 레버(160)의 레버 플레이트(161)가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레버 플레이트(161)는, 그 하면이 실린더(112)의 상부 외측면에 접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실린더(112)의 상부 외측면에서 전후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해 레버 플레이트(161)에는 좌측의 측단 지지돌기(114a)와 우측의 측단 지지돌기(114b)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는 슬릿(162)이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레버 플레이트(161)에 2개의 슬릿(162), 즉 좌측의 측단 지지돌기(114a)와 우측의 측단 지지돌기(114b)가 하나씩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는 2개의 슬릿(162)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레버(160)는 전후 슬라이드 이동된 위치에 따라 레버 플레이트(161)가 유로홀(118)을 개방하거나 폐쇄하게 되는데, 실린더(112)의 상부 외측면에 형성된 좌측 및 우측의 나란한 두 측단 지지돌기(114a,114b)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버 플레이트(161)의 슬릿(162)에 삽입된 상태로 레버(160)의 전후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게 된다. 이로써, 상기 두 측단 지지돌기(114a,114b)는 스트립 어셈블리(130)가 좌우 측방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함과 더불어, 레버 플레이트(161)의 슬릿(162)에 겹합된 상태에서 레버(160)의 전후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레버 플레이트(161)가 실린더(112)의 상부 외측면에 전후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레버(160)의 조작돌기(163)는 커버(122)의 작동홀(124)을 통과하여 케이스(110)의 외부(케이스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게 된다. 상기 작동홀(124)은 전후로 긴 장방형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로써, 사용자가 작동홀(124)을 통해 케이스(110)의 외부로 나와 있는 조작돌기(163)를 전후로 밀거나 당겨주는 조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조작돌기(163)의 조작에 의해 레버 플레이트(161)가 실린더(112)의 상부 외측면에서 전후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고, 이때 전후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레버 플레이트(161)에 의해 실린더(112)의 유로홀(118)이 개폐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레버(160)가 전방에 위치될 때 레버 플레이트(161)가 실린더(112)의 유로홀(118)을 닫고 있게 되며, 이때 조작돌기(163) 또한 커버(122)의 작동홀(124)에서 앞쪽 위치에 있게 된다.
반면, 사용자가 조작돌기(163)를 뒤로 당겨줄 경우 레버(160)가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레버 플레이트(161)가 실린더(112)의 유로홀(118)을 개방하게 되고, 이에 실린더(112) 내부의 버퍼용액이 유로홀(118)을 통과하여 진단 스트립(131)쪽으로 흐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작동홀(124)을 통해 케이스(110)의 외부로 돌출된 조작돌기(163)를 조작함에 의해 레버(160)를 전후로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고, 레버(160)의 전후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실린더(112)의 유로홀(118)이 개폐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단 키트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단 키트의 작동 상태, 및 진단 키트를 이용하여 바이러스 감염증을 진단하는 과정에 대해 도 2 내지 도 14를 참조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단 키트에서 레버 조작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3과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단 키트에서 레버 조작에 의해 유로홀이 개폐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13은 유로홀(118)이 레버(160)에 의해 닫힌 상태를, 도 14는 유로홀(118)이 열린 상태를 나타낸다.
사용 전에는 푸시캡(150)의 내부공간, 즉 푸시캡(150)의 저장챔버(156)에 버퍼용액이 채워져 있게 된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 전 상태에서 스왑(140)의 검체채취부(142)는 케이스(110)의 돌출관부(121) 내에 들어가 있게 된다.
먼저, 바이러스 감염증의 진단을 위해 검체를 채취하는데, 사용자가 스왑(140)의 후단부(연결봉)에 결합된 푸시캡(150)을 손으로 눌러 케이스(110)의 실린더(112) 내부에서 스왑(140)이 전진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푸시캡(150)이 스왑(140)의 연결봉(143)에 접착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푸시캡(150)을 누르게 되면 스왑(140)이 푸시캡(150)과 일체로 이동하게 되며, 결국 스왑(140)이 실린더(112) 내부에서 전진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스왑(140)이 전진 이동하게 되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왑(140)의 검체채취부(142)가 케이스(110)의 돌출관부(121)에서 빠져 나와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게 된다. 스왑(140)이 전진 이동될 때 리턴 스프링(146)은 좌우 양측의 두 걸림돌기(144)에 의해 압축되고, 이때 두 걸림돌기(144)는 각각 실린더(112) 내측면의 나란한 두 안내돌기(117) 사이에 삽입된 상태로 전방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푸시캡(150)의 누름 상태(가압 상태)에서 사용자는 전방으로 돌출된 스왑(140)의 검체채취부(142)를 검사 대상이 되는 사람(사용자 또는 다른 검사 대상자)의 콧속에 넣고 문질러서 검체를 채취하게 된다. 이때 바이러스가 포함된 검체가 검체채취부(탈지솜)(142)에 충분히 묻도록 한다.
이어 사용자는 검체 채취를 마치고 나면 푸시캡(150)의 누름 상태를 해제하는데, 푸시갭(150)을 누르고 있던 힘을 조금씩 줄여나가면 스왑(140)이 리턴 스프링(146)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후진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스왑(140)이 후진 이동되는 동안 스왑(140)의 두 걸림돌기(144)는 각각 실린더(112)의 나란한 두 안내돌기(117) 사이에서 후방 이동하게 된다.
또한, 푸시캡(150)의 누름 상태가 완전히 해제되면, 리턴 스프링(146)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스왑(140)의 위치가 푸시캡(150)을 누르기 전의 초기 위치로 복원되고, 이때에도 스왑(140)의 두 걸림돌기(144)는 실린더(112)의 나란한 두 안내돌기(117) 사이에 위치해 있게 된다. 또한, 푸시캡(150)의 누름 상태가 완전히 해제되면, 스왑(140)의 검체채취부(142)는 다시 케이스(110)의 돌출관부(121) 내측으로 삽입되어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한 손으로 케이스(110)를 잡고, 다른 한 손으로 푸시캡(150)의 플랜지부(152)를 잡은 뒤, 상기 푸시캡(150)의 플랜지부(152)에 회전방향으로 일정 크기 이상의 힘을 가한다. 이때 스왑(140)은 걸림돌기(144)가 실린더(112) 내벽의 나란한 두 안내돌기(117) 사이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회전이 불가한 상태인 반면, 푸시캡(150)에 일정 크기 이상의 힘이 회전방향으로 가해짐에 따라 서로 접착되어 있던 푸시캡(150)과 스왑(140)의 연결봉(143) 사이가 분리된다.
이와 같이 푸시캡(150)과 스왑(140)의 연결봉(143) 사이가 분리되고 나면, 사용자가 다시 푸시캡(150)을 눌러줄 때, 푸시캡(150)의 결합홀(151) 내주면이 연결봉(143)의 외주면에서 전방으로 슬라이드 되면서, 연결봉(143)이 푸시캡(150)의 저장챔버(156) 내측으로 삽입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푸시캡(150)을 회전시켜 스왑(140)의 연결봉(143)과 분리한 후 다시 눌러줄 때, 사용자는 푸시캡(150)을 천천히 다시 회전시키면서 눌러줄 수도 있다.
결국, 푸시캡(150)을 천천히 다시 눌러주면, 연결봉(143)이 푸시캡(150)의 저장챔버(156) 내측으로 더 깊게 삽입되면서 푸시캡(150)의 결합홀(151) 내주면이 유로홈(145)이 형성된 연결봉(143)의 외주면에 접하게 된다. 이때 푸시캡(150)의 결합홀(151) 내주면과 연결봉(143)의 외주면 사이에 상기 유로홈(145)에 의해 푸시캡(150)의 내, 외부를 연통하는 유로가 만들어지게 된다. 또한, 푸시캡(150)의 저장챔버(156) 내에 저장된 버퍼용액이 상기 유로홈(145)에 의해 만들어진 유로를 통해 푸시캡(150)의 외부, 즉 케이스(110)의 실린더(112) 내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사용자가 푸시캡(150)을 점점 더 눌러줄수록 스왑(140)의 연결봉(143)이 푸시캡(150)의 저장챔버(156) 내에 더 깊게 삽입되면서 푸시캡(150)의 저장챔버(156)에 채워져 있던 버퍼용액이 계속해서 연결봉(143)의 유로홈(145)을 따라 실린더(112)의 내부로 배출된다. 이때 돌출관부(121)가 아래를 향하도록 케이스(110) 및 진단 키트(100) 전체를 아래로 기울인 상태에서 푸시캡(150)을 눌러줄 경우, 푸시캡(150)의 저장챔버(156)에 저장되어 있던 버퍼용액이 실린더(112)의 내부(푸시캡 외부)로 배출된 후 중력에 의해 아래로 원활하게 흐를 수 있게 된다.
결국, 아래로 흐른 버퍼용액이 유로관부(120)를 거쳐 돌출관부(121)로 이동하여 검체채취부(142)를 적시게 된다. 이후 검체채취부(142)에 충분한 버퍼용액이 접촉한 상태에서 돌출관부(121)가 위를 향하도록 케이스(110) 및 진단 키트(100) 전체를 세워주게 되면, 검체채취부(142)에 채취되어 있던 검체와 버퍼용액이 혼합된 상태로 진단 키트(100)의 실린더(112) 내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어 검체와 버퍼용액이 실린더(112) 내에서 충분히 혼합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버(160)의 조작돌기(163)를 뒤로 당겨서 실린더(112)의 유로홀(118)을 열어주게 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레버(160)의 레버 플레이트(161)가 실린더(112)의 상부 외측면에서 나란한 두 측단 지지돌기(114a,114b)에 의해 후방으로 안내되면서 슬라이드 이동된다.
이와 같이 실린더(112)의 유로홀(118)이 열리게 되면, 도 14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실린더(112) 내 버퍼용액이 검체와 함께 유로홀(118)을 통과하여 실린더(112) 외부의 진단 스트립(131)쪽으로 흐르게 된다. 결국, 검체와 함께 버퍼용액이 진단 스트립(131)에 닿게 되면, 검사 대상의 바이러스 감염 여부에 따라 진단 스트립(131)에 진단 결과가 표시된다. 사용자는 커버(122)의 윈도우(123)를 통해 진단 스트립(131)에 나타난 표식을 확인하여 음성 또는 양성을 알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단 키트(100)로서, 케이스(110)의 형상을 변경한 실시예의 사시도로서, 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상의 편의를 위해 케이스(110)의 양 측면부에 사용자의 두 손가락이 삽입된 상태로 내측면이 상기 손가락에 접촉 및 밀착될 수 있는 홈부(125)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케이스 본체(111)의 양 측면부와 커버(122)의 양 측부에 각각 홈을 형성하고, 케이스 본체(111)와 커버(122)가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홈이 상기 홈부(125)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이로써, 진단 키트(100)의 사용 시, 사용자는 두 번째 손가락인 검지와 세 번째 손가락인 중지 사이에 진단 키트(100)를 위치시키고, 이때 두 손 가락 사이에 케이스(110)가 위치되도록 한 뒤, 두 손가락이 상기 홈부(125) 내에 삽입된 상태로 홈부(125)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하여 진단 키트(100)를 손으로 잡게 된다.
이상으로 진단 키트를 이용한 진단 과정에 대해 설명하였는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진단 키트에 포함된 버퍼용액은 진단하고자 하는 바이러스를 인식할 수 있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바이러스는 코로나 바이러스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버퍼용액에 포함된 바이러스를 인식하는 물질은 바이러스의 뉴클레오캡시드를 인식하는 항체일 수 있다. 용어 "항체(antibody)"는, 특정 바이러스, 예를 들어 코로나 19 바이러스에 대한 특이 항체로서, 코로나 19 바이러스의 뉴클레오캡시드에 대해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것일 수 있고, 완전한 항체, 항체 분자의 항원 결합 단편, 합성 항체, 재조합 항체, 또는 항체 하이브리드(antibody hybrid)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버퍼용액에 포함된 바이러스를 인식하는 물질은 대상 바이러스의 타깃 유전자 증폭을 위한 프라이머, 프로브 및 핵산염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버퍼용액에 포함된 바이러스를 인식하는 물질은 바이러스 항체를 측정할 수 있는 물질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진단 키트는 검출 가능한 모이어티(detectable moiety)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검출 가능한 모이어티는 모이어티의 존재, 상대적 양 및/또는 위치(예를 들면, 어레이상의 위치)가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결정될 수 있는 모이어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검출 가능한 모이어티는 해당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검출 가능한 모이어티는 특정 조건에 노출될 경우 검출될 수 있는 것으로, 형광성 모이어티, 발광성 모이어티, 화학발광성 모이어티, 방사성 모이어티(예, 방사성 원자), 및 효소 모이어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더 구체적인 예를 들면, 형광 모이어티는 형광성 모이어티의 여기(excitation)를 야기하는 특정 파장 및 강도에서 방사선 (radiation)에 노출될 필요가 있을 수 있고, 이에 의해 검출될 수 있는 특정 파장(wavelength)에서 검출가능한 형광을 발산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모이어티는 금속 나노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 나노 입자는 골드 입자일 수 있다. 상기 골드 나노 입자는 적색 골드 나노 입자 또는 청색 골드 나노 입자일 수 있다. 상기 골드 나노 입자는 분산 상태, 예를 들면 콜로이드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진단 키트에 의하면, 전체가 일체로 조립된 상태의 구성을 가지므로 부품 또는 기기의 별도 조립이나 해체 과정 없이 누구나 쉽게 사용이 가능하며, 간단한 구성을 가지므로 원가 절감에도 기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바이러스 감염증 진단 키트에 의하면, 면봉을 튜브 내에 삽입하여 추출액에 담갔다가 휘젖는 등의 과정 없이 간단한 캡 조작과 레버 조작만으로 바이러스 감염증 진단을 간편하게 시행할 수 있고, 노인이나 두 손 사용이 불편한 장애인의 경우에도 쉽게 사용 및 자가 진단이 가능하다.
또한, 분리된 상태의 부품이 없으므로 부품 분실의 위험이 없고, 보관 및 휴대가 간편할 뿐만 아니라, 운송시 부피나 포장을 축소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 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100 : 진단 키트 110 : 케이스
111 : 케이스 본체 112 : 실린더
113 : 받침돌기 114a, 114b : 측단 지지돌기
115 : 끝단 지지돌기 116 : 스프링 지지턱
117 : 안내돌기 118 : 유로홀
119 : 관부 120 : 유로관부
121 : 돌출관부 122 : 커버
123 : 윈도우 124 : 작동홀
130 : 스트립 어셈블리 131 : 진단 스트립
132 : 스트립 프레임 140 : 스왑
141 : 채취봉 142 : 검체채취부
143 : 연결봉 144 : 걸림돌기
145 : 유로홈 146 : 리턴 스프링
150 : 푸시캡 151 : 결합홀
152 : 플랜지부 153 : 주입홀
154 : 포일 155 : 실링돌기
156 : 저장챔버 160 : 레버
161 : 레버 플레이트 162 : 슬릿
163 : 조작돌기
111 : 케이스 본체 112 : 실린더
113 : 받침돌기 114a, 114b : 측단 지지돌기
115 : 끝단 지지돌기 116 : 스프링 지지턱
117 : 안내돌기 118 : 유로홀
119 : 관부 120 : 유로관부
121 : 돌출관부 122 : 커버
123 : 윈도우 124 : 작동홀
130 : 스트립 어셈블리 131 : 진단 스트립
132 : 스트립 프레임 140 : 스왑
141 : 채취봉 142 : 검체채취부
143 : 연결봉 144 : 걸림돌기
145 : 유로홈 146 : 리턴 스프링
150 : 푸시캡 151 : 결합홀
152 : 플랜지부 153 : 주입홀
154 : 포일 155 : 실링돌기
156 : 저장챔버 160 : 레버
161 : 레버 플레이트 162 : 슬릿
163 : 조작돌기
Claims (21)
- 유로홀이 형성된 실린더를 가지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서 실린더 외부에 고정된 진단 스트립;
상기 실린더 내부에서 전후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전방 이동시 채취봉의 일단부에 고정된 검체채취부가 케이스 외부로 돌출되는 스왑;
버퍼용액이 저장된 저장챔버를 가지며 상기 채취봉의 타단부에 형성된 연결봉에 결합되어 누름 조작시 상기 스왑이 전방 이동되도록 하는 푸시캡; 및
사용자가 조작함에 따라 상기 실린더에 형성된 유로홀을 개폐하도록 케이스에 설치되는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푸시캡은 사용자가 조작함에 따라 상기 저장챔버에 저장된 버퍼용액을 상기 실린더 내부로 배출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푸시캡으로부터 실린더 내부로 배출된 버퍼용액이 레버에 의해 개방된 유로홀을 통해 실린더 외부로 배출되는 경우 상기 진단 스트립에 접촉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 감염증 검사를 위한 진단 키트.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내부공간에 상기 실린더가 형성되고 상기 진단 스트립, 스왑, 푸시캡 및 레버가 설치되는 케이스 본체; 및
상기 진단 스트립의 상측을 덮도록 상기 케이스 본체에 결합되고 진단 스트립에 표시되는 진단 결과가 보일 수 있도록 윈도우가 형성된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 감염증 검사를 위한 진단 키트.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커버에는 레버의 조작돌기가 삽입되는 작동홀이 관통 형성되고,
사용자가 조작돌기를 통해 레버를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레버의 조작돌기가 상기 커버의 작동홀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 감염증 검사를 위한 진단 키트.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외부로 돌출된 형상의 돌출관부를 가지며,
상기 돌출관부의 내부공간이 케이스 내부에 형성된 유로관부를 통해 상기 실린더의 내부공간에 연통되고,
상기 돌출관부의 내부공간에 스왑의 검체채취부가 위치된 상태에서, 스왑의 전방 이동시 상기 검체채취부가 상기 돌출관부 외부로 돌출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 감염증 검사를 위한 진단 키트.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유로관부의 내부공간 및 돌출관부의 내부공간과 실린더의 내부공간은, 상기 스왑이 설치된 상태로 전후 이동될 수 있는 직선의 관로 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 감염증 검사를 위한 진단 키트.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와 스왑 사이에 설치되어 실린더 내부에서 전방 이동된 스왑을 후방으로 리턴 이동시키기 위한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리턴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 감염증 검사를 위한 진단 키트.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스왑에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의 내측면에 스프링 지지턱이 형성되며,
상기 리턴 스프링이 실린더 내부에서 상기 걸림돌기와 스프링 지지턱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 감염증 검사를 위한 진단 키트.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의 내측면에 스왑의 전후 이동시 상기 걸림돌기를 안내하는 안내돌기가 전후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 감염증 검사를 위한 진단 키트.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의 내측면에 나란한 2개의 안내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나란한 2개의 안내돌기 사이에 삽입된 상태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 감염증 검사를 위한 진단 키트.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푸시캡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케이스의 실린더 내부로 삽입되어 실린더 내부에 위치된 스왑의 연결봉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 감염증 검사를 위한 진단 키트.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푸시캡의 외주면에 전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돌출된 형상의 실링돌기가 형성되어, 푸시캡의 외주면과 실린더의 내주면 사이에 상기 실링돌기에 의한 실링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 감염증 검사를 위한 진단 키트.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내부로 삽입된 푸시캡의 일단부에는 저장챔버 내 버퍼용액이 흘러나올 수 있는 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스왑의 연결봉이 상기 결합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봉의 외주면과 결합홀의 내주면 사이가, 사용자의 푸시캡 회전 조작시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 감염증 검사를 위한 진단 키트.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연결봉의 외주면과 결합홀의 내주면 사이에 도포된 접착제에 의해, 푸시캡과 스왑이 일체로 전후 이동 가능하도록 상호 고정됨과 동시에, 연결봉과 결합홀 사이의 밀봉이 이루어지고,
상기 푸시캡에 일정 크기 이상의 회전방향 힘이 가해지면,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어 있던 연결봉의 외주면과 결합홀의 내주면 사이가 분리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 감염증 검사를 위한 진단 키트.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연결봉의 외주면과 결합홀의 내주면이 일체로 형성 및 연결되어, 푸시캡과 스왑이 일체로 전후 이동 가능하도록 상호 고정됨과 동시에, 연결봉과 결합홀 사이의 밀봉이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봉의 외주면에 연결된 푸시캡 부위를 다른 푸시캡 부위에 비해 더 얇은 두께로 형성하여,
상기 푸시캡에 일정 크기 이상의 회전방향 힘이 가해지면, 상기 연결봉의 외주면에 연결된 푸시캡 부위가 파단되면서, 연결봉의 외주면과 결합홀의 내주면 사이가 분리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 감염증 검사를 위한 진단 키트.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푸시캡에는 좌우 양 측방으로 돌출 및 확장된 형상의 플랜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 감염증 검사를 위한 진단 키트.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연결봉의 외주면과 결합홀의 내주면 사이가 분리된 상태에서, 푸시캡의 누름 조작에 의해 스왑의 연결봉이 푸시캡의 저장챔버로 삽입되는 경우, 상기 저장챔버 내 버퍼용액이 상기 연결봉과 결합홀 사이를 통해 실린더로 배출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 감염증 검사를 위한 진단 키트.
-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연결봉의 외주면에서 결합홀의 내주면에 접착되는 영역을 제외한 부위에 유로홈이 형성되어, 상기 스왑의 연결봉이 푸시캡의 저장챔버로 삽입되는 경우, 상기 연결봉의 유로홈이, 상기 결합홀 내주면과의 사이에서 저장챔버 내 버퍼용액이 실린더로 흐를 수 있는 유로가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 감염증 감사를 위한 진단 키트.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스왑에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의 내측면에는 나란한 2개의 안내돌기가 전후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스왑의 전후 이동시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나란한 2개의 안내돌기 사이에 삽입된 상태로 안내되고,
상기 푸시캡에 상기 회전방향의 힘이 가해질 때 상기 스왑의 회전이 불가하도록, 스왑의 회전방향으로는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안내돌기에 의해 걸리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 감염증 검사를 위한 진단 키트.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버에 전후로 연장된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의 외측면에 전후로 연장된 측단 지지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실린더의 외측면에 레버가 안착된 상태로 상기 레버의 슬릿에 상기 측단 지지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유로홀의 개폐를 위한 레버 조작시 상기 슬릿에 삽입된 측단 지지돌기에 의해 레버의 전후 이동이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 감염증 검사를 위한 진단 키트.
-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레버에 나란한 2개의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의 외측면에 나란한 2개의 측단 지지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나란한 두 측단 지지돌기 사이에 상기 진단 스트립이 설치된 상태로, 상기 나란한 두 측단 지지돌기가 진단 스트립을 측방에서 지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 감염증 검사를 위한 진단 키트.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진단 스트립이 실린더의 유로홀을 상측에서 덮을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레버에서 유로홀을 개폐하는 부분인 레버 플레이트가,
상기 진단 스트립과 유로홀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 감염증 검사를 위한 진단 키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43271A KR102663508B1 (ko) | 2021-10-26 | 2021-10-26 | 바이러스 감염증 검사를 위한 진단 키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43271A KR102663508B1 (ko) | 2021-10-26 | 2021-10-26 | 바이러스 감염증 검사를 위한 진단 키트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59266A KR20230059266A (ko) | 2023-05-03 |
KR102663508B1 true KR102663508B1 (ko) | 2024-05-08 |
Family
ID=86380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43271A KR102663508B1 (ko) | 2021-10-26 | 2021-10-26 | 바이러스 감염증 검사를 위한 진단 키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63508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50084842A1 (en) | 2003-10-20 | 2005-04-21 | O'connor Amanda L. | Diagnostic test device and method of using same |
KR101319606B1 (ko) | 2012-08-08 | 2013-10-17 | 주식회사 노블바이오 | 진단분석용 검체용기 어셈블리 |
JP2015034806A (ja) | 2013-07-09 | 2015-02-19 | ニプロ株式会社 | 感染症検査用キット |
KR102264289B1 (ko) | 2020-10-15 | 2021-06-15 | 이호진 | 검체 삽입형 진단키트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25258B1 (ko) * | 2020-02-11 | 2022-07-26 | 휴마시스 주식회사 | 검체 수집 및 분석 일체형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질병 진단용 정보 제공 방법 |
-
2021
- 2021-10-26 KR KR1020210143271A patent/KR10266350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50084842A1 (en) | 2003-10-20 | 2005-04-21 | O'connor Amanda L. | Diagnostic test device and method of using same |
KR101319606B1 (ko) | 2012-08-08 | 2013-10-17 | 주식회사 노블바이오 | 진단분석용 검체용기 어셈블리 |
JP2015034806A (ja) | 2013-07-09 | 2015-02-19 | ニプロ株式会社 | 感染症検査用キット |
KR102264289B1 (ko) | 2020-10-15 | 2021-06-15 | 이호진 | 검체 삽입형 진단키트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59266A (ko) | 2023-05-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90128902A1 (en) | Methods for the Detection of Analytes in Small-Volume Blood Samples | |
BR0210210B1 (pt) | Sistema de medida biológico e método de detecção de um ou mais patógenos em uma ou mais amostras de esputo/muco de um paciente | |
US11026611B2 (en) | Rotatable disk-shaped fluid sample collection device | |
JP6377377B2 (ja) | 回転可能な流体サンプル採取デバイス | |
EP2874545B1 (en) | Disposable test device | |
ES2970340T3 (es) | Detección de SARS-COV-2 en una pluralidad de muestras biológicas | |
US11680945B2 (en) | Assay device having a wash port | |
US20070191736A1 (en) | Method for loading penetrating members in a collection device | |
WO2013181616A1 (en) | Self diagnostic test | |
JP2023020852A (ja) | 一体型自家検査キット | |
KR102663508B1 (ko) | 바이러스 감염증 검사를 위한 진단 키트 | |
US20220299508A1 (en) | Rapid diagnostic test component | |
JP4609252B2 (ja) | 検体採取液容器 | |
US20220184606A1 (en) | Developer solution vial | |
WO2007074919A1 (ja) | 体液即時検査・診断デバイス | |
JP2020510848A (ja) | 流体収集ユニットならびに関連のデバイスおよび方法 | |
KR20240094378A (ko) | 검체 채취용 면봉 및 코로나-19 및 독감의 신속항원 동시진단키트 | |
US11187700B1 (en) | Closed system for enlarging viral and bacterial particles for identification by diffraction scanning | |
US20220178922A1 (en) | Pathogen sampling and testing | |
US20230301565A1 (en) | Device for detecting at least one substance in the blood of an individual | |
WO2023193063A1 (en) | Substance collection and testing device | |
TWM623797U (zh) | 採檢棒容置構件及包含其的離心管 | |
KR20210001627U (ko) | 감기 진단용 콧물키트 | |
JP2013213784A (ja) | 検体採取器具 | |
JP2005249388A (ja) | 検体の免疫学的検査方法及びその方法に用いる検査器具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