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3110B1 - 수력 발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수력 발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3110B1
KR102663110B1 KR1020230135583A KR20230135583A KR102663110B1 KR 102663110 B1 KR102663110 B1 KR 102663110B1 KR 1020230135583 A KR1020230135583 A KR 1020230135583A KR 20230135583 A KR20230135583 A KR 20230135583A KR 102663110 B1 KR102663110 B1 KR 1026631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ne
water
support shaft
power generation
f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35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임식
Original Assignee
금호이앤지 (주)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호이앤지 (주) filed Critical 금호이앤지 (주)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3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31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7/00Other machines or engines
    • F03B17/06Other machines or engines using liquid flow with predominantly kinetic energy conversion, e.g. of swinging-flap type, "run-of-river", "ultra-low head"
    • F03B17/062Other machines or engines using liquid flow with predominantly kinetic energy conversion, e.g. of swinging-flap type, "run-of-river", "ultra-low head"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at right angle to flow direction
    • F03B17/065Other machines or engines using liquid flow with predominantly kinetic energy conversion, e.g. of swinging-flap type, "run-of-river", "ultra-low head"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at right angle to flow direction the flow engaging parts having a cyclic movement relative to the rotor during its ro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20/00Application
    • F05B2220/30Application in turbines
    • F05B2220/32Application in turbines in water turb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20Rotors
    • F05B2240/24Rotors for turbines
    • F05B2240/244Rotors for turbines of the cross-flow, e.g. Banki, Ossberger ty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Abstract

본 발명은 수력 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수로에 설치되고 하부가 유수에 잠겨 유수로부터 운동 에너지를 전달받아 회전하여 회전축에 설치된 발전기를 통해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수차 및 상기 수차의 외주면에 마련되어 유수에 입수하거나 출수하는 것에 따라 접철되는 베인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베인모듈은 상기 수차로부터 방사형으로 연장되는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의 양측으로 마련되며 힌지체결되어 지지축을 중심으로 접철되는 베인 및 상기 수차로부터 방사형으로 연장되며 지지축을 중심으로 펼쳐진 베인의 양 끝단을 지지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며, 상기 베인은 상기 지지축을 중심으로 복수로 구비되어 각각의 베인이 접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력 발전 시스템이 개사된다.

Description

수력 발전 시스템{hydro power system}
본 발명은 수력 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농로나 수로에 수차의 일부가 잠긴 상태에서 유수의 힘을 전달받아 수차를 회전시키는 베인이 위치에 따라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구조를 갖도록 하여 유속이 느린 환경에서도 수차의 회전속도를 향상시켜 발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력 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세계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발전소로는 화력발전소, 원자력발전소, 수력발전소, 풍력발전소, 태양열발전소, 조력발전소, 지열발전소 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의 발전소들은 화석연료의 고갈과 지구 환경변화 등 심각한 외적부담을 갖고 있으며, 풍력, 조력, 태양열, 지열 등을 이용하는 발전소는 경제성과 효율에서 상당한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환경조건의 제약을 많이 받아 경제성에 합당한 설치장소를 찾기에 상당한 애로사항이 있다.
화석연료를 사용하지 않고 전력을 얻을 수 있는 풍력이나 조력 그리고 수력발전소 등은 자연으로부터 전력을 얻는 방법이 친환경적이고, 특히 적은 비용으로 고효율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나 날씨나 지리적 조건에 한계가 있고 설치비용 또한 상당하다.
예를 들어, 수력발전은 일반적으로 위치 에너지와 운동 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를 얻는 발전방식으로 주로 높은 쪽 하천의 수량 일부를 낮은 하천으로 끌어들이는 방식으로 댐을 건설하여 하천의 적당한 곳을 가로막아 수위를 높여서 낙차 에너지로 터빈을 회전시키는 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방법은 물의 유속이나 낙차에 의해 발생되는 힘을 이용해 수차나 프로펠러를 회전시켜 발전기의 로터(회전자)를 돌려 발전시키는 방법으로 대기오염은 거의 발생되지 않는다.
그러나, 이러한 수력발전을 하기 위해서는 댐을 쌓거나 보를 높여 수압이나 낙차를 크게 해야 발전효율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높은 수압이나 큰 낙차를 확보해 발전기를 설치할 수 있는 장소가 한정적이고, 발전기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수량의 변화가 심한 갈수기나 홍수 때에는 정상적인 발전을 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프로펠러나 수차를 회전시켜 발전을 하는 일반적인 수력발전은 일정 이상의 물의 속도나 낙차를 확보할 수 있어야 수력발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물의 이동경로 상 상류에 속하는 계곡이나 댐에 주로 발전시설이 위치하고 있어 전기를 실제 필요로 하는 시설에 신속하게 공급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고, 또한, 주택이나 사회시설, 공장 등에서 요구되는 대용량의 발전시설은 그 설치 위치나 설치 비용 등을 감안하게 되면 생활 주변에 설치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에 본 출원인은 한국 등록특허 제10-2576049호를 등록받은 바 있다. 선 등록특허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차(200)의 외주면에 유수에 입수하거나 출수하는 것에 따라 접철되는 베인모듈(300)이 마련되어 베인모듈(300)이 유수에 입수하거나 출수할 때는 베인(330)이 접혀 물과의 저항을 최소화시키고 베인(330)이 수중에 있을 때에는 펼쳐지는 구조를 갖게 되어 유수로부터 운동 에너지를 최대한 전달받아 유속이 느린 유수에서도 수차(200)를 원활하게 회전시켜 전기 에너지의 생산 효율을 향상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선등록 특허는 베인모듈(300)이 수차(200)의 외주면에만 마련되어 유수로부터 전달되는 운동 에너지가 수차(200)의 외주면에 마련된 베인(330)에만 한정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수차(200)의 회전속도를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선등록 특허는 지지축(320)을 중심으로 접철하는 베인(330)이 자중에 의해서만 접철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베인(330)의 신속한 접철이 이루어지지 않아 유수의 운동 에너지를 신속하게 전달받는데 어려움이 있다.
KR 10-1499626 B (2015.03.02) KR 10-2576049 B (2023.09.0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농로나 수로에 수차의 일부가 잠긴 상태에서 유수의 힘을 전달받아 수차를 회전시키는 베인이 위치에 따라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구조를 갖도록 하여 유속이 느린 환경에서도 수차의 회전속도를 향상시켜 발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력 발전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수로부터 전달되는 운동 에너지를 보다 많은 면적으로 전달받을 수 있어 수차의 회전속도를 향상시켜 이로부터 발전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수력 발전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축을 중심으로 접철되는 베인이 수중에서 신속하게 펼쳐지도록 하여 유수로부터 운동 에너지를 신속하게 전달받아 수차의 회전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수력 발전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는, 수로에 설치되고 하부가 유수에 잠겨 유수로부터 운동 에너지를 전달받아 회전하여 회전축에 설치된 발전기를 통해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수차 및 상기 수차의 외주면에 마련되어 유수에 입수하거나 출수하는 것에 따라 접철되는 베인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베인모듈은 상기 수차로부터 방사형으로 연장되는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의 양측으로 마련되며 힌지체결되어 지지축을 중심으로 접철되는 베인 및 상기 수차로부터 방사형으로 연장되며 지지축을 중심으로 펼쳐진 베인의 양 끝단을 지지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며, 상기 베인은 상기 지지축을 중심으로 복수로 구비되어 각각의 베인이 접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력 발전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베인모듈은 이웃한 지지축과 스토퍼를 일체적으로 연결하는 지지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베인은 끝단에 부력체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부력체는 상기 베인과 일체로 형성되되 그 내부가 중공되고 기체가 채워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부력체는 상기 베인으로부터 돌출되어 베인이 상기 지지축을 중심으로 맞닿도록 접혀질 때 부력체가 서로 맞닿아 베인과 베인 사이에 틈새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베인은 유수의 흐름방향과 마주하는 면에 오목하게 패인 함몰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함몰부는 유수를 상기 베인의 외측으로 안내하는 경사면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토퍼는 그 끝단에 상기 베인과의 충격을 흡수하는 댐퍼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수력 발전 시스템에 의하면, 수로를 따라 흐르는 유수에 의해 회전하는 수차에 설치된 베인모듈이 유수에 입수하거나 출수하는 것에 따라 접철되는 구조를 갖도록 하여 베인모듈이 유수에 입수하거나 출수할 때는 베인이 접혀 물과의 저항을 최소화시키고 베인이 수중에 있을 때에는 펼쳐지는 구조를 갖게 되어 유수로부터 운동 에너지를 최대한 전달받아 유속이 느린 유수에서도 수차를 원활하게 회전시켜 전기 에너지의 생산 효율을 극대화시키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베인에 부력체가 마련되어 베인이 유수에 입수될 때 베인이 신속하게 접혀지도록 하여 물과의 저항을 최소화시키게 되고, 베인이 유수에 입수된 후 유수의 출수 방향으로 위치하게 될 때 베인을 신속하게 펼치게 되어 유수의 운동 에너지를 전달받는 면적이 증대되고 이로부터 수차를 회전시키기 위한 에너지의 전달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선등록 특허에 따른 수력 발전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력 발전 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력 발전 시스템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력 발전 시스템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력 발전 시스템 중 베인모듈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력 발전 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력 발전 시스템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력 발전 시스템은 수로(10)에 설치되고 하부가 유수에 잠겨 유수로부터 운동 에너지를 전달받아 회전하여 회전축에 설치된 발전기를 통해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수차(20)와, 상기 수차(20)의 외주면에 마련되어 유수에 입수하거나 출수하는 것에 따라 접철되는 베인모듈(30)로 구성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수력 발전 시스템은 베인모듈(30)을 구성하는 베인(32)에 유수의 운동 에너지가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유수의 운동 에너지가 가해지는 베인(32)의 면적이 증대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를 위해, 베인모듈(30)은 수차(20)로부터 방사형으로 연장되는 지지축(31)과, 상기 지지축(31)의 양측으로 마련되며 힌지 체결되어 지지축(31)을 중심으로 접철되는 베인(32) 및 수차(20)로부터 방사형으로 연장되며 지지축(31)을 중심으로 펼쳐진 베인(32)의 양 끝단을 지지하는 스토퍼(33)로 구성된다.
이때, 베인(32)은 지지축(31)을 중심으로 복수로 구비되어 각각의 베인(32)이 접철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하나의 지지축(31)에 복수의 베인(32)이 설치되어 각각의 베인(32)이 접철되는 구조를 갖게 되어 유수의 운동 에너지가 전달되는 베인(32)의 면적이 증대되어 유속이 느린 환경에서도 수차의 회전속도를 향상시켜 발전효율을 향상시키게 된다.
부연하자면, 수차(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농로 또는 수로(10)와 같은 유수가 흐르는 곳에 설치되는데, 수차(20)는 유수로부터 운동 에너지를 전달받을 수 있게 수차(20)의 일부가 유수에 잠긴 상태로 설치된다.
이때, 유수의 흐름에 수차(20)가 회전할 수 있도록 수차(20)의 회전축(21)이 수로를 가로질러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회전축(21)에 발전기(미도시)가 설치되어 유수에 의해 수차(20)가 회전하는 것에 의해 회전축(21)이 회전하면서 발전기를 가동시켜 전기 에너지를 얻게 된다.
이렇게 유수로부터 운동 에너지를 전달받게 되는 수차(20)는 그 하부가 유수에 잠기도록 설치되는데, 수차(2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베인모듈(30)이 설치된다.
수차(20)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베인모듈(3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나의 지지축(31)에 복수의 베인(32)이 설치되고, 지지축(31)을 중심으로 펼쳐진 베인(32)의 양 끝단을 지지하는 스토퍼(33)로 구성된다.
부연하자면, 지지축(31)은 수차(20)의 외주면에서 방사형으로 연장되는데, 지지축(31)은 수차(20)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로 형성된다. 이렇게 수차(20)의 외주면에 형성된 지지축(31)은 복수의 베인(32)이 설치되는데, 이때 하나의 지지축(31)에 복수의 베인(32)이 지지축(31)의 축선 방향을 따라 설치된다.
베인(32)은 한 쌍으로 이루어진 얇은 판의 형상을 갖고 지지축(31)과 경첩과 같은 힌지 체결구조로 연결되어 지지축(31)을 중심으로 일측과 타측에 위치하여 베인(32)이 지지축(31)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접철된다.
또한, 베인(32)이 지지축(31)을 중심으로 접철되어 펼쳐질 때 베인(32)의 펼쳐짐 정도를 단속하는 스토퍼(33)가 수차(20)의 외주면에 형성된다. 스토퍼(33)는 지지축(31)과 유사하게 수차(20)의 외주면에서 방사형으로 연장되며 지지축(31)을 중심으로 일측과 타측에 스토퍼(33)가 형성된다.
이렇게 스토퍼(33)가 지지축(31)을 중심으로 양측에 형성될 때 스토퍼(33)는 유수의 흐름방향을 기준으로 지지축(31)보다 전방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스토퍼(33)는 베인(32)이 유수의 운동에너지를 전달받아 지지축(31)을 중심으로 펼쳐질 때 베인(32)의 끝단이 스토퍼(33)에 걸림되면서 베인(32)이 더 이상 펼쳐지지 않게 단속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수차(20)의 외주면에서 방사형으로 연장되는 지지축(31)과 스토퍼(33)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34)에 의해 일체적으로 연결된다.
지지프레임(34)은 수차(20)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된 환형으로 이루어져 지지축(31)과 스토퍼(33)와 일체적으로 연결하여 지지축(31)과 스토퍼(33)가 흔들리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지지프레임(34)이 수차(20)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된 환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에 따라 지지프레임(34)을 중심으로 지지축(31) 및 스토퍼(33)가 구획되고 이렇게 구획된 부분에 제각기 베인(32)이 설치된다.
한편, 지지축(31)에 힌지 체결되어 유수로부터 전달되는 운동 에너지를 전달받아 수차(20)를 회전시키게 되는 베인(32)은 유수에 입수될 때 물과의 저항을 최소화시키도록 접혀지거나 유수에 입수한 후에는 베인(32)이 펼쳐지는 속도를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부력체(35)가 마련된다. 이를 도 5 및 도 6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력 발전 시스템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력 발전 시스템 중 베인모듈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부력체(35)는 베인(32)이 끝단에 제각기 마련되는데, 부력체(35)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인(32)과 일체로 형성되되 그 내부가 중공(35a)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베인(32)과 일체로 형성될 때 중공(35a)의 내부는 기체가 채워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기체는 예를 들어 산소, 질소, 아르곤, 헬륨 또는 이들의 혼합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베인(32)의 끝단에 중공(35a)을 형성한 부력체(35)가 마련되면 베인(32)이 유수에 입수될 때 베인(32)의 끝단에 마련된 부력체(35)에서 발휘되는 부력에 의해 베인(32)이 신속하게 접혀지게 되어 물과의 저항을 최소화시키게 된다.
또한, 베인(32)이 유수에 입수한 후 베인(32)이 유수의 출수 방향으로 위치하게 되면서 부력체(35)의 부력에 의해 베인(32)이 신속하게 펼쳐지면서 스토퍼(33)에 걸림된 상태를 갖게 되어 유수의 운동 에너지를 전달받는 면적이 증대되고 이로부터 수차(20)를 회전시키기 위한 에너지의 전달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베인(32)에 마련되는 부력체(35)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인(32)으로부터 돌출되어 베인(32)이 지지축(31)을 중심으로 맞닿도록 접혀질 때 부력체(35)가 서로 맞닿아 베인(32)과 베인(32) 사이에 틈새를 형성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부력체(35)가 베인(32)으로부터 돌출된 구조를 갖게 되면 베인(32)이 유수로부터 출수하면서 자중에 의해 베인(32)이 서로 맞닿도록 접혀지게 되는데, 이때 베인(32)과 베인(32)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된 부력체(35)에 의해 베인(32)과 베인(32)이 서로 면접촉을 하지 않고 틈새(G)를 형성하게 된다.
이렇게, 베인(32)이 유수로부터 출수되면서 자중에 의해 접혀지게 될 때 베인(32)으로부터 돌출된 부력체(35)로 인해 베인(32) 사이에 틈새(G)가 형성되고 이 틈새(G)를 통해 유수가 배수되기 때문에 물의 장력에 의해 베인(32)이 서로 붙어 있지 않고 쉽게 접철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베인(32)은 유수의 흐름방향과 마주하는 면에 도 6에 도시딘 바와 같이 오목하게 패인 함몰부(32a)가 형성된다. 베인(32)에 유수의 흐름방향과 마주하는 면에 함몰부(32a)가 형성되면 유수와 베인(32)의 접촉면적이 증가하고 유수가 함몰부(32a)에 일시적으로 체류하면서 유수의 운동 에너지를 증대된 면적으로 전달받을 수 있어 유수의 운동 에너지를 수차에 보다 효율적으로 전달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베인(32)에 함몰부(32a)가 형성될 때 유수가 함몰부(32a)에서 원활하게 빠져나갈 수 있도록 경사면(32b)이 형성된다.
이러한 경사면(32b)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몰부(32a)의 일측에서 베인(32)의 외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함몰부(32a)에 체류된 유수가 경사면(32b)을 따라 베인(32)의 외측으로 흐르도록 유도하게 되어 유수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유속이 느려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수력 발전 시스템은 하나의 지지축(31)에 복수의 베인(32)이 힌지 체결되어 베인(32)이 유수에 입수할 때 물과의 저항력이 최소화되도록 접혀지고, 유수에 베인(32)이 입수한 후에는 베인(32)이 펼쳐지게 되어 유수의 운동 에너지를 전달받는 면적이 증대되기 때문에 유수의 운동 에너지를 원활하게 전달 받을 수 있어 수차(20)의 회전속도를 향상시키고 이로부터 발전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베인(32)에 부력체(35)가 마련되어 베인(32)이 유수에 입수될 때 베인(32)이 신속하게 접혀지도록 하여 물과의 저항을 최소화시키게 되고, 베인(32)이 유수에 입수된 후 유수의 출수 방향으로 위치하게 될 때 베인(32)을 신속하게 펼치게 되어 유수의 운동 에너지를 전달받는 면적이 증대되고 이로부터 수차(20)를 회전시키기 위한 에너지의 전달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것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33)에 댐퍼(33a)가 마련되어 베인(32)이 펼쳐질 때 스토퍼(33)와 접촉할 때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여 소음 및 파손을 방지하게 된다.
즉, 스토퍼(33)는 베인(32)과 마주하는 면에 탄성 복원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댐퍼(33a)가 마련되어 베인(32)이 펼쳐지면서 스토퍼(33)와 접촉할 때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이러한 댐퍼(33a)는 고무, 우레탄, 실리콘 등과 같은 탄성 복원력이 발휘되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10 : 수로 20 : 수차
21 : 회전축 30 : 베인모듈
31 : 지지축 32 : 베인
32a : 함몰부 32b : 경사면
33 : 스토퍼 33a : 댐퍼
34 : 지지프레임 35 : 부력체
35a : 중공

Claims (6)

  1. 수로에 설치되고 하부가 유수에 잠겨 유수로부터 운동 에너지를 전달받아 회전하여 회전축에 설치된 발전기를 통해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수차; 및
    상기 수차의 외주면에 마련되어 유수에 입수하거나 출수하는 것에 따라 접철되는 베인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베인모듈은
    상기 수차로부터 방사형으로 연장되는 지지축;
    상기 지지축의 양측으로 마련되며 힌지체결되어 지지축을 중심으로 접철되는 베인; 및
    상기 수차로부터 방사형으로 연장되며 지지축을 중심으로 펼쳐진 베인의 양 끝단을 지지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며,
    상기 베인은 끝단에 부력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력 발전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인모듈은
    이웃한 지지축과 스토퍼를 일체적으로 연결하는 지지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력 발전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그 끝단에 상기 베인과의 충격을 흡수하는 댐퍼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력 발전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력체는 상기 베인과 일체로 형성되되 그 내부가 중공되고 기체가 채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력 발전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인은 유수의 흐름방향과 마주하는 면에 오목하게 패인 함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력 발전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인은,
    상기 지지축을 중심으로 복수로 구비되어 각각의 베인이 접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력 발전 시스템.
KR1020230135583A 2023-10-12 수력 발전 시스템 KR102663110B1 (ko)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3110B1 true KR102663110B1 (ko) 2024-05-03

Family

I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05311A1 (fr) 2000-02-22 2001-08-24 Jean Marie Golsse Turbine radiale ouverte
WO2009053415A2 (en) 2007-10-22 2009-04-30 Alain Huwe Water flow energy converter.
US20090297347A1 (en) * 2008-05-27 2009-12-03 Burr James D Turbin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05311A1 (fr) 2000-02-22 2001-08-24 Jean Marie Golsse Turbine radiale ouverte
WO2009053415A2 (en) 2007-10-22 2009-04-30 Alain Huwe Water flow energy converter.
US20090297347A1 (en) * 2008-05-27 2009-12-03 Burr James D Turbi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45187C2 (ru) Вертикально-осевая ветровая и гидравлическая турбина с регулированием потока
KR101042700B1 (ko) 수력 발전기
US20070231117A1 (en) Two-way generation tidal power plant with one-way turbines
US20160169208A1 (en) Air-cushioned small hydraulic power generating device
KR101035321B1 (ko) 풍과 수력을 이용한 전기 발전장치
KR102663110B1 (ko) 수력 발전 시스템
KR101279072B1 (ko) 도로변 풍력발전시스템
WO2012023866A1 (es) Generador eolico marino de palas extensibles
CA2607555C (en) Device for utilizing the kinetic energy of flowing water
JP2002310054A (ja) 潮流発電装置
NL1040829C2 (en) Wind and wave energy conversion.
KR101038953B1 (ko) 풍력발전 해양구조물
JP2014515070A (ja) 流水に設置される小水力発電機
KR101310877B1 (ko) 에너지 샤프트, 이를 이용한 수력 발전장치 및 풍력 발전장치
KR101137821B1 (ko) 슬라이딩 블레이드를 가진 부유식 수력발전장치
JP2013079539A (ja) 水力発電装置
JPH10331756A (ja) 流体エネルギー変換装置
WO2012127218A2 (en) Turbine apparatus
KR102065074B1 (ko) 해수발전장치
RU2461733C9 (ru) Ветроагрегат
KR20080023461A (ko) 경첩식 가변익 수차 및 이를 이용한 수차 발전기
KR20120031984A (ko) 유수력과 풍력을 병합한 발전시스템
KR101516205B1 (ko) 수직형 발전 장치
RU2642717C1 (ru) Свободно-поточная турбина с концентратором энергии потока и гидроагрегат с такой турбиной
KR101109926B1 (ko) 입수방향전환 블레이드를 가진 부유식 수력발전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