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3014B1 - 트램플린이 설치된 놀이구조 건축물 - Google Patents

트램플린이 설치된 놀이구조 건축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3014B1
KR102663014B1 KR1020230139445A KR20230139445A KR102663014B1 KR 102663014 B1 KR102663014 B1 KR 102663014B1 KR 1020230139445 A KR1020230139445 A KR 1020230139445A KR 20230139445 A KR20230139445 A KR 20230139445A KR 102663014 B1 KR102663014 B1 KR 1026630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infectant
chamber
pest
collection tank
sp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39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수
김민정
윤기중
Original Assignee
(주)홍디자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홍디자인 filed Critical (주)홍디자인
Priority to KR10202301394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30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30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30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17/00Exercising apparatus combining several parts such as ladders, rods, beams, slides
    • A63B17/02Exercising apparatus combining several parts such as ladders, rods, beams, slides rigidly combin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6Catching insects by using a suction effec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0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4Arrangements connected with buildings, doors, window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00Apparatus for jumping
    • A63B5/11Trampolin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48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mountaineering, e.g. climbing-walls, grip elements for climbing-wa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9/00Climbing poles, frames, or stag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7/18Special structures in or on roofs, e.g. dorme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04F11/022Stairways; Layou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upporting structure
    • E04F11/035Stairway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assembled modular parts without further suppor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Zo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린이가 사용하는 것으로, 암벽타기와 미끄럼틀과 트램플린이 복합 놀이구조가 적용된 건축물인 트램플린이 설치된 놀이 구조 건축물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트램플린이 설치된 놀이구조 건축물{Play structure building with trumplin installed}
본 발명은 트램플린이 설치된 놀이 구조 건축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어린이가 사용하는 것으로, 암벽타기와 미끄럼틀과 트램플린이 복합 놀이구조가 적용된 건축물인 트램플린이 설치된 놀이 구조 건축물에 대한 것이다.
조합놀이대는 그네, 미끄럼틀, 미로, 그물망, 줄타기, 활강로프 등의 여러 놀이기구를 조합하여 어린이들이 놀이를 하는 과정에서 체력단련과 인내력 및 지구력 등을 배양할 수 있도록 하는 놀이시설물이다. 이러한 조합놀이대는 좁은 공간에 다양한 놀이기구를 연속적으로 배치하여 구성되며 통상적으로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떨어진 위치에 미끄럼틀이나 계단 등이 연결되는 플레이트 형태의 플랫폼이 배치되고, 각 플랫폼 사이는 그물망 또는 목조 다리와 같은 구름다리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랫폼의 각 측면부에는 어린이들이 아래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안전 울타리가 설치된다. 따라서, 어린이들은 상기 미끄럼틀이나 계단을 타고 플랫폼 상으로 오르내리거나, 플랫폼 사이에 배치된 구름다리를 통해 플랫폼과 플랫폼 사이를 오가며 원하는 놀이기구를 사용하여 놀이를 할 수 있다.
그러나, 날씨가 무더운 여름철의 경우에는 이러한 조합놀이대에 태양열이 바로 전달되기 때문에 미끄럼틀의 바닥면이 금속으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미끄럼틀의 바닥면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여 미끄럼틀을 이용하는 어린이들이 화상을 입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무더운 여름철에는 이러한 조합놀이대에서 오랜시간 노는 경우에 쉽게 지치거나 탈수 현상이 일어날 가능성도 있다.
일반적으로 휴양지나 관광시설, 어린이 놀이터 및 공원 등에는 휴식에 필요한 그늘을 형성하기 위한 팔각정, 원두막 또는 차광텐트 등의 파고라(pergolas)를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파고라에는 사람들이 비를 피하거나 햇빛을 피해 쉼터의 역할로 구성됨으로 정자 형태와 함께 등나무 등을 심어서 까래 위에서 성장된 나뭇잎에 의한 그늘을 제공하고 주위환경과의 조화를 이루어 친화적이면서 안락한 쉼터를 제공하도록 하고 있다.
실외에서 설치되는 파고라는 바닥면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기둥과, 상기 기둥의 상단에 구비된 지붕이 구비되고, 내측에는 벤치 등이 설치되어, 사용자가 햇빛이나 비를 피해 쉴 수 있도록 구성된다.
종래 기술에 의한 파고라는 바닥면에 기둥을 세우기 위해 기초부를 시공해야하고, 기둥을 세운 후 보와 지붕을조립하는 공정이 수반되어야 하므로 가옥을 만드는 공정과 유사하여 시간이 오래 걸리고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파고라는 사용자에게 그늘을 제공하는 정도에 국한되었고 조명이 필요한 경우 조명등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 외부 전원에 의존해야 하므로 전기 시설을 별도로 추가해야하는 불편함과 비용 부담이 발생되었다.
또한 사용자가 스마트폰 단말기의 충전 등이 불가하므로 근래 사용자의 필요부분을 제대로 충족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이나 빌딩 같은 건축물을 건축하는 경우에 조경공사가 필수적으로 포함된다.
근래에 들어, 상기 조경공사는 인공폭포, 인공호수, 공원내의 환경을 친환경적으로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역점을 두고 있다. 특히, 공원이나 놀이 시설에는 사람이 앉을 수 있는 일정 길이를 갖는 벤치가 설치된다.
통상, 상기 벤치는 파고라의 그늘막 아래에 설치되는 것이 많다. 즉, 상기 벤치는 뜨거운 태양광을 일부 차단하여 사람 또는 행락객이 편안하게 일정시간 앉아서 쉴 수 있도록 안내하여 주는 역할을 한다.
근래에는 상기 벤치가 공원 및 쉼터와 같은 공간에 설치되어 사람이 사용하는데에 있어서 피해를 줄이고, 날씨와 같은 기후 변화에 용이하게 대처함은 물론 사람이 쉬는데에 있어서 유쾌하게 쉴 수 있는 기능을 실현화할 수 있는 구조가 요구되고 있다.
공원, 놀이터, 아파트 단지는 물론 건물 내에도 설치되어 어린이들이 놀이를 겸한 운동을 할 수 있도록 미끄럼틀, 정글짐, 터널 등 다양한 놀이 시설이 있으나,
최근의 놀이대는 도 4에서와 같이 기초로 사용된 기둥과 파이프를 종횡으로 연결하여 구조물을 이루도록 하고, 이 기둥과 파이프로 연결된 구조물에 미끄럼틀과 같은 각종 놀이기구를 조립하여 어린이들이 미끄러지고, 오르고, 내리고, 건너고, 기고, 걸터앉아 놀 수 있도록 한 종합 놀이대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놀이대는 기둥과 파이프를 종횡으로 용접하거나 시중에 유통중인 종래의 클램프로 연결하여 구조물을 형성하고 있으나, 용접으로 구조물을 구성할 경우 일정시간이 지나면 용접부위에 부식이 발생하여 안전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가 있으며, 종래의 클램프를 이용할 경우 조립이나 해체가 용이하지 않고, 내구성이 약하며, 기둥과 파이프의 연결이 용이하지 않아 어린이들이 반복적으로 충격을 줄 경우 안전성이 떨어지는 문제와 함께, 돌출부위가 많아 어린이들의 피부가 긁히는 등 안전성에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20-0035604호
본 발명은 어린이가 사용하는 것으로, 암벽타기와 미끄럼틀과 트램플린이 복합 놀이구조가 적용된 건축물인 트램플린이 설치된 놀이 구조 건축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암벽타기와 미끄럼틀과 트램플린이 복합 놀이구조가 적용된 건축물인 트램플린이 설치된 놀이구조 건축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놀이구조 건축물은, 사용자가 앉거나, 제2계단부 측으로 이동하기 위해 원형의 띠형태로 지면에 고정 형성되는 제1계단부와, 사용자가 앉거나, 상부플레이트 측으로 이동하기 위해 제1계단부 상측으로 원형의 띠형태로 형성되는 제2계단부와, 놀이구조 건축물의 일측방향에서 일측이 상부플레이트 일측에 고정되고, 타측이 지면에 고정되어 사선 형태로 형성되고, 사용자가 잡거나 밟아 이동하기 위해 복수개 돌기가 형성되는 제1암벽놀이부와, 놀이구조 건축물의 타측방향에서 일측이 상부플레이트 타측에 고정되고, 타측이 지면에 고정되어 사선 형태로 형성되고, 사용자가 잡거나 밟아 이동하기 위해 복수개 돌기가 형성되는 제2암벽놀이부와, 지붕프레임과 상부플레이트 사이에 수직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것으로, 지붕프레임을 지지하기 위해 일측이 상부플레이트 상면에 고정되고, 타측이 지붕프레임 하면에 고정 형성되는 지붕지지대와, 지붕패널을 지지하기 위해 복수개의 지붕지지대 상측으로 형성되는 지붕프레임과, 상부플레이트 상측으로 그림자를 발생시키거나, 우천시 비를 막아주기 위해 지붕프레임 상측으로 투명 또는 불투명으로 형성되는 지붕패널과, 사용자가 미끄럼틀을 사용하거나, 트램플린을 사용하기 위해 이동될 수 있도록 제2계단부 상측으로 형성되는 상부플레이트와, 사용자가 상부플레이트로 이동후 슬라이드 하강으로 지면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일측이 상부플레이트 상면 일측에 고정되고, 타측이 지면에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미끄럼틀과, 사용자가 점핑 놀이를 이용할 수 있도록 상부플레이트 상면 중앙으로 형성되는 트램플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놀이구조 건축물은, 놀이구조 건축물 주변의 해충을 포집하여 제거하기 위해 지붕프레임 중앙으로 형성되는 해충퇴치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해충퇴치수단은, 지붕프레임에 해충포집탱크를 고정시키기 위해 지붕프레임 중앙으로 형성되는 고정대와, 놀이구조 건축물 주변의 해충을 포집하기 위해 고정대 일측으로 형성되는 해충포집탱크와, 분사부재를 통해 분사되는 유도액을 저장하기 위해 해충포집탱크 일측으로 형성되는 유도액챔버와, 유도액챔버 내부의 유도액을 분사부재 측으로 고압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유도액챔버 일측으로 형성되는 분사펌프와, 분사펌프를 통해 고압으로 이동되는 유도액을 분사하기 위해 분사펌프 일측으로 형성되는 분사부재와, 유도액을 통해 해충포집탱크 주변으로 유도되는 해충을 흡입하기 위해 해충포집탱크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포집팬과, 포집팬을 통해 포집되는 해충이 해충포집탱크 내부로 이동되도록 포집팬이 위치되는 해충포집탱크 상에 형성되는 포집구와, 포집구를 통해 유입되는 해충이 배출포집판 측으로 낙하될 수 있도록 해충포집탱크 내부 중앙으로 형성되는 유도판과, 배출팬을 통해 해충포집탱크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해충포집탱크 일측으로 형성되는 배출구와, 배출구를 통해 해충포집탱크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배출구 상의 해충포집탱크에 형성되는 배출팬과, 유도판을 통해 낙하되는 해충이 쌓이도록 해충포집탱크 내부 바닥측으로 형성되는 배출포집판과, 배출포집판을 외부로 이동시켜 배출포집판에 쌓인 해충을 제거하기 위해 해충포집탱크 하부 일측으로 개폐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개폐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어린이가 암벽타기 놀이와 미끄럼틀놀이와 트램플린 놀이를 복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하나의 놀이 구조에서 다양한 놀이를 즐길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 트램플린이 설치된 놀이구조 건축물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대한 전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대한 일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대한 평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대한 디자인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해충퇴치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자동소독분사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비산먼지포집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에 대한 상세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트램플린(119)이 설치된 놀이구조 건축물(100)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대한 전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1에 대한 일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도 1에 대한 평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1에 대한 디자인사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 트램플린(119)이 설치된 놀이구조 건축물(100)은 암벽타기와 미끄럼틀(118)과 트램플린(119)이 복합 놀이구조가 적용된 건축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놀이구조 건축물(100)은 제1계단부(110), 제2계단부(111), 제1암벽놀이부(112), 제2암벽놀이부(113), 지붕지지대(114), 지붕프레임(115), 지붕패널(116), 상부플레이트(117), 미끄럼틀(118), 트램플린(11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계단부(110)는 사용자가 앉거나, 제2계단부(111) 측으로 이동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계단부(110)는 원형의 띠형태로 지면에 고정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계단부(111)는 사용자가 앉거나, 상부플레이트(117) 측으로 이동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2계단부(111)는 제1계단부(110) 상측으로 원형의 띠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암벽놀이부(112)는 놀이구조 건축물(100)의 일측방향에서 일측이 상부플레이트(117) 일측에 고정되고, 타측이 지면에 고정되어 사선 형태로 형성되고, 사용자가 잡거나 밟아 이동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암벽놀이부(112)는 복수개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암벽놀이부(113)는 놀이구조 건축물(100)의 타측방향에서 일측이 상부플레이트(117) 타측에 고정되고, 타측이 지면에 고정되어 사선 형태로 형성되고, 사용자가 잡거나 밟아 이동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2암벽놀이부(113)는 복수개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붕지지대(114)는 지붕프레임(115)과 상부플레이트(117) 사이에 수직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것으로, 지붕프레임(115)을 지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지붕지지대(114)는 일측이 상부플레이트(117) 상면에 고정되고, 타측이 지붕프레임(115) 하면에 고정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붕프레임(115)은 지붕패널(116)을 지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지붕프레임(115)은 복수개의 지붕지지대(114) 상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붕패널(116)은 상부플레이트(117) 상측으로 그림자를 발생시키거나, 우천시 비를 막아주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지붕패널(116)은 지붕프레임(115) 상측으로 투명 또는 불투명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플레이트(117)는 사용자가 미끄럼틀(118)을 사용하거나, 트램플린(119)을 사용하기 위해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상부플레이트(117)는 제2계단부(111) 상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끄럼틀(118)은 사용자가 상부플레이트(117)로 이동후 슬라이드 하강으로 지면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미끄럼틀(118)은 일측이 상부플레이트(117) 상면 일측에 고정되고, 타측이 지면에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트램플린(119)은 사용자가 점핑 놀이를 이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트램플린(119)은 상부플레이트(117) 상면 중앙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해충퇴치수단(200)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도 6에 대한 상세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해충퇴치수단(200)은 본 발명 놀이구조 건축물(100)에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상기 해충퇴치수단(200)은 놀이구조 건축물(100) 주변의 해충을 포집하여 제거하기 위해 지붕프레임(115) 중앙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해충퇴치수단(200)은 고정대(210), 해충포집탱크(211), 유도액챔버(212), 분사펌프(213), 분사부재(214), 포집팬(215), 포집구(216), 유도판(217), 배출구(218), 배출팬(219), 배출포집판(220), 개폐문(22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대(210)는 지붕프레임(115)에 해충포집탱크(211)를 고정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대(210)는 지붕프레임(115) 중앙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해충포집탱크(211)는 놀이구조 건축물(100) 주변의 해충을 포집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해충포집탱크(211)는 고정대(210)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도액챔버(212)는 분사부재(214)를 통해 분사되는 유도액을 저장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유도액챔버(212)는 해충포집탱크(211)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사펌프(213)는 유도액챔버(212) 내부의 유도액을 분사부재(214) 측으로 고압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분사펌프(213)는 유도액챔버(212)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사부재(214)는 분사펌프(213)를 통해 고압으로 이동되는 유도액을 분사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분사부재(214)는 분사펌프(213)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포집팬(215)은 유도액을 통해 해충포집탱크(211) 주변으로 유도되는 해충을 흡입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포집팬(215)은 해충포집탱크(211)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포집구(216)는 포집팬(215)을 통해 포집되는 해충이 해충포집탱크(211) 내부로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포집구(216)는 포집팬(215)이 위치되는 해충포집탱크(211)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도판(217)은 포집구(216)를 통해 유입되는 해충이 배출포집판(220) 측으로 낙하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유도판(217)은 해충포집탱크(211) 내부 중앙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출구(218)는 배출팬(219)을 통해 해충포집탱크(211)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배출구(218)는 해충포집탱크(211)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출팬(219)은 배출구(218)를 통해 해충포집탱크(211)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배출팬(219)은 배출구(218) 상의 해충포집탱크(211)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출포집판(220)은 유도판(217)을 통해 낙하되는 해충이 쌓이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배출포집판(220)은 해충포집탱크(211) 내부 바닥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폐문(221)은 배출포집판(220)을 외부로 이동시켜 배출포집판(220)에 쌓인 해충을 제거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개폐문(221)은 해충포집탱크(211) 하부 일측으로 개폐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자동소독분사수단(300)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도 8에 대한 상세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자동소독분사수단(300)은 놀이구조 건축물(100)에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상기 자동소독분사수단(300)은 상부플레이트(117) 상에서 이동하는 사용자 측으로 소독액을 자동 분사하기 위해 지붕프레임(115)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동소독분사수단(300)은 소독액챔버(310), 소독액분사펌프(312), 소독액흡입관(313), 소독액이송관(314), 소독분사노즐(315), 주입커넥터(316), 수위레벨센서(317), 저수위램프(318), 타이머(31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독액챔버(310)는 분사될 소독액을 저장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소독액챔버(310)는 지붕패널(116)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독액분사펌프(312)는 소독액흡입관(313)을 통해 소독액챔버(310) 내부의 소독액을 흡입하여 소독액이송관(314)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소독액분사펌프(312)는 소독액챔버(310) 상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독액흡입관(313)은 소독액챔버(310) 내부의 소독액을 소독액분사펌프(312)의 구동시 흡입하여 소독액분사펌프(312) 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소독액흡입관(313)은 일측이 소독액챔버(310) 내부에 형성되고, 타측이 소독액분사펌프(312) 하측으로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독액이송관(314)은 소독액분사펌프(312)를 통해 이송되는 소독액을 소독분사노즐(315) 측을 이동시키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소독액이송관(314)은 일측이 소독액분사펌프(312) 일측에 연결되고, 타측이 소독분사노즐(315) 일측에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독분사노즐(315)은 소독액이송관(314)을 통해 고압으로 이동되는 소독액을 분사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소독분사노즐(315)은 소독액이송관(314)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입커넥터(316)는 소독액챔버(310) 내부로 소독액을 주입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주입커넥터(316)는 소독액챔버(310) 일측 상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위레벨센서(317)는 소독액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수위레벨센서(317)는 소독액챔버(310) 내부 일측벽면에 형성되며, 감지정보를 저수위램프(318) 측으로 제공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저수위램프(318)는 소독액챔버(310) 내부의 소독액이 저수위인 경우 주변에 빛을 통해 알리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저수위램프(318)는 소독액챔버(310) 외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타이머(319)는 기설정된 시간에 따라 소독액분사펌프(312)가 작동되어 소독액이 분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타이머(319)는 소독액챔버(310)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비산먼지포집수단(400)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11은 도 10에 대한 상세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비산먼지포집수단(400)은 본 발명 놀이구조 건축물(100)에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상기 비산먼지포집수단(400)은 놀이구조 건축물(100) 주변의 비산먼지를 포집하기 위해 지붕프레임(115)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비산먼지포집수단(400)은 흡입부재(410), 부재고정대(411), 흡입관(412), 포집챔버(413), 물탱크(414), 물펌프(415), 고압분사노즐(416), 흡기팬(417), 먼지유도판(418), 비산액차단판(419), 오염수수위센서(420), 배기필터(421), 배기팬(422), 개폐밸브(423), 배출관(42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입부재(410)는 비산먼지를 흡입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흡입부재(410)는 부재고정대(411) 중앙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재고정대(411)는 흡입부재(410)를 지붕프레임(115) 중앙의 공간에 위치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부재고정대(411)는 지붕프레임(115) 중앙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입관(412)은 흡입부재(410)를 통해 흡입되는 먼지가 포집챔버(413) 측으로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흡입관(412)은 일측이 흡입부재(410)에 연결되고, 타측이 흡기팬(417)에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포집챔버(413)는 흡입되는 비산먼지를 포집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포집챔버(413)는 지붕패널(116) 상부 일측으로 안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물탱크(414)는 물펌프(415)를 통해 포집챔버(413) 내부로 이동시킬 물을 저장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물탱크(414)는 포집챔버(413)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물펌프(415)는 물탱크(414) 내부의 물을 고압분사노즐(416) 측으로 고압의 물을 이동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물펌프(415)는 물탱크(414)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압분사노즐(416)은 흡기팬(417)을 통해 흡입되는 비산먼지로 물을 분사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고압분사노즐(416)은 물펌프(415)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기팬(417)은 흡입부재(410)를 통해 흡입되는 먼지를 포집챔버(413) 내부로 흡입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흡기팬(417)은 포집챔버(413) 중앙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먼지유도판(418)은 흡기팬(417)을 통해 유입되는 비산먼지가 포집챔버(413) 내부 일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먼지유도판(418)은 포집챔버(413) 내부 일측벽에 사선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비산액차단판(419)은 혼합되는 비산물이 배기필터(421) 측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비산액차단판(419)은 포집챔버(413) 내부 중앙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오염수수위센서(420)는 포집챔버(413) 내부 바닥의 오염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오염수수위센서(420)는 포집챔버(413) 내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기필터(421)는 정화되는 공기 중에 섞인 초미세먼지를 걸러내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배기필터(421)는 포집챔버(413) 타측 상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기팬(422)은 배기필터(421)를 통해 포집챔버(413)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배기팬(422)은 포집챔버(413) 타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강기 개폐밸브(423)는 배출관(425)을 통해 배출되는 오염수의 개폐를 조절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개폐밸브(423)는 포집챔버(413) 하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출관(425)은 오염수를 배출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배출관(425)은 일측이 개폐밸브(423)에 연결되고, 타측이 외부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놀이구조 건축물
110 : 제1계단부 111 : 제2계단부
112 : 제1암벽놀이부 113 : 제2암벽놀이부
114 : 지붕지지대 115 : 지붕프레임
116 : 지붕패널 117 : 상부플레이트
118 : 미끄럼틀 119 : 트램플린
200 : 해충퇴치수단 210 : 고정대
211 : 해충포집탱크 212 : 유도액챔버
213 : 분사펌프 214 : 분사부재
215 : 포집팬 216 : 포집구
217 : 유도판 218 : 배출구
219 : 배출팬 220 : 배출포집판
221 : 개폐문
300 : 자동소독분사수단 310 : 소독액챔버
312 : 소독액분사펌프
313 : 소독액흡입관 314 : 소독액이송관
315 : 소독분사노즐 316 : 주입커넥터
317 : 수위레벨센서 318 : 저수위램프
319 : 타이머
400 : 비산먼지포집수단 410 : 흡입부재
411 : 부재고정대 412 : 흡입관
413 : 포집챔버 414 : 물탱크
415 : 물펌프 416 : 고압분사노즐
417 : 흡기팬 418 : 먼지유도판
419 : 비산액차단판 420 : 오염수수위센서
421 : 배기필터 422 : 배기팬
423 : 개폐밸브 425 : 배출관

Claims (3)

  1. 암벽타기와 미끄럼틀과 트램플린이 복합 놀이구조가 적용된 건축물인 트램플린이 설치된 놀이구조 건축물에 있어서,
    상기 놀이구조 건축물은,
    사용자가 앉거나, 제2계단부 측으로 이동하기 위해 원형의 띠형태로 지면에 고정 형성되는 제1계단부와,
    사용자가 앉거나, 상부플레이트 측으로 이동하기 위해 제1계단부 상측으로 원형의 띠형태로 형성되는 제2계단부와,
    놀이구조 건축물의 일측방향에서 일측이 상부플레이트 일측에 고정되고, 타측이 지면에 고정되어 사선 형태로 형성되고, 사용자가 잡거나 밟아 이동하기 위해 복수개 돌기가 형성되는 제1암벽놀이부와,
    놀이구조 건축물의 타측방향에서 일측이 상부플레이트 타측에 고정되고, 타측이 지면에 고정되어 사선 형태로 형성되고, 사용자가 잡거나 밟아 이동하기 위해 복수개 돌기가 형성되는 제2암벽놀이부와,
    지붕프레임과 상부플레이트 사이에 수직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것으로, 지붕프레임을 지지하기 위해 일측이 상부플레이트 상면에 고정되고, 타측이 지붕프레임 하면에 고정 형성되는 지붕지지대와,
    지붕패널을 지지하기 위해 복수개의 지붕지지대 상측으로 형성되는 지붕프레임과,
    상부플레이트 상측으로 그림자를 발생시키거나, 우천시 비를 막아주기 위해 지붕프레임 상측으로 투명 또는 불투명으로 형성되는 지붕패널과,
    사용자가 미끄럼틀을 사용하거나, 트램플린을 사용하기 위해 이동될 수 있도록 제2계단부 상측으로 형성되는 상부플레이트와,
    사용자가 상부플레이트로 이동후 슬라이드 하강으로 지면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일측이 상부플레이트 상면 일측에 고정되고, 타측이 지면에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미끄럼틀과,
    사용자가 점핑 놀이를 이용할 수 있도록 상부플레이트 상면 중앙으로 형성되는 트램플린를 포함하되,

    상기 놀이구조 건축물은,
    놀이구조 건축물 주변의 해충을 포집하여 제거하기 위해 지붕프레임 중앙으로 형성되는 해충퇴치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해충퇴치수단은,
    지붕프레임에 해충포집탱크를 고정시키기 위해 지붕프레임 중앙으로 형성되는 고정대와,
    놀이구조 건축물 주변의 해충을 포집하기 위해 고정대 일측으로 형성되는 해충포집탱크와,
    분사부재를 통해 분사되는 유도액을 저장하기 위해 해충포집탱크 일측으로 형성되는 유도액챔버와,
    유도액챔버 내부의 유도액을 분사부재 측으로 고압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유도액챔버 일측으로 형성되는 분사펌프와,
    분사펌프를 통해 고압으로 이동되는 유도액을 분사하기 위해 분사펌프 일측으로 형성되는 분사부재와,
    유도액을 통해 해충포집탱크 주변으로 유도되는 해충을 흡입하기 위해 해충포집탱크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포집팬과,
    포집팬을 통해 포집되는 해충이 해충포집탱크 내부로 이동되도록 포집팬이 위치되는 해충포집탱크 상에 형성되는 포집구와,
    포집구를 통해 유입되는 해충이 배출포집판 측으로 낙하될 수 있도록 해충포집탱크 내부 중앙으로 형성되는 유도판과,
    배출팬을 통해 해충포집탱크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해충포집탱크 일측으로 형성되는 배출구와,
    배출구를 통해 해충포집탱크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배출구 상의 해충포집탱크에 형성되는 배출팬과,
    유도판을 통해 낙하되는 해충이 쌓이도록 해충포집탱크 내부 바닥측으로 형성되는 배출포집판과,
    배출포집판을 외부로 이동시켜 배출포집판에 쌓인 해충을 제거하기 위해 해충포집탱크 하부 일측으로 개폐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개폐문을 포함하며,

    상기 놀이구조 건축물은,
    상부플레이트 상에서 이동하는 사용자 측으로 소독액을 자동 분사하기 위해 지붕프레임에 형성되는 자동소독분사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자동소독분사수단은,
    분사될 소독액을 저장하기 위해 지붕패널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소독액챔버와,
    소독액흡입관을 통해 소독액챔버 내부의 소독액을 흡입하여 소독액이송관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소독액챔버 상측으로 형성되는 소독액분사펌프와,
    소독액챔버 내부의 소독액을 소독액분사펌프의 구동시 흡입하여 소독액분사펌프 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일측이 소독액챔버 내부에 형성되고, 타측이 소독액분사펌프 하측으로 연결 형성되는 소독액흡입관과,
    소독액분사펌프를 통해 이송되는 소독액을 소독분사노즐 측을 이동시키도록 일측이 소독액분사펌프 일측에 연결되고, 타측이 소독분사노즐 일측에 연결 형성되는 소독액이송관과,
    소독액이송관을 통해 고압으로 이동되는 소독액을 분사하기 위해 소독액이송관 일측으로 형성되는 소독분사노즐과,
    소독액챔버 내부로 소독액을 주입하기 위해 소독액챔버 일측 상부로 형성되는 주입커넥터와,
    소독액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해 소독액챔버 내부 일측벽면에 형성되며, 감지정보를 저수위램프 측으로 제공하기 위해 형성되는 수위레벨센서와,
    소독액챔버 내부의 소독액이 저수위인 경우 주변에 빛을 통해 알리기 위해 소독액챔버 외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저수위램프와,
    기설정된 시간에 따라 소독액분사펌프가 작동되어 소독액이 분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소독액챔버 일측으로 형성되는 타이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램플린이 설치된 놀이구조 건축물.
  2. 삭제
  3. 삭제
KR1020230139445A 2023-10-18 2023-10-18 트램플린이 설치된 놀이구조 건축물 KR1026630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39445A KR102663014B1 (ko) 2023-10-18 2023-10-18 트램플린이 설치된 놀이구조 건축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39445A KR102663014B1 (ko) 2023-10-18 2023-10-18 트램플린이 설치된 놀이구조 건축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3014B1 true KR102663014B1 (ko) 2024-05-08

Family

ID=91073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39445A KR102663014B1 (ko) 2023-10-18 2023-10-18 트램플린이 설치된 놀이구조 건축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301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7584A (ko) * 2000-08-31 2002-03-07 이상익 해충포집장치
KR200429892Y1 (ko) * 2006-07-26 2006-10-30 한각수 미끄럼틀이 장치된 안전놀이시스템
KR20150001060A (ko) * 2013-06-26 2015-01-06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벌레 유인 포획 장치
KR20200035604A (ko) 2018-09-27 2020-04-06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세이프티 파고라시스템
CN215025949U (zh) * 2021-01-19 2021-12-07 上海乐丘游乐设备有限公司 儿童室外游乐设施
CN217339897U (zh) * 2021-12-30 2022-09-02 扬州久信运动科技有限公司 一种攀爬架组件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7584A (ko) * 2000-08-31 2002-03-07 이상익 해충포집장치
KR200429892Y1 (ko) * 2006-07-26 2006-10-30 한각수 미끄럼틀이 장치된 안전놀이시스템
KR20150001060A (ko) * 2013-06-26 2015-01-06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벌레 유인 포획 장치
KR20200035604A (ko) 2018-09-27 2020-04-06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세이프티 파고라시스템
CN215025949U (zh) * 2021-01-19 2021-12-07 上海乐丘游乐设备有限公司 儿童室外游乐设施
CN217339897U (zh) * 2021-12-30 2022-09-02 扬州久信运动科技有限公司 一种攀爬架组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dofsky Architecture without architects: a short introduction to non-pedigreed architecture
US20090186745A1 (en) Solar structure
KR102663014B1 (ko) 트램플린이 설치된 놀이구조 건축물
Latipovich PLANNING DECISION OF LANDSCAPE OBJECTS AND LAF ON EXPLOITED ROOFS
CN213192481U (zh) 游乐场器械
KR102221934B1 (ko) 녹지공간 확보가 가능한 친환경 부상식 놀이시설
RU2672848C1 (ru) Игровой комплекс
GB2442816A (en) Opensided shelter with roof hole
CN206158239U (zh) 户外旅游驿站
JP7210404B2 (ja) 庭付き施設
CN203724731U (zh) 多功能立体环绕高尔夫球练习场
CN217232896U (zh) 一种多层组合式洋房
JPH02274980A (ja) 複合建築物
CN113426063A (zh) 定制化户外环保游戏屋及其安装方法
RU2657221C2 (ru) Способ строительства детских площадок и их устройство
CN208711002U (zh) 一种木质原野主题乐园
ELEMI ARCHITECTURAL TECHNICAL REPORT ON
CN207332375U (zh) 一种游乐用木质树屋
US20020040499A1 (en) Water-play structure providing supervisory viewing
Kysil Modern methods of landscaping architectural environment of transport buildings exemplified by the multistory parking garages
Maksumova et al. A SMALL PARK IN A BIG CITY: HOW AND WHY LANDSCAPE DESIGNERS CREATE CHAMBER GARDENS
CN106638933A (zh) 一种拥有花园载体的可拆卸绿色露台及其制作方法
Grant Pandemic-Resistant Assisted Living Facility
Ranara Publikum Nynäshamn: Social-ecological Architecture in Public Municipal Space
KR20240053086A (ko) 해충 접근 방지형 쿨링 휴계 시설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