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2626B1 - V2x 시스템에서 자동 이득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V2x 시스템에서 자동 이득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2626B1
KR102662626B1 KR1020190099607A KR20190099607A KR102662626B1 KR 102662626 B1 KR102662626 B1 KR 102662626B1 KR 1020190099607 A KR1020190099607 A KR 1020190099607A KR 20190099607 A KR20190099607 A KR 20190099607A KR 102662626 B1 KR102662626 B1 KR 1026626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mrs
terminal
preamble
agc
symb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9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0853A (ko
Inventor
신철규
여정호
류현석
오진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US16/673,349 priority Critical patent/US11388712B2/en
Priority to CN201980073177.5A priority patent/CN112970223A/zh
Priority to ES19878362T priority patent/ES2966505T3/es
Priority to PCT/KR2019/014826 priority patent/WO2020091556A1/en
Priority to EP19878362.3A priority patent/EP3857806B1/en
Publication of KR20200050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08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2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26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common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multiple user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 H03G3/20Automatic control
    • H03G3/30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 H03G3/3036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in high-frequency amplifiers or in frequency-chang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 H03G3/20Automatic control
    • H03G3/30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 H03G3/3052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in bandpass amplifiers (H.F. or I.F.) or in frequency-changers used in a (super)heterodyne receiver
    • H03G3/3078Circuits generating control signals for digitally modulated signal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 H03G3/20Automatic control
    • H03G3/30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 H03G3/3089Control of digital or coded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1Details of reference signals
    • H04L27/2613Structure of the referenc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L27/2666Acquisition of further OFDM parameters, e.g. bandwidth, subcarrier spacing, or guard interval l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L27/2689Link with other circuits, i.e. special connections between synchronisation arrangements and other circuits for achieving synchronisation
    • H04L27/2692Link with other circuits, i.e. special connections between synchronisation arrangements and other circuits for achieving synchronisation with preamble design, i.e. with negotiation of the synchronisation sequence with transmitter or sequence linked to the algorithm used at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32Carrier system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s of two or more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s H04L27/02, H04L27/10, H04L27/18 or H04L27/26
    • H04L27/34Amplitude- and phase-modulated carrier systems, e.g. quadrature-amplitude modulated carrier systems
    • H04L27/38Demodulator circuits; Receiver circuits
    • H04L27/3809Amplitude regula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1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dedicated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a single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2Channe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ignal
    • H04L5/06Channe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ignal the signals being represented by different frequenc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ubclass H03G
    • H03G2201/30Gain control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ntrolled signal
    • H03G2201/307Gain control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ntrolled signal being radio frequency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Control Of Amplification And Gain Control (AREA)
  • Steering Control In Accordance With Driving Condition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4G 시스템 이후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기 위한 5G 통신 시스템을 IoT 기술과 융합하는 통신 기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는 5G 통신 기술 및 IoT 관련 기술을 기반으로 지능형 서비스 (예를 들어,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헬스 케어, 디지털 교육, 소매업, 보안 및 안전 관련 서비스 등)에 적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V2X 시스템에서 자동 이득 제어 방법 및 장치{A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GAIN CONTROL IN VEHICLE-TO-EVERYTHING}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 통신 (vehicle-to-everything, 이하 V2X)을 지원하는 단말에서 단말이 제어 및 데이터 신호 수신을 위한 자동 이득 제어 (automatic gain Ccntrol, 이하 AGC)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4G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 (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 시스템 이후 (Post LTE) 이후의 시스템이라 불리어지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mmWave) 대역 (예를 들어, 60기가(60G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 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 (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 (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 (ultra-dense network), 기기 간 통신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무선 백홀 (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 (moving network), 협력 통신 (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 (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제거 (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 (Hybrid FSK and QAM Modulation) 및 SWSC (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과, 진보된 접속 기술인 FBMC(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non 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SCMA(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인터넷은 인간이 정보를 생성하고 소비하는 인간 중심의 연결 망에서, 사물 등 분산된 구성 요소들 간에 정보를 주고 받아 처리하는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망으로 진화하고 있다. 클라우드 서버 등과의 연결을 통한 빅데이터(Big data) 처리 기술 등이 IoT 기술에 결합된 IoE (Internet of Everything) 기술도 대두되고 있다. IoT를 구현하기 위해서, 센싱 기술,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 및 보안 기술과 같은 기술 요소 들이 요구되어, 최근에는 사물간의 연결을 위한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IoT 환경에서는 연결된 사물들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인간의 삶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지능형 IT(Internet Technology)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IoT는 기존의 IT(information technology)기술과 다양한 산업 간의 융합 및 복합을 통하여 스마트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스마트 그리드, 헬스 케어, 스마트 가전, 첨단의료서비스 등의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이에, 5G 통신 시스템을 IoT 망에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5G 통신 기술이 빔 포밍, MIMO, 및 어레이 안테나 등의 기법에 의해 구현되고 있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빅데이터 처리 기술로써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N)가 적용되는 것도 5G 기술과 IoT 기술 융합의 일 예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무선통신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V2X를 지원하는 단말이 다양한 뉴머롤로지 (numerology)가 지원되는 환경에서 제어 및 데이터 신호 수신을 위한 AGC를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AGC를 수행하는 단말을 위한 기지국의 설정 및 단말의 동작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신호 처리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제1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제1 제어 신호를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처리에 기반하여 생성된 제2 제어 신호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V2X를 지원하는 NR 단말에 대한 AGC 수행 방법을 제안함으로써, 다양한 뉴머롤로지(numerology)가 지원되는 환경에서 수신 신호의 신뢰도를 향상 시킬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셀룰러 시스템 내에서 V2X 통신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b는 본 발명에 따라 V2X를 위해 고려된 DMRS 패턴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c는 PSCCH와 PSSCH를 FDM으로 할당하는 두 가지 방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d는 NR 시스템에서 기지국 단말간 통신에 사용되는 DMRS 패턴 (type1과 type2)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e은 AGC를 수행하기 위한 단말의 수신기의 일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f는 시간에 따라 OFDM 심볼(CP-OFDM 또는 DFT-S-OFDM 심볼)들이 수신될 때, AGC를 수행하였을 때 증폭기를 통과한 신호의 세기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g는 본 발명에 따라 넓은 길이의 부반송파 간격 지원에 따른 짧은 심볼 길이에 대해 ACG 결정 시간에 따른 성능 열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h는 본 발명에 따른 제안 방법-1과 제안 방법-2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i는 본 발명에 따른 제안방법-1에 따른 단말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j는 본 발명에 따른 제안방법-2에 따른 단말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k는 본 발명에 따라 스케줄링된 PSSCH의 심볼길이가 7인 경우 그리고 additional DMRS의 수는 1개로 설정된 경우의 DMRS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l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m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설명에서 사용되는 접속 노드(node)를 식별하기 위한 용어, 망 객체(network entity)들을 지칭하는 용어, 메시지들을 지칭하는 용어, 망 객체들 간 인터페이스를 지칭하는 용어, 다양한 식별 정보들을 지칭하는 용어 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후술되는 용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대상을 지칭하는 다른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발명은 3GPP LTE(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ong Term Evolution) 규격에서 정의하고 있는 용어 및 명칭들을 사용한다. 하지만, 본 발명이 상기 용어 및 명칭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3GPP NR(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New Radio)과 같은 다른 규격에 따르는 시스템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셀룰러 시스템 내에서 V2X 통신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V2X(vehicle-to-everything)는 차량과 모든 인터페이스를 통한 통신 기술을 통칭하고, 그 형태 및 통신을 이루는 구성 요소에 따라 V2V(vehicle-to- vehicle), V2I(vehicle-to-infra-structure), V2P(vehicle-to-pedestrian) 등이 있다. V2P 및 V2V는 기본적으로 Rel-13 기기간 통신(device-to-device, 이하 D2D)의 구조 및 동작원리를 따른다.
기지국(a-01)은 V2X를 지원하는 셀(a-02) 안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차량 단말(a-05, a-10, a-11, a12)과 보행자 휴대단말(a-15)을 포함하고 있다. 즉, 차량 단말(a-05)은 기지국(a-01)과 차량 단말-기지국 간 링크(Uu, a-30, a-35)를 이용하여 셀룰러 통신을 수행하며, 다른 차량 단말(a-10, a-11, a-12) 혹은 보행자 휴대단말(a-15)과는 사이드링크(PC5, a-20, a-21, a-22, a-25)를 이용하여 기기간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차량 단말(a-05)이 다른 차량 단말 및 보행자 휴대단말과 사이드링크를 이용하여 직접적으로 정보를 주고 받기 위해서는 기지국이 사이드링크 통신에 사용할 수 있는 자원 풀 (Resource Pool)을 할당해야 한다.
LTE 시스템의 경우 기지국이 V2X 사이드링크 통신을 위하여 단말에게 자원을 할당하는 방법에 따라 scheduled 자원 할당(mode 3)과 UE autonomous 자원 할당(mode 4)의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상기의 scheduled 자원 할당의 경우 기지국이 RRC 연결된 단말들에게 dedicated 스케쥴링 방식으로 사이드링크 전송에 사용되는 자원을 할당하는 방법이다. 상기의 방법은 기지국이 사이드링크의 자원을 관리할 수 있기 때문에 간섭 관리와 자원 풀의 관리(동적 할당, semi-persistence transmission)에 효과적이다. 또한, 기지국이 V2X를 위한 자원을 할당하고 관리하는 scheduled 자원 할당(mode 3)의 경우에는, RRC 연결이 된 단말이 다른 단말들에게 전송할 데이터가 있을 경우, 기지국에게 RRC 메시지 혹은 MAC 제어 요소(Control Element, 이하 CE)를 이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RRC 메시지로는 SidelinkUEInformation, UEAssistanceInformation 메시지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MAC CE는 일 예로 새로운 포맷 (적어도 V2P 통신을 위한 버퍼상태보고임을 알리는 지시자와 D2D 통신을 위해 버퍼되어 있는 데이터의 사이즈에 대한 정보 포함)의 버퍼상태보고 MAC CE 등일 수 있다. 3GPP에서 사용하고 있는 버퍼상태보고에 대한 상세한 포맷과 내용은 3GPP 규격 TS36.321 “E-UTRA MAC Protocol Specification”을 참조한다. 반면에 UE autonomous 자원 할당은 기지국이 V2X를 위한 사이드링크 송수신 자원 풀을 시스템 정보로 제공하고, 단말이 정해진 룰에 따라 자원 풀을 선택하게 된다. 상기 자원 선택 방법으로는 zone mapping, sensing 기반의 자원 선택, 랜덤 선택 등이 있을 수 있다.
도 1b는 본 발명에 따라 V2X를 위해 고려된 DMRS 패턴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V2X는 차량간 통신이기 때문에 고속 이동 환경에서도 단말 수신 성능이 보장 되어야 한다. 따라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LTE 시스템에서 PSCCH (physical sidelink control channel, 제어채널)과 PSSCH (physical sidelink shared channel, 데이터 채널)을 위해서는 4개의 DMRS를 심볼 인텍스 {2,5,8,11}에 할당하고 PSBCH (physical sidelink broadcast channel, 방송채널)을 위해서는 PSSS (primary sidelink synchronization signal) 및 SSSS (secondary sidelink synchronization signal)을 위한 심볼을 제외하고 3개의 DMRS를 심볼 인덱스 {5,7,10}에 할당한다.
따라서 최대한 DMRS 심볼의 간격을 작게 하여 사이드 링크의 채널 추정 성능 및 주파수 오프셋 추정 성능을 고려하여 DMRS 구조가 설계되었다. 또한 V2X 서비스는 차량 안전과 관련된 정보를 교환하기 때문에 송수신의 지연시간은 차량 간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범위 이내로 최소화 하는 방향이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도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일 서브프레임에서 데이터 채널과 제어 채널을 다른 주파수 영역에서 시간적으로 동시에 전송하는 FDM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을 사용한다. 따라서 데이터 채널과 제어 채널을 동시에 수신하여 같은 시간에 처리함으로써 지연시간을 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c는 PSCCH와 PSSCH를 FDM으로 할당하는 두 가지 방식을 도시한 도면이다.
c-10은 non-adjacent 할당 방식으로 하나의 서브프레임에서 PSCCH와 PSSCH 할당 자원 영역을 분리시켜 다수의 V2X 단말 송수신을 지원하고 c-20은 인접 (adjacent)한 할당 방식으로 PSCCH와 PSSCH을 하나의 서브채널에 연속적으로 할당하여 다수의 V2X 단말 송수신을 지원하는 방식이다.
도 1d는 NR 시스템에서 기지국 단말간 통신에 사용되는 DMRS 패턴 (type1과 type2)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NR 시스템에서는 두 개의 DMRS 패턴이 지원된다. 도 1d에 두 개의 DMRS 패턴을 구체적으로 도시하였다. 도 1d에서 d-10과 d-20은 DMRS type1을 나타내며 d-10은 1 symbol 패턴을 나타내며 d-20은 2 symbol 패턴을 나타낸다.
d10-20의 DMRS type1은 comb 2구조의 DMRS 패턴으로서 두 개의 CDM group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CDM group은 FDM된다. 구체적으로 d10-20에서 녹색으로 표시된 부분이 CDM group0을 나타내며 빨간색으로 표시된 부분이 CDM group1을 나타낸다.
d-10의 1 symbol 패턴에서는 동일한 CDM group에 주파수상 CDM이 적용되어 2개의 DMRS port를 구분 지을 수 있으며, 따라서 총 4개의 orthogonal DMRS port가 설정될 수 있다. d-10에 각각 CDM group에 매핑되는 DMRS port ID를 도시하였다 (하향링크의 경우 DMRS port ID는 도시된 번호에 +1000되어 표시된다).
d-20의 2 symbol 패턴에서는 동일한 CDM group에 시간/주파수상 CDM이 적용되어 4개의 DMRS port를 구분 지을 수 있으며, 따라서 총 8개의 orthogonal DMRS port가 설정될 수 있다. d-20에 각각 CDM group에 매핑되는 DMRS port ID를 도시하였다 (하향링크의 경우 DMRS port ID는 도시된 번호에 +1000되어 표시된다).
이와 달리, d30-40의 DMRS type 2은 주파수상 인접한 서브캐리어 (subcarrier)에 FD-OCC가 적용되는 구조의 DMRS 패턴으로서 세 개의 CDM group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CDM group은 FDM된다. 구체적으로 d20-30에서 파란색으로 표시된 부분이 CDM group0을 나타내며 녹색으로 표시된 부분이 CDM group1을 나타내며 빨간색으로 표시된 부분이 CDM group2를 나타낸다.
d-30의 1 symbol 패턴에서는 동일한 CDM group에 주파수상 CDM이 적용되어 2개의 DMRS port를 구분 지을 수 있으며, 따라서 총 6개의 orthogonal DMRS port가 설정될 수 있다. d-30에 각각 CDM group에 매핑되는 DMRS port ID를 도시하였다 (하향링크의 경우 DMRS port ID는 도시된 번호에 +1000되어 표시된다).
d-40의 2 symbol 패턴에서는 동일한 CDM group에 시간/주파수상 CDM이 적용되어 4개의 DMRS port를 구분 지을 수 있으며, 따라서 총 12개의 orthogonal DMRS port가 설정될 수 있다. d-40에 각각 CDM group에 매핑되는 DMRS port ID를 도시하였다 (하향링크의 경우 DMRS port ID는 도시된 번호에 +1000되어 표시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NR 시스템에서는 서로 다른 두 개의 DMRS 패턴 (d10-20 or d30-40)이 설정될 수 있으며, DMRS 패턴이 1 symbol 패턴 (d-10, d-30)인지 인접한 2 symbol 패턴 (d-20, d-40)인지도 설정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DMRS port 번호를 스케줄링 할 뿐만 아니라 PDSCH rate matching을 위해서 함께 스케줄링 된 CDM group의 수를 설정하여 시그널링 해줄 수 있다. 또한 CP-OFDM의 경우 DL과 UL에서 상기 설명한 두 개의 DMRS 패턴이 모두 지원되며, DFT-S-OFDM의 경우 UL에서 상기 설명한 DMRS 패턴 중 DMRS type1만 지원된다. 또한 additional DMRS가 설정 가능하도록 지원된다.
Front-loaded DMRS는 시간상 맨 앞쪽 심볼에 나오는 first DMRS를 지칭하며, additional DMRS는 front-loaded DMRS 뒤 심볼에 나오는 DMRS를 지칭한다. NR 시스템에서 additional DMRS의 수는 최소 0에서부터 최대 3까지 설정 가능하다. 또한 additional DMRS이 설정될 경우에 front-loaded DMRS와 동일한 패턴이 가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front-loaded DMRS에 대해서 상기 설명한 DMRS 패턴 type1인지 type2인지에 대한 정보, DMRS 패턴이 one symbol 패턴인지 인접한 two symbol 패턴인지에 대한 정보, 그리고 DMRS port와 사용되는 CDM group의 수 정보가 지시되면, additional DMRS가 추가적으로 설정될 경우 additional DMRS는 front-loaded DMRS와 동일하게 DMRS 정보가 설정된다.
LTE 시스템의 경우 상기 도 1a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차량 단말(a-05)이 다른 차량 단말(a-10, a-11, a-12) 혹은 보행자 휴대단말(a-15)과 사이드링크(PC5, a-20, a-21, a-22, a-25)를 이용하여 기기간 통신 수행하는 경우 차량 단말(a-05)은 브로드 케스트 (Broadcast)를 통해 불특정 다수의 노드(a-10, a-11, a-12, a-15)에게 동시에 데이터를 보내는 형태로만 지원되었다. 하지만 NR 시스템에서는 차량 단말(a-05)이 유니 케스트 (uni-cast)를 통해 하나의 특정 노드에게만 데이터를 보내는 형태 및 그룹 케스트 (group-cast)를 통해 특정 다수의 노드에게 데이트를 보내는 형태의 지원이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두 대 이상의 차량을 하나의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군집 형태로 묶여져 이동하는 기술인 플래투닝 (platooning)과 같은 서비스 시나리오를 고려하여 이러한 유니 케스트 및 그룹 케스팅 기술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플래투닝으로 연결된 그룹의 리더 노드가 하나의 특정 노드를 컨트롤 하기 위한 목적으로 유니케스트 통신이 필요할 수 있으며, 특정 다수의 노드로 이루어진 그룹을 동시에 컨트롤 하기 위한 목적으로 그룹 케스트 통신이 필요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플래투닝에서는 노드간 상대 속도가 매우 작기 때문에 따라서 LTE 시스템에서와 같이 V2X의 고속 이동 환경만을 고려하여 최대한 DMRS 심볼의 간격을 작게 하여 사이드 링크의 DMRS 패턴을 결정하는 것이 비효율적일 수 있다. 또한 NR 시스템에서 고려된 flexible한 DMRS 패턴 설정을 고려하여 V2X 시나리오에 적합한 DMRS 패턴을 설정하는 방법에 대한 논의는 전무한 상태이다.
또한 표 1는 NR 시스템에 정의된 다양한 뉴머롤로지(numerology)를 나타낸다. 뉴머롤로지 μ에 따라 부반송파 간격(subcarrier spacing) Δf가 결정되며, 지원되는 cyclic prefix (CP) 길이가 결정된다. 표 1에 뉴머놀로지에 따른 OFDM 심볼 및 CP 길이를 도시하였다.
[표 1]
Figure 112019083585676-pat00001
또한 표 2와 표 3은 각각 normal CP 그리고 extended CP에서 하나의 슬롯당 OFDM 심볼 수, 프래임 당 슬롯의 수, 그리고 서브프레임당 슬롯의 수를 나타낸다.
[표 2]
Figure 112019083585676-pat00002
[표 3]
Figure 112019083585676-pat00003
그리고 NR 시스템에서는 PDSCH 또는 PUSCH 매핑 타입으로 타입 A(type A)와 타입 B(type B)가 정의되었다. PDSCH 또는 PUSCH 매핑 타입A에서는 슬롯에서 두 번째 또는 세 번째 OFDM 심볼에 DMRS 심볼 중 첫 번째 심볼이 위치해 있으며 PDSCH 또는 PUSCH 매핑 타입B는 PUSCH 전송으로 할당 받은 시간 영역 자원의 첫 번째 OFDM 심볼에 DMRS 심볼 중 첫 번째 심볼이 위치해 있다. PDSCH 또는 PUSCH에 대한 데이터 전송의 경우 시간영역 자원 할당(time domain resource assignment)은 데이터가 전송되는 슬롯에 관한 정보 및 해당 슬롯에서의 시작 심볼 위치 S와 데이터가 매핑되는 심볼 개수 L에 의해 전달될 수 있다. 상기에서 S는 슬롯의 시작으로부터 상대적인 위치일 수 있고, L은 연속된 심볼의 개수일 수 있으며, S와 L은 아래와 같이 정의되는 시작 및 길이 지시자 값(start and length indicator value, SLIV)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
if (L-1)≤7 then
SLIV=14·(L-1)+S
else
SLIV=14·(14-L+1)+(14-1-S)
where 0<L≤14-S
NR 시스템에서 일반적으로 RRC 설정을 통해서 단말은 하나의 행에 SLIV 값과 PDSCH 또는 PUSCH 매핑 타입 및 PDSCH 또는 PUSCH가 전송되는 슬롯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표를 설정받을 수 있다. 이후 기지국은 상기 DCI의 시간 영역 자원 할당을 위해 상기 설정된 표에서의 인덱스(index) 값을 지시함으로써 기지국이 단말에게 SLIV 값, PDSCH 또는 PUSCH 매핑 타입, PDSCH 또는 PUSCH가 전송되는 슬롯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NR 시스템에 정의된 다양한 뉴머롤로지 및 데이터 전송에 대한 시간영역 자원 할당 방법을 염두 해 두고 V2X 통신 환경에서 자동 이득 제어 (automatic gain control, 이하 AGC)의 문제점을 기술한다. 앞서 AGC에 대해서 설명하면, 단말은 신호를 수신함에 있어서 수신 신호를 증폭(amplify)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증폭 단계에서 얼마나 신호를 증폭하는지를 결정하는 것은 신호의 세기와 단말 증폭기(amplifier)의 동적 범위(dynamic range)일 수 있다.
상기 동적 범위(dynamic range)라 함은 증폭기의 입력과 출력이 선형적인 관계를 갖는 신호 세기의 범위이다. 만약 증폭기의 입력과 출력이 선형적인 관계가 없고 신호의 위상(phase)이 임의로 변한다면 해당 신호는 데이터 수신에 사용할 수 없을 수 있다. 그런데 증폭의 정도가 너무 클 경우 신호는 어느 이상의 세기로 증폭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그 위상이 임의로 변하기 때문에 단말은 수신 신호를 임의로 크게 증폭할 수 없다. 또한 증폭의 세기가 너무 작을 경우 데이터 수신 성능의 열화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적절한 세기로 수신 신호를 증폭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단말은 증폭을 수행할 때 수신 신호의 세기를 먼저 알아내는 것이 중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 신호의 세기가 너무 크면 증폭 정도를 줄이고 수신 신호가 너무 작으면 증폭 정도를 늘리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서이다. 이와 같이 단말은 수신 신호의 세기에 따라 증폭 정도를 변화시킬 필요가 있는데 이러한 동작을 AGC이라고 한다.
도 1e은 AGC를 수행하기 위한 단말의 수신기의 일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단말의 수신 신호(input signal)는 먼저 가변 이득 증폭기(variable gain amplifier, VGA, e-10)을 통과하여 증폭되고, 이는 증폭 세기를 추정하는 검출기(detector, e-20)로 전달된다. 이렇게 추정된 신호의 세기는 단말의 동적 범위에 의해 결정되는 기준값(set point)과 비교되어 그 차이값이 오차 증폭기(error amplifier, e-30)에 의해 확인되고, 이러한 값(gain control)은 VGA의 파라미터로 전달된다. 상기 추정된 신호의 세기와 기준값의 차이에 따라 VGA에서 증폭 정도가 결정되며, 상기 증폭 정도는 증폭된 신호가 단말 증폭기의 동적 범위에 포함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결국 상기 AGC 동작은 수신 신호를 얼만큼 증폭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과정일 수 있다.
도 1f는 시간에 따라 OFDM 심볼(CP-OFDM 또는 DFT-S-OFDM 심볼)들이 수신될 때, AGC를 수행하였을 때 증폭기를 통과한 신호의 세기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신호가 수신되면서 단말은 AGC 단계를 수행하며, 적절한 세기로 증폭하기 위한 증폭 정도를 결정하기까지는 시간이 걸리게 된다. 상기 AGC를 통해 증폭기의 적절한 증폭 정도를 결정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AGC 결정 시간(AGC settling time)이라고 할 수 있다. 단말은 제어 및 데이터 신호 수신 신호의 처음 일부 시간 동안 AGC를 수행하여 증폭 정도를 결정하게 된다. 상기 AGC 결정 시간 동안 수신된 신호는 그 신뢰성이 떨어지므로 데이터나 제어 신호의 복호에 사용되는 것이 어려울 수 있으며, AGC 결정 시간 후 안정화된 값(f-12)에 따른 신호는 데이터나 제어 신호의 복호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f의 일례에서는 AGC 결정 시간이 15μsec인 경우에 상기 표 1에서 제시한 NR 시스템에 정의된 다양한 뉴머롤로지에 따른 심볼 길이에 따라서 AGC가 차지하는 시간을 도시하였다. 도 1f의 f-10, f-20, f-30, f-40는 부반송파 간격가 각각 15kHz, 30kHz, 60kHz, 120kHz인 경우를 나타낸다.
f-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반송파 간격이 120kHz인 경우에 AGC 결정 시간이 2개의 심볼을 차지할 수 있다. 이와 달리 f-10, f-20, f-30에 해당되는 부반송파 간격에서는 AGC 결정 시간이 1개의 심볼을 차지할 수 있다. 이때 AGC 결정 시간에 해당되는 심볼은 데이터나 제어 신호의 복호에 사용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또한, LTE 시스템에서는 PSSCH 전송에 변조도로 QPSK와 16QAM만 지원되나, NR 시스템의 V2X 사이드링크 전송에서는 64QAM과 같은 높은 변조도가 지원 될 수 있다. 높은 변조도의 경우 낮은 변조도와 비교하여 더 긴 AGC 결정 시간이 요구될 수 있다.
또한 Flexible 스케줄링 및 짧은 TTI (transmit time interval) 길이가 지원됨에 따라 14심볼에 모두 스케줄링 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AGC 결정 시간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커지게 된다. 따라서 AGC 결정 시간이 길어지게 되면 상대적인 전송 효율 감소를 초래하게 된다. 그리고 만약 AGC 결정 구간에 기준신호 (reference signal, RS)가 포함될 경우에는 기준 신호가 채널 추정에 사용될 수 없기 때문에 수신 성능 관점에서 심각한 문제가 초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앞서 설명한 Front-loaded DMRS의 경우 AGC를 고려하여 위치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NR 시스템에 상기와 같은 이슈들로 AGC 수행 방법이 기존과 달라 질 필요가 있다.
상기에 NR V2X 사이드링크 통신 시스템에서 AGC를 수행하는데 기존 LTE 시스템에서와 달리 고려해야 하는 요소들을 살펴보았다. 따라서 아래 설명할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고려하여 AGC를 수행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다음으로 실시예2에서는 제1실시예에서 제안한 방법에 따라 AGC를 수행할 경우에 필요한 기지국 및 단말 동작 방법을 제안한다.
<제1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는 NR V2X 사이드링크 제어 및 데이터 신호 수신을 수행하는 단말이 자동 이득 제어(AGC)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NR 시스템, 특히 NR V2X 운영을 위해서는 하기와 같은 이슈들로 AGC 수행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방법이 지원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NR 사이드링크 통신 시스템에서 AGC를 효율적으로 수행해야 하는 필요성
1. 넓은 길이의 부반송파 간격 지원에 따른 짧은 심볼 길이
2. 높은 변조도를 지원하는데 요구되는 긴 AGC 결정 시간
3. Flexible 스케줄링 및 짧은 TTI길이 지원에 따른 증가된 AGC 결정 구간의 비율
4. 제어 및 데이터 신호가 전송되는 시간 영역의 앞 심볼에 전송되는 기준신호의 위치
참고로 상기 4번 요소에 대한 AGC 수행 방법은 하기 제2실시예를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미 도 1f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부반송파 간격에 따라 AGC 결정 시간이 차지하는 심볼 수가 달라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부반송파 간격이 커지게 되면 AGC 결정 시간이 차지하는 심볼 수가 증가하게 된다.
그리고 AGC 수행하는데 필요한 AGC 결정 시간은 수신 성능이 열화되지 않도록 결정되어야 하며, 또한, AGC 결정 시간은 전송효율이 낮아지지 않도록 길지 않아야 한다.
만약 AGC 수행을 위해 별도의 신호 없이, 데이터 및 제어 신호 전송을 위한 심볼들만 송수신 된다면, 수신단에서는 데이터 및 제어 신호의 첫번째 심볼을 AGC 수행에 사용해야 하므로, 데이터 및 제어 신호 디코딩에는 사용할 수 없게 되고, 따라서 데이터 및 제어 신호의 수신 성능이 열화될 수 밖에 없다. 반면, AGC 수행을 위한 전용 신호 또는 프리앰플을 데이터 및 제어 신호 전송 전에 미리 전송하게 된다면, 데이터 및 제어 신호 수신시 AGC를 또 다시 수행하지 않더라도 이전에 전송된 AGC를 위한 전용 신호 또는 프리앰블을 통해 수신 전력 증폭 레벨이 맞추어져 있을 수 있겠지만, AGC 수행을 위한 전용 신호 또는 프리앰블 전송을 위해 주파수 및 시간 자원을 이용하기 때문에, 해당 주파수 및 시간 자원을 다른 데이터 전송에 사용할 수 없게 되어 주파수 사용 효율이 감소할 수 있다.
제 1실시예에서는 상기 1~3 요소에 고려 사항을 바탕으로 AGC 수행 방법을 제안하도록 한다.
도 1g는 본 발명에 따라 넓은 길이의 부반송파 간격 지원에 따른 짧은 심볼 길이에 대해 ACG 결정 시간에 따른 성능 열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g-10와 g-20에 실험 환경을 도시하였다. g-10와 g-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도면에 따른 실험에서는 데이터 채널에 대한 실험을 가정하며, 3번째 그리고 12번째 심볼에 DMRS가 위치하였다. g-10는 AGC를 위한 프리엠블을 전송하지 않는 경우이고 g-20는 슬롯의 맨 첫 심볼에 AGC를 위한 프리엠블을 전송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g-30에 부반송파 간격 60kHz인 경우에 대해여 AGC 결정시간으로 0/3/6/9/12/15μsec가 필요한 경우를 가정하였을 때의 결과를 도시하였다.
g-30의 결과로부터 부반송파 간격 60kHz인 경우에 AGC 결정시간이 증가됨에 따라서 성능 열화가 매우 크게 발생함을 관찰 할 수 있다. 이는 AGC 동작이 수행되는 동안 수신 신호는 디코딩에 사용할 수 없기 때문이다. AGC 결정시간이 3 μsec인 경우에도 최대 전송 효율 대비 대략 30%의 성능 열화가 관찰되었다. NR 사이드링크 통신 시스템에서 FR1 (low frequency range)에서는 부반송파 간격으로 {15, 30, 60}kHz가 고려되며, FR2 (high frequency range)에서는 부반송파 간격으로 {60, 120}kHz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NR 사이드링크 통신 시스템에서 효율적인 AGC 수행을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을 제안한다.
NR 사이드링크 통신 시스템에서 효율적인 AGC 수행을 위한 프리엠블 설정 방법
● 제안방법-1: 부반송파 간격에 따라 제어 및 데이터 신호가 전송되는 시간 영역을 유지하고 바로 이전 심볼에 프리엠블을 삽입하는 방법.
예를 들어, 제어 및 데이터 신호가 슬롯 n의 0번째 심볼부터 매핑되는 경우, 프리엠블은 슬롯 n-1의 마지막 심볼 혹은 마지막 두 심볼에서 전송되는 방법이다. 또는 상기 프리엠블은 OFDM 심볼 단위로 정의되는 것이 아니고 미리 설정된 또는 지시되거나, 또는 고정 값으로 정의된 길이만큼, 예를들어 15 usec에 해당하는 만큼 전송할 수 있다.
Figure 112019083585676-pat00004
■ FR1의 경우 60kHz에 해당하는 부반송파 간격에 대해서는 한 심볼 길이의 프리엠블을 삽입한다. 하지만, 15kHz와 30kHz에 해당되는 부반송파 간격에 대해서는 프리엠블을 삽입하지 않는다.
Figure 112019083585676-pat00005
■ FR2의 경우 60kHz에 해당하는 부반송파 간격에 대해서는 한심볼 길이의 프리엠블을 삽입한다. 하지만, 120kHz에 해당되는 부반송파 간격에 대해서는 두심볼 길이의 프리엠블을 삽입한다.
Figure 112019083585676-pat00006
Figure 112019083585676-pat00007
◆ FR2의 경우 120kHz에 대해서는 프리엠블 오버해드를 고려하여 60kHz와 동일하게 한 심볼의 프리엠블을 삽입할 수 있다.
● 제안방법-2: 부반송파 간격에 따라 제어 및 데이터 신호가 전송되는 시간 영역의 첫 심볼 혹은 첫 2 심볼들에 프리엠블을 삽입하고 제어 및 데이터 신호는 프리엠블 뒤에 전송하는 방법.
예를 들어, 제어 및 데이터 신호가 슬롯 n의 0번째 심볼부터 매핑되도록 할당된 경우, 프리엠블은 슬롯 n의 첫 심볼 또는 처음 두 심볼에서 전송되는 방법이다. 또는 상기 프리엠블은 OFDM 심볼 단위로 정의되는 것이 아니고 미리 설정된 또는 지시되거나, 또는 고정 값으로 정의된 길이만큼, 예를들어 15 usec에 해당하는 만큼 전송할 수 있다.
Figure 112019083585676-pat00008
■ FR1의 경우 60kHz에 해당하는 부반송파 간격에 대해서는 한 심볼 길이의 프리엠블을 삽입한다. 하지만, 15kHz와 30kHz에 해당되는 부반송파 간격에 대해서는 프리엠블을 삽입하지 않는다.
Figure 112019083585676-pat00009
■ FR2의 경우 60kHz에 해당하는 부반송파 간격에 대해서는 한심볼 길이의 프리엠블을 삽입한다. 하지만, 120kHz에 해당되는 부반송파 간격에 대해서는 두심볼 길이의 프리엠블을 삽입한다.
Figure 112019083585676-pat00010
Figure 112019083585676-pat00011
◆ FR2의 경우 120kHz에 대해서는 프리엠블 오버해드를 고려하여 60kHz와 동일하게 한 심볼의 프리엠블을 삽입할 수 있다.
위에서 프리엠블은 제어 및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단말이 AGC 수행을 하도록 하기 위하여 제어 및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는 단말이 전송하는 신호를 의미하며, 다른 용어로도 대체될 수도 있다.
도 1h는 본 발명에 따른 제안 방법-1과 제안 방법-2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h를 통해 상기 제안 방법-1과 제안 방법-2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LTE V2X 사이드링크의 경우 도 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일 서브프레임에서 데이터 채널과 제어 채널을 다른 주파수 영역에서 시간적으로 동시에 전송하는 FDM이 사용되나, NR V2X 사이드링크의 경우 데이터 채널과 제어 채널이 FDM되는 방식과 함께, TDM (time domain multiplexing)되는 경우도 함께 고려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h-10, h-20, h-30, h-40에 NR V2X 사이드링크의 에서 데이터 채널과 제어 채널이 multiplexing되는 방법들을 도시하였다. 하기에 도 h-10, h-20, h-30, h-40의 방법을 설명한다.
● 도 h-10: 제어 채널과 이에 연관된 데이터 채널이 시간상 리소스에서 non-overlapping되어 전송되며, 두 채널이 사용하는 주파수상 리소스가 동일함
● 도 h-20: 제어 채널과 이에 연관된 데이터 채널이 시간상 리소스에서 non-overlapping되어 전송되며, 두 채널이 사용하는 주파수상 리소스가 다를 수 있음
● 도 h-30: 제어 채널과 이에 연관된 데이터 채널이 주파수상 리소스에서 non-overlapping되어 시간 자원으로 전송되며, 두 채널이 사용하는 시간상 리소스가 동일함
● 도 h-40: 제어 채널의 일부와 이에 연관된 데이터 채널이 시간상 리소스에서 overlapping되어 non-overlapping된 주파수 자원으로 전송되지만, 또 다른 연관된 데이터 채널 또는 다른 제어 채널의 일부는 시간상 리소스에서 non-overlapping되어 전송된다.
h-10, h-20, h-30, h-40에서는 시간상 제어 채널이 1 심볼을 차지하고 데이터 채널은 5개의 심볼을 차지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며, 실제 제어 채널과 데이터 채널이 전송되는 심볼 수는 달라질 수 있다.
제안방법-1에 따라 부반송파 간격에 따라 제어 및 데이터 신호가 전송되는 시간 영역을 유지하고 바로 이전 심볼에 프리엠블을 삽입하는 방법이 h-11, h-21, h-31, h-41를 통해 도시되었다. 여기서는 하나의 프리엠블이 삽입되는 경우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h-11, h-21, h-31, h-41는 데이터 채널과 제어 채널이 multiplexing되는 방법들 h-10, h-20, h-30, h-40에 따른 제안방법-1의 실시예를 각각 나타낸다.
제안방법-1에 의하면 제어 및 데이터 신호의 스케줄링이 슬롯의 첫번째 심볼에 이루어지는 경우에 이전 슬롯의 마지막 심볼 위치에 프리엠블이 삽입될 수 있다.
도 1i는 본 발명에 따른 제안방법-1에 따른 단말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i를 통해 제안방법-1에 의한 단말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안방법-1에 의하면 제어 및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는 단말(i-01)은 부반송파 간격에 따라 프리엠블의 삽입이 필요한 경우(i-02)에 해당 신호 전송의 바로 이전 심볼에 프리엠블을 전송(i-03)한다. 만약, 제어 및 데이터 신호의 스케줄링이 슬롯의 첫번째 심볼에 이루어지는 경우에 단말은 제어 및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는 슬롯 이전에 미리 슬롯을 전송하고 슬롯의 마지막 심볼 위치에 프리엠블을 전송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부반송파 간격에 따라 프리엠블의 삽입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i-02)에 프리엠블 삽입 없이 제어 및 데이터 신호 만을 전송(i-04)한다. 제안방법-1에 의하면 제어 및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단말(i-11)은 부반송파 간격에 따라 AGC를 위한 프리엠블 수신을 하야 하는 경우(i-12)에 수신 신호의 이전 심볼을 모니터링 하여 프리엠블을 수신(i-13)한다. 이와 달리 부반송파 간격에 따라 AGC를 위한 프리엠블 수신이 필요 없는 경우(i-12)에 바로 제어 및 데이터 신호를 수신 (i-14)한다.
한편, 제안방법-2에 따라 부반송파 간격에 따라 제어 및 데이터 신호가 전송되는 시간 영역의 앞 심볼에 프리엠블을 삽입하고 제어 및 데이터 신호는 프리엠블 뒤에 전송하는 방법이 h-12, h-22, h-32, h-42를 통해 도시되었다.
여기서는 하나의 프리엠블이 삽입되는 경우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h-12, h-22, h-32, h-42는 데이터 채널과 제어 채널이 multiplexing되는 방법들 h-10, h-20, h-30, h-40에 따른 제안방법-2의 실시예를 각각 나타낸다.
도 1j는 본 발명에 따른 제안방법-2에 따른 단말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j를 통해 제안방법-2에 의한 단말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안방법-2에 의하면 제어 및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는 단말(j-01)은 부반송파 간격에 따라 프리엠블의 삽입이 필요한 경우(j-02)에 해당 신호 전송을 뒤로 미루고 전송 신호의 앞 심볼에 프리엠블을 전송(j-03)한다. 이와 달리 부반송파 간격에 따라 프리엠블의 삽입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j-02)에 프리엠블 삽입 없이 제어 및 데이터 신호 만을 전송(j-04)한다. 제안방법-2에 의하면 제어 및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단말(j-11)은 부반송파 간격에 따라 AGC를 위한 프리엠블 수신을 하야 하는 경우(j-12)에 수신 신호의 처음 심볼을 모니터링 하여 프리엠블을 수신(j-13)한다. 이와 달리 부반송파 간격에 따라 AGC를 위한 프리엠블 수신이 필요 없는 경우(j-12)에 바로 제어 및 데이터 신호를 수신 (j-14)한다.
상기 제안방법-1과 제안방법-2에 따른 프리엠블 삽입 주기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 질 수 있다.
● 방법-1: 부반송파 간격에 따라 프리엠블 삽입이 필요한 경우, 스케줄된 매 전송 슬롯마다 프리엠블 전송
● 방법-2: 부반송파 간격에 따라 프리엠블 삽입이 필요한 경우, 스케줄된 첫번째 전송 슬롯에서 프리엠블 전송
● 방법-3: 부반송파 간격에 따라 프리엠블 삽입이 필요한 경우, 스케줄된 첫번째 전송 슬롯에서 프리엠블 전송을 원칙으로 하지만 첫번째 슬롯 전송 이후 A 슬롯안에 다시 스케줄링이 이루어 질 경우에는 프리엠블을 전송하지 않음
상기 프리엠블 삽입 주기 방법1은 스케줄된 매 전송 슬롯마다 프리엠블을 전송하는 방법으로 불필요한 오버헤드가 증가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방법2는 스케줄된 첫번째 전송 슬롯에서 프리엠블을 전송함으로써 불필요한 오버헤드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방법3은 방법2를 기본 원칙으로 하되 A 슬롯의 전송 윈도우를 도입함으로써 방법2보다 오버헤드를 추가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프리엠블 삽입 주기를 결정하는 방법 중 어떠한 방법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단말은 해당 프리엠블 전송 주기를 고려하여 해당 시점에서만 프리엠블을 수신하여 AGC를 수행할 수 있다.
<제2실시예>
실시예 2에서는 제 1 실시예에서 논의한 NR V2X 사이드링크 통신 시스템에서 AGC를 수행하는데 고려해야 하는 요소 중 4번 요소인 “제어 및 데이터 신호가 전송되는 시간 영역의 앞 심볼에 전송되는 기준신호의 위치”에 대한 이슈를 해결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배경 설명에서 논의한 바와 같이 NR 단말-기지국 간 링크(Uu, a-30, a-35)에 도입된 데이터 채널의 DMRS의 경우, Front-loaded DMRS가 도입되었으며 이는 데이터 채널의 시간상 영역의 앞에 DMRS를 위치 시킴으로써 빠른 채널 추정을 가능케 하여 데이터 디코딩의 latency를 감소시키고자 도입되었다. 하지만 AGC 결정 구간에 기준신호 (Reference signal, RS)가 포함될 경우에는 기준 신호가 채널 추정에 사용될 수 없기 때문에 수신 성능 관점에서 심각한 문제가 초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Front-loaded DMRS가 데이터 채널의 맨 앞 심볼에 위치하고 제 1실시예에서 제안한 제안방법-2에 의해서 AGC를 위하여 데이터 채널의 맨 앞 심볼이 AGC를 위하여 사용될 경우, 이를 고려하여 Front-loaded DMRS의 위치를 결정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제 1 실시예의 제안방법-1이 제어 및 데이터 신호가 전송되는 시간 영역을 유지하고 바로 이전 심볼에 프리엠블을 삽입함으로써 기준신호의 위치 설정을 추가적으로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제2실시예에서는 NR V2X 사이드링크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준신호의 위치 설정방법을 제안하고 특히, DMRS에 대한 기지국 및 단말 설정 방법을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NR 단말-기지국 간 링크(Uu, a-30, a-35)에 도입된 데이터 채널의 DMRS의 경우 매우 flexible하게 설정이 가능하도록 디자인 되었으며, 구체적으로 NR 시스템에서 DMRS 패턴에 대한 설정 정보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 질 수 있다.
NR Uu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채널에 대한 DMRS 정보 설정 방법
1. PDSCH 또는 PUSCH 매핑 타입 A(type A)와 타입 B(type B)인지에 따라서 Front-loaded DMRS의 위치를 포함한 DMRS 위치 설정이 달라짐
2. DMRS 패턴이 type1인지 type2인지가 RRC에 설정됨
Figure 112019083585676-pat00012
■ dmrs-Type ∈ {1,2}
3. Front-loaded DMRS 패턴이 one symbol 패턴인지 인접한 two symbol 패턴인지에 대한 정보가 DMRS 심볼의 Maximum length의 정보로 RRC에 설정됨
Figure 112019083585676-pat00013
■ DMRS-max-len ∈ {1,2}
4. Additional DMRS의 수가 RRC에 설정됨
Figure 112019083585676-pat00014
■ dmrs-Additional ∈ {0,1,2,3}
5. DMRS port 번호와 CDM group의 수가 DCI (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통해 지시됨
하지만 NR V2X 사이드링크 통신 시스템에서의 DMRS는 사이드링크의 특성을 고려하여 디자인 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 다른 차량 단말(a-10, a-11, a-12) 혹은 보행자 휴대단말(a-15)과 사이드링크(PC5, a-20, a-21, a-22, a-25)를 이용하여 기기간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기지국(a-01)과 차량 단말-기지국 간 링크(Uu, a-30, a-35)를 이용한 셀룰러 통신과 다르게 PDSCH와 PUSCH와 같이 두 개의 채널이 정의될 필요가 없다. 또한 사이드링크에서는 RRC가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동작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NR Uu 통신 시스템에서 RRC를 통한 DMRS 설정 방법이 적합하지 않다. 우선 상기 NR Uu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채널에 대한 DMRS 정보 설정 방법을 기반으로 NR 사이드링크 통신을 위하여 고려해야 할 DMRS 디자인 요소는 하기와 같다.
NR 사이드링크 통신 시스템에서 DMRS 디자인을 위한 고려사항
1. DMRS 위치 설정 방법
2. DMRS 패턴 (type1와 type2)의 설정 방법
3. Orthogonal DMRS 포트 수 지원 방법
4. Additional DMRS의 수 설정 방법
5. DMRS port 번호와 CDM group의 수 지시 방법
아래에 상기 고려사항에 대한 본 발명에서의 제안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NR 사이드 링크에서 DMRS 위치 설정 방법으로 NR Uu 통신 시스템에서 PUSCH 매핑 타입 A(type A)와 타입 B(type B)를 재활용한다. PDSCH 매핑 타입 B의 경우 스케줄링 된 심볼 길이가 NCP인 경우에 2/4/7에 대해서만 디자인 되었으나, PUSCH 매핑 타입 B의 경우 다양한 심볼 길이에 대한 DMRS 위치가 지원된다. 따라서 NR 사이드 링크에서 DMRS 위치 설정 방법으로 NR Uu 통신 시스템에서 PUSCH 매핑 타입 A(type A)와 타입 B(type B)의 활용한 PSSCH (Physical Sidelink Shared Channel) 매핑 타입 지원 방법으로 다음과 같은 대안이 있을 수 있다.
● 대안-1: PSSCH 매핑 타입 A(type A)만 지원 지원
Figure 112019083585676-pat00015
■ PSSCH 매핑 타입 A의 경우, 위치에 대한 reference point l은 슬롯의 첫번째 심볼로부터 정의된다.
Figure 112019083585676-pat00016
■ 표 4에서의 DMRS 위치가 사용됨
Figure 112019083585676-pat00017
■ 표 4에서 l0의 값은 하기의 방법 중 하나가 선택될 수 있다.
Figure 112019083585676-pat00018
Figure 112019083585676-pat00019
◆ l0=2만 지원됨
Figure 112019083585676-pat00020
Figure 112019083585676-pat00021
◆ l0=3만 지원됨
Figure 112019083585676-pat00022
Figure 112019083585676-pat00023
◆ l0=2 or 3이 지원되며 이때 l0=2 or 3인지는 다 다음과 같은 설정 방법 중 하나가 선택될 수 있다.
Figure 112019083585676-pat00024
Figure 112019083585676-pat00025
Figure 112019083585676-pat00026
- SCI (Sidelink Control Information)로 l0=2 or 3인지가 지시됨
Figure 112019083585676-pat00027
Figure 112019083585676-pat00028
Figure 112019083585676-pat00029
- Sidelink MIB 또는 SIB로 l0=2 or 3인지가 지시됨
Figure 112019083585676-pat00030
Figure 112019083585676-pat00031
Figure 112019083585676-pat00032
- Resource pool 설정에 따라 l0=2 or 3인지가 지시됨
Figure 112019083585676-pat00033
■ PSSCH 매핑 타입 A의 경우, 표 4에서 “Duration in symbols”의 의미는 슬롯의 첫번째 심볼과 스케줄링된 PSSCH의 마지막 심볼 사이의 symbol duration을 나타낸다.
● 대안-2: PSSCH 매핑 타입 B(type B)만 지원 지원
Figure 112019083585676-pat00034
■ PSSCH 매핑 타입 B의 경우, 위치에 대한 reference point l은 스케줄링된 PSSCH의 첫번째 심볼로부터 정의된다.
Figure 112019083585676-pat00035
■ 실시예 1의 제안방법-1이 사용될 경우, 표 5에서의 DMRS 위치가 사용됨
Figure 112019083585676-pat00036
■ 표 5에서 l0의 값은 l0=0으로 설정됨
Figure 112019083585676-pat00037
■ 실시예 1의 제안방법-2이 사용될 경우, AGC를 위한 프리엠블이 1심볼 삽입되는 경우 표 6에서의 DMRS 위치가 사용됨.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표 5에서의 DMRS 위치가 사용됨
Figure 112019083585676-pat00038
Figure 112019083585676-pat00039
◆ 예를들어, 도 1k에 스케줄링된 PSSCH의 심볼길이가 7인 경우 그리고 additional DMRS의 수는 1개로 설정된 경우에 표 6에 제시된 DMRS의 위치를 k-02에 도시하였다. 참고로 k-01은 동일한 경우에 기존 PUSCH mapping typeB에 대한 DMRS 위치를 나타낸다.
Figure 112019083585676-pat00040
■ 표 6에서 l0의 값은 l0=1으로 설정됨
Figure 112019083585676-pat00041
■ 실시예 1의 제안방법-2이 사용될 경우, AGC를 위한 프리엠블이 2심볼 삽입되는 경우 표 7에서의 DMRS 위치가 사용됨.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표 5에서의 DMRS 위치가 사용됨
Figure 112019083585676-pat00042
■ 표 7에서 l0의 값은 l0=2으로 설정됨
Figure 112019083585676-pat00043
■ PSSCH 매핑 타입 B의 경우, 표 5, 6, 7에서 “Duration in symbols”의 의미는 스케줄링된 PSSCH의 symbol duration을 나타낸다.
● 대안-3: PSSCH 매핑 타입 A(type A)와 타입 B(type B)를 모두 지원
Figure 112019083585676-pat00044
■ 두 가지 type을 모두 지원하는 경우 상기 대안-1과 대안-2에서 제시한 DMRS 위치가 모두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대안-1과 대안-2에서 제시한 DMRS 위치 설정 방법을 참고한다.
Figure 112019083585676-pat00045
■ 두 가지 type을 모두 지원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설정 방법 중 하나가 선택될 수 있다.
Figure 112019083585676-pat00046
Figure 112019083585676-pat00047
◆ SCI (Sidelink Control Information)로 type A인지 typeB인지가 지시됨
Figure 112019083585676-pat00048
Figure 112019083585676-pat00049
◆ Sidelink MIB 또는 SIB로 type A인지 typeB인지가 지시됨
Figure 112019083585676-pat00050
Figure 112019083585676-pat00051
◆ Resource pool 설정에 따라 type A인지 typeB인지가 지시됨
[표 4]
Figure 112019083585676-pat00052
[표 5]
Figure 112019083585676-pat00053
[표 6]
Figure 112019083585676-pat00054
[표 7]
Figure 112019083585676-pat00055
상기 표 4와 표 5는 상술한 제안방법-1 또는 제안방법-2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도, 다시 말해 AGC를 위한 프리엠블이 도입되지 않는 경우에도 NR 사이드 링크를 위한 DMRS 위치 설정으로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우선 NR 사이드 링크에서 DMRS 패턴으로 NR Uu 통신 시스템에서 DMRS 패턴 (type1와 type2)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DMRS 패턴을 결정하기 위해서 NR 사이드 링크에서 지원되는 orthogonal DMRS 포트 수를 함께 고려해야 한다. 이동속도를 고려하여 사이드링크 환경은 일반적으로 Uu 통신 환경과 비교하여 높은 rank가 지원되기 어렵다. 따라서 도d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수의 orthogonal DMRS 포트를 지원하기 위한 Two symbol pattern은 고려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표 4,5,6,7 모두 One symbol pattern이 지원되는 경우만을 고려한 DMRS 위치 설정만 고려하였다. 또한 NR 사이드 링크에서 DMRS 패턴 (type1와 type2) 설정 방법으로 다음과 같은 대안이 있을 수 있다.
● 대안-1: DMRS 패턴 type1만 지원
Figure 112019083585676-pat00056
■ 도 d-10 패턴 참고
● 대안-2: DMRS 패턴 type2만 지원
Figure 112019083585676-pat00057
■ 도 d-30 패턴 참고
● 대안-3: DMRS 패턴 type1과 type2를 모두 지원. 이때 두 가지 type을 모두 지원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설정 방법 중 하나가 선택될 수 있다.
Figure 112019083585676-pat00058
■ SCI (Sidelink Control Information)로 type 1인지 type2인지가 지시됨
Figure 112019083585676-pat00059
■ Sidelink MIB 또는 SIB로 type 1인지 type2인지가 지시됨
Figure 112019083585676-pat00060
■ Resource pool 설정에 따라 type 1인지 type2인지가 지시됨
NR 사이드 링크 DMRS port 번호와 CDM group의 수 지시 방법은 NR 사이드 링크가 지원하는 최대 orthogonal DMRS 포트 수에 따라서 지시가 필요할 수도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NR 사이드 링크에서 additional DMRS 수(dmrs -Additional ∈ {0,1,2,3})를 설정하는 방법 또한 NR Uu 통신 시스템과 달리 RRC 연결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지시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설정 방법 중 하나가 선택될 수 있다.
● SCI (Sidelink Control Information)로 addition DMRS 수가 지시됨
● Sidelink MIB 또는 SIB로 addition DMRS 수가 지시됨
● Resource pool 설정에 따라 addition DMRS 수가 지시됨
상기 실시예에서는 주로 데이터 채널의 DMRS의 위치 설정 및 파라미터 설정 방법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DMRS의 구조는 데이터 채널에 한정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채널과 동일한 DMRS 패턴 및 위치 설정이 NR V2X 사이드링크의 제어 채널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NR V2X 사이드링크의 제어 채널의 DMRS 구조가 다르게 디자인 되는 경우에도 상기 실시예에서 제안한 방법과 동일하게 제 1실시예의 제안방법-2에 의해서 AGC를 위하여 제어 채널의 맨 앞 심볼이 AGC를 위하여 사용될 경우, 제어 채널의 맨 앞 심볼에 제어 채널에 대한 DMRS를 위치 시키지 않도록 디자인 되어야 한다. 또한 DMRS를 포함하여 NR V2X 사이드링크를 위한 다른 기준신호가 도입되는 경우에도 제 1실시예의 제안방법-2에 의해서 AGC를 위하여 제어 채널의 맨 앞 심볼이 AGC를 위하여 사용될 경우, 해당 심볼에서는 RS가 전송되지 않도록 제한을 두어야 한다. 예를 들어, NR V2X 사이드링크를 위한 CSI-RS (Channel State Information RS)가 도입되는 경우에도, 해당 RS는 AGC를 위해 사용되는 심볼 위치에는 전송되지 않도록 강제할 필요가 있다.
[실시예 3]
본 개시의 [실시예 3]에서는 사이드링크에서 전송 단말이 PSSCH에 대한 DMRS 시퀀스를 생성하여 수신 단말로 전송하고 수신 단말이 이를 수신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사이드링크에서 수신 단말은 DMRS가 다음과 같은 시퀀스를 이용하여 전송된 것으로 가정한다.
[수학식 1]
Figure 112019083585676-pat00061
여기서 c()는 pseudo-random 시퀀스로 38.211 Section 5.2.1에 정의된다. 그리고 pseudo-random 시퀀스는 다음과 같이 초기화 될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112019083585676-pat00062
여기서 은 슬롯안에 OFDM symbol number를 나타낸다. 그리고 는 프레임 안에 slot number를 나타낸다. 그리고 사이드링크에서 =0으로 가정되며 는 아래와 같은 방법들에 의해서 가정될 수 있다.
* 방법 1: PSCCH CRC의 decimal
Figure 112019083585676-pat00067
** 여기서
Figure 112019083585676-pat00068
이며 p와 L값은 TS38.212의 5.1을 참고한다.
* 방법 2: destination ID
** 여기서
Figure 112019083585676-pat00070
는 SCI에 있는 destination ID값으로 가정된다.
* 방법 3: source ID
** 여기서
Figure 112019083585676-pat00072
는 SCI에 있는 source ID값으로 가정된다.
* 방법 4: sidelink synchronization ID
** 여기서
Figure 112019083585676-pat00074
는 sidelink synchronization ID(
Figure 112019083585676-pat00075
)값으로 가정된다. sidelink synchronization ID라 함은 사이드링크에서 동기를 맞출 때 사용된 ID를 의미한다.
* 방법 5: 상기 방법1~4의 조합
** 만약, 상기 방법1~4에서 사용된
Figure 112019083585676-pat00077
의 비트수가 16bits 이하인 경우, 서로 다른 방법을 조합하여도
Figure 112019083585676-pat00078
의 비트수가 16bits를 넘지 않는다면, 서로 다른 방법의 조합을 고려할 수 있다.
*** 예를 들어, 방법2(destination ID)와 방법3(source ID)이 조합되는 경우에, destination ID가 4bits 정보라고 가정하고, source ID 또한 4bits 정보라고 가정할 경우에 destination ID+source ID 또는 source ID+destination ID의 조합으로
Figure 112019083585676-pat00079
가 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조합을 통해 DMRS 시퀀스를 보다 randomize하는 것이 가능해 질 수 있다.
상기 방법에서 방법 1~5에
Figure 112019083585676-pat00080
의 비트수가 16bits을 넘지 않는 경우에 뒷부분의 비트는 zero padding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사용된 상기 방법 중 하나가 사용될 경우, 단말은 이를 가정하고 PSSCH에 대한 DMRS를 수신할 수 있다.
[실시예 4]
본 개시의 [실시예 4]에서는 사이드링크에서 전송 단말이 PSSCH에 대한 DMRS port에 대한 정보를 지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구체적은 시그널링 정보는 다음과 같은 조건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다.
* 조건 1: 단말당 SU-MIMO를 위해서 지원되는 최대 orthogonal DMRS port 수
** 조건 1에 의해서 DMRS port 지시 방법이 달라질 수 있다.
* 조건 2: 단말당 MU-MIMO를 위해서 지원되는 최대 orthogonal DMRS port 수
** 조건 2에 의해서 DMRS port 지시 방법이 달라질 수 있다.
* 조건 3: 사용되는 DMRS configuration type
** 조건 3에 의해서 DMRS port 지시 방법이 달라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조건 3의 DMRS configuration type은 예를 들어, DMRS 패턴 type 1 또는 DMRS 패턴 type 2가 사용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될 수 있는 패턴의 수는 변경될 수 있다.
** 예를 들어, DMRS 패턴 type1은 도1d-10를 통한 설명을 참고할 수 있다.
** 또한, DMRS 패턴 type2은 도1d-20를 통한 설명을 참고할 수 있다. 다만, 상기 패턴 type 1, 2가 상기 도 1d-10 및 도 1d-20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DMRS 패턴 (예를 들어, 기지국이 설정 또는 미리 정의된 패턴들)이 사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 또는, 도 1d를 통해 설명한 DMRS 패턴 중 one-symbol 패턴의 사용을 가정할 수 있다.
* 조건 4: DMRS CDM group수에 대한 지시 여부
** 조건 4에 의해서 DMRS port 지시 방법이 달라질 수 있다.
** DMRS CDM group수를 지시할 경우에 다음과 같은 DMRS power boosting이 가정될 수 있다.
*** CDM group수가 1인 경우 PSSCH와 DMRS의 EPRE(The ratio of PSSCH EPRE to DMRS EPRE)가 미리 정해진 값 또는 설정된 값 (예를 들어, 0dB)로 가정된다.
*** CDM group수가 2인 경우 PSSCH와 DMRS의 EPRE(The ratio of PSSCH EPRE to DMRS EPRE)가 미리 정해진 값 또는 설정된 값 (예를 들어, -3dB)로 가정된다.
*** CDM group수가 3인 경우 PSSCH와 DMRS의 EPRE(The ratio of PSSCH EPRE to DMRS EPRE)가 미리 정해진 값 또는 설정된 값 (예를 들어, -4.77dB)로 가정된다.
** DMRS CDM group수를 지시할 경우에 MU-MIMO 지원 시 수신 단말이 MU 간섭을 emulation하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이 때 상기 조건 1 내지 4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에 기반하여 DMRS port를 지시하기 위한 정보가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인 DMRS port의 지시 방법의 일 예는 하기와 같다.
상기 조건이 조건1(2 port)+조건2(1 port)+조건3(type2)+조건4(지시함)인 경우에 DMRS port를 지시하는 방법으로 아래와 같은 테이블의 value 값 중 어느 하나가 SCI로 지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DMRS port관련 정보 (예를 들어, DMRS 포트 번호, DMRS 포트 수, CDM group의 수 등)가 지시될 수 있다.
[표 8]
Figure 112019083585676-pat00096
상기 조건이 조건1(2 port)+조건2(0 port)+조건3(type2)+조건4(지시함)인 경우에 DMRS port를 지시하는 방법으로 아래와 같은 테이블의 value 값 중 어느 하나가 SCI로 지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DMRS port 관련 정보가 지시될 수 있다.
[표 9]
Figure 112019083585676-pat00097
상기 조건이 조건1(2 port)+조건2(1 port)+조건3(type2)+조건4(지시안함)인 경우에 DMRS port를 지시하는 방법으로 아래와 같은 테이블의 value 값 중 어느 하나가 SCI로 지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DMRS port 관련 정보가 지시될 수 있다.
[표 10]
Figure 112019083585676-pat00098
상기 조건이 조건1(2 port)+조건2(0 port)+조건3(type2)+조건4(지시안함)인 경우에 DMRS port를 지시하는 방법으로 아래와 같은 테이블의 value 값 중 어느 하나가 SCI로 지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DMRS port 관련 정보가 지시될 수 있다.
[표 11]
Figure 112019083585676-pat00099
상기 조건이 조건1(4 port)+조건2(2 port)+조건3(type2)+조건4(지시함)인 경우에 DMRS port를 지시하는 방법으로 아래와 같은 테이블의 value 값 중 어느 하나가 SCI로 지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DMRS port 관련 정보가 지시될 수 있다.
[표 12-1]
Figure 112019083585676-pat00100
표 5-1에서 불필요한 시그널링을 최소화하여 아래 표5-2와 같이 4bits 테이블이 사용될 수 있다.
[표 12-2]
Figure 112019083585676-pat00101
상기 조건이 조건1(4 port)+조건2(1 port)+조건3(type2)+조건4(지시함)인 경우에 DMRS port를 지시하는 방법으로 아래와 같은 테이블의 value 값 중 어느 하나가 SCI로 지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DMRS port 관련 정보가 지시될 수 있다.
[표 13]
Figure 112019083585676-pat00102
상기 조건이 조건1(4 port)+조건2(2 port)+조건3(type2)+조건4(지시안함)인 경우에 DMRS port를 지시하는 방법으로 아래와 같은 테이블의 value 값 중 어느 하나가 SCI로 지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DMRS port 관련 정보가 지시될 수 있다.
[표 14]
Figure 112019083585676-pat00103
상기 조건이 조건1(4 port)+조건2(1 port)+조건3(type2)+조건4(지시안함)인 경우에 DMRS port를 지시하는 방법으로 아래와 같은 테이블의 value 값 중 어느 하나가 SCI로 지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DMRS port 관련 정보가 지시될 수 있다.
[표 15]
Figure 112019083585676-pat00104
상기 조건이 조건1(2 port)+조건2(1 port)+조건3(type1)+조건4(지시함)인 경우에 DMRS port를 지시하는 방법으로 아래와 같은 테이블의 value 값 중 어느 하나가 SCI로 지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DMRS port 관련 정보가 지시될 수 있다.
[표 16]
Figure 112019083585676-pat00105
상기 조건이 조건1(2 port)+조건2(0 port)+조건3(type1)+조건4(지시함)인 경우에 DMRS port를 지시하는 방법으로 아래와 같은 테이블의 value 값 중 어느 하나가 SCI로 지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DMRS port 관련 정보가 지시될 수 있다.
[표 17]
Figure 112019083585676-pat00106
상기 조건이 조건1(2 port)+조건2(1 port)+조건3(type1)+조건4(지시안함)인 경우에 DMRS port를 지시하는 방법으로 아래와 같은 테이블의 value 값 중 어느 하나가 SCI로 지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DMRS port 관련 정보가 지시될 수 있다.
[표 18]
Figure 112019083585676-pat00107
상기 조건이 조건1(2 port)+조건2(0 port)+조건3(type1)+조건4(지시안함)인 경우에 DMRS port를 지시하는 방법으로 아래와 같은 테이블의 value 값 중 어느 하나가 SCI로 지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DMRS port 관련 정보가 지시될 수 있다.
[표 19]
Figure 112019083585676-pat00108
상기 조건이 조건1(4 port)+조건2(2 port)+조건3(type1)+조건4(지시함)인 경우에 DMRS port를 지시하는 방법으로 아래와 같은 테이블의 value 값 중 어느 하나가 SCI로 지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DMRS port의 관련 정보가 지시될 수 있다.
[표 20]
Figure 112019083585676-pat00109
상기 조건이 조건1(4 port)+조건2(1 port)+조건3(type1)+조건4(지시함)인 경우에 DMRS port를 지시하는 방법으로 아래와 같은 테이블의 value 값 중 어느 하나가 SCI로 지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DMRS port 관련 정보가 지시될 수 있다.
[표 21]
Figure 112019083585676-pat00110
상기 조건이 조건1(4 port)+조건2(2 port)+조건3(type1)+조건4(지시안함)인 경우에 DMRS port를 지시하는 방법으로 아래와 같은 테이블의 value 값 중 어느 하나가 SCI로 지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DMRS port 관련 정보가 지시될 수 있다.
[표 22]
Figure 112019083585676-pat00111
상기 조건이 조건1(4 port)+조건2(1 port)+조건3(type1)+조건4(지시안함)인 경우에 DMRS port를 지시하는 방법으로 아래와 같은 테이블의 value 값 중 어느 하나가 SCI로 지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DMRS port 관련 정보가 지시될 수 있다.
[표 23]
Figure 112019083585676-pat00112
본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PSSCH에 대한 DMRS port 정보를 지시하는 방법은 사이드링크에서 지원하는 단말당 SU-MIMO위해 지원해야 하는 최대 orthogonal DMRS port, 단말당 MU-MIMO를 위해서 지원해야 하는 최대 orthogonal DMRS port 수, 사용되는 DMRS configuration type, 그리고 DMRS CDM group수를 지원 여부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제안되는 방법으로 기존의 통신 시스템에서 지원하는 DMRS port 정보를 지시 방법과 구별됨에 주목한다. 또한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최소화 하기 위해서 불필요한 시그널링을 최소화하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또한 상기 제안한 시그널링 테이블에서 테이블 안의 indexing 순서는 변형될 수도 있음에 주목한다.
[실시예 5]
본 개시의 [실시예 5]에서는 [실시예 1]에서 제안한 부반송파 간격에 따라서 프리엠블이 삽입되는 방법에 대한 추가적인 방법을 제공한다. [실시예 1]에 따르면 NR 사이드링크 통신 시스템에서 효율적인 AGC 수행을 위한 프리엠블 설정 방법으로 다음이 제안되었다.
■ 15kHz/30kHz 해당되는 부반송파 간격에 대해서는 프리엠블을 삽입하지 않는다. 60kHz 해당되는 부반송파 간격에 대해서는 한 심볼 길이의 프리엠블을 삽입한다. 120kHz 해당되는 부반송파 간격에 대해서는 두심볼 길이의 프리엠블을 삽입하거나 프리엠블 오버해드를 고려하여 60kHz와 동일하게 한 심볼의 프리엠블을 삽입할 수 있다.
상기 방법에서는 AGC를 위해 필요한 시간 구간을 15 usec로 가정하였다. 하지만 이보다 증가된 시간 구간이 필요할 수 있으므로 다른 시간 구간에서 프리엠블의 설정 방법의 일 예를 이하에서 설명한다.
<방법 1>
■ 15kHz 해당되는 부반송파 간격에 대해서는 프리엠블을 삽입하지 않는다. 30kHz 해당되는 부반송파 간격에 대해서는 한 심볼 길이의 프리엠블을 삽입한다. 60kHz과 120kHz 해당되는 부반송파 간격에 대해서는 두심볼 길이의 프리엠블을 삽입한다.
상기 방법1은 AGC를 위해 필요한 시간 구간이 모든 부반송파 간격에 대해 35 usec로 필요하다는 가정으로 제안되었다.
<방법 2>
■ 15kHz과 30kHz 해당되는 부반송파 간격에 대해서는 한 심볼 길이의 프리엠블을 삽입한다. 60kHz과 120kHz 해당되는 부반송파 간격에 대해서는 두심볼 길이의 프리엠블을 삽입한다.
상기 방법2은 AGC 영역에서 프리엠블을 항상 전송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방법이 사용될 경우 사이드링크에서 단말이 직접 센싱을 수행하여 자원을 선택하는 모드에서 LBT (listen before talk)와 같은 센싱을 수행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AGC 영역에서 항상 프리엠블이 전송되기 때문에 단말은 이 영역에서 프리엠블에 대한 에너지 감지 (energy detection)을 수행하여 채널이 idle한지 busy한지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채널이 idle한 경우는 채널이 다른 단말에 의해서 점유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경우이며 채널이 busy한 경우는 채널이 다른 단말에 의해서 점유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방법 2에 의해 AGC 영역에서 프리엠블이 전송될 경우에 [실시예 1]의 제안방법-1에 따르면 반드시 다음 슬롯에서 제어정보 및 데이터를 전송함을 의미한다. 이와 달리, [실시예 1]의 제안방법-2에 따르면 반드시 해당 슬롯에서 제어정보 및 데이터를 전송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방법 2를 사용할 경우에 사이드링크에서의 센싱을 수행하여 자원을 선택하는데 매우 유리한 방법이 될 수 있다.
위에서 프리엠블은 제어 및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단말이 AGC 수행을 하도록 하기 위하여 제어 및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는 단말이 전송하는 신호를 의미하며, 다른 용어로도 대체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부반송파 간격에 따라서 프리엠블이 삽입되는 방법(프리엠블 길이 및 위치 설정)을 상기 방법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들을 수행하기 위해 단말과 기지국의 송신부, 수신부, 처리부가 각각 도 1l과 도 1m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1실시예부터 제2실시예까지 V2X 시스템에서 AGC 수행 방법 및 기준신호 설정 방법이 나타나 있으며, 이를 수행하기 위해 기지국과 단말의 수신부, 처리부, 송신부가 각각 실시 예에 따라 동작하여야 한다.
구체적으로 도 1l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l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단말은 단말기 수신부(1800), 단말기 송신부(1804), 단말기 처리부(1802)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 수신부(1800)와 단말이 송신부(1804)를 통칭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송수신부라 칭할 수 있다. 송수신부는 기지국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신호는 제어 정보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송수신부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 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송수신부는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수신하여 단말기 처리부(1802)로 출력하고, 단말기 처리부(1802)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단말기 처리부(1802)는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동작할 수 있도록 일련의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단말기 처리부(1802)는 제어부라 칭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제어부는, 회로 또는 어플리케이션 특정 통합 회로 또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라고 정의될 수 있다.
도 1m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m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지국은 기지국 수신부(1901), 기지국 송신부(1905), 기지국 처리부(1903)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 수신부(1901)와 기지국 송신부(1905)를 통칭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송수신부라 칭할 수 있다. 송수신부는 단말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신호는 제어 정보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송수신부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 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송수신부는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수신하여 기지국 처리부(1903)로 출력하고, 단말기 처리부(1903)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 처리부(1903)는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기지국이 동작할 수 있도록 일련의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기지국 처리부(1902)는 제어부라 칭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제어부는, 회로 또는 어플리케이션 특정 통합 회로 또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라고 정의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들에서, 발명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제시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단수 또는 복수의 표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시한 상황에 적합하게 선택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단수 또는 복수의 구성 요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단수로 구성되거나,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에서 설명의 순서가 반드시 실행의 순서와 대응되지는 않으며, 선후 관계가 변경되거나 병렬적으로 실행 될 수도 있다.
또는, 본 발명의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은 본 발명의 본질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일부의 구성 요소가 생략되고 일부의 구성요소만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들에서, 발명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제시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단수 또는 복수의 표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시한 상황에 적합하게 선택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단수 또는 복수의 구성 요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하더라도 단수로 구성되거나,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8)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1 단말에 의한 방법에 있어서,
    pseudo-random 시퀀스를 기반으로 물리적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physical sidelink shared channel, PSSCH)를 위한 복조 기준 신호(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MRS)의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 및
    제2 단말로, 상기 PSSCH에 대한 상기 DMRS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pseudo-random 시퀀스는 물리적 사이드링크 제어 채널(physical sidelink control channel, PSCCH)에서 CRC(cyclic redundancy check)를 기반으로 초기화되고,
    상기 pseudo-random 시퀀스는
    이고,
    상기 로 생성되고, 및
    상기 는 고정된 값이고, 상기 고정된 값은 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seudo-random 시퀀스는 상기 PSCCH에서 상기 CRC(cyclic redundancy check)의 십진수 표현을 기반으로 초기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 단말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송수신을 할 수 있는 송수신부; 및
    상기 송수신부와 결합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pseudo-random 시퀀스를 기반으로 물리적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physical sidelink shared channel, PSSCH)를 위한 복조 기준 신호(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MRS)의 시퀀스를 생성하고, 및
    제2 단말로, 상기 PSSCH에 대한 상기 DMRS를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pseudo-random 시퀀스는 물리적 사이드링크 제어 채널(physical sidelink control channel, PSCCH)에서 CRC(cyclic redundancy check)를 기반으로 초기화되고,
    상기 pseudo-random 시퀀스는
    이고,
    상기 로 생성되고, 및
    상기 는 고정된 값이고, 상기 고정된 값은 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pseudo-random 시퀀스는 상기 PSCCH에서 상기 CRC(cyclic redundancy check)의 십진수 표현을 기반으로 초기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90099607A 2018-11-02 2019-08-14 V2x 시스템에서 자동 이득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6626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673,349 US11388712B2 (en) 2018-11-02 2019-11-04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gain control in vehicle-to-everything system
CN201980073177.5A CN112970223A (zh) 2018-11-02 2019-11-04 车到万物系统中用于自动增益控制的方法和装置
ES19878362T ES2966505T3 (es) 2018-11-02 2019-11-04 Procedimiento y aparato para el control automático de ganancia en el sistema vehículo-a-todo
PCT/KR2019/014826 WO2020091556A1 (en) 2018-11-02 2019-11-04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gain control in vehicle-to-everything system
EP19878362.3A EP3857806B1 (en) 2018-11-02 2019-11-04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gain control in vehicle-to-everyth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3629 2018-11-02
KR20180133629 2018-11-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0853A KR20200050853A (ko) 2020-05-12
KR102662626B1 true KR102662626B1 (ko) 2024-05-03

Family

ID=70679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9607A KR102662626B1 (ko) 2018-11-02 2019-08-14 V2x 시스템에서 자동 이득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388712B2 (ko)
EP (1) EP3857806B1 (ko)
KR (1) KR102662626B1 (ko)
CN (1) CN112970223A (ko)
ES (1) ES2966505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2626B1 (ko) * 2018-11-02 2024-05-03 삼성전자 주식회사 V2x 시스템에서 자동 이득 제어 방법 및 장치
CN111277356B (zh) * 2018-12-05 2021-11-09 华为技术有限公司 侧行链路质量测量的方法和通信装置
CN110731117B (zh) * 2019-01-11 2020-11-2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侧行通信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KR20200087630A (ko) * 2019-01-11 2020-07-21 주식회사 아이티엘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dmrs 구성 방법 및 장치
US11283566B2 (en) * 2019-01-18 2022-03-22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user equipment cooperation
US11522661B2 (en) * 2019-04-12 2022-12-06 Qualcomm Incorporated Reference signal patterns based on relative speed between a transmitter and receiver
US11968136B2 (en) * 2019-10-04 2024-04-23 Qualcomm Incorporated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MRS) transmission for sidelink communications
US11546888B2 (en) * 2020-03-23 2023-01-03 Qualcomm Incorporated Non-random cyclic shift selection to avoid cyclic shift collision for sidelink control channel
US11683793B2 (en) * 2020-06-11 2023-06-20 Qualcomm Incorporated Sidelink power control using shared resources
WO2023284692A1 (en) * 2021-07-13 2023-01-19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Sidelink communication method, and terminal device
US11678276B2 (en) * 2021-07-29 2023-06-13 Qualcomm Incorporated Automatic gain control for co-existence of slot-based and sub-slot-based physical sidelink shared channels
US11758524B2 (en) * 2021-08-26 2023-09-12 Qualcomm Incorporated Short transmission time intervals for sidelink feedback
WO2023132537A1 (ko) * 2022-01-07 2023-07-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비면허 대역에서 사이드링크 통신의 방법 및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80853A1 (en) 2013-11-27 2015-06-04 Intel Corporation Signal designs for d2d subframes
WO2015130067A1 (ko) * 2014-02-25 2015-09-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장치 대 장치 단말 신호 생성 방법 및 장치
US20160302180A1 (en) * 2015-04-10 2016-10-13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ption of control signaling
US20160381708A1 (en) 2012-04-13 2016-12-29 Intel Corporation Multi-access scheme and signal structure for d2d communications
WO2017023150A1 (ko) 2015-08-06 2017-0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v2x 통신을 위한 신호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97289B2 (en) * 2003-03-06 2007-03-27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Automatic gain control for a wireless transmit/receive unit in a time slotted data transmissions
JP4212548B2 (ja) * 2003-12-26 2009-01-21 株式会社東芝 無線送信装置、無線受信装置、無線送信方法及び無線受信方法
CN105453507B (zh) * 2013-08-08 2019-02-05 Lg电子株式会社 在无线通信系统中发送和接收信号的方法及其装置
US9893857B2 (en) * 2014-03-21 2018-0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reference signal in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JP2017516361A (ja) * 2014-03-30 2017-06-15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端末間通信を支援する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ダウンリンク制御情報の送受信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
KR102262300B1 (ko) * 2015-06-17 2021-06-08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셀룰라 통신 시스템에서 협대역을 이용한 신호 전송을 위한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10757559B2 (en) * 2016-05-05 2020-08-2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Detection sequence for D2D communication
CN109565862B (zh) * 2016-08-09 2022-06-10 三星电子株式会社 无线蜂窝通信系统中的信道发送方法和设备
US10644833B2 (en) * 2016-08-12 2020-05-0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educing overhead in sidelink transmissions
CN107979452A (zh) * 2016-10-21 2018-05-01 北京信威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lte v2x 系统中pue 参考信号传输方法
US11140528B2 (en) * 2017-03-21 2021-10-05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decoding V2X signal transmitted by means of transmit diversity metho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terminal using same
WO2018174690A2 (ko) * 2017-03-24 2018-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v2x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v2x 통신 수행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CN110583038B (zh) * 2017-03-25 2023-03-28 Lg 电子株式会社 在无线通信系统中由v2x终端执行的v2x通信执行方法、以及使用该方法的终端
WO2018182263A1 (ko) * 2017-03-25 2018-10-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v2x 통신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CN110100496B (zh) * 2017-03-31 2022-09-02 Lg电子株式会社 在无线通信系统中由终端发送信号以用于v2x通信的方法以及使用该方法的设备
KR102318438B1 (ko) * 2017-04-26 2021-10-27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셀룰라 통신 시스템에서 dmrs 위치 설정 방법 및 장치
CN109412764B (zh) * 2017-08-17 2022-07-29 华为技术有限公司 同步方法和装置
US11432369B2 (en) * 2018-06-19 2022-08-30 Apple Inc. Reference signal and control information processing in 5G-NR wireless systems
EP3588882A1 (en) * 2018-06-29 2020-01-01 Nxp B.V. Automatic gain control sc-fdma symbol partial use for decoding
EP3592087A1 (en) * 2018-07-02 2020-01-08 Nxp B.V. Wireless vehicular communications according to vehicular communications protocols using reservation times
KR102662626B1 (ko) * 2018-11-02 2024-05-03 삼성전자 주식회사 V2x 시스템에서 자동 이득 제어 방법 및 장치
US10904059B2 (en) * 2018-11-02 2021-01-26 Qualcomm Incorporated Control channel for vehicle-to-everything (V2X) communicatio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381708A1 (en) 2012-04-13 2016-12-29 Intel Corporation Multi-access scheme and signal structure for d2d communications
WO2015080853A1 (en) 2013-11-27 2015-06-04 Intel Corporation Signal designs for d2d subframes
WO2015130067A1 (ko) * 2014-02-25 2015-09-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장치 대 장치 단말 신호 생성 방법 및 장치
US20160302180A1 (en) * 2015-04-10 2016-10-13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ption of control signaling
WO2017023150A1 (ko) 2015-08-06 2017-0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v2x 통신을 위한 신호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970223A (zh) 2021-06-15
EP3857806B1 (en) 2023-11-01
US20200146000A1 (en) 2020-05-07
ES2966505T3 (es) 2024-04-22
KR20200050853A (ko) 2020-05-12
EP3857806A4 (en) 2022-06-29
EP3857806A1 (en) 2021-08-04
US11388712B2 (en) 2022-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62626B1 (ko) V2x 시스템에서 자동 이득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609731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로 다른 상향 제어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6939796B2 (ja) 狭帯域IoT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サブキャリア間隔のシグナリング
CN108353422B (zh) 用于无线通信系统中的侧链路通信的方法和设备
US1039035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647886B1 (ko) V2x 시스템에서 dmrs 정보 설정 방법 및 장치
KR10227856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v2x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v2x 통신 수행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JP5238067B2 (ja) 半持続的スケジューリングの非活性化を指示する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装置
KR20220159995A (ko) 사이드링크 통신을 위한 harq-ack 피드백을 송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EP3417560B1 (en) Repetitive transmission for nb-iot
JP2021533706A (ja) 統合アクセス及びバックホール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ランダムアクセスのための方法及びその装置
KR102656612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통신 사업자 간 주파수 자원을 공유하여 단말과 통신하는 방법 및 장치
JP7273964B2 (ja) サイドリンク通信方法、端末及びネットワーク機器
EP3257308A1 (en) Device, system and method employing unified flexible 5g air interface
KR20210061960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데이터를 위한 기준신호 송신 및 수신 방법 및 장치
KR102664786B1 (ko) 단축된 프레임 구조들을 이용한 사운딩 피드백
CN110547018B (zh) 在无线通信系统中通过v2x终端执行的v2x通信方法、以及使用该方法的终端
KR102642633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자원 설정 방법 및 장치
WO2015065132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디스커버리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12436927A (zh) 侧链路传送方法和装置
CN115053497A (zh) 用于无线通信系统中传输上行链路信道的方法和设备
CN112671521A (zh) 侧链路传送方法和装置
KR20200087619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지원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AU2018263683B2 (en) Uplink transmission power control method and device in wireless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CN116762296A (zh) 新无线电侧链路中的侧链路反馈信道信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