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2560B1 - 흡입기의 사용법 안내 방법 및 사용자 단말 - Google Patents

흡입기의 사용법 안내 방법 및 사용자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2560B1
KR102662560B1 KR1020210012237A KR20210012237A KR102662560B1 KR 102662560 B1 KR102662560 B1 KR 102662560B1 KR 1020210012237 A KR1020210012237 A KR 1020210012237A KR 20210012237 A KR20210012237 A KR 20210012237A KR 102662560 B1 KR102662560 B1 KR 1026625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haler
user terminal
terminal
detection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2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9033A (ko
Inventor
김지훈
Original Assignee
(주)인트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인트인 filed Critical (주)인트인
Priority to KR1020210012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2560B1/ko
Publication of KR202201090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90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2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25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65Inhalators with dosage or measuring devices
    • A61M15/0068Indicating or counting the number of dispensed doses or of remaining d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65Inhalators with dosage or measuring devices
    • A61M15/0068Indicating or counting the number of dispensed doses or of remaining doses
    • A61M15/007Mechanical counters
    • A61M15/0071Mechanical counters having a display or indica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65Inhalators with dosage or measuring devices
    • A61M15/0068Indicating or counting the number of dispensed doses or of remaining doses
    • A61M15/008Electronic coun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91Inhalators mechanically breath-triggered
    • A61M15/0095Preventing manual activation in absence of inha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91Inhalators mechanically breath-triggered
    • A61M15/0098Activated by exhal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16H20/13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delivered from dispens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17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redundant control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5Communication
    • A61M2205/3576Communication with non implanted data transmission devices, e.g. using external transmitter or receiv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 A61M2205/52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with memories providing a history of measured variating parameters of apparatus or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30/00Measuring parameters of the user
    • A61M2230/63Motion, e.g. physical activit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입기의 사용법 안내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흡입기의 사용법 안내 방법은 사용자 단말이,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착용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과 연동되는 보조 단말로부터 흡입기의 사용법과 관련하여 움직임과 소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한 감지값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감지값을 분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사용자의 동작에 대한 수행 완료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사용자의 동작 수행 결과에 대한 결과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흡입기의 사용법 안내 방법 및 사용자 단말{Guidance method and user terminal for usage of health care device}
본 발명은 흡입기의 사용법 안내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흡입기와 같은 건강 관리 기기에 대한 올바른 사용법을 가이드하고 사용자의 실제 사용 동작을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동작 수행 결과를 피드백을 해주는 흡입기의 사용법 안내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천식(喘息, Asthma)이란, 호흡 곤란을 일으키는 염증성 기도 폐쇄 질환이며,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이란, 유해한 입자나 가스의 흡입에 의해 폐에 비정상적인 염증 반응이 일어나면서 이로 인해 점차 기류 제한이 진행되어 폐 기능이 저하되고 호흡곤란을 유발하는 호흡기 질환을 말한다.
이러한 천식 또는 만성폐쇄성폐질환이 있는 환자의 치료에서 약물 흡입치료는, 폐에 약물이 도달하게 하는 가장 좋은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자세히, 약물 흡입치료는, 전용 흡입기를 통해 환자에게 약물을 투약하는 치료방식으로, 약물을 가장 필요로 하는 장소에 직접적으로 도달시켜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고 약물의 잠재적인 전신적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약물 흡입치료에 사용되는 흡입제는, 호흡곤란 등의 증상을 지속적으로 조절하고 악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질병조절제'와 좁아진 기도를 단시간에 확장시키는 응급약물인 '증상완화제'로 구분되며, 휴대용 천식흡입기에 의해 사용자에게 투여될 수 있다.
이때, 휴대용 천식흡입기는, 흡입 용기에 따라 정량식흡입기(Metered Dose Inhaler)와 건조분말흡입기(DryPowder Inhaler)로 나뉜다.
특히, 정량식 흡입기는, 추진제에 의해 알루미늄 캔 등 밀폐된 용기에 약물을 내장하고 있는 카트리지(Cartridge)로부터 흡입제가 일정량씩 분사되는 에어로솔 제품으로서, 라피헬러·에보할러·레스피맷 등이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휴대용 흡입기를 사용함에 있어, 약물을 흡입하기 전 약물을 충분히 흔들어 주지 못한다거나 들숨과 날숨 동작을 충분히 수행하지 않고 약물을 흡입하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은 경우, 휴대용 흡입기를 통해 사용자에게 흡입되는 약물의 효과가 저하되고, 사용법에 따라 30% 이상 크게 차이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1. 일본 공표특허공보 특표2018-531055호(2018.10.25.) 2. 일본특허공보 특허 제6543240호(2019.07.10.)
본 발명은 흡입기의 사용법 안내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흡입기와 같은 건강 관리 기기에 대한 올바른 사용법을 가이드하고 사용자의 실제 사용 동작을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동작 수행 결과를 피드백을 해주는 흡입기의 사용법 안내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흡입기의 사용법 안내 방법은 사용자 단말이,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착용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과 연동되는 보조 단말로부터 흡입기의 사용법과 관련하여 움직임과 소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한 감지값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감지값을 분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사용자의 동작에 대한 수행 완료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사용자의 동작 수행 결과에 대한 결과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수행 완료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이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흡입기의 사용에 대한 사용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사용자 단말이 흡입기의 사용법과 관련한 상기 사용자의 동작에 대한 안내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내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미리 결정된 시간 간격으로 수행되거나 상기 보조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가 미리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에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보조 단말은 가속도 센서 및 마이크로폰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단말은 상기 가속도 센서 및 마이크로폰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동작은 복수 개의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안내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복수의 동작 전체에 대한 안내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동작 전체에 대한 안내 정보가 출력된 이후에 상기 감지값을 수신하되, 상기 보조 단말이 상기 복수의 동작 각각을 연속적으로 감지한 감지값을 상기 보조 단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동작 중 일부 동작은 상기 가속도 센서를 통해 감지되고, 상기 복수의 동작 중 나머지 일부 동작은 상기 마이크로폰 센서를 통해 감지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동작은 상기 가속도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동작과 상기 마이크로폰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동작이 교번하여 반복될 수 있다.
상기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가속도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동작이 완료되거나 상기 마이크로폰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동작이 완료될 때마다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의 동작 전체가 완료된 이후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례에 따른 흡입기의 사용법 안내 방법은 사용자 단말이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착용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과 연동되는 보조 단말로부터 흡입기의 사용법과 관련하여 움직임과 소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제1 동작을 감지한 감지값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1 동작을 분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보조 단말로부터 상기 제1 동작 이후 수행되는 상기 사용자의 제2 동작을 감지한 감지값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2 동작을 분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보조 단말로부터 상기 제2 동작 이후 수행되는 상기 사용자의 제3 동작을 감지한 감지값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3 동작을 분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보조 단말로부터 상기 제3 동작 이후 수행되는 상기 사용자의 제4 동작을 감지한 감지값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4 동작을 분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1, 2, 3, 4 동작에 대한 수행 완료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사용자의 동작 수행 결과에 대한 결과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동작은 상기 흡입기의 뚜껑을 여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동작은 상기 사용자가 숨을 내쉬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동작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흡입기를 입에 대고 흡입기의 버튼을 누르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제4 동작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흡입기의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제1 시간 동안 숨을 들이 마시고, 상기 제1 시간보다 긴 제2 시간 동안 숨을 참는 동작을 포함한다.
상기 수행 완료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이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흡입기의 사용에 대한 사용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동작을 감지한 감지값을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사용자 단말이 흡입기의 사용법과 관련한 상기 사용자의 동작에 대한 안내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내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미리 결정된 시간 간격으로 수행되거나 상기 보조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가 미리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에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안내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동작을 감지한 감지값을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수행되되, 상기 상기 제1 동작 내지 제4 동작 전체에 대한 안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안내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복수의 안내 정보 출력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안내 정보 출력 단계 각각은 상기 제1 동작을 감지한 감지값을 수신하는 단계 직전, 상기 제2 동작을 감지한 감지값을 수신하는 단계 직전, 상기 제3 동작을 감지한 감지값을 수신하는 단계 직전 및 상기 제4동작을 감지한 감지값을 수신하는 단계 직전에 수행되고, 상기 복수의 안내 정보 출력 단계은 상기 각각 수신하는 단계에서 요구되는 상기 제1 내지 4 동작 각각에 대한 안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1 시간은 3초 ~ 7초 사이의 범위에서 결정되며, 상기 제2 시간은 8초 ~ 12초 사이의 범위에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동작은 상기 흡입기를 미리 결정된 횟수만큼 흔드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흡입기의 사용법 안내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흡입기의 사용법을 안내하는 사용자 단말은 메모리, 상기 메모리와 연결되고, 상기 메모리에 포함된 명령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에 의해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 및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착용되는 보조 단말로부터 흡입기의 사용법과 관련한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한 감지값을 수신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보조 단말로부터 흡입기의 사용법과 관련한 사용자의 제1 동작을 감지한 감지값을 수신하여 분석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보조 단말로부터 상기 제1 동작 이후 수행되는 상기 사용자의 제2 동작을 감지한 감지값을 수신하여 분석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보조 단말로부터 상기 제2 동작 이후 수행되는 상기 사용자의 제3 동작을 감지한 감지값을 수신하여 분석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보조 단말로부터 상기 제3 동작 이후 수행되는 상기 사용자의 제4 동작을 감지한 감지값을 수신하여 분석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2, 3, 4 동작에 대한 수행 완료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의 동작 수행 결과에 대한 결과 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동작은 상기 흡입기의 뚜껑을 여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동작은 상기 사용자가 숨을 내쉬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동작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흡입기를 입에 대고 흡입기의 버튼을 누르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제4 동작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흡입기의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제1 시간 동안 숨을 들이 마시고, 상기 제1 시간보다 긴 제2 시간 동안 숨을 참는 동작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보조 단말이 상기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기 이전에 상기 사용자의 동작에 대한 안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동작은 상기 흡입기를 미리 결정된 횟수만큼 흔드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보조 단말을 통해 건강 관리 기기의 사용법과 관련한 상기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고, 사용자 단말로 사용자의 동작을 분석 및 수행 완료 여부를 판단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피드백함으로써, 건강 관리 기기에 대한 올바른 사용법을 가이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건강 관리 기기의 사용법 안내 시스템에 대한 네크워크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보조 단말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흡입기의 사용법 안내 방법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흡입기의 사용법 안내 방법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해당 분야에 이미 공지된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부가하는 것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분명하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에서 이를 일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해당 분야의 관련된 사람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건강 관리 기기(10)의 사용법 안내 시스템에 대한 네크워크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네트워크는 통신 방식이 제한되지 않으며, 네트워크가 포함할 수 있는 통신망(일례로, 이동통신망,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방송망)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뿐만 아니라 근거리 무선 통신 역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관리 기기(10)의 사용법 안내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00), 보조 단말(200) 및 서버(30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안내 시스템은 사용자의 질환과 관련된 건강 관리 기기(10)의 사용법에 대해 가이드할 수 있다.
건강 관리 기기(10)는 어떠한 질환을 가진 사용자가 질환의 치료 또는 관리를 위해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는 건강 보조 기기 또는 의료 기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도 1에서는 일례로, 건강 관리 기기(10)의 일례로 천식 환자에게 주로 사용되는 휴대용 흡입기를 도시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건강 관리 기기(10)가 흡입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설명의 편의상 이하에서는 건강 관리 기기(10)가 흡입기인 경우를 일례로 설명한다.
사용자 단말(100)은 컴퓨터 장치로 구현되는 고정형 단말이거나 이동형 단말일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 단말(100)은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폰, 태블릿 PC, 컴퓨터, 노트북,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 단말(100)은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300)와 통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라 함은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일 수도 있으나, 서버(300)가 건강 관리 관련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로 등록된 계정을 의미할 수도 있다. 따라서, 서버(300)가 어떠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송한다는 의미는 서버(300)에 등록된 사용자의 계정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사전에 서버(300)로부터 건강 관리 기기(10)의 사용법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받아 설치될 수 있다. 건강 관리 기기(10)의 사용법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이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될 때, 사용자 단말(100)에는 사용자의 성별, 성명, 나이, 주소, 질환의 종류, 질환의 명칭 등에 대한 사용자 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에는 건강 관리 기기(10)의 사용법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사전에 질환과 관련하여, 사용자의 동작에 대한 동작 기준값이 입력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천식과 관련된 질환을 가지고 있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에 흡입기와 같은 건강 관리 기기(10)의 사용법에 대한 기준 동작값을 미리 설정하기 위하여, 사용자 단말(100)은 보조 단말(200)을 통해 움직임과 소리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동작에 대한 기준 동작값을 사전에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에는 사전에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질환에 대한 기준 동작값이 저장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 단말(100)은 건강 관리 기기(10)의 사용법과 관련하여, 사용자의 동작에 대한 안내 정보를 출력하고, 사용자는 안내 정보에 따라 보조 단말(200)을 착용한 손으로 건강 관리 기기(10)를 움켜쥔 상태에서 동작을 수행하고, 보조 단말(200)은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한 감지값을 사용자 단말(100)에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100)은 수신된 감지값을 기준 동작값으로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가 질환과 관련된 건강 관리 기기(10)를 사용해야하는 조건이 성립되면, 사용자에게 건강 관리 기기(10)의 사용법과 관련된 안내 정보를 출력하고, 보조 단말(200)이 감지한 사용자의 동작을 분석하고, 기준 동작값과 비교하여 사용자의 동작이 올바르게 수행되었는지 판단한 후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결과 정보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의 건강 관리 기기(10)의 사용과 관련된 사용 정보를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용자 단말(100)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보조 단말(200)은 사용자 단말(100)과 연동되며,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단말(200)은 사용자 단말(100)과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동되거나 블루투스, 와이파이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100)과 연동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보조 단말(200)이 사용자 단말(100)과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연동되는 경우를 일례로 도시하였다.
이와 같은 보조 단말(200)은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착용될 수 있다. 일례로, 보조 단말(200)은 사용자의 신체 일부인 팔목과 같은 위치에 착용가능한 스마트 워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단말(200)은 신체 일부에 착용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동작은 사용자가 실체 일부인 손을 통해 수행하는 동작(예, 호흡기 뚜껑 열기, 호흡기 흔들기, 호흡기 입에 대기, 호흡기 버튼 누르기 등)과 사용자로부터 나오는 소리(예, 숨 내쉬기(날숨), 숨 들이 마시기(들숨) 등과 관련한 소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보조 단말(200)은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착용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 단말(200)은 사용자의 생체 신호로 맥박, 심전도, 체온 등을 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보조 단말(200)은 사용자의 동작에 대한 정보와 생체 신호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건강 관리 기기(10)의 사용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건강 관리 기기(10) 사용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일례로,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건강 관리 기기(10)의 사용 시간 및 간격, 사용 횟수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사용자에게 질환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100)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은, 통신 모듈(110), 프로세서(120), 메모리(140), 출력부(130) 및 입력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10)은 서버(300) 및 보조 단말(200)과 유/무선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일례로, 통신 모듈(110)은, 건강 관리 기기(10)의 사용법에 관련된 다양한 정보,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입력부(150)는 건강 관리 기기(10)의 사용법과 관련하여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입력부(150)는 터치스크린 모듈, 키보드, 마우스, 버튼, 카메라 및 마이크로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30)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스피커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건강 관리 기기(10)의 사용법과 관련하여 필요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일례로, 출력부(130)는 건강 관리 기기(10)의 사용법과 관련하여 사용자의 동작에 대한 안내 정보를 소리 또는 영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출력부(130)는 입력부(150)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 단말(100)과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 및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저장매체로서 기능을 수행하며, 사용자 단말(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사용자 단말(100)의 기능 수행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메모리(140)에는 건강 관리 기기(10)의 사용법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가 컴퓨터 프로그램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140)는, 하드웨어적으로, ROM, RA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장기기 형태로 구비되거나, 인터넷(internet)상에서 메모리(14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storage)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여 건강 관리 기기(10)의 사용법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보조 단말(200)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단말(200)은 통신부(210), 프로세서(220), 메모리(230), 생체 감지 센서(240), 가속도 센서(250) 및 마이크로폰 센서(26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사용자 단말(100)과 유/무선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메모리(230)는 저장매체로서 기능을 수행하며, 생체 감지 센서(240), 가속도 센서(250) 및 마이크로폰 센서(260)에서 감지한 감지값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생체 감지 센서(240), 가속도 센서(250) 및 마이크로폰 센서(260)로부터 감지한 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감지값을 생성할 수 있고, 메모리(230)에 저장하거나 통신부(210)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100)에 감지값을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생체 감지 센서(240)는 사용자의 맥박, 심전도, 체온 등을 감지할 수 있고, 가속도 센서(250)는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예를 들어, 팔의 움직임에 따른 보조 단말(200)의 속도 변화량 등을 감지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 센서(260)는 보조 단말(200)의 주변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감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건강 관리 기기(10)의 사용을 위하여, 흡입기의 뚜껑을 개방하는 소리, 숨을 들이마실 때 나는 소리, 숨을 내쉴 때 나는 소리, 흡입기의 버튼을 누르는 소리 등을 감지할 수 있다.
아울러,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보조 단말(200)에는 사용자의 동작을 보다 섬세하게 감지하기 위하여, 위치 센서, 지자기 센서, 자이로 센서 등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강 관리 기기(10)의 사용법 안내 방법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강 관리 기기(10)의 사용법 안내 방법의 제1 실시예는 안내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S10), 감지하는 단계(S20), 분석하는 단계(S30), 판단하는 단계(S40), 결과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S50) 및 전송하는 단계(S6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4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각 단계가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일례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각 단계의 순서가 바뀌거나, 일부 단계가 교번하여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도 4에서 안내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S10), 결과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S50) 및 전송하는 단계(S60)는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안내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S10), 결과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S50) 및 전송하는 단계(S60)가 포함된 경우를 일례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건강 관리 기기(10)가 전술한 휴대용 흡입기인 경우를 일례로 설명한다.
안내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S10)에서는 사용자 단말(100)이 건강 관리 기기(10)의 사용법과 관련한 사용자의 동작에 대한 안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100)은 미리 결정된 시간 간격으로 수행되거나 보조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의 생체 정보가 미리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에, 안내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S10)를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 안내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사용자 단말(100)의 출력부(130)를 통하여 알람과 같은 소리로 출력되거나, 보조 단말(200)로부터 수신받은 사용자의 생체 정보가 미리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여 사용자가 흡입기를 사용해야하는 상태가 된 경우에 알람과 같은 소리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안내 정보는 소리로 알람이 출력된 이후, 사용자 단말(100)의 출력부(130)를 통해 흡입기의 사용법과 관련하여 요구되는 사용자의 동작이 음성과 함께 영상으로 출력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건강 관리 기기(10)의 사용법 안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안내 정보를 출력하기 전에는 보조 단말(200)로부터 가속도 센서(250) 및 마이크로폰 센서(260)를 제외한 생체 감지 센서(240)의 정보를 수신받아 분석하는 단계(S30)를 수행할 수 있으나, 안내 정보를 출력한 이후에는 사용자의 동작을 분석하기 위하여 보조 단말(200)로부터 가속도 센서(250) 및 마이크로폰 센서(260)의 정보를 수신받을 수 있다.
감지하는 단계(S20)에서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착용되는 보조 단말(200)이 건강 관리 기기(10)의 사용법과 관련한 움직임과 소리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한 감지값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동작은 움직임과 소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보조 단말(2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가속도 센서(250) 및 마이크로폰 센서(260)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하는 단계(S20)에서 보조 단말(200)은 사용자의 신체 일부(예, 팔목)에 착용되어 가속도 센서(250)를 통해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으며, 마이크로폰 센서(26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발생하는 소리를 감지할 수 있다.
보조 단말(200)은 사용자가 흡입기의 사용법과 관련하여 요구되는 동작을 수행하면, 가속도 센서(250) 및 마이크로폰 센서(260)로부터 감지된 사용자의 동작에 대한 신호를 디지털 신호 처리하여 감지값을 생성할 수 있다. 보조 단말(200)은 생성된 감지값을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분석하는 단계(S30)에서는 사용자 단말(100)이 보조 단말(200)로부터 감지값을 수신하여, 감지값을 분석할 수 있다. 일례로 분석하는 단계(S30)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감지값을 분석하여 감지값에 따른 보조 단말(200)의 움직임을 시각화하거나, 사용자로부터 감지된 소리를 분석할 수 있다.
판단하는 단계(S40)에서는 사용자 단말(100)이 사용자의 동작에 대한 수행 완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례로, 판단하는 단계(S40)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움직인과 소리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동작을 사전에 저장된 기준 동작값과 비교하여 유사도 판단을 수행하여, 사용자의 동작에 대한 수행 완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을 유사도 판단이 기준치를 만족하는 경우 사용자가 요구되는 동작에 대한 수행을 완료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그렇지 못한 경우 요구되는 동작에 대한 수행을 완료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결과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S50)에서는 사용자 단말(100)이 사용자의 동작 수행 결과에 대한 결과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가 요구되는 동작에 대한 수행을 완료한 경우 흡입기를 올바른 사용법에 따라 사용하였음을 소리 또는 이미지로 출력하고, 사용자가 요구되는 동작을 수행하지 못한 경우 흡입기의 사용에 대한 주의 사항 및 경고에 대한 정보를 소리 또는 이미지로 출력할 수 있다.
전송하는 단계(S60)에셔는 사용자 단말(100)이 건강 관리 기기(10)의 사용에 대한 사용 정보를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건강 관리 기기(10)의 사용법과 관련하여 요구되는 사용자의 동작은 복수 개의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일부 단계가 교번하여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강 관리 기기(10)의 사용법 안내 방법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강 관리 기기(10)의 사용법 안내 방법의 제2 실시예에서는 건강 관리 기기(10)의 사용법과 관련하여 요구되는 사용자의 동작은 복수 개의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른 건강 관리 기기(10)의 사용법 안내 방법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S100), 제1, 2, 3, 4 동작을 감지하는 단계(S211, S212, S213, S214), 제1, 2, 3, 4 동작을 분석하는 단계(S311, S312, S313, S314), 수행 완료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400), 결과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S500) 및 전송하는 단계(S6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에에서와 같이, 건강 관리 기기(10)의 사용법과 관련하여 요구되는 사용자의 동작은 복수 개의 동작을 포함하는 경우, 안내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S100)에서는 복수의 제1, 2, 3, 4 동작 전체에 대한 안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제1, 2, 3, 4 동작을 감지하는 단계(S211, S212, S213, S214)에서는 복수의 동작 전체에 대한 안내 정보가 출력된 이후에 수행되되, 보조 단말(200)이 복수의 동작 각각을 연속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제1, 2, 3, 4 동작을 감지하는 단계(S211, S212, S213, S214)에서, 복수의 동작 중 일부 동작은 가속도 센서(250)를 통해 감지되고, 복수의 동작 중 나머지 일부 동작은 마이크로폰 센서(260)를 통해 감지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동작은 가속도 센서(250)에 의해 감지되는 동작과 마이크로폰 센서(260)를 통해 감지되는 동작이 교번하여 반복될 수 있다.
제1, 2, 3, 4 동작을 분석하는 단계(S311, S312, S313, S314)는 가속도 센서(250)에 의해 감지되는 동작이 완료되거나 마이크로폰 센서(260)를 통해 감지되는 동작이 완료될 때마다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다르게 분석하는 단계(S30)가 복수의 사용자의 동작 전체가 완료된 이후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제2 실시예에 따른 건강 관리 기기(10)의 사용법 안내 방법의 각 단계를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흡입기에 장착되는 흡입 용기에는 사용자가 흡입할 흡입제가 액체 상태, 기체 상태 또는 분말 상태로 담길 수 있다.
여기서, 흡입제가 액체 상태 또는 기체 상태로 흡입 용기에 담겨있는 경우 사용자는 사용하기 전에 흡입기를 흔들어줘야 하고, 흡입제가 분말 상태로 흡입 용기에 담겨있는 경우 사용자는 사용하기 전에 흡입기를 흔들 필요가 없다.
이와 같이, 흡입 용기에 담기는 흡입제의 종류에 따라 흡입기의 사용법이 달라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건강 관리 기기(10)의 사용법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사전에 흡입기의 사용에 요구되는 사용자의 동작을 동작 기준값을 입력할 때, 흡입기의 종류에 따라 어떤 흡입기를 사용할지 지정하고, 지정된 흡입기에 대한 안내정보에 따라 요구되는 동작을 수행하여 동작 기준값으로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동작 기준값으로 입력되는 동작은 시작 동작과 사용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시작 동작은 흡입기의 종류를 표시하는 동작 또는 일상 생활과 구분된 흡입기의 사용 시작과 관련된 동작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 동작은 흡입기의 사용법과 관련된 제1, 2, 3, 4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어떤 흡입기를 사용할 때, 사용자는 먼저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할 흡입기를 선택하거나 일상 생활과 구분되는 흡입기의 시작 동작을 수행하여 흡입기의 사용을 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흡입기의 사용에 따른 정확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액체 상태 또는 기체 상태의 흡입제를 포함한 흡입기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이에 따라, 흡입기의 사용할 때 요구되는 사용자의 동작은 흡입기의 뚜껑 열고 흡입기를 3-4회 흔드는 제1 동작, 숨을 내쉬는 제2 동작, 치료제를 분사하기 위해 흡입기를 입에 대고 흡입기의 버튼을 누르는 제3 동작 및 흡입기의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5초 동안 숨을 들이 마시고 10초 동안 숨을 참는 제4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흡입기의 사용번과 관련하여 요구되는 사용자의 동작이 제1, 2, 3, 4 동작을 포함하는 경우, 안내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S100)에서는 제1, 2, 3, 4 동작 전체에 대한 안내 정보가 소리나 이미지로 출력할 수 있다.
이후, 보조 단말(200)은 사용자의 각 동작을 감지하고 감지값을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동작을 감지하는 단계(S211)에서 보조 단말(200)은 가속도 센서(250)를 통해 흡입기의 뚜껑 열고 흡입기를 3-4회 흔드는 사용자의 제1 동작을 감지하고, 제1 동작을 분석하는 단계(S311)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보조 단말(200)로부터 제1 동작에 대한 가속도 센서(250)의 감지값을 수신하여 분석할 수 있다.
이후, 제2 동작을 감지하는 단계(S212)에서 보조 단말(200)은 마이크로폰 센서(260)를 통해 사용자가 숨을 내쉬는 제2 동작을 수행할 때 발생하는 소리를 감지하고, 제2 동작을 분석하는 단계(S312)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제2 동작에 대한 마이크로폰 센서(260)의 감지값을 수신하여 분석할 수 있다.
다음, 제3 동작을 감지하는 단계(S213)에서 보조 단말(200)은 가속도 센서(250)를 통해 치료제를 분사하기 위해 흡입기를 입에 대고 흡입기의 버튼을 누르는 제3 동작을 감지하고, 제3 동작을 분석하는 단계(S313)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보조 단말(200)로부터 제3 동작에 대한 가속도 센서(250)의 감지값을 수신하여 분석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4 동작을 감지하는 단계(S214)에서 보조 단말(200)은 마이크로폰 센서(260)를 통해 흡입기의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5초가 숨을 들이 마시고 10초 동안 숨을 참는 제4 동작을 수행할 때 발생하는 소리를 감지하고, 제4 동작을 분석하는 단계(S314)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제2 동작에 대한 마이크로폰 센서(260)의 감지값을 수신하여 분석할 수 있다.
이후, 수행 완료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400)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제1, 2, 3, 4 동작의 수행 완료 여부를 사전에 미리 저장된 기준 동작값과 비교하여 유사도 판단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은 각 동작에서 가속도 센서(250)와 마이크로폰 센서(260)가 각각 교번하여 반복적으로 사용자의 동작을 주도적으로 감지하는 점에 착안하여 사용자의 동작을 분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100)은 가속도 센서(250)의 감지값이 상대적으로 크게 발생하는 시점 또는 마이크로폰 센서(260)의 감지값이 상대적으로 크게 발생하는 시점을 기준으로, 시간에 따른 감지값을 구분하여 분석할 수 있다.
수행 완료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400)에서는 사용자 단말(100)이 제1, 2, 3, 4 동작의 수행 완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의 제1, 2, 3, 4 동작 각각에 대하여 동작 기준값과 비교하여 유사도 판단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의 제1, 2, 3, 4 동작 중 어떠한 동작이 수행되고, 어떠한 동작이 수행되지 않았는지 각 동작별로 유사도를 판단하여, 각 동작별로 수행 완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후, 결과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S500)에서는 사용자 단말(100)이 제1, 2, 3, 4 동작의 수행 결과에 대한 결과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의 제1, 2, 3, 4 동작 각각에 대한 결과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만약 사용자가 흡입기의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5초 동안 숨을 들이 마시고 10초 동안 숨을 참는 제4 동작을 수행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사용자 단말(100)은 제4 동작을 수행하지 못하였으며, 이와 같은 경우 치료제의 효과가 크게 저하될 수 있다는 주의 사항을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서버(300)로 전송하는 단계(S600)는 사용자 단말(100)이 건강 관리 기기(10)의 사용에 대한 사용 정보를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은 제1, 2, 3, 4 동작 중 어떠한 동작이 수행되고, 어떠한 동작이 수행되지 못했는지 구분하여 서버(300)로 사용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버(300)는 사용 정보에 대한 저장 용량을 충분히 확보한 다음, 사용자의 흡입기 사용에 대한 습관이나 패턴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흡입기 사용법 중 어떠한 동작에서 주로 문제가 발생하는지 판단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흡입기 사용에 대한 패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안내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S100)에서 사용자의 전체 동작에 대한 안내 정보를 출력하고, 수행 완료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400)와 결과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S500)가 사용자의 전체 동작에 대한 수행 완료 여부를 판단하고 결과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일례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은 각 동작의 수행이 시작되기 직전에 안내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S100)가 구비되어, 이후에 수행될 동작에 대한 안내 정보를 출력하고, 각 동작의 수행이 종료된 직후 수행 완료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400)와 결과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S500)가 구비되어 이전에 수행된 동작에 대한 수행 완료 여부를 판단하고 결과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일례로 도 5에서 안내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S100)가 제1, 2, 3, 4 동작을 감지하는 단계(S211, S212, S213, S214) 각각의 직전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고, 수행 완료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400)와 결과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S500)가 제1, 2, 3, 4 동작을 분석하는 단계(S311, S312, S313, S314) 각각의 직후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개시된 기술적 특징들은 해당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서로 양립 불가능하지 않은 이상, 각 실시예에 개시된 기술적 특징들은 서로 다른 실시예에 병합되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각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기술적 특징을 위주로 설명하지만, 각 기술적 특징이 서로 양립 불가능하지 않은 이상, 서로 병합되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건강 관리 기기 100: 사용자 단말
200: 보조 단말 300: 서버

Claims (2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사용자 단말이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착용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과 연동되는 보조 단말로부터 흡입기의 사용법과 관련하여 움직임과 소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제1 동작을 감지한 감지값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1 동작을 분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보조 단말로부터 상기 제1 동작 이후 수행되는 상기 사용자의 제2 동작을 감지한 감지값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2 동작을 분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보조 단말로부터 상기 제2 동작 이후 수행되는 상기 사용자의 제3 동작을 감지한 감지값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3 동작을 분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보조 단말로부터 상기 제3 동작 이후 수행되는 상기 사용자의 제4 동작을 감지한 감지값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4 동작을 분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1, 2, 3, 4 동작에 대한 수행 완료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사용자의 동작 수행 결과에 대한 결과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동작은 상기 흡입기의 뚜껑을 여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동작은 상기 사용자가 숨을 내쉬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동작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흡입기를 입에 대고 흡입기의 버튼을 누르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제4 동작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흡입기의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제1 시간 동안 숨을 들이 마시고, 상기 제1 시간보다 긴 제2 시간 동안 숨을 참는 동작을 포함하는
    흡입기의 사용법 안내 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 완료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이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흡입기의 사용에 대한 사용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흡입기의 사용법 안내 방법.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작을 감지한 감지값을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사용자 단말이 흡입기의 사용법과 관련한 상기 사용자의 동작에 대한 안내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흡입기의 사용법 안내 방법.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미리 결정된 시간 간격으로 수행되거나 상기 보조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가 미리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에 수행되는 흡입기의 사용법 안내 방법.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동작을 감지한 감지값을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수행되되, 상기 상기 제1 동작 내지 제4 동작 전체에 대한 안내 정보를 출력하는 흡입기의 사용법 안내 방법.
  16.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복수의 안내 정보 출력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안내 정보 출력 단계 각각은
    상기 제1 동작을 감지한 감지값을 수신하는 단계 직전, 상기 제2 동작을 감지한 감지값을 수신하는 단계 직전, 상기 제3 동작을 감지한 감지값을 수신하는 단계 직전 및 상기 제4동작을 감지한 감지값을 수신하는 단계 직전에 수행되고,
    상기 복수의 안내 정보 출력 단계은 상기 각각 수신하는 단계에서 요구되는 상기 제1 내지 4 동작 각각에 대한 안내 정보를 출력하는 흡입기의 사용법 안내 방법.
  17.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은 3초 ~ 7초 사이의 범위에서 결정되며, 상기 제2 시간은 8초 ~ 12초 사이의 범위에서 결정되는 흡입기의 사용법 안내 방법.
  18.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작은 상기 흡입기를 미리 결정된 횟수만큼 흔드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흡입기의 사용법 안내 방법.
  19.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11 내지 18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20. 메모리;
    상기 메모리와 연결되고, 상기 메모리에 포함된 명령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에 의해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 및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착용되는 보조 단말로부터 흡입기의 사용법과 관련한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한 감지값을 수신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보조 단말로부터 흡입기의 사용법과 관련한 사용자의 제1 동작을 감지한 감지값을 수신하여 분석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보조 단말로부터 상기 제1 동작 이후 수행되는 상기 사용자의 제2 동작을 감지한 감지값을 수신하여 분석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보조 단말로부터 상기 제2 동작 이후 수행되는 상기 사용자의 제3 동작을 감지한 감지값을 수신하여 분석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보조 단말로부터 상기 제3 동작 이후 수행되는 상기 사용자의 제4 동작을 감지한 감지값을 수신하여 분석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2, 3, 4 동작에 대한 수행 완료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의 동작 수행 결과에 대한 결과 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동작은 상기 흡입기의 뚜껑을 여는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동작은 상기 사용자가 숨을 내쉬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동작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흡입기를 입에 대고 흡입기의 버튼을 누르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제4 동작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흡입기의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제1 시간 동안 숨을 들이 마시고, 상기 제1 시간보다 긴 제2 시간 동안 숨을 참는 동작을 포함하는
    흡입기의 사용법을 안내하는 사용자 단말.
  21.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보조 단말이 상기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기 이전에 상기 사용자의 동작에 대한 안내 정보를 출력하는 흡입기의 사용법을 안내하는 사용자 단말.
  22.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작은 상기 흡입기를 미리 결정된 횟수만큼 흔드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흡입기의 사용법을 안내하는 사용자 단말.



KR1020210012237A 2021-01-28 2021-01-28 흡입기의 사용법 안내 방법 및 사용자 단말 KR1026625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2237A KR102662560B1 (ko) 2021-01-28 2021-01-28 흡입기의 사용법 안내 방법 및 사용자 단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2237A KR102662560B1 (ko) 2021-01-28 2021-01-28 흡입기의 사용법 안내 방법 및 사용자 단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9033A KR20220109033A (ko) 2022-08-04
KR102662560B1 true KR102662560B1 (ko) 2024-05-02

Family

ID=82836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2237A KR102662560B1 (ko) 2021-01-28 2021-01-28 흡입기의 사용법 안내 방법 및 사용자 단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256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531055A (ja) * 2015-08-26 2018-10-25 レスメッド センサー テクノロジーズ リミテッド 慢性疾患の監視および管理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6543240B2 (ja) * 2010-06-18 2019-07-10 ベーリンガー インゲルハイム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吸入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43240B2 (ja) * 2010-06-18 2019-07-10 ベーリンガー インゲルハイム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吸入器
JP2018531055A (ja) * 2015-08-26 2018-10-25 レスメッド センサー テクノロジーズ リミテッド 慢性疾患の監視および管理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9033A (ko) 2022-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18736B2 (en) Method and apparatus to measure, aid and correct the use of inhalers
US2016032505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pulmonary medication delivery
US11875886B2 (en) Reusable respiratory device monitoring system
CN112638455B (zh) 检测药物流的呼吸系统和方法
US10758157B2 (en) Determining if airway clearance is required during respiratory therapy
CN102576386A (zh) 用于处理吞咽困难的系统和方法
US20220293262A1 (en) Resuscitative care system for context sensitive guidance
CN111886654A (zh) 吸入器训练系统和方法
KR102272946B1 (ko) 천식흡입기 모니터링 장치 및 천식흡입기 사용정보를 기반으로 의료상담을 보조하는 방법
JP7407806B2 (ja) 睡眠段階において呼吸事象を使用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KR20200082836A (ko) 기능성 마스크
US2021029863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dation-level monitoring
KR102662560B1 (ko) 흡입기의 사용법 안내 방법 및 사용자 단말
Al Rasyid et al. Design and development of portable spirometer
EP4283595A1 (en) Method for guiding use of inhaler, and user terminal
JP2021515614A (ja) 呼吸気流量を測定する装置および方法
JP2023525692A (ja) 覚醒サービス
US20210268212A1 (en) Breath measurement device
US10980443B2 (en) Conscious rhythmic breathing sensing
US20210299371A1 (en) Air filtration and user movement monitoring devices
KR20230165599A (ko) 가상 연기 구현 방법 및 장치
KR20240011391A (ko) 가상 연기 영상 출력 방법 및 장치
JP2023531922A (ja) 呼吸データ生成方法及び関連装置
CN117497163A (zh) 基于吸入器的数据处理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CN117377509A (zh) 吸入器监测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