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2432B1 - Apparatus for transferring liquid cargo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transferring liquid cargo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2432B1
KR102662432B1 KR1020160182036A KR20160182036A KR102662432B1 KR 102662432 B1 KR102662432 B1 KR 102662432B1 KR 1020160182036 A KR1020160182036 A KR 1020160182036A KR 20160182036 A KR20160182036 A KR 20160182036A KR 102662432 B1 KR102662432 B1 KR 1026624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exible hose
liquid cargo
pipe
transfer device
manif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20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77566A (en
Inventor
김인규
Original Assignee
한화오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오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오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820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2432B1/en
Publication of KR20180077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756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2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243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3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transfer at sea between ships or between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 B63B27/3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transfer at sea between ships or between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using pipe-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36Guiding, or otherwise ensuring winding in an orderly manner, of ropes, cable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40Control devices
    • B66D1/48Control devices automatic
    • B66D1/50Control devices automatic for maintaining predetermined rope, cable, or chain tension, e.g. in ropes or cables for towing craft, in chains for anchors; Warping or mooring winch-cable tension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9/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when loading or unloading ships
    • B67D9/02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when loading or unloading ships using articulated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16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 F16K1/18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 F16K1/22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with axis of rotation crossing the valve member, e.g. butterfly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02Universal joints, i.e. with mechanical connection allowing angular movement or adjustment of the axes of the parts in any dir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B63B2708/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체 화물 이송장치를 개시한다. 액체 화물 이송장치는 로딩 암; 및 상기 로딩 암에 연결되며 상기 로딩 암으로부터 탈착 가능한 플렉서블 호스를 포함하여, 파도에 의해 생기는 높이 차에 유연하게 대응하고, 안정적인 액체 화물의 이송이 가능하게 한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liquid cargo transport device. The liquid cargo transfer device includes a loading arm; and a flexible hose connected to the loading arm and detachable from the loading arm, which flexibly responds to height differences caused by waves and enables stable transfer of liquid cargo.

Description

액체 화물 이송장치 {Apparatus for transferring liquid cargo}Liquid cargo transfer device {Apparatus for transferring liquid cargo}

본 발명은 액체 화물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로딩암과 플렉서블한 호스를 포함한 액체 화물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quid cargo transfer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 liquid cargo transfer device including a loading arm and a flexible hose.

LNG 운반선은 LNG를 싣고 바다를 운항하여 육상 소요처에 LNG를 하역하기 위한 것이며, 이를 위해, LNG의 극저온에 견딜 수 있는 LNG 저장탱크(흔히, '화물창'이라 함)가 마련된다. 통상, 이러한 LNG 운반선은 LNG 저장탱크 내의 LNG를 액화된 상태 그대로 육상에 하역하며, 하역된 LNG는 육상에 설치된 LNG 재기화 설비에 의해 재기화 된 후, 천연가스의 소비처로 가스배관을 통해 운반된다.LNG carriers are intended to carry LNG on the sea and unload LNG at land-based destinations. For this purpose, LNG storage tanks (commonly referred to as 'cargo holds') that can withstand the extremely low temperatures of LNG are provided. Typically, these LNG carriers unload the LNG in the LNG storage tank on land in its liquefied state, and the unloaded LNG is regasified by an LNG regasification facility installed on land and then transported through gas pipes to natural gas consumers. .

LNG 운반선은 부유식 해상 구조물들이나 지상의 터미널로부터 LNG를 공급받아 저장한 후, 수요지를 이동하여 저장된 LNG를 로딩 또는 언로딩한다. 이 과정에서 LNG 운반선과 부유식 해상 구조물 또는 지상의 터미널 사이에는 액화가스의 이송을 위한 관로(管路)가 연결된다. LNG carriers receive LNG from floating offshore structures or terminals on land, store it, and then move to a place of demand to load or unload the stored LNG. In this process, a pipeline for the transfer of liquefied gas is connected between the LNG carrier and the floating offshore structure or terminal on land.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 실시 예에 따른 LNG 이송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an LNG transf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ior art.

부유식 해상구조물에 회전 가능한 수직지지대(10)가 설치되고, 수직지지대에 로딩 암(20)이 결합된다. 로딩 암(20)은 제1 암(21)과 제2 암(22)으로 구성되는데, 제1 암(21)은 수직지지대(10)의 상부에 일정 각도 내에서 선회 가능하도록 피벗 연결되고, 제2 암(22)은 제1 암(21)의 상부에 일정 각도 내에서 선회 가능하도록 피벗 연결된다. A rotatable vertical support 10 is installed on the floating offshore structure, and a loading arm 20 is coupled to the vertical support. The loading arm 20 consists of a first arm 21 and a second arm 22. The first arm 21 is pivotably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vertical support 10 so that it can pivot within a certain angle, and the first arm 21 The second arm 22 is pivotably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first arm 21 so that it can pivot within a certain angle.

수직지지대(10)와 제1 암(21)을 거쳐 제2 암(22) 내부에는 LNG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관(P)이 설치되어 부유식 해상 구조물 내부의 LNG 저장탱크로부터 LNG를 공급한다.A transfer pipe (P) for transporting LNG is installed inside the second arm 22 via the vertical support 10 and the first arm 21 to supply LNG from an LNG storage tank inside the floating marine structure.

이송관의 끝단부에는 연결부(30)가 설치되어, LNG 운반선의 관로에 형성된 유체 유입구(이하 '매니폴드'라 함)와 연결되어 LNG를 이송할 수 있게 된다. A connection part 30 is installed at the end of the transfer pipe, and is connected to the fluid inlet (hereinafter referred to as 'manifold') formed in the pipe line of the LNG carrier, allowing LNG to be transferred.

한편, 제1 암(21)의 중량에 의한 로딩 암(20)의 무게 균형을 유지하기 위하여, 제1 암(21)의 단부에 제1 중량보상부(40)가 제1 암(21)의 길이방향의 반대쪽으로 연장되어 구비된다.Meanwhile, in order to maintain the weight balance of the loading arm 20 due to the weight of the first arm 21, the first weight compensation unit 40 is installed at the end of the first arm 21. It is provided to exten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또한, 제2 암(22)의 중량에 의한 로딩 암(20)의 무게 균형을 유지하기 위하여, 수직지지지대(10)의 상부에 제2 중량보상부(50)가 구비된다.In addition, in order to maintain the weight balance of the loading arm 20 due to the weight of the second arm 22, a second weight compensation unit 50 is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vertical support support 10.

종래 기술에 의한 LNG 이송장치는 수직지지대(10)의 회전운동과 제1 암(21)과 제2 암(22)의 선회 운동에 의해 연결부(30)를 LNG 운반선 또는 지상의 터미널의 관로에 형성된 매니폴드로 이동시켜 결합한 후, LNG를 이송시킨다.The LNG transfer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a connection part 30 formed in the pipeline of an LNG carrier or ground terminal by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vertical support 10 and the pivoting movement of the first arm 21 and the second arm 22. After moving to the manifold and combining, LNG is transferred.

그런데 종래 기술에 의한 LNG 이송장치는 험한 해상 환경에서는 파도와 바람에 의해 LNG 운반선 및 부유식 해상 구조물에 흔들림이 발생하여, 로딩 암(20)에 예상치 못한 충격이 가해지거나 연결부의 피로파손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의한 LNG 이송장치는 보통 유의파고(Hs,Significant Wave Height)가 2m 이하인 경우에만 적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험한 해상 환경에서는 적용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다. 유의파고란, 특정 시간 주기(통상 3시간) 내에서 일어나는 모든 파고 중 가장 높은 3분의 1에 해당하는 파고의 평균 높이를 의미한다. However, in the LNG transfer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in a rough marine environment, LNG carriers and floating marine structures are shaken by waves and wind, resulting in unexpected shocks to the loading arm 20 or fatigue damage to the connection. There is a problem. In addition, the LNG transfer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usually applicable only when the significant wave height (Hs) is 2 m or less, so it is difficult to apply in rough marine environments. Significant wave height refers to the average height of the highest third of all wave heights that occur within a specific time period (usually 3 hours).

특히, 부유식 해상 구조물에서 LNG 운반선으로 LNG를 공급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부유식 해상 구조물과 LNG 운반선은 SBS(Side by Side) 무어링 방식으로 연결되는데, 두 부유체에 각각 파도와 바람에 의한 흔들림이 발생함은 물론, 두 부유체 간에 높이 차이까지 생겨 로딩 암(20)에 예상치 못한 충격이 가해지거나 연결의 피로파손 문제는 더욱 심각해지게 된다. 이는 LNG 유출 등의 안전사고로 이어질 매우 큰 위험요소가 되는 것이다.In particular, when LNG is supplied from a floating offshore structure to an LNG carrier, the floating offshore structure and the LNG carrier are generally connected by the SBS (Side by Side) mooring method, and the two floating structures are shaken by waves and wind, respectively. Not only does this occur, but there is also a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two floating bodies, which causes unexpected shocks to be applied to the loading arm 20 and the problem of fatigue damage to the connection becomes more serious. This is a very large risk factor that can lead to safety accidents such as LNG leakage.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26848호(2010.03.10. 공개)1.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026848 (published on March 10, 2010)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정성이 검증된 로딩 암과 플렉서블(flexible) 호스를 결합함으로써 파도에 의해 생기는 높이 차에 유연하게 대응하고, 높은 안정성을 가지는 액체 화물 이송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flexibly responds to the height difference caused by waves by combining a loading arm with proven stability and a flexible hose, and provides liquid cargo with high stability. The purpose is to provide a transfer devic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로딩 암; 및 상기 로딩 암에 연결되며 상기 로딩 암으로부터 탈착 가능한 플렉서블 호스를 포함하는 액체 화물 이송장치를 제공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ading arm; and a flexible hose connected to the loading arm and detachable from the loading arm.

상기 로딩 암은,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데크에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좌우 회전 가능하게 데크에 결합되며, 데크로부터 탈착 가능한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 상부에 형성되는 관절부; 및 상기 관절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포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loading arm is coupled to the deck so as to be rotatable left and right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deck of the floating marine structure, and includes a base detachable from the deck; a support vertically coupled to the base; a joint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support; and a post rotatably coupled to the joint.

상기 로딩 암은, 상기 포스트 자체의 중량에 의한 무게 중심을 잡아주기 위한 제1 중량보상부; 및 상기 플렉서블 호스의 중량에 의한 무게 중심을 잡아주기 위한 제2 중량보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loading arm includes a first weight compensation unit for maintaining the center of gravity due to the weight of the post itself; and a second weight compensation unit for maintaining the center of gravity due to the weight of the flexible hose.

상기 포스트는, 상기 플렉서블 호스가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os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connection part formed so that the flexible hose can be connected.

상기 지지대 내부에는 제1 배관이 형성되고, 상기 포스트 내부에는 제2 배관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배관과 상기 제2 배관이 상호 연결되고, 상기 제2 배관과 상기 플렉서블 호스가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first pipe is formed inside the support, a second pipe is formed inside the post, the first pipe and the second pip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second pipe and the flexible hos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Do this.

상기 제1 배관과 상기 제2 배관의 연결 및 상기 제2 배관과 상기 플렉서블 호스의 연결은 각각 스위블 조인트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pipe and the second pipe a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second pipe and the flexible hose are each connected by a swivel joint.

상기 플렉서블 호스는 적하역 장소에 설치되는 매니폴드에 연결되는 접속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flexible hos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connection port connected to a manifold installed at the loading and unloading location.

상기 플렉서블 호스는, 긴급상황 발생시, 상기 플렉서블 호스와 상기 매니폴드와의 연결을 차단하는 비상차단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lexible hose may further include an emergency cutoff device that blocks the connection between the flexible hose and the manifold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상기 비상차단장치는, 제1 차단부재와 제2 차단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차단부재에는 각각 버터플라이 밸브가 설치되고, 긴급상황이 발생시, 상기 제1 및 제2 차단부재에 각각 설치된 버터플라이 밸브가 잠기고 난 후, 상기 제1 및 제2 차단부재가 서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mergency blocking device includes a first blocking member and a second blocking member, and butterfly valves are installed on the first and second blocking members, respectively. When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the first and second blocking members are provided with a butterfly valve. After each installed butterfly valve is locked, the first and second blocking member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상기 플렉서블 호스는, 상기 플렉서블 호스를 상기 매니폴드로 안내하는 가이드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lexible hose may further include a guide device that guides the flexible hose to the manifold.

상기 가이드 장치는, 드럼과 상기 드럼에 감기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윈치(winch)로 구성되고, 상기 와이어가 상기 매니폴드 측에 연결되어 상기 플렉서블 호스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guide device is composed of a winch including a drum and a wire wound around the drum, and the wire is connected to the manifold to guide the movement path of the flexible hose.

상기 가이드 장치는 드럼 내부에 로드 셀(load cell)을 포함하여, 상기 와이어에 가해지는 장력을 측정하고, 측정된 장력에 따라 상기 와이어를 감거나 풀어 상기 와이어에 가해지는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플렉서블 호스를 매니폴드로 접근시키고 매니폴드에 연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guide device includes a load cell inside the drum, measures the tension applied to the wire, and winds or unwinds the wire according to the measured tension to keep the tension applied to the wire constant, thereby forming a flexible It is characterized by allowing the hose to approach the manifold and be connected to the manifold.

로딩 암에 유연한 성질의 플렉서블 호스를 연결하여 액체 화물을 이송함으로써, 플렉서블 호스가 자체적으로 신축 및 회전하여 파도와 바람에 의해 생기는 흔들림에 유연하게 대응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액체 화물 이송장치에 인장력이나 비틀림이 생기는 것을 해소할 수 있어, 안정적으로 액체 화물을 이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By connecting a flexible hose with a flexible nature to the loading arm to transport liquid cargo, the flexible hose expands and rotates on its own to flexibly respond to shaking caused by waves and wind.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flexibly respond to the shaking caused by waves and wind, thereby adding tensile force or tension to the liquid cargo transfer device. By eliminating distortion, it is possible to stably transport liquid cargo.

또한, 로딩 암과 플렉서블 호스와의 연결을 스위블 조인트로 연결함으로써, 로딩 암 내부의 배관과 플랙서블 호스와의 연결에서 생길 수 있는 비틀림을 해소할 수 있어, 안정적으로 액체 화물을 이송할 수 있는 효과를 더욱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connecting the loading arm and the flexible hose with a swivel joint, twisting that may occur in the connection between the piping inside the loading arm and the flexible hose can be eliminated, which has the effect of stably transporting liquid cargo. It has the effect of further increasing.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 실시 예에 따른 LNG 이송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화물 이송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플렉서블 호스의 타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긴급상황 발생시 플렉서블 호스의 비상차단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플렉서블 호스가 가이드 장치를 이용하여 적하역 장소에 설치된 매니폴드측으로 안내되는 과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a)는 액체 화물의 이송을 위해 와이어가 가이드장치로부터 풀어져 적하역 장소의 매니폴드측에 연결되는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b)는 플렉서블 호스가 가이드장치에 의해 적하역 장소의 매니폴드측으로 이동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c)는 가이드장치에 의해 안내된 플렉서블 호스가 적하역 장소에 설치된 매니폴드에 결합되는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제1 배관과 제2 배관의 연결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제2 배관과 플렉서블 호스의 연결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an LNG transf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ior art.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a liquid cargo transpo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view showing the other end of the flexible hose.
Figure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emergency shutoff device of the flexible hose when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Figure 5 is a diagram illustrating step by step the process in which a flexible hose is guided to the manifold installed at the loading and unloading site using a guide device. In (a), the wire is unwound from the guide device for the transfer of liquid cargo and brought to the loading and unloading site. (b) is a diagram showing the steps in which the flexible hose is moved to the manifold side of the loading and unloading station by the guide device, and (c) is a diagram showing the steps in which the flexible hose is guided by the guide device. This is a diagram showing the steps in which the hose is connected to the manifold installed at the loading and unloading area.
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pipe and the second pipe.
Figure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second pipe and the flexible hose.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정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its operational advantages, and the objectives achieved by practicing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llustrating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each drawing indicate the same membe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Additionally, the following examples may be modified into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화물 이송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a liquid cargo transpo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화물 이송장치는, 로딩 암(100)과, 로딩 암(100)에 탈착 가능한 플렉서블 호스(2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the liquid cargo transf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ading arm 100 and a flexible hose 200 detachable from the loading arm 100.

본 실시예에서 로딩 암(100)은, 액체 화물 저장탱크(예를 들면, LNG 저장탱크)로 액체 화물을 로딩(loading)하거나 액체 화물 저장탱크로부터 액체 화물을 언로딩(unlodaing) 시, 플렉서블 호스를 적하역 장소에 설치된 매니폴드에 연결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In this embodiment, the loading arm 100 uses a flexible hose when loading liquid cargo into a liquid cargo storage tank (for example, an LNG storage tank) or unloading liquid cargo from a liquid cargo storage tank. It serves as a guide so that it can be connected to the manifold installed at the loading and unloading location.

로딩 암(100)은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데크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로딩 암(100)은 복수로 마련될 수도 있다.The loading arm 100 may be placed on the deck of a floating marine structure. The loading arm 100 may be provided in plural numbers.

로딩 암(100)은 지상의 터미널에 배치될 수도 있다. 지상의 터미널에 배치된 로딩암(100)을 이용하여 터미널의 관로와 LNG 운반선의 관로가 바로 연결되어 액체화물의 이송이 가능하다. The loading arm 100 may be placed in a terminal on the ground. Using the loading arm 100 placed at the terminal on the ground, the pipeline of the terminal and the pipeline of the LNG carrier are directly connected, making it possible to transfer liquid cargo.

하기에서는 로딩 암(100)이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데크 상에 배치된 경우의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다. In the following, an example will be described where the loading arm 100 is disposed on the deck of a floating marine structure.

로딩 암(100)은, 데크 상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이스(110)와, 베이스(110) 상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지지대(120)와, 지지대(120) 상부에 형성되는 관절부(130)와, 관절부(1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포스트(140)를 포함한다.The loading arm 100 includes a base 110 detachably coupled to the deck, a support 120 vertically coupled to the base 110, and a joint 130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support 120. , and includes a post 140 rotatably coupled to the joint portion 130.

베이스(110)는 데크에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좌우 회전 가능하게 데크에 결합되며, 포스트(140)는 데크에 수평한 축을 중심으로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관절부(130)에 결합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로딩 암(100)은, 베이스(110)에 의한 좌우 회전과 포스트(140)에 의한 상하 회전으로 포스트(140)의 일단부의 3차원 이동이 가능해진다. The base 110 is coupled to the deck so as to be rotatable left and right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deck, and the post 140 is coupled to the joint portion 130 so as to be rotatable up and down about an axis horizontal to the deck. Therefore, the loading ar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ree-dimensional movement of one end of the post 140 by left and right rotation by the base 110 and up and down rotation by the post 140.

포스트(140)의 일단부에는 플렉서블 호스(200)가 연결 가능하도록 연결부(141)가 형성된다.A connection portion 141 is formed at one end of the post 140 to allow the flexible hose 200 to be connected.

포스트(140)의 타단부에는 포스트(140)의 무게 중심을 잡아주는 제1 중량보상부(150)가 포스트(140)의 길이방향의 반대쪽으로 연장되어 구비된다. 또한, 플렉서블 호스(200)의 중량에 의한 무게 중심을 잡아주기 위해 제2 중량보상부(160)가 관절부(130)에 구비된다.At the other end of the post 140, a first weight compensation unit 150 that holds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post 140 is provided and extends in the opposite dir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ost 140. Additionally, a second weight compensation unit 160 is provided at the joint unit 130 to maintain the center of gravity due to the weight of the flexible hose 200.

지지대(120) 내부에는 제1 배관(P1)이 형성되고, 포스트(140) 내부에는 제2 배관(P2)이 형성되어 제1 배관(P1)과 연결된다. 부유식 해상 구조물 내부에 구비된 액체 화물 저장탱크로부터 제1 및 제2 배관(P1, P2)을 거쳐 플렉서블 호스(200)로의 액체 화물의 이송 경로가 제공된다. A first pipe (P1) is formed inside the support 120, and a second pipe (P2) is formed inside the post 140 and connected to the first pipe (P1). A transfer path for liquid cargo is provided from the liquid cargo storage tank provided inside the floating marine structure to the flexible hose 200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pipes (P1 and P2).

제1 배관(P1)과 제2 배관(P2)의 연결 및 제2 배관(P2)과 플렉서블 호스(200)의 연결은 추후에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pipe (P1) and the second pipe (P2) a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second pipe (P2) and the flexible hose 2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본 실시예에서 플렉서블 호스(200)는, 일단이 상기 로딩 암(100)의 포스트(140)에 형성되는 연결부(141)에 연결되고, 타단이 다른 LNG 운반선 또는 육상의 적하역 장소에 설치된 매니폴드에 연결되어 액체 화물의 이송 경로를 제공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flexible hose 200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rtion 141 formed on the post 140 of the loading arm 100,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a manifold installed on another LNG carrier or at a loading and unloading station on land. It is connected to and provides a transfer path for liquid cargo.

플렉서블 호스(200)는 유연한 성질을 가지고 있다. 파도와 바람에 의하여 부유식 해상 구조물 또는 LNG 운반선의 흔들림이 발생하더라도 플렉서블 호스(200)가 자체적으로 신축하거나 회전하기 때문에 액체 화물 이송장치에 인장력 또는 비틀림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안정적인 액체 화물 이송이 가능하다.The flexible hose 200 has flexible properties. Even if the floating offshore structure or LNG carrier is shaken by waves and wind, the flexible hose 200 expands and rotates on its own, thereby minimizing tension or twisting in the liquid cargo transfer device, thereby ensuring a stable Liquid cargo transfer is possible.

도 3은 플렉서블 호스의 타단을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3 is a view showing the other end of the flexible hose.

도 3을 참조하면, 플렉서블 호스(200)의 타단에는 접속구(210)가 형성되며, 적하역 장소에 설치된 매니폴드에 연결되어, 부유식 해상 구조물 내의 액체 화물 저장탱크로부터 제1 및 제2 배관(P1, P2)과 플렉서블 호스(200)를 거쳐 적하역 장소의 액체 화물 저장설비로의 유체의 이송 경로를 제공한다. Referring to FIG. 3, a connection port 210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flexible hose 200, and is connected to a manifold installed at the loading and unloading location to connect the first and second pipes ( It provides a transfer path for fluid to the liquid cargo storage facility at the loading and unloading station via P1, P2) and the flexible hose 200.

도 4는 긴급상황 발생시 플렉서블 호스의 비상차단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ure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emergency shutoff device of the flexible hose when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도 4를 참조하면, 플렉서블 호스(200)는 접속구(210)의 후단에 비상차단장치(220)를 포함할 수 있다. 비상차단장치(220)는 긴급상황 발생시 플렉서블 호스(200)를 적하역 장소에 설치된 매니폴드(M)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액체 화물의 이송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Referring to FIG. 4, the flexible hose 200 may include an emergency shutoff device 220 at the rear end of the connection port 210. The emergency blocking device 220 serves to block the transfer of liquid cargo by separating the flexible hose 200 from the manifold (M) installed at the loading and unloading area when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비상차단장치(220)는 제1 차단부재(221)와 제2 차단부재(222)로 구성된다. 제1 및 제2 차단부재(221, 222)에 각각 버터플라이 밸브(미도시)가 설치되어 있고, 긴급상황시에는 제1 및 제2 차단부재(221, 222)에 각각 설치된 버터플라이 밸브가 닫힌 후에 제1 차단부재(221)와 제2 차단부재(222)가 상호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액체 화물의 누출 등을 방지한다.The emergency blocking device 220 consists of a first blocking member 221 and a second blocking member 222. Butterfly valves (not shown) are installed i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blocking members 221 and 222, and in an emergency situation, the butterfly valves installed i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blocking members 221 and 222 are closed. Later, the first blocking member 221 and the second blocking member 222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o prevent leakage of liquid cargo.

플렉서블 호스(200)는 접속구(210) 후단에 설치되는 가이드장치(23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장치(230)는 플렉서블 호스(200)를 적하역 장소에 설치된 매니폴드(M)측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The flexible hose 200 may include a guide device 230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the connection port 210. The guide device 230 serves to guide the flexible hose 200 to the manifold (M) installed at the loading and unloading station.

가이드장치(230)는 윈치(winch)로 구성될 수 있으며, 윈치 내부에 드럼(drum)과 드럼에 감기는 와이어(wire)를 포함할 수 있다.The guide device 230 may be composed of a winch, and may include a drum inside the winch and a wire wound around the drum.

도 5는 플렉서블 호스가 가이드 장치를 이용하여 적하역 장소에 설치된 매니폴드측으로 안내되는 과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a)는 액체 화물의 이송을 위해 와이어가 가이드장치로부터 풀어져 적하역 장소의 매니폴드측에 연결되는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b)는 플렉서블 호스가 가이드장치에 의해 적하역 장소의 매니폴드측으로 이동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c)는 가이드장치에 의해 안내된 플렉서블 호스가 적하역 장소에 설치된 매니폴드에 결합되는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ure 5 is a diagram to explain step by step the process in which the flexible hose is guided to the manifold installed at the loading and unloading station using a guide device. In (a), the wire is unwound from the guide device to transfer the liquid cargo to the loading and unloading station. It is a drawing showing the steps connected to the manifold side of the location, (b) is a drawing showing the steps in which the flexible hose moves to the manifold side of the loading and unloading location by a guide device, and (c) is a drawing showing the steps guided by the guide device. This is a diagram showing the steps in which the flexible hose is connected to the manifold installed at the loading and unloading station.

도 5의 (a)를 참조하면, 액체 화물의 이송을 위해 가이드장치(230)의 내부의 드럼(미도시)에 감겨 있는 와이어(231)를 풀어서 적하역 장소에 설치된 매니폴드(M)측에 연결한다. 매니폴드(M)측에는 플렉서블 호스(200)의 안내를 보조하는 안내부재(232)가 설치될 수 있으며, 와이어(231)는 안내부재(232)에 연결될 수 있다. Referring to (a) of FIG. 5, in order to transfer liquid cargo, the wire 231 wound around the drum (not shown) inside the guide device 230 is unwound and placed on the manifold (M) side installed at the loading and unloading station. Connect. A guiding member 232 may be installed on the manifold (M) side to assist in guiding the flexible hose 200, and the wire 231 may be connected to the guiding member 232.

도 5의 (b)를 참조하면, 가이드장치(230)으로부터 연장되어 매니폴드(M)측의 안내부재(232)에 연결된 와이어(231)를 다시 가이드장치(230) 내부의 드럼(미도시)에 감음으로써, 플렉서블 호스(200)는 와이어(231)를 따라 안내받으며 매니폴드(M)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Referring to (b) of FIG. 5, the wire 231 extending from the guide device 230 and connected to the guide member 232 on the manifold (M) side is again connected to a drum (not shown) inside the guide device 230. By winding it, the flexible hose 200 is guided along the wire 231 and can move toward the manifold (M).

도 5의 (c)를 참조하면, 적하역 장소에 설치된 매니폴드(M)측으로 이동된 플렉서블 호스(200)는 가이드장치(230)의 안내에 의해 매니폴드(M)에 결합될 수 있다. 플렉서블 호스(200)의 접속구(210)가 매니폴드(M)에 정확히 끼워맞춤 될 수 있도록, 안내부재(232)는 가이드장치(230)를 수용할 수 있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Referring to (c) of FIG. 5, the flexible hose 200 moved to the side of the manifold (M) installed at the loading and unloading station may be coupled to the manifold (M) by the guidance of the guide device 230. The guide member 232 may be provided in a shape that can accommodate the guide device 230 so that the connection port 210 of the flexible hose 200 can be accurately fitted into the manifold (M).

상기와 같이, 플렉서블 호스(200)가 적하역 장소에 설치된 매니폴드(M)에 안내되는 과정에서, 와이어(231)가 지나치게 느슨해지면 플렉서블 호스(200)가 매니폴드(M)에 접근하지 못하고 주변 구조물과의 충돌할 수 있는 위험이 있으며, 와이어(231)가 지나치게 팽팽해지면 플렉서블 호스(200)에 무리가 가해지거나 로딩 암(100)과 플렉서블 호스(200)와의 연결이 끊어질 위험이 있다. 따라서 플렉서블 호스(200)에 미치는 장력이 일정하게 유지되게 할 필요가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ocess of guiding the flexible hose 200 to the manifold (M) installed at the loading and unloading station, if the wire 231 becomes too loose, the flexible hose 200 cannot approach the manifold (M) and falls into the surrounding area. There is a risk of collision with a structure, and if the wire 231 becomes too tight, there is a risk of strain being applied to the flexible hose 200 or the connection between the loading arm 100 and the flexible hose 200 being broke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keep the tension on the flexible hose 200 constant.

이를 위해, 가이드장치(230)는 드럼(미도시) 내부에 로드셀(load cell)을 포함할 수 있다. 로드셀은 와이어(231)에 가해지는 장력을 측정하여 일정치 이하로 떨어지면 와이어(231)를 감아 와이어(231)에 가해지는 장력을 높여줌으로써 플렉서블 호스(200)가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일정치보다 높아지면 와이어(231)를 풀어서 와이어(231)에 가해지는 장력을 낮춰줌으로써, 와이어(231)와 매니폴드(M) 측의 연결이 과도하게 팽팽해져 끊어질 수 있는 위험을 방지한다.For this purpose, the guide device 230 may include a load cell inside the drum (not shown). The load cell measures the tension applied to the wire 231, and when it falls below a certain value, it winds the wire 231 to increase the tension applied to the wire 231, thereby preventing the flexible hose 200 from loosening and preventing the flexible hose 200 from loosening more than a certain value. When it rises, the wire 231 is loosened to lower the tension applied to the wire 231, thereby preventing the risk of the connection between the wire 231 and the manifold (M) being excessively tight and broken.

와이어(231)를 드럼(미도시)으로부터 감거나 풀어내는 윈치의 작동은 유압을 이용할 수 있다.The operation of the winch, which winds or unwinds the wire 231 from the drum (not shown), can use hydraulic pressure.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제1 배관(P1)과 제2 배관(P2)의 연결 및 제2 배관(P2)과 플렉서블 호스(200)의 연결구성을 설명한다.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pipe (P1) and the second pipe (P2) and the connection configuration between the second pipe (P2) and the flexible hose 200 will be described.

도 6은 제1 배관과 제2 배관의 연결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의 간략화를 위하여 도 6에서는 제1 배관(P1)의 일단부와 제2 배관(P2)의 일단부, 그리고 제1 배관(P1)과 제2 배관(P2)의 이음새만을 도시하였다.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pipe and the second pipe. For simplification of the drawing, only one end of the first pipe (P1), one end of the second pipe (P2), and the joint between the first pipe (P1) and the second pipe (P2) are shown in FIG. 6.

도 6을 참조하면, 제1 배관(P1)과 제2 배관(P2)은 제1 스위블 조인트(swivel joint)(S1)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스위블 조인트(S1)는 제1 이음새(S11)와 제2 이음새(S12)를 포함한다. 제1 이음새(S11)는 데크에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360도 회전 가능하고, 제2 이음새(S12)는 데크에 수평한 축을 중심으로 360도 회전이 가능하다. 때문에, 포스트(140) 일단부의 3차원 운동으로 인하여 생길 수 있는 각 배관 간의 비틀림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first pipe (P1) and the second pipe (P2) may be connected to a first swivel joint (S1). The first swivel joint (S1) includes a first seam (S11) and a second seam (S12). The first seam (S11) can rotate 360 degrees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deck, and the second seam (S12) can rotate 360 degrees about an axis horizontal to the deck. Therefore, it is possible to flexibly respond to the twist between each pipe that may occur due to the three-dimensional movement of one end of the post 140.

도 7은 제2 배관과 플렉서블 호스의 연결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의 간략화를 위하여 도 7에서는 제2 배관(P2)의 일단부와 플렉서블 호스(200)의 일단부, 그리고 제2 배관(P2)과 플렉서블 호스(200)의 이음새만을 도시하였다. Figure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second pipe and the flexible hose. For simplification of the drawing, only one end of the second pipe (P2) and one end of the flexible hose 200, and the joint between the second pipe (P2) and the flexible hose 200 are shown in FIG. 7 .

도 7을 참조하면, 제2 배관(P2)과 플렉서블 호스(200)는 제2 스위블 조인트(S2)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스위블 조인트(S2)는 제3 이음새(S23)를 포함한다. 제3 이음새(S23)는 데크와 수평한 축을 중심으로 360도 회전이 가능하다. 때문에, 파도 및 바람 등으로 인해 플렉서블 호스(200)에 흔들림이 발생하더라도, 제2 배관(P2)과 플렉서블 호스(200)와의 연결에서 생길 수 있는 비틀림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second pipe (P2) and the flexible hose 200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swivel joint (S2). The second swivel joint (S2) includes a third seam (S23). The third joint (S23) can rotate 360 degrees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deck. Therefore, even if the flexible hose 200 is shaken due to waves or wind, etc., it can flexibly respond to the twist that may occur in the connection between the second pipe P2 and the flexible hose 200.

상기와 같이, 제1 배관(P1)과 제2 배관(P2)의 연결 및 제2 배관(P2)과 플렉서블 호스(200)의 연결을 제1 및 제2 스위블 조인트(S1, S2)로 구성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액체 화물을 이송할 수 있는 효과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pipe (P1) and the second pipe (P2) a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second pipe (P2) and the flexible hose 200 are formed by the first and second swivel joints (S1, S2). , the effect of stably transporting liquid cargo can be further increased.

하지만, 도 6 및 도 7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배관 사이의 연결 또는 배관과 호스 사이의 연결에서 발생할 수 있는 비틀림을 해소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of FIGS. 6 and 7, and as long as it is configured to eliminate twisting that may occur in the connection between each pipe or the connection between the pipe and the hose, it i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as long as they do not deviate.

상기에서 살펴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화물 이송장치를 구비한 부유식 해상 구조물은 플렉서블 호스의 유연한 성질로 인하여 자체적으로 신축 및 회전하여 파도와 바람에 의해 생기는 구조물의 흔들림에 유연하게 대응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액체 화물 이송장치에 인장력이나 비틀림이 생기는 것을 해소할 수 있어, 안정적으로 액체 화물을 이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floating offshore structure equipped with a liquid cargo transf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flexibly respond to the shaking of the structure caused by waves and wind by expanding and rotating on its own due to the flexible nature of the flexible hose. This is possible, and as a result, tension or twisting in the liquid cargo transfer device can be eliminated, making it possible to stably transport liquid cargo.

또한, 제1 배관과 제2 배관의 연결 및 제2 배관과 플렉서블 호스와의 연결을 스위블 조인트로 연결함으로써, 각 배관 사이의 연결 또는 배관과 호스 사이의 연결에서 생길 수 있는 비틀림을 해소할 수 있어, 안정적으로 액체 화물을 이송할 수 있는 효과를 더욱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connect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pipe and the second pipe a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second pipe and the flexible hose with a swivel joint, twisting that may occur in the connection between each pipe or between the pipe and the hose can be eliminated. , which has the effect of further increasing the effect of stably transporting liquid cargo.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를 중심으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취지 및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변경 또는 수정이 당해 기술 분야에 있을 수 있으며, 따라서 전술한 설명 및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닌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야 한다. Although the description has been made above with a focus on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variations, changes, or modifications may occur in the technical field with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the above description and drawings are intended to refer to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construed as illustrating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than limi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invention.

100 : 로딩 암
110 : 베이스
120 : 지지대
130 : 관절부
140 : 포스트
141 : 연결부
150 : 제1 중량보상부
160 : 제2 중량보상부
200 : 플렉서블 호스
210 : 접속구
220 : 비상차단장치
221 : 제1 차단부재
222 : 제2 차단부재
230 : 가이드장치
231 : 와이어
232 : 안내부재
P1 : 제1 배관
P2 : 제2 배관
S1 : 제1 스위블 조인트
S2 : 제2 스위블 조인트
S11 : 제1 이음새
S12 : 제2 이음새
S23 : 제3 이음새
100: loading arm
110: base
120: support
130: joint part
140: post
141: connection part
150: 1st weight compensation unit
160: 2nd weight compensation unit
200: Flexible hose
210: connection port
220: Emergency shutoff device
221: first blocking member
222: second blocking member
230: Guide device
231: wire
232: Guide member
P1: 1st pipe
P2: 2nd pipe
S1: first swivel joint
S2: Second swivel joint
S11: first seam
S12: 2nd seam
S23: Third seam

Claims (12)

로딩 암; 및
상기 로딩 암에 연결되며 상기 로딩 암으로부터 탈착 가능한 플렉서블 호스;
를 포함하고,
상기 로딩 암은,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데크에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좌우 회전 가능하게 데크에 결합되며, 데크로부터 탈착 가능한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 상부에 형성되는 관절부; 및
상기 관절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포스트;를 포함하며,
상기 포스트는,
상기 플렉서블 호스가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액체 화물 이송장치.
loading arm; and
a flexible hose connected to the loading arm and detachable from the loading arm;
Including,
The loading arm is,
A base that is coupled to the deck so that it can rotate left and right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deck of the floating marine structure and is detachable from the deck;
a support vertically coupled to the base;
a joint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support; and
It includes a post rotatably coupled to the joint,
The post said,
A liquid cargo transfer device including a connection part formed so that the flexible hose can be connected.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딩 암은,
상기 포스트 자체의 중량에 의한 무게 중심을 잡아주기 위한 제1 중량보상부; 및
상기 플렉서블 호스의 중량에 의한 무게 중심을 잡아주기 위한 제2 중량보상부;
를 더 포함하는 액체 화물 이송장치.
In claim 1,
The loading arm is,
a first weight compensation unit for maintaining the center of gravity due to the weight of the post itself; and
a second weight compensation unit to maintain the center of gravity due to the weight of the flexible hose;
A liquid cargo transfer device further comprising a.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 내부에는 제1 배관이 형성되고,
상기 포스트 내부에는 제2 배관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배관과 상기 제2 배관이 상호 연결되고,
상기 제2 배관과 상기 플렉서블 호스가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화물 이송장치.
In claim 1,
A first pipe is formed inside the support,
A second pipe is formed inside the post,
The first pipe and the second pip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Liquid cargo transfe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pipe and the flexible hose are interconnected.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배관과 상기 제2 배관의 연결 및 상기 제2 배관과 상기 플렉서블 호스의 연결은 각각 스위블 조인트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화물 이송장치.
In claim 5,
A liquid cargo transfe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pipe and the second pipe a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second pipe and the flexible hose are each connected by a swivel join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호스는 적하역 장소에 설치되는 매니폴드에 연결되는 접속구를 포함하는 액체 화물 이송장치.
In claim 1,
The flexible hose is a liquid cargo transfer device including a connection port connected to a manifold installed at the loading and unloading station.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호스는,
긴급상황 발생시, 상기 플렉서블 호스와 상기 매니폴드와의 연결을 차단하는 비상차단장치를 더 포함하는 액체 화물 이송장치.
In claim 7,
The flexible hose,
A liquid cargo transfer device further comprising an emergency shutoff device that blocks the connection between the flexible hose and the manifold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비상차단장치는, 제1 차단부재와 제2 차단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차단부재에는 각각 버터플라이 밸브가 설치되고,
긴급상황이 발생시, 상기 제1 및 제2 차단부재에 각각 설치된 버터플라이 밸브가 잠기고 난 후, 상기 제1 및 제2 차단부재가 서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화물 이송장치.
In claim 8,
The emergency blocking device includes a first blocking member and a second blocking member,
A butterfly valve is installed i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blocking members,
When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a liquid cargo transfe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and second blocking member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fter the butterfly valves installed i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blocking members are locked.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호스는,
상기 플렉서블 호스를 상기 매니폴드로 안내하는 가이드 장치를 더 포함하는 액체 화물 이송장치.
In claim 7,
The flexible hose,
A liquid cargo transfer device further comprising a guide device that guides the flexible hose to the manifold.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장치는,
드럼과 상기 드럼에 감기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윈치(winch)로 구성되고,
상기 와이어가 상기 매니폴드 측에 연결되어 상기 플렉서블 호스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화물 이송장치.
In claim 10,
The guide device is,
It consists of a winch including a drum and a wire wound around the drum,
A liquid cargo transfer device, wherein the wire is connected to the manifold to guide the movement path of the flexible hose.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장치는 상기 드럼 내부에 로드 셀(load cell)을 포함하여,
상기 와이어에 가해지는 장력을 측정하고, 측정된 장력에 따라 상기 와이어를 감거나 풀어 상기 와이어에 가해지는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화물 이송장치.
In claim 11,
The guide device includes a load cell inside the drum,
A liquid cargo transpor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tension applied to the wire is measured and the tension applied to the wire is kept constant by winding or unwinding the wire according to the measured tension.
KR1020160182036A 2016-12-29 2016-12-29 Apparatus for transferring liquid cargo KR10266243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2036A KR102662432B1 (en) 2016-12-29 2016-12-29 Apparatus for transferring liquid carg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2036A KR102662432B1 (en) 2016-12-29 2016-12-29 Apparatus for transferring liquid cargo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7566A KR20180077566A (en) 2018-07-09
KR102662432B1 true KR102662432B1 (en) 2024-05-02

Family

ID=62919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2036A KR102662432B1 (en) 2016-12-29 2016-12-29 Apparatus for transferring liquid cargo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243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06077A (en) * 2018-07-10 2018-10-26 广东大鹏液化天然气有限公司 A kind of unloading arm QCDC flanged joint guiders
KR102394788B1 (en) * 2020-03-23 2022-05-04 현대제철 주식회사 Apparaus for transferring fluid carg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2633Y1 (en) * 1999-12-11 2000-05-15 서광공작주식회사 Emergency closing apparatus for hydraulic butterfly valve
KR100948274B1 (en) * 2007-12-06 2010-03-1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Damage-free structure of flexible hose and construction
KR20100026848A (en) 2008-09-01 2010-03-1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Apparatus for transferring liquid cargo
KR101069659B1 (en) * 2008-11-11 2011-10-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Lng transfer device
KR20150027916A (en) * 2013-09-04 2015-03-1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Mooring wire tension meter for a vessel
KR101623100B1 (en) * 2014-03-27 2016-05-2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Lng carrier having a loading arm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실용신안등록공보 제20-0182633호(2000.03.08.)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7566A (en) 2018-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69688C (en) Weathervaning lng offloading system
US8186170B2 (en) Floating LNG regasification facility with LNG storage vessel
US7543613B2 (en) System using a catenary flexible conduit for transferring a cryogenic fluid
CA2859659C (en) A system and method for fluids transfer between ship and storage tank
KR101778311B1 (en) System for transferring a fluid product and its implementation
RU2570854C2 (en) Loading pump station with double-deck for cryogenic fluid
KR20140092875A (en) Fluid transfer hose manipulator and method of transferring a fluid
US9187156B2 (en) Mobile system and method for fluid transfer involving ships
KR102662432B1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liquid cargo
KR102003050B1 (en) LNG bunkering loading arm
US991977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ment of LNG cargo tanks
KR101933969B1 (en) Apparatus for transfereing liquid cargo and lng transportation vessel with the same
EP3470323A1 (en) System for loading and off-loading a lng carrier vessel
Mauriès et al. Development of an LNG Tandem Offloading System Using Floating Cryogenic Hoses-Breaking the Boundaries of LNG Transfer in Open Seas
NO345783B1 (en) A process system and a fluid transfer system comprising such a process system
KR100929709B1 (en) Liquefied Natural Gas Transfer System for Floating Natural Gas Storage Ship
JP2022061718A (en) Loading system
KR20200002415A (en) Offloading apparatus for pile mooring-type floating offshore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