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2395B1 -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2395B1
KR102662395B1 KR1020160128553A KR20160128553A KR102662395B1 KR 102662395 B1 KR102662395 B1 KR 102662395B1 KR 1020160128553 A KR1020160128553 A KR 1020160128553A KR 20160128553 A KR20160128553 A KR 20160128553A KR 102662395 B1 KR102662395 B1 KR 1026623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key group
input
function
key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8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7834A (ko
Inventor
권성철
허종오
박은지
최성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285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2395B1/ko
Priority to PCT/KR2017/009815 priority patent/WO2018066821A1/en
Priority to EP17858616.0A priority patent/EP3482338B1/en
Priority to US15/702,950 priority patent/US10354098B2/en
Publication of KR20180037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78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2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23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06F21/82Protecting input, output or interconnection devices
    • G06F21/84Protecting input, output or interconnection devices output devices, e.g. displays or moni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9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dedicated keyboard keys or combinations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06F21/82Protecting input, output or interconnection devices
    • G06F21/83Protecting input, output or interconnection devices input devices, e.g. keyboards, mice or controllers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6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election techniques to select from displayed i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2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cursor appearance or behaviour, e.g. being affected by the presence of displayed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9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dedicated keyboard keys or combinations thereof
    • G06F3/0489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cursor position based on codes indicative of cursor displacements from one discrete location to another, e.g. using cursor control keys associated to different directions or using the tab ke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2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03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21/50, monitoring users, programs or devices to maintain the integrity of platforms
    • G06F2221/031Protect user input by software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 디스플레이부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상키보드의 키 간을 이동하기 위한 키이동명령과 화상키보드의 키그룹을 선택하기 위한 키그룹선택명령을 수신하는 사용자입력부와; 디스플레이부에 복수의 문자에 각각 대응하는 키를 포함하는 제1키그룹 및 복수의 기능에 각각 대응하는 키를 포함하는 제2키그룹을 포함하는 화상키보드의 UI를 표시하고, 키그룹선택명령에 따라 제1키그룹이 선택되면 키이동명령에 따라 제1키그룹의 제1키 간을 이동하는 입력표식자와 제1키그룹의 제2키 간을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더미표식자를 표시하고, 입력표식자에 대응하는 제1키가 선택되면 제1키의 입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키그룹선택명령에 따라 제2키그룹이 선택되면 키이동명령에 따라 제2키그룹의 키 간을 이동하는 기능표식자를 표시하고, 기능표식자에 대응하는 키가 선택되면 키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화상키보드에 있어, 문자키의 입력시 혹은 문자키에서 기능키로 입력을 전환시 입력 정보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상키보드의 보안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등 많은 전자기기의 데이터 입력을 위해서는 물리적인 키보드가 주로 이용된다. 최근에는 TV 등 대형 전자기기의 경우 사용자의 이용 편리성을 고려하여, 물리적 키보드 대신 소프트웨어 기술로 구현되는 화상키보드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제3자와 동일한 공간에서 화상키보드를 이용하여 민감한 데이터를 입력하는 경우, 숄더 서핑(shoulder surfing)과 같이 화상키보드에 표시되는 포인터를 통해 제3자에게 입력 정보가 노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입력 정보의 노출을 막기 위해, 실제 포인터 외에 더미 포인터를 생성하여 제3자가 실제 포인터의 식별을 곤란하게 하는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화상키보드 내에서 더미 포인터를 사용하더라도, Caps Lock, Shift, Kor 등의 기능키(function key)를 선택해야 하는 경우에는 실제 포인터가 이동되는 경로가 노출되어 역추적을 통해 입력 정보가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상키보드에 있어, 문자키의 입력시 제3자에 입력 정보의 노출을 방지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화상키보드에 있어, 문자키에서 기능키로 입력을 전환시 입력되던 문자키의 입력 정보의 노출을 방지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 디스플레이부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상키보드의 키 간을 이동하기 위한 키이동명령과 화상키보드의 키그룹을 선택하기 위한 키그룹선택명령을 수신하는 사용자입력부와; 디스플레이부에 복수의 문자에 각각 대응하는 키를 포함하는 제1키그룹 및 복수의 기능에 각각 대응하는 키를 포함하는 제2키그룹을 포함하는 화상키보드의 UI를 표시하고, 키그룹선택명령에 따라 제1키그룹이 선택되면 키이동명령에 따라 제1키그룹의 제1키 간을 이동하는 입력표식자와 제1키그룹의 제2키 간을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더미표식자를 표시하고, 입력표식자에 대응하는 제1키가 선택되면 제1키의 입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키그룹선택명령에 따라 제2키그룹이 선택되면 키이동명령에 따라 제2키그룹의 키 간을 이동하는 기능표식자를 표시하고, 기능표식자에 대응하는 키가 선택되면 키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화상키보드에 있어, 문자키의 입력시 제3자에 입력 정보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문자키에서 기능키로 입력을 전환시 입력되던 문자키의 입력 정보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입력부는 복수의 버튼을 포함하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리모트 컨트롤러의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이용하여 화상키보드 상에서 문자키의 그룹 또는 기능키의 그룹이 선택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그룹선택명령에 따라 상기 제2키그룹이 선택되면, 상기 제2키그룹의 소정의 키에 상기 기능표식자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화상키보드 상에서 기능키 그룹의 선택시, 문자키 그룹에 표시되던 포인터들은 표시하지 않고 미리 설정된 어느 하나의 기능키에 대해 포인터 혹은 하이라이트를 표시하여, 직전에 입력되던 문자키에 대한 입력 정보가 노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상기 제2키그룹의 소정의 키는, 디폴트로 설정된 키, 랜덤하게 선택된 키, 사용자가 직전에 사용한 키 및 사용빈도가 소정 횟수 이상인 키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화상키보드 상에서 기능키 그룹의 선택시, 디폴트로 설정되었거나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기능키에 대해 포인터 혹은 하이라이트를 표시하여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그룹선택명령에 따라 상기 제2키그룹이 선택되면, 상기 제2키그룹에 상기 기능표식자와 상기 제2키그룹의 키 간을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더미기능표식자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화상키보드 상에서 기능키 그룹의 선택시, 더미 포인터를 이용하여 제3자가 어느 기능키가 선택되는지 알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능표식자에 대응하는 키가 선택되면, 상기 제1키그룹에 상기 입력표식자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더미표식자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화상키보드 상에서 사용자가 어느 하나의 기능키를 선택하게 되면, 곧바로 문자키 그룹에 실제 포인터와 하나 이상의 더미 포인터를 표시하여 제3자가 어느 문자키가 입력되는지 알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상키보드의 UI 상에 상기 입력표식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더미표식자가 이동 가능한 제1키그룹의 영역과 상기 기능표식자가 이동 가능한 제2키그룹의 영역을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문자키 그룹 및 기능키 그룹 내에서 포인터를 이동시킬 수 있는 영역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더미표식자를 상기 제1키그룹 내에서 상기 입력표식자가 이동하는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화상키보드 상에서 문자키 입력시 포인터의 이동방향이 제3자에게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표식자가 두번 이상 연속으로 제1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더미표식자를 이동하던 제2방향으로 연속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화상키보드 상에서 문자키 입력시 포인터를 동일한 방향으로 계속 이동시키는 경우 이동경로를 제3자에게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 복수의 문자에 각각 대응하는 키를 포함하는 제1키그룹 및 복수의 기능에 각각 대응하는 키를 포함하는 제2키그룹을 포함하는 화상키보드의 UI를 표시하는 단계와; 키그룹선택명령에 따라 제1키그룹이 선택되면 키이동명령에 따라 제1키그룹의 제1키 간을 이동하는 입력표식자와 제1키그룹의 제2키 간을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더미표식자를 표시하는 단계와; 입력표식자에 대응하는 제1키가 선택되면 제1키의 입력을 수행하는 단계와; 키그룹선택명령에 따라 제2키그룹이 선택되면 키이동명령에 따라 제2키그룹의 키 간을 이동하는 기능표식자를 표시하는 단계와; 기능표식자에 대응하는 키가 선택되면 키의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화상키보드에 있어, 문자키의 입력시 제3자에 입력 정보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문자키에서 기능키로 입력을 전환시 입력되던 문자키의 입력 정보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키이동명령 및 상기 키그룹선택명령은 복수의 버튼을 포함하는 리모트 컨트롤러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리모트 컨트롤러의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이용하여 화상키보드 상에서 문자키의 그룹 또는 기능키의 그룹이 선택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기능표식자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키그룹선택명령에 따라 상기 제2키그룹이 선택되면, 상기 제2키그룹의 소정의 키에 상기 기능표식자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화상키보드 상에서 기능키 그룹의 선택시, 문자키 그룹에 표시되던 포인터들은 표시하지 않고 미리 설정된 어느 하나의 기능키에 대해 포인터 혹은 하이라이트를 표시하여, 직전에 입력되던 문자키에 대한 입력 정보가 노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상기 제2키그룹의 소정의 키는, 디폴트로 설정된 키, 랜덤하게 선택된 키, 사용자가 직전에 사용한 키 및 사용빈도가 소정 횟수 이상인 키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화상키보드 상에서 기능키 그룹의 선택시, 디폴트로 설정되었거나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기능키에 대해 포인터 혹은 하이라이트를 표시하여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키그룹선택명령에 따라 상기 제2키그룹이 선택되면, 상기 제2키그룹에 상기 기능표식자와 상기 제2키그룹의 키 간을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더미기능표식자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화상키보드 상에서 기능키 그룹의 선택시, 더미 포인터를 이용하여 제3자가 어느 기능키가 선택되는지 알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기능표식자에 대응하는 키가 선택되면, 상기 제1키그룹에 상기 입력표식자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더미표식자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화상키보드 상에서 사용자가 어느 하나의 기능키를 선택하게 되면, 곧바로 문자키 그룹에 실제 포인터와 하나 이상의 더미 포인터를 표시하여 제3자가 어느 문자키가 입력되는지 알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화상키보드의 UI 상에 상기 입력표식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더미표식자가 이동 가능한 제1키그룹의 영역과 상기 기능표식자가 이동 가능한 제2키그룹의 영역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문자키 그룹 및 기능키 그룹 내에서 포인터를 이동시킬 수 있는 영역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더미표식자를 상기 제1키그룹 내에서 상기 입력표식자가 이동하는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화상키보드 상에서 문자키 입력시 포인터의 이동방향이 제3자에게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입력표식자가 두번 이상 연속으로 제1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더미표식자를 이동하던 제2방향으로 연속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화상키보드 상에서 문자키 입력시 포인터를 동일한 방향으로 계속 이동시키는 경우 이동경로를 제3자에게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화상키보드에 있어, 문자키의 입력시 제3자에 입력 정보의 노출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화상키보드에 있어, 문자키에서 기능키로 입력을 전환시 입력되던 문자키의 입력 정보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입력에 따라 제1키그룹 및 제2키그룹 간 선택을 전환하는 예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키그룹에 입력표식자 및 더미표식자를 표시하는 예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키그룹에 기능표식자를 표시하는 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키그룹 및 제2키그룹 내에서 포인터가 이동 가능한 영역을 구분하여 표시하는 예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키그룹 내에서 입력표식자와 상이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더미표식자의 이동 방향을 도시한 예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력표식자가 동일한 방향으로 연속 이동시 더미표식자의 이동 방향을 도시한 예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키그룹에 기능표식자 및 더미기능표식자를 표시하는 예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예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8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의 구성 및 주요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10)는 신호수신부(11), 신호처리부(12), 디스플레이부(13), 사용자입력부(14), 제어부(15) 및 저장부(17)를 포함하고, 예컨대 TV, 스마트 폰, 태블릿, 컴퓨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부(13) 상에는 화상키보드의 UI(User Interface)(17)가 표시될 수 있도록 구현된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장치(10)에 포함되는 구성은 앞서 기재된 일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일부 구성을 제외하여 구성되거나, 추가적인 다른 구성들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장치(10)는 디스플레이부(13)에 복수의 문자에 각각 대응하는 키를 포함하는 제1키그룹 및 복수의 기능 각각에 대응하는 키를 포함하는 제2키그룹을 포함하는 화상키보드의 UI(17)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장치(10)는 사용자입력부(14)의 키그룹명령에 따라 제1키그룹이 선택되면, 사용자입력부(14)의 키이동명령에 따라 제1키그룹의 제1키 간을 이동하는 입력표식자와 제1키그룹의 제2키 간을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더미표식자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장치(10)는 입력표식자에 대응하는 제1키가 선택되면 제1키의 입력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디스플레이장치(10)는 사용자입력부(14)의 키그룹명령에 따라 제2키그룹이 선택되면, 사용자입력부(14)의 키이동명령에 따라 제2키그룹의 키 간을 이동하는 기능표식자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장치(10)는 기능표식자에 대응하는 키가 선택되면 키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신호수신부(11)는 방송신호 또는 영상신호를 수신한다. 신호수신부(11)는 수신하는 방송신호 및 영상신호의 규격 및 디스플레이장치(1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식으로 마련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방송국으로부터 송출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신호나 위성신호를 수신하는 튜너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신호수신부(11)는 DVD 플레이어, 게임기, PC 등의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장치로부터 영상신호 및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다.
신호처리부(12)는 신호수신부(11)에서 수신된 방송신호 또는 영상신호에 대해 기 설정된 신호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신호처리부(12)에서 수행하는 신호처리 프로세스의 예로서, 디멀티플렉싱(de-multiplexing), 디코딩(decoding), 디인터레이싱 (de-interlacing), 스케일링(scaling), 노이즈 감소(noise reduction), 디테일 인핸스먼트(detail enhancement) 등이 있으며, 그 종류는 한정되지 않는다. 신호처리부(12)는 이러한 여러 기능을 통합시킨 SOC(System-On-Chip) 또는 각 프로세스를 독자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개별 구성들이 장착된 영상처리보드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는 신호처리부(12)에서 처리된 방송신호 또는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3)의 구현 방식은 한정되지 않는 바, 디스플레이부(13)는 PDP(Plasma Display Panel),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입력부(14)는 디스플레이장치(10)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입력을 수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입력부(14)는 디스플레이부(13)에 표시되는 화상키보드의 UI(17)에 대해, 화상키보드의 키 간을 이동하기 위한 키이동명령과, 화상키보드의 키그룹을 선택하기 위한 키그룹선택명령 및 화상키보드의 키를 입력하기 위한 키입력명령을 수신한다.
사용자입력부(14)는 디스플레이장치(10)와 적외선 방식으로 통신하고 복수의 버튼을 포함하는 리모트 컨트롤러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입력부(14)는 디스플레이장치(10)와 연결되는 키보드, 마우스 등으로 구현되거나, 디스플레이장치(10)에 마련되는 터치스크린 또는 외측에 구비되는 입력패널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일실시예로서, 사용자입력부(14)가 리모트 컨트롤러로 구현되는 경우, 화상키보드의 UI(17)에 대한 키이동명령, 키그룹선택명령 및 키입력명령은 리모트 컨트롤러에 포함된 복수의 버튼 중 적어도 하나의 버튼 입력을 통해 수신될 수 있다. 예컨대, 화상키보드의 UI(17)에 대한 키이동명령은 리모트 컨트롤러의 복수의 버튼 중 방향버튼을 통해 수신될 수 있고, 키입력명령은 확인버튼 혹은 OK버튼을 통해 수신될 수 있다. 또한, 키그룹선택명령은 리모트 컨트롤러의 복수의 버튼 중 하나의 기능버튼을 토글하거나 두 개의 기능버튼 중 하나를 선택함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입력부(14)가 리모트 컨트롤러로 구현되는 경우에 있어, 키이동명령, 키그룹선택명령 및 키입력명령을 수신하는 방법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리모트 컨트롤러에 기 설정되어 있는 버튼의 기능 및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버튼의 기능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수신되도록 할 수 있다.
저장부(16)는 화상키보드의 UI(17)에 있어, 복수의 기능에 각각 대응하는 키를 포함하는 제2키그룹의 선택시 기능표식자가 표시되는 키에 관한 설정정보를 저장한다. 일실시예로서, 기능표식자가 표시되는 키에 관한 설정정보는, 화상키보드의 UI(17)에 대한 설정시 디폴트 값으로 설정되거나, 사용자입력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저장부(16)는 제2키그룹의 복수의 키 각각에 대한 사용자의 사용이력을 저장하고, 이를 이용하여 제2키그룹의 선택시 사용자가 직전에 사용한 키 또는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키에 대해 기능표식자가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저장부(16)는 복수의 문자에 각각 대응하는 키를 포함하는 제1키그룹의 선택시 입력표식자가 표시되는 제1키 및 적어도 하나의 더미표식자가 표시되는 제2키에 관한 설정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입력표식자가 표시되는 제1키 및 더미표식자가 표시되는 제2키에 관한 설정정보는, 디폴트 값으로 설정되거나 사용자입력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제어부(15)는 디스플레이부(13)에 복수의 문자에 각각 대응하는 키를 포함하는 제1키그룹 및 복수의 기능에 각각 대응하는 키를 포함하는 제2키그룹을 포함하는 화상키보드의 UI(17)를 표시한다. 즉, 제1키그룹은 문자, 숫자, 기호 등을 입력하기 위한 복수의 문자키를 포함하고, 제2키그룹은 Caps, Kor, Enter, Space 등과 같이 소정의 기능 수행을 위한 복수의 기능키들을 포함한다.
제어부(15)는 사용자입력부(14)에 의해 수신되는 키그룹선택명령에 따라, 제1키그룹이 선택되면 사용자입력부(14)에 의해 수신되는 키이동명령에 따라 제1키그룹의 제1키 간을 이동하는 입력표식자와 제1키그룹의 제2키 간을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더미표식자를 표시한다. 여기서, 입력표식자가 제1키 간을 이동하는 동안, 적어도 하나의 더미표식자는 제1키그룹 내에서 제1키와 위치가 상이한 제2키 간을 이동한다. 이에 따라, 화상키보드에서 사용자가 입력중인 문자에 관한 입력 정보가 제3자에게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예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키보드의 UI(17)에 있어 사용자입력에 따라 문자키 그룹(24)이 활성화되면, 문자키 그룹(24)의 영역 내에 사용자입력에 따라 이동되는 입력포인터(21)와, 사용자입력과는 무관하게 임의의 위치로 이동되는 더미포인터(22)를 표시한다. 이 때 더미포인터(22)는 문자키 그룹(24) 내에서 입력포인터(21)와 상이한 위치에 표시되도록 한다.
일실시예로서, 제어부(15)는 적어도 하나의 더미표식자를 제1키그룹 내에서 입력표식자가 이동하는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키보드의 UI(17)에 있어, 문자키 그룹(24)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입력포인터(21)가 'G'에서 좌측 방향의 'F'로 이동되는 경우, 더미포인터(22)는 'J'에서 상측 방향의 'U'로 이동되도록 한다. 이 때, 더미포인터(21)의 이동방향은 입력포인터(21)의 이동방향을 제외한 나머지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입력에 따라 이동되는 입력표시자와 상이한 방향으로 더미표식자를 이동시켜, 입력표식자의 이동방향이 제3자에게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제어부(15)는 상기 입력표식자가 두번 이상 연속으로 제1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더미표식자를 이동하던 제2방향으로 연속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키보드의 UI(17)에 있어, 문자키 그룹(24)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입력포인터(21)가 'G'에서 좌측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두 번 이동하여 'D'에 위치되는 경우, 더미포인터(22)는 'J'에서 상측 방향으로 연속 두 번 이동하여 '7'에 위치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입력포인터(21)가 'D'에서 좌측 방향으로 한번 더 이동하여 'S'에 위치되는 경우, 더미포인터(22)는 문자키 그룹(24)의 상측 끝단의 '7'에 위치한 상태이므로 진행되던 방향과는 다른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8'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입력표시자가 연속적으로 동일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더미표식자 또한 진행하던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제3자에게 입력표식자의 이동경로가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5)는 상기와 같이 제1키그룹의 선택에 의해 입력표식자와 적어도 하나의 더미표식자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입력부(14)의 키입력명령에 따라 입력표식자에 대응하는 제1키가 선택되면 제1키의 입력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15)는 사용자입력부(14)의 키그룹선택명령에 따라 제2키그룹이 선택되면 사용자입력부(14)의 키이동명령에 따라 제2키그룹의 키 간을 이동하는 기능표식자를 표시한다.
일실시예로서, 제어부(15)는 키그룹선택명령에 따라 제2키그룹이 선택되면 제2키그룹의 소정의 키에 기능표식자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2키그룹의 소정의 키는, 디폴트로 설정된 키, 랜덤하게 선택된 키, 사용자가 직전에 사용한 키 및 사용빈도가 소정 횟수 이상인 키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할 수 있다. 예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키보드의 UI(17)에 있어 문자키 그룹(24)에 입력포인터(21)와 더미포인터(22)를 표시하던 상태에서,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러의 버튼 입력을 통해 기능키 그룹(25)을 선택하면, 문자키 그룹(24)에 표시되던 입력포인터(21)와 더미포인터(22)는 더 이상 표시되지 않고, 기능키 그룹(25)의 'Caps Lock'의 위치에 기능포인터(23)를 표시한다. 이 때, 기능포인터(23)가 표시되는 'Caps Lock'은 디폴트로 설정된 키 또는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던 키에 해당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화상키보드 상에서 복수의 기능키를 포함하는 제2키그룹을 선택시, 복수의 문자키를 포함하는 제1키그룹에 표시되던 포인터들은 표시하지 않고 제2키그룹의 미리 설정된 기능키에 대해 포인터를 표시함에 의해, 직전에 입력되던 문자키에 대한 입력 정보가 노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미리 설정되는 기능키를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기능키로 설정하는 경우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일실시예로서, 제어부(15)는 키그룹선택명령에 따라 제2키그룹이 선택되면, 제2키그룹에 기능표식자와 제2키그룹의 키 간을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더미기능표식자를 표시할 수 있다. 예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키보드의 UI(17)에 있어 문자키 그룹(24)에 입력포인터(21)와 더미포인터(22)를 표시하던 상태에서,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러의 버튼 입력을 통해 기능키 그룹(25)을 선택하면, 문자키 그룹(24)에 표시되던 입력포인터(21)와 더미포인터(22)는 더 이상 표시되지 않고, 기능키 그룹(25)의 'Caps Lock'의 위치에 기능포인터(23)를 표시하고, 'Setting'의 위치에 더미기능포인터(81)를 표시한다. 이 때, 기능포인터(23)은 사용자입력에 따라 이동되고, 더미기능포인터(81)는 사용자입력과는 무관하게 기능키 그룹(25) 내에서 임의의 위치로 이동된다. 또한, 더미기능포인터(81)는 기능키 그룹(25) 내에서 기능포인터(23)와는 상이한 위치에 표시되도록 한다.
제어부(15)는 상기와 같이 제2키그룹에 기능표식자를 표시한 상태에서, 기능표식자에 대응하는 키가 선택되면 선택된 키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예로서, 도 4에서 기능키 그룹(25)의 'Caps Lock'의 위치에 기능포인터(23)를 표시한 상태에서 키입력명령에 따라 'Caps Lock'이 선택되면, 문자키 그룹(24)의 복수의 문자키들을 대문자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일실시예로서, 제어부(15)는 기능표식자에 대응하는 키가 선택되면, 제1키그룹에 입력표식자와 적어도 하나의 더미표식자를 표시할 수 있다. 즉, 제2키그룹에 기능표식자를 표시하던 상태에서 사용자입력부(14)의 키입력명령에 따라 기능표식자에 대응하는 어느 하나의 키가 선택되면, 선택된 키의 기능을 수행한 후 제1키그룹에 입력표식자와 적어도 하나의 더미표식자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화상키보드 상에서 사용자가 어느 하나의 기능키를 선택하게 되면, 해당 기능을 수행 후 곧바로 문자키 그룹에 실제 포인터와 하나 이상의 더미 포인터를 표시하여 제3자가 어느 포인터가 입력을 위한 것인지 알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제어부(15)는 화상키보드의 UI(17)에 입력표식자 및 적어도 하나의 더미표식자가 이동 가능한 제1키그룹의 영역과 기능표식자가 이동 가능한 제2키그룹의 영역을 표시할 수 있다. 예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키보드의 UI(17)에 있어 문자키 그룹(24)의 영역과 기능키 그룹(25)의 영역을 구분할 수 있는 영역구분선(50)을 사용자가 식별 가능하도록 표시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문자키 그룹(24) 및 기능키 그룹(25) 내에서 포인터를 이동시킬 수 있는 범위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10)는 화상키보드에 있어, 문자키의 입력시 제3자에 입력 정보의 노출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문자키에서 기능키로 입력을 전환시 입력되던 문자키의 입력 정보의 노출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입력에 따라 제1키그룹 및 제2키그룹 간 선택을 전환하는 예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키보드의 UI(17)에 있어, 사용자입력에 따라 복수의 문자키를 포함하는 문자키 그룹(24)과 복수의 기능키를 포함하는 기능키 그룹(25) 간 상호 전환되도록 한다. 예로서, 사용자입력에 따라 화상키보드의 UI(17)에 대해 보안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보안기능키(20)가 활성화되면, 문자키 그룹(24)이 입력 가능하도록 활성화 된다. 이 때, 문자키 그룹(24)에는 사용자입력에 따라 이동되는 입력포인터(21)와, 사용자입력과는 무관하게 임의의 위치로 이동되는 더미포인터(22)를 표시하여, 사용자의 입력 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문자키 그룹(24)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리모트 컨트롤러(28)의 소정 버튼을 입력하여 기능키 그룹(25)이 활성화되도록 한다. 예컨대, 리모트 컨트롤러(28)에 마련되어 있는 복수의 버튼 중 기 설정된 하나의 버튼을 선택함에 의해 문자키 그룹(24)에서 기능키 그룹(25)으로 전환되도록 한다. 이 때, 기능키 그룹(25)에는 소정의 기능키에 대해 기능포인터(23)를 표시한다. 또한, 기능키 그룹(25)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리모트 컨트롤러(28)의 기 설정된 버튼을 재선택하면 문자키 그룹(24)으로 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리모트 컨트롤러(28)에 마련되어 있는 복수의 버튼 중 기 설정된 두 개 이상의 버튼을 선택함에 의해 문자키 그룹(24) 및 기능키 그룹(25) 간 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리모트 컨트롤러(28)에서 기 설정된 두 개의 버튼 중 하나를 선택하여 문자키 그룹(24)에서 기능키 그룹(25)으로 전환되도록 하고, 두 개의 버튼 중 다른 하나를 선택하여 기능키 그룹(25)에서 문자키 그룹(24)으로 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리모트 컨트롤러(28) 외에 다양한 입력도구를 사용하여 문자키 그룹(24)과 기능키 그룹(25) 간 전환되도록 할 수도 있다. 예컨대, 입력도구로서 마우스를 사용하는 경우, 마우스의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여 문자키 그룹(24)과 기능키 그룹(25) 간 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화상키보드 상에서 문자키 및 기능키를 입력함에 있어, 포인터의 이동에 의해 입력 정보가 제3자에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키그룹에 입력표식자 및 더미표식자를 표시하는 예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키보드의 UI(17)에 있어 사용자입력에 따라 보안기능키(20)가 활성화되면, 복수의 문자, 숫자 및 기호에 각각 대응하는 키를 포함하는 문자키 그룹(24)이 입력 가능하도록 활성화 된다.
일실시예로서, 문자키 그룹(24)은 예컨대, 리모트 컨트롤러(28) 상에서 소정 버튼을 입력하여 활성화하거나, 마우스 상에서 가운데 버튼 또는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여 활성화할 수 있다.
문자키 그룹(24)이 활성화되면, 문자키 그룹(24)의 영역 내에 사용자입력에 따라 이동되는 입력포인터(21)를 'G'의 위치에 표시하고, 사용자입력과는 무관하게 임의의 위치로 이동되는 더미포인터(22)를 'J'의 위치에 표시한다. 이 때 더미포인터(22)는 문자키 그룹(24) 내에서 입력포인터(21)와 상이한 위치에 표시되도록 하여, 실제 이동되고 있는 포인터가 어느 것인지 제3자에게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키그룹에 기능표식자를 표시하는 예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키보드의 UI(17)에 있어 문자키 그룹(24)에 입력포인터(21)와 더미포인터(22)를 표시하던 상태에서 사용자입력에 따라 기능키 그룹(25)이 활성화되면, 기능키 그룹(25) 내의 소정 키의 위치에 기능포인터(23)를 표시한다.
예로서,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러의 버튼 입력을 통해 기능키 그룹(25)을 선택하면, 문자키 그룹(24)에 표시되던 입력포인터(21)와 더미포인터(22)는 더 이상 표시되지 않고, 기능키 그룹(25)의 'Caps Lock'의 위치에 기능포인터(23)를 표시한다.
문자키 그룹(24)에 입력포인터(21)와 더미포인터(22)를 표시한 상태에서 'Caps Lock'을 선택하기 위해 입력포인터(21)를 이동시키는 경우 그 이동 경로가 시각적으로 표시되어 입력 정보가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기능키 그룹(25)의 선택시 입력포인터(21) 및 더미포인터(22)는 표시하지 않고 곧바로 기능키 그룹(25)에 기능포인터(23)만을 표시하여, 직전에 입력되던 문자키의 입력 정보가 노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키그룹 및 제2키그룹 내에서 포인터가 이동 가능한 영역을 구분하여 표시하는 예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키보드의 UI(17)에 있어 문자키 그룹(24)의 영역과 기능키 그룹(25)의 영역을 구분할 수 있는 영역구분선(50)을 사용자가 식별 가능하도록 표시한다. 예로서, 문자키 그룹(24)이 활성화되면 영역구분선(50)이 표시되도록 하고, 사용자는 영역구분선(50)에 의해 구분된 문자키 그룹(24)의 영역 내에서 입력포인터(21) 및 더미포인터(22)가 이동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기능키 그룹(25)이 활성화되면 영역구분선(50)이 표시되도록 하고, 사용자는 영역구분선(50)에 의해 구분된 기능키 그룹(25)의 영역 내에서 기능포인터(23)가 이동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사용자가 문자키 그룹(24)에 표시되는 입력포인터(21)를 이동시키는 경우, 문자키 그룹(24)의 경계 영역에 도달하면 더 이상 진행할 수 없음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영역구분선(50)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기능키 그룹(25)에 표시되는 기능포인터(23)를 이동시키는 경우, 기능키 그룹(25)의 경계 영역에 도달하면 진행할 수 없음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영역구분선(50)을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문자키 그룹(24) 및 기능키 그룹(25) 각각에 대해, 영역구분을 위한 UI를 별도로 표시할 수도 있다. 예컨대, 문자키 그룹(24)의 경계에 제1영역구분선(미도시)이 표시되도록 하고, 기능키 그룹(25)의 경계에 제2영역구분선(미도시)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문자키 그룹(24) 및 기능키 그룹(25) 각각에 있어 포인터가 이동 가능한 영역을 확인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키그룹 내에서 입력표식자와 상이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더미표식자의 이동 방향을 도시한 예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키보드의 UI(17)에 있어, 먼저 사용자입력에 따라 문자키 그룹(24)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입력포인터(21)는 'G'의 위치에 표시되고, 더미포인터(22)는 'J'의 위치에 표시된다. 이 때, 문자키 그룹(24)은 예컨대, 리모트 컨트롤러(28) 상에서 소정 버튼을 입력하여 활성화하거나, 마우스 상에서 가운데 버튼 또는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여 활성화할 수 있다.
입력포인터(21)는 사용자입력에 따라 이동되는 실제 포인터이고, 더미포인터(22)는 사용자입력과는 무관하게 문자키 그룹(24) 내에서 임의의 방향으로 이동되는 포인터이다. 도 6의 예에서 더미포인터(22)는 입력포인터(21)에 대응하여 하나로 마련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둘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더미포인터(22)는 제3자에게 입력포인터(21)가 노출되지 않도록 입력포인터(21)의 이동 시점과 동일하게 이동되도록 한다.
예로서, 입력포인터(21)가 'G'에서 좌측 방향의 'F'로 이동되는 경우, 더미포인터(22)는 'J'에서 상측 방향의 'U'로 이동되도록 한다. 즉, 더미포인터(22)는 입력포인터(21)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고, 제3자에게 입력포인터(21)의 이동 방향이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입력포인터(21)의 이동방향을 제외한 나머지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입력에 따라 이동되는 입력표시자와 상이한 방향으로 더미표식자를 이동시켜, 입력표식자의 이동방향이 제3자에게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력표식자가 동일한 방향으로 연속 이동시 더미표식자의 이동 방향을 도시한 예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키보드의 UI(17)에 있어, 먼저 사용자입력에 따라 문자키 그룹(24)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입력포인터(21)는 'G'의 위치에 표시되고 더미포인터(22)는 'J'의 위치에 표시된다. 이 때, 문자키 그룹(24)은 예컨대, 리모트 컨트롤러(28) 상에서 소정 버튼을 입력하여 활성화하거나, 마우스 상에서 가운데 버튼 또는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여 활성화할 수 있다.
입력포인터(21)는 사용자입력에 따라 이동되는 실제 포인터이고, 더미포인터(22)는 사용자입력과는 무관하게 문자키 그룹(24) 내에서 임의의 방향으로 이동되는 포인터이다. 더미포인터(22)는 제3자에게 입력포인터(21)가 노출되지 않도록 입력포인터(21)의 이동 시점과 동일하게 이동되도록 한다.
일실시예로서, 입력포인터(21)가 동일한 방향으로 연속 이동되는 경우, 더미포인터(22)는 입력포인터(21)가 이동되는 방향을 제외한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연속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더미포인터(22)가 동일한 방향으로 연속 이동하다가 문자키 그룹(24)의 경계에 도달하여 더 이상 동일한 방향으로 진행할 수 없는 경우, 진행되던 방향 및 이전 위치로의 방향을 제외한 다른 방향으로 전환하여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예로서, 입력포인터(21)가 'G'에서 좌측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두 번 이동하여 'D'에 위치되는 경우, 더미포인터(22)는 'J'에서 상측 방향으로 연속 두 번 이동하여 '7'에 위치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입력포인터(21)가 'D'에서 좌측 방향으로 한번 더 이동하여 'S'에 위치되는 경우, 더미포인터(22)는 문자키 그룹(24)의 상측 끝단의 '7'에 위치한 상태이므로 진행되던 방향과는 다른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8'에 위치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입력표시자가 연속적으로 동일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더미표식자 또한 진행하던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제3자에게 입력표식자의 이동경로가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키그룹에 기능표식자 및 더미기능표식자를 표시하는 예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키보드의 UI(17)에 있어 문자키 그룹(24)에 입력포인터(21)와 더미포인터(22)를 표시하던 상태에서, 사용자입력에 따라 기능키 그룹(25)이 활성화되면, 기능키 그룹(25) 내의 소정 키의 위치에 기능포인터(23)를 표시하고, 기능포인터(23)와는 상이한 위치에 더미기능포인터(81)를 표시한다.
예로서,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러의 버튼 입력을 통해 기능키 그룹(25)을 선택하면, 문자키 그룹(24)에 표시되던 입력포인터(21)와 더미포인터(22)는 더 이상 표시되지 않고, 기능키 그룹(25)의 'Caps Lock'의 위치에 기능포인터(23)를 표시하고, 'Setting'의 위치에 더미기능포인터(81)를 표시한다. 이 때, 기능포인터(23)은 사용자입력에 따라 이동되고, 더미기능포인터(81)는 사용자입력과는 무관하게 기능키 그룹(25) 내에서 임의의 위치로 이동된다. 또한, 더미기능포인터(81)는 기능키 그룹(25) 내에서 기능포인터(23)와는 상이한 위치에 표시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기능키 그룹(25)의 선택시 입력포인터(21) 및 더미포인터(22)는 표시하지 않고 곧바로 기능키 그룹(25)에 기능포인터(23)와 더미기능포인터(81)를 표시하여, 직전에 입력되던 문자키의 입력 정보가 노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기능포인터(23) 외에 더미기능포인터(81)를 함께 표시하여, 제3자가 어느 기능키가 입력되는지 알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예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동작 S90에서, 복수의 문자에 각각 대응하는 키를 포함하는 제1키그룹 및 복수의 기능에 각각 대응하는 키를 포함하는 제2키그룹을 포함하는 화상키보드의 UI를 표시한다. 즉, 제1키그룹은 문자, 숫자, 기호 등을 입력하기 위한 복수의 문자키를 포함하고, 제2키그룹은 Caps, Kor, Enter, Space 등과 같이 소정의 기능 수행을 위한 복수의 기능키들을 포함한다.
다음으로, 동작 S91에서, 키그룹선택명령에 따라 제1키그룹이 선택되면 키이동명령에 따라 제1키그룹의 제1키 간을 이동하는 입력표식자와 제1키그룹의 제2키 간을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더미표식자를 표시한다. 여기서, 키이동명령 및 키그룹선택명령은 복수의 버튼을 포함하는 리모트 컨트롤러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즉, 리모트 컨트롤러의 복수의 버튼 중 기 설정된 버튼을 입력하여 키이동명령 및 키그룹선택명령이 수신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표식자는 키이동명령과 같은 사용자입력에 따라 이동되나, 더미표식자는 사용자입력과는 무관하게 임의의 위치로 이동된다. 더미표식자는 입력표식자와 상이한 위치에 표시되어, 입력표식자에 의한 입력 정보가 제3자에게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일실시예로서, 적어도 하나의 더미표식자를 제1키그룹 내에서 입력표식자가 이동하는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입력표식자가 이동하는 방향을 제외한 나머지 방향 중 어느 하나로 더미표식자를 이동시킴에 의해, 사용자는 입력표식자가 이동되는 방향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제3자는 입력표식자와 더미표식자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어느 것이 실제 입력을 위해 이동하는 것인지 파악하기 어렵다.
일실시예로서, 입력표식자가 두번 이상 연속으로 제1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더미표식자를 이동하던 제2방향으로 연속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입력표식자가 동일한 방향으로 연속 이동시, 제3자에게 입력표식자의 이동 경로가 노출되지 않도록, 더미표식자 또한 이동하던 방향으로 연속 이동시키도록 한다.
일실시예로서, 화상키보드의 UI 상에 상기 입력표식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더미표식자가 이동 가능한 제1키그룹의 영역과 상기 기능표식자가 이동 가능한 제2키그룹의 영역을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제1키그룹이 선택되면 입력표식자 및 더미표식자가 이동 가능한 제1키그룹의 범위를 화상키보드의 UI 상에 특정 색상의 선 또는 영역으로 표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키그룹이 선택되면 기능표식자가 이동 가능한 제2키그룹의 범위를 화상키보드의 UI 상에 특정 색상의 선 또는 영역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선 또는 영역으로 표시되는 제1키그룹 및 제2키그룹의 범위는 사용자가 입력표식자 또는 기능표식자를 이동시키다가 더 이상 진행할 수 없는 각 그룹의 경계에 도달하면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서, 사용자입력에 따라 화상키보드의 보안기능이 활성화되면, 제1키그룹과 제2키그룹을 구분하기 위한 영역구분선(50)을 표시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영역구분선(50)을 이용하여 제1키그룹 내에서 입력표식자 및 더미표식자가 이동 가능한 범위, 제2키그룹 내에서 기능표식자가 이동 가능한 범위를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동작 S92에서, 입력표식자에 대응하는 제1키가 선택되면 제1키의 입력을 수행한다. 즉, 키이동명령에 따라 복수의 제1키 간을 이동하는 입력표식자가 어느 하나의 제1키에 대해 표시된 상태에서 키입력명령에 의해 제1키가 선택되면, 선택된 제1키의 입력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다음으로, 동작 S93에서, 키그룹선택명령에 따라 제2키그룹이 선택되면 제2키그룹의 키 간을 이동하는 기능표식자를 표시한다. 여기서, 동작 S93은, 제2키그룹이 선택되면 제2키그룹의 소정의 키에 기능표식자를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2키그룹의 소정의 키는, 디폴트로 설정된 키, 랜덤하게 선택된 키, 사용자가 직전에 사용한 키 및 사용빈도가 소정 횟수 이상인 키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동작 S93은, 제2키그룹이 선택되면 상기 제2키그룹에 상기 기능표식자와 상기 제2키그룹의 키 간을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더미기능표식자를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2키그룹에 키이동명령에 따라 이동하는 기능표식자 외에 키이동명령과 무관하게 임의의 위치로 이동하는 더미기능표식자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자가 사용자입력에 의해 이동되는 기능표식자를 식별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동작 S94에서, 기능표식자에 대응하는 키가 선택되면 키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여기서, 동작 S94는, 기능표식자에 대응하는 키가 선택되면, 상기 제1키그룹에 상기 입력표식자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더미표식자를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2키그룹에서 사용자입력에 따라 기능표식자가 이동하다가 특정 키에 위치한 상태에서 키입력명령에 따라 특정 키가 선택되면, 특정 키의 기능을 수행한 후 곧바로 제1키그룹을 활성화하여 제1키그룹에 입력표식자와 더미표식자가 표시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제3자가 기능키가 선택된 이후 어느 문자키가 입력되는지 알지 못하도록 한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10: 디스플레이장치
11: 신호수신부
12: 신호처리부
13: 디스플레이부
14: 사용자입력부
15: 제어부
16: 저장부
17: 화상키보드의 UI
20: 보안기능키
21: 입력포인터
22: 더미포인터
23: 기능포인터
81: 더미기능포인터
24: 문자키 그룹
25: 기능키 그룹
28: 리모트 컨트롤러

Claims (18)

  1.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상키보드의 키 간을 이동하기 위한 키이동명령과 상기 화상키보드의 키그룹을 선택하기 위한 키그룹선택명령을 수신하는 사용자입력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복수의 문자에 각각 대응하는 키를 포함하는 제1키그룹 및 복수의 기능에 각각 대응하는 키를 포함하는 제2키그룹을 포함하는 상기 화상키보드의 UI를 표시하고, 상기 키그룹선택명령에 따라 상기 제1키그룹이 선택되면 상기 키이동명령에 따라 상기 제1키그룹의 제1키 간을 이동하는 입력표식자와 상기 제1키그룹의 제2키 간을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더미표식자를 표시하고, 상기 입력표식자에 대응하는 제1키가 선택되면 제1키의 입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키그룹선택명령에 따라 상기 제2키그룹이 선택되면 상기 키이동명령에 따라 상기 제2키그룹의 키 간을 이동하는 기능표식자를 표시하고, 상기 기능표식자에 대응하는 키가 선택되면 상기 기능표식자에 대응하는 키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입력부는 복수의 버튼을 포함하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그룹선택명령에 따라 상기 제2키그룹이 선택되면, 상기 제2키그룹의 소정의 키에 상기 기능표식자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키그룹의 소정의 키는, 디폴트로 설정된 키, 랜덤하게 선택된 키, 사용자가 직전에 사용한 키 및 사용빈도가 소정 횟수 이상인 키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그룹선택명령에 따라 상기 제2키그룹이 선택되면, 상기 제2키그룹에 상기 기능표식자와 상기 제2키그룹의 키 간을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더미기능표식자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능표식자에 대응하는 키가 선택되면, 상기 제1키그룹에 상기 입력표식자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더미표식자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상키보드의 UI 상에 상기 입력표식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더미표식자가 이동 가능한 제1키그룹의 영역과 상기 기능표식자가 이동 가능한 제2키그룹의 영역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더미표식자를 상기 제1키그룹 내에서 상기 입력표식자가 이동하는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표식자가 두번 이상 연속으로 상측 방향, 하측 방향, 좌측 방향 또는 우측 방향 중 하나인 제1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더미표식자를 상기 상측 방향, 하측 방향, 좌측 방향 또는 우측 방향 중 상기 제1방향과 다른 하나인 이동하던 제2방향으로 연속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0.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
    복수의 문자에 각각 대응하는 키를 포함하는 제1키그룹 및 복수의 기능에 각각 대응하는 키를 포함하는 제2키그룹을 포함하는 화상키보드의 UI를 표시하는 단계와;
    키그룹선택명령에 따라 상기 제1키그룹이 선택되면 키이동명령에 따라 상기 제1키그룹의 제1키 간을 이동하는 입력표식자와 상기 제1키그룹의 제2키 간을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더미표식자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표식자에 대응하는 제1키가 선택되면 제1키의 입력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키그룹선택명령에 따라 상기 제2키그룹이 선택되면 상기 키이동명령에 따라 상기 제2키그룹의 키 간을 이동하는 기능표식자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기능표식자에 대응하는 키가 선택되면 상기 기능표식자에 대응하는 키의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KR1020160128553A 2016-10-05 2016-10-05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6623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8553A KR102662395B1 (ko) 2016-10-05 2016-10-05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PCT/KR2017/009815 WO2018066821A1 (en) 2016-10-05 2017-09-07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17858616.0A EP3482338B1 (en) 2016-10-05 2017-09-07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5/702,950 US10354098B2 (en) 2016-10-05 2017-09-13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8553A KR102662395B1 (ko) 2016-10-05 2016-10-05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7834A KR20180037834A (ko) 2018-04-13
KR102662395B1 true KR102662395B1 (ko) 2024-05-02

Family

ID=61758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8553A KR102662395B1 (ko) 2016-10-05 2016-10-05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354098B2 (ko)
EP (1) EP3482338B1 (ko)
KR (1) KR102662395B1 (ko)
WO (1) WO20180668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09979B2 (en) 2019-05-10 2021-12-2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ystems and methods for input interfaces promoting obfuscation of user navigation and selections
US11086514B2 (en) 2019-05-10 2021-08-1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ystems and methods for obfuscating user navigation and selections directed by free-form input
US11526273B2 (en) 2019-05-10 2022-12-1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ystems and methods of selection acknowledgement for interfaces promoting obfuscation of user operations
US11301056B2 (en) * 2019-05-10 2022-04-1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ystems and methods for obfuscating user selections
US11112881B2 (en) 2019-05-10 2021-09-0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user-operated features of input interfaces obfuscating user naviga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43873A (ja) 2005-06-07 2006-12-21 Canon Inc パスワード入力装置およびその方法、およびパスワード認証システム
JP2014211818A (ja) 2013-04-19 2014-11-13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30846B2 (en) * 2003-06-10 2006-10-31 Microsoft Corporation Intelligent default selection in an on-screen keyboard
KR20090076694A (ko) * 2008-01-09 2009-07-1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키 입력 장치 및 방법
KR20100084928A (ko) * 2009-01-19 2010-07-2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가상 키보드를 이용한 정보 입력 시스템, 정보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1611282B1 (ko) * 2009-09-01 2016-04-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수신기 및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KR20130087010A (ko) * 2010-06-15 2013-08-05 톰슨 라이센싱 개인 데이터의 안전한 입력을 위한 방법 및 장치
JP2015111319A (ja) 2012-03-28 2015-06-18 国立研究開発法人科学技術振興機構 情報入力装置、画面表示方法、及び情報入力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43873A (ja) 2005-06-07 2006-12-21 Canon Inc パスワード入力装置およびその方法、およびパスワード認証システム
JP2014211818A (ja) 2013-04-19 2014-11-13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82338B1 (en) 2021-11-24
US10354098B2 (en) 2019-07-16
WO2018066821A1 (en) 2018-04-12
EP3482338A1 (en) 2019-05-15
KR20180037834A (ko) 2018-04-13
EP3482338A4 (en) 2019-05-15
US20180096171A1 (en) 2018-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62395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8413071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US20220261089A1 (en) System and method for multi-mode command input
US20150135121A1 (en) User-interface for entering alphanumerical characters
US20050259072A1 (en) Image-processing apparatus
KR10244135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090058757A (ko) 리모트 컨트롤러 및 그 제어방법과 이를 가지는영상처리장치
KR100718984B1 (ko) 입력내용 노출 방지를 위한 가상 키보드 디스플레이 장치및 방법
KR20130133564A (ko) 전자 장치, 키 입력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EP2400374A1 (en) User input device,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60053144A (ko) 디스플레이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20130187870A1 (en) Remote control device
KR101741662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40131165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JP2012118582A (ja) ソフトウェアキーボード表示装置およびテレビジョン
KR101261227B1 (ko) 가상 키보드 입력 장치 및 그의 데이터 입력 방법
JP5424489B2 (ja) 表示システム、表示装置、受信装置および表示領域選択方法
KR101037800B1 (ko) 통합 리모컨의 제어 방법
US9354785B1 (en) Text entering with remote control system
KR20100084928A (ko) 가상 키보드를 이용한 정보 입력 시스템, 정보 입력 장치 및 방법
US2015016074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xt input via remote control
KR102645570B1 (ko)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채널 조작 ui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KR20200022411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30106145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20878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