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2260B1 - 차량 번호판의 위변조 검증 기능을 가지는 보안 강화형 차량 출입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 번호판의 위변조 검증 기능을 가지는 보안 강화형 차량 출입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2260B1
KR102662260B1 KR1020230005399A KR20230005399A KR102662260B1 KR 102662260 B1 KR102662260 B1 KR 102662260B1 KR 1020230005399 A KR1020230005399 A KR 1020230005399A KR 20230005399 A KR20230005399 A KR 20230005399A KR 102662260 B1 KR102662260 B1 KR 1026622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vehicle
license plate
entry
forg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5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38391A (ko
Inventor
정철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엔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엔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엔디
Publication of KR20230138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8391A/ko
Priority to KR10202400117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3537A/ko
Priority to KR1020240011748A priority patent/KR202400264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2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22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40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 G06V10/56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relating to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25License plat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944Details of construction or manufact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201/08Detecting or categorising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보안 강화형 차량 출입관리 시스템은 종이에 차량번호가 인쇄된 것 등의 위변조 번호판과 정상 번호판을 정확하게 구별하여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위변조 검증 시 실제 정상 차량임에도 오인하여 번호판이 위변조된 차량으로 잘못 판별할 수 있는 문제를 최소화하여 높은 신뢰성으로 위변조 검증을 수행할 수 있고, 차량 번호판의 위변조 여부 검증 시 CPU의 과부화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슈가 발생하는 특수한 경우에서만 관리자에게 알림을 제공하여 인력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등 효율적인 차량 출입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 번호판의 위변조 검증 기능을 가지는 보안 강화형 차량 출입관리 시스템{Security-enhanced vehicle access control system with forgery and alteration verification function of license plate}
본 발명은 차량 번호판의 위변조 검증 기능을 가지는 차량 출입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종이에 차량번호가 인쇄된 위변조된 번호판을 실제 차량 번호판 위에 붙여 정상적이지 않은 방법으로 차량이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는 차량 출입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자동차 번호판 인식(License Plate Recognition, LPR)을 이용한 차량 출입관리 기술은 위변조된 복제 번호판을 구분하지 못함에 따라, 특히 정부청사, 군부대, 경찰서, 정부출연연구기관 등 중요시설의 보안에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예를 들어, 하얀색 종이에 차량번호를 인쇄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위변조된 번호판을 일반인도 쉽게 제작 가능하며, 이렇게 종이로 된 위변조 번호판을 실제 차량 번호판 위에 덧붙이는 것만으로도, 종래의 무인 출입관리 시스템은 상기 위변조 번호판과 정상 차량 번호판의 구별을 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LPR은 번호판의 문자와 숫자를 인식할 때 별다른 보안기술 없이 획득된 영상의 이미지로부터 광학문자판독(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OCR)을 하며, 이는 단순히 이미지로부터 숫자와 문자를 인식하기 위한 기술이다. OCR은 영상의 특정 부분을 좌에서 우로 슬라이딩하면서 한 글자(문자, 숫자 등)씩 인식해 나가는 방식이다.
특히 무인 주차관리 시스템은 대부분의 민간 건물들에 보편적으로 적용되어 있어, 위조 번호판을 이용한 강력 범죄 발생 가능성이 높은 것이 현실이다. 이를 위한 대안으로, 인력을 통해 직접 확인 후 통과시키는 프로세스를 병행하기도 하지만, 이를 위해 24 시간 내내 별도의 인력을 대기시키는 것은 현실적으로 매우 어렵다.
이와 같이, 종래의 차량 출입관리 시스템은 위변조된 것이 아닌 것을 전제로 하여 단순히 자동차 번호판의 숫자와 문자를 정확히 인식하는 것이 본래의 목적이며, 자동차 번호판의 진위를 가리는 것이 불가능하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67298호 (2003.08.14)
본 발명의 목적은 종이에 차량번호가 인쇄된 것 등의 위변조 번호판과 정상 번호판을 정확하게 구별하여 대처할 수 있는 보안 강화형 차량 출입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 목적은 위변조 검증 시 실제 정상 차량임에도 오인하여 번호판이 위변조된 차량으로 잘못 판별할 수 있는 문제를 최소화하여 높은 신뢰성으로 위변조 검증을 수행할 수 있는 보안 강화형 차량 출입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 번호판의 위변조 여부 검증 시 CPU의 과부화를 최소화할 수 있고, 이슈가 발생하는 특수한 경우에서만 관리자에게 알림을 제공하여 인력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율적인 보안 강화형 차량 출입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보안 강화형 차량 출입관리 시스템은, 제어부를 포함하는 관리단말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출입 차량의 번호판 이미지 및 외관 이미지를 수신하는 입력모듈; 상기 이미지들로부터 추출된 번호정보, 차종정보 및 색상정보를 포함하는 추출정보로부터 번호판의 위변조 진위를 판별 및 검증하는 분석제어모듈; 및 상기 번호판의 위변조 여부에 따라 차량의 출입을 제어하는 출입제어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분석제어모듈은,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차량의 번호정보, 상기 번호정보에 매칭된 차종정보 및 색상정보와, 상기 추출정보를 비교하여 번호판의 위변조 진위를 판별한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보안 강화형 차량 출입관리 시스템은, 번호정보 데이터, 차종정보 데이터 및 색상정보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분석제어모듈은,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번호정보 데이터에 상기 추출정보의 번호정보가 없을 경우, 해당 번호정보에 차종정보 및 색상정보를 매칭하고 데이터셋으로 분류하여 번호정보 데이터, 차종정보 데이터 및 색상정보 데이터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및 등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관리단말이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보안 강화형 차량 출입관리 시스템이,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외부 DB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보안 강화형 차량 출입관리 시스템은 정보추출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정보추출모듈는, 상기 입력모듈로부터 출입 차량의 번호판 이미지 및 외관 이미지를 수신하며, 상기 이미지들로부터 번호정보, 차종정보 및 색상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번호정보, 차종정보 및 색상정보를 상기 입력모듈로 송신할 수 있으며, 상기 입력모듈은 추출된 상기 정보들을 상기 분석제어모듈로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보추출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보안 강화형 차량 출입관리 시스템은, 상기 정보추출모듈를 포함하는 외부 정보추출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입력모듈로부터 출입 차량의 번호판 이미지 및 외관 이미지를 수신하고 상기 이미지들을 상기 정보추출모듈로 송신할 수 있으며, 상기 정보추출모듈은 추출된 번호정보, 차종정보 및 색상정보를 상기 통신모듈로 송신하고, 상기 통신모듈은 추출된 정보들을 상기 입력모듈에 송신할 수 있으며, 상기 입력모듈은 추출된 정보들을 상기 분석제어모듈에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관리단말은 차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차단부는 차량의 출입을 물리적으로 제어하는 도어를 포함하되, 상기 출입제어모듈로부터 개폐명령을 수신하여 도어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출입제어모듈은, 상기 분석제어모듈이 해당 번호판에 대해 정상인 것으로 판단할 경우, 상기 차단부에 오픈 명령을 송신하여 차량 출입을 허용하며, 상기 분석제어모듈이 해당 번호판에 대해 위조된 것으로 판단할 경우, 상기 차단부에 오픈 명령을 송신하지 않고 차량 출입을 허용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출입제어모듈은, 상기 분석제어모듈이 해당 번호판에 대해 위조된 것으로 판단할 경우, 외부기관에 위변조 번호판 사용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분석제어모듈은, 외부로부터 현재 기상정보를 수신하고 날씨에 따라 색상정보에 대한 위변조 기준을 보정하여 위변조 검증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분석제어모듈은 상기 기상정보로부터 대설주의정보를 수신할 경우, 색상정보에 대한 위변조 기준을 완화하거나 색상정보에 대한 위변조 검증을 패스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입차/출차시간정보를 포함하는 출입시간정보 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출입제어모듈은 출입 차량의 번호정보에 출입 차량의 입차시간 또는 출차시간을 매칭하고 데이터셋으로 분류하여 상기 출입시간정보 데이터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출입시간정보 데이터는 출입횟수 통계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출입제어모듈은 출입 차량의 입차횟수 또는 출차횟수를 해당 번호정보에 매칭하고 데이터셋으로 분류하여 상기 출입시간정보 데이터의 출입횟수 통계정보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분석제어모듈은 해당 번호정보의 출입횟수 통계정보로부터 입차/출차 횟수에 대한 가중치를 두고 가중치의 크기에 따라 차종정보 또는 색상정보에 대한 위변조 기준을 보정하여 위변조 검증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분석제어모듈은 해당 번호정보의 입차/출차 횟수에 대한 가중치가 클 경우, 차종정보 또는 색상정보에 대한 위변조 기준을 완화하거나 차종정보 또는 색상정보에 대한 검증을 패스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출입시간정보 데이터는 출입 평균 시간대 통계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출입제어모듈은 출입 차량의 입차시간 또는 출차시간에 대한 통계 및 이로부터 산출된 출차 평균 시간대 또는 입차 평균 시간대를 포함하는 출입 평균 시간대를 해당 번호정보에 매칭하고 데이터셋으로 분류하여 상기 출입시간정보 데이터의 출입 평균 시간대 통계정보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분석제어모듈은 출입 차량의 출입시간과, 상기 출입 평균 시간대 통계정보를 비교하고 차종정보 또는 색상정보에 대한 위변조 기준을 보정하여 위변조 검증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분석제어모듈은 출입 차량의 출입시간이 특정 오차 범위 내에서 해당 차량의 번호정보에 매칭된 출입 평균 시간대에 포함될 경우, 차종정보 또는 색상정보에 대한 위변조 기준을 완화하거나 차종정보 또는 색상정보에 대한 검증을 패스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블랙리스트 데이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블랙리스트 데이터는 위변조 이력 번호정보 데이터 또는 검증 오류 이력 번호정보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분석제어모듈은, 상기 추출정보의 번호정보가 상기 블랙리스트 데이터에 등록된 번호정보와 일치할 경우, 차종정보 또는 색상정보에 대한 위변조 기준을 보정하여 위변조 검증에 적용할 수 있으며, 출입 차량의 위변조 검증 시 검증오류가 있거나, 위변조된 것으로 판단되거나, 관리자에 의해 문제가 있다고 판단될 경우, 해당 번호정보에 이슈정보를 매칭시키고 데이터셋으로 분류하여 상기 블랙리스트 데이터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분석제어모듈은, 상기 추출정보의 번호정보가 상기 블랙리스트 데이터에 등록된 번호정보와 일치할 경우, 차종정보 또는 색상정보에 대한 위변조 기준을 강화하여 위변조 검증에 적용하거나, 관리자에게 알림을 제공하여 호출할 수 있으며, 관리자가 호출될 경우, 관리자가 직접 위변조 검증을 수행할 수 있도록 수동 검증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출입시간정보 데이터는 출입횟수 통계정보 및 출입 평균 시간대 통계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분석제어모듈은, 상기 추출정보의 차종정보 또는 색상정보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대응되는 정보와 일치하지 않을 경우, 하기 관계식 1을 만족하면 검증 오류로 인식하여 번호판이 정상인 것으로 판별하고, 하기 관계식 1을 만족하지 않으면 번호판이 위변조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하기 관계식 1에서, Eu는 해당 번호정보의 오류가능성정보이고, Et는 전체 번호정보의 평균 오류가능성정보이며, E는 오류가능성정보, a는 출입횟수점수, b는 출입평균시간대일치점수이며, P1+P2=1이고 P1=0.2~0.4, P2=0.6~0.8이다.
[관계식 1]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결제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결제모듈은, 차량이 출차 시,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출입시간정보 데이터의 해당 차량의 주차시간을 수신하고, 이로부터 해당 차량의 주차비용을 산출하여 정산처리할 수 있으며, 상기 출입제어모듈은, 정산처리가 완료될 경우, 상기 차단부에 오픈 명령을 송신하여 차량의 출차를 허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관리단말은 출입하는 차량의 앞면, 측면 또는 후면 유리의 광투과율 값을 측정하는 광투과율측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광투과율측정부는 상기 광투과율 값을 포함하는 틴팅정보를 상기 입력모듈에 송신할 수 있으며,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차량의 앞면, 측면 또는 후면 유리의 광투과율 값을 포함하는 틴팅정보 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입력모듈은,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틴팅정보 데이터에 출입 차량의 틴팅정보가 없거나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번호정보 데이터에 출입 차량의 번호정보가 없을 경우, 해당 번호정보에 상기 입력모듈의 틴팅정보를 매칭하고 데이터셋으로 분류하여 틴팅정보 데이터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분석제어모듈은 위변조 진위 판별 시 상기 입력모듈의 틴팅정보를 더 포함하여 수행하되, 상기 입력모듈의 틴팅정보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해당 번호정보에 매칭된 틴팅정보를 비교하여 번호판의 위변조 진위를 판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관리단말은 출입하는 차량의 번호판에 각인된 글자의 양각 두께를 측정하는 광학두께측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분석제어모듈은 상기 두께와 기 설정된 범위 값을 비교하여 번호판의 위변조 진위를 판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분석제어모듈은 상기 두께가 1 내지 2 mm의 기 설정된 범위 값 내에 포함될 경우, 정상인 것으로 판별하고, 상기 범위 값을 벗어났을 경우 위조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광학두께측정부는, 레이저 거리 측정 센서를 통해 번호판에 각인된 글자의 양각 두께를 측정하되, 번호판의 글자에 대응되는 제1면적과, 번호판의 바탕에 대응되는 제2면적을 식별하고, 상기 센서에서 상기 제1위치까지의 제1거리 및 상기 센서에서 상기 제2위치까지의 제2거리를 각각 측정하고, 상기 제1거리와 상기 제2거리로부터 번호판에 각인된 글자의 양각 두께를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관리단말은 촬영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촬영부는, 출입하는 차량의 전면 번호판 이미지 및 후면 번호판 이미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번호판 이미지; 및 출입하는 차량의 전면 이미지 및 후면 이미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외관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으며, 촬영된 이미지들을 상기 입력모듈에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는 시간간격 또는 거리간격이 상이하거나 각도가 상이한 번호판 이미지를 2 이상 다수 촬영할 수 있으며, 상기 분석제어모듈은 시간간격 또는 거리간격이 상이하거나 각도가 상이한 2 이상의 이미지로부터 산출된 번호판 각인 글자의 양각 두께로부터 번호판의 위변조 진위를 판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보안 강화형 차량 출입관리 시스템은 정보추출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정보추출모듈는, 상기 촬영부로부터 시간간격 또는 거리간격이 상이하거나 각도가 상이한 2 이상의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이미지로부터 번호판에 각인된 글자의 양각 두께를 산출하고, 산출된 정보를 상기 분석제어모듈로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관리단말은, 입력모듈 및 출력모듈을 포함하는 입력/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입력모듈은 출입하는 차량의 사용자로부터 해당 번호정보 또는 결제정보를 입력받으며, 상기 출력모듈은 출입하는 차량의 외관 이미지, 결제정보, 관리자의 음성정보 또는 안내정보를 해당 차량의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보안 강화형 차량 출입관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보안 강화형 주차 관제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주차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주차위치정보 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주차관리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주차관리모듈은 출입 차량의 번호정보에 출입 차량의 주차위치정보를 매칭하고 데이터셋으로 분류하여 상기 주차위치정보 데이터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보안 강화형 주차 관제 시스템은 주차구역 촬영용 카메라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정보추출모듈은 상기 주차구역 촬영용 카메라로부터 주차 이미지를 수신하고, 상기 주차 이미지로부터 번호정보 및 주차위치정보를 추출할 수 있으며, 상기 주차관리모듈은 상기 정보추출모듈로부터 추출된 번호정보 및 주차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주차관리모듈은 차량 입차 시,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주차위치정보 데이터로부터 현재 사용되지 않은 주차구역을 포함하는 주차위치정보를 상기 차량의 차주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주차위치정보 데이터는 주차구역빈도 통계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주차관리모듈은 출차 차량의 주차위치정보를 해당 번호정보에 매칭하고 데이터셋으로 분류하여 상기 주차위치정보 데이터의 주차구역빈도 통계정보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분석제어모듈은 출차 차량의 주차구역과, 상기 주차구역빈도 통계정보의 주차구역 이력을 비교하고 차종정보 또는 색상정보에 대한 위변조 기준을 보정하여 위변조 검증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분석제어모듈은 출차 차량이 현재 주차한 구역이 해당 차량의 번호정보에 매칭된 주차구역빈도 통계정보에 1 회 이상 저장된 주차구역과 일치할 경우, 차종정보 또는 색상정보에 대한 위변조 기준을 완화하거나 차종정보 또는 색상정보에 대한 검증을 패스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입차/출차시간정보를 포함하는 출입시간정보 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출입제어모듈은 출입 차량의 번호정보에 출입 차량의 입차시간 또는 출차시간을 매칭하고 데이터셋으로 분류하여 상기 출입시간정보 데이터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출입시간정보 데이터는 출입횟수 통계정보 및 출입 평균 시간대 통계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분석제어모듈은, 상기 추출정보의 차종정보 또는 색상정보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대응되는 정보와 일치하지 않을 경우, 하기 관계식 2를 만족하면 검증 오류로 인식하여 번호판이 정상인 것으로 판별하고, 하기 관계식 2를 만족하지 않으면 번호판이 위변조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하기 관계식 2에서, Eu는 해당 번호정보의 오류가능성정보이고, Et는 전체 번호정보의 평균 오류가능성정보이며, E는 오류가능성정보, a는 출입횟수점수, b는 출입평균시간대일치점수, c는 주차구역빈도일치점수이며, P1+P2+P3=1이고 P1=0.1~0.3, P2=0.5~0.7, P1=0.1~0.3이다.
[관계식 2]
본 발명에 따른 보안 강화형 차량 출입관리 시스템은 정밀한 위변조 검증 수단을 가짐으로써 종이에 차량번호가 인쇄된 것 등의 위변조 번호판과 정상 번호판을 정확하게 구별하여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보안 강화형 차량 출입관리 시스템은 위변조 검증 시 실제 정상 차량임에도 오인하여 번호판이 위변조된 차량으로 잘못 판별할 수 있는 문제를 최소화하여 높은 신뢰성으로 위변조 검증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안 강화형 차량 출입관리 시스템은 차량 번호판의 위변조 여부 검증 시 CPU의 과부화를 최소화할 수 있고, 이슈가 발생하는 특수한 경우에서만 관리자에게 알림을 제공하여 인력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율적인 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안 강화형 차량 출입관리 시스템의 컨셉을 이미지로 간략하게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안 강화형 차량 출입관리 시스템을 간략하게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안 강화형 차량 출입관리 시스템에서, 관리단말과 데이터베이스와의 관계를 간략하게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안 강화형 차량 출입관리 시스템에서, 관리단말과 정보추출모듈이 관리단말과 떨어져 외부에 위치하는 경우를 간략하게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안 강화형 차량 출입관리 시스템에서, 차량의 출입을 허용하거나 불허용하는 일 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안 강화형 차량 출입관리 시스템에서, 기상정보에 따라 색상정보 검증 기준을 보정하여 검증오류 확률을 줄이는 일 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보안 강화형 차량 출입관리 시스템에서, 출입시간정보 데이터의 출입횟수 통계정보를 이용하여 차량별로 다르게 설정된 입차/출차 횟수에 대한 가중치를 고려하여 위변조를 검증하는 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보안 강화형 차량 출입관리 시스템에서, 출입시간정보 데이터의 출입 평균 시간대 통계정보를 이용하여 차량별로 다르게 설정된 출입 평균 시간대에 대한 가중치를 고려하여 차종정보(색상정보) 검증 기준을 보정하거나 검증 자체를 통과시키는 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보안 강화형 차량 출입관리 시스템에서, 출입횟수 통계정보 및 출입 평균 시간대 통계정보를 포함하는 출입시간정보 데이터를 활용하여 검증하는 일 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보안 강화형 차량 출입관리 시스템에서, 블랙리스트 데이터를 활용하여 검증하는 일 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보안 강화형 차량 출입관리 시스템에서, 결제모듈을 포함하는 개념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보안 강화형 차량 출입관리 시스템에서, 차량 유리의 틴팅정보를 활용하여 검증하는 일 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안 강화형 차량 출입관리 시스템에서, 광학두께측정부를 이용하여 번호판에 각인된 글자의 양각 두께 측정을 활용하여 검증하는 일 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보안 강화형 차량 출입관리 시스템에서, 시간간격 또는 거리간격이 상이하거나 각도가 상이한 번호판 이미지 다수를 이용하여 산출된 번호판 각인 글자의 양각 두께를 활용하여 검증하는 일 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보안 강화형 주차 관제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보안 강화형 주차 관제 시스템에서, 주차위치정보 및 주차구역빈도 통계정보를 포함하는 주차위치정보 데이터를 활용하여 검증하는 일 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번호판의 위변조 검증 기능을 가지는 보안 강화형 차량 출입관리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도면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으며, 상기 도면들은 본 발명의 사상을 명확히 하기 위해 과장되어 도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몇몇의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포함한다’는 ‘구비한다’, ‘함유한다’, ‘가진다’, ‘특징으로 한다’ 등의 표현과 등가의 의미를 가지는 개방형 기재이며, 추가로 열거되어 있지 않은 요소, 재료 또는 공정을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의 단수 형태는 특별한 지시가 없는 한 복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수치 범위는 하한치와 상한치와 그 범위 내에서의 모든 값, 정의되는 범위의 형태와 폭에서 논리적으로 유도되는 증분, 이중 한정된 모든 값 및 서로 다른 형태로 한정된 수치 범위의 상한 및 하한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실험 오차 또는 값의 반올림으로 인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수치 범위 외의 값 역시 정의된 수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제어부’는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스(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데이터베이스 등의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는 응용 소프트웨어, 즉, 어플리케이션의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으며, 인공지능 기반의 검증 분석이 가능하도록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RNN(Recurrent Neural Network) 또는 LSTM(Long Short-Term Memory) 등의 인공신경망을 포함하거나, CNN-LSTM과 같이 복합 인공신경망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통신모듈’은 유선통신모듈 또는 무선통신모듈로서 각 구성간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명세서 언급되는 ‘통신’은 일 예로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출력부’ 또는 ‘출력모듈’은 사용자에게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것이라면 공지된 다양한 것이 사용될 수 있으며,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바람직하게는 유기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하지만 이는 구체적인 일 예로서 설명된 것일 뿐 이외에 다양한 출력 디바이스가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이미지’는 정지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모두 포함하여 해석될 수 있다.
종래의 차량 출입관리 시스템은 차량의 번호판을 정확하게 식별하기 위한 것이 주목적으로서, 하얀 종이에 검정색 글자로 인쇄된 위변조 번호판으로도 정상 출입되는 등 정상 번호판과 위변조된 번호판의 구별을 위한 보안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종래의 보안성이 떨어지는 한계를 극복하고자, 차량 번호판의 위변조 검증 기능이 우수한 보안 강화형 차량 출입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며, 특히 위변조 검증 시 높은 신뢰성으로 위변조 진위를 판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안 강화형 차량 출입관리 시스템은 관리단말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관리단말은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입력모듈, 분석제어모듈 및 출입제어모듈을 포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출입 차량의 번호판 이미지 및 외관 이미지를 수신하는 입력모듈; 상기 이미지들로부터 추출된 번호정보, 차종정보 및 색상정보를 포함하는 추출정보로부터 번호판의 위변조 진위를 판별 및 검증하는 분석제어모듈; 및 상기 번호판의 위변조 여부에 따라 차량의 출입을 제어하는 출입제어모듈;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분석제어모듈은 기 등록된 정보와 상기 추출정보를 비교 하여 번호판의 위변조 진위를 판별한다. 즉, 상기 분석제어모듈은,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차량의 번호정보, 상기 번호정보에 매칭된 차종정보 및 색상정보와, 상기 추출정보를 비교하여 번호판의 위변조 진위를 판별한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차량의 번호정보만으로 출입을 관리함에 따라 간단하게 위변조된 번호판만으로도 출입에 제한이 없는 종래기술과는 다르게, 번호정보와 함께 매칭된 차종정보 및 색상정보를 기 등록된 정보들과의 비교를 통해, 위변조 진위를 판별할 수 있다. 상세하게, 도 2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번호정보 “24다5839”에 매칭된 차종정보 “폭스바겐 골프” 및 색상정보 “검정색”을 포함하는 등록되어 있다면, 타인이 “24다5839”로 위변조된 차량으로 출입을 시도할 경우, 차종정보와 색상정보 모두가 일치할 확률은 매우 낮고, 분석제어모듈이 검증 시 차종정보 또는 색상정보가 일치하지 않으므로, 위변조된 번호판으로 판단할 수 있다. 번호판만 위변조하는 것은 간단하더라도 차종과 색상까지 위조하는 것은 간단하지 않으며, 그 마저도 위변조할 번호정보에 대한 차종정보와 색상정보를 알아내는 것도 쉽지 않기 때문에 이 3 가지 정보를 모두 위조할 가능성은 현실적으로 매우 낮다. 따라서 번호정보에 차종정보 및 색상정보를 매칭하여 데이터베이스화 한다면, 번호판을 위변조하여 출입을 시도하는 상황을 모두 가려낼 수 있다.
특히 하얀 종이에 검정색 글자로 인쇄한 위변조 번호판은 쉽게 제작 가능하여 이를 이용한 범법 행위가 사회적으로 큰 이슈가 되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번호정보와 함께 해당 차량의 차종 및 색상을 위변조 검증에 사용하여 위변조된 번호판을 이용한 출입을 효과적으로 제한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3 가지 정보를 이용한 위변조 검증 수단을 위해서는 3 가지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가 요구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보안 강화형 차량 출입관리 시스템은, 번호정보 데이터, 차종정보 데이터 및 색상정보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에는 각 사용자 차량의 번호정보가 저장 및 등록되어 있고, 번호정보에 매칭된 차종정보 및 색상정보도 함께 저장된다. 차량의 번호판을 가지는 차량은 전국에 단 1 대 밖에 존재하지 않으므로, 등록된 번호정보와 차종정보가 일치하지 않거나, 등록된 번호정보와 색상정보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 위변조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각 정보가 잘못 인식되지 않았고, 다른 색으로 도색하는 등의 차량의 색상을 임의로 변경하지 않았다는 가정 하에 성립하며, 3 가지 정보를 통한 검증 시 발생할 수 있는 검증오류를 보정하기 위한 수단은 다음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관리단말에 포함될 수도 있고, 상기 관리단말로부터 외부에 떨어져 있을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안 강화형 차량 출입관리 시스템에서, 관리단말과 데이터베이스와의 관계를 간략하게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을 들어 설명하면, 좌측 개념도는 데이터베이스가 외부 DB서버로서 관리단말과 떨어져 위치한 경우를 예로 든 것이고, 우측 개념도는 데이터베이스가 관리단말에 포함되어 위치한 경우를 예로 든 것이다. 이처럼, 데이터베이스는 관리단말에 포함되어 위치할 수 있으며, 외부 DB서버에 포함되어 관리단말과 떨어져 관리단말 내 통신모듈로 클라우드 방식을 통해 각 정보들을 송수신하여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분석제어모듈은 상술한 바와 같이, 추출정보를 기 등록된 정보와 비교, 대조하여 위변조 진위를 검증할 뿐만 아니라, 번호정보가 신규할 경우, 데이터베이스에 신규로 저장 및 등록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상세하게,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번호정보 데이터에 상기 추출정보(추출된 번호정보, 차종정보, 색상정보)의 번호정보가 없을 경우, 상기 분석제어모듈은 해당 번호정보에 차종정보 및 색상정보를 매칭하고 데이터셋으로 분류하여 번호정보 데이터, 차종정보 데이터 및 색상정보 데이터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및 등록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데이터베이스에 번호정보와 차종정보 및 색상정보를 매칭한 정보들이 저장 및 등록된다. 도 2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데이터베이스의 번호정보 데이터에 “24다5839”가 등록되고, 데이터베이스의 차종정보 데이터에 “폭스바겐 골프”가 “24다5839”에 매칭되어 저장되며, 데이터베이스의 색상정보 데이터에 “검정색”이 “24다5839”에 매칭되어 저장된다.
상기 입력모듈은 번호판 이미지, 외관 이미지를 획득하고, 이들 이미지로부터 얻은 번호정보, 차종정보 및 색상정보를 포함하는 추출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추출정보를 상기 분석제어모듈로 송신하여 상기 분석제어모듈이 추출정보에 대한 위변조 검증을 수행하도록 한다.
상기 추출정보는 정보추출모듈에 의해 상기 번호판 이미지 및 상기 외관 이미지로부터 추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보안 강화형 차량 출입관리 시스템은 정보추출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추출모듈는, 상기 입력모듈로부터 출입 차량의 번호판 이미지 및 외관 이미지를 수신하며, 상기 이미지들로부터 번호정보, 차종정보 및 색상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번호정보, 차종정보 및 색상정보를 상기 입력모듈로 송신할 수 있으며, 상기 입력모듈은 추출된 상기 정보들을 상기 분석제어모듈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정보추출모듈에서, 이미지로부터 글자를 인식하는 기술은 공지기술을 이용하면 무방하며, 구체적으로, 번호판 인식(License Plate Recognition, LPR) 기술, 광학문자판독(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OCR) 기술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정보추출모듈에서 차종정보 또는 색상정보를 추출하는 방법은 공지기술을 이용하면 무방하며, 예를 들어 식별 오픈 소스인 YOLO5 기반의 Object Detection 알고리즘을 활용한 ImageNet, CIFAR-10 등의 차량 객체 인지/식별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차종정보 데이터에 모든 차종에 대한 규격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고, 데이터베이스의 색상정보 데이터에 모든 색상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해당 차량(번호정보)에 대한 색상정보 또는 차종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다. 차종정보의 경우, 차량 외관의 엠블럼을 통해 차종을 인지 및 식별할 수 있으며, 색상정보의 경우, 이미지의 RGB 식별 알고리즘을 통해 색상을 인지 및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정보추출모듈은 상기 관리단말의 제어부에 포함될 수도 있고, 상기 관리단말로부터 외부에 떨어져 있을 수도 있다. 상세하게, 도 2처럼 정보추출모듈은 관리단말의 제어부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으며, 도 3과 같이 관리단말과 정보추출모듈이 관리단말과 떨어져 외부에 위치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안 강화형 차량 출입관리 시스템에서, 관리단말과 정보추출모듈이 관리단말과 떨어져 외부에 위치하는 경우를 간략하게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를 들어 설명하면, 정보추출모듈은 외부 DB서버에 포함되어 관리단말과 떨어져 관리단말 내 통신모듈로 클라우드 방식을 통해 각 정보들을 송수신하여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보안 강화형 차량 출입관리 시스템은, 상기 정보추출모듈를 포함하는 외부 정보추출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입력모듈로부터 출입 차량의 번호판 이미지 및 외관 이미지를 수신하고 상기 이미지들을 상기 정보추출모듈로 송신할 수 있으며, 상기 정보추출모듈은 추출된 번호정보, 차종정보 및 색상정보를 상기 통신모듈로 송신하고, 상기 통신모듈은 추출된 정보들을 상기 입력모듈에 송신할 수 있으며, 상기 입력모듈은 추출된 정보들을 상기 분석제어모듈에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관리단말은 차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차단부는 차량이 출입을 물리적으로 제어하는 역할을 한하며, 통상적으로, 차량의 출입을 직접 막아주는 차단봉 등의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차단부는 차량의 출입을 물리적으로 제어하는 도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출입제어모듈로부터 개폐명령을 수신하여 도어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출입제어모듈은 상기 분석제어모듈에서 번호판의 위변조 여부에 따라 차량의 출입을 제어한다. 도 5는 차량의 출입을 허용하거나 불허용하는 일 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의 하측 개념도를 참조하면, 상기 출입제어모듈은, 상기 분석제어모듈이 해당 번호판에 대해 정상인 것으로 판단할 경우, 상기 차단부에 오픈 명령을 송신하여 차량 출입을 허용할 수 있다. 도 5의 상측 개념도를 참조하면, 상기 분석제어모듈이 해당 번호판에 대해 위조된 것으로 판단할 경우, 상기 차단부에 오픈 명령을 송신하지 않고 차량 출입을 허용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제어모듈은 차량 입차 시 입차를 승인 또는 거부할 수 있으며, 차량 출차 시 출차를 승인 또는 거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출입제어모듈은, 상기 분석제어모듈이 해당 번호판에 대해 위조된 것으로 판단할 경우, 외부기관 또는 관리자에 위변조 번호판 사용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의 상측 개념도를 참조하면, 분석제어모듈에서 번호판이 위조된 것으로 판별할 경우, 출입제어모듈은 입차 또는 출차를 거부할 수 있으며, 상기 차단부에 오픈 명령을 송신하지 않고 외부기관에 위변조 번호판 사용 알림을 제공하여 신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부기관은 국가경찰기관일 수 있다.
상기 출입제어모듈은 입차/출차시간정보(입차시간정보, 출차시간정보)를 포함하는 출입시간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입차/출차시간정보를 포함하는 출입시간정보 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출입제어모듈은 출입 차량의 번호정보에 출입 차량의 입차시간 또는 출차시간을 매칭하고 데이터셋으로 분류하여 상기 출입시간정보 데이터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출입제어모듈은, 입차를 승인하거나 출차를 승인할 경우, 상기 출입시간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획득된 출입시간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출입시간 정보 데이터로 저장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예에 있어서, 상기 분석제어모듈은, 외부로부터 현재 기상정보를 수신하고 날씨에 따라 색상정보에 대한 위변조 기준을 보정하여 위변조 검증에 적용할 수 있다. 차량 외관의 형태, 질감 및 색상은 눈, 비 등의 날씨의 변화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특히 눈이 많이 오는 경우, 차량 외관에 눈이 쌓여 실제 색상이 외관상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통상의 색상정보 검증 기준을 적용할 경우, 위변조 차량이 아님에도 색상이 불일치하여 위변조로 판별하는 검증오류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 경우, 현재 기상정보로부터 색상정보에 대한 위변조 기준을 보정하여 위변조 검증에 적용하면, 이러한 검증오류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6은 기상정보에 따라 색상정보 검증 기준을 보정하여 검증오류 확률을 줄이는 일 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예를 들어 상기 분석제어모듈은 상기 기상정보로부터 대설주의정보를 수신할 경우, 색상정보에 대한 위변조 기준을 완화하거나 색상정보에 대한 위변조 검증을 패스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예에 있어서, 출입시간정보를 통계화하고, 각 차량(번호정보)에 따른 통계정보를 이용하여 검증오류에 의해 정상 차량임에도 위변조로 검증하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신뢰도가 높은 차량이라면 위변조로 검증되더라도 검증오류에 의한 것일 확률이 높을 수 있으므로, 사용자별 위조 가능성 가중치를 고려하여 위변조 검증에 활용할 수 있다.
일 양태로, 상기 출입시간정보 데이터는 출입횟수 통계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해당 번호정보의 출입횟수 통계정보로부터 입차/출차 횟수에 대한 가중치를 두고 가중치의 크기에 따라 차종정보 또는 색상정보에 대한 위변조 기준을 보정하여 위변조 검증에 적용할 수 있다. 도 7은 출입시간정보 데이터의 출입횟수 통계정보를 이용하여 차량별로 다르게 설정된 입차/출차 횟수에 대한 가중치를 고려하여 차종정보(색상정보) 검증 기준을 보정하거나 검증 자체를 통과시키는 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석제어모듈은 해당 번호정보의 입차/출차 횟수에 대한 가중치가 클 경우, 차종정보 또는 색상정보에 대한 위변조 기준을 완화하거나 차종정보 또는 색상정보에 대한 검증을 패스할 수 있다. 입차/출차 횟수가 클 경우, 해당 차량은 자주 출입하는 차량으로서, 신뢰도가 높은 차량으로 간주할 수 있다. 이렇게 눈에 자주 띄는 차량의 번호정보로 타인이 출입을 시도하려는 경우는 확률상으로 매우 낮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출입제어모듈은, 출입 차량의 입차횟수 또는 출차횟수를 해당 번호정보에 매칭하고 데이터셋으로 분류하여 상기 출입시간정보 데이터의 출입횟수 통계정보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일 양태로, 상기 출입시간정보 데이터는 출입 평균 시간대 통계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분석제어모듈은 출입 차량의 출입시간과, 상기 출입 평균 시간대 통계정보를 비교하고 차종정보 또는 색상정보에 대한 위변조 기준을 보정하여 위변조 검증에 적용할 수 있다. 도 8은 출입시간정보 데이터의 출입 평균 시간대 통계정보를 이용하여 차량별로 다르게 설정된 출입 평균 시간대에 대한 가중치를 고려하여 차종정보(색상정보) 검증 기준을 보정하거나 검증 자체를 통과시키는 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석제어모듈은 출입 차량의 출입시간이 특정 오차 범위 내에서 해당 차량의 번호정보에 매칭된 출입 평균 시간대에 포함될 경우, 차종정보 또는 색상정보에 대한 위변조 기준을 완화하거나 차종정보 또는 색상정보에 대한 검증을 패스할 수 있다. 출퇴근 시간이 정해져 있는 것처럼, 자주 출입하는 차량은 일반적으로 출입 시간대가 정해져 있을 확률이 매우 높다. 따라서 평소 출입하는 시간대에 출입하는 차량이라면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므로, 차종정보 또는 색상정보 검증에 있어 기준을 완화하여 검증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반면, 평소 출입하지 않는 시간대에 출입하는 차량이라면 신뢰도가 낮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므로, 차종정보 또는 색상정보 검증에 있어 불일치할 경우, 검증오류일 확률은 매우 낮을 수 있으며 이는 위변조된 번호판일 확률이 매우 높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출입제어모듈은 출입 차량의 입차시간 또는 출차시간에 대한 통계 및 이로부터 산출된 출차 평균 시간대 또는 입차 평균 시간대를 포함하는 출입 평균 시간대를 해당 번호정보에 매칭하고 데이터셋으로 분류하여 상기 출입시간정보 데이터의 출입 평균 시간대 통계정보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도 9는 출입횟수 통계정보 및 출입 평균 시간대 통계정보를 포함하는 출입시간정보 데이터를 활용하여 검증하는 일 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보다 바람직한 예에 있어서, 상기 분석제어모듈은, 상기 추출정보의 차종정보 또는 색상정보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대응되는 정보와 일치하지 않을 경우, 하기 관계식 1을 만족하면 검증 오류로 인식하여 번호판이 정상인 것으로 판별하고, 하기 관계식 1을 만족하지 않으면 번호판이 위변조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관계식 1]
상기 관계식 1에서, Eu는 해당 번호정보의 오류가능성정보이고, Et는 전체 번호정보의 평균 오류가능성정보이며, E는 오류가능성정보, a는 출입횟수점수, b는 출입평균시간대일치점수이며, P1+P2=1이고 P1=0.2~0.4, P2=0.6~0.8이다.
상기 관계식 1에서와 같이, 출입횟수점수(a)와 출입평균시간대점수(b)를 변수로 하고, 이들 변수에 가중치(P1, P2)를 다르게 두어 오류가능성정보(E)에 대한 값을 산출하고, 모든 차량(번호정보)에 대해 이 오류가능성정보를 데이터화하면, 전체 차량의 평균 오류가능성정보(Et)에 대한 해당 차량의 오류가능성정보(Eu)의 비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비가 1보다 클 경우, 즉, 해당 차량의 오류가능성정보(Eu)가 평균 오류가능성정보(Et)보다 클 경우, 오류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간주할 수 있으므로, 검증오류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관계식 1을 만족하여 오류 가능성이 높은 차량(번호정보)일 경우, 차종정보 또는 색상정보 검증에 있어 기준을 완화하여 다시 검증하거나 해당 검증 항목을 패스하여 정상 번호판인 것으로 검증을 최종 확정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예에 있어서, 차량(번호정보)에 대한 위변조 검증 이력을 통계화하여 검증오류에 의해 정상 차량임에도 위변조로 검증하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즉, 검증에 문제가 발생한 이력이 있을 경우, 해당 차량은 차종정보 또는 색상정보의 인식률에 문제를 줄 수 있는 차량일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러한 차량에 한해서는 별도의 검증 기준을 적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별로 검증 이력에 따른 검증오류 가능성을 고려하여 위변조 검증에 활용할 수 있다.
일 양태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블랙리스트 데이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블랙리스트 데이터는 위변조 이력 번호정보 데이터 또는 검증 오류 이력 번호정보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분석제어모듈은, 상기 추출정보의 번호정보가 상기 블랙리스트 데이터에 등록된 번호정보와 일치할 경우, 차종정보 또는 색상정보에 대한 위변조 기준을 보정하여 위변조 검증에 적용할 수 있으며, 출입 차량의 위변조 검증 시 검증오류가 있거나, 위변조된 것으로 판단되거나, 관리자에 의해 문제가 있다고 판단될 경우, 해당 번호정보에 이슈정보를 매칭시키고 데이터셋으로 분류하여 상기 블랙리스트 데이터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도 10은 블랙리스트 데이터를 활용하여 검증하는 일 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상기 분석제어모듈은, 상기 추출정보의 번호정보가 상기 블랙리스트 데이터에 등록된 번호정보와 일치할 경우, 차종정보 또는 색상정보에 대한 위변조 기준을 강화하여 위변조 검증에 적용하거나, 관리자에게 알림을 제공하여 호출할 수 있으며, 관리자가 호출될 경우, 관리자가 직접 위변조 검증을 수행할 수 있도록 수동 검증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관리단말은 촬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촬영부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CCTV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차량을 촬영하여 번호판 이미지 및 외관 이미지를 얻을 수 있는 것이라면 다양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촬영부는, 출입하는 차량의 전면 번호판 이미지 및 후면 번호판 이미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번호판 이미지; 및 출입하는 차량의 전면 이미지 및 후면 이미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외관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으며, 촬영된 이미지들을 상기 입력모듈에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촬영부는 차량의 전면 번호판 또는 후면 번호판을 촬영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로, 상기 관리단말은, 차량의 전면 번호판 촬영을 위해 차량의 앞면과 대향하도록 설치된 제1촬영부; 또는 차량의 후면 번호판 촬영을 위해 차량 후면과 대향하도록 설치된 제2촬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분석제어모듈은 차량의 전면 번호판과 후면 번호판의 일치성을 판단하여 위변조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앞면 및 후면 중 한 면의 번호판만 위변조했을 경우 위변조 진위를 쉽게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관리단말은, 입력모듈 및 출력모듈을 포함하는 입력/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입력모듈은 출입하는 차량의 사용자로부터 해당 번호정보 또는 결제정보를 입력받으며, 상기 출력모듈은 출입하는 차량의 외관 이미지, 결제정보, 관리자의 음성정보 또는 안내정보를 해당 차량의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결제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결제모듈은, 차량이 출차 시,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출입시간정보 데이터의 해당 차량의 주차시간을 수신하고, 이로부터 해당 차량의 주차비용을 산출하여 정산처리할 수 있으며, 상기 출입제어모듈은, 정산처리가 완료될 경우, 상기 차단부에 오픈 명령을 송신하여 차량의 출차를 허용할 수 있다. 도 11은 결제모듈을 포함하는 개념도를 나타낸 것이다. 차량이 출차를 시도하면, 결제모듈은 데이터베이스의 출입시간정보 데이터로부터 해당 번호정보에 대한 출입시간정보를 수신하고, 주차시간을 계산한 후 해당 차량의 추자비용을 산출한다. 그리고 입력/출력부의 출력모듈을 통해 해당 차량의 사용자에게 비용을 출력하며, 입력/출력부의 입력모듈을 통해 결제/정산 처리를 수행한다. 이때 관리단말은 통신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외부 결제기관과 연결되어 사용자의 결제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예에 있어서, 상기 분석제어모듈은 차량 유리의 틴팅정보(광투과율정보)를 활용하여 검증의 신뢰도를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동일한 차종/색상의 차량이더라도 유리에 시공된 틴팅(일명 썬팅)의 광투과율은 다르므로, 이러한 틴팅정보를 활용하여 검증의 정밀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2는 차량 유리의 틴팅정보를 활용하여 검증하는 일 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관리단말은 출입하는 차량의 앞면, 측면 또는 후면 유리의 광투과율 값을 측정하는 광투과율측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광투과율측정부는 상기 광투과율 값을 포함하는 틴팅정보를 상기 입력모듈에 송신할 수 있으며,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차량의 앞면, 측면 또는 후면 유리의 광투과율 값을 포함하는 틴팅정보 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분석제어모듈은 위변조 진위 판별 시 상기 입력모듈의 틴팅정보를 더 포함하여 수행하되, 상기 입력모듈의 틴팅정보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해당 번호정보에 매칭된 틴팅정보를 비교하여 번호판의 위변조 진위를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모듈은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틴팅정보 데이터에 출입 차량의 틴팅정보가 없거나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번호정보 데이터에 출입 차량의 번호정보가 없을 경우, 해당 번호정보에 상기 입력모듈의 틴팅정보를 매칭하고 데이터셋으로 분류하여 틴팅정보 데이터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예에 있어서, 상기 분석제어모듈은 번호판에 각인된 글자의 양각 두께를 측정하여 검증의 신뢰도를 더 향상시킬 수 있다. 하얀 종이에 검정색 글자로 인쇄된 위변조 번호판은 제작이 매우 용이하기 때문에 이러한 인쇄물을 이용한 위변조 범죄가 사회적으로 크게 문제되고 있다. 따라서 번호판에 각인된 글자의 양각 두께를 측정하여 검증할 경우, 위조 방법 중 높은 빈도를 차지하는 인쇄 방법을 통한 위변조를 검증할 수 있다.
일 양태로, 상기 관리단말은 출입하는 차량의 번호판에 각인된 글자의 양각 두께를 측정하는 광학두께측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분석제어모듈은 상기 두께와 기 설정된 범위 값을 비교하여 번호판의 위변조 진위를 판별할 수 있다. 도 13은 광학두께측정부를 이용하여 번호판에 각인된 글자의 양각 두께 측정을 활용하여 검증하는 일 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석제어모듈은 상기 두께가 1 내지 2 mm의 기 설정된 범위 값 내에 포함될 경우, 정상인 것으로 판별하고, 상기 범위 값을 벗어났을 경우 위조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상기 광학두께측정부는, 레이저 거리 측정 센서를 통해 번호판에 각인된 글자의 양각 두께를 측정하되, 번호판의 글자에 대응되는 제1면적과, 번호판의 바탕에 대응되는 제2면적을 식별하고, 상기 센서에서 상기 제1위치까지의 제1거리 및 상기 센서에서 상기 제2위치까지의 제2거리를 각각 측정하고, 상기 제1거리와 상기 제2거리로부터 번호판에 각인된 글자의 양각 두께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광학두께측정부는 대상 초점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장치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Laser Ranger Finder 또는 LIDAR(light detection and ranging)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별도의 광학두께측정부를 통해 번호판 각인 글자의 양각 두께를 측정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상기 촬영부로부터 촬영한 이미지들을 통해 상기 두께를 산출하여 활용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상기 촬영부는 시간간격 또는 거리간격이 상이하거나 각도가 상이한 번호판 이미지를 2 이상 다수 촬영할 수 있으며, 상기 분석제어모듈은 시간간격 또는 거리간격이 상이하거나 각도가 상이한 2 이상의 이미지로부터 산출된 번호판 각인 글자의 양각 두께로부터 번호판의 위변조 진위를 판별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보안 강화형 차량 출입관리 시스템에서, 시간간격 또는 거리간격이 상이하거나 각도가 상이한 번호판 이미지 다수를 이용하여 산출된 번호판 각인 글자의 양각 두께를 활용하여 검증하는 일 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차량이 입차하기 위해 이동함으로써 촬영부를 통해 시간간격 또는 거리간격이 상이하거나 각도가 상이한 2 이상의 이미지를 얻을 수 있으며, 촬영부와 번호판 글자의 각도 또는 촬영부와 번호판 글자의 거리가 서로 다른 2 이상의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면, 이들 이미지로부터 번호판에 각인된 글자의 양각 두께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정보추출모듈는, 상기 촬영부로부터 시간간격 또는 거리간격이 상이하거나 각도가 상이한 2 이상의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이미지로부터 번호판에 각인된 글자의 양각 두께를 산출하고, 산출된 정보를 상기 분석제어모듈로 송신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안 강화형 차량 출입관리 시스템을 통해 강화된 보안성으로 차량의 출입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보안 강화형 차량 출입관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보안 강화형 주차 관제 시스템을 제공한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보안 강화형 주차 관제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로서, 상기 제어부는 주차관리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차관리모듈은 차량이 주차구역 중 어느 구역에 주차하는지 데이터화하여 관리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주차 가능한 구역을 입력/출력부의 출력모듈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상세하게,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주차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주차위치정보 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주차관리모듈은 출입 차량의 번호정보에 출입 차량의 주차위치정보를 매칭하고 데이터셋으로 분류하여 상기 주차위치정보 데이터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차관리모듈은 차량 입차 시,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주차위치정보 데이터로부터 현재 사용되지 않은 주차구역을 포함하는 주차위치정보를 상기 차량의 차주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보안 강화형 주차 관제 시스템은 주차구역 촬영용 카메라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정보추출모듈은 상기 주차구역 촬영용 카메라로부터 주차 이미지를 수신하고, 상기 주차 이미지로부터 번호정보 및 주차위치정보를 추출할 수 있으며, 상기 주차관리모듈은 상기 정보추출모듈로부터 추출된 번호정보 및 주차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주차구역 촬영용 카메라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CCTV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차량을 감시하여 해당 차량이 주차한 장소를 식별할 수 있는 것이라면 무방하다.
바람직한 일 예에 있어서, 해당 차량이 어디에 주로 주차하는지 해당 차량의 주차 위치를 통계화하고, 각 차량(번호정보)에 따른 통계정보를 이용하여 검증오류에 의해 정상 차량임에도 위변조로 검증하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신뢰도가 높은 차량이라면 위변조로 검증되더라도 검증오류에 의한 것일 확률이 높을 수 있으므로, 사용자별 위조 가능성 가중치를 고려하여 위변조 검증에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빈 주차구역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평소 주차하던 구역에 주차하지 않을 경우, 위변조 가능성은 높은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보안 강화형 주차 관제 시스템에서, 주차위치정보 및 주차구역빈도 통계정보를 포함하는 주차위치정보 데이터를 활용하여 검증하는 일 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주차위치정보 데이터는 주차구역빈도 통계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분석제어모듈은 출차 차량의 주차구역과, 상기 주차구역빈도 통계정보의 주차구역 이력을 비교하고 차종정보 또는 색상정보에 대한 위변조 기준을 보정하여 위변조 검증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차관리모듈은 출차 차량의 주차위치정보를 해당 번호정보에 매칭하고 데이터셋으로 분류하여 상기 주차위치정보 데이터의 주차구역빈도 통계정보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로, 상기 분석제어모듈은 출차 차량이 현재 주차한 구역이 해당 차량의 번호정보에 매칭된 주차구역빈도 통계정보에 1 회 이상 저장된 주차구역과 일치할 경우, 차종정보 또는 색상정보에 대한 위변조 기준을 완화하거나 차종정보 또는 색상정보에 대한 검증을 패스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일 예로, 상기 분석제어모듈은, 상기 추출정보의 차종정보 또는 색상정보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대응되는 정보와 일치하지 않을 경우, 하기 관계식 2를 만족하면 검증 오류로 인식하여 번호판이 정상인 것으로 판별하고, 하기 관계식 2를 만족하지 않으면 번호판이 위변조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입차/출차시간정보를 포함하는 출입시간정보 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출입제어모듈은 출입 차량의 번호정보에 출입 차량의 입차시간 또는 출차시간을 매칭하고 데이터셋으로 분류하여 상기 출입시간정보 데이터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출입시간정보 데이터는 출입횟수 통계정보 및 출입 평균 시간대 통계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관계식 2]
상기 관계식 2에서, Eu는 해당 번호정보의 오류가능성정보이고, Et는 전체 번호정보의 평균 오류가능성정보이며, E는 오류가능성정보, a는 출입횟수점수, b는 출입평균시간대일치점수, c는 주차구역빈도일치점수이며, P1+P2+P3=1이고 P1=0.1~0.3, P2=0.5~0.7, P1=0.1~0.3이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구체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구체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Claims (6)

  1. 제어부 및 차단부를 포함하는 관리단말을 포함하는 보안 강화형 주차 관제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어부는,
    출입 차량의 번호판 이미지 및 외관 이미지를 수신하는 입력모듈;
    상기 이미지들로부터 추출된 번호정보, 차종정보 및 색상정보를 포함하는 추출정보로부터 번호판의 위변조 진위를 판별 및 검증하는 분석제어모듈;
    상기 번호판의 위변조 여부에 따라 차량의 출입을 제어하는 출입제어모듈;
    주차위치정보 및 주차구역빈도 통계정보를 포함하는 주차위치정보 데이터, 번호정보 데이터, 차종정보 데이터 및 색상정보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출입 차량의 번호정보에 출입 차량의 주차위치정보를 매칭하고 데이터셋으로 분류하여 상기 주차위치정보 데이터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주차관리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분석제어모듈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차량의 번호정보, 상기 번호정보에 매칭된 차종정보 및 색상정보와, 상기 추출정보를 비교하여 번호판의 위변조 진위를 판별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번호정보 데이터에 상기 추출정보의 번호정보가 없을 경우, 해당 번호정보에 차종정보 및 색상정보를 매칭하고 데이터셋으로 분류하여 번호정보 데이터, 차종정보 데이터 및 색상정보 데이터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및 등록하며,
    출차 차량의 주차구역과, 상기 주차구역빈도 통계정보의 주차구역 이력을 비교하고 차종정보 또는 색상정보에 대한 위변조 기준을 보정하여 위변조 검증에 적용하며,
    외부로부터 현재 기상정보를 수신하고 날씨에 따라 색상정보에 대한 위변조 기준을 보정하여 위변조 검증에 적용하며,
    상기 출입제어모듈은,
    상기 분석제어모듈이 해당 번호판에 대해 정상인 것으로 판단할 경우, 상기 차단부에 오픈 명령을 송신하여 차량 출입을 허용하며,
    상기 분석제어모듈이 해당 번호판에 대해 위조된 것으로 판단할 경우, 상기 차단부에 오픈 명령을 송신하지 않고 차량 출입을 허용하지 않고 외부기관에 위변조 번호판 사용 알림을 제공하며,
    상기 주차관리모듈은 출차 차량의 주차위치정보를 해당 번호정보에 매칭하고 데이터셋으로 분류하여 상기 주차위치정보 데이터의 주차구역빈도 통계정보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상기 차단부는 차량의 출입을 물리적으로 제어하는 도어를 포함하되, 상기 출입제어모듈로부터 개폐명령을 수신하여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보안 강화형 주차 관제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 강화형 차량 출입관리 시스템은 정보추출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정보추출모듈는, 상기 입력모듈로부터 출입 차량의 번호판 이미지 및 외관 이미지를 수신하며, 상기 이미지들로부터 번호정보, 차종정보 및 색상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번호정보, 차종정보 및 색상정보를 상기 입력모듈로 송신하며,
    상기 입력모듈은 추출된 상기 정보들을 상기 분석제어모듈로 송신하는 보안 강화형 차량 출입관리 시스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입차/출차시간정보를 포함하는 출입시간정보 데이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출입제어모듈은 출입 차량의 번호정보에 출입 차량의 입차시간 또는 출차시간을 매칭하고 데이터셋으로 분류하여 상기 출입시간정보 데이터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보안 강화형 차량 출입관리 시스템.
  6. 삭제
KR1020230005399A 2022-03-23 2023-01-13 차량 번호판의 위변조 검증 기능을 가지는 보안 강화형 차량 출입관리 시스템 KR1026622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11765A KR20240023537A (ko) 2022-03-23 2024-01-25 차량 번호판의 위변조 검증 기능을 가지는 보안 강화형 차량 출입관리 시스템
KR1020240011748A KR20240026465A (ko) 2022-03-23 2024-01-25 차량 번호판의 위변조 검증 기능을 가지는 보안 강화형 차량 출입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5743 2022-03-23
KR20220035743 2022-03-23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11748A Division KR20240026465A (ko) 2022-03-23 2024-01-25 차량 번호판의 위변조 검증 기능을 가지는 보안 강화형 차량 출입관리 시스템
KR1020240011765A Division KR20240023537A (ko) 2022-03-23 2024-01-25 차량 번호판의 위변조 검증 기능을 가지는 보안 강화형 차량 출입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8391A KR20230138391A (ko) 2023-10-05
KR102662260B1 true KR102662260B1 (ko) 2024-04-30

Family

ID=88293984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5399A KR102662260B1 (ko) 2022-03-23 2023-01-13 차량 번호판의 위변조 검증 기능을 가지는 보안 강화형 차량 출입관리 시스템
KR1020240011765A KR20240023537A (ko) 2022-03-23 2024-01-25 차량 번호판의 위변조 검증 기능을 가지는 보안 강화형 차량 출입관리 시스템
KR1020240011748A KR20240026465A (ko) 2022-03-23 2024-01-25 차량 번호판의 위변조 검증 기능을 가지는 보안 강화형 차량 출입관리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11765A KR20240023537A (ko) 2022-03-23 2024-01-25 차량 번호판의 위변조 검증 기능을 가지는 보안 강화형 차량 출입관리 시스템
KR1020240011748A KR20240026465A (ko) 2022-03-23 2024-01-25 차량 번호판의 위변조 검증 기능을 가지는 보안 강화형 차량 출입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66226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0266B1 (ko) * 2020-09-08 2021-04-14 렉스젠(주) 영상 분석을 통한 차량 분류 장치,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방법
KR102352121B1 (ko) * 2021-07-15 2022-01-17 최대룡 차량번호 진위 탐지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7298A (ko) 2002-02-08 2003-08-14 이우중 무인 주차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60116875A (ko) * 2005-05-11 2006-11-15 엠텍비젼 주식회사 번호판 자동 인식을 통한 주차 관리 시스템, 방법 및 그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0266B1 (ko) * 2020-09-08 2021-04-14 렉스젠(주) 영상 분석을 통한 차량 분류 장치,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방법
KR102352121B1 (ko) * 2021-07-15 2022-01-17 최대룡 차량번호 진위 탐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6465A (ko) 2024-02-28
KR20230138391A (ko) 2023-10-05
KR20240023537A (ko) 2024-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94887B2 (en) Method and system for analyzing image identifications to identify an entity
CN112789611A (zh) 使用面部识别来标识和核实个体
US8301363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on of average speed of vehicles for traffic control
CN103824452B (zh) 一种轻量级的基于全景视觉的违章停车检测装置
KR20210013129A (ko) 차량의 도어록 해제 방법 및 장치, 시스템, 차량, 전자 기기 및 기억 매체
US20180268238A1 (en) System and methods for enhancing license plate and vehicle recognition
CN106384513B (zh) 一种基于智能交通的套牌车捕捉系统及方法
KR102174556B1 (ko) 차량번호 인식과 인공지능을 이용해 교통정보를 관제하는 영상감시장치
KR101636827B1 (ko) 차량 번호 인식시스템
KR102282800B1 (ko) 라이다와 영상카메라를 이용한 멀티 표적 추적 방법
CN107133563A (zh) 一种基于公安领域的视频分析系统及方法
KR20200092608A (ko) 공동현관 및 지하 주차장 출입문의 출입 인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 인증 방법
CN106327876B (zh) 一种基于行车记录仪的套牌车捕捉系统及方法
US11551477B2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ance monitoring and feedback for facial recognition systems
KR102662260B1 (ko) 차량 번호판의 위변조 검증 기능을 가지는 보안 강화형 차량 출입관리 시스템
KR102604009B1 (ko) 차량번호판 위조 대응 시스템 및 방법
KR102427535B1 (ko) 신분증 인식 기술을 활용한 비대면 주차 요금 감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108833A (ko) 영상인식 기술을 활용한 지능형 주차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13392683A (zh) 一种基于深度学习的地铁公交刷票及逃票行为的识别方法
KR102638715B1 (ko) 차량특성정보를 활용한 위조 차량번호판 식별시스템
CN114973655B (zh) 一种基于移动互联网的智能交通实时警报系统
Garibotto et al. Dynamic vision for license plate recognition
KR20220142869A (ko) 위조 차량번호판 식별장치
Balasubramanian et al. Next-Gen Parking Facilities: Deep Learning for Face and License Plate based Access
CN117334053A (zh) 一种智能扫描识别车牌app系统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