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2250B1 - Vr 콘텐츠 제공 장치 - Google Patents

Vr 콘텐츠 제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2250B1
KR102662250B1 KR1020210091821A KR20210091821A KR102662250B1 KR 102662250 B1 KR102662250 B1 KR 102662250B1 KR 1020210091821 A KR1020210091821 A KR 1020210091821A KR 20210091821 A KR20210091821 A KR 20210091821A KR 102662250 B1 KR102662250 B1 KR 1026622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amount
content
rotation
unit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1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11146A (ko
Inventor
정상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모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모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모샷
Priority to KR1020210091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2250B1/ko
Publication of KR20230011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11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22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22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2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66Image reproducers using viewer track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4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information/image processing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VR 콘텐츠 제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 박물관, 미술관, 전시회장과 같은 장소에서 전시되는 전시물과 전시자료를 효과적으로 관람하고 체험하도록 관람객들에게 HMD가 고정 설치된 VR 콘텐츠 제공 장치를 제공하고, 고정형 HMD를 통해 관람객들에게 VR 콘텐츠를 제공하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VR 콘텐츠 제공 장치{A apparatus for providing VR contents to visitors}
본 발명은 VR 콘텐츠 제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박물관, 미술관, 전시회장과 같은 장소에서 전시되는 전시물과 전시자료를 효과적으로 관람하고 체험하도록 관람객들에게 HMD가 고정 설치된 VR 콘텐츠 제공 장치를 제공하고, 고정형 HMD를 통해 관람객들에게 VR 콘텐츠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는 나날이 기술이 발달하면서 우리 생활도 편리하고 윤택해지고 있는 가운데, 4차산업혁명의 열풍으로 최근에는 웨어러블 전자장치(Wearable device)라 불리는 사람의 신체에 직접 착용되는 형태의 다양한 전자장치들이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는 실정이다.
여기서, 상기 웨어러블 전자장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스마트 안경(smart glass), 스마트 시계 또는 밴드(smart watch, wristband) 등이 있으며, 다양한 형태로 활발히 개발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상기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이하 'HMD')는 안경이나 모자, 헬멧 등의 형태로 사용자의 두부에 착용되어 렌즈 부위에 부착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영상을 제공하는 대표적인 웨어러블 전자장치로서 휴대성도 우수하여, HMD는 4차산업혁명 기술 중에 하나인 VR(Virtual Reality : 가상현실), AR(Augmented Reality : 증강현실)을 구현하기 위해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다.
또한, HMD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착용한 사용자의 양안에 파노라마 형태의 영상을 제공하므로, 일반 대형 디스플레이보다 작은 화면에서 더 넓은 화면을 제공하는 효과를 발생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느끼는 체감도와 만족도가 높다. 따라서 VR, AR 구현에 필요한 HMD 시장이 세계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종래에는 박물관, 미술관, 전시회장과 같은 장소에서 전시되는 전시물과 전시자료를 관람객들에게 제공하기 위해, 박물관, 미술관 등은 VR 콘텐츠를 만들고, 관람객들이 VR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도록 머리에 착용할 수 있는 휴대용 HMD를 제공하여 왔다.
그러나 관람객들이 VR 콘텐츠를 시청하기 위해 휴대용 HMD를 머리에 착용함으로 인해 시야 차단에 의한 안전사고 발생, 제공된 휴대용 HMD의 분실 및 파손의 문제가 있어 왔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머리에 착용할 수 있는 휴대용 HMD를 제공하는 대신, HMD가 고정 설치된 VR 콘텐츠 제공 장치를 관람객들에게 제공함으로서, 휴대용 HMD를 머리에 착용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안전사고 발생, 제공된 휴대용 HMD의 분실 및 파손이라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면서 박물관, 미술관, 전시회장과 같은 장소에서 전시되는 전시물과 전시자료를 효과적으로 관람하고 체험할 수 있는 VR 콘텐츠 제공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다음은 이와 관련한 종래의 선행기술들이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78675호 AR-VR 기술 기반의 몰입형 전시 시스템 및 그 방법 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124766호 혼합 현실 뷰어 시스템 및 방법 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86925호 가상현실 망원경
본 발명은 머리에 착용하는 휴대용 HMD로 인해 발생하는 안전사고, 제공된 휴대용 HMD의 분실 및 파손이라는 문제점 없이, 박물관, 미술관, 전시회장과 같은 장소에서 전시되는 전시물과 전시자료를 효과적으로 관람하고 체험하도록 관람객들에게 HMD가 고정 설치된 관람용 VR 콘텐츠 제공 장치를 통해 VR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관람객들의 조작에 의해 VR 콘텐츠의 상하, 좌우 회전뷰와 인터액션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VR 콘텐츠 제공 장치는,
바닥에 접하여 설치되고, 지주부(200)가 상측에 설치되는 베이스부(100)와;
상기 베이스부(100) 상측에 일정 길이로 직립 상태로 설치되는 원기둥 형상의 지주부(200)와;
상기 지주부(200) 일측에 고정식으로 설치되고, 제어부(600)의 제어에 따라 콘텐츠 저장부(500)에 저장된 관람용 VR 콘텐츠가 영상으로 표출되는 HMD(300)와;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지주부(200) 일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손잡이(400)와;
관람용 VR 콘텐츠가 저장되는 콘텐츠 저장부(500)와;
사용자가 관람용 VR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도록, 콘텐츠 저장부(500)에 저장된 관람용 VR 콘텐츠가 영상으로 HMD(300)에 표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박물관, 미술관, 전시회장과 같은 장소에서 전시되는 전시물과 전시자료를 효과적으로 관람하고 체험하도록 관람객들에게 HMD가 고정 설치된 VR 콘텐츠 제공 장치를 제공하므로, 전시되는 전시물과 전시자료를 VR(Virtual Reality: 가상현실)방식으로 효과적으로 관람하고 체험하도록 하여 방문한 관람객들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HMD가 고정 설치된 VR 콘텐츠 제공 장치를 제공하므로, 머리에 착용하는 휴대용 HMD로 인한 안전사고 발생, 제공된 휴대용 HMD의 분실 및 파손의 문제를 해결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손잡이에 VR 컨트롤러가 부착된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지주부에 복수의 HMD와 손잡이가 설치된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회전감지부와 제2 회전감지부 실시예 1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 회전감지부와 제2 회전감지부 실시예 2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지주부에 VR 컨트롤러가 부착된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기능 블록도
도 10은 본 발명의 HMD에 표출되는 VR 영상의 회전뷰 예시도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VR 콘텐츠 제공 장치(이하 본 발명)는 박물관, 미술관, 전시회장과 같은 장소에서 전시되는 전시물과 전시자료를 효과적으로 관람하고 체험하도록 관람객들에게 HMD가 고정 설치된 VR 콘텐츠 제공 장치를 제공하므로, 전시되는 전시물과 전시자료를 VR(Virtual Reality : 가상현실)방식으로 효과적으로 관람하고 체험하도록 하여 방문한 관람객들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고, 머리에 착용하는 휴대용 HMD로 인한 안전사고 발생, 제공된 휴대용 HMD의 분실 및 파손의 문제를 해결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발명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베이스부(100), 지주부(200), HMD(300), 손잡이(400), 콘텐츠 저장부(500), 제어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추가적으로 제1 회전감지부(700), 제2 회전감지부(800), VR 컨트롤러(9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VR 콘텐츠 제공 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에 접하여 설치되고, 지주부(200)가 상측에 설치되는 베이스부(100)와;
상기 베이스부(100) 상측에 일정 길이로 직립 상태로 설치되는 원기둥 형상의 지주부(200)와;
상기 지주부(200) 일측에 고정식으로 설치되고, 제어부(600)의 제어에 따라 콘텐츠 저장부(500)에 저장된 관람용 VR 콘텐츠가 영상으로 표출되는 HMD(300)와;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지주부(200) 일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손잡이(400)와;
관람용 VR 콘텐츠가 저장되는 콘텐츠 저장부(500)와;
사용자가 관람용 VR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도록, 콘텐츠 저장부(500)에 저장된 관람용 VR 콘텐츠가 영상으로 HMD(300)에 표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부(100)는 일정한 크기로 형성되어 바닥에 접하여 설치되고, 베이스부(100)의 상측에는 지주부(200)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부(100)는 지주부(200)의 하중을 지지하므로, 일정한 크기뿐만 아니라 일정한 하중을 견딜 수 있는 구조로 바닥에 접하여 설치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지주부(200)는 일정 길이의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베이스부(100)의 상측에 직립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지주부(200)에는 HMD(300), 손잡이(400), 제1 회전감지부(700), 제2 회전감지부(800), VR 컨트롤러(900) 등이 설치된다.
특히, 상기 지주부(200)는 일정높이로 베이스부(100)의 상측에 직립 상태로 설치되어 관람용 VR 콘텐츠의 영상이 표출되는 HMD(300)가 사용자의 눈높이에 해당하는 위치에 고정 설치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HMD(300)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로서, 사용자의 눈높이에 맞도록 일정 높이의 지주부(200) 일측에 고정식으로 설치된다.
상기 HMD(300)는 제어부(600)의 제어에 따라 콘텐츠 저장부(500)에 저장된 관람용 VR(Virtual Reality : 가상현실) 콘텐츠의 영상이 표출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손잡이(400)는 사용자가 양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지주부(200) 일측에 좌우 한 쌍으로 설치된다.
상기 손잡이(400)는 HMD(300)에서 표출되는 관람용 VR 콘텐츠의 영상에 좌우, 상하 회전뷰가 반영되도록 하기 위해, 지주부(200)에 대해 손잡이(400)가 회전되도록 하거나, 베이스부(100)에 대해 지주부(200)가 회전되도록 사용자가 파지하는 구성이다.
특히, 좌우 한 쌍의 손잡이(400)는 도 6과 같이 지주부(200)에 고정 설치되는 제1 손잡이(410)와 지주부(200)에 대해 상하 회전이 가능한 제2 손잡이(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사용자가 한 쌍의 손잡이(400)를 파지한 상태에서 지주부(200)에 대해 한 쌍의 손잡이(400) 전체를 좌우 회전시키거나, 베이스부(100)에 대해 지주부(200)를 좌우 회전시키면, 후술할 제1 회전감지부(700)는 좌우 회전량을 감지하여 제1 회전량 정보를 제어부(600)로 제공하고, 상기 제어부(600)는 제1 회전량 정보에 따라 좌우 회전뷰가 반영된 관람용 VR 콘텐츠의 영상이 HMD(300)에서 표출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사용자가 한 쌍의 손잡이(400)를 파지한 상태에서 지주부(200)에 대해 상하 회전이 가능한 제2 손잡이(420)를 상하 회전시키면, 후술할 제2 회전감지부(800)는 상하 회전량을 감지하여 제2 회전량 정보를 제어부(600)로 제공하고, 상기 제어부(600)는 제2 회전량 정보에 따라 상하 회전뷰가 반영된 관람용 VR 콘텐츠의 영상이 HMD(300)에서 표출되도록 제어한다.
한편, 본 발명은 박물관, 미술관, 전시회장과 같은 장소에 방문하는 어린이 사용자들의 작은 키를 고려하여, 도 5와 같이, 상기 HMD(300)와 한 쌍의 손잡이(400)를 높이를 달리하여 복수개가 지주부(200) 상에 설치되도록 하여 키가 작은 어린이 사용자들도 충분히 본 발명을 통해 관람용 VR 콘텐츠의 영상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콘텐츠 저장부(500)는 관람용 VR 콘텐츠가 저장되는 일종의 저장장치로서, 컴퓨터의 하드디스크(HDD) 또는 SSD(Solid State Drive)일 수 있다.
상기 콘텐츠 저장부(500)는 베이스부(100) 내부에 설치되거나 본 발명인 VR 콘텐츠 제공 장치(10) 외부에 설치가 가능한데, 관람자들의 관람을 방해하지 않도록 콘텐츠 저장부(500)는 베이스부(100) 내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600)는 사용자가 관람용 VR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도록 콘텐츠 저장부(500)에 저장된 관람용 VR 콘텐츠가 영상으로 HMD(300)에 표출되도록 제어하는 구성이다.
특히, 상기 제어부(600)는 후술할 제1 회전감지부(700)와 제2 회전감지부(800)가 제공하는 제1, 2 회전량 정보에 따라 HMD(300)를 통해 표출되는 관람용 VR 콘텐츠의 영상에 좌우, 상하 회전뷰가 반영되도록 제어하고, 후술할 VR 컨트롤러(900)가 제공하는 제어신호에 따라 HMD(300)를 통해 표출되는 관람용 VR 콘텐츠의 영상에 사용자의 인터액션이 반영되도록 제어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한편, 본 발명은 사용자가 관람용 VR 콘텐츠의 영상을 시청할 때 몰입감을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관람용 VR 콘텐츠의 영상에 좌우, 상하 회전뷰가 반영되도록 하는데, 관람용 VR 콘텐츠의 영상에 좌우, 상하 회전뷰가 반영되도록 하기 위해, 도 4, 7과 같이, 제1 회전감지부(700), 제2 회전감지부(8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상기 손잡이(400)가 지주부(200)에 대해 좌우 회전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지주부(200)에 대한 손잡이(400)의 좌우 회전량을 감지하고, 감지한 회전량에 대한 정보인 제1 회전량 정보를 제어부(600)로 제공하는 제1 회전감지부(700)와;
상기 한 쌍의 손잡이(400) 중 어느 하나가 지주부(200)에 대해 상하 회전 가능하도록 하고, 회전 가능한 어느 하나의 손잡이(400)의 상하 회전량을 감지하고, 감지된 회전량에 대한 정보인 제2 회전량 정보를 제어부(600)로 제공하는 제2 회전감지부(8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제1 회전감지부(700)는 도 4와 같이 제1 회전감지부(700)를 지주부(200) 상에 형성시키는 실시예 1과 도 7과 같이 제1 회전감지부(700)를 베이스부(100) 상에 형성시키는 실시예 2로 구분된다.
제1 회전감지부(700)의 실시예 1은 한 쌍의 손잡이(400)를 파지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지주부(200)에 대해 한 쌍의 손잡이(400)가 좌우 회전 가능하도록 하고, 지주부(200)의 좌우 회전량을 감지하여 제1 회전량 정보를 제어부(600)로 제공하는 구성으로서, 제1 베어링구조체(710), 제1 회전감지센서(720), 링형 회전체(7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회전감지부(700)의 실시예 1은 도 6과 같이,
지주부(200)와 링형 회전체(730) 사이에 형성되고, 링형 회전체(730)가 지주부(200) 상에서 좌우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제1 베어링구조체(710)와,
지주부(200) 상에 형성되고, 지주부(200)에 대한 링형 회전체(730)의 좌우 회전량을 감지하고, 감지한 좌우 회전량에 대한 제1 회전량 정보를 제어부(600)로 제공하는 제1 회전감지센서(720)와,
한 쌍의 손잡이(400)가 결합되고, 제1 베어링구조체(710)에 의해 지주부(200) 에 대해 좌우 회전하는 링형 회전체(7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1 베어링구조체(710)는 지주부(200)와 링형 회전체(730) 사이에 형성되어 한 쌍의 손잡이(400)를 파지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손잡이(400)가 지주부(200) 상에서 좌우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지주부(200) 외면과 링형 회전체(730) 사이에 삽입 설치되는 일반적인 베어링 구조체이다.
상기 제1 회전감지센서(720)는 지주부(200) 상에 형성되어 지주부(200)에 대해 좌우 회전하는 링형 회전체(730)의 좌우 회전량을 감지하고, 감지된 회전량에 대한 제1 회전량 정보를 제어부(600)로 제공한다.
상기 링형 회전체(730)에는 한 쌍의 손잡이(400)인 제1 손잡이(410)와 제2 손잡이(420)가 각각 결합되고, 한 쌍의 손잡이(400)를 파지한 사용자 조작에 의해 제1 베어링구조체(710)에 의해 지주부(200)에 대해 좌우 회전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600)는 HMD(300)를 통한 관람용 VR 콘텐츠의 영상 표출 제어 시, 제1 회전감지센서(720)가 제공한 제1 회전량 정보에 해당하는 좌우 회전뷰가 반영된 VR 영상이 표출되도록 제어되도록 제어한다. 도 10의 A 그림은 좌측 방향의 회전뷰가 적용된 VR 영상이 예시되어 있다.
제1 회전감지부(700)의 실시예 2는 한 쌍의 손잡이(400)를 파지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베이스부(100)에 대해 지주부(200)가 좌우 회전 가능하도록 하고, 지주부(200)의 좌우 회전량을 감지하여 제1 회전량 정보를 제어부(600)로 제공하는 구성으로서, 제1 베어링구조체(711), 제1 회전감지센서(72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회전감지부(700)의 실시예 2는 도 7과 같이,
베이스부(100) 상에 형성되고, 지주부(200)가 관통 설치되어, 지주부(200)가 좌우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제1 베어링구조체(711)와,
지주부(200) 상에 형성되고, 지주부(200)의 좌우 회전량을 감지하고, 감지한 좌우 회전량에 대한 제1 회전량 정보를 제어부(600)로 제공하는 제1 회전감지센서(72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1 베어링구조체(711)는 베이스부(100) 상에 형성되고 지주부(200)가 관통 설치되어 한 쌍의 손잡이(400)를 파지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지주부(200)가 베이스부(100)에 대해 좌우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일반적인 베어링 구조체를 의미한다.
상기 제1 회전감지센서(721)는 지주부(200) 상에 형성되어 베이스부(100)에 대해 좌우 회전하는 지주부(200)의 좌우 회전량을 감지하고, 감지된 회전량에 대한 제1 회전량 정보를 제어부(600)로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600)는 HMD(300)를 통한 관람용 VR 콘텐츠의 영상 표출 제어 시, 제1 회전감지센서(721)가 제공한 제1 회전량 정보에 해당하는 좌우 회전뷰가 반영된 VR 영상이 표출되도록 제어되도록 제어한다. 도 10의 A 그림은 좌측 방향의 회전뷰가 적용된 VR 영상이 예시되어 있다.
상기 제2 회전감지부(800)는 상기 한 쌍의 손잡이(400) 중 어느 하나가 상하 회전 가능하도록 하고, 회전 가능한 어느 하나의 손잡이(400)의 상하 회전량을 감지하고, 감지된 회전량에 대한 정보인 제2 회전량 정보를 제어부(600)로 제공하는 구성으로서, 제1 회전감지부(700)의 실시예 1, 2에 따라 도 6, 7과 같이 실시예 1, 2로 구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회전감지부(800) 실시예 1은 도 6과 같이,
한 쌍의 손잡이(400) 중 어느 하나가 상하 회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제1 회전감지부(700)의 링형 회전체(730)에 형성된 관통구에 형성되는 제2 베어링구조체(810)와,
상기 한 쌍의 손잡이(400) 중 회전 가능한 어느 하나의 손잡이(400)의 상하 회전량을 감지하고, 감지된 회전량에 대한 정보인 제2 회전량 정보를 제어부(600)로 제공하는 제2 회전감지센서(8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 쌍의 손잡이(400)는 고정된 제1 손잡이(410)와 상하 회전이 가능한 제2 손잡이(420)로 구분되므로, 도 6과 같이, 상기 제2 베어링구조체(810)는 제2 손잡이(420)가 상하 회전이 가능하게 제1 회전감지부(700)의 링형 회전체(730)에 형성된 관통구(제2 손잡이(420)가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된 구멍)에 형성되고, 상하 회전이 가능한 제2 손잡이(420)는 제2 베어링구조체(810)에 관통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2 회전감지센서(820)는 상하 회전이 되는 제2 손잡이(420)의 상하 회전량을 감지하고, 감지된 회전량에 대한 정보인 제2 회전량 정보를 제어부(600)로 제공한다.
이때, 제어부(600)는 HMD(300)를 통한 관람용 VR 콘텐츠의 영상 표출 제어 시, 제2 회전감지센서(820)가 제공한 제2 회전량 정보에 해당하는 상화 회전뷰가 반영된 VR 영상이 표출되도록 제어되도록 제어한다. 도 10의 B 그림은 상측 방향의 회전뷰가 적용된 VR 영상이 예시되어 있다.
상기 제2 회전감지부(800) 실시예 2는 도 7과 같이,
한 쌍의 손잡이(400) 중 어느 하나가 상하 회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지주부(200) 상에 형성되는 제2 베어링구조체(811)와,
상기 한 쌍의 손잡이(400) 중 회전 가능한 어느 하나의 손잡이(400)의 상하 회전량을 감지하고, 감지된 회전량에 대한 정보인 제2 회전량 정보를 제어부(600)로 제공하는 제2 회전감지센서(82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 베어링구조체(811)는 상하 회전 가능한 손잡이(이하 제2 손잡이(420))가 상하 회전이 가능하게 지주부(200) 상에 형성되고, 상하 회전이 가능한 제2 손잡이(420)는 제2 베어링구조체(810)에 관통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2 회전감지센서(821)는 상하 회전이 되는 제2 손잡이(420)의 상하 회전량을 감지하고, 감지된 회전량에 대한 정보인 제2 회전량 정보를 제어부(600)로 제공한다.
이때, 제어부(600)는 HMD(300)를 통한 관람용 VR 콘텐츠의 영상 표출 제어 시, 제2 회전감지센서(821)가 제공한 제2 회전량 정보에 해당하는 상화 회전뷰가 반영된 VR 영상이 표출되도록 제어되도록 제어한다. 도 10의 B 그림은 상측 방향의 회전뷰가 적용된 VR 영상이 예시되어 있다.
따라서 상술한 제1, 2 회전감지부(700, 800)를 통해, 본 발명은 사용자가 관람용 VR 콘텐츠의 영상을 시청할 때 높은 몰입감과 체험을 느낄 수 있도록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상하, 좌우 회전뷰가 반영된 관람용 VR 영상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HMD(300)를 통해 표출되는 관람용 VR 콘텐츠의 영상에 대해 사용자가 인터액션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제어부(600)로 제공하는 VR 컨트롤러(9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제어부(600)는, 도 9와 같이, VR 컨트롤러(900)에서 제공되는 인터액션 제어신호에 따른 영상 처리가 반영된 관람용 VR 영상이 HMD(300)에 제공되도록 한다.
상기 VR 컨트롤러(900)는 HMD(300)를 통해 표출되는 관람용 VR 콘텐츠의 영상에 대해 사용자가 인터액션(interaction)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제어부(600)로 제공하는 일종의 VR 영상 제어용 입력장치로서, VR 컨트롤러(900)를 통해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인터액션(interaction)에 관한 제어신호를 입력하게 되는데, 인터액션이란 예를 들어, 관람용 VR 영상속에서 문을 열거나, 사물을 만지거나, 아바타(avatar)를 접하거나, 탈것을 타는 행위 등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관람용 VR 영상 속에서 사용자가 각종 상황에 대처하도록 하여 몰입감을 높이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은 VR 컨트롤러(900) 일측에 형성되는 자석(910)과 지주부(200)와 VR 컨트롤러(900)를 연결하는 도난방지줄(92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자석(910)은 VR 컨트롤러(900) 일측에 형성되어 도 4와 같이 손잡이(400) 표면 일측이나 도 8과 같이 지주부(200) 표면 일측에 VR 컨트롤러(900)가 자력에 의해 탈부착 방식으로 부착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도난방지줄(920)은 지주부(200)와 VR 컨트롤러(900)를 연결하는 일종의 금속 재질의 줄로서, 상기 도난방지줄(920)에 의해 VR 컨트롤러(900)가 분실되거나 떨어져서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 : VR 영상제공장치
20 : 외부서버
100 : 베이스부
200 : 지주부
300 : HMD
400 : 손잡이
500 : 콘텐츠 저장부
600 : 제어부
700 : 제1 회전감지부
800 : 제2 회전감지부
900 : VR 컨트롤러

Claims (9)

  1. 관람용 VR 콘텐츠를 제공하는 VR 콘텐츠 제공 장치에 있어서,
    바닥에 접하여 설치되고, 지주부(200)가 상측에 설치되는 베이스부(100)와;
    상기 베이스부(100) 상측에 일정 길이로 직립 상태로 설치되는 원기둥 형상의 지주부(200)와;
    상기 지주부(200) 일측에 고정식으로 설치되고, 제어부(600)의 제어에 따라 콘텐츠 저장부(500)에 저장된 관람용 VR 콘텐츠가 영상으로 표출되는 HMD(300)와;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지주부(200) 일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손잡이(400)와;
    관람용 VR 콘텐츠가 저장되는 콘텐츠 저장부(500)와;
    사용자가 관람용 VR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도록, 콘텐츠 저장부(500)에 저장된 관람용 VR 콘텐츠가 영상으로 HMD(300)에 표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600)와;
    상기 지주부(200)에 대한 손잡이(400)의 좌우 회전량을 감지하고, 감지한 회전량에 대한 정보인 제1 회전량 정보를 제어부(600)로 제공하는 제1 회전감지부(700)와;
    회전 가능한 어느 하나의 손잡이(400)의 상하 회전량을 감지하고, 감지된 회전량에 대한 정보인 제2 회전량 정보를 제어부(600)로 제공하는 제2 회전감지부(800)를 포함하되,

    상기 손잡이(400)는 지주부(200)에 대해 좌우 회전 가능하고,
    상기 한 쌍의 손잡이(400) 중 어느 하나는 상하 회전 가능하며,
    상기 제어부(600)는 HMD(300)를 통한 관람용 VR 콘텐츠의 영상 표출 제어 시, 제1 회전감지부(700)가 제공한 제1 회전량 정보에 해당하는 좌우 회전뷰가 반영된 VR 영상이 표출되도록 제어하고, 제2 회전부(800)가 제공한 제2 회전량 정보에 해당하는 상하 회전뷰가 반영된 VR 영상이 표출되도록 제어하되,

    상기 제1 회전감지부(700)는,
    지주부(200)와 링형 회전체(730) 사이에 형성되고, 링형 회전체(730)가 지주부(200) 상에서 좌우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제1 베어링구조체(710)와,
    지주부(200) 상에 형성되고, 지주부(200)에 대한 링형 회전체(730)의 좌우 회전량을 감지하고, 감지한 좌우 회전량에 대한 제1 회전량 정보를 제어부(600)로 제공하는 제1 회전감지센서(720)와,
    한 쌍의 손잡이(400)가 결합되고, 제1 베어링구조체(710)에 의해 지주부(200) 에 대해 좌우 회전하는 링형 회전체(730)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회전감지부(800)는,
    한 쌍의 손잡이(400) 중 어느 하나가 상하 회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제1 회전감지부(700)의 링형 회전체(730)에 형성된 관통구에 형성되는 제2 베어링구조체(810)와,
    상기 한 쌍의 손잡이(400) 중 회전 가능한 어느 하나의 손잡이(400)의 상하 회전량을 감지하고, 감지된 회전량에 대한 정보인 제2 회전량 정보를 제어부(600)로 제공하는 제2 회전감지센서(8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 콘텐츠 제공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HMD(300)와 한 쌍의 손잡이(400)는 높이를 달리하여 복수개가 지주부(200) 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 콘텐츠 제공 장치.
  3. 삭제
  4. 삭제
  5. 관람용 VR 콘텐츠를 제공하는 VR 콘텐츠 제공 장치에 있어서,
    바닥에 접하여 설치되고, 지주부(200)가 상측에 설치되는 베이스부(100)와;
    상기 베이스부(100) 상측에 일정 길이로 직립 상태로 설치되는 원기둥 형상의 지주부(200)와;
    상기 지주부(200) 일측에 고정식으로 설치되고, 제어부(600)의 제어에 따라 콘텐츠 저장부(500)에 저장된 관람용 VR 콘텐츠가 영상으로 표출되는 HMD(300)와;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지주부(200) 일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손잡이(400)와;
    관람용 VR 콘텐츠가 저장되는 콘텐츠 저장부(500)와;
    사용자가 관람용 VR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도록, 콘텐츠 저장부(500)에 저장된 관람용 VR 콘텐츠가 영상으로 HMD(300)에 표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600)와;
    상기 베이스부(100)에 대한 지주부(200)의 회전량을 감지하고, 감지한 회전량에 대한 정보인 제1 회전량 정보를 제어부(600)로 제공하는 제1 회전감지부(700)와;
    상기 지주부(200)에 대한 상기 한 쌍의 손잡이(400) 중 어느 하나의 회전량을 감지하고, 감지된 회전량에 대한 정보인 제2 회전량 정보를 제어부(600)로 제공하는 제2 회전감지부(800)를 포함하되,

    상기 지주부(200)는 베이스부(100)에 대해 좌우 회전 가능하고,
    상기 한 쌍의 손잡이(400) 중 어느 하나는 지주부(200)에 대해 회전 가능하며,
    상기 제어부(600)는 HMD(300)를 통한 관람용 VR 콘텐츠의 영상 표출 제어 시, 제1 회전감지부(700)가 제공한 제1 회전량 정보에 해당하는 좌우 회전뷰가 반영된 VR 영상이 표출되도록 제어하고, 제2 회전부(800)가 제공한 제2 회전량 정보에 해당하는 상하 회전뷰가 반영된 VR 영상이 표출되도록 제어하되,

    상기 제1 회전감지부(700)는,
    베이스부(100) 상에 형성되고, 지주부(200)가 관통 설치되어, 지주부(200)가 좌우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제1 베어링구조체(711)와,
    지주부(200) 상에 형성되고, 지주부(200)의 좌우 회전량을 감지하고, 감지한 좌우 회전량에 대한 제1 회전량 정보를 제어부(600)로 제공하는 제1 회전감지센서(721)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회전감지부(800)는,
    한 쌍의 손잡이(400) 중 어느 하나가 상하 회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지주부(200) 상에 형성되는 제2 베어링구조체(811)와,
    상기 한 쌍의 손잡이(400) 중 지주부(200)에 대해 회전 가능한 어느 하나의 손잡이(400)의 상하 회전량을 감지하고, 감지된 회전량에 대한 정보인 제2 회전량 정보를 제어부(600)로 제공하는 제2 회전감지센서(8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 콘텐츠 제공 장치.
  6. 삭제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HMD(300)를 통해 표출되는 관람용 VR 콘텐츠의 영상에 대해 사용자가 인터액션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제어부(600)로 제공하는 VR 컨트롤러(900)를 더 포함하고,
    이 경우, 상기 제어부(600)는,
    VR 컨트롤러(900)에서 제공되는 제어신호에 따른 영상 처리가 반영된 관람용 VR 영상을 HMD(300)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 콘텐츠 제공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VR 컨트롤러(900) 일측에 형성되는 자석(910)과,
    지주부(200)와 VR 컨트롤러(900)를 연결하는 도난 방지줄(92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자석(910)의 자력에 의해 VR 컨트롤러(900)는 손잡이(400) 표면 또는 지주부(200) 표면에 탈부착 형식으로 부착 설치되고,
    상기 도난 방지줄(920)에 의해 VR 컨트롤러(900)의 분실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 콘텐츠 제공 장치.
  9.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저장부(500)는 베이스부(100) 내부에 설치되거나 VR 콘텐츠 제공 장치 외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 콘텐츠 제공 장치.
KR1020210091821A 2021-07-13 2021-07-13 Vr 콘텐츠 제공 장치 KR1026622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1821A KR102662250B1 (ko) 2021-07-13 2021-07-13 Vr 콘텐츠 제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1821A KR102662250B1 (ko) 2021-07-13 2021-07-13 Vr 콘텐츠 제공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1146A KR20230011146A (ko) 2023-01-20
KR102662250B1 true KR102662250B1 (ko) 2024-04-30

Family

ID=85108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1821A KR102662250B1 (ko) 2021-07-13 2021-07-13 Vr 콘텐츠 제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2250B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9883B1 (ko) * 2015-11-06 2017-10-25 주식회사 한영엔지니어링 스핀 가상 현실 시뮬레이터
KR20170129536A (ko) * 2016-05-17 2017-11-27 주식회사 드론오렌지 Vr 관광 망원경 및 그 제어 방법
US20180255285A1 (en) 2017-03-06 2018-09-06 Universal City Studio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layered virtual features in an amusement park environment
KR20190036864A (ko) * 2017-09-28 2019-04-05 주식회사 아인픽춰스 가상현실 전망용 망원경, 이를 이용한 전망용 가상현실 구동 방법 및 매체에 기록된 어플리케이션
KR20190078675A (ko) 2017-12-12 2019-07-05 주식회사 버넥트 Ar-vr 기술 기반의 몰입형 전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86925B1 (ko) 2018-11-23 2020-03-09 김진규 가상현실 망원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1146A (ko) 2023-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73593B2 (ja) 入出力構造を有する着用可能な装置
US8692845B2 (en) Head-mounted display control with image-content analysis
US8619005B2 (en) Switchable head-mounted display transition
US10229541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navigation within virtual reality space using head mounted display
US9111498B2 (en) Head-mounted display with environmental state detection
JP6083880B2 (ja) 入出力機構を有する着用可能な装置
US8780014B2 (en) Switchable head-mounted display
CN101098491B (zh) 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JPWO2005122128A1 (ja) 装着型情報提示装置
US20120050140A1 (en) Head-mounted display control
EP3714318B1 (en) Position tracking system for head-mounted displays that includes sensor integrated circuits
US20120182206A1 (en) Head-mounted display control with sensory stimulation
JP6642430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画像表示システム
WO2015170520A1 (ja) 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US20120050044A1 (en) Head-mounted display with biological state detection
JP2006301654A (ja) 画像呈示装置
Schweizer Smart glasses: technology and applications
JP6799603B2 (ja) 映像表示システム及び映像表示方法、映像表示プログラム
KR102662250B1 (ko) Vr 콘텐츠 제공 장치
US11051005B2 (en) Virtual realit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of virtual reality device
WO2019225354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1269411B1 (en) Gaze dependent ocular mode controller for mixed reality
CN108267860A (zh) 头戴式显示装置
JP2000308092A (ja) 立体視眼鏡装置
KR102286517B1 (ko) 컨트롤러 입력에 따른 회전 구동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