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2147B1 - 맨홀 내부에 설치되는 리프트 장치 - Google Patents

맨홀 내부에 설치되는 리프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2147B1
KR102662147B1 KR1020230170374A KR20230170374A KR102662147B1 KR 102662147 B1 KR102662147 B1 KR 102662147B1 KR 1020230170374 A KR1020230170374 A KR 1020230170374A KR 20230170374 A KR20230170374 A KR 20230170374A KR 102662147 B1 KR102662147 B1 KR 1026621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gth
board
lift
support
man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70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혜린
기민경
조은별
Original Assignee
김혜린
기민경
조은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혜린, 기민경, 조은별 filed Critical 김혜린
Priority to KR1020230170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21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2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21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27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vices for impeding fall or injuries of per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22Steps or handrails for shaft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11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1Height being adjus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의 맨홀 내부에 설치되는 리프트 장치는 맨홀 내부 지면 상에 배치된 안전 보드; 상기 안전 보드와 연결되며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에 의해 높이가 조절되며, 발을 고정할 수 있는 발 고정대 및 손잡이를 포함하는 리프트 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맨홀 내부에 설치되는 리프트 장치{LIFT DEVICE INSTALLED INSIDE A MANHOLE}
본원 발명은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 안전을 위해 맨홀 내부에 설치되는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맨홀 추락 사고는 불완전한 맨홀 설치, 작업 중 부주의 및 맨홀 내 환경 문제에 의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안전 교육을 실시하거나 적절한 덮개 및 보호 장치가 있으나, 부주의 등으로 인해 완전하게 사고를 예방하기는 어렵다. 또한, 맨홀 내부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질식 사고도 자주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맨홀 내부의 환경을 인식하고, 맨홀 아래 지면까지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본원 발명의 일 과제는 맨홀 내부에 설치되는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 내부에 설치되는 리프트 장치는 맨홀 내부 지면 상에 배치된 안전 보드; 상기 안전 보드와 연결되며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에 의해 높이가 조절되며, 발을 고정할 수 있는 발 고정대 및 손잡이를 포함하는 리프트 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대는 제1 바디 및 제2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바디는 상기 리프트 보드와 연결되어, 상기 리프트 보드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제2 바디에 인입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안전 보드에 수용된 제어 장치에 의해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리프트 보드는 손전등을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리프트 보드의 일면 상에 설치된 고정 장치에 연결되고, 사용되지 않을 때에는 제1 길이를 가지고 사용될 때에는 상기 제1 길이보다 긴 제2 길이를 가지도록 탄력성 있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 장치는, 사용자 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지지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안전 보드는 내부에 산소 측정 장치를 수용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산소 측정 장치의 센싱값이 기준값 이상인 경우에만 상기 리프트 보드가 하강하도록 상기 지지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맨홀 내부에 설치되는 리프트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리프트 장치를 조절하는 예시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는 본원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원 발명의 사상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원 발명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원 발명의 범위는 본원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수정예 또는 변형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원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본원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의도, 판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다만, 이와 달리 특정한 용어를 임의의 의미로 정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용어의 의미에 관하여 별도로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진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원 발명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면에 도시된 형상은 본원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과장되어 표시된 것일 수 있으므로 본원 발명이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본원 발명에 관련된 공지의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원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필요에 따라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장치는 안전 보드(100), 지지대(200) 및 리프트 보드(3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세 가지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리프트 장치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리프트 장치는 이보다 적거나 더 많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안전 보드(100)는 맨홀 내부 지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안전 보드(100)는 리프트 장치의 베이스 구조물로서 리프트 장치가 동작할 수 있는 지지 구조물일 수 있다. 안전 보드(100)는 내부에 여러가지 장치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과 같이 안전 보드(100)는 사각형 형태의 박스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안전 보드(100)는 내부에 제어 장치 등 리프트 장치가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 장치들을 수용할 수 있다. 이에, 안전 보드(100)에 의해 내부에 수용된 장치들은 빗물, 습기, 쓰레기 등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안전 보드(100)에 수용되는 제어 장치는 사용자 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리프트 장치는 통신 모듈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리프트 장치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리프트 장치는 통신 모듈을 통새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지지대(2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안전 보드(100)는 내부에 산소 측정 장치(110)를 수용할 수 있다. 산소 측정 장치(110)는 센싱한 결과값(센싱값)을 제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 장치는 산소 측정 장치(110)로부터 수신한 센싱값과 기준값을 비교할 수 있다. 제어 장치는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지지대(2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장치는 센싱값이 기준값 이상인 경우에만 리프트 보드(300)가 하강하도록 지지대(2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제어 장치는 센싱값이 기준값 미만이더라도 리프트 보드(300)가 상승하도록 지지대(200)의 길이를 조절할 수도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제어 장치는 센싱값이 95 이상인 경우에만 지지대(2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어 장치는 산소 측정 장치(110)의 센싱값과 기준값을 비교함으로써, 맨홀 내부에서 일어날 수 있는 질식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리프트 장치는 안전 보드(100)와 연결되며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지지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안전 보드(100)와 연결된 4개의 지지대(200)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지지대(200)의 개수는 1, 2, 3, 5 등이 될 수 있다.
지지대(200)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대(200)는 유압 실린더로서 안전 보드(100)에 수용된 유압 실린더 제어 장치를 통해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지지대(200)는 복수의 바디를 포함하고, 바디들의 인입을 통해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지지대(200)는 제1 바디 및 제2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대(200)는 제1 바디와 제2 바디가 연결되고, 제1 바디는 리프트 보드(300)와 가깝게 배치되고 제2 바디는 안전 보드(100)와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바디는 리프트 보드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바디는 리프트 보드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제2 바디에 인입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지지대(200)는 삼단봉의 원리에 의해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리프트 장치는 지지대(200)에 의해 높이가 조절되는 리프트 보드(300)를 포함할 수 있다. 리프트 보드(300)는 사용자(작업자)의 발 또는 그 외 신체의 일부(예, 엉덩이)를 지지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리프트 보드(300)는 발을 고정할 수 있는 발 고정대(310) 및 손잡이(3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리프트 보드(300)는 손전등을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330)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발 고정대(310)는 일단과 타단은 리프트 보드(300)에 고정되는 형태로 리프트 보드(300)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발 고정대(310)에 발을 끼워서 발을 고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리프트 보드(300) 상의 일 영역이 움푹 패여 발을 수용할 수 있는 형태 등으로 발 고정대(310)의 형태는 다양할 수 있다.
손잡이(320)는 리프트 보드(300)의 일면 상에 설치된 고정 장치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사용자가 움켜쥘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손잡이(320)는 사용되지 않을 때에는 제1 길이를 가지고, 사용될 때에는 제1 길이보다 긴 제2 길이를 가지도록 길이가 조절될 수도 있다.
리프트 보드(300)의 하단에는 그물망(340)이 설치될 수 있다. 그물망(340)은 다양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물망(340)은 맨홀 구멍을 통해 유입될 수 있는 쓰레기 등을 거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그물망(340)은 사용자가 추락할 경우에 사용자를 받칠 수 있는 안전 장치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2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리프트 장치를 조절하는 예시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리프트 장치의 제어 장치로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리프트를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직접적으로 맨홀 내부에 있는 제어 장치를 조절하지 않고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리프트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7)

  1. 맨홀의 하부 바닥면 상에 배치되고, 내부에 산소 측정 장치를 포함하는 안전 보드;
    상기 안전 보드와 연결되며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의해 높이가 조절되며, 발을 고정할 수 있는 발 고정대, 손잡이 및 손전등을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를 포함하는 리프트 보드; 및
    협잡물을 거르거나 사용자의 안전을 위해 상기 리프트 보드의 하단에 설치되는 그물망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는 제1 바디 및 제2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바디는 상기 리프트 보드와 연결되어, 상기 리프트 보드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제2 바디에 인입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지지대는 상기 안전 보드에 수용된 제어 장치에 의해 길이가 조절되고,
    상기 손잡이는,
    상기 리프트 보드의 일면 상에 설치된 고정 장치에 연결되고, 사용되지 않을 때에는 제1 길이를 가지고 사용될 때에는 상기 제1 길이보다 긴 제2 길이를 가지도록 길이가 조절되고,상기 제어 장치는,
    사용자 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지지대의 길이를 조절하고,
    상기 산소 측정 장치의 센싱값이 기준값 이상인 경우에만 상기 리프트 보드가 하강하도록 상기 지지대의 길이를 조절하되, 상기 산소 측정 장치의 센싱값과 상관없이 상기 리프트 보드가 상승하도록 상기 지지대의 길이를 조절하는
    맨홀 내부에 설치되는 리프트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30170374A 2023-11-30 2023-11-30 맨홀 내부에 설치되는 리프트 장치 KR1026621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70374A KR102662147B1 (ko) 2023-11-30 2023-11-30 맨홀 내부에 설치되는 리프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70374A KR102662147B1 (ko) 2023-11-30 2023-11-30 맨홀 내부에 설치되는 리프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2147B1 true KR102662147B1 (ko) 2024-04-30

Family

ID=90884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70374A KR102662147B1 (ko) 2023-11-30 2023-11-30 맨홀 내부에 설치되는 리프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214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6044U (ko) * 2009-12-10 2011-06-16 박덕만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안전난간대
JP2014213956A (ja) * 2013-04-22 2014-11-17 ニチユ三菱フォークリフト株式会社 荷役車両及び荷役車両制御システム
KR20150112457A (ko) * 2014-03-28 2015-10-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다기능 트롤리
KR20180116062A (ko) * 2017-04-14 2018-10-24 서진호 작업용 발판
KR101955416B1 (ko) * 2017-12-04 2019-03-08 주식회사 대불조선 중장비를 이용하여 승강 및 좌우 이동이 가능한 선미 축/타계 작업대
KR102452846B1 (ko) * 2022-05-26 2022-10-11 주식회사 코아스 맨홀 내 작업자 안전을 위한 점검차량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6044U (ko) * 2009-12-10 2011-06-16 박덕만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안전난간대
JP2014213956A (ja) * 2013-04-22 2014-11-17 ニチユ三菱フォークリフト株式会社 荷役車両及び荷役車両制御システム
KR20150112457A (ko) * 2014-03-28 2015-10-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다기능 트롤리
KR20180116062A (ko) * 2017-04-14 2018-10-24 서진호 작업용 발판
KR101955416B1 (ko) * 2017-12-04 2019-03-08 주식회사 대불조선 중장비를 이용하여 승강 및 좌우 이동이 가능한 선미 축/타계 작업대
KR102452846B1 (ko) * 2022-05-26 2022-10-11 주식회사 코아스 맨홀 내 작업자 안전을 위한 점검차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058721B (zh) 一种具有保护功能的录波仪固定装置
KR102662147B1 (ko) 맨홀 내부에 설치되는 리프트 장치
CA2958349C (en) Lifting support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WO2004031807A8 (fr) Hydrophones et seismometres de fond de mer
KR20200039193A (ko) 내진장치를 구비하고 수평조절이 용이한 배전반
CN210664450U (zh) 一种高精度基坑边坡坡度检测装置
DE602004012230D1 (de) Vorrichtung für Diebstahlsicherung mittels Positionsbestimmung
DE50303579D1 (de) Vorrichtung zum hoehen- und neigungsausgleich
DK1169673T3 (da) Fremgangsmåde til bestemmelse af et køretøjs placering
CN211376198U (zh) 一种计算机硬盘保护装置
CN113363923B (zh) 一种电气工程自动化用外露线管保护装置
CN213777034U (zh) 一种地质测量专用安全防护架
CN205913054U (zh) 一种用于测绘仪器的仪器箱
CN213038439U (zh) 桩基测设设备
CN211118447U (zh) 一种勘察测绘放样装置
CN204873546U (zh) 一种能自动调节位置的激光测距仪
CN210070859U (zh) 一种测量堆放物料垂直高度的仪器
CN218350240U (zh) 一种环境监测保护装置
CN218212088U (zh) 一种便携式水文水资源勘测装置
CN209787595U (zh) 一种城市规划用大数据分析装置
CN205665016U (zh) 天窗测试架
CN209414917U (zh) 用于监测装置的安装固定架
CN219736953U (zh) 一种带定位功能的浮球型气体采样装置
KR101628794B1 (ko) 스타프 거치대
CN217083746U (zh) 一种建筑工程测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