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1752B1 - 정수기 - Google Patents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1752B1
KR102661752B1 KR1020200175282A KR20200175282A KR102661752B1 KR 102661752 B1 KR102661752 B1 KR 102661752B1 KR 1020200175282 A KR1020200175282 A KR 1020200175282A KR 20200175282 A KR20200175282 A KR 20200175282A KR 102661752 B1 KR102661752 B1 KR 1026617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valve
integrated flow
water
integ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5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5318A (ko
Inventor
박종우
우상기
정지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752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1752B1/ko
Priority to US17/551,832 priority patent/US20220185652A1/en
Publication of KR20220085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53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1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17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77Flow control val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02F1/003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using household-type filters for producing potable water, e.g. pitchers, bottles, faucet mounted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03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 B67D1/0014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the beverage being supplied from water m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89Supports
    • B67D1/0894Supports for the vessel to be fil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2001/0093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2001/0093Valves
    • B67D2001/0094Valve mountings in dispen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2001/0095Constructional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31Housing
    • B67D2210/00041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47Piping
    • B67D2210/00062Pipe jo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7Modular desig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2Temper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0Liquid flow 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C02F2307/1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as part of a potable water dispenser, e.g. for use in homes or off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Mechanically-Actuated Valve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정수기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정수기는: 물의 이동방향을 제어하는 밸브가 복수로 구비되는 밸브부와, 밸브부가 일방향으로 삽입되며 내측에는 밸브부와 연결된 유로가 복수로 구비되는 일체형 유로부 및 밸브부와 일체형 유로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밸브부와 일체형 유로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일측이 개폐되는 동작에 의해 일체형 유로부가 외측으로 노출되는 케이스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정수기{WATER PURIFIER}
본 발명은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밸브부와 일체형 유로부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물을 걸러 물 속에 포함된 불순물을 제거하는 장치로 가정이나 업소 등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가정에서 많이 사용되는 정수기의 경우, 수도와 연결되어 수돗물에 함유된 부유물이나 유해성분등을 필터를 이용하여 제거하게 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원하는 만큼의 물을 정수하여 취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정수기는 정수는 물론 온수와 냉수의 취출이 가능할 수 있으며, 온수, 냉수 및 정수의 취출을 위해서는 각각의 제어밸브가 설치된다.
선행기술1 (중국 공개특허공보 104944607 A. 공개일: 2015.09.30. 발명의 명칭: 정수 장치 및 정수 장치의 직접 수로 모듈)에서는, 정수 장치의 내측에 설치된 직접 수로 모듈에 대해서 기술하고 있다. 직접 수로 모듈의 내측에는 복수 개의 유로를 구비되며, 직접 수로 모듈의 외측에는 복수의 연결포트가 구비된다.
연결포트에는 컨트롤밸브가 연결되며, 컨트롤밸브는 볼트 등 체결부재에 의해 직접 수로 모듈에 고정된다.
그러나 선행기술1은, 직접 수로 모듈을 교체할 경우에는 정수기를 전부 분해하여 직접 수로 모듈과 컨트롤밸브를 같이 분해한 후 다시 직접 수로 모듈에서 컨트롤밸브를 고정하는 볼트 등을 분해하는 작업을 해야 하므로, 직접 수로 모듈의 교체 및 유지보수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선행기술1의 직접 수로 모듈이 정수기에 설치된 상태에서, 직접 수로 모듈만을 사용자가 빼내기 위한 별도의 손잡이 구조가 구비되지 못하므로, 직접 수로 모듈의 분리 및 교체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을 갖는다.
선행기술2 (중국 등록번호 201317693 Y. 등록일: 2009.09.30. 발명의 명칭: 집적 수로식 무폐수 역삼투막 정수기)에서는, 본체의 내측에 복수의 수로가 본체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본체에 필터가 끼움식으로 연결된다. 또한 제어밸브와 연결된 관이음쇠가 본체의 외측에 고정된다. 따라서 필터와 제어밸브를 통한 물의 흐름이 본체에 구비된 수로를 통해 이루어지므로 배선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진다.
그러나 선행기술2는, 필터가 일체형 수로를 형성하는 본체에 끼움식으로 단순 결합되므로, 수압에 의해 본체와 필터가 분리되거나 누수가 발생하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선행기술2는 일체형 수로가 형성된 본체를 교체할 경우, 정수기를 전부 분해하여 필터 및 제어밸브가 연결된 본체를 정수기에서 분리한 후 다시 본체에서 필터와 제어밸브를 분해하는 작업을 해야 하므로, 일체형 수로가 구비된 본체의 교체 및 유지보수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선행기술2의 일체형 수로가 구비된 본체가 정수기에 설치된 상태에서, 직접 본체 만을 사용자가 빼내기 위한 별도의 손잡이 구조가 본체에 구비되지 못하므로, 일체형 수로가 구비된 본체의 분리 및 교체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을 갖는다.
선행기술3 (중국 등록번호 203577432 U. 등록일: 2014.05.07. 발명의 명칭: 정수기 수로 집적 모듈)에서는, 베이스의 내측에 채널이 일체로 형성되며, 이러한 베이스의 일측에 정수기 필터가 연결된다. 따라서 정수기 필터와 연결된 배관의 연결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3은, 정수기 필터가 채널 일체형으로 구성된 베이스에 끼움식으로 단순 결합되므로, 수압에 의해 정수기 필터와 베이스가 분리되거나, 필터와 베이스 사이에서 누수가 발생하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선행기술3은 정수기 필터가 연결된 베이스를 교체할 경우, 정수기를 전부 분해하여 정수기 필터와 함께 베이스를 정수기에서 분리한 후 다시 베이스에서 정수기 필터를 분해하는 작업을 해야 하므로, 채널 일체형으로 구성된 베이스의 교체 및 유지보수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선행기술3의 채널 일체형으로 구성된 베이스가 정수기에 설치된 상태에서, 직접 베이스만을 사용자가 빼내기 위한 별도의 손잡이가 베이스에 구비되지 못하므로, 채널 일체형으로 구성된 베이스의 분리 및 교체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내측에 수로가 복수로 구비된 일체형 수로모듈이 다른 부품과 연결될 때, 수압에 의해 일체형 수로모듈과의 연결부위에서 누수가 발생하거나, 일체형 수로모듈에 연결된 부품이 일체형 수로모듈에서 분리됨을 방지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일체형 수로모듈을 교체하기 위해 정수기를 전부 분해하지 않고, 일체형 수로모듈 만을 정수기에서 분리하여 교체하므로 일체형 수로모듈의 교체 및 유지보수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일체형 수로모듈이 정수기에 설치된 상태에서, 일체형 수로모듈만을 정수기에서 분리하기 위해 별도의 손잡이 구조가 일체형 수로모듈에 구비된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는, 일체형 유로부가 일방향으로 이동되어 밸브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케이스부가 일체형 유로부와 밸브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밸브부와 일체형 유로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밸브부와 일체형 유로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케이스부가 설치되므로, 수압에 의해 일체형 유로부가 밸브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됨이 구속되어 일체형 유로부와 밸브부 사이의 누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는, 케이스부의 일측이 개폐되는 동작에 의해 일체형 유로부의 인출 및 교체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일체형 유로부와 마주하는 케이스부의 일측이 개폐되는 동작에 의해 일체형 유로부가 외측으로 노출되므로, 정수기를 전체적으로 분해하지 않고서도 일체형 유로부의 인출 및 교체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는, 일체형 유로부의 측면에 손잡이부가 구비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일체형 유로부를 기준으로 밸브부와 반대되는 위치에 설치되며, 케이스부의 개폐에 의해 케이스부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부분에 손잡이부가 설치되므로, 사용자가 손잡이부를 잡고 일체형 유로부를 케이스부의 외측으로 꺼내는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밸브부와 일체형 유로부 및 케이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부와 밸브부와 일체형 유로부는 일체로 결합되어 모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밸브부는 물의 이동방향을 제어하는 밸브가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밸브부는 물이 유입되는 입수부와 물이 배출되는 복수의 배출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밸브부의 각 배출부에는 각각 작동밸브가 설치되어 입수부를 통해 유입된 물의 배출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입수부와 배출부와 작동밸브는 밸브모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밸브모듈은 모듈 단위로 설치와 교체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밸브모듈은 복수로 구비되어 케이스부의 내측에 복수 개가 적층되며, 일체형 유로부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일체형 유로부는, 밸브부가 일방향으로 삽입되며, 내측에는 밸브부와 연결된 유로가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일체형 유로부는 제1일체형 유로부와 제2일체형 유로부와 손잡이부와 실링부재와 실링고정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제1일체형 유로부는 밸브부와 연결된다. 제1일체형 유로부는 제1유로프레임과 연결돌기부와 제1유로안내홈부와 제1연결포흐톼 제1열차단홈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유로프레임은 케이스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판 형상이다.
연결돌기부는 제1유로프레임에서 밸브부를 향한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연결돌기부의 내측에는 밸브부가 삽입되는 구멍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연결돌기부는 제1연결돌기부와 제2연결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연결돌기부는 밸브부에 구비된 입수부에 연결되며, 일체형 유로부에서 입수부를 향하여 물의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2연결돌기부는, 밸브부에 구비된 배출부에 연결되며, 배출부에서 일체형 유로부의 내측으로 물의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일체형 유로부는, 제1연결돌기부 1개와 제2연결돌기부 2개를 포함한 수로단자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수로단자부는 제1유로프레임의 상하 방향을 따라 복수개 설치될 수 있다.
제1유로안내홈부는 제2일체형 유로부와 마주하는 제1유로프레임의 내측에 물이 이동되는 홈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1유로안내홈부는 제1유로프레임에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유로안내홈부를 따라 상온의 물과 가열된 물과 냉각된 물의 이동이 각각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연결포트는 제1유로안내홈부와 연결되며, 제1유로프레임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연결관로와 연결될 수 있다.
제1열차단홈부는, 제1유로프레임의 내측으로 상온의 물을 공급하는 제1유로안내홈부의 주변을 따라 장공 형상의 슬릿홀을 형성할 수 있다.
제2일체형 유로부는, 제1일체형 유로부에 결합되며, 연결관로에 연결되는 연결포트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1일체형 유로부와 제2일체형 유로부의 사이에는 밸브부와 연결되는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일체형 유로부는, 제2유로프레임과 제2유로안내홈부와 제2연결포트와 제3연결포트와 제2열차단홈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유로프레임은 제1일체형 유로부에 결합되며, 케이스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판 형상이다.
제2유로안내홈부는 제1일체형 유로부와 마주하는 제2유로프레임의 내측에 물이 이동되는 홈을 형성한다. 또한 제2유로안내홈부는 제2유로프레임에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2유로안내홈부는, 제2유로안내홈부를 따라 상온의 물과 가열된 물과 냉각된 물의 이동이 각각 이루어질 수 있다.
제2연결포트는 제2유로안내홈부와 연결되며, 제2유로프레임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연결관로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3연결포트는 제2유로안내홈부와 연결되며, 제2유로프레임의 테두리 외측으로 돌출되어 연결관로와 연결될 수 있다.
제2열차단홈부는 제2유로프레임의 내측으로 상온의 물을 공급하는 제2유로안내홈부의 주변을 따라 장공 형상의 슬릿홀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실링부재는 연결돌기부의 내측으로 삽입된 밸브부와 연결돌기부의 사이에 위치하며, 밸브부와 연결돌기부의 사이로 물의 이동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실링고정부재는 실링부재에 연이어 설치되며, 연결돌기부에 고정되어 실링부재의 이동을 구속할 수 있다.
손잡이부는 밸브부와 연결되는 측면과 반대되는 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며, 사용자의 손에 걸리는 작업홈부가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손잡이부는, 제1손잡이와 제2손잡이와 작업손잡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손잡이는 일체형 유로부의 전방으로 돌출되며, 하측을 향하여 오목한 형상의 작업홈부를 형성한다. 제2손잡이는 일체형 유로부의 전방으로 돌출되며, 상측을 향하여 오목한 형상의 작업홈부를 형성한다. 또한 제1손잡이는 복수로 구비되며, 제1손잡이의 갯수가 제2손잡이의 갯수 보다 많다.
작업손잡이는 제2손잡이의 상측에 위치하며, 일체형 유로부의 전방이나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측을 향하여 오목한 형상의 작업홈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부는, 밸브부와 일체형 유로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밸브부와 일체형 유로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부의 일측이 개폐되는 동작에 의해 일체형 유로부가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부는 밸브부를 향한 방향으로 일체형 유로부를 가압할 수 있다. 또한 일체형 유로부와 마주하는 케이스부의 일측이 개방된 후 일체형 유로부가 밸브부에서 분리 가능하게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부는, 케이스몸체부와 도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몸체부는, 밸브부와 일체형 유로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몸체부의 일측은 개방되어 입구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몸체부는 밸브부의 후방 및 측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몸체부의 내측에 밸브부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몸체부는, 밸브안착부와 유로안착부와 도어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밸브안착부는 밸브부가 내측에 장착된다. 또한 밸브안착부는 밸브부의 측면 및 후방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밸브안착부는, 밸브구속프레임과 프레임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밸브구속프레임은 밸브부의 폭방향 양측에 위치하며, 밸브부의 이동을 구속할 수 있다. 또한 밸브구속프레임은, 유로안착부에서 연장되며, 케이스몸체부의 내측으로 돌출된 돌기가 밸브부에 걸려서 밸브부의 이동을 구속하는 밸브고정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밸브고정돌기부는, 유로안착부에서 프레임연결부를 향한 후방으로 연장되는 판 형상의 연장지지편을 포함할 수 있다. 밸브고정돌기부는, 연장지지편의 내측으로 돌출되며, 밸브부의 외측에 걸리는 밸브고정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연장지지편의 단부가 밸브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면, 밸브고정후크가 밸브부와 이격되어 밸브부의 구속이 해제될 수 있다.
또한 밸브구속프레임은, 밸브고정돌기부와 이격되어 밸브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유로안착부와 프레임연결부를 연결하는 밸브지지패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연결부는 밸브부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며, 밸브구속프레임의 단부를 연결할 수 있다.
유로안착부는 밸브안착부에서 연장되며, 일체형 유로부가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유로안착부는, 연장프레임과 내측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프레임은 일체형 유로부의 폭방향 양측에 위치하며, 밸브안착부와 도어연결부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연장프레임은 밸브안착부의 내측과 연결된 경계 부위에 일체형 유로부가 걸리는 걸림턱을 형성할 수 있다.
내측돌출부는 연장프레임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일체형 유로부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몸체부는, 케이스커버부와 케이스베이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커버부는 밸브부와 일체형 유로부의 상측을 커버하며 밸브안착부와 유로안착부와 도어연결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커버부는, 제1커버플레이트와 가이드홈부와 강성보강돌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커버플레이트는, 밸브부와 일체형 유로부의 상측을 커버하는 판 형상이다. 또한 제1커버플레이트는 케이스몸체부의 상측면을 형성한다.
가이드홈부는 제1커버플레이트의 내측으로 오목한 형상의 홈부를 형성하며, 일체형 유로부와 연결된 연결관로가 내측에 위치한다.
또한 강성보강돌기는 제1커버플레이트와 가이드홈부의 경계 부위를 따라 연장되며, 제1커버플레이트의 상측 또는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베이스부는, 밸브부와 일체형 유로부의 하측을 커버하며 밸브안착부와 유로안착부와 도어연결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베이스부는 제2커버플레이트와 물받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커버플레이트는 밸브부와 일체형 유로부의 하측을 커버하는 판 형상이다. 또한 물받이부는 밸브부와 일체형 유로부의 연결부와 마주하는 제2커버플레이트에 오목한 형상의 홈부를 형성한다. 또한 물받이부는 상측에서 낙하되는 물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도어연결부는 유로안착부의 전방으로 연장되며, 도어부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몸체부는, 밸브안착부와 유로안착부와 도어연결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보강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보강리브는 케이스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도어부는 케이스몸체부에 연결되어 입구부를 개폐할 수 있다. 또한 도어부는 일체형 유로부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어부는 입구부를 차폐한 상태에서 일체형 유로부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도어부는 도어몸체와 이탈방지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몸체는 케이스몸체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어몸체는 판 형상의 도어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어몸체는, 도어플레이트를 관통 하는 구멍을 형성하며, 일체형 유로부의 누수를 확인하는 누수관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어몸체는, 도어플레이트의 폭방향 일측으로 돌출되어 케이스몸체부에 삽입되는 커버고정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어몸체는, 도어플레이트의 폭방향 타측으로 돌출되며, 후크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케이스몸체부에 체결되는 고정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이탈방지리브는, 도어몸체에서 상기 일체형 유로부를 향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밸브부와 반대되는 위치에서 일체형 유로부를 지지하며 일체형 유로부의 이동을 구속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는, 슬라이드 이동되어 밸브부와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 일체형 유로부가 케이스부에 의해 이동이 구속되므로, 밸브부와 일체형 유로부의 연결이 해제되거나 누수가 발생됨을 방지하여 정수기의 동작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체형 수로모듈을 교체하기 위해 정수기를 전부 분해하지 않고, 일체형 수로모듈 만을 정수기에서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으므로, 일체형 수로모듈의 교체 및 유지보수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손잡이부를 잡고 일체형 유로부를 케이스부의 외측으로 꺼내는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므로, 일체형 수로모듈의 교체 및 유지보수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서 도어부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부가 밸브부와 일체형 유로부를 감싸며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부가 케이스몸체부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유로부가 밸브부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부와 밸브부와 일체형 유로부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유로부가 밸브부에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부가 케이스몸체부의 내측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부가 케이스몸체부의 내측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부가 케이스몸체부의 내측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몸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부의 전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부의 후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부의 평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부의 정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부가 일체형 유로부에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부가 일체형 유로부에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부와 일체형 유로부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부의 입수부가 일체형 유로부에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유로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유로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일체형 유로부의 내측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일체형 유로부의 내측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일체형 유로부의 내측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일체형 유로부의 내측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정수기의 전반적인 구조]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1)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1)에서 도어부(700)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1)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1)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1)는, 케이스부(500)의 일측이 개폐되는 동작에 의해 일체형 유로부(200)의 인출 및 교체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일체형 유로부(200)와 마주하는 케이스부(500)의 일측이 개폐되는 동작에 의해 일체형 유로부(200)가 외측으로 노출되므로, 정수기(1)를 전체적으로 분해하지 않고서도 일체형 유로부(200)의 인출 및 교체작업이 이루어진다.
또한 정수기(1)의 유로를 일체형으로 제작하여 물이 이동되는 유로를 간소화 하고, 유로의 조립 및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유로가 일체형으로 된 일체형 유로부(200)를 직선 방향으로 이동시켜 밸브부(100)에 결합한다. 일체형 유로부(200)를 사용하므로 종래 대비 재료비 감소, 생산성 향상, 복잡한 내부 구조의 간소화, 조립 및 교체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 등을 절약할 수 있다.
밸브부(100)와 마주하는 일체형 유로부(200)의 일측면에는 밸브부(100)와 결합되기 이한 복수의 구멍이 구비되며, 일체형 유로부(200)의 타측면에는 일체형 유로부(200)의 탈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손잡이를 구비한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1)는, 밸브부(100), 일체형 유로부(200), 케이스부(500), 필터부(901), 입수구(900), 필터부(901), 온수모듈(902), 냉수모듈(903), 드레인밸브(904), 출수밸브(905), 배출부(120), 온수탱크(907), 제1제어부(908), 제2제어부(909) 및 베이스앗세이(9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부(500)와 밸브부(100)와 일체형 유로부(200)는 일체로 결합되어 모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케이스부(500)의 내측에 밸브부(100)와 일체형 유로부(200)가 결합되어, 케이스부(500)와 밸브부(100)와 일체형 유로부(200)로 이루어진 모듈은 직수관 모듈(50)이다. 직수관 모듈(50)은 모듈 단위로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모듈단위로 교체 및 유지보수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정수기(1)의 하부를 형성하는 베이스앗세이(910)의 상측에 물을 정수하는 필터부(901)와, 정수된 물을 냉각시키는 냉수모듈(903)이 설치된다. 그리고 필터부(901)와 냉수모듈(903)의 사이에는 물의 이동방향을 제어하는 직수관 모듈(50)이 설치된다.
직수관 모듈(50)의 근처에는 물을 가열하는 온수모듈(902)과 가열된 물이 이동되는 온수탱크(907)가 설치된다. 또한 베이스앗세이(910)의 상측에는 제1제어부(908)와 제2제어부(909)가 설치되어 정수기(1)의 동작을 제어한다.
그리고 필터부(901)의 상측에는 출수부(906)가 설치되어 냉수, 정수, 온수 등을 배출한다. 도 1에 도시된 정수기(1)에는 외측케이스의 도시가 생략되었으나, 외측케이스의 구성은 공지된 구성이므로 이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방향을 정의한다. 일체형 유로부(210)를 기준으로 밸브부(100)가 위치하는 방향을 후방, 도어부(700)가 위치하는 방향을 전방이라 하며, 케이스커버부(650)가 위치하는 방향을 상부, 케이스베이스부(660)가 위치하는 방향을 하부라 한다. 길이방향(L)은 전후방향을 의미하며, 폭방향(W)은 길이방향(L)과 직각을 이루는 좌우방향을 의미한다.
[직수관 모듈]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부(500)가 밸브부(100)와 일체형 유로부(200)를 감싸며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부(700)가 케이스몸체부(600)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유로부(200)가 밸브부(100)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부(500)와 밸브부(100)와 일체형 유로부(200)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부(500)와 일체형 유로부(200)와 밸브부(100)로 이루어진 직수관 모듈(50)은 케이스부(500)에 구비된 도어부(700) 부터 순차적으로 분해가 가능하다.
일체형 유로부(200)가 일방향으로 이동되어 밸브부(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케이스부(500)가 일체형 유로부(200)와 밸브부(100)를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어 직수관 모듈(50)을 구성한다. 직수관 모듈(50)의 케이스부(500)는, 밸브부(100)와 일체형 유로부(200)를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므로, 수압에 의해 일체형 유로부(200)가 밸브부(10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됨이 구속되어 일체형 유로부(200)와 밸브부(100) 사이의 누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케이스부(500)는 케이스몸체부(600)와 도어부(700)로 이루어지며, 도어부(700)는 케이스몸체부(600)의 전방을 개폐한다. 케이스부(500)의 입구부(602)를 개폐하는 도어부(700)는 케이스몸체부(600)에 힌지 연결되거나 끼움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볼트 체결에 의해 결합되거나 후크체결에 의해 결합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케이스몸체부(600)에 결합될 수 있다.
케이스몸체부(600)의 내측에 밸브부(100)가 안착되어 밸브부(100)의 이동이 구속되며, 케이스부(500)의 길이방향(L)을 따라 직수관 모듈(50)이 이동되어 밸브부(100)의 전방으로 돌출된 관로 형상의 입수부(110)와 배출부(120)가 일체형 유로부(200)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그리고 케이스몸체부(600)에 결합되는 도어부(700)가 일체형 유로부(200)를 지지하므로, 일체형 유로부(200)가 밸브부(100)에서 이탈됨을 방지한다. 정수기(1) 사용시 일체형 유로부(200)의 내측이 오염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주기적으로 일체형 유로부(200)를 교체하는 작업이 요구된다. 일체형 유로부(200)를 교체하거나 수리하는 경우, 케이스몸체부(600)에서 도어부(700)를 분리한 후 손잡이부(400)를 잡고 일체형 유로부(200)를 직선방향으로 이동시켜 케이스몸체부(600)의 외측으로 빼내는 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정수기 부품의 세부구성]
[케이스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유로부(200)가 밸브부(100)에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부(100)가 케이스몸체부(600)의 내측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부(100)가 케이스몸체부(600)의 내측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부(500)는 밸브부(100)와 일체형 유로부(200)가 결합된 상태에서, 밸브부(100)와 일체형 유로부(200)를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필요에 따라서는 케이스부(500)의 일측이 개폐되는 동작에 의해 일체형 유로부(200)가 외측으로 노출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케이스부(500)에 구비된 도어부(700)는 밸브부(100)를 향한 방향으로 일체형 유로부(200)를 가압하거나, 일체형 유로부(200)를 지지한다. 따라서 밸브부(100)에 결합된 일체형 유로부(200)가 수압에 의해 밸브부(100)와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려 할 때, 도어부(700)의 지지에 의해 일체형 유로부(200)의 이동이 구속된다. 케이스몸체부(600)와 도어부(700)를 포함한 케이스부(500)에 의해, 밸브부(100)에 끼움 형상으로 결합된 일체형 유로부(200)가 수압에 의해 밸브부(10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됨이 방지되며, 일체형 유로부(200)와 밸브부(100) 사이에 누수가 발생됨도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부(500)는 일체형 유로부(200)의 인출 및 교체 등의 작업을 위해 케이스부(500)의 일측이 개폐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일체형 유로부(200)와 마주하는 케이스부(500)의 일측이 개방된 후, 일체형 유로부(200)가 밸브부(100)에서 분리 가능하게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부(500)는, 케이스몸체부(600)와 도어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몸체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부(100)가 케이스몸체부(600)의 내측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몸체부(60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과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몸체부(600)는 일체형 유로부(200)가 분리되기 위한 방향을 제외하고 밸브부(100)와 일체형 유로부(200)를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케이스몸체부(600)의 일측은 개방되어 입구부(602)를 형성하며, 입구부(602)를 통해 일체형 유로부(200)의 이동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몸체부(600)는 밸브부(100)의 후방 및 측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몸체부(600)는 일체형 유로부(200)의 양측 측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케이스몸체부(600)는 별도의 상측커버나 하측커버 없이 밸브부(100)와 일체형 유로부(200)의 측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또한 케이스몸체부(600)는 밸브부(100)와 일체형 유로부(200)의 상측과 하측을 커버하는 형상으로 설치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필요하다.
케이스몸체부(600)의 내측에 밸브부(100)가 장착되어 이동이 구속되며, 케이스몸체부(600)의 입구부(602)를 통해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되는 일체형 유로부(200)가 밸브부(100)와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몸체부(600)는, 밸브안착부(610)와 유로안착부(620)와 도어연결부(630)와 보강리브(640)와 케이스커버부(650)와 케이스베이스부(660)와 도어몸체(710)와 이탈방지리브(7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밸브안착부(610)는 내측에 밸브부(100)의 장착이 이루어지며, 밸브부(100)의 폭방향(W) 양측 측면 및 후방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케이스몸체부(600)의 후방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안착부(610)는 전면이 개구된 사각관 형상이며, 상하방향(H)으로 연장되므로, 복수의 밸브부(100)가 상하 방향으로 적층될 수 있다.
밸브안착부(610)의 전방에서 밸브안착부(610)의 후방을 향하여 이동된 밸브부(100)는 밸브안착부(610)의 내측에 위치하며, 밸브안착부(610)에 구비된 밸브고정후크(614)에 걸려서 밸브부(100)의 전방 이동이 구속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안착부(610)는, 밸브구속프레임(611)과 프레임연결부(616)를 포함할 수 있다.
밸브구속프레임(611)은 밸브부(100)의 폭방향(W) 양측에 위치하며, 밸브안착부(610) 내에 장착된 밸브부(100)의 이동을 구속할 수 있다. 또한 밸브구속프레임(611)은 판 형상이거나 판 형상에 유사하며, 밸브부(100)의 폭방향(W) 양측에 각각 위치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밸브구속프레임(611)은 2개가 구비되어 밸브부(10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서로 평행하게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구속프레임(611)은, 밸브고정돌기부(612)와 밸브지지패널부(615)를 포함한다.
밸브고정돌기부(612)는 유로안착부(620)에서 연장되며, 케이스몸체부(600)의 내측으로 돌출된 돌기가 밸브부(100)에 걸려서 밸브부(100)의 이동을 구속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고정돌기부(612)는, 연장지지편(613)과 밸브고정후크(614)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지지편(613)은 유로안착부(620)에서 프레임연결부(616)를 향한 후방으로 연장되는 판 형상이며, 케이스몸체부(600)의 길이방향(L)으로 연장된다. 연장지지편(613)은 플라스틱 사출물로 성형되므로, 연장지지편(613)의 단부를 밸브부(100)와 멀어지는 외측으로 당기는 경우, 연장지지편(613)의 일시적 휨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밸브고정돌기부(612)는 연장지지편(613)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돌기 형상이며, 밸브부(100)의 외측에 걸려서 밸브부(100)의 전방 이동을 구속한다. 연장지지편(613)과 밸브고정후크(614)는 일체로 성형되며, 사출물로 성형되므로 사용자가 연장지지편(613)을 잡고 당기면 일시적으로 휘어지는 변형이 가능하다.
연장지지편(613)의 단부가 밸브부(10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면, 밸브고정후크(614)가 밸브부(100)와 이격되어 밸브부(100)의 구속이 해제될 수 있다.
연장지지편(613)의 내측으로 돌출된 돌기 형상의 밸브고정후크(614)는 밸브부(100)의 외측에 걸리므로, 밸브부(100)의 이동을 구속한다. 또한 밸브고정후크(614)는 연장지지편(613)의 단부와 설정거리 만큼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므로, 사용자가 연장지지편(613)의 내측을 잡고 연장지지편(613)을 밸브부(10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밸브지지패널부(615)는 밸브고정돌기부(612)와 이격되어 밸브부(100)의 길이방향(L)으로 연장되고, 유로안착부(620)와 프레임연결부(616)를 연결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지지패널부(615)는 밸브부(100)의 폭방향(W) 양측에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며, 밸브부(100)의 외측 형상을 따라 단차를 구비한 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프레임연결부(616)는 밸브부(100)의 폭방향(W)으로 연장되며, 밸브구속프레임(611)의 단부를 연결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연결부(616)는 밸브부(100)의 후방에 세워진 형상으로 설치되며, 프레임연결부(616)의 폭방향(W) 양측에는 밸브구속프레임(611)의 밸브지지패널부(615)의 단부가 연결될 수 있다.
프레임연결부(616)는 밸브부(100)의 후방과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밸브부(100)와 연결되어 전선이 설치되기 위한 전선홀부(617)가 복수로 구비된다. 전선홀부(617)는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며, 상하 방향을 따라 복수로 설치될 수도 있다.
유로안착부(620)는 밸브안착부(610)에서 연장되며, 일체형 유로부(200)가 내측에 위치하는 케이스를 형성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로안착부(620)는, 연장프레임(621)과 내측돌출부(624)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프레임(621)은 일체형 유로부(200)의 폭방향(W) 양측에 위치하며, 케이스몸체부(600)의 길이방향(L)으로 연장되어 밸브안착부(610)와 도어연결부(630)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연장프레임(621)은 밸브안착부(610)의 내측과 연결된 경계 부위에 일체형 유로부(200)가 걸리는 걸림턱(622)을 형성할 수 있다. 연장프레임(621)은 밸브안착부(610)와 연결되는 경계에 걸림턱(622)이 구비되며, 입구부(602)를 통해 케이스몸체부(600)의 내측으로 이동되는 일체형 유로부(200)는 걸림턱(622)에 걸려서 밸브부(100)를 향한 추가 이동이 구속된다.
내측돌출부(624)는 연장프레임(621)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일체형 유로부(200)를 지지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측돌출부(624)는 일체형 유로부(200)의 측면을 따라 돌출된 형상이 이루어지므로, 유로안착부(620)의 내측에 위치한 일체형 유로부(200)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내측돌출부(624)는 일체형 유로부(200)의 측면과 마주하는 연장프레임(621)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일체형 유로부(200)의 하측 모서리 부분이 볼록한 곡면 형상으로 이루어진 경우, 일체형 유로부(200)의 하측 모서리에 접하는 내측돌출부(624)의 형상도 오목한 곡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도어연결부(630)는 유로안착부(620)의 전방으로 연장되며, 도어부(700)와 연결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연결부(630)는 케이스몸체부(600)의 폭방향(W) 양측에 세워진 형상으로 설치되며, 도어부(700)와 결합되기 위한 홈부가 구비된다. 또한 도어연결부(630)에는 고정체결홀부(633)가 구비된다. 고정체결홀부(633)의 내측에는 암나사산이 구비된다.
보강리브(640)는 밸브안착부(610)와 유로안착부(620)와 도어연결부(6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케이스몸체부(600)의 길이방향(L)으로 연장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리브(640)는 케이스몸체부(600)의 외측으로 돌출된 직사각형의 판 형상이며, 수평방향으로 설치된다. 보강리브(640)는 밸브고정돌기부(612)가 설치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설치되며, 밸브안착부(610)와 유로안착부(620)를 연결하거나, 밸브안착부(610)와 유로안착부(620)와 도어연결부(630)를 연결하며 구조강성을 높일 수 있다.
케이스커버부(650)는 밸브부(100)와 일체형 유로부(200)의 상측을 커버하며 밸브안착부(610)와 유로안착부(620)와 도어연결부(6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커버부(650)는, 밸브부(100)와 일체형 유로부(200)와 도어연결부(630)의 상측을 커버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커버부(650)는, 제1커버플레이트(651)와 가이드홈부(652)와 강성보강돌기(65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커버플레이트(651)는, 밸브부(100)와 일체형 유로부(200)의 상측을 커버하는 판 형상이며, 케이스몸체부(600)의 상측면을 형성한다.
가이드홈부(652)는 제1커버플레이트(651)의 내측으로 오목한 형상의 홈부를 형성하며, 일체형 유로부(200)와 연결된 연결관로(800)가 내측에 위치한다. 일체형 유로부(200)와 연결된 연결관로(800)가 일체형 유로부(200)의 상측으로 연장되며, 이러한 연결관로(800)가 케이스커버부(650)에 간섭됨을 피하기 위해 가이드홈부(652)가 형성된다. 가이드홈부(652)의 위치는 연결관로(800)가 설치되는 위치에 대응한다.
강성보강돌기(653)는 제1커버플레이트(651)와 가이드홈부(652)의 경계 부위를 따라 연장되며, 제1커버플레이트(651)의 상측 또는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성보강돌기(653)는 가이드홈부(652)와 마주하는 제1커버플레이트(651)의 단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돌기 형상으로 케이스커버부(650)의 구조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케이스베이스부(660)는, 밸브부(100)와 일체형 유로부(200)의 하측을 커버하며 밸브안착부(610)와 유로안착부(620)와 도어연결부(6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베이스부(660)는 제2커버플레이트(661)와 물받이부(66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커버플레이트(661)는 밸브부(100)와 일체형 유로부(200)의 하측을 커버하는 판 형상이다. 제2커버플레이트(661)는 밸브안착부(610)와 유로안착부(620)와 도어연결부(630)의 하측을 커버한다. 또한 제2커버플레이트(661)는 밸브안착부(610)와 유로안착부(620)와 도어연결부(630)의 하측에 연결되며, 케이스몸체부(600)의 길이방향(L)으로 연장된다.
물받이부(662)는 밸브부(100)와 일체형 유로부(200)의 연결부와 마주하는 제2커버플레이트(661)에 오목한 형상의 홈부를 형성한다. 따라서 물받이부(662)는 상측에서 낙하되는 물을 저장할 수 있다. 밸브부(100)에서 일체형 유로부(200)를 분리하는 경우, 밸브부(100)와 일체형 유로부(200) 사이에는 누수는 하측으로 낙하되어 물받이부(662)의 내측에 저장된다.
[도어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부(700)의 전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부(700)의 후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과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부(700)는 케이스몸체부(600)에 연결되어 입구부(602)를 개폐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어부(700)는 일체형 유로부(200)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입구부(602)를 차폐한 상태에서 일체형 유로부(200)를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부(700)는, 도어몸체(710)와 이탈방지리브(7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몸체(710)는 케이스몸체부(600)의 도어연결부(63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케이스몸체부(600)의 입구부(602)를 개폐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몸체(710)는, 도어플레이트(711)와 누수관촬부와 커버고정돌기(713)와 고정후크(714)와 이동체결홀부(715) 중 적어도 어는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플레이트(711)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도어연결부(630)에 세워진 형상으로 결합된다.
누수관촬부는 도어플레이트(711)를 관통 하는 구멍을 형성하며, 일체형 유로부(200)의 누수를 확인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관촬부는, 도어플레이트(711)에 복수의 장공 형상의 홀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누수관촬부는 도어플레이트(711)의 폭방향(W)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도어플레이트(711)의 구조강성은 유지하면서 일체형 유로부(200)와 밸브부(100)에서 누수가 발생됨을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다.
커버고정돌기(713)는 도어플레이트(711)의 폭방향(W) 일측으로 돌출되어 케이스몸체부(600)에 삽입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고정돌기(713)는 도어플레이트(711)의 폭방향(W) 일측에 위치하며, 고정후크(714)는 도어플레이트(711)의 폭방향(W) 타측에 위치한다. 커버고정돌기(713)는 도어플레이트(711)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복수의 돌기가 돌출되며, 도어연결부(630)에 구비된 홈부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또한 도어부(700)가 도어연결부(630)에 장착된 상태에서, 커버고정돌기(713)는 전방을 향하여 경사지게 돌출된다. 따라서 일체형 유로부(200)가 수압에 의해 도어부(700)를 전방으로 가압하는 경우, 커버고정돌기(713)가 역구배 형상으로 설치되어 도어연결부(630)에 걸리므로, 수압에 의해 도어연결부(630)에서 도어부(700)가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고정후크(714)는 도어플레이트(711)의 폭방향(W) 타측으로 돌출되며, 후크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케이스몸체부(600)에 체결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후크(714)는 도어몸체(710)의 폭방향(W) 타측에 복수로 설치되며, 탄성 변형되며 도어연결부(630)에 결합되거나 결합이 해제된다.
이동체결홀부(715)는 도어몸체(710)를 관통하는 홀을 형성하며, 도어연결부(630)에 구비된 고정체결홀부(633)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도어부(700)가 도어연결부(630)에 장착될 때, 이동체결홀부(715)와 고정체결홀부(633)는 서로 마주하며 내측에 구비된 구멍이 연통된 상태이다. 따라서 별도의 체결볼트가 이동체결홀부(715)를 통해 고정체결홀부(633)에 체결되므로, 도어부(700)의 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동체결홀부(715)와 고정체결홀부(633)의 내측에는 암나사산이 구비될 수 있다.
이탈방지리브(720)는, 도어몸체(710)에서 일체형 유로부(200)를 향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밸브부(100)와 반대되는 위치에서 일체형 유로부(200)를 지지하므로 일체형 유로부(200)의 이동을 구속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리브(720)는 도어몸체(710)에서 후방으로 돌출된 판 형상이며, 복수의 지점에서 밸브부(100)에 연결된 일체형 유로부(200)를 지지한다. 이탈방지리브(720)는 도어몸체(710)와 대략 직각을 이루며 케이스몸체부(600)의 길이방향(L)으로 연장된다.
[밸브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부(100)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부(100)의 평면도이며,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부(100)의 정면도이다.
도 10과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부(100)는 케이스몸체부(600)의 내측에 설치되며, 일체형 유로부(200)와 연결되고, 물의 이동방향을 제어하는 밸브가 복수로 구비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부(100)는 물이 유입되는 입수부(110)와 물이 배출되는 복수의 배출부(12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밸브부(100)의 각 배출부(120)에는 각각 작동밸브(130)가 설치되어 입수부(110)를 통해 유입된 물의 배출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입수부(110)와 배출부(120)와 작동밸브(130)는 밸브모듈(140)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밸브모듈(140)은 모듈 단위로 설치와 교체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밸브모듈(140)은 복수로 구비되어 케이스부(500)의 내측에 복수 개가 적층되며, 일체형 유로부(200)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모듈(140)은, 1개의 입수부(110)와 2개의 배출부(120)가 모듈로 이루어지며, 각 배출부(120)에는 작동밸브(130)가 설치된다. 따라서 밸브모듈(140)은 1개의 입수부(110)와 2개의 배출부(120)와 2개의 작동밸브(130)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밸브모듈(140)은 복수로 구비되어 케이스부(500)의 내측에 단수 또는 복수로 적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밸브모듈(140)은 3개이며, 맨 아래에 있는 밸브모듈(140)은 제1밸브모듈(141)이며, 제1밸브모듈(141)의 상측에 제2밸브모듈(142)이 위치하며, 제2밸브모듈(142)의 상측에 제3밸브모듈(143)이 위치한다.
각 밸브모델은 1개의 입수부(110)와 2개의 배출부(120)와 2개의 작동밸브(130)를 포함한다. 제1밸브모듈(141)에는 제1입수부(111)와 제1배출부(121)와 제2배출부(122)와 제1밸브(131)와 제2밸브(132)가 설치된다. 제1입수부(111)와 제1배출부(121)와 제2배출부(122)는 파이프 형상이며, 케이스부(500)의 길이방향(L)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제1배출부(121)에는 제1밸브(131)가 연결되며, 제2배출부(122)에는 제2밸브(132)가 연결된다.
제1입수부(111)를 통해 유입된 물은 제1밸브(131)와 제2밸브(132)를 향하여 이동하며, 제1밸브(131)와 제2밸브(132) 중 어느 한 밸브만 동작을 하면, 동작된 밸브 방향으로 물이 이동한다. 예를 들어 제1입수부(111)를 통해 유입된 물은 제1밸브(131)의 동작에 의해 제1배출부(121)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또는 제1입수부(111)를 통해 유입된 물은 제2밸브(132)의 동작에 의해 제2배출부(122)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제1입수부(111)의 상측에 제1배출부(121)와 제2배출부(122)가 위치하며, 제1배출부(121)와 제2출수브는 밸브부(100)의 폭방향(W) 양측에 위치한다. 제2밸브모듈(142)과 제3밸브모듈(143)도 제1밸브모듈(141)과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제2밸브모듈(142)에는 제2입수부(112)와 제3배출부(123)와 제4배출부(124)와 제3밸브(133)와 제4밸브(134)가 설치된다. 그리고 제3밸브모듈(143)에는 제3입수부(113)와 제5배출부(125)와 제6배출부(126)와 제5밸브(135)와 제6밸브(136)가 설치된다.
제1입수부(111)를 통해서 정수가 입수되며, 제1배출부(121)를 통해서는 온수나 살수용으로 사용되는 물이 토출되며, 제2배출부(122)를 통해서는 정수나 냉수로 사용되는 물이 토출된다.
제2입수부(112)를 통해서 냉수나 정수로 사용되는 물이 입수되며, 제3배출부(123)를 통해서는 냉수로 사용되는 물이 토출되며, 제4배출부(124)를 통해서는 정수로 사용되는 물이 토출된다. 제3밸브(133)는 냉수로 사용되는 물의 배출을 조절하는 냉수밸브이며, 제4밸브(134)는 정수로 사용되는 물의 배출을 조절하는 정수밸브이다.
제3입수부(113)를 통해서 온수나 살균용으로 사용되는 가열된 물이 입수되며, 제5배출부(125)를 통해서는 살균용으로 사용하기 위해 가열된 물이 토출되며, 제6배출부(126)를 통해서는 온수로 사용되기 위해 가열된 물이 토출된다. 제5밸브(135)는 살균용로 사용되는 물의 배출을 조절하는 살균밸브이며, 제6밸브(136)는 온수로 사용되는 물의 배출을 조절하는 온수밸브이다.
[일체형 유로부]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부(100)가 일체형 유로부(200)에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부(100)가 일체형 유로부(200)에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부(100)와 일체형 유로부(200)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부(100)의 입수부(110)가 일체형 유로부(200)에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유로부(20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8 내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형 유로부(200)는 밸브부(100)가 일방향으로 삽입되며, 내측에는 밸브부(100)와 연결된 유로가 복수로 구비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일체형 유로부(200)는 정수기(1)의 유로를 밸브부(100)와 결합되는 사출물에 일체로 형성하므로 밸브부(100)의 관로 연결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으며, 관로의 교환 작업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일체형 유로부(200)는 2개의 부재로 분리될 수 있으며, 일체형 유로부(200)의 내측에 물의 이동을 안내하는 유로를 각각 형성한 후 2개의 부재가 결합되어 일체형 유로부(200)를 형성할 수 있다.
일체형 유로부(200)의 내부에는 여러 개의 물길이 형성되어 있으며, 2개 혹은 그 이상의 사출물이 결합되어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밸브부(100)에 구비된 입수부(110)와 배출부(120)는 전방을 향해 길이방향(L)으로 연장되며, 일체형 유로부(20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물이 이동되는 통로를 형성한다. 입수부(110)와 배출부(120)가 일체형 유로부(200)의 내측에 단순히 끼움식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별도의 락킹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수부(110)와 배출부(120)의 관로에 별도의 걸림고리나 락킹장치가 추가로 설치되므로, 입수부(110)와 배출부(120)가 일체형 유로부(200)의 내측에 삽입되는 동작에 의해 일체형 유로부(200)와 밸브부(100)의 락킹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밸브부(100)와 일체형 유로부(200)가 연결되는 동작과 함께 락킹이 이루어지는 경우, 밸브부(100)와 일체형 유로부(200)의 연결을 유지하기 위한 별도의 케이스부(500) 설치를 생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유로부(200)는 제1일체형 유로부(210)와 제2일체형 유로부(300)와 손잡이부(400)와 실링부재(440)와 실링고정부재(4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제1일체형 유로부]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유로부(200)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일체형 유로부(210)의 내측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일체형 유로부(210)의 내측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3 내지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일체형 유로부(210)는, 밸브부(100)와 연결되며, 제2일체형 유로부(300)와 결합되어 물이 이동되는 유로가 내측에 형성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일체형 유로부(210)는 제1유로프레임(220)과 연결돌기부(230)와 제1유로안내홈부(240)와 제1연결포흐톼 제1열차단홈부(26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유로프레임(220)은 케이스부(500)의 내측에 위치하는 판 형상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유로프레임(220)은 대략 직사각형에 가까운 형상의 패널이며, 모서리의 일부는 곡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1유로프레임(220)의 테두리를 따라 연장된 돌출편(221)은 후방으로 연장되며, 밸브부(100)와 연결돌기부(230)의 연결부위를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된다. 돌출편(221)의 설치로 밸브부(100)와 연결돌기부(230)의 연결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며, 제1유로프레임(220)의 구조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돌출편(221)에는 후술할 제1연결포트(250)가 연결되어 다양한 위치에 연결관로(800)의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연결돌기부(230)는 제1유로프레임(220)에서 밸브부(100)를 향한 방향으로 돌출되며, 연결돌기부(230)의 내측에는 밸브부(100)가 삽입되는 구멍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연결돌기부(230)의 내측에는 밸브부(100)가 삽입되기 위한 커넥트홀(327)용 홀(234)이 구비되며, 연결돌기부(230)의 단부에는 가이드면(233)이 구비된다.
커넥트홀(327)용 홀(234)과 마주하는 연결돌기부(230)의 내측에 가이드면(233)이 설치되며, 이러한 가이드면(233)은 연결돌기부(230)의 후방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내경이 커지는 형상으로 설치된다. 따라서 밸브부(100)의 입수부(110)와 배출부(120)가 연결돌기부(230)에 결합될 때, 가이드면(233)을 따라 이동이 안내되므로 조립성 및 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연결돌기부(230)는 제1유로프레임(220)의 후방으로 돌출되며, 제1일체형 유로부(210)의 길이방향(L)으로 연장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돌기부(230)는 제1연결돌기부(231)와 제2연결돌기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연결돌기부(231)는 밸브부(100)에 구비된 입수부(110)에 연결되며, 일체형 유로부(200)에서 입수부(110)를 향하여 물의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연결돌기부(231)는 제1일체형 유로부(210)의 후방으로 돌출되며, 제1일체형 유로부(210)의 길이방향(L)으로 연장되는 돌기 형상이다. 제1연결돌기부(231)의 내측에는 커넥트홀(327)용 홀(234)이 구비되므로, 밸브부(100)의 입수부(110)가 제1연결돌기부(231)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일체형 유로부(200)의 내측에 구비된 유로에 연결된다.
제2연결돌기부(232)는, 밸브부(100)에 구비된 배출부(120)에 연결되며, 배출부(120)에서 일체형 유로부(200)의 내측으로 물의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2연결돌기부(232)도 제1연결돌기부(231)와 함께 제1일체형 유로부(210)의 후방으로 돌출되며, 제1일체형 유로부(210)의 길이방향(L)으로 연장되는 돌기 형상이다. 제2연결돌기부(232)의 내측에는 커넥트홀(327)용 홀(234)이 구비되므로, 밸브부(100)의 배출부(120)가 제2연결돌기부(232)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일체형 유로부(200)의 내측에 구비된 유로에 연결된다.
또한 제1일체형 유로부(210)는, 제1연결돌기부(231) 1개와 제2연결돌기부(232) 2개를 포함한 수로단자부(211)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수로단자부(211)는 제1유로프레임(220)의 상하 방향을 따라 복수개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로단자부(211)는 3개가 구비되며, 제1연결돌기부(231)의 양측에 제2연결돌기부(232)가 위치한다. 또한 제1유로프레임(220)을 기준으로 후방으로 돌출된 제1연결돌기부(231)의 돌출길이는, 제2연결돌기부(232)의 돌출길이 보다 길게 형성된다. 밸브부(100)의 전방으로 입수부(110)와 배출부(120)가 돌출되며, 밸브부(100)에 연결된 배출부(120)의 돌출길이가 입수부(110)의 돌출길이 보다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입수부(110)는 제1연결돌기부(231)에 연결되며, 배출부(120)는 제2연결돌기부(232)에 연결되는 동작이 안정적으로 되며, 누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제1유로안내홈부(240)는 제2일체형 유로부(300)와 마주하는 제1유로프레임(220)의 내측에 물이 이동되는 홈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1유로안내홈부(240)는 제1유로프레임(220)에 복수로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유로안내홈부(240)를 따라 상온의 물과 가열된 물과 냉각된 물의 이동이 각각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일체형 유로부(210)와 제2일체형 유로부(300)의 결합은 융착을 포함한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유로안내홈부(240)는 연결돌기부(230)의 커넥트홀(327)용 홀(234)과 연결되므로, 밸브부(100)를 향하여 이동하는 물과 밸브부(100)에서 토출되는 물이 각각 제1유로안내홈부(240)를 따라 이동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유로안내홈부(240)는, 제1내측홈부(241)와 제2내측홈부(242)와 제3내측홈부(243)와 제4내측홈부(244)와 제5내측홈부(245)와 제6내측홈부(246)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유로프레임(220)의 후면에는 연결돌기부(230)가 연결되며, 제1일체형 유로부(210)와 마주하는 제1유로프레임(220)의 전면에는 밸브부(100)와 연결된 유로를 형성하는 제1유로안내홈부(240)가 형성된다. 제1유로안내홈부(240)는 제1유로프레임(220)의 전면에 오목한 형상의 홈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제1내측홈부(241)는 제1유로프레임(220)의 폭방향(W) 일측에서 하측을 향하여 상하방향(H)으로 연장된 후 제1유로프레임(220)의 맨 아래에 있는 제1연결돌기부(231)에 연결된다. 제1내측홈부(241)는 밸브부(100)의 제1입수부(111)에 연결되며, 정수된 후 일체형 유로부(200)의 내측으로 유입된 물을 제1입수부(111)로 안내한다.
제2내측홈부(242)는 온수모듈(902)을 향하여 정수를 배출하는 제1연결포트(250)에 연결되며, 제2밸브(132)와 연결되는 제2연결돌기부(232)의 내측과 연통된다. 제2내측홈부(242)는 제1내측홈부(241)와 나란히 배치되며, 제1유로프레임(220)의 하측으로 향하여 연장된 후 제2밸브(132)와 연결된 제2연결돌기부(232)를 향하여 휘어지는 형상으로 설치된다. 제2밸브(132)에서 배출되는 상온의 정수는 제2내측홈부(242)를 따라 상측으로 이동된 후 제1연결포트(250)를 통해 온수모듈(902)로 이동되어 가열된다.
제3내측홈부(243)는 제1밸브(131)와 제2입수부(112)와 제6밸브(136)와 연결되는 관로를 형성한다.
제4내측홈부(244)는 정수를 배출하는 제3밸브(133) 및 일체형 유로부(200)의 외측으로 정수를 배출하는 제3돌출포트(343)에 연결된다.
제5내측홈부(245)는, 온수 또는 살균을 위해 밸브부(100)의 내측으로 가열된 물을 공급받는 제3입수부(113) 및 일체형 유로부(200)의 내측으로 가열된 온수를 공급하는 제2돌출포트(342)에 연결된다. 제3입수부(113)는 연결돌기부(230)를 통해 제5내측홈부(245)와 연통되며, 제5내측홈부(245)의 상측은 제2돌출포트(342)와 연통된다.
제6내측홈부(246)는 일체형 유로부(200)의 외측으로 온수를 배출하는 제6밸브(136)와 연결된다. 또한 제6내측홈부(246)는 일체형 유로부(200)의 외측으로 온수 배출을 안내하는 제3돌출포트(343)에 연결된다.
제1연결포트(250)는 제1유로안내홈부(240)와 연결되며, 제1유로프레임(22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연결관로(800)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연결포트(250)는 상온의 정수된 물을 온수모듈(902)로 공급하는 통로이다. 제1연결포트(250)는 제2내측홈부(242)와 연결된다.
제1열차단홈부(260)는, 제1유로프레임(220)의 내측으로 상온의 물을 공급하는 제1유로안내홈부(240)의 주변을 따라 장공 형상의 슬릿홀을 형성할 수 있다. 일체형 유로부(200)의 내측에 형성된 입수유로와 온수유로 사이에는 케이스 사출물을 절개(Slit)하여 열전도를 방지하는 제1열차단홈부(260)가 형성된다. 제1열차단홈부(260)의 설치로, 일체형 유로부(200)의 내측을 흐르는 온수에 의해 일체형 유로부(200)의 내측으로 유입된 정수의 온도가 상승함을 방지한다. 일체형 유로부(200)의 내측을 흐르는 온수에 의한 열전달로 인해, 일체형 유로부(200)의 내측으로 유입된 정수의 온도가 상승됨을 방지하거나 온도 상승을 최소화 하여 온수의 온도 제어를 보다 정확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열차단홈부(260)는, 상온의 물을 흐르는 제2내측홈부(242)와 가열된 물이 흐르는 제3내측홈부(243)의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제1열차단홈부(260)는 제2내측홈부(242)와 제3내측홈부(243)의 사이에 절개된 장공의 홀을 구비하며, 제1열차단홈부(260)는 연속적으로 홀을 형성하지 않고 제1유로프레임(220)에 의해 부분적으로 이격된 상태로 설치된다. 제1열차단홈부(260)는 고온의 물이 흐르는 통로인 제3내측홈부(243)의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제3내측홈부(243)를 따라 이동되는 고온의 물에 의한 열전달이 제1열차단홈부(260)에 의해 차단되므로, 제1내측홈부(241)나 제2내측홈부(242)를 따라 이동되는 상온의 물이 열전달에 의해 온도가 상승됨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온수 가열시 설정된 온도로 가열이 이루어지므로 정수기(1)의 동작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일체형 유로부]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일체형 유로부(300)의 내측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일체형 유로부(300)의 내측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6과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일체형 유로부(300)는, 제1일체형 유로부(210)에 결합되며, 물이 이동되는 유로가 내측에 형성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제1일체형 유로부(210)와 제2일체형 유로부(300)의 사이에는 밸브부(100)와 연결되는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밸브부(100)와 연결된 일체형 유로부(200)의 유로는 일체형 유로부(200)에 구비된 연결포트(201)에 연결되므로, 복수의 연결관로(800)의 연결을 원터치 방식으로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일체형 유로부(300)는, 제2유로프레임(310)과 제2유로안내홈부(320)와 제2연결포트(330)와 제3연결포트(340)와 제2열차단홈부(3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유로프레임(310)은 제1일체형 유로부(210)에 결합되며, 케이스부(500)의 내측에 위치하는 판 형상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유로프레임(310)은 제1유로프레임(220)에 대응하는 형상이다. 그리고 제2유로프레임(310)은 대략 직사각형에 가까운 형상의 패널이며, 모서리의 일부는 곡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2유로프레임(310)의 후면은 제1유로프레임(220)에 고정되며, 제2유로프레이의 전면은 손잡이부(400)와 연결된다.
제2유로안내홈부(320)는 제1일체형 유로부(210)와 마주하는 제2유로프레임(310)의 내측에 물이 이동되는 홈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2유로안내홈부(320)는 제2유로프레임(310)에 복수로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유로안내홈부(320)를 따라 상온의 물과 가열된 물과 냉각된 물의 이동이 각각 이루어질 수 있다. 제2유로안내홈부(320)는 제1유로안내홈부(240)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제1유로안내홈부(240)와 제2유로안내홈부(320)는 서로 마주하며 연통되므로 일체형 유로부(200)의 내측을 이동하는 물의 이동을 안내한다. 제2유로안내홈부(320)는 제1유로안내홈부(240)와 마주하는 제2유로프레임(310)의 후면에 오목한 형상의 홈부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유로안내홈부(320)는, 제1외측홈부(321)와 제2외측홈부(322)와 제3외측홈부(323)와 제4외측홈부(324)와 제5외측홈부(325)와 제6외측홈부(커넥트홀(327))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외측홈부(321)는 제2유로프레임(310)의 폭방향(W) 타측에서 하측을 향하여 상하방향(H)으로 연장되며, 제1내측홈부(241)와 마주하는 위치에 오목한 홈 형상의 유로를 형성한다. 제1외측홈부(321)와 제1내측홈부(241)에 의해 형성된 유로는 밸브부(100)의 제1입수부(111)에 연결되며, 정수된 후 일체형 유로부(200)의 내측으로 유입된 물을 제1입수부(111)로 안내한다. 또한 제1외측홈부(321)는 제1돌출포트(341)와 연결되어 정수된 물을 공급받는다.
제2외측홈부(322)와 제2내측홈부(242)에 의해 형성된 유로는, 온수모듈(902)을 향하여 정수를 배출하는 제1연결포트(250)에 연결되며, 제2밸브(132)와 연결되는 제2연결돌기부(232)의 내측과 연통된다. 제2외측홈부(322)는 제1외측홈부(321)와 나란히 배치되며, 제2유로프레임(310)의 하측으로 향하여 연장된 후 하향 경사지게 굽어지는 형상으로 설치된다. 제2밸브(132)에서 배출되는 상온의 정수는 제2외측홈부(322)와 제2내측홈부(242)에 의해 형성된 유로를 따라 상측으로 이동된 후 제1연결포트(250)를 통해 온수모듈(902)로 이동되어 가열된다.
제3외측홈부(323)는 제3내측홈부(243)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제3외측홈부(323)와 제3내측홈부(243)에 의해 형성된 유로는, 제1밸브(131)와 제2입수부(112)와 제6밸브(136)와 연결되는 관로를 형성한다.
제4외측홈부(324)는 제4내측홈부(244)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제4외측홈부(324)와 제4내측홈부(244)에 의해 형성된 유로는, 정수를 배출하는 제3밸브(133) 및 일체형 유로부(200)의 외측으로 정수를 배출하는 제3돌출포트(343)에 연결된다.
제5외측홈부(325)는 제5내측홈부(245)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제5외측홈부(325)와 제5내측홈부(245)에 의해 형성된 유로는, 온수 또는 살균을 위해 밸브부(100)의 내측으로 가열된 물을 공급받는 제3입수부(113) 및 일체형 유로부(200)의 내측으로 가열된 온수를 공급하는 제2돌출포트(342)에 연결된다. 제3입수부(113)는 연결돌기부(230)를 통해 제5내측홈부(245)와 연통되며, 제5외측홈부(325)의 상측은 제2돌출포트(342)와 연통된다.
제6외측홈부(커넥트홀(327))는 제6내측홈부(246)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제6외측홈부(커넥트홀(327))와 제6내측홈부(246)에 의해 형성된 유로는, 일체형 유로부(200)의 외측으로 온수를 배출하는 제6밸브(136)와 연결된다. 또한 제6외측홈부(커넥트홀(327))는 일체형 유로부(200)의 외측으로 온수 배출을 안내하는 제3돌출포트(343)에 연결된다.
제2연결포트(330)는 제2유로안내홈부(320)와 연결되며, 제2유로프레임(31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연결관로(800)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연결포트(330)는 제2유로프레임(310)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연결관로(8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연결포트(250)는 냉수모듈(903)로 정수를 안내하는 제4밸브(134)와 연통될 수 있다.
또한 제3연결포트(340)는 제2유로안내홈부(320)와 연결되며, 제2유로프레임(310)의 테두리 외측으로 돌출되어 연결관로(800)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연결포트(340)는 제1돌출포트(341)와 제2돌출포트(342)와 제3돌출포트(34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돌출포트(341)는 제2일체형 유로부(300)의 상측으로 돌출되며, 제1내측홈부(241)와 제1외측홈부(321)에 의해 형성된 유로와 연통되며, 일체형 유로부(200)의 내측으로 정수된 물을 공급하는 통로이다.
제2돌출포트(342)는 제1돌출포트(341)에 연이어 설치되며, 제2일체형 유로부(300)의 상측으로 돌출된다. 또한 제2돌출포트(342)는 제5내측홈부(245)와 제5외측홈부(325)에 의해 형성된 유로와 연통된다. 이러한 제2돌출포트(342)는 일체형 유로부(200)의 내측으로 가열된 물을 공급하는 통로이다.
제3돌출포트(343)는 제2돌출포트(342)에 연이어 설치되며, 제2일체형 유로부(300)의 상측으로 돌출된다. 또한 제3돌출포트(343)는 제4내측홈부(244)와 제4외측홈부(324)에 의해 형성된 유로 및 제6내측홈부(246)와 제6외측홈부(326)에 의해 형성된 유로와 연통된다. 이러한 제3돌출포트(343)는 일체형 유로부(200)의 외측으로 가열된 물 또는 정수용 물이 배출되는 통로이다.
제3돌출포트(343)는 제4내측홈부(244)와 제4외측홈부(324)에 의해 형성된 유로와, 제6내측홈부(246)와 제6외측홈부(326)에 의해 형성된 유로는 커넥트홀(327)에 의해 연통되어 제3돌출포트(343)를 공용으로 사용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4외측홈부(324)와 제6외측홈부(326)를 구분하는 격벽에 구멍 형상의 커넥트홀(327)이 구비된다. 제4외측홈부(324)와 제6외측홈부(326)를 흐르는 유체는 커넥트홀(327)을 통해 관로가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제3돌출포트(343)를 공용으로 사용한다. 따라서 재료비와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돌출포트의 설치개수가 감소되어 설계 자유도를 향상시키며, 직수관 모듈(50)을 컴팩트화 할 수 있다.
제2열차단홈부(350)는, 제2유로프레임(310)의 내측으로 상온의 물을 공급하는 제2유로안내홈부(320)의 주변을 따라 장공 형상의 슬릿홀을 형성할 수 있다. 일체형 유로부(200)의 내측에 형성된 입수유로와 온수유로 사이에는 케이스 사출물을 절개(Slit)하여 열전도를 방지하는 제2열차단홈부(350)가 형성된다. 제2열차단홈부(350)는 제1열차단홈부(260)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또한 제1열차단홈부(260)와 제2열차단홈부(350)의 설치로, 일체형 유로부(200)의 내측을 흐르는 온수에 의해 일체형 유로부(200)의 내측으로 유입된 정수의 온도가 상승함을 방지한다. 일체형 유로부(200)의 내측을 흐르는 온수에 의한 열전달로 인해, 일체형 유로부(200)의 내측으로 유입된 정수의 온도가 상승됨을 방지하거나 온도 상승을 최소화 하여 온수의 온도 제어를 보다 정확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열차단홈부(350)는, 상온의 물을 흐르는 제2외측홈부(322)와 가열된 물이 흐르는 제3외측홈부(323)의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제2열차단홈부(350)는 제2외측홈부(322)와 제3외측홈부(323)의 사이에 절개된 장공의 홀을 구비하며, 제2열차단홈부(350)는 연속적으로 홀을 형성하지 않고 제2유로프레임(310)에 의해 부분적으로 이격된 상태로 설치된다. 제2열차단홈부(350)는 고온의 물이 흐르는 통로인 제3외측홈부(323)의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제3외측홈부(323)를 따라 이동되는 고온의 물에 의한 열전달이 제2열차단홈부(350)에 의해 차단되므로, 제1외측홈부(321)나 제2외측홈부(322)를 따라 이동되는 상온의 물이 열전달에 의해 온도가 상승됨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온수 가열시 설정된 온도로 가열이 이루어지므로 정수기(1)의 동작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링부재(440)와 실링고정부재(450)는 제1일체형 유로부(210)와 제2일체형 유로부(300)의 결합 전 연결돌기부(230)의 내측에 설치될 수 있으며, 제1일체형 유로부(210)와 제2일체형 유로부(3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연결돌기부(230)의 내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
실링부재(440)는 연결돌기부(230)의 내측으로 삽입된 밸브부(100)의 외측과 연결돌기부(230)의 내측 사이에 위치하며, 밸브부(100)와 연결돌기부(230)의 사이로 물의 이동을 차단할 수 있다. 실링부재(440)는 오링 형상이며, 실링고정부재(450)는 실링부재(440)에 연이어 설치되며, 연결돌기부(230)에 고정되어 실링부재(440)의 이동을 구속할 수 있다.
[손잡이부]
손잡이부(400)는 일체형 유로부(200)의 측면에 구비되며, 사용자가 손잡이부(400)를 잡고 일체형 유로부(2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손잡이부(400)는 일체형 유로부(200)를 기준으로 밸브부(100)와 반대되는 위치에 설치되며, 케이스부(500)의 개폐에 의해 케이스부(500)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부분에 손잡이부(400)가 설치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손잡이부(400)를 잡고 일체형 유로부(200)를 케이스부(500)의 외측으로 꺼내는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손잡이부(400)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은 경우, 사용자는 일체형 유로부(200)의 테두리 등을 손으로 잡고 당기는 동작을 해야 하므로, 사용자의 손가락이 들어가는 공간 만큼 케이스부(500)의 크기도 커지게 되므로, 직수관 모듈(50)의 외형이 증가되어 설계 자유도가 저하되며, 제품의 외형이 증가하는 문제점을 갖는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손잡이부(400)는 밸브부(100)와 연결되는 측면과 반대되는 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며, 사용자의 손에 걸리는 작업홈부가 내측에 구비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부(400)는, 제1손잡이(410)와 제2손잡이(420)와 작업손잡이(4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손잡이(410)는 일체형 유로부(200)의 전방으로 돌출되며, 하측을 향하여 오목한 형상의 작업홈부를 형성한다. 제1손잡이(410)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일체형 유로부(200)의 폭방향(W)을 따라 배치된다.
제2손잡이(420)는 일체형 유로부(200)의 전방으로 돌출되며, 상측을 향하여 오목한 형상의 작업홈부를 형성한다. 또한 제1손잡이(410)는 복수로 구비되며, 제1손잡이(410)의 갯수가 제2손잡이(420)의 갯수 보다 많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손잡이(410)는 2개 제2손잡이(420)는 1개로 설치된다. 제2손잡이(420)에는 엄지 손가락이 들어가고 제1손잡이(410)에는 나머지 손가락이 들어가므로, 손가락을 모으며 손잡이부(400)를 잡으므로, 손잡이부(400)를 잡는 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작업손잡이(430)는 제2손잡이(420)의 상측에 위치하며, 일체형 유로부(200)의 전방이나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측을 향하여 오목한 형상의 작업홈부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작업손잡이(430)와 제1손잡이(410)를 잡고 일체형 유로부(200)를 밸브부(10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일체형 유로부 교체]
상기 구성을 갖는 정수기(1)에서 일체형 유로부(200)를 교체할 경우, 정수기(1)를 전부 분해하지 않고, 일체형 유로부(200) 만을 정수기(1)에서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으므로, 일체형 유로부(200)의 교체 및 유지보수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정수기(1)의 외측 케이스를 분리하면, 정수기(1)의 측면에 도어부(700)가 노출된다. 도어부(700)를 케이스몸체부(600)에 고정시키는 볼트의 잠금을 해제하고, 고정후크(714)의 잠금을 해제하여 도어부(700)를 케이스몸체부(600)에서 분리한다.
그리고 일체형 유로부(200)의 전방에 구비된 손잡이부(400)를 잡고 일체형 유로부(200)를 전방으로 당기는 작업에 의해, 밸브부(100)와 일체형 유로부(200)가 분리된다. 밸브부(100)와 분리된 일체형 유로부(200)는 케이스몸체부(600)의 입구부(602)를 통해 전방으로 이동된다.
밸브부(100)와 일체형 유로부(200) 분리시 발생하는 낙수는 케이스베이스부(660)에 구비된 물받이부(662)에 저장되므로, 정수기(1)의 외측으로 물이 떨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현장 주변이 떨어진 물 등에 의해 지저분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작업자는 일체형 유로부(200)의 교체 작업을 하면서 물받이부(662)에 떨어진 물을 제거할 수 있다.
일체형 유로부(200)는 원터치 방식으로 밸브부(100)와 분리될 수 있으므로,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정 기간 사용된 일체형 유로부(200)를 새 제품으로 교체한 후 케이스몸체부(600)의 입구부(602)를 통해 밸브부(100)를 향한 방향으로 일체형 유로부(200)를 이동시킨다.
일체형 유로부(200)의 연결돌기부(230)에 밸브부(100)의 입수부(110)와 배출부(120)가 삽입되므로, 일체형 유로부(200)와 밸브부(100)가 연결된다. 그리고 도어부(700)의 커버고정돌기(713)를 케이스몸체부(600)의 고정체결홀부(633)에 삽입한 후 도어부(700)의 고정후크(714)는 도어연결부(630)에 걸려서 도어부(700)의 가결합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어부(700)에 구비된 이동체결홀부(715)를 통해 볼트를 삽입하여 케이스몸체부(600)에 구비된 고정체결홀부(633)에 볼트를 체결하므로 도어부(700)의 고정 작업이 완료된다.
도어부(700)에 구비된 이탈방지리브(720)가 일체형 유로부(200)를 지지한다. 따라서, 수압에 의해 도어부(700)를 향한 방향으로 가압되는 일체형 유로부(200)는 이탈방지리브(720)에 접하며 이동이 구속되므로, 밸브부(100)와 일체형 유로부(200) 사이의 누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일체형 유로부(200)는 슬라이딩 이동되어 밸브부(100)와 분리되거나 결합될 수 있으며, 일체형 유로부(200)가 밸브부(100)와 결합된 상태에서 케이스부(500)가 일체형 유로부(200)와 밸브부(100)를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므로, 일체형 유로부(200)가 밸브부(100)에서 분리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일체형 유로부(200)는 슬라이딩 이동되어 밸브부(100)와 분리되거나 결합될 수 있으므로, 일체형 유로부(200)의 분리작업과 결합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작업시간도 절감된다.
밸브부(100)와 연결된 복수의 관로가 일체형 유로부(200)의 내측에 일체로 이루어지므로, 각 관로가 밸브부(100)와 연결되는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 관로의 교체도 일체형 유로부(200)만 교체하면 되므로 작업시간이 단축된다.
또한 밸브부(100)와 연결된 복수의 관로 등이 일체형 유로부(200)로 통합되므로 구조 간소화를 통해 재료비를 절감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연결관로 연결]
일체형 유로부(200)에는 연결관로(800)와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포트(201)가 구비된다.
제1일체형 유로부(210)의 상측으로 돌출된 제1연결포트(250)는 제2내측홈부(242)와 제2외측홈부(322)에 의해 형성된 유로와 연통된다. 또한 제1연결포트(250)는 연결관로(800)를 통해 온수모듈(902)과 연결되므로, 제1연결포트(250)를 통해 배출된 물은 온수모듈(902)에서 가열된다.
제2일체형 유로부(300)의 상측으로 돌출된 제3연결포트(340)는, 제1돌출포트(341)와 제2돌출포트(342)와 제3돌출포트(343)를 포함한다. 제1돌출포트(341)는 제1내측홈부(241)와 제1외측홈부(321)에 의해 형성된 유로와 연통되며, 필터부(901)를 통과하며 정수된 물이 연결관로(800)를 통해 제1돌출포트(341)의 내측으로 이동한다.
제2돌출포트(342)는 제1돌출포트(341)에 연이어 설치되며, 제5내측홈부(245)와 제5외측홈부(325)에 의해 형성된 유로와 연통되며, 온수모듈(902)에서 가열된 물이 연결관로(800)와 제2돌출포트(342)를 통해 제5내측홈부(245)와 제5외측홈부(325)에 의해 형성된 유로로 공급된다.
제3돌출포트(343)는 제2돌출포트(342)에 연이어 설치되며, 제6내측홈부(246)와 제6외측홈부(326)에 의해 형성된 유로 및 제4내측홈부(244)와 제4외측홈부(324)에 의해 형성된 유로와 연통된다.
제4내측홈부(244)와 제4외측홈부(324)에 의해 형성된 유로를 통해 정수로 배출하기 위한 물이 제3돌출포트(343)를 통해 출수밸브(905)로 이동된 후 출수부(906)를 통해 정수기(1)의 외측으로 배출된다.
또는 제6내측홈부(246)와 제6외측홈부(326)에 의해 형성된 유로를 통해 온수로 배출하기 위한 물이 제3돌출포트(343)를 통해 출수밸브(905)로 이동된 후 출수부(906)를 통해 정수기(1)의 외측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제2일체형 유로부(300)의 전방으로 돌출된 제2연결포트(330)는 도어부(700)와 간섭됨을 회피하기 위해 상측으로 굽어진 형상으로 설치된다. 제2연결포트(330)는 냉수를 출수하기 위한 제4밸브(134)와 연결된다. 따라서 제4밸브(134)를 통해 일체형 유로부(200)의 내측으로 공급된 정수는 제2연결포트(330)와 연결관로(800)를 통해 냉수모듈(903)로 이동되어 설정된 온도로 냉각된 후 출수밸브(905)와 출수부(906)를 차례로 통과하며 정수기(1)의 외측으로 배출된다.
연결포트(201)는 일체형 유로부(200)의 상측과 전방에 설치됨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일체형 유로부(200)의 하측이나 측면과 같이 다양한 위치에도 연결포트(201)가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케이스부의 차별화 구성]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1)는, 슬라이드 이동되어 밸브부(100)와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 일체형 유로부(200)가 케이스부(500)에 의해 이동이 구속되므로, 밸브부(100)와 일체형 유로부(200)의 연결이 해제되거나 누수가 발생됨을 방지하여 정수기(1)의 동작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일체형 유로부(200)의 이동을 구속하는 도어부(700)의 착탈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므로, 일체형 유로부(200)의 분해 및 조립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케이스부(500)는 케이스몸체부(600)와 도어부(700)를 포함한다. 케이스몸체부(600)는 밸브부(100)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체형 유로부(200)와 밸브부(100)가 분리될 때 밸브부(100)의 이동을 구속하여 일체형 유로부(200)와 밸브부(100)의 분리가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도어부(700)는 케이스몸체부(60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도어부(700)가 케이스몸체부(600)에 결합되면서 일체형 유로부(200)에 접하므로, 수압에 의해 일체형 유로부(200)가 도어부(700)를 향한 방향으로 이동됨을 구속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부(500)와 밸브부(100)와 일체형 유로부(200)는 서로 결합되어 직수관 모듈(50)을 형성하므로, 직수관 모듈(50) 단위로 조립 및 교체작업도 가능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유지보수 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
[손잡이부의 차별화 구성]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손잡이부(400)를 잡고 일체형 유로부(200)를 케이스부(500)의 외측으로 꺼내는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므로, 일체형 수로모듈의 교체 및 유지보수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도어부(700)가 케이스몸체부(600)에서 분리된 후 일체형 유로부(200)의 전방에 있는 손잡이부(400)가 외측으로 노출된다. 또한 손잡이부(400)가 제1손잡이(410)와 제2손잡이(420)를 포함하므로, 사용자는 제1손잡이(410)와 제2손잡이(420)에 각각 손가락을 걸고, 일체형 유로부(200)를 케이스몸체부(600)의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일체형 유로부(200)의 상하측과 좌우측은, 모두 케이스몸체부(600)에 접하고 있거나 손가락이 들어갈 공간이 확보되지 못하므로, 손잡이부(400)가 별도로 구비되지 못하면 일체형 유로부(200)를 케이스몸체부(600)의 외측으로 빼내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일체형 유로부(200)의 전방에 손잡이부(400)를 설치하고, 사용자가 손잡이부(400)를 잡고 당기는 동작이 수월하게 이루어지도록 제1손잡이(410)는 하측에 2개 설치하고, 엄지손가락이 걸리는 제2손잡이(420)는 제1손잡이(410)의 상측에 1개 설치한다.
또한 제1손잡이(410) 상측에 별도의 작업손잡이(430)를 설치하여 일체형 유로부(200)를 전방으로 당기는 동작이 보다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정수기의 동작]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1)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수구(900)를 통해 공급되는 원수는 필터부(901)를 거치면서 이물질이 제거된 정수가 된다. 정수는 일체형 유로부(200)를 통해 제1입수부(111)로 유입된 후 제1배출부(121) 또는 제2배출부(122)로 배출된다. 제1밸브(131)가 동작되면 제1배출부(121)로 정수가 배출되며, 제2밸브(132)가 동작되면 제2배출부(122)로 정수가 배출된다.
제1배출부(121)로 배출된 정수는 온수모듈(902)에서 가열된 후 제3입수부(113)로 공급된다. 그리고
제3입수부(113)로 유입된 후 제5배출부(125) 또는 제6배출부(126)로 배출된다. 제5밸브(135)가 동작되면 제5배출부(125)로 온수가 배출되며, 제6밸브(136)가 동작되면 제6배출부(126)로 온수가 배출된다. 제5배출부(125)로 배출되는 온수는 출수밸브(905)를 통해 출수부(906)로 이동되어 정수기(1)의 외측으로 배출된다.
제6배출부(126)로 배출되는 온수는 살균의 기능을 하며, 제2입수부(112)로 이동된 후 제3배출부(123) 또는 제4배출부(124)를 통해 배출된다.
제3밸브(133)가 동작되면 제3배출부(123)로 살균을 위한 온수가 배출되며, 제4밸브(134)가 동작되면 제4배출부(124)로 살균을 위한 온수가 배출된다. 제3배출부(123)로 배출되는 온수는 냉수모듈(903)을 통과하며 냉수모듈(903)을 소독한 후 드레인밸브(904)를 통해 정수기(1)의 외측으로 배출된다. 제4배출부(124)로 배출되는 온수는 드레인밸브(904)로 직접 이동한 후 정수기(1)의 외측으로 배출된다.
제2배출부(122)를 통해 배출된 정수는 제2입수부(112)로 이동된 후 제3배출부(123) 또는 제4배출부(124)로 배출된다. 제3밸브(133)가 동작되면 제3배출부(123)로 냉각되기 위한 정수가 배출되어 냉수모듈(903)을 통과하며 냉각되어 냉수가 된 후 출수밸브(905)와 출수부(906)를 차례로 통과하며 정수기(1)의 외측으로 배출된다.
제4밸브(134)가 동작되면 제4배출부(124)로 정수가 배출되어 출수밸브(905)로 이동된다. 그리고 출수밸브(905)와 출수부(906)를 차례로 통과하며 정수기(1)의 외측으로 정수가 배출된다.
[정수출수]
필터부(901)에서 배출된 정수는 제1돌출포트(341)를 통해 일체형 유로부(200)의 내측으로 공급된다. 제1외측홈부(321)와 제1내측홈부(241)에 의해 형성돤 유로를 통해 제1입수부(111)로 이동한 후 제1밸브(131)의 동작에 의해 제1배출부(121)로 배출된다.
그리고, 제3외측홈부(323)와 제3내측홈부(243)에 의해 형성돤 유로를 통해 제2입수부(112)로 이동한 후 제3밸브(133)의 동작에 의해 제3배출부(123)로 배출된 후, 제4외측홈부(324)와 제4내측홈부(244)에 의해 형성돤 유로를 통해 일체형 유로부(200)의 상측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커넥트홀(327)을 통해 제6외측홈부(326)와 제6내측홈부(246)에 의해 형성돤 유로의 내측으로 이동된 후 제3돌출포트(343)를 통해 출수밸브(905)로 이동된 후 출수부(906)를 통해 정수기(1)의 외측으로 배출된다.
[냉수출수]
필터부(901)에서 배출된 정수는 제1돌출포트(341)를 통해 일체형 유로부(200)의 내측으로 공급된다. 제1외측홈부(321)와 제1내측홈부(241)에 의해 형성돤 유로를 통해 제1입수부(111)로 이동한 후 제1밸브(131)의 동작에 의해 제1배출부(121)로 배출된다.
그리고, 제3외측홈부(323)와 제3내측홈부(243)에 의해 형성돤 유로를 통해 제2입수부(112)로 이동한 후 제4밸브(134)의 동작에 의해 제4배출부(124)로 배출된다. 그리고 제2일체형 유로부(300)의 전방으로 돌출된 제2연결포트(330)를 통해 냉수모듈(903)로 이동되어 냉각된 후 출수밸브(905)로 이동되어 출수부(906)를 통해 정수기(1)의 외측으로 배출된다.
[온수출수]
필터부(901)에서 배출된 정수는 제1돌출포트(341)를 통해 일체형 유로부(200)의 내측으로 공급된다. 제1외측홈부(321)와 제1내측홈부(241)에 의해 형성돤 유로를 통해 제1입수부(111)로 이동한 후 제2밸브(132)의 동작에 의해 제2배출부(122)로 배출된다.
그리고, 제2외측홈부(322)와 제2내측홈부(242)에 의해 형성돤 유로를 통해 제1연결포트(250)로 이동된 후 연결관로(800)를 통해 온수모듈(902)로 이동되어 가열된다. 그리고 가열된 온수는 제2돌출포트(342)를 통해 제5외측홈부(325)와 제5내측홈부(245)에 의해 형성돤 유로를 따라 이동된 후 제3입수부(113)로 공급된다.
그리고 제5밸브(135)의 동작으로 제5배출부(125)로 배출된 온수는 제3연결포트(340)를 통해 출수밸브(905)로 이동된 후 출수부(906)를 통해 정수기(1)의 외측으로 배출된다.
[정수유로 살균]
필터부(901)에서 배출된 정수는 제1돌출포트(341)를 통해 일체형 유로부(200)의 내측으로 공급된다. 제1외측홈부(321)와 제1내측홈부(241)에 의해 형성돤 유로를 통해 제1입수부(111)로 이동한 후 제2밸브(132)의 동작에 의해 제2배출부(122)로 배출된다.
그리고, 제2외측홈부(322)와 제2내측홈부(242)에 의해 형성돤 유로를 통해 제1연결포트(250)로 이동된 후 연결관로(800)를 통해 온수모듈(902)로 이동되어 가열된다. 그리고 가열된 온수는 제2연결포트(330)를 통해 제5외측홈부(325)와 제5내측홈부(245)에 의해 형성돤 유로를 따라 이동된 후 제3입수부(113)로 이동된다.
제3입수부(113)로 이동된 온수는 제6밸브(136)의 동작에 의해 제6배출부(126)로 배출된 후 제3외측홈부(323)와 제3내측홈부(243)에 의해 형성돤 유로를 통해 하측으로 이동되어 제2입수로 이동된다.
그리고, 제3밸브(133)의 동작에 의해 제3배출부(123)로 온수가 배출된다. 제3밸브(133)의 동작에 의해 제3배출부(123)로 온수가 배출된 후, 제4외측홈부(324)와 제4내측홈부(244)에 의해 형성돤 유로를 통해 일체형 유로부(200)의 상측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커넥트홀(327)을 통해 제6외측홈부(326)와 제6내측홈부(246)에 의해 형성돤 유로의 내측으로 이동된 후 제3돌출포트(343)를 통해 드레인밸브(904)로 이동된 온수는 정수기(1)의 외측으로 드레인된다.
온수모듈(902)에서 가열된 온수가 정수유로를 따라 이동되며 관로 내부를 살균하므로, 정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냉수유로 살균]
필터부(901)에서 배출된 정수는 제1돌출포트(341)를 통해 일체형 유로부(200)의 내측으로 공급된다. 제1외측홈부(321)와 제1내측홈부(241)에 의해 형성돤 유로를 통해 제1입수부(111)로 이동한 후 제2밸브(132)의 동작에 의해 제2배출부(122)로 배출된다.
그리고, 제2외측홈부(322)와 제2내측홈부(242)에 의해 형성돤 유로를 통해 제1연결포트(250)로 이동된 후 연결관로(800)를 통해 온수모듈(902)로 이동되어 가열된다. 그리고 가열된 온수는 제2연결포트(330)를 통해 제5외측홈부(325)와 제5내측홈부(245)에 의해 형성돤 유로를 따라 이동된 후 제3입수부(113)로 이동된다.
제3입수부(113)로 이동된 온수는 제6밸브(136)의 동작에 의해 제6배출부(126)로 배출된 후 제3외측홈부(323)와 제3내측홈부(243)에 의해 형성돤 유로를 통해 하측으로 이동되어 제2입수로 이동된다.
그리고, 제4밸브(134)의 동작에 의해 제4배출부(124)로 배출된다. 그리고 제2일체형 유로부(300)의 전방으로 돌출된 제2연결포트(330)를 통해 냉수모듈(903)로 이동된 온수는 냉수모듈(903)의 내측을 소독한 후 드레인밸브(904)로 이동된 온수는 정수기(1)의 외측으로 드레인된다.
이때 냉수모듈(903)의 가동은 중지되어 냉수모듈(903)을 살균하는 온수가 냉각됨을 방지한다. 온수모듈(902)에서 가열된 온수가 냉수유로를 따라 이동되며 관로 내부를 살균하므로, 정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온수유로 살균]
필터부(901)에서 배출된 정수는 제1돌출포트(341)를 통해 일체형 유로부(200)의 내측으로 공급된다. 제1외측홈부(321)와 제1내측홈부(241)에 의해 형성돤 유로를 통해 제1입수부(111)로 이동한 후 제2밸브(132)의 동작에 의해 제2배출부(122)로 배출된다.
그리고, 제2외측홈부(322)와 제2내측홈부(242)에 의해 형성돤 유로를 통해 제1연결포트(250)로 이동된 후 연결관로(800)를 통해 온수모듈(902)로 이동되어 가열된다. 그리고 가열된 온수는 제2연결포트(330)를 통해 제5외측홈부(325)와 제5내측홈부(245)에 의해 형성돤 유로를 따라 이동된 후 제3입수부(113)로 이동된다.
제3입수부(113)로 이동된 온수는 제5밸브(135)의 동작으로 제5배출부(125)로 배출되며, 제3연결포트(340)를 통해 드레인밸브(904)로 이동된 후 정수기(1)의 외측으로 드레인된다.
온수모듈(902)에서 가열된 온수가 온수유로를 따라 이동되며 관로 내부를 살균하므로, 정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 정수기
50: 직수관 모듈
100: 밸브부
110: 입수부 111: 제1입수부 112: 제2입수부 113: 제3입수부
120: 배출부 121: 제1배출부 122: 제2배출부 123: 제3배출부 124: 제4배출부 125: 제5배출부 126: 제6배출부
130: 작동밸브 131: 제1밸브 132: 제2밸브 133: 제3밸브 134: 제4밸브 135: 제5밸브 136: 제6밸브
140: 밸브모듈 141: 제1밸브모듈 142: 제2밸브모듈 143: 제3밸브모듈
200: 일체형 유로부 201: 연결포트
210: 제1일체형 유로부 211: 수로단자부
220: 제1유로프레임 221: 돌출편
230: 연결돌기부 231: 제1연결돌기부 232: 제2연결돌기부 233: 가이드면 234: 유로 연결용 홀
240: 제1유로안내홈부
241: 제1내측홈부 242: 제2내측홈부 243: 제3내측홈부 244: 제4내측홈부 245: 제5내측홈부 246: 제6내측홈부
250: 제1연결포트
260: 제1열차단홈부
300: 제2일체형 유로부
310: 제2유로프레임
320: 제2유로안내홈부
321: 제1외측홈부 322: 제2외측홈부 323: 제3외측홈부 324: 제4외측홈부 325: 제5외측홈부 326: 제6외측홈부 327: 커넥트홀
330: 제2연결포트 340: 제3연결포트 341: 제1돌출포트 342: 제2돌출포트 343: 제3돌출포트 350: 제2열차단홈부
400: 손잡이부
410: 제1손잡이 420: 제2손잡이 430: 작업손잡이
440: 실링부재 450: 실링고정부재
500: 케이스부
600: 케이스몸체부 602: 입구부
610: 밸브안착부 611: 밸브구속프레임 612: 밸브고정돌기부 613: 연장지지편 614: 밸브고정후크 615: 밸브지지패널부 616: 프레임연결부 617: 전선홀부
620: 유로안착부 621: 연장프레임 622: 걸림턱 624: 내측돌출부
630: 도어연결부 633: 고정체결홀부
640: 보강리브
650: 케이스커버부 651: 제1커버플레이트 652: 가이드홈부 653: 강성보강돌기
660: 케이스베이스부 661: 제2커버플레이트 662: 물받이부
700: 도어부
710: 도어몸체 711: 도어플레이트 712: 누수관찰부 713: 커버고정돌기 714: 고정후크 715: 이동체결홀부
720: 이탈방지리브
800: 연결관로
900: 입수구 901: 필터부 902: 온수모듈 903: 냉수모듈 904: 드레인밸브 905: 출수밸브 906: 출수부 907: 온수탱크 908: 제1제어부 909: 제2제어부 910: 베이스앗세이
W: 폭방향 L: 길이방향 H: 상하방향

Claims (37)

  1. 물의 이동방향을 제어하는 밸브가 복수로 구비되는 밸브부;
    상기 밸브부가 일방향으로 삽입되며, 내측에는 상기 밸브부와 연결된 유로가 복수로 구비되는 일체형 유로부; 및
    상기 밸브부와 상기 일체형 유로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밸브부와 상기 일체형 유로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일측이 개폐되는 동작에 의해 상기 일체형 유로부가 외측으로 노출되는 케이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부는, 상기 밸브부와 상기 일체형 유로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일측은 개방되어 입구부를 형성하는 케이스몸체부; 및
    상기 케이스몸체부에 연결되어 상기 입구부를 개폐하며, 상기 일체형 유로부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입구부를 차폐한 상태에서 상기 일체형 유로부를 지지하는 도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몸체부는, 상기 밸브부의 후방 및 측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상기 밸브부가 내측에 장착되는 밸브안착부;
    상기 밸브안착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일체형 유로부가 내측에 위치하는 유로안착부; 및
    상기 유로안착부의 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도어부와 연결되는 도어연결부; 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부는 복수로 구비되며, 상기 밸브안착부의 내측에 측방향으로 복수로 배치되고, 상하방향으로 적층 되는 정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와 상기 밸브부와 상기 일체형 유로부는 일체로 결합되어 모듈로 이루어지는 정수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는 상기 밸브부를 향한 방향으로 상기 일체형 유로부를 가압하며, 상기 일체형 유로부와 마주하는 상기 케이스부의 일측이 개방된 후 상기 일체형 유로부가 상기 밸브부에서 분리 가능한 정수기.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안착부는, 상기 밸브부의 폭방향 양측에 위치하며 상기 밸브부의 이동을 구속하는 밸브구속프레임; 및
    상기 밸브부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밸브구속프레임의 단부를 연결하는 프레임연결부;를 포함하는 정수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구속프레임은, 상기 유로안착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케이스몸체부의 내측으로 돌출된 돌기가 상기 밸브부에 걸려서 상기 밸브부의 이동을 구속하는 밸브고정돌기부; 및
    상기 밸브고정돌기부와 이격되어 상기 밸브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유로안착부와 상기 프레임연결부를 연결하는 밸브지지패널부;를 포함하는 정수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고정돌기부는, 상기 유로안착부에서 상기 프레임연결부를 향한 후방으로 연장되는 판 형상의 연장지지편; 및
    상기 연장지지편의 내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밸브부의 외측에 걸리는 밸브고정후크;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지지편의 단부가 상기 밸브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밸브고정후크가 상기 밸브부와 이격되어 상기 밸브부의 구속이 해제되는 정수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몸체부는, 상기 밸브안착부와 상기 유로안착부와 상기 도어연결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케이스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보강리브;를 더 포함하는 정수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안착부는, 상기 일체형 유로부의 폭방향 양측에 위치하며, 상기 밸브안착부와 상기 도어연결부를 연결하고, 상기 밸브안착부의 내측과 연결된 경계 부위에 상기 일체형 유로부가 걸리는 걸림턱을 형성하는 연장프레임; 및
    상기 연장프레임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일체형 유로부를 지지하는 내측돌출부;를 포함하는 정수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몸체부는, 상기 밸브부와 상기 일체형 유로부의 상측을 커버하며 상기 밸브안착부와 상기 유로안착부와 상기 도어연결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케이스커버부; 및
    상기 밸브부와 상기 일체형 유로부의 하측을 커버하며 상기 밸브안착부와 상기 유로안착부와 상기 도어연결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케이스베이스부;를 포함하는 정수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커버부는, 상기 밸브부와 상기 일체형 유로부의 상측을 커버하는 판 형상의 제1커버플레이트;
    상기 제1커버플레이트의 내측으로 오목한 형상의 홈부를 형성하며, 상기 일체형 유로부와 연결된 연결관로가 내측에 위치하는 가이드홈부; 및
    상기 제1커버플레이트와 상기 가이드홈부의 경계 부위를 따라 연장되며, 상기 제1커버플레이트의 상측 또는 하측으로 돌출되는 강성보강돌기;를 포함하는 정수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베이스부는, 상기 밸브부와 상기 일체형 유로부의 하측을 커버하는 판 형상의 제2커버플레이트; 및
    상기 밸브부와 상기 일체형 유로부의 연결부와 마주하는 상기 제2커버플레이트에 오목한 형상의 홈부를 형성하며, 상측에서 낙하되는 물을 저장하는 물받이부;를 포함하는 정수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는, 상기 케이스몸체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몸체; 및
    상기 도어몸체에서 상기 일체형 유로부를 향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밸브부와 반대되는 위치에서 상기 일체형 유로부를 지지하며 상기 일체형 유로부의 이동을 구속하는 이탈방지리브;를 포함하는 정수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몸체는, 판 형상의 도어플레이트;
    상기 도어플레이트를 관통 하는 구멍을 형성하며, 상기 일체형 유로부의 누수를 확인하는 누수관촬부;
    상기 도어플레이트의 폭방향 일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케이스몸체부에 삽입되는 커버고정돌기; 및
    상기 도어플레이트의 폭방향 타측으로 돌출되며, 후크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케이스몸체부에 체결되는 고정후크;를 포함하는 정수기.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부는, 물이 유입되는 입수부와 물이 배출되는 복수의 배출부가 구비되며, 각 배출부에는 각각 작동밸브가 설치되어 상기 입수부를 통해 유입된 물의 배출 방향을 조절하는 정수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입수부와 상기 배출부와 상기 작동밸브는 밸브모듈로 이루어지며, 상기 밸브모듈은 모듈 단위로 설치와 교체가 이루어지는 정수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모듈은 복수로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부의 내측에 복수 개가 적층되며, 상기 일체형 유로부에 연결되는 정수기.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유로부는, 상기 밸브부와 연결되는 제1일체형 유로부; 및
    상기 제1일체형 유로부에 결합되며, 연결관로에 연결되는 연결포트를 구비하는 제2일체형 유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일체형 유로부와 상기 제2일체형 유로부의 사이에는 상기 밸브부와 연결되는 유로가 형성되는 정수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일체형 유로부는, 상기 케이스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판 형상의 제1유로프레임; 및
    상기 제1유로프레임에서 상기 밸브부를 향한 방향으로 돌출되며, 내측에는 상기 밸브부가 삽입되는 구멍을 구비하는 연결돌기부;를 포함하는 정수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일체형 유로부는, 상기 제2일체형 유로부와 마주하는 상기 제1유로프레임의 내측에 물이 이동되는 홈을 형성하는 제1유로안내홈부; 및
    상기 제1유로안내홈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1유로프레임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연결관로와 연결되는 제1연결포트;를 더 포함하는 정수기.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돌기부는, 상기 밸브부에 구비된 입수부에 연결되며, 상기 일체형 유로부에서 상기 입수부를 향하여 물의 이동이 이루어지는 제1연결돌기부; 및
    상기 밸브부에 구비된 배출부에 연결되며, 상기 배출부에서 상기 일체형 유로부의 내측으로 물의 이동이 이루어지는 제2연결돌기부;를 포함하는 정수기.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일체형 유로부는, 상기 제1연결돌기부 1개와 상기 제2연결돌기부 2개를 포함한 수로단자부를 구비하며, 상기 수로단자부는 상기 제1유로프레임의 상하 방향을 따라 복수개 설치되는 정수기.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로안내홈부는 상기 제1유로프레임에 복수로 구비되며, 상기 제1유로안내홈부를 따라 상온의 물과 가열된 물과 냉각된 물의 이동이 각각 이루어지는 정수기.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일체형 유로부는, 상기 제1유로프레임의 내측으로 상온의 물을 공급하는 상기 제1유로안내홈부의 주변을 따라 장공 형상의 슬릿홀을 형성하는 제1열차단홈부;를 더 포함하는 정수기.
  26.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일체형 유로부는, 상기 제1일체형 유로부에 결합되며, 상기 케이스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판 형상의 제2유로프레임; 및
    상기 제1일체형 유로부와 마주하는 상기 제2유로프레임의 내측에 물이 이동되는 홈을 형성하는 제2유로안내홈부;를 포함하는 정수기.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일체형 유로부는, 상기 제2유로안내홈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2유로프레임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연결관로와 연결되는 제2연결포트; 및
    상기 제2유로안내홈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2유로프레임의 테두리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연결관로와 연결되는 제3연결포트;를 포함하는 정수기.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로안내홈부는 상기 제2유로프레임에 복수로 구비되며, 상기 제2유로안내홈부를 따라 상온의 물과 가열된 물과 냉각된 물의 이동이 각각 이루어지는 정수기.
  29.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일체형 유로부는, 상기 제2유로프레임의 내측으로 상온의 물을 공급하는 상기 제2유로안내홈부의 주변을 따라 장공 형상의 슬릿홀을 형성하는 제2열차단홈부;를 더 포함하는 정수기.
  30. 물의 이동방향을 제어하는 밸브가 복수로 구비되는 밸브부;
    상기 밸브부가 일방향으로 삽입되며, 내측에는 상기 밸브부와 연결된 유로가 복수로 구비되는 일체형 유로부; 및
    상기 밸브부와 상기 일체형 유로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밸브부와 상기 일체형 유로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케이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일체형 유로부는, 상기 밸브부와 연결되는 측면과 반대되는 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며, 사용자의 손에 걸리는 작업홈부가 내측에 구비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일체형 유로부의 전방으로 돌출되며, 하측을 향하여 오목한 형상의 작업홈부를 형성하는 제1손잡이; 및
    상기 일체형 유로부의 전방으로 돌출되며, 상측을 향하여 오목한 형상의 작업홈부를 형성하는 제2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부는, 상기 밸브부와 상기 일체형 유로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일측은 개방되어 입구부를 형성하는 케이스몸체부; 및
    상기 케이스몸체부에 연결되어 상기 입구부를 개폐하며, 상기 일체형 유로부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입구부를 차폐한 상태에서 상기 일체형 유로부를 지지하는 도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몸체부는, 상기 밸브부의 후방 및 측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상기 밸브부가 내측에 장착되는 밸브안착부;
    상기 밸브안착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일체형 유로부가 내측에 위치하는 유로안착부; 및
    상기 유로안착부의 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도어부와 연결되는 도어연결부; 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부는 복수로 구비되며, 상기 밸브안착부의 내측에 측방향으로 복수로 배치되고, 상하방향으로 적층되는 정수기.
  31. 삭제
  32.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손잡이는 복수로 구비되며, 상기 제1손잡이의 갯수가 상기 제2손잡이의 갯수 보다 많은 정수기.
  33.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제2손잡이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일체형 유로부의 전방으로 돌출되고, 상측을 향하여 오목한 형상의 작업홈부를 형성하는 작업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정수기.
  34. 물의 이동방향을 제어하는 밸브가 복수로 구비되는 밸브부;
    상기 밸브부가 일방향으로 삽입되며, 내측에는 상기 밸브부와 연결된 유로가 복수로 구비되는 일체형 유로부; 및
    상기 밸브부와 상기 일체형 유로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밸브부와 상기 일체형 유로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케이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일체형 유로부는, 상기 밸브부와 연결되는 측면과 반대되는 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며, 사용자의 손에 걸리는 작업홈부가 내측에 구비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부는, 물이 유입되는 입수부와 물이 배출되는 복수의 배출부가 구비되며, 각 배출부에는 각각 작동밸브가 설치되어 상기 입수부를 통해 유입된 물의 배출 방향을 조절하며, 상기 입수부와 상기 배출부와 상기 작동밸브는 밸브모듈로 이루어지며,
    상기 케이스부는, 상기 밸브부와 상기 일체형 유로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일측은 개방되어 입구부를 형성하는 케이스몸체부; 및
    상기 케이스몸체부에 연결되어 상기 입구부를 개폐하며, 상기 일체형 유로부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입구부를 차폐한 상태에서 상기 일체형 유로부를 지지하는 도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몸체부는, 상기 밸브부의 후방 및 측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상기 밸브부가 내측에 장착되는 밸브안착부;
    상기 밸브안착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일체형 유로부가 내측에 위치하는 유로안착부; 및
    상기 유로안착부의 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도어부와 연결되는 도어연결부; 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부는 복수로 구비되며, 상기 밸브안착부의 내측에 측방향으로 복수로 배치되고, 상하방향으로 적층되는 정수기.
  35. 물의 이동방향을 제어하는 밸브가 복수로 구비되는 밸브부;
    상기 밸브부가 일방향으로 삽입되며, 내측에는 상기 밸브부와 연결된 유로가 복수로 구비되는 일체형 유로부; 및
    상기 밸브부와 상기 일체형 유로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밸브부와 상기 일체형 유로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케이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일체형 유로부는, 상기 밸브부와 연결되는 측면과 반대되는 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며, 사용자의 손에 걸리는 작업홈부가 내측에 구비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일체형 유로부는, 상기 밸브부가 직선 방향으로 이동되어 끼움식으로 결합되는 제1일체형 유로부; 및
    상기 제1일체형 유로부에 결합되며, 연결관로에 연결되는 연결포트를 구비하는 제2일체형 유로부;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부는, 상기 밸브부와 상기 일체형 유로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일측은 개방되어 입구부를 형성하는 케이스몸체부; 및
    상기 케이스몸체부에 연결되어 상기 입구부를 개폐하며, 상기 일체형 유로부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입구부를 차폐한 상태에서 상기 일체형 유로부를 지지하는 도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몸체부는, 상기 밸브부의 후방 및 측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상기 밸브부가 내측에 장착되는 밸브안착부;
    상기 밸브안착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일체형 유로부가 내측에 위치하는 유로안착부; 및
    상기 유로안착부의 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도어부와 연결되는 도어연결부; 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부는 복수로 구비되며, 상기 밸브안착부의 내측에 측방향으로 복수로 배치되고, 상하방향으로 적층되며,
    상기 제2일체형 유로부의 전방으로 상기 손잡이부가 돌출되며, 상기 제1일체형 유로부와 상기 제2일체형 유로부의 사이에는 상기 밸브부와 연결되는 유로가 형성되는 정수기.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일체형 유로부는, 판 형상의 제1유로프레임;
    상기 제1유로프레임에서 상기 밸브부를 향한 방향으로 돌출되며, 내측에는 상기 밸브부가 삽입되는 구멍을 구비하는 연결돌기부;
    상기 연결돌기부의 내측으로 삽입된 상기 밸브부와 상기 연결돌기부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밸브부와 상기 연결돌기부의 사이로 물의 이동을 차단하는 실링부재; 및
    상기 실링부재에 연이어 설치되며, 상기 연결돌기부에 고정되어 상기 실링부재의 이동을 구속하는 실링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정수기.
  37.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일체형 유로부는, 상기 제1일체형 유로부에 결합되는 판 형상의 제2유로프레임;
    상기 제1일체형 유로부와 마주하는 상기 제2유로프레임의 내측에 물이 이동되는 홈을 형성하는 제2유로안내홈부;
    상기 제2유로안내홈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2유로프레임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연결관로와 연결되는 제2연결포트; 및
    상기 제2유로안내홈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2유로프레임의 테두리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연결관로와 연결되는 제3연결포트;를 포함하는 정수기.
KR1020200175282A 2020-12-15 2020-12-15 정수기 KR1026617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5282A KR102661752B1 (ko) 2020-12-15 2020-12-15 정수기
US17/551,832 US20220185652A1 (en) 2020-12-15 2021-12-15 Liquid dispens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5282A KR102661752B1 (ko) 2020-12-15 2020-12-15 정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5318A KR20220085318A (ko) 2022-06-22
KR102661752B1 true KR102661752B1 (ko) 2024-04-26

Family

ID=81943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5282A KR102661752B1 (ko) 2020-12-15 2020-12-15 정수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20185652A1 (ko)
KR (1) KR1026617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24231B1 (en) 2023-01-23 2023-08-15 Spot Zero Reverse Osmosis Inc. Portable reverse osmosis system
USD987029S1 (en) 2023-02-03 2023-05-23 Spot Zero Reverse Osmosis Inc. Portable reverse osmosis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5513B1 (ko) * 2006-12-20 2007-12-13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실링부재를 구비하는 플로우 키트
KR100804302B1 (ko) * 2006-12-20 2008-02-18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정수기용 필터카트리지 결합구조
KR102154183B1 (ko) * 2012-10-01 2020-09-09 엔테그리스, 아이엔씨. 정화기 카세트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44607B (zh) * 2014-12-03 2017-12-19 佛山市云米电器科技有限公司 净水设备及其集成水路模块
KR102653167B1 (ko) * 2016-05-26 2024-04-01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필터 지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KR102586117B1 (ko) * 2017-03-30 2023-10-06 코웨이 주식회사 수처리장치
KR102533256B1 (ko) * 2017-06-12 2023-05-16 코웨이 주식회사 필터장착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5513B1 (ko) * 2006-12-20 2007-12-13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실링부재를 구비하는 플로우 키트
KR100804302B1 (ko) * 2006-12-20 2008-02-18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정수기용 필터카트리지 결합구조
KR102154183B1 (ko) * 2012-10-01 2020-09-09 엔테그리스, 아이엔씨. 정화기 카세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185652A1 (en) 2022-06-16
KR20220085318A (ko) 2022-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61752B1 (ko) 정수기
CN103958024B (zh) 改进的歧管排列
CN206587457U (zh) 一种管道过滤结构及空调系统
RU2615490C2 (ru) Сливной фильтр
US9533893B2 (en) Faucet with built-in filter units
CN212655622U (zh) 净水器
JP2939859B2 (ja) 貯湯式温水器の排水装置
CN212640195U (zh) 净水器
CN212655623U (zh) 净水器
CN104707383A (zh) 水过滤器及其工作原理
KR101285605B1 (ko) 역류방지 기능을 갖는 정수필터의 필터 헤드
WO2022057442A1 (zh) 净水器
CN107442301B (zh) 浴缸喷嘴组件
JP2003056030A (ja) 継ぎ手、継ぎ手システム及び集合立て管継ぎ手
CN110397124A (zh) 具有隐藏排水管的洗脸池
CN203546865U (zh) 用于坐浴器的回流截止器
KR101776256B1 (ko) 관로일체형 덮개가 구비되는 정수기
CN110056047B (zh) 具有流体连接器的拉出式软管装置和卫生淋浴器
CN107021571A (zh) 净洗仪
CN203494246U (zh) 净水装置
US20140338766A1 (en) Lavatory potable water system
CN206562354U (zh) 净洗仪
JP4850886B2 (ja) ガス通路のフィルタ取付構造
JP2011027394A (ja) 浴槽用給湯口アダプター
KR200452261Y1 (ko) 공기배출 필터드레인 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