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1612B1 - 하절기용 의복 제조를 위한 쿨링 효과를 갖는 섬유 원단 및 이로 형성된 의복 - Google Patents

하절기용 의복 제조를 위한 쿨링 효과를 갖는 섬유 원단 및 이로 형성된 의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1612B1
KR102661612B1 KR1020230195085A KR20230195085A KR102661612B1 KR 102661612 B1 KR102661612 B1 KR 102661612B1 KR 1020230195085 A KR1020230195085 A KR 1020230195085A KR 20230195085 A KR20230195085 A KR 20230195085A KR 102661612 B1 KR102661612 B1 KR 1026616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film
cooling effect
fiber fabric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95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혜숙
Original Assignee
김혜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혜숙 filed Critical 김혜숙
Priority to KR1020230195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16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1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16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21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24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halogenated hydrocarbons
    • D06M15/25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halogenated hydrocarbons containing fluorin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1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D06M13/152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oxygen having a hydroxy group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322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D06M13/35Heterocyclic compounds
    • D06M13/35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six-membered heterocyclic ring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322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D06M13/402Amides imides, sulfamic acids
    • D06M13/438Sulfonamides ; Sulfamic aci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53Polyeth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3/00Treatment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 D06M23/12Processes in which the treating agent is incorporated in microcapsul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200/00Functionality of the treatment composition and/or properties imparted to the textil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감 피막을 포함하여 쿨링 효과를 갖는 섬유 원단 및 이로 형성된 의복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필름 형성제, 쿨링제, 쿨링 캡슐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냉감 조성물을 이용함으로써, 우수한 쿨링 효과를 구현함과 동시에 피막 내에 쿨링 캡슐의 분산성이 좋고, 섬유 원단에 대한 피막의 접착성이 좋아 세탁 내구성이 향상된, 섬유 원단 및 이로 형성된 의복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하절기용 의복 제조를 위한 쿨링 효과를 갖는 섬유 원단 및 이로 형성된 의복{TEXTILE FABRIC WITH A COOLING EFFECT FOR THE MANUFACTURE OF SUMMER CLOTHING, AND CLOTHING FORMED THEREFROM}
본 발명은 하절기용 의복 제조를 위한 쿨링 효과를 갖는 섬유 원단 및 이로 형성된 의복에 관한 것이다.
의복은 봄, 여름, 가을, 겨울의 사계절 기후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존재한다. 특히 동절기용의 의복은 바람을 막고 신체의 열에너지가 밖으로 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개념의 보온성을 중심으로 개발되었고, 하절기용의 의복은 청량감을 위해 통기성을 확보하는 것을 중심으로 개발되었다.
최근에는 원단에 냉온감 가공제를 부여함으로써 외부 온도에 따라 적절하게 냉온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냉온감 가공제는 외부의 온도가 낮을 때 체온을 따뜻하게 보호해주고 외부의 온도가 높을 때 체온을 적당히 낮출 수 있는 기능이 있다.
일례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532416호와 같이, 냉감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다층 구조의 의류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다층 구조 의류의 경우, 두께감이 두꺼워져 하절기용 의복 제조에 적합하지가 않을 뿐만 아니라 활동성, 편리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출원인은 여러 겹의 섬유 원단을 겹쳐 사용하지 않고, 섬유 원단의 일면 또는 양면에 냉감 피막을 형성하여 쿨링 효과를 부여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532416호
본 발명의 목적은 여러 겹의 섬유 원단을 겹쳐 사용하지 않고, 섬유 원단의 일면 또는 양면에 냉감 피막을 형성하는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우수한 쿨링 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섬유 원단 및 이로 형성된 의복을 제공하고자 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을 포함하는 필름형성제; 멘톨, 멘틸락테이트 및 멘톤글리세린아세탈을 포함하는 쿨링제; 멘톨, 멘틸락테이트 및 멘톤글리세린아세탈을 포함하는 코어, 및 상기 코어를 감싸는 고분자 쉘의 구조로 형성된 쿨링 캡슐; 및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Polyoxyethylene lauryl ether), 코카미도프로필하이드록시설테인(Cocamidopropyl Hydroxysultaine), 폴리쿼터늄-10(Polyquaternium-10) 및 폴리쿼터늄-80(Polyquaternium-80)을 포함하는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냉감 조성물로 형성된 냉감 피막을 포함하여 쿨링 효과를 갖는 섬유 원단을 제공한다.
상기 냉감 조성물은 상기 필름형성제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쿨링제 5 ~ 10 중량부, 상기 쿨링 캡슐 15 ~ 20 중량부 및 상기 계면활성제 8 ~ 12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Polyoxyethylene lauryl ether), 코카미도프로필하이드록시설테인(Cocamidopropyl Hydroxysultaine), 폴리쿼터늄-10(Polyquaternium-10) 및 폴리쿼터늄-80(Polyquaternium-80)을 1 : 0.1 ~ 1 : 0.1 ~ 1 : 1 ~ 3 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감 조성물은 대전 방지제, 산화 방지제, 소포제, 색소, 안료 및 점증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전방지제는 폴리아닐린(PANI) 및 폴리피롤(PPy)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감 피막은 상기 섬유 원단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섬유 원단은 면, 노방, 모시, 실크 및 양단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된 쿨링 효과를 갖는 섬유 원단으로 형성된 의복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여러 겹의 섬유 원단을 사용하지 않고 섬유 원단의 일면 또는 양면에 냉감 피막을 형성하는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우수한 쿨링 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섬유 원단을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르면, 냉감 피막 내 쿨링 캡슐의 분산성이 우수하면서도 섬유 원단에 대한 냉감 피막의 접착성이 좋아 세탁 내구성이 우수한, 섬유 원단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냉감 피막 내 쿨링 캡슐의 분산성이 우수함에 따라, 캡슐 뭉침에 따른 피막의 크랙 발생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쿨링 효과가 우수함과 동시에 활동성, 사용성, 편리성 등이 우수한 하절기용 의복을 제공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 또는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 있어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 있어서, "A 및/또는 B"는, A 또는 B, 또는 A 및 B를 의미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는 하절기용 의복 제조를 위한 쿨링 효과를 갖는 섬유 원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섬유 원단의 일면 또는 양면에 냉감 조성물로 형성된 냉감 피막을 포함함에 따라, 쿨링 효과를 갖는 섬유 원단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섬유 원단에,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을 포함하는 필름형성제; 멘톨, 멘틸락테이트 및 멘톤글리세린아세탈을 포함하는 쿨링제; 멘톨, 멘틸락테이트 및 멘톤글리세린아세탈을 포함하는 코어, 및 상기 코어를 감싸는 고분자 쉘의 구조로 형성된 쿨링 캡슐; 및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Polyoxyethylene lauryl ether), 코카미도프로필하이드록시설테인(Cocamidopropyl Hydroxysultaine), 폴리쿼터늄-10(Polyquaternium-10) 및 폴리쿼터늄-80(Polyquaternium-80)을 포함하는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냉감 조성물로 형성된 냉감 피막을 형성함에 따라, 우수한 쿨링 효과를 갖는 섬유 원단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냉감 조성물은 섬유 원단의 표면에 투명 내지 반투명한 얇은 피막을 형성하여 섬유 자체의 질감이나 특성은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섬유 원단에 대한 냉감 피막의 접착성 및 냉감 피막 내 쿨링 캡슐의 분산성을 높여, 우수한 안정성, 세탁 내구성, 사용성, 편리성 등을 구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섬유 원단 및 냉감 조성물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상기 섬유 원단은 하절기용 의복의 제조에 이용 가능한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섬유 원단은 면, 노방, 모시, 실크 및 양단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냉감 조성물은 상기 섬유 원단의 일면 또는 양면에 코팅되어 피막을 형성함으로써, 쿨링 효과를 구현할 수 있으며, 공지의 모든 방법에 의해 코팅이 실시될 수 있다.
상기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을 포함하는 필름형성제는 피막을 형성하는 주요 기재에 해당하며, 냉감 피막과 섬유 원단 사이의 밀착력을 향상시키면서도 냉감 피막의 크랙 또는 파손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PTFE)은 비가연성 불소수지 중 하나로 열에 강하고, 마찰 계수가 낮으며, 내화학성이 우수한 수지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을 필름형성제로 포함함으로써, 안정성, 내구성, 내화학성 및 강도가 우수한 냉감 피막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멘톨, 멘틸락테이트 및 멘톤글리세린아세탈을 포함하는 쿨링제는 쿨링 효과를 직접적으로 부여하는 성분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된 3종 성분을 포함함으로써, 우수한 쿨링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냉감 조성물은 상기 필름형성제 100 중량부 기준으로 상기 쿨링제 5 ~ 10 중량부, 구체적으로는 7 ~ 9 중량부, 더 구체적으로는 8 ~ 9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량부를 만족하는 경우, 우수한 쿨링 효과를 구현하면서도 분산성, 피막 밀착성이 향상된 냉감 피막을 제공할 수 있다.
반면, 본 실시예의 냉감 조성물이 상기 필름형성제 100 중량부 기준으로 상기 쿨링제를 5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에는 쿨링 효과가 미미한 문제가 있을 수 있고, 상기 쿨링제를 10 중량부 초과로 포함할 경우에는 냉감 피막의 안정성 및 밀착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상기 멘톨, 멘틸락테이트 및 멘톤글리세린아세탈을 포함하는 코어, 및 상기 코어를 감싸는 고분자 쉘의 구조로 형성된 쿨링 캡슐은 상기 쿨링제만 포함하는 경우 보다 쿨링 효과의 지속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용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쿨링 캡슐은 멘톨, 멘틸락테이트 및 멘톤글리세린아세탈을 고분자가 포집하여 감싼 코어-쉘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고분자는 코어-쉘 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공지의 모든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쿨링 캡슐은 냉감 피막 내에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으며, 섬유 원단이 피부와 접촉되는 과정에서, 압력에 의해 깨져 쿨링제를 외부로 방출함으로써, 쿨링 효과가 지속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냉감 조성물은 상기 필름형성제 100 중량부 기준으로 상기 쿨링 캡슐 15 ~ 20 중량부, 구체적으로는 15 ~ 18 중량부, 더 구체적으로는 15 ~ 16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량부를 만족하는 경우, 우수한 쿨링 효과를 구현하면서도 분산성, 피막 밀착성이 향상된 냉감 피막을 제공할 수 있다.
반면, 본 실시예의 냉감 조성물이 상기 필름형성제 100 중량부 기준으로 상기 쿨링 캡슐을 15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에는 쿨링 효과의 지속성 향상 정도가 미미할 수 있으며, 상기 쿨링 캡슐을 20 중량부 초과로 포함할 경우에는 냉감 피막의 피막 안정성 및 밀착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피막을 형성하는 주 성분인 필름 형성제 내에 쿨링제, 쿨링 캡슐 등의 성분이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하면서도 안정적으로 혼합될 수 있도록 하는 성분으로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Polyoxyethylene lauryl ether), 코카미도프로필하이드록시설테인(Cocamidopropyl Hydroxysultaine), 폴리쿼터늄-10(Polyquaternium-10) 및 폴리쿼터늄-80(Polyquaternium-80)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계면활성제로 상기된 4종의 성분을 조합함으로써, 현저히 우수한 분산성, 안정성을 구현할 수 있으며, 계면활성제로 상기된 4종의 성분을 포함하지 않을 경우에는 피막 안정성, 밀착성, 분산성 및 쿨링 효과의 지속성이 저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Polyoxyethylene lauryl ether), 코카미도프로필하이드록시설테인(Cocamidopropyl Hydroxysultaine), 폴리쿼터늄-10(Polyquaternium-10) 및 폴리쿼터늄-80(Polyquaternium-80)을 1 : 0.1 ~ 1 : 0.1 ~ 1 : 1 ~ 3 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된 3종을 위와 같은 중량비로 포함함으로써, 쿨링 효과, 냉감 피막 내 캡슐의 분산성 및 섬유 원단과 냉감 피막의 밀착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Polyoxyethylene lauryl ether), 코카미도프로필하이드록시설테인(Cocamidopropyl Hydroxysultaine), 폴리쿼터늄-10(Polyquaternium-10) 및 폴리쿼터늄-80(Polyquaternium-80)을 1 : 0.5 ~ 0.8 : 0.1 ~ 1 : 2 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된 3종을 위와 같은 중량비로 포함함으로써, 쿨링 효과, 냉감 피막 내 캡슐의 분산성 및 섬유 원단과 냉감 피막의 밀착성이 현저히 우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냉감 조성물은 상기 필름형성제 100 중량부 기준으로 상기 계면활성제 8 ~ 12 중량부, 구체적으로는 10 ~ 12 중량부, 더 구체적으로는 12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량부를 만족하는 경우, 우수한 쿨링 효과를 구현하면서도 분산성, 피막 밀착성이 향상된 냉감 피막을 제공할 수 있다.
반면, 본 실시예의 냉감 조성물이 상기 필름형성제 100 중량부 기준으로 상기 계면활성제를 8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에는 피막 안정성, 피막 밀착성, 쿨링 효과 및 이의 지속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상기 계면활성제를 12 중량부 초과로 포함할 경우에는 냉감 피막의 피막 안정성과 밀착성이 현저히 저하될 수 있다.
상기 냉감 조성물은 공지된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냉감 조성물은 대전 방지제, 산화 방지제, 소포제, 색소, 안료 및 점증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례로, 상기 대전방지제는 피막의 안정성과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대전방지제는 폴리아닐린(PANI) 및 폴리피롤(PPy)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전도성 고분자계 물질이 포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대전방지제로서 폴리아닐린 및 폴리피롤이 1 : 2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사용할 때, 대전방지에 의한 피막 안정성, 밀착성, 분산성 향상 효과가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쿨링 효과를 갖는 섬유 원단을 이용하여, 하절기용 의복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쿨링 효과를 갖는 섬유 원단 및 이로 형성된 의복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및 비교예]
실시예 1
표 1[단위 : 중량부]에 따라 각 성분을 혼합하여, 냉감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순면 원단의 양면에 [표 1]에 따라 제조된 냉감 조성물을 도포 및 건조시켜, 냉감 피막을 형성함으로써, 쿨링 효과를 갖는 원단을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100
쿨링제 9
쿨링 캡슐 16
계면활성제 12
대전방지제 4
상기 쿨링제는 멘톨, 멘틸락테이트 및 멘톤글리세린아세탈을 동일한 양(1 : 1 : 1)으로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쿨링 캡슐은 멘톨, 멘틸락테이트 및 멘톤글리세린아세탈을 동일한 양(1 : 1 : 1)으로 혼합한 쿨링제를 고분자(셀룰로오스) 쉘로 감싼 코어-쉘 구조의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Polyoxyethylene lauryl ether), 코카미도프로필하이드록시설테인(Cocamidopropyl Hydroxysultaine), 폴리쿼터늄-10(Polyquaternium-10) 및 폴리쿼터늄-80(Polyquaternium-80)을 1 : 0.8 : 0.5 : 2 의 중량비로 혼합한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 대전방지제는 폴리아닐린(PANI) 및 폴리피롤(PPy)을 1 : 1 의 중량비로 혼합한 것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1 내지 7
표 2[단위 : 중량부]에 따라 제조된 냉감 조성물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피막이 형성된 섬유 원단을 제조하였다.
성분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비교예6 비교예7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쿨링제 1 15 9 9 9 9 9
쿨링 캡슐 16 16 10 25 16 16 16
계면활성제 12 12 12 12 0 1 15
대전방지제 4 4 4 4 4 4 4
비교예 8 내지 11
상기 냉감 조성물의 제조에 있어서, 계면활성제로 표 3의 성분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냉감 조성물 및 피막이 형성된 섬유 원단을 제조하였다.
비교예8 비교예9 비교예10 비교예11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 O - - -
코카미도프로필하이드록시설테인 - O - -
폴리쿼터늄-10 - - O -
폴리쿼터늄-80 - - - O
상기 표 3에서 'O' 표시된 성분만을 단독으로 계면활성제로 사용하였다.
비교예 12 내지 15
상기 냉감 조성물의 제조에 있어서, 계면활성제로 표 4[단위 : 중량비]의 성분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냉감 조성물 및 피막이 형성된 섬유 원단을 제조하였다.
실시예1 비교예
12
비교예
13
비교예
14
비교예
15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 1 1 1 1 1
코카미도프로필하이드록시설테인 0.8 0.8 0.8 4 0.8
폴리쿼터늄-10 0.5 0.5 0.5 0.5 4
폴리쿼터늄-80 2 0.1 5 2 2
[실험예]
실험예 1 : 피막 안정성(캡슐 분산성) 및 밀착성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제조에서 냉감 조성물만 별도로 취하여, Cross-cut 시험법(ASTM D 3359 시험규격)에 따라, 피막 밀착성을 평가하였다. 총 30회 반복한 다음 그 평균값을 표 5에 나타내었으며, 결과값이 5B 에 가까울 수록 부착성이 가장 우수함을 의미한다.
0B : 분리된 면적이 65 % 이상
1B : 분리된 면적이 35 ~ 65 %
2B : 분리된 면적이 15 ~ 35 %
3B : 분리된 면적이 5 ~ 15 %
4B : 분리된 면적이 5 % 이하
5B : 분리된 면적이 0 %
한편, 위 방법에 따라, 밀착성을 평가함과 동시에, 최종적으로 남은 피막의 크랙 발생 여부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그 결과를 표 5에 함께 나타내었다. 표 5에서, 크랙이 발생된 경우 O로 표기하였고, 크랙이 발생되지 않은 경우 X로 표기하였다.
밀착성 크랙 발생 밀착성 크랙 발생
실시예1 4.5B X 비교예8 3.0B O
비교예1 4.5B X 비교예9 2.5B O
비교예2 2.0B O 비교예10 2.5B O
비교예3 4.5B X 비교예11 2.5B O
비교예4 1.5B O 비교예12 3.0B O
비교예5 1.0B O 비교예13 3.0B O
비교예6 1.5B O 비교예14 3.0B O
비교예7 2.0B O 비교예15 3.0B O
표 5를 보면, 본 실시예에 따르는 냉감 조성물의 경우, 피막 밀착성 및 피막 안정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특히, 크랙의 경우, 쿨링 캡슐이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지 않고 뭉쳐진 위치를 중심으로 발생된 것을 확인하였으며, 비교예 4 내지 15에서 모두 쿨링 캡슐의 뭉침과 이로부터 크랙이 발생됨을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실험예 2 : 쿨링 효과 및 지속성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섬유 원단을 이용하여, 쿨링 효과 및 지속성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쿨링 효과 및 이의 지속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접촉 냉감 평가방법인 Qmax법을 이용하여 접촉냉온감 효과를 측정하였으며, 10 회 반복하여 측정하고, 그 평균값을 표 6[단위 : J/sec/㎠]에 나타내었다. 상기 Qmax 값의 측정은 KES-F7(Thermo Labo Ⅱ, Kato Tech, 일본) 기기를 사용하여 20 ℃, 65 %RH, ΔT=20 ℃의 조건에서 실시하였다.
또한,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섬유 원단을 이용하여 쿨링 효과를 평가하되, 이의 지속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세탁하지 않은 상태의 섬유 원단과, 세탁을 10회 실시한 섬유 원단, 모두에 대하여 평가를 진행하였다.
세탁전 세탁후 세탁전 세탁후
실시예1 0.39 0.36 비교예8 0.29 0.21
비교예1 0.21 0.10 비교예9 0.32 0.24
비교예2 0.40 0.24 비교예10 0.31 0.23
비교예3 0.34 0.21 비교예11 0.31 0.24
비교예4 0.43 0.30 비교예12 0.34 0.20
비교예5 0.22 0.11 비교예13 0.33 0.27
비교예6 0.27 0.19 비교예14 0.29 0.21
비교예7 0.30 0.25 비교예15 0.30 0.23
표 6을 보면, 본 실시예에 따르는 경우, 세탁전과 세탁후에서 모두 Qmax 값이 0.36 J/sec/㎠ 이상으로 높게 평가됨을 알 수 있다. 반면, 비교예의 경우에는 실시예 보다 낮은 Qmax 값을 보이는 바, 냉감 효과가 미미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는 경우, 냉감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세탁 전과 후를 비교하여 볼 때, 본 실시예에 따르는 경우에는 세탁 후에도 냉감 효과가 우수하며, 세탁 전과 후의 차이가 거의 없음을 알 수 있다. 반면, 본 실시예에 따르지 않는 비교예의 경우에는 세탁 후에 Qmax 값이 현저히 저하되는 바, 냉감 효과의 지속성이 현저히 낮음을 의미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를 경우, 냉감 효과의 지속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특히, 실시예 1에 따르는 쿨링 효과를 갖는 섬유 원단의 경우, 세탁 전과 후의 물성 차이에 큰 변화가 없었으며, 세탁 전과 후 모두 면 소재 특유의 질감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8)

  1. 냉감 피막을 포함하여 쿨링 효과를 갖는 섬유 원단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냉감 피막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을 포함하는 필름형성제;
    멘톨, 멘틸락테이트 및 멘톤글리세린아세탈을 포함하는 쿨링제;
    멘톨, 멘틸락테이트 및 멘톤글리세린아세탈을 포함하는 코어, 및 상기 코어를 감싸는 고분자 쉘의 구조로 형성된 쿨링 캡슐; 및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Polyoxyethylene lauryl ether), 코카미도프로필하이드록시설테인(Cocamidopropyl Hydroxysultaine), 폴리쿼터늄-10(Polyquaternium-10) 및 폴리쿼터늄-80(Polyquaternium-80)을 포함하는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냉감 조성물로 형성된 것인, 쿨링 효과를 갖는 섬유 원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감 조성물은
    상기 필름형성제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쿨링제 5 ~ 10 중량부, 상기 쿨링 캡슐 15 ~ 20 중량부 및 상기 계면활성제 8 ~ 12 중량부를 포함하는, 쿨링 효과를 갖는 섬유 원단.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Polyoxyethylene lauryl ether), 코카미도프로필하이드록시설테인(Cocamidopropyl Hydroxysultaine), 폴리쿼터늄-10(Polyquaternium-10) 및 폴리쿼터늄-80(Polyquaternium-80)을 1 : 0.1 ~ 1 : 0.1 ~ 1 : 1 ~ 3 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쿨링 효과를 갖는 섬유 원단.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감 조성물은
    대전 방지제, 산화 방지제, 소포제, 색소, 안료 및 점증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쿨링 효과를 갖는 섬유 원단.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방지제는
    폴리아닐린(PANI) 및 폴리피롤(PPy)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쿨링 효과를 갖는 섬유 원단.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감 피막은
    상기 섬유 원단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는 것인, 쿨링 효과를 갖는 섬유 원단.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 원단은 면, 노방, 모시, 실크 및 양단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인, 쿨링 효과를 갖는 섬유 원단.
  8. 제 1 항의 쿨링 효과를 갖는 섬유 원단으로 형성된 의복.
KR1020230195085A 2023-12-28 2023-12-28 하절기용 의복 제조를 위한 쿨링 효과를 갖는 섬유 원단 및 이로 형성된 의복 KR1026616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95085A KR102661612B1 (ko) 2023-12-28 2023-12-28 하절기용 의복 제조를 위한 쿨링 효과를 갖는 섬유 원단 및 이로 형성된 의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95085A KR102661612B1 (ko) 2023-12-28 2023-12-28 하절기용 의복 제조를 위한 쿨링 효과를 갖는 섬유 원단 및 이로 형성된 의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1612B1 true KR102661612B1 (ko) 2024-04-29

Family

ID=90883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95085A KR102661612B1 (ko) 2023-12-28 2023-12-28 하절기용 의복 제조를 위한 쿨링 효과를 갖는 섬유 원단 및 이로 형성된 의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1612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3968A (ko) * 2009-02-17 2010-08-26 한국콜마 주식회사 오일타입의 클렌져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30115276A (ko) * 2010-10-05 2013-10-21 루브리졸 어드밴스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증점제
CN107313251A (zh) * 2016-11-29 2017-11-03 德阳力久云智知识产权运营有限公司 一种聚苯硫醚材料增强玄武岩纤维专用浸润剂及其制备方法
KR20190083325A (ko) * 2016-09-19 2019-07-11 다우 실리콘즈 코포레이션 폴리우레탄―폴리유기실록산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개인 케어 조성물
JP2021066977A (ja) * 2019-10-24 2021-04-30 アクトインテリア株式会社 冷感生地、それを有する紡織品、及び冷感生地の製造方法
CN114592251A (zh) * 2022-03-22 2022-06-07 无锡万斯家居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尼龙-6聚合物基体的日间被动制冷纤维、制备方法及其应用
KR102532416B1 (ko) 2020-11-30 2023-05-15 (주) 블랙야크 아이앤씨 기화열을 이용하여 쾌적함을 향상시킨 냉감의류
KR102606426B1 (ko) * 2023-09-14 2023-11-29 심연옥 냉감 섬유 원단 및 이로 제조된 전통의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3968A (ko) * 2009-02-17 2010-08-26 한국콜마 주식회사 오일타입의 클렌져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30115276A (ko) * 2010-10-05 2013-10-21 루브리졸 어드밴스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증점제
KR20190083325A (ko) * 2016-09-19 2019-07-11 다우 실리콘즈 코포레이션 폴리우레탄―폴리유기실록산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개인 케어 조성물
CN107313251A (zh) * 2016-11-29 2017-11-03 德阳力久云智知识产权运营有限公司 一种聚苯硫醚材料增强玄武岩纤维专用浸润剂及其制备方法
JP2021066977A (ja) * 2019-10-24 2021-04-30 アクトインテリア株式会社 冷感生地、それを有する紡織品、及び冷感生地の製造方法
KR102532416B1 (ko) 2020-11-30 2023-05-15 (주) 블랙야크 아이앤씨 기화열을 이용하여 쾌적함을 향상시킨 냉감의류
CN114592251A (zh) * 2022-03-22 2022-06-07 无锡万斯家居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尼龙-6聚合物基体的日间被动制冷纤维、制备方法及其应用
KR102606426B1 (ko) * 2023-09-14 2023-11-29 심연옥 냉감 섬유 원단 및 이로 제조된 전통의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49215B2 (en) Aerogel/PTFE composite insulating material
KR102606426B1 (ko) 냉감 섬유 원단 및 이로 제조된 전통의류
Kim et al. Black textile with bottom metallized surface having enhanced radiative cooling under solar irradiation
KR102661612B1 (ko) 하절기용 의복 제조를 위한 쿨링 효과를 갖는 섬유 원단 및 이로 형성된 의복
JP2008507638A5 (ko)
Abbas et al. Improving heat-retaining property of cotton fabrics through surface coatings
Shim et al. Effect of ceramics on the physical and thermo-physiological performance of warm-up suit
TWM568270U (zh) The structure of the cool sensory core-core fiber and its composite yarn containing four components
EP3635060B1 (en) Composite aerogel coating for textile applications
US5153055A (en) Fire-fighting appliance
KR102643262B1 (ko) 냉감 섬유 원단 및 이로 형성된 한복
US20170197392A1 (en) Fire Retarding Compositions
Bajaj Thermally sensitive materials
CN107984856A (zh) 一种冬暖夏凉的双面面料及其制备工艺
Miśkiewicz et al. Application of coating mixture based on silica aerogel to improve thermal protective performance of fabrics
Altay et al. A new thermal protective clothing design with silica aerogel filled acrylic nanofibers
KR101504693B1 (ko) 난연 및 전자파 차폐성능을 가지는 항균성 헬스케어 직물
CN114892309B (zh) 一种无源保暖多材料微结构纤维、织物及其制备方法
CN207105766U (zh) 一种防电弧面料以及带有该面料的防电弧保暖内衣
JP2009203557A (ja) 吸汗速乾性編地
CN209368469U (zh) 一种永久阻燃保暖碳化型絮片
KR102155959B1 (ko) 보온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계 이형단면사를 이용한 광발열 충전재
KR20170012055A (ko)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을 이용한 기능성 필름원단 제조방법
JPS6248751A (ja) 耐溶剤性ポリ塩化ビニル組成物とこれを用いた可撓性電線
KR20160125278A (ko) 양모와 폴리에스테르의 흡한속건성 2중직 소재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