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1380B1 - 단열층을 구비한 넥밴드 - Google Patents

단열층을 구비한 넥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1380B1
KR102661380B1 KR1020230108652A KR20230108652A KR102661380B1 KR 102661380 B1 KR102661380 B1 KR 102661380B1 KR 1020230108652 A KR1020230108652 A KR 1020230108652A KR 20230108652 A KR20230108652 A KR 20230108652A KR 102661380 B1 KR102661380 B1 KR 1026613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tube
inner tube
insulating layer
insulating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08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곤
Original Assignee
(주)코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스 filed Critical (주)코스
Priority to KR10202301086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13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1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13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10Cooling bags, e.g. ice-ba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01Body part
    • A61F2007/0002Head or parts thereof
    • A61F2007/0009Throat or neck
    • A61F2007/0011Neck on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54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with a closed fluid circuit, e.g. hot water
    • A61F2007/0056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with a closed fluid circuit, e.g. hot water for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88Radiating hea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4Thermal energy stora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hermally Insulated Containers For F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단열층을 구비한 넥밴드는, 내부에 축열물질 및 발열물질이 내장된 내측튜브와, 상기 내측튜브를 수용한 상태로 외관을 형성하며 사용자의 목에 둘러지는 외측튜브와, 상기 외측튜브와 내측튜브 사이에 충진되어 단열기능을 갖는 단열물질과, 상기 외측튜브 내측면에 구비되어 단열물질과 외부공기의 열교환을 차단하는 단열층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단열층을 구비한 넥밴드{Neckband with insulation layer}
본 발명은 단열층을 구비한 넥밴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축열물질이 내장된 내측튜브와, 내측튜브 및 단열물질을 수용한 상태로 밀폐되어 외관을 형성하는 외측튜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외측튜브의 내부면에는 단열층이 구비되어 신체 접촉시 급격한 온도 변화를 느끼지 않도록 하여 감성불만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단열층으로 인해 단열 성능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 단열층을 구비한 넥밴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단열층이 단열 기능을 가지는 다수의 층을 적층하여 형성함으로써 단열 성능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 단열층을 구비한 넥밴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측튜브 내부에 축열물질과 발열물질을 같이 내장하여 전자레인지를 이용한 가열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여름 뿐만 아니라, 겨울에도 보온용으로 사용 가능하도록 한 단열층을 구비한 넥밴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외측튜브를 밀폐시에 내측튜브의 일부를 같이 접합하여 외측튜브 내부에서 외측튜브의 움직임을 제한함으로써 쏠림을 방지하여 감성불만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한 단열층을 구비한 넥밴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단열물질로서 공기를 채택하여 경량화가 가능하고, 단열효율이 증대되며 푹신한 착용감으로 인해 사용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 단열층을 구비한 넥밴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단열층이 신체와 접촉하지 않는 외측부에 위치하여 외부 공기에 의한 열교환을 방지함으로써 냉감 또는 온감을 오랜시간 지속할 수 있도록 한 단열층을 구비한 넥밴드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현장작업자나 운동선수, 수험생 또는 일반인이 기온이 높은 여름철의 더운 날씨에 실내나 야외활동을 하게 되면, 몸에서 많은 열이 발생하여 신체의 기능이 급속히 저하될 수 있으며, 심하게는 일사병에 걸릴 수도 있다.
따라서 몸에서 나는 열을 식히기 위해서는 찬 음용수 또는 빙과류를 섭취하거나 냉방이 되어 있는 공간에 들어감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그러나 몸에서 나는 열을 식히기 위하여 찬 음용수나 빙과류를 지속적으로 섭취하게 되면 오히려 두통이나 배탈 등을 유발할 수 있고, 냉방공간을 찾기에도 어려움이 있다.
한편, 기온이 높은 날에 몸에서 나는 열을 식힐 수 있는 다른 방법으로는 물에 적신 수건 등으로 얼굴을 포함하는 신체부위를 닦음으로써, 기화열 현상을 통해 시원함을 느낄 수 있다.
또한, 주머니 등에 얼음을 넣어 신체와 접촉시키는 방법으로도 시원함을 느낄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수분이 증발함에 따라 반복적으로 수건을 물에 적시거나 주머니 등에 얼음을 보충해야 함으로써, 번거로움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주변에서 물이나 얼음을 쉽게 찾을 수 없는 환경에서는 이를 활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77325호에는 도 1과 같이 목에 착용시 냉각매체를 통해 시원함을 느낄 수 있고, 급속 냉동을 통해 재사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한 넥 아이스 쿨링 패키지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48865호에는 도 2와 같이 휴대 및 보관 과정에서의 안전성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온도조절이 가능한 넥쿨링 튜브가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306013호에는 도 3과 같이 튜브본체 표면에 수분 증발에 의한 냉각이 가능한 섬유층을 구성하여 고온의 환경에서도 사용자가 착용하였을 때 자가냉각에 의한 쿨링 효과로 인하여 몸에서 발생하는 열을 식혀 쿨링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웨어러블 쿨링튜브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2-0017311호에는 도 4와 같이 내부에 수용되는 냉매 물질이 얼마나 녹았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한 넥 쿨링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들은 냉매 매체가 단일 소재로 채워져 있어서 냉각효율이 낮으며, 디자인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냉동실에 보관하여 사용시 낮은 사용 온도를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느끼게 되므로 민감한 유아가 사용하기에는 감성 불만이 야기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그리고, 튜브 내부 전체에 냉매매체가 채워진 구조로서 경량화가 불가능하며, 냉매 매체가 지닌 냉기는 튜브를 통해 외부와 근접하여 접촉하므로 냉기 손실을 유발하여 바람직하지 못하다.
그리고, 냉기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겨울철 보온을 위한 기능으로는 사용하지 못하므로 활용도가 낮은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목에 둘러졌을 때 실제 신체와 접촉하지 않는 부위를 통해 냉기를 빼앗기게 되므로 사용시간이 현저히 줄어들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에 축열물질이 내장된 내측튜브와, 내측튜브 및 단열물질을 수용한 상태로 밀폐되어 외관을 형성하는 외측튜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외측튜브의 내부면에는 단열층이 구비되어 신체 접촉시 급격한 온도 변화를 느끼지 않도록 하여 감성불만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단열층으로 인해 단열 성능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 단열층을 구비한 넥밴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열층이 단열 기능을 가지는 다수의 층을 적층하여 형성함으로써 단열 성능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 단열층을 구비한 넥밴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내측튜브 내부에 축열물질과 발열물질을 같이 내장하여 전자레인지를 이용한 가열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여름 뿐만 아니라, 겨울에도 보온용으로 사용 가능하도록 한 단열층을 구비한 넥밴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외측튜브를 밀폐시에 내측튜브의 일부를 같이 접합하여 외측튜브 내부에서 외측튜브의 움직임을 제한함으로써 쏠림을 방지하여 감성불만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한 단열층을 구비한 넥밴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열물질로서 공기를 채택하여 경량화가 가능하고, 단열효율이 증대되며 푹신한 착용감으로 인해 사용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 단열층을 구비한 넥밴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열층이 신체와 접촉하지 않는 외측부의 내부에 위치하여 외부 공기에 의한 열교환을 방지함으로써 냉감 또는 온감을 오랜시간 지속할 수 있도록 한 단열층을 구비한 넥밴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단열층을 구비한 넥밴드는, 내부에 축열물질 및 발열물질이 내장된 내측튜브와, 상기 내측튜브를 수용한 상태로 외관을 형성하며 사용자의 목에 둘러지는 외측튜브와, 상기 외측튜브와 내측튜브 사이에 충진되어 단열기능을 갖는 단열물질과, 상기 외측튜브 내측면에 구비되어 단열물질과 외부공기의 열교환을 차단하는 단열층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열층은, 상기 외측튜브에서 인체와 접촉하지 않는 부위의 내측면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열층은, 에어로겔과 휘발성희석제의 혼합물을 코팅 및 건조하여 형성된 제1단열층과, 상기 제1단열층의 외측에 적층 형성된 제2단열층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희석제는 메틸에틸케톤(MEK, Methyl Ethyl Ketone)이 적용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단열층은 단열페인트가 적용되고, 상기 단열물질은 공기가 채택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열물질은 물을 흡수한 고흡수성수지(Super Absorbent Polymer)가 적용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축열물질은 테트라데칸, 헥사데칸, 옥타데칸, 엘코산 (n-elcosane), 도코산(n-docosane)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내부에 축열물질이 내장된 내측튜브와, 내측튜브 및 단열물질을 수용한 상태로 밀폐되어 외관을 형성하는 외측튜브로 구성되며, 외측튜브의 내부면에는 단열층이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신체 접촉시 급격한 온도 변화를 느끼지 않도록 하여 감성불만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단열층으로 인해 단열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단열층을 단열 기능을 가지는 다수의 층을 적층하여 형성함으로써 단열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내측튜브 내부에 축열물질과 발열물질을 같이 내장하여 전자레인지를 이용한 가열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여름 뿐만 아니라, 겨울에도 보온용으로 사용 가능하다.
그리고 외측튜브를 밀폐시에 내측튜브의 일부를 같이 접합하여 외측튜브 내부에서 외측튜브의 움직임을 제한함으로써 쏠림을 방지하여 감성불만이 최소화될 수 있다.
그리고 단열물질로서 공기를 채택하여 경량화가 가능하고, 단열효율이 증대되며 푹신한 착용감으로 인해 사용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단열층이 신체와 접촉하지 않는 외측부에 위치하여 외부 공기에 의한 열교환을 방지함으로써 냉감 또는 온감을 오랜시간 지속할 수 있다.
도 1 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77325호에 개시된 넥 아이스 쿨링 패키지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 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48865호에 개시된 온도조절이 가능한 넥쿨링 튜브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3 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306013호에 개시된 웨어러블 쿨링튜브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4 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2-0017311호에 개시된 넥 쿨링 장치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단열층을 구비한 넥밴드의 외관을 보인 실물 사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단열층을 구비한 넥밴드의 세부 구성을 보인 분해 사진.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단열층을 구비한 넥밴드에서 요부 구성인 단열층이 형성된 모습을 보인 외측튜브의 실물 사진.
도 8 은 본 발명에 의한 단열층을 구비한 넥밴드의 내부 구조를 보인 개요도.
도 9 는 본 발명에 의한 단열층을 구비한 넥밴드의 내부 구조를 보인 도 8의 A-A'부 단면도.
도 10 은 본 발명에 의한 단열층을 구비한 넥밴드의 내부 구조를 보인 도 8의 B-B'부 단면도.
도 11 은 본 발명에 의한 단열층을 구비한 넥밴드의 다른 실시예의 내부 구조를 보인 도 8의 A-A'부 단면도.
도 12 는 본 발명에 의한 단열층을 구비한 넥밴드의 다른 실시예의 결합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13 은 본 발명에 의한 단열층을 구비한 넥밴드에서 일 구성인 내측튜브의 다른 실시예의 구조를 보인 실물 사진.
도 14 는 본 발명에 의한 단열층을 구비한 넥밴드에서 일 구성인 외측튜브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실물 사진.
이하 첨부된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단열층(160)을 구비한 넥밴드(이하 '넥밴드(100)'라 칭함)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단열층(160)을 구비한 넥밴드(100)의 외관을 보인 실물 사진이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본 발명에 의한 단열층(160)을 구비한 넥밴드(100)의 세부 구성을 보인 분해 사진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7에는 본 발명에 의한 단열층(160)을 구비한 넥밴드(100)에서 요부 구성인 단열층(160)이 형성된 모습을 보인 외측튜브(140)의 실물 사진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넥밴드(100)는 냉동실에 보관하였다가 꺼내어 목에 두름으로써 냉기로 몸의 열을 식힐 수 있으며, 겨울에는 전자레인지에 넣거나 뜨거운 물에 담궈 따뜻하게 데운 상태로 목에 둘러 사용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넥밴드(100)는 내부가 이중으로 이루어져 다수의 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말발굽 형태를 가진 내측튜브(120)와, 상기 내측튜브(120)보다 조금 큰 말발굽 형태를 가져 내부에 내측튜브(120)를 내장하는 외측튜브(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외측튜브(140) 내부에는 내측튜브(120)가 내장되고, 내측튜브(120) 외측에는 외측튜브(140)가 구비되어 외관을 형성하게 되며, 사용자는 목에 둘러 냉감 또는 온기를 느낄 수 있게 된다.
상기 내측튜브(120) 내부에는 발열물질(P)과 축열물질(H)가 밀폐된 공간 안에 내장되어 있으며, 상기 발열물질(P)과 축열물질(H)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외측튜브(140)와 내측튜브(120) 사이에는 단열기능을 갖는 단열물질(도 8의 도면부호 I 참조)이 충진되어 내측튜브(120)가 가진 냉기나 온기가 외부로 소실되지 않도록 단열하게 된다.
상기 단열물질(I)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공기가 적용되었고, 상기 외측튜브(140)와 내측튜브(120) 사이의 공간에 충진되어 완충 기능을 가짐으로써 넥밴드(100) 착용시 착용감을 향상시키는 기능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
상기 외측튜브(140)에는 도 7과 같이 단열층(160)이 구비된다. 상기 단열층(160)은 외측 튜브의 내측면에 코팅되어 단열물질(I)과 외부 공기의 열교환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도 7은 외측튜브(140)의 외측 가장자리부에 소정의 폭을 갖는 "∩" 형태의 단열층(160)이 형성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도 8은 도 7과 같은 상태의 외측튜브(140) 안팎이 뒤집어져 외측튜브(140) 단열층(160)이 숨겨진 모습을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도 7과 같은 상태의 외측튜브(140) 가장자리부에 단열층(160)을 형성한 후 뒤집게 되면 단열층(160)은 인체와 접촉하지 않도록 내장되며, 사용자가 넥밴드(100)를 착용하였을 때 인체와 접하지 않는 부위에 위치하게 되어 단열물질(I)의 열손실을 한번 더 차단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 8을 참조하여 상기 넥밴드(100)의 세부 구성을 설명한다.
도 8에는 본 발명에 의한 단열층(160)을 구비한 넥밴드(100)의 내부 구조를 보인 개요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과 같이 상기 넥밴드(100)는, 내부에 축열물질(H) 및 발열물질(P)이 내장되고, 넥밴드(100)의 사용 시기와 용도에 따라 다양한 소재가 적용될 수 있다.
즉 상기 축열물질(H)은 테트라데칸, 헥사데칸, 옥타데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사용자에게 냉감을 오랜시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축열물질(H)은 폴리머겔, 엘코산 (n-elcosane), 도코산(n-docosane)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도록 채택하여 온기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도록 사용 가능하다.
엘코산 (n-elcosane)은 어는점이 33℃로서 이때부터 발열하도록 작용하며, 도코산(n-docosane)은 어는점이 43℃이다.
상기 발열물질(P)은 흡열하였다가 사용자가 목에 둘렀을 때 발열함으로써 온기를 제공하는 구성으로서, 물에 담궈 데울 수도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넥밴드(100)는 전자레인지를 사용하여 데울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일반적인 넥밴드(100)는 내부에 물을 포함하고 있지 않아 전자레인지를 사용하더라도 데워지지 않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넥밴드(100)는 발열물질(P)로서 고흡수성수지(Super Absorbent Polymer)가 채택되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발열물질(P)은 고흡수성수지를 물에 담궈 흡수한 상태로 내측튜브(120) 내부에 삽입되며, 내측튜브(120)의 내부 공간에서 발열물질(P)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는 축열물질(H)이 채워져 봉인된다.
따라서 상기 넥밴드(100)를 전자레인지에 넣어 돌리게 되면 고흡수성수지가 갖고 있는 물에 의해 가열될 수 있으며, 이러한 열은 축열물질(H)로 전도되어 오랜시간 온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발열물질(P)이 함유한 물은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고 유지될 수 있다. 즉 상기 발열물질(P)에 포함된 물의 비중은 1이며, 축열물질(H)은 1보다 낮은 비중을 갖는다.
상기 내측튜브(120) 외측에는 외측튜브(140)가 구비된다. 상기 외측튜브(140)는 외관을 형성하는 구성이며, 사용자의 목에 둘러졌을 때 실제 접촉하는 부위로서 링 형상을 가지되 일부가 개구된 말발굽 형태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외측튜브(140) 내부에는 내측튜브(120) 이외에 전술한 단열물질(I)이 충진되어 있다.
상기 단열물질(I)은 습도를 낮추어 건조한 공기가 채워짐이 바람직하며, 상기 단열물질(I)이 채워진 공간은 외측튜브(140)와 내측튜브(120) 사이에서 팽창된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넥밴드(100)를 착용시 단열물질(I)로 인해 쿠션감을 느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단열물질(I)은 축열물질(H)이 가진 냉기나 온기가 급속하게 외부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여 오랜시간 지속될 수 있도록 단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하 첨부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상게 넥밴드(100)의 세부 구성을 설명한다.
도 9에는 본 발명에 의한 단열층(160)을 구비한 넥밴드(100)의 내부 구조를 보인 도 8의 A-A'부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0에는 본 발명에 의한 단열층(160)을 구비한 넥밴드(100)의 내부 구조를 보인 도 8의 B-B'부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과 같이 상기 넥밴드(100)는 내부에 축열물질(H)과 발열물질(P) 채워진 상태로 밀폐된 내측튜브(120)가 구비되고, 상기 내측튜브(120)는 링 형태를 가지면서 하부가 개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내측튜브(120)는 인체에 무해한 TPU(Thermoplastic Polyurethane) 소재로 제조하였으며, 말발굽 모양의 시트 2장을 겹쳐 가장자리만 초음파 융착하였다.
그리고 초음파로 융착되어 돌출된 돌출부(도 9의 도면부호 N 참조)는 외측부의 내주면에 손상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상기 내측튜브(120)는 안팎이 뒤집어져 돌출부(N)가 내부에 위치한 상태로 축열물질(H)과 발열물질(P)을 주입한 후 주입구멍이 밀봉되어진다.
상기 외측튜브(140)는 내측튜브(120)와 유사한 형상을 가지되, 내측튜브(120)보다 크게 구성되어 내부에 내측튜브(120) 및 단열물질(I)이 동시에 채워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외측튜브(140) 내부에 채워지는 단열물질(I)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공기가 적용되었으며, 습도를 낮추어 건조한 공기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외측튜브(140) 역시 내측튜브(120)와 같이 말발굽 형태의 시트 두장을 겹쳐 가장자리만 초음파 융착(도 7 참조)하여 제조되며, 초음파 융착에 의해 돌출된 융착부(W)는 사용자의 피부에 긁힘 등을 가할 수 있으므로, 도 6과 같이 융착부(W)가 내측에 위치하도록 뒤집어진 상태에서 단열물질(I)이 채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측튜브(140)의 외측에는 도 10과 같이 차폐부(180)가 구비된다. 상기 차폐부(180)는 외측튜브(140) 내부에 단열물질(I)을 충진한 후 단열물질(I)이 외부와 누설되지 않도록 단절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상기 차폐부(180)는 초음파 융착방식으로 적용된다.
그리고 상기 차폐부(180)가 위치한 부위는 외측튜브(140) 내부에 단열물질(I)을 채운 후 마지막으로 융착되는 곳으로서, 외측튜브(140)에서 볼 때 바깥으로 돌출된 마감부(도 10의 도면부호 F)가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차폐부(180)는 제조회사의 상호나 로고 간략한 기능 등을 기재한 TAG을 같이 융착함으로써 마감부(F)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외측튜브(140)의 내측면에는 단열층(160)이 구비된다. 상기 단열층(160)은 도 10과 같이 인체가 접촉하는 부위(도 10에서 볼 때 왼쪽)에는 형성되지 않고, 나머지 부위에만 형성됨으로써, 축열물질(H)과 발열물질(P)의 냉기 또는 온기가 인체에 보다 많이 전달될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된다.
상기 단열층(160)은 단일의 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단열 성능을 높이기 위하여 도 11과 같이 다수의 층을 적층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 11을 참조하여 단열층(160)의 세부 구성을 설명한다.
도 11에는 본 발명에 의한 단열층(160)을 구비한 넥밴드(100)의 다른 실시예의 내부 구조를 보인 도 8의 A-A'부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과 같이 상기 단열층(16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2개의 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열층(160)은 외측튜브(140)의 내측면에 코팅 및 건조하여 형성된 제1단열층(162)과, 상기 제1단열층(162)의 외측에 적층 형성된 제2단열층(16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단열층(162)은 도 7과 같은 상태(내측튜브(120)를 삽입할 수 있도록 뒤집기 전 상태)에서 외측튜브(140)의 전면 및 후면 외측 가장자리부에 코팅하여 형성하는 것으로, 희석제와 에어로젤의 혼합물이 적용된다.
상기 희석제는 메틸에틸케톤(MEK, Methyl Ethyl Ketone)이 적용되었으며, 에어로젤과 혼합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상기 외측튜브(140) 외측에 코팅되었을 때 휘발성을 가져 신속하게 건조될 수 있도록 돕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에어로젤은 단열 성능을 갖는 소재이며, 상기 제1단열층(162)의 요부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제1단열층(162)의 외측에는 단열페인트가 적용된 제2단열층(164)이 코팅 및 건조되어 적층된다.
따라서 상기 에어로젤에 의한 제1단열층(162)의 단열성능과, 단열페인트가 적용된 제2단열층(164)에 의해 상기 단열층(160)은 단열물질(I)의 단열 성능을 보다 높일 수 있게 되며, 상기 축열물질(H)이 가진 냉기 또는 발열물질(P)이 가진 온기는 사용자가 넥밴드(100)를 목에 둘렀을 때 인체가 접촉하지 않는 부분에 형성된 단열층(160)으로 인해 급격한 손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사용 시간을 연장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 도 5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상기 넥밴드(100)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도 12에는 본 발명에 의한 단열층(160)을 구비한 넥밴드(100)의 다른 실시예의 결합 구조를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3 은 본 발명에 의한 단열층(160)을 구비한 넥밴드(100)에서 일 구성인 내측튜브(120)의 다른 실시예의 구조를 보인 실물 사진이 도시되어 있다.
우선 도 6과 같이 상기 넥밴드(100)는, 내측튜브(120)와, 상기 내측튜브(120) 내부에 장입되는 축열물질(H) 및 발열물질(P)과, 상기 외측튜브(140)를 준비하는 재료준비단계(S100)와, 상기 내측튜브(120) 내부에 고흡수성수지(Super Absorbent Polymer)가 채틱된 발열물질(P)을 삽입하는 발열물질삽입단계(S200)와, 상기 발열물질(P)이 삽입된 내측튜브(120) 내부에 테트라데칸, 헥사데칸, 옥타데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축열물질(H)을 주입하는 축열물질주입단계(S300)와, 상기 발열물질(P)과 축열물질(H)이 내장된 내측튜브(120)를 봉인하는 내측튜브봉인단계(S400)와, 상기 외측튜브(140) 내부에 내측튜브(120)를 삽입하는 내측튜브삽입단계(S500)와, 상기 내측튜브(120)와 외측튜브(140) 사이의 공간에 단열물질(I)을 주입하는 단열물질주입단계(S600)와, 상기 단열물질(I)이 주입된 외측튜브(140)를 봉인하는 외측튜브봉인단계(S700)를 순차적으로 실시하여 제조된다.
상기 재료준비단계(S100)에서 발열물질(P)은 물을 함유한 상태로 준비되며, 상기 내측튜브(120)와 외측튜브(140)는 말발굽 형태의 시트 2장을 겹친 후 내측원호 전체와 하단부 그리고 외측원호의 하부 일부만 초음파 융착하여 접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재료준비단계(S100)에서 준비된 외측튜브(140) 외면에는 도 7과 같이 단열층(160)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재료준비단계(S100)에서 준비된 내측튜브(120)와 외측튜브(140)는 내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안팎으로 반전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며, 반전된 상태의 내측튜브(120)와 외측튜브(140)의 외측 가장자리는 일부만 융착되어 상부에는 개구부(O)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재료준비단계(S100) 이후에는 발열물질삽입단계(S200)가 실시된다. 상기 발열물질삽입단계(S200)는 내측튜브(120)의 개구부(O)를 통해 물을 함유한 발열물질(P)을 삽입하는 과정이다.
상기 발열물질(P)이 주입된 내측튜브(120) 내부에는 축열물질(H)이 더 주입될 수 있도록 여유 공간이 있는 상태이다.
이후 상기 축열물질주입단계(S300)가 실시된다. 상기 축열물질주입단계(S300)는 발열물질(P)이 삽입되어 있는 내측튜브(120) 내부에 축열물질(H)을 채워넣는 과정으로, 상기 내측튜브봉인단계(S400)와 동시에 실시되며 도 6과 같이 외측튜브(140)와 별개로 봉인된다.
즉 상기 축열물질주입단계(S300)에서 축열물질(H)은 내측튜브(120)가 팽창하도록 압력을 가하여 주입하게 되는데, 주입 후 내측튜브(120)의 개구부(O)를 바로 봉인하는 내측튜브봉인단계(S400)를 실시함으로써 축열물질(H) 뿐만 아니라, 발열물질(P)의 유출을 막을 수 있게 된다.
상기 내측튜브(120)가 완성되면, 내측튜브삽입단계(S500)가 실시된다. 상기 내측튜브삽입단계(S500)는 도 6과 같이 개구부(O)를 통해 외측튜브(140) 내부에 내측튜브(120)를 삽입하는 과정이다.
상기 내측튜브삽입단계(S500)에서 상기 내측튜브(120)는 도 6과 같이 한 개의 내측튜브(120)가 말발굽 형태를 갖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도 13과 같이 2개의 내측튜브(120)를 분리하여 제조한 후 말발굽 형태로 외측튜브(140)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이것은 상기 외측튜브(140) 내부에 내측튜브(120)를 삽입할 때 작업 편의성을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외측튜브(140)는 도 6과 같은 상태에서 내측튜브(120)를 수용하게 되므로, 상기 단열층(160)은 외부에 노출되지 않고 외측튜브(140) 내부면에 위치한 상태가 되어 인체와 접촉하지 않게 된다.
상기 내측튜브삽입단계(S500) 이후에는 단열물질주입단계(S600)가 실시된다. 상기 단열물질주입단계(S600)에서 상기 외측튜브(140) 내부에는 공기가 채워지며, 이러한 공기는 습도를 낮추어 건조한 공기가 주입됨으로써 동절기에 결빙 등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단열물질주입단계(S600) 이후에는 외측튜브봉인단계(S700)가 실시된다. 상기 외측튜브봉인단계(S700)는 단열물질주입단계(S600)와 동시에 순차적으로 실시된다.
그리고 상기 외측튜브봉인단계(S700)가 완료되면 도 11과 같이 내측튜브(120)가 내장된 외측튜브(140)의 제조가 완료되며, 상기 외측튜브(140) 내부에는 단열물질(I)에 의해 단열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단열층(160)은 외측튜브(140)와 내측튜브(120)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상기 넥밴드(100)는 도 12와 같이 내측튜브(120)와 외측튜브(140)의 결합 구조를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즉 도 11에서 상기 내측튜브(120)는 외측튜브(140) 내부에 결합되지 않은 상태로 삽입되어 있으나, 도 12와 같은 다른 실시예에서 내측튜브(120)는 외측튜브(140)와 일부가 결합된 상태로 구성된다.
즉 상기 내측튜브(120)의 외측에 연장부(128)를 일체로 구비하여 연장부(128)가 마감부(F) 및 차폐부(180)와 같이 초음파 융착되게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내측튜브(120)는 외측튜브(140) 내부에서 이격거리가 변경되지 않고 일정 거리를 유지하게 되어 단열물질(I)의 기능을 효율적으로 발휘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외측튜브(140)는 도 14와 같이 다양한 색상을 갖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광택을 가지는 외면이나, 미세 돌기로 인한 무광택 외면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100. 넥밴드 120. 내측튜브
128. 연장부 140. 외측튜브
160. 단열층 162. 제1단열층
164. 제2단열층 180. 차폐부
F . 마감부 H . 축열물질
I . 단열물질 N . 돌출부
O . 개구부 P . 발열물질
W . 융착부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내부에 테트라데칸, 헥사데칸, 옥타데칸, 엘코산 (n-elcosane), 도코산(n-docosane)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적용된 축열물질 및 물을 흡수한 고흡수성수지(Super Absorbent Polymer)가 적용된 발열물질이 내장된 내측튜브와; 상기 내측튜브를 수용한 상태로 외관을 형성하며 사용자의 목에 둘러지는 외측튜브와; 상기 외측튜브와 내측튜브 사이에 건조한 공기가 충진되어 팽창된 공간을 형성하고, 사용자에게 쿠션감을 제공하며, 단열기능을 갖는 단열물질과; 상기 외측튜브에서 인체와 접촉하지 않는 부위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외부에 노출되지 않은 상태로 단열물질과 외부공기의 열교환을 차단하는 단열층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단열층은,
    에어로겔과 메틸에틸케톤(MEK, Methyl Ethyl Ketone)이 적용된 휘발성희석제의 혼합물을 상기 외측튜브 내면에 코팅 및 건조하여 형성된 제1단열층과,
    상기 제1단열층의 외측에 단열페인트로 적층 형성된 제2단열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단열층은 말발굽 형태의 시트 두장을 겹쳐 가장자리에 융착부가 형성된 외측튜브의 외면에 형성된 후, 외측튜브의 내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반전하는 과정을 거쳐 외측튜브 내부에 내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층을 구비한 넥밴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30108652A 2023-08-18 2023-08-18 단열층을 구비한 넥밴드 KR1026613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8652A KR102661380B1 (ko) 2023-08-18 2023-08-18 단열층을 구비한 넥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8652A KR102661380B1 (ko) 2023-08-18 2023-08-18 단열층을 구비한 넥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1380B1 true KR102661380B1 (ko) 2024-04-26

Family

ID=90883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8652A KR102661380B1 (ko) 2023-08-18 2023-08-18 단열층을 구비한 넥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138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4715B1 (ko) * 2013-12-31 2015-07-0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단열 코팅 조성물 및 단열 코팅층
KR20200114588A (ko) * 2019-03-29 2020-10-07 최영하 가려움과 통증의 정도에 따라 서로 다른 온도에서 냉찜질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듀얼 냉찜질팩
JP2021122714A (ja) * 2020-02-06 2021-08-30 株式会社マイテックス 潜熱蓄熱剤内蔵湯たんぽ及びその製造方法
KR20230010782A (ko) * 2020-09-11 2023-01-19 안지혜 발열 목 밴드
KR102503869B1 (ko) * 2022-10-24 2023-02-24 (주)코스 단열층을 구비한 이중 넥밴드
KR102526477B1 (ko) * 2022-11-07 2023-04-27 (주)코스 발열형 이중 넥밴드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4715B1 (ko) * 2013-12-31 2015-07-0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단열 코팅 조성물 및 단열 코팅층
KR20200114588A (ko) * 2019-03-29 2020-10-07 최영하 가려움과 통증의 정도에 따라 서로 다른 온도에서 냉찜질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듀얼 냉찜질팩
JP2021122714A (ja) * 2020-02-06 2021-08-30 株式会社マイテックス 潜熱蓄熱剤内蔵湯たんぽ及びその製造方法
KR20230010782A (ko) * 2020-09-11 2023-01-19 안지혜 발열 목 밴드
KR102503869B1 (ko) * 2022-10-24 2023-02-24 (주)코스 단열층을 구비한 이중 넥밴드
KR102526477B1 (ko) * 2022-11-07 2023-04-27 (주)코스 발열형 이중 넥밴드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233697A1 (en) Thermal lining
US5557807A (en) Headwear including coolant means
US5785980A (en) Water hydratable gel-filled tubular material envelope
US7721349B1 (en) Flexible personal evaporative cooling system with warming potential
US8166772B2 (en) Flexile plated cooling pack of headwear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20030221241A1 (en) Wrist & headband with a source of cooling energy
US20040244090A1 (en) Climate controlled glove for sporting activities
US5597577A (en) Water hydratable gel-filled textile wrap
ES2485966T3 (es) Cubre colchón reversible
KR200495995Y1 (ko) 목 쿨링밴드
KR102526477B1 (ko) 발열형 이중 넥밴드 및 이의 제조방법
US20120073031A1 (en) Ice Cap Or Ice Hat
JP2024062404A (ja) 断熱層を備えた二重ネックバンド
KR102661380B1 (ko) 단열층을 구비한 넥밴드
JP4474719B2 (ja) 蓄冷熱体及びこれを用いた柔軟性加温・冷却体
US20100319382A1 (en) Blanket That Keeps A Person's Body Cool In The Hot Sun Complete With Matching Bag
US7335222B1 (en) Cooling ear muffs
KR20120048070A (ko) 충전식 발열 귀마개
KR102673904B1 (ko) 보강프레임을 구비한 넥밴드
US20180318129A1 (en) Temperature controlled therapeutic plush toy assembly
CN106490742A (zh) 一种相变凉帽
KR101622078B1 (ko) 해열 수건
KR200415745Y1 (ko) 보냉보온 겸용 스카프
JPH06257003A (ja) 温度調節衣服
JP3033348U (ja) 携帯用蓄冷・蓄熱材のための温度調節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