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1335B1 - 세탁물 처리기기 - Google Patents

세탁물 처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1335B1
KR102661335B1 KR1020190005718A KR20190005718A KR102661335B1 KR 102661335 B1 KR102661335 B1 KR 102661335B1 KR 1020190005718 A KR1020190005718 A KR 1020190005718A KR 20190005718 A KR20190005718 A KR 20190005718A KR 102661335 B1 KR102661335 B1 KR 1026613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ness
wireless power
drum
control unit
laund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5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9080A (ko
Inventor
김명상
권배근
김동운
윤유술
이철연
장호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05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1335B1/ko
Priority to PCT/KR2019/004054 priority patent/WO2020149458A1/ko
Priority to US17/423,725 priority patent/US20220064839A1/en
Priority to EP19910151.0A priority patent/EP3913127A4/en
Publication of KR20200089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9080A/ko
Priority to KR1020240053800A priority patent/KR202400588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1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13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18Condition of the laundry, e.g. nature or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0Drying process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0Power supply arrangements, e.g. stand-by circui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04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 D06F34/05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f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components, e.g. for remote monitoring or contro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8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8Humidity
    • D06F2103/10Humidity expressed as capacitance or resistanc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38Time, e.g. durati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12Humidity or dryness of laundr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6Drum speed; Actuation of motors, e.g. starting or interrup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6Remaining operation time; Remaining operational cy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Disintegrating Or M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는, 본체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 상기 드럼에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상기 드럼의 내주면에 장착되는 리프터, 상기 리프터 내에 구비되는 건조도 센싱 장치, 상기 건조도 센싱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리프터 내에 구비되는 무선전력 수신부, 상기 무선전력 수신부에 대응하여 상기 본체와 상기 드럼 사이에 배치되는 무선전력 송신부, 및 상기 건조도 센싱 장치로부터 센싱 결과를 수신하고, 수신된 센싱 결과에 기초하여 건조도를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세탁물 처리기기{LAUNDRY TREATMENT MACHINE}
본 발명은 세탁물 처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 또는 건조기와 같이 건조기능을 갖는 세탁물 처리기기는, 투입된 젖은 의류에 열풍을 공급하여 세탁물의 수분을 증발시키는 기기이다.
건조기의 예를 들어보면, 본체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세탁물이 투입되는 드럼과, 드럼을 구동하는 구동모터와, 드럼 내부로 공기를 불어 넣는 송풍팬과, 드럼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건조기는 고온 다습한 공기를 배출하는 방식에 따라 순환식 건조기와 배기식 건조기로 분류될 수 있다. 드럼을 빠져나가는 공기는 드럼 내부의 세탁물의 수분을 가지게 되어 고온 다습한 상태의 공기가 된다. 순환식 건조기는, 고온 다습한 공기가 건조기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순환하면서 열교환수단을 통해 공기를 이슬점 온도 이하로 냉각하여 고온 다습한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을 응축시킨 후 재공급하는 방식을 가진다. 그리고, 배기식 건조기는, 드럼을 통과하고 나오는 고온 다습한 상태의 공기를 외부로 직접 배출시키는 방법을 가진다.
한편, 상기 가열수단으로 전기저항에 의해 발생되는 고온의 전기 저항열을 이용하거나 또는 가스를 연소시켜서 발생하는 연소열을 이용하는 히터 방식이 있을 수 있다.
또는, 상기 가열수단으로 히트펌프 시스템이 있을 수 있다. 상기 히트펌프 시스템은 열교환기와 압축기 및 팽창기를 구비하며, 시스템을 순환하는 냉매가 상기 드럼에서 배기되는 열풍이 갖는 에너지를 회수한 후 드럼에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도록 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을 증가시킨다.
한편, 이러한 세탁물 처리기기 내에는 세탁물의 건조 상태, 즉 건조도를 감지하기 위한 건조도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건조도 센서는 두 개의 금속판이 나란히 위치하고 각 금속판 사이에 세탁물이 걸쳐져 회로가 구성될 때, 전압의 변화를 통해 세탁물의 저항값을 측정하여 세탁물의 건조도를 검출할 수 있다.
건조도 센서는 도어부 하단에 구비되어 간접적으로 건조도를 감지할 수 있으나, 이는 건조도의 정확한 감지가 어려울 수 있다.
건조도의 정확한 감지를 위해서는, 건조도 센서가 드럼의 내부에 구현되어 세탁물과 직접적으로 접촉하여야 한다. 즉 건조도 센서는 드럼의 내부에 구현되어야 하므로, 세탁물 처리기기는 건조도 센서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드럼의 외부와 내부를 케이블이나 단자 등을 통해 연결하도록 제조되어야 한다. 그러나, 드럼은 구동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바, 상기 케이블이나 단자를 통한 연결이 어려울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특허문헌 1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49186호, 2014.06.11. 자 공개)에는 드럼의 외주면에 절연밴드 및 금속밴드가 설치되고, 본체 내면에는 금속밴드와 밀착되는 브러쉬가 구비되며, 브러쉬는 도선을 통해 전원과 연결되도록 구현되어, 드럼 내부의 건조도 센서로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따르면 절연밴드, 금속밴드, 및 브러쉬를 추가로 구현해야 하는 바 공정 난이도가 증가할 수 있다. 또한, 건조기의 장기간 사용 시 브러쉬의 마모로 인해 브러쉬와 금속밴드의 접촉력이 저하될 수 있고, 이 경우 드럼 내부로의 전력 공급이 원활하지 못할 수 있다.
1.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49186호 (2004.06.11. 자 공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드럼의 내부에 구비되는 건조도 센서로의 전원 공급을 위한 구성들을 단순화할 수 있는 세탁물 처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건조도 센서를 통해 세탁물의 건조도를 보다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세탁물 처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는 리프터 내에 건조도 센싱 장치 및 무선전력 수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무선전력 수신부에 대응하여 상기 본체와 상기 드럼 사이에 배치되는 무선전력 송신부를 포함함으로써, 드럼의 내부와 외부 사이의 유선으로 전력 공급을 위한 케이블이나 전선 등의 구성이 불필요하다. 따라서, 상기 케이블이나 전선의 연결을 위한 공정 난이도가 감소될 수 있다.
상기 무선전력 수신부는 수신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무선전력 송신부는 상기 수신 코일과 대향하여 배치되는 송신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송신 코일은 상기 본체의 내부 중 상기 드럼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부는 드럼의 회전 상태에 기초하여 리프터의 위치를 산출하고, 산출된 위치가 상기 드럼의 중앙을 기준으로 하부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무선전력 수신부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상기 무선전력 송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건조 행정의 수행 시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고, 상기 드럼의 회전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 코일과 상기 송신 코일의 근접 주기를 산출하고, 산출된 주기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전력 수신부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상기 무선전력 송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는 무선 전력 전송 효율이 극대화되는 위치 관계에서 전력이 전송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전력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건조 행정의 개시 시점으로부터 기설정된 소정 시간의 경과 시, 상기 무선전력 수신부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상기 무선전력 송신부를 제어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건조도 센싱 장치는, 상기 무선전력 수신부로부터 제공되는 전력에 기초하여 상기 센싱 결과를 획득하고, NFC 송신기를 통해 상기 센싱 결과를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된 NFC 리더기를 통해 상기 센싱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센싱 결과의 전송을 위한 제어부와 건조도 센싱 장치 간의 통신 연결을 무선 통신 방식으로 구현함으로써 통신 케이블 등의 연결에 따른 공정 난이도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산출된 건조도가 기준 건조도 이상인 경우 건조 행정의 완료를 감지하고,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산출된 건조도가 기준 건조도 미만인 경우, 상기 산출된 건조도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을 조절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건조 행정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산출된 건조도가 기준 건조도 미만인 경우, 상기 산출된 건조도에 기초하여 전력 전송 주기를 변경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건조도 센싱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건조도 센싱 장치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건조도 센서 각각은 상기 리프터의 일 면을 통해 일부가 노출되도록 서로 이격 배치되어, 세탁물과의 접촉을 통해 건조도 산출에 필요한 센싱 결과를 보다 정확하게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세탁물 처리기기는 드럼 내에 구비된 리프터 내에 건조도 센싱 장치 및 그와 연결되는 무선전력 수신부를 배치하고, 드럼 외부의 공간 중 무선전력 수신부와 대응한 위치에 무선전력 송신부를 배치할 수 있다. 건조도 센싱 장치는 무선전력 전송 방식에 따라 전력을 공급받아 동작할 수 있으므로, 드럼의 내부와 외부 사이의 전력 공급을 위한 케이블이나 전선 등의 구성이 불필요하다. 따라서,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조 시 공정 난이도의 감소 및 부품 수의 절약이 가능하다.
또한, 세탁물 처리기기는 드럼의 회전 중 건조도 센서가 드럼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부에 위치할 때 건조도를 센싱할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세탁물의 건조도를 보다 정확히 감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세탁물 처리기기는 건조도 센서의 센싱 결과를 NFC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을 통해 획득하도록 구현됨으로써, 드럼 내부의 건조도 센서와 드럼 외부의 제어부 사이의 통신 연결을 위한 케이블 등이 제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조 시 공정 난이도가 효과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 구성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건조도 센싱 장치의 구성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5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리프터에 배치되는 건조도 센서 및 무선전력 수신부의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무선전력 송신부와 무선전력 수신부의 구성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세탁물 처리기기의 동작과 관련된 구체적인 설명을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들에서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일례로서 건조기(1)를 설명하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건조기(1)에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고, 건조 기능을 갖는 세탁기 등의 다양한 세탁물 처리기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건조기(1)는, 일측에 의류의 투입을 위한 투입구(11)가 형성되는 본체(10)와, 상기 투입구(11)를 개폐하는 도어(20)에 의해서 전체적인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의 내부에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의류가 건조되는 드럼(1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15)은 상기 투입구(11)를 향하여 개구되어, 사용자가 의류를 상기 투입구(11)를 통해서 상기 드럼(15) 내부로 투입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건조기(1)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1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12)는 상기 투입구(11)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12)에는, 상기 건조기(1)에 제공되는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조작 버튼, 회전 스위치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예로들어, 사용자는 상기 조작부(12)에 구비되는 조작 버튼 또는 회전 스위치 등을 조작하여, 상기 건조기(1)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시키거나, 구동시작 또는 구동정지 명령을 입력하거나, 동작 모드와 건조시간 등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12)에는 디스플레이(1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13)에는 상기 건조기(1)의 동작 상태, 설정된 동작 모드, 시간 정보 등이 출력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의 일측에는 드로워(14)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드로워(14)의 내측에는 상기 드럼에 분사할 액체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드럼(15)에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3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300)의 일 회전축에는 상기 드럼(15)을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 전달 부재(360)가 구비되고, 드럼(15)은 상기 동력 전달 부재(360)에 의해서 상기 구동모터(300)와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동력 전달 부재(360)는 풀리 또는 롤러일 수 있다.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드럼(15)으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급유로와, 상기 드럼(15)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유로를 형성하는 덕트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덕트는, 상기 공급유로를 형성하는 공급덕트(30)와, 상기 배기유로를 형성하는 배기덕트(4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에는 공기의 흐름을 강제하기 위한 송풍팬(5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송풍팬(50)은 상기 공급덕트(30) 및 배기덕트(40)와 연통되어, 상기 공급덕트(30)를 통해서 상기 드럼(15)의 내부로 공기가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배기덕트(40)를 통해서 상기 드럼(15)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도록 강제할 수 있다.
상기 송풍팬(50)은 상기 배기유로 상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15)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배기덕트(40) 내부로 흡입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송풍팬(50)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상기 드럼(15)과 동시에 회전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송풍팬(50)은 상기 구동모터와는 별도의 모터와 연결되어 상기 드럼(15)과 독립적으로 회전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건조기 내부의 공기가 순환하는 순환식 건조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은 순환식 건조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배기식 건조기에도 적용 가능함을 밝혀둔다.
상기 건조기(1)가 순환식 건조기일 경우, 상기 배기덕트(40)는 강제 송풍되는 공기를 상기 공급덕트(30)로 안내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건조기(1)가 배기식 건조기일 경우, 상기 배기덕트(40)는 강제 송풍되는 공기를 외부로 안내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공급덕트(30)는 상기 드럼(15)의 후측으로 연장되고, 단부에 가열된 공기가 상기 드럼으로 토출되는 토출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기덕트(40)는 상기 드럼(15)의 전방 하측으로 연장되고, 단부에 상기 드럼 내부의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급덕트(30)의 공급유로 상에는 전기 저항열에 의해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시키는 히터(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히터가 구비됨에 따라 공급되는 공기의 가열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배기덕트(40)의 배기유로 상에는 상기 드럼(10)에서 배출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린트 등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45)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드럼(15)에서 배출되는 공기로부터 폐열을 흡수하고, 상기 드럼(15)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히트펌프 시스템(6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히트펌프 시스템(60)은, 상기 드럼(15) 내부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냉각시키기 위한 증발기, 냉매를 압축하기 위한 압축기, 상기 드럼(15)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응축기, 및 팽창밸브를 포함하여 열역학적 사이클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증발기와 압축기와 응축기와 팽창밸브는 배관에 의해서 차례대로 연결되며, 상기 배관을 통해서 냉매가 순환할 수 있다.
상기 냉매는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되어 고온 고압의 기체상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응축기에서 고온 고압의 액체상태가 되며, 상기 드럼(15)으로 공급될 저온의 공기와 열교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팽창밸브에서 팽창되어 저온 저압의 기체상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증발기에서 상기 드럼(15)에서 배출되는 고온 다습한 공기와 열교환할 수 있다.
상기 드럼(15)으로 공급되는 공기는 상기 응축기에서 열교환되어 고온으로 가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드럼(15)에서 배출되는 고온 다습한 공기는 상기 증발기에서 열교환되어 냉각되어 수분이 제거되어 건조한 상태가 될 수 있다. 고은 다습한 공기에 포함된 수분은 상기 증발기에 응결되어 집수될 수 있으며, 배수 배관을 통해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증발기는 상기 배기덕트(40)의 배기유로가 상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응축기는 상기 공급덕트(30)의 공급유로 상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의 내부에는 상기 배기덕트(40)와 공급덕트(30)와 연통시키는 기계실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압축기와 팽창밸브는 상기 기계실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도 상기 기계실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드럼(15)의 내주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리프터(16)가 장착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리프터(16)는 드럼(15)의 회전 시 세탁물이 중력에 의해 낙하되도록 일정 높이까지 세탁물을 퍼올리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세탁물의 뭉침이나 엉킴 현상이 완화될 수 있고, 세탁물의 건조가 보다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리프터(16) 내에는 건조도 센싱 장치(200)가 구비될 수 있다. 건조도 센싱 장치(200)는 세탁물의 건조도를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건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건조도 센서는 복수의 금속판을 구비하고, 복수의 금속판들 사이에 세탁물이 걸쳐져 회로가 구성될 때 전압의 변화를 통해 세탁물의 저항값을 측정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복수의 금속판들은 세탁물과 직접 접촉되기 위해, 리프터(16)의 일 면을 통해 드럼(15) 내부로 노출될 수 있다.
한편, 건조기(1)는 리프터(16) 내에 구비된 건조도 센싱 장치(200)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무선전력 송신부(220) 및 무선전력 수신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전력 송신부(220)는 본체(10)와 드럼(15)의 사이 공간에 배치되어 건조기(1) 내의 전원 공급부(미도시)와 도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무선전력 수신부(240)는 적어도 하나의 리프터(16) 내에 배치되고, 건조도 센싱 장치(200)와 연결될 수 있다.
무선전력 송신부(220)는 자기 유도 방식 또는 자기 공진 방식 등의 무선전력 공급 방식을 통해 무선전력 수신부(240)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컨대, 무선으로 공급되는 전력의 효율 극대화를 위해, 무선전력 송신부(220)와 무선전력 수신부(240)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전력 송신부(220)는 본체(10) 내부 중 드럼(15)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고, 무선전력 수신부(240)는 리프터(16) 내부 중 무선전력 송신부(220)와 수직 방향으로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드럼(15)의 회전에 따라 무선전력 수신부(240) 또한 회전할 수 있고, 회전 중 무선전력 수신부(240)가 드럼(15)의 하부에 위치할 때 무선전력 송신부(220)와 근접하게 되므로, 무선전력 수신 효율이 극대화될 수 있다.
무선전력 수신부(240)는 무선전력 송신부(220)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받고, 공급된 전력에 기초한 전원을 건조도 센싱 장치(200)로 공급할 수 있다. 건조도 센싱 장치(200)는 공급된 전원에 기초하여 건조도 센싱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건조도 센싱 장치(200)에 대해서는 추후 도 3 내지 도 8을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리프터(16) 각각에 건조도 센싱 장치(200) 및 무선전력 수신부(240)가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실시 예에 따라 건조기(1)는 적어도 하나의 리프터(16) 중 어느 하나의 리프터에만 상기 건조도 센싱 장치(200) 및 무선전력 수신부(240)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 구성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세탁물 처리기기(건조기(1))는 도 1에서 상술한 조작부(12)에 대응하는 입력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310)는 건조기(1)에 제공되는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조작 버튼, 회전 스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부(310)를 통해 건조기(1)의 전원을 온/오프하거나, 구동시작 또는 구동정지 명령을 입력하거나, 구동 모드와 건조시간 등을 설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는 건조기(1)의 동작 상태, 설정된 동작 모드, 시간 정보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13)는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고, 상기 터치 스크린은 입력부(310)로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건조기(1)는, 건조기(1)의 동작과 관련된 알고리즘 데이터, 설정값 데이터 등의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3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320)는 무선전력 송신부(220)의 제어와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320)는 건조도 센싱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센싱 결과로부터 세탁물의 건조도를 측정하기 위한 알고리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건조기(1)는 외부의 단말기나 서버, 또는 드럼(15) 내부의 건조도 센싱 장치(200)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33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330)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통신부(330)는 단말기 및/또는 서버와 연결하기 위한 블루투스 통신 모듈 및/또는 와이파이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330)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리더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NFC 리더기를 통해, 제어부(340)는 건조도 센싱 장치(200)로부터 센싱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건조기(1)는, 상기 건조기(1)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4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나 컨트롤러를 포괄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나 컨트롤러 각각은, CPU, 마이컴, AP(application processor), 집적 회로,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40)는 상기 입력부(310)를 통해 조작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메모리(320)에서 수신된 조작 신호에 대응하는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모리(320)에 저장된 정보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300)와 히트펌프 시스템(6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입력부(310)를 통해 건조 시작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340)는 상기 구동모터(300)와 히트펌프 시스템(60)의 압축기를 구동하여 건조가 시작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건조 종료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구동모터(300)와 압축기의 구동을 정지하여 건조가 종료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40)는 무선전력 송신부(220)를 제어하여, 리프터(16) 내에 구비된 무선전력 수신부(240)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무선전력 송신부(220)와 무선전력 수신부(240)는 자기 유도 방식 또는 자기 공진 방식 등에 의해 전력을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전력 수신부(240)는 수신된 전력에 기초한 구동 전원을 건조도 센싱 장치(200)로 공급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340)는 드럼(15)의 회전 중 무선전력 수신부(240)가 무선전력 송신부(220)에 근접한 상태인 경우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무선전력 송신부(22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근접한 상태는, 드럼(15)의 회전 중 무선전력 수신부(240)가 기설정된 위치에 도달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메모리(320)에는 구동 모터(300)의 구동에 따른 드럼(15)의 회전 상태(회전 속도 등), 및 그에 따른 리프터(16) 및 무선전력 수신부(240)의 위치를 산출하는 알고리즘이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340)는 상기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리프터(16) 및 무선전력 수신부(240)의 위치를 산출하고, 산출된 위치가 무선전력 송신부(220)와 근접한 위치(기설정된 위치)인 경우 전력을 공급하도록 무선전력 송신부(220)를 제어할 수도 있다.
또는, 제어부(340)는 구동 모터(300) 또는 드럼(15)의 회전 속도에 기초하여 무선전력 수신부(240)가 무선전력 송신부(220)와 근접하는 주기를 산출하고, 상기 주기에 기초하여 전력을 공급하도록 무선전력 송신부(220)를 제어할 수도 있다.
또는, 제어부(340)는 건조 행정 중 특정 주기마다 전력을 소정 시간 공급하거나, 건조 행정이 일정 시간 진행된 이후 특정 주기마다 전력을 소정 시간 공급하도록 무선전력 송신부(220)를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340)는 통신부(330)를 통해 건조도 센싱 장치(200)로부터 센싱 결과를 수신하고, 수신된 센싱 결과에 기초하여 건조도를 측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340)는 측정된 건조도 또는 측정된 건조도의 변화에 기초하여 구동 모터(300) 및 압축기의 구동을 조절할 수도 있다. 예컨대, 측정된 건조도의 변화가 기준값 이하인 경우, 제어부(340)는 구동 모터(300)의 회전 속도를 증가시키거나 압축기 내의 모터의 회전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측정된 건조도가 기준 건조도 이상인 경우, 제어부(340)는 구동 모터(300) 및 압축기를 정지하여 건조 행정을 완료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에 포함된 건조도 센싱 장치(200), 무선전력 송신부(220), 및 무선전력 수신부(24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건조도 센싱 장치의 구성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건조도 센싱 장치(200)는 통신부(202), 건조도 센서(204), 메모리(206), 및 마이컴(208)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02)는 건조도 센서(204)에 의해 획득된 센싱 결과를 건조기(1)의 제어부(340)로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통신부(202)는 NFC 통신 방식에 따라 상기 센싱 결과를 출력하는 NFC 송신기를 포함하거나, 기타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건조도 센서(204)는 건조 행정 중 세탁물의 건조도를 센싱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건조도 센서(204)는 복수의 금속판들을 포함하고, 복수의 금속판들 사이에 세탁물이 걸쳐져 회로가 구성될 때, 전압의 변화를 통해 세탁물의 저항값을 측정할 수 있다.
마이컴(208)은 상기 측정된 저항값을 포함하는 센싱 결과를 통신부(202)를 통해 제어부(340)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마이컴(208)은 통신부(202)를 통해 제어부(340)로부터 센싱 명령을 수신하고, 수신된 센싱 명령에 기초하여 건조도 센서(204)를 통해 센싱 결과를 획득할 수도 있다.
메모리(206)는 건조도 센싱 장치(200)의 동작과 관련된 각종 제어 데이터나 알고리즘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메모리(206)는 건조도 센서(204)에 의해 감지되는 전압의 변화에 기초하여 세탁물의 저항값을 측정하는 알고리즘을 저장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전압의 변화에 기초하여 세탁물의 저항값을 측정하는 알고리즘은 도 3에서 상술한 메모리(320)에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 경우, 마이컴(208)은 건조도 센서(204)에 의해 감지된 전압의 변화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센싱 결과를 제어부(34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340)는 상기 센싱 결과와 메모리(320)에 저장된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세탁물의 저항값을 측정하고, 측정된 저항값에 기초하여 세탁물의 건조도를 산출할 수 있다.
도 5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리프터에 배치되는 건조도 센서 및 무선전력 수신부의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건조도 센싱 장치(200)는 적어도 하나의 건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건조도 센싱 장치(200)가 세 개의 건조도 센서들(204a, 204b, 204c)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건조도 센서의 수는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건조도 센서(204a~204c) 각각은 리프터(16)의 일 면(예컨대, 드럼(15)의 내부 중심부를 향하는 면을 통해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건조도 센서(204a~204c)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드럼(15) 내의 다양한 영역에 존재하는 세탁물의 건조도를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한편, 무선전력 수신부(240)는 무선전력 송신부(22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기 위한 수신기(246)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기(246)는 코일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고 무선전력 전송 방식에 따라 다른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예컨대, 무선전력 송신부(220)와 무선전력 수신부(240)가 자기 유도 방식에 따라 전력을 송수신하는 경우, 수신기(246)에는 무선전력 송신부(220)의 송신기(228; 도 6 참조)에 의해 형성되는 전자기장에 기초한 유도 전류가 형성됨으로써,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러한 수신기(246)는 드럼(15)의 외부에 배치된 무선전력 송신부(240)와 근접하기 위해, 리프터(16) 내의 영역 중 드럼(15)의 내면과 인접한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무선전력 송신부와 무선전력 수신부의 구성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무선전력 송신부(220)와 무선전력 수신부(240)는 자기 유도 방식 또는 자기 공진 방식 등의 각종 무선전력 전송 방식에 따라 전력을 송수신할 수 있다.
자기 유도 방식은, 전기가 흐르는 도체의 주변에서 자기장을 변화시킬 때 전압이 유도되어 전류가 흐르는 전자기 유도 현상을 이용하는 방식이다.
자기 공진 방식은, 송신기와 수신기가 같은 주파수로 공진할 경우, 전자파가 전자장을 통하여 송신기로부터 수신기로 이동하는 무선 전력 전송에 따라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송신기의 송신 코일은 소정 공진 주파수를 가질 수 있고,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 전자파 및 자기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 때 수신기의 수신 코일에는 자기장에 의해 유도 전력이 발생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 무선전력 송신부(220)로부터 무선전력 수신부(240)로 전력을 전송함은, 무선전력 송신부(220)의 송신기(228)에서 발생하는 자기장 등에 의해 무선전력 수신부(240)의 수신기(246)에서 유도 전력이 발생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무선전력 송신부(220)는 마이컴(222), 메모리(224), 발진기(226), 및 송신기(228)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무선전력 송신부(220)는 드럼(15)의 외부, 예컨대, 본체(10) 내에서 드럼(15)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마이컴(222)은 무선전력 송신부(22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마이컴(222)은 제어부(340)로부터 전력을 전송하는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 명령에 따라 발진기(226)를 제어함으로써, 무선전력 수신부(240)로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메모리(224)는 무선전력 송신부(220)에 포함된 구성들의 동작과 관련된 제어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발진기(226)는 마이컴(220)의 제어에 따라 송신기(228)로 교류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발진기(226)는 송신기(228)로 제공되는 전원의 주파수를 공진 주파수로 제어함으로써, 전력 공급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송신기(228)는 발진기(226)에 의해 제공되는 교류 전원에 기초하여, 무선전력 수신부(240)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컨대, 송신기(228)는, 상기 교류 전원의 제공 시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송신 코일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무선전력 송신부(220)는 발진기(226) 및 송신기(228)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무선전력 송신부(220)의 전반적인 동작은 제어부(34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무선전력 송신부(220)의 동작과 관련된 제어 데이터는 메모리(320)에 저장될 수 있다.
무선전력 수신부(240)는 마이컴(242), 메모리(244), 수신기(246), 및 정류기(248)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무선전력 수신부(240)는 드럼(15) 내에 구비된 리프터(16)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마이컴(242)은 무선전력 수신부(24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마이컴(242)은 수신기(246)를 통해 수신된 전력에 해당하는 교류 전원이 정류기(248)에 의해 정류되면, 정류된 전원을 건조도 센싱 장치(200)로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메모리(244)은 무선전력 수신부(240)에 포함된 구성들의 동작과 관련된 제어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수신기(246)는 송신기(228)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예컨대, 수신기(246)는 송신기(228)에 의해 발생한 자기장에 기초하여 유도 전력을 발생하는 수신 코일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정류기(248)는 수신기(246)로부터 발생한 유도 전력에 해당하는 교류 전원을 정류할 수 있다. 정류기(248)에 의해 정류된 전원은 마이컴(242) 및 건조도 센싱 장치(200)로 제공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무선전력 수신부(240)는 수신기(246)를 통해 공급되는 전력을 저장하는 전력 저장부(24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전력 저장부(249)는 커패시터 또는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마이컴(242)은 전력 저장부(249)의 충전 및 방전을 제어하거나, 전력 저장부(249)에 저장된 전력에 기초한 전원을 건조도 센싱 장치(200)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무선전력 수신부(240)는 수신기(246) 및 정류기(248)만을 포함하거나, 수신기(246), 정류기(248), 및 전력 저장부(249)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수신기(246)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은 정류기(248)에 의해 정류된 후 건조도 센싱 장치(200)로 곧바로 제공되거나 전력 저장부(249)에 저장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는 무선전력 송신부(220)와 무선전력 수신부(240)를 구비함으로써, 드럼(15)의 리프터(16) 내에 배치된 건조도 센싱 장치(200)로 무선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드럼(15)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구성이 단순화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제조 공정의 난이도 또한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세탁물 처리기기(건조기(1))는 입력부(310) 등을 통해 수신되는 건조 개시 명령에 기초하여 건조 행정을 개시할 수 있다(S700).
제어부(340)는 입력부(310) 등을 통해 건조 개시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건조 개시 명령은 건조 모드, 건조 시간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된 건조 개시 명령에 응답하여, 제어부(340)는 구동모터(300) 및 히트펌프 시스템(60) 등을 제어하여 건조 행정을 개시할 수 있다.
건조기(1)는 리프터(16) 내의 무선전력 수신부(240)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무선전력 송신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S710).
건조 행정이 개시되면, 제어부(340)는 건조도 센싱 장치(200)를 이용하여 세탁물의 건조도를 산출할 수 있다.
건조도 센싱 장치(200)는 무선전력 수신부(240)와 연결되고, 무선전력 수신부(24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기 이전에는 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340)는 건조도 센싱 장치(200)를 동작시키기 위해, 무선전력 수신부(240)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무선전력 송신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건조 행정의 초기 구간에서는 세탁물의 건조가 완료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으므로, 상기 초기 구간에서 건조도 센싱 장치(200)를 동작시키는 것은 전력 소모 등의 측면에서 불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340)는 건조 행정이 소정 시간 진행된 이후에, 상기 무선전력 송신부(220)를 제어하여 무선전력 수신부(240)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무선 전력 전송 방식에 따른 전력 전송 효율은, 무선전력 송신부(220)와 무선전력 수신부(240) 사이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340)는 무선전력 수신부(240)를 구비하는 리프터(16)가 드럼(15)의 회전 중 무선전력 송신부(220)와 소정 거리 이내인 구간에 존재하는 동안 무선전력 송신부(220)를 제어하여 무선전력 수신부(240)로 전력을 공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340)는 구동모터(300)의 회전 정보(회전속도, 기준위치 등)에 기초하여 리프터(16)의 위치를 산출하거나, 또는 리프터(16)의 위치를 감지하도록 별도로 구비된 센서(미도시)를 이용하는 등의 방식으로 리프터(16)의 위치를 산출할 수도 있다. 산출된 위치가 기설정된 위치에 해당하는 경우, 제어부(340)는 상기 무선전력 송신부(220)를 제어하여 무선전력 수신부(240)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도 6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무선전력 송신부(220)는 제어부(340)의 제어에 따라 송신기(228)로 교류 형태의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송신기(228)로 교류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송신기(228)로부터 자기장이 발생할 수 있다. 무선전력 수신부(240)의 수신기(246)는 상기 자기장에 기초하여 유도 전력을 발생함으로써,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리프터(16) 내에 배치된 건조도 센싱 장치(200)는, 무선전력 수신부(240)로부터 전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S720). 건조도 센싱 장치(200)는 제공받은 전력에 기초하여 세탁물의 건조도와 관련된 센싱 결과를 획득하고, 획득된 센싱 결과를 제어부(340)로 전송할 수 있다(S730).
S710 단계에 따라 무선전력 송신부(220)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면, 무선전력 수신부(240)는 공급된 전력 중 적어도 일부를 건조도 센싱 장치(200)로 공급할 수 있다.
건조도 센싱 장치(200)의 마이컴(208)은, 공급된 전력에 기초하여 활성화될 수 있다. 활성화된 마이컴(208)은 건조도 센서(204)를 통해 세탁물의 건조도와 관련된 센싱 결과를 획득하고, 획득된 센싱 결과를 통신부(202)를 통해 제어부(340)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건조도 센서(204)는 복수의 금속판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금속판들 사이에 세탁물이 걸쳐져 회로가 구성됨에 따른 전압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건조도 센싱 장치(200)는 상기 전압의 변화에 기초한 저항값을 측정하고, 측정된 저항값을 상기 센싱 결과로서 제어부(340)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건조도 센싱 장치(200)는 상기 전압의 변화를 상기 센싱 결과로서 제어부(34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예컨대, 건조도 센싱 장치(200)의 통신부(202)는 NFC 통신 방식을 통해 상기 센싱 결과를 전송하는 NFC 송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340)와 연결되는 통신부(330)는, 본체(10) 내의 드럼(15)과 인접한 일 영역에 배치되는 NFC 리더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NFC 리더기는 드럼(15)의 회전에 따라 리프터(16)에 구비된 건조도 센싱 장치(200)가 인접하면, 상기 NFC 송신기로부터 상기 센싱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건조기(1)의 제어부(340)는 건조도 센싱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센싱 결과에 기초하여 세탁물의 건조도를 산출할 수 있다(S740).
메모리(320)에는 상기 센싱 결과에 기초하여 세탁물의 건조도를 산출하는 알고리즘 또는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340)는 메모리(320)에 저장된 알고리즘 또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센싱 결과에 기초한 건조도를 산출할 수 있다.
산출된 건조도가 기준 건조도 이상인 경우(S750의 YES), 건조기(1)는 세탁물의 건조가 완료된 것으로 감지하고 건조 행정을 완료할 수 있다(S760).
제어부(340)는 산출된 건조도가 기준 건조도 이상인 경우, 구동모터(300) 및 히트펌프 시스템(60)의 구동을 정지함으로써 건조 행정을 완료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340)는 디스플레이(13)나 사운드 출력부(미도시) 등의 출력 수단을 통해 건조 행정의 완료 알림을 출력하거나, 통신부(330)를 통해 사용자의 단말기 등으로 건조 행정의 완료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산출된 건조도가 기준 건조도 미만인 경우(S750의 NO), 건조기(1)는 S710 단계 내지 S740 단계를 재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건조기(1)는 기설정된 주기마다 건조도를 산출하기 위해, 상기 기설정된 주기마다 무선전력 송신부(220)를 제어하여 건조도 센싱 장치(200)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주기는 산출된 건조도에 따라 조절될 수도 있다. 예컨대, 산출된 건조도가 기준 건조도와 가까워질수록, 상기 주기는 짧아질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건조기(1)는 산출된 건조도에 기초하여 구동모터(300) 및 히트펌프 시스템(60)의 구동을 조절할 수도 있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세탁물 처리기기의 동작과 관련된 구체적인 설명을 위한 예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무선전력 송신부(220)는 본체(10) 내부 중 드럼(15)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건조도 센싱 장치(200)는 드럼(15)의 중앙을 기준으로 하부에 위치할 때 전력을 보다 원활히 공급받을 수 있고, 공급된 전력을 이용하여 센싱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건조도 센싱 장치(200)는 드럼(15)의 상부보다 하부에 위치할 때 세탁물과 보다 용이하게 접촉할 수 있으므로, 무선전력 송신부(220)는 드럼(15)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이 적절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330) 중 NFC 리더기(332)는 본체(10) 내부 중 드럼(15)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다.
건조기(1)의 건조 행정이 개시됨에 따라, 드럼(15)이 회전할 수 있다. 드럼(15)의 회전에 따라, 드럼(15)의 내면에 구비된 리프터(16)의 위치는 드럼(15)의 하부와 상부 사이를 회전하면서 왕복할 수 있다.
리프터(16)가 드럼(15)의 하부에 위치할 때, 리프터(16)에 포함된 무선전력 수신부(240)는 무선전력 송신부(22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고, 공급된 전력 중 적어도 일부를 건조도 센싱 장치(200)로 제공할 수 있다. 건조도 센싱 장치(200)는 제공된 전력에 기초하여, 건조도 센서(204)를 통해 센싱 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
드럼(15)의 회전에 따라 리프터(16)가 드럼(15)의 상부에 위치할 때, NFC 리더기(332)는 건조도 센싱 장치(200)의 통신부(202)에 포함된 NFC 송신기로부터 상기 센싱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NFC 리더기(332)와 연결된 제어부(340)는 수신된 센싱 결과에 기초하여 건조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건조도에 기초하여 건조 행정을 완료하거나, 구동모터(300) 및/또는 히트펌프 시스템(60)의 구동을 조절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세탁물 처리기기는 리프터(16) 내에 건조도 센싱 장치(200) 및 그와 연결되는 무선전력 수신부(240)를 배치하고, 무선전력 수신부(240)와 대응한 위치에 무선전력 송신부(220)를 배치할 수 있다. 건조도 센싱 장치(200)는 무선전력 전송 방식에 따라 전력을 공급받아 동작할 수 있으므로, 드럼(15)의 내부와 외부 사이의 전력 공급을 위한 케이블이나 전선 등의 구성이 불필요하다. 따라서,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조 시 공정 난이도의 감소 및 부품 수의 절약이 가능하다.
세탁물 처리기기는 드럼(15)의 회전 중 건조도 센서(204)가 드럼(15)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부에 위치할 때 건조도를 센싱할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세탁물의 건조도를 보다 정확히 감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세탁물 처리기기는 건조도 센서의 센싱 결과를 NFC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을 통해 획득하도록 구현됨으로써, 드럼(15) 내부의 건조도 센서(204)와 드럼(15) 외부의 제어부(340) 사이의 통신 연결을 위한 케이블 등이 제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조 시 공정 난이도가 효과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3)

  1. 본체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
    상기 드럼에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상기 드럼의 내주면에 장착되는 리프터;
    상기 리프터 내에 구비되는 건조도 센싱 장치;
    상기 건조도 센싱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무선전력 수신부;
    상기 무선전력 수신부에 전력을 공급하며, 상기 드럼의 하부에 구비되는 무선전력 송신부; 및
    상기 건조도 센싱 장치로부터 센싱 결과를 수신하고, 수신된 센싱 결과에 기초하여 건조도를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무선전력 수신부는 상기 리프터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무선전력 송신부는 상기 무선전력 수신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전력 수신부는 수신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무선전력 송신부는,
    상기 수신 코일과 대향하여 배치되는 송신 코일을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코일은 상기 본체의 내부 중 상기 드럼의 하부에 배치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건조 행정의 수행 시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고,
    상기 드럼의 회전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리프터의 위치를 산출하고,
    산출된 위치가 상기 드럼의 중앙을 기준으로 하부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무선전력 수신부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상기 무선전력 송신부를 제어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건조 행정의 수행 시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고,
    상기 드럼의 회전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 코일과 상기 송신 코일의 근접 주기를 산출하고, 산출된 주기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전력 수신부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상기 무선전력 송신부를 제어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건조 행정의 개시 시점으로부터 기설정된 소정 시간의 경과 시, 상기 무선전력 수신부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상기 무선전력 송신부를 제어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도 센싱 장치는,
    상기 무선전력 수신부로부터 제공되는 전력에 기초하여 상기 센싱 결과를 획득하고,
    NFC 송신기를 통해 상기 센싱 결과를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된 NFC 리더기를 통해 상기 센싱 결과를 수신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산출된 건조도가 기준 건조도 이상인 경우 건조 행정의 완료를 감지하고,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세탁물 처리기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산출된 건조도가 기준 건조도 미만인 경우,
    상기 산출된 건조도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을 조절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소정 주기마다 상기 무선전력 수신부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상기 무선전력 송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산출된 건조도가 기준 건조도 미만인 경우,
    상기 산출된 건조도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 주기를 변경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산출된 건조도가 상기 기준 건조도와 가까울수록 상기 소정 주기를 감소시키는 세탁물 처리기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도 센싱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건조도 센서;
    통신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건조도 센서를 제어하는 마이컴을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건조도 센서 각각은,
    상기 리프터의 일 면을 통해 일부가 노출되도록 서로 이격 배치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KR1020190005718A 2019-01-16 2019-01-16 세탁물 처리기기 KR1026613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718A KR102661335B1 (ko) 2019-01-16 2019-01-16 세탁물 처리기기
PCT/KR2019/004054 WO2020149458A1 (ko) 2019-01-16 2019-04-05 세탁물 처리기기
US17/423,725 US20220064839A1 (en) 2019-01-16 2019-04-05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EP19910151.0A EP3913127A4 (en) 2019-01-16 2019-04-05 LAUNDRY TREATMENT APPARATUS
KR1020240053800A KR20240058819A (ko) 2019-01-16 2024-04-23 세탁물 처리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718A KR102661335B1 (ko) 2019-01-16 2019-01-16 세탁물 처리기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53800A Division KR20240058819A (ko) 2019-01-16 2024-04-23 세탁물 처리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9080A KR20200089080A (ko) 2020-07-24
KR102661335B1 true KR102661335B1 (ko) 2024-04-30

Family

ID=7161369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5718A KR102661335B1 (ko) 2019-01-16 2019-01-16 세탁물 처리기기
KR1020240053800A KR20240058819A (ko) 2019-01-16 2024-04-23 세탁물 처리기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53800A KR20240058819A (ko) 2019-01-16 2024-04-23 세탁물 처리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20064839A1 (ko)
EP (1) EP3913127A4 (ko)
KR (2) KR102661335B1 (ko)
WO (1) WO20201494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35840A1 (zh) * 2019-12-31 2021-07-08 广东美的白色家电技术创新中心有限公司 家用电器
KR20220032963A (ko) * 2020-09-08 2022-03-15 삼성전자주식회사 건조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9525B1 (ko) * 2002-12-05 2005-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건조기의 건조도 검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조기제어방법
US20160330572A1 (en) * 2015-05-08 2016-11-10 Dexter Laundry, Inc. Wireless communication assembly
WO2018091717A1 (en) * 2016-11-21 2018-05-24 Chiriatti Antonio Francesco Heating system for an apparatus for the treatment of textile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35135B1 (en) * 2000-06-23 2003-03-18 The Timken Company Bearing with wireless self-powered sensor unit
EP1997951B1 (en) * 2007-05-30 2011-03-09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Laundry machine
KR102236583B1 (ko) * 2014-12-05 2021-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기기용 조그 다이얼 및 이를 구비한 전자기기
KR101671003B1 (ko) * 2015-02-26 2016-10-31 주식회사 비트컴퓨터 세탁기용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무선 충전 시스템 및 그 방법
DE102016216265A1 (de) * 2016-08-30 2018-03-01 BSH Hausgeräte GmbH Haushaltsgerät mit einer autarken Energieversorgung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s solchen Haushaltsgeräts
US9951465B1 (en) * 2016-10-24 2018-04-24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Dryer appliance and sensor assembly thereof
KR102314533B1 (ko) * 2017-03-20 2021-10-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9525B1 (ko) * 2002-12-05 2005-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건조기의 건조도 검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조기제어방법
US20160330572A1 (en) * 2015-05-08 2016-11-10 Dexter Laundry, Inc. Wireless communication assembly
WO2018091717A1 (en) * 2016-11-21 2018-05-24 Chiriatti Antonio Francesco Heating system for an apparatus for the treatment of texti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13127A4 (en) 2022-10-12
US20220064839A1 (en) 2022-03-03
KR20240058819A (ko) 2024-05-03
WO2020149458A1 (ko) 2020-07-23
EP3913127A1 (en) 2021-11-24
KR20200089080A (ko) 2020-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40058819A (ko) 세탁물 처리기기
EP2383385B1 (en) Clothes dry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584440B2 (en) Washing drying machine having heat pump and drying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EP3077588B1 (en) A method for controlling a laundry drying machine of the type comprising a heat pump system and a corresponding laundry drying machine
EP2719820B1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with heat pump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EP2927362B1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with heat pump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EP2949804A1 (en)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KR102191546B1 (ko) 세탁물 처리기기
US11718949B2 (en) Dry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50081602A (ko) 세탁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EP2746457A1 (en) A method for controlling a heat pump system for a laundry drying machine and a corresponding laundry drying machine
JP2018143646A (ja) 乾燥検知デバイスおよびこれを用いた衣類乾燥検知システム
EP3754095B1 (en) Clothes dryer
US20210207315A1 (en) Laundry drier
KR20200138706A (ko) 세탁물 처리기기
KR20160049735A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9702625B2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N109898311B (zh) 干燥机及其控制方法
KR20210106223A (ko) 건조기
CN109898310B (zh) 干燥机及其控制方法
KR20220000276A (ko) 건조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210106224A (ko) 건조기
KR20230095422A (ko) 의류 건조기 및 결빙 방지 구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