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1098B1 - 단층 운동성을 고려한 지진재해도 평가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단층 운동성을 고려한 지진재해도 평가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1098B1
KR102661098B1 KR1020220008999A KR20220008999A KR102661098B1 KR 102661098 B1 KR102661098 B1 KR 102661098B1 KR 1020220008999 A KR1020220008999 A KR 1020220008999A KR 20220008999 A KR20220008999 A KR 20220008999A KR 102661098 B1 KR102661098 B1 KR 1026610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ult
fault plane
plane
mobility
seism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8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12864A (ko
Inventor
권세현
Original Assignee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089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1098B1/ko
Publication of KR202301128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28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10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10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1/00Seismology; Seismic or acoustic prospecting or detecting
    • G01V1/28Processing seismic data, e.g. for interpretation or for event detection
    • G01V1/30Analysis
    • G01V1/301Analysis for determining seismic cross-sections or geostruc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1/00Seismology; Seismic or acoustic prospecting or detecting
    • G01V1/28Processing seismic data, e.g. for interpretation or for event detection
    • G01V1/282Application of seismic models, synthetic seismogra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20/00Geomodelling in gener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2210/00Details of seismic processing or analysis
    • G01V2210/60Analysis
    • G01V2210/64Geostructures, e.g. in 3D data cubes
    • G01V2210/642Faul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2210/00Details of seismic processing or analysis
    • G01V2210/60Analysis
    • G01V2210/66Subsurface mode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phys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층 운동성을 고려한 지진재해도 평가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정보 수신부가 지표지질조사로 측정된 지층 정보를 수신하고, 운동성 판단부가 수신된 지층 정보에서 지층의 균열로 인해 형성된 복수의 균열가지가 가장 높게 형성된 지층을 주 단층면으로 설정하고 설정된 주 단층면을 기준으로 균열가지와 인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부수 단층면의 낙차 여부에 따라 부수 단층면의 운동성을 판단하며, 지진단층면 결정부가 각 부수 단층면의 운동성으로 주 단층면 및 각 부수 단층면에 대한 주향, 경사, 운동성, 조사지점, 및 지리좌표 중 어느 하나의 단층자세를 도출하여 도출된 단층자세로 선형지진원이 발생된 지진단층면을 결정하는 구성으로 과거 지진 단층의 정보를 객관화할 수 있고, 지하 심부에 존재 가능한 단층면에 대하여 제한적인 단층 정보를 명확히 할 수 있으며, 지진 안전성 평가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단층 운동성을 고려한 지진재해도 평가 시스템 및 방법{SEISMIC HAZARD ASSESSMENT SYSTEM AND METHOD CONSIDERING THE KINESTHETIC SENSE OF FAULTS}
본 발명은 단층 운동성을 고려한 지진재해도 평가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경사이동성분 단층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정확한 지진재해도 평가를 할 수 있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지진재해도 평가는 어느 지역 또는 부지에서 발생 가능한 지반운동의 수준을 예상하는 일련의 과정이고, 수행 방법에 따라 결정론적 방법과 확률론적 방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 두가지 방법은 평가 대상 지역의 지진 지반운동 수준을 예측하기 위해 지반운동을 야기하는 지진원 시나리오를 선택하는 방법의 차이에 따라 서로 다르다.
지진원 시나리오는 지진의 규모(M)와 이 지진과 부지까지의 거리(D)로 구성된다. 결정론적 방법은 가능한 시나리오를 최대한 제한하여 얻을 수 있는 최대 지진 지반운동을 선택한다. 확률론적 방법은 제한 없이 가능한 모든 시나리오의 발생률을 계산하고 일정한 수준 이상의 지반운동을 야기할 수 있는 시나리오 발생률을 결합하여 이 지반운동을 초과할 확률을 결정한다.
원자력 발전소는 규모 6.5~7 이상의 지진활동이 빈약한 국내 지질환경에서 지진재해도 평가 시 입력 지진단층의 주향과 경사에 대하여 야외지질조사를 통해 과거에 발생한 지진 단층의 정보를 획득하고 있다.
이때, 지진재해도 평가를 위하여 입력 선형지진원 단층면을 결정하고 있으나 경사이동성분을 갖는 단층의 경우, 지하 심부에서 지표면 근처 혹은 재활하면서 과거 단층면이 저각화되거나 고각화되어 입력 선형지진원을 결정하기에 어려운 문제가 있다.
소규모 부수 단층 혹은 과거 활동한 단층면에 대한 입력 선형지진원의 결정이 요구됨에 따라 주 단층면과 부수 단층면을 분류하고 선형지진원을 결정하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51375호(2012.06.08)
본 발명은, 운동성을 고려하여 단층을 결정함에 따라 지하 심부에 존재하는 단층면의 경계 범위를 명확하게 규정하고, 신규 단층이 단속적으로 발견되는 지역에서 정확한 지진 안정성 평가가 가능한 단층 운동성을 고려한 지진재해도 평가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단층 운동성을 고려한 지진재해도 평가 시스템은 지표지질조사로 측정된 지층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 상기 수신된 지층 정보에서 지층의 균열로 인해 형성된 복수개의 균열가지 중 가장 높은 위치에 존재하는 균열가지의 지층을 주 단층면으로 설정하고 설정된 주 단층면을 기준으로 상기 균열가지와 인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부수 단층면의 낙차 여부에 따라 상기 부수 단층면의 운동성을 판단하는 운동성 판단부; 및 상기 각 부수 단층면의 운동성으로 상기 주 단층면 및 상기 각 부수 단층면에 대한 주향, 경사, 운동성, 조사지점, 및 지리좌표 중 어느 하나의 단층자세를 도출하여 도출된 단층자세로 선형지진원이 발생된 지진단층면을 결정하는 지진단층면 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운동성 판단부는 상기 부수 단층면의 위치가 상기 주 단층면의 위치보다 높으면 상기 부수 단층면을 역이동성 단층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운동성 판단부는 상기 부수 단층면의 위치가 상기 주 단층면의 위치보다 낮으면 상기 부수 단층면을 정이동성 단층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운동성 판단부는 상기 부수 단층면의 위치가 상기 주 단층면의 위치와 동일 선상에 위치하면 주향이동 단층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 단층면 및 부수 단층면에 대하여 도출된 각 단층면의 단층자세 및 결정된 지진단층면으로 지진재해도 평가를 위한 평가 데이터로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단층 운동성을 고려한 지진재해도 평가 방법은 지표지질조사로 측정된 지층 정보가 수신되는 정보 수신 단계; 상기 수신된 지층 정보에서 지층의 균열로 인해 형성된 복수개의 균열가지 중 가장 높은 위치에 존재하는 균열가지의 지층이 주 단층면으로 설정되는 주 단층면 설정 단계; 상기 설정된 주 단층면을 기준으로 상기 균열가지와 인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부수 단층면의 낙차 여부에 따라 상기 부수 단층면의 운동성이 역이동성 단층, 정이동성 단층, 및 주향이동 단층 중 어느 하나로 판단되는 운동성 판단 단계; 상기 각 부수 단층면의 운동성으로 상기 주 단층면 및 상기 각 부수 단층면에 대한 주향, 경사, 운동성, 조사지점, 및 지리좌표 중 어느 하나의 단층자세가 도출되는 단층자세 도출 단계; 상기 도출된 단층자세로 선형지진원이 발생된 지진단층면이 결정되는 지진단층면 결정 단계; 및 상기 주 단층면 및 부수 단층면에 대하여 도출된 각 단층면의 단층자세 및 결정된 지진단층면으로 지진재해도 평가를 위한 평가 데이터로 출력하는 출력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과거 지진 단층의 정보를 객관화할 수 있고, 지하 심부에 존재 가능한 단층면에 대하여 제한적인 단층 정보를 명확히 할 수 있으며, 지진 안전성 평가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진재해도 평가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진재해도 평가 순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지층의 단열가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정이동성 단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역이동성 단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향이동 단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는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진재해도 평가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단층 운동성을 고려한 지진재해도 평가 시스템 및 방법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이해되거나 보다 분명해질 수 있으며, 하기의 기재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진재해도 평가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진재해도 평가 시스템은 정보 수신부(100), 운동성 판단부(300), 및 지진단층면 결정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수신부(100)는 지표지질조사로 측정된 지층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운동성 판단부(300)는 상기 수신된 지층 정보에서 지층(1)의 균열로 인해 형성된 복수개의 균열가지(20) 중 가장 높은 위치에 존재하는 균열가지(20)의 지층(1)을 주 단층면(40)으로 설정하고 설정된 주 단층면(40)을 기준으로 상기 균열가지(20)와 인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부수 단층면(50)의 낙차 여부에 따라 상기 부수 단층면(50)의 운동성을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운동성 판단부(300)는 상기 부수 단층면(50)의 위치가 상기 주 단층면(40)의 위치보다 높으면 상기 부수 단층면(50)을 역이동성 단층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운동성 판단부(300)는 상기 부수 단층면(50)의 위치가 상기 주 단층면(40)의 위치보다 낮으면 상기 부수 단층면(50)을 정이동성 단층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운동성 판단부(300)는 상기 부수 단층면(50)의 위치가 상기 주 단층면(40)의 위치와 동일 선상에 위치하면 주향이동 단층으로 판단할 수 있다.
지진단층면 결정부(500)는 상기 각 부수 단층면(50)의 운동성으로 상기 주 단층면(40) 및 상기 각 부수 단층면(50)에 대한 주향, 경사, 운동성, 조사지점, 및 지리좌표 중 어느 하나의 단층자세를 도출하여 도출된 단층자세로 선형지진원이 발생된 지진단층면(10)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주 단층면(40) 및 부수 단층면(50)에 대하여 도출된 각 단층면의 단층 자세 및 결정된 지진단층면(10)으로 지진재해도 평가를 위한 평가 데이터로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진재해도 평가 순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진재해도 평가 순서는 위상기하 분석법을 통해 주 단층면(40)을 결정하고, 결정된 주 단층면(40)을 기준으로 단층 상반 또는 단층 하반에 상대적인 낙차가 존재하는지 낙차 존재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부수 단층면은 주 단층면을 기준으로 인접하는 단층을 부수 단층면으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각 단층면의 운동성은 각 지층(1) 또는 부수 단층면(50)이 주 단층면(40)을 기준으로 단층 상반이 주 단층면(40)보다 상승이면 역이동성 단층으로 판단하고, 단층 상반 또는 부수 단층면(50)이 주 단층면(40)보다 하강이면 정이동성 단층으로 판단하고, 단층 상반 또는 부수 단층면(50)이 주 단층면(40)과 동일 선상에 위치하면 주향이동 단층으로 판단할 수 있다.
운동성이 판단된 부수 단층면(50)을 역이동성 단층, 정이동성 단층, 및 주향이동 단층으로 분류하고 분류된 주 단층면(40) 및 부수 단층면(50)에 대하여 주향, 경사, 운동성, 조사지점, 및 지리좌표 중 적어도 하나의 단층자세를 도출할 수 있다.
도출된 단층자세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를 연계하여 지진재해도 계산 입력자료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저장된 단층자세 데이터와 유사한 지리적 위치나 운동성을 갖는 단층자세 데이터는 유사성 여부를 판단하고, 유사하다고 판단되면 부수 단층으로 분류하여 단층 하반 또는 단층 상반의 단열 측정 자료로 스크린 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지층의 단열가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지층(1)의 균열가지(20)는 오랜 기간에 걸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지층(1)에 지진으로 인한 균열이 발생할 수 있다. 지진단층면(10)은 과거 지진이 발생한 지층(1)일 수 있고, 지진단층면(10)에서 발생한 지진으로부터 형성된 균열가지(20)로 인해 각 지층(1)이 이동하여 여러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이때, 지진단층면(10)은 마지막 균열지점(30)의 지층으로부터 결정된 주 단층면(40) 및 주 단층면(40)을 기준으로 각 부수 단층면(50)의 단층자세를 기반으로 하여 과거 지진이 발생한 지진단층면(10)이 설정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정이동성 단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정이동성 단층은 지진 활동으로 인해 균열이 발생된 각 지층(1)이 균열가지(20)를 기준으로 서로 바깥 방향으로 이동하여 정이동성 단층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정이동성 단층은 주 단층면(40)을 기준으로 부수 단층면(50)이 낮게 형성된 형태의 지층(1)일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역이동성 단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역이동성 단층은 지진 활동으로 인해 균열이 발생된 각 지층(1)이 균열가지(20)를 기준으로 서로 안쪽 방향으로 이동하여 역이동성 단층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역이동성 단층은 주 단층면(40)을 기준으로 부수 단층면(50)이 높게 형성된 형태의 지층(1)일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향이동 단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향이동 단층은 각 지층(1)이 지진 활동으로 인해 균열이 발생되었으나, 각 지층(1)의 이동성이 오랜 기간동안 동일 방향 또는 미약한 힘으로 인해 주 단층면(40)과 부수 단층면(50)의 이동성이 낮아 주 단층면(40)과 부수 단층면(50)의 차이가 미미하게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원자력발전소 부지 인근에서 신규 단층이 단속적으로 발견될 경우, 원전 부지 지진안전성 평가를 위한 반복적인 지진재해도 입력 단층면 자세 결정 절차를 간소화하고 신속하게 대응하여 원자력발전소의 안정적인 운영에 기여할 수 있다.
도 7는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진재해도 평가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진재해도 평가 방법은 정보 수신 단계(S100), 주 단층면 설정 단계(S200), 운동성 판단 단계(S300), 단층 자세 도출 단계(S400), 지진단층면 결정 단계(S500), 및 출력 단계(S600)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수신 단계(S100)는 지표지질조사로 측정된 지층 정보가 수신될 수 있다.
주 단층면 설정 단계(S200)는 상기 수신된 지층 정보에서 지층(1)의 균열로 인해 형성된 복수개의 균열가지(20) 중 가장 높은 위치에 존재하는 균열가지(20)의 지층(1)이 주 단층면(40)으로 설정될 수 있다.
운동성 판단 단계(S300)는 상기 설정된 주 단층면(40)을 기준으로 상기 균열가지(20)와 인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부수 단층면(50)의 낙차 여부에 따라 상기 부수 단층면(50)의 운동성이 역이동성 단층, 정이동성 단층, 및 주향이동 단층 중 어느 하나로 판단될 수 있다.
단층 자세 도출 단계(S400)는 상기 각 부수 단층면(50)의 운동성으로 상기 주 단층면(40) 및 각 부수 단층면(50)에 대한 주향, 경사, 운동성, 조사지점, 및 지리좌표 중 어느 하나의 단층자세가 도출될 수 있다.
지진단층면 결정 단계(S500)는 상기 도출된 단층자세로 선형지진원이 발생된 지진단층면(10)이 결정될 수 있다.
출력 단계(S600)는 상기 주 단층면(40) 및 부수 단층면(50)에 대하여 도출된 각 단층면의 단층자세 및 결정된 지진단층면(10)으로 지진재해도 평가를 위한 평가 데이터로 출력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100: 정보 수신부 300: 운동성 판단부
500: 지진단층면 결정부
10: 지진단층면 20: 균열가지
30: 마지막 균열지점 40: 주 단층면
50: 부수 단층면
1: 지층

Claims (6)

  1. 지진재해도 평가 시 입력 선형지진원의 단층면을 결정하는 단층 운동성을 고려한 지진재해도 평가 시스템에 있어서,
    지표지질조사로 측정된 지층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
    상기 수신된 지층 정보에서 지층의 균열로 인해 형성된 복수개의 균열가지 중 가장 높은 위치에 존재하는 균열가지의 지층을 주 단층면으로 설정하고 설정된 주 단층면을 기준으로 상기 균열가지와 인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부수 단층면의 낙차 여부에 따라 상기 부수 단층면의 운동성을 판단하는 운동성 판단부; 및
    상기 각 부수 단층면의 운동성으로 상기 주 단층면 및 상기 각 부수 단층면에 대한 주향, 경사, 운동성, 조사지점, 및 지리좌표 중 어느 하나의 단층자세를 도출하여 도출된 단층자세로 선형지진원이 발생된 지진단층면을 결정하는 지진단층면 결정부를 포함하는 단층 운동성을 고려한 지진재해도 평가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성 판단부는 상기 부수 단층면의 위치가 상기 주 단층면의 위치보다 높으면 상기 부수 단층면을 역이동성 단층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층 운동성을 고려한 지진재해도 평가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성 판단부는 상기 부수 단층면의 위치가 상기 주 단층면의 위치보다 낮으면 상기 부수 단층면을 정이동성 단층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층 운동성을 고려한 지진재해도 평가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성 판단부는 상기 부수 단층면의 위치가 상기 주 단층면의 위치와 동일 선상에 위치하면 주향이동 단층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층 운동성을 고려한 지진재해도 평가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 단층면 및 부수 단층면에 대하여 도출된 각 단층면의 단층자세 및 결정된 지진단층면으로 지진재해도 평가를 위한 평가 데이터로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단층 운동성을 고려한 지진재해도 평가 시스템.
  6. 제1항의 단층 운동성을 고려한 지진재해도 평가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단층 운동성을 고려한 지진재해도 평가 방법에 있어서,
    지표지질조사로 측정된 지층 정보가 수신되는 정보 수신 단계;
    상기 수신된 지층 정보에서 지층의 균열로 인해 형성된 복수개의 균열가지 중 가장 높은 위치에 존재하는 균열가지의 지층이 주 단층면으로 설정되는 주 단층면 설정 단계;
    상기 설정된 주 단층면을 기준으로 상기 균열가지와 인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부수 단층면의 낙차 여부에 따라 상기 부수 단층면의 운동성이 역이동성 단층, 정이동성 단층, 및 주향이동 단층 중 어느 하나로 판단되는 운동성 판단 단계;
    상기 각 부수 단층면의 운동성으로 상기 주 단층면 및 상기 각 부수 단층면에 대한 주향, 경사, 운동성, 조사지점, 및 지리좌표 중 어느 하나의 단층자세가 도출되는 단층자세 도출 단계;
    상기 도출된 단층자세로 선형지진원이 발생된 지진단층면이 결정되는 지진단층면 결정 단계; 및
    상기 주 단층면 및 부수 단층면에 대하여 도출된 각 단층면의 단층자세 및 결정된 지진단층면으로 지진재해도 평가를 위한 평가 데이터로 출력하는 출력 단계를 포함하는 단층 운동성을 고려한 지진재해도 평가 방법.
KR1020220008999A 2022-01-21 2022-01-21 단층 운동성을 고려한 지진재해도 평가 시스템 및 방법 KR1026610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8999A KR102661098B1 (ko) 2022-01-21 2022-01-21 단층 운동성을 고려한 지진재해도 평가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8999A KR102661098B1 (ko) 2022-01-21 2022-01-21 단층 운동성을 고려한 지진재해도 평가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2864A KR20230112864A (ko) 2023-07-28
KR102661098B1 true KR102661098B1 (ko) 2024-04-26

Family

ID=87427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8999A KR102661098B1 (ko) 2022-01-21 2022-01-21 단층 운동성을 고려한 지진재해도 평가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109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8348A (ja) 2000-11-06 2002-05-22 Taisei Corp 地震危険度評価システム
JP2002168964A (ja) 2000-11-30 2002-06-14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地震動の強さ推定方法、その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3287574A (ja) 2002-03-28 2003-10-10 System Soft Corp 地震被害予測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1375B1 (ko) 2010-05-19 2012-06-08 (주)브니엘컨설턴트 대단면 기초 지질조사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8348A (ja) 2000-11-06 2002-05-22 Taisei Corp 地震危険度評価システム
JP2002168964A (ja) 2000-11-30 2002-06-14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地震動の強さ推定方法、その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3287574A (ja) 2002-03-28 2003-10-10 System Soft Corp 地震被害予測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2864A (ko) 2023-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87520C1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оценки возникновения опасности высокоэнергетических толчков, вызываемых подземной разработкой
Vilanova et al. Probabilistic seismic-hazard assessment for Portugal
Allstadt et al. Improving near‐real‐time coseismic landslide models: Lessons learned from the 2016 Kaikōura, New Zealand, earthquake
Petersen et al. Probabilistic seismic hazard analysis for Sumatra, Indonesia and across the Southern Malaysian Peninsula
Muzli et al. The 2016 M w 6.5 Pidie Jaya, Aceh, North Sumatra, earthquake: reactivation of an unidentified sinistral fault in a region of distributed deformation
Papathanassiou et al. Assessment of liquefaction potential for two liquefaction prone areas considering the May 20, 2012 Emilia (Italy) earthquake
CN103339627B (zh) 评估表面数据
Faccioli et al. Evaluation of probabilistic site‐specific seismic‐hazard methods and associated uncertainties, with applications in the Po Plain, northern Italy
Picozzi et al. Exploring the feasibility of a nationwide earthquake early warning system in Italy
Leonard et al. The challenges of probabilistic seismic‐hazard assessment in stable continental interiors: An Australian example
Chousianitis et al. Regional ground‐motion prediction equations for amplitude‐, frequency response‐, and duration‐based parameters for G reece
Shen et al. Predicting liquefaction probability based on shear wave velocity: an update
Yoon et al. Equatorial plasma bubble threat parameterization to support GBAS operations in the Brazilian region
Megawati et al. Response spectral attenuation relationships for Sumatran-subduction earthquakes and the seismic hazard implications to Singapore and Kuala Lumpur
Chang et al. Comparison of SPT-N-based analysis methods in evaluation of liquefaction potential during the 1999 Chi-chi earthquake in Taiwan
Foumelis et al. On rapid multidisciplinary response aspects for Samos 2020 M7. 0 earthquake
Bashir et al. Revisiting probabilistic seismic hazard analysis of Gujarat: an assessment of Indian design spectra
Xie et al. Rupture directivity effects on strong ground motion during the 15 April 2016 M W 7.0 Kumamoto earthquake in Japan
De Guidi et al. Brief communication: Co-seismic displacement on 26 and 30 October 2016 (Mw= 5.9 and 6.5)–earthquakes in central Italy from the analysis of a local GNSS network
Rowshandel Incorporating source rupture characteristics into ground-motion hazard analysis models
KR102661098B1 (ko) 단층 운동성을 고려한 지진재해도 평가 시스템 및 방법
Böse et al. Near real‐time earthquake line‐source models derived from felt reports
Mariniere et al. Earthquake recurrence model for the Colombia–Ecuador subduction zone constrained from seismic and geodetic data, implication for PSHA
Taruna et al. Peak ground acceleration at surface for Mataram city with a return period of 2500 years using probabilistic method
KR20160053652A (ko) 급경사지 현장조사 전자 야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