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1067B1 -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performing evaluation of driving fitness using dummy device - Google Patents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performing evaluation of driving fitness using dumm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1067B1
KR102661067B1 KR1020210142840A KR20210142840A KR102661067B1 KR 102661067 B1 KR102661067 B1 KR 102661067B1 KR 1020210142840 A KR1020210142840 A KR 1020210142840A KR 20210142840 A KR20210142840 A KR 20210142840A KR 102661067 B1 KR102661067 B1 KR 1026610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driving
dummy
appearance
d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28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058955A (en
Inventor
이은규
Original Assignee
(주)네오정보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네오정보시스템 filed Critical (주)네오정보시스템
Priority to KR1020210142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1067B1/en
Publication of KR20230058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895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1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106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6Anti-collision systems
    • G08G1/161Decentralised systems, e.g. inter-vehicle communication
    • G08G1/163Decentralised systems, e.g. inter-vehicle communication involving continuous check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04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 G08G1/0108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based on the source of data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더미 돌발 장치를 이용하여 운전 적합성 평가를 수행하는 운전 평가 시스템은 운전자가 탑승한 차량이 시험장 내 주행하면서 생성되는 주행 데이터를 수집하는 수집부, 주행 데이터에 기초하여 시험장 내에 설치된 더미 돌발 장치의 출현 시점을 결정하는 출현 시점 결정부, 결정된 출현 시점에 기초하여 더미 돌발 장치로 출현 신호를 전송하는 전송부 및 출현 신호에 기초하여 더미 돌발 장치가 출현된 상황에서 차량으로부터 생성된 주행 데이터에 기초하여 운전자에 대한 운전 적합성 평가를 수행하는 운전 평가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riving evaluation system that performs driving suitability evaluation using a dummy crash device includes a collection unit that collects driving data generated while the vehicle with the driver in it drives within the test site, and the appearance point of the dummy crash device installed in the test site based on the driving data. an appearance time determination unit that determines the appearance time, a transmission unit that transmits an appearance signal to the dummy unexpected device based on the determined appearance time, and a driver based on driving data generated from the vehicle in a situation where a dummy unexpected device appears based on the appearance signal. It may include a driving evaluation unit that performs a driving suitability evaluation.

Description

더미 돌발 장치를 이용한 운전적합성 평가 시스템 및 방법{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PERFORMING EVALUATION OF DRIVING FITNESS USING DUMMY DEVICE}Driving suitability evalu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a dummy thrust device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PERFORMING EVALUATION OF DRIVING FITNESS USING DUMMY DEVICE}

본 발명은 고령자의 신체적 저하가 운전에 미치는 영향을 정밀평가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더미 돌발장치를 이용하여 더미 돌발 출현시 운전자가 더미돌발을 인지하고 차량을 제동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분석함에 있어 차량의 속도에 따른 데이터 왜곡을 최소화 하기 위해 차량의 속도와 연계하여 더미 돌발장치의 출현시점을 결정하고 이를 통해 고령 운전자의 운전 적합성을 자동으로 분석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ology for precisely evaluating the effect of physical decline in elderly people on driving.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dummy unexpected device to analyze the time it takes for the driver to recognize the dummy unexpected and brake the vehicle when a dummy unexpected appears, in order to minimize data distortion depending on the vehicle's speed. It is about a technology that determines the time of appearance of a dummy accident device and automatically analyzes the driving suitability of elderly drivers through this.

기존의 운전면허시험은 운전을 위한 최소의 지식과 법규준수 능력, 차량조작 및 조향능력 등을 평가하기 위한 것으로 운전을 하기 위한 최소한의 기준 이상의 능력을 보유하고 있는지를 평가하는 것이다. The existing driver's license test is designed to evaluate the minimum knowledge for driving, ability to comply with laws, and ability to operate and steer a vehicle. It evaluates whether the driver has the ability to exceed the minimum standard for driving.

운전면허시험은 필기시험, 장내기능시험, 도로주행시험으로 구성되어 있다. 운전면허시험은 필기시험, 장내기능시험, 도로주행시험 순으로 진행되며, 각 시험에 모두 합격되어야 합격증이 발급된다. The driver's license test consists of a written test, intestinal function test, and road driving test. The driver's license test is conducted in the following order: written test, intestinal function test, and road driving test. A passing certificate is issued only when all tests are passed.

이 중에서 장내기능시험은 운전면허시험장에 실제 도로와 유사한 환경의 지형물을 설치하여 수험생의 운전능력을 평가하는 것으로 장내기능시험의 채점 방식은 기결정된 기준 평가값 이상이면 합격으로 처리한다.Among these, the internal function test evaluates the test taker's driving ability by installing a terrain feature similar to an actual road at the driver's license test site. The scoring method of the internal function test is that if it is higher than a predetermined standard evaluation value, it is processed as passing.

운전면허증을 소지한 고령 운전자의 경우, 기존의 장내기능시험에 따른 평가 구조(즉, 기결정된 기준 평가값에 의해 합격 및 불합격을 판정하는 구조)로는 신체 저하로 인한 운전적합성을 정밀하게 평가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In the case of elderly drivers holding a driver's license, the evaluation structure based on the existing intestinal function test (i.e., a structure that determines pass or fail based on predetermined standard evaluation values) cannot accurately evaluate driving suitability due to physical decline. there is a problem.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21-033742호 (2021.03.01. 공개)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21-033742 (published on March 1, 2021)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더미 돌발 장치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운전 적합성 평가를 수행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운전자의 주행 데이터에 기초하여 시험장 내에 설치된 더미 도발 장치의 출현 시점을 결정하고, 결정된 출현 시점에 기초하여 더미 돌발 장치를 출현시킴으로써 운전자의 주행 데이터에 따른 운전자의 운전 적합성 평가를 수행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is intended to evaluate the driver's driving suitability using a dummy crash devic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the appearance time of a dummy provocation device installed in the test site based on the driver's driving data, and makes the dummy provocation device appear based on the determined appearance time to evaluate the driver's driving suitability according to the driver's driving data. I want to perform it.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However, the technical challenges that this embodiment aims to achieve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challenges described above, and other technical challenges may exist.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더미 돌발 장치를 이용하여 운전 적합성 평가를 수행하는 운전 평가 시스템은 운전자가 탑승한 차량이 시험장 내 주행하면서 생성되는 주행 데이터를 수집하는 수집부; 상기 주행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시험장 내에 설치된 상기 더미 돌발 장치의 출현 시점을 결정하는 출현 시점 결정부; 상기 결정된 출현 시점에 기초하여 상기 더미 돌발 장치로 출현 신호를 전송하는 전송부; 및 상기 출현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더미 돌발 장치가 출현된 상황에서 상기 차량으로부터 생성된 주행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운전자에 대한 운전 적합성 평가를 수행하는 운전 평가부를 포함할 수 있다. 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problem, the driving evaluation system that performs driving suitability evaluation using a dummy crash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driving data generated while the vehicle in which the driver is riding is driving within the test site. a collection unit that collects; an appearance timing determination unit that determines an appearance timing of the dummy explosion device installed in the test site based on the driving data; a transmission unit that transmits an appearance signal to the dummy unexpected device based on the determined appearance time; and a driving evaluation unit that performs a driving suitability evaluation on the driver based on driving data generated from the vehicle in a situation where the dummy unexpected device appears based on the appearance signal.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더미 돌발 장치를 이용하여 운전 적합성 평가를 수행하는 운전 평가 방법은 운전자가 탑승한 차량이 시험장 내 주행하면서 생성되는 주행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주행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시험장 내에 설치된 상기 더미 돌발 장치의 출현 시점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출현 시점에 기초하여 상기 더미 돌발 장치로 출현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출현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더미 돌발 장치가 출현된 상황에서 상기 차량으로부터 생성된 주행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운전자에 대한 운전 적합성 평가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 driving evaluation method for evaluating driving suitability using a dummy crash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collecting driving data generated while a vehicle with a driver in it is driving within a test site; determining an appearance point of the dummy explosion device installed in the test site based on the driving data; transmitting an appearance signal to the dummy unexpected device based on the determined appearance time; and performing a driving suitability evaluation on the driver based on driving data generated from the vehicle in a situation where the dummy unexpected device appears based on the appearance signal.

본 발명의 제 3 측면에 따른 더미 돌발 장치를 이용하여 운전 적합성 평가를 수행하는 명령어들의 시퀀스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될 경우, 운전자가 탑승한 차량이 시험장 내 주행하면서 생성되는 주행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주행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시험장 내에 설치된 상기 더미 돌발 장치의 출현 시점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출현 시점에 기초하여 상기 더미 돌발 장치로 출현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출현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더미 돌발 장치가 출현된 상황에서 상기 차량으로부터 생성된 주행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운전자에 대한 운전 적합성 평가를 수행하는 명령어들의 시퀀스를 포함할 수 있다. 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ontaining a sequence of instructions for performing a driving suitability evaluation using a dummy sudden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when executed by a computing device, a vehicle in which a driver is riding at a test site. Collects driving data generated while driving, determines the appearance time of the dummy unexpected device installed in the test site based on the driving data, and transmits an appearance signal to the dummy unexpected device based on the determined appearance time, It may include a sequence of commands for performing a driving suitability evaluation on the driver based on driving data generated from the vehicle in a situation where the dummy unexpected device appears based on the appearance signal.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 are merely illustrative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re may be additional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drawing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은 운전자의 주행 데이터에 기초하여 시험장 내에 설치된 더미 돌발 장치의 출현 시점을 결정하고, 결정된 출현 시점에 기초하여 더미 돌발 장치를 출현시킴으로써 운전자의 주행 데이터에 따른 운전자의 운전 적합성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of the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the appearance time of the dummy sudden device installed in the test site based on the driver's driving data, and makes the dummy unexpected device appear based on the determined appearance time, thereby preventing the driver The driver's driving suitability can be evaluated based on driving data.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운전자가 고령 운전자인 경우라도 고령화로 인한 신체적 능력 저하에 따라 운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할 수 있고, 이에 따른 고령 운전자에 대한 운전 적합성을 정밀 평가할 수 있다. Through this, the present invention can analyze the impact on driving due to decline in physical ability due to aging even if the driver is an elderly driver, and can precisely evaluate the driving suitability of the elderly driver accordingl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 적합성 평가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운전 평가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주행 코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미 출현 구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 내지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의 운전 적합성 평가에 따른 운전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 적합성 평가를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driving suitability evalu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of the driving evaluation system shown in Figur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a plurality of driving cours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dummy appearance s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to 5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method of providing driv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valuation of a driver's driving suitab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performing a driving suitability evalu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un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given similar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where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 between. . Additionally,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In this specification, 'part' includes a unit realized by hardware, a unit realized by software, and a unit realized using both. Additionally, one unit may be realized using two or more pieces of hardware, and two or more units may be realized using one piece of hardware.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In this specification, 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as being performed by a terminal or device may instead be performed on a server connected to the terminal or device. Likewise, 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as being performed by the server may also be performed on a terminal or device connected to the server.

이하, 첨부된 구성도 또는 처리 흐름도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specific details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configuration diagram or processing flow diagram.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 적합성 평가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driving suitability evalu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운전 적합성 평가 시스템은 운전 평가 시스템(100), 차량(110) 및 더미 돌발 장치(12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운전 적합성 평가 시스템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해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1과 다르게 구성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1 , the driving suitability evaluation system may include a driving evaluation system 100, a vehicle 110, and a dummy crash device 120. However, since the driving suitability evaluation system of FIG. 1 is only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FIG. 1, and may be configured differently from FIG. 1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

운전 평가 시스템(100)은 운전자가 탑승한 차량(110)이 시험장 내 주행하면서 생성되는 차량(110)의 주행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The driving evaluation system 100 may collect driving data of the vehicle 110 generated while the vehicle 110 with the driver in it is driving within the test site.

운전 평가 시스템(100)은 차량(110)의 주행 데이터에 기초하여 시험장 내에 설치된 더미 돌발 장치(120)의 출현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The driving evaluation system 100 may determine the appearance point of the dummy explosion device 120 installed in the test site based on the driving data of the vehicle 110.

운전 평가 시스템(100)은 차량(110)의 주행 데이터로부터 도출된 차량(110)의 위치 및 더미 돌발 장치(120)의 위치 간의 거리와, 도출된 차량(110)의 속도에 기초하여 더미 돌발 장치(120)의 출현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The driving evaluation system 100 is based on the distance between the position of the vehicle 110 and the position of the dummy abrupt device 120 derived from the driving data of the vehicle 110, and the derived speed of the vehicle 110. The appearance point of (120) can be determined.

운전 평가 시스템(100)은 결정된 더미 돌발 장치(120)의 출현 시점에 기초하여 더미 돌발 장치(120)에게 출현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The driving evaluation system 100 may transmit an appearance signal to the dummy unexpected device 120 based on the determined appearance time of the dummy unexpected device 120.

더미 돌발 장치(120)는 운전 평가 시스템(100)로부터 수신된 출현 신호에 기초하여 시험장 내 기지정된 더미 출현 구간에서 출현할 수 있다. 이러한 더미 돌발 장치(120)는 출현 돌발 상황에서의 운전자의 인지, 반응 및 조작 평가를 위한 장치이다. The dummy explosion device 120 may appear in a predetermined dummy appearance section within the test site based on the appearance signal received from the driving evaluation system 100. This dummy emergency device 120 is a device for evaluating the driver's perception, reaction, and operation in an emergency situation.

더미 돌발 장치(120)가 출현하면, 운전자는 더미 돌발 장치(120)의 출현을 인지하고 빠르게 브레이크를 작동시킨다. 이 때, 운전 평가 시스템(100)은 운전자가 더미 돌발 장치(120)와 충돌하지 않고 얼마나 빨리 차량(110)을 안전하게 멈추는지를 평가할 수 있다. When the dummy sudden device 120 appears, the driver recognizes the appearance of the dummy unexpected device 120 and quickly applies the brakes. At this time, the driving evaluation system 100 can evaluate how quickly the driver safely stops the vehicle 110 without colliding with the dummy crash device 120.

운전 평가 시스템(100)은 더미 돌발 장치(120)의 출현 신호에 기초하여 더미 돌발 장치(120)가 출현된 상황에서 차량(110)으로부터 생성된 주행 데이터에 기초하여 운전자에 대한 운전 적합성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The driving evaluation system 100 performs a driving suitability evaluation on the driver based on the driving data generated from the vehicle 110 in a situation where the dummy unexpected device 120 appears based on the appearance signal of the dummy unexpected device 120. can do.

이하에서는 도 1의 운전 적합성 평가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의 동작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of the driving suitability evaluation system of FIG. 1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운전 평가 시스템(100)의 블록도이다. Figure 2 is a block diagram of the driving evaluation system 100 shown in Figur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운전 평가 시스템(100)은 수집부(200), 운전 적합성 지수 산출부(210), 출현 시점 결정부(220), 전송부(230), 운전 평가부(240), 운전 정보 제공부(250) 및 충돌 예방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2에 도시된 운전 평가 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 예에 불과하며,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을 기초로 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2, the driving evaluation system 100 includes a collection unit 200, a driving suitability index calculation unit 210, an appearance timing determination unit 220, a transmission unit 230, a driving evaluation unit 240, and a driving evaluation unit 240. It may include an information provision unit 250 and a collision prevention unit 260. However, the driving evaluation system 100 shown in FIG. 2 is only one implementatio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based on the components shown in FIG. 2.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5b를 함께 참조하여 도 2를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FIG. 2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5B.

본 발명은 고령화에 따른 전반적인 신체적 저하(동체시력 저하, 인지반응 시간 증대, 순발력 및 제동력 부족 등)가 실제 운전에 미치는 영향이나 위험도에 분석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seeks to analyze the impact or risk of overall physical decline due to aging (deterioration of visual acuity, increased cognitive reaction time, lack of agility and braking power, etc.) on actual driving.

운전자가 차량을 운전하면서 고령화에 따른 신체적 기능저하가 운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수집부(200)는 나이별로 모집된 일반 운전자 실험군 및 고령 운전자 실험군 각각의 실험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실험 데이터는 시험장 내 더미 돌발 장치(120)가 출현하는 코스와 관련된 주행 데이터로부터 도출될 수 있다. 실험 데이터는 동일한 조건에서의 더미돌발 상황에 따른 운전자의 인지반응시간, 공주시간, 제동시간 등을 도출하기 위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인지반응시간은 운전자가 더미 돌발 장치(120)의 출현 시점으로부터 차량의 브레이크를 밟는 시점까지의 소요시간을 의미하고, 공주시간은 운전자가 차량의 브레이크를 밟는 시점으로부터 해당 차량이 완전히 정지할 때까지의 소요시간을 의미하고, 제동 시간은 인지반응시간 및 공주시간의 합을 의미한다. In order to analyze the impact of physical function decline due to aging on driving while the driver is driving the vehicle, the collection unit 200 may collect experimental data from each of the general driver experimental group and the elderly driver experimental group recruited by age. Here, the experimental data may be derived from driving data related to the course where the dummy explosive device 120 appears in the test site. The experimental data may include data for deriving the driver's cognitive reaction time, idle time, braking time, etc. according to the pile accident situation under the same conditions. Here, the cognitive reaction time refers to the time required from the appearance of the dummy sudden device 120 to the time the driver applies the brakes of the vehicle, and the idle time refers to the time required for the vehicle to completely stop from the time the driver applies the brakes of the vehicle. It refers to the time required to stop, and braking time refers to the sum of cognitive reaction time and idle time.

운전 적합성 지수 산출부(210)는 일반 운전자 실험군의 실험 데이터에 대한 표준분포(예컨대, 일반 운전자 실험군의 인지반응시간, 공주시간 및 제동시간 각각에 대한 표준분포)를 도출하고, 고령 운전자 실험군의 실험 데이터에 대한 표준분포(예컨대, 고령 운전자 실험군의 인지반응시간, 공주시간 및 제동시간 각각에 대한 표준분포)를 도출할 수 있다. The driving suitability index calculation unit 210 derives a standard distribution (e.g., a standard distribution for each of the cognitive reaction time, idle time, and braking time of the general driver experimental group) for the experimental data of the general driver experimental group, and the experimental data of the elderly driver experimental group. A standard distribution for the data (e.g., a standard distribution for each of the cognitive reaction time, idle time, and braking time of the elderly driver experimental group) can be derived.

운전 적합성 지수 산출부(210)는 일반 운전자 실험군의 실험 데이터에 대한 표준분포 및 고령 운전자 실험군의 실험 데이터에 대한 표준분포를 비교하여 차이값을 도출하고, 차이값에 기초하여 고령운전자 및 일반운전자 간의 운전 적합성 평가 지표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The driving suitability index calculation unit 210 compares the standard distribution for the experimental data of the general driver experimental group and the standard distribution for the experimental data of the elderly driver experimental group to derive a difference value, and calculat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elderly driver and the general driver based on the difference value. Driving suitability evaluation index information can be derived.

예를 들어, 운전 적합성 지수 산출부(210)는 일반 운전자 실험군의 인지반응시간에 대한 표준분포 및 고령 운전자 실험군의 인지반응시간에 대한 표준분포를 비교하여 제 1 차이값을 도출하고, 제 1 차이값에 기초하여 인지반응시간에 대한 고령운전자 및 일반운전자 간의 제 1 운전 적합성 평가 지표 정보(예컨대, 고령운전자일수록 일지반응시간이 일반운전자에 비해 길다.)를 도출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driving suitability index calculation unit 210 compares the standard distribution for the cognitive reaction time of the general driver experimental group and the standard distribution for the cognitive reaction time of the elderly driver experimental group to derive the first difference value, and the first difference Based on the value, the first driving suitability evaluation index information between older drivers and regular drivers regarding cognitive reaction time (for example, older drivers have longer daily reaction times than regular drivers) can be derived.

예를 들어, 운전 적합성 지수 산출부(210)는 일반 운전자 실험군의 공주시간에 대한 표준분포 및 고령 운전자 실험군의 공주시간에 대한 표준분포를 비교하여 제 2 차이값을 도출하고, 제 2 차이값에 기초하여 공주시간에 대한 고령운전자 및 일반운전자 간의 제 2 운전 적합성 평가 지표 정보(예컨대, 고령운전자일수록 공주시간이 일반운전자에 비해 길다.)를 도출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driving suitability index calculation unit 210 derives a second difference value by comparing the standard distribution for the idle time of the general driver experimental group and the standard distribution for the idle time of the elderly driver experimental group, and adds Based on this, the second driving suitability evaluation index information between older drivers and regular drivers regarding idle time (for example, older drivers have longer idle times than regular drivers) can be derived.

예를 들어, 운전 적합성 지수 산출부(210)는 일반 운전자 실험군의 제동시간에 대한 표준분포 및 고령 운전자 실험군의 제동시간에 대한 표준분포를 비교하여 제 3 차이값을 도출하고, 제 3 차이값에 기초하여 제동시간에 대한 고령운전자 및 일반운전자 간의 제 3 운전 적합성 평가 지표 정보(예컨대, 고령운전자일수록 제동시간이 일반운전자에 비해 길다.)를 도출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driving suitability index calculation unit 210 compares the standard distribution for the braking time of the general driver experimental group and the standard distribution for the braking time of the elderly driver experimental group to derive a third difference value, and adds the third difference value to the third difference value. Based on this, the third driving suitability evaluation index information between older drivers and regular drivers regarding braking time (for example, older drivers have longer braking times than regular drivers) can be derived.

수집부(200)는 실제 운전자가 탑승한 차량(110)이 시험장 내 주행하면서 생성되는 주행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The collection unit 200 may collect driving data generated while the vehicle 110 with the actual driver on board drives within the test site.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수집부(200)는 시험장 내 존재하는 복수의 주행 코스(301, 303, 305, 307, 309, 311, 313)를 주행하는 운전자의 차량(110)에 대한 주행 데이터를 차량(110)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집할 수 있다.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3, the collection unit 200 collects information about the driver's vehicle 110 driving on a plurality of driving courses (301, 303, 305, 307, 309, 311, 313) existing in the test site. Driving data can be collected from the vehicle 110 in real time.

예를 들어, 시험장 내 복수의 주행 코스(301, 303, 305, 307, 309, 311, 313) 중 운전자가 탑승한 차량(110)의 위치를 기초로 결정된 주행 코스에서 차량(110)이 주행하는 경우, 수집부(200)는 결정된 주행 코스를 주행하는 차량(110)에 대한 주행 데이터를 차량(110)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집할 수 있다. For example, among a plurality of driving courses (301, 303, 305, 307, 309, 311, 313) in the test site, the vehicle 110 is driven on a driving course determined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vehicle 110 in which the driver rides. In this case, the collection unit 200 may collect driving data for the vehicle 110 driving the determined driving course in real time from the vehicle 110 .

예를 들어, 더미 출현 코스(313)에서 출현하는 더미 돌발 장치(120)에 대한 운전자의 상황인지 및 대처능력 등을 평가하기 위해, 수집부(200)는 더미 출현 코스(313)에서 주행하는 운전자의 차량(110)에 대한 주행 데이터를 차량(110)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집할 수 있다. For example, in order to evaluate the driver's situational awareness and response ability to the dummy unexpected device 120 that appears in the dummy appearance course 313, the collection unit 200 detects the driver driving in the dummy appearance course 313. Driving data for the vehicle 110 can be collected in real time from the vehicle 110.

출현 시점 결정부(220)는 차량(110)의 주행 데이터에 기초하여 차량(110)의 위치 및 속도를 도출할 수 있다. The appearance time determination unit 220 may derive the location and speed of the vehicle 110 based on the driving data of the vehicle 110.

출현 시점 결정부(220)는 도출된 차량(110)의 위치 및 더미 돌발 장치(120)의 위치 간의 거리를 도출할 수 있다. 여기서, 더미 돌발 장치(120)는 도 3을 참조하면, 시험장 내 더미 출현 코스(313)의 기지정된 위치에서 출현되는 교통 장애물이다. The appearance point determination unit 220 may derive the distance between the derived location of the vehicle 110 and the location of the dummy explosion device 120. Here, referring to FIG. 3, the dummy unexpected device 120 is a traffic obstacle that appears at a predetermined location on the dummy appearance course 313 within the test site.

한편, 더미 돌발 장치(120)의 출현 시점을 차량(110)의 속도와 상관없이 기설정된 시점에 일정하게 출현시킨다고 가정하면, 운전자의 차량(110)이 저속 주행일 경우 더미 돌발 장치(120)의 출현에 대하여 운전자가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는 반면, 차량(110)이 고속 주행일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운전자의 대응이 어렵기 때문에 더미 돌발 장치(120)의 출현 돌발 상황에서의 운전자의 인지, 반응 및 조작 평가에 대한 신뢰성을 잃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차량(110)의 위치 및 더미 돌발 장치(120)의 위치 간의 거리와, 차량(110)의 속도에 기초하여 더미 돌발 장치(120)의 출현 시점을 가변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suming that the appearance time of the dummy sudden device 120 is constant at a preset time regardless of the speed of the vehicle 110, when the driver's vehicle 110 is traveling at a low speed, the dummy unexpected device 120 While the driver can easily respond to the appearance of the vehicle 110 at high speeds, it is relatively difficult for the driver to respond to the appearance of the dummy unexpected device 120, so the driver's perception, reaction, and operation in an unexpected situation. The reliability of the evaluation may be lost.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variably controls the appearance point of the dummy explosive device 120 based on the distance between the position of the vehicle 110 and the position of the dummy explosive device 120 and the speed of the vehicle 110. can do.

출현 시점 결정부(220)는 차량(110)의 주행 데이터에 기초하여 시험장 내에 설치된 더미 돌발 장치(120)의 출현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The appearance time determination unit 220 may determine the appearance time of the dummy explosion device 120 installed in the test site based on the driving data of the vehicle 110.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출현 시점 결정부(220)는 차량(110)의 주행 데이터로부터 도출된 차량(110)의 위치 및 더미 돌발 장치(120)의 위치 간의 거리와, 도출된 차량(110)의 속도에 기초하여 더미 출현 코스(313) 내 더미 돌발 장치(120)의 출현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3, the appearance time determination unit 220 determines the distance between the position of the vehicle 110 and the position of the dummy explosion device 120 derived from the driving data of the vehicle 110, and the derived vehicle Based on the speed of 110, the appearance point of the dummy explosion device 120 in the dummy appearance course 313 can be determined.

출현 시점 결정부(220)는 도출된 차량(110)의 속도 및 공주 시간에 기초하여 차량(110)에 대한 공주 거리를 도출할 수 있다. The appearance time determination unit 220 may derive the idle distance for the vehicle 110 based on the derived speed and idle time of the vehicle 110.

공주 거리는 운전자가 교통 장애물(예를 들어, 더미 돌발 장치(120))을 인지하고 브레이크를 밟아서 브레이크가 작동되기까지 차량(110)이 주행한 거리이다. 이러한, 공주 거리는 [수학식 1]을 통해 계산될 수 있다. The princess distance is the distance traveled by the vehicle 110 until the driver recognizes a traffic obstacle (for example, the dummy crash device 120) and applies the brakes until the brakes are activated. This princess distance can be calculated through [Equation 1].

[수학식 1][Equation 1]

여기서, s는 공주 거리이고, v는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밟은 시점에서의 차량 속도이고, t는 공주 시간이다. Here, s is the idle distance, v is the vehicle speed at the point when the driver applies the brake, and t is the idle time.

여기서, 공주 시간은 교통 장애물에 대한 운전자의 인지에 기초하여 실험적으로 도출된 운전자의 반응 시간이다. Here, the idle time is the driver's reaction time experimentally derived based on the driver's perception of traffic obstacles.

[수학식 1]을 참조하면, 공주 거리는 차량의 속도가 커짐에 따라 선형적으로 늘어난다. 즉, 공주 거리는 차량이 달리고 있는 속도와 운전자의 반응 시간(즉, 공주 시간)에 각각 비례한다. Referring to [Equation 1], the idle distance increases linearly as the speed of the vehicle increases. In other words, the idle distance is proportional to the speed at which the vehicle is running and the driver's reaction time (i.e., idle time).

출현 시점 결정부(220)는 차량(110)의 무게, 브레이크 성능, 시험장의 지면 및 차량(110)의 타이어 간 마찰 정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차량(110)의 가속도를 산출하고, 도출된 차량(110)의 속도 및 차량(110)의 가속도에 기초하여 차량(110)에 대한 제동 거리를 도출할 수 있다. The appearance time determination unit 220 calculates the acceleration of the vehicle 110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weight of the vehicle 110, brake performance, and the degree of friction between the ground of the test site and the tires of the vehicle 110, and the derived vehicle 110 The braking distance for the vehicle 110 can be derived based on the speed of the vehicle 110 and the acceleration of the vehicle 110.

제동 거리는 차량(110)의 브레이크가 작동된 후(즉, 제동이 시작된 후) 차량(110)이 완전히 정차할 때까지 주행한 거리이다. 이러한, 제동 거리는 등가속도 공식(수학식 2)을 따르며, 차량(110)의 최종 속도는 0이고, 브레이크로 인한 가속도의 방향은 차량(110)의 진행 방향과 반대이므로, 제동 거리는 [수학식 3]을 통해 계산될 수 있다. The braking distance is the distance traveled until the vehicle 110 comes to a complete stop after the brakes of the vehicle 110 are activated (i.e., after braking begins). This braking distance follows the constant acceleration formula (Equation 2), the final speed of the vehicle 110 is 0, and the direction of acceleration due to the brake is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travel of the vehicle 110, so the braking distance is [Equation 3] ] can be calculated through.

[수학식 2] [Equation 2]

여기서, v는 차량의 속도이고, a는 가속도이고, s는 제동 거리이다. Here, v is the vehicle's speed, a is the acceleration, and s is the braking distance.

[수학식 3][Equation 3]

여기서, s는 제동 거리이다. Here, s is the braking distance.

[수학식 3]을 참조하면, 제동 거리는 차량이 달리고 있던 초기 속도의 제곱에 비례하고, 가속도에 반비례한다. 이 때, 가속도는 차량의 무게, 브레이크 성능, 지면 및 타이어의 마찰 정도에 따라 달라진다. Referring to [Equation 3], the braking distance is proportional to the square of the initial speed at which the vehicle was running and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acceleration. At this time, acceleration varies depending on the weight of the vehicle, brake performance, and the degree of friction between the ground and tires.

출현 시점 결정부(220)는 차량(110)에 대한 공주 거리 및 차량(110)에 대한 제동 거리에 기초하여 차량(110)에 대한 정지 거리를 도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정지 거리는 운전자가 교통 장애물을 인지하고 브레이크를 밟아 제동이 시작된 후 차량(110)이 완전히 정차할 때까지 이동한 거리를 말한다. 이러한, 정지 거리는 [수학식 4]를 통해 계산될 수 있다. The appearance time determination unit 220 may derive a stopping distance for the vehicle 110 based on the idle distance for the vehicle 110 and the braking distance for the vehicle 110. Here, the stopping distance refers to the distance traveled until the vehicle 110 comes to a complete stop after the driver recognizes a traffic obstacle and applies the brakes to start braking. This stopping distance can be calculated through [Equation 4].

[수학식 4][Equation 4]

정지 거리 = 공주 거리 + 제동 거리Stopping Distance = Princess Distance + Braking Distance

출현 시점 결정부(220)는 도출된 차량(110)의 위치 및 더미 돌발 장치(120)의 위치 간의 거리와, 차량(110)에 대한 정지 거리에 기초하여 더미 돌발 장치(120)의 출현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The appearance time determination unit 220 determines the appearance time of the dummy unexpected device 120 based on the distance between the derived position of the vehicle 110 and the position of the dummy unexpected device 120 and the stopping distance for the vehicle 110. You can decide.

예를 들면, 출현 시점 결정부(220)는 도출된 차량(110)의 위치와 더미 돌발 장치(120)의 위치 간의 거리가 차량(110)에 대한 정지 거리보다 짧아지거나 같아지는 시점을 더미 돌발 장치(120)의 출현 시점으로 결정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appearance time determination unit 220 determines the time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derived position of the vehicle 110 and the position of the dummy sudden device 120 becomes shorter or equal to the stopping distance for the vehicle 110. It can be determined by the appearance time of (120).

다른 예를 들어, 출현 시점 결정부(220)는 기설정된 보상값을 더미 돌발 장치(120)의 출현 시점에 반영하여 더미 돌발 장치(120)의 출현 시점에 대해 최종 결정할 수 있다. For another example, the appearance time determination unit 220 may reflect a preset compensation value on the appearance time of the dummy unexpected device 120 to make a final decision on the appearance time of the dummy unexpected device 120.

고령 운전자의 경우, 일반인 운전자에 비해 교통 장애물에 대한 반응 시간이 늦으므로 고령 운전자의 정지 거리는 일반인 운전자에 비해 길어질 수 있다. 이를 출현 시점에 반영하기 위하여, 출현 시점 결정부(210)는 보상값(예컨대, 0.5s)을 기결정된 기존의 출현 시점에 반영함으로써 더미 돌발 장치(120)의 출현 시점을 기존의 출현 시점보다 늦춰지도록 결정할 수 있다.In the case of elderly drivers, the reaction time to traffic obstacles is slower than that of general drivers, so the stopping distance of elderly drivers may be longer than that of general drivers. In order to reflect this at the appearance time, the appearance time determination unit 210 delays the appearance time of the dummy unexpected device 120 from the existing appearance time by reflecting the compensation value (e.g., 0.5 s) to the existing appearance time. You can decide to lose.

전송부(230)는 결정된 더미 돌발 장치(120)의 출현 시점에 기초하여 더미 돌발 장치(120)에게 출현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더미 돌발 장치(120)는 더미 돌발 장치(120)의 출현 시점에 기초하여 시험장 내 기지정된 더미 출현 구간(40)에서 출현할 수 있다. 더미 돌발 장치(120)는 시험장 내 도로에서 기지정된 더미 출현 구간(40)을 가로질러 출현할 수 있다. The transmission unit 230 may transmit an appearance signal to the dummy unexpected device 120 based on the determined appearance time of the dummy unexpected device 120. The dummy unexpected device 120 may appear in a predetermined dummy appearance section 40 within the test site based on the appearance time of the dummy unexpected device 120. The dummy explosion device 120 may appear across a pre-designated dummy appearance section 40 on the road within the test site.

더미 돌발 장치(120)가 출현하면, 운전자는 더미 돌발 장치(120)의 출현을 인지하고 빠르게 브레이크를 작동시킨다. 이 때, 운전 평가부(230)는 운전자가 더미 돌발 장치(120)와 충돌하지 않고 얼마나 빨리 차량(110)을 안전하게 멈추는지를 평가할 수 있다. When the dummy sudden device 120 appears, the driver recognizes the appearance of the dummy unexpected device 120 and quickly applies the brakes. At this time, the driving evaluation unit 230 may evaluate how quickly the driver safely stops the vehicle 110 without colliding with the dummy crash device 120.

구체적으로, 운전 평가부(230)는 더미 돌발 장치(120)의 출현 신호에 기초하여 더미 돌발 장치(120)가 출현된 상황에서 차량(110)으로부터 생성된 주행 데이터에 기초하여 운전자에 대한 운전 적합성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driving evaluation unit 230 determines the driving suitability of the driver based on the driving data generated from the vehicle 110 in a situation where the dummy unexpected device 120 appears based on the appearance signal of the dummy unexpected device 120. Evaluation can be performed.

예를 들어, 운전 평가부(230)는 더미 돌발 장치(120)가 출현된 상황에서 차량(110)으로부터 생성된 주행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고위험에 따른 안전운전 능력 항목, 돌발 상황인지 및 대처 능력 항목에 대한 운전자의 운전 적합성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driving evaluation unit 230 determines safe driving ability items according to accident risk, unexpected situation recognition, and response ability items based on driving data generated from the vehicle 110 in a situation where a dummy unexpected device 120 appears. A driver's driving suitability evaluation can be performed.

예를 들어, 운전 평가부(230)는 더미 돌발 장치(120)의 출현 시, 운전자의 차량(110)과 더미 돌발 장치(120) 간의 충돌 여부를 평가 할 수 있다. 즉, 운전 평가부(230)는 운전자의 차량(110)이 더미 돌발 장치(120)와 충돌한 경우에는 안전운전 능력 항목에 대한 점수를 0점으로 채점하고, 운전자의 차량(110)이 더미 돌발 장치(120)와 충돌하지 않은 경우에는 안전운전 능력 항목에 대한 점수를 100점으로 채점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driving evaluation unit 230 may evaluate whether there is a collision between the driver's vehicle 110 and the dummy unexpected device 120 when the dummy unexpected device 120 appears. That is, the driving evaluation unit 230 scores the safe driving ability item as 0 when the driver's vehicle 110 collides with the dummy crash device 120, and the driver's vehicle 110 collides with the dummy crash device 120. If there is no collision with the device 120, the safe driving ability item can be scored as 100 points.

예를 들어, 운전 평가부(230)는 운전자의 차량(110) 전방에 더미 돌발 장치(120)가 출현된 시점부터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밟는 시점까지 소요된 시간을 측정하고, 측정된 시간에 기초하여 상황인지 항목(즉, 인지반응 시간)을 평가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driving evaluation unit 230 measures the time elapsed from the time the dummy emergency device 120 appears in front of the driver's vehicle 110 to the time the driver applies the brake, and based on the measured time Situational awareness items (i.e. cognitive reaction time) can be evaluated.

예를 들어, 운전 평가부(230)는 더미 돌발 장치(120)의 출현에 따라 운전자가 상황을 명확히 인지하고 신속하게 대처하는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밟는 시점에서부터 차량(100)이 완전히 정지(즉, 차량(110)의 속도= 0)할 때까지 소요된 시간을 측정하고, 측정된 시간에 기초하여 대처능력 항목을 평가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driving evaluation unit 230 evaluates the driver's ability to clearly recognize the situation and respond quickly according to the appearance of the dummy unexpected device 120. The time taken to stop (i.e., the speed of the vehicle 110 = 0) can be measured, and coping ability items can be evaluated based on the measured time.

예를 들어, 운전 평가부(230)는 더미 돌발 장치(120)의 출현 시점부터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밟아 차량(110)이 완전히 정지할 때까지의 시간당 감속도 변화량(평균)을 측정하고, 측정된 시간당 감속도 변화량에 기초하여 돌발상황 대처능력 항목을 평가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driving evaluation unit 230 measures the change in deceleration per hour (average) from the appearance of the dummy sudden device 120 until the driver applies the brake and the vehicle 110 completely stops, and the measured The ability to cope with unexpected situations can be evaluated based on the amount of change in deceleration per hour.

예를 들어, 운전 평가부(230)는 더미 돌발 장치(120)의 출현 신호가 더미 돌발 장치(120)로 전송된 시점으로부터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차량(110)이 더미 출현 구간에서 정지하였는지 또는 차량(110)이 더미 돌발 장치(120)와 충돌하였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운전자의 안전운전 능력 항목의 지수를 채점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driving evaluation unit 230 determines whether the vehicle 110 has stopped in the dummy appearance section within a preset time from the time the appearance signal of the dummy unexpected device 120 is transmitted to the dummy unexpected device 120 or whether the vehicle ( The index of the driver's safe driving ability items can be scored based on whether 110) collided with the dummy explosion device 120.

예를 들어, 운전 평가부(230)는 더미 돌발 장치(120)가 출현된 상황에서 차량(110)으로부터 생성된 주행 데이터에 기초하여 운전자가 더미 돌발 장치(120)의 출현을 인지한 인지 반응 시간을 측정하고, 차량(110)의 시간당 감속도 변화량을 측정함으로써 운전자의 상황인지 및 대처 능력 항목의 지수를 채점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driving evaluation unit 230 determines the cognitive reaction time at which the driver recognizes the appearance of the dummy unexpected device 120 based on driving data generated from the vehicle 110 in a situation where the dummy unexpected device 120 appears. By measuring and measuring the change in deceleration per hour of the vehicle 110, the index of the driver's situation awareness and coping ability items can be scored.

운전 평가부(230)는 운전자의 주행 데이터 및 운전 적합성 지수 산출부(210)에 의해 도출된 운전 적합성 평가 지표 정보 간 비교에 기초하여 운전자에 대한 적합성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The driving evaluation unit 230 may perform a suitability evaluation on the driver based on a comparison between the driver's driving data and the driving suitability evaluation index information derived by the driving suitability index calculation unit 210.

예를 들어, 운전 평가부(230)는 운전자의 주행 데이터 및 운전 적합성 평가 지표 정보 간 비교에 기초하여 운전자의 적합성 평가 점수가 상위 50% 내에 속하면 운전자의 운전 적합성을 양호 수준으로 평가할 수 있고, 운전자의 적합성 평가 점수가 중위 40% 내에 속하면 운전자의 운전 적합성을 보통 수준으로 평가할 수 있고, 운전자의 적합성 평가 점수가 하위 10% 내에 속하면 운전자의 운전 적합성을 위험 수준으로 평가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driving evaluation unit 230 may evaluate the driver's driving suitability as a good level if the driver's suitability evaluation score is within the top 50% based on comparison between the driver's driving data and driving suitability evaluation indicator information, If the driver's suitability evaluation score is within the median 40%, the driver's suitability for driving can be assessed as average, and if the driver's suitability assessment score is within the bottom 10%, the driver's suitability for driving can be assessed as being at a dangerous level.

운전 평가부(230)는 운전자가 일반 운전자인 경우, 운전자의 주행 데이터와 일반 운전자 실험 데이터에 대한 표준분포 간 비교에 기초하여 운전자에 대한 적합성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 평가부(230)는 운전자의 주행 데이터로부터 도출된 인지반응시간과 일반 운전자 실험 데이터의 인지반응시간에 대한 표준분포 간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운전자에 대한 적합성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When the driver is a general driver, the driving evaluation unit 230 may perform a suitability assessment for the driver based on a comparison between the driver's driving data and a standard distribution for the general driver's test data. For example, the driving evaluation unit 230 may perform a suitability evaluation for the driver based on a comparison result between the cognitive reaction time derived from the driver's driving data and the standard distribution for the cognitive reaction time of general driver experiment data. .

운전 평가부(230)는 운전자가 고령 운전자인 경우, 운전자의 주행 데이터와 고령 운전자 실험 데이터에 대한 표준분포 간 비교 결과 및, 운전자의 주행 데이터와 일반 운전자 실험 데이터에 대한 표준분포 간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운전자에 대한 적합성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When the driver is an elderly driver, the driving evaluation unit 230 is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s between the driver's driving data and the standard distribution for the elderly driver's experimental data, and the comparison results between the driver's driving data and the standard distribution for the general driver's experimental data. This allows you to perform a suitability assessment on the driver.

운전 정보 제공부(250)는 운전자에 대한 운전 적합성 평가에 기초하여 운전 적합성 평가 정보 및 운전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The driving information provider 250 may provide driving suitability evaluation information and driving guide based on the driving suitability evaluation for the driver.

예를 들어, 고령자인 운전자의 인지반응속도가 현격히 떨어지고, 공주거리가 긴 경우, 운전 정보 제공부(250)는 운전자보조장치(ADAS)나 긴급제동장치(AEB)같은 보조장치가 장착된 자동차만 운전을 할 수 있도록 제한하는 운전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고령 운전자의 운전 적합성이 하위 10%에 속하는 경우, 운전 정보 제공부(250)는 운전면허 반납유도, 야간 또는 러시아워시 운전을 제한하는 등의 운전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cognitive reaction speed of an elderly driver is significantly reduced and the driving distance is long, the driving information provider 250 only applies to cars equipped with auxiliary devices such as driver assistance systems (ADAS) or emergency braking (AEB). Driving guides may be provided that restrict your ability to drive. Additionally, if the elderly driver's driving suitability is in the bottom 10%, the driving information provider 250 may provide driving guidance, such as encouraging the driver to return the driver's license and restricting driving at night or during rush hour.

예를 들어, 운전 평가부(230)는 복수의 항목에 대응하는 운전 적합성 평가에 기초하여 운전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항목은 예를 들어, 도 5a를 참조하면, 돌발상황 인지 및 대처 능력 항목, 안전하고 신속한 돌발상황 대처 능력을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driving evaluation unit 230 may provide a driving guide based on a driving suitability evaluation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items. Here,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5A, the plurality of items may include items of ability to recognize and respond to unexpected situations and the ability to safely and quickly respond to unexpected situations.

예를 들어, 운전 정보 제공부(250)는 방사형 차트(도 5a)를 통해 운전자의 운전 적합성 평가 정보 및 운전자의 운전 능력에 대한 위험도 수준(도 5b)을 운전자에게 제공하고, 이에 따른 운전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driving information provider 250 provides the driver with the driver's driving suitability evaluation information and the risk level of the driver's driving ability (FIG. 5b) through a radial chart (FIG. 5a), and provides a driving guide accordingly. can be provided.

예를 들어, 운전 정보 제공부(250)는 '운전자의 전반적인 운전능력 점수는 62.5점이고, 해당 점수는 평균적인 운전자의 운전능력에 비해 하위 4% 수준으로 운전에 따른 위험 등급은 위험 수준입니다. 교통사고 위험을 고려하여 직접 운전을 최소화하시길 바랍니다'를 포함하는 운전 적합성 평가 정보 및 위험도 수준을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driving information provision unit 250 says, 'The driver's overall driving ability score is 62.5 points, and this score is at the bottom 4% of the average driver's driving ability, so the risk level of driving is at a dangerous level. Driving suitability assessment information and risk level, including 'Please minimize driving yourself considering the risk of traffic accidents', can be provided to drivers.

예를 들어, 충돌에 따른 안전하고 신속한 돌발상황 대처 능력 항목에서 운전자가 위험 수준으로 평가된 경우, 운전 정보 제공부(250)는 '운전 간 갑작스러운 상황에서의 운전자의 대처능력이 부족하며, 도로주행 시 교통사고가 발생할 수 있어 서행운전 및 전방/주변 상황에 대한 주의가 필요함'을 포함하는 운전 가이드를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 driver is assessed as dangerous in the ability to safely and quickly respond to unexpected situations due to a collision, the driving information provider 250 may indicate that 'the driver's ability to respond to sudden situations while driving is insufficient, and Driving guides can be provided to drivers, including 'Driving slowly and paying attention to the situation ahead/surroundings is necessary as traffic accidents may occur while driving.'

예를 들어, 돌발상황 인지 및 대처 능력 항목에서 운전자가 위험 수준으로 평가된 경우, 운전 정보 제공부(250)는 '주행 간 전방의 다양한 돌발상황 인지 및 대처능력이 부족하며, 사고예방을 위해 서행운전 및 위험예측을 통한 방어운전 습관이 필요함'을 포함하는 운전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 driver is assessed as dangerous in the category of ability to recognize and respond to unexpected situations, the driving information provider 250 may say, 'The driver lacks the ability to recognize and respond to various unexpected situations ahead while driving, and must drive slowly to prevent accidents. Driving guides can be provided, including the need for defensive driving habits through driving and risk prediction.

도 4를 참조하면, 충돌 예방부(260)는 더미 돌발 장치(120)의 출현 신호가 더미 돌발 장치(120)로 전송된 시점으로부터 차량(110)이 더미 출현 구간(40)으로 진입하면 차량(110)의 위치 및 속도에 기초하여 차량 차량(110)과 더미 돌발 장치(120) 간의 충돌이 예상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collision prevention unit 260 is configured to detect the vehicle (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a collision between the vehicle vehicle 110 and the dummy explosive device 120 is expected based on the position and speed of the vehicle 110.

충돌 예방부(260)는 더미 돌발 장치(120)의 출현 신호가 더미 돌발 장치(120)로 전송된 시점으로부터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차량(110)이 더미 출현 구간(40)에서 정지하지 않은 경우, 차량(110)의 위치 및 속도에 기초하여 차량 차량(110)과 더미 돌발 장치(120) 간의 충돌을 예방할 수 있다. If the vehicle 110 does not stop in the dummy appearance section 40 within a preset time from the time the appearance signal of the dummy unexpected device 120 is transmitted to the dummy unexpected device 120, the collision prevention unit 260 A collision between the vehicle 110 and the dummy explosion device 120 can be prevented based on the position and speed of the vehicle 110.

충돌 예방부(260)는 차량(110)의 속도 및 차량(110)의 위치와 더미 돌발 장치(120)의 위치 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차량(110)이 충돌 위험 구간에 진입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충돌 위험 구간은 차량(110)의 속도 및 차량(110)에 대한 정지 거리로부터 도출될 수 있다. The collision prevention unit 260 may determine whether the vehicle 110 has entered a collision risk zone based on the speed of the vehicle 110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location of the vehicle 110 and the location of the dummy explosion device 120. Here, the collision risk section may be derived from the speed of the vehicle 110 and the stopping distance for the vehicle 110.

예를 들어, 차량(110)에 대한 정지 거리가 5m 이상이고, 차량(110)의 위치와 더미 돌발 장치(120)의 위치 간의 거리가 5m 이내인 경우, 충돌 예방부(260)는 차량(110)이 더미 돌발 장치(120)와의 충돌 위험 구간에 진입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stopping distance for the vehicle 110 is 5 m or more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location of the vehicle 110 and the location of the dummy crash device 120 is within 5 m, the collision prevention unit 260 is installed on the vehicle 110. ) can be determined to have entered the collision risk zone with the dummy explosion device 120.

충돌 예방부(260)는 차량(110)이 충돌 위험 구간에 진입하였다고 판단된 경우, 차량(110)의 강제적인 브레이크 작동 및 시동 정지를 통해 차량(110)을 강제 정지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차량(110) 및 더미 돌발 장치(120) 간의 충돌 시의 충격을 최소화하고, 충돌을 예방할 수 있다.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110 has entered a collision risk zone, the collision prevention unit 260 may force the vehicle 110 to stop by forcibly applying the brakes and stopping the engine. Through this, the present invention can minimize the impact upon collision between the vehicle 110 and the dummy explosion device 120 and prevent collisions.

충돌 예방부(260)는 차량(110)의 전방 센서(예컨대, 레이더 센서 등)가 더미 돌발 장치(120)를 감지한 경우, 차량(110)의 속도 및 차량(110)의 위치와 더미 돌발 장치(120)의 위치 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차량(110) 및 더미 돌발 장치(120) 간의 충돌 예상 시간을 산출하고, 산출된 충돌 예상 시간에 따라 차량(110)을 강제 정지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차량(110) 및 더미 돌발 장치(120) 간의 충돌 시의 충격을 최소화하고나 충돌을 예방할 수 있다. When the front sensor (e.g., radar sensor, etc.) of the vehicle 110 detects the dummy explosive device 120, the collision prevention unit 260 determines the speed of the vehicle 110 and the location of the vehicle 110 and the dummy explosive device. Based on the distance between the positions of 120, the expected collision time between the vehicle 110 and the dummy explosion device 120 may be calculated, and the vehicle 110 may be forced to stop according to the calculated expected collision time. Through this, the present invention can minimize the impact or prevent a collision during a collision between the vehicle 110 and the dummy explosion device 120.

예를 들어, 충돌 예방부(260)는 차량(110) 및 더미 돌발 장치(120) 간의 충돌 예상 시간이 기설정된 임계치 이하로 판정되면, 차량(110)의 강제적인 브레이크 작동 및 시동 정지를 통해 차량(110)을 강제 정지시킬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collision prevention unit 260 determines that the expected collision time between the vehicle 110 and the dummy crash device 120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threshold, the collision prevention unit 260 forcibly operates the brakes and stops the vehicle 110. (110) can be forced to stop.

한편, 당업자라면, 수집부(200), 운전 적합성 지수 산출부(210), 출현 시점 결정부(220), 전송부(230), 운전 평가부(240), 운전 정보 제공부(250) 및 충돌 예방부(260) 각각이 분리되어 구현되거나, 이 중 하나 이상이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음을 충분히 이해할 것이다. Meanwhil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know that the collection unit 200, the driving suitability index calculation unit 210, the appearance time determination unit 220, the transmission unit 230, the driving evaluation unit 240, the driving information provision unit 250, and the collision It will be fully understood that each of the prevention units 260 may be implemented separately, or one or more of them may be integrated and implemented.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 적합성 평가를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Figure 6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performing a driving suitability evalu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단계 S601에서 운전 평가 시스템(100)은 운전자가 탑승한 차량(110)이 시험장 내 주행하면서 생성되는 주행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 in step S601, the driving evaluation system 100 may collect driving data generated while the vehicle 110 with the driver in it drives within the test site.

단계 S603에서 운전 평가 시스템(100)은 차량(110)의 주행 데이터에 기초하여 시험장 내에 설치된 더미 돌발 장치(120)의 출현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In step S603, the driving evaluation system 100 may determine the appearance point of the dummy explosion device 120 installed in the test site based on the driving data of the vehicle 110.

단계 S605에서 운전 평가 시스템(100)은 결정된 출현 시점에 기초하여 더미 돌발 장치(120)에게 출현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In step S605, the driving evaluation system 100 may transmit an appearance signal to the dummy emergency device 120 based on the determined appearance time.

단계 S607에서 운전 평가 시스템(100)은 출현 신호에 기초하여 더미 돌발 장치(120)가 출현된 상황에서 차량(110)이 시험장 내 기지정된 더미 출현 구간에서 정지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In step S607, the driving evaluation system 100 may check whether the vehicle 110 has stopped in a predetermined dummy appearance section within the test site in a situation where the dummy sudden device 120 has appeared based on the appearance signal.

단계 S609에서 운전 평가 시스템(100)은 출현 신호가 전송된 시점으로부터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차량(110)이 더미 출현 구간에서 정지한 경우, 더미 돌발 장치(120)가 출현된 상황에서 차량(110)으로부터 생성된 주행 데이터에 기초하여 운전자에 대한 운전 적합성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In step S609, when the vehicle 110 stops in the dummy appearance section within a preset time from when the appearance signal is transmitted, the driving evaluation system 100 detects the A driving suitability evaluation for the driver can be performed based on the generated driving data.

단계 S611에서 운전 평가 시스템(100)은 출현 신호가 전송된 시점으로부터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차량(110)이 더미 출현 구간에서 정지하지 않은 경우, 차량(110)의 위치 및 속도에 기초하여 차량(110)과 더미 돌발 장치(120) 간의 충돌 위험도를 계산할 수 있다. 이 때, 운전 평가 시스템(100)은 차량(110)의 속도 및 차량(110)의 위치와 더미 돌발 장치(120)의 위치 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충돌 위험도를 계산할 수 있다. In step S611, if the vehicle 110 does not stop in the dummy appearance section within a preset time from when the appearance signal is transmitted, the driving evaluation system 100 determines the vehicle 110 based on the position and speed of the vehicle 110.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risk of collision between and the dummy explosion device 120. At this time, the driving evaluation system 100 may calculate the collision risk based on the speed of the vehicle 110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location of the vehicle 110 and the location of the dummy crash device 120.

단계 S613에서 운전 평가 시스템(100)은 차량(110)과 더미 돌발 장치(120) 간의 충돌 위험도에 기초하여 차량(110)이 충돌 위험 구간에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In step S613, the driving evaluation system 100 may determine whether the vehicle 110 has entered a collision risk section based on the collision risk between the vehicle 110 and the dummy crash device 120.

단계 S615에서 운전 평가 시스템(100)은 차량(110)이 충돌 위험 구간에 진입하였다고 판단된 경우, 차량을 강제 정지시키고, 충돌에 따른 차량(110)의 운전자에 대한 운전 적합도를 평가할 수 있다. In step S615,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110 has entered a collision risk zone, the driving evaluation system 100 may force the vehicle to stop and evaluate the driving suitability of the driver of the vehicle 110 due to the collision.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601 내지 S615는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In the above description, steps S601 to S615 may be further divided into additional steps or combined into fewer steps,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dditionally, some steps may be omitted or the order between steps may be changed as need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recording medium contain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a computer, such as program modules executed by a computer. Computer-readable media can be any available media that can be accessed by a computer and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media,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Additionally, computer-readable media may include all computer storage media. Computer storage media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mplemented in any method or technology for storage of information such as computer-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singl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100: 운전 평가 시스템
110: 차량
120: 더미 돌발 장치
200: 수집부
210: 운전 적합성 지수 산출부
220: 출현 시점 결정부
230: 전송부
240: 운전 평가부
250: 운전 정보 제공부
260: 충돌 예방부
100: Driving Evaluation System
110: vehicle
120: Pile explosion device
200: Collection department
210: Driving suitability index calculation unit
220: Appearance point determination unit
230: Transmission unit
240: Driving evaluation department
250: Driving information provision unit
260: Collision Prevention Department

Claims (21)

더미 돌발 장치를 이용하여 운전 적합성 평가를 수행하는 운전 평가 시스템에 있어서,
운전자가 탑승한 차량이 시험장 내 주행하면서 생성되는 주행 데이터를 수집하는 수집부;
상기 주행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속도를 도출하고, 상기 차량의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정지 거리를 도출하고, 상기 정지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시험장 내에 설치된 상기 더미 돌발 장치의 출현 시점을 결정하는 출현 시점 결정부;
상기 결정된 출현 시점에 기초하여 상기 더미 돌발 장치로 출현 신호를 전송하는 전송부; 및
상기 출현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더미 돌발 장치가 출현된 상황에서 상기 차량으로부터 생성된 주행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운전자에 대한 운전 적합성 평가를 수행하는 운전 평가부
를 포함하는 운전 평가 시스템.
In a driving evaluation system that performs a driving suitability evaluation using a dummy crash device,
A collection unit that collects driving data generated while the vehicle with the driver in it is driving within the test site;
Deriving the speed of the vehicle based on the driving data, deriving the stopping distance of the vehicle based on the speed of the vehicle, and determining the appearance point of the dummy sudden device installed in the test site based on the stopping distance. Appearance point determination unit;
a transmission unit that transmits an appearance signal to the dummy unexpected device based on the determined appearance time; and
A driving evaluation unit that performs a driving suitability evaluation on the driver based on driving data generated from the vehicle in a situation where the dummy unexpected device appears based on the appearance signal.
Driving evaluation system includ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돌발 장치는 상기 출현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시험장 내 기지정된 더미 출현 구간에서 출현하는 것인, 운전 평가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A driving evaluation system, wherein the dummy emergence device appears in a predetermined dummy appearance section within the test site based on the appearance sig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현 시점 결정부는 상기 주행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위치 및 속도를 도출하는 것인, 운전 평가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A driving evaluation system wherein the appearance point determination unit derives the location and speed of the vehicle based on the driving data.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출현 시점 결정부는 상기 도출된 차량의 위치와 상기 더미 돌발 장치의 위치 간의 거리를 도출하는 것인, 운전 평가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3,
A driving evaluation system wherein the appearance point determination unit derives a distance between the derived position of the vehicle and the position of the dummy sudden devic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출현 시점 결정부는 상기 도출된 차량의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에 대한 공주 시간을 도출하고, 상기 도출된 차량의 속도 및 상기 공주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에 대한 공주 거리를 도출하는 것인, 운전 평가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4,
The appearance point determination unit derives an idle time for the vehicle based on the derived speed of the vehicle, and derives an idle distance for the vehicle based on the derived speed of the vehicle and the idle time. Evaluation system.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출현 시점 결정부는 상기 차량의 무게, 브레이크 성능, 상기 시험장의 지면 및 상기 차량의 타이어 간 마찰 정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가속도를 산출하고, 상기 도출된 차량의 속도 및 상기 차량의 가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에 대한 제동 거리를 도출하는 것인, 운전 평가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5,
The appearance time determination unit calculates the acceleration of the vehicle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weight of the vehicle, brake performance, and the degree of friction between the ground of the test site and the tires of the vehicle, and the derived speed of the vehicle and the acceleration of the vehicle. A driving evaluation system that derives a braking distance for the vehicle based on.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출현 시점 결정부는 상기 차량에 대한 공주 거리 및 상기 차량에 대한 제동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에 대한 정지 거리를 도출하고,
상기 도출된 차량의 위치와 상기 더미 돌발 장치의 위치 간의 거리 및 상기 차량에 대한 정지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더미 돌발 장치의 출현 시점을 결정하는 것인, 운전 평가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6,
The appearance point determination unit derives a stopping distance for the vehicle based on the idle distance for the vehicle and the braking distance for the vehicle,
A driving evaluation system that determines the appearance point of the dummy unexpected device based on the distance between the derived position of the vehicle and the position of the dummy unexpected device and the stopping distance for the vehicle.
제 1 항에 있어서,
일반 운전자 실험군 및 고령 운전자 실험군으로부터 상기 시험장 내 상기 더미 돌발 장치가 출현하는 코스와 관련된 주행 데이터에 기초하여 운전 적합성 지수를 산출하는 운전 적합성 지수 산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운전 평가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A driving evaluation system further comprising a driving suitability index calculation unit for calculating a driving suitability index based on driving data related to a course in which the dummy unexpected device appears in the test site from the general driver test group and the elderly driver test group.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 평가부는 상기 운전 적합성 지수에 기초하여 상기 운전자에 대한 운전 적합성 평가를 수행하는 것인, 운전 평가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8,
A driving evaluation system wherein the driving evaluation unit performs a driving suitability evaluation for the driver based on the driving suitability index.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에 대한 운전 적합성 평가에 기초하여 운전 적합성 평가 정보 및 운전 가이드를 제공하는 운전 정보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운전 평가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A driving evaluation system further comprising a driving information providing unit that provides driving suitability evaluation information and driving guide based on the driving suitability evaluation for the drive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출현 신호가 전송된 시점으로부터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차량이 상기 더미 출현 구간에서 정지하지 않은 경우, 상기 차량의 위치 및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과 상기 더미 돌발 장치 간의 충돌을 예방하는 충돌 예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운전 평가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
If the vehicle does not stop in the dummy appearance section within a preset time from when the appearance signal is transmitted, a collision prevention unit for preventing a collision between the vehicle and the dummy explosion device based on the position and speed of the vehicle is added. Driving evaluation system, including: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 예방부는 상기 차량의 속도 및 상기 차량의 위치와 상기 더미 돌발 장치의 위치 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이 충돌 위험 구간에 진입하였는지 판단하는 것인, 운전 평가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1,
The collision prevention unit determines whether the vehicle has entered a collision risk zone based on the speed of the vehicle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location of the vehicle and the location of the dummy crash device.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 예방부는 상기 차량이 상기 충돌 위험 구간에 진입하였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차량을 강제 정지시키는 것인, 운전 평가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12,
A driving evaluation system wherein the collision prevention unit forces the vehicle to stop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has entered the collision risk section.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 예방부는 상기 차량의 전방 센서가 상기 더미 돌발 장치를 감지한 경우, 상기 차량의 속도 및 상기 차량의 위치와 상기 더미 돌발 장치의 위치 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 및 상기 더미 돌발 장치 간의 충돌 예상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충돌 예상 시간에 따라 상기 차량을 강제 정지시키는 것인, 운전 평가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1,
When the front sensor of the vehicle detects the dummy explosive device, the collision prevention unit predicts a collision between the vehicle and the dummy explosive device based on the speed of the vehicle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location of the vehicle and the location of the dummy explosive device. A driving evaluation system that calculates the time and forces the vehicle to stop according to the calculated expected collision time.
더미 돌발 장치를 이용하여 운전 적합성 평가를 수행하는 운전 평가 방법에 있어서,
운전자가 탑승한 차량이 시험장 내 주행하면서 생성되는 주행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주행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속도를 도출하고, 상기 차량의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정지 거리를 도출하고, 상기 정지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시험장 내에 설치된 상기 더미 돌발 장치의 출현 시점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출현 시점에 기초하여 상기 더미 돌발 장치로 출현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출현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더미 돌발 장치가 출현된 상황에서 상기 차량으로부터 생성된 주행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운전자에 대한 운전 적합성 평가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운전 평가 방법.
In the driving evaluation method of performing a driving suitability evaluation using a dummy crash device,
Collecting driving data generated while a vehicle with a driver in it is driving within the test site;
Deriving the speed of the vehicle based on the driving data, deriving the stopping distance of the vehicle based on the speed of the vehicle, and determining the appearance point of the dummy sudden device installed in the test site based on the stopping distance. step;
transmitting an appearance signal to the dummy unexpected device based on the determined appearance time; and
Performing a driving suitability evaluation on the driver based on driving data generated from the vehicle in a situation where the dummy unexpected device appears based on the appearance signal.
Driving evaluation method including.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위치 및 속도를 도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운전 평가 방법.
According to claim 15,
A driving evaluation method further comprising deriving the location and speed of the vehicle based on the driving data.
제 16 항에 있어서,
도출된 차량의 위치와 상기 더미 돌발 장치의 위치 간의 거리를 도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운전 평가 방법.
According to claim 16,
A driving evaluation method further comprising deriving a distance between the derived position of the vehicle and the position of the dummy unexpected device.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돌발 장치의 출현 시점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도출된 차량의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에 대한 공주 시간을 도출하고, 상기 도출된 차량의 속도 및 상기 공주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에 대한 공주 거리를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운전 평가 방법.
According to claim 17,
The step of determining the appearance point of the dummy explosion device is
A driving evaluation comprising deriving an idle time for the vehicle based on the derived speed of the vehicle, and deriving an idle distance for the vehicle based on the derived speed of the vehicle and the idle time. method.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돌발 장치의 출현 시점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무게, 브레이크 성능, 상기 시험장의 지면 및 상기 차량의 타이어 간 마찰 정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가속도를 산출하고, 상기 도출된 차량의 속도 및 상기 차량의 가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에 대한 제동 거리를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운전 평가 방법.
According to claim 18,
The step of determining the appearance point of the dummy explosion device is
Calculate the acceleration of the vehicle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weight of the vehicle, brake performance, and the degree of friction between the ground of the test site and the tires of the vehicle, and calculate the acceleration of the vehicle based on the derived speed of the vehicle and the acceleration of the vehicle. A driving evaluation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deriving a braking distance for.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돌발 장치의 출현 시점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에 대한 공주 거리 및 상기 차량에 대한 제동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에 대한 정지 거리를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도출된 차량의 위치와 상기 더미 돌발 장치의 위치 간의 거리 및 상기 차량에 대한 정지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더미 돌발 장치의 출현 시점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운전 평가 방법.
According to claim 19,
The step of determining the time of appearance of the dummy explosion device is
deriving a stopping distance for the vehicle based on the idle distance for the vehicle and the braking distance for the vehicle; and
A driving evaluation method comprising determining an appearance point of the dummy unexpected device based on a distance between the derived position of the vehicle and the position of the dummy unexpected device and a stopping distance for the vehicle.
더미 돌발 장치를 이용하여 운전 적합성 평가를 수행하는 명령어들의 시퀀스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될 경우,
운전자가 탑승한 차량이 시험장 내 주행하면서 생성되는 주행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주행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속도를 도출하고, 상기 차량의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정지 거리를 도출하고, 상기 정지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시험장 내에 설치된 상기 더미 돌발 장치의 출현 시점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출현 시점에 기초하여 상기 더미 돌발 장치로 출현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출현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더미 돌발 장치가 출현된 상황에서 상기 차량으로부터 생성된 주행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운전자에 대한 운전 적합성 평가를 수행하는 명령어들의 시퀀스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ing a sequence of instructions for performing a driving suitability evaluation using a dummy crash device, comprising:
When the computer program is executed by a computing device,
Collects driving data generated as the vehicle with the driver in it drives within the test site,
Derive the speed of the vehicle based on the driving data, derive a stopping distance of the vehicle based on the speed of the vehicle, and determine the appearance point of the dummy sudden device installed in the test site based on the stopping distance, ,
Transmitting an appearance signal to the dummy unexpected device based on the determined appearance time,
A computer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omprising a sequence of instructions for performing a driving suitability evaluation for the driver based on driving data generated from the vehicle in a situation where the dummy unexpected device appears based on the appearance signal. program.
KR1020210142840A 2021-10-25 2021-10-25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performing evaluation of driving fitness using dummy device KR10266106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2840A KR102661067B1 (en) 2021-10-25 2021-10-25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performing evaluation of driving fitness using dumm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2840A KR102661067B1 (en) 2021-10-25 2021-10-25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performing evaluation of driving fitness using dummy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8955A KR20230058955A (en) 2023-05-03
KR102661067B1 true KR102661067B1 (en) 2024-04-29

Family

ID=86380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2840A KR102661067B1 (en) 2021-10-25 2021-10-25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performing evaluation of driving fitness using dumm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1067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91849A (en) * 2010-03-12 2011-09-29 Ud Trucks Corp Safe driving-promotion system
JP2017009479A (en) * 2015-06-24 2017-01-12 株式会社エヌエステイー Pedestrian dummy drive device for collision prevention device evaluation system
JP2020201795A (en) * 2019-06-12 2020-12-17 株式会社 Acr Automobile driving capability decis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8609B1 (en) * 2015-03-06 2016-09-21 주식회사 인폼 System and method for testing autonomous emergency braking
KR20170074659A (en) * 2015-12-22 2017-06-30 (주)네오정보시스템 preventive safty system of vehicle for driving license test
JP6967042B2 (en) 2019-08-27 2021-11-17 オムロン株式会社 Driving evaluation device, driving evaluation system, driving evaluation method, program, and intersection attribute discrimination metho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91849A (en) * 2010-03-12 2011-09-29 Ud Trucks Corp Safe driving-promotion system
JP2017009479A (en) * 2015-06-24 2017-01-12 株式会社エヌエステイー Pedestrian dummy drive device for collision prevention device evaluation system
JP2020201795A (en) * 2019-06-12 2020-12-17 株式会社 Acr Automobile driving capability decis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8955A (en) 2023-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985780B (en) Vehicle safety auxiliary system
Kusano et al. Safety benefits of forward collision warning, brake assist, and autonomous braking systems in rear-end collisions
KR101661047B1 (en) Method for Determining an Emergency Braking Situation of a Vehicle
US8412416B2 (en) Collision warning device having guardrail detection
US8589061B2 (en) Forward collision risk reduction
US8660778B2 (en) Running plan creating apparatus
EP2471694A2 (en) Method and system for assessing driving behaviour
CN103370238B (en) Detect the method and the method for avoiding collision of the critical travel situations of truck or passenger vehicle
JP2799375B2 (en) Anti-collision device
US20230192078A1 (en) Method for calculating risk domain of vehicle-pedestrian collision and safety evaluation system
KR10186808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llision avoiding using ultrasonic sensor
CN108466618B (en) Adaptive cruise control method and system
Yimer et al. A study of the minimum safe distance between human driven and driverless cars using safe distance model
CN111619558A (en) Method for preventing collision of motor vehicle with vehicle running by mistake and detection device
Chira-Chavala et al. Potential safety benefits of intelligent cruise control systems
Lundgren et al. Evaluation of safety effects of driver assistance systems through traffic simulation
Kodaka et al. Rear-end collision velocity reduction system
KR10201166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valutating adaptive cruise control system for vehicle
KR102661067B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performing evaluation of driving fitness using dummy device
JP2008530670A (en) Driving support system with a device that recognizes special situations
KR101473458B1 (en) Method of characterizing driver propensity for different forward collision warning times
KR100906667B1 (en) System for Automatic Controlling Longitudinal Speed of a Vehicle
KR2023008978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llision avoidance
KR20230089205A (en) Dummy device and comptuer program for appearing in driver's lisence test course
Hitchcock Intelligent vehicle/highway system safety: Multiple collisions in automated highway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