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1023B1 - 말벌을 포함하는 유해충 퇴치 드론 플랫폼 - Google Patents

말벌을 포함하는 유해충 퇴치 드론 플랫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1023B1
KR102661023B1 KR1020230164779A KR20230164779A KR102661023B1 KR 102661023 B1 KR102661023 B1 KR 102661023B1 KR 1020230164779 A KR1020230164779 A KR 1020230164779A KR 20230164779 A KR20230164779 A KR 20230164779A KR 102661023 B1 KR102661023 B1 KR 1026610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one
wasps
wasp
platform
magaz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64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온모빌리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온모빌리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온모빌리티
Priority to KR1020230164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10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10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10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10/00Type of UAV
    • B64U10/10Rotorcrafts
    • B64U10/13Flying platforms
    • B64U10/14Flying platforms with four distinct rotor axes, e.g. quadcop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0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 A01M1/106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for flying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7/00Arrangements of military equipment, e.g. armaments, armament accessories, or military shielding, in aircraft; Adaptations of armament mountings for aircraft
    • B64D7/02Arrangements of military equipment, e.g. armaments, armament accessories, or military shielding, in aircraft; Adaptations of armament mountings for aircraft the armaments being firearms
    • B64D7/04Arrangements of military equipment, e.g. armaments, armament accessories, or military shielding, in aircraft; Adaptations of armament mountings for aircraft the armaments being firearms fixedly mou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0/00Constructional aspects of UAVs
    • B64U20/30Constructional aspects of UAVs for safety, e.g. with frangible compon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A01M2200/012Flying ins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64U2101/25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for manufacturing or servic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mote Sensing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너프건 및 포집기를 교체 장착 가능한 플랫폼을 가지는 드론을 원격 조정하여 높은 곳에 위치한 말벌집을 제거할 수 있게 구성됨으로써, 말벌 퇴치 및 말벌집 제거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낙상 및 벌쏘임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말벌을 포함하는 유해충 퇴치 드론 플랫폼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말벌을 포함하는 유해충 퇴치 드론 플랫폼{DRONE PLATFORM FOR WASP REMOVAL}
본 발명은 말벌을 포함하는 유해충 퇴치 드론 플랫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너프건 및 포집기를 교체 장착 가능한 플랫폼을 가지는 드론을 원격 조정하여 높은 곳에 위치한 말벌집을 제거할 수 있게 구성됨으로써, 말벌 퇴치 및 말벌집 제거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낙상 및 벌쏘임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말벌을 포함하는 유해충 퇴치 드론 플랫폼에 관한 것이다.
벌은 식물에 수분을 행하거나, 양봉을 위해 유용한 곤충이다. 그러나, 사람이 벌침에 쏘이는 경우, 벌침의 독성에 의해 인명사고가 빈번히 발생된다.
특히, 말벌은 말벌과의 벌로서, 몸은 암컷이 2.5㎝, 수컷이 2㎝ 정도이고, 검은 갈색에 갈색 또는 누런 갈색의 털이 나 있으며, 대개 육식성으로 작은 곤충을 잡아먹는다.
말벌은 꿀과 먹이를 얻기 위하여 꿀벌을 자주 공격할 뿐만 아니라 사마귀, 방아깨비, 거미 및 매미 등의 곤충을 사냥해서 잡아먹기도 하고, 사람에게 치명적인 독성을 가진 침을 쏘기 때문에 위험한 곤충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지구온난화에 의한 이상 기온 현상으로 인해 도심에서도 말벌떼의 출현이 현저히 증가하고 있으며, 말벌떼의 습격으로 인명사고의 직접적 원인이 되고, 인근의 꿀벌을 살육하는 등 양봉업에 상당히 피해를 준다.
이와 같은 벌들은 벌집을 지어 군집생활을 한다. 최근에는 산과 인접한 가택과 도심 지역의 나무 및 건물 등에 벌집이 빈번하게 출현되고 있다.
이처럼, 주거지역에 벌들이 빈번히 출현됨에 따라, 벌, 특히 말벌에 의한 인명사고 발생 빈도가 증가되고 있다. 따라서, 주거지역에 출현된 말벌 및 말벌집을 제거하여야 한다.
종래에는 말벌들을 유인한 후 전기 충격에 의해 벌들을 살충하였으나, 이는 벌들이 빈번하게 출현하는 지역에서는 일정수준 효과가 있으나, 그렇지 않은 지역에서는 그 효과가 미비하다. 따라서, 말벌집이 발견된 경우 전문인에 의해 직접적으로 말벌집을 제거하고 있다.
이에, 종래의 말벌을 퇴치하거나 잡기 위한 말벌포획장치로, 국내 특허등록 제10-2251563호에는 망사(101)로 된 몸체(100) 내부에 말벌을 살아 있는 채로 채집하는 것으로, 상기 망사 몸체(100)에는 말벌이 들어오는 입구부(110)와 상기 입구부(110)에 연결되어 말벌이 빠져나가지 못하게 가두는 포집부(120)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100)에는 막대형상의 손잡이(140)가 부착되고, 상기 입구부(110)는 말벌이 들어오는 입구(111)와, 포집부(120)로 들어가는 출구(112)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100)의 입구부(110)의 입구(111)는 단면이 사각형 내지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입구(111)는 프레임(111-1)이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111-1)에 몸체 망사(101)가 결합되는 것으로, 프레임은 사각형 내지 원형인 것이며, 상기 출구(112)는 입구부(110)와 포집부(120)의 경계선에서 후방으로 길이가 길게 통로(130)로 구성되어, 사람이 손잡이를 잡고 몸체(100)를 전후방향으로 빨리 움직이면, 상기 통로(130)가 공기의 압력에 의해 벌어지며 넓어져서, 말벌이 통로(130)를 따라서 후방의 포집부(120)로 이동되는 것이며, 몸체(110)의 움직임을 정지하면, 상기 통로(130)가 오므려져서 말벌이 통로(130)를 통하여 나오지못하게 되고, 상기 포집부(120)에는 구멍(121)이 형성되고 찍찍이인 벨크로(122)로 막아놓아서 말벌이 빠져나오지 못하고 말벌을 제거코자 하면 상기 벨크로(122)를 떼어내고 구멍(121)을 통하여 말벌을 배출시켜 제거하는 말벌 채집기에 있어서, 상기 통로(130)는 그물눈의 크기가 몸체 다른 부위보다 작게 하여 공기의 압력이 크게 형성하며, 정지했을때 통로를 더욱 확실히 막기 위해 통로 중간의 망사 내주연 일부에는 끈으로 된 금속재질의 무게추를 결합하여 정지시 말벌이 밀고 올라오지 못하게 하고, 사용자가 손잡이를 잡고 빨리 전후로 움직이면 공기의 압력에 의해 통로가 벌어질 정도의 무게추를 사용되는 것이며, 상기 몸체(100)는 폴리에틸렌(PE) 또는 폴리프로필렌(PP)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벌 채집기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종래의 기술은 말벌의 생태적 특징으로 약 10m이상의 높은 나무나 건물에 매달려서 봉군을 형성하여 사람이 직접적으로 봉군을 제거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는 단점이 이었다.
즉, 종래의 말벌 채집기를 통해 말벌의 벌집을 제거하는 방법은 작업자가 사다리를 밟고 올라가 인접한 위치에서 가연성 가스를 쏘아 벌집의 외주연에 방화하여 연기로 말벌들을 기절시키거나 살충제를 분사하여 기절시킨 후 말벌 채집기를 통해 벌집을 회수하여 제거하고 있다.
이러는 과정에서 벌집을 제거하기 위해 사다리를 동원해야 하므로 낙상의 위험도 상존하고, 작업자가 말벌의 인접한 위치까지 접근해야 해야하면서 1차 위험이 발생되고, 벌집의 외주연을 방화 또는 살충제 분사로 인해 내부에 있는 말벌의 공격이 이루어질 수 있어 2차 위험이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말벌의 퇴치 및 말벌집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벌 쏘임 등의 위험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51563호(등록일자: 2021년05월07일)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52214호(등록일자: 2011년07월21일) 3.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76480호(등록일자: 2020년11월03일) 4.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441623호(등록일자 2022년09월03일)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너프건 및 포집기를 교체 장착 가능한 플랫폼을 가지는 드론을 원격 조정하여 높은 곳에 위치한 말벌집을 제거할 수 있게 구성됨으로써, 말벌 퇴치 및 말벌집 제거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낙상 및 벌쏘임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말벌을 포함하는 유해충 퇴치 드론 플랫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드론 본체의 수평 외관에 둘러지는 하드 형태와 드론 상부 주위를 감싸는 탄성 형태를 가지는 보호가드가 설치되어, 드론 본체 및 드론 본체에 설치되는 물체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 말벌을 포함하는 유해충 퇴치 드론 플랫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드론본체와, 상기 드론본체의 외주면을 따라 결합되어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다수개의 암대와, 상기 암대에 결합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다수의 프로펠러로 구성되는 드론; 상기 드론본체의 전방에 교체 장착가능하게 구성되되, 말벌 퇴치 및 말벌집 제거를 위해 설치되는 말벌 퇴치 수단; 상기 드론본체의 수평 외관에 둘러져 설치되는 수평가드부 및 드론의 상부를 감싸게 설치되는 상부 가드링부로 구성되는 보호가드; 및 상기 드론 및 말벌 퇴치 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조정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벌을 포함하는 유해충 퇴치 드론 플랫폼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말벌을 포함하는 유해충 퇴치 드론 플랫폼은 너프건 및 포집기를 교체 장착 가능한 플랫폼을 가지는 드론을 원격 조정하여 높은 곳에 위치한 말벌집을 제거할 수 있게 구성됨으로써, 말벌 퇴치 및 말벌집 제거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낙상 및 벌쏘임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말벌을 포함하는 유해충 퇴치 드론 플랫폼은 드론 본체의 수평 외관에 둘러지는 하드 형태의 수평가드부 및 드론 상부 주위를 감싸는 탄성 형태의 상부 가드링부로 구성되는 보호가드를 통해, 드론이 벽 등에 부딪히거나 외부로 부터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드론 및 드론에 설치되는 장치가 파손되지 않게 보호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말벌을 포함하는 유해충 퇴치 드론 플랫폼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말벌을 포함하는 유해충 퇴치 드론 플랫폼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말벌을 포함하는 유해충 퇴치 드론 플랫폼의 드론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각종 모듈의 구성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말벌을 포함하는 유해충 퇴치 드론 플랫폼에 적용되는 너프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말벌을 포함하는 유해충 퇴치 드론 플랫폼의 결합 사시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말벌을 포함하는 유해충 퇴치 드론 플랫폼에 적용되는 포집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말벌을 포함하는 유해충 퇴치 드론 플랫폼에서 조정기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말벌을 포함하는 유해충 퇴치 드론 플랫폼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말벌을 포함하는 유해충 퇴치 드론 플랫폼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말벌을 포함하는 유해충 퇴치 드론 플랫폼의 결합 사시도이다.
이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말벌을 포함하는 유해충 퇴치 드론 플랫폼은 교체 장착 가능한 플랫폼을 가지는 드론을 원격 조정하여 높은 곳에 위치한 말벌집을 제거할 수 있게 구성됨으로써, 말벌 퇴치 및 말벌집 제거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낙상 및 벌쏘임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드론(100), 말벌 퇴치 수단(200), 보호가드(300) 및 조정기(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드론(100)은 벌집을 제거하기 위해 벌집 근처로 비행 이동하는 것으로, 드론본체(110)와, 상기 드론본체(110)의 외주면을 따라 결합되어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다수개의 암대(120)와, 상기 암대에 결합되는 구동모터(130)와, 상기 구동모터(130)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다수의 프로펠러(14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프로펠러(140)는 하향식 프로펠러로 구성되어 프로펠러(140)의 회전에 의해 하향풍이 발생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좀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론본체(110) 내부에는 상기 구동모터(130)에 동력을 제공하는 배터리(111)와, RTL 기반 자율 비행 모듈(Autonomous flight based on RTL modlue)(112)과, GPS 모듈(GPSmodlue)(113), 제어 모듈(114) 및 통신모듈(Network module)(115)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RTL 기반 자율 비행 모듈(112)은 제어 모듈(114)의 제어에 따라 GPS모듈(113)의 GPS 수신기와, 후술하는 조정기에서 제공하는 초정밀 실시간 측위 기술인 UWB RTL(UltraWide Band Real Time Location System)를 이용하여 말벌집 주변을 자율 비행하거나 조정기 근처로 복귀하는 역활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GPS 모듈(GPS modlue)(113)은 GPS 수신기에 의한 좌표 정보를 제어 모듈(114)로 실시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 모듈(114)은 GPS 모듈(GPS modlue)에 의해 파악된 좌표 정보를 통해 벌집 주변을 자율 비행하거나 조정기 근처로 복귀하도록 자율 비행을 수행하여 자동으로 찾아 갈 수 있도록 RTL 기반 자율 비행 모듈(112)을 제어하는 것을 주요 기능으로 한다. 여기서, 제어 모듈(114)은 통합 조정기의 주기적인 액세스를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통신 모듈(115)은 실시간 위치 정보를 제어 모듈(114)에 송신함으로써, 제어 모듈에 수신된 위치 정보를 이용해 GPS 모듈(113)에 의해 수집된 GPS 정보에 대한 보정을 수행함으로써, 정밀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말벌집 주변을 자율 비행하거나 조정기 근처로 복귀할 수 있게 자율 비행을 수행하도록 RTL 기반 자율 비행 모듈(112)을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말벌 퇴치 수단(200)은 상기 드론본체(110)의 전방에 교체 장착가능하게 구성되되, 말벌 퇴치 및 말벌집 제거를 위해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말벌 퇴치 수단(200)은 스펀지탄(B)을 발사하여 말벌집을 물리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너프건(21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좀 구체적으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너프건(210)은 베이스(211), 탄창(212), 탄창캡(213), 스펀지탄 이송부(214), 발사휠(215), 너트건 덮개(216) 및 발사구(21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211)는 중앙 전후 방향으로 슬릿(S)이 형성되는 후방 설치대(211a)와, 상기 후방 설치대(211a)의 전방으로 설치되는 전방 설치판(211b)으로 구성된다.
상기 탄창(212)은 상기 슬릿(S)의 양측에서 상기 후방 설치대(211a)의 상측으로 설치되는 설치판(211c) 상에 전후방향 다수개 설치되되 원통형상을 가지고 내부에 다수의 스펀지탄(B)이 투입되어 장전되게 구성된다. 여기서, 탄창(212)에는 20개 이상의 스펀지탄(B)을 장전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창캡(213)은 상기 탄창(212)의 상부를 마감하고 내부에 가압스프링(213a)이 설치되어 상기 탄창(212) 내부에 장착되는 스펀지탄(B)을 하측으로 가압하여 스펀지탄(B)을 상기 슬릿측으로 순차적으로 공급하게 구성된다.
상기 스펀지탄 이송부(214)는 상기 후방 설치대(211a)의 전방에 후술하는 조정기(400)의 조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타이밍 벨트 풀리(214a)와, 상기 후방 설치대(211a)의 후방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아이들 풀리(214b)와, 상기 타이밍 벨트 풀리(214a) 및 아이들 풀리(214b)에 권취되어 상기 슬릿(S)상에 설치되고 상기 타이밍 벨트 풀리(214a)가 회전되면 상기 탄창(212)에서 공급되는 스펀지탄(B)을 전방으로 이송시키는 타이밍 벨트(214c)로 구성된다.
상기 발사휠(215)은 상기 전방 설치판(211b)의 양측에 설치되는 구동모터(215a)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휠(215b)에 결합된 발사롤러(215c)의 사이로 진입하는 스펀지탄(B)을 전방을 향해 격발하게 구성된다.
상기 너프건 덮개(216)는 상기 전방 설치판(211b)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발사휠(215)을 덮어 커버하게 구성된다.
상기 발사구(217)는 상기 전방 설치판(211b)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발사휠(215)에서 격발되는 스펀지탄(B)을 가이드하여 말벌집측으로 발사되게 가이드하게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너프건(210)은 드론에 장착된 상태에서 말벌집 근처로 이동된 후, 스펀지탄을 격발하여 발사구를 통해 발사되어 말벌집을 물리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드론본체(110)는 상기 너프건(210)을 교체 장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플랫폼을 가지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드론본체(110)의 전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상기 탄창(212)의 후단부가 수용 지지되는 탄창 수용홈(116)이 형성되고, 상기 드론본체(110)에는 저면 양측에서 전방으로 장착봉(117)이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너프건(210)은 탄창(212)의 후단부가 상기 탄창 수용홈(116)에 수용 지지됨과 동시에 상기 후방 설치대(211a) 및 전방 설치판(211b)의 저면 양측에 상기 장착봉(117)에 선택적으로 끼움 고정되는 클립홀더(C)가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드론본체(110)에 너프건(210)을 교체 장착이 가능할 수 있는 플랫폼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너프건을 교체 사용할 수 있으며, 드론본체(110)에 후술하는 포집기 등과 교체하여 호환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발사구(217)의 상측에는 카메라(218)가 설치되고, 상기 너프건 덮개(216)의 일측에는 FPV안테나(219)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FPV안테나(219)는 후술하는 조정기(400)로 카메라(218)의 영상을 송신하여 조정자는 1인칭 시점인 FPV(First Person View) 모드로 말벌집 제거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구성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말벌 퇴치 수단(200)은 상기 드론본체(110) 전방에 설치되고 말벌을 흡입 분쇄하여 말벌을 퇴치하는 포집기(220)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좀 구체적으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집기(220)는 전단에 말벌이 흡입되는 흡입가이드(221)와, 상기 흡입가이드(221)의 후단에서 하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흡입가이드를 통해 흡입되는 말벌이 가이드 유입되는 가이드관(222)과, 가이드관(222) 내에 설치된 모터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흡입가이드(221)를 통해 유입되는 말벌을 분쇄하는 분쇄장치(223)와, 상기 가이드관(222)의 하단에 설치되고 상기 분쇄장치(223)의 회전에 의해 말벌이 상기 흡입 가이드(221)를 통하여 유입이 되어 분쇄장치(223)를 통과하면서 분쇄된 말벌 사체가 포집되는 포집통(22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포집기는 분쇄된 말벌 사체 뿐만 아니라 분쇄된 벌집이 지면으로 낙하되지 않고 포집통으로 수집되기 때문에 별도로 청소를 요하지 않으며 말벌집을 지키려는 말벌들까지 분쇄 후 수거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전한 작업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드론본체(110)에 상기 포집기(220)를 교체 장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플랫폼을 가지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드론본체(110)에는 저면 양측에서 전방으로 장착봉(117)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포집기(220)의 가이드관(222)에는 양측에 상기 장착봉(117)에 선택적으로 끼움 고정되는 클립홀더(C)가 구성되어, 상기 드론본체(110)는 상기 포집기(220)를 교체 장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플랫폼을 가지게 구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보호가드(300)는 상기 드론본체(110)의 수평 외관에 둘러져 설치되는 수평가드부(310) 및 드론(100)의 상부를 감싸게 설치되는 상부 가드링부(320)로 구성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수평가드부(310)는 충격으로 부터 드론(100)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드 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부 수평가드부(311) 및 상기 상부 수평가드부(311)에서 하측으로 이격 형성된 하부 수평가드부(312)의 이중구조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수평가드부(310)는 상기 암대(120)에 연장되는 수평연장봉(121)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수평가드부(311)와 하부 수평가드부(312)는 원주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간격유지구(313)을 통해 지지 결합된다.
한편, 상기 하부 수평가드부(312)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랜딩로드(314)가 설치되되, 상기 랜딩로드(314)는 상기 하부 수평가드부(312)에 끼움되는 결합되는 랜딩로드몸체(314a) 및 상기 랜딩로드몸체(314a)의 저면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랜딩로드봉(314b)으로 구성된다.
더불어, 상기 상부 가드링부(320)는 탄성을 가지게 구성되고 상기 드론(100)의 상부를 감싸게 설치되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개 설치되는 탄성 가드링(321)으로 구성되되, 상기 탄성 가드링(321)의 단부는 상기 상부 수평가드부(311)를 관통한 후 상기 랜딩로드몸체(314a)의 상면에 끼움 고정되고, 상기 탄성 가드링(321)이 중첩되는 상부 가이드링부(320)의 상단은 고정캡(322)을 통해 지지 고정되게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드론 본체의 수평 외관에 둘러지는 하드 형태의 수평가드부 및 드론 상부 주위를 감싸는 탄성 형태의 상부 가드링부로 구성되는 보호가드를 통해, 드론이 벽 등에 부딪히거나 외부로 부터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드론 및 드론에 설치되는 장치가 파손되지 않게 보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조정기(400)는 상기 드론(100) 및 말벌 퇴치 수단(200)의 작동을 제어하게 구성된다. 물론, 조정기(400)는 카메라(218)에서 송신되는 화면을 표시하게 구성될 수 있다.
좀 구체적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정기(400)는 조정기본체(410)와, 상기 조정기본체(410)에 설치되어 드론(100)의 비행을 제어하는 드론조정바(420)와, 상기 조정기본체(410)에 설치되어 상기 말벌 퇴치 수단을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다수의 작동스위치(430)와, 상기 조정기본체(410)의 중앙에 설치되어 드론 위치를 지도화면으로 표시하고 상기 카메라(218)에서 송신되는 화면을 표시하는 모니터(4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말벌을 포함하는 유해충 퇴치 드론 플랫폼은 드론(100)을 조정기(400)를 통해 말벌집 주변으로 이동시킨 다음, 드론(100)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너프건(210)에서 스펀지탄(B)을 격발하여 말벌집을 물리적으로 제거하거나, 포집기(220)를 통해 말벌을 분쇄 후 수거하여 제거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말벌을 포함하는 유해충 퇴치 드론 플랫폼은 너프건 및 포집기를 교체 장착 가능한 플랫폼을 가지는 드론을 원격 조정하여 높은 곳에 위치한 말벌집을 제거할 수 있게 구성됨으로써, 말벌 퇴치 및 말벌집 제거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낙상 및 벌쏘임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말벌 퇴치 및 말벌집 제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말벌을 포함하는 모든 유해충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드론 200: 말벌 퇴치 수단
210: 너프건 211: 베이스
212: 탄창 213: 탄창캡
214: 스펀지탄 이송부 215: 발사휠
216: 너트건 덮개 217: 발사구
220: 포집기 300: 보호가드
400: 조정기 S: 스펀지탄

Claims (7)

  1. 드론본체와, 상기 드론본체의 외주면을 따라 결합되어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다수개의 암대와, 상기 암대에 결합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다수의 프로펠러로 구성되는 드론; 상기 드론본체의 전방에 교체 장착가능하게 구성되되, 말벌 퇴치 및 말벌집 제거를 위해 설치되는 말벌 퇴치 수단; 상기 드론본체의 수평 외관에 둘러져 설치되는 수평가드부 및 드론의 상부를 감싸게 설치되는 상부 가드링부로 구성되는 보호가드; 및 상기 드론 및 말벌 퇴치 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조정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말벌 퇴치 수단은 스펀지탄을 발사하여 말벌집을 물리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너프건으로 구성되고,
    상기 너프건은, 중앙 전후 방향으로 슬릿이 형성되는 후방 설치대와, 상기 후방 설치대의 전방으로 설치되는 전방 설치판으로 구성되는 베이스와, 상기 슬릿의 양측에서 상기 후방 설치대의 상측으로 설치되는 설치판 상에 전후방향 다수개 설치되되 원통형상을 가지고 내부에 다수의 스펀지탄이 투입되어 장전되는 탄창과, 상기 탄창의 상부를 마감하고 내부에 가압스프링이 설치되어 상기 탄창 내부에 장착되는 스펀지탄을 하측으로 가압하여 스펀지탄을 상기 슬릿측으로 순차적으로 공급하게 구성되는 탄창캡과, 상기 후방 설치대의 전방에 상기 조정기의 조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타이밍 벨트 풀리와, 상기 후방 설치대의 후방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아이들 풀리와, 상기 타이밍 벨트 풀리 및 아이들 풀리에 권취되어 상기 슬릿상에 설치되고 상기 타이밍 벨트 풀리가 회전되면 상기 탄창에서 공급되는 스펀지탄을 전방으로 이송시키는 타이밍 벨트로 구성되는 스펀지탄 이송부와, 상기 전방 설치판의 양측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휠에 결합된 발사롤러의 사이로 진입하는 스펀지탄을 전방을 향해 격발하는 발사휠과, 상기 전방 설치판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발사휠을 덮어 커버하는 너프건 덮개와, 상기 전방 설치판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발사휠에서 격발되는 스펀지탄을 가이드하여 말벌집측으로 발사되게 가이드하는 발사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벌을 포함하는 유해충 퇴치 드론 플랫폼.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본체의 전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상기 탄창의 후단부가 수용 지지되는 탄창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드론본체에는 저면 양측에서 전방으로 장착봉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너프건은 탄창의 후단부가 상기 탄창 수용홈에 수용 지지됨과 동시에 상기 후방 설치대 및 전방 설치판의 저면 양측에 상기 장착봉에 선택적으로 끼움 고정되는 클립홀더가 구성되어,
    상기 드론본체는 상기 너프건을 교체 장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플랫폼을 가지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벌을 포함하는 유해충 퇴치 드론 플랫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사구의 상측에는 카메라가 설치되고,
    상기 너프건 덮개의 일측에는 FPV안테나가 설치되어,
    상기 FPV안테나는 상기 조정기로 카메라에서 영상을 송신하여 조정자는 1인칭 시점인 FPV(First Person View) 모드로 말벌집 제거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벌을 포함하는 유해충 퇴치 드론 플랫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말벌 퇴치 수단은 상기 드론본체 전방에 설치되고 말벌을 흡입 분쇄하여 말벌을 퇴치하는 포집기로 구성되되,
    상기 포집기는 전단에 말벌이 흡입되는 흡입가이드와, 상기 흡입가이드의 후단에서 하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흡입가이드를 통해 흡입되는 말벌이 가이드 유입되는 가이드관과, 가이드관 내에 설치된 모터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흡입가이드를 통해 유입되는 말벌을 분쇄하는 분쇄장치와, 상기 가이드관의 하단에 설치되고 상기 분쇄장치의 회전에 의해 말벌이 상기 흡입 가이드를 통하여 유입이 되어 분쇄장치를 통과하면서 분쇄된 말벌 사체가 포집되는 포집통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드론본체에는 저면 양측에서 전방으로 장착봉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포집기의 가이드관에는 양측에 상기 장착봉에 선택적으로 끼움 고정되는 클립홀더가 구성되어, 상기 드론본체는 상기 포집기를 교체 장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플랫폼을 가지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벌을 포함하는 유해충 퇴치 드론 플랫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가드부는 상부 수평가드부에서 하측으로 이격 형성된 하부 수평가드부로 구성되되,
    상기 상부 수평가드부는 상기 암대에 연장되는 수평연장봉에 결합되어 고정되고,
    상기 상부 수평가드부와 하부 수평가드부는 원주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간격유지구을 통해 지지 결합되며,
    상기 하부 수평가드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랜딩로드가 설치되되, 상기 랜딩로드는 상기 하부 수평가드부에 끼움되는 결합되는 랜딩로드몸체 및 상기 랜딩로드몸체의 저면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랜딩로드봉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 가드링부는 상기 드론의 상부를 감싸게 설치되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개 설치되는 탄성 가드링으로 구성되되, 상기 탄성 가드링의 단부는 상기 상부 수평가드부를 관통한 후 상기 랜딩로드몸체의 상면에 끼움 고정되고, 상기 탄성 가드링이 중첩되는 상부 가이드링부의 상단은 고정캡을 통해 지지 고정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벌을 포함하는 유해충 퇴치 드론 플랫폼.
KR1020230164779A 2023-11-23 2023-11-23 말벌을 포함하는 유해충 퇴치 드론 플랫폼 KR1026610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64779A KR102661023B1 (ko) 2023-11-23 2023-11-23 말벌을 포함하는 유해충 퇴치 드론 플랫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64779A KR102661023B1 (ko) 2023-11-23 2023-11-23 말벌을 포함하는 유해충 퇴치 드론 플랫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1023B1 true KR102661023B1 (ko) 2024-04-26

Family

ID=90882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64779A KR102661023B1 (ko) 2023-11-23 2023-11-23 말벌을 포함하는 유해충 퇴치 드론 플랫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1023B1 (ko)

Citation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46601A1 (en) * 2004-10-07 2007-10-25 Layton Otis F Manned/unmanned V.T.O.L. flight vehicle
KR101052214B1 (ko) 2009-08-21 2011-07-29 송현구 말벌 퇴치기
US20140103158A1 (en) * 2012-10-12 2014-04-17 Benjamin Lawrence Berry AirShip Endurance VTOL UAV and Solar Turbine Clean Tech Propulsion
EP3067273A1 (fr) * 2015-03-13 2016-09-14 Eznov Drone à voilure tournante de type tricopter
US20170369162A1 (en) * 2016-06-28 2017-12-28 Saeid A. ALZAHRANI Multi-mode unmanned aerial vehicle
WO2018033922A1 (en) * 2016-08-18 2018-02-22 Tevel Advanced Technologies Ltd.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harvesting and diluting using aerial drones, for orchards, plantations and green houses
JP2020022474A (ja) * 2019-10-07 2020-02-13 フマキラー株式会社 蜂の駆除装置
WO2020095884A1 (ja) * 2018-11-05 2020-05-14 株式会社Queen Bee And Drone 空中移動式蜂の巣駆除装置及び蜂の巣駆除方法
KR102176480B1 (ko) 2018-11-30 2020-11-09 정혁 말벌 퇴치 및 살상장치
US20200367441A1 (en) * 2019-05-24 2020-11-26 AES Gener S.A. Tree trimming with drone
US20210031917A1 (en) * 2016-04-17 2021-02-04 Lucio Volpi Unmanned aerial vehicle with a dynamic balance system
KR102251563B1 (ko) 2018-12-10 2021-05-12 김봉성 말벌 채집기
KR20210100490A (ko) * 2020-02-06 2021-08-17 라온피플 주식회사 화재 진압용 무인비행체 및 그것을 이용한 화재 진압 시스템 및 화재 진압 방법
KR20210112501A (ko) * 2020-03-05 2021-09-15 주식회사 링크투 로봇 다리를 포함하는 드론
KR20220072904A (ko) * 2020-11-25 2022-06-03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벌집 제거용 드론 약액 살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벌집 제거 방법
KR102441623B1 (ko) 2020-07-10 2022-09-07 신현주 가열판을 이용한 말벌 퇴치장치
KR102480818B1 (ko) * 2021-03-15 2022-12-26 주식회사 에어퓨쳐 말벌퇴치드론용 임무장비

Patent Citation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46601A1 (en) * 2004-10-07 2007-10-25 Layton Otis F Manned/unmanned V.T.O.L. flight vehicle
KR101052214B1 (ko) 2009-08-21 2011-07-29 송현구 말벌 퇴치기
US20140103158A1 (en) * 2012-10-12 2014-04-17 Benjamin Lawrence Berry AirShip Endurance VTOL UAV and Solar Turbine Clean Tech Propulsion
EP3067273A1 (fr) * 2015-03-13 2016-09-14 Eznov Drone à voilure tournante de type tricopter
US20210031917A1 (en) * 2016-04-17 2021-02-04 Lucio Volpi Unmanned aerial vehicle with a dynamic balance system
US20170369162A1 (en) * 2016-06-28 2017-12-28 Saeid A. ALZAHRANI Multi-mode unmanned aerial vehicle
US10293932B2 (en) * 2016-06-28 2019-05-21 Saeid A. ALZAHRANI Multi-mode unmanned aerial vehicle
WO2018033922A1 (en) * 2016-08-18 2018-02-22 Tevel Advanced Technologies Ltd.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harvesting and diluting using aerial drones, for orchards, plantations and green houses
WO2020095884A1 (ja) * 2018-11-05 2020-05-14 株式会社Queen Bee And Drone 空中移動式蜂の巣駆除装置及び蜂の巣駆除方法
KR102176480B1 (ko) 2018-11-30 2020-11-09 정혁 말벌 퇴치 및 살상장치
KR102251563B1 (ko) 2018-12-10 2021-05-12 김봉성 말벌 채집기
US20200367441A1 (en) * 2019-05-24 2020-11-26 AES Gener S.A. Tree trimming with drone
JP2020022474A (ja) * 2019-10-07 2020-02-13 フマキラー株式会社 蜂の駆除装置
KR20210100490A (ko) * 2020-02-06 2021-08-17 라온피플 주식회사 화재 진압용 무인비행체 및 그것을 이용한 화재 진압 시스템 및 화재 진압 방법
KR20210112501A (ko) * 2020-03-05 2021-09-15 주식회사 링크투 로봇 다리를 포함하는 드론
KR102441623B1 (ko) 2020-07-10 2022-09-07 신현주 가열판을 이용한 말벌 퇴치장치
KR20220072904A (ko) * 2020-11-25 2022-06-03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벌집 제거용 드론 약액 살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벌집 제거 방법
KR102480818B1 (ko) * 2021-03-15 2022-12-26 주식회사 에어퓨쳐 말벌퇴치드론용 임무장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99213B2 (en) Multi function photo electro acoustic ions drone
Jones et al. Capturing mammals
CN111316964B (zh) 一种激光灭蚊清洁机器人
CN110461147A (zh) 多功能光电声学离子无人机
US7632167B1 (en) Selective insect trapping system
KR102028363B1 (ko) 유해성 말벌 퇴치 시스템
CN103202275B (zh) 扇吸式益害昆虫分离诱虫灯
US20050274061A1 (en) Mosquito trapping device
US2015017333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pping Flying Insects
US5133150A (en) Insect trap for gypsy moths and other flying insects
CN114794041B (zh) 一种适用于果树病虫害防治的果蝇诱捕装置及其使用方法
KR102661023B1 (ko) 말벌을 포함하는 유해충 퇴치 드론 플랫폼
KR102480818B1 (ko) 말벌퇴치드론용 임무장비
JP5586802B1 (ja) 蜂駆除方法及びその装置
Mott Dispersing blackbirds and starlings from objectionable roost sites
CN112075400A (zh) 一种用于林业有害生物综合防控管理的专用装置
KR101523059B1 (ko) 곤충트랩
Bamford et al. Development of non-explosive-based methods for mass capture of vultures
KR102480813B1 (ko) 말벌퇴치드론
KR20200052703A (ko) 유해충 포집장치
EP3772277B1 (en) Device and process for massive capture of olive flies - electrocutor trap
O'Gara et al. Capturing Golden Eagles using a helicopter and net gun
KR102052989B1 (ko) 말벌유인포획기가 구비된 양봉관리시스템
KR102564656B1 (ko) 말벌 퇴치용 드론
EP3324734B1 (en) Insect tra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