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0936B1 - 자석 부착식 지붕 냉각 살수장치 - Google Patents

자석 부착식 지붕 냉각 살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0936B1
KR102660936B1 KR1020220105035A KR20220105035A KR102660936B1 KR 102660936 B1 KR102660936 B1 KR 102660936B1 KR 1020220105035 A KR1020220105035 A KR 1020220105035A KR 20220105035 A KR20220105035 A KR 20220105035A KR 102660936 B1 KR102660936 B1 KR 1026609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f
building
fine dust
spraying
coo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5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40027198A (ko
Inventor
김성우
Original Assignee
김성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우 filed Critical 김성우
Priority to KR1020220105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0936B1/ko
Publication of KR20240027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71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0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09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0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 F24F5/0035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using evapo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9/00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10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storing energy
    • F03D9/11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storing energy storing electrical energ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46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using natural energy, e.g. solar energy, energy from the grou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21/00Applications of separation devices
    • B01D2221/16Separation devices for cleaning ambient air, e.g. air along roads or air in ci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46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using natural energy, e.g. solar energy, energy from the ground
    • F24F2005/0064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using natural energy, e.g. solar energy, energy from the ground using solar energy
    • F24F2005/006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using natural energy, e.g. solar energy, energy from the ground using solar energy with photovoltaic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24F2110/12Temperature of the outsid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 F24F2110/22Humidity of the outsid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4Airborne particle cont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6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on the ro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pray Control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 지붕의 샌드위치 패널에 부착되도록 자석을 이용하여 건물 지붕에 배치시킬 수 있고 건물 지붕에 배치된 고정구조물과의 간섭없이 배치 위치를 손쉽게 조정할 수 있으며, 건물 지붕의 주변 환경 여건에 따라 물 분사량 및 전기 에너지를 최소화하여 낭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하고, 원격으로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건물 지붕 주변의 온도와 습도 및 미세먼지 농도 등의 주변 상황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으며, 온도와 습도 및 미세먼지 정보에 따라 물 분사동작이 연동되도록 함으로써 물 분사시 최적의 물 분사량으로 높은 증발 효율을 얻을 수 있고 미세먼지의 포집으로 주변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태양광 모듈을 분사기 본체의 상부면에 배치하거나 건물 지붕에 마련되는 풍력발전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게 되어 외부 전원의 공급없이 분사기 본체측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자석 부착식 지붕 냉각 살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석 부착식 지붕 냉각 살수장치{A MAGNATIC TYPE WATER SPRINKLING SYSTEM ON THE ROOF}
본 발명은 자석 부착식 지붕 냉각 살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물 지붕의 샌드위치 패널에 부착되도록 자석을 이용하여 건물 지붕에 배치시킬 수 있고 건물 지붕에 배치된 고정구조물과의 간섭없이 배치 위치를 손쉽게 조정할 수 있으며, 건물 지붕의 주변 환경 여건에 따라 물 분사량 및 전기 에너지를 최소화하여 낭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하고, 원격으로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건물 지붕 주변의 온도와 습도 및 미세먼지 농도 등의 주변 상황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으며, 온도와 습도 및 미세먼지 정보에 따라 물 분사동작이 연동되도록 함으로써 물 분사시 최적의 물 분사량으로 높은 증발 효율을 얻을 수 있고 미세먼지의 포집으로 주변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태양광 모듈을 분사기 본체의 상부면에 배치하거나 건물 지붕에 마련되는 풍력발전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게 되어 외부 전원의 공급없이 분사기 본체측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자석 부착식 지붕 냉각 살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 지붕의 냉각 살수장치는 지붕의 표면으로 다수개의 통공이 1열 또는 2열로 형성된 급수관을 설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외부의 물을 급수관으로 공급받은뒤 급수관에 형성된 다수개의 통공을 통해 물을 흘려 보내면 상기 통공을 통해 나온 물이 지붕의 표면과 접촉하면서 지붕의 열과 함께 증발하는 작용에 의해 냉방효과를 얻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은 급수관의 통공으로 흘러 나오는 물을 제어하지 못하고 지속적으로 흘려 보내야 하기 때문에 물의 낭비가 심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많은 물을 지붕으로 흘려보내는 이유에 의해 건물 주위의 지면에는 항상 물이 떨어져 있어 지저분하였었고 지붕으로 흐르는 물소리는 소음의 원인이 되기도 하였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종래의 살수장치는 살수 동작시 사용자가 직접 살수장치를 수동으로 동작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었으므로 제품의 사용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종래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15244호 "건물 지붕의 냉각 살수장치"(등록일자 : 2000.12.18)에 개시된 바와 같이, 지붕의 표면으로 지지대를 고정한뒤 상기의 지지대에 형성된 클램프로 급수관을 고정시키고 상기 급수관의 요소요소에는 물을 살수할 수 있는 다수개의 살수기를 설치한뒤 상기 살수기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감지센서의 감지에 따른 콘트롤박스의 판단에 의해 전자밸브를 자동 개폐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살수기에서 살수된 물이 지붕의 열을 흡수한뒤 증발하는 작용에 의해 건물 내부를 시원하게 하여 건물의 강제 냉방(공기 조화) 비용을 감소시키거나 없앨 수 있고 최소량의 물을 사용하여 지붕을 골고루 적셔 냉방효과를 얻을 수 있는 건물 지붕의 냉각 살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존 지붕 냉각 살수장치와 관련된 종래 다른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00338호 "건물 지붕의 냉각 살수장치용 분무노즐의 보정장치"(등록일자: 2016.02.29)에 개시된 바와 같이, 분무노즐이 결합된 분기관의 하측면으로 고정대의 안착부를 결합하여 공급관으로 공급되는 물을 경사지거나 평면상으로 된 건물 지붕으로 분무하여 냉각시키는 다수개의 분무노즐들을 상호 동일한 높이 또는 각도로 설치하거나 사용으로 인해 변형된 분무노즐의 높이 또는 각도를 설치시의 각도로 보정할 수 있도록 하고 고정대의 안착부 내면 일측으로 고정홈을 형성하여 분기관 일측면에 돌출된 돌출편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고정대의 안착부와 분기관 사이에 유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며 고정대의 저부로 조절공을 형성하여 고정대의 높이 또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조절공으로 다수개의 결합부를 결합하여 조절공을 지지시킨 다음 결합부의 하측부로 다수개의 각도조절대를 연결하여 지붕면과 접촉하여 결합부를 지지시켜서 된 건물 지붕의 냉각 살수장치용 분무노즐의 보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런데, 기존 지붕 냉각용 살수장치의 경우에는 고압 노즐을 이용하여 냉각수를 미스트로 고압 분무하는 과정에서 냉각수의 공급압이 맥동식으로 전달됨에 따라 냉각수 공급관측에 진동이 발생하게 되고, 상기한 진동에 의해 공급관이 이탈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지지대가 구비되어 있으나, 냉각수 공급시 발생되는 맥동압력에 대한 충분한 지지력과 내구성을 가지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그런데, 기존 지붕 냉각 살수장치의 경우에는 하절기 지붕의 냉각을 위해 살수하기 위해 고정된 위치에 설치되어야 하므로, 별도의 결합수단 및 구조가 요구될 뿐만 아니라, 건물 지붕에 고정구조물이 복잡하게 설치되어 있을 경우에는 고정구조물과의 간섭으로 인해 배치에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기존 지붕 냉각 살수장치는 건물 지붕의 온도나 습도 등의 주변 여건에 관계없이 동작이 이루어지므로, 분사되는 물이나 전기 에너지의 낭비가 우려되고 있다.
그리고, 기존 지붕 냉각 살수장치는 관리자나 사용자가 접근하기 어려운 지붕에 설치되므로, 유지 보수관리에 어려움이 있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15244호 "건물 지붕의 냉각 살수장치"(등록일자 : 2000.12.18)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00338호 "건물 지붕의 냉각 살수장치용 분무노즐의 보정장치"(등록일자: 2016.02.29)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건물 지붕의 샌드위치 패널에 부착되도록 자석을 이용하여 건물 지붕에 배치시킬 수 있고 건물 지붕에 배치된 고정구조물과의 간섭없이 배치 위치를 손쉽게 조정할 수 있으며, 건물 지붕의 주변 환경 여건에 따라 물 분사량 및 전기 에너지를 최소화하여 낭비를 줄일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자석 부착식 지붕 냉각 살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원격으로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건물 지붕 주변의 온도와 습도 및 미세먼지 농도 등의 주변 상황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으며, 온도와 습도 및 미세먼지 정보에 따라 물 분사동작이 연동되도록 함으로써 물 분사시 최적의 물 분사량으로 높은 증발 효율을 얻을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미세먼지의 포집으로 주변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자석 부착식 지붕 냉각 살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태양광 모듈을 분사기 본체의 상부면에 배치하거나 건물 지붕에 마련되는 풍력발전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게 되어 외부 전원의 공급없이 분사기 본체측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자석 부착식 지붕 냉각 살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금속 소재의 건물 지붕에 탈 부착 가능하고 무게 중심을 하측으로 유도하도록 하부에 자석부재가 마련되고, 내부에 분사용 냉각수가 충전되는 공간부를 가지며, 내부에 상기 분사용 냉각수를 펌핑하는 펌프가 배치되고, 상부에 상기 분사용 냉각수를 분사하는 물 분사구가 배치되는 분사기 본체와; 상기 분사기 본체의 상부면에 배치되고 태양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전환시켜 상기 분사기 본체에 배치된 배터리측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태양광 모듈과; 상기 건물 지붕의 주변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온도 정보를 제어부측으로 출력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건물 지붕의 주변 습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습도 정보를 제어부측으로 출력하는 습도센서와; 상기 건물 지붕의 주변 미세먼지 농도를 계측하고 계측된 미세먼지 농도 정보를 제어부측으로 출력하는 미세먼지센서와; 상기 온도센서와 습도센서 및 미세먼지센서로부터 인가된 온도와 습도 및 미세먼지농도 정보를 근거로 상기 분사용 냉각수의 분사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펌프측으로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마련되어 펌프의 구동 및 정지, 온도, 습도, 미세먼지 및 발전량 데이터를 포함한 정보를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외부의 관리자 휴대폰 단말기나 컴퓨터측으로 전송하는 무선 송신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사기 본체는 외부로부터 분사용 냉각수가 공급되도록 배관과 연결되고, 상기 공간부 내에 분사용 냉각수의 수위 조절을 위한 볼탑이 더 구비된 것이다.
상기 배관은 신축 가능한 소재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건물 지붕에 배치되고 풍력에 의해 회전되는 복수의 블레이드를 가지며,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력으로 발전하고 발전된 전기 에너지를 상기 배터리측으로 제공하는 풍력발전기가 더 구비된 것이다.
본 발명은 별도의 결합수단이나 결합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고 건물 지붕의 패널에 자석부재의 자력으로 분사기 본체를 부착할 수 있으므로, 경사진 건물 지붕이나 고정구조물이 복잡한 건물 지붕에도 용이하게 부착시킬 수 있게 되어 분사기 본체의 설치작업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유용한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건물 지붕 주변의 온도와 습도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에 연동하여 펌프의 구동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으므로, 분사된 냉각수의 증발상태를 최적화하여 최소량의 물 분사량으로 높은 증발 효율을 얻을 수 있게 되어 물 소모량과 전기 에너지 소모량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 본 발명은 건물 지붕 주변의 미세먼지 농도를 계측하여 수집하고, 수집된 미세먼지 농도에 따라 물 분사를 제어함으로써, 분사된 물을 이용하여 미세먼지를 포집하여 건물 지붕의 주변 공기를 정화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상기한 펌프나 제어부(컨트롤러)의 동작에 필요한 전기 에너지를 태양광 모듈과 풍력발전기를 이용한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하여 제공할 수 있으므로, 에너지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기존 기계실에서 펌프를 구동시켜 지붕 전체에 냉각수를 분사하는 것이 아니라, 분사기 본체가 설치된 건물 지붕의 크기, 분사기 본체의 설치 위치 또는 시간대, 경사 기울기, 높이 등의 주변 여건에 적합하도록 분사용 냉각수가 자동으로 분사됨에 따라 한 건물에서도 다양하게 냉각수 분사여건을 최적화하도록 조정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석 부착식 지붕 냉각 살수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자석 부착식 지붕 냉각 살수장치가 건물 지붕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석 부착식 지붕 냉각 살수장치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금속 소재의 건물 지붕(10)에 탈 부착 가능하고 무게 중심을 하측으로 유도하도록 하부에 자석부재(110)가 마련되고, 내부에 분사용 냉각수가 충전되는 공간부(105)를 가지며, 내부에 상기 분사용 냉각수를 펌핑하는 펌프(150)가 배치되고, 상부에 상기 분사용 냉각수를 분사하는 물 분사구(200)가 배치되는 분사기 본체(100)와; 상기 분사기 본체(100)의 상부면에 배치되고 태양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전환시켜 상기 분사기 본체(100)에 배치된 배터리(500)측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태양광 모듈(300)과; 상기 건물 지붕(10)의 주변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온도 정보를 제어부(400)측으로 출력하는 온도센서(410)와; 상기 건물 지붕(10)의 주변 습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습도 정보를 제어부(400)측으로 출력하는 습도센서(420)와; 상기 건물 지붕(10)의 주변 미세먼지 농도를 계측하고 계측된 미세먼지 농도 정보를 제어부(400)측으로 출력하는 미세먼지센서(430)와; 상기 온도센서(410)와 습도센서(420) 및 미세먼지센서(430)로부터 인가된 온도와 습도 및 미세먼지농도 정보를 근거로 상기 분사용 냉각수의 분사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펌프(150)측으로 출력하는 제어부(400); 및 상기 제어부(400)에 마련되어 펌프(150)의 구동 및 정지, 온도, 습도, 미세먼지 및 발전량 데이터를 포함한 정보를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외부의 관리자 휴대폰 단말기나 컴퓨터측으로 전송하는 무선 송신부(45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분사기 본체(100)는 하부에 건물 지붕(10)의 샌드위치 패널에 부착 가능하도록 자석부재(110)가 배치되고, 상기 마그네틱의 상측에 분사용 냉각수가 충전되는 공간부(105)가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자석부재(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소재인 샌드위치 패널에 분사기 본체(100)를 부착시키도록 마그네틱 베이스로 구성되며, 이로 인해 경사진 각도로 구성된 건물 지붕(10)의 샌드위치 패널에도 별도의 결합수단없이 분사기 본체(100)를 부착시킬 수 있으며, 복잡한 고정구조물이 배치되어 있더라도 건물 지붕(10)의 원하는 위치에 분사기 본체(100)를 선택적으로 부착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이를 위해 상기 분사기 본체(100)와 연결되어 공간부(105) 내부로 분사용 냉각수를 공급하는 배관(50)은 신축 가능한 플렉시블한 구조의 호스를 사용하거나 건물 외관 설계를 고려한 경질관을 채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석부재(110)는 분사기 본체(100)의 하부에 배치되어 무게중심추 역할을 수행하게 됨에 따라 무게 중심을 하측으로 유도하여 분사기 본체(100)의 건물 지붕(10)에 안정적으로 배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분사기 본체(100)의 공간부(105) 내에는 상기 제어부(400)의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되며 상기 분사용 냉각수를 상측의 물 분사구(200)측으로 압송하는 펌프(150)가 배치된다.
상기 분사기 본체(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상기 펌프(150)로부터 압송된 분사용 냉각수를 스프레이 방식으로 고압 분사하는 물 분사구(200)가 마련된다.
상기 분사기 본체(100)는 외부로부터 분사용 냉각수가 공급되도록 배관(50) 연결되고, 상기 공간부(105) 내에 상기 분사용 냉각수의 수위 조절을 위한 볼탑(130)이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분사기 본체(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에 태양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전환시키고, 전환된 전기 에너지를 상기 배터리(500)측으로 제공하도록 태양광 모듈(300)이 구비된다.
상기 태양광 모듈(300)은 태양광 패널과 회로기판이 구비된다.
상기 분사기 본체(100)의 공간부(105) 내에 배치된 펌프(150)는 수중펌프로서, 상기 공간부(105)내의 하부에 배치되어 공간부(105)에 충전된 분사용 냉각수를 분사기 본체(100)의 상부에 마련된 물 분사구(200)측으로 압송하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분사기 본체(100)에 마련되며, 온도센서(410)와 습도센서(420)로부터 전달되는 건물 지붕(10)의 온도 및 습도 정보에 따라 최적의 증발효율을 얻을 수 있을 때 분사용 냉각수를 분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건물 지붕(10)의 주변 온도와 습도를 동시에 관리하여 물(분사용 냉각수)의 증발 상태에 따라 최소량의 물을 분사하할 수 있도록 물 증발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제어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400)는 건물 지붕(10)의 미세먼지 농도를 계측하고 이에 대한 미세먼지 농도 정보를 제어부(400)측으로 출력하는 미세먼지센서(430)가 더 구비된다.
상기 제어부(400)는 건물 지붕(10) 주변의 온도 정보와 습도 정보 및 미세먼지 정보를 수집한 후에 수집된 정보들을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미리 등록된 건물 관리자의 휴대폰 단말기나 컴퓨터측으로 전송하도록 무선 송신부(450)가 더 구비된다.
본 발명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건물 지붕(10)에 배치되고 상기 배터리(500)측으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풍력 발전기(600)가 더 구비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건물 지붕(10)이 경사진 샌드위치 패널로 구성되고 복잡한 고정 구조물이 배치되어 있더라도, 마그네틱 베이스인 자석부재(110)가 분사기 본체(100)의 하부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분사기 본체(100)를 별도의 결합수단없이 건물 지붕(10)의 원하는 위치에 부착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분사기 본체(100)는 복수개가 배관(50)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배관(50)을 통해 공간부(105) 내에 분사용 냉각수를 충전시킬 수 있으며, 앞서 설명한 신축 가능한 소재의 배관(50)을 이용하여 쉽게 연결하거나 혹은 상기 경질의 배관(50)을 사용하더라도 간단한 가공작업을 통하여 상기 분사기 본체(100)의 위치가 다른 위치로 선택하더라도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건물 지붕(10)의 주변 온도와 습도에 대한 정보를 온도센서(410)와 습도센서(420)로부터 수집한 후에, 상기 수집된 정보를 근거로 최적의 조건에서 물이 증발되어 건물 지붕(10)을 냉각시킬 수 있도록 물 증발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펌프(150)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즉, 상기 제어부(400)는 건물 지붕(10)의 온도와 습도에 따라 연동되도록 상기 펌프(150)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물이 최적의 효율로 증발될 수 있는 온도와 습도 조건에서 분사용 냉각수가 물 분사구(200)를 통해 건물 지붕(10)측으로 분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물 분사구(200)를 통해 분사된 분사용 냉각수는 건물 지붕(10)의 샌드위치패널에 접촉되면서 증발되고, 물의 증발 과정에서 건물 지붕(10)을 냉각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미세먼지센서(430)로부터 수집된 건물 지붕(10)의 미세먼지 농도를 근거로 기준값보다 더 미세먼지 농도가 심할 경우, 펌프(150)를 구동시키고 분사용 냉각수를 분사하여 건물 지붕(10) 주변의 미세먼지를 포집하여 정화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상기 태양광 모듈(300)은 상기 분사기 본체(100)의 상부면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태양광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시켜 배터리(500)측으로 공급함으로써, 외부 전원의 공급이나 배선 연결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고 펌프(150)나 제어부(400)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풍력발전기(600)는 원활하고 안정적인 전원 공급위해 선택적으로 사용되며 상기 풍력발전기(600)가 건물 지붕(10)에 더 구비될 경우, 상기 풍력발전기(600)는 풍력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전환시킨 후에, 전기 에너지를 상기 배터리(500)측으로 공급함으로써, 외부 전원의 공급이나 배선 연결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고 펌프(150)나 제어부(400)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볼탑(130)은 상기 분사기 본체(100)의 공간부(105) 내에 충전된 분사용 냉각수의 수위를 조절하여 배관(50)을 통해 공급되는 물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400)는 무선 통신을 이용한 원격상태 확인, 펌프(150)의 구동 및 정지, 온도, 습도, 미세먼지, 발전량 데이터등의 수집된 정보를 무선 송신부(450)를 통해 기등록된 관리자의 휴대폰 단말기나 컴퓨터측으로 전송함으로써, 건물 지붕(10) 주변의 정보와 장치의 가동상태를 건물 지붕(10)에 올라가지 않고 안전한 지상에서 원격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별도의 결합수단이나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고 건물 지붕(10)의 패널에 자석부재(110)의 자력으로 분사기 본체(100)를 부착할 수 있으므로, 경사진 건물 지붕(10)이나 고정구조물이 복잡한 건물 지붕(10)에도 용이하게 부착시킬 수 있게 되어 분사기 본체(100)의 설치작업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유용한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건물 지붕(10) 주변의 온도와 습도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에 연동하여 펌프(150)의 구동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으므로, 분사된 냉각수의 증발상태를 최적화하여 최소량의 물 분사량으로 높은 증발 효율을 얻을 수 있게 되어 물 소모량과 전기 에너지 소모량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 본 발명은 건물 지붕(10) 주변의 미세먼지 농도를 계측하여 수집하고, 수집된 미세먼지 농도에 따라 물 분사를 제어함으로써, 분사된 물을 이용하여 미세먼지를 포집하여 건물 지붕(10)의 주변 공기를 정화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상기한 펌프(150)나 제어부(400)(컨트롤러)의 동작에 필요한 전기 에너지를 태양광 모듈(300)과 풍력발전기(600)를 이용한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하여 제공할 수 있으므로, 에너지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기존 기계실에서 펌프를 구동시켜 지붕 전체에 냉각수를 분사하는 것이 아니라, 분사기 본체(100)가 설치된 건물 지붕(10)의 크기(대형,소형 건물 등의 구분), 분사기 본체(100)의 설치 위치 또는 시간대, 경사 기울기, 높이 등의 주변 여건에 적합하도록 분사용 냉각수가 자동으로 분사됨에 따라 한 건물에서도 다양하게 냉각수 분사여건을 경제적으로 최적화하도록 조정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앞서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이상에서와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건물 지붕 50 : 배관
100 : 분사기 본체 105 : 공간부
110 : 자석부재 130 : 볼탑
150 : 펌프 200 : 물 분사구
300 : 태양광 모듈 400 : 제어부
410 : 온도센서 420 : 습도센서
430 : 미세먼지센서 450 : 무선 송신부
500 : 배터리 600 : 풍력발전기

Claims (4)

  1. 금속 소재의 건물 지붕(10)에 탈 부착 가능하고 무게 중심을 하측으로 유도하도록 하부에 자석부재(110)가 마련되고, 내부에 분사용 냉각수가 충전되는 공간부(105)를 가지며, 내부에 상기 분사용 냉각수를 펌핑하는 펌프(150)가 배치되고, 상부에 상기 분사용 냉각수를 분사하는 물 분사구(200)가 배치되는 분사기 본체(100)와;
    상기 분사기 본체(100)의 상부면에 배치되고 태양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전환시켜 상기 분사기 본체(100)에 배치된 배터리(500)측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태양광 모듈(300)과;
    상기 건물 지붕(10)의 주변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온도 정보를 제어부(400)측으로 출력하는 온도센서(410)와;
    상기 건물 지붕(10)의 주변 습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습도 정보를 제어부(400)측으로 출력하는 습도센서(420)와;
    상기 건물 지붕(10)의 주변 미세먼지 농도를 계측하고 계측된 미세먼지 농도 정보를 제어부(400)측으로 출력하는 미세먼지센서(430)와;
    상기 온도센서(410)와 습도센서(420) 및 미세먼지센서(430)로부터 인가된 온도와 습도 및 미세먼지농도 정보를 근거로 상기 분사용 냉각수의 분사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펌프(150)측으로 출력하는 제어부(400); 및
    상기 제어부(400)에 마련되어 펌프(150)의 구동 및 정지, 온도, 습도, 미세먼지 및 발전량 데이터를 포함한 정보를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외부의 관리자 휴대폰 단말기나 컴퓨터측으로 전송하는 무선 송신부(45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 부착식 지붕 냉각 살수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사기 본체(100)는 외부로부터 분사용 냉각수가 공급되도록 배관(50)과 연결되고, 상기 공간부(105) 내에 분사용 냉각수의 수위 조절을 위한 볼탑(130)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 부착식 지붕 냉각 살수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배관(50)은 신축 가능한 소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 부착식 지붕 냉각 살수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건물 지붕(10)에 배치되고 풍력에 의해 회전되는 복수의 블레이드를 가지며,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력으로 발전하고 발전된 전기 에너지를 상기 배터리(500)측으로 제공하는 풍력발전기(60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 부착식 지붕 냉각 살수장치.
KR1020220105035A 2022-08-22 2022-08-22 자석 부착식 지붕 냉각 살수장치 KR1026609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5035A KR102660936B1 (ko) 2022-08-22 2022-08-22 자석 부착식 지붕 냉각 살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5035A KR102660936B1 (ko) 2022-08-22 2022-08-22 자석 부착식 지붕 냉각 살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7198A KR20240027198A (ko) 2024-03-04
KR102660936B1 true KR102660936B1 (ko) 2024-04-26

Family

ID=90297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5035A KR102660936B1 (ko) 2022-08-22 2022-08-22 자석 부착식 지붕 냉각 살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093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2340B1 (ko) * 2006-07-27 2006-11-15 (주)유원건축사사무소 빗물을 이용한 건축물 지붕 온도저감시설
KR102345578B1 (ko) * 2020-10-29 2021-12-31 주식회사 블루오션테크 자가발전형 무배전 구조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5244Y1 (ko) 2000-09-26 2001-03-02 김근기 건물 지붕의 냉각 살수장치
KR101600338B1 (ko) 2014-08-27 2016-03-07 김성우 건물 지붕의 냉각 살수장치용 분무노즐의 보정장치
KR102197726B1 (ko) * 2019-01-29 2021-01-04 충청대학교 산학협력단 태양광발전 쿨링 포그 시스템
KR102257881B1 (ko) * 2019-05-20 2021-05-28 주식회사 금호테크닉스 부착식의 태양광발전모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2340B1 (ko) * 2006-07-27 2006-11-15 (주)유원건축사사무소 빗물을 이용한 건축물 지붕 온도저감시설
KR102345578B1 (ko) * 2020-10-29 2021-12-31 주식회사 블루오션테크 자가발전형 무배전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7198A (ko) 2024-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60936B1 (ko) 자석 부착식 지붕 냉각 살수장치
CN209079464U (zh) 一种数码印花机的喷头保温保湿装置
KR20190064214A (ko) 1유체 분사노즐의 미세 분무를 통한 태양광패널 냉각방법 및 이를 이용한 태양광패널 냉각장치
CN105618293A (zh) 稳压供水的喷雾装置及其使用方法
CN203764473U (zh) 喷雾机
CN209576125U (zh) 一种防扬尘喷淋系统
CN203375593U (zh) 一种喷雾式加湿降温装置
CN105276873A (zh) 一种无尘式节能高效的冷却系统
CN214220824U (zh) 一种气膜储煤棚的可调温加湿供风组合装置
CN205462847U (zh) 气雾抑尘装置
CN108724945A (zh) 一种数码印花机的喷头保温保湿装置
CN210801431U (zh) 一种温湿空调送风装置
CN207527766U (zh) 一种空调微雾加湿器供水装置
CN112974022A (zh) 一种能够快速降低奶牛热应激反应的喷淋系统
CN219268816U (zh) 光伏发电系统
CN209801654U (zh) 分体空调外机加装手自动清洗及冷却散热节能的装置
CN216457764U (zh) 一种猪舍用喷雾降尘系统及猪舍
CN207504818U (zh) 一种光伏清扫机器人
CN101650061A (zh) 一种利用压差进行机房温控的装置
CN218328487U (zh) 一种智能高压微雾加湿系统及恒温恒湿系统
CN204730356U (zh) 一种空调喷水雾降温节能系统
CN217449479U (zh) 环保型干雾抑尘系统及其万向喷雾机构
CN212733229U (zh) 一种无遮挡的光伏组件喷淋系统
CN213395626U (zh) 一种用于提高空调室外机散热能力的装置
CN214307398U (zh) 一种电气自动化控制温湿空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