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0511B1 -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0511B1
KR102660511B1 KR1020170018691A KR20170018691A KR102660511B1 KR 102660511 B1 KR102660511 B1 KR 102660511B1 KR 1020170018691 A KR1020170018691 A KR 1020170018691A KR 20170018691 A KR20170018691 A KR 20170018691A KR 102660511 B1 KR102660511 B1 KR 1026605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ume
content
image
volume image
broadcast rece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8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2664A (ko
Inventor
황의현
김도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18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0511B1/ko
Priority to EP18153529.5A priority patent/EP3361740B1/en
Priority to US15/885,102 priority patent/US10412452B2/en
Priority to CN201810139878.1A priority patent/CN108419105B/zh
Publication of KR20180092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26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0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05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8Scheduling content for creating a personalised stream, e.g. by combining a locally stored advertisement with an incoming stream; Updating operations, e.g. for OS modules ; time-related management operations
    • H04N21/4586Content update operation triggered locally, e.g. by comparing the version of software modules in a DVB carousel to the version stored local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2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additional display device, e.g. video proj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2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splicing one content stream with another content stream, e.g. for inserting or substituting an advertis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10Arrangements for replacing or switching information during the broadcast or the distribution
    • H04H20/106Receiver-side switch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61Arrangements for services using the result of monitoring, identification or recognition covered by groups H04H60/29-H04H60/54
    • H04H60/65Arrangements for services using the result of monitoring, identification or recognition covered by groups H04H60/29-H04H60/54 for using the result on users' si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8Multiplexing of audio and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6Channel or content management, e.g. generation and management of keys and entitlement messages in a conditional access system, merging a VOD unicast channel into a multicast channel
    • H04N21/2668Creating a channel for a dedicated end-user group, e.g. insertion of targeted commercials based on end-user pro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1Demultiplexing of audio and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 H04N21/4351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involving reassembling additional data, e.g. rebuilding an executable program from recovered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9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08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operations for analysing video streams, e.g. detecting features or characteristics in the video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16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splicing one content stream with another content stream, e.g. for substituting a video cl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2Retrieving content or additional data from different sources, e.g. from a broadcast channel and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2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modifying audio parameters, e.g. switching between mono and stere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vertisement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방송 수신 장치로부터 제1 콘텐츠를 수신하는 제1 통신부; 외부 서버로부터 제2 콘텐츠를 수신하는 제2 통신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제1 콘텐츠 대신에 제2 콘텐츠를 표시할 때 상기 제1 콘텐츠로부터 음량 이미지를 검출하면, 제2 콘텐츠의 이미지에 상기 음량 이미지 또는 상기 음량 이미지에 대응하는 대체 이미지를 오버레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광고를 교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동적 광고 교체(DAR: dynamic advertisement replacement)는 제1 서버(예: 방송 서버)로부터 수신된 제1 광고 콘텐츠 대신에 제2 서버(예: 광고 서버)로부터 수신된 제2 광고 콘텐츠를 출력하는 것이다.
동적 광고 교체는 콘텐츠를 수신하는 셋탑 박스(set top box) 또는 콘텐츠를 재생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예: TV) 등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종래의 셋탑 박스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ACR(Auto Contents Recogntion) 서버와 통신하여 광고를 대체 가능한 시점을 확인하고, 광고 서버로부터 확인된 시점에 대체될 제2 광고 콘텐츠를 수신하며, 확인된 시점에 제1 광고 콘텐츠 대신 제2 광고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방송 콘텐츠를 방송 수신 장치(예: 셋탑 박스)를 통해 수신하고, 동적 광고 교체를 직접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는 방송 수신 장치로부터 방송 콘텐츠(예: 광고 콘텐츠, 방송 프로그램 콘텐츠)를 수신하고, 외부 서버(예: 광고 서버)로부터 상기 방송 콘텐츠를 대체할 대체 광고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광고 콘텐츠를 대신해 대체 광고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방송 수신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1 콘텐츠를 대신하여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된 제2 콘텐츠를 출력할 때 방송 수신 장치의 UI 이미지에 대응하는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방송 수신 장치로부터 제1 콘텐츠를 수신하는 제1 통신부; 외부 서버로부터 제2 콘텐츠를 수신하는 제2 통신부; 및 상기 제1 콘텐츠를 대신해 제2 콘텐츠를 출력하는 중에, 상기 제1 콘텐츠에 상기 방송 수신 장치에 의해 부가된 제1 음량 이미지가 포함되는지를 확인하고, 상기 제1 콘텐츠에 상기 제1 음량 이미지가 포함되면, 제2 콘텐츠에 상기 제1 음량 이미지 또는 상기 제1 음량 이미지에 대응하는 대체 음량 이미지를 오버레이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한 디스플레이 방법은, 방송 수신 장치로부터 제1 콘텐츠를 수신하고, 외부 서버로부터 제2 콘텐츠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제1 콘텐츠 대신에 제2 콘텐츠를 출력하는 동작; 상기 제2 콘텐츠가 출력되는 도중에 상기 제1 콘텐츠에 제1 음량 이미지가 포함되는지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제1 콘텐츠에 제1 음량 이미지가 포함되면, 제2 콘텐츠에 상기 제1 음량 이미지 또는 상기 제1 음량 이미지에 대응하는 대체 음량 이미지를 오버레이하여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는, 방송 수신 장치로부터의 제1 콘텐츠 대신에 외부 서버로부터의 제2 콘텐츠를 출력하는 동작; 상기 제2 콘텐츠가 출력되는 도중에 상기 제1 콘텐츠에 제1 음량 이미지가 포함되는지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제1 콘텐츠에 제1 음량 이미지가 포함되면, 제2 콘텐츠에 상기 제1 음량 이미지 또는 상기 제1 음량 이미지에 대응하는 대체 이미지를 오버레이하여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대체 광고를 출력할 때 방송 수신 장치의 UI 이미지에 대응하는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음량 이미지의 표시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기의 음량 이미지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의 뮤트 이미지의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음량 이미지의 예시도이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포함된 프로그램 모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의 종류 식별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음량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털 방송 시스템(100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 방송 수신 장치(200), ACR 서버(300), 방송 서버(400) 및 광고 서버(5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설명의 편의성을 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하나로 도시하였지만,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는 장치로서, 복수의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장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방송 수신 장치(200)는 방송 서버(500)로부터 방송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콘텐츠는, 예를 들어, 콘텐츠(예: 방송 프로그램) 이미지 또는 광고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장치(200)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망을 통해 방송 서버(500)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방송 수신 장치(200)는 방송 서버(400)로부터의 방송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송신할 수 있다. 방송 수신 장치(200)는 수신된 방송 콘텐츠에 UI 이미지를 블렌딩(blending)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송신할 수 있다. 방송 수신 장치(200)는,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방송 콘텐츠에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UI 이미지를 블렌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UI 이미지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실행된 기능 표시 또는 사용자 입력으로 요청된 정보 표시 등을 위한 이미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UI 이미지는 콘텐츠 정보 이미지, 채널 정보 이미지 및 음량 이미지 등을 표현할 수 있으며, 텍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장치(200)는 예를 들어, 셋탑 박스 등과 같이 콘텐츠를 수신 또는 저장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송신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음량 이미지는 예컨대, 음량 레벨 정보를 나타내는 음량 레벨 이미지와 음량이 뮤트(mute) 상태임을 나타내는 뮤트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장치(200)의 리모컨(210)은 두 가지 종류의 음량 조절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음량 조절을 위한 제1 음량 조절 버튼들이고, 다른 하나는 방송 수신 장치(200)의 음량 조절을 위한 제2 음량 조절 버튼들일 수 있다. 제1 음량 조절 버튼들이 조작되면, 리모컨(21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음량 조절을 요청하는 제1 사용자 입력을 송신하고, 제2 음량 조절 버튼들이 조작되면, 리모컨(210)은 방송 수신 장치(200)로 음량 조절을 요청하는 제2 사용자 입력을 송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 수신 장치(200)의 리모컨(210)으로부터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구비된 증폭기 등을 이용하여 방송 콘텐츠의 음량을 조절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음량 이미지를 방송 콘텐츠에 오버레이하여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방송 수신 장치(200)는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방송 수신 장치(200)에 구비된 증폭기 등을 이용하여 방송 콘텐츠의 음량을 조절하고, 방송 수신 장치(200)의 음량 이미지를 방송 콘텐츠에 블렌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송신할 수 있다. 이 같이, 방송 수신 장치(20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음량 조절 구성요소는 서로 다르므로, 제1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음량 조절 단위와 제2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음량 조절 단위는 서로 다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예를 들어, TV, 모니터, 노트북, LFD(Large Format Display),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전자책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스마트폰(smartphone) 및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 서버(400), ACR 서버(300) 또는 광고 서버(500)와 통신망을 통해서 통신할 수 있다. 상기 통신망은 인터넷망이나 방송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망은 예를 들어, LAN, FTTH, xDSL, WiFi, Wibro, 3G 또는 4G 등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 수신 장치(200)로부터 방송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 수신 장치(200)와 유선(예: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DVI(digital video/visual interactive), VGA(video graphics array), 디스플레이 포트(display port) 등) 또는 무선(예: WiHD(wireless HD), Wigig(wireless gigabit) 등) 인터페이스로 연결되어, 방송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콘텐츠는, 예를 들어, 콘텐츠(예: 방송 프로그램) 이미지, 광고 이미지 및 UI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 콘텐츠에 대한 이미지 식별 정보(예: 콘텐츠 이미지의 핑거프린트, 워터마크 등)를 생성하여 ACR 서버(300)로 송신할 수 있다. ACR 서버(300)는 이미지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대체 가능한 광고에 대한 정보(이하, '대체 가능한 광고 정보'라고 함)를 송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ACR 서버(300)로부터 대체 가능한 광고 정보를 수신하면, 광고 서버(400)로 대체 광고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상기 대체 광고 요청은 광고 서버(400)가 대체 광고를 선택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대체 광고 요청은 상기 대체 가능한 광고 정보(예: 재생 채널 정보, 광고의 시작 시간 또는 광고의 식별 정보 등) 및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예: 거주 지역, 성별, 나이, 관심 분야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광고 서버(500)로부터 대체 광고 요청에 대응하는 대체 광고를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대체 가능한 광고 정보에 따른 광고의 시작 시간에 방송 콘텐츠 대신에 대체 광고를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 콘텐츠 대신 대체 광고가 출력될 때 음량 이미지 이외의 다른 UI 이미지가 포함되면, 대체 광고의 출력을 중단할 수 있다. 이하의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성을 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대체 광고로 인하여 출력하지 않는 방송 콘텐츠(예: 광고 콘텐츠, 방송 프로그램 콘텐츠)를 제1 콘텐츠라 칭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1 콘텐츠를 대신하여 출력하는 콘텐츠(예: 대체 광고)를 제2 콘텐츠라고 칭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2 콘텐츠(예: 대체 광고)가 출력될 때 제1 콘텐츠에 음량 이미지가 포함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콘텐츠에 음량 이미지가 포함되면, 제2 콘텐츠 이미지에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방송 수신 장치의 음량 이미지를 오버레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음량 이미지로부터 음량 변경 여부를 확인하면, 음량 레벨이 변경되면, 변경된 음량 레벨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음량 레벨을 조절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음량 레벨을 조절하기 전에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음량 레벨 정보를 저장하고, 제2 콘텐츠가 출력 완료되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음량 레벨을 조절되기 이전의 음량 레벨로 복원시킬 수 있다. 이 같이, 다양한 실시예에서는 제1 콘텐츠를 대신해 제2 콘텐츠가 출력될 때 제1 콘텐츠로부터 방송 수신 장치에 의한 음량 조절을 확인하여 출력 음량 레벨을 조절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콘텐츠에 음량 이미지 이외의 다른 UI 이미지가 포함되면, 제2 콘텐츠의 출력을 중단하고, 제1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콘텐츠(또는, 제1 콘텐츠의 특징 정보)와 ACR 서버(300) 또는 다른 서버(미도시)로부터 수신된 제1 콘텐츠 원본(또는, 제1 콘텐츠 원본의 특징 정보)을 비교함에 따라 제1 콘텐츠에 다른 UI 이미지가 포함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1 콘텐츠 원본은 UI 이미지(예: 다른 UI 이미지)가 포함되지 않은 제1 콘텐츠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ACR 서버(300)는 이미지 식별 정보를 수신하면, 이미지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채널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CR 서버(300)는 각 방송 채널에 대응되는 이미지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ACR 서버(300)는 수신된 이미지 식별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방송 채널별 이미지 식별 정보와 비교하여 이미지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채널을 확인할 수 있다.
ACR 서버(300)는 확인된 채널의 방송 스케줄(예: 방송 프로그램 스케줄, 광고 스케줄)을 확인할 수 있다. ACR 서버(300)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복수의 채널의 방송 스케줄을 이용하여 확인된 채널에 대체 가능한 광고가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ACR 서버(300)는 확인된 채널에 대체 가능한 광고가 있으면, 대체 가능한 광고 정보(예: 광고의 시작 시간 또는 광고의 식별 정보 등)를 확인하고, 대체 가능한 광고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ACR 서버(300)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 중 적어도 일부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ACR 서버(300) 또는 다른 서버(미도시)는 제1 콘텐츠에 UI 이미지가 포함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는 제1 콘텐츠 및 제1 콘텐츠의 특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송신할 수 있다. ACR 서버(300) 또는 다른 서버(미도시)는 제1 콘텐츠에 음량 이미지가 포함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는 제1 콘텐츠 및 제1 콘텐츠의 특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송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방송 서버(400)는 방송 수신 장치(200)로 실시간 방송 콘텐츠를 송신할 수 있다. 방송 서버(400)는 방송 수신 장치(200)에 의해 요청된 방송 콘텐츠를 방송 수신 장치(200)로 송신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광고 서버(5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요청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대체 광고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고 서버(5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대체 가능한 광고 정보 및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예: 거주 지역, 성별, 나이, 관심 분야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대체 광고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광고 서버(500)는 대체 광고 요청에 포함된 대체 가능한 광고 정보 및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대체 광고를 선택하고, 선택된 대체 광고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송신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음량 이미지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음량 이미지의 표시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음량 이미지는 방송 콘텐츠의 시청에 방해되지 않도록 방송 콘텐츠 이미지(210)의 가장자리(A~E 영역 참조)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량 이미지는 방송 콘텐츠 이미지(210)의 상단 영역(A)에 위치할 수 있고, 하단 영역(B)에 위치할 수도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음량 이미지는 방송 콘텐츠 이미지(210)의 좌측 영역(C)에 위치할 수 있고, 하단 영역(D)에 위치할 수도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음량 이미지는 방송 콘텐츠 이미지(210)의 네 모서리 중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 영역(예: E)에 위치할 수도 있다. 상기 음량 이미지는 방송 수신 장치(200)에 의해 생성될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의해 생성될 수도 있다. 다만, 음량 이미지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출력 이미지이므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장치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기의 음량 이미지의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의 뮤트 이미지의 예시도이다.
도 3 및 4를 참조하면, 방송 콘텐츠(210)에 오버레이되는 음량 이미지는 음량 레벨을 나타내는 음량 레벨 이미지(도 3)와 오디오의 출력이 중단됨을 나타내는 뮤트 이미지(도 4)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의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성을 위하여 음량 레벨 이미지와 뮤트 이미지를 음량 이미지로 칭한다.
도 3과 같이, 음량 이미지(220)는 음량 레벨을 나타내는 숫자(221), 총 조절 가능한 음량 레벨을 나타내는 제1 이미지(222), 현재 음량 레벨을 나타내는 제2 이미지(223) 및 배경 이미지(22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이미지(222)는 예컨대, 총 조절 가능한 음량 레벨의 개수에 대응하는 개수의 네모 심볼일 수 있다. 상기 제2 이미지(223)는 현재 음량 레벨에 대응하는 개수의 네모 심볼의 내부를 채우는 이미지일 수도 있다.
도 4와 같이, 뮤트 이미지(230)는 방송 콘텐츠 이미지(210)에서 음량 레벨 이미지(220)와 다른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뮤트 이미지(230)는 오디오가 출력되지 않는 상태임을 나타내는 이미지 또는 텍스트(23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음량 이미지의 예시도이다.
도 5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 수신 장치(200)의 음량 이미지와 상이한 음량 이미지(240)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음량 이미지(240) 또한 음량 레벨을 나타내는 숫자와 이미지, 및 배경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통신부(110), 제2 통신부(120), 디스플레이(130), 오디오 모듈(140), 메모리(150) 및 프로세서(16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다양한 실시예에서, 구성요소들 중 일부가 결합되어 하나의 개체로 구성되되, 결합 이전의 해당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입출력 관계는 설명의 편의성을 위한 예시에 불과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장치(200)로부터 방송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장치(200)와 HDMI, DVI, VGA, 디스플레이 포트, WiHD(wireless HD), Wigig(wireless gigabit) 등의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콘텐츠는, 예를 들어, 콘텐츠(예: 방송 프로그램) 이미지 또는 광고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통신부(120)는 통신망을 통해 광고 서버(500) 및 ACR 서버(300) 등과 같은 외부 서버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통신부(120)는 xDSL, LAN, FTTH, WiFi, Wibro, 3G, 4G 등의 통신망을 통해 외부 서버와 통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0)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LCD), 발광 다이오드(LED)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또는 전자종이(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0)는, 예를 들면, 사용자에게 각종 콘텐츠(예: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아이콘, 및/또는 심볼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30)는 제1 콘텐츠 이미지 또는 제2 콘텐츠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40)은 프로세서(160)의 지시에 따라 콘텐츠의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40)은 증폭기 및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증폭기는 출력 음량 레벨에 대응하는 증폭도로 음량을 증폭할 수 있다. 스피커는 증폭된 제1 콘텐츠 또는 제2 콘텐츠의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40)은 스피커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는데, 이 경우 오디오 모듈(140)은 외부 스피커로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메모리(150)는 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OM, 플래시 메모리 등)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메모리(150)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에 관계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150)는 방송 수신 장치의 종류를 식별하기 위한 명령(instruction)들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50)는 방송 콘텐츠로부터 음량 이미지를 검출하고, 검출된 음량 이미지로부터 음량 정보를 식별하기 위한 명령들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50)는 방송 수신 장치의 종류에 따른 음량 이미지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음량 이미지 정보는 예컨대, 음량 이미지의 특징 정보(예: 특징값), 표시 영역 정보(예: 영역 위치, 영역 크기) 및 음량 레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량 이미지 정보는 음량 조절비 정보 예컨대, 방송 수신 장치의 한 단위 음량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한 단위 음량의 비의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메모리(150)는 방송 수신 장치의 종류에 따른 음량 이미지(이하, '종류별 음량 이미지'라고 함)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50)는 제2 콘텐츠가 출력 완료 또는 중단될 때 제2 콘텐츠의 출력 전 음량으로 음량을 복원시키기 위한 명령들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처리장치(GPU), 마이크로프로세서,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주문형 반도체(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코어를 가질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들의 제어 및/또는 통신에 관한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60)는 방송 수신 장치(200)로부터 제1 콘텐츠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130) 및 오디오 모듈(140)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콘텐츠는 방송 수신 장치(200)의 리모컨을 통해 선택된 채널 또는 선택된 콘텐츠에 대응하는 방송 콘텐츠(예: 방송 프로그램 콘텐츠, 광고 콘텐츠 등)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60)는 ACR 서버(300)로부터 방송 콘텐츠의 채널에 대응하는 대체 가능한 광고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60)는 방송 콘텐츠 이미지에 대한 이미지 식별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이미지 식별 정보를 ACR 서버(300)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식별 정보는 예컨대, 방송 콘텐츠 영상의 워터마크 및 핑거프린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ACR 서버(300)가 이미지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채널을 확인하고 확인 채널에 대한 대체 가능한 광고 정보를 송신함에 따라, 프로세서(150)는 대체 가능한 광고 정보(예: 광고의 시작 시간 또는 광고의 식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50)는 주기적으로 방송 콘텐츠에 대한 이미지 식별 정보를 생성하고, 이미지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대체 가능한 광고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ACR 서버(300)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 중 적어도 일부를 수행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60)는 방송 수신 장치의 종류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예를 들어, 프로세서(160)는 방송 수신 장치(200)로부터 제1 통신부(110)를 통해 방송 수신 장치(200)의 장치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예컨대, 초기화 과정에 제1 통신부(110)를 통해 방송 수신 장치(200)에 장치 식별 정보를 요청하고, 방송 수신 장치(200)로부터 장치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160)는 제1 콘텐츠 이미지를 이용하여 방송 수신 장치의 종류를 식별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60)는 제1 콘텐츠 이미지에서 복수의 이미지 영역을 검출하고, 검출된 복수의 이미지 영역이 방송 수신 장치의 종류에 따른 복수의 음량 이미지 중 어느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한지를 확인함에 따라 방송 수신 장치의 종류를 식별(또는, 확인)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160)는 지정된 분류기를 이용하여 방송 수신 장치의 종류를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지정된 분류기는 방송 수신 장치의 종류에 따른 UI 이미지를 기계 학습하고, 그 결과 방송 수신 장치의 종류를 분류할 수 있도록 생성된 것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60)는 대체 가능한 광고 정보에 따른 광고의 시작 시간에 방송 수신 장치(200)로부터의 제1 콘텐츠를 대신하여 광고 서버(500)로부터의 제2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60)는 대체 가능한 광고 정보에 따른 광고의 시작 시간에 앞서 광고 서버(500)에 제2 콘텐츠(예: 대체 광고)를 요청하고, 광고 서버(500)로부터 제2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광고의 시작 시간에 제1 콘텐츠 대신에 제2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60)는 제2 콘텐츠가 출력될 때 제1 콘텐츠에 방송 수신 장치의 종류에 따른 제1 음량 이미지가 포함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메모리(150)로부터 방송 수신 장치의 종류에 대응하는 제1 음량 이미지 정보를 확인하고, 제1 음량 이미지 정보(예: 제1 표시 영역 정보, 제1 음량 이미지, 제1 음량 이미지의 특징 정보 등)를 이용하여 제1 콘텐츠에 음량 이미지가 포함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60)는 제1 콘텐츠에서 제1 표시 영역 정보에 따른 위치로부터 제1 표시 영역 정보에 따른 크기의 이미지를 검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검출된 이미지와 제1 음량 이미지가 동일 또는 유사한지를 확인하고, 검출된 이미지와 제1 음량 이미지가 동일 또는 유사하면, 제1 콘텐츠에 제1 음량 이미지가 포함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60)는 예컨대, 히스토그램 매칭, 패턴 매칭 및 특징 비교 등의 방식을 이용하여 검출된 이미지와 제1 음량 이미지가 동일 또는 유사한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하의 명세서에서는 프로세서(160)가 특징 비교를 통해서 검출된 이미지와 제1 음량 이미지가 동일 또는 유사한지를 확인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60)는 제1 콘텐츠에 방송 수신 장치(200)에 의해 부가된 음량 이미지가 포함되면, 음량 이미지로부터 방송 수신 장치(200)의 음량 정보(예: 음량 레벨)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60)는 예컨대, 문자 인식 알고리즘(예: OCR(optical character reader)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음량 이미지의 텍스트 영역에서 음량 레벨을 나타내는 숫자를 추출하고, 추출된 숫자에 기초하여 방송 수신 장치(200)의 음량 레벨을 인식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160)는 음량 이미지에서 각 단위 음량 레벨에 대응하는 심볼 영역의 픽셀값에 기초하여 음량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전술한 도 3과 같이, 각 단위 음량 레벨에 대응하는 심볼 영역이 직사각형이면, 프로세서(160)는 각 직사각형 영역에 포함된 픽셀들의 평균 픽셀값이 임계밝기 미만인 심볼의 개수를 음량 정보로 인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60)는 확인된 음량 정보(예: 음량 레벨)에 대응하는 제1 음량 이미지 또는 제1 음량 이미지에 대응하는 대체 음량 이미지를 제2 콘텐츠에 오버레이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60)는 확인된 음량 정보에 대응하는 음량 레벨을 나타내는 방송 수신 장치(200)의 음량 이미지(예: 도 3, 4)를 제2 콘텐츠에 오버레이하여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160)는 확인된 음량 정보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음량 이미지(예: 도 5)를 생성하여 제2 콘텐츠에 오버레이하여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60)는 확인된 음량 정보에 기초하여 음량 레벨의 변경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60)는 이전에 확인된 음량 정보와 현재 확인된 음량 정보를 비교하고, 현재 확인된 음량 정보가 이전에 확인된 음량 정보와 상이하면, 음량이 변경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60)는 음량 레벨이 변경되면, 변경된 음량에 대응하도록 오디오 모듈(140)의 음량 레벨을 조절(예: 증가 또는 감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량 변경은 음량의 한 레벨 단위로 변경될 것이므로, 프로세서(160)는 음량 증가를 확인하면 오디오 모듈(140)의 음량 레벨을 한 음량 레벨 단위로 증가시킬 수 있고, 음량 감소를 확인하면 오디오 모듈(140)의 음량 레벨을 한 음량 레벨 단위로 감소시킬 수도 있다. 이 같이, 다양한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방송 수신 장치의 리모컨을 이용하여 조절한 방송 수신 장치의 음량에 대응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의 음량 레벨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에서는 방송 수신 장치로부터의 제1 콘텐츠의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의 음량 정보를 비교함에 따라 음량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에는 변경된 음량에 대응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의 음량 레벨을 조절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60)는 방송 수신 장치(20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음량 레벨 차이에 대응하도록 오디오 모듈(140)의 음량 레벨을 조절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60)는 메모리(150)에 저장된 방송 수신 장치(200)의 한 음량 레벨 단위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한 음량 레벨 단위의 비를 나타내는 음량 조절비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한 음량 레벨 단위의 음량 변경을 확인하면, 오디오 모듈(140)의 음량 레벨을 음량 조절비만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음량 조절비는 방송 수신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의 음량 크기(dB)를 비교하는 실험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방송 수신 장치의 한 음량 레벨 단위에 따른 출력 음량 변화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10 음량 레벨 단위에 따른 출력 음량 변화에 대응한다면, 제1 방송 수신 장치의 음량 조절비는 10일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60)는 제1 콘텐츠로부터 방송 수신 장치의 음량 레벨 변경을 확인하면, 오디오 모듈(140)의 음량 레벨을 10 음량 레벨만큼 변경(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60)는 제1 콘텐츠에 뮤트 이미지가 포함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뮤트 이미지는 음량 레벨을 나타내는 레벨 이미지와 상이한 영역에 표시될 수도 있으므로, 프로세서(160)는 제1 음량 이미지 정보 중 뮤트 이미지의 표시 영역 정보로부터 뮤트 이미지를 검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60)는 제1 콘텐츠에 뮤트 이미지가 포함될 때에는 오디오 모듈(140)을 통해 오디오를 출력하지 않고, 제2 콘텐츠에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뮤트 이미지 또는 방송 수신 장치(200)의 뮤트 이미지를 오버레이하여 디스플레이(130)에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60)는 변경된 음량 레벨에 대응하도록 오디오 모듈(140)의 음량 레벨을 조절하기 전의 오디오 모듈(140)의 음량 정보(이하, '이전 음량 정보'라고 함)를 메모리(150)에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제2 콘텐츠의 출력이 완료 또는 종료된 후에, 오디오 모듈(140)의 음량 레벨을 메모리(150)에 저장된 이전 음량 정보에 따라 복원시킬 수 있다. 이에, 다양한 실시예에서는 대체 광고의 출력 시의 음량 변경으로 인하여 대체 광고의 종료 이후에 출력되는 방송 콘텐츠의 음량이 지나치게 커지거나, 작아져 사용자가 달라진 음량으로 인해 이질감을 느끼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60)는 제2 콘텐츠의 출력중에 제1 콘텐츠에 음량 이미지 이외의 다른 UI 이미지가 포함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60)는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제1 콘텐츠의 각 이미지 프레임에 음량 이미지 이외의 다른 UI 이미지가 포함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160)는 외부 서버로부터 UI 이미지가 포함되지 않는 제1 콘텐츠 원본을 수신하고, 제1 콘텐츠 원본과 제1 콘텐츠를 비교함에 따라 제1 콘텐츠에 음량 이미지 이외의 다른 UI 이미지가 포함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160)는 외부 서버로부터 제1 콘텐츠 원본의 특징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1 콘텐츠 원본의 특징 정보와 제1 콘텐츠의 특징 정보를 비교함에 따라 제1 콘텐츠에 다른 UI가 포함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서버는 ACR 서버(300), 방송 서버(400), 광고 서버(500) 또는 다른 서버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60)는 제1 콘텐츠의 음량 이미지 이외의 다른 UI 이미지가 포함되면, 제2 콘텐츠의 출력을 중단할 수 있다. 이에, 다양한 실시예에서는 방송 수신 장치(200)가 사용자 입력에 따라 채널을 변경하거나, 콘텐츠를 변경하는 경우에는 제2 콘텐츠의 출력을 중단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과 다른 실시예로서, 프로세서(160)는 광고 서버(500) 또는 다른 서버로부터 대체 광고가 아닌 다른 방송 콘텐츠를 출력하는 경우에도 전술한 방식과 같이 음량 이미지를 표시하거나 음량 레벨을 조절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포함된 프로그램 모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포함된 프로그램 모듈(예: 어플리케이션)은 ACR 모듈(151), DAR 모듈(153), 재생 모듈(155), UI 인식 모듈(157) 및 음량 제어 모듈(159)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모듈들은 메모리(120)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모듈들은 프로세서(150)에 의해 실행되어 각각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ACR 모듈(151)은 디스플레이(130)에 표시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이미지 식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CR 모듈(151)은 디스플레이(130)에 표시된 이미지를 캡쳐(capture)하고, 상기 캡쳐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이미지 식별 정보(핑거프린트 정보 또는 워터마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CR 모듈(151)은 캡쳐된 이미지를 축소시키고 캡쳐된 이미지를 대표하는 특징점들을 추출하여 핑거프린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ACR 모듈(151)은 캡쳐된 이미지에 삽입된 고유의 워터마크를 추출하여 워터마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ACR 모듈(151)은 이미지 식별 정보를 ACR 서버(300)로 송신할 수 있다. 이 경우, ACR 서버(300)는 이미지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채널에 대체 가능한 광고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하고, 대체 가능한 광고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DAR 모듈(153)은 ACR 서버(300)로부터 대체 가능한 광고 정보를 수신하면, 대체 가능한 광고 정보에 따른 광고의 시작 시간 이전(또는, 직전)에 광고 서버(400)로 대체 광고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상기 대체 광고 요청은 광고 서버(400)가 대체 광고를 선택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대체 광고 요청은 상기 대체 가능한 광고 정보 및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예: 거주 지역, 성별, 나이, 관심 분야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ACR 모듈(151)은 ACR 서버(300)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 중 적어도 일부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광고 서버(500)는 DAR 모듈(153)의 요청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대체 광고(또는, 대체 광고 이미지)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UI 인식 모듈(157)은 방송 수신 장치의 종류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예를 들어, UI 인식 모듈(157)은 방송 수신 장치(200)로부터 방송 수신 장치(200)의 장치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UI 인식 모듈(157)은 제1 콘텐츠 이미지를 이용하여 방송 수신 장치의 종류를 식별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UI 인식 모듈(157)은 식별된 방송 수신 장치의 종류에 대응하는 제1 음량 이미지 정보를 음량 이미지 검출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1 음량 이미지 정보는 예컨대, 음량 이미지의 표시 영역 정보, 음량 이미지 또는 음량 이미지의 특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UI 인식 모듈(157)은 제1 콘텐츠를 대체하여 제2 콘텐츠를 출력하는 도중에 제1 음량 이미지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콘텐츠에 음량 이미지가 포함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I 인식 모듈(157)은 제1 콘텐츠 이미지의 표시 영역 정보에 따른 위치에서 표시 영역 정보에 따른 크기의 이미지 영역을 검출할 수 있다. UI 인식 모듈(157)은 검출된 이미지 영역과 음량 이미지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 검출된 이미지 영역과 음량 이미지가 임계비율 이상 유사하면, 제1 콘텐츠에 음량 이미지가 포함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UI 인식 모듈(157)은 제1 콘텐츠에 음량 이미지가 포함되면, 음량 이미지로부터 음량 변경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UI 인식 모듈(157)은 제1 콘텐츠의 음량 이미지로부터 음량 정보(예: 음량 레벨)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I 인식 모듈(157)은 음량 이미지에 포함된 음량 레벨을 나타내는 텍스트 및 심볼 중 적어도 하나를 인식하여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음량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UI 인식 모듈(157)은 음량 정보를 확인하면, 제1 콘텐츠에 확인된 음량 정보에 대응하는 제1 음량 이미지 또는 대체 음량 이미지를 오버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수신 장치의 음량 레벨이 3이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음량 레벨이 12인 상태에서, 방송 수신 장치의 음량 레벨이 4로 변경될 수 있다. 이 경우, UI 인식 모듈(157)은 방송 수신 장치의 음량 레벨이 3에서 4로 변경됨을 나타내는 방송 수신 장치의 음량 이미지를 제2 콘텐츠에 오버레이할 수 있다. 또는, UI 인식 모듈(157)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음량 레벨이 12에서 13으로 변경됨을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음량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UI 인식 모듈(157)은 제1 콘텐츠에 음량 이미지 이외의 다른 UI 이미지가 포함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I 인식 모듈(157)은 UI 이미지가 포함되지 않은 제1 콘텐츠 원본의 이미지와 방송 수신 장치(200)로부터의 제1 콘텐츠 이미지를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제1 콘텐츠에 다른 UI 이미지가 포함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량 제어 모듈(159)은 확인된 음량 정보로부터 음량 변경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음량 제어 모듈(159)은 음량 변경을 확인하면, 변경된 음량 레벨에 대응하도록 오디오 모듈(140)의 음량 레벨을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량 제어 모듈(159)은 오디오 모듈(140)의 음량 레벨을 조절하기 전에, 오디오 모듈(140)의 음량 레벨 정보를 저장하고, 제2 콘텐츠의 출력이 종료 또는 중단되면, 오디오 모듈(140)의 음량 레벨을 저장된 음량 레벨 정보에 따른 음량 레벨로 복원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재생 모듈(155)은 광고 서버(400)로부터 수신된 대체 광고를 재생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재생 모듈(155)은 대체 광고 이미지를 디스플레이(13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생 모듈(155)은 방송 수신 장치(200)로부터의 광고 이미지를 상기 대체 광고 이미지로 대체하여 디스플레이(130)에 표시할 수 있다. 재생 모듈(155)은 제1 음량 이미지 또는 대체 음량 이미지가 오버레이된 제1 콘텐츠를 디스플레이(130)에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재생 모듈(155)은 대체 광고 이미지에 동기를 맞춰 대체 광고 오디오를 오디오 모듈(140)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재생 모듈(155)은 제1 콘텐츠에 음량 이미지 이외의 다른 UI 이미지가 포함됨을 확인하면, 제2 콘텐츠의 출력을 중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의 종류 식별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동작 810에서, 프로세서(160)는 초기화 과정에서 확인된 장치 식별 정보가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동작 820에서, 프로세서(160)는 초기화 과정에서 확인된 장치 식별 정보가 있으면, 장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방송 수신 장치의 종류(또는 음량 이미지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동작 820에서, 프로세서(160)는 방송 수신 장치(200)의 종류에 대응하는 음량 이미지 정보를 확인하고, 이후 음량 이미지를 검출할 때 해당 음량 이미지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동작 830에서, 프로세서(160)는 장치 식별 정보가 없으면, 방송 콘텐츠 이미지의 복수의 영역을 크롭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영역은 예컨대, 방송 수신 장치의 종류에 따른 표시 영역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는 표시 영역 정보에 따른 크기의 영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수신 장치의 종류에 따른 복수의 음량 이미지의 표시 영역이 도 2와 같이 A, B, C, D, E 영역이라면, 복수의 표시 영역은 A, B, C, D, E 영역의 위치와 크기에 대응할 수 있다.
동작 840에서, 프로세서(160)는 각 크롭 영역 이미지와 한 방송 수신 장치의 음량 이미지가 동일 또는 유사한지를 확인함에 따라 방송 수신 장치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60)는 히스토그램 매칭, 템플릿 매칭, 특징 비교 등의 방식으로 각 크롭 영역의 이미지와 복수의 방송 수신 장치의 음량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가 동일 또는 유사한지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160)가 특징 비교를 수행하는 경우에, 프로세서(160)는 각 크롭 영역 이미지와 한 방송 수신 장치의 음량 이미지의 특징 정보가 임계비율 이상 일치하면, 각 크롭 영역 이미지와 한 방송 수신 장치가 동일 또는 유사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각 크롭 영역 이미지와 한 방송 수신 장치가 동일 또는 유사하면, 한 방송 수신 장치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다. 이 같이, 다양한 실시예에서는 방송 수신 장치의 종류를 알지 못하는 경우에도 음량 이미지 등의 UI 이미지를 이용하여 방송 수신 장치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음량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동작 910에서, 프로세서(160)는 대체 가능한 광고 정보에 따른 광고의 시작 시간에 방송 콘텐츠 대신에 대체 광고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동작 920에서, 프로세서(160)는 대체 광고 콘텐츠가 출력될 때 방송 콘텐츠에 지정된 음량 이미지가 포함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60)는 방송 수신 장치의 종류에 따른 음량 이미지 정보로부터 표시 영역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제1 콘텐츠에서 표시 영역 정보에 대응하는 영역을 크롭하고, 크롭된 영역의 이미지로부터 특징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추출된 특징 정보와 방송 수신 장치의 종류에 따른 음량 이미지의 특징 정보가 임계비율 이상 일치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추출된 특징 정보와 지정된 음량 이미지의 특징 정보가 임계비율 이상 일치하면, 방송 콘텐츠에 지정된 음량 이미지가 포함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동작 930에서, 프로세서(160)는 방송 콘텐츠에 방송 수신 장치에 의해 부가된 음량 이미지가 포함되면, 음량 이미지로부터 음량 정보(예: 음량 레벨)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60)는 음량 이미지의 텍스트 영역에서 음량 레벨을 나타내는 텍스트를 인식하여 음량 레벨을 인식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160)는 음량 이미지에서 각 음량 레벨에 대응하는 각 심볼 영역의 픽셀값에 기초하여 음량 레벨을 인식할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각 심볼 영역에 포함된 픽셀들의 평균 픽셀값이 임계밝기 미만인 심볼의 개수를 음량 레벨로 인식할 수 있다.
동작 940에서, 프로세서(160)는 대체 광고 콘텐츠에 음량 레벨에 대응하는 음량 이미지를 오버레이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60)는 음량 레벨을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음량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160)는 방송 수신 장치의 음량 이미지를 출력할 수도 있다.
동작 950에서, 프로세서(160)는 이전 음량 정보와 현재 음량 정보를 비교하여 음량이 변경(예: 음량 증가 및 음량 감소)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동작 960에서, 프로세서(160)는 음량 변경을 확인하면, 오디오 모듈(140)의 음량 레벨 정보(이하, '직전 음량 정보'라고 함)를 저장시킬 수 있다.
동작 970에서, 프로세서(160)는 음량 변경을 확인하면, 오디오 모듈(140)의 음량 레벨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60)는 변경된 음량 레벨에 대응하는 음량 이미지 표시에 동기를 맞추어 오디오 모듈(140)의 음량 레벨을 조절할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음량 증가를 확인하면, 출력 음량이 증가되도록 오디오 모듈(14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음량 감소를 확인하면, 음량이 감소되도록 오디오 모듈(140)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160)는 방송 수신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의 음량 레벨의 비에 대응하는 음량 조절비를 확인하고 한 단위의 음량 레벨의 증가 또는 감소 시에 해당 음량 조절비만큼 오디오 모듈(140)의 음량 레벨을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동작 980에서, 프로세서(160)는 대체 광고가 출력 완료(또는, 중단)되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대체 광고가 출력 완료(또는, 중단)될 때까지 전술한 동작 910 내지 970 과정을 반복 수행할 수 있다.
동작 990에서, 프로세서(160)는 대체 광고가 출력 완료(또는, 중단)되면, 메모리(150)에 저장된 직전 음량 정보에 대응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음량을 복원시킬 수 있다.
전술한 동작 920에서, 프로세서(160)는 제1 콘텐츠로부터 음량 이미지 이외의 다른 UI 이미지를 확인하면, 동작 990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같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대체 광고를 출력할 때에도 방송 수신 장치의 음량 조절을 지시하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대체 광고의 음량을 조절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예: 모듈들 또는 그 기능들) 또는 방법(예: 동작들)의 적어도 일부는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된 명령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가 상기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마그네틱 매체(예: 자기테이프), 광기록 매체(예: CD-ROM, DVD, 자기-광 매체 (예: 플롭티컬 디스크), 내장 메모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명령어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 또는 프로그램 모듈은 전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일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모듈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적어도 일부 동작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개시된, 기술 내용의 설명 및 이해를 위해 제시된 것이며, 본 문서에서 기재된 기술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문서의 범위는, 본 문서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모든 변경 또는 다양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0)

  1. 디스플레이;
    방송 수신 장치로부터 제1 콘텐츠를 수신하는 제1 통신부;
    외부 서버로부터 제2 콘텐츠를 수신하는 제2 통신부;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종류에 대응하는 제2 음량 이미지 및 상기 제2 음량 이미지의 특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제1 콘텐츠 대신, 제2 콘텐츠를 출력하는 중에, 상기 제2 음량 이미지 및 상기 제2 음량 이미지의 특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음량 이미지와, 상기 방송 수신 장치에 의해 상기 제1 콘텐츠에 부가된 제1 음량 이미지가 동일 또는 유사한지를 확인하고,
    상기 제2 음량 이미지와 상기 제1 음량 이미지가 동일 또는 유사하면, 제2 콘텐츠에 상기 제1 음량 이미지 또는 상기 제1 음량 이미지에 대응하는 대체 음량 이미지를 오버레이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제1 콘텐츠는, 상기 방송 수신 장치가 방송 서버로부터 수신한 방송 콘텐츠 중에서 광고 콘텐츠이고,
    상기 제2 콘텐츠는, 상기 광고 콘텐츠를 대신하여 출력되는 대체 광고 콘텐츠인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제1 음량 이미지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음량 이미지는,
    상기 메모리로부터 불러온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음량 이미지이고,
    상기 대체 음량 이미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음량 조절 시에 표시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음량 이미지인 디스플레이 장치.
  4. 삭제
  5. 제1항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상기 방송 수신 장치로부터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식별 정보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종류를 식별하도록 설정된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항에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방송 수신 장치를 포함하는 복수의 방송 수신 장치의 종류에 따른 복수의 음량 이미지 및 복수의 음량 이미지의 특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음량 이미지 및 복수의 음량 이미지의 특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음량 이미지가 상기 복수의 음량 이미지 중 어느 하나와 동일 또는 유사한지를 확인함에 따라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종류를 식별하도록 설정된 디스플레이 장치.
  7. 제1항에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제2 음량 이미지의 표시 영역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콘텐츠의 상기 표시 영역 정보에 따른 이미지 영역을 확인하고, 상기 이미지 영역 및 이미지 영역의 특징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제2 음량 이미지 및 제2 음량 이미지의 특징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동일 또는 유사한지를 확인하도록 설정된 디스플레이 장치.
  8. 제1항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콘텐츠에 상기 제1 음량 이미지 이외의 다른 UI 이미지가 포함되는지를 확인하고, 상기 제1 콘텐츠에 상기 다른 UI 이미지가 포함되면, 상기 제2 콘텐츠의 출력을 중단하도록 설정된 디스플레이 장치.
  9. 제8항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제2 통신부를 통해 상기 방송 수신 장치에 의해 상기 제1 음량 이미지를 포함하는 UI 이미지가 부가되지 않은 제1 콘텐츠의 원본을 수신하고, 상기 제1 콘텐츠의 원본과 상기 제1 콘텐츠를 비교함에 따라 상기 제1 콘텐츠에 상기 UI 이미지가 포함되었는지를 판단하도록 설정된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1항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음량 이미지에 포함된 음량 레벨을 나타내는 텍스트 또는 적어도 하나의 심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음량 이미지로부터 음량 레벨을 확인하고, 확인된 음량 레벨을 나타내는 상기 제1 음량 이미지 또는 대체 음량 이미지를 상기 제2 콘텐츠의 이미지에 오버레이하도록 설정된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0항에서,
    상기 제1 콘텐츠 또는 상기 제2 콘텐츠의 오디오를 출력하는 오디오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확인된 음량 레벨과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이전 음량 레벨을 비교하여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음량 레벨의 변경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음량 레벨이 변경되면, 변경된 음량 레벨에 대응하도록 상기 오디오 모듈의 음량 레벨을 조절하도록 설정된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1항에서,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음량 레벨이 변경되면, 상기 오디오 모듈의 변경 전 음량 레벨을 상기 메모리에 저장시키고, 상기 제2 콘텐츠의 출력이 완료 또는 중단되면, 상기 오디오 모듈의 음량 레벨을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변경 전 음량 레벨로 복원시키도록 설정된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항에서,
    상기 제1 콘텐츠 또는 상기 제2 콘텐츠의 오디오를 출력하는 오디오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음량 이미지가 뮤트(mute) 이미지이면, 상기 제2 콘텐츠의 오디오를 상기 오디오 모듈로 출력하지 않도록 설정된 디스플레이 장치.
  14.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으로서,
    방송 수신 장치로부터 제1 콘텐츠를 수신하는 동작;
    외부 서버로부터 제2 콘텐츠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제1 콘텐츠 대신, 상기 제2 콘텐츠를 출력하는 동작;
    상기 제2 콘텐츠가 출력되는 도중에, 메모리에 저장된 제2 음량 이미지 및 상기 제2 음량 이미지의 특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음량 이미지와, 상기 방송 수신 장치에 의해 상기 제1 콘텐츠에 부가된 제1 음량 이미지가 동일 또는 유사한지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제2 음량 이미지와 상기 제1 음량 이미지가 동일 또는 유사하면, 제2 콘텐츠에 상기 제1 음량 이미지 또는 상기 제1 음량 이미지에 대응하는 대체 음량 이미지를 오버레이하여 표시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15. 제14항에서,
    상기 방송 수신 장치로부터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식별 정보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종류를 식별하는 동작; 또는
    복수의 방송 수신 장치의 종류에 따른 복수의 음량 이미지와 제1 콘텐츠 이미지가 동일 또는 유사한지를 확인함에 따라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종류를 식별하는 동작; 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16. 제14항에서,
    상기 제2 콘텐츠가 출력될 때 상기 제1 콘텐츠에 상기 제1 음량 이미지 이외의 다른 UI 이미지가 포함되는지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제1 콘텐츠에 상기 UI 이미지가 포함되면, 상기 제2 콘텐츠의 출력을 중단하는 동작; 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17. 제14항에서, 상기 표시하는 동작은,
    상기 제1 음량 이미지에 포함된 음량 레벨을 나타내는 텍스트 및 심볼 중 적어도 하나를 인식하여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음량 레벨을 확인하는 동작; 및
    확인된 음량 레벨을 나타내는 상기 제1 음량 이미지 또는 대체 음량 이미지를 상기 제2 콘텐츠에 오버레이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18. 제17항에서,
    확인된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음량 레벨을 방송 수신 장치의 이전 음량 레벨과 비교하여 방송 수신 장치의 음량 변경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음량 레벨이 변경되면, 변경된 음량 레벨에 대응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의 음량 레벨을 조절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19. 제18항에서,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음량 레벨이 변경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변경 전 음량 레벨을 저장시키는 동작; 및
    상기 제2 콘텐츠의 출력이 완료 또는 중단되는지를 확인하는 동작;
    상기 제2 콘텐츠의 출력이 완료 또는 중단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음량 레벨을 저장된 상기 변경 전 음량 레벨로 복원시키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20. 방송 수신 장치로부터의 제1 콘텐츠 대신, 외부 서버로부터의 제2 콘텐츠를 출력하는 동작;
    상기 제2 콘텐츠가 출력되는 도중에, 메모리에 저장된 제2 음량 이미지 및 상기 제2 음량 이미지의 특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음량 이미지와, 상기 방송 수신 장치에 의해 상기 제1 콘텐츠에 부가된 제1 음량 이미지가 동일 또는 유사한지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제2 음량 이미지와 상기 제1 음량 이미지가 동일 또는 유사하면, 제2 콘텐츠에 상기 제1 음량 이미지 또는 상기 제1 음량 이미지에 대응하는 대체 이미지를 오버레이하여 표시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KR1020170018691A 2017-02-10 2017-02-10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1026605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8691A KR102660511B1 (ko) 2017-02-10 2017-02-10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EP18153529.5A EP3361740B1 (en) 2017-02-10 2018-01-25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replacing advertisement
US15/885,102 US10412452B2 (en) 2017-02-10 2018-01-31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replacing advertisement
CN201810139878.1A CN108419105B (zh) 2017-02-10 2018-02-09 显示设备和替换广告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8691A KR102660511B1 (ko) 2017-02-10 2017-02-10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2664A KR20180092664A (ko) 2018-08-20
KR102660511B1 true KR102660511B1 (ko) 2024-04-24

Family

ID=61054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8691A KR102660511B1 (ko) 2017-02-10 2017-02-10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412452B2 (ko)
EP (1) EP3361740B1 (ko)
KR (1) KR102660511B1 (ko)
CN (1) CN10841910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91312B2 (en) 2018-07-16 2020-09-29 Gracenote, Inc. Modifying playback of replacement content responsive to detection of remote control signals that modify operation of the playback device
US10827224B2 (en) 2018-07-19 2020-11-03 Gracenote, Inc. Modifying playback of replacement content responsive to detection of remote control signals that control a device providing video to the playback device
US11272252B2 (en) 2018-07-19 2022-03-08 Roku, Inc. Modifying playback of replacement content based on control messages
US11347470B2 (en) * 2018-11-16 2022-05-31 Roku, Inc. Detection of media playback loudness level and corresponding adjustment to audio during media replacement event
US11245958B2 (en) * 2018-11-16 2022-02-08 Roku, Inc. Detection of mute and compensation therefor during media replacement event
KR102622082B1 (ko) * 2018-11-19 2024-01-0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서버,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들
CN109218772A (zh) * 2018-11-20 2019-01-15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智能电视信息推送方法及装置
WO2020125782A1 (zh) * 2018-12-20 2020-06-25 青岛海信电器股份有限公司 广播信号接收装置以及广播信号接收方法
US20200275168A1 (en) * 2019-02-22 2020-08-27 The Nielsen Company (Us), Llc Use of Watermarking to Trigger Fingerprint-Related Action
WO2020263621A1 (en) * 2019-06-24 2020-12-30 The Nielsen Company (Us), Llc Use of watermarking to trigger fingerprint-related action
US20210076095A1 (en) * 2019-08-28 2021-03-11 Verance Corporation Watermark-based dynamic ad insertion
KR102253524B1 (ko) * 2019-09-02 2021-05-20 네이버 주식회사 라우드니스 정규화 방법 및 시스템
CN110830619A (zh) * 2019-10-28 2020-02-2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显示方法及电子设备
JP7130073B2 (ja) * 2021-01-29 2022-09-02 株式会社ドワンゴ 配信サーバ、コンテンツ配信方法、コンテンツ配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33644A1 (en) * 2011-08-05 2013-02-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US20160127801A1 (en) * 2014-10-31 2016-05-05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 and apparatus for targeted advertising with delivery of content
US20160234564A1 (en) * 2014-09-12 2016-08-11 Sorenson Media, Inc. Content replacement with onscreen display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0024B1 (ko) 2000-08-31 2003-0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리모트 콘트롤러를 갖는 영상기기 및 이 영상기기를 통해주변 기기들을 조작하는 방법
JP2006019770A (ja) * 2004-05-31 2006-01-19 Toshiba Corp 放送受信装置及び放送受信方法、音声再生装置及び音声再生方法
US20060195859A1 (en) * 2005-02-25 2006-08-31 Richard Konig Detecting known video entities taking into account regions of disinterest
JP4432858B2 (ja) * 2005-07-29 2010-03-17 ソニー株式会社 放送受信方法
JP2011155541A (ja) * 2010-01-28 2011-08-11 Toshiba Corp 音量調整装置
US8966512B2 (en) * 2011-07-22 2015-02-24 American Megatrends, Inc. Inserting advertisement content in video stream
WO2013113583A2 (en) * 2012-01-31 2013-08-08 Domlex Limited A system and a method of broadcasting and displaying of an advertisement during the interval of switching between dvb channels or services
EP2725541A1 (en) * 2012-09-17 2014-04-30 OpenTV,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ractive advertisement
US9167276B2 (en) * 2012-12-28 2015-10-20 Turner Broadcasting System,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nd handling product and service discounts, and location based services (LBS) in an automatic content recognition based system
US20140244402A1 (en) * 2013-02-26 2014-08-28 Google Inc. System for selectively displaying content
US9451230B1 (en) * 2013-03-15 2016-09-20 Google Inc. Playback adjustments for digital media items
US9647621B2 (en) * 2013-06-13 2017-05-09 Google Inc.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controlling audio of an HDMI audio system
CN105554532A (zh) * 2016-02-15 2016-05-04 北京中传数广技术有限公司 一种直播电视精准广告、信息投放的方法及系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33644A1 (en) * 2011-08-05 2013-02-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US20160234564A1 (en) * 2014-09-12 2016-08-11 Sorenson Media, Inc. Content replacement with onscreen displays
US20160127801A1 (en) * 2014-10-31 2016-05-05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 and apparatus for targeted advertising with delivery of cont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234728A1 (en) 2018-08-16
US10412452B2 (en) 2019-09-10
EP3361740A1 (en) 2018-08-15
EP3361740B1 (en) 2020-12-02
CN108419105A (zh) 2018-08-17
CN108419105B (zh) 2021-11-16
KR20180092664A (ko) 2018-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6051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US10616631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8955005B2 (en) Viewer behavior tracking using pattern matching and character recognition
EP2840800A1 (en) Content-based audio/video adjustment
US908203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gnizing a character based on a photographed image
US2020030488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ecuting content
US9025082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recognition device, image recognition method, and program
KR20150107464A (ko) 컨텐츠 처리 장치 및 그 이벤트 제공 방법
US10034039B2 (en) Display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N112514409B (zh) 基于控制信息修正替换内容的播放的方法及系统
US9525910B2 (en) Display apparatus and channel map managing method thereof
US20170161875A1 (en) Video resolution method and apparatus
TWI728387B (zh) 回應於用於控制一裝置提供視訊至播放裝置之遙控信號之偵測而修正替換內容之播放
US10939083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412016B2 (en) Display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for outputting a color temperature and brightness set
KR20180100873A (ko) 대체 광고를 재생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US10949704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0619362B (zh) 一种基于感知与像差的视频内容比对方法及装置
CN114267054A (zh) 显示装置和方法
EP3568993B1 (en) Display device for recognizing user interfa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465368B1 (ko) 이미지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200035556A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575962B2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ent recognition information acquisition therefor
US20240163520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US20200089963A1 (en) Electronic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eletronic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