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0353B1 - 무선 셀룰러 네트워크 내의 전력 최적화된 데이터 송신을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셀룰러 네트워크 내의 전력 최적화된 데이터 송신을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0353B1
KR102660353B1 KR1020237021756A KR20237021756A KR102660353B1 KR 102660353 B1 KR102660353 B1 KR 102660353B1 KR 1020237021756 A KR1020237021756 A KR 1020237021756A KR 20237021756 A KR20237021756 A KR 20237021756A KR 102660353 B1 KR102660353 B1 KR 1026603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equipment
base station
transmission
conditions
data p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1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06712A (ko
Inventor
볼커 브로이어
라스 베마이어
플로리안 덴진
우베 둠만
Original Assignee
텔릿 신테리온 도이칠란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텔릿 신테리온 도이칠란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텔릿 신테리온 도이칠란트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30106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67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03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03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4Synchronisation arrangements compensating for timing error of reception due to propagation delay
    • H04W56/004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compensating for timing error of reception due to propagation delay compensating for timing error by altering transmission ti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3Protecting confidentiality, e.g. by encryption
    • H04W12/033Protecting confidentiality, e.g. by encryption of the user plane, e.g. user's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determining timing error of reception due to propagation de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사용자 장비로부터 셀룰러 네트워크의 기지국으로 데이터 송신을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며, 기지국에 제1 사용자 장비는 커버리지 강화 조건들 하에 캠핑 온하고 있고, 제1 사용자 장비는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 통신 채널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제2 사용자 장비에 통신 연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패킷의 데이터 송신을 위해, 방법은 제1 사용자 장비가 -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패킷을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 통신 채널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제2 사용자 장비에 송신하는 단계, - 제1 송신과 시간 동기화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패킷을 기지국에 송신하라고 적어도 하나의 제2 사용자 장비에 명령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 셀룰러 네트워크 내의 전력 최적화된 데이터 송신을 위한 방법{METHOD FOR POWER OPTIMIZED DATA TRANSMISSION IN A WIRELESS CELLULAR NETWORK}
본 발명은 셀룰러 네트워크 내의 사용자 장비로부터의 데이터 송신을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법을 사용하는 사용자 장비에 관한 것이다.
게다가, 본 발명은 기지국을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법을 사용하는 기지국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의 분야에서, 셀룰러 네트워크들은 특히 광범위한 통신 사용 경우들을 커버하기 위해, 통신 방식들을 다양화하는 것으로 추가로 진화한다. 이것은 소위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k)(IoT)이 네트워크 운영자들에 대해 야기하는 가장 새로운 도전들을 표현한다. 도전들은 특히 저능력 및 효과적으로 저비용 사용자 말단 디바이스들에 적용된다. 이들은 저전력 소모로 나쁜 조건들에서, 최소 서비스를 얻기를 원함에 따라 도전들을 제기한다. 그리고, 물론, 서비스는 저렴할 것이다.
그러한 사용 경우들 중 하나는 본 기술분야에서 동작되는 사용자 장비들의 그룹 중에서 하나의 사용자 장비에 대한 개선되고 신뢰성있는 데이터 송신이다. 사용자 장비들의 그룹은 LTE에서 도입되는 PC5/사이드링크 채널과 같은,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 통신을 통해, 서로 그들 중 적어도 일부와 통신할 수 있다.
종종 그러한 사용자 장비들이 나쁜 네트워크 커버리지를 갖는 구역에서 특히 고정적으로 동작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사용자 장비에 대해, 그러한 상황에서, 커버리지 강화 모드에서 통신하는 것이 이제 가능하며, 즉 수신기, 특히 기지국에서, 충분한 신호 강도가 송신을 디코딩하기 위해 축적되었을 때까지 송신들을 여러 번 반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커버리지 강화는 15 내지 18 dB까지만큼 커버리지 조건들을 개선할 수 있지만, 시간에 따른 축적은 오히려 비선형이다. 즉, 2번의 반복은 3 dB 부근에 달성될 수 있지만, 18 dB를 얻기 위해 2048번까지의 반복이 요구된다.
그러나, 송신들을 100번 이상 반복하는 필요성은 데이터 송신의 지연을 분명히 초래한다. 그룹의 복수의 사용자 장비가 그들의 데이터를 송신하기를 원할 때, 그들은 데이터가 송신될 때까지 대기할 수 있어야 한다. 더욱이, 이러한 송신 시간들 동안, 대응하는 셀룰러 네트워크 리소스들은 모든 다른 사용자 장비들에 대해 차단된다.
게다가, 이러한 송신 방식은 사용자 장비에 대한 전력 소모를 증가시킨다. 배터리로 동작되는 사용자 장비들에 대해, 이것은 배터리의 수명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제, 그러한 그룹들에 대해, 하나의 사용자 장비가 사이드링크를 통해 그룹의 다른 사용자 장비들로부터 송신들을 수신하고 데이터를 셀룰러 네트워크에 송신하는 것은 공지되어 있다. 단점은 이러한 하나의 사용자 장비가 다른 것들보다 훨씬 더 많은 배터리 전력을 소모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그것은 "애그리게이터" 사용자 장비의 작업들을 이행하기 위해, 부가 리소스들을 구비할 필요가 있다. 사실상, 설치, 특히 고정 설치 후에, 다른 사용자 장비는 더 양호한 커버리지 조건에서 동작하고 있지만, 배터리 전력을 충분히 구비하지 못할 수도 있다. 따라서, 애그리게이터 사용자 장비는 작업을 취하지만 더 나쁜 커버리지 조건들을 가지므로 데이터 송신은 특히 강화된 커버리지 송신이 요구될 때, 매우 오래 걸릴 것이고 유연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표는 언급된 단점들을 극복하고 셀룰러 네트워크의 나쁜 커버리지 조건들에서 동작하는 사용자 장비들의 그룹에 대한 개선되고 유연한 데이터 송신 절차를 위한 해결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따라서, 추가 대안 및 유리한 해결법들은 본 기술분야에서 바람직할 것이다.
이것을 위해,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르면, 청구항 1에 따른 제1 사용자 장비로부터 기지국으로 데이터 송신을 위한 방법이 제안된다. 게다가,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르면, 청구항 8에 따른 사용자 장비가 제안된다.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따르면, 청구항 10에 따른 기지국을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이 제안된다. 본 발명의 제4 양태는 청구항 14에 따른 기지국에 관련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르면, 제1 사용자 장비로부터 셀룰러 네트워크의 기지국으로 데이터 송신을 위한 방법이 제안되며, 기지국에 제1 사용자 장비는 커버리지 강화 조건들 하에 캠핑 온하고 있고, 제1 사용자 장비는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 통신 채널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제2 사용자 장비에 통신 연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패킷의 데이터 송신을 위해, 방법은 제1 사용자 장비가,
-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패킷을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 통신 채널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제2 사용자 장비에 송신하는 단계,
- 제1 송신과 시간 동기화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패킷을 기지국에 송신하라고 적어도 하나의 제2 사용자 장비에 명령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발명 방법은 무선 통신을 위한 셀룰러 네트워크의 기지국, 특히 4G(LTE), 5G(뉴 라디오) 이상의 무선 기술 표준들을 구현하는 것들에서 동작할 수 있는 사용자 장비에 관련된다.
사실상, 사용자 장비는 나쁜 커버리지 조건들에서, 강화된 커버리지 모드에 의해, 각각 커버리지 강화 조건들에서 동작하는 능력을 갖는다.
3GPP 릴리즈 13 정의의 일부로서 소위 커버리지 강화(coverage enhancement)(CE) 모드가 소개되었다. 이것은 데이터 패킷들이 수신기로부터 신뢰성있게 판독될 수 있을 때까지 동일한 데이터 패킷들의 많은 반복 수신들에 의해 수신기가 충분한 전력을 결집시키는 방식으로 통신을 허용함으로써 수신/커버리지 쟁점들을 해결한다. 그것에 대한 전제 조건은 기지국이 CE 사용자 장비들을 지원한다는 것이다. 강화된 커버리지 지원은 또한 기지국에 의해 표시되는, 즉 사용자가 특정 커버리지 강화 깊이를 달성하도록 기지국이 소비할 반복들 및 리소스들의 최대에 대응하는 특정 커버리지 강화 제한까지 수행된다.
분명히,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기 위한 반복들의 양은 더 높은 전력 소모를 초래한다. 다른 한편, 미터링 디바이스들과 같은 머신 타입 통신(machine-type communication)(MTC) 각각의 사물 인터넷(IoT) 애플리케이션들의 커플에 대해, 약간 더 나쁜 커버리지 조건들에서 유지하기 어려운 주어진 전력 소모 예산이 사전 정의된다.
여기서 발명 방법을 인근에서 동작하는 적어도 2개의 사용자 장비의 상황에 개입시킨다. 방법은 특히 사용자 장비들의 더 큰 그룹에 적용가능하지만, 특히 - 반드시 - 동일한 운영자에 의해 설치되는 것은 아니다. LTE/뉴 라디오에 정의되는 공지된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 통신 채널들에서, 사용자 장비들은 특히 강화된 커버리지에서 동작할 때, 서빙 기지국을 통해 편차없이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따라서, 발명 방법은 기지국의 제1 사용자 장비로부터의 데이터 송신을 위해, 커버리지 강화 조건들에서 동작할 때, 적어도 하나의 제2 사용자 장비가 통신 세션에 수반되는 것을 제안한다.
그렇게 행하기 위해, 사용자 장비가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패킷을 기지국에 막 송신하려고 할 때, 그것은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패킷을 적어도 하나의 제2 사용자 장비에 송신하는 단계를 취한다.
부가적으로, 그것은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패킷을 그러한 방식으로 기지국에 송신하라고 적어도 하나의 제2 사용자 장비에 명령하며, 이 데이터 패킷은 기지국 자체로의 제1 사용자 장비의 데이터 송신과 시간 동기화된다.
"시간 동기화된"은 다양한 스트림들의 모든 송신된 비트들이 샘플링 레이트 아래에 있는 타이밍에 도달하여, 기지국의 의사 결정 유닛이 동일한 샘플에서 다양한 스트림들의 모든 긍정 에너지를 얻는 것을 의미한다. 의사 결정 유닛은 에너지를 축적하고 충분한 에너지가 디코딩에 이용가능한지를 결정한다. 그러한 접근법은 수개의 사용자 장비들에 의해 병렬로 수행될 수 있으며 여기서 더 진보된 단계에서 또한 사용자 장비들의 이러한 그룹은 기지국의 수신기에서 신호들이 시간에 따라 축적될 수 있도록 데이터 패키지를 - 특히 반복적으로 - 송신할 수 있다. 다수의 병렬 반복된 송신이 시간에 있어서 더 적게 확산된다는 사실로 인해, 비선형 영향은 하나의 사용자 장비가 더 긴 지속 동안 상기 패키지를 송신하는 것처럼 훨씬 더 낮다. 축적된 혜택은 비선형 영향이 더 낮음에 따라 더 높다. 조합된 다중 디바이스 송신은 부정적인 영향들을 피하고 짧은 시간 동안만 부족한 네트워크 리소스들을 점유하는 것에 대해 많은 혜택들을 지닌다. 그 다음, 제1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사용자 장비는 시간 동기화 스케줄에 따라 데이터 패킷을 송신한다.
바람직하게는, 부가 데이터 패킷들은 동일한 방식으로 교환되고 송신된다.
제1 사용자 장비는 바람직하게는 하드웨어 장비의 면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2 사용자 장비와 다르지 않다. 충분히 근접하여 위치되는 사용자 장비들의 그룹 중 어느 것은 제1 사용자 장비의 역할을 맡는 동일한 위치 내에 있을 수 있다.
충분한 근접은 이러한 의미에서 LTE에 정의되는 가장 작은 시간 단위 Ts(time segment: 시간 세그먼트) 정도를 의미한다. Ts는 이하와 같이 정확히 정의된다:
Ts = 1/(15000 x 2048) 초이고, 32 나노초보다 조금 더 많다.
이것은 광속을 고려할 때 9.6 미터와 같다.
상이하게 계산될 때, 20MHz 대역폭에서 2048의 FFT 크기를 갖는 LTE 최대 대역폭을 고려하면 샘플링 레이트가 30.72MHz이어서, 샘플링 레이트보다 더 적은 오프셋을 가지고 도달하는 임의의 신호들이 상이한 것으로 인식되는 것이 아니라 동일한 것으로 간주되는 것을 의미한다. 임의의 더 작은 대역폭에 대해, 샘플링 레이트는 더 적은 서브캐리어들을 갖는 것으로서 대응하는 비율이다.
심볼 기간은 서브캐리어 간격의 역수이다. 그래서, 15KHz가 서브캐리어 간격인 LTE의 경우에, 심볼 길이는 1/(15KHz)이다. IFFT 모듈로부터의 2048회 샘플들은 1/(15KHz)의 심볼 기간에 꼭 들어맞는다. 따라서, 샘플링 주파수는 20 MHz에 대해 (15KHz * 2048)이다.
유사하게, 서브캐리어들의 수를 변경함으로써 다른 대역폭들에 대한 샘플링 주파수를 얻을 것이다. 그러나, 연결된 자동차의 특정 사용 경우를 고려하면, 이때 사용자 장비들은 사용자 장비들에 대한 자동차의 실외/실내 감쇠를 극복하도록 자동차 내에 분배될 수 있으며, 그 다음 상기 거리들 및 정확도 요건들은 완전히 용이하게 달성가능하다.
더 진보된 접근법에서, 다양한 사용자 장비들의 신호들은 조직화된 송신 다양성 방출을 형성하는 상이한, 즉 다수의 사용자 장비로서 인식될 수 있다. 그리고, 수신기는 유도되면 임의의 장래 송신들에 적절히 사용될 수 있는 학습 위상에서 타이밍을 조정하기 위해 알리무티의 코드(Alamouti's code)에 따라 MIMO와 같은 피드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한 기술들은 예를 들어 알리무티로 널리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많은 사용자 장비들에 의해 조직화된/동기화된 업링크(uplink)(UL) 송신을 형성하는 하나의 사용자 장비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그룹의 그러한 사용자 장비는 송신될 데이터의 발신자인 제1 사용자 장비의 역할을 취한다. 예를 들어 측정이 수행되고 미터링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것으로 되어 있을 때, 그것은 제1 사용자 장비의 역할을 취한다.
이것은 발명 해결법을 매우 유연하게 하고 전력 소모의 균형을 자동으로 달성한다. 전력 소모는 사용자 장비가 생성하고 송신하기로 되어 있는 데이터의 양에 여전히 선형이다.
발명 방법에서 하나의 사용자 장비에 의해 동일한 데이터 패킷을 반복적으로 송신하는 대신에, 강화된 커버리지에서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기 위한 시간은 대량으로 감소된다. 더욱이, 하나의 사용자 장비에 대한 전력 소모는 특히 수반된 그룹의 다른 사용자 장비들의 대부분보다 더 나쁜 커버리지 조건들에서 동작할 때, 감소된다.
그러한 그룹 송신을 개시하기 위해, 조직화 사용자 장비는 대응하는 리소스들을 서빙 기지국과 협상하고 할당하며 이것이 조합된 송신인 것을 표시한다. 상기 접근에 승인되는 리소스들은 다른 사용자 장비들과 송신을 조직화하기에, 즉 사용될 관련 타이밍 및 시퀀스들을 제공하기에 충분한 시간을 갖도록 장래에 사용자 장비에게 충분할 것이다.
그렇게 행하기 전에, 바람직하게는 수개의 준비 단계들이 수행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기 전에 제1 사용자 장비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사용자 장비가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 통신 채널을 통해 통신할 수 있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가 제안된다.
시간 동기화된 통신을 셋업하기 전에, 바람직하게는 제1 사용자 장비는 다른 사용자 장비들이 근접해 있는지를 결정한다.
이러한 단계는 특히 정지된 또는 다른 방식으로 고정된 설치들을 위해, 한 번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2개 이상의 사용자 장비가 자동차 내에 설치된 상태로, 초기화 단계에서 사용자 장비들이 근접하는지를 결정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것은 특히 하나의 사용자 장비에 의해 수행된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 장비들 각각은 이러한 단계를 행한다.
그러나, 다른 사용자 장비가 제1 사용자 장비의 근접에 들어가게 되는 경우에 대해, 산출하기 위해 이러한 실시예의 단계들을 적어도 때때로 수행하는 것이 유리하다.
결정 단계는 특히 사용자 장비들 사이의 직접 통신 링크, 즉 사이드링크를 통해 신호들을 교환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조직화 또는 마스터 사용자 장비의 역할을 하는 제1 사용자 장비는 물리 사이드링크 브로드캐스트 채널(physical sidelink broadcast channel)(PSBCH) 또는 물리 사이드링크 공유 데이터 채널(physical sidelink shared data channel)(PSSCH)을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충분한 수단은 사이드링크를 통해 신뢰성있게 통신하고 다른 사용자 장비들의 근접을 평가하기 위해 TS23.303으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마스터 사용자 장비에 근접하는 다른 사용자 장비들을 향하는 정보의 순전한 중계와 반대로, UL에서의 정보 교환은 사용자 장비들의 조합된 송신이고 단지 제1 각각 마스터 사용자 장비에 의해서만은 아닐 것이다. 마스터 사용자 장비가 UL 송신의 타이밍 및 포맷에 관하여 기지국과 협상하고 상기 정보를 근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사용자 장비에 제공했으면, (사용자 장비들 사이의) 특히 이전에 교환된 데이터 패킷들의 공동 송신이 수행된다. 그 다음, 기지국에 의해 제공되고 마스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제2 사용자 장비들 중에 분배되는 송신 시작 및 포맷은 그 결과 수행된다.
다른 유리한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패킷을 기지국에 송신하기 전에, 방법은 제1 사용자 장비들이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패킷의 상기 송신을 위한 타이밍 조건들을 기지국과 협상하는 단계, 및 상기 타이밍 조건들을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 통신 채널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제2 사용자 장비와 공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제안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1 사용자 장비가 예상된 분배 데이터 송신에 관한 정보를 서빙 기지국과 교환하는 것이 제안된다. 이러한 단계는 바람직하게는 이전 실시예가 수행된 후에 각각 - 예를 들어 이전 데이터 송신들로부터 - 얼마나 많은, 그리고 특히 어느, 제2 사용자 장비들이 데이터 송신에 수반될지가 알려져 있을 때 수행된다.
협상하는 단계는 특히 예상된 데이터 송신 및 이용가능한 리소스들에 대한 사용자 장비의 요건들 및 기지국의 타이밍 제약들에 관한 메시지들의 교환, 및 타이밍 조건들에 대한 사용자 장비 및 기지국 중 적어도 하나의 승인에 관한 교환을 수반한다.
타이밍 조건들은 데이터 송신의 시작에 관련되고 제1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사용자 장비로부터의 데이터 송신들의 상기 시간 동기화에 직접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단계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2 사용자 장비들이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패킷의 데이터 송신의 준비중에 오버헤드로서 임의의 부가 조치를 취할 필요가 없는 것이 보장된다. 이것은 특히 송신될 낮은 양의 데이터의 경우에 절전의 면에서 얻어진 장점이 데이터 연결을 셋업하기 위한 그러한 개별 시그널링 노력들을 통해 과잉 보상될 위험에 있으므로 유리하다.
제안된 실시예에서, 데이터 송신 세션을 적절히 셋업하고, 그 결과 또한 적어도 하나의 제2 사용자 장비가 데이터 패킷을 기지국에 송신하는 것을 보조하기 전에 배열되는 모든 것을 갖기 위해 노력들을 들이는 것은 제1 사용자 장비의 책임이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사용자 장비는 공통 그룹 식별자를 유지하고, 상기 그룹 식별자는 기지국과 협상의 일부로서 사용되고 상기 그룹 식별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패킷에 동봉되는 것이 제안된다.
그룹 식별자는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거나, 대안적으로 이미 공지되어 있을 수 있다. 기존 다중 디바이스 그룹 식별자들과 반대로, 조직화된 송신을 위한 상기 그룹 식별자는 사용될 때 대응하는 절차들을 변경할 것이다. 이것은 특히 송신될 때의 타이밍에 관한 정보가 그룹의 다른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장비와 함께 기지국과 협상되는 바와 같이 마스터 사용자 장비로부터 공유될 필요가 있으므로, 그룹에 대한 기지국으로부터의 데이터 할당이 단일 사용자 장비에 대한 것보다 더 늦은 시간 순간에 행해질 것을 의미한다. 즉, LTE 업링크에서, 할당은 나중에 4개의 프레임에 대한 것이며, 정상 단일 UE 송신에서 UE 처리에 충분하다. 이것은 조직화된 송신에 충분하지 않으며, 따라서 수신된 데이터는 PC5를 통해 다른 UE들에 분배될 필요가 있으며, 이는 부가 처리 시간을 필요로 하고, 부가 처리 시간은 협상 동안 고려될 필요가 있다. 이것은 다른 사용자 장비들이 사이드링크를 통해 마스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성공적으로 통지받을 때, 특히 적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 장비는 하나보다 많은 사이드링크 연결을 한 번에 설정하고, 따라서 타이밍 정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다른 사용자 장비들과 병렬로 분배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동일한 그룹의 사용자 장비가 또한 정보를 송신하기를 원할 때, 즉 마스터 역할을 맡고 그러한 그룹에 대해 초기에 협상되는 것과 동일한 조건들을 재취득할 때 특히 도움이 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그룹 내의 마스터십은 변경될 수 있거나, 동일한 사용자 장비가 마스터십을 유지할 때에도, 그룹 식별자는 기지국으로부터 대응하는 서비스를 그룹으로서 취득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한편 각각의 사용자 장비는 또한 임의의 다른 통신 목적을 위해 그의 개별적 식별자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 보장된다.
부가적으로, 마스터 역할을 갖는 제1 사용자 장비로부터 요청을 받는 제2 사용자 장비가 요청을 거부할 수 있는 것이 유용하다. 이것은 특히 제2 사용자 장비가 미리 결정된 수의 그룹들에서 이미 활성인 경우에 수행된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 장비는 하나의 마스터 사용자 장비를 서빙할 수 있고, 그 다음에 모든 부가 요청들은 그 결과 거부된다.
이것을 위해, 그룹 식별자는 또한 부가 송신이 거절되는지의 여부를 제2 사용자 장비가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된다. 제2 사용자 장비가 그룹에서 이미 활성이면, 이때 그것은 마스터십이 다른 그룹 멤버들 중에서 변경되었을 때, 데이터 패킷들을 계속 송신할 것이다.
그러나, 시간 동기화된 측정에서, 기지국이 데이터 패킷을 디코딩하기 위한 수신된 신호들을 잘 결집시킬 수 있는 잘 동기화된 데이터 패킷들이 송신되지 않을 위험이 여전히 있다. 특히, 복수의 데이터 패킷이 송신될 때, 나중에 송신된 패키지들을 위해 동기화는 특히 많은 수반된 사용자 장비들의 경우에, 손실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및 제2 사용자 장비들 중 적어도 하나가 기지국으로부터 동기화의 불균형에 관한 표시를 수신하는 경우에, 방법은 제1 사용자 장비가,
- 적어도 하나의 제2 사용자 장비에 데이터 송신을 지연하는 것을 표시하는 단계,
- 대응하는 동기화 개선 측정들을 수행하는 단계,
- 상기 송신을 위한 타이밍 조건들을 상기 기지국과 재협상하는 단계,
- 상기 타이밍 조건들을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 통신 채널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제2 사용자 장비와 공유하는 단계,
- 새로운 타이밍 조건들에 따라 송신을 계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제안된다.
이러한 실시예는 동기화에서의 불균형을 표시하는 기지국으로부터 제1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사용자 장비에 수신되는 표시에 의해 트리거된다. 이것은 기지국으로부터 각각의 사용자 장비로의 메시지에 의해 특히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그러한 표시는 제1 사용자 장비에 송신되며, 이는 상황을 해결하기 위한 조치를 이때 취할 수 있다. 이것은 현재 통신 세션의 마스터 사용자 장비이다.
그러나, 또한 표시는 제2 사용자 장비들 중 하나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사용자 장비가 필요한 단계들을 취하게 하기 위해 설정된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 통신을 통해 그러한 표시를 사용자 장비에 제출하는 것이 제안된다.
필요한 단계들은 데이터 송신을 지연하도록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 통신 채널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제2 사용자 장비에 명령어를 송신하는 것을 수반하며, 그러한 수단은 당분간 송신하는 것을 중단한다. 그 결과, 제1 사용자 장비는 또한 데이터 송신을 지연한다.
그 다음, 제1 사용자 장비는 적용가능한 경우, 동기화 개선 측정들을 수행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단계는 바람직하게는 제2 사용자 장비 중 적어도 하나가 충분한 동기화 안정성을 제공하지 않는지를 체크하는 것을 수반한다. 이것은 유리하게는 동일한 사용자 장비에 의해 야기될 때, 이전에 발생한 불균형 상황을 특히 고려할 수 있다.
그 다음, 제2 사용자 장비들의 그룹으로부터 그러한 사용자 장비를 제거하고 송신을 계속하는 것이 유리하다.
게다가, 사용자 장비들 사이의 시간 동기화의 조정은 바람직하게 수행된다.
개선 측정들이 수행될 때, 제1 사용자 장비는 다시 기지국과의 협상 타이밍 조건들로, 그들을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 통신 채널을 통해 제2 사용자 장비들 중에 분배하고 궁극적으로 - 제1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사용자 장비를 수반함 - 새롭게 협상된 타이밍 조건들 후에 데이터 패킷들의 송신을 계속하고 개선 측정들을 고려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타이밍 조건들은 적용가능한 강화된 커버리지 조건들에 관하여, 적어도 제1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사용자 장비의 서브세트에 대해 데이터 패킷을 반복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제안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최적화는 데이터 패킷을 기지국에 안전하게 송신하기 위한 요구된 반복들이 수반된 제1 및 제2 사용자 장비들의 이용가능한 수에 매칭하지 않는 것으로 산출되는 경우를 위해 도입된다.
10번의 반복이 요구되고 10개의 사용자 장비가 이용가능하면, 송신은 높은 가능성으로 성공적일 것이다.
10번의 반복이 요구되고 11개 이상의 사용자 장비가 이용가능하면, 바람직하게는 이용가능한 사용자 장비들 중 10개만이 데이터 패킷을 기지국에 송신하는 것에 수반된다. 이것은 10개의 기지국 중 하나가 예를 들어 동기화 안정성의 면에서 충분히 신뢰성있지 않은 경우에 특히 유리하다. 그 다음, 이것은 교환될 수 있다.
이용가능한 한 많은 사용자 장비들을 사용하기 위해, 요구되지 않을 지라도, 전력 예산은 권고되지 않을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더 나쁜 커버리지 조건들, 예컨대 가장 높은 CE 레벨을 갖는 사용자 장비들이 회피될 것이다.
10번의 반복이 요구되고 6개의 사용자 장비만이 이용가능한 경우에,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6개의 사용자 장비 중 4개는 데이터 패킷을 두 번 송신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것은 특히 시간 동기화의 일부이다.
단순성 이유들을 위해 그리고 조직적 오버헤드를 회피하기 위해, 데이터 패킷을 디코딩하기 위한 기지국에서 충분히 이용가능한 반복들을 보장하도록 요구되는 한 모든 사용자 장비들이 두 번 각각 송신되게 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그러나, 그것은 요구되는 만큼 많은 반복들만이 행해지면 바람직하다. 이것은 일부 사용자 장비들이 수반된 사용자 장비들의 그룹의 다른 사용자 장비보다 적어도 한 번 더 데이터 패킷들을 송신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 장비들은 나쁜 커버리지 조건들을 갖는 것들보다는 오히려, 더 양호한 커버리지 조건들에서 송신을 반복한다.
제안된 발명 방법은 사용자 장비들이 서로에게 알려져 있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지만, 상이한 가입자들에 의해 소유될 수 있으므로, 또한 데이터 보안의 인자가 적절하다.
따라서, 다른 유리한 실시예에서, 제1 사용자 장비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패키지를 유지하고 있고,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기 전에,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패키지를 암호화하는 단계 및 암호화의 결과를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패킷 상에 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제안된다.
제1 사용자 장비 또는 그것에 통신 결합되는 애플리케이션에서 수행되는 암호화는 어떤 종류의 데이터가 적어도 하나의 제2 사용자 장비의 도움으로 송신되는지를 평가할 기회를 제2 사용자 장비들이 갖지 않는 것을 보장한다. 이것은 대단히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는 사용자 장비들의 양을 증가시킨다.
그러한 데이터 송신 전에 기지국에 대한 키들 또는 인증서들 각각을 타겟된 원격 서버와 교환하는 것이 필요할 때, 다른 사용자 장비의 수반 없이 데이터 송신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공통 강화된 커버리지 데이터 송신이 아마도 발생할 필요가 있으므로, 시간이 좀 필요할 수 있다.
이러한 단계가 행해진 경우, 이때 암호화된 콘텐츠 패키지들은 사용자 장비에 송신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제2 사용자 장비와 데이터 패킷들로서 공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르면, 셀룰러 네트워크의 복수의 기지국 중 하나에 의해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동작하기 위한 사용자 장비가 제안되며,
커버리지 강화 조건들 하에 기지국에 캠핑 온하고,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 통신 채널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제2 사용자 장비에 통신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패킷의 데이터 송신을 위해, 사용자 장비는,
-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패킷을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 통신 채널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제2 사용자 장비에 송신하고,
- 제1 사용자 장비로부터의 제1 데이터 송신과 시간 동기화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패킷을 기지국에 송신하라고 적어도 하나의 제2 사용자 장비에 명령하도록 구성된다.
사용자 장비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요소들의 커플을 제공한다. 이것은 동작 소프트웨어, 특히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방법을 구현하는 것들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처리 회로를 포함한다.
게다가, 사용자 장비는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와 연결되는 송신 및 수신 회로, 전형적으로 무선 통신 신호들을 셀룰러 네트워크의 기지국과 교환하기 위한 송수신기를 포함한다. 게다가, 예를 들어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송신을 수신하기 전에 실행가능한 소프트웨어, 구성 데이터 및 측정된 데이터의 휘발성 및/또는 영구 저장을 위한 메모리 유닛은 바람직하게는 사용자 장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는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장점들을 공유한다.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따르면, 동시 수신 모드에서 복수의 사용자 장비와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셀룰러 네트워크의 기지국을 위한 방법이 제안되며, 방법은,
- 적어도 2개의 사용자 장비로부터 적어도 2개의 사용자 장비 각각의 동일한 데이터 패킷들에 관한 송신 신호들을 수신하는 단계,
- 수신된 송신 신호들을 조합하는 단계,
- 신호들의 조합이 충분히 디코딩가능한 신호들을 초래하는 경우에, 조합된 신호들을 디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양태는 제기된 문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른 사용자 장비에 대한 에어 인터페이스에 관한 상대로서의 기지국에 관련된다. 따라서, 제기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또한 기지국은 사용자 장비를 그의 노력으로 지원하는 것이 예상된다.
기지국은 셀룰러 네트워크의 복수의 기지국 중 하나이고, 4G 또는 5G의 기술 표준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4G에서, 기지국들은 전형적으로 eNodeB로 칭해지고, 5G에서, 그들은 gNodeB로 칭해진다.
게다가, 기지국은 강화된 커버리지 모드에서, 적어도 업링크에서 동작할 수 있다.
그 결과, 기지국은 기술적으로 미리 결정된 시간 거리 각각 지터 내에 수신되는 신호들을 축적할 수 있다.
방법에 따르면, 기지국은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른 제1 사용자 장비와 타이밍 조건들을 협상한 후에 적어도 2개의 사용자 장비로부터 송신 신호들을 수신한 다음, 그것은 그들이 디코딩가능할 때까지 수신된 신호들을 조합한다.
기지국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칩의 중간에 제공되는 다양한 스트림들으로부터 에너지를 얻기 위한 의사 결정 유닛을 포함하고, 그것을 축적하여 디코딩을 위한 충분한 에너지를 수신한다.
방법은 복수의 송신으로 송신된 데이터 패킷을 성공적으로 디코딩하기 위한 충분한 전력을 얻기 위해 적어도 한 번 반복될 필요가 있는 경우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송신 신호들을 수신하기 전에, 적어도 2개의 사용자 장비 중 하나로부터 데이터 송신을 위한 타이밍 조건들의 협상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그러한 협상의 일부로서 송신의 타이밍 조건들에 대한 표시를 상기 사용자 장비에 송신하는 단계가 추가로 제안된다.
이러한 실시예는 상기 데이터 송신 세션을 셋업하는 준비 단계들에 관련된다. 그것의 일부로서, 기지국은 바람직하게는 그룹 식별자에 관한 표시를 포함하는 송신을 제출함으로써, 조직화된 통신 세션 동안 요청을 수신하는 것으로 예견된다.
그 다음, 기지국은 이용가능한 리소스들을 산출하고 그것이 대처할 수 있는, 타이밍 조건들에 대한 일부 부가 시간을 추가한다.
이러한 타이밍 조건들은 협상 절차의 일부로서 교환된다.
전형적으로 사용자 장비 및 기지국 둘 다는 타이밍 조건들 및/또는 리소스 할당에 관한 결정을 초래하는 바람직한 시간 스케줄, 또는 적어도 일부 코너 스톤들을 제출한다.
전형적으로 마지막 결정은 이용가능한 리소스들을 한 번에 뷰잉할 수 있으므로, 기지국 측에 의존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타이밍 조건들을 협상하는 요청 내에서 그룹 식별자의 검출 시에, 요청 사용자 장비에 개별적으로 유효한 식별자를 포함하는 요청과 비교하여 업링크 송신을 위한 리소스들을 나중의 시점에 할당하는 단계가 추가로 제안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기지국이 사용자 장비로부터의 요청으로 그룹 식별자에 관한 표시를 검출하는 것이 제안된다. 이것이 사실이면, 기지국은 바람직하게는 요청이 조직화된 데이터 송신 세션에 관련되는 것을 인식한다. 따라서, 사용자 장비 측 상에서 다른 - 제2 - 사용자 장비들로 조정하기 위한 일부 부가 시간이 요구되는 것이 필요하다. 이것은 기지국에 의해 고려될 필요가 있다.
부가 시간의 양은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제2 사용자 장비들과의 이전에 수행된 공동 작업들에 기초하여, 사용자 장비에 의해 표시된다. 바람직하게는, 예상된 데이터 패킷들을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사용자 장비들의 수는 필요한 부가 시간에 영향을 미친다. 이것은 전형적으로 마스터 사용자 장비에게만 알려져 있으므로, 그것은 바람직하게는 타이밍 조건들을 협상하는 단계를 위해 고려된다.
개별 사용자 장비를 표시하는 식별자만이 기지국에 의해 검출되면, 어떤 그러한 부가 타이밍도 요구되지 않는다.
따라서, 협상의 일부로서, 이러한 타이밍 지연은 사용자 장비에 대한 타이밍 조건들에 추가된다.
본 발명의 제4 양태에 따르면, 동시 수신 모드에서 복수의 사용자 장비와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셀룰러 네트워크의 기지국이 제안되며,
- 적어도 2개의 사용자 장비로부터 적어도 2개의 사용자 장비 각각의 동일한 데이터 패킷들에 관한 송신 신호들을 수신하고,
- 수신된 송신 신호들을 조합하고,
- 신호들의 조합이 충분히 디코딩가능한 신호들을 초래하는 경우, 조합된 신호들을 디코딩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4 양태는 제3 양태의 장점들을 공유한다.
제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발명은 유리하게는 묘사된 문제를 해결하고 나쁜 커버리지 상황들에서 동작하지만, 다른 사용자 장비들이 근접해 있는 상태에서 동작하는 사용자 장비들에 대한 전력 소모 집약 데이터 송신들을 회피하는 혁신적 방식을 제안한다.
이하의 설명 및 첨부 도면들은 특정 예시적 양태들에 상세히 제시되고 실시예들의 원리들이 이용될 수 있는 다양한 방식들 중 몇 개만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특성들 및 장점들은 예시적으로 제공되지만 제한적 예들로 제공되지 않는 유리한 실시예들의 이하의 설명 및 첨부 도면들을 판독할 때 나타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일 실시예로서 적용되는 타입의 사용자 장비들의 그룹을 표현한다.
도 2는 선행 기술에 따른 커버리지 강화 조건들에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사용자 장비들의 데이터 송신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예시적 실시예로서 데이터 패킷의 송신을 디스플레이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예시적 실시예로서 더 깊은 커버리지 강화 조건들에서의 데이터 패킷의 송신을 디스플레이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사용자 장비들의 그룹으로서 배열되는 2개 더 많은 사용자 장비(UE2, UE3)와 함께 일 실시예로서 적용되는 타입의 제1 사용자 장비들(UE1)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그룹의 사용자 장비들은 특히 이러한 예시적 실시예에서 상이한 이동성 유닛들에 대해서와 같이, 자동차(CA) 상에 설치된다.
각각의 사용자 장비는 송신 및 수신 회로, 특히 송수신기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안테나에 액세스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안테나들은 이러한 예에서 자동차, 특히 적어도 2개의 사용자 장비 중에 공유되는 수단에 의해 제공된다. 자동차 내의 상이한 사용자 장비들은 eCall-박스의 일부, 엔터테인먼트 유닛, 및 예를 들어 이동 핸드셋일 수 있다. 예시 목적들을 위해서만, 상이한 사용자 장비들은 그들이 이동 핸드셋들이었던 것처럼 제시된다.
게다가, 사용자 장비들은 소프트웨어, 특히 표준 컴플라이언트 통신 작업들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토콜 스택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기 위한 CPU와 같은 처리 회로를 포함한다. 그러한 작업들은 셀룰러 네트워크(CN)의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base station)(BS)과 에어 인터페이스를 통한 통신을 수반한다.
기지국(BS)은 적어도 하나의 무선 셀룰러 통신 표준, 특히 3G(UMTS/CDMA), 4G(LTE), 5G(뉴 라디오(New Radio)(NR)) 이상을 구현한다. 그를 위해, 그것은 송신 및 수신 수단, 특히 안테나 및 송수신기를 포함한다. 게다가, 그것은 액세스를 셀룰러 네트워크 구성요소들, 특히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 및/또는 간접적으로 코어 네트워크에 제공한다.
게다가, 사용자 장비들(UE1, UE2, UE3)은 기지국을 수반하는 것 없이, 사용자 장비들 중에서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device-to-device)(D2D)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그러한 D2D 통신은 특히 4G 이후에 대해 표준화되는 바와 같이 PC5/사이드링크 각각의 ProSe 기능성에 의해 수행된다. 그것과 함께, 사용자 장비들은 서로 신호들을 교환할 수 있으며, 이는 특히 기지국(BS)을 통한 시그널링과 비교하여 유리한 전력 소모에서 나온다.
사용자 장비들(UE1, UE2, UE3)은 나쁜 커버리지 조건들을 극복하기 위해 강화된 커버리지 모드(CE)에서 기지국과 함께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그 결과, 서빙 기지국은 또한 강화된 커버리지 모드에서 사용자 장비들을 서빙할 수 있을 필요가 있다.
셀 구역 1(CEA1)에서, 그것은 사용자 장비들이 정상 커버리지 모드에서 동작할 때, 상기 기지국(BS)에 심각한 서비스 저하들 없이 캠핑 온할 수 있는 어느 구역에 표시된다. 그러나, 셀 구역 2(CEA2)는 강화된 커버리지 모드에서 동작하는 사용자 장비들이 기지국(BS)에 의해 서빙될 수 있는 구역을 나타낸다.
커버리지 강화 레벨 각각과 같이, 반복들의 수는 커버리지 조건들, 특히 기지국으로부터의 거리, 장애물들 등에 의해 주로 지배되며, 자동차는 커버리지가 없는 구역, 또는 주차장에 주차하고 있을 수 있고, 사용자 장비들은 상이한 커버리지 강화 레벨들을 제공한다. 따라서, 그것은 - 자동차가 어떻게 주차되는지에 기초하여 - 다른 것들보다 더 양호한 커버리지 조건들을 갖는 하나의 또는 다른 사용자 장비이다. 도 1의 예시적 실시예에서, 사용자 장비(UE3)는 다른 사용자 장비들(UE1, UE2)보다 기지국(BS)에 더 가깝게 위치된다. 이러한 상황에 대해, 그것은 다른 2개의 사용자 장비 대신에, 사용자 장비(UE3)가 신호들을 기지국에 송신하면, 바람직할 것이다.
대안적으로, 사용자 장비는 유지 이벤트들, 맵 업데이트들 등이 이용가능하면 정보, 예를 들어 휘발유 사용, 마일리지 또는 체크을 생성했다.
도 2에서, 강화된 커버리지 모드(CE)에서 사용자 장비(UE1)로부터 기지국(BS)으로 데이터 패킷(data packet)(DP)의 송신은 선행 기술로부터 공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타임 바 상에 개략적으로 제시된다.
데이터 패킷은 임의의 변경 없이 기지국(BS)에 몇 번 연속적으로 송신되는 것이 인식될 수 있다. 분명히, 이것은 데이터 전송 속도의 엄청난 감소를 초래한다. 종종 데이터 패킷이 반복될 필요가 더 많을수록, 하나의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것이 더 오래 걸리고, 주어진 시간 기간 동안 송신될 수 있는 데이터 패킷들이 더 적어진다.
이것은 발명 방법으로 극복되려고 시도되며, 그를 위해 도 3에 예시적 실시예가 도시된다. 여기서, 사용자 장비들(UE1 내지 UE5)의 그룹은 서로 가깝게 위치되고 동일한 기지국(BS)에 캠핑 온하고 있다.
사용자 장비들은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 연결들 D2D, 특히 PC5/사이드링크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이러한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 연결들을 통해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기 전에 데이터 패킷(DP)을 송신하기를 바라는 사용자 장비는 데이터 패킷을 다른 사용자 장비들(UE2 내지 UE5)과 공유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데이터 패킷은 연결들을 통해 UE1로부터 UE2로, UE2로부터 UE3으로 송신되는 등등이다. 이것은 반드시 유리한 교환 방식인 것은 아니다. 대신에, 하나의 사용자 장비(UE1)은 데이터 패킷(DP)을 하나보다 많은 다른 사용자 장비(UE2, UE3)로 송신할 수 있다. 이것은 바람직하게는 그룹의 사용자 장비들 중에 연결들의 로컬 토폴로지의 덕분에 배열된다.
사용자 장비들이 자동차의 일부이면, 이때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 연결들은 그들 중 일부 사이에 어떻게든지 설정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맥락에서, 사용자 장비들 사이의 균등한 유선 연결들은 본 발명에 의해 고려된다.
따라서, 그러한 설정된 연결들은 바람직하게는 데이터 패킷을 기지국(BS)에 송신하기 전에 데이터 패킷을 분배하기 위해 선택된다.
부가적으로, 사용자 장비들은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동기화에 관하여 명령받을 필요가 있다. 그것과 함께, 모든 수반된 사용자 장비들은 기지국(BS)에 시간 동기화되는 데이터 패킷(DP)을 송신할 준비가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강화된 커버리지에서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기 위한 시간이 대량으로 감소된다는 것은 분명하다.
사용자 장비의 수가 데이터 패킷을 기지국에 성공적으로 송신하기 위해 요구되는 반복들의 수를 준수하지 않으면, 이때 추가 반복들이 요구된다. 그러나,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은 5개의 사용자 장비에서, 데이터 패킷은 동일한 조건들 하에 하나의 사용자 장비만이 데이터 패킷을 송신할 때보다 5배 더 빠르게 송신된다는 것은 분명하다. 이것은 5번 또는 500번 반복이 요구되는지에 관계없이 적용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것은 모든 사용자 장비가 사용자 장비들의 동일한 그룹의 다른 사용자 장비들과 같이 자주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것이 아니면 부가적으로 바람직하다.
이것은 이러한 예에 제시되며, 여기서 7번의 반복은 데이터 패킷을 기지국(BS)에 성공적으로 송신하기 위해 요구되었다. 5개의 사용자 장비만이 이용가능했으므로, 그 수의 송신들만이 실제로 요구되는 바와 같이 수행되는 경우가 유리하다. 이것은 사용자 장비들(UE2, UE3, UE4)을 도우며, 이 장비들은 절전하기 위해 제2 송신을 하지 않아야 한다.
사용자 장비들이 그러한 상황에 송신할지 또는 송신하지 않을지의 선택은 특히 동기화 안정성의 면에서 배터리 전력, 커버리지 조건들 또는 신뢰성에 의해 유도된다.
상기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들을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들이 참조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은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이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게 하도록 충분히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상이할 지라도, 반드시 상호 배타적인 것은 아니라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원에 설명되는 특정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은 다른 실시예들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게다가,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요소들의 위치 또는 배열이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것 없이 수정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상세한 설명은 제한적 의미로 취해지지 않고,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항들에 권리가 주어지는 균등물들의 전체 범위와 함께, 적절히 해석되는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해서만 정의된다.

Claims (12)

  1. 제1 사용자 장비(UE1)로부터 셀룰러 네트워크(CN)의 기지국(BS)으로 데이터 송신을 위한 방법으로서, 그 기지국(BS) 상에 상기 제1 사용자 장비가 커버리지 강화(CE) 조건들 하에 캠핑 온하고 있으며, 상기 제1 사용자 장비는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 통신 채널(D2D)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제2 사용자 장비(UE2)에 통신 연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패킷(DP)의 데이터 반복 송신을 위해,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사용자 장비(UE1)가,
    -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패킷(DP)을 상기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 통신 채널(D2D)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사용자 장비(UE2)에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사용자 장비(UE1)의 제1 데이터 송신과 시간 동기화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패킷을 상기 기지국(BS)에 송신하라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사용자 장비(UE2)에 명령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 장비들(UE1, UE2)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기지국(BS)으로부터 동기화의 불균형에 관한 표시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사용자 장비(UE1)가,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사용자 장비(UE2)에 데이터 송신을 지연하는 것을 표시하는 단계,
    - 대응하는 동기화 개선 측정들을 수행하는 단계,
    - 상기 송신을 위한 타이밍 조건들을 상기 기지국(BS)과 재협상하는 단계,
    - 상기 타이밍 조건들을 상기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 통신 채널(D2D)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사용자 장비(UE2)와 공유하는 단계,
    - 새로운 타이밍 조건들에 따라 송신을 계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패킷(DP)을 송신하기 전에, 상기 제1 사용자 장비(UE1)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사용자 장비(UE2)가 상기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 통신 채널(D2D)을 통해 통신할 수 있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패킷(DP)을 상기 기지국(BS)에 송신하기 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사용자 장비(UE1)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패킷(DP)의 상기 송신을 위한 타이밍 조건들을 상기 기지국(BS)과 협상하는 단계, 및
    상기 타이밍 조건들을 상기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 통신 채널(D2D)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사용자 장비(UE2)와 공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사용자 장비(UE1, UE2)는 공통 그룹 식별자를 유지하고, 상기 그룹 식별자는 상기 기지국(BS)과 상기 협상의 일부로서 사용되고 상기 그룹 식별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패킷(DP)에 동봉되는,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조건들은 적용가능한 강화된 커버리지 조건들(CE)에 관하여, 적어도 상기 제1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사용자 장비(UE1, UE2)의 서브세트에 대해 상기 데이터 패킷(DP)을 반복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장비(UE1)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패키지를 유지하고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패킷(DP)을 송신하기 전에, 상기 방법은,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패키지를 암호화하는 단계, 및
    - 상기 암호화의 결과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패킷(DP) 상에 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 셀룰러 네트워크(CN)의 복수의 기지국(BS) 중 하나에 의해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동작하기 위한 사용자 장비(UE1)로서,
    커버리지 강화 조건들(CE) 하에 상기 기지국(BS)에 캠핑 온하고,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 통신 채널(D2D)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제2 사용자 장비(UE2)에 통신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패킷(DP)의 데이터 반복 송신을 위해, 상기 사용자 장비(UE1)는,
    -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패킷(DP)을 상기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 통신 채널(D2D)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사용자 장비(UE2)에 송신하고,
    - 상기 사용자 장비(UE1)로부터의 제1 데이터 송신과 시간 동기화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패킷(DP)을 상기 기지국(BS)에 송신하라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사용자 장비(UE2)에 명령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사용자 장비(UE1) 및 상기 제2 사용자 장비(UE2)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기지국(BS)으로부터 동기화의 불균형에 관한 표시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장비(UE1)는,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사용자 장비(UE2)에 데이터 송신을 지연하는 것을 표시하고,
    - 대응하는 동기화 개선 측정들을 수행하고,
    - 상기 송신을 위한 타이밍 조건들을 상기 기지국(BS)과 재협상하고,
    - 상기 타이밍 조건들을 상기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 통신 채널(D2D)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사용자 장비(UE2)와 공유하고,
    - 새로운 타이밍 조건들에 따라 송신을 계속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장비(UE1).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패킷(DP)을 상기 기지국(BS)에 송신하기 전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패킷(DP)의 상기 송신을 위한 타이밍 조건들을 상기 기지국(BS)과 협상하고,
    상기 타이밍 조건들을 상기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 통신 채널(D2D)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사용자 장비(UE2)와 공유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장비(UE1).
  9. 동시 수신 모드에서 복수의 사용자 장비(UE1, UE2)와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셀룰러 네트워크(CN)의 기지국(BS)을 위한 방법으로서,
    적어도 2개의 사용자 장비(UE1, UE2)로부터 상기 적어도 2개의 사용자 장비(UE1, UE2) 각각의 동일한 데이터 패킷들(DP)에 관한 반복 송신 신호들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적어도 2개의 사용자 장비(UE1, UE2) 중 하나의 사용자 장비는 커버리지 강화(CE) 조건들 하에 캠핑 온하고 있음 -,
    상기 수신된 반복 송신 신호들을 조합하는 단계,
    신호들의 조합이 충분히 디코딩가능한 신호들을 초래하는 경우에, 상기 조합된 신호들을 디코딩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사용자 장비(UE1, UE2)로부터 상기 반복 송신 신호들 사이의 동기화의 불균형의 검출 시에, 동기화의 불균형 표시 메시지를 상기 적어도 2개의 사용자 장비(UE1, UE2) 중 적어도 하나에 송신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2개의 사용자 장비(UE1, UE2) 중 상기 커버리지 강화(CE) 조건들 하에 캠핑 온하고 있는 사용자 장비(UE1)는,
    - 다른 사용자 장비(UE2)에 데이터 송신을 지연하는 것을 표시하고,
    - 대응하는 동기화 개선 측정들을 수행하고,
    - 상기 송신을 위한 타이밍 조건들을 상기 기지국(BS)과 재협상하고,
    - 상기 타이밍 조건들을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 통신 채널(D2D)을 통해 상기 다른 사용자 장비(UE2)와 공유하고,
    - 새로운 타이밍 조건들에 따라 송신을 계속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반복 송신 신호들을 수신하기 전에, 상기 적어도 2개의 사용자 장비(UE1, UE2) 중 하나로부터 데이터 송신을 위한 타이밍 조건들의 협상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그 협상의 일부로서 상기 송신의 타이밍 조건들에 대한 표시를 상기 사용자 장비(UE1)에 송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타이밍 조건들을 협상하는 요청 내에서 그룹 식별자의 검출 시에, 요청 사용자 장비(UE1)에 개별적으로 유효한 식별자를 포함하는 요청과 비교하여 업링크 송신을 위한 리소스들을 나중의 시점에 할당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2. 동시 수신 모드에서 복수의 사용자 장비(UE1, UE2)와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셀룰러 네트워크(CN)의 기지국(BS)으로서,
    적어도 2개의 사용자 장비(UE1, UE2)로부터 상기 적어도 2개의 사용자 장비 각각의 동일한 데이터 패킷들(DP)에 관한 반복 송신 신호들을 수신하고 - 상기 적어도 2개의 사용자 장비(UE1, UE2) 중 하나의 사용자 장비는 커버리지 강화(CE) 조건들 하에 캠핑 온하고 있음 -,
    상기 수신된 반복 송신 신호들을 조합하고,
    상기 신호들의 조합이 충분히 디코딩가능한 신호들을 초래하는 경우에, 상기 조합된 신호들을 디코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사용자 장비(UE1, UE2)로부터 상기 반복 송신 신호들 사이의 동기화의 불균형의 검출 시에, 동기화의 불균형 표시 메시지를 상기 적어도 2개의 사용자 장비(UE1, UE2) 중 적어도 하나에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2개의 사용자 장비(UE1, UE2) 중 상기 커버리지 강화(CE) 조건들 하에 캠핑 온하고 있는 사용자 장비(UE1)는,
    - 다른 사용자 장비(UE2)에 데이터 송신을 지연하는 것을 표시하고,
    - 대응하는 동기화 개선 측정들을 수행하고,
    - 상기 송신을 위한 타이밍 조건들을 상기 기지국(BS)과 재협상하고,
    - 상기 타이밍 조건들을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 통신 채널(D2D)을 통해 상기 다른 사용자 장비(UE2)와 공유하고,
    - 새로운 타이밍 조건들에 따라 송신을 계속하도록 구성되는, 기지국(BS).
KR1020237021756A 2018-11-15 2019-11-13 무선 셀룰러 네트워크 내의 전력 최적화된 데이터 송신을 위한 방법 KR1026603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8206523.5A EP3654728A1 (en) 2018-11-15 2018-11-15 Method for power optimized data transmission in a wireless cellular network
EP18206523.5 2018-11-15
KR1020217014593A KR20210078521A (ko) 2018-11-15 2019-11-13 무선 셀룰러 네트워크 내의 전력 최적화된 데이터 송신을 위한 방법
PCT/EP2019/081113 WO2020099456A1 (en) 2018-11-15 2019-11-13 Method for power optimized data transmission in a wireless cellular network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4593A Division KR20210078521A (ko) 2018-11-15 2019-11-13 무선 셀룰러 네트워크 내의 전력 최적화된 데이터 송신을 위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6712A KR20230106712A (ko) 2023-07-13
KR102660353B1 true KR102660353B1 (ko) 2024-04-26

Family

ID=6436232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1756A KR102660353B1 (ko) 2018-11-15 2019-11-13 무선 셀룰러 네트워크 내의 전력 최적화된 데이터 송신을 위한 방법
KR1020217014593A KR20210078521A (ko) 2018-11-15 2019-11-13 무선 셀룰러 네트워크 내의 전력 최적화된 데이터 송신을 위한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4593A KR20210078521A (ko) 2018-11-15 2019-11-13 무선 셀룰러 네트워크 내의 전력 최적화된 데이터 송신을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991652B2 (ko)
EP (2) EP3654728A1 (ko)
JP (2) JP2022509613A (ko)
KR (2) KR102660353B1 (ko)
WO (1) WO2020099456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57547A2 (ko) 2010-10-28 2012-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협력적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단말 간 채널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140098731A1 (en) 2012-10-05 2014-04-10 Futurewei Technologies, Inc. Terminal Based Grouping Virtu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in Wireless Network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28344B2 (ja) 2010-02-16 2014-11-19 エレクトロニクス アンド テレ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リサーチ インスチチュート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リレイを送受信するために用いる広帯域近距離の無線通信方法及び装置
US10071584B2 (en) 2012-07-09 2018-09-11 Apple Inc. Process for creating sub-surface marking on plastic parts
WO2015002432A1 (ko) * 2013-07-01 2015-0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신호 전송 방법 및 전송 장치
US9955509B2 (en) 2014-01-22 2018-04-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avoiding collision between random access transmission and device to device transmission in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device to device scheme
US10750558B2 (en) * 2014-08-07 2020-08-18 Qualcomm Incorporated Ultra-reliable communications using neighboring device-to-device assistance
EP3273725B1 (en) * 2015-04-17 2019-01-30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Coverage enhancement level signalling and efficient packing of mtc system information
WO2017119219A1 (ja) * 2016-01-06 2017-07-13 日本電気株式会社 通信方法
GB2548374A (en) 2016-03-16 2017-09-20 Nec Corp Communication system
US20200296745A1 (en) 2016-03-23 2020-09-17 Nec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resource scheduling related to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JP6614730B2 (ja) * 2016-03-31 2019-12-04 ホアウェイ・テクノロジーズ・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受信エンド決定方法、関連するデバイス、および通信システム
US10244385B2 (en) * 2016-12-05 2019-03-26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Coverage enhancement having call continuity
JP6814281B2 (ja) * 2017-03-23 2021-01-13 京セラ株式会社 通信制御方法及び無線端末
CN108810922B (zh) * 2017-05-03 2021-02-2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及终端、基站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57547A2 (ko) 2010-10-28 2012-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협력적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단말 간 채널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140098731A1 (en) 2012-10-05 2014-04-10 Futurewei Technologies, Inc. Terminal Based Grouping Virtu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in Wireless Network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TS36.300 (2018.10.0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6712A (ko) 2023-07-13
US11991652B2 (en) 2024-05-21
KR20210078521A (ko) 2021-06-28
JP2022509613A (ja) 2022-01-21
EP3881638A1 (en) 2021-09-22
JP2024001289A (ja) 2024-01-09
WO2020099456A1 (en) 2020-05-22
EP3654728A1 (en) 2020-05-20
US20220015046A1 (en) 2022-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857921B1 (en) Transmission with indication of geographic area
JP6846435B2 (ja) ウェアラブルデバイスをlteマスターueと共にグループ化する手順
CN107409429B (zh) 中继发现和关联消息
KR102524101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v2x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v2x 통신 수행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CN110602654B (zh) 使用mbms中继装置管理多媒体广播多播服务
JP6888018B2 (ja) V2xアプリケーションのためのlte−d通信
KR102141114B1 (ko) 단말 대 단말 통신에서 시간 동기화 방법 및 장치
CN115606109A (zh) 网络辅助侧行链路波束故障恢复
KR20150015295A (ko) 단말 대 단말 통신을 지원하는 단말 및 그 동작 방법
US9420617B2 (en) Management of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resources using macrocell communication resources
US11082965B2 (en) Resource allocation method and relevant device
US20200382922A1 (en) V2x packet filtering and latency scheduling in physical layer decoding
JP2020123986A (ja) Macメッセージの送信を基地局にトリガさせるための方法
EP3689075A1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ultra reliable low latency communications in new radio based vehicle to everything environment
US2023040362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lay communication
CN112689962A (zh) 用于无线通信的半双工技术
CN116250281A (zh) 用于路径切换的方法和装置
KR102660353B1 (ko) 무선 셀룰러 네트워크 내의 전력 최적화된 데이터 송신을 위한 방법
CN115552987A (zh) 用于用户设备(ue)间协调的车对万物(v2x)目的地标识共享
WO2017132994A1 (zh) 信息发送、接收、上行同步、数据发送指示方法及设备
WO2015100592A1 (zh) 在设备到设备(d2d)通信中时频资源的管理方法和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