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0250B1 - Usb 2.0 광전 전송 시스템 - Google Patents

Usb 2.0 광전 전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0250B1
KR102660250B1 KR1020217042042A KR20217042042A KR102660250B1 KR 102660250 B1 KR102660250 B1 KR 102660250B1 KR 1020217042042 A KR1020217042042 A KR 1020217042042A KR 20217042042 A KR20217042042 A KR 20217042042A KR 102660250 B1 KR102660250 B1 KR 1026602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usb
connector
identification circuit
direction ident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42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10667A (ko
Inventor
준빈 후앙
쿠안페이 푸
용 양
지후이 첸
링 롱
Original Assignee
선전 아파라이트 씨오.,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전 아파라이트 씨오.,엘티디 filed Critical 선전 아파라이트 씨오.,엘티디
Publication of KR20220110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06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02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02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382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80Optical aspects relating to the use of optical transmission for specific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B10/03 - H04B10/70, e.g. optical power feeding or optical transmission through water
    • H04B10/801Optical aspects relating to the use of optical transmission for specific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B10/03 - H04B10/70, e.g. optical power feeding or optical transmission through water using optical interconnects, e.g. light coupled isolators, circuit board interconnec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74Electrical asp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 G06F13/428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on a serial bus, e.g. I2C bus, SPI b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0042Universal serial bus [US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제1 USB 2.0 커넥터, 제2 USB 2.0 커넥터, 제1 신호 방향 식별 회로, 제2 신호 방향 식별 회로, 제1 레이저, 제2 레이저, 제1 광 검출기 및 제2 광 검출기를 포함하는 USB 2.0 광전 전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제1 신호 방향 식별 회로의 제1 단부 및 제2 단부는 제1 USB 2.0 커넥터의 D+ 핀 및 D- 핀에 각각 접속되고; 제1 신호 방향 식별 회로의 제3 단부 및 제4 단부는 제1 레이저 및 제2 광 검출기에 각각 접속되고, 제2 신호 방향 식별 회로의 제1 단부 및 제2 단부는 제2 USB의 2.0 커넥터의 D+ 핀 및 D- 핀에 각각 접속되고, 제2 신호 방향 식별 회로의 제3 단부 및 제4 단부는 제2 레이저 및 제1 광 검출기에 각각 접속되고, 제1 레이저 및 제1 광 검출기(31)와, 제2 레이저 및 제2 광 검출기는 광 섬유에 의해 접속된다. 본 개시는 진정한 의미에서 USB 2.0 광전 전송을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USB 2.0 광전 전송 시스템
본 출원은 광전 전송의 기술 분야, 특히 USB 2.0 광전 전송 시스템에 속한다.
통신 전송에 대한 용어인 듀플렉스(duplex)는 이 채널이 통신에서 양방향 전송을 허용하는 것을 의미하는 반면, 심플렉스(simplex)는 당사자 A(party A)만이 당사자 B(Party B)에게 정보를 송신하도록 허용하지만 당사자 B는 당사자 A에게 정보를 전송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 양방향 전송이 동시에 허용되면 풀 듀플렉스(full duplex)라고 칭하며; 소위 하프-듀플렉스(half-duplex)는 단지 하나의 액션만이 일정 기간에 발생함을 의미한다. 간단한 예를 들어, 특정 시간에 한 대의 차량만이 좁은 도로를 통과할 수 있으며, 현재 두 대의 차량이 서로 마주보고 있을 때, 한 대의 차량만이 먼저 통과하도록 허용되며 그 후 다른 차량은 첫 번째 차량이 주행한 후 통과한다. 이 예는 하프-듀플렉스의 원리를 생생하게 예시하며, USB 2.0은 정확히 하프-듀플렉스 프로토콜이다.
광전 변환을 위한 전송 구성 요소와 수신 구성 요소 - 즉, 하나는 레이저이고 다른 하나는 광 검출기임 - 사이의 상이한 구조로 인해, 레이저 또는 광 검출기를 접속시키는 회로 채널이 전송 단말인지 또는 수신 단말인지를 명확하게 정의하는 것이 필요하므로, 진정한 USB 2.0 광전 전송을 구현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관련 기술에서, USB 2.0 전기 신호는 칩으로 패키징되어 USB 3.0의 신호에 업로드되며, USB 프로토콜에서는 USB 3.0이 레이저와 광 검출기에 심플렉스 방식으로 접속되므로, USB 3.0은 광전 전송에 의해 USB 2.0의 광전 전송을 간접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그러나, 위의 해결책에는 많은 결함이 있다. 첫째, 이는 진정으로 순전한 USB 2.0 전송이 아니기 때문에, 많은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될 수 없다; 예를 들어, 두 디바이스가 USB 2.0 디바이스인 경우 어떠한 USB 3.0 PIN도 갖지 않기 때문에 전혀 사용될 수 없다. 둘째, 이 방법에서, 모듈은 상이한 방향으로 분할되어야 하며(호스트 단부 및 디바이스 단부), 이는 상호 교환 및 연결이 자유로운 USB 2.0 신호 전송의 진정한 의미가 아니다.
본 출원은 방향에 관계없이 진정한 의미에서 자유롭게 교환 및 꽂을 수 있는 USB2.0 광전 전송을 실현할 수 있는 USB2.0 광전 전송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출원은 제1 USB 2.0 커넥터, 제2 USB 2.0 커넥터, 제1 신호 방향 식별 회로, 제2 신호 방향 식별 회로, 제1 레이저, 제2 레이저, 제1 광 검출기 및 제2 광 검출기를 포함하는 USB 2.0 광전 전송 시스템(USB 2.0 photoelectric transmission system)을 제공하며, 제1 신호 방향 식별 회로의 제1 단부 및 제2 단부는 제1 USB 2.0 커넥터의 D+ 핀 및 D- 핀에 각각 접속되고; 제1 신호 방향 식별 회로의 제3 단부 및 제4 단부는 제1 레이저 및 제2 광 검출기에 각각 접속되고, 제2 신호 방향 식별 회로의 제1 단부 및 제2 단부는 제2 USB의 2.0 커넥터의 D+ 핀 및 D- 핀에 각각 접속되고, 제2 신호 방향 식별 회로의 제3 단부 및 제4 단부는 제2 레이저 및 제1 광 검출기에 각각 접속되고; 제1 레이저 및 제1 광 검출기와, 제2 레이저 및 제2 광 검출기는 광 섬유에 의해 접속되고, 제1 신호 방향 식별 회로 및 제2 신호 방향 식별 회로는 D+ 핀 또는 D- 핀으로 유입되는 전기 신호가 존재하는 것으로 인식되는 경우 제1 레이저를 제1 USB 2.0 커넥터의 D+ 핀 또는 D- 핀과 접속시키거나 제2 레이저를 제2 USB 2.0 커넥터의 D+ 핀 또는 D- 핀과 접속시키고, 제1 광 검출기 또는 제2 광 검출기로 유입되는 전기 신호가 존재하는 것으로 인식되는 경우 제1 광 검출기를 제2 USB 2.0 커넥터의 D+ 핀 또는 D- 핀과 접속시키거나 제2 광 검출기를 제1 USB 2.0 커넥터의 D+ 핀 또는 D- 핀과 접속시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1 신호 방향 식별 회로 및 제2 신호 방향 식별 회로는 모두 제1 USB 2.0 커넥터 및 제2 USB 2.0 커넥터의 전력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1 신호 방향 식별 회로 및 제2 신호 방향 식별 회로는 모두 제1 USB 2.0 커넥터 및 제2 USB 2.0 커넥터의 접지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제1 신호 방향 식별 회로는 제1 USB 2.0 커넥터의 D+ 핀 또는 D- 핀으로 유입되는 전기 신호가 존재하는 것으로 인식되는 경우 제2 광 검출기와 제1 USB 2.0 커넥터의 D+ 핀 또는 D- 핀 사이의 회로 채널을 폐쇄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제2 신호 방향 식별 회로는 제2 USB 2.0 커넥터의 D+ 핀 또는 D- 핀으로 유입되는 전기 신호가 존재하는 것으로 인식되는 경우 제1 광 검출기와 제2 USB 2.0 커넥터의 D+ 핀 또는 D- 핀 사이의 회로 채널을 폐쇄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제1 신호 방향 식별 회로는 제2 광 검출기로 유입되는 전기 신호가 존재하는 것으로 인식되는 경우 제1 레이저와 제1 USB 2.0 커넥터의 D+ 핀 또는 D- 핀 사이의 회로 채널을 폐쇄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제2 신호 방향 식별 회로는 제1 광 검출기로 유입되는 전기 신호가 존재하는 것으로 인식되는 경우 제2 레이저와 제2 USB 2.0 커넥터의 D+ 핀 또는 D- 핀 사이의 회로 채널을 폐쇄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또한, 제1 신호 방향 식별 회로 및 제2 신호 방향 식별 회로는 각각 FPGA 칩들을 포함한다.
또한, 제1 신호 방향 식별 회로 및 제2 신호 방향 식별 회로는 각각 MCU 마이크로컨트롤러들을 포함한다.
또한, 제1 신호 방향 식별 회로 및 제2 신호 방향 식별 회로는 집적 칩들이다.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는 본 출원의 제1 신호 방향 식별 회로 및 제2 신호 방향 식별 회로가 D+ 핀 또는 D- 핀으로 유입되는 전기 신호가 존재하는 것으로 인식되는 경우 제1 레이저를 제1 USB 2.0 커넥터의 D+ 핀 또는 D- 핀에 접속시키거나 제2 레이저를 제2 USB 2.0 커넥터의 D+ 핀 또는 D- 핀에 접속시켜, 전기 신호가 제1 레이저 또는 제2 레이저로 전송되고 이에 의해 제1 레이저 또는 제2 레이저를 여기시켜 전기를 빛으로 변화시키는 유리한 효과를 갖는다. 제1 신호 방향 식별 회로 및 제2 신호 방향 식별 회로는 또한 제1 광 검출기 또는 제2 광 검출기로 유입되는 전기 신호가 존재하는 것으로 인식되는 경우 제1 광 검출기를 제2 USB 2.0 커넥터의 D+ 핀 또는 D- 핀에 접속시키거나 제2 광 검출기를 제1 USB 2.0의 D+ 핀 또는 D- 핀에 접속시킬 수 있어, 전기 신호가 제1 광 검출기 또는 제2 광 검출기로부터 D+/D- 단자로 전송될 수 있으며, 따라서 광으로부터 전기로의 변환을 완료하므로, 방향에 관계없이 자유 교환 및 인터픽스를 갖는 USB 2.0 광전 전송을 실제로 구현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 또는 종래 기술의 기술적 해결책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실시예 또는 종래 기술의 설명에 사용될 필요가 있는 도면을 아래에 간략히 소개할 것이다. 명백하게, 아래의 설명에서의 도면은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일 뿐이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창의적인 노력을 들이지 않고도 이러한 도면에 따라 다른 도면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USB 2.0 광전 전송 시스템의 개략 회로도이다.
참조 번호:
11. 제1 USB 2.0 커넥터; 12. 제2 USB 2.0 커넥터; 21. 제1 레이저; 22. 제2 레이저; 31. 제1 광 검출기; 32. 제2 광 검출기; 41. 제1 신호 방향 식별 회로; 42. 제2 신호 방향 식별 회로; 50. 광 섬유.
본 출원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을 보다 명확하고 이해하기 쉽도록 하기 위하여, 이하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책이 본 출원의 실시예의 도면을 참조하여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될 것이다. 명백하게, 설명된 실시예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단지 일부일 뿐이며, 전체가 아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창의적인 작업 없이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획득된 다른 모든 실시예는 본 출원의 범위 내에 속할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출원의 USB 2.0 광전 전송 시스템은 제1 USB 2.0 커넥터(11), 제2 USB 2.0 커넥터(12), 제1 신호 방향 식별 회로(41), 제2 신호 방향 식별 회로(42), 제1 레이저(21), 제2 레이저(22), 제1 광 검출기(31) 및 제2 광 검출기(32)를 포함한다. 제1 신호 방향 식별 회로(41)의 제1 단부 및 제2 단부는 제1 USB 2.0 커넥터(11)의 D+ 핀 및 D- 핀에 각각 접속되고, 제1 신호 방향 식별 회로(41)의 제3 단부 및 제4 단부는 제1 레이저(21) 및 제2 광 검출기(32)에 각각 접속된다. 제2 신호 방향 식별 회로(42)의 제1 단부 및 제2 단부는 제2 USB의 2.0 커넥터(12)의 D+ 핀 및 D- 핀에 각각 접속된다. 제2 신호 방향 식별 회로(42)의 제3 단부 및 제4 단부는 제2 레이저(22) 및 제1 광 검출기(31)에 각각 접속된다. 제1 레이저(21) 및 제1 광 검출기(31)와, 제2 레이저(22) 및 제2 광 검출기(32)는 광 섬유(50)에 의해 접속된다. 제1 신호 방향 식별 회로(41) 및 제2 신호 방향 식별 회로(42)는 D+ 핀 또는 D- 핀으로부터 전기 신호가 유입되면 제1 레이저(21)를 제1 USB 2.0 커넥터(11)의 D+ 핀 또는 D- 핀과 접속시키거나 제2 레이저(22)를 제2 USB 2.0 커넥터(12)의 D+ 핀 또는 D- 핀과 접속시키고, 제1 광 검출기(31) 또는 제2 광 검출기(32)로부터 전기 신호가 유입되면 제1 광 검출기(31)를 제2 USB 2.0 커넥터(12)의 D+ 핀 또는 D- 핀과 접속시키거나 제2 광 검출기(32)를 제1 USB 2.0 커넥터(11)의 D+ 핀 또는 D- 핀과 접속시키도록 구성된다.
관련 기술에 비해, 본 출원의 제1 신호 방향 식별 회로(41) 및 제2 신호 방향 식별 회로(42)는 D+ 핀 또는 D- 핀으로부터 전기 신호가 유입되면 제1 레이저(21)를 제1 USB 2.0 커넥터(11)의 D+ 핀 또는 D- 핀에 접속시키거나 제2 레이저(22)의 D+ 핀 또는 D- 핀을 제2 USB 2.0 커넥터(12)에 접속시켜, 전기 신호가 제1 레이저(21) 또는 제2 레이저(22)로 전송되며, 이에 의해 제1 레이저(21) 또는 제2 레이저(22)가 여기(exciting)하여 전기를 빛으로 변환한다. 제1 신호 방향 식별 회로(41) 및 제2 신호 방향 식별 회로(42)는 또한 제1 광 검출기(31) 또는 제2 광 검출기(32)로부터 전기 신호가 유입되면 제1 광 검출기(31)를 제2 USB 2.0 커넥터(12)의 D+ 핀 또는 D- 핀에 접속시키거나 제2 광 검출기(32)를 제1 USB 2.0 커넥터(11)의 D+ 핀 또는 D- 핀에 접속시킬 수 있어, 전기 신호가 제1 광 검출기(31) 또는 제2 광 검출기(32)로부터 D+/D- 단자로 전송되어, 광으로부터 전기로의 변환을 완성하여, 방향에 관계없이 자유롭게 교환 및 꽂을 수 있는 USB 2.0 광전 전송을 진정한 의미에서 구현한다.
위의 실시예에서, 제1 신호 방향 식별 회로(41) 및 제2 신호 방향 식별 회로(42)는 모두 제1 USB 2.0 커넥터(11) 및 제2 USB 2.0 커넥터(12)의 전력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1 신호 방향 식별 회로(41) 및 제2 신호 방향 식별 회로(42)는 모두 제1 USB 2.0 커넥터(11) 및 제2 USB 2.0 커넥터(12)의 접지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바람직하게는, 신호 중첩 크로스토크(signal superposition crosstalk)를 방지하기 위해, 제1 신호 방향 식별 회로(41)는 제1 USB 2.0 커넥터(11)의 D+ 핀 또는 D- 핀으로부터 전기 신호가 유입되면 제2 광 검출기(32)와 제1 USB 2.0 커넥터(11)의 D+ 핀 또는 D- 핀 사이의 회로 채널을 폐쇄하는 데 추가로 사용된다. 제2 신호 방향 식별 회로(42)는 제2 USB 2.0 커넥터(12)의 D+ 핀 또는 D- 핀으로부터 전기 신호가 유입되면 제1 광 검출기(31)와 제2 USB 2.0 커넥터(12)의 D+ 핀 또는 D- 핀 사이의 회로 채널을 폐쇄하는 데 추가로 사용된다. 제1 신호 방향 식별 회로(41)는 제2 광 검출기(32)로부터 전기 신호가 유입되면 제1 레이저(21)와 제1 USB 2.0 커넥터(11)의 D+ 핀 또는 D- 핀 사이의 회로 채널을 폐쇄하는 데 추가로 사용되고, 제2 신호 방향 식별 회로(42)는 제1 광 검출기(31)로부터 전기 신호가 유입되면 제2 레이저(22)와 제2 USB 2.0 커넥터(12)의 D+ 핀 또는 D- 핀 사이의 회로 채널을 폐쇄하는 데 추가로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제1 신호 방향 식별 회로(41) 및 제2 신호 방향 식별 회로(42)는 FPGA 칩을 포함한다. 다른 가능한 실시예에서, 제1 신호 방향 식별 회로(41) 및 제2 신호 방향 식별 회로(42)는 MCU 마이크로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제1 신호 방향 식별 회로(41) 및 제2 신호 방향 식별 회로(42)는 또한 집적 칩일 수 있으며, 이는 본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요약하면, 본 출원의 제1 신호 방향 식별 회로(41) 및 제2 신호 방향 식별 회로(42)는 D+ 핀 또는 D- 핀으로 유입되는 전기 신호가 존재하는 것으로 인식되는 경우 제1 레이저(21)를 제1 USB 2.0 커넥터(11)의 D+ 핀 또는 D- 핀에 접속시키거나 제2 레이저(22)를 제2 USB 2.0 커넥터(12)의 D+ 핀 또는 D- 핀에 접속시켜, 전기 신호가 제1 레이저(21) 또는 제2 레이저(22)로 전송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제1 레이저(21) 또는 제2 레이저(22)를 여기하여 전기를 빛으로 변환한다. 제1 신호 방향 식별 회로(41) 및 제2 신호 방향 식별 회로(42)는 또한 제1 광 검출기(31) 또는 제2 광 검출기(32)로부터 전기 신호가 유입되면 제1 광 검출기(31)를 제2 USB 2.0 커넥터(12)의 D+ 핀 또는 D- 핀에 접속시키거나 제2 광 검출기(32)를 제1 USB 2.0 커넥터(11)의 D+ 핀 또는 D- 핀과 접속시킬 수 있어, 전기 신호가 제1 광 검출기(31) 또는 제2 광 검출기(32)로부터 D+/D- 단자로 전송되어, 광으로부터 전기로의 변환이 완성되어, 방향에 관계없이 자유롭게 교환 및 꽂을 수 있는 USB 2.0 광전 전송을 진정한 의미에서 구현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것은 본 출원에 의해 제공되는 기술적 해결책이다.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 본 출원의 실시예의 개념에 따라, 특정 구현 및 적용 범위에서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요약하면, 본 명세서의 내용은 본 출원의 제한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Claims (6)

  1. 제1 USB 2.0 커넥터(11), 제2 USB 2.0 커넥터(12), 제1 신호 방향 식별 회로(41), 제2 신호 방향 식별 회로(42), 제1 레이저(21), 제2 레이저(22), 제1 광 검출기(31) 및 제2 광 검출기(32)를 포함하는 USB 2.0 광전 전송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1 신호 방향 식별 회로(41)의 제1 단부 및 제2 단부는 상기 제1 USB 2.0 커넥터(11)의 D+ 핀 및 D- 핀에 각각 접속되고,
    상기 제1 신호 방향 식별 회로(41)의 제3 단부 및 제4 단부는 상기 제1 레이저(21) 및 상기 제2 광 검출기(32)에 각각 접속되고,
    상기 제2 신호 방향 식별 회로(42)의 제1 단부 및 제2 단부는 상기 제2 USB의 2.0 커넥터(12)의 D+ 핀 및 D- 핀에 각각 접속되고,
    상기 제2 신호 방향 식별 회로(42)의 제3 단부 및 제4 단부는 상기 제2 레이저(22) 및 상기 제1 광 검출기(31)에 각각 접속되고,
    상기 제1 레이저(21) 및 상기 제1 광 검출기(31)와, 상기 제2 레이저(22) 및 상기 제2 광 검출기(32)는 광 섬유(50)에 의해 접속되고,
    상기 제1 신호 방향 식별 회로(41)는 상기 제1 USB 2.0 커넥터(11)의 D+ 핀 또는 D- 핀으로부터 전기 신호가 유입되면 상기 제1 레이저(21)를 상기 제1 USB 2.0 커넥터(11)의 D+ 핀 또는 D- 핀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고, 상기 제2 신호 방향 식별 회로(42)는 상기 제1 광 검출기(31)로부터 전기 신호가 유입되면 상기 제1 광 검출기(31)를 상기 제2 USB 2.0 커넥터(12)의 D+ 핀 또는 D- 핀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신호 방향 식별 회로(42)는 상기 제2 USB 2.0 커넥터(12)의 D+ 핀 또는 D- 핀으로부터 전기 신호가 유입되면 상기 제2 레이저(22)를 상기 제2 USB 2.0 커넥터(12)의 D+ 핀 또는 D- 핀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고, 상기 제1 신호 방향 식별 회로(41)는 상기 제2 광 검출기(32)로부터 전기 신호가 유입되면 상기 제2 광 검출기(32)를 상기 제1 USB 2.0 커넥터(11)의 D+ 핀 또는 D- 핀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신호 방향 식별 회로(41)는 상기 제1 USB 2.0 커넥터(11)의 D+ 핀 또는 D- 핀으로부터 전기 신호가 유입되면 상기 제2 광 검출기(32)와 상기 제1 USB 2.0 커넥터(11)의 D+ 핀 또는 D- 핀 사이의 회로 채널을 폐쇄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제2 신호 방향 식별 회로(42)는 상기 제2 USB 2.0 커넥터(12)의 D+ 핀 또는 D- 핀으로부터 전기 신호가 유입되면 상기 제1 광 검출기(31)와 상기 제2 USB 2.0 커넥터(12)의 D+ 핀 또는 D- 핀 사이의 회로 채널을 폐쇄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신호 방향 식별 회로(41)는 상기 제2 광 검출기(32)로부터 전기 신호가 유입되면 상기 제1 레이저(21)와 상기 제1 USB 2.0 커넥터(11)의 D+ 핀 또는 D- 핀 사이의 회로 채널을 폐쇄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제2 신호 방향 식별 회로(42)는 상기 제1 광 검출기(31)로부터 전기 신호가 유입되면 상기 제2 레이저(22)와 상기 제2 USB 2.0 커넥터(12)의 D+ 핀 또는 D- 핀 사이의 회로 채널을 폐쇄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USB 2.0 광전 전송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 방향 식별 회로(41) 및 상기 제2 신호 방향 식별 회로(42)는 모두 상기 제1 USB 2.0 커넥터(11) 및 상기 제2 USB 2.0 커넥터(12)의 전력 단자들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1 신호 방향 식별 회로(41) 및 상기 제2 신호 방향 식별 회로(42)는 모두 상기 제1 USB 2.0 커넥터(11) 및 상기 제2 USB 2.0 커넥터(12)의 접지 단자들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USB 2.0 광전 전송 시스템.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 방향 식별 회로(41) 및 상기 제2 신호 방향 식별 회로(42)는 각각 FPGA 칩들을 포함하는, USB 2.0 광전 전송 시스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 방향 식별 회로(41) 및 상기 제2 신호 방향 식별 회로(42)는 각각 MCU 마이크로컨트롤러들을 포함하는, USB 2.0 광전 전송 시스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 방향 식별 회로(41) 및 상기 제2 신호 방향 식별 회로(42)는 집적 칩들인, USB 2.0 광전 전송 시스템.
KR1020217042042A 2021-01-26 2021-01-26 Usb 2.0 광전 전송 시스템 KR1026602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21/073775 WO2022160093A1 (zh) 2021-01-26 2021-01-26 一种usb2.0光电传输系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0667A KR20220110667A (ko) 2022-08-09
KR102660250B1 true KR102660250B1 (ko) 2024-04-25

Family

ID=82495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42042A KR102660250B1 (ko) 2021-01-26 2021-01-26 Usb 2.0 광전 전송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704268B2 (ko)
EP (1) EP4287642A1 (ko)
JP (1) JP7355859B2 (ko)
KR (1) KR102660250B1 (ko)
WO (1) WO2022160093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54754A1 (en) 2008-08-26 2010-03-04 Avago Technologies Fiber Ip (Singapore) Pte. Ltd Bi-directional signal transmission system using a dual-purpose pin
US20120011286A1 (en) * 2010-07-09 2012-01-12 Sae Magnetics (H.K.) Ltd. Optical communication module, universal serial bus cable with the same and processing method of data transfer thereof
US20150043922A1 (en) 2013-08-07 2015-02-12 Via Technologies, Inc. Optical transceiver modules, optical transmission devices, and optical transmission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64831A (en) 2000-07-12 2002-02-06 Mitel Semiconductor Ab Optical fibre cable to extend electrical bus
KR100405023B1 (ko) 2000-12-05 2003-11-07 옵티시스 주식회사 유니버셜 직렬 버스용 광통신 인터페이스 모듈
KR20030056129A (ko) 2001-12-27 2003-07-04 옵토밸리(주) 유에스비 광 확장 장치
CN2585498Y (zh) 2002-12-03 2003-11-05 周云波 一种通过光纤传输usb信号的电路
US8180225B2 (en) * 2006-12-20 2012-05-15 Jan-Gustav Werthen Optical data link
WO2009107913A1 (en) * 2008-02-26 2009-09-03 Icu Research And Industrial Cooperation Group Usb driver apparatus, usb external apparatus, usb system having the same and usb connect apparatus using light guide
US8224185B2 (en) * 2008-12-11 2012-07-17 Kaist USB compatible apparatus for connecting between optical USB device and electrical USB device
US8234416B2 (en) * 2010-04-06 2012-07-31 Via Technologies, Inc. Apparatus interoperable with backward compatible optical USB device
US8678673B2 (en) * 2010-09-07 2014-03-25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Optical USB thin card
CN106124087B (zh) * 2016-08-18 2019-03-22 盐城工学院 一种基于ZigBee无线传输的温度检测装置及方法
CN206211259U (zh) * 2016-11-18 2017-05-31 深圳市飞思卓科技有限公司 光模块及光电转换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54754A1 (en) 2008-08-26 2010-03-04 Avago Technologies Fiber Ip (Singapore) Pte. Ltd Bi-directional signal transmission system using a dual-purpose pin
US20120011286A1 (en) * 2010-07-09 2012-01-12 Sae Magnetics (H.K.) Ltd. Optical communication module, universal serial bus cable with the same and processing method of data transfer thereof
US20150043922A1 (en) 2013-08-07 2015-02-12 Via Technologies, Inc. Optical transceiver modules, optical transmission devices, and optical transmission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704268B2 (en) 2023-07-18
US20220237135A1 (en) 2022-07-28
KR20220110667A (ko) 2022-08-09
WO2022160093A1 (zh) 2022-08-04
EP4287642A1 (en) 2023-12-06
JP2023514884A (ja) 2023-04-12
JP7355859B2 (ja) 2023-10-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509986B (zh) 主动型光纤缆线与电子装置
CN105891979B (zh) 一种光模块
CN101344624A (zh) 芯片间光互连直接耦合的光电混合印刷电路板
CN101977082B (zh) 光收发模块、光传输装置及光传输方法
KR102660250B1 (ko) Usb 2.0 광전 전송 시스템
CN112839269A (zh) 一种usb2.0光电传输系统
CN216388075U (zh) 基于USB3.0的A接口转Micro B接口的光电转换装置
CN216565179U (zh) 一种PCIe接口的百兆可见光单向网卡
CN110955622A (zh) 数据传输装置及usb光纤延长器
CN208140986U (zh) 一种用于aoc有源光缆的光收发组件
CN207021995U (zh) 光通信系统及光通信组件
CN203151503U (zh) 基于光纤的usb3.0传输装置和基于光纤的usb3.0相机
CN214851657U (zh) 一种usb2.0光电传输系统
US20210278612A1 (en) Free air intrasystem interconnect
CN203942530U (zh) 光功率测量装置
CN209821440U (zh) 一种100g带分光接口的分离式混合集成发射器件
CN208421324U (zh) 一种双向光收发合一模块
CN210155655U (zh) 一种韦根和串口信号的usb转换器
CN108061938B (zh) 一种光电有源缆
CN216930023U (zh) 一种超小型光纤收发器
CN206272624U (zh) 一种多速率收发一体xgpon olt光模块
CN216057292U (zh) 用于hdmi2.1向下兼容的测试系统
CN207926595U (zh) 光通信传输装置
CN104301040A (zh) 一种40g长距离可插拔光模块
CN204481819U (zh) 微型化脉冲信号光纤调制解调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