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9958B1 - 구조물 보강 시스템 - Google Patents

구조물 보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9958B1
KR102659958B1 KR1020220009818A KR20220009818A KR102659958B1 KR 102659958 B1 KR102659958 B1 KR 102659958B1 KR 1020220009818 A KR1020220009818 A KR 1020220009818A KR 20220009818 A KR20220009818 A KR 20220009818A KR 102659958 B1 KR102659958 B1 KR 1026599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reinforcement
reinforcement plate
connecting member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9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13939A (ko
Inventor
이강석
유해양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009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9958B1/ko
Publication of KR20230113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39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9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99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18Increasing or restor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조물 보강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구조물 보강 시스템은, 구조물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배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단부가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보강 플레이트 및 제 2 보강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복수의 보강 플레이트; 상기 보강 플레이트의 단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블록; 및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상기 제 1 보강 플레이트 및 상기 제 2 보강 플레이트에 형성된 상기 결합블록에 동시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 1 보강 플레이트 및 상기 제 2 보강 플레이트를 상호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구조물 보강 시스템{STRUCTURE REINFORCEMENT SYSTEM}
본 발명은 구조물 보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조물을 시공한 후에, 구조물의 노후화나 외력에 의한 손상 등에 대한 대비, 또는, 이미 손상된 구조물의 성능 회복을 위하여 구조물의 기둥 등의 부재를 보강하는 여러가지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구조물의 기둥 등과 같은 부재를 보강하기 위한 방법으로, 기둥 등의 외측을 철근 콘크리트, 섬유, 강판 등으로 둘러싸서 보강하는 방법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철근 콘크리트를 사용하는 경우, 구조물의 중량이 증가하며, 시공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강판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강판과 기둥 등의 부재 간의 접합을 위하여 앵커 등을 사용하여 강판을 기둥에 고정시키거나, 에폭시 또는 모르타르 등을 사용하는 습식공법을 사용하는데, 앵커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기둥 등의 부재에 앵커 삽입을 위한 천공이 필요하므로 구조물의 파손이 생길 수 있으며, 습식공법을 사용할 경우에는 공사기간이 증가하고, 친환경성 및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앵커 또는 에폭시, 모르타르 등을 사용하는 공법들은 구조물의 기둥 등의 부재를 보강하기 위한 적합한 보강 강도, 즉, 강판 등이 기둥 등을 가압하는 강도를 조절하기가 용이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구조물을 보강하는 방법들은 구조물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보강하기가 힘들며, 시공 난이도가 높음과 동시에 시공기간이 길기 때문에 구조물의 긴급 복구에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구조물 보강 시스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조물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구조물의 긴급 복구에도 사용할 수 있는 구조물 보강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조물 보강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구조물 보강 시스템은, 구조물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배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단부가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보강 플레이트 및 제 2 보강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복수의 보강 플레이트; 상기 보강 플레이트의 단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블록; 및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상기 제 1 보강 플레이트 및 상기 제 2 보강 플레이트에 형성된 상기 결합블록에 동시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 1 보강 플레이트 및 상기 제 2 보강 플레이트를 상호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보강 플레이트 및 상기 제 2 보강 플레이트는, 상기 구조물의 외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메인 플레이트; 및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양 단부로부터 각각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결합블록이 형성되는 서브 플레이트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결합블록은 상기 서브 플레이트의 상단 및 하단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며, 상기 결합블록에는 상기 연결부재가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상기 서브 플레이트의 연장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결합공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브 플레이트의 상하 길이는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상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합블록이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단부로부터 이격되어 소정의 이격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이격 공간을 통해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결합공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결합공을 통해 상기 결합블록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제 1 보강 플레이트 및 상기 제 2 보강 플레이트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연결부재의 외측 돌출 길이가 소정의 범위내로 제한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부재의 외면에는 제 1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의 내면에는 상기 제 1 나사산에 대응하는 제 2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결합공에 나사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내면에 상기 제 1 나사산과 대응하는 제 3 나사산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결합블록에 삽입된 상기 연결부재의 돌출된 일 단에 상기 고정부재가 결합함으로써 상기 제 1 보강 플레이트 및 상기 제 2 보강 플레이트가 상기 구조물의 외면을 따라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결합력을 조절함에 따라 상기 제 1 보강 플레이트 및 상기 제 2 보강 플레이트 간의 인장력이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결부재가 결합블록에 결합되는 경우, 보강 플레이트의 외면으로부터 연결부재의 외측 돌출 길이가 소정의 범위 내로 제한되도록 함으로써 보강 플레이트의 강성과 연결부재의 강성이 유사하도록 할 수 있어, 구조물에 외력이 작용할 경우 연결부재가 손쉽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결합블록에 결합된 연결부재에 고정부재를 결합시키는 것만으로 제 1 보강 플레이트 및 제 2 보강 플레이트를 구조물에 고정시킬 수 있어, 시공 방법이 단순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연결부재 및 고정부재를 결합하는 것만으로 제 1 보강 플레이트 및 제 2 보강 플레이트를 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시공 기간을 단축할 수 있어 구조물의 긴급 보강용으로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연결부재 및 고정부재를 통하여 복수의 보강 플레이트를 상호 연결 및 구조물에 고정시킴으로써, 앵커 또는 접착제 등을 사용하지 않고 시공이 가능하여, 구조물의 파손이 없는 시공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연결부재와 고정부재 간의 결합력을 조절함으로써 구조물의 상태(노후화, 손상 정도 등)에 따라 제1 보강 플레이트와 제 2 보강 플레이트 간의 인장력을 조절하여 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보강 시스템이 구조물에 적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보강 시스템이 분해되어 있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보강 시스템의 결합블록에 연결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보강 시스템의 연결부재와 고정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기재되는 편의상 상하좌우의 방향은 도면을 기준으로 한 것이며, 해당 방향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보강 시스템이 구조물에 적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보강 시스템이 분해되어 있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보강 시스템의 결합블록에 연결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보강 시스템의 연결부재와 고정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구조물 보강 시스템(1000)은 복수의 보강 플레이트(100), 연결부재(200) 및 고정부재(30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보강 플레이트(100)는 상호 연결되며 구조물(S)의 외면에 밀착 및/또는 고정되어 구조물(S)을 보강하는 것으로서, 제 1 보강 플레이트(100-1) 및 제 2 보강 플레이트(100-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보강 플레이트(100-1) 및 제 2 보강 플레이트(100-2)는 구조물(S)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배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단부가 서로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조물(S)의 일 면에 제 1 보강 플레이트(100-1)의 단부와 제 2 보강 플레이트(100-2)의 단부가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제 1 보강 플레이트(100-1)와 제 2 보강 플레이트(100-2)는 각각의 단부에 형성된 결합블록(130)에 연결부재(200)가 동시에 결합됨으로써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 1 보강 플레이트(100-1) 및 제 2 보강 플레이트(100-2)는 메인 플레이트(110) 및 서브 플레이트(1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서브 플레이트(120)에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블록(130)이 형성될 수 있다.
메인 플레이트(110)는 구조물(S)의 외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구조물(S)의 각 모서리 중 적어도 하나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인 플레이트(110)는 구조물(S)의 상이한 2 이상의 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며 배치될 수 있다.
서브 플레이트(120)는 메인 플레이트(110)와 함께 구조물(S)의 외면을 감싸는 것으로서, 메인 플레이트(110)의 양 단부로부터 각각 수평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서브 플레이트(120)에는 결합블록(130)이 형성되어, 연결부재(200)가 결합됨으로써 제 1 보강 플레이트(100-1) 및 제 2 보강 플레이트(100-2)가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서브 플레이트(120)의 상하 길이는 메인 플레이트(110)의 상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 플레이트(120)는 메인 플레이트(110)에서 연장되되, 서브 플레이트(120)의 상단과 메인 플레이트(110)의 상단과의 거리가 서브 플레이트(120)의 하단과 메인 플레이트(110)의 하단과의 거리와 동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후술할 결합블록(130)이 서브 플레이트(120)의 상단 및 하단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될 때, 결합블록(130)과 메인 플레이트(110)의 단부 사이에 소정의 이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블록(130)은 연결부재(200)가 결합되어 제 1 보강 플레이트(100-1) 및 제 2 보강 플레이트(100-2)가 상호 연결되도록 하는 것으로, 서브 플레이트(120)의 상단 및 하단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블록(130)은 서브 플레이트(120)의 단부의 상단 및 하단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결합블록(130)에는 연결부재(200)가 삽입될 수 있는 결합공(13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결합블록(130)은 메인 플레이트(110)의 단부로부터 이격되어 소정의 이격 공간(도면부호 미도시)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결합블록(130)에 연결부재(200)가 결합될 때, 결합블록(130)과 메인 플레이트(110)의 단부 사이에 형성된 이격 공간을 통해 연결부재(200)가 결합공(131)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제 1 보강 플레이트(100-1)와 제 2 보강 플레이트(100-2) 간의 상호 연결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결합블록(130)은 서브 플레이트(12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결합블록(130)이 따로 구비되어, 용접 등의 다양한 방식을 통하여 서브 플레이트(120)에 고정 및/또는 결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결합블록(130)에는 연결부재(200)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는 결합공(131)이 서브 플레이트(120)의 연장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결합공(131)은 결합블록(130)에 형성되되 보강 플레이트(100)의 외면, 즉, 보강 플레이트(100)의 전면(구조물(S)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후면(구조물(S)로 향하는 방향), 상단면 및 하단면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부재(200)가 결합공(131)을 통해 결합블록(130)에 결합될 때, 제 1 보강 플레이트(100-1) 및 제 2 보강 플레이트(100-2)의 외면으로부터 연결부재(200)의 외측 돌출 길이가 소정의 범위내로 제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구조물(S)에 외력이 작용할 때, 보강 플레이트(100)의 강성과 연결부재(200)의 강성이 유사(또는 동일)하도록 할 수 있어, 구조물(S)에 작용한 외력에 의해 연결부재(200)가 손쉽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결합공(131)과 연결부재(200)는 나사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부재(200)의 외면에는 제 1 나사산이 형성되고, 결합공(131)의 내면에는 제 1 나사산과 대응하는 제 2 나사산이 형성되어, 연결부재(200)가 결합공(131)에 나사 결합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결합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연결부재(200)는 제 1 보강 플레이트(100-1) 및 제 2 보강 플레이트(100-2)를 상호 연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로 인접하는 제 1 보강 플레이트(100-1)에 형성된 결합블록(130)의 결합공(131)과 제 2 보강 플레이트(100-2)에 형성된 결합블록(130)의 결합공(131)에 연결부재(200)가 동시에 결합함으로써, 제 1 보강 플레이트(100-1)와 제 2 보강 플레이트(100-2)가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연결부재(200)는 결합블록(130)이 메인 플레이트(110)의 단부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된 소정의 이격 공간(도면부호 미도시)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연결부재(200)가 용이하게 결합블록(130)의 결합공(131)에 삽입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연결부재(200)의 길이는 조절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연결부재(200)의 외면에는 제 1 나사산이 형성되고, 결합공(131)의 내면에는 연결부재(200)의 제 1 나사산과 대응하는 제 2 나사산이 형성되어 연결부재(200)와 결합공(131)이 나사 결합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결합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연결부재(200)는 제 1 보강 플레이트(100-1) 및 제 2 보강 플레이트(100-2)의 결합블록(130)에 동시에 삽입된 상태에서, 일 단의 적어도 일부가 결합블록(130)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결합블록(130)의 외측으로 돌출된 연결부재(200)의 일 단에 고정부재(300)가 결합되어, 제 1 보강 플레이트(100-1) 및 제 2 보강 플레이트(100-2)가 구조물(S)의 외면을 따라 고정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연결부재(200)가 결합공(131)을 통해 결합블록(130)에 결합되는 경우, 제 1 보강 플레이트(100-1) 및 제 2 보강 플레이트(100-2)의 외면으로부터 연결부재(200)의 외측 돌출 길이가 소정의 범위내로 제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부재(200)는 보강 플레이트(100)의 외면, 즉, 보강 플레이트(100)의 전면(구조물(S)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후면(구조물(S)로 향하는 방향), 상단면 및 하단면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결합블록(130)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부재(200)로 제 1 보강 플레이트(100-1)와 제 2 보강 플레이트(100-2)를 상호 연결할 때, 연결부재(200)의 위치가 보강 플레이트(100)의 외면(상술한 보강 플레이트(100)의 전면, 후면, 상단면 및 하단면)이 형성된 범위 외측으로 벗어나게 된다면, 구조물(S)에 작용한 외력(특히, 전단력 등) 등이 연결부재(200)로 전달되었을 경우, 외력에 의한 비틀림 등이 발생하며 연결부재(200)가 파손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연결부재(200)가 보강 플레이트(100)의 외면(상술한 보강 플레이트(100)의 전면, 후면, 상단면 및 하단면)이 형성된 범위 내에서 결합하도록 하여 보강 플레이트(100)의 강성과 연결부재(200)의 강성이 유사(또는 동일)하도록 함으로써 구조물(S)에 작용한 외력에 의해 연결부재(200)가 손쉽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고정부재(300)는 제 1 보강 플레이트(100-1) 및 제 2 보강 플레이트(100-2)를 구조물(S)의 외면을 따라 고정시키 역할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부재(300)는 결합블록(130)에 삽입된 연결부재(200)의 돌출된 일 단에 결합함으로써 제 1 보강 플레이트(100-1)와 제 2 보강 플레이트(100-2) 사이에 인장력이 보다 크게 작용하도록 하고, 이에 따라 제 1 보강 플레이트(100-1)와 제 2 보강 플레이트(100-2)가 구조물(S)의 외면을 가압하게 되면서 제 1 보강 플레이트(100-1) 및 제 2 보강 플레이트(100-2)가 구조물(S)의 외면을 따라 고정되며 구조물(S)을 보강할 수 있다. 도면 상에서, 고정부재(300)가 연결부재(200)의 일 단에만 결합하는 것으로 표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연결부재(200)의 양 단에 결합하거나, 또는 연결부재(200)의 양 단중 적어도 하나 및 제 1 보강 플레이트(100-1)와 제 2 보강 플레이트(100-2) 사이에 연결부재(200)가 노출된 부분에 결합하는 등,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고정부재(300)는 연결부재(200)와 나사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부재(200)의 외면에는 제 1 나사산이 형성되고, 고정부재(300)의 내면에는 연결부재(200)의 제 1 나사산과 대응하는 제 3 나사산이 형성되어, 연결부재(200)의 일 단에 고정부재(300)가 나사 결합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고정부재(300)와 연결부재(200) 간의 결합력(토크압 또는 장력)을 조절함으로써, 제 1 보강 플레이트(100-1)와 제 2 보강 플레이트(100-2) 간의 인장력 및/또는 구조물(S)과 제 1 보강 플레이트(100-1) 및 제 2 보강 플레이트(100-2) 간의 밀착 정도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부재(200)가 볼트(bolt)의 형태로 적용되는 경우, 고정부재(300)는 너트(nut)의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부재(200)의 돌출된 부분에 결합된 고정부재(300)를 조임으로써 연결부재(200)와 고정부재(300) 간의 결합력을 높이면, 제 1 보강 플레이트(100-1)와 제 2 보강 플레이트(100-2) 간의 인장력이 증가함과 동시에, 구조물(S)과 제 1 보강 플레이트(100-1) 및 제 2 보강 플레이트(100-2) 간의 밀착력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반대로, 연결부재(200)와 고정부재(300) 간의 결합력을 낮추면, 제 1 보강 플레이트(100-1)와 제 2 보강 플레이트(100-2) 간의 인장력이 감소함과 동시에, 구조물(S)과 제 1 보강 플레이트(100-1) 및 제 2 보강 플레이트(100-2) 간의 밀착력이 감소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보강하고자 하는 구조물(S)의 노후화 등의 정도에 따라 구조물 보강 시스템(1000)의 결합 강도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으며, 또한, 구조물(S)에 앵커 등을 사용하지 않고 빠르게 보강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부재(200)와 고정부재(300)가 볼트-너트 결합 방식으로 적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결합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보강 플레이트 100-1: 제 1 보강 플레이트
100- 2: 제 2 보강 플레이트 110: 서브 플레이트
120: 결합블록 121: 결합공
200: 연결부재 300: 고정부재
1000: 구조물 보강 시스템

Claims (8)

  1. 구조물 보강 시스템에 있어서,
    구조물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배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단부가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보강 플레이트 및 제 2 보강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복수의 보강 플레이트;
    상기 보강 플레이트의 단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블록; 및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상기 제 1 보강 플레이트 및 상기 제 2 보강 플레이트에 형성된 상기 결합블록에 동시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 1 보강 플레이트 및 상기 제 2 보강 플레이트를 상호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보강 플레이트 및 상기 제 2 보강 플레이트는, 상기 구조물의 외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메인 플레이트; 및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양 단부로부터 각각 동일 두께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되 상하 길이가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상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되는 서브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서브 플레이트의 상단 및 하단에는 각각 결합블록이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단부로부터 이격하여 소정의 이격 공간을 형성하도록 돌출되되, 상기 결합블록의 돌출 높이는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높이와 동일하며, 상기 결합블록의 두께는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두께와 동일하고,
    상기 결합블록에는 상기 서브 플레이트의 연장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결합공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이격 공간을 통해 상기 결합공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연결부재의 외측 돌출 길이가 소정의 범위 내로 제한되는, 구조물 보강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의 외면에는 제 1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의 내면에는 상기 제 1 나사산에 대응하는 제 2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결합공에 나사 결합하는, 구조물 보강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내면에 상기 제 1 나사산과 대응하는 제 3 나사산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결합블록에 삽입된 상기 연결부재의 돌출된 일 단에 상기 고정부재가 결합함으로써 상기 제 1 보강 플레이트 및 상기 제 2 보강 플레이트가 상기 구조물의 외면을 따라 고정되는, 구조물 보강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결합력을 조절함에 따라 상기 제 1 보강 플레이트 및 상기 제 2 보강 플레이트 간의 인장력이 조절되는, 구조물 보강 시스템.
KR1020220009818A 2022-01-24 2022-01-24 구조물 보강 시스템 KR1026599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9818A KR102659958B1 (ko) 2022-01-24 2022-01-24 구조물 보강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9818A KR102659958B1 (ko) 2022-01-24 2022-01-24 구조물 보강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3939A KR20230113939A (ko) 2023-08-01
KR102659958B1 true KR102659958B1 (ko) 2024-04-22

Family

ID=87561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9818A KR102659958B1 (ko) 2022-01-24 2022-01-24 구조물 보강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995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2018Y1 (ko) * 2003-04-30 2003-07-31 문상렬 거푸집용 콘크리트패널
KR101793701B1 (ko) * 2017-04-17 2017-11-03 유병률 콘크리트 기둥의 비접착 보강 구조 및 그 방법
JP2019024277A (ja) * 2017-07-24 2019-02-14 東日本旅客鉄道株式会社 柱補強構造及び柱補強構造の構築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2018Y1 (ko) * 2003-04-30 2003-07-31 문상렬 거푸집용 콘크리트패널
KR101793701B1 (ko) * 2017-04-17 2017-11-03 유병률 콘크리트 기둥의 비접착 보강 구조 및 그 방법
JP2019024277A (ja) * 2017-07-24 2019-02-14 東日本旅客鉄道株式会社 柱補強構造及び柱補強構造の構築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3939A (ko) 2023-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2404B1 (ko) 하이브리드 비좌굴 가새
KR101733091B1 (ko) 강재 조립형 이중보강재를 구비한 비좌굴가새
KR101766807B1 (ko) 플레이트를 활용한 pc기둥-pc보 강접합 결합구조 및 pc거더-pc빔 강접합 결합구조, 이를 이용한 모듈러 시스템
KR101834006B1 (ko) 성형강판을 이용한 강재 조립보와 이를 이용한 철골골조
KR101462843B1 (ko) 철골기둥과 철골보, 철골기둥과 철골기둥·철골보의 접합구조
KR101868677B1 (ko) 메인 철골보와 보조 철골보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연결방법
KR20180122151A (ko) 상하 pc기둥 간 강접합 결합구조 및 이를 이용한 pc보의 강접합 결합구조
KR101995497B1 (ko) 플레이트를 구비한 상하 pc기둥 간 강접합 결합구조 및 이를 이용한 pc보의 강접합 결합구조
KR102001041B1 (ko) Cft사각기둥의 철골보 접합구조
KR102659958B1 (ko) 구조물 보강 시스템
KR101209367B1 (ko) 철골 모멘트 골조 내진보강용 가새의 좌굴방지 후보강구조
KR101299574B1 (ko) 사각 패널존을 이용한 모멘트 접합구조
KR101259247B1 (ko) 댐핑형 구조물
KR101814902B1 (ko) 분절형 보강 구조물을 이용한 건축물 개구부의 내진 보강 구조 및 보강 방법
KR102350905B1 (ko) 강선을 이용한 조적조 내진보강 구조 및 이를 위한 내진보강 공법
KR101864198B1 (ko) Pc기둥 및 pc보의 src 결합구조, 상하부 pc기둥 상호간 플레이트 결합구조
KR101984211B1 (ko) 보와 기둥이 연결되는 부분을 보강할 수 있는 와이드 합성 구조
KR102003286B1 (ko) 보와 기둥이 연결되는 부분을 보강할 수 있는 와이드 합성 구조
KR100656285B1 (ko) 인장 및 전단 보강을 위한 외부강선의 정착구조
KR102546964B1 (ko) 교량의 캔틸레버 시공방법
KR102408101B1 (ko) 조적조 칸막이벽체의 면외방향 전도 방지장치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2407718B1 (ko) 댐퍼구조물 및 기둥부재 및 보부재의 접합구조
KR102411635B1 (ko) 건물 기둥 내진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물 기둥 내진보강방법
KR101554092B1 (ko) 건축물 보강용 링크 가새 구조물
KR102479277B1 (ko) 흉벽일체 무조인트화에 따른 안전성 증대 보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