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9914B1 -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content in a vehicle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content in a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9914B1
KR102659914B1 KR1020230150890A KR20230150890A KR102659914B1 KR 102659914 B1 KR102659914 B1 KR 102659914B1 KR 1020230150890 A KR1020230150890 A KR 1020230150890A KR 20230150890 A KR20230150890 A KR 20230150890A KR 102659914 B1 KR102659914 B1 KR 1026599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display
vehicle
outpu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508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구효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바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바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바산업
Priority to KR1020230150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991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99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9914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10Input arrangements, i.e. from user to vehicle,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2Display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9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information is handled, e.g. showing information on plural displays or prioritising information according to driving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8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instruments
    • B60K35/81Arrangements for controlling instruments for controlling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03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using luminous text or symbol displays in or on the vehicle, e.g. static text
    • B60Q1/503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using luminous text or symbol displays in or on the vehicle, e.g. static text electronic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콘텐츠 출력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콘텐츠 출력 제어 시스템은 제1 차량; 상기 제1 차량에 배치된 제1 디스플레이; 상기 제1 디스플레이와 이웃하게 상기 제1 차량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와 상이한 종류의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제2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콘텐츠를 제어하는 콘텐츠 출력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 출력 모듈은, 콘텐츠 소스, 상기 제1 디스플레이의 특성 정보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의 특성 정보를 분석하여 콘텐츠 변환 정보를 생성하는 콘텐츠 분석부; 상기 콘텐츠 변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 소스를 변환하여 변환 콘텐츠를 생성하는 콘텐츠 변환부; 및 상기 변환 콘텐츠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에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부를 포함한다. A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ntent output of a vehicle are provided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vehicle content output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first vehicle; a first display disposed on the first vehicle; a second display disposed on the first vehicle adjacent to the first display and including a display panel of a different type from the first display; and a content output module that controls content output to the first display and the second display, wherein the content output module analyzes a content sourc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first display, and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second display. a content analysis unit that generates content conversion information; a content conversion unit that converts the content source based on the content conversion information and generates converted content; and a content provider providing the converted content to the first display and the second display.

Description

차량의 콘텐츠 출력 제어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content in a vehicle}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content in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에서 출력되는 콘텐츠의 출력을 제어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차량의 내부/외부에 배치된 복수의 디스플레이의 특성을 고려하여 콘텐츠를 출력하는 것을 제어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content output from a vehicl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ntent output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a plurality of displays arranged inside/outside a vehicle.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The content described in this section simply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for this embodiment and does not constitute prior art.

4차 산업 혁명과 함께, 차량(모빌리티)에 개념 변화, 특히, 차량을 "소유"한다는 것에서 "이용" 또는 "공유"한다는 것으로 개념 변화가 발생하고 있으며, 관련된 시장과 관련된 서비스가 폭발적인 성장세에 있다.With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re is a conceptual change in vehicles (mobility), especially from “owning” a vehicle to “using” or “sharing,” and services related to the related market are experiencing explosive growth. .

특히, 다수의 사용자가 다양한 목적으로 공유된 차량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모빌리티 목적성 변화 및 사용자의 다양한 니즈를 충족하기 위한 목적 기반 모빌리티(PBV, Purpose Built Vehicle, 이하 "PBV")의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In particular, since multiple users can use shared vehicles for various purposes, the development of purpose-based mobility (PBV, hereinafter “PBV”) is actively developing to meet various changes in mobility purposes and the diverse needs of users. It's going on.

PBV는 다양한 종류, 특징을 가진 디스플레이(PDLC,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투명 디스플레이, 프로젝터 등)가 차량의 내부,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PBV는 종래 아날로그식 정보 표기에 비해 더욱 다양한 정보를 운행 목적, 상황에 따라 제공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PBV displays of various types and characteristics (PDLC, flexible display, transparent display, projector, etc.) can be placed inside and outside the vehicle. PBV can be controlled to provide more diverse information depending on driving purpose and situation compared to conventional analog information display.

이에, 본 발명의 출원인은 PBV에 배치된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특성과 관계를 고려하여, 더욱 효율적으로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안하는 데 이르렀다.Accordingly,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proposed a method and system that can output content more efficiently, taking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and relationships of various display devices placed in the PBV.

본 발명의 과제는, 차량의 내부/외부에 배치된 복수의 디스플레이의 특성을 고려하여 콘텐츠를 출력하는 것을 제어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ntent output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a plurality of displays arranged inside/outside a vehicle.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obj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are not mentioned can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dditionally, it will be readily apparent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by the means and combinations thereof indicated in the patent claims.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콘텐츠 출력 제어 시스템은 제1 차량; 상기 제1 차량에 배치된 제1 디스플레이; 상기 제1 디스플레이와 이웃하게 상기 제1 차량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와 상이한 종류의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제2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콘텐츠를 제어하는 콘텐츠 출력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 출력 모듈은, 콘텐츠 소스, 상기 제1 디스플레이의 특성 정보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의 특성 정보를 분석하여 콘텐츠 변환 정보를 생성하는 콘텐츠 분석부; 상기 콘텐츠 변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 소스를 변환하여 변환 콘텐츠를 생성하는 콘텐츠 변환부; 및 상기 변환 콘텐츠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에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부를 포함한다.A vehicle content output control system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vehicle; a first display disposed on the first vehicle; a second display disposed on the first vehicle adjacent to the first display and including a display panel of a different type from the first display; and a content output module that controls content output to the first display and the second display, wherein the content output module analyzes a content sourc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first display, and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second display. a content analysis unit that generates content conversion information; a content conversion unit that converts the content source based on the content conversion information and generates converted content; and a content provider providing the converted content to the first display and the second display.

또한, 상기 콘텐츠 분석부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의 특성 정보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의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중 상기 콘텐츠 소스가 출력되는 메인 디스플레이와 상기 콘텐츠 소스가 출력되지 않는 서브 디스플레이를 결정하며, 상기 콘텐츠 변환 정보는 상기 콘텐츠 소스의 주요 내용을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의 특성 정보를 고려하여 부가 내용으로 변환하는 제1 콘텐츠 변환 정보; 및 상기 콘텐츠 소스를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의 특성 정보를 고려하여 변환하는 제2 콘텐츠 변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변환 콘텐츠는 상기 제1 콘텐츠 변환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며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에 제공되는 제1 변환 콘텐츠; 및 상기 제2 콘텐츠 변환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며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에 제공되는 제2 변환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ent analysis unit determines a main display on which the content source is output and a main display on which the content source is not output among the first display and the second display based on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first display and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second display. first content conversion information that determines which sub-display is not used, and wherein the content conversion information converts main content of the content source into additional content in consideration of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sub-display; and second content conversion information that converts the content source in consideration of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main display, wherein the converted content is generated based on the first content conversion information and provided to the sub-display. ; and second converted content generated based on the second content converted information and provided to the main display.

또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중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만 터치 패널이 형성되며, 상기 콘텐츠 분석부는 상기 콘텐츠 소스가 터치 입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터치 입력 인터페이스를 상기 터치 패널이 형성된 디스플레이에 대응하여 표시되도록 상기 제2 콘텐츠 변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only one of the first display and the second display has a touch panel, and when the content source includes a touch input interface, the content analysis unit determines the touch input interface to the display on which the touch panel is formed. The second content conversion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to be displayed correspondingly.

또한, 상기 제1 디스플레이의 특정 영역에 대응하도록 터치 패널이 형성되며, 상기 콘텐츠 분석부는 상기 콘텐츠 소스가 터치 입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터치 입력 인터페이스를 상기 터치 패널이 형성된 상기 제1 디스플레이의 특정 영역에 대응하여 표시되도록 상기 제2 콘텐츠 변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a touch panel is formed to correspond to a specific area of the first display, and when the content source includes a touch input interface, the content analyzer determines the touch input interface to be specific to the first display on which the touch panel is formed. The second content conversion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to be displayed corresponding to the area.

또한, 상기 제1 디스플레이와 상기 제2 디스플레이는 서로 상이한 주사율로 동작되며, 상기 콘텐츠 분석부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와 상기 제2 디스플레이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보다 주사율의 차이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제1 디스플레이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사이에 경계 영역이 출력되도록 상기 제2 콘텐츠 변환 정보 및 상기 제1 콘텐츠 변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display and the second display operate at different refresh rates, and the content analyzer determines that when a difference in refresh rate between the first display and the second display occurs than a preset threshold, the first display and the second display operate at different refresh rates. At least one of the second content conversion information and the first content conversion information may be configured to output a border area between the second displays.

또한, 상기 콘텐츠 변환 모듈은, 상기 콘텐츠 소스를 결정하는 콘텐츠 선택 인터페이스와 상기 콘텐츠 변환 정보에 따른 차량의 표시 상태를 제공하는 콘텐츠 출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사용자 환경을 구현하는 인터페이스 생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인터페이스 생성부는 상기 사용자 환경을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ent conversion module further includes an interface generator that implements a user environment including a content selection interface for determining the content source and a content output interface for providing a display stat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content conversion information, The interface creation unit may be configured to provide the user environment to the user terminal.

또한, 상기 콘텐츠 출력 인터페이스의 차량 표시 상태는, 상기 제1 차량의 디자인, 상기 제1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는 콘텐츠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는 콘텐츠를 함께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vehicle display state of the content output interface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the design of the first vehicle, content output from the first display, and content output from the second display together.

또한, 제3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제2 차량을 더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 출력 모듈은, 상기 제2 차량과 상기 제1 차량의 관계를 고려하여 상기 콘텐츠 소스를 기초로 상기 제3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내용을 구성하여 상기 제3 디스플레이에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t further includes a second vehicle including a third display, and the content output module is configured to output content to the third display based on the content source in consider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cond vehicle and the first vehicle. can be configured and provided to the third display.

또한, 상기 콘텐츠 출력 모듈은, 상기 차량에 탑승한 탑승객의 상태 정보를 실시간 또는 근실시간으로 수집하고, 상기 탑승객의 상태 정보에 따라 원본 콘텐츠 소스를 실시간 또는 근실시간으로 변형한 생성형 콘텐츠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형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소스로 상기 콘텐츠 분석부에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ent output module collects status information of passengers in the vehicle in real time or near real time, and generates generative content that transforms the original content source in real time or near real time according to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passengers. , the generated content can be provided to the content analysis unit as the content source.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콘텐츠 출력 제어 방법은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제1 차량에 이웃하게 배치된 제1 디스플레이와 제2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콘텐츠를 제어하는 방법으로, 상기 방법은: 콘텐츠 소스, 상기 제1 디스플레이의 특성 정보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의 특성 정보를 분석하여 콘텐츠 변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변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 소스를 변환하여 변환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 콘텐츠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of controlling content output of a vehicl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controlling content output to a first display and a second display disposed adjacent to a first vehicle, which is performed by a processor, and the method includes: content generating content conversion information by analyzing a sourc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first display, and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second display; converting the content source based on the content conversion information to generate converted content; and providing the converted content to the first display and the second display.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콘텐츠 출력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은 콘텐츠 소스가 메인 디스플레이에 대응하도록 조절되어 출력되게 되며, 콘텐츠 소소의 주요 내용이 서브 디스플레이에 대응하도록 부가 내용으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콘텐츠 소스는 제1 차량에 배치된 디스플레이부의 특성을 고려하여, 주변 사용자들이 더욱 편안하고, 핵심적인 내용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콘텐츠 제공의 효과가 더욱 높아질 수 있어, 콘텐츠 제공의 목적 달성이 더욱 용이해질 수 있다. In the vehicle content output control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source is adjusted and output to correspond to the main display, and the main content of the content source can be converted to additional content to correspond to the sub display and output. there is. Accordingl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play unit placed in the first vehicle, the content source can be provided so that surrounding users can more comfortably and easily check key content, and the effectiveness of content provision can be further increased. Achieving the purpose of providing content can become easier.

상술한 내용과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content, specific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below while explaining specific details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콘텐츠 출력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차량의 외부에 배치된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차량의 내부에 배치된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출력 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콘텐츠 출력 모듈에서 디스플레이부의 특성 정보를 고려하여 변형 콘텐츠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은 콘텐츠 출력 모듈에서 터치 패널 정보를 고려하여 변형 콘텐츠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은 콘텐츠 출력 모듈에서 경계 영역을 구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은 인터페이스 생성부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환경의 예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사용자 환경에서 제공하는 콘텐츠 출력 인터페이스의 동작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10은 군집 자율 주행을 수행하는 제1 차량과 제2 차량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제2 차량의 위치 정보를 고려하여 콘텐츠를 변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2는 탑승객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형 콘텐츠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vehicle content output control system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2A to 2C are exemplary diagrams for explaining a plurality of displays arranged outside a vehicle.
FIGS. 3A and 3B are exemplary diagrams for explaining a plurality of displays arranged inside a vehicle.
Figure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tent output modul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xample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of generating modified content in consideration of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display unit in the content output module.
Figure 6 is an example diagram to explain the process of generating modified content in consideration of touch panel information in the content output module.
Figure 7 is an example diagram to explain the process of configuring a border area in the content output module.
Figure 8 is an example diagram of the user environment provided by the interface creation unit.
FIG. 9 exemplarily illustrates an operation screen of the content output interface provided in the user environment of FIG. 8.
Figure 10 is an example diagram for explaining a first vehicle and a second vehicle performing autonomous platoon driving.
FIG. 11 is an example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modifying content in consideration of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vehicle of FIG. 10.
Figure 12 is an example diagram for explaining the process of generating generative content based on passenger status information.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일반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나 단어의 개념을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이 실현되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전부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및 응용 가능한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patent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ir general or dictionary meaning. According to the principle that the inventor can define the term or word concept in order to explain his or her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interpreted with a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completely repres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ey cannot be replaced at the time of filing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various equivalents, variations, and applicable examples.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Terms such as first, second, A, and B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named a second compon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named a first component. The term 'and/or' includes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stated items or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stated items.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mere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should be understood as not precluding the existence or addition possibility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서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they have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unless clear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sense. No.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포함된 각 구성, 과정, 공정 또는 방법 등은 기술적으로 상호 간 모순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공유될 수 있다.Additionally, each configuration, process, process, or method included in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hared within the scope of not being technically contradictory to each other.

이하,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콘텐츠 출력 제어 시스템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vehicle content output control system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2.

도 1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콘텐츠 출력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차량의 외부에 배치된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차량의 내부에 배치된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vehicle content output control system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2A to 2C are exemplary diagrams for explaining a plurality of displays arranged outside a vehicle. FIGS. 3A and 3B are exemplary diagrams for explaining a plurality of displays arranged inside a vehicle.

도 1을 참조하면, 차량의 콘텐츠 출력 제어 시스템(10)은 제1 차량(100), 디스플레이부(110), 콘텐츠 출력 모듈(120) 및 사용자 단말(130)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 the vehicle content output control system 10 includes a first vehicle 100, a display unit 110, a content output module 120, and a user terminal 130.

제1 차량(100)은 사용자의 목적과 요구에 대응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도록 다목적 차량, 목적 기반 차량(PBV)을 의미한다. 또한, 제1 차량(100)은 여러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다목적 차량(MPV, multiple purpose vehicle)을 의미할 수 있으며, 후술하는 구성을 통해 여러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여러 목적으로 이용되기 위해 유연하게 변화될 수 있다. 즉, 제1 차량(100)은 차량의 기본 기능인 주행 기능과 함께 다양한 목적에 부합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차량(100)은 이러한 다목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제1 차량(100)의 내부 구성이 자유롭게 변화될 수 있다. 제1 차량(100)의 내부 실내 공간(캐빈)에는 다양한 구성(좌석, 수납 장치, 전자 장치 등)이 배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들은 서비스에 따라 다르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1 차량(100)의 내부 및 외부 중 적어도 하나에는 표시 장치가 배치되어 다목적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The first vehicle 100 refers to a multi-purpose vehicle or purpose-based vehicle (PBV) that can provide functions corresponding to the user's purpose and needs. In addition, the first vehicle 100 may refer to a multiple purpose vehicle (MPV) that can be used for multiple purposes, and may provide multiple services through a configuration described later, or be flexibly used for multiple purposes. It can change. In other words, the first vehicle 100 can provide services for various purposes along with the driving function, which is the basic function of the vehicle.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first vehicle 100 may be freely changed in order to provide such a multi-purpose service. Various components (seats, storage devices, electronic devices, etc.) may be placed in the interior interior space (cabin) of the first vehicle 100, and these components may be provid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service. Additionally, a display device may be disposed on at least one of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first vehicle 100 to provide information related to a multipurpose service.

디스플레이부(110)는 제1 차량(100)과 관련된 정보 또는 다양한 콘텐츠를 제1 차량(100) 주변에 위치하는 다양한 객체 또는 제1 차량(100)에 탑승한 탑승객에게 제공하기 위한 표시 장치에 해당한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제1 차량(100)의 전면, 좌측면, 우측면 및 후면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될 수 있으며, 각각의 위치에 따른 정보 또는 콘텐츠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차량(100)의 좌측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는 반대 차선 또는 왼쪽 차선에서 주행 중인 차량에게 제공하기 위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으며, 제1 차량(100)의 우측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는 오른쪽 차선에서 주행 중인 차량 또는 보행자를 위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1 차량(100)의 후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는 후행하는 차량에게 정보를 출력할 수 있으며, 전면은 반대 차선의 주행 차량에게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110)가 배치된 차량(100)의 위치, 외부면에 따라 표시되는 콘텐츠의 출력 상태 및 내용 중 적어도 하나가 자동으로 변형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반대편 차량을 향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는 동영상이 아닌 이미지 콘텐츠를 출력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10 corresponds to a display device for providing information or various contents related to the first vehicle 100 to various objects located around the first vehicle 100 or to passengers riding in the first vehicle 100. do. The display unit 110 may be placed on at least one of the front, left, right, and rear sides of the first vehicle 100, and may be configured to output information or content according to each location. As an example, the display disposed on the left side of the first vehicle 100 may output information to be provided to a vehicle traveling in the opposite lane or the left lane, and the display disposed on the right side of the first vehicle 100 can output information for vehicles or pedestrians driving in the right lane. Additionally, the display disposed at the rear of the first vehicle 100 can output information to a vehicle following behind, and the display at the front can output information to a vehicle traveling in the opposite lane. In an exemplary embodiment, at least one of the output state and content of the displayed content may be controlled to be automatically modified according to the location and external surface of the vehicle 100 on which the display unit 110 is disposed. As an example, a display displayed toward an opposing vehicle may be controlled to output image content rather than video.

디스플레이부(110)는 적어도 제1 디스플레이(111) 및 제2 디스플레이(1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111) 및 제2 디스플레이(112)는 이웃하여 배치된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디스플레이(111) 및 제2 디스플레이(112)는 차량의 외부에 연속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111) 및 제2 디스플레이(112)는 차량의 동일한 부분에 나란히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디스플레이(111)와 제2 디스플레이(112)는 차량의 서로 상이한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디스플레이(111)와 제2 디스플레이(112)는 배치되는 차량의 위치 또는 배치되는 목적 등을 고려하여 서로 상이한 종류의 표시 패널로 구성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10 may include at least a first display 111 and a second display 112. The first display 111 and the second display 112 may be adjacent to each other. In some embodiments, the first display 111 and the second display 112 may be disposed sequentially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The first display 111 and the second display 112 may b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same part of the vehicle, but are not limited to this. The first display 111 and the second display 112 may be placed in different parts of the vehicle. Here, the first display 111 and the second display 112 may be composed of different types of display panels in consideration of the location of the vehicle or the purpose of the vehicle.

도 2a를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111)는 차량의 측면부에 배치되고, 제2 디스플레이(112)는 차량의 측면부와 후면부를 연결하는 곡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디스플레이(111)는 차량의 측면부를 구성하는 사이드 윈도우에 대응되는 투명 디스플레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광 투과성이 제어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141)는 투명한 상태와 외부 또는 내부로 이미지를 표시하는 상태가 선택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112)는 차량의 모서리 영역에 대응하여 배치되기 위한 가요성을 가지는 표시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디스플레이(112)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차량의 외형 디자인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A, the first display 111 may be placed on the side of the vehicle, and the second display 112 may be placed on the curved part connecting the side and rear of the vehicle. As an example, the first display 111 may be configured as a transparent display corresponding to a side window constituting a side portion of the vehicle, and light transparency may be selectively controlled. The first display 141 can be selectively controlled to be transparent and to display images externally or internally. The second display 112 may be configured as a flexible display device to be placed corresponding to the corner area of the vehicle. For example, the second display 112 may be configured as a flexible display and may be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external design of the vehicle.

또한, 도 2b를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111)는 차량의 후면부에 배치되고, 제2 디스플레이(112)는 차량의 측면부와 후면부를 연결하는 곡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111)는 후방 윈도우에 대응되는 후방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111)는 투명 디스플레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b와 같이, 후방 윈도우에 대응하도록 제1 디스플레이(111)가 구성될 수 있으며, 제1 디스플레이(111)는 선태적으로 투명한 상태 또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상태로 제어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112)는 차량의 모서리 영역에 대응하여 배치되기 위한 가요성을 가지는 표시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디스플레이(112)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차량의 외형 디자인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Additionally, referring to FIG. 2B, the first display 111 may be disposed on the rear portion of the vehicle, and the second display 112 may be disposed on a curved portion connecting the side portion and the rear portion of the vehicle. The first display 111 may be a rear display corresponding to the rear window. The first display 111 may be a transparent display, but is not limited thereto. As shown in FIG. 2B, the first display 111 may be configured to correspond to the rear window, and the first display 111 may be selectively controlled to be transparent or to display an image. The second display 112 may be configured as a flexible display device to be placed corresponding to the corner area of the vehicle. For example, the second display 112 may be configured as a flexible display and may be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external design of the vehicle.

또한, 도 2c를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111)와 제2 디스플레이(112)는 차량의 측면부에 함께 배치되되, 서로 다른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디스플레이(111)는 차량의 측면부를 구성하는 사이드 윈도우에 대응되는 투명 디스플레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광 투과성이 제어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112)는 차량의 루프 주변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112)는 가요성을 가지는 표시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디스플레이(112)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차량의 외형 디자인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Additionally, referring to FIG. 2C, the first display 111 and the second display 112 are placed together on the side of the vehicle, but may be placed in different areas. As an example, the first display 111 may be configured as a transparent display corresponding to a side window constituting a side portion of the vehicle, and light transparency may be selectively controlled. The second display 112 may be placed around the roof of the vehicle. The second display 112 may be configured as a flexible display device. For example, the second display 112 may be configured as a flexible display and may be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external design of the vehicle.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디스플레이(111)와 제2 디스플레이(112)는 제1 차량(100)의 내부에 연속하여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제1 디스플레이(111)와 제2 디스플레이(112)가 제1 차량(100)의 내부에 배치되는 영역은 상이할 수 있다. In some embodiments, the first display 111 and the second display 112 may be successively disposed inside the first vehicle 100. However, areas where the first display 111 and the second display 112 are placed inside the first vehicle 100 may be different.

도 3a 및 3b를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111)는 탑승객이 탑승한 위치의 정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디스플레이(112)는 사이드 윈도우에 대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111)는 콘텐츠만을 재생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고화질 영상의 출력을 위한 표시 장치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디스플레이(111)는 OLED 또는 QLED와 같은 고화질, 고해상도 표시 패널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디스플레이(112)는 투명 디스플레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광 투과성이 제어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3A and 3B, the first display 111 may be placed in front of the passenger's boarding position, and the second display 112 may be configured to correspond to a side window. The first display 111 may be configured to reproduce only content and may be a display device for outputting high-definition images. By way of example, the first display 111 may be composed of a high-definition, high-resolution display panel such as OLED or QL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second display 112 may be configured as a transparent display, and light transparency may be selectively controlled.

여기서, 도 3a와 같이, 제1 디스플레이(111)와 제2 디스플레이(112)는 서로 다른 콘텐츠를 각각 표시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3b와 같이, 제1 디스플레이(111)와 제2 디스플레이(112)는 하나의 콘텐츠를 함께 표시하거나, 하나의 콘텐츠 소스로부터 파생된 콘텐츠를 함께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Here, as shown in FIG. 3A, the first display 111 and the second display 112 may display different contents.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as shown in Figure 3b, the first display 111 and the second display 112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one content together or to display content derived from one content source together. there is.

몇몇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110)는 제1 디스플레이(111)와 제2 디스플레이(112)와 연속하여 배치되진 않으나, 제1 디스플레이(111)와 제2 디스플레이(112)와 관련된 콘텐츠를 출력하는 제3 디스플레이(1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디스플레이(113)는 제1 차량(100)의 외부 또는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a 및 도 2c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디스플레이(113)는 차량(100)의 정면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3 디스플레이(113)는 차량의 루프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도 있다. In some embodiments, the display unit 110 is not disposed consecutively with the first display 111 and the second display 112, but outputs content related to the first display 111 and the second display 112. It may further include a third display 113. The third display 113 may be placed outside or inside the first vehicle 100, but is not limited thereto. As exemplarily shown in FIGS. 2A and 2C, the third display 113 may be placed in the front of the vehicle 100,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some embodiments, the third display 113 may be arranged corresponding to the roof of the vehicle.

콘텐츠 출력 모듈(120)은 제1 디스플레이(111), 제2 디스플레이(112) 및 제3 디스플레이(113)에서 출력되는 콘텐츠를 제어할 수 있다. 콘텐츠 출력 모듈(120)은 전적으로 하드웨어이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하드웨어이고 부분적으로 소프트웨어인 측면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콘텐츠 출력 모듈(120)은 하드웨어 및 해당 하드웨어에 의해 구동되는 소프트웨어의 조합을 지칭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하드웨어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또는 다른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기기일 수 있다. 또한, 하드웨어에 의해 구동되는 소프트웨어는 실행중인 프로세스, 객체(object), 실행파일(executable), 실행 스레드(thread of execution), 프로그램(program) 등을 지칭할 수 있다. The content output module 120 can control content output from the first display 111, the second display 112, and the third display 113. Content output module 120 may be entirely hardware, or may have aspects that are partly hardware and partly software. For example, content output module 120 is intended to refer to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driven by the hardware. Hardware may be a data processing device that includes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or another processor. Additionally, software driven by hardware may refer to a running process, object, executable, thread of execution, program, etc.

사용자 단말(130)은 콘텐츠 출력 모듈(120)과 데이터 교환이 가능한 사용자의 전자 장치에 해당한다. 사용자 단말(130)은 네트워크를 통해 콘텐츠 출력 모듈(120)과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제1 차량(100)에 탑승하는 탑승객 또는 차량의 소유자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user terminal 130 corresponds to a user's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exchanging data with the content output module 120. The user terminal 130 may exchange data with the content output module 120 through a network. Here, the user may be a passenger riding in the first vehicle 100 or the owner of the vehic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콘텐츠 출력 모듈(120)은 제1 차량(100)의 디스플레이부(110)에서 출력되는 콘텐츠를 확인하고, 선택하며,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환경을 사용자 단말(130)에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30)의 사용자는 이러한 사용자 환경을 통해 제1 차량(100)에서 출력할 콘텐츠를 선택하거나, 선택된 콘텐츠가 출력되는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The content output module 120 may provide the user terminal 130 with a user environment that allows users to check, select, and control content output from the display unit 110 of the first vehicle 100.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130 can select content to be output from the first vehicle 100 or check the status of the selected content being output through this user environment.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따른 콘텐츠 출력 모듈(120)은 사용자 환경을 통해 선택된 콘텐츠 소스를 디스플레이(110)의 특성을 고려하여 자동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콘텐츠가 디스플레이(110)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ent output module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utomatically convert the content source selected through the user environment b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play 110 and control the converted content to be output on the display 110. there is.

도 4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출력 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콘텐츠 출력 모듈에서 디스플레이부의 특성 정보를 고려하여 변형 콘텐츠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은 콘텐츠 출력 모듈에서 터치 패널 정보를 고려하여 변형 콘텐츠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은 콘텐츠 출력 모듈에서 경계 영역을 구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은 인터페이스 생성부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환경의 예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사용자 환경에서 제공하는 콘텐츠 출력 인터페이스의 동작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10은 군집 자율 주행을 수행하는 제1 차량과 제2 차량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제2 차량의 위치 정보를 고려하여 콘텐츠를 변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2는 탑승객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제너러티브 콘텐츠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Figure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tent output modul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xample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of generating modified content in consideration of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display unit in the content output module. Figure 6 is an example diagram to explain the process of generating modified content in consideration of touch panel information in the content output module. Figure 7 is an example diagram to explain the process of configuring a border area in the content output module. Figure 8 is an example diagram of the user environment provided by the interface creation unit. FIG. 9 exemplarily illustrates an operation screen of the content output interface provided in the user environment of FIG. 8. Figure 10 is an example diagram for explaining a first vehicle and a second vehicle performing autonomous platoon driving. FIG. 11 is an example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modifying content in consideration of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vehicle of FIG. 10. Figure 12 is an example diagram for explaining the process of generating generative content based on passenger status information.

도 4를 참조하면, 콘텐츠 출력 모듈(120)은 콘텐츠 분석부(121), 콘텐츠 변환부(122), 콘텐츠 제공부(123), 인터페이스 생성부(124), 위치 정보 수집부(125) 및 제네러티브 콘텐츠 생성부(126)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4, the content output module 120 includes a content analysis unit 121, a content conversion unit 122, a content provider 123, an interface creation unit 124, a location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25, and a content analysis unit 120. Includes a narrative content creation unit 126.

콘텐츠 분석부(121)는 콘텐츠 소스와 디스플레이부(110)의 특성 정보를 분석하여 콘텐츠 변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분석부(121)는 콘텐츠 소스와 위치 정보 수집부(125)에서 제공되는 다른 차량의 위치 정보를 고려하여 콘텐츠 변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콘텐츠 분석부(121)는 디스플레이부(110)의 특성 정보 및 다른 차량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콘텐츠 소스를 분석하여 콘텐츠 변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콘텐츠는 사용자 단말(130) 등에 의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콘텐츠 분석부(121)로 제공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네러티브 콘텐츠 생성부(126)는 사용자 상태에 기초한 생성형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형 콘텐츠를 콘텐츠 분석부(121)로 제공할 수도 있다.The content analysis unit 121 may generate content conversion information by analyzing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content source and the display unit 110. Additionally, the content analysis unit 121 may generate content conversion information by considering the content source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other vehicles provided by the location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25. The content analysis unit 121 may generate content conversion information by analyzing at least one of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display unit 110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other vehicles and the content source. Content may be provided to the content analysis unit 121 based on user input by the user terminal 130 or the like. In some embodiments, the generative content generator 126 may generate generative content based on user status and may provide the generative content to the content analysis unit 121.

콘텐츠 변환부(122)는 콘텐츠 변환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 소스를 변환하여 변환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콘텐츠 제공부(123)는 변환 콘텐츠를 디스플레이부(110)에 제공할 수 있다.The content conversion unit 122 may generate converted content by converting the content source based on content conversion information. The content provider 123 may provide converted content to the display unit 110.

콘텐츠 분석부(121)는 콘텐츠 소스, 제1 디스플레이(111)의 특성 정보 및 제2 디스플레이(112)의 특성 정보를 분석하여 콘텐츠 변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The content analysis unit 121 may generate content conversion information by analyzing the content sourc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first display 111, and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second display 112.

제1 디스플레이(111) 및 제2 디스플레이(112)는 이웃하여 위치하나, 서로 상이한 표시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디스플레이(111) 및 제2 디스플레이(112)는 표시 패널의 해상도, 화면 크기, 주사율, 및 표시 방식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할 수 있다. The first display 111 and the second display 112 are located adjacent to each other, but may include different display panels. That is, the first display 111 and the second display 112 may differ in at least one of the display panel resolution, screen size, refresh rate, and display method.

제1 디스플레이(111)는 제2 디스플레이(112) 대비 높은 해상도를 가지도록 구성되거나, 제1 디스플레이(111)는 제2 디스플레이(112)보다 더 큰 사이즈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웃하여 위치하되 상이한 특성을 가진 제1, 제2 디스플레이(111, 112)에 콘텐츠 소스를 함께 표시하는 경우, 표시 상태가 균일하지 못하고, 화면 사이즈가 달라짐에 따라 이질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디스플레이(111, 112)에 콘텐츠 소스를 각각 표시하는 경우, 동일한 내용이 중복 표시됨에 따라 오히려 사용자의 집중도가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다른 표시 상태의 영상이 함께 제공됨에 따라 사용자의 콘텐츠 시청에 불편함이 발생할 수 있다. 즉, 제1 디스플레이(111)와 제2 디스플레이(112)에 일률적으로 콘텐츠 소스를 그대로 표시하는 경우, 이질감이 발생할 수 있고, 표출되는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들의 집중도가 떨어져, 관심이 유발되는 것이 방해되게 된다.The first display 111 may be configured to have a higher resolution than the second display 112, or the first display 111 may be configured to have a larger size than the second display 112. When content sources are displayed together on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111 and 112 that are located next to each other but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the display state may not be uniform and a feeling of heterogeneity may occur as the screen size changes. In addition, when content sources are displayed on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111 and 112, a problem may occur in which the user's concentration decreases as the same content is displayed repeatedly, and images in different display states are also provided. Depending on this, inconvenience may occur in the user's viewing of content. In other words, if the content source is displayed uniformly on the first display 111 and the second display 112, a sense of heterogeneity may occur, and users' concentration on the displayed content may decrease, preventing arousal of interest. do.

콘텐츠 분석부(121)는 콘텐츠 소스에 따른 콘텐츠가 제1 디스플레이(111)의 특성과 제2 디스플레이(112)의 특성을 고려하였을 때, 효율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도록 콘텐츠 소스를 변환하는 콘텐츠 변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The content analysis unit 121 converts the content source so that content according to the content source can be efficiently provided to the user,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display 111 and the second display 112. Information can be generated.

도 5의 (a)를 참조하면, 콘텐츠 분석부(121)는 제1 디스플레이(111)의 특성 정보 및 제2 디스플레이(112)의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디스플레이(111) 및 제2 디스플레이(112) 중 콘텐츠 소스가 출력되는 메인 디스플레이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특성 정보는 표시 패널의 사이즈, 표시 패널의 해상도 및 표시 패널의 주사율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a) of FIG. 5, the content analysis unit 121 analyzes the first display 111 and the second display ( 112) The main display on which the content source is output can be determined. Here,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ize of the display panel, the resolution of the display panel, and the refresh rate of the display panel.

콘텐츠 분석부(121)는 사이즈, 해상도 및 주사율 중 어느 하나가 상대적으로 더 큰 디스플레이를 콘텐츠 소스를 출력하는 메인 디스플레이로 결정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111)와 제2 디스플레이(112) 중 조건이 상대적으로 양호하여 콘텐츠의 전달력과 표현력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디스플레이는 메인 디스플레이로 선택되고, 나머지 디스플레이는 서브 디스플레이로 선택될 수 있다. The content analysis unit 121 may determine a display with a relatively larger size, resolution, or refresh rate as the main display that outputs the content source. Among the first display 111 and the second display 112, the display that is in relatively good condition and has relatively excellent content transmission and expression ability may be selected as the main display, and the remaining displays may be selected as sub-displays.

도 5의 (a)의 예시에서, 제1 디스플레이(111)는 제2 디스플레이(112) 대비 상대적으로 높은 해상도와 화면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콘텐츠 분석부(121)는 제1 디스플레이(111)를 메인 디스플레이, 제2 디스플레이(112)를 서브 디스플레이로 선택할 수 있다.In the example of Figure 5 (a), the first display 111 may have a relatively higher resolution and screen size than the second display 112, and the content analysis unit 121 uses the first display 111 The main display and the second display 112 can be selected as the sub display.

또한, 콘텐츠 분석부(121)는 콘텐츠 소스의 주요 내용을 식별하고, 서브 디스플레이로 결정된 디스플레이의 특성 정보를 고려하여 주요 내용을 변환하는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5의 (b)는 콘텐츠 분석부에서 콘텐츠 소스를 분석하여 제1 콘텐츠 변환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Additionally, the content analysis unit 121 may identify the main content of the content source and generate information for converting the main content b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display determined as the sub-display. FIG. 5(b) exemplarily illustrates a process in which the content analysis unit analyzes a content source and generates first content conversion information.

콘텐츠 분석부(121)는 콘텐츠 분석 모델(CM1) 및 변환 모델(CM2)을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 분석 모델(CM1)은 입력된 콘텐츠 소스에서 주요 내용을 식별하고, 변환 모델(CM2)은 주요 내용과 관련된 부가 내용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콘텐츠 소스는 동영상 또는 이미지일 수 있으며, 주요 내용은 이러한 콘텐츠 소스가 전달하려는 핵심 키워드, 이미지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주요 내용은 콘텐츠 소스에서 가장 높은 비중으로 제공되는 정보일 수 있으며, 반복적으로 제공되는 이미지 및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소스가 이미지인 경우, 주요 내용은 이미지에서 강조되거나, 중심에 위치한 특정 부분 또는 내용일 수 있다.The content analysis unit 121 may include a content analysis model (CM1) and a conversion model (CM2). The content analysis model (CM1) identifies main content from the input content source, and the transformation model (CM2) can be configured to generate additional content related to the main content. Here, the content source may be a video or image, and the main content may refer to the key keywords, images, etc. that these content sources are intended to convey. By way of example, the main content may be information provided at the highest proportion in the content source, and may correspond to at least one of repeatedly provided images and text. Additionally, when the content source is an image, the main content may be a specific part or content that is emphasized or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image.

콘텐츠 분석 모델(CM1) 및 변환 모델(CM2)은 미리 학습된 딥러닝 기반의 인공지능 분석 모델일 수 있다. 콘텐츠 분석 모델(CM1)은 콘텐츠 소스에서 주요 내용을 식별할 수 있으며, 변환 모델(CM2)은 주요 내용과 관련된 부가 내용을 생성할 수 있다. 부가 내용은 콘텐츠 소스가 출력되지 않는 디스플레이의 특성 정보에 부합되도록 주요 내용을 변환하여 생성될 수 있다. 즉, 변환 모델(CM2)은 콘텐츠 분석 모델(CM1)에서 식별된 주요 내용과 서브 디스플레이로 판단된 디스플레이의 특성 정보를 고려하여 부가 내용을 생성하기 위한 콘텐츠 변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키워드, 텍스트에 해당하는 주요 내용은 디스플레이 특성 정보에 따라 글자의 크기가 조절되거나, 글자가 출력되는 위치가 조절되어 부가 내용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미지에 해당하는 주요 내용은 디스플레이 특성 정보에 따라 특정 키워드로 변환되거나, 디스플레이 특성 정보에 부합되도록 사이즈가 조절되거나, 주요 내용이 강조되도록 이미지가 크롭(crop)되어 부가 내용이 구성될 수 있다. 도 5의 (b)를 참조하면, 변환 모델(CM2)은 주요 내용과 제2 디스플레이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부가 내용을 생성하기 위한 제1 콘텐츠 변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content analysis model (CM1) and transformation model (CM2) may be pre-trained deep learning-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analysis models. The content analysis model (CM1) can identify main content from the content source, and the transformation model (CM2) can generate additional content related to the main content. Additional content may be created by converting the main content to match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display where the content source is not output. That is, the transformation model (CM2) can generate content transformation information for generating additional content by considering the main content identified in the content analysis model (CM1) and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display determined to be a sub-display. For example, the main content corresponding to a keyword or text may be configured with additional content by adjusting the size of the letters or adjusting the position at which the letters are displayed according to display characteristic information. In addition, the main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image may be converted into a specific keyword according to the display characteristic information, the size may be adjusted to match the display characteristic information, or the image may be cropped to emphasize the main content to form additional content. . Referring to (b) of FIG. 5, the conversion model CM2 may generate first content conversion information for generating additional content based on the main content and the second display characteristic information.

콘텐츠 분석부(121)는 콘텐츠 분석 모델(CM1) 및 변환 모델(CM2)을 통해 콘텐츠 소스의 주요 내용을 서브 디스플레이의 특성 정보를 고려하여 부가 내용으로 변환하기 위한 제1 콘텐츠 변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The content analysis unit 121 can generate first content conversion information to convert the main content of the content source into additional content b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sub display through the content analysis model (CM1) and the conversion model (CM2). there is.

또한, 콘텐츠 분석부(121)는 선택된 메인 디스플레이에 대응하는 특성 정보에 부합하도록 콘텐츠 소스를 변환하기 위한 제2 변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콘텐츠 변환 정보는 콘텐츠 소스의 프레임을 메인 디스플레이에 부합하도록 변환하기 위한 정보 및 콘텐츠 소스의 사이즈를 메인 디스플레이의 사이즈에 부합하도록 변환하기 위한 정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content analysis unit 121 may generate second conversion information for converting the content source to match characteristic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main display. Here, the second content conversion information may include any one of information for converting the frame of the content source to match the main display and information for converting the size of the content source to match the size of the main display.

도 5의 (a)를 참조하면, 콘텐츠 분석부(121)에서 생성되는 콘텐츠 변환 정보는 제1 콘텐츠 변환 정보 및 제2 콘텐츠 변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 변환부(122)는 제1 콘텐츠 변환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변환 콘텐츠를 생성하고, 제2 콘텐츠 변환 정보에 기초하여 제2 변환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콘텐츠 제공부(123)는 제1 변환 콘텐츠를 서브 디스플레이인 제2 디스플레이(112)에 제공하고, 제2 변환 콘텐츠를 메인 디스플레이인 제1 디스플레이(111)에 제공할 수 있다. Referring to (a) of FIG. 5, content conversion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content analysis unit 121 may include first content conversion information and second content conversion information. The content conversion unit 122 may generate first converted content based on first content conversion information and generate second converted content based on second content conversion information. The content provider 123 may provide the first converted content to the second display 112, which is a sub-display, and provide the second converted content to the first display 111, which is the main display.

콘텐츠 출력 모듈(120)의 데이터 처리 과정을 통해, 콘텐츠 소스는 메인 디스플레이에 대응하도록 조절되어 출력되게 되며, 콘텐츠 소소의 주요 내용은 서브 디스플레이에 대응하도록 부가 내용으로 변환되어 출력되게 된다. 이에 따라, 콘텐츠 소스는 제1 차량(100)에 배치된 디스플레이부(110)의 특성을 고려하여, 주변 사용자들이 더욱 편안하고, 핵심적인 내용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콘텐츠 제공의 효과가 더욱 높아질 수 있으며, 콘텐츠 제공의 목적 달성이 더욱 용이해질 수 있다. Through the data processing process of the content output module 120, the content source is adjusted and output to correspond to the main display, and the main content of the content source is converted to additional content to correspond to the sub display and output. Accordingl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play unit 110 disposed in the first vehicle 100, the content source can be provided so that surrounding users can more comfortably and easily check key content, and the content source can be provided. The effectiveness can be further increased, and the purpose of providing content can be achieved more easily.

도 6을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콘텐츠 소스는 터치 입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 소스는 사용자의 입력을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제공받기 위한 입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디스플레이(111) 및 제2 디스플레이(112) 중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만 터치 패널이 형성될 수 있다. 터치 패널의 포함 여부는 디스플레이의 특성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콘텐츠 분석부(121)는 콘텐츠 소스가 터치 입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경우, 터치 입력 인터페이스를 터치 패널이 형성된 디스플레이에 대응하여 표시되도록 콘텐츠 변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 6, in some embodiments, a content source may include a touch input interface. The content source may include an input interface for receiving user input through the display unit 110. Here, a touch panel may be formed on only one of the first display 111 and the second display 112. Whether or not a touch panel is included may be included in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display. When the content source includes a touch input interface, the content analysis unit 121 may generate content conversion information so that the touch input interface is displayed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on which the touch panel is formed.

콘텐츠 분석부(121)는 콘텐츠 소스가 터치 입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경우, 터치 패널이 형성된 디스플레이를 메인 디스플레이로 판단할 수 있다. 도 6의 예시에서, 제1 디스플레이(111)에 터치 패널(TP)이 형성된 상태일 수 있으며, 제1 디스플레이(111)가 메인 디스플레이로 결정될 수 있다. 콘텐츠 분석부(121)는 제1 디스플레이(111)에 터치 입력 인터페이스가 출력될 수 있도록 제2 콘텐츠 변환 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If the content source includes a touch input interface, the content analysis unit 121 may determine that the display on which the touch panel is formed is the main display. In the example of FIG. 6 , the touch panel TP may be formed on the first display 111, and the first display 111 may be determined as the main display. The content analysis unit 121 may configure the second content conversion information so that the touch input interface can be output on the first display 111.

여기서, 터치 패널(TP)은 제1 디스플레이(111)의 표시 패널의 전체 면적에 대응하도록 제1 디스플레이(111)에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터치 패널(TP)은 제1 디스플레이(111)의 표시 패널의 일부와 대응하는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제1 디스플레이(111)를 부분적으로 커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 디스플레이(111)의 특정 영역에 대응하도록 터치 패널(TP)은 형성된 상태일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특성 정보는 터치 패널이 제1 디스플레이(111)에 구성된 배치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 분석부(121)는 터치 패널의 배치 정보를 더 고려하여 터치 패널이 배치된 위치, 특정 영역에 대응하여 터치 입력 인터페이스가 출력되도록 제2 콘텐츠 변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Here, the touch panel TP may be formed on the first display 111 to correspond to the entire area of the display panel of the first display 111, but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touch panel TP may have a size corresponding to a portion of the display panel of the first display 111 and may be configured to partially cover the first display 111. That is, the touch panel TP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a specific area of the first display 111. The first display characteristic information may further include arrangement information on how the touch panel is configured on the first display 111. The content analysis unit 121 may further consider the placement information of the touch panel and generate second content conversion information so that the touch input interface is output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and specific area where the touch panel is placed.

콘텐츠 출력 모듈(120)의 데이터 처리 과정을 통해, 터치 입력 인터페이스를 가진 콘텐츠 소스는 터치 패널을 가진 디스플레이에 대응하도록 조절되어 출력되게 되며, 콘텐츠 소소의 주요 내용은 서브 디스플레이에 대응하도록 부가 내용으로 변환되어 출력되게 된다. 이에 따라, 콘텐츠 소스는 제1 차량(100)에 배치된 디스플레이부(110)의 특성을 고려하여, 주변 사용자들이 더욱 편안하고, 핵심적인 내용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터치 입력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콘텐츠 이용 효과가 더욱 높아질 수 있으며, 콘텐츠 제공의 목적 달성이 더욱 용이해질 수 있다. Through the data processing process of the content output module 120, the content source with the touch input interface is adjusted and output to correspond to the display with the touch panel, and the main content of the content source is converted into additional content to correspond to the sub display. and is output. Accordingl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play unit 110 disposed in the first vehicle 100, the content source can be provided so that surrounding users can more comfortably and easily check key content, and a touch input interface. The effectiveness of using content can be further increased, and the purpose of providing content can be achieved more easily.

도 7을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디스플레이(111)와 제2 디스플레이(112)는 서로 상이한 주사율로 동작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111)과 제2 디스플레이(112)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주사율을 가질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더 높은 품질의 시청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특성 정보는 제1 디스플레이의 주사율 정보를 포함하고, 제2 디스플레이 특성 정보는 제2 디스플레이의 주사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콘텐츠 분석부(121)는 주사율이 높은 디스플레이를 메인 디스플레이로 결정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연속하여 나란히 배치된 제1 디스플레이(111)와 제2 디스플레이(112)의 주사율이 많이 차이나는 경우, 이를 함께 시청하는 사용자에게 이질감이 발생될 수 있으며, 눈의 피로도가 높아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콘텐츠 분석부(121)는 콘텐츠 소스에 대한 변형을 통해 사용자의 시청 환경이 쾌적하게 설정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 in some embodiments, the first display 111 and the second display 112 may operate at different refresh rates. It may have a relatively higher refresh rate than the first display 111 and the second display 112, and may provide a higher quality viewing environment to the user. The first display characteristic information may include refresh rate information of the first display, and the second display characteristic information may include refresh rate information of the second display. In some embodiments, the content analysis unit 121 may determine a display with a high refresh rate as the main display, but the display is not limited thereto. Here, if the refresh rates of the first display 111 and the second display 112 arranged side by side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 sense of heterogeneity may occur in users watching them together, and a problem of increased eye fatigue may occur. there is. The content analysis unit 121 can support a comfortable viewing environment for the user through modification of the content source.

콘텐츠 분석부(121)는 제1 디스플레이(111)와 제2 디스플레이(112)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보다 주사율의 차이가 발생되는 경우, 제1 디스플레이(111)와 제2 디스플레이(112)에 경계 영역이 출력되도록 제1 콘텐츠 변환 정보 및 제2 콘텐츠 변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콘텐츠 분석부(121)는 제1 디스플레이(111)와 제2 디스플레이(112)의 경계를 정의하는 경계면이 생성되도록 제1 콘텐츠 변환 정보 및 제2 콘텐츠 변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변형하여 구성할 수 있다. When a difference in refresh rates between the first display 111 and the second display 112 occurs than a preset threshold, the content analysis unit 121 creates a border area between the first display 111 and the second display 112. At least one of first content conversion information and second content conversion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to be output. That is, the content analysis unit 121 is configured to modify at least one of the first content conversion information and the second content conversion information so that a boundary surface defining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display 111 and the second display 112 is created. You can.

도 7의 예시는 제2 콘텐츠 변환 정보에 경계 영역(BA)이 구성되도록 생성되는 것으로, 제2 변환 콘텐츠에 의해 경계 영역(BA)이 제1 디스플레이(111)에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제1 콘텐츠 변환 정보에 경계 영역이 구성되거나, 제1 콘텐츠 변환 정보와 제2 콘텐츠 변환 정보 모두에 경계 영역이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 디스플레이(111)와 제2 디스플레이(112) 중 적어도 하나에 경계 영역이 표시되게 된다. 이러한, 경계 영역은 블랭크 영역으로 블랙 화면이 표시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경계 영역은 차량의 외형 및 색상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In the example of FIG. 7 , a border area (BA) is created in the second content conversion information, and the border area (BA) may be configured in the first display 111 by the second content conversion. In another example, a border area may be configured in the first content conversion information, or a border area may be configured in both the first content conversion information and the second content conversion information. That is, a border area is display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display 111 and the second display 112. This border area may be a blank area and a black screen may be displayed,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The border area may be configured to output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appearance and color of the vehicle.

콘텐츠 출력 모듈(120)의 데이터 처리 과정을 통해, 경계 영역이 주사율의 차이가 큰 디스플레이들 사이에 형성되게 되며, 주사율 차이에 따른 사용자의 눈의 피로감, 화면의 이질감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콘텐츠 소스는 제1 차량(100)에 배치된 디스플레이부(110)의 특성을 고려하여, 주변 사용자들이 더욱 편안하고, 핵심적인 내용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콘텐츠 제공의 목적 달성이 더욱 용이해질 수 있다. Through the data processing process of the content output module 120, a border area is formed between displays with large refresh rate differences, and the user's eye fatigue and screen heterogeneity due to the refresh rate difference can be prevented. . Accordingl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play unit 110 disposed in the first vehicle 100, the content source can be provided so that surrounding users can more comfortably and easily check key content, and the content source can be provided. It can make it easier to achieve your goals.

또한, 상기 설명한 콘텐츠 출력 모듈(120)의 동작은 제1 디스플레이(111)와 제2 디스플레이(112)를 예시적으로 서술하였으나, 이러한 제1, 제2 디스플레이 사이의 데이터 처리는 제1 디스플레이(111)와 제3 디스플레이(113) 사이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콘텐츠 출력 모듈(120)은 콘텐츠 소스, 상기 제1 디스플레이의 특성 정보 및 상기 제3 디스플레이의 특성 정보를 분석하여 콘텐츠 변환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콘텐츠 변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 소스를 변환하여 변환 콘텐츠를 생성하며, 상기 변환 콘텐츠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3 디스플레이에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peration of the content output module 120 described above is described as an example of the first display 111 and the second display 112, but data processing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is performed using the first display 111. ) and the third display 113. That is, the content output module 120 analyzes the content source,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first display, and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third display to generate content conversion information, and converts the content source based on the content conversion information. Converted content may be generated and the converted content may be provided to the first display and the third display.

인터페이스 생성부(124)는 사용자 환경을 사용자 단말(130)에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생성부(124)에서 구성하는 사용자 환경은 디스플레이부(110)에서 출력되는 콘텐츠를 결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사용자 환경은 콘텐츠 소스를 결정하는 콘텐츠 선택 인터페이스와 콘텐츠 변환 정보에 따른 차량의 표시 상태를 제공하는 콘텐츠 출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환경은 제1 차량(100) 또는 디스플레이부(110)와의 연결을 수행하고, 연결된 차량의 상태 정보를 제공하거나, 디스플레이부(1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interface creation unit 124 may provide a user environment to the user terminal 130. The user environment configured by the interface creation unit 124 may be an interface for determining content output from the display unit 110. In an embodiment, the user environment may include a content selection interface that determines a content source and a content output interface that provides a display stat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content conversion information. Additionally, the user environment may provide an interface that can perform connection with the first vehicle 100 or the display unit 110, provide status information of the connected vehicle, or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unit 110. .

도 8은 사용자 환경의 예시적인 동작 화면을 도시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인터페이스(I1)는 제1 차량(100)의 외부에 배치된 디스플레이에 대한 제어(콘텐츠 재생, 오프, 밝기 조절)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 환경일 수 있다. 제2 인터페이스(I2)는 캐빈 디스플레이, 즉, 제1 차량(100)의 내부에 배치된 디스플레이에 대한 제어(콘텐츠 재생, 오프, 밝기 조절)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 환경일 수 있다. 제3 인터페이스(I3)는 사용자 환경과 연결된 제1 차량(100)의 상태 정보를 제공한다. 제3 인터페이스(I3)를 통해, 연결된 차량 번호, 현재 운행 상태, 배터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1 차량(100)이 목적 기반 차량(PBV)인 경우, 복수의 서비스 모드와 각 서비스 모드에 따른 복수의 시나리오 모드가 설정될 수 있다. 설정된 복수의 서비스 모드 및/또는 시나리오 모드에 따라, 제1 차량(100)의 캐빈 구성 및 디스플레이부(110)에서 제공하는 콘텐츠와 정보가 달라질 수 있다. 제3 인터페이스(I3)는 현재 제1 차량(100)에 설정된 서비스 모드와 시나리오 모드에 대한 정보도 제공할 수 있다. 8 shows an example operation screen of a user environment. Referring to FIG. 8 , the first interface I1 may be a control environment for performing control (content playback, off, brightness adjustment) on a display disposed outside the first vehicle 100. The second interface I2 may be a cabin display, that is, a control environment for performing control (content playback, off, brightness adjustment) on a display disposed inside the first vehicle 100. The third interface I3 provides status information of the first vehicle 100 connected to the user environment. Through the third interface (I3), you can check the connected vehicle number, current driving status, and battery status. Additionally, when the first vehicle 100 is a purpose-based vehicle (PBV), a plurality of service modes and a plurality of scenario modes according to each service mode may be set. Depending on the plurality of service modes and/or scenario modes set, the cabin configuration of the first vehicle 100 and the content and information provided by the display unit 110 may vary. The third interface I3 can also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service mode and scenario mode currently set for the first vehicle 100.

제4 인터페이스(I4)는 디스플레이부(110)에서 출력되는 콘텐츠를 설정하는 것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하나의 콘텐츠 소스에 기초하여 변환 콘텐츠가 디스플레이부(110)의 특성을 고려하여 생성될 수 있으며, 생성된 변환 콘텐츠가 출력되는 상태를 제4 인터페이스(I4)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4의 제1 디스플레이에 원본 콘텐츠 소스가 일부 변형되어 표시되며, 나머지 제2-1 디스플레이, 제2-2 디스플레이 및 제3 디스플레이는 각 디스플레이의 특성에 따라 자동으로 생성, 추출된 콘텐츠가 표시되게 된다. 즉, 제4 인터페이스(I4)를 통해 사용자는 콘텐츠 소스와 디스플레이부(110)의 특성 정보를 고려하여 변형된 변형 콘텐츠가 출력되는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The fourth interface I4 may be an interface that supports setting content output from the display unit 110. Converted content can be generated based on one content source b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play unit 110, and the state in which the generated converted content is output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fourth interface I4. For example, the original content source is displayed with some modifications on the first display of FIG. 4, and the remaining 2-1 display, 2-2 display, and third display are automatically generated and extract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display. The content is displayed. That is, through the fourth interface I4, the user can check the state in which the modified content is output, taking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content source and the display unit 110.

또한, 상세 보기(I5)를 사용자가 선택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10)에서 출력되는 콘텐츠를 제1 차량(100)의 외형과 함께 제공하는 콘텐츠 출력 인터페이스이 더 제공될 수 있다. 도 9는 도 8의 상세 보기(I5)를 선택한 경우, 제공되는 예시적인 콘텐츠 출력 인터페이스를 도시한다. 실시예에서, 연결된 제1 차량(100)의 디자인 정보를 인터페이스 생성부(124)는 더 수집할 수 있으며, 제1 차량(100)의 디자인과 함께 콘텐츠를 함께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Additionally, when the user selects the detailed view (I5), a content output interface that provides content output from the display unit 110 together with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first vehicle 100 may be further provided. FIG. 9 illustrates an example content output interface provided when detailed view I5 of FIG. 8 is selected. In an embodiment, the interface generator 124 may further collect design information of the connected first vehicle 100, and may display content along with the design of the first vehicle 100 and provide it to the user.

콘텐츠 출력 인터페이스의 차량 표시 상태는 제1 차량의 디자인(CD), 제1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는 콘텐츠(111D) 및 제2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는 콘텐츠(112D)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의 <a>는 차량 내부 디스플레이에 제공되는 콘텐츠의 상태를 도시한다. 도 9의 <b> 내지 <e>는 차량 외부 디스플레이에 제공되는 콘텐츠의 상태를 차량 외부 디자인과 함께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9의 <b>는 제3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는 콘텐츠(113D)의 상태를 차량의 전면 디자인과 함께 도시하며, 도 9의 <c>는 제1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는 콘텐츠(111D)와 제2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는 콘텐츠(112D)의 상태를 차량의 우측면 디자인과 함께 도시한다. 도 9의 <d>는 제1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는 콘텐츠(111D)의 상태를 차량의 후면 디자인과 함께 도시한다. 도 9의 <e>는 제1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는 콘텐츠(111D)와 제2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는 콘텐츠(112D)의 상태를 차량의 좌측면 디자인과 함께 도시한다. The vehicle display state of the content output interface may include the design (CD) of the first vehicle, content 111D output from the first display, and content 112D output from the second display. <a> in FIG. 9 shows the status of content provided on the display inside the vehicle. <b> to <e> in FIGS. 9 illustrate the status of content provided on the vehicle exterior display along with the vehicle exterior design. Specifically, <b> in FIG. 9 shows the state of the content 113D output from the third display together with the front design of the vehicle, and <c> in FIG. 9 shows the content 111D output from the first display. The state of the content 112D output from the second display is shown along with the design of the right side of the vehicle. <d> in FIG. 9 shows the state of the content 111D output from the first display together with the rear design of the vehicle. <e> in FIG. 9 shows the status of the content 111D output from the first display and the content 112D output from the second display along with the design of the left side of the vehicle.

사용자는 다양한 각도에서 차량의 디자인과 함께 디스플레이부(100)에서 출력되는 콘텐츠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콘텐츠가 제1 차량(100)의 외형과 조화롭게 구성되어 표시되는 지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어, 더욱 적절한 콘텐츠를 선택하고, 구성하는 것이 지원될 수 있다. The user can check the content output from the display unit 100 along with the design of the vehicle from various angles. That is, the user can perform a simulation to determine whether the content is configured and displayed in harmony with the appearance of the first vehicle 100, and thus can be supported in selecting and configuring more appropriate content.

몇몇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콘텐츠 출력 제어 시스템(10)은 제2 차량(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1 차량(100)과 제2 차량(140)은 함께 주행을 하는 관계를 가질 수 있다. 즉, 제1 차량(100)과 제2 차량(140)은 군집을 이루어 함께 이동하는 군집 주행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제2 차량(140)은 제1 차량(100)을 추종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차량(140)은 자율주행 차량일 수 있다. 제1 차량(100)은 자율 주행 차량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차량(100)은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주행이 수행되는 수동 주행 차량일 수 있으며, 상황에 따라, 수행 주행과 자율 주행이 전환이 가능한 차량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차량(140)도 목적 기반 모빌리티일 수 있으며, 제2 차량(140)이 제공하는 서비스는 제1 차량(100)이 제공하는 서비스에 종속될 수 있다. 즉, 제1 차량(100)과 제2 차량(140)은 동일한 서비스를 확장하여 차량의 탑승객에게 제공할 수 있다. The vehicular content output control system 10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vehicle 140 . Referring to FIG. 10, the first vehicle 100 and the second vehicle 140 may have a relationship in which they drive together. That is, the first vehicle 100 and the second vehicle 140 can form a group and perform group driving in which they move together, and the second vehicle 140 can follow the first vehicle 100. In some embodiments, second vehicle 140 may be an autonomous vehicle. The first vehicle 100 may be an autonomous vehic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first vehicle 100 may be a manual driving vehicle in which driving is performed by a driver's operation, and may be a vehicle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manual driving and autonomous driving depending on the situation. In some embodiments, the second vehicle 140 may also be purpose-based mobility, and the services provided by the second vehicle 140 may be dependent on the services provided by the first vehicle 100. That is, the first vehicle 100 and the second vehicle 140 can expand the same service and provide it to the passengers of the vehicle.

제2 차량(140)은 디스플레이(141)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41)는 제2 차량(140)이 제공하는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 또는 콘텐츠를 제2 차량(140) 주변에 위치하는 다양한 객체 또는 제2 차량(140)에 탑승한 탑승객에게 제공할 수 있다. The second vehicle 140 may include a display 141. The display 141 may provide information or content related to the service provided by the second vehicle 140 to various objects located around the second vehicle 140 or to passengers riding the second vehicle 140.

실시예에서, 제2 차량(140)의 디스플레이(141)에서 출력되는 콘텐츠는 콘텐츠 출력 모듈(120)에서 제어될 수 있다. 즉, 콘텐츠 출력 모듈(120)는 제1 차량(100)의 디스플레이부(110)와 제2 차량(140)의 디스플레이(141)에서 출력되는 콘텐츠를 모두 제어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30)에 제공되는 사용자 환경을 통해 사용자는 제2 차량(140)에 대한 콘텐츠 출력 제어도 수행할 수 있다. 즉, 사용자 환경은 제2 차량(140)에 대한 등록을 지원할 수 있으며, 제2 차량(140)에서 출력되는 콘텐츠 소스를 출력하거나 설정하는 기능을 사용자 단말(130)에 더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제1 차량(100)과 제2 차량(140)은 하나의 콘텐츠 소스를 함께 표시할 수도 있으나, 각각 상이한 콘텐츠 소스를 표시할 수도 있다. In an embodiment, content output from the display 141 of the second vehicle 140 may be controlled by the content output module 120. That is, the content output module 120 can control both the content output from the display unit 110 of the first vehicle 100 and the display 141 of the second vehicle 140. As shown in FIG. 10 , the user can also control content output for the second vehicle 140 through the user environment provided on the user terminal 130. That is, the user environment can support registration for the second vehicle 140 and can further provide the user terminal 130 with a function to output or set a content source output from the second vehicle 140. According to a user's command, the first vehicle 100 and the second vehicle 140 may display one content source together, or may display different content sources.

몇몇 실시예에서, 하나의 콘텐츠 소스를 제1 차량(100)의 디스플레이부(130)와 제2 차량(140)의 디스플레이(141)를 출력하는 경우, 콘텐츠 출력 모듈(120)은 제1 차량(100)과 제2 차량(140)의 관계를 고려하여 제2 차량(140)의 디스플레이(141)에서 출력할 내용을 구성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콘텐츠 출력 모듈(120)은 제1 차량(100)과 제2 차량(140) 사이의 거리에 따라, 제2 차량(140)의 디스플레이(141)에 출력할 내용을 결정, 자동으로 변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차량(100)과 제2 차량(140)이 가까이 위치하는 경우, 동일한 영상 콘텐츠가 중복되어 출력되는 것보다 제1 차량(100)에는 영상 콘텐츠 제2 차량(140)에는 영상 콘텐츠의 핵심적인 내용이 제공되는 것이 정보의 전달과 외부 객체들이 내용을 파악하는 것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제1 차량(100)과 제2 차량(140)이 군집 주행을 유지하되 일정 거리 이상 떨어져 위치하는 경우, 각각 동일한 영상 콘텐츠를 출력하는 것이 효율적일 수 있다. In some embodiments, when one content source is output to the display unit 130 of the first vehicle 100 and the display 141 of the second vehicle 140, the content output module 120 is connected to the first vehicle (100). Content to be output on the display 141 of the second vehicle 140 can be configured by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100 and the second vehicle 140. In some embodiments, the content output module 120 automatically determines content to be output on the display 141 of the second vehicle 140, depending o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vehicle 100 and the second vehicle 140. It can be converted to . Specifically, when the first vehicle 100 and the second vehicle 140 are located close to each other, rather than outputting the same video content in duplicate, the video content in the first vehicle 100 and the video content in the second vehicle 140 are displayed. Providing core content can help convey information and help external objects understand the content. Additionally, when the first vehicle 100 and the second vehicle 140 maintain group driving but are located at a certain distance or more apart, it may be efficient to output the same video content respectively.

도 11을 참조하면, 콘텐츠 출력 모듈(120)의 콘텐츠 분석부(121)는 콘텐츠 소스, 제2 차량 디스플레이 특성 정보, 및 제2 차량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위치 정보 수집부(125)는 제2 차량 위치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며, 제2 차량 위치 정보를 콘텐츠 분석부(121)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위치 정보 수집부(125)는 제1 차량 위치 정보도 수집할 수 있으며, 제1 차량 위치 정보도 콘텐츠 분석부(121)에 제공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1 , the content analysis unit 121 of the content output module 120 may receive a content source, second vehicle display characteristic information, and second vehicle location informa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25 may collect second vehicle location information and provide the second vehicl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content analysis unit 121. Additionally, the location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25 may also collect first vehicle location information and provide the first vehicl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content analysis unit 121.

콘텐츠 분석부(121)는 제1 차량 위치 정보와 제2 차량 위치 정보를 고려하여, 제1 차량과 제2 차량 사이의 거리를 판단할 수 있다. 차량 사이의 거리가 기준 거리 이하인 경우, 동일한 콘텐츠 소스가 제1 차량(100)과 제2 차량(140)에 함께 표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2 차량(140)의 디스플레이(141)에는 콘텐츠 소스의 주요 내용을 변환한 변환 콘텐츠가 제공되게 된다. The content analysis unit 121 may determine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vehicle and the second vehicle by considering the first vehicl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second vehicle location information. When the distance between vehicles is less than the reference distance, the display 141 of the second vehicle 140 displays the content source to prevent the same content source from being displayed on the first vehicle 100 and the second vehicle 140. Converted content that converts the main content is provided.

제1 차량과 제2 차량 사이의 거리가 기준 거리 이하인 경우, 콘텐츠 분석부(121)는 제1 콘텐츠 변환 정보를 생성한다. 제1 콘텐츠 변환 정보는 콘텐츠 소스의 주요 내용을 디스플레이(141)의 특성 정보를 감안하여 변환하기 위한 정보에 해당한다. 콘텐츠 변환부(122)는 제1 콘텐츠 변환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변환 콘텐츠를 생성하게 된다. 콘텐츠 제공부(123)는 제1 변환 콘텐츠를 제2 차량(140)의 디스플레이(141)에 출력하게 한다.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vehicle and the second vehicle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distance, the content analysis unit 121 generates first content conversion information. The first content conversion information corresponds to information for converting the main content of the content source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display 141. The content conversion unit 122 generates first converted content based on the first content conversion information. The content provider 123 outputs the first converted content to the display 141 of the second vehicle 140.

제1 차량과 제2 차량 사이의 거리가 기준 거리를 초과하는 경우, 콘텐츠 분석부(121)는 제2 콘텐츠 변환 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제2 콘텐츠 변환 정보는 콘텐츠 소스를 디스플레이(141)의 특성 정보를 감안하여 변환하기 위한 정보에 해당한다. 콘텐츠 변환부(122)는 제2 콘텐츠 변환 정보에 기초하여 제2 변환 콘텐츠를 생성하게 된다. 콘텐츠 제공부(123)는 제1 변환 콘텐츠를 제2 차량(140)의 디스플레이(141)에 출력하게 한다.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vehicle and the second vehicle exceeds the reference distance, the content analysis unit 121 generates second content conversion information. Here, the second content conversion information corresponds to information for converting the content source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display 141. The content conversion unit 122 generates second converted content based on the second content conversion information. The content provider 123 outputs the first converted content to the display 141 of the second vehicle 140.

즉,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콘텐츠 출력 제어 시스템은 군집 주행을 하는 두 차량의 거리 정보를 고려하여 콘텐츠를 적절히 변형하여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콘텐츠의 제공 목적을 달성하고, 제공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vehicle content output control system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ropriately transform and provide content by considering the distance information of two vehicles driving in a platoon, thereby achieving the purpose of providing content and providing content. The effect can be further improved.

몇몇 실시예에서, 제너러티브 콘텐츠 생성부(126)는 사용자 단말(130)의 사용자 환경에서 선택된 콘텐츠 소스(원본 콘텐츠 소스)를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반영하여 변형할 수 있으며, 생성형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형 콘텐츠를 콘텐츠 분석부(121)로 제공하여 이에 따라 콘텐츠가 변형되도록 한다. In some embodiments, the generative content generator 126 may transform a content source (original content source) selected in the user environment of the user terminal 130 by reflecting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and generate generative content. This can be done, and the generated content is provided to the content analysis unit 121 so that the content is transformed accordingly.

도 12을 참조하면, 탑승객(P)은 제1 차량(100) 또는 제2 차량(140)에 탑승한 상태일 수 있다. 이하, 탑승객(P)은 제1 차량(100)에 탑승한 상태로 설명을 수행하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탑승객(P)이 제2 차량(140)에 탑승한 상태에서도 동일한 기능, 동작이 제공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2 , a passenger P may be riding in the first vehicle 100 or the second vehicle 140 . Hereinafter, the explanation will be given while the passenger (P) is aboard the first vehicle 100. However, this is an example and the same functions and operations will be provided even while the passenger (P) is aboard the second vehicle 140. You can.

제너러티브 콘텐츠 생성부(126)는 상태 수집부(126A)와 생성 모델(126B)을 포함할 수 있다. 상태 수집부(126A)는 탑승객(P)의 상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상태 정보는 탑승객(P)의 감정 상태 정보(기쁨, 슬픔, 분노, 보통 등), 건강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정보(체온, 혈압, 혈당, 맥박, 심박수 등) 및 신체 활동 상태(신체의 움직임, 변화)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 정보는 실시간 또는 근실시간으로 수집될 수 있으며, 원본 콘텐츠 소소는 상태 정보가 반영되어 실시간 또는 근실시간으로 변형, 생성형 콘텐츠가 생성될 수 있다. The generative content creation unit 126 may include a state collection unit 126A and a creation model 126B. The status collection unit 126A may collect status information of the passenger (P). Status information includes the passenger's (P) emotional state information (happy, sad, angry, normal, etc.), information that can confirm the health status (body temperature, blood pressure, blood sugar, pulse, heart rate, etc.), and physical activity status (body movement, change) may be included. This state information can be collected in real time or near real time, and the original content source can be transformed and generated content in real time or near real time by reflecting the state information.

생성 모델(126B)은 제공된 콘텐츠 소스에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반영하여 생성형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 모델(126B)은 영상 또는 이미지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인공지능 학습 모델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상태 정보의 반영은 사용자의 상태 정보에 따른 상태가 콘텐츠 소스에 표시되거나, 상태 정보에 따라 콘텐츠 소스의 내용이 일부 변화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며, 생성 모델(126B)은 이러한 변화를 반영하여 콘텐츠 소스를 변형하는 과정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The generation model 126B may generate generative content by reflecting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in the provided content source. The generation model 126B may be an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model that automatically generates videos or images, but is not limited thereto. Here, reflection of status information may mean that the status according to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is displayed in the content source, or the contents of the content source are partially changed according to the status information, and the creation model 126B reflects this change. The process of transforming the content source can be performed automatically.

예시적으로, 원본 콘텐츠 소스는 운동 콘텐츠일 수 있으며, 사용자의 신체에 대응하는 아바타가 표시될 수 있다. 제너러티브 콘텐츠 생성부(126)는 아바타의 자세가 사용자의 상태 정보(신체 활동 상태)에 따라 변형되도록 생성형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형 콘텐츠를 탑승객(P)에게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탑승객(P)이 운동 콘텐츠를 따라 하는 것이 유도될 수 있다.By way of example, the original content source may be exercise content, and an avatar corresponding to the user's body may be displayed. The generative content generator 126 can generate generative content so that the posture of the avatar is modified according to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physical activity state), and output the generative content to the passenger (P). . Accordingly, the passenger P may be encouraged to follow the exercise content.

또한, 원본 콘텐츠 소스는 영상 콘텐츠 또는 음악 콘텐츠일 수 있으며, 생성 모델(126B)은 사용자의 감정 상태에 대응하는 생성형 콘텐츠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제너러티브 콘텐츠 생성부(126)는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고려하여, 이에 어울리는 영상 콘텐츠 또는 음악 콘텐츠를 선별, 생성형 콘텐츠를 구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생성형 콘텐츠가 탑승객(P)에게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original content source may be video content or music content, and the generation model 126B may determine generated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user's emotional state. That is, the generative content generator 126 may consider the user's emotional state, select video content or music content that matches the user's emotional state, and configure generative content, and output this generative content to the passenger (P). It can be done as much as possible.

또한, 원본 콘텐츠 소스는 영상 콘텐츠 또는 음악 콘텐츠일 수 있으며, 생성 모델(126B)은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대한 경고 정보 또는 알림 정보가 포함되도록 생성형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제너러티브 콘텐츠 생성부(126)는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고려하여, 건강 상태에 대한 경고, 또는 알림이 영상 콘텐츠 또는 음악 콘텐츠에 포함되도록 생성형 콘텐츠를 구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생성형 콘텐츠가 탑승객(P)에게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original content source may be video content or music content, and the generation model 126B may generate generative content to include warning information or notification information about the user's health condition. That is, the generative content generator 126 may configure generative content so that a warning or notification about the health state is included in the video content or music content, taking the user's health status into consideration, and such generative content. can be output to the passenger (P).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콘텐츠 출력 제어 방법은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제1 차량에 이웃하게 배치된 제1 디스플레이와 제2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콘텐츠를 제어하는 방법일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차량의 콘텐츠 출력 제어 시스템(10)의 콘텐츠 출력 모듈(120)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콘텐츠 소스, 상기 제1 디스플레이의 특성 정보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의 특성 정보를 분석하여 콘텐츠 변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변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 소스를 변환하여 변환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 콘텐츠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of controlling content output of a vehicl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method of controlling content output to a first display and a second display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vehicle, which is performed by a processor. Here, the processor may refer to the content output module 120 of the vehicle content output control system 10. The method includes: generating content conversion information by analyzing a content sourc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first display, and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second display; converting the content source based on the content conversion information to generate converted content; and providing the converted content to the first display and the second display.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변환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의 특성 정보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의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중 상기 콘텐츠 소스가 출력되는 메인 디스플레이와 상기 콘텐츠 소스가 출력되지 않는 서브 디스플레이를 결정하며, 상기 콘텐츠 변환 정보는 상기 콘텐츠 소스의 주요 내용을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의 특성 정보를 고려하여 부가 내용으로 변환하는 제1 콘텐츠 변환 정보; 및 상기 콘텐츠 소스를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의 특성 정보를 고려하여 변환하는 제2 콘텐츠 변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변환 콘텐츠는 상기 제1 콘텐츠 변환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며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에 제공되는 제1 변환 콘텐츠; 및 상기 제2 콘텐츠 변환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며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에 제공되는 제2 변환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step of generating the converted content includes the main display on which the content source is output among the first display and the second display based on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first display and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second display. and first content conversion information that determines a sub-display on which the content source is not output, wherein the content conversion information converts main content of the content source into additional content in consideration of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sub-display; and second content conversion information that converts the content source in consideration of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main display, wherein the converted content is generated based on the first content conversion information and provided to the sub-display. ; and second converted content generated based on the second content converted information and provided to the main display.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중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만 터치 패널이 형성되며, 상기 변환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츠 소스가 터치 입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터치 입력 인터페이스를 상기 터치 패널이 형성된 디스플레이에 대응하여 표시되도록 상기 제2 콘텐츠 변환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only one of the first display and the second display has a touch panel, and the step of generating the converted content includes, when the content source includes a touch input interface, the touch input It may include generating the second content conversion information so that the interface is displayed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on which the touch panel is formed.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의 특정 영역에 대응하도록 터치 패널이 형성되며, 상기 변환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츠 소스가 터치 입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터치 입력 인터페이스를 상기 터치 패널이 형성된 상기 제1 디스플레이의 특정 영역에 대응하여 표시되도록 상기 제2 콘텐츠 변환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a touch panel is formed to correspond to a specific area of the first display, and the step of generating the converted content includes, when the content source includes a touch input interface, applying the touch input interface to the touch panel. This may include generating the second content conversion information to be displayed in response to a specific area of the first display.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와 상기 제2 디스플레이는 서로 상이한 주사율로 동작되며, 상기 변환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와 상기 제2 디스플레이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보다 주사율의 차이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제1 디스플레이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사이에 경계 영역이 출력되도록 상기 제2 콘텐츠 변환 정보 및 상기 제1 콘텐츠 변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구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In some embodiments, the first display and the second display operate at different refresh rates, and the step of generating the converted content occurs when the first display and the second display have a refresh rate difference greater than a preset threshold. In this case, it may include configuring at least one of the second content conversion information and the first content conversion information so that a border area is output between the first display and the second display.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콘텐츠 소스를 결정하는 콘텐츠 선택 인터페이스와 상기 콘텐츠 변환 정보에 따른 차량의 표시 상태를 제공하는 콘텐츠 출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사용자 환경을 구현하여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implementing a user environment including a content selection interface for determining the content source and a content output interface for providing a display stat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content conversion information and providing the user environment to the user terminal. there is.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콘텐츠 출력 인터페이스의 차량 표시 상태는, 상기 제1 차량의 디자인, 상기 제1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는 콘텐츠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는 콘텐츠를 함께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vehicle display state of the content output interface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the design of the first vehicle, content output from the first display, and content output from the second display together.

몇몇 실시예에서, 제3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제2 차량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차량과 상기 제1 차량의 관계를 고려하여 상기 콘텐츠 소스를 기초로 상기 제3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내용을 구성하여 상기 제3 디스플레이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some embodiments, the method further includes a second vehicle including a third display, and configures content to be output to the third display based on the content source in consideration of a relationship between the second vehicle and the first vehicle. The step of providing the display to the third display may further be included.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차량에 탑승한 탑승객의 상태 정보를 실시간 또는 근실시간으로 수집하고, 상기 탑승객의 상태 정보에 따라 원본 콘텐츠 소스를 실시간 또는 근실시간으로 변형한 생성형 콘텐츠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형 콘텐츠를 콘텐츠 소스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some embodiments, status information of passengers in the vehicle is collected in real time or near real time, and generative content is generated by modifying the original content source in real time or near real time according to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passengers, and generating the generated content. The step of providing type content as a content source may be further included.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an illustrative explanation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embodiment. Accordingly, the present embodiment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embodiment, but rather to explain it,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by these example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is embodiment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rights of this embodiment.

Claims (10)

제1 차량;
상기 제1 차량에 배치된 제1 디스플레이;
상기 제1 디스플레이와 이웃하게 상기 제1 차량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와 상이한 종류의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제2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콘텐츠를 제어하는 콘텐츠 출력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 출력 모듈은,
콘텐츠 소스, 상기 제1 디스플레이의 특성 정보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의 특성 정보를 분석하여 콘텐츠 변환 정보를 생성하는 콘텐츠 분석부;
상기 콘텐츠 변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 소스를 변환하여 변환 콘텐츠를 생성하는 콘텐츠 변환부; 및
상기 변환 콘텐츠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에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와 상기 제2 디스플레이는 서로 상이한 주사율로 동작되며,
상기 콘텐츠 분석부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와 상기 제2 디스플레이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보다 주사율의 차이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제1 디스플레이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사이에 경계 영역이 출력되도록 상기 콘텐츠 변환 정보를 생성하는,
차량의 콘텐츠 출력 제어 시스템.
first vehicle;
a first display disposed on the first vehicle;
a second display disposed on the first vehicle adjacent to the first display and including a display panel of a different type from the first display; and
A content output module that controls content output to the first display and the second display,
The content output module is,
a content analysis unit that generates content conversion information by analyzing a content sourc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first display, and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second display;
a content conversion unit that converts the content source based on the content conversion information and generates converted content; and
Comprising a content provider that provides the converted content to the first display and the second display,
The first display and the second display operate at different refresh rates,
When the content analysis unit has a refresh rat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display and the second display than a preset threshold,
Generating the content conversion information so that a border area is output between the first display and the second display,
The vehicle's content output control system.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분석부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의 특성 정보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의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중 상기 콘텐츠 소스가 출력되는 메인 디스플레이와 상기 콘텐츠 소스가 출력되지 않는 서브 디스플레이를 결정하며,
상기 콘텐츠 변환 정보는 상기 콘텐츠 소스의 주요 내용을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의 특성 정보를 고려하여 부가 내용으로 변환하는 제1 콘텐츠 변환 정보; 및 상기 콘텐츠 소스를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의 특성 정보를 고려하여 변환하는 제2 콘텐츠 변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변환 콘텐츠는 상기 제1 콘텐츠 변환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며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에 제공되는 제1 변환 콘텐츠; 및 상기 제2 콘텐츠 변환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며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에 제공되는 제2 변환 콘텐츠를 포함하는,
차량의 콘텐츠 출력 제어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ent analysis unit,
Based on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first display and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second display, determine a main display on which the content source is output and a sub-display on which the content source is not output among the first display and the second display,
The content conversion information includes first content conversion information that converts main content of the content source into additional content by considering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sub-display; and second content conversion information that converts the content source in consideration of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main display,
The converted content includes: first converted content generated based on the first content converted information and provided to the sub-display; and second converted content generated based on the second content converted information and provided to the main display.
The vehicle's content output control system.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중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만 터치 패널이 형성되며,
상기 콘텐츠 분석부는 상기 콘텐츠 소스가 터치 입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터치 입력 인터페이스를 상기 터치 패널이 형성된 디스플레이에 대응하여 표시되도록 상기 제2 콘텐츠 변환 정보를 생성하는,
차량의 콘텐츠 출력 제어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2,
A touch panel is formed on only one of the first display and the second display,
When the content source includes a touch input interface, the content analysis unit generates the second content conversion information to display the touch input interface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on which the touch panel is formed.
The vehicle's content output control system.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의 특정 영역에 대응하도록 터치 패널이 형성되며,
상기 콘텐츠 분석부는 상기 콘텐츠 소스가 터치 입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터치 입력 인터페이스를 상기 터치 패널이 형성된 상기 제1 디스플레이의 특정 영역에 대응하여 표시되도록 상기 제2 콘텐츠 변환 정보를 생성하는,
차량의 콘텐츠 출력 제어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2,
A touch panel is formed to correspond to a specific area of the first display,
When the content source includes a touch input interface, the content analysis unit generates the second content conversion information to display the touch input interface in response to a specific area of the first display on which the touch panel is formed.
The vehicle's content output control system.
삭제delete 제1 차량;
상기 제1 차량의 외부에 배치된 제1 디스플레이;
상기 제1 디스플레이와 이웃하게 상기 제1 차량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와 상이한 종류의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제2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콘텐츠를 제어하는 콘텐츠 출력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 출력 모듈은,
콘텐츠 소스, 상기 제1 디스플레이의 특성 정보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의 특성 정보를 분석하여 콘텐츠 변환 정보를 생성하는 콘텐츠 분석부;
상기 콘텐츠 변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 소스를 변환하여 변환 콘텐츠를 생성하는 콘텐츠 변환부; 및
상기 변환 콘텐츠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에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 변환 모듈은,
상기 콘텐츠 소스를 결정하는 콘텐츠 선택 인터페이스와 상기 콘텐츠 변환 정보에 따른 차량의 표시 상태를 제공하는 콘텐츠 출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사용자 환경을 구현하는 인터페이스 생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인터페이스 생성부는 상기 사용자 환경을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콘텐츠 출력 인터페이스의 차량 표시 상태는,
상기 제1 차량의 외부 디자인, 상기 제1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는 콘텐츠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는 콘텐츠를 함께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차량의 콘텐츠 출력 제어 시스템.
first vehicle;
a first display disposed outside the first vehicle;
a second display disposed outside the first vehicle adjacent to the first display and including a display panel of a different type from the first display; and
A content output module that controls content output to the first display and the second display,
The content output module is,
a content analysis unit that generates content conversion information by analyzing a content sourc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first display, and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second display;
a content conversion unit that converts the content source based on the content conversion information and generates converted content; and
and a content provider providing the converted content to the first display and the second display.
The content conversion module is,
It further includes an interface generator that implements a user environment including a content selection interface that determines the content source and a content output interface that provides a display stat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content conversion information,
The interface creation unit is configured to provide the user environment to the user terminal,
The vehicle display status of the content output interface is,
Configured to display the external design of the first vehicle, content output from the first display, and content output from the second display together,
The vehicle's content output control system.
삭제delete 제1 항 또는 제6 항에 있어서,
제3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제2 차량을 더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 출력 모듈은,
상기 제2 차량과 상기 제1 차량의 관계를 고려하여 상기 콘텐츠 소스를 기초로 상기 제3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내용을 구성하여 상기 제3 디스플레이에 제공하는,
차량의 콘텐츠 출력 제어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or 6,
further comprising a second vehicle including a third display,
The content output module is,
Constructing content to be output to the third display based on the content source in consider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cond vehicle and the first vehicle and providing the content to the third display,
The vehicle's content output control system.
제1 항 또는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출력 모듈은,
상기 차량에 탑승한 탑승객의 상태 정보를 실시간 또는 근실시간으로 수집하고,
상기 탑승객의 상태 정보에 따라 원본 콘텐츠 소스를 실시간 또는 근실시간으로 변형한 생성형 콘텐츠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형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소스로 상기 콘텐츠 분석부에 제공하는,
차량의 콘텐츠 출력 제어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or 6,
The content output module is,
Collects status information of passengers in the vehicle in real time or near real time,
Generates generative content that transforms the original content source in real time or near real time according to the passenger's status information,
Providing the generated content to the content analysis unit as the content source,
The vehicle's content output control system.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제1 차량에 이웃하게 배치된 제1 디스플레이와 제2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콘텐츠를 제어하는 방법으로, 상기 방법은:
콘텐츠 소스, 상기 제1 디스플레이의 특성 정보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의 특성 정보를 분석하여 콘텐츠 변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변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 소스를 변환하여 변환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 콘텐츠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와 상기 제2 디스플레이는 서로 상이한 주사율로 동작되며,
상기 콘텐츠 변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와 상기 제2 디스플레이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보다 주사율의 차이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제1 디스플레이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사이에 경계 영역이 출력되도록 상기 콘텐츠 변환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콘텐츠 출력 제어 방법.
A method of controlling content output to a first display and a second display disposed adjacent to a first vehicle, performed by a processor, the method includes:
generating content conversion information by analyzing a content sourc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first display, and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second display;
converting the content source based on the content conversion information to generate converted content; and
Providing the converted content to the first display and the second display,
The first display and the second display operate at different refresh rates,
The step of generating the content conversion information is,
When a difference in refresh rate between the first display and the second display occurs than a preset threshold, generating the content conversion information so that a border area is output between the first display and the second display,
How to control the vehicle's content output.
KR1020230150890A 2023-11-03 2023-11-03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content in a vehicle KR10265991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50890A KR102659914B1 (en) 2023-11-03 2023-11-03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content in a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50890A KR102659914B1 (en) 2023-11-03 2023-11-03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content in a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9914B1 true KR102659914B1 (en) 2024-04-24

Family

ID=90884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50890A KR102659914B1 (en) 2023-11-03 2023-11-03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content in a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9914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8705A (en) * 2017-05-24 2018-12-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pparatus for managing display of vehicle
KR20190087927A (en) * 2018-01-17 2019-07-25 애드커넥티드 주식회사 Advertising vehicle and advertisement system for the vehicle
KR20230037423A (en) * 2021-09-09 2023-03-16 엘지전자 주식회사 Display device, vehicle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KR20230073731A (en) * 2021-11-19 2023-05-26 주식회사 코리아하이텍 Central information display for vehic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8705A (en) * 2017-05-24 2018-12-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pparatus for managing display of vehicle
KR20190087927A (en) * 2018-01-17 2019-07-25 애드커넥티드 주식회사 Advertising vehicle and advertisement system for the vehicle
KR20230037423A (en) * 2021-09-09 2023-03-16 엘지전자 주식회사 Display device, vehicle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KR20230073731A (en) * 2021-11-19 2023-05-26 주식회사 코리아하이텍 Central information display for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938843A1 (en) Light field display system for vehicle augmentation
Csapó et al. A unified terminology for the structure and semantics of CogInfoCom channels
Riener Sensor-actuator supported implicit interaction in driver assistance systems
WO2020151431A1 (en) Data processing method and system for intelligent vehicle viewing
Li et al. Mitigating motion sickness in automated vehicles with vibration cue system
US2023039887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er interfaces in a vehicular environment
US20210097960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Energy or Resource Management of a Human-Machine Interface
Pretto et al. Fluid interface concept for automated driving
KR102659914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content in a vehicle
Padmanaban et al. An Autonomous Driving System-Dedicated Vehicle for People with ASD and their Caregivers
Sawabe et al. Xr mobility platform: Multi-modal xr system mounted on autonomous vehicle for passenger’s comfort improvement
CN112297842A (en) Autonomous vehicle with multiple display modes
Hunsucker et al. Once upon a time: Storytelling in the design process
Cowling Despairing women and healing outcomes: a unitary appreciative nursing perspective
KR20190123368A (en) Smart car control and display system
JP2000259597A (en) Brain type computer system and storage system applicable to the same
Campbell The problem of spatiality for a relational view of experience
Zhao Application of Neural Network Based on Visual Recognition in Color Perception Analysis of Intelligent Vehicle HMI Interactive Interface under User Experience
Shen et al. P‐16.7: Discussion on Design of Intelligent Cockpit System in 5G Communication Era
Augello et al. Human augmentation: An enactive perspective
Hua How to establish robotaxi trustworthiness through In-Vehicle interaction design
Cui et al. Beyond car human-machine interface (HMI): mapping six intelligent modes into future cockpit scenarios
Loveridge Rethinking the “Parenting” paradigm: embodied mothers and fathers in discourse/practice
Howard et al. Using tactile displays to maintain situational awareness during driving
May et al. Continuity in cogn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