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8885B1 - Plant cultiva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Plant cultivat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8885B1
KR102658885B1 KR1020180142534A KR20180142534A KR102658885B1 KR 102658885 B1 KR102658885 B1 KR 102658885B1 KR 1020180142534 A KR1020180142534 A KR 1020180142534A KR 20180142534 A KR20180142534 A KR 20180142534A KR 102658885 B1 KR102658885 B1 KR 1026588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supply
bed
storage unit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25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58040A (en
Inventor
유임성
김영석
양미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425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8885B1/en
Publication of KR20200058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804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88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888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3Controls for self-acting wate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5Reservoirs connected to flower-pots through cond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01G27/06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01G31/06Hydroponic culture on racks or in stacked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Hydrop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 재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는, 내부에 재배실이 구비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물이 저장되는 물 저장부; 상기 재배실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물 저장부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급수 유로가 형성되는 급수 베드; 상기 급수 베드에 안착되며, 상기 급수 유로에 저장된 물을 공급받는 재배 포트; 상기 물 저장부에 저장된 물을 상기 급수 유로로 유동시키는 펌프; 및 상기 급수 유로에 저장되는 물의 양에 따라 상기 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nt cultivation device.
A plant cultivation device according to one aspect includes a body provided with a cultivation chamber therein; a water storage unit disposed inside the body and storing water; a water supply bed disposed on one side of the cultivation room and having a water supply channel for receiving water from the water storage unit; A cultivation pot that is seated on the water supply bed and receives water stored in the water supply channel; a pump that flows water stored in the water storage unit into the water supply passage; And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pump according to the amount of water stored in the water supply passage.

Description

식물 재배 장치{PLANT CULTIVATING APPARATUS}Plant cultivation device {PLANT CULTIV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식물 재배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nt cultivation device.

일반적인 식물 재배 장치는 식물의 성장에 적합한 환경을 구비하는 소정의 재배실을 형성하고, 소정의 재배실 내부에 식물을 보관한다. 식물 재배 장치에는 식물 성장에 필요한 양분과 광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구성이 구비되며, 식물은 공급되는 양분과 광 에너지에 의해 성장한다. 일 예로, 한국등록특허 제10-1240375호, “식물재배장치”에 관련 기술이 개시된다.A typical plant cultivation device forms a predetermined cultivation room with an environment suitable for plant growth, and stores the plants inside the predetermined cultivation room. The plant cultivation device is equipped with a configuration to supply nutrients and light energy necessary for plant growth, and the plants grow by the supplied nutrients and light energy. For example, related technology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1240375, “Plant Cultivation Apparatus.”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재배 베드로 공급되는 양액은 일정한 높이를 가지는 회수관으로 유출되며, 상기 회수관에 의해 일정한 수위가 유지된다. 그러나, 재배 베드에 일정한 수위의 양액이 계속 저장되어 있기에 양액에 의해 재배 베드에서 위생 문제가 발생된다. 즉, 양분이 포함된 양액이 장시간 보관될 경우에 양액에서 세균, 박테리아 등이 성장하는 문제가 발생된다.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nutrient solution supplied to the cultivation bed flows out into a recovery pipe having a constant height, and the water level is maintained at a constant level by the recovery pipe. However, since nutrient solution at a certain level is continuously stored in the cultivation bed, hygiene problems occur in the cultivation bed due to the nutrient solution. In other words, when nutrient solution containing nutrients is stored for a long time, a problem occurs in which germs, bacteria, etc. grow in the nutrient solution.

또한, 재배 베드로 양액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관와 상기 재배 베드로 공급된 양액을 회수하기 위한 회수관이 구비되어야 하기에 식물재배장치의 내부 구조가 복잡해진다. 또한, 공급관으로 공급되는 유량이 회수관으로 회수되는 유량보다 많을 경우에 양액이 재배 베드에 초과 공급되는 문제가 발생된다.In addition,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plant cultivation device becomes complicated because a supply pipe for supplying the nutrient solution to the cultivation bed and a recovery pipe for recovering the nutrient solution supplied to the cultivation bed must be provided. Additionally, if the flow rate supplied to the supply pipe is greater than the flow rate recovered to the return pipe, a problem occurs in which the nutrient solution is excessively supplied to the cultivation bed.

본 발명은, 급수 베드에 잔존하는 양액에 의해 급수 베드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식물 재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lant cultivation device that can prevent a water supply bed from being contaminated by nutrient solution remaining in the water supply bed.

본 발명은, 수경 재배 방식에 의해서 발생될 수 있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식물 재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lant cultivation device that can prevent problems that may occur due to hydroponic cultivation methods.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는, 물을 공급하는 급수 베드와, 상기 급수 베드로부터 물을 공급받고, 상기 급수 베드에 안착되는 다수의 재배 포트로 식물 재배 장치를 분리하여 구성하여, 다수의 재배 포트에 다양한 식물을 성장시킬 수 있다.The plant cultiv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separate the plant cultivation device into a water supply bed that supplies water, and a plurality of cultivation ports that receive water from the water supply bed and are seated on the water supply bed, and have a plurality of cultivation ports. You can grow a variety of plants.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는, 식물 성장에 요구되는 양분이 저장되는 배지와, 급수 베드로부터 물을 흡입하여 상기 배지로 공급하는 흡입 부재로 재배 포트를 구성하여, 식물 성장에 요구되는 양분과 물을 적절하게 공급할 수 있다.The plant cultiv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a cultivation pot with a medium storing nutrients required for plant growth and a suction member that sucks water from a water supply bed and supplies it to the medium, thereby providing nutrients and water required for plant growth. can be supplied appropriately.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는, 급수 베드에서 물을 공급하고, 급수 베드에서 공급되는 물을 흡입하여 재배 포트의 내부에서 양액을 형성함으로써, 급수 베드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plant cultiv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water supply bed from being contaminated by supplying water from the water supply bed and sucking in th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bed to form a nutrient solution inside the cultivation pot.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는, 급수 베드에 저장되는 물의 양을 파악하고, 급수 베드에 저장된 물의 양에 기초하여 상기 급수 베드에 공급되는 물의 공급량을 조절하여 급수 베드에 물이 초과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plant cultiv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the amount of water stored in the water supply bed, and adjusts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bed based on the amount of water stored in the water supply bed to prevent excessive supply of water to the water supply bed. can do.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는, 급수 베드에 저장되는 물의 양에 따라 센서의 신호가 전달되는 여부에 기초하여 급수 베드에 저장되는 물의 양을 파악하기에 변화되는 물의 양에 따라 신속하게 물의 공급 여부를 변화할 수 있다.The plant cultiv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the amount of water stored in the water supply bed based on whether a signal from the sensor is transmitt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water stored in the water supply bed, and thus determines whether water is supplied quickly according to the changing amount of water. can change.

본 발명에 따르면, 식물 성장에 요구되는 양분이 재배 포트에 제공되고, 급수 베드로 공급된 물이 재배 포트로 흡수되어 식물에게 공급되기에 급수 베드에 잔존하는 물에 의한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utrients required for plant growth are provided to the cultivation pot, and water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bed is absorbed into the cultivation pot and supplied to the plants, thereby minimizing contamination due to water remaining in the water supply bed.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재배 포트를 급수 베드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재배 포트의 유지 관리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cultivation pots can be configured to be separated from the water supply bed to facilitate maintenance of the cultivation pots.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재배 포트에 형성되는 급수관이 급수 베드에 형성된 급수 유로에 연결되어야 재배 포트로 물이 공급되기에 급수 유로로 유입되는 물의 공급량에 의해 재배 포트로 공급되는 물의 공급량을 조절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supply pipes formed in a plurality of cultivation pots must be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assages formed in the water supply bed to supply water to the cultivation pots, so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the cultivation pots can be adjusted by the amount of water flowing into the water supply passages. You can.

본 발명에 따르면, 급수 베드에 저장되는 물의 양에 따라 센서의 신호 전달 여부가 변화되기에 물의 변화에 신속하게 펌프의 작동을 대응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ther or not a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sensor changes depending on the amount of water stored in the water supply bed, so the operation of the pump can quickly respond to changes in water.

본 발명에 따르면, 급수 베드로 설정된 양의 물이 공급되도록 메인 저장부의 물이 보조 저장부에 임시로 저장되기에 급수 베드로 물이 초과 공급되는 것을 미리 예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ater from the main storage unit is temporarily stored in the auxiliary storage unit so that a set amount of water is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bed, thereby preventing excessive supply of water to the water supply b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재배 포트 및 급수 베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재배 포트의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재배 포트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급수 베드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급수 베드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의 작동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보조 저장부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의 급수 베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의 구성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lant cultivation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plant cultivation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cultivation pot and water supply be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bottom view of a cultivation po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ultivation po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ter supply be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lan view of a water supply be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flowchart of the operation of the plant cultiv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uxiliary storage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ater supply bed of a plant cultivation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plant cultivation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illustrative drawings. Whe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in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identical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Additionally, when describ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configurations or functions are judged to imped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Additionally,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at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there is no need for another component between each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may be “connected,” “combined,” or “connect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의 구성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lant cultivation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plant cultivation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1)는 몸체(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10)는 일측이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10)의 내부에는 내부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10)의 개구된 일측에는 도어(15)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15)는 상기 몸체(10)의 개구된 일측을 선택적으로 차폐할 수 있다. 상기 도어(15)와 상기 몸체(10)는 힌지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도어(15)에는 전면 유리(1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면 유리(16)에 의해 상기 몸체(10)의 내부 공간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1 and 2, the plant cultivation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ody 10. The body 10 may be formed so that one side is open. An internal space may be formed inside the body 10. A door 15 may be placed on one open side of the body 10. The door 15 can selectively shield one open side of the body 10. The door 15 and the body 10 may be connected by a hinge. The door 15 may be provided with a front glass 16. The internal space of the body 1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by the front glass 16.

상기 식물 재배 장치(1)는 급수 베드(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수 베드(120)는 상기 몸체(1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급수 베드(120)는 상기 식물의 성장에 요구되는 물(W)이 저장될 수 있다.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급수 베드(120)는 식물의 성장에 요구되는 양분이 포함되는 양액이 저장될 수도 있다. 상기 급수 베드(120)에는 후술할 재배 포트(10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재배 포트(100)에는 식물이 파종되고, 상기 재배 포트(100)는 상기 급수 베드(120)로부터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급수 베드(120)는 일면이 개구되는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베드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수 베드(120)는 상기 몸체(10)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급수 베드(120)는 상기 몸체(10)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The plant cultivation device 1 may include a water supply bed 120. The water supply bed 120 may be plac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body 10. The water supply bed 120 may store water (W) required for plant growth. Without being limited thereto, the water supply bed 120 may store nutrient solution containing nutrients required for plant growth. The water supply bed 120 may be equipped with a cultivation pot 1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Plants are sown in the cultivation pot 100, and the cultivation pot 100 can receive water from the water supply bed 120. For example, the water supply bed 120 may include a bed body formed as a polygon with one side open. The water supply bed 120 may be fixed to the inside of the body 10. Alternatively, the water supply bed 120 may be configured to be movable with respect to the body 10.

상기 급수 베드(120)는 다수로 제공될 수 있다. 다수의 급수 베드(120)는 상기 몸체(10)의 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몸체(10)의 내부에는 상기 급수 베드(120)를 지지하기 위한 베드 받침대(25)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베드 받침대(25)는 상기 몸체(10)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드 받침대(25)는 상기 몸체(1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베드 받침대(25)가 상기 몸체(10)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경우에 상기 급수 베드(120)는 상기 베드 받침대(25)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베드 받침대(25)가 상기 몸체(10)에 고정된 경우에 상기 급수 베드(120)는 상기 베드 받침대(25)에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The water supply bed 120 may be provided in multiple numbers. A plurality of water supply beds 120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inside the body 10. A bed support 25 may be provided inside the body 10 to support the water supply bed 120. The bed support 25 may be configured to be movable with respect to the body 10. Additionally, the bed support 25 may be fixed to the body 10. When the bed support 25 is configured to be movable with respect to the body 10, the water supply bed 120 can be moved by the bed support 25. When the bed support 25 is fixed to the body 10, the water supply bed 120 can slide on the bed support 25.

상기 식물 재배 장치(1)는 재배 포트(1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재배 포트(100)는 다수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재배 포트(100)는 상기 급수 베드(120)에 장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급수 베드(120)에는 다수의 재배 포트(10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급수 베드(120)에 장착된 재배 포트(100)는 상기 급수 베드(120)로부터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재배 포트(100)는 상기 급수 베드(12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재배 포트(100)를 상기 급수 베드(120)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재배 포트(100)에 식물을 파종하거나, 성장된 식물을 수확할 수 있다.The plant cultivation device 1 may include a cultivation pot 100. The cultivation pots 100 may be provided in multiple numbers. The cultivation pot 100 may be mounted on the water supply bed 120. In this embodiment, the water supply bed 120 may be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cultivation pots 100. The cultivation pot 100 mounted on the water supply bed 120 may receive water from the water supply bed 120. The cultivation pot 100 may be separated from the water supply bed 120. By separating the cultivation pot 100 from the water supply bed 120, plants can be sown in the cultivation pot 100 or the grown plants can be harvested.

상기 식물 재배 장치(1)는 광원모듈(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원모듈(30)은 상기 몸체(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광원모듈(30)은 상기 재배 포트(100)의 상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광원모듈(30)은 상기 재배 포트(100)에서 성장하는 식물에 광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광원모듈(30)은 광을 발생시키기 위한 광원, 광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광을 반사하는 반사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원모듈(30)은 상기 광원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각부는 상기 광원에서 발생되는 열을 냉각하여 상기 광원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plant cultivation device 1 may include a light source module 30. The light source module 30 may be placed inside the body 10. The light source module 30 may be placed above the cultivation pot 100. The light source module 30 can supply light energy to plants growing in the cultivation pot 100. The light source module 30 may include a light source for generating light,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light source, and a reflector for reflecting light. The light source module 30 may further include a cooling unit to cool the light source. The cooling unit may improve the lifespan of the light source by cooling the heat generated from the light source.

상기 재배 포트(100)와 상기 광원모듈(30)의 사이에는 재배실(11)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재배실(11)은 상기 재배 포트(100)에 파종된 식물이 성장할 수 있는 공간으로 이해할 수 있다.A cultivation room 11 may be defined between the cultivation pot 100 and the light source module 30. The cultivation room 11 can be understood as a space where plants sown in the cultivation pot 100 can grow.

상기 재배실(11)의 일측에는 환기부(35)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환기부(35)는 상기 몸체(10)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환기부(35)는 상기 재배실(11)의 내부로 외기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환기부(35)는 송풍팬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환기부(35)는 상기 재배실(11)과 외부 공간을 선택적으로 연통할 수 있다. 상기 환기부(35)는 외기를 상기 재배실(11)의 내부로 공급하여, 상기 재배실(11) 내부의 습도, 이산화탄소 농도 등을 제어할 수 있다.A ventilation unit 35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ultivation room 11. The ventilation unit 35 may be provided in the body 10. The ventilation unit 35 may supply external air to the interior of the cultivation room 11. The ventilation unit 35 may be provided as a blowing fan. The ventilation unit 35 may selectively communicate with the cultivation room 11 and an external space. The ventilation unit 35 supplies outdoor air to the inside of the cultivation room 11, and can control humidity,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etc. inside the cultivation room 11.

상기 식물 재배 장치(1)는 메인 저장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저장부(40)는 상기 몸체(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메인 저장부(40)에는 물(W)이 저장될 수 있다.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메인 저장부(40)에는 양액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메인 저장부(40)는 상기 몸체(1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메인 저장부(40)는 온수조), 냉수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수조 및 상기 냉수조에 저장된 각각의 물은 상기 급수 베드(120)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온수조 및 상기 냉수조에 저장된 서로 다른 온도의 물을 혼합하여 상기 급수 베드(120)로 공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급수 베드(120)에 존재하는 물의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온도에 기초하여 설정된 온도의 물을 공급할 수 있다. The plant cultivation device 1 may include a main storage unit 40. The main storage unit 40 may be placed inside the body 10. Water (W) may be stored in the main storage unit 40. Without being limited thereto, nutrient solution may be stored in the main storage unit 40. The main storage unit 40 may be disposed at the lower part of the body 10. For example, the main storage unit 40 may include a hot water tank and a cold water tank. Each of the water stored in the hot water tank and the cold water tank may be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bed 120. Water of different temperatures stored in the hot water tank and the cold water tank may be mixed and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bed 120. For example, the temperature of water present in the water supply bed 120 may be measured, and water at a set temperature may be supplied based on the measured temperature.

상기 식물 재배 장치(1)는 펌프(4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펌프(45)는 상기 메인 저장부(4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메인 저장부(40)에 저장된 물은 상기 펌프(45)에 의해 후술할 보조 저장부(50)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펌프(45), 상기 메인 저장부(40), 및 상기 보조 저장부(50)는 파이프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메인 저장부(40)에 저장된 물은 파이프를 통과해서 상기 보조 저장부(50)로 공급될 수 있다. The plant cultivation device 1 may include a pump 45. The pump 45 may be placed on one side of the main storage unit 40. The water stored in the main storage unit 40 may be supplied to the auxiliary storage unit 5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by the pump 45. The pump 45, the main storage unit 40, and the auxiliary storage unit 50 may be connected by a pipe. Water stored in the main storage unit 40 may be supplied to the auxiliary storage unit 50 through a pipe.

상기 식물 재배 장치(1)는 보조 저장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저장부(50)에는 상기 메인 저장부(40)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보조 저장부(50)는 상기 메인 저장부(40)보다 상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저장부(50)는 상기 메인 저장부(40)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상기 급수 베드(120)로 분배하기 위한 구성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저장부(50)는 파이프에 의해 상기 펌프(45) 및 상기 메인 저장부(4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펌프(45)와 상기 보조 저장부(50)가 연결되는 파이프를 공급 파이프라 정의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저장부(40)와 상기 보조 저장부(50)가 연결되는 파이프를 회수 파이프라 정의할 수 있다. The plant cultivation device 1 may include an auxiliary storage unit 50. The auxiliary storage unit 50 may store water supplied from the main storage unit 40. The auxiliary storage unit 50 may be located above the main storage unit 40. The auxiliary storage unit 50 can be understood as a configuration for distributing water supplied from the main storage unit 40 to the water supply bed 120. The auxiliary storage unit 50 may be connected to the pump 45 and the main storage unit 40 through a pipe. At this time, the pipe through which the pump 45 and the auxiliary storage unit 50 are connected can be defined as a supply pipe. The pipe connecting the main storage unit 40 and the auxiliary storage unit 50 can be defined as a recovery pipe.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보조 저장부(50)에는 미리 설정된 양의 물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보조 저장부(50)에 저장될 수 있는 물은 상기 급수 베드(120)에 저장될 수 있는 물의 저장량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수의 급수 베드(120) 각각에 저장될 수 있는 물의 저장량 총합은 상기 보조 저장부(50)에 저장될 수 있는 저장량에 대응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양 이상의 물이 상기 보조 저장부(50)에 저장될 경우에, 초과된 양의 물은 상기 메인 저장부(40)로 회수될 수 있다. 상기 회수 파이프는 미리 설정된 양의 물이 저장되는 수위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미리 설정된 양 이상의 물이 저장되면, 초과된 양의 물은 상기 회수 파이프를 통과해서 상기 메인 저장부(40)로 회수될 수 있다. 상기 회수 파이프에 의해 상기 메인 저장부(40)로 물이 회수되면, 상기 펌프(45)의 작동을 중단하여 상기 보조 저장부(50)에 물이 공급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저장부(50)는 미리 설정된 양의 물이 저장되면, 다수의 급수 베드(12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저장부(50)에 저장된 물은 상기 급수 베드(120)에 모두 공급될 수 있다. 상기 급수 베드(120)로 추가적인 물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상기 펌프(45)를 작동하여 상기 보조 저장부(50)에 물을 다시 저장한 후 상기 급수 베드(120)로 추가 공급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a preset amount of water may be stored in the auxiliary storage unit 50. The water that can be stored in the auxiliary storage unit 50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water that can be stored in the water supply bed 120. For example, the total amount of water that can be stor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water supply beds 120 may correspond to the amount of water that can be stored in the auxiliary storage unit 50. When more than a preset amount of water is stored in the auxiliary storage unit 50, the excess amount of water may be recovered into the main storage unit 40. The recovery pipe may be placed at a water level where a preset amount of water is stored. That is, if more than a preset amount of water is stored, the excess amount of water may pass through the recovery pipe and be recovered into the main storage unit 40. When water is recovered to the main storage unit 40 through the recovery pipe, the operation of the pump 45 may be stopped to limit the supply of water to the auxiliary storage unit 50. When a preset amount of water is stored, the auxiliary storage unit 50 can supply water to a plurality of water supply beds 120. All of the water stored in the auxiliary storage unit 50 can be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bed 120. In order to supply additional water to the water supply bed 120, the pump 45 can be operated to store water again in the auxiliary storage unit 50 and then additionally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bed 120.

상기 보조 저장부(50)에서 상기 급수 베드(120)로 공급되는 물은 밸브(70)에 의해 공급 여부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밸브(70)는 상기 보조 저장부(50)와 상기 급수 베드(120)를 연결하는 파이프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밸브(70)의 개도를 조절하여 상기 급수 베드(120)로 공급되는 물의 공급 여부를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밸브(70)가 제공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밸브(70)는 미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밸브(70)가 미 제공될 경우에, 다수의 급수 베드(120)로 물을 공급하는 파이프의 직경이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수의 급수 베드(120) 중 상방에 위치하는 급수 베드(120)로 물을 공급하는 파이프의 직경은 다수의 급수 베드(120) 중 하방에 위치하는 급수 베드(120)로 물을 공급하는 파이프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즉, 물이 공급되는 파이프의 직경을 조절하여 상방에 위치하는 급수 베드(120)와 하방에 위치하는 급수 베드(120)에 공급되는 물이 동일하게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메인 저장부(40)와 상기 보조 저장부(50)는 물 저장부라 칭할 수 있다.Whether or not water is supplied from the auxiliary storage unit 50 to the water supply bed 120 can be controlled by the valve 70. The valve 70 may be provided in a pipe connecting the auxiliary storage unit 50 and the water supply bed 120. By adjusting the opening degree of the valve 70, it is possible to control whether or not water is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bed 120. In this embodiment, the valve 70 is described as being provided, but the valve 70 may not be provided. If the valve 70 is not provided, the diameter of the pipe supplying water to the plurality of water supply beds 120 may be changed. For example, the diameter of the pipe that supplies water to the water supply bed 120 located above among the plurality of water supply beds 120 is such that water is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bed 120 located below among the plurality of water supply beds 120. It may be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supply pipe. That is, by adjusting the diameter of the pipe through which water is supplied, the water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bed 120 located above and the water supply bed 120 located below can be supplied equally. 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storage unit 40 and the auxiliary storage unit 50 may be referred to as water storage units.

상기 식물 재배 장치(1)는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원 모듈(3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잇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펌프(45)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후술할 다수의 센서(130, 131)에 의해서 감지되는 신호에 의해 상기 펌프(45)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환기부(35)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밸브(7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The plant cultivation device 1 may includ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operation. The control unit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light source module 30.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pump 45.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pump 45 by signals detected by a plurality of sensors 130 and 131,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control unit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ventilation unit 35.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valve 70.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재배 포트 및 급수 베드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재배 포트의 저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재배 포트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급수 베드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급수 베드의 평면도이다.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cultivation pot and a water supply bed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bottom view of a cultivation po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5 is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ultivation pot according to ,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water supply be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7 is a plan view of the water supply be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급수 베드(120)에는 다수의 재배 포트(100)가 안착될 수 있다. 상기 급수 베드(120)에 안착된 다수의 재배 포트(100)는 상기 급수 베드(12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재배 포트(100) 각각에는 다양한 식물이 파종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재배 포트(100)는 상기 급수 베드(120)에 의해서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3 to 7 , a plurality of cultivation pots 100 may be installed in the water supply bed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cultivation pots 100 mounted on the water supply bed 120 may be separated from the water supply bed 120. Various plants may be sown in each of the plurality of cultivation pots 100. The plurality of cultivation pots 100 may be supplied with water by the water supply bed 120.

이하에서는 상기 재배 포트(100)에 대해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ultivation pot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drawings.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재배 포트(100)는 몸체를 형성하는 포트 몸체(10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재배 포트(100)는 일면이 개구되는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재배 포트(100)는 개구되는 일면의 일부가 함몰되어 바스켓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재배 포트(100)의 내부에는 식물의 성장에 요구되는 양분이 포함되는 배지(111)(培地, Medium)가 배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s 4 and 5, the cultivation po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ot body 101 forming a body. In this embodiment, the cultivation pot 100 may be formed as a polygon with one side open. The cultivation pot 100 may be formed into a basket shape by having a portion of an open surface recessed. A medium 111 containing nutrients required for plant growth may be placed inside the cultivation pot 100.

상기 재배 포트(100)는 몸체 받침대(10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 받침대(102)는 상기 포트 몸체(101)의 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몸체 받침대(102)는 다수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몸체 받침대(102)는 상기 재배 포트(100)를 상기 급수 베드(120)에 안착 시 상기 급수 베드(120)의 내측 저면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몸체 받침대(102)는 후술할 급수관(105)보다 하방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몸체 받침대(102)가 상기 급수관(105)보다 하방으로 더 돌출될 경우에 상기 급수관(105)과 상기 급수 베드(120)의 내측 저면 사이에는 물이 통과할 수 있는 틈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몸체 받침대(102)는 미 제공되고, 상기 재배 포트(100)의 바닥면이 상기 급수 베드(120)에 안착될 수도 있다.The cultivation pot 100 may include a body stand 102. The body support 102 may protrude downward from the bottom of the pot body 101. The body support 102 may be provided in multiple numbers. The body support 102 may be support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water supply bed 120 when the cultivation pot 100 is seated on the water supply bed 120. The body support 102 may protrude further downward than the water supply pipe 105,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hen the body support 102 protrudes further downward than the water supply pipe 105, a gap through which water can pass may be formed between the water supply pipe 105 and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water supply bed 120. Meanwhile, the body support 102 is not provided,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cultivation pot 100 may be seated on the water supply bed 120.

상기 재배 포트(100)는 급수관(10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수관(105)은 상기 포트 몸체(101)의 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급수관(105)은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급수관(105)의 내부에 형성되는 중공은 상기 재배 포트(100)의 내부 공간과 연통될 수 있다. 상기 급수관(105)은 상기 재배 포트(100)의 내부에 배치되는 배지(111)로 상기 급수 베드(120)에 저장된 물이 공급되는 통로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급수관(105)의 일부는 상기 급수 베드(120)에 저장되는 물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물에 접촉되는 급수관(105)의 일부에 의해 물이 상기 급수관(105)의 중공으로 유입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급수관(105)은 상기 포트 몸체(101)의 저면 중심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급수관(105)의 위치는 상기 포트 몸체(101)의 저면에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The cultivation pot 100 may include a water supply pipe 105. The water supply pipe 105 may protrude downward from the bottom of the pot body 101. The water supply pipe 105 may have a hollow interior. The hollow formed inside the water supply pipe 105 may communicate with the internal space of the cultivation pot 100. The water supply pipe 105 can be understood as a passage through which water stored in the water supply bed 120 is supplied to the medium 111 disposed inside the cultivation pot 100. A portion of the water supply pipe 105 may be in contact with water stored in the water supply bed 120. Water may flow into the hollow of the water supply pipe 105 by the part of the water supply pipe 105 that is in contact with the water. In this embodiment, the water supply pipe 105 may be placed at the center of the bottom of the pot body 101. The location of the water supply pipe 105 can be changed in various ways on the bottom of the port body 101.

상기 급수관(105)은 함몰부(10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몰부(106)는 상기 급수관(105)의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106)는 상기 급수관(105)의 일측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106)는 상기 급수관(105)의 일측 단부가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함몰부(106)는 상기 포트 몸체(101)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는 급수관(105)의 일측 단부로부터 상기 포트 몸체(101)의 저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함몰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106)는 다수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106)는 상기 급수관(105)의 일부가 개구되어 상기 급수 베드(120)에 저장되는 물이 통과하는 통로로 이해할 수 있다. 즉, 상기 급수 베드(120)에 저장되는 물은 상기 함몰부(106)에 의해 상기 급수관(105)의 중공으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다.The water supply pipe 105 may include a depression 106. The depression 106 may be formed by a portion of the water supply pipe 105 being depressed. The depression 106 may be disposed at one end of the water supply pipe 105. The depression 106 may be formed by depression of one end of the water supply pipe 105. For example, the depression 106 may be depressed in a direction from one end of the water supply pipe 105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pot body 101 toward the bottom of the pot body 101. The depressions 106 may be provided in multiple numbers. The depression 106 can be understood as a passage through which a portion of the water supply pipe 105 is opened and water stored in the water supply bed 120 passes. That is, water stored in the water supply bed 120 can smoothly flow into the hollow of the water supply pipe 105 through the depression 106.

상기 급수관(105)은 다공부(10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공부(107)는 상기 급수관(105)의 중공으로 유입되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공부(107)는 후술할 흡입 부재(110)가 상기 급수관(105)으로부터 탈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다공부(107)는 상기 급수관(105)의 일측 단부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다공부(107)는 상기 급수관(105)의 일측 단부에서 상기 급수관(105)의 중공을 커버할 수 있다. 상기 다공부(107)는 다수의 다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수 베드(120)에 저장된 물은 상기 다수의 다공을 통과하여 상기 급수관(105)의 중공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물이 상기 다수의 다공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크기 배제 메커니즘에 의해 이물질이 필터링될 수 있다.The water supply pipe 105 may include a porous portion 107. The porous portion 107 can filter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water flowing into the hollow of the water supply pipe 105. Additionally, the porous portion 107 can prevent the suction member 11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from falling off from the water supply pipe 105. The porous portion 107 may be provided at one end of the water supply pipe 105. The porous portion 107 may cover the hollow portion of the water supply pipe 105 at one end of the water supply pipe 105. The porous portion 107 may include multiple pores. Water stored in the water supply bed 120 may pass through the plurality of pores and flow into the hollow of the water supply pipe 105. As the water passes through the plurality of pores, foreign substances may be filtered out by a size exclusion mechanism.

상기 포트 몸체(101)의 내부에는 흡입 부재(11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흡입 부재(110)는 상기 급수관(105)의 중공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흡입 부재(110)는 상기 급수관(105)의 중공으로 유입되는 물을 흡입할 수 있다. 상기 흡입 부재(110)는 흡입한 물을 후술할 배지(111)로 전달할 수 있다. 즉, 상기 흡입 부재(110)는 상기 급수관(105)의 중공으로 유입되는 물을 흡수하여, 상기 배지(111)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A suction member 110 may be included inside the port body 101. The suction member 110 may be disposed in the hollow of the water supply pipe 105. The suction member 110 can suck water flowing into the hollow of the water supply pipe 105. The suction member 110 can transfer the sucked water to the medium 111,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at is, the suction member 110 can perform the function of absorbing water flowing into the hollow of the water supply pipe 105 and delivering it to the medium 111.

상기 포트 몸체(101)의 내부에는 배지(111)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배지(111)는 상기 포트 몸체(101)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배지(111)는 식물 성장에 요구되는 양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배지(111)는 상토, 토양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배지(111)는 상기 흡입 부재(110)로부터 물을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배지(111)에 포함되는 양분은 상기 흡입 부재(110)로부터 전달되는 물과 혼합될 수 있다. 물과 혼합된 양분은 식물의 뿌리로 공급될 수 있다.A medium 111 may be included inside the port body 101. The medium 111 may be accommodated inside the port body 101. The medium 111 may contain nutrients required for plant growth. For example, the medium 111 may be provided as top soil, soil, etc. The medium 111 may receive water from the suction member 110. Nutrients included in the medium 111 may be mixed with water delivered from the suction member 110. Nutrients mixed with water can be supplied to the roots of plants.

상기 포트 몸체(101)의 내부에는 종자 레이어(112)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종자 레이어(112)는 상기 포트 몸체(101)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종자 레이어(112)는 상기 배지(111)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종자 레이어(112)에는 식물의 씨앗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종자 레이어(112)는 상기 배지(111)로부터 양분이 혼합된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종자 레이어(112)는 식물의 씨앗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종자 레이어(112)는 식물의 뿌리가 관통할 수 있다. 상기 종자 레이어(112)를 관통한 식물의 뿌리는 상기 배지(111)를 향하는 방향으로 성장할 수 있다. 상기 종자 레이어(112)는 상기 종자 레이어(112)에서 성장하는 식물이 상기 배지(111)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종자 레이어(112)는 식물이 청결하게 성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종자 레이어(112)는 상기 배지(111)로부터 물을 공급받기에 식물의 성장에 적합한 환경을 조성하여, 식물의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다.A seed layer 112 may be included inside the pot body 101. The seed layer 112 may be accommodated inside the pot body 101. The seed layer 112 may be placed on top of the medium 111. Plant seeds may be placed on the seed layer 112. The seed layer 112 may receive water mixed with nutrients from the medium 111. The seed layer 112 may support plant seeds. The seed layer 112 can be penetrated by plant roots. The roots of the plant that penetrate the seed layer 112 may grow in a direction toward the medium 111. The seed layer 112 may prevent plants growing on the seed layer 112 from contacting the medium 111. In other words, the seed layer 112 can allow plants to grow cleanly. In addition, the seed layer 112 receives water from the medium 111, thereby creating an environment suitable for plant growth, thereby promoting plant growth.

본 발명에 따른 재배 포트(100)는 상기 흡입 부재(110)에 의해 상기 급수 베드(120)로부터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재배 포트(100)에 파종된 식물은 상기 급수 베드(120)로부터 간헐적으로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급수 베드(120)로부터 간헐적으로 물을 공급받기에 상기 재배 포트(100)에 물이 과잉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급수 베드(120)의 물은 상기 흡입 부재(110)에 의해 상기 재배 포트(100)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흡입 부재(110), 상기 배지(111), 및 상기 종자 레이어(112)에 물의 함량이 증가되면, 상기 흡입 부재(110)에 의해 상기 급수 베드(120)로부터 흡입되는 물량이 감소될 수 있다. The cultivation po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ceive water from the water supply bed 120 by the suction member 110. At this time, plants sown in the cultivation pot 100 may receive water intermittently from the water supply bed 120. Since water is intermittently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bed 120, excessive supply of water to the cultivation pot 100 can be prevented. Water from the water supply bed 120 may be supplied to the cultivation pot 100 by the suction member 110. If the water content in the suction member 110, the medium 111, and the seed layer 112 increases, the amount of water sucked from the water supply bed 120 by the suction member 110 may decrease. .

상기 포트 몸체(101)는 덮개(1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덮개(113)는 상기 포트 몸체(101)의 개구된 일면을 커버할 수 있다. 상기 덮개(113)는 선택적으로 상기 포트 몸체(101)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덮개(113)는 상기 포트 몸체(101)의 개구된 일면을 커버하여, 상기 종자 레이어(112)에서 성장하는 식물을 보호할 수 있다.The port body 101 may further include a cover 113. The cover 113 may cover one open surface of the port body 101. The cover 113 can be optionally separated from the port body 101. The cover 113 can cover the open surface of the pot body 101 to protect the plant growing in the seed layer 112.

이하에서는 상기 급수 베드(120)에 대해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water supply bed 12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drawings.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급수 베드(120)는 몸체를 형성하는 베드 몸체(1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드 몸체(121)는 일면이 개구되는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드 몸체(121)는 개구되는 일면의 일부가 함몰되어 바스켓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드 몸체(121)의 내부에는 다수의 재배 포트(100)가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베드 몸체(121)의 내측에는 상기 다수의 재배 포트(100)가 안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6 and 7, the water supply bed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ed body 121 forming a body. The bed body 121 may be formed as a polygon with one side open. The bed body 121 may be formed into a basket shape by having a portion of its open surface recessed. A plurality of cultivation pots 100 may be seated inside the bed body 121. A space in which the plurality of cultivation pots 100 can be seated may be formed inside the bed body 121.

상기 베드 몸체(121)는 유입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입부(122)는 상기 베드 몸체(121)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입부(122)는 상기 보조 저장부(50)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유입되는 곳으로 이해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유입부(122)는 상기 베드 몸체(121)의 일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입부(122)의 내측에는 물이 유동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입부(122)는 후술할 급수 유로(125)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유입부(122)로 유입된 물은 후술할 수로(123)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급수 유로(125)를 따라 유동할 수 있다. The bed body 121 may include an inlet 122. The inlet 122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bed body 121. The inlet 122 can be understood as a place where water supplied from the auxiliary storage unit 50 flows. In this embodiment, the inlet 122 may be formed to protrude outward from one side of the bed body 121. A space through which water can flow may be formed inside the inlet 122. The inlet 122 may be connected to a water supply passage 125,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ater flowing into the inlet 122 may flow along the water supply passage 125 formed by a water channel 123,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베드 몸체(121)는 수로(1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로(123)는 상기 베드 몸체(121)의 내부에 물이 유동되거나, 저장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수로(123)는 상기 베드 몸체(121)의 내측 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로(123)는 제1벽(123a) 및 제2벽(123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벽(123a)과 상기 제2벽(123b) 각각은 상기 베드 몸체(121)의 내측 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벽(123a)과 상기 제2벽(123b)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벽(123a) 및 상기 제2벽(123b)의 사이에는 물이 유동되는 급수 유로(12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급수 유로(125)는 상기 유입부(122)로 유입된 물이 유동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벽(123a)의 일측 단부 및 상기 제2벽(123b)의 일측 단부는 상기 베드 몸체(121)의 내측 측면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벽(123b)의 타측 단부 및 상기 제2벽(123b)의 타측 단부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벽(123a)과 상기 제2벽(123b)은 일정한 간격으로 서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벽(123a)과 상기 제2벽(123b)의 사이에는 상기 급수 유로(125)가 위치할 수 있다. The bed body 121 may include a water channel 123. The water conduit 123 may form a space where water can flow or be stored inside the bed body 121. The waterway 123 may be formed to protrude upward from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bed body 121. The water conduit 123 may include a first wall 123a and a second wall 123b. Each of the first wall 123a and the second wall 123b may protrude upward from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bed body 121. The first wall 123a and the second wall 123b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water supply passage 125 through which water flows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wall 123a and the second wall 123b. The water supply passage 125 may allow water flowing into the inlet 122 to flow. In this embodiment, one end of the first wall 123a and one end of the second wall 123b may be connected to the inner side of the bed body 121. Als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wall 123b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wall 123b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first wall 123a and the second wall 123b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The water supply passage 125 may be located between the first wall 123a and the second wall 123b.

상기 급수 유로(125)는 다수의 유로(126, 127, 12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수 유로(125)의 일부는 제1유로(126), 제2유로(127), 및 제3유로(128)로 분기될 수 있다. 상기 제1유로(126), 상기 제2유로(127) 및 상기 제3유로(128)는 상기 급수 유로(125)와 함께 상기 수로(123)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유로(126), 상기 제2유로(127), 및 상기 제3유로(128)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유로(126), 상기 제2유로(127) 및 상기 제3유로(128)는 상기 베드 몸체(121)의 내측 일면에서 내측 타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유로(126)는 상기 제2유로(127)보다 상기 유입부(122)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유로(127)는 상기 제3유로(128)보다 상기 유입부(122)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급수 유로(125)에 상기 유입부(122)로부터 물이 공급되면, 물은 상기 급수 유로(125)로부터 상기 제1유로(126), 상기 제2유로(127) 및 상기 제3유로(128) 순서로 물이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1유로(126) 및 상기 제2유로(127) 및 상기 제3유로(128)는 상기 유입부(122)에 의해 상기 급수 유로(125)로 유입된 물을 다수의 재배 포트(100)로 공급하기 위한 유로로 정의될 수 있다.The water supply flow path 125 may include a plurality of flow paths 126, 127, and 128. A portion of the water supply flow path 125 may be branched into a first flow path 126, a second flow path 127, and a third flow path 128. The first passage 126, the second passage 127, and the third passage 128 may be formed by the water passage 123 together with the water supply passage 125. The first flow path 126, the second flow path 127, and the third flow path 128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first flow path 126, the second flow path 127, and the third flow path 128 may extend from one inner surface of the bed body 121 toward the other inner surface.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flow path 126 may be disposed closer to the inlet 122 than the second flow path 127. The second flow passage 127 may be disposed closer to the inlet 122 than the third flow passage 128. When water is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passage 125 from the inlet 122, water flows from the water supply passage 125 into the first passage 126, the second passage 127, and the third passage 128. ) Water can be supplied in this order. The first flow path 126, the second flow path 127, and the third flow path 128 allow water introduced into the water supply flow path 125 by the inlet 122 to b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cultivation ports 100. It can be defined as a euro for supply.

상기 수로(122)는 급수관 배치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수관 배치부(124)는 상기 제1유로(126), 상기 제2유로(127) 및 상기 제3유로(128)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급수관 배치부(124)는 상기 재배 포트(100)의 급수관(105)이 배치되는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급수관 배치부(124)는 상기 수로(123)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급수관 배치부(124)는 상기 수로(123)의 일부가 상기 급수관(105)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변형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급수관 배치부(124)는 상기 제1벽(123a)이 상기 급수관(105)의 일측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변형되고, 상기 제2벽(123b)이 상기 급수관(105)의 타측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변형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급수관 배치부(124)는 상기 제1벽(123a) 및 상기 제2벽(123b)이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water conduit 122 may include a water supply pipe arrangement portion 124. The water supply pipe arrangement portion 124 may be formed in the first flow path 126, the second flow path 127, and the third flow path 128. The water supply pipe arrangement unit 124 may be defined as a space where the water supply pipe 105 of the cultivation pot 100 is disposed. The water supply pipe arrangement portion 124 may be formed by the water conduit 123. The water supply pipe arrangement portion 124 may be formed by deforming a portion of the water conduit 123 into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water supply pipe 105. For example, in the water supply pipe arrangement part 124, the first wall 123a is transformed into a shape corresponding to one side of the water supply pipe 105, and the second wall 123b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water supply pipe 105. It can be formed by being transformed into a shape corresponding to . The water supply pipe arrangement portion 124 may be formed by bending the first wall 123a and the second wall 123b.

상기 급수관 배치부(124)는 다수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급수관 배치부(124)는 상기 제1유로(126), 상기 제2유로(127) 및 상기 제3유로(128) 각각에 제공될 수 있다. 서로 다른 급수관 배치부(124)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급수관 배치부(124)는 상기 제1유로(126), 상기 제2유로(127), 및 상기 제3유로(128)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The water supply pipe arrangement portion 124 may be provided in multiple numbers. The water supply pipe arrangement portion 124 may be provided in each of the first flow path 126, the second flow path 127, and the third flow path 128. Different water supply pipe arrangement parts 124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is embodiment, the water supply pipe arrangement portion 124 may be disposed on one side and the other of the first flow path 126, the second flow path 127, and the third flow path 128, respectively.

상기 급수 베드(120)는 다수의 센서(130, 1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130, 131)은 상기 급수 유로(125)에 공급되는 물의 공급량을 감지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센서(130, 131)는 제1센서(130) 및 제2센서(1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센서(130)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2센서(131)는 상기 제1센서(130)에서 출력된 전기적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상기 제1센서(130) 및 상기 제2센서(131)에서 입력 또는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는 상기 급수 유로(125)에 공급되는 물에 의해 전달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센서(130)와 상기 제2센서(131)가 물에 의해 서로 통전되는 여부에 따라 상기 급수 유로(125)에 공급되는 물의 공급량을 감지할 수 있다. The water supply bed 1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nsors 130 and 131. The sensors 130 and 131 can detect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passage 125. In this embodiment, the sensors 130 and 131 may include a first sensor 130 and a second sensor 131. The first sensor 130 outputs an electrical signal, and the second sensor 131 can receive the electrical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sensor 130. Electrical signals input or output from the first sensor 130 and the second sensor 131 may be transmitted by water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passage 125. That is,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passage 125 can be detected depending on whether the first sensor 130 and the second sensor 131 are energized by water.

상기 제1센서(130)는 상기 유입부(122)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센서(131)는 상기 다수의 유로(126, 127, 128) 중 상기 유입부(122)로부터 가장 먼 위치에 위치하는 어느 하나의 일측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센서(130)는 상기 유입부(122)에 배치되고, 상기 제2센서(131)는 상기 제3유로(128)의 일측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입부(122)에 의해 상기 급수 유로(125)로 공급된 물은 상기 제1유로(126), 상기 제2유로(127), 및 상기 제3유로(128) 순으로 유동될 수 있다. 상기 제2센서(131)를 상기 유입부(122)에서 가장 먼 위치에 배치되는 유로에 배치하면, 물이 미 공급되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제1센서(130)와 상기 제2센서(131)가 물에 의해 서로 통전되면, 상기 유입부(122)로 공급된 물이 상기 제3유로(128)에 도달한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3유로(128)에 물이 공급되면, 상기 제1유로(126) 및 상기 제2유로(127)에도 물이 공급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제1유로(126) 및 상기 제2유로(127)가 상기 제3유로(128)보다 상기 유입부(122)에 인접하게 배치되기 때문이다.The first sensor 130 may be placed in the inlet 122. The second sensor 131 may be disposed at one end of one of the plurality of flow paths 126, 127, and 128 that is located furthest from the inlet 122.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sensor 130 may be placed in the inlet 122, and the second sensor 131 may be placed at one end of the third flow passage 128. Water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passage 125 through the inlet 122 may flow in the first passage 126, the second passage 127, and the third passage 128 in that order. If the second sensor 131 is placed in the flow path furthest from the inlet 122, the problem of non-supply of water can be minimized. When the first sensor 130 and the second sensor 13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water, it can be detected that the water supplied to the inlet 122 has reached the third flow path 128. When water is supplied to the third flow path 128, it can be recognized that water is also supplied to the first flow path 126 and the second flow path 127. This is because the first flow path 126 and the second flow path 127 are disposed closer to the inlet 122 than the third flow path 128.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급수 베드(120)에 상기 재배 포트(100)가 안착되면, 상기 급수 베드(120)의 급수관 배치부(124)에 상기 재배 포트(100)의 급수관(105)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급수관 배치부(124)에 상기 급수관(105)이 배치되면, 상기 급수 유로(125)에 의해 공급되는 물이 상기 급수관(105)으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급수 유로(125)에 의해 공급되는 물은 다수의 재배 포트(100)의 급수관(105)으로 각각 공급될 수 있다. 상기 급수관(105)으로 유입되는 물은 상기 흡입 부재(110)에 의해 흡수되어 상기 배지(111)로 전달될 수 있다.When the cultivation pot 100 is seated on the water supply bed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supply pipe 105 of the cultivation pot 100 can be placed in the water supply pipe placement portion 124 of the water supply bed 120. there is. When the water supply pipe 105 is disposed in the water supply pipe arrangement part 124, water supplied by the water supply passage 125 may flow into the water supply pipe 105. In addition, the water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passage 125 may be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pipes 105 of the plurality of cultivation pots 100, respectively. Water flowing into the water supply pipe 105 may be absorbed by the suction member 110 and delivered to the medium 111.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상기 재배 포트(100)에 물을 공급 시 상기 급수 베드(120)에 잔존하는 물이 최소화될 수 있다. 상기 급수 베드(120)로 공급되는 물의 양은 상기 보조 저장부(50)에 의해 조절될 수 있기에, 상기 급수 베드(120)에 물이 초과 공급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water remaining in the water supply bed 120 can be minimized when water is supplied to the cultivation pot 100. Since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bed 120 can be adjusted by the auxiliary storage unit 50, excessive supply of water to the water supply bed 120 can be minimized.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의 작동 흐름도이다.Figure 8 is a flowchart of the operation of the plant cultiv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1)는 상기 제1센서(130) 및 상기 제2센서(131)에 의해서 감지되는 전기적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급수 베드(120)의 물 공급 여부를 조절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the plant cultivation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upplies water to the water supply bed 120 based on the electrical signal detected by the first sensor 130 and the second sensor 131. You can control whether or not.

상기 식물 재배 장치(1)의 제어부는 상기 제1센서(130)에서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가 상기 제2센서(131)로 입력되는 여부에 따라 상기 급수 베드(120)에 존재하는 물의 저장 유무를 감지할 수 있다(S1). 상기 제1센서(130)에서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는 상기 급수 베드(120)에 물이 존재하는 유무에 의해 상기 제2센서(131)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급수 베드(120)에 물의 수위가 낮을 경우에 상기 제1센서(130)에서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는 상기 제2센서(131)로 미 입력될 수 있다. 반면, 상기 급수 베드(120)에 물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수위 이상이 될 경우에 상기 제1센서(130)에서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는 상기 제2센서(131)로 전달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센서(131)로 상기 제1센서(130)에서 출력된 전기적 신호가 입력되는 여부에 따라 상기 급수 베드(120)에 저장되는 물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of the plant cultivation device 1 detects whether or not water is stored in the water supply bed 120 depending on whether the electrical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sensor 130 is input to the second sensor 131. You can do it (S1). The electrical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sensor 130 may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sensor 131 depending on whether water exists in the water supply bed 120. When the water level in the water supply bed 120 is low, the electrical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sensor 130 may not be input to the second sensor 131. On the other hand, when the water level in the water supply bed 120 exceeds a preset water level, the electrical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sensor 130 may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sensor 131. That is, the level of water stored in the water supply bed 120 can be detected by the second sensor 131 depending on whether the electrical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sensor 130 is input.

상기 제1센서(130)에서 출력된 전기적 신호가 상기 제2센서(131)에 전달되는 여부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수 베드(120)로 물이 공급되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센서(130)에서 출력된 전기적 신호가 상기 급수 베드(120)에 저장된 물에 의해 상기 제2센서(131)에 입력되면, 상기 급수 베드(120)에 설정된 양의 물이 저장되어 있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상기 급수 베드(120)에 설정된 양의 물이 저장된 것이 파악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수 베드(120)에 물 공급이 미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급수 베드(120)에 물 공급이 미 필요한 경우에 펌프(45)의 작동을 중단할 수 있다(S5). 상기 펌프(45)가 미 작동 중인 경우에 상기 펌프(45)가 미 작동 중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Depending on whether the electrical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sensor 130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sensor 131, the control unit can determine whether water is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bed 120 (S2). When the electrical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sensor 130 is input to the second sensor 131 by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supply bed 120, the control unit detects that a set amount of water is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bed 120. You can find out what is stor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set amount of water is stored in the water supply bed 120, 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that water supply to the water supply bed 120 is not necessary. If water supply to the water supply bed 120 is not required, the operation of the pump 45 may be stopped (S5). When the pump 45 is not operating, the pump 45 may remain in a non-operating state.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센서(130)에서 출력된 전기적 신호가 상기 제2센서(131)에 미 입력되면, 상기 급수 베드(120)에 물 공급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급수 베드(120)에 물 공급이 필요한 경우에 상기 펌프(45)의 작동을 시작할 수 있다(S3). 상기 펌프(45)가 작동되면, 상기 급수 베드(120)로 물이 공급될 수 있다.If the electrical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sensor 130 is not input to the second sensor 131, 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that water needs to be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bed 120. When water is needed to be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bed 120, the pump 45 can be started to operate (S3). When the pump 45 operates, water may be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bed 120.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펌프(45)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펌프(45)의 출수 유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펌프(45)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펌프(45)의 출수 유량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된 양의 물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펌프(45)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급수 베드(120)에 물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pump 45.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pump 45 based on the water discharge flow rate information of the pump 45. The control unit may ensure that a set amount of water is supplied based on the water discharge flow rate information of the pump 45.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pump 45 to supply water to the water supply bed 120.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펌프(45)를 작동하여 메인 저장부(40)에 저장된 물이 보조 저장부(50)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저장부(50)로 공급된 물은 상기 급수 베드(120)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보조 저장부(50)에는 미리 설정된 양의 물이 저장되기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펌프(45)를 작동하여 상기 보조 저장부(50)에 설정된 양의 물이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조 저장부(50)에 설정된 양의 물이 저장되는 여부에 따라 밸브(70)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조 저장부(50)에 설정된 양의 물이 미 저장되면, 상기 밸브(70)를 폐쇄하여 상기 급수 베드(120)로 물이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조 저장부(50)에 설정된 양의 물이 저장되면, 상기 밸브(70)를 개방하여 상기 급수 베드(120)에 물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 unit may operate the pump 45 to allow water stored in the main storage unit 40 to flow into the auxiliary storage unit 50. Water supplied to the auxiliary storage unit 50 may be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bed 120. Since a preset amount of water is stored in the auxiliary storage unit 50, the controller can operate the pump 45 to store a preset amount of water in the auxiliary storage unit 50. The control unit may adjust the valve 70 depending on whether a set amount of water is stored in the auxiliary storage unit 50. If the set amount of water is not stored in the auxiliary storage unit 50, the control unit may close the valve 70 to prevent water from being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bed 120. When a set amount of water is stored in the auxiliary storage unit 50, the controller may open the valve 70 to supply water to the water supply bed 120.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센서(130)에서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가 상기 제2센서(131)로 입력되는 여부에 따라 상기 급수 베드(120)에 물 공급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S4). 상기 제1센서(130)에서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는 상기 급수 베드(120)에 저장되는 물에 의해 상기 제2센서(131)로 입력될 수 있다. 상기 제1센서(130)와 상기 제2센서(131)가 상기 급수 베드(120)에 저장되는 물에 의해 전기적 신호가 서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센서(130)에서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가 상기 제2센서(131)에 입력되면, 상기 급수 베드(120)에 설정된 양의 물이 저장된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상기 급수 베드(120)에 설정된 양의 물이 저장된 것으로 파악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펌프(45)의 작동을 중단할 수 있다(S5).The control unit can determine whether water supply to the water supply bed 120 has been completed depending on whether the electrical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sensor 130 is input to the second sensor 131 (S4). The electrical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sensor 130 may be input to the second sensor 131 by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supply bed 120. Electrical signals may be transmitted between the first sensor 130 and the second sensor 131 by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supply bed 120. When the electrical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sensor 130 is input to the second sensor 131, the control unit can determine that a set amount of water is stored in the water supply bed 120.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set amount of water is stored in the water supply bed 120, the control unit may stop the operation of the pump 45 (S5).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보조 저장부의 단면도이다.Figure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uxiliary storage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보조 저장부(50)는 몸체를 형성하는 저장부 몸체(5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 몸체(51)는 내부에 물이 저장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저장부 몸체(51)의 내부에는 상기 급수 베드(120)로 공급되는 물이 저장되는 제1공간(511)과, 상기 메인 저장부(40)로 회수되는 물이 저장되는 제2공간(512)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공간(511)과 상기 제2공간(512)은 구획벽(52)에 의해 서로 구획될 수 있다. 상기 구획벽(52)은 상기 보조 저장부(50)의 내부 공간을 상기 제1공간(511)과 상기 제2공간(512)으로 구획할 수 있다. 상기 구획벽(52)은 상기 저장부 몸체(51)의 내면 일부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the auxiliary storage unit 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torage body 51 that forms a body. The storage body 51 may have a space inside which water is stored. In detail, inside the storage body 51, there is a first space 511 where water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bed 120 is stored, and a second space where water recovered to the main storage unit 40 is stored. (512) may be included. The first space 511 and the second space 512 may be partitioned from each other by a partition wall 52 . The partition wall 52 may divide the internal space of the auxiliary storage unit 50 into the first space 511 and the second space 512. The partition wall 52 may be formed by protruding a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storage body 51.

상기 저장부 몸체(51)는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사면에는 제1경사면(514) 및 제2경사면(515)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경사면(514) 및 상기 제2경사면(515)은 상기 저장부 몸체(5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경사면(514)은 상기 제1공간(511)의 저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경사면(515)은 상기 제2공간(512)의 저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경사면(514) 및 상기 제2경사면(515)은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경사면(514)은 후술할 토출 파이프(58)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경사면(515)은 후술할 회수 파이프(57)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경사면(514)은 상기 제1공간(511)에 저장된 물이 상기 급수 베드(120)로 공급 시 상기 제1공간(511)에 잔수가 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경사면(515)은 상기 제2공간(512)에 저장된 물이 상기 메인 저장부(40)로 회수 시 상기 제2공간(512)에 잔수가 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storage body 51 may include an inclined surface. The inclined surface may include a first inclined surface 514 and a second inclined surface 515. The first inclined surface 514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515 may be disposed inside the storage body 51. The first inclined surface 514 may form the bottom of the first space 511. The second inclined surface 515 may form the bottom of the second space 512. The first inclined surface 514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515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The first inclined surface 514 may be connected to a discharge pipe 58,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second inclined surface 515 may be connected to a recovery pipe 57,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first slope 514 can prevent residual water from remaining in the first space 511 when the water stored in the first space 511 is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bed 120. The second slope 515 can prevent residual water from remaining in the second space 512 when the water stored in the second space 512 is returned to the main storage unit 40.

상기 구획벽(52)은 유동홀(52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동홀(521)은 다수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유동홀(521)은 상기 구획벽(52)의 일부가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동홀(521)은 상기 제1공간(511)과 상기 제2공간(512)을 연통할 수 있다. 상기 유동홀(521)은 상기 제1공간(511)에 저장되는 물이 상기 제2공간(512)으로 유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유동홀(521)은 상기 제1공간(511)으로 유입되는 물이 설정된 양 이상으로 공급될 경우에 초과 공급된 물을 상기 제2공간(512)으로 유동시킬 수 있다. 상기 유동홀(521)은 상기 제1공간(511)에서 오버 플로어되는 물을 상기 제2공간(512)으로 유동시키는 개구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유동홀(521)은 상기 제1공간(511)의 저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동홀(521)은 설정된 양의 물이 상기 제1공간(511)에 저장될 수 있도록 상기 제1공간(511)의 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동홀(521)에 의해 상기 제2공간(512)으로 상기 제1공간(511)의 물이 유동되면, 상기 제1공간(511)에는 설정된 양의 물이 저장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The partition wall 52 may include a flow hole 521. The flow holes 521 may be provided in multiple numbers. The flow hole 521 may be formed by opening a portion of the partition wall 52. The flow hole 521 may communicate with the first space 511 and the second space 512. The flow hole 521 may allow water stored in the first space 511 to flow into the second space 512. When the water flowing into the first space 511 exceeds a set amount, the flow hole 521 can cause the excess water to flow into the second space 512. The flow hole 521 can be understood as an opening that allows water overflowing from the first space 511 to flow into the second space 512. The flow hole 521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of the first space 511 at a certain height. The flow hole 521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upward from the bottom of the first space 511 so that a set amount of water can be stored in the first space 511. When the water in the first space 511 flows into the second space 512 through the flow hole 521, it can be understood that a set amount of water is stored in the first space 511.

상기 저장부 몸체(51)에는 다수의 파이프가 포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다수의 파이프에는 공급 파이프(56), 회수 파이프(57) 및 토출 파이프(58)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파이프는 상기 저장부 몸체(51)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다수의 파이프는 상기 저장부 몸체(51)에 연결될 수 있다. The storage body 51 may include a plurality of pipes. In this embodiment, the plurality of pipes may include a supply pipe 56, a return pipe 57, and a discharge pipe 58. The plurality of pipes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storage body 51. Alternatively, the plurality of pipes may be connected to the storage body 51.

상기 공급 파이프(56)는 상기 메인 저장부(40)로부터 상기 보조 저장부(50)로 공급되는 물이 통과할 수 있다. 상기 회수 파이프(57)는 상기 보조 저장부(50)에서 상기 메인 저장부(40)로 회수되는 물이 통과할 수 있다. 상기 토출 파이프(58)는 상기 보조 저장부(50)에 저장된 물이 상기 급수 베드(120)로 유동되는 통로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공급 파이프(56)는 상기 제1공간(511)과 연통될 수 있다. 상기 공급 파이프(56)에 의해 상기 제1공간(511)으로 상기 메인 저장부(40)의 물이 공급될 수 있다. 상기 회수 파이프(57)는 상기 제2공간(512)과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제2공간(512)에 저장되는 물은 상기 회수 파이프(57)에 의해 상기 메인 저장부(40)로 회수될 수 있다. 상기 토출 파이프(58)는 상기 제1공간(511)과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제1공간(511)에 저장되는 물은 상기 토출 파이프(58)에 의해 상기 급수 베드(120)로 공급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공급 파이프(56)는 상기 토출 파이프(58)의 상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토출 파이프(58)와 상기 회수 파이프(57)는 상기 저장부 몸체(51)의 하측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토출 파이프(58)는 상기 제1경사면(514)과 연결되며, 상기 회수 파이프(57)는 상기 제2경사면(515)과 연결될 수 있다. The supply pipe 56 allows water supplied from the main storage unit 40 to the auxiliary storage unit 50 to pass. The recovery pipe 57 allows water recovered from the auxiliary storage unit 50 to the main storage unit 40 to pass. The discharge pipe 58 can be understood as a passage through which water stored in the auxiliary storage unit 50 flows to the water supply bed 120. The supply pipe 56 may communicate with the first space 511. Water from the main storage unit 40 may be supplied to the first space 511 through the supply pipe 56. The recovery pipe 57 may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space 512. Water stored in the second space 512 can be recovered to the main storage unit 40 through the recovery pipe 57. The discharge pipe 58 may communicate with the first space 511. Water stored in the first space 511 may be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bed 120 through the discharge pipe 58. In this embodiment, the supply pipe 56 may be located above the discharge pipe 58. The discharge pipe 58 and the recovery pipe 57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storage body 51. The discharge pipe 58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inclined surface 514, and the recovery pipe 57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inclined surface 515.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공급 파이프(56)는 상기 저장부 몸체(51)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 몸체(51)의 측면에는 상기 공급 파이프(56)가 삽입되기 위한 파이프 관통홀(53)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파이프 관통홀(53)은 상기 공급 파이프(56)가 삽입되는 개구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공급 파이프(56)의 일부는 상기 파이프 관통홀(53)을 통과한 후 상기 제1공간(511)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파이프 관통홀(53)과 상기 공급 파이프(56)는 서로 밀봉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upply pipe 56 may be disposed on the side of the storage body 51. A pipe penetration hole 53 through which the supply pipe 56 is inserted may b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storage body 51. For example, the pipe through hole 53 can be understood as an opening into which the supply pipe 56 is inserted. A portion of the supply pipe 56 may be disposed inside the first space 511 after passing through the pipe through-hole 53. The pipe through hole 53 and the supply pipe 56 may be sealed to each other.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의 급수 베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Figure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ater supply bed of a plant cultivation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급수 베드(220)는 제1실시 예에 따른 급수 베드의 특정 부분이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제2실시 예에 따른 급수 베드(220)의 일부 구성은 제1실시 예에 따른 급수 베드의 구성과 동일할 수 있다. 그래서, 제2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의 설명에서 생략되는 부분은 제1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와 동일하며, 동일한 설명을 인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실시 예에 따른 급수 베드에서 변형된 제2실시 예에 따른 급수 베드(220)의 특정 부분에 대해 설명한다.The water supply bed 22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specific part of the water supply be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deformed. Accordingly, some configurations of the water supply bed 22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may be the same as those of the water supply bed 22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herefore, parts omitted from the description of the plant cultiv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plant cultiv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same description can be cited. Hereinafter, specific parts of the water supply bed 22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which is modified from the water supply be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급수 베드(220)는 몸체를 형성하는 베드 몸체(22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베드 몸체(221)는 일면이 개구되는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드 몸체(221)는 개구되는 일면의 일부가 함몰되어 바스켓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드 몸체(221)의 내부에는 다수의 재배 포트가 안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 the water supply bed 22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ed body 221 forming a body. In this embodiment, the bed body 221 may be formed as a polygon with one side open. The bed body 221 may be formed into a basket shape by having a portion of its open surface recessed. A plurality of cultivation pots may be seated inside the bed body 221.

상기 베드 몸체(221)는 유입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입부(222)는 상기 베드 몸체(221)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입부(222)는 보조 저장부(50)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유입되는 곳으로 이해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유입부(222)는 상기 베드 몸체(221)의 일면이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입부(222)는 상기 보조 저장부(50)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유동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유입부(222)는 후술할 급수 유로(225)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유입부(222)로 유입된 물은 상기 급수 유로(225)를 따라 유동할 수 있다.The bed body 221 may include an inlet 222. The inlet 222 may be disposed inside the bed body 221. The inlet 222 can be understood as a place where water supplied from the auxiliary storage unit 50 flows. In this embodiment, the inlet 222 may be formed by opening one side of the bed body 221. The inlet 222 may form a space through which water supplied from the auxiliary storage unit 50 flows. The inlet 222 may be connected to a water supply passage 225,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ater flowing into the inlet 222 may flow along the water supply passage 225.

상기 베드 몸체(221)는 수로(22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수로(223)는 상기 베드 몸체(221)의 내측 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로(223)는 상기 베드 몸체(221)의 저면이 하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로(223)에 의해 상기 급수 유로(225)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급수 유로(225)는 베드 몸체(221)의 저면이 하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The bed body 221 may include a water channel 223. In this embodiment, the water conduit 223 may be formed on the inner bottom of the bed body 221. The waterway 223 may be formed by the bottom of the bed body 221 being depressed downward. The water supply passage 225 may be formed by the water conduit 223. That is, the water supply passage 225 may be defined as a space formed by the bottom of the bed body 221 being depressed downward.

상기 급수 유로(225)는 다수의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유로는 상기 급수 유로(225)의 일부가 분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유로는 제1유로(226), 제2유로(227), 및 제3유로(228)로 분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유로(226), 상기 제2유로(227) 및 상기 제3유로(228)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급수 유로(225)로 공급되는 물은 상기 제1유로(226), 상기 제2유로(227) 및 상기 제3유로(228)로 유동할 수 있다.The water supply flow path 225 may include multiple flow paths. The plurality of flow paths may be formed by branches of a portion of the water supply flow path 225. The plurality of flow paths may be branched into a first flow path 226, a second flow path 227, and a third flow path 228. The first flow path 226, the second flow path 227, and the third flow path 228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ater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passage 225 may flow into the first passage 226, the second passage 227, and the third passage 228.

상기 수로(223)는 급수관 배치부(2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수관 배치부(224)는 상기 제1유로(226), 상기 제2유로(227), 및 상기 제3유로(228)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급수관 배치부(224)는 재배 포트(100)의 급수관(105)이 배치되는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급수관(105)은 상기 재배 포트(100)의 바닥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급수관 배치부(224)는 상기 급수관(105)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급수관 배치부(224)는 상기 수로(223)의 일부가 상기 급수관(105)에 대응되도록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로(223)의 일부는 상기 수로(223)로부터 상기 베드 몸체(221)의 양측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더 함몰될 수 있다. 상기 급수관(105)은 상기 급수관 배치부(224)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급수 유로(225)로 공급되는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The water conduit 223 may include a water supply pipe arrangement portion 224. The water supply pipe arrangement portion 224 may be formed in the first flow path 226, the second flow path 227, and the third flow path 228. The water supply pipe arrangement unit 224 may be defined as a space where the water supply pipe 105 of the cultivation pot 100 is placed. The water supply pipe 105 may be formed to protrude down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cultivation pot 100. The water supply pipe arrangement portion 224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water supply pipe 105. The water supply pipe arrangement portion 224 may be formed by recessing a portion of the water conduit 223 to correspond to the water supply pipe 105. For example, a portion of the waterway 223 may be further depressed in a direction from the waterway 223 toward both sides of the bed body 221. The water supply pipe 105 can receive water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passage 225 while placed in the water supply pipe arrangement unit 224.

상기 급수 베드(220)는 다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센서는 상기 급수 베드(220)의 급수 유로(225)에 공급되는 물의 공급량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센서는 제1센서(230), 제2센서(231) 및 제3센서(23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water supply bed 220 may include multiple sensors. The plurality of sensors can detect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passage 225 of the water supply bed 220. The plurality of sensors may include a first sensor 230, a second sensor 231, and a third sensor 232.

상기 제1센서(230)는 상기 유입부(222)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센서(230)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2센서(231)는 다수의 유로 중 하나 이상의 유로에 제공되고, 제공되는 유로의 일측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센서(231)는 상기 제1센서(230)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상기 제3센서(232)는 상기 다수의 유로 중 하나 이상의 유로에 제공되고, 상기 제1센서(230) 및 상기 제2센서(231)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센서(232)는 상기 제1센서(230)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즉, 상기 급수 유로(225)로 물이 공급되면, 공급되는 물은 상기 제1센서(230), 상기 제3센서(232) 및 상기 제2센서(231) 순으로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물이 다수의 센서에 접촉되면, 상기 물에 의해 상기 제1센서(230)에서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는 상기 제2센서(231) 및 상기 제3센서(232) 중 하나 이상으로 전달될 수 있다. The first sensor 23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inlet 222, and the first sensor 230 can output an electrical signal. The second sensor 231 may be provided in one or more of the plurality of flow paths and disposed at one end of the provided flow path. The second sensor 231 may receive an electrical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sensor 230. The third sensor 232 may be provided in one or more of the plurality of flow paths and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sensor 230 and the second sensor 231. The third sensor 232 can receive an electrical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sensor 230. That is, when water is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passage 225, the supplied water may contact the first sensor 230, the third sensor 232, and the second sensor 231 in that order. When the water comes into contact with a plurality of sensors, the electrical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sensor 230 by the water may be transmitted to one or more of the second sensor 231 and the third sensor 232. .

예를 들어, 상기 제1센서(230)에서 출력되는 전기적인 신호가 상기 제3센서(232)로 입력되면, 상기 급수 유로(225)로 공급되는 물이 상기 제3센서(232)가 위치하는 유로에 도달한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제3센서(232)가 위치하는 유로에 물이 도달한 것을 인식하고, 상기 제2센서(231)가 위치하는 유로의 일측 단부에 물이 도달되도록 물을 추가 공급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electrical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sensor 230 is input to the third sensor 232, the water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passage 225 is directed to the location where the third sensor 232 is located. You can recognize that you have reached the euro.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at water has reached the passage where the third sensor 232 is located, and to supply additional water so that the water reaches one end of the passage where the second sensor 231 is located.

즉, 상기 제1센서(230)에서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가 상기 제2센서(231) 및 상기 제3센서(232)에 입력되는 것을 감지하여, 상기 급수 유로(225)에 공급되는 물의 공급량을 파악할 수 있다. 다수의 센서를 통해 감지된 물의 공급량을 이용하여 상기 급수 베드(220)에 공급되는 물의 공급 여부를 조절할 수 있다. That is, the electric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sensor 230 is detected as being input to the second sensor 231 and the third sensor 232, and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passage 225 is determined. You can. The supply of water to the water supply bed 220 can be adjusted using the amount of water detected through a plurality of sensors.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의 구성도이다.Figure 1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plant cultivation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는 제1실시 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의 특정 부분이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제3실시 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의 일부 구성은 제1실시 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의 구성과 동일할 수 있다. 그래서, 제3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의 설명에서 생략되는 부분은 제1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와 동일하며, 동일한 설명을 인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실시 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에서 변형된 제3실시 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의 특정 부분에 대해 설명한다.The plant cultiv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specific part of the plant cultiv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modified. Accordingly, some configurations of the plant cultiv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may be the same as those of the plant cultiv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herefore, parts omitted from the description of the plant cultiv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plant cultiv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same description can be cited. Hereinafter, specific parts of the plant cultiv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which are modified from the plant cultiv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도 11을 참조하면, 식물 재배 장치(3)는 재배 포트(300), 급수 베드(320), 물 저장부(40), 펌프(45), 및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식물 재배 장치(3)는 상기 펌프(45)의 작동 시간을 감지하는 타이머(3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1, the plant cultivation device 3 may include a cultivation port 300, a water supply bed 320, a water storage unit 40, a pump 45, and a control unit. The plant cultivation device 3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timer 370 that detects the operating time of the pump 45.

상기 타이머(370)는 상기 펌프(45)의 작동 시간을 감지하고, 상기 펌프(45)의 작동 시간에 대한 시간 정보를 제어부로 전달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펌프(45)의 출수 유량 정보 및 상기 타이머(370)로부터 전달되는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펌프(45)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가 상기 펌프(45)의 출수 유량 정보 및 상기 타이머(370)의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급수 베드(320)로 공급되는 물의 공급량을 조절하기에, 보조 저장부는 미 제공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어부는 물 저장부(40)에 저장된 물을 상기 급수 베드(320)로 공급할 수 있다. The timer 370 may detect the operating time of the pump 45 and transmit time information about the operating time of the pump 45 to the control unit. In this embodiment,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pump 45 based on the water discharge flow rate information of the pump 45 and tim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timer 370. Since the control unit adjusts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bed 320 based on the water discharge flow rate information of the pump 45 and the time information of the timer 370, an auxiliary storage unit may not be provided. That is, the control unit can supply water stored in the water storage unit 40 to the water supply bed 320.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수 베드(320)로 설정된 양의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펌프(45)의 출수 유량 정보와 상기 타이머(370)의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급수 베드(320)로 공급되는 물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수 베드(320)에 구비되는 제1센서(130) 및 제2센서(131)에 의해서 물의 공급량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센서(130) 및 상기 제2센서(131)에 의해서 상기 급수 베드(320)에 물 공급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펌프(45)로부터 상기 급수 베드(320)로 물이 공급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supply a set amount of water to the water supply bed 320. The control unit may adjust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bed 320 based on the water discharge flow rate information of the pump 45 and the time information of the timer 370. The control unit can detect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by the first sensor 130 and the second sensor 131 provided in the water supply bed 320. Whe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supply of water to the water supply bed 320 is completed by the first sensor 130 and the second sensor 131, water is supplied from the pump 45 to the water supply bed 320. Supply may be limited.

상기 식물 재배 장치(3)는 유압계(3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압계(360)는 상기 펌프(45)로부터 상기 급수 베드(320)로 공급되는 물의 유압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유압계(360)는 상기 펌프(45)와 상기 급수 베드(320)를 연결하는 파이프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압계(360)는 상기 펌프(45)로부터 상기 급수 베드(320)로 공급되는 물의 유압을 감지하고 유압 정보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압계(360)로 감지되는 유압 정보와, 상기 펌프(45)의 출수 유량 정보와, 상기 타이머(370)의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펌프(45)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The plant cultivation device 3 may further include a hydraulic system 360. The hydraulic pressure gauge 360 can detect the hydraulic pressure of water supplied from the pump 45 to the water supply bed 320. The hydraulic pressure gauge 360 may be provided in a pipe connecting the pump 45 and the water supply bed 320. The hydraulic system 360 can detect the hydraulic pressure of water supplied from the pump 45 to the water supply bed 320 and transmit hydraulic pressure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pump 45 based on hydraulic information sensed by the hydraulic gauge 360, water discharge flow rate information of the pump 45, and time information of the timer 370. .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3)는 상기 펌프(45)로부터 상기 급수 베드(320)로 공급되는 물의 공급량을 제어할 수 있기에 설정된 양의 물을 재배 포트(300)로 공급할 수 있다.The plant cultivation device 3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ol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from the pump 45 to the water supply bed 320, so that a set amount of water can be supplied to the cultivation port 300. You can.

1: 식물 재배 장치 10: 몸체
25: 베드 지지부 30: 광원 모듈
35: 환기부 40: 메인 저장부
45: 펌프 50: 보조 저장부
100: 재배 포트 120: 급수 베드
1: plant cultivation device 10: body
25: bed support 30: light source module
35: ventilation unit 40: main storage unit
45: pump 50: auxiliary reservoir
100: cultivation pot 120: watering bed

Claims (19)

내부에 재배실이 구비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물이 저장되는 물 저장부;
상기 재배실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물 저장부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급수 유로가 형성되는 급수 베드;
상기 급수 베드에 안착되며, 상기 급수 유로에 저장된 물을 공급받는 재배 포트;
상기 물 저장부에 저장된 물을 상기 급수 유로로 유동시키는 펌프; 및
상기 급수 유로에 저장되는 물의 양에 따라 상기 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물 저장부는,
상기 물이 저장되는 메인 저장부; 및
상기 메인 저장부로부터 공급받은 물이 저장되고, 미리 설정된 양의 물을 상기 급수 베드로 공급하는 보조 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 저장부는,
상기 급수 베드로 공급되는 물이 저장되는 제1공간과 상기 메인 저장부로 회수되는 물이 저장되는 제2공간이 구비되는 저장부 몸체; 및
상기 제1공간과 상기 제2공간을 구획하는 구획벽;을 포함하며,
상기 보조 저장부는, 상기 구획벽을 통해 상기 제1공간으로 유입되는 물이 미리 설정된 양을 초과하는 경우 초과 공급된 물을 상기 제2공간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식물 재배 장치.
A body equipped with a cultivation room inside;
a water storage unit disposed inside the body and storing water;
a water supply bed disposed on one side of the cultivation room and having a water supply channel for receiving water from the water storage unit;
A cultivation pot that is seated on the water supply bed and receives water stored in the water supply channel;
a pump that flows water stored in the water storage unit into the water supply passage; and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pump according to the amount of water stored in the water supply passage,
The water storage unit,
a main storage unit where the water is stored; and
An auxiliary storage unit that stores water supplied from the main storage unit and supplies a preset amount of water to the water supply bed,
The auxiliary storage unit,
a storage unit body provided with a first space in which water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bed is stored and a second space in which water recovered to the main storage unit is stored; and
It includes a partition wall dividing the first space and the second space,
The auxiliary storage unit is configured to move excess supplied water to the second space when water flowing into the first space through the partition wall exceeds a preset amoun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베드는,
상기 급수 유로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물 저장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유입되는 유입부를 포함하는 식물 재배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water supply bed is,
A plant cultivation devic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water supply passage and including an inlet through which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torage unit flow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유로에는, 다수의 센서가 포함되고,
상기 다수의 센서에는,
상기 유입부의 일측에 배치되고, 신호를 출력하는 제1센서; 및
상기 유입부로부터 멀어지는 급수 유로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센서에서 출력된 신호를 입력받는 제2센서가 포함되는 식물 재배 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water supply passage includes a plurality of sensors,
In the plurality of sensors,
A first sensor disposed on one side of the inlet and outputting a signal; and
A plant cultivation device that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water supply passage away from the inlet and includes a second sensor that receives a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senso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센서 및 상기 제2센서가 상기 유입부 및 상기 급수 유로에 공급되는 물에 의해 접촉되면, 상기 제1센서의 신호가 상기 제2센서로 입력되는 식물 재배 장치.
According to claim 3,
When the first sensor and the second sensor are contacted by water supplied to the inlet and the water supply passage, a signal from the first sensor is input to the second sensor.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센서의 신호가 상기 제2센서로 입력되면, 상기 펌프의 작동을 중단하고,
상기 제1센서의 신호가 상기 제2센서로 미 입력되면, 상기 펌프의 작동을 유지하는 식물 재배 장치.
According to claim 4,
The control unit stops operating the pump when a signal from the first sensor is input to the second sensor,
A plant cultivation device that maintains operation of the pump when a signal from the first sensor is not input to the second senso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센서는, 상기 제1센서와 상기 제2센서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3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센서는, 상기 제1센서에서 출력된 신호를 상기 제2센서보다 먼저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 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plurality of sensors further include a third sensor disposed between the first sensor and the second sensor,
The third sensor is a plant cultiv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sensor is input before the second sens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 포트는, 상기 재배 포트의 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되는 급수관을 포함하는 식물 재배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ultivation pot is a plant cultivation device including a water supply pipe extending downward from the bottom of the cultivation pot and having a hollow interior.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관은,
상기 급수관의 일측 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급수관의 일부가 개구되는 하나 이상의 함몰부; 및
상기 급수관의 일측 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급수관의 중공을 커버하는 다공부를 포함하는 식물 재배 장치.
According to claim 7,
The water supply pipe is
One or more depressions disposed at one end of the water supply pipe and opening a portion of the water supply pipe; and
A plant cultivation device comprising a porous portion disposed at one end of the water supply pipe and covering a hollow portion of the water supply pip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 포트는, 상기 재배 포트의 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급수관보다 하방으로 더 연장되는 다수의 받침대를 포함하는 식물 재배 장치.
According to claim 7,
The plant cultivation device includes a plurality of supports in which the cultivation pot extends downward from the bottom of the cultivation pot and extends further downward than the water supply pip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 포트에는,
상기 급수관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급수 유로에 저장된 물을 흡입하는 흡입 부재;
상기 흡입 부재의 상방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 부재로부터 물을 전달받고, 식물 성장에 요구되는 양분이 저장되는 배지; 및
상기 배지의 상방에 배치되고, 식물이 놓이는 종자 레이어가 포함되는 식물 재배 장치.
According to claim 7,
In the cultivation pot,
a suction member disposed inside the water supply pipe and sucking water stored in the water supply passage;
a medium disposed above the suction member, receiving water from the suction member, and storing nutrients required for plant growth; and
A plant cultivation device disposed above the medium and including a seed layer on which plants are placed.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베드는, 상기 급수 유로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급수 베드의 내측 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거나, 상기 급수 베드의 내측 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함몰되는 수로를 포함하는 식물 재배 장치.
According to claim 7,
The water supply bed is a plant cultivation device including a water channel that protrudes upward from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water supply bed or is recessed downward from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water supply bed to form the water supply passage.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로에는, 상기 급수관의 일부가 삽입되는 급수관 배치부가 포함되는 식물 재배 장치.
According to claim 11,
A plant cultivation device including a water supply pipe arrangement part into which a part of the water supply pipe is inserted into the water pip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저장부는,
상기 구획벽에 형성되고, 상기 제1공간의 물이 상기 제2공간으로 유동되도록 하는 유동홀을 더 포함하는 식물 재배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auxiliary storage unit,
The plant cultivation device further includes a flow hole formed in the partition wall and allowing water in the first space to flow into the second space.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저장부는,
상기 메인 저장부에 저장된 물을 상기 제1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공급 파이프;
상기 제2공간에 존재하는 물을 상기 메인 저장부로 회수되도록 하는 회수 파이프; 및
상기 제1공간에 존재하는 물을 상기 급수 베드로 공급되도록 하는 토출 파이프를 포함하는 식물 재배 장치.
According to claim 14,
The auxiliary storage unit,
a supply pipe allowing water stored in the main storage unit to flow into the first space;
a recovery pipe that recovers water existing in the second space to the main storage unit; and
A plant cultivation device including a discharge pipe that supplies water existing in the first space to the water supply bed.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파이프에는, 다수의 밸브가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수 유로에 저장되는 물의 양에 따라 상기 밸브의 개도를 조절하는 식물 재배 장치.
According to claim 15,
The discharge pip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valves,
The control unit is a plant cultivation device that adjusts the opening degree of the valve according to the amount of water stored in the water supply passag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의 작동 시간을 측정하는 타이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이머에서 측정되는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펌프의 작동 시간을 조절하는 식물 재배 장치.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timer for measuring the operation time of the pump,
The control unit is a plant cultivation device that adjusts the operating time of the pump based on tim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tim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 저장부로부터 상기 급수 베드로 유동되는 물의 압력을 측정하는 유압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압계에서 측정되는 유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펌프의 작동 시간을 조절하는 식물 재배 장치.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hydraulic gauge that measures the pressure of water flowing from the water storage unit to the water supply bed,
The control unit is a plant cultivation device that adjusts the operating time of the pump based on hydraulic information measured by the hydraulic system.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홀은, 상기 제1공간으로 유입되는 물이 미리 설정된 양을 초과하는 경우 초과 공급된 물을 상기 제2공간으로 유동시키도록 상기 제1공간의 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식물 재배 장치.
According to claim 14,
The flow hole is a plant disposed in a position spaced upward from the bottom of the first space to flow the excess water into the second space when the water flowing into the first space exceeds a preset amount. Cultivation device.
KR1020180142534A 2018-11-19 2018-11-19 Plant cultivating apparatus KR10265888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2534A KR102658885B1 (en) 2018-11-19 2018-11-19 Plant cultiva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2534A KR102658885B1 (en) 2018-11-19 2018-11-19 Plant cultivat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8040A KR20200058040A (en) 2020-05-27
KR102658885B1 true KR102658885B1 (en) 2024-04-19

Family

ID=70910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2534A KR102658885B1 (en) 2018-11-19 2018-11-19 Plant cultivat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888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33859B2 (en) * 2019-11-13 2022-12-27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Hydration system for an indoor gardening appliance
KR102589645B1 (en) 2020-07-13 2023-10-17 엘지전자 주식회사 Plants cultivation apparatus
KR102589627B1 (en) * 2020-07-13 2023-10-17 엘지전자 주식회사 Plants cultivation apparatus
KR102554767B1 (en) * 2020-07-13 2023-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Seed package for plant cultivating apparatus and plant cultivating apparatus comprising sam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2644B1 (en) * 2012-04-10 2013-02-13 주식회사 식물공장 Bed for growing hydroponic vegetable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462Y1 (en) * 2006-11-21 2010-04-13 (주) 파루 Bottom Irrigation System Raising Seedlings Bed
KR101191318B1 (en) * 2009-07-13 2012-10-16 이창현 flowerpot for orchid
KR20130134499A (en) * 2012-05-31 2013-12-10 (주)우성하이텍 Nutrient solution auto supply control system
KR101582388B1 (en) * 2013-12-19 2016-01-07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lant Cultivation Equipmen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2644B1 (en) * 2012-04-10 2013-02-13 주식회사 식물공장 Bed for growing hydroponic vegetab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8040A (en) 2020-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58885B1 (en) Plant cultivating apparatus
KR102650746B1 (en) Plant cultivating apparatus
EP1543718B1 (en) System for culturing seedling
US9357715B2 (en) Vertical planter
CN203788814U (en) Multilayer shelf type plant cultivating devices and plant cultivating system
KR101348486B1 (en) Plants cultivation device and Plants cultivation system having the same
JP4893502B2 (en) Humidified air flow supply system to each stage of the growth shelf of the multi-stage plant growing device
JP5218777B2 (en) Rack for plant cultivation
KR102092357B1 (en) Automatic plant cultivation apparatus
KR102079443B1 (en) Irrigation management appratus using pressure difference
KR101510463B1 (en) Multi layer flowerpot
KR102308623B1 (en) Hydroponic cultivation bed and method of hydroponic cultivation using root growth information
KR102480385B1 (en) Small Hydroponic cultivation system with closed structure
KR101702445B1 (en) Water culture apparatus
KR101419366B1 (en) Plant hydroponic device
KR102421134B1 (en) Hydroponics device combined fishbowl
KR20150094277A (en) Cultivating device
KR20170047599A (en) Plant growing apparatus for being quipped onto wall including longitudinally installed LED modules and plant growing tray
KR102109776B1 (en) Water supply device and flower pot with the same
KR20170010696A (en) Plant cultivation apparatus using the led lamp
KR20210047706A (en) plants cultivation apparatus
EP4351317A1 (en) Vertical cultivation system for growing plants and method for growing of plants
KR20210017488A (en) A Cultivating System
JP2011055737A (en) Container for soil cultivation, and soil cultivation apparatus
JP2000224932A (en) Device for water culture of leaf vegetab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