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8694B1 - 다기능 세족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다기능 세족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8694B1
KR102658694B1 KR1020230075079A KR20230075079A KR102658694B1 KR 102658694 B1 KR102658694 B1 KR 102658694B1 KR 1020230075079 A KR1020230075079 A KR 1020230075079A KR 20230075079 A KR20230075079 A KR 20230075079A KR 102658694 B1 KR102658694 B1 KR 1026586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oot
washing
feet
b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5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무성
김국수
Original Assignee
김무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무성 filed Critical 김무성
Priority to KR1020230075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86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8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86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02Baths
    • A47K3/06Collapsible baths, e.g. inflatable; Movable baths
    • A47K3/062Collapsible baths, e.g. inflatable; Movable bath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e.g. for washing the feet, for bathing in sitting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10Wave-producers or the like, e.g. with devices for admitting gas, e.g. air, in the bath-wa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47K7/02Bathing sponges, brushes, gloves, or similar cleaning or rubbing implements
    • A47K7/026Bathing sponges, brushes, gloves, or similar cleaning or rubbing implements for cleaning the feet or to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5/00Bath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5/006Bath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for the f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A61L2/183Ozone dissolved in a liqu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8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with domestic apparatus
    • F24F2221/183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with domestic apparatus combined with a hot-water boil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등산로나 산책로에 설치되어 발을 세척하기 위한 세족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세족장치는 발을 수용하여 세척하는 세족욕조, 상기 세족욕조에 물을 급수하는 급수부, 상기 급수부를 통해 상기 세족욕조로 공급된 물을 배수하는 배수부, 및 상기 세족욕조에 흐르는 물살을 형성하여 상기 세족욕조에 수용된 발을 마사지하도록 세족욕조의 내부에서 물을 분사하는 복수 개의 분사노즐을 포함하는 마사지건조부를 포함하며, 상기 세족욕조에서 발이 안착되는 바닥면은 상기 세족욕조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마치 흐르는 냇물과 같이 상기 급수부에서 급수되는 물이 상기 경사면을 타고 상기 배수부로 배수되는 형태로 발을 세척한다. 따라서, 발을 세척, 마사지 및 건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기능 세족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Multifunctional foot washing device and its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등산로나 산책로에 설치되어 발을 세척하기 위한 세족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의 삶에 지친 정신과 육체를 극복하고 건강을 지키거나 향상을 위해 많은 사람들이 공원, 둘레길, 산을 찾아서, 맨발 걷기, 트래킹 또는 등산 등의 보행운동을 한다.
보행운동을 할 때에는 발에 하중이 가해지면서 발에 쉽게 피로가 축적되고 발에 땀이 차면서 발에 염증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기 때문에 등산로, 산책로 등에는 발의 피로도를 풀거나, 발을 씻기 위한 시설을 필요로 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022-0116902호(2022.8.23.공고)에 "다목적 퍼걸러"가 개시된 바가 있다.
상기한 종래의 다목적 퍼걸러는 그늘공간을 형성하는 퍼걸러 본체에 평상에 앉아 냉수로 족욕할 수 있는 냉수 족욕기를 설치하여 발을 세척하거나, 발의 피로도를 낮출 수 있었다.
하지만, 종래의 다목적 퍼걸러는 발을 담가 족욕만 할 수 있을 뿐, 발을 세척하거나, 마사지를 수행할 수 없어 발의 피로를 해소하기에는 다소 역부족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다목적 퍼걸러는 족욕 후에 발을 별도로 닦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하며, 여러 사람이 함께 발을 담가 족욕함으로써, 세균이 쉽게 번식하여 세균감염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다목적 퍼걸러는 온수를 공급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족욕을 위해 대량의 물을 사용함으로써, 물의 낭비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세족욕조에 물을 공급함과 동시에 바로 배수하고, 바닥면을 경사면으로 형성하여 냇물과 같이 물이 자연적으로 흐르면서 발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을 세척하는 물을 배수함으로써, 세족욕조도 함께 세척하여 청결함을 유지할 수 있는 다기능 세족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노즐배관을 통해 세족욕조에 채워진 물에 공기를 분사함으로써, 버블을 형성하여 버블에 의한 발을 마사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사노즐을 통해 물을 분사하고, 순환구를 통해 강제적으로 물을 순환시킴으로써, 물살에 의해 발을 마사지하여 마사지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다기능 세족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세족욕조에 담긴 물을 순환시키면서 물살에 의한 마사지를 수행하기 때문에 물의 낭비를 방지하고, 급수탱크에 우수받이부를 통해 우수를 받아 저장함으로써, 급수시설의 물의 사용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다기능 세족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급수부에 살균처리기가 설치되어 세족욕조로 공급되는 물을 살균하여 세균의 번식이나, 세균감염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일러가 설치되어 물의 온도차이를 최소화하여 공급함으로써, 물의 온도차로 인한 불쾌감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다기능 세족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배수구를 통해 배수되는 물을 처리수탱크에 저장하여 청소 또는 화장실의 처리수로 사용함으로써, 물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다기능 세족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적외선램프와 자외선램프에 의해 발에 적외선과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적외선에 의한 발의 피로도를 낮출 수 있으며, 자외선에 의한 무좀과 같은 세균증식을 억제할 수 있는 다기능 세족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버블을 형성하기 위한 에어펌프를 통해 공기를 분사함으로써, 발을 용이하게 건조하여 발을 닦아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는 다기능 세족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세족장치는 발을 수용하여 세척하는 세족욕조, 상기 세족욕조에 물을 급수하는 급수부, 상기 급수부를 통해 상기 세족욕조로 공급된 물을 배수하는 배수부, 및 상기 세족욕조에 흐르는 물살을 형성하여 상기 세족욕조에 수용된 발을 마사지하도록 세족욕조의 내부에서 물을 분사하는 복수 개의 분사노즐을 포함하는 마사지건조부를 포함하며, 상기 세족욕조에서 발이 안착되는 바닥면은 상기 세족욕조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마치 흐르는 냇물과 같이 상기 급수부에서 급수되는 물이 상기 경사면을 타고 상기 배수부로 배수되는 형태로 발을 세척한다.
상기 급수부는 상기 물을 받아 저장하는 급수탱크, 및 상기 급수탱크에서 받은 물을 미리 설정된 온도로 가열하여 공급하는 보일러를 포함하고, 상기 급수부는 상기 급수탱크에 저장된 냉수를 상기 세족욕조로 공급하거나, 상기 보일러를 통해 가열된 온수를 선택하여 상기 세족욕조로 제공하는 급수배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수부는 상기 급수배관에 연결되어 상기 세족욕조로 공급되는 물을 살균하기 위한 살균처리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살균처리기는 상기 급수배관으로 살균을 위한 살균물질인 오존을 상기 급수배관으로 공급하여 오존이 함유된 오존수를 상기 세족욕조로 공급하는 형태로 상기 세족욕조와 상기 발을 살균할 수 있다.
상기 급수탱크는 빗물을 받아 저장하도록 우수를 받아 공급하는 우수받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사지건조부는 상기 복수 개의 분사노즐을 연결하여 물살을 형성하기 위해 분사할 물을 공급하는 노즐배관, 및 상기 노즐배관에 설치되어 상기 분사노즐에서 높은 압력으로 물을 분사하도록 물의 압력을 증압하여 토출하는 분사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사지건조부는 상기 세족욕조로 공급된 물을 순환시켜 물살을 형성하도록 상기 분사펌프의 순환구에 연결되어 상기 세족욕조에 수용된 물을 상기 분사펌프를 통해 흡입하는 순환배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사지건조부는 상기 복수 개의 분사노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사노즐과 상기 순환배관에 의해 연결되어 물을 흡입하는 순환구가 상기 세족욕조에서 서로 마주하는 측벽에 배치되어 상기 분사노즐에서 분사되는 물이 상기 순환구로 흡입되는 형태로 발마사지를 위한 물살을 형성하며 마사지할 수 있다.
상기 마사지건조부는 상기 분사노즐에서 분사되는 물에 마사지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버블을 형성하거나, 발의 건조를 위한 공기를 공급하도록 상기 노즐배관으로 선택하여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사지건조부는 상기 에어펌프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선택적으로 가열하여 상기 분사노즐로 공급하는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족욕조는 상기 세족욕조에 수용되는 발에 적외선이 작용하도록 상기 세족욕조의 내부로 적외선을 조사하는 적외선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부는 상기 세족욕조에 형성된 배수구로 배수되는 물을 이송하는 배수관, 및 상기 배수관에 저장된 물을 모아 처리수로 사용하기 위해 저장하는 처리수탱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족욕조는 상기 세족욕조의 바닥에서 발의 일부를 바닥에서 이격시켜 상기 세족욕조에서 발생하는 물살에 의해 세척하도록 발의 상기 세족욕조의 바닥에서 돌출되어 발의 일부가 안착되는 발안착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족욕조는 상기 세족욕조로 공급되는 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세족욕조로 공급된 물의 량을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세족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세족욕조에 급수하면서 물을 배수하는 형태로 상기 세족욕조에 물살을 형성하며 발을 세척하는 단계, 상기 발을 세척한 후, 상기 세족욕조에 상기 급수부를 통해 급수한 상태에서 상기 마사지건조부를 통해 버블과 물살에 의해 발을 마사지하는 단계, 및 상기 발을 마사지한 후, 상기 마사지건조부를 통해 발에 공기를 분사하여 발을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발을 마사지하는 단계는 상기 세족욕조로 공기를 분사하여 버블에 의해 마사지하는 단계, 및 상기 세족욕조에서 물살을 순환시켜 물살에 의해 마사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세족욕조의 바닥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급수구와 배수구가 경사면의 양단에 위치하도록 구성하여 급수구로 급수되는 물이 경사면을 따라 배수구로 배수되는 형태로 마치 냇물과 같이 물을 흐르도록 함으로써, 발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으며, 자연적인 느낌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세족욕조에 물이 채워진 상태에서 마사지건조부에서 공기를 분사하여 버블에 의해 발을 마사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사노즐을 통해 물을 분사하고, 순환구를 통해 흡입하는 형태로 물을 순환시키면서 물살에 의해 발을 마사지하여 마사지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분사노즐에서 분사되는 물을 순환구를 통해 흡입하여 다시 분사함으로써, 물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급수부에 살균처리기가 설치되어 살균한 물을 공급함으로써, 세균에 따른 감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청결함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급수부에 보일러가 설치되어 세족욕조로 공급되는 물의 온도를 변화시켜 물의 온도차로 인한 불쾌감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적외선램프와 자외선램프가 설치되어 적외선에 의한 발의 피로도를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외선에 의해 발의 세균을 살균할 수 있다.
또한, 배수구에서 배수되는 물을 처리수탱크로 저장하여 청소 또는 화장실의 처리수로 사용함으로써, 물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우수받이부를 통해 급수탱크에 우수를 저장하여 급수시설의 물의 사용량을 감소시켜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에어펌프를 통해 버블을 발생할 뿐만 아니라, 분사노즐을 통해 공기를 분사하는 형태로 발을 건조시켜 발에서 물을 닦아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세족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세족장치의 세족욕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세족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 구성도로서, 발을 세척할 때의 작동상태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세족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 구성도로서, 버블마사지를 수행할 때의 작동상태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세족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 구성도로서, 물살에 의해 마사지를 수행할 때의 작동상태를 나타낸다.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세족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 구성도로서, 발을 건조할 때의 작동상태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세족장치의 전체적인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세족장치의 제어방법에서 발마사지 단계에서부터 건조단계까지의 세부적인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세족장치(100)는 세족욕조(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세족욕조(110)는 상부를 통해 발을 넣어 수용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형태의 박스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세족욕조(110)에는 발의 세척 또는 마사지를 위한 물이 공급되거나, 발을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공기가 분사될 수 있다.
세족욕조(110)의 바닥면(111)은 수용되는 발의 발가락이 위치하는 전방에서 발뒤꿈치가 위치하는 후방으로 갈수록 점점 높이가 낮아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세족욕조(110)의 가장 낮은 바닥면(111)인 경사면이 위치하는 부분에는 배수를 위한 배수구(114)가 형성되며, 경사면의 높은 위치에 위치하는 세족욕조(110)의 측벽에는 세족욕조(110)의 내부로 물을 급수하기 위한 급수구(113)가 형성된다.
또한, 세족욕조(110)에서 급수구(113)가 위치하는 측벽에는 분사노즐(141b)이 설치되는 노즐공(115)이 형성되며, 노즐공(115)은 세족욕조(110)에서 급수구(113)가 위치하는 측벽 및 다른 측벽, 그리고 바닥에도 형성될 수 있다.
세족욕조(110)에서 바닥면(111)이 낮은 단부에 위치하는 측벽에는 급수된 물이 흡입되는 순환구(117)가 형성될 수 있다.
세족욕조(110)에는 발을 바닥면(111)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바닥면(111)에서 발의 일부가 상부로 들어 올려지도록 바닥면(111)에서 상부로 돌출되는 발안착돌출부(111a)가 형성될 수 있다.
발안착돌출부(111a)에도 분사노즐(141b)에 의해 물을 분사할 수 있도록 노즐공(115)이 복수 개가 관통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된 세족욕조(110)는 발가락이 위치하는 전방에 위치한 급수구(113)를 통해 급수되는 물이 바닥면(111)의 경사를 타고 발뒤꿈치 부분으로 흘러 마치, 냇물과 같이 세족욕조(110)에 이동하는 물살을 형성하여 발을 세척과 동시에 세족욕조(110)를 청소할 수 있으며, 노즐공(115)에 설치되는 분사노즐(141b)에서 물을 분사함으로써, 물의 분사압력에 의해 발을 마사지할 수 있다.
이때, 발가락은 발안착돌출부(111a)에 의해 바닥면(111)에서 이격되기 때문에 발바닥과 세족욕조(110)의 바닥면(111)의 사이로 물이 지나면서 발바닥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다.
세족욕조(110)에는 수위감지센서(119)가 설치되어 미리 설정된 수위까지 세족욕조(110)에 급수되면 세족욕조(110)로의 급수를 차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세족장치(100)는 급수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급수부(120)는 세족욕조(110)의 내부로 세족을 위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급수부(120)는 급수탱크(123)와 세족욕조(110)의 급수부(120)를 급수배관(121)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급수탱크(123)에 저장된 물을 세족욕조(110)로 공급할 수 있다.
급수부(120)는 세족을 위한 물을 공급하거나, 마사지를 위한 물을 세족욕조(110)로 공급할 수 있으며, 급수부(120)는 급수배관(121)에 급수펌프(122)를 설치하여 급수탱크(123)에 저장된 물을 급수펌프(122)에 의해 강제적으로 흡입하여 세족욕조(110)로 공급할 수 있다.
급수부(120)는 급수밸브(121a)를 포함하여 급수배관(121)으로 공급되는 물을 급수구(113)로 공급 및 차단할 수 있다.
한편, 급수탱크(123)에는 수도와 같은 급수설비(123b)로부터 물이 공급되거나, 산책로 또는 등산로에서 흐르는 냇물이 공급되어 저장될 수 있다.
물론, 급수탱크(123)는 우수받이부(123a)를 통해 우수를 받아 저장할 수도 있으며, 우수받이부(123a)에서 모인 물이 부족할 경우, 급수설비(123b) 또는 냇물에서 추가적으로 공급받아 저장할 수도 있다.
우수받이부(123a)는 예를 들어, 세족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파고라 형태 또는 건축물의 형태의 세족장(200)의 지붕으로부터 우수를 받는 우수받이와 급수탱크(123)를 우수배관에 의해 서로 연결하여 우수받이에 받아지는 우수를 우수배관을 통해 급수탱크(123)로 공급할 수도 있으며, 우수배관에는 급수탱크(123)로 우수를 공급하거나, 차단하기 위한 우수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급수탱크(123)에 일정 수위로 물이 저장된 경우, 우수배관을 통해 급수탱크(123)로 우수를 우수밸브에 의해 차단하고, 우수받이에서 공급되는 우수를 우수배관을 통해 외부로 배수하여 버릴 수도 있다.
급수탱크(123)에는 급수탱크(123)에 저장된 물에 포함된 입자상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FT)가 설치되어 이물질을 거른 물이 급수배관(121)을 통해 세족욕조(110)로 공급될 수 있다.
급수부(120)는 보일러(125)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보일러(125)는 급수탱크(123)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여 온수를 급수배관(121)으로 공급할 수 있다.
보일러(125)는 급수탱크(123)에 저장된 물을 급수배관(121)에서 분기하여 공급받고 공급받은 물을 가열하여 다시 급수배관(121)으로 공급하도록 급수배관(121)에 병렬적으로 연결되어 급수배관(121)으로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급수탱크(123)에서 급수배관(121)으로 직접적으로 공급하는 물은 보일러(125)에서 공급되는 온수보다는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기 때문에 냉수를 급수배관(121)으로 공급할 수 있다.
즉, 급수배관(121)에서 급수탱크(123)에서 바로 세족욕조(110)로 공급되면 냉수가 공급되고, 보일러(125)를 거쳐 세족욕조(110)로 공급되면 온수를 공급할 수 있다.
보일러(125)는 연료를 연소하거나, 전기에 의해 물을 가열하는 보일러(125)일 수 있으며, 보일러(125)에는 급수배관(121)으로 온수를 공급 또는 차단하는 온수밸브(125a)가 설치될 수 있다.
보일러(125)에서 제공되는 온수는 근육을 이완시켜 발의 피로회복에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리고, 보일러(125)에는 한약재공급부(125b)가 설치되어 보일러(125)에서 가열된 물에 한약재의 성분을 포함시켜 세족욕조(110)로 제공하여 한약재의 향과 함께 한약재의 성분에 의해 피로회복 또는 발의 미용에 도움을 주거나, 혈행개선을 통해 발의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다.
한약재공급부(125b)는 한약재를 농축한 농축액을 보일러(125)에서 가열된 물에 미리 설정된 비율로 혼합하거나, 보일러(125)에서 가열된 물이 약재가 담긴 약재통을 거쳐 급수배관(121)으로 공급되는 형태로 한약재의 성분을 물에 포함하여 세족욕조(110)로 공급할 수 있다.
한약재는 예컨대, 솔잎, 국화잎, 녹차 또는 쑥 등의 다양한 형태의 한약재일 수 있으며, 한약재는 여러가지의 한약재공급부(125b)에는 여러가지의 한약재가 혼합되어 공급될 수도 있다.
급수배관(121)에는 온도센서가 설치되어 세족욕조(110)에서 요구되는 온도에 따라 급수탱크(123)에 저장된 냉수와 보일러(125)에서 가열된 온수를 동시에 공급하여 냉수와 온수를 혼합하는 형태로 세족욕조(110)로 공급되는 물의 온도를 미리 설정된 온도로 조절한 뒤에 세족욕조(110)로 공급할 수도 있다.
급수부(120)는 살균처리기(127)를 포함할 수 있다.
살균처리기(127)는 급수배관(121)을 통해 세족욕조(110)로 공급되는 물을 살균처리할 수 있다.
살균처리기(127)는 급수배관(121)에 병렬적으로 연결되어 급수탱크(123) 또는 보일러(125)를 거친 물이 살균처리기(127)를 지나면서 살균된 후 세족욕조(110)로 공급하거나, 살균처리기(127)에서 살균물질을 급수배관(121)을 통해 공급하여 세족욕조(110)로 공급하는 물이 살균수가 되면서, 세족욕조(110) 또는 발을 살균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서 살균처리기(127)는 오존발생기로 구현되어 급수배관(121)에 오존을 공급하는 형태로 세족욕조(110)로 공급되는 물이 오존이 함유된 오존수가 됨으로써, 세족욕조(110) 뿐만 아니라, 세족욕조(110)에 수용되는 발을 살균할 수 있다.
여기서, 살균물질이 오존일 경우, 염소보다 살균기능이 20배가 높으면서, 시간이 지나면서 소멸되어 친환경적이어서 환경오염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부의 염증을 완화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피부미용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살균처리기(127)에서 급수배관(121)으로 공급하는 살균물질은 염소 또는 차아염소산일 수도 있다.
한편, 살균처리기(127)는 살균물질을 급수배관(121)으로 공급할 때에는 오염도에 따라 미리 설정된 농도의 살균물질을 포함한 물이 세족욕조(110)로 공급될 수 있도록 급수배관(121)으로 공급되는 살균물질의 량을 조절하여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살균처리기(127)는 하기에 설명할 처리수탱크(133)로 살균물질을 공급하는 처리배관(미도시)을 포함하여, 처리배관에 의해 처리수탱크(133)로 살균물질을 공급함으로써, 처리수탱크(133)에 저장된 처리수를 살균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세족장치(100)는 배수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배수부(130)는 세족욕조(110)로 공급된 물을 세족욕조(110)의 외부로 배수할 수 있다.
배수부(130)는 세족욕조(110)의 배수구(114)에 배수배관(131)이 연결되고 배수배관(131)에는 선택적으로 배수하거나 배수를 차단하기 위한 배수밸브(131a)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배수부(130)는 배수배관(131)으로 배수되는 물을 이용하기 위해 처리수탱크(133)와 연결되어 배수되는 물을 처리수탱크(133)로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처리수탱크(133)는 세족한 물을 임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탱크로써, 처리수탱크(133)에 저장된 물은 세족장(200)의 주변을 청소하기 위한 물로 사용되거나, 화장실의 용변을 처리할 때 사용하는 화장실의 처리수로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 도 2,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세족장치(100)는 마사지건조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마사지건조부(140)는 세족욕조(110) 내에 공급된 물에서 강제적으로 발을 향해 물을 분사하여 발을 마사지할 수 있으며, 공기를 분사하여 발을 건조시킬 수 있다.
마사지건조부(140)는 세족욕조(110)의 분사공에 물을 강제적으로 분사하는 분사노즐(141b)이 설치되고, 분사노즐(141b)은 분사펌프(143)에 의해 강제적으로 물을 가압하여 분사노즐(141b)을 통해 분사시킬 수 있다.
여기서, 분사노즐(141b)은 세족욕조(110)의 바닥 또는 측벽에만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발안착돌출부(111a)에도 설치되어 발안착돌출부(111a)에 안착된 발가락의 사이로 물을 분사하여 발가락 사이를 세척 또는 마사지를 할 수도 있다.
분사노즐(141b)과 분사펌프(143)는 노즐배관(141)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분사펌프(143)에서 가압된 물을 분사노즐(141b)로 제공할 수 있다.
분사노즐(141b)은 세족욕조(110)에 물이 채워진 상태에서 더 높은 압력으로 물을 분사하기 때문에 물의 분사압력으로 발을 마사지할 수 있다.
분사노즐(141b)은 세족욕조(110)에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으며, 분사노즐(141b)은 세족욕조(110)에서 발이 안착되는 바닥면(111)과 발가락과 마주하는 전방에서 위치하여 발을 향해 물을 분사하는 형태로 마사지를 수행할 수 있다.
물론, 발의 양측면과 마주하는 세족욕조(110)의 측벽에도 분사노즐(141b)이 설치되어 발의 둘레에서 물을 분사하는 형태로 발을 마사지할 수 있다.
노즐배관(141)에는 분사펌프(143)를 통해 분사노즐(141b)로 물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노즐밸브(141a)가 설치될 수 있다.
분사펌프(143)는 급수탱크(123)에 저장된 물을 흡입하여 압축한 뒤 분사노즐(141b)로 제공하거나, 세족욕조(110)에 담긴 물을 재순환시키는 형태로 물을 분사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물을 절약하기 위해 분사펌프(143)가 세족욕조(110)에 담긴 물을 재순환시키는 형태로 구성하였으며, 세족욕조(110)에서 물을 재순환하여 공급함으로써, 세족욕조(110)에서 마치 냇물과 같은 물살을 형성하여 냇물에서 마사지를 받는 듯한 느낌을 줄 수 있다.
마사지건조부(140)는 순환배관(147)을 포함하여 세족욕조(110)로 공급된 물을 순환시켜 분사노즐(141b)로 분사하기 위해 세족욕조(110)의 순환구(117)와 분사펌프(143)에서 물을 흡입하는 흡입구를 서로 연결하는 형태로 분사펌프(143)의 흡입력으로 세족욕조(110)의 순환구(117)로부터 세족욕조(110)에 담긴 물을 흡입하여, 다시 노즐배관(141)을 통해 분사노즐(141b)로 분사하는 형태로 세족욕조(110)의 물을 순환시키는 형태로 냇물과 같은 물살을 형성하여 발을 마사지할 수 있다.
그리고 순환배관(147)에는 순환배관(147)을 통해 분사펌프(143)로 흡입되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필터(FT)가 설치될 수도 있다.
마사지건조부(140)는 에어펌프(145)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에어펌프(145)는 노즐배관(141)을 통해 공기를 분사하여 세족욕조(110)에 담긴 물에서 발을 향해 강제적으로 버블을 형성함으로써, 버블마사지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세족욕조(110)에 담긴 물에 공기를 분사하면, 발생하는 버블이 피부에 닿으면서 버블의 터지는 압력에 의해 마사지함으로써, 혈행개선을 촉진에 따른 마사지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에어펌프(145)는 노즐배관(141)에서 분기된 에어배관을 통해 노즐배관(141)으로 공기를 분사할 수 있으며, 에어배관에는 에어펌프(145)에서 발생한 공기를 노즐배관(141)으로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에어밸브(145a)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에어펌프(145)는 세족욕조(110)에 물이 없는 상태에서는 순수한 공기만을 발을 향해 분사함으로써, 발을 건조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에어펌프(145)는 공기압축기로 구현될 수 있으며, 공기압축기는 압축된 공기를 저장하는 압축탱크를 포함하여 공기압축기에서 압축된 공기를 압축탱크에 저장한 후 저장된 압축공기를 에어배관을 통해 노즐배관(141)으로 공급할 수 있다.
에어펌프(145)는 히터(145b)를 포함하여 발을 건조 시에 에어펌프(145)에서 압축된 공기를 히터(145b)에 의해 가열한 후 노즐배관(141)을 통해 가열된 공기를 노즐배관(141)에서 분사하며 건조할 수 있다.
여기서, 히터(145b)는 전기에 의해 가열하는 전기히터(145b)일 수 있다.
그리고, 에어펌프(145)는 에어펌프(145)의 미작동시에는 처리수탱크(133)로 연장배관을 통해 공기를 공급하여 처리수탱크(133)에 용존산소량을 높이는 형태로 처리수탱크(133)에 저장된 물을 정화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세족장치(100)는 적외선램프(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적외선램프(150)는 세족욕조(110)에 수용된 발을 향해 적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적외선램프(150)는 적외선을 발에 조사하여 적외선에 의한 온기에 의해 혈행을 개선하여 발의 피로도를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세족욕조(110)의 물을 가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적외선램프(150)는 세족욕조(110)에 발을 넣으면, 신체감지센서에 의해 점등하도록 작동하거나, 세족욕조(110)에 급수부(120)를 통해 물이 공급되면 점등되고, 물이 배수되면 소등하도록 작동할 수도 있다.
적외선램프(150)는 세족욕조(110)에 물이 채워진 경우, 물속으로 투과되어 빛이 확산되면서, 물에 수용된 발에 적외선이 작용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세족장치(100)는 자외선램프(1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자외선램프(160)는 자외선을 조사하여 발의 세균이 감염된 부분을 살균하거나, 세족욕조(110)의 내부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세족욕조(110)의 내부를 살균할 수도 있다.
여기서, 자외선램프(160)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은 가시광선에 근접하여 세균을 살균하면서도 인체에 무해한 400~405nm파장을 갖는 자외선일 수 있다.
자외선램프(160)는 세족욕조(110)에서 발이 안착되는 바닥면(111)에 설치될 수 있으며, 자외선램프(160)는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으며, 자외선램프(160)는 세족욕조(110)의 내부 측면 둘레에서 바닥을 향해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복수 개가 설치될 수도 있다.
여기서, 자외선램프(160)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은 단파장이기 때문에 물에 대한 투과성 및 확산도가 낮기 때문에 발과 근접한 바닥면(111)에서 발바닥을 향해 조사할 수 있으며, 물에 확산되는 자외선의 빛에 의해 조명효과를 부여할 수도 있다.
물론, 자외선램프(160)는 발가락이 안착되는 발안착돌출부(111a)에도 복수 개가 설치되어 발가락 사이에도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발가락 사이도 자외선에 의한 살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세족장치(100)는 세족컨트롤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세족컨트롤러는 세족욕조(110)의 세족, 마사지, 건조 등의 기능에 따라 급수부(120), 배수부(130), 마사지건조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세족컨트롤러는 하기의 제어방법에 의해 다기능 세족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세족컨트롤러는 태양광패널(170)을 포함하여 태양광패널(170)에서 발전하는 전기에 의해 다기능 세족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세족컨트롤러에는 다기능 세족장치(100)의 작동을 수행하기 위한 버튼 또는 세족자의 진입을 감지하는 센서에 의해 작동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세족컨트롤러는 세족시간, 마사지시간, 및 욕조청소시간 등이 미리 설정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입력할 수 있으며, 세족, 마사지, 및 건조 중 어느 하나의 기능만을 선택하여 작동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각 구성 간의 작용과 효과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세족장치(100)의 제어방법과 함께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기능 세족장치(100)는 복수 개의 세족욕조(110)가 설치되는 세족장(200)에 설치될 수 있으며, 세족장(200)에는 세족욕조(110)마다 앉아 세족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의자(210)가 설치될 수 있다.
각 세족욕조(110)는 하나의 급수배관(121)을 통해 각 급수구(113)에 설치되는 급수밸브(121a)에 의해 선택적으로 급수되거나, 급수가 차단될 수 있으며, 하나의 배수배관(131)에 의해 각 세족욕조(110)의 배수구(114)가 연결되어 배수되는 물을 처리수탱크(133)로 보낼 수 있다.
물론, 각 세족욕조(110)에는 각각 마사지건조부(140)가 구성되어 각 세족욕조(110)에서 개별적으로 서로 다르게 발의 마사지 및 건조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기능 세족장치(100)는 세족욕조(110)에 급수구(113)와 순환구 (117) 및 배수구(114)가 서로 마주하도록 위치하고, 세족욕조(110)의 바닥 및 둘레에는 공기를 분사하는 분사노즐(141b)이 설치된다.
세족욕조(110)의 바닥면(111)은 급수구(113)에서 흡입구 및 배수구(114)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며, 바닥면(111)에서 급수구(113)와 위치한 방향에는 발을 바닥면(111)에 안착시 발바닥의 일부를 바닥에서 이격시키기 위한 발안착돌출부(111a)가 형성된다.
그리고, 급수구(113)에는 세족욕조(110)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부(120)가 구성되며, 급수부(120)는 급수구(113)와 급수탱크(123)가 급수배관(121)에 의해 연결되며, 급수배관(121)에는 급수배관(121)을 개폐하는 급수밸브(121a)가 설치된다.
급수배관(121)에는 세족욕조(110)로 급수탱크(123)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조절하여 공급하기 위한 보일러(125)가 연결될 수 있으며, 보일러(125)는 온수밸브(125a)에 의해 선택적으로 급수배관(121)으로 온수를 공급하거나, 차단한다.
그리고, 급수배관(121)에는 급수되는 물을 살균하기 위한 살균처리기(127)가 연결되어 살균처리기(127)를 통해 살균물질 예를 들어, 오존을 세족욕조(110)로 공급되는 물에 혼합하여 공급한다.
이때, 물의 오염도에 따라 급수배관(121)으로 공급되는 살균물질의 량 또는 농도를 조절하여 급수배관(121)으로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배수구(114)에는 세족욕조(110)에 담긴 물을 배수하는 배수부(130)가 구성되며, 배수부(130)는 배수배관(131)이 배수구(114)와 처리수탱크(133)를 연결하여 배수구(114)를 통해 배수되는 물을 처리수탱크(133)로 보내 배수된 물을 화장실의 용변을 처리하기 위한 처리수로 사용한다.
한편, 세족욕조(110)에는 발을 거품 및 물살에 의해 마사지하기 위한 마사지건조부(140)가 구성되며, 마사지건조부(140)는 세족욕조(110)의 노즐공(115)에 분사노즐(141b)을 설치하고, 각 분사노즐(141b)은 분사배관을 통해 분사펌프(143)에 의해 가압하여 분사하는 형태로 물살에 의해 발을 마사지한다.
이때, 순환구(117)에는 순환배관(147)에 의해 분사펌프(143)의 흡입구와 연결되어 세족욕조(110)의 물이 순환구(117)를 통해 분사펌프(143)로 공급되고, 분사펌프(143)에서 물을 증압하여 높은 압력으로 분사노즐(141b)을 통해 분사하는 형태로 세족욕조(110)에 물을 순환시키며 물살에 의해 발을 마사지한다.
그리고 순환배관(147)에는 순환배관(147)으로 물의 순환을 공급 또는 차단하기 위한 순환밸브(147a)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노즐배관(141)에는 에어펌프(145)가 연결되어 노즐배관(141)을 통해 공기를 공급하여 분사노즐(141b)에서 공기를 분사하는 형태로 세족욕조(110)에 물이 채워진 경우에는 세족욕조(110)에서 버블을 분사하는 형태로 발을 마사지할 수 있으며, 세족욕조(110)에서 물이 배수된 경우에는 공기를 분사하여 발을 건조할 수 있다.
이때 에어펌프(145)에는 히터(145b)가 설치되어 분사노즐(141b)로 분사되는 공기를 가열하여 건조된 공기를 분사노즐(141b)에서 분사한다.
그리고, 세족욕조(110)에는 적외선램프(150)가 설치되고, 바닥면(111)에는 자외선램프(160)가 설치되어 마사지를 수행하는 중에 적외선램프(150)와 자외선램프(160)가 점등되면서, 적외선과 자외선을 발에 조사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세족장치(100)는 급수부(120), 배수부(130) 및 마사지건조부(140)가 세족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족컨트롤러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조작버튼을 작동하거나, 세족욕조(110)로 진입을 감지하면, 배수밸브(131a)를 개방하고, 급수밸브(121a)를 개방하여 급수탱크(123)에 저장된 물을 세족욕조(110)로 보내 수용된 발을 세척한다.
이때, 세족자는 바닥면(111)에서 돌출되는 발가락이 발안착돌출부(111a)에 의해 바닥면(111)에서 들려 안착되고, 바닥면(111)은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급수구(113)를 통해 공급되는 물이 경사면을 타고 발을 지나면서, 배수구(114)로 배수되는 형태로 흐르는 냇물에서 발을 세척하는 듯한 느낌을 가질 수 있으며, 경사면에 의해 잔류되는 물이 없이 신속한 배수가 가능하다(도 3 참조).
한편, 세족욕조(110)에 발의 세척을 위해 미리 설정된 시간(t1)동안 급수되어 배수되면, 발의 마사지를 수행하기 위해 배수밸브(131a)를 통해 배수를 차단한다.
배수가 차단되면, 세족욕조(110)에 설치된 수위감지센서(119)에서 수위에 도달될 때까지 급수되며, 수위감지센서(119)에서 수위가 감지되면 급수밸브(121a)를 차단하여 세족욕조(110)로의 물의 공급을 차단한다.
이때, 급수배관(121)에는 세족욕조(110)로 공급되는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가 설치되어 미리 설정된 온도로 세족욕조(110)로 공급되도록 보일러(125)를 가동할 수 있으며, 보일러(125)를 가동하는 경우, 온수배관을 개방하여 급수탱크(123)에 물을 보일러(125)에서 가열한 후 급수관을 통해 세족욕조(110)로 공급한다.
여기서, 보일러(125)에 한약재부가 구성된 경우, 가열된 물에 한약재의 성분을 우려내거나 혼합하여 급수관을 통해 세족욕조(110)로 공급함으로써, 한약재에 의한 효과를 발에 적용할 수도 있다.
이와 동시에 수위감지센서(119)에서 수위가 감지되면, 적외선램프(150) 및 자외선램프(160)를 점등하여 발에 적외선과 자외선을 조사한다.
도 4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족욕조(110)에 물이 채워지면, 세족컨트롤러는 발을 버블에 의해 마사지하기 위해 에어펌프(145)를 작동한다.
에어펌프(145)는 미리 설정된 압력으로 공기를 압축하고, 미리 설정된 압력에 도달하면, 에어밸브(145a)를 개방하여 노즐배관(141)을 통해 압축공기를 분사노즐(141b)로 제공하고, 분사노즐(141b)에서 압축된 공기를 분사함으로써, 세족욕조(110)에 담긴 물에서 버블을 발생하여 버블에 의해 발을 마사지한다.
미리 설정된 시간(t2)동안 세족욕조(110)의 물에 공기를 분사하여 버블마사지가 종료되면, 노즐배관(141)으로 공기의 공급을 차단하도록 에어밸브(145a)를 차단한다.
그리고, 세족욕조(110)로 공기의 공급이 차단되면, 물살에 의해 마사지를 수행하도록 순환밸브(147a)를 개방하고, 분사펌프(143)를 작동한다.
분사펌프(143)가 작동하면, 순환구(117)를 통해 세족욕조(110)의 물이 분사펌프(143)로 흡입되면서, 분사펌프(143)에서 다시 물을 압축한 후 압축된 물을 분사노즐(141b)을 통해 분사하는 형태로 세족욕조(110)의 물을 순환시켜가며 세족욕조(110)에서 분사되는 물과 순환되는 물에 의해 마치 냇물에서 발을 담근 것과 같은 자연적인 효과와 함께 분사되는 물이 발을 충격하면서 마사지를 수행한다.
이때, 순환배관(147)에는 필터(FT)가 설치되어 순환배관(147)에서 분사펌프(143)로 유입되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낸 후 분사펌프(143)로 흡입되어 이물질에 의한 상대적으로 깨끗한 물을 순환시킨다.
도 5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시간(t3)동안 분사펌프(143)가 작동하여 물살에 의한 마사지가 종료되면, 배수밸브(131a)를 개방하여 세족욕조(110)에 담긴 물을 배수부(130)를 통해 배수한다.
이때, 배수밸브(131a)의 작동에 따라 배수가 종료되면, 자외선램프(160)는 소등하고, 적외선램프(150)는 온열의 효과를 발에 적용하기 위해 점등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배수밸브(131a)에 의해 배수가 종료되면, 세족컨트롤러는 에어밸브(145a)를 개방하고, 에어펌프(145)를 작동하여 에어펌프(145)에서 발생하는 압축공기를 분사노즐(141b)을 통해 분사하는 형태로 압축공기에 의해 발을 건조시킨다.
이때, 세족컨트롤러는 필요에 따라 히터(145b)를 작동하여 에어펌프(145)에서 압축된 공기를 가열하여 공기를 공기를 가열한 상태에서 가열 및 건조된 공기를 발에 분사함으로써, 발을 신속하게 건조할 수 있다.
도 5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펌프(145)가 미리 설정된 시간(t4)동안 발의 건조를 수행하면, 세족컨트롤러는 에어펌프(145)의 작동을 정지하고, 적외선램프(150) 또한 소등하여 작동이 완료되었음을 세족자에게 알릴 수도 있다.
한편, 발의 건조가 완료되면, 세족자는 세족욕조(110)에서 발을 꺼내 세족을 완료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세족장치(100)는 세족욕조(110)로 물을 공급함과 동시에 배수하는 형태로 발을 세척함으로써, 마사지 전에 발을 세척하여 청결함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족욕조(110)의 바닥이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경사면을 따라 물이 흘러 발을 세척하도록 함으로써, 마치 흐르는 냇물에 발을 세척하는 듯한 자연친화적인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배수부(130)를 통해 배수되는 물을 처리수탱크(133)를 통해 저장함으로써, 처리수를 청소 또는 화장실의 처리수로 사용함으로써, 물의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마사지건조부(140)에서 세족욕조(110)에 공기를 분사노즐(141b)을 통해 분사하여 버블에 의한 마사지를 수행할 수 있으며, 세족욕조(110)의 물을 순환구(117)를 통해 재순환시키고 분사노즐(141b)을 세족욕조(110)에서 일방향으로 흐르는 물살을 형성함으로써, 물살에 의한 마사지를 수행하여 발의 마사지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세족욕조(110)의 물을 재순환하여 사용함으로써, 물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마사지건조부(140)에서 버블마사지를 수행하기 위해 공기를 분사하는 에어펌프(145)롤 통해 세족욕조(110)에서 물이 배수된 상태에서 발에 공기를 분사함으로써, 발을 건조할 수 있다.
또한, 보일러(125)가 설치되어 세족욕조(110)로 공급되는 물의 온도를 조절하여 제공함으로써, 물의 온도차로 인한 불쾌감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급수배관(121)에 살균처리기(127)가 설치되어 세족욕조(110)로 공급되는 물에 살균물질을 제공하거나, 살균처리하여 세균감염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급수탱크(123)에 우수받이부(123a)를 통해 우수를 받아 저장함으로써, 급수설비(123b)에서의 물의 사용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적외선램프(150) 또는 자외선램프(160)가 설치되어 발에 마사지를 수행하면서, 발에 적외선과 자외선을 조사하여 자외선에 의해 발의 염증의 살균에 도움을 주거나, 적외선에 의해 발의 피로를 신속하게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외선과 적외선에 의한 조명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0: 다기능 세족장치 110: 세족욕조
111: 바닥면 111a: 발안착돌출부
113: 급수구 114: 배수구
115: 노즐공 117: 순환구
119: 수위감지센서 120: 급수부
121: 급수배관 121a: 급수밸브
122: 급수펌프 123: 급수탱크
123a: 우수받이부 123b: 급수설비
125: 보일러 125a: 온수밸브
125b: 한약재공급부 127: 살균처리기
130: 배수부 131: 배수배관
131a: 배수밸브 133: 처리수탱크
140: 마사지건조부 141: 노즐배관
141a: 노즐밸브 141b: 분사노즐
143: 분사펌프 145: 에어펌프
145a: 에어밸브 145b: 히터
147: 순환배관 147a: 순환밸브
150: 적외선램프 160; 자외선램프
170: 태양광패널 200: 세족장
210: 의자 FT: 필터

Claims (16)

  1. 발을 수용하여 세척하는 세족욕조,
    상기 세족욕조에 물을 급수하는 급수부,
    상기 급수부를 통해 상기 세족욕조로 공급된 물을 배수하는 배수부, 및
    상기 세족욕조에 수용된 발을 마사지하도록 세족욕조의 내부에서 물을 분사하는 복수 개의 분사노즐을 포함하는 마사지건조부를 포함하며,
    상기 마사지건조부는
    상기 복수 개의 분사노즐을 연결하여 물살을 형성하기 위해 분사할 물을 공급하는 노즐배관,
    상기 노즐배관에 설치되어 상기 분사노즐에서 높은 압력으로 물을 분사하도록 물의 압력을 증압하여 토출하는 분사펌프,
    상기 분사노즐에서 분사되는 물에 마사지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버블을 형성하거나, 발의 건조를 위한 공기를 공급하도록 상기 노즐배관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펌프, 및
    상기 에어펌프에서 발생한 공기를 상기 노즐배관으로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에어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세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부는
    상기 물을 받아 저장하는 급수탱크, 및
    상기 급수탱크에서 받은 물을 미리 설정된 온도로 가열하여 공급하는 보일러를 포함하고,
    상기 급수부는 상기 급수탱크에 저장된 냉수를 상기 세족욕조로 공급하거나, 상기 보일러를 통해 가열된 온수를 선택하여 상기 세족욕조로 제공하는 급수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세족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부는
    상기 급수배관에 연결되어 상기 세족욕조로 공급되는 물을 살균하기 위한 살균처리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세족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처리기는
    상기 급수배관으로 살균을 위한 살균물질인 오존을 상기 급수배관으로 공급하여 오존이 함유된 오존수를 상기 세족욕조로 공급하는 형태로 상기 세족욕조와 상기 발을 살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세족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탱크는
    빗물을 받아 저장하도록 우수를 받아 공급하는 우수받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세족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사지건조부는
    상기 세족욕조로 공급된 물을 순환시켜 물살을 형성하도록 상기 분사펌프의 순환구에 연결되어 상기 세족욕조에 수용된 물을 상기 분사펌프를 통해 흡입하는 순환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세족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마사지건조부는
    상기 복수 개의 분사노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사노즐과 상기 순환배관에 의해 연결되어 물을 흡입하는 순환구가 상기 세족욕조에서 서로 마주하는 측벽에 배치되어 상기 분사노즐에서 분사되는 물이 상기 순환구로 흡입되는 형태로 발마사지를 위한 물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세족장치.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사지건조부는
    상기 에어펌프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선택적으로 가열하여 상기 분사노즐로 공급하는 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세족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족욕조는
    상기 세족욕조에 수용되는 발에 적외선이 작용하도록 상기 세족욕조의 내부로 적외선을 조사하는 적외선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세족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는
    상기 세족욕조에 형성된 배수구로 배수되는 물을 이송하는 배수관, 및
    상기 배수관에 저장된 물을 모아 처리수로 사용하기 위해 저장하는 처리수탱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세족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족욕조는
    상기 세족욕조의 바닥에서 발의 일부를 바닥에서 이격시켜 상기 세족욕조에서 발생하는 물살에 의해 세척하도록 발의 상기 세족욕조의 바닥에서 돌출되어 발의 일부가 안착되는 발안착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세족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족욕조는
    상기 세족욕조로 공급되는 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세족욕조로 공급된 물의 량을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세족장치.
  15. 제1항에 기재된 다기능 세족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세족욕조에 급수하면서 물을 배수하는 형태로 상기 세족욕조에 물살을 형성하며 발을 세척하는 단계,
    상기 발을 세척한 후, 상기 세족욕조에 상기 급수부를 통해 급수한 상태에서 상기 마사지건조부를 통해 버블과 물살에 의해 발을 마사지하는 단계,
    상기 발을 마사지한 후, 상기 마사지건조부를 통해 발에 공기를 분사하여 발을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세족장치의 제어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발을 마사지하는 단계는
    상기 세족욕조로 공기를 분사하여 버블에 의해 마사지하는 단계, 및
    상기 세족욕조에서 물살을 순환시켜 물살에 의해 마사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세족장치의 제어방법.
KR1020230075079A 2023-06-12 2023-06-12 다기능 세족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6586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5079A KR102658694B1 (ko) 2023-06-12 2023-06-12 다기능 세족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5079A KR102658694B1 (ko) 2023-06-12 2023-06-12 다기능 세족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8694B1 true KR102658694B1 (ko) 2024-04-17

Family

ID=90876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5079A KR102658694B1 (ko) 2023-06-12 2023-06-12 다기능 세족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869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89210A (ja) * 1995-01-10 1996-07-23 Toto Ltd 水廻りユニット
KR200399659Y1 (ko) * 2005-08-08 2005-10-26 주식회사 한일물산 족탕기
KR20060002693A (ko) * 2004-11-02 2006-01-09 양원동 다기능 수 족욕 장치
JP2008104797A (ja) * 2006-10-27 2008-05-08 Nikka Micron Kk 洗浄装置
JP2010068973A (ja) * 2008-09-18 2010-04-02 Sanyo Electric Co Ltd 足浴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89210A (ja) * 1995-01-10 1996-07-23 Toto Ltd 水廻りユニット
KR20060002693A (ko) * 2004-11-02 2006-01-09 양원동 다기능 수 족욕 장치
KR200399659Y1 (ko) * 2005-08-08 2005-10-26 주식회사 한일물산 족탕기
JP2008104797A (ja) * 2006-10-27 2008-05-08 Nikka Micron Kk 洗浄装置
JP2010068973A (ja) * 2008-09-18 2010-04-02 Sanyo Electric Co Ltd 足浴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7784B1 (ko) 이동식 좌욕온수세정기
KR200404317Y1 (ko) 족욕 및 좌욕이 가능한 다기능 스팀기
KR200406632Y1 (ko) 족욕기
KR101190652B1 (ko) 황토와 머드를 이용한 피부노화방지 반신욕장치
CN108066136A (zh) 一种用于心血管内科的中药熏洗设备
KR102658694B1 (ko) 다기능 세족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0999256B1 (ko) 발건조기
KR100480993B1 (ko) 하반신 반신욕 욕조
JP2006333976A (ja) 足用シャワー・乾燥装置
US20090030355A1 (en) Hydrotherapy Apparatus for a Lower Extremity
KR200385533Y1 (ko) 위생 세정기
JP2007167536A (ja) 足浴器
KR200411597Y1 (ko) 원적외선 방출기능을 구비한 반신욕기기
JP4005985B2 (ja) 肛門加熱洗浄装置
KR102658695B1 (ko) Ai를 이용한 다기능 세족장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KR100777139B1 (ko) 각탕장치
JPH0928608A (ja) 足洗浄器
KR200363481Y1 (ko) 다기능 수 족욕 장치
KR102089597B1 (ko) Led를 이용한 광 좌욕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406633Y1 (ko) 족욕기용 가열관
KR100880852B1 (ko) 발 건조살균기
KR200399659Y1 (ko) 족탕기
KR20200139971A (ko) 살균기능을 갖는 발 관리기
KR20060002693A (ko) 다기능 수 족욕 장치
KR102634283B1 (ko) 족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