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7291B1 - Conduit-retaining clip assembly - Google Patents

Conduit-retaining clip assemb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7291B1
KR102657291B1 KR1020180161777A KR20180161777A KR102657291B1 KR 102657291 B1 KR102657291 B1 KR 102657291B1 KR 1020180161777 A KR1020180161777 A KR 1020180161777A KR 20180161777 A KR20180161777 A KR 20180161777A KR 102657291 B1 KR102657291 B1 KR 1026572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it
restraining
arm
chamber
restra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17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77222A (en
Inventor
보리 니
보 리
Original Assignee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77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722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72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729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6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hree or more members surrounding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comprising a member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3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comprising a member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and engaging it by snap 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04Arrangements of piping, valves in the piping, e.g. cut-off valves, couplings or air h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 F16L3/223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each support having one transverse base for supporting the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 F16L3/237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for two pipes

Abstract

도관-구속 클립 조립체가, 도관이 내부에 구속되는 구속 챔버를 한정하는, 도관 리테이너를 포함한다. 제1 구속 아암이, 도관 리테이너의 제1 부분에 선회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 구속 아암이, 도관 리테이너의 제2 부분에 선회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 구속 아암 및 제2 구속 아암은 각각,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선회하도록 구성된다. 제1 구속 아암 및 제2 구속 아암은, 구속 챔버 내부에 도관을 확고하게 구속하게 위해, 폐쇄 위치에서 함께 잠금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A conduit-constraint clip assembly includes a conduit retainer that defines a confinement chamber within which the conduit is restrained. A first restraining arm is pivotally coupled to the first portion of the conduit retainer. A second restraining arm is pivotally coupled to the second portion of the conduit retainer. The first restraint arm and the second restraint arm are each configured to pivot between an open position and a closed position. The first restraint arm and the second restraint arm are configured to be locked together in a closed position to securely restrain the conduit within the restraint chamber.

Figure R1020180161777
Figure R1020180161777

Description

도관-구속 클립 조립체{CONDUIT-RETAINING CLIP ASSEMBLY}CONDUIT-RETAINING CLIP ASSEMBLY}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개괄적으로, 자동차 내부에서와 같은, 프레임, 패널 또는 이와 유사한 것에, (튜브들, 파이프들 및/또는 이와 유사한 것과 같은) 도관들을 확고하게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도관-구속 클립 조립체들에 관한 것이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generally provide a conduit-retaining clip configured to securely connect conduits (such as tubes, pipes and/or the like) to a frame, panel or the like, such as inside an automobile. It's about assemblies.

튜브들, 파이프들, 호스들, 및 이와 유사한 것과 같은, 다양한 유체-이송 도관들이, 체결 조립체들을 통해, 벽들, 지붕들 또는 이와 유사한 것과 같은 표면들에 고정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원통형 튜브가, 튜브의 일부분 둘레에 스냅식으로, 래치식으로, 또는 달리 고정되는 튜브 채널을 구비하는, 체결 조립체를 통해, 벽에 고정될 수 있을 것이다. 체결 조립체 자체는, 예를 들어 체결 조립체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는 스터드 리테이너에 의해 수용되고 구속되는, 스터드(stud)를 통해 벽에 고정될 수 있을 것이다. Various fluid-carrying conduits, such as tubes, pipes, hoses, and the like, may be secured to surfaces such as walls, roofs, or the like, via fastening assemblies. For example, a cylindrical tube may be secured to a wall via a fastening assembly that includes a tube channel that snaps, latches, or otherwise secures around a portion of the tube. The fastening assembly itself may be secured to the wall, for example via studs, which are received and restrained by stud retainers that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fastening assembly.

도 1은, (파이프, 튜브, 또는 이와 유사한 것과 같은) 튜브형 구성요소(12)를 구속하는 통상적인 튜브-구속 클립(10)의 상측 사시도를 도시한다. 튜브-구속 클립(10)은, 도관-구속 채널(16)을 한정하는 본체(14)를 포함한다. 튜브형 구성요소(12)는, 도관-구속 채널(16) 내부에 수용되고 구속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형 구성요소(12)는, 화살표(A)의 방향으로 채널(16) 내로 압박된다. 역으로, 파이프는, 화살표(B)에 의해 지시되는 반대 방향으로 인출된다. 클립(10)은, 튜브형 구성요소(12)의 종방향 축(18)과 평행한, 화살표(C)의 방향으로 추력(thrust force)에, 그리고 종방향 축(18)을 중심으로 반경 방향인, 호(D)의 방향으로 회전력에, 저항하도록 구성된다. 1 shows a top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tube-retaining clip 10 that restrains a tubular component 12 (such as a pipe, tube, or the like). The tube-retaining clip 10 includes a body 14 defining a conduit-retaining channel 16 . The tubular component 12 is received and confined within the conduit-confining channel 16 . As shown, the tubular component 12 is pressed into the channel 16 in the direction of arrow A. Conversely, the pipe is drawn in the opposite direction indicated by arrow B. The clip 10 is subjected to a thrust force in the direction of arrow C,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axis 18 of the tubular component 12 and radially about the longitudinal axis 18. , is configured to resist rotational force in the direction of arc D.

어떤 공지의 클립들은 튜브형 구성요소를, 긴 기간의 시간에 걸쳐, 및/또는 어떤 힘들이 클립들 내로 가해지는 경우에, 단단하게 구속하지 못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튜브형 구성요소가, 충분한 힘이 튜브 및/또는 클립 내에 가해지는 경우, 클립의 구속 채널로부터 탈착될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튜브형 구성요소는, 구속 채널 내부에서 회전할 수 있을 것이다.Some known clips may not securely secure the tubular component over long periods of time, and/or when any forces are applied into the clips. For example, a tubular component may become detached from a retaining channel of a clip if sufficient force is applied within the tube and/or clip. Additionally, the tubular component may be able to rotate within the confinement channel.

하나 이상의 도관을 확고하고 효과적으로 구속하도록 구성되는 도관-구속 클립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또한, 구속 챔버로 도관을 회전 억제하도록 구성되는 도관-구속 클립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A need exists for a conduit-retaining clip that is configured to securely and effectively restrain one or more conduits. Additionally, a need exists for a conduit-constraint clip configured to restrain rotation of the conduit into a restraint chamber.

이러한 필요성을 염두에 두고, 본 개시의 특정 실시예들이, 도관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구속 챔버를 한정하는 도관 리테이너를 포함하는, 도관-구속 클립 조립체를 제공한다. 제1 구속 아암이, 도관 리테이너의 제1 부분에 선회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 구속 아암이, 도관 리테이너의 제2 부분에 선회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 구속 아암 및 제2 구속 아암은 각각,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선회하도록 구성된다. 제1 구속 아암 및 제2 구속 아암은, 구속 챔버 내부에 도관을 확고하게 구속하게 위해, 폐쇄 위치에서 함께 잠금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With this need in mind, certa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 a conduit-restraint clip assembly that includes a conduit retainer defining a confinement chamber configured to receive a conduit. A first restraining arm is pivotally coupled to the first portion of the conduit retainer. A second restraining arm is pivotally coupled to the second portion of the conduit retainer. The first restraint arm and the second restraint arm are each configured to pivot between an open position and a closed position. The first restraint arm and the second restraint arm are configured to be locked together in a closed position to securely restrain the conduit within the restraint chamber.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도관 리테이너는, 제1 측벽 및 제2 측벽에 일체형으로 연결되는 베이스를 구비한다. 구속 챔버는, 베이스와 제1 측벽과 제2 측벽 사이에 한정된다. 도관 리테이너의 제1 부분은 제1 측벽을 구비하며, 그리고 도관 리테이너의 제2 부분은 제2 측벽을 구비하고, 제1 구속 아암은, 제1 측벽에 선회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그리고 제2 구속 아암은, 제2 측벽에 선회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을 것이다. In at least one embodiment, the conduit retainer has a base integrally connected to the first side wall and the second side wall. The confinement chamber is defined between the base and the first and second side walls. The first portion of the conduit retainer has a first side wall, and the second portion of the conduit retainer has a second side wall, the first restraining arm can be pivotably coupled to the first side wall, and a second The restraint arm may be pivotably coupled to the second sidewall.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제1 구속 아암은, 도관의 외측 표면에 대해 접경하도록 구성되는 제1 내측 표면 및 제1 내측 표면 반대편의 제1 외측 표면을 구비하는, 제1 측방 빔을 포함한다. 제1 힌지가, 도관 리테이너의 제1 부분에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며, 그리고 제1 측방 빔에 연결된다. 속박 빔(trapping beam)이, 제1 힌지에 연결되며 그리고 제1 측방 빔에 고정된다. 잠금 돌기가, 속박 빔의 원위 단부로부터 연장된다.In at least one embodiment, the first constraining arm includes a first lateral beam having a first inner surface configured to abut against an outer surface of the conduit and a first outer surface opposite the first inner surface. A first hinge is pivotally coupled to the first portion of the conduit retainer and connected to the first lateral beam. A trapping beam is connected to the first hinge and fixed to the first lateral beam. A locking protrusion extends from the distal end of the constraining beam.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제2 구속 아암은, 도관의 외측 표면에 대해 접경하도록 구성되는 제2 내측 표면 및 제2 내측 표면 반대편의 제2 외측 표면을 구비하는, 제2 측방 빔을 포함한다. 제2 힌지가, 도관 리테이너의 제2 부분에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며, 그리고 제2 측방 빔에 연결된다. 속박 하우징(trapping housing)이, 제2 힌지에 연결되며 그리고 제2 측방 빔에 고정된다. 속박 하우징은, 폐쇄 위치에서 잠금 돌기가 그 내부에 확고하게 구속되도록 구성되는, 내부 챔버를 한정한다. 잠금 돌기의 원위 단부가, 폐쇄 위치에서 속박 하우징의 내부 챔버 내부의 적어도 하나의 제2 고정 부재에 확고하게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고정 부재를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In at least one embodiment, the second constraining arm includes a second lateral beam having a second inner surface configured to abut against an outer surface of the conduit and a second outer surface opposite the second inner surface. A second hinge is pivotally coupled to the second portion of the conduit retainer and connected to the second lateral beam. A trapping housing is connected to the second hinge and secured to the second side beam. The constraint housing defines an internal chamber configured to securely constrain the locking protrusion therein in the closed position. The distal end of the locking protrusion may have at least one first securing member configured to securely couple to at least one second securing member within the inner chamber of the restraint housing in a closed position.

제1 구속 아암은, 제1 중심설정 핑거를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제2 구속 아암은, 제2 중심설정 핑거를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제1 중심설정 핑거 및 제2 중심설정 핑거는, 구속 챔버 내부에서 도관을 중심에 위치시키도록 구성된다. The first restraining arm may have a first centering finger. The second restraining arm may have a second centering finger. The first and second centering fingers are configured to center the conduit within the confinement chamber.

도관-구속 클립 조립체는 또한, 개별적으로 도관 리테이너의 제1 부분 및 제2 부분으로부터 구속 챔버 내로 내향으로 연장되는, 제1 구속 갈퀴 및 제2 구속 갈퀴를 또한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구속 갈퀴 및 제2 구속 갈퀴는, 가요성이며 탄력적이다. 제1 구속 아암 및 제2 구속 아암 그리고 제1 구속 갈퀴 및 제2 구속 갈퀴는, 그들 사이에서 도관을 확고하게 속박하도록 구성된다.The conduit-restraint clip assembly may also include a first restraint prong and a second restraint prong, respectively, extending inwardly from the first and second portions of the conduit retainer into the restraint chamber, the first restraint prong and The second restraining prong is flexible and resilient. The first restraining arm and the second restraining arm and the first restraining prong and the second restraining prong are configured to securely restrain the conduit between them.

도 1은, 튜브형 구성요소를 구속하는 통상적인 도관-구속 클립의 상측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프레임에 연료 및/또는 브레이크 파이프를 확고하게 연결하는, 복수의 도관-구속 클립 조립체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도관-구속 클립 조립체의 정면측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도관 리테이너들을 구비하는 도관-구속 클립 조립체의 개방 위치에서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도관-구속 클립 조립체의 개방된 도관 리테이너들 위에 배치되는 도관들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도관-구속 클립 조립체의 도관 리테이너들 내부에 배치되는 도관들의 폐쇄 위치(구속 위치)에서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함께 잠금 고정된 제1 구속 아암 및 제2 구속 아암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이 상세하게 설명되기 이전에, 본 개시는, 뒤따르는 설명에 기술되거나 또는 도면에 도시되는, 구성에 대한 세부 사항 및 구성요소들의 배열로, 그 자체의 적용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개시는, 다른 실시예들을 가능하게 하며 그리고 다양한 방식으로 실행되거나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사용되는 어법 및 전문용어는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이며 그리고 제한하는 것으로서 간주되어서는 안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구비하는" 및 "포함하는" 및 이들의 변화형들의 사용은, 그 후에 열거되는 품목들 및 그들의 균등물, 뿐만 아니라 부가적인 품목들 및 그들의 균등물을 포괄하는 것으로 의미하게 된다.
1 shows a top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conduit-retaining clip that restrains a tubular component.
2 shows a schematic diagram of a plurality of conduit-retaining clip assemblies securely connecting fuel and/or brake pipes to the fram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3 show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conduit-retaining clip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4 shows a front view in an open position of a conduit-retaining clip assembly with conduit retain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5 shows a front view of conduits disposed over open conduit retainers of a conduit-retaining clip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6 shows a front view in a closed position (restrained position) of conduits disposed within conduit retainers of a conduit-restraining clip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7 shows a front view of a first restraint arm and a second restraint arm locked toget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Befor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re described in detail, it is intended that the application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the details of construction and arrangement of components as describ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r shown in the drawings. You must understand. The present disclosure is capable of other embodiments and may be practiced or carried out in a variety of ways. Also,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hraseology and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ption and should not be regarded as limiting. The use of "comprising" and "comprising" and their variations are meant to encompass the items subsequently listed and their equivalents, as well as additional items and their equivalents.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파이프들, 호스들, 튜브들, 및/또는 이와 유사한 것과 같은, 도관들을 확고하게 그리고 효과적으로 구속하도록 구성되는, 도관 리테이너들을 제공한다. 도관-구속 클립 조립체가,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구속 아암을 구비하는, 도관 리테이너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제1 구속 아암 및 제2 구속 아암은, 도관 리테이너의 일부분에 선회 가능하게 결합된다. 구속 아암들이 개방 위치에 놓일 때, 도관이, 도관 리테이너의 구속 챔버 내로 삽입될 수 있을 것이다. 구속 아암들이 폐쇄 위치에 놓일 때, 구속 아암들은, 구속 챔버 내부에서 도관을 확고하게 구속한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 conduit retainers configured to securely and effectively restrain conduits, such as pipes, hoses, tubes, and/or the like. A conduit-restraint clip assembly includes a conduit retainer having one or more restraint arms configured to move between an open position and a closed position. In at least one embodiment, the first restraining arm and the second restraining arm are pivotally coupled to a portion of the conduit retainer. When the confinement arms are in the open position, a conduit may be inserted into the confinement chamber of the conduit retainer. When the confinement arms are in the closed position, they securely constrain the conduit within the confinement chamber.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105)의 프레임(103)에 연료 및/또는 브레이크 파이프(101)를 확고하게 연결하는, 복수의 도관-구속 클립 조립체(100)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파이프(101)는, 도관-구속 클립 조립체들(100)에 의해 구속될 수 있는 도관의 예이다. 도관-구속 클립 조립체들(100)에 의해 구속될 수 있는 도관들의 다른 예들이, 튜브들, 호스들, 및/또는 이와 유사한 것을 포함한다. 도관-구속 클립 조립체들(100)은, 도시된 것과 상이한 다양한 다른 응용 분야들에 관련하여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도관-구속 클립 조립체들(100)은, 다양한 다른 차량들, (건물 내부에서 배관하는 것과 같이) 고정된 구조물들 및/또는 이와 유사한 것의, 유체-이송 구성요소들에 관련하여,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plurality of conduit-retaining clip assemblies 100 securely connecting fuel and/or brake pipes 101 to the frame 103 of a vehicle 105,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t shows. Pipe 101 is an example of a conduit that can be restrained by conduit-retaining clip assemblies 100 . Other examples of conduits that can be restrained by conduit-restraining clip assemblies 100 include tubes, hoses, and/or the like. Conduit-retaining clip assemblies 100 may be used in connection with a variety of other applications different than those shown. For example, conduit-retaining clip assemblies 100 may be used in connection with fluid-transfer components of various other vehicles, fixed structures (such as piping inside a building), and/or the like, including: It could be used.

각 도관-구속 클립 조립체(100)는, 하나 이상의 도관 클립 또는 리테이너일 수 있으며 또는 그 내부에 하나 이상의 도관 클립 또는 리테이너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단일 도관-구속 클립 조립체(100)가, 2개 이상의 도관 클립 또는 리테이너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단일 도관-구속 클립 조립체가, 3개 이상의 도관 클립 또는 리테이너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다른 실시예에서, 도관-구속 클립 조립체가, 단일 도관 클립 또는 리테이너이거나, 또는 도관 클립 또는 리테이너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Each conduit-retaining clip assembly 100 may be one or more conduit clips or retainers or may include one or more conduit clips or retainers therein. For example, a single conduit-retaining clip assembly 100 may include two or more conduit clips or retainers. In at least one embodiment, a single conduit-retaining clip assembly may include three or more conduit clips or retainers. In at least one other embodiment, the conduit-retaining clip assembly may be a single conduit clip or retainer, or may include a conduit clip or retainer.

각 도관-구속 클립 조립체(100)는, 하나 이상의 도관을 확고하게 구속하도록 구성된다. 도관들은, 파이프들, 튜브들, 호스들,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일 수 있을 것이다. 도관들의 직경들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을 것이다. Each conduit-restraint clip assembly 100 is configured to securely secure one or more conduits. Conduits may be pipes, tubes, hoses, or the like. The diameters of the conduits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도관-구속 클립 조립체들(100)은, 예를 들어 사출 성형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대안적으로, 도관-구속 클립 조립체들(100)은, 고무 또는 다른 탄성중합체 재료들, 금속, 또는 이와 유사한 것과 같은, 다양한 다른 재료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부가적으로, 도관-구속 클립 조립체(100)는, 예를 들어, 사출 성형 플라스틱의 일체형 단일 부품으로서, 일체형으로 성형되고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도관-구속 클립 조립체들(100)은, 이상에 언급된 바와 같은 재료들 중의 하나 초과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Conduit-retaining clip assemblies 100 may be formed, for example, from injection molded plastic. Alternatively, the conduit-retaining clip assemblies 100 may be formed from a variety of other materials, such as rubber or other elastomeric materials, metal, or the like. Additionally, the conduit-retaining clip assemblies 100 may be integrally molded and formed, for example, as an integral single piece of injection molded plastic, or the conduit-retaining clip assemblies 100 may be as follows: It may be formed from more than one of the materials as mentioned.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도관 리테이너들(110) 내부에 도관들(108)을 구속하는 도관-구속 클립 조립체(100)의 정면측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관-구속 클립 조립체(100)는, 각각 별개의 도관(108)을 구속하는, 2개의 도관 리테이너(110)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도관-구속 클립 조립체(100)는, 단일 도관 리테이너(110)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다른 실시예에서, 도관-구속 클립 조립체(100)는, 3개 이상의 도관 리테이너(110)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3 show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conduit-restraint clip assembly 100 securing conduits 108 within conduit retainers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s shown, the conduit-restraint clip assembly 100 includes two conduit retainers 110, each retaining a separate conduit 108. Optionally, the conduit-retaining clip assembly 100 may include a single conduit retainer 110. In at least one other embodiment, the conduit-retaining clip assembly 100 may include three or more conduit retainers 110.

각 도관 리테이너(110)는, 베이스(112) 및, 베이스(112)에 일체형으로 연결되며 약간의 탄성을 갖는, 베이스(112)로부터 연장되는, 대향하는 측벽들(114a, 114b)을 구비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들(114a, 114b)은, 대략 베이스(112)에 수직일 수 있을 것이다. 구속 챔버(116)가, 베이스(112)와 측벽들(114a, 114b)의 내측 표면들 사이에 한정된다. 제1 구속 아암(118)이, 베이스(112)로부터 멀게 위치하게 되는, 측벽(114a)의 자유단(120)에 선회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 구속 아암(122)이, 베이스(112)로부터 멀게 위치하게 되는, 측벽(114b)의 자유단(124)에 선회 가능하게 결합된다. Each conduit retainer 110 has a base 112 and opposing side walls 114a, 114b extending from the base 112 that are integrally connected to the base 112 and have some elasticity. As shown, sidewalls 114a, 114b may be approximately perpendicular to base 112. A confinement chamber 116 is defined between the base 112 and the inner surfaces of the side walls 114a, 114b. The first restraining arm 118 is pivotably coupled to the free end 120 of the side wall 114a, which is located away from the base 112. The second restraining arm 122 is pivotably coupled to the free end 124 of the side wall 114b, which is positioned away from the base 112.

제1 구속 아암(118)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관(108)이 구속 챔버(116) 내부에 확고하게 구속될 때, 측벽(114a)과 대략 평행하게 놓일 수 있는 측방 빔(126)을 구비한다. 측방 빔(126)은, 도관(108)의 외측 표면에 대해 접경하도록 구성되는 내측 표면(128), 및 내측 표면(128) 반대편에서 측벽(114a)을 향해 지향되는 외측 표면(130)을 구비한다. 중심설정 핑거(132)가, 외측 표면(130)으로부터 외향으로 그리고 하향으로 연장되며, 그리고 약간의 탄성을 갖는다. 중심설정 핑거(132)는, 외측 표면(130)으로부터 각도를 이루어 외향으로 그리고 하향으로 연장되는 기저부(134), 및 측벽(114a)의 내측 표면(138)과 접경하도록 구성되는 원위측 팁(136)을 구비한다. The first confinement arm 118 has a lateral beam 126 that can lie approximately parallel to the side wall 114a when the conduit 108 is securely constrained within the confinement chamber 116, as shown in FIG. ) is provided. The lateral beam 126 has an inner surface 128 configured to abut against the outer surface of the conduit 108 and an outer surface 130 that is directed opposite the inner surface 128 toward the side wall 114a. . Centering fingers 132 extend outwardly and downwardly from the outer surface 130 and have some elasticity. Centering fingers 132 have a base 134 extending outwardly and downwardly at an angle from outer surface 130 and a distal tip 136 configured to abut inner surface 138 of side wall 114a. ) is provided.

측방 빔(126)은, 자유단(120) 근처에서 측벽(114a)에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140)에 연결된다. 제1 구속 아암(118)은, 힌지(140)를 통해 측벽(114a)에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로 인해 제1 구속 아암(118)이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선회하는 것이 허용된다. 힌지(140)는, 결국, 측방 빔(126)에 대략 수직일 수 있는, 속박 빔(142)에 연결된다. 속박 빔(142)은, 도관(108)의 (위쪽 절반과 같은) 일부분 위에서, 제2 구속 아암(122)을 향해 연장된다. (핑거, 탭, 스터드, 미늘(barb), 걸쇠, 또는 이와 유사한 것과 같은) 잠금 돌기(144)가, 속박 빔(142)의 원위 단부(146)로부터 연장된다. 확고한 구속 위치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돌기(144)는, 제2 구속 아암(122)의 일부분 내부에서 확고하게 구속된다. The side beam 126 is connected to a hinge 140 that is pivotally coupled to the side wall 114a near the free end 120. The first restraining arm 118 is pivotally coupled to the side wall 114a via a hinge 140, which allows the first restraining arm 118 to pivot between the open and closed positions. Hinges 140 are connected to confinement beams 142 , which may in turn be approximately perpendicular to lateral beams 126 . Confinement beam 142 extends over a portion (such as the top half) of conduit 108 toward second confinement arm 122 . A locking protrusion 144 (such as a finger, tab, stud, barb, latch, or the like) extends from the distal end 146 of the constraining beam 142. In the secure locking position, the locking protrusion 144 is securely locked inside a portion of the second locking arm 122, as shown in FIG.

제2 구속 아암(12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관(108)이 구속 챔버(116) 내부에 확고하게 구속될 때, 측벽(114b)과 대략 평행하게 놓일 수 있는 측방 빔(148)을 구비한다. 측방 빔(148)은, 도관(108)의 외측 표면에 대해 접경하도록 구성되는 내측 표면(150), 및 내측 표면(150) 반대편에서 측벽(114b)을 향해 지향되는 외측 표면(152)을 구비한다. 중심설정 핑거(154)가, 외측 표면(152)으로부터 외향으로 그리고 하향으로 연장된다. 중심설정 핑거(154)는, 외측 표면(152)으로부터 각도를 이루어 외향으로 그리고 하향으로 연장되는 기저부(156), 및 측벽(114b)의 내측 표면(160)과 접경하도록 구성되는 원위측 팁(158)을 구비한다. The second confinement arm 122 has a lateral beam 148 that can lie approximately parallel to the side wall 114b when the conduit 108 is securely constrained inside the confinement chamber 116, as shown in FIG. ) is provided. The lateral beam 148 has an inner surface 150 configured to abut against the outer surface of the conduit 108, and an outer surface 152 directed toward the side wall 114b opposite the inner surface 150. . Centering fingers 154 extend outwardly and downwardly from outer surface 152. Centering fingers 154 have a base 156 extending outwardly and downwardly at an angle from outer surface 152 and a distal tip 158 configured to abut inner surface 160 of side wall 114b. ) is provided.

측방 빔(148)은, 자유단(124) 근처에서 측벽(114b)에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162)에 연결된다. 제2 구속 아암(122)은, 힌지(162)를 통해 측벽(114b)에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로 인해 제2 구속 아암(122)이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선회하는 것이 허용된다. 힌지(162)는, 결국, 측방 빔(148)에 대략 수직일 수 있는, 속박 하우징(166)에 연결된다. 속박 하우징(166)은, 도관(108)의 (반대편 위쪽 절반과 같은) 일부분 위에서, 제1 구속 아암(118)을 향해 연장된다. 속박 하우징(166)은, 제1 구속 아암(118)의 잠금 돌기(144)가 그 내부에 확고하게 구속되는, 내부 챔버(168)를 한정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속 아암(118) 및 제2 구속 아암(122)은, 도관(108) 위를 폐쇄한다. 폐쇄된 확고한 구속 위치에서, 잠금 돌기(144)는, 도관(108) 위에서 제1 구속 아암(118)과 제2 구속 아암(122)을 함께 확고하게 잠금 고정하기 위해, 속박 하우징(166)의 내부 챔버(168) 내로 연장된다. 예를 들어, 잠금 돌기(144)는, 내부 챔버(168) 내부에서 속박 하우징(166)의 일부분 상에 걸릴 수 있을 것이다. 확고한 구속 위치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위측 팁과 같은) 잠금 돌기(144)의 일부분이, 속박 하우징(166)의 내부 챔버(168)에서 확고하게 구속된다. 도관(108)은, 잠금 고정된 잠금 돌기(144) 및 속박 하우징(166) 아래의, 구속 챔버(116) 내부에서 확고하게 속박된다. The side beam 148 is connected to a hinge 162 that is pivotally coupled to the side wall 114b near the free end 124. The second restraint arm 122 is pivotably coupled to the side wall 114b via a hinge 162, thereby allowing the second restraint arm 122 to pivot between the open and closed positions. Hinges 162 are connected to a constraint housing 166 , which may in turn be approximately perpendicular to the lateral beams 148 . Constraint housing 166 extends over a portion (such as the opposite upper half) of conduit 108 toward first constraint arm 118 . Constraint housing 166 defines an internal chamber 168 within which the locking protrusion 144 of first restraint arm 118 is securely constrained. As shown, first restraining arm 118 and second restraining arm 122 close over conduit 108. In the closed, secure restraint position, the locking protrusion 144 is positioned on the interior of the restraint housing 166 to securely lock the first restraint arm 118 and the second restraint arm 122 together over the conduit 108. extends into chamber 168. For example, locking protrusion 144 may be caught on a portion of restraint housing 166 within interior chamber 168. In the secure restraint position, a portion of the locking protrusion 144 (such as the distal tip) is securely restrained in the inner chamber 168 of the restraint housing 166, as shown in FIG. 3 . The conduit 108 is securely constrained within the constraint chamber 116, beneath the constraint housing 166 and the locking protrusion 144.

부가적으로, 가요성 및 탄력적 구속 갈퀴(170)가, 도관(108)의 제1 절반부 아래에서 측벽(114a)으로부터 구속 챔버(116) 내로 내향으로 연장될 수 있는 가운데, 가요성 및 탄력적 구속 갈퀴(172)가, 도관(108)의 반대편 제2 절반부 아래에서 측벽(114b)으로부터 구속 챔버(116) 내로 내향으로 연장될 수 있을 것이다. 갈퀴들(170, 172)은 각각, 가요성 연장 빔(174) 및, 자유단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너브(nub)(176)를 구비한다. 너브들(176)은, 도관(108)의 하부 표면들과 접경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너브들(176)은, 도관(108) 내에 형성되는 (리세스들과 같은) 상보적 특징부들 내부에 구속되도록 구성되고, 그로 인해 구속 챔버(116) 내부에서 도관(108)을 축 방향으로 그리고 회전 방향으로 구속하도록 한다. Additionally, flexible and resilient confinement prongs 170 may extend inwardly from side wall 114a beneath the first half of conduit 108 into confinement chamber 116. A prong 172 may extend inwardly from side wall 114b under the opposite second half of conduit 108 into confinement chamber 116 . The prongs 170, 172 each have a flexible extending beam 174 and a nub 176 (as shown in Figure 4) at its free end. Nubs 176 may be configured to abut lower surfaces of conduit 108 . In at least one embodiment, the nubs 176 are configured to be constrained within complementary features (such as recesses) formed within the conduit 108, thereby constraining the conduit (such as recesses) within the confinement chamber 116. 108) in the axial direction and in the rotational direction.

비록 2개의 별개의 구속 갈퀴가 도시되지만,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가요성이고 탄력적이며 그리고 측벽들(114a, 114b) 사이에서 연장되는, 하나의 구속 갈퀴가 제공될 수도 있을 것이다. Although two separate restraining prongs are shown,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an alternative embodiment, a single restraining prong may be provided, which is flexible and resilient and extends between the side walls 114a, 114b.

확고한 구속 위치에서, 도관(108)은, 제1 구속 아암(118) 및 제2 구속 아암(122) 아래에서, 그리고 가요성이고 탄력적인 구속 갈퀴들(170, 172) 위에서 확고하게 속박된다. 제1 구속 아암(118) 및 제2 구속 아암(122)의 중심설정 핑거들(132, 154)은, 측벽들(114a, 114b)에 대한 접경을 통해 도관(108) 내로 중심에 위치시키는 힘을 가하고, 그로 인해 도관(108)이 구속 챔버(116) 내부에서 중심에 놓이는 것을 보장하도록 한다. 구속 갈퀴들(170, 172)은, 상이한 형상들 및 크기들의 도관들(108)을 수용하기 위해 상향으로 또는 하향으로 휠 수 있다. 구속 갈퀴들(170, 172)은, 구속 아암들(118, 122)을 향해 도관(108) 내로 구속력을 가한다. 그에 따라, 도관(108)은, 구속 챔버(116) 내부에서, 제1 구속 아암(118), 제2 구속 아암(122), 그리고 구속 갈퀴들(170, 172) 사이에서, 확고하게 구속된다. In the firm restraint position, the conduit 108 is securely restrained under the first restraint arm 118 and second restraint arm 122 and over the flexible and resilient restraint prongs 170, 172. Centering fingers 132, 154 of first restraining arm 118 and second restraining arm 122 exert a centering force into conduit 108 through abutments against side walls 114a, 114b. and thereby ensure that the conduit 108 is centered within the confinement chamber 116. The restraining prongs 170, 172 can bend upward or downward to accommodate conduits 108 of different shapes and sizes. Confining prongs 170, 172 exert a constraining force into conduit 108 towards constraining arms 118, 122. Accordingly, the conduit 108 is securely constrained within the confinement chamber 116 between the first confinement arm 118, the second confinement arm 122, and the confinement prongs 170, 172.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도관 리테이너들(110)을 구비하는 도관-구속 클립 조립체(100)의 (말하자면, 구속 아암들(118, 122)이 개방 위치에 놓인) 개방 위치에서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개방 위치에서, 도관 리테이너들(110)은, 구속 챔버들(116) 내부에 도관들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속 아암(118) 및 제2 구속 아암(122)은, 개별적인 힌지들(140, 162)을 중심으로 개방 위치들로 선회된다. 4 shows a conduit-restraint clip assembly 100 with conduit retainers 110 in an open position (i.e., with restraint arms 118, 122 in the open 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Shows a front view of . In the open position, conduit retainers 110 are configured to receive conduits within confinement chambers 116 . As shown, first restraining arm 118 and second restraining arm 122 are pivoted to open positions about respective hinges 140, 162.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도관-구속 클립 조립체(100)의 개방된 도관 리테이너들(110) 위에 배치되는 도관들(108)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관들(108)이 화살표들(200)의 방향으로 개별적인 제1 구속 아암(118) 및 제2 구속 아암(122)의 측방 빔들(126, 148) 내로 압박됨에 따라, 제1 구속 아암(118) 및 제2 구속 아암(122)은, 힌지들(140, 162)과 측벽들(114a, 114b) 사이의 결합부를 중심으로 폐쇄 위치들을 향해 호들(202) 방향으로 선회한다. 화살표(200)의 방향으로의 도관(108)의 계속되는 압박에 의해, 도관(108)은 구속 갈퀴들(170, 172)에 대해 안착되며, 그리고 제1 구속 아암(118)의 잠금 돌기(144)가 제2 구속 아암(122)의 속박 하우징(166)의 내부 챔버(168) 내로 잠금 고정되고, 그로 인해 도관(108)을 구속 챔버(116) 내부에 고정하도록 한다. 5 shows a front view of conduits 108 disposed over open conduit retainers 110 of a conduit-retaining clip assembly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s the conduits 108 are pressed into the lateral beams 126, 148 of the respective first and second constraining arms 118 and 122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s 200, the first constraining arm 118 and the second restraining arm 122 pivots in arcs 202 towards closed positions about the joint between the hinges 140, 162 and the side walls 114a, 114b. By continued pressing of the conduit 108 in the direction of arrow 200, the conduit 108 is seated against the restraining prongs 170, 172 and the locking protrusion 144 of the first restraining arm 118. is locked into the interior chamber 168 of the restraint housing 166 of the second restraint arm 122, thereby securing the conduit 108 inside the restraint chamber 116.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도관-구속 클립 조립체(100)의 도관 리테이너들(110) 내부에 배치되는 도관들(108)의 구속 위치들에서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구속 위치에서, 도관(108)은 구속 갈퀴들(170, 172)에 대해 지지되며, 그리고 제1 구속 아암(118)의 잠금 돌기(144)는 제2 구속 아암(122)의 속박 하우징(166)의 내부 챔버(168) 내로 잠금 고정되고, 그로 인해 도관(108)을 구속 챔버(116) 내부에 고정하도록 한다. 개별적으로, 제1 구속 아암(118) 및 제2 구속 아암(122)의 중심설정 핑거들(132, 154)은, 개별적인 측벽들(114a, 114b)에 대해 접경한다. 그에 따라, 제1 구속 아암(118) 및 제2 구속 아암(122)은, 동등한 그리고 반대의 중심에 위치시키는 힘들을 도관(108)에 가하고, 그로 인해 도관(108)을 구속 챔버(116) 내부에서 중심에 위치시킨다. 6 shows a front view of conduits 108 at restraint positions disposed within conduit retainers 110 of a conduit-restraint clip assembly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the restraining position, the conduit 108 is supported against the restraining prongs 170, 172, and the locking protrusion 144 of the first restraining arm 118 is aligned with the restraining housing 166 of the second restraining arm 122. is locked into the inner chamber 168, thereby securing the conduit 108 inside the confinement chamber 116. Separately, the centering fingers 132, 154 of the first restraining arm 118 and the second restraining arm 122 abut against respective side walls 114a, 114b. Accordingly, the first confinement arm 118 and the second confinement arm 122 apply equal and opposite centroiding forces to the conduit 108, thereby keeping the conduit 108 inside the confinement chamber 116. placed in the center.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함께 잠금 고정된 제1 구속 아암(118) 및 제2 구속 아암(122)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돌기(144)의 원위 단부(180)가, 속박 하우징(166)의 내부 챔버(168) 내로 확고하게 잠금 고정된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원위 단부(180)가, 속박 하우징(166) 내부의 (톱니들, 걸쇠들, 걸림턱들, 리세스들, 구멍들 및/또는 이와 유사한 것과 같은) 하나 이상의 상보적 고정 부재들(184)과 확고하게 결합되는, (톱니들, 걸쇠들, 래치들 및/또는 이와 유사한 것과 같은) 고정 부재들(182)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복수의 고정 부재들(182 및/또는 184)을 구비함에 의해, 제1 구속 아암(118) 및 제2 구속 아암(122)은, 상이한 형상들 및 크기들의 도관들 위에서 확고하게 잠금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고정 부재들(182 및 184)은, 예를 들어 일방향 맞물림 방식(ratcheting fashion)으로 협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Figure 7 shows a front view of the first restraining arm 118 and the second restraining arm 122 locked toget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s shown, the distal end 180 of the locking protrusion 144 is securely locked into the inner chamber 168 of the restraint housing 166. In at least one embodiment, the distal end 180 has one or more complementary grooves (such as teeth, latches, latches, recesses, holes and/or the like) within the constraint housing 166. It may have fastening members 182 (such as teeth, catches, latches and/or the like) that are securely engaged with the fastening members 184 . By having a plurality of fastening members 182 and/or 184, the first restraining arm 118 and the second restraining arm 122 are configured to securely lock onto conduits of different shapes and sizes. . The fastening members 182 and 184 may be configured to cooperate in, for example, a one-way ratcheting fashion.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도관-구속 클립 조립체(100)는, 도관(108)이 그 내부에 구속되는 구속 챔버(116)를 한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도관 리테이너(110)를 포함한다. 제1 구속 아암(118)은, 도관 리테이너(110)의 제1 부분(예를 들어, 측벽(114a))에 선회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 구속 아암(122)은, 도관 리테이너(110)의 제2 부분(예를 들어, 측벽(114b))에 선회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 구속 아암(118) 및 제2 구속 아암(122)은 각각,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선회하도록 구성된다. 제1 구속 아암(118) 및 제2 구속 아암(122)은, 구속 챔버(116) 내부에 도관(108)을 확고하게 구속하게 위해, 폐쇄 위치에서 함께 잠금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1-7, the conduit-restraint clip assembly 100 includes at least one conduit retainer 110 that defines a conduit chamber 116 within which the conduit 108 is restrained. The first restraining arm 118 is pivotably coupled to a first portion (e.g., side wall 114a) of the conduit retainer 110. The second restraining arm 122 is pivotably coupled to a second portion (e.g., side wall 114b) of the conduit retainer 110. The first restraint arm 118 and the second restraint arm 122 are configured to pivot between an open position and a closed position, respectively. The first restraining arm 118 and the second restraining arm 122 are configured to be locked together in the closed position to securely restrain the conduit 108 within the restraining chamber 116.

비록 도시된 구속 클립 조립체(100)는 구속 갈퀴들(170, 172)을 포함하지만, 본 발명은 구속 갈퀴들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으며, 그리고 도관은, 제1 구속 아암(118) 및 제2 구속 아암(122)에 의해 구속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에, 구속 부재가, 제1 구속 아암(118) 및 제2 구속 아암(122)에 제공될 수 있으며, 그리고 도관은, 제1 구속 아암(118) 및 제2 구속 아암(122) 그리고 구속 부재에 의해, 구속 챔버 내에 구속될 수 있다. 구속 부재는, 예를 들어, 각각의 구속 아암에 제공되는 가요성이고 탄력적인 구속 갈퀴일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illustrated restraining clip assembly 100 includes restraining prongs 170, 172, the present invention may not include restraining prongs, and the conduit includes first restraining arm 118 and second restraining arm 118. It may be redeemed by (122). In this case, a restraining member may be provided on the first restraining arm 118 and the second restraining arm 122, and the conduit may be provided on the first restraining arm 118 and the second restraining arm 122 and the restraining arm 122. By means of the member, it can be confined within the confinement chamber. The restraining member may be, for example, a flexible and resilient restraining prong provided on each restraining arm.

측방 빔들 및 중심설정 핑거들은 각각, 도관을 신뢰할 수 있게 구속하도록 하기 위해, 약간의 탄성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The lateral beams and centering fingers may each have some elasticity to ensure reliable restraint of the conduit.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As described here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

하나 이상의 도관을 확고하고 효과적으로 구속하도록 구성되는, 도관-구속 클립 조립체를 제공한다. 도관-구속 클립 조립체는, 하나 이상의 도관을 회전에 관해 억제하는, 하나 이상의 도관 리테이너를 포함한다. A conduit-restraint clip assembly is provided, configured to securely and effectively restrain one or more conduits. The conduit-restraint clip assembly includes one or more conduit retainers that restrain one or more conduits against rotation.

비록 상부, 하부, 하측, 중간, 측방, 수평, 수직, 전방 및 이와 유사한 것과 같은, 다양한 공간적 및 방향적 용어들이,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그러한 용어들은 단지 도면에 도시되는 배향들과 관련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배향들은, 상측 부분이 하측 부분이도록, 그리고 그 반대도 가능하도록, 수직이 수평이 되도록, 그리고 이와 유사한 것도 가능하도록, 반전되거나, 회전되거나, 또는 달리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various spatial and directional terms, such as top, bottom, lower, middle, lateral, horizontal, vertical, front, and the like, may be used to describ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such terms are only shown in the drawings. It is understood that it is used in relation to orientations. The orientations may be reversed, rotated, or otherwise altered such that the upper portion is the lower portion and vice versa, the vertical is horizontal, and the like.

상기한 것에 대한 변형들 및 수정들이 본 개시의 범위 이내에 놓인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고 한정되는 실시예들은, 문맥 및/또는 도면으로부터 언급된 또는 명백한 2 이상의 개별적인 특징들의 모든 대안적인 조합들로 확장된다는 것이 이해된다. 모든 이러한 상이한 조합들은, 본 개시의 다양한 대안적인 양태들을 구성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개시를 실행하기 위해 공지되는 그리고 당업자가 본 개시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할, 최상의 모드들을 설명한다. 청구항들은, 종래기술에 의해 허용되는 범위까지 대안적인 실시예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Variations and modifications to the above are within the scope of this disclosure. It is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isclosed and defined herein extend to all alternative combinations of two or more individual features mentioned or apparent from the context and/or drawings. All these different combinations constitute various alternative aspec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describe the best modes known for carrying out the disclosure and will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utilize the disclosure. The claims should be construed to include alternative embodiments to the extent permitted by the prior art.

첨부되는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범위에서, 용어들 "구비하는" 및 "그 내부에"는, 개별적인 용어 "포함하는" 및 "여기서"의 쉬운 영어 균등형으로서 사용된다. 더불어, 뒤따르는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범위에서, 용어들 "제1", "제2" 및 "제3" 등은 단지, 표식들로서 사용되며, 그리고 그들의 대상들에 관해 수치적 요건을 부과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추가로, 뒤따르는 청구범위의 한정들은, 그러한 청구범위 한정들이, 추가적인 구조에 대한 기능 서술 공간이 뒤따르게 되는, 문구 "~위한 수단"을 표현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한, 수단 플러스 기능 형태로 쓰여지지 않으며 그리고 35 U.S.C. § 112(f)에 기초하여 해석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To the extent used in the appended claims, the terms “comprising” and “in” are used as plain English equivalents of the individual terms “comprising” and “wherein.” Moreover, to the extent used in the claims that follow, the terms "first", "second" and "third" etc. are used merely as denotations and are intended to impose numerical requirements on their objects. It doesn't work. Additionally, the limitations of the claims that follow are written in the form of means plus function, unless such claim limitations make expressive use of the phrase “means for,” followed by a functional predicate space for additional structures. and 35 U.S.C. It is not intended to be construed based on § 112(f).

본 개시의 다양한 특징들이, 뒤따르는 청구항들에 기술된다.Various features of the present disclosure are set forth in the claims that follow.

Claims (17)

도관-구속 클립 조립체로서:
도관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구속 챔버를 한정하는 도관 리테이너;
상기 도관 리테이너의 제1 부분에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구속 아암; 및
상기 도관 리테이너의 제2 부분에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구속 아암으로서, 상기 제1 구속 아암 및 상기 제2 구속 아암은 각각,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선회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구속 아암 및 상기 제2 구속 아암은, 상기 구속 챔버 내부에 도관을 확고하게 고정하기 위해 폐쇄 위치에서 함께 잠금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인, 제2 구속 아암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구속 아암은 제1 중심설정 핑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중심설정 핑거는 상기 제1 구속 아암의 외측 표면으로부터 각도를 이루어 외향으로 그리고 하향으로 연장되는 제1 기저부 및 폐쇄 위치에서 상기 제1 부분의 내측 표면과 접경하도록 구성되는 제1 원위측 팁을 포함하며,
상기 제2 구속 아암은 제2 중심설정 핑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중심설정 핑거는 상기 제2 구속 아암의 외측 표면으로부터 각도를 이루어 외향으로 그리고 하향으로 연장되는 제2 기저부 및 상기 폐쇄 위치에서 상기 제2 부분의 내측 표면과 접경하도록 구성되는 제2 원위측 팁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중심설정 핑거 및 상기 제2 중심설정 핑거는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에 대한 접경을 통해 상기 도관 내로 중심에 위치시키는 힘을 가하고, 그로 인해, 상기 도관이 상기 구속 챔버 내부에서 중심에 놓이는 것을 보장하는 것인, 도관-구속 클립 조립체.
As a conduit-restraint clip assembly:
a conduit retainer defining a confinement chamber configured to receive the conduit;
a first restraining arm pivotally coupled to the first portion of the conduit retainer; and
a second restraining arm pivotally coupled to the second portion of the conduit retainer, wherein the first restraining arm and the second restraining arm are each configured to pivot between an open position and a closed position, the first restraining arm and the second restraining arm, wherein the second restraining arm is configured to be locked together in a closed position to securely secure the conduit within the restraining chamber.
Including,
The first constraining arm includes a first centering finger, the first centering finger having a first base extending outwardly and downwardly at an angle from an outer surface of the first constraining arm and in a closed position the first pivoting finger. 1 comprising a first distal tip configured to abut the medial surface of the portion;
The second constraining arm includes a second centering finger, the second centering finger having a second base extending outwardly and downwardly at an angle from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constraining arm and in the closed position the second pivoting finger. comprising a second distal tip configured to abut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portion;
The first centering finger and the second centering finger apply a centering force into the conduit through abutments to the first portion and the second portion, thereby causing the conduit to be positioned within the confinement chamber. A conduit-restraint clip assembly ensuring center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관 리테이너는, 제1 측벽 및 제2 측벽에 일체형으로 연결되는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구속 챔버는, 상기 베이스 그리고 상기 제1 측벽 및 상기 제2 측벽 사이에 한정되거나 상기 도관-구속 클립 조립체가 형상과 크기가 상이한 도관에 사용되도록 구성되는 것인, 도관-구속 클립 조립체.
According to clause 1,
The conduit retainer includes a base integrally connected to a first side wall and a second side wall, wherein the confinement chamber is defined between the base and the first side wall and the second side wall or where the conduit-constraint clip assembly is defined. A conduit-restraint clip assembly configured for use on conduits of different shapes and sizes.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도관 리테이너의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제1 측벽을 구비하며, 그리고 상기 도관 리테이너의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2 측벽을 구비하고, 그리고 상기 제1 구속 아암은, 상기 제1 측벽에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며, 그리고 상기 제2 구속 아암은, 상기 제2 측벽에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인, 도관-구속 클립 조립체.
According to clause 2,
the first portion of the conduit retainer has a first side wall, and the second portion of the conduit retainer has a second side wall, and the first restraining arm is pivotable on the first side wall. and wherein the second restraining arm is pivotably coupled to the second sidewall.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속 아암은,
도관의 외측 표면에 대해 접경하도록 구성되는 제1 내측 표면 및 상기 제1 내측 표면 반대편의 제1 외측 표면을 구비하는, 제1 측방 빔;
상기 도관 리테이너의 상기 제1 부분에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며 그리고 상기 제1 측방 빔에 연결되는, 제1 힌지;
상기 제1 힌지에 연결되며 그리고 상기 제1 측방 빔에 고정되는, 속박 빔; 및
상기 속박 빔의 원위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잠금 돌기
를 포함하는 것인, 도관-구속 클립 조립체.
According to clause 3,
The first restraint arm is,
a first lateral beam having a first interior surface configured to abut against an exterior surface of the conduit and a first exterior surface opposite the first interior surface;
a first hinge pivotally coupled to the first portion of the conduit retainer and connected to the first lateral beam;
a confinement beam connected to the first hinge and secured to the first lateral beam; and
A locking protrusion extending from the distal end of the confinement beam.
A conduit-restraint clip assembly comprising: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속 아암은,
도관의 외측 표면에 대해 접경하도록 구성되는 제2 내측 표면 및 상기 제2 내측 표면 반대편의 제2 외측 표면을 구비하는, 제2 측방 빔;
상기 도관 리테이너의 상기 제2 부분에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며 그리고 상기 제2 측방 빔에 연결되는, 제2 힌지; 및
상기 제2 힌지에 연결되며 그리고 상기 제2 측방 빔에 고정되는, 속박 하우징으로서, 속박 하우징은, 폐쇄 위치에서 상기 잠금 돌기가 그 내부에 확고하게 구속되도록 구성되는, 내부 챔버를 한정하는 것인, 속박 하우징
을 포함하는 것인, 도관-구속 클립 조립체.
According to clause 4,
The second restraint arm is,
a second lateral beam having a second interior surface configured to abut against an exterior surface of the conduit and a second exterior surface opposite the second interior surface;
a second hinge pivotally coupled to the second portion of the conduit retainer and connected to the second lateral beam; and
a constraint housing connected to the second hinge and secured to the second lateral beam, the constraint housing defining an internal chamber configured to securely constrain the locking protrusion therein in a closed position, bondage housing
A conduit-restraint clip assembly comprising: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돌기의 원위 단부가, 폐쇄 위치에서 상기 속박 하우징의 상기 내부 챔버 내부의 적어도 하나의 제2 고정 부재에 확고하게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고정 부재를 구비하는 것인, 도관-구속 클립 조립체.
According to clause 5,
the conduit, wherein the distal end of the locking protrusion has at least one first securing member configured to securely couple to at least one second securing member inside the inner chamber of the constraining housing in a closed position - Restraint clip assembly.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저부는 상기 제1 측방 빔의 외측 표면으로부터 각도를 이루어 외향으로 그리고 하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원위측 팁은 상기 제1 측벽의 내측 표면에 접경하며,
상기 제2 기저부는 상기 제2 측방 빔의 외측 표면으로부터 각도를 이루어 외향으로 그리고 하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원위측 팁은 상기 제2 측벽의 내측 표면에 접경하는 것인, 도관-구속 클립 조립체.
According to claim 5,
the first base extends outwardly and downwardly at an angle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lateral beam, and the first distal tip abuts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side wall,
wherein the second base extends outwardly and downwardly at an angle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lateral beam, and the second distal tip abuts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side wall. .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개별적으로 상기 도관 리테이너의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으로부터 상기 구속 챔버 내로 내향으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 구속 갈퀴를 더 포함하고, 제1 및 제2 구속 갈퀴는 가요성이고 탄력적인 것인, 도관-구속 클립 조립체.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further comprising first and second constraining prongs extending inwardly into the constraining chamber from the first portion and the second portion of the conduit retainer, respectively,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constraining prongs are flexible and resilient. A conduit-restraint clip assembly.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속 아암 및 상기 제2 구속 아암 그리고 상기 제1 구속 갈퀴 및 상기 제2 구속 갈퀴는, 그들 사이에서 도관을 확고하게 속박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도관-구속 클립 조립체.
According to clause 8,
wherein the first restraining arm and the second restraining arm and the first restraining prong and the second restraining prong are configured to securely restrain the conduit therebetween.
도관-구속 클립 조립체로서:
도관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구속 챔버를 한정하는 도관 리테이너;
상기 도관 리테이너의 제1 부분에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구속 아암으로서, 제1 중심설정 핑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중심설정 핑거는 상기 제1 구속 아암의 외측 표면으로부터 각도를 이루어 외향으로 그리고 하향으로 연장되는 제1 기저부 및 폐쇄 위치에서 상기 제1 부분의 내측 표면과 접경하도록 구성되는 제1 원위측 팁을 포함하는 것인, 제1 구속 아암;
상기 도관 리테이너의 제2 부분에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구속 아암으로서, 상기 제2 구속 아암은 제2 중심설정 핑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중심설정 핑거는 상기 제2 구속 아암의 외측 표면으로부터 각도를 이루어 외향으로 그리고 하향으로 연장되는 제2 기저부 및 상기 폐쇄 위치에서 상기 제2 부분의 내측 표면과 접경하도록 구성되는 제2 원위측 팁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구속 아암 및 상기 제2 구속 아암은 각각,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선회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구속 아암 및 상기 제2 구속 아암은, 상기 구속 챔버 내부에 도관을 확고하게 고정하기 위해 상기 폐쇄 위치에서 함께 잠금 고정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중심설정 핑거 및 상기 제2 중심설정 핑거는, 상기 구속 챔버 내부에서 도관을 중심에 위치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중심설정 핑거 및 상기 제2 중심설정 핑거는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에 대한 접경을 통해 상기 도관 내로 중심에 위치시키는 힘을 가하고, 그로 인해, 상기 도관이 상기 구속 챔버 내부에서 중심에 놓이는 것을 보장하는 것인, 제2 구속 아암; 및
개별적으로 상기 도관 리테이너의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으로부터 상기 구속 챔버 내로 내향으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 구속 갈퀴로서, 상기 제1 구속 갈퀴 및 상기 제2 구속 갈퀴는 가요성이고 탄력적이고, 상기 제1 구속 아암 및 상기 제2 구속 아암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구속 갈퀴는 그들 사이에 도관을 확고하게 속박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제1 및 제2 구속 갈퀴
를 포함하는 것인, 도관-구속 클립 조립체.
As a conduit-restraint clip assembly:
a conduit retainer defining a confinement chamber configured to receive the conduit;
A first restraining arm pivotably coupled to the first portion of the conduit retainer, comprising first centering fingers, the first centering fingers being angled outwardly and at an angle from an outer surface of the first restraining arm. a first constraining arm comprising a first base extending downwardly and a first distal tip configured to abut an inner surface of the first portion in a closed position;
A second restraining arm pivotally coupled to the second portion of the conduit retainer, the second restraining arm comprising a second centering finger, the second centering finger extending from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restraining arm. a second base extending at an angle outwardly and downwardly and a second distal tip configured to abut an inner surface of the second portion in the closed position, the first and second constraining arms comprising: are configured to pivot between an open position and a closed position, respectively, wherein the first restraining arm and the second restraining arm are configured to be lockable together in the closed position to securely secure the conduit within the restraining chamber; , the first centering finger and the second centering finger are configured to center the conduit within the confinement chamber, and the first centering finger and the second centering finger are configured to center the conduit within the confinement chamber, the first centering finger and the second centering finger a second restraining arm that applies a centering force into the conduit through an abutment to the second portion, thereby ensuring that the conduit is centered within the restraint chamber; and
first and second restraining prongs respectively extending inwardly from the first portion and the second portion of the conduit retainer into the restraining chamber, wherein the first restraining prong and the second restraining prong are flexible and resilient; , wherein the first restraining arm and the second restraining arm and the first and second restraining prongs are configured to securely restrain the conduit therebetween.
A conduit-restraint clip assembly comprising: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도관 리테이너는, 제1 측벽 및 제2 측벽에 일체형으로 연결되는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구속 챔버는, 상기 베이스 그리고 상기 제1 측벽 및 상기 제2 측벽 사이에 한정되는 것인, 도관-구속 클립 조립체.
According to clause 10,
wherein the conduit retainer includes a base integrally connected to the first side wall and the second side wall, and the conduit chamber is defined between the base and the first and second side walls. assembly.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도관 리테이너의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제1 측벽을 구비하며, 그리고 상기 도관 리테이너의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2 측벽을 구비하고, 그리고 상기 제1 구속 아암은, 상기 제1 측벽에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며, 그리고 상기 제2 구속 아암은, 상기 제2 측벽에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인, 도관-구속 클립 조립체.
According to clause 11,
the first portion of the conduit retainer has a first side wall, and the second portion of the conduit retainer has a second side wall, and the first restraining arm is pivotable on the first side wall. and wherein the second restraining arm is pivotably coupled to the second sidewall.
제 10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속 아암은,
도관의 외측 표면에 대해 접경하도록 구성되는 제1 내측 표면 및 상기 제1 내측 표면 반대편의 제1 외측 표면을 구비하는, 제1 측방 빔;
상기 도관 리테이너의 상기 제1 부분에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며 그리고 상기 제1 측방 빔에 연결되는, 제1 힌지;
상기 제1 힌지에 연결되며 그리고 상기 제1 측방 빔에 고정되는, 속박 빔; 및
상기 속박 빔의 원위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잠금 돌기
를 포함하는 것인, 도관-구속 클립 조립체.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0 to 12,
The first restraint arm is,
a first lateral beam having a first interior surface configured to abut against an exterior surface of the conduit and a first exterior surface opposite the first interior surface;
a first hinge pivotally coupled to the first portion of the conduit retainer and connected to the first lateral beam;
a confinement beam connected to the first hinge and secured to the first lateral beam; and
A locking protrusion extending from the distal end of the confinement beam.
A conduit-restraint clip assembly comprising: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속 아암은,
도관의 외측 표면에 대해 접경하도록 구성되는 제2 내측 표면 및 상기 제2 내측 표면 반대편의 제2 외측 표면을 구비하는, 제2 측방 빔;
상기 도관 리테이너의 상기 제2 부분에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며 그리고 상기 제2 측방 빔에 연결되는, 제2 힌지; 및
상기 제2 힌지에 연결되며 그리고 상기 제2 측방 빔에 고정되는, 속박 하우징으로서, 속박 하우징은, 폐쇄 위치에서 상기 잠금 돌기가 그 내부에 확고하게 구속되도록 구성되는, 내부 챔버를 한정하는 것인, 속박 하우징
을 포함하는 것인, 도관-구속 클립 조립체.
According to clause 13,
The second restraint arm is,
a second lateral beam having a second interior surface configured to abut against an exterior surface of the conduit and a second exterior surface opposite the second interior surface;
a second hinge pivotally coupled to the second portion of the conduit retainer and connected to the second lateral beam; and
a constraint housing connected to the second hinge and secured to the second lateral beam, the constraint housing defining an internal chamber configured to securely constrain the locking protrusion therein in a closed position, bondage housing
A conduit-restraint clip assembly comprising: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돌기의 원위 단부가, 폐쇄 위치에서 상기 속박 하우징의 상기 내부 챔버 내부의 적어도 하나의 제2 고정 부재에 확고하게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고정 부재를 구비하는 것인, 도관-구속 클립 조립체.
According to clause 14,
the conduit, wherein the distal end of the locking protrusion has at least one first securing member configured to securely couple to at least one second securing member inside the inner chamber of the constraining housing in a closed position - Restraint clip assembly.
도관-구속 클립 조립체로서:
도관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구속 챔버를 한정하는 도관 리테이너로서, 상기 도관 리테이너는, 제1 측벽 및 제2 측벽에 일체형으로 연결되는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구속 챔버는, 상기 베이스 그리고 상기 제1 측벽 및 상기 제2 측벽 사이에 한정되는 것인, 도관 리테이너;
상기 제1 측벽에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구속 아암으로서, 상기 제1 구속 아암은, 도관의 외측 표면에 대해 접경하도록 구성되는 제1 내측 표면 및 상기 제1 내측 표면 반대편의 제1 외측 표면을 구비하는, 제1 측방 빔, 상기 도관 리테이너의 제1 부분에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며 그리고 상기 제1 측방 빔에 연결되는, 제1 힌지, 상기 제1 힌지에 연결되며 그리고 상기 제1 측방 빔에 고정되는, 속박 빔, 상기 속박 빔의 원위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잠금 돌기, 및 제1 중심설정 핑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중심설정 핑거는 상기 제1 측방 빔의 외측 표면으로부터 각도를 이루어 외향으로 그리고 하향으로 연장되는 제1 기저부 및 폐쇄 위치에서 상기 제1 측벽의 내측 표면과 접경하도록 구성되는 제1 원위측 팁을 포함하는 것인, 제1 구속 아암;
상기 제2 측벽에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구속 아암으로서, 상기 제2 구속 아암은, 도관의 외측 표면에 대해 접경하도록 구성되는 제2 내측 표면 및 상기 제2 내측 표면 반대편의 제2 외측 표면을 구비하는, 제2 측방 빔, 상기 도관 리테이너의 제2 부분에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며 그리고 상기 제2 측방 빔에 연결되는, 제2 힌지, 상기 제2 힌지에 연결되며 그리고 상기 제2 측방 빔에 고정되는, 속박 하우징으로서, 속박 하우징은 내부 챔버를 한정하는 것인, 속박 하우징, 및 제2 중심설정 핑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중심설정 핑거는 상기 제2 측방 빔의 외측 표면으로부터 각도를 이루어 외향으로 그리고 하향으로 연장되는 제2 기저부 및 상기 폐쇄 위치에서 상기 제2 측벽의 내측 표면과 접경하도록 구성되는 제2 원위측 팁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구속 아암 및 상기 제2 구속 아암은 각각,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선회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구속 아암 및 상기 제2 구속 아암은, 상기 구속 챔버 내부에 도관을 확고하게 고정하기 위해 폐쇄 위치에서 함께 잠금 고정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잠금 돌기는, 폐쇄 위치에서, 상기 내부 챔버 내에 확고하게 구속되도록 구성되며, 그리고 상기 제1 중심설정 핑거 및 상기 제2 중심설정 핑거는, 상기 구속 챔버 내부에서 도관을 중심에 위치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중심설정 핑거 및 상기 제2 중심설정 핑거는 상기 제1 측벽 및 상기 제2 측벽에 대한 접경을 통해 상기 도관 내로 중심에 위치시키는 힘을 가하고, 그로 인해, 상기 도관이 상기 구속 챔버 내부에서 중심에 놓이는 것을 보장하는 것인, 제2 구속 아암; 및
개별적으로 상기 도관 리테이너의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으로부터 상기 구속 챔버 내로 내향으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 가요성이고 탄력적인 구속 갈퀴로서, 상기 제1 구속 갈퀴 및 상기 제2 구속 갈퀴는 가요성이고 탄력적이고, 상기 제1 구속 아암 및 상기 제2 구속 아암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가요성이고 탄력적인 구속 갈퀴는 그들 사이에 도관을 확고하게 속박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제1 및 제2 가요성이고 탄력적인 구속 갈퀴
를 포함하는 것인, 도관-구속 클립 조립체.
As a conduit-restraint clip assembly:
A conduit retainer defining a confinement chamber configured to receive a conduit, the conduit retainer comprising a base integrally connected to a first side wall and a second side wall, the confinement chamber comprising: the base and the first side wall and a conduit retainer defined between the second side walls;
A first restraining arm pivotably coupled to the first sidewall, the first restraining arm comprising: a first interior surface configured to abut against an exterior surface of the conduit and a first exterior surface opposite the first interior surface; a first lateral beam, pivotally coupled to the first portion of the conduit retainer and connected to the first lateral beam, a first hinge connected to the first hinge and secured to the first lateral beam. comprising a confinement beam, a locking protrusion extending from a distal end of the confinement beam, and a first centering finger, the first centering finger being angled outwardly and downwardly from an outer surface of the first lateral beam. a first restraining arm comprising a first base extending to and a first distal tip configured to abut an inner surface of the first side wall in a closed position;
A second constraining arm pivotably coupled to the second side wall, the second constraining arm comprising: a second interior surface configured to abut against an exterior surface of the conduit and a second exterior surface opposite the second interior surface; a second side beam, pivotally coupled to the second portion of the conduit retainer and connected to the second side beam, a second hinge connected to the second hinge and secured to the second side beam. A confinement housing comprising: a confinement housing defining an interior chamber, and a second centering finger, the second centering finger being angled outwardly from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lateral beam. a second base extending upwardly and downwardly and a second distal tip configured to abut an inner surface of the second side wall in the closed position, wherein the first constraining arm and the second constraining arm are each in an open position. configured to pivot between a closed position and a closed position, wherein the first restraining arm and the second restraining arm are configured to lock together in the closed position to securely secure the conduit within the restraining chamber, wherein the locking protrusion is configured to: , in a closed position, configured to be securely constrained within the interior chamber, and wherein the first centering finger and the second centering finger are configured to center the conduit within the constraint chamber, wherein the first centering finger is configured to center the conduit within the constraint chamber, The centering finger and the second centering finger apply a centering force into the conduit through an abutment to the first side wall and the second side wall, thereby centering the conduit within the confinement chamber. a second restraint arm that ensures that; and
first and second flexible and resilient restraining prongs extending inwardly from the first portion and the second portion of the conduit retainer, respectively, into the restraining chamber, the first restraining prong and the second restraining prong comprising: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restraining arms and the first and second flexible and resilient restraining prongs are configured to securely restrain the conduit therebetween. 2 Flexible and resilient restraint prongs
A conduit-restraint clip assembly comprising: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돌기의 원위 단부가, 폐쇄 위치에서 상기 속박 하우징의 상기 내부 챔버 내부의 적어도 하나의 제2 고정 부재에 확고하게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고정 부재를 구비하는 것인, 도관-구속 클립 조립체.
According to clause 16,
the conduit, wherein the distal end of the locking protrusion has at least one first securing member configured to securely couple to at least one second securing member inside the inner chamber of the constraining housing in a closed position - Restraint clip assembly.
KR1020180161777A 2017-12-25 2018-12-14 Conduit-retaining clip assembly KR10265729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11420319.XA CN108131495B (en) 2017-12-25 2017-12-25 Catheter retention clip assembly
CN201711420319.X 2017-12-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7222A KR20190077222A (en) 2019-07-03
KR102657291B1 true KR102657291B1 (en) 2024-04-12

Family

ID=62392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1777A KR102657291B1 (en) 2017-12-25 2018-12-14 Conduit-retaining clip assembly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2657291B1 (en)
CN (1) CN108131495B (en)
BR (1) BR102018076799A2 (en)
DE (1) DE102018132279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55835B2 (en) * 2019-01-29 2023-05-23 Illinois Tool Works Inc. Serviceable stud-to-tie strap fastener
CN111336320A (en) * 2020-03-04 2020-06-26 河南中裕燃气工程设计有限公司 Natural gas overhead pipeline street crossing supporting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4403574U (en) * 2014-12-10 2015-06-17 天合(宁波)电子元件紧固装置有限公司 A kind of Novel pipe clamp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36314Y2 (en) * 1975-05-06 1979-11-02
US4591285A (en) * 1985-10-15 1986-05-27 Illinois Tool Works Inc. Rod retainer
JP2002061775A (en) * 2000-08-21 2002-02-28 Mitsui Chemicals Inc Pipe fixing lock
CN101789573A (en) * 2010-03-31 2010-07-28 如皋市凯凯电信器材有限公司 Lever-type leakage cable fixture
FR3000536B1 (en) * 2012-12-27 2015-01-02 Trw Automotive Electron & Comp FASTENING CLIP
US9442349B2 (en) * 2013-12-16 2016-09-13 Carson Optical, Inc. Self-centering mechanism, a clamping device for an electronic device and means for their integra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4403574U (en) * 2014-12-10 2015-06-17 天合(宁波)电子元件紧固装置有限公司 A kind of Novel pipe clam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131495A (en) 2018-06-08
CN108131495B (en) 2020-11-10
KR20190077222A (en) 2019-07-03
BR102018076799A2 (en) 2019-07-09
DE102018132279A1 (en) 2019-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92888B2 (en) Tube holding assembly
US9494258B2 (en) Tube-retaining clip assembly
KR102657291B1 (en) Conduit-retaining clip assembly
US8430365B2 (en) Tube holding block assembly
CN102918283B (en) Vibration-isolating vehicle attachment assembly
US20170030487A1 (en) Captivated clamp
US6216986B1 (en) Clip with flexible locking arms
JP2009038899A (en) Supporting body for corrugate clamp, and corrugate clamp
JPWO2014181405A1 (en) Connector and hook member
JP4907234B2 (en) Means for preventing movement of fluid pipe
JP5869438B2 (en) Connector cover
JP3440689B2 (en) Pipe connection structure
JP4894404B2 (en) Fitting for piping
JP2014241666A (en) Corrugated-tube clamp and wire harness with corrugated-tube clamp
US8203076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JP2005133783A (en) Clip
JP2010112495A (en) Tube shape holder
JP2002206672A (en) Clamp
JP6719223B2 (en) Cross connector
US20220307626A1 (en) Multi-diameter clip
JP2006226382A (en) Quick connector for fuel pipe
JP2007292269A (en) Movement prevention means for fluid conduit
US20220397142A1 (en) Improved holder arrangement comprising a bracket and a spacer, and a manufacturing method for manufacturing a spacer
JP5415188B2 (en) Wiring / Piping Fixture
JP5484767B2 (en) Movement prevention mea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