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7222B1 - 생성형 ai 모델을 활용한 제품별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추천과 처리 자동화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생성형 ai 모델을 활용한 제품별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추천과 처리 자동화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7222B1
KR102657222B1 KR1020230122959A KR20230122959A KR102657222B1 KR 102657222 B1 KR102657222 B1 KR 102657222B1 KR 1020230122959 A KR1020230122959 A KR 1020230122959A KR 20230122959 A KR20230122959 A KR 20230122959A KR 102657222 B1 KR102657222 B1 KR 1026572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vernment
certification
public
product
public ag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22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형석
조창희
이홍재
Original Assignee
(주)유알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알피 filed Critical (주)유알피
Priority to KR1020230122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72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7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72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3Querying
    • G06F16/332Query formulation
    • G06F16/3329Natural language query formulation or dialogue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3Document management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4Architecture, e.g. interconnection topology
    • G06N3/0475Generative netwo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3Workflow collaboration or project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40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41Analysis of document cont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Biophys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echnology Law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성형 AI 모델을 활용한 제품별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추천과 처리 자동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생성형 AI 모델을 통해서 특정 제품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이 무엇인지 추천하고, 해당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필요서류를 자동으로 생성하며, 생성한 서류를 관련 기관에 제출하는 것을 지원하는 생성형 AI 모델을 활용한 제품별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추천과 처리 자동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생성형 AI 모델을 활용한 제품별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추천과 처리 자동화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FOR RECOMMENDING GOVERNMENT AND PUBLIC AGENCY CERTIFICATION AND AUTOMATING PROCESSING FOR EACH PRODUCT USING GENERATIVE AI MODEL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생성형 AI 모델을 활용한 제품별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추천과 처리 자동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생성형 AI 모델을 통해서 특정 제품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이 무엇인지 추천하고, 해당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필요서류를 자동으로 생성하며, 생성한 서류를 관련 기관에 제출하는 것을 지원하는 생성형 AI 모델을 활용한 제품별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추천과 처리 자동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각종 제품의 개발을 수행할 경우, 각 기업측에서는 제품 개발 초기 단계부터 정부 및 공공기관의 인증을 고려하여 제품 개발 일정을 조정하고, 인증 절차를 효율적으로 수행하여야 한다.
일 예로, 제품의 사용에 있어서 위험성을 방지하고,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켜 소비자의 피해를 예방하거나 제품의 신뢰도를 높여 소비자의 선택을 도와주며, 환경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을 높이는 등 소비자의 안전과 건강, 환경 보호를 위해서 안전, 환경, 에너지 등에 관련된 각종 정부 및 공공기관의 인증을 받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개발하고자 하는 제품의 종류, 사용목적, 사용 국가 등에 따라 고려해야 하는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의 종류가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인증을 받는 절차가 복잡한 것은 물론 시간이 오래 소요되고 비용도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제품별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을 위해서 관련 인증기관에 제출하는 서류 작성도 쉽지 않아 전문가에 의한 도움을 받아야 하였으며,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에 필요한 서류를 제출할 때에도 관련 담당자가 해당 인증기관을 일일이 찾아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으로 접수해야 하는 등 매우 불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제품 개발을 수행할 때 제품의 종류, 용도 및 적용 국가 등에 따라 필요한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이 무엇인지를 추천하고, 해당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을 처리하기 위한 필요서류의 자동 생성과 접수를 제공함으로써, 제품 개발과 관련된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처리를 손쉽게 수행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존재하는 선행발명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하고, 이어서 본 발명이 상기 선행발명에 비해서 차별적으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사항에 대해서 기술하고자 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23-0057635호(2023.05.02.)는 기존 개발된 제품, 해당 제품에 대한 상세 구성품, 해당 제품 및 구성품들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로 다른 인증 프로세스 정보, 인증에 필요한 필수 항목 정보 및 인증에 필요한 다양한 문서들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운용자로부터 신규 또는 개조 개발되는 제품명 및 해당 구성품들에 대한 인증 프로세스 정보 요청을 위한 개발 업무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입력되는 개발 업무 정보를 분석하여 인증 프로세스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기 위한 키워드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키워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키워드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증 프로세스 및 인증 프로세스 처리를 위한 필요 문서 및 항목 정보를 추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개발 제품의 인증 프로세스 정보서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에 관한 선행발명이다.
하지만, 본 발명은 개발하고 있는 제품의 종류, 용도 및 적용 국가 등에 따라 필요한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을 추천하고,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처리에 필요한 서류의 자동 생성과 관련 기관 접수를 지원하는 것으로서, 체계 개발 또는 신규 부품 개발에 따른 부분 개조 개발 진행 시, 각 부품들에 대한 품질 또는 인증 문서를 자동으로 제공하는 것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는 상기 한국공개특허 제10-2023-0057635호와 비교해 볼 때, 현저한 구성상 차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기업이나 개인이 개발하고자 하는 각종 제품별 필요한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이 무엇인지를 생성형 AI 모델을 통해서 추천할 수 있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품에 필요한 안전 및 품질, 환경, 에너지 효율, 보건 등의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을 받는데 필요한 서류를 생성형 AI 모델을 통해서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생성형 AI 모델을 통해서 생성한 제품의 종류, 용도 및 적용 국가 등에 따라 받아야 하는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에 필요한 서류를 관련 기관에 자동으로 제출하도록 지원할 수 있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성형 AI 모델을 활용한 제품별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추천과 처리 자동화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신청자 단말로부터 개발 대상 제품 정보를 제공받는 제품 정보 수신부; 상기 수신한 제품 정보를 토대로 해당 제품에 필요한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종류를 추천하는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추천부; 및 상기 추천한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종류를 확인한 상기 신청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특정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에 필요한 신청서류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신청서류 작성부;를 포함하며, 각 제품별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추천과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신청서류의 작성은 생성형 AI 모델을 통해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생성형 AI 모델은, 온라인 및 오프라인을 통해서 수집한 제품의 종류, 용도 및 사용 국가를 포함한 제품 정보와 상기 제품 정보를 토대로 수행된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학습데이터를 학습하여 생성되는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추천용 생성형 AI 모델; 및 온라인 및 오프라인을 통해서 수집한 각 제품별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에 필요한 상기 제품 정보와 상기 제품 정보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신청서류를 포함하는 학습데이터를 학습하여 생성되는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신청서류 작성용 생성형 AI 모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은, 제품이 안전하고 품질이 우수한 것을 평가하는 KC 인증, CE 인증 및 UL 인증을 포함한 안전 및 품질 인증; 제품의 생산, 사용 및 폐기 과정에서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ISO 14001, RoHS 인증 및 REACH 인증을 포함한 환경 인증; 제품의 에너지 효율을 평가하는 에너지소비효율등급 및 에너지관리시스템(EMS) 인증을 포함한 에너지 효율 인증; 제품이 인체에 해를 끼치지 않는다는 것을 평가하는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식품, 의약품 및 화장품에 대한 인증을 포함한 보건 인증; 제품의 특정 기능이나 성능을 평가하는 와이파이 인증, 블루투스 인증 및 NFC 인증을 포함한 기능 및 성능 인증;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품 정보 수신부는, 상기 신청자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텍스트 데이터 또는 문서를 통해서 제품 정보를 확인하며, 상기 제품 정보가 문서로 제공되는 경우, 인공지능 기반의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을 통해서 상기 문서 내의 문자를 추출 및 인식한 다음, 상기 인식한 문자를 의미분석용 딥러닝 모델에 입력하여 제품 정보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추천부는, 상기 신청자 단말로부터 제공받은 제품 정보로부터 대화형 프롬프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프롬프트를 상기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추천용 생성형 AI 모델에 입력하여, 해당 제품에 필요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의 종류를 추출하며, 상기 추출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종류를 해당 제품에 필요한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으로 상기 신청자 단말로 추천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신청서류 작성부는, 상기 제품 정보 수신부를 통해 상기 신청자 단말로부터 제공받은 제품 정보와 상기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추천부에서 추천한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정보를 토대로 대화형 프롬프트를 자동으로 생성하며, 상기 생성한 프롬프트를 상기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신청서류 작성용 생성형 AI 모델에 입력하여, 해당 제품의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에 필요한 신청서류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품별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추천과 처리 자동화 시스템은, 상기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신청서류 작성부를 통해 작성한 특정 제품의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신청서류를 해당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을 담당하는 인증 및 평가기관 서버로 전송하여 특정 제품의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신청을 대행하여 접수하는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신청서류 제출 지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성형 AI 모델을 활용한 제품별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추천과 처리 자동화 방법은, 제품별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추천과 처리 자동화 시스템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신청자 단말로부터 개발 대상 제품 정보를 제공받는 제품 정보 수신 단계; 상기 수신한 제품 정보를 토대로 해당 제품에 필요한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종류를 추천하는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추천 단계; 및 상기 추천한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종류를 확인한 상기 신청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특정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에 필요한 신청서류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신청서류 작성 단계;를 포함하며, 각 제품별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추천과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신청서류의 작성은 생성형 AI 모델을 통해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생성형 AI 모델은, 온라인 및 오프라인을 통해서 수집한 제품의 종류, 용도 및 사용 국가를 포함한 제품 정보와 상기 제품 정보를 토대로 수행된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학습데이터를 학습하여 생성되는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추천용 생성형 AI 모델을 포함하며, 상기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추천 단계는, 상기 제품 정보 수신 단계를 통해 상기 신청자 단말로부터 제공받은 제품 정보로부터 대화형 프롬프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한 프롬프트를 상기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추천용 생성형 AI 모델에 입력하여, 해당 제품에 필요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의 종류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종류를 해당 제품에 필요한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으로 상기 신청자 단말로 추천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생성형 AI 모델은, 온라인 및 오프라인을 통해서 수집한 각 제품별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에 필요한 상기 제품 정보와 상기 제품 정보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신청서류를 포함하는 학습데이터를 학습하여 생성되는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신청서류 작성용 생성형 AI 모델을 포함하며, 상기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신청서류 작성 단계는, 상기 제품 정보 수신 단계를 통해 상기 신청자 단말로부터 제공받은 제품 정보와 상기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추천 단계에서 추천한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정보를 토대로 대화형 프롬프트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한 프롬프트를 상기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신청서류 작성용 생성형 AI 모델에 입력하여, 해당 제품의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에 필요한 신청서류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품별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추천과 처리 자동화 방법은, 상기 제품별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추천과 처리 자동화 시스템에서, 상기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신청서류 작성 단계를 통해 작성한 특정 제품의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신청서류를 해당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을 담당하는 인증 및 평가기관 서버로 전송하여 특정 제품의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신청을 대행하여 접수하는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신청서류 제출 지원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생성형 AI 모델을 활용한 제품별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추천과 처리 자동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따르면, 제품의 종류, 용도 및 적용 국가 등에 따라 받아야 하는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이 무엇인지를 추천하고, 상기 추천한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을 처리하기 위한 필요서류의 자동 생성과 관련 기관으로의 접수를 자동으로 수행함으로써, 인증 처리 프로세스를 개선하는 것은 물론, 인증 처리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전문가에 의한 컨설팅 없이도 인증 처리 업무를 효율화하여 인증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성형 AI 모델을 활용한 제품별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추천과 처리 자동화 시스템을 포함한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별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추천과 처리 자동화 시스템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별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추천과 처리 자동화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성형 AI 모델을 활용한 제품별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추천과 처리 자동화 방법의 동작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제품별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추천 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은 도 4의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신청서류 작성 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성형 AI 모델을 활용한 제품별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추천과 처리 자동화 시스템을 포함한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생성형 AI 모델을 활용한 제품별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추천과 처리 자동화 시스템(100, 이하 제품별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추천과 처리 자동화 시스템이라 함), 신청자 단말(200), 인증 및 평가기관 서버(300), 데이터베이스(40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품별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추천과 처리 자동화 시스템(100)은 서버 컴퓨터, 플랫폼 등을 의미한다.
상기 제품별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추천과 처리 자동화 시스템(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접속을 수행한 신청자 단말(200)로부터 제품 개발에 따른 필요한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의 추천,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에 필요한 서류의 작성 및 대행 접수와 관련된 서비스 요청이 수행되는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결과 서비스 요청을 수행한 상기 신청자 단말(200)로 필요한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의 추천, 신청서류 작성 및 대행 접수를 위하여 제품 정보를 요청하며, 상기 신청자 단말(200)로부터 각종 제품 정보를 제공받는다.
이때 상기 제품 정보는 제품을 구분하는 이름이나 종류, 특징, 성능, 기능, 사양, 생산 회사, 수입 회사, 생산 국가나 지역, 판매 가격, 부피나 중량, 색상, 제품에 포함된 부품이나 구성품, 사용시 주의사항, 보증기간, 서비스 정보 등과 같이 종류, 용도 및 적용 국가 등을 나타내는 각종 정보를 말한다.
또한, 상기 제품 정보는 텍스트 데이터는 물론 각종 문서 형태로 제공받을 수 있으며, 웹 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해서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제품별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추천과 처리 자동화 시스템(100)은 상기 신청자 단말(200)로부터 제공받은 각종 제품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제품에 필요한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의 종류가 무엇인지 추천할 수 있다.
즉, 상기 제품별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추천과 처리 자동화 시스템(100)은 상기 신청자 단말(200)로부터 제공받은 재품 정보를 생성형 AI 모델에 입력하여, 해당 제품이 어느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을 받을 수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일 예로, 신청자가 각종 제품 정보를 제공하면, 상기 제품별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추천과 처리 자동화 시스템(100)은 해당 제품 정보를 포함하는 대화형 프롬프트를 생성(예: 00, 000, 0000 등의 정보를 가진 제품은 어느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을 받아야 하는가?)하고, 상기 생성한 프롬프트를 사전에 학습하여 구축해둔 생성형 AI 모델에 입력하여 해당 제품을 개발할 때 어떠한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을 받을 수 있는지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의 종류를 신청자에게 제공하여 추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생성형 AI 모델에 입력되는 프롬프트는 하나의 예시일 뿐, 제공받은 제품 정보를 그대로 상기 생성형 AI 모델에 입력하여 어떠한 종류의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을 받을 수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처럼, 제품 개발을 수행할 때 받아야 하는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은 제품의 종류, 용도, 적용 국가 등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제품 개발을 본격적으로 수행하기 이전에 필요한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이 무엇인지를 확인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제품 개발을 수행할 때 받아야 하는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은 크게 안전 및 품질 인증, 환경 인증, 에너지 효율 인증, 보건 인증 등과 같이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다.
안전 및 품질 인증은 제품이 안전하고 품질이 우수하다는 것을 평가하는 것으로서, KC(Korea Certification) 인증, CE 인증(유럽연합에서 판매되는 제품에 부착해야 하는 인증), UL(Underwriters Laboratories Inc) 인증 등이 있다.
환경 인증은 제품의 생산, 사용, 폐기 과정에서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것으로서,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인증, RoHS(Restriction of Hazardous Substances) 인증, REACH(Registration, Evaluation, Authorization and Restriction of Chemicals) 인증 등이 있다.
에너지 효율 인증은 제품의 에너지 효율을 평가하는 것으로서, 에너지소비효율등급, 에너지관리시스템(EMS) 인증 등이 있다.
보건 인증은 제품이 인체에 해를 끼치지 않는다는 것을 평가하는 것으로서,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식품, 의약품, 화장품 등에 대한 인증 등이 있다.
그 이외에 제품의 특정 기능이나 성능을 평가하는 것으로서, 와이파이 인증, 블루투스 인증,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인증 등이 있다.
한편, 상기 제품별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추천과 처리 자동화 시스템(100)은 상기 예시된 각 제품별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의 종류를 추천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제품의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에 필요한 신청서류를 자동으로 작성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품별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추천과 처리 자동화 시스템(100)은 신청자가 제공한 각 제품별 제품 정보와 상기 추천한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종류를 참조하여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신청서류 작성을 위한 프롬프트를 생성(예: 00 제품의 00, 000 정보를 활용해서 KC 인증 신청서류를 작성해 주세요)하고, 상기 생성한 프롬프트를 사전에 마련해둔 생성형 AI 모델에 입력하여 관련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을 위한 신청서류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품별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추천과 처리 자동화 시스템(100)은 각 제품별 인증과 관련된 신청서류를 자동으로 작성한 이후, 해당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신청서류를 인증 및 평가기관 측에 제출하는 것을 지원하는 서비스를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즉, 신청자가 직접 제품의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을 받기 위한 신청서류를 제출할 필요 없이 특정 제품의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신청과 관련하여 온라인을 통한 대행 접수가 가능한 인증 및 평가기관이 복수 개 존재하면, 이 중에서 해당 신청자가 위치한 지역 등을 참조하여 어느 하나의 인증 및 평가기관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한 인증 및 평가기관에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신청서류를 대행하여 접수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각 제품을 개발하는 신청자들은 전문가의 도움이 없더라도 제품의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절차를 손쉽게 수행할 수 있으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는 것은 물론 비용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게 된다.
이때 신청자가 제품의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신청서류를 직접 제출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제품별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추천과 처리 자동화 시스템(100)은 해당 제품의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신청과 관련된 안내 정보를 생성하여 신청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품별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추천과 처리 자동화 시스템(100)은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신청에 따라 서류가 반려되거나 인증처리가 되지 않는 경우, 신청자의 추가 요청에 따라 관련 서류의 재작성 및 대행 접수를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신청자 단말(200)은 제품을 개발하고자 하는 개인이나 기업 담당자가 보유하고 있는 랩톱(laptop)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데스크톱 컴퓨터, 웹 패드, 이동 전화기와 같이 프로세서를 탑재하고 메모리를 구비한 연산 능력을 갖춘 디지털 기기일 수 있다.
상기 신청자 단말(2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품별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추천과 처리 자동화 시스템(100)에 접속하여 제품의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종류 추천,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신청서류 자동 작성, 자동으로 작성된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신청서류의 대행 접수에 대한 서비스를 요청한다.
또한 상기 신청자 단말(200)은 상기 제품별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추천과 처리 자동화 시스템(100)으로부터 개발 제품의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종류 추천 정보,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신청서류 작성결과 및 관련 인증 및 평가기관 대행접수 결과 등을 제공받는다.
상기 인증 및 평가기관 서버(300)는 각 제품별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을 수행하는 기관에서 운영하는 서버 컴퓨터를 의미하며, 상기 제품별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추천과 처리 자동화 시스템(100)에서 대행하는 특정 제품의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에 필요한 신청서류의 접수를 처리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400)는 상기 제품별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추천과 처리 자동화 시스템(100)에서 사용하는 각종 동작프로그램은 물론,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추천용 생성형 AI 모델과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신청서류 작성용 생성형 AI 모델의 저장 및 관리를 수행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400)는 각 신청자가 제공하는 각 제품별 제품 정보, 상기 제품 정보를 토대로 추천하는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종류에 대한 정보, 생성형 AI 모델을 통해서 자동으로 생성된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신청서류, 인증 및 평가기관으로의 대행접수 결과 등을 저장하여 관리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별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추천과 처리 자동화 시스템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품별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추천과 처리 자동화 시스템(100)은 생성형 AI 모델 생성부(110), 제품 정보 수신부(120),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추천부(130),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신청서류 작성부(140),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신청서류 제출 지원부(15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생성형 AI 모델 생성부(110)는 GPT(Generative Pre-trained Transformer) 시리즈를 포함한 오픈 대화형 언어 모델인 생성형 AI 모델을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추천용 생성형 AI 모델 생성부(111)와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신청서류 작성용 생성형 AI 모델 생성부(112)로 구성된다.
상기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추천용 생성형 AI 모델 생성부(111)는 온라인 및 오프라인을 통해서 수집한 제품의 종류, 용도 및 사용 국가를 포함한 제품 정보와 상기 제품 정보를 토대로 수행된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학습데이터를 학습하여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추천용 생성형 AI 모델을 생성하고, 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하여 관리하며,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를 진행한다.
상기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신청서류 작성용 생성형 AI 모델 생성부(112)는 온라인 및 오프라인을 통해서 수집한 각 제품별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에 필요한 상기 제품 정보와 상기 제품 정보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신청서류를 포함하는 학습데이터를 학습하여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신청서류 작성용 생성형 AI 모델을 생성하고, 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하여 관리하며,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를 진행한다.
상기 제품 정보 수신부(120)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상기 신청자 단말(200)의 제품에 대한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종류 추천,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신청서류 작성 및 대행 접수에 대한 서비스 요청에 따라 상기 신청자 단말(200)로 개발 대상의 제품의 종류, 용도 및 사용 국가를 포함한 각종 제품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신청자 단말(200)로부터 상기 제품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추천부(130)로 전달한다.
이때 상기 제품 정보 수신부(120)는 상기 신청자 단말(200)로부터 제품 정보를 다양한 형태로 제공받을 수 있다.
일 예로, 개발 제품에 대하여 신청자가 입력하는 텍스트 데이터로 제공받는 것이 가능하고, 그 이외에 이미지 형태의 문서로 제공받을 수도 있다. 만일, 상기 신청자 단말(200)로부터 상기 제품 정보를 이미지 형태의 문서로 제공받는 경우, 상기 제품 정보 수신부(120)는 인공지능 기반의 광학 문자 인식(OCR,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을 통해서 상기 문서 내의 문자를 추출 및 인식하고, 상기 추출 및 인식한 문자를 사전에 마련해둔 의미분석용 딥러닝 모델에 입력하여 각종 제품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추천부(130)는 상기 제품 정보 수신부(120)를 통해 상기 신청자 단말(200)로부터 제공받은 제품 정보를 토대로 해당 제품에 필요한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종류를 추천한다.
이때 상기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추천부(130)는 제1 프롬프트 생성부(131), 추출부(132) 및 추천 제공부(133)로 구성된다.
상기 제1 프롬프트 생성부(131)는 상기 신청자 단말(200)로부터 제공받은 개발 제품에 대한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제품이 어느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을 받을 수 있는지를 추천하기 위한 대화형 프롬프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대화형 프롬프트를 상기 추출부(132)로 전달한다.
상기 추출부(132)는 상기 제1 프롬프트 생성부(131)에서 생성한 개발 제품의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추천을 위한 대화형 프롬프트를 상기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추천용 생성형 AI 모델에 입력하여, 해당 제품이 받을 수 있는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의 종류가 어떠한 것이 있는지를 적어도 하나 이상 추출하며, 상기 추출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종류에 대한 정보를 상기 추천 제공부(133)로 전달한다.
상기 추천 제공부(133)는 상기 추출부(132)로부터 제공받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종류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해당 제품에 필요한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을 상기 신청자 단말(200)에 추천한다.
여기서, 상기 인증 추천부(130)는 특정 제품의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추천 확인결과 적어도 2개 이상의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을 받을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신청자 단말(200)로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종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추천하면서 어느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을 신청할 것인지를 요청하며,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신청자 단말(200)로부터 입력되는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신청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신청서류 작성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신청자는 추천받은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모두를 선택하거나, 일부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신청서류 작성부(140)는 상기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추천부(130)에서 추천한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종류를 확인한 상기 신청자 단말(200)의 요청에 따라 특정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에 필요한 신청서류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신청서류 작성부(140)는 제2 프롬프트 생성부(141)와 신청서류 생성부(142)로 구성된다.
상기 제2 프롬프트 생성부(141)는 상기 제품 정보 수신부(120)를 통해 상기 신청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제품 정보와 상기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추천부(130)에서 확인된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종류를 참조하여 특정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과 관련된 신청서류 작성을 위한 대화형 프롬프트를 자동으로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대화형 프롬프트를 상기 신청서류 생성부(142)로 전달한다.
상기 신청서류 생성부(142)는 상기 제2 프롬프트 생성부(141)에서 생성한 대화형 프롬프트를 상기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신청서류 작성용 생성형 AI 모델에 입력하여, 해당 제품의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에 필요한 신청서류를 자동으로 생성한다.
이때 생성되는 신청서류는 사전에 정해져 있는 각 제품별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을 위한 템플릿에 따른 표 형식으로 작성되며, 텍스트 또는 그래픽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신청서류는 여러 파일 포맷으로 생성될 수 있으며, 신청자의 요청에 따라 원하는 파일 포맷으로 변환하여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신청서류 작성부(140)는 신청서류가 미비하여 불수리되거나, 인증 및 평가기관 서버(300) 측에서의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평가 결과에 따라 신청된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이 거절되면, 상기 신청자 단말(200)의 재요청에 따라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신청서류를 생성형 AI 모델을 통해서 다시 작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신청서류 제출 지원부(150)는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인증 및 평가기관 서버(300)로 통신 접속을 수행하고, 상기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신청서류 작성부(140)를 통해 작성한 특정 제품의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신청서류를 상기 인증 및 평가기관 서버(300)로 전송하여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신청을 대행하여 접수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별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추천과 처리 자동화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제품별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추천과 처리 자동화 시스템(100)의 하드웨어 구조는, 중앙처리장치(1000), 메모리(2000), 사용자 인터페이스(3000), 데이터베이스 인터페이스(400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000), 웹서버(600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3000)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graphical user interface)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입력과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 인터페이스(4000)는 데이터베이스와 하드웨어 구조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000)는 사용자가 보유한 장치 간의 네트워크 연결을 제공한다.
상기 웹 서버(6000)는 사용자가 네트워크를 통해 하드웨어 구조로 액세스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원격에서 웹 서버로 접속하여 상기 제품별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추천과 처리 자동화 시스템(100)을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 또는 방법의 각 단계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코드로 구현되거나 전송 매체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이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의 예로는 데이터베이스, ROM, RAM, CD-ROM, DVD,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및 광학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가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송매체는 인터넷 또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반송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컴퓨터 판독 가능 코드가 분산 방식으로 저장되고, 실행되도록 네트워크 결합 컴퓨터 시스템을 통해 분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는,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는 중앙처리장치(CPU), 마이크로프로세서 등과 같은 프로세서를 포함하거나 이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구성요소 중 둘 이상은 하나의 단일 구성요소로 결합되어 결합된 둘 이상의 구성요소에 대한 모든 동작 또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의 일부는, 이들 구성요소 중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요소들 간의 통신은 버스(미도시)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생성형 AI 모델을 활용한 제품별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추천과 처리 자동화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각 단계는 사용 환경이나 당업자에 의해 순서가 변경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성형 AI 모델을 활용한 제품별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추천과 처리 자동화 방법의 동작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제품별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추천 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며, 도 6은 도 4의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신청서류 작성 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품별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추천과 처리 자동화 시스템(100)은 생성형 AI 모델을 생성한다(S100).
즉, 각 제품에 대한 제품 정보와 해당 제품 정보를 토대로 수행된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학습데이터를 학습하여 생성한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추천용 생성형 AI 모델과, 각 제품에 대한 제품 정보와 해당 제품 정보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신청서류를 포함하는 학습데이터를 학습하여 생성되는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신청서류 작성용 생성형 AI 모델을 상기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 및 관리하는 것이다.
이후, 상기 제품별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추천과 처리 자동화 시스템(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상기 신청자 단말(200)로부터 개발 제품에 필요한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종류 추천,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신청서류 자동 작성 및 대행 접수에 관련된 서비스가 요청되는지를 판단한다(S200).
상기 S200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상기 신청자 단말(200)로부터 서비스가 요청되면, 상기 제품별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추천과 처리 자동화 시스템(100)은 해당 신청자 단말(200)로 개발 대상 제품에 대한 종류, 용도, 적용 국가 등의 정보를 요구하여 제공받는다(S300).
이어서, 상기 제품별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추천과 처리 자동화 시스템(100)은 상기 신청자 단말(200)로부터 제공받은 제품 정보를 토대로 해당 제품에 필요한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의 종류가 무엇인지를 추천한다(S400).
상기 S400 단계를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품별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추천과 처리 자동화 시스템(100)은 상기 S300 단계를 통해 상기 신청자 단말(200)로부터 제공받은 제품 정보로부터 대화형 프롬프트를 생성한다(S410).
이후, 상기 생성한 대화형 프롬프트를 상기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추천용 생성형 AI 모델에 입력하여, 해당 제품에 필요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의 종류를 추출하며(S420), 상기 추출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종류를 해당 제품에 필요한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으로 상기 신청자 단말(200)로 추천하여 제공한다(S430).
즉, 신청자가 요청하는 개발 대상 제품이 안전 및 품질 인증, 환경 인증, 에너지 효율 인증, 보건 인증, 기능 및 성능 인증 등의 각종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중에서 어느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이 필요한지의 여부를 추천하는 것이다.
이때 제품에 필요한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의 종류가 복수 개 추천되는 경우, 상기 제품별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추천과 처리 자동화 시스템(100)은 해당 신청자 단말(200)로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추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면서 어느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을 신청할 것인지를 요청하여 전부를 신청할 것인지, 아니면 일부만을 신청할 것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S400 단계를 통해 개발 대상 제품에 필요한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의 종류가 추천된 이후, 상기 제품별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추천과 처리 자동화 시스템(100)은 특정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에 필요한 신청서류를 자동으로 생성한다(S500).
상기 S500 단계를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품별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추천과 처리 자동화 시스템(100)은 상기 S300 단계를 통해 상기 신청자 단말(200)로부터 제공받은 제품 정보와 상기 S400 단계에서 추천한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정보를 토대로 대화형 프롬프트를 자동으로 생성한다(S510).
이후 상기 제품별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추천과 처리 자동화 시스템(100)은 상기 S510 단계에서 생성한 대화형 프롬프트를 상기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신청서류 작성용 생성형 AI 모델에 입력하여, 해당 제품의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에 필요한 신청서류를 자동으로 생성한다(S520).
다시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S500 단계를 통해 개발 대상 제품의 특정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에 필요한 신청서류를 자동으로 작성한 이후, 상기 제품별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추천과 처리 자동화 시스템(100)은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신청서류를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을 담당하는 인증 및 평가기관 서버(300)로 전송하여 특정 제품의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신청을 대행하여 접수(S600)함으로써, 상기 인증 및 평가기관 서버(300)에서 해당 제품에 대한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신청서류를 평가하여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을 처리하도록 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제품의 종류, 용도 및 적용 국가 등에 따라 받아야 하는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이 무엇인지를 추천하고, 상기 추천한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을 처리하기 위한 필요서류의 자동 생성과 관련 기관으로의 접수를 자동으로 수행하기 때문에, 인증 처리 프로세스를 개선하는 것은 물론, 인증 처리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전문가에 의한 컨설팅 없이도 인증 처리 업무를 효율화하여 인증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없거나 떨어지는 구성에 대해서는 간략하게 표현하거나 생략하였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 : 생성형 AI 모델을 활용한 제품별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추천과 처리 자동화 시스템
110 : 생성형 AI 모델 생성부
111 :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추천용 생성형 AI 모델 생성부
112 :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신청서류 작성용 생성형 AI 모델 생성부
120 : 제품 정보 수신부
130 :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추천부
131 : 제1 프롬프트 생성부
132 : 추출부
133 : 추천 제공부
140 :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신청서류 작성부
141 : 제2 프롬프트 생성부
142 : 신청서류 생성부
150 :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신청서류 제출 지원부
200 : 신청자 단말
300 : 인증 및 평가기관 서버
400 : 데이터베이스

Claims (11)

  1.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신청자 단말로부터 개발 대상 제품 정보를 제공받는 제품 정보 수신부;
    상기 수신한 제품 정보를 토대로 해당 제품에 필요한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종류를 추천하는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추천부;
    상기 추천한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종류를 확인한 상기 신청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특정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에 필요한 신청서류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신청서류 작성부;
    온라인 및 오프라인을 통해서 수집한 제품의 종류, 용도 및 사용 국가를 포함한 제품 정보와 상기 제품 정보를 토대로 수행된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학습데이터를 학습하여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추천용 생성형 AI 모델을 생성하는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추천용 생성형 AI 모델 생성부; 및
    온라인 및 오프라인을 통해서 수집한 각 제품별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에 필요한 제품 정보와 상기 제품 정보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신청서류를 포함하는 학습데이터를 학습하여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신청서류 작성용 생성형 AI 모델을 생성하는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신청서류 작성용 생성형 AI 모델 생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추천부는, 상기 신청자 단말로부터 제공받은 제품 정보로부터 대화형 프롬프트를 자동으로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대화형 프롬프트를 상기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추천용 생성형 AI 모델에 입력하여, 해당 제품에 필요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의 종류를 추출하며, 상기 추출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종류를 해당 제품에 필요한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으로 상기 신청자 단말로 추천하여 제공하며,
    상기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신청서류 작성부는, 상기 제품 정보 수신부를 통해 상기 신청자 단말로부터 제공받은 제품 정보와 상기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추천부에서 추천한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종류 정보로부터 대화형 프롬프트를 자동으로 생성하며, 상기 생성한 대화형 프롬프트를 상기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신청서류 작성용 생성형 AI 모델에 입력하여, 해당 제품의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에 필요한 신청서류를 자동으로 생성하며,
    상기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에 필요한 신청서류는, 사전에 정해져 있는 각 제품별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을 위한 템플릿에 따른 표 형식을 통해 텍스트 또는 그래픽을 포함하여 작성되되, 신청자의 요청에 따라 원하는 파일 포맷으로 변환하여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성형 AI 모델을 활용한 제품별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추천과 처리 자동화 시스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은,
    제품이 안전하고 품질이 우수한 것을 평가하는 KC 인증, CE 인증 및 UL 인증을 포함한 안전 및 품질 인증;
    제품의 생산, 사용 및 폐기 과정에서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ISO 14001, RoHS 인증 및 REACH 인증을 포함한 환경 인증;
    제품의 에너지 효율을 평가하는 에너지소비효율등급 및 에너지관리시스템(EMS) 인증을 포함한 에너지 효율 인증;
    제품이 인체에 해를 끼치지 않는다는 것을 평가하는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식품, 의약품 및 화장품에 대한 인증을 포함한 보건 인증;
    제품의 특정 기능이나 성능을 평가하는 와이파이 인증, 블루투스 인증 및 NFC 인증을 포함한 기능 및 성능 인증;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성형 AI 모델을 활용한 제품별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추천과 처리 자동화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품 정보 수신부는,
    상기 신청자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텍스트 데이터 또는 문서를 통해서 제품 정보를 확인하며,
    상기 제품 정보가 문서로 제공되는 경우, 인공지능 기반의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을 통해서 상기 문서 내의 문자를 추출 및 인식한 다음, 상기 인식한 문자를 의미분석용 딥러닝 모델에 입력하여 제품 정보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성형 AI 모델을 활용한 제품별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추천과 처리 자동화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품별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추천과 처리 자동화 시스템은,
    상기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신청서류 작성부를 통해 작성한 특정 제품의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신청서류를 해당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을 담당하는 인증 및 평가기관 서버로 전송하여 특정 제품의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신청을 대행하여 접수하는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신청서류 제출 지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성형 AI 모델을 활용한 제품별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추천과 처리 자동화 시스템.
  8. 제품별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추천과 처리 자동화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것으로서,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신청자 단말로부터 개발 대상 제품 정보를 제공받는 제품 정보 수신 단계;
    상기 수신한 제품 정보를 토대로 해당 제품에 필요한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종류를 추천하는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추천 단계;
    상기 추천한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종류를 확인한 상기 신청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특정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에 필요한 신청서류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신청서류 작성 단계;
    온라인 및 오프라인을 통해서 수집한 제품의 종류, 용도 및 사용 국가를 포함한 제품 정보와 상기 제품 정보를 토대로 수행된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학습데이터를 학습하여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추천용 생성형 AI 모델을 생성하는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추천용 생성형 AI 모델 생성 단계; 및
    온라인 및 오프라인을 통해서 수집한 각 제품별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에 필요한 제품 정보와 상기 제품 정보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신청서류를 포함하는 학습데이터를 학습하여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신청서류 작성용 생성형 AI 모델을 생성하는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신청서류 작성용 생성형 AI 모델 생성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추천 단계는, 상기 제품 정보 수신 단계를 통해 상기 신청자 단말로부터 제공받은 제품 정보로부터 대화형 프롬프트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한 대화형 프롬프트를 상기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추천용 생성형 AI 모델에 입력하여, 해당 제품에 필요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의 종류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종류를 해당 제품에 필요한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으로 상기 신청자 단말로 추천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신청서류 작성 단계는, 상기 제품 정보 수신 단계를 통해 상기 신청자 단말로부터 제공받은 제품 정보와 상기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추천 단계에서 추천한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종류 정보로부터 대화형 프롬프트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한 대화형 프롬프트를 상기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신청서류 작성용 생성형 AI 모델에 입력하여, 해당 제품의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에 필요한 신청서류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에 필요한 신청서류는, 사전에 정해져 있는 각 제품별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을 위한 템플릿에 따른 표 형식을 통해 텍스트 또는 그래픽을 포함하여 작성되되, 신청자의 요청에 따라 원하는 파일 포맷으로 변환하여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성형 AI 모델을 활용한 제품별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추천과 처리 자동화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품별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추천과 처리 자동화 방법은,
    상기 제품별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추천과 처리 자동화 시스템에서, 상기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신청서류 작성 단계를 통해 작성한 특정 제품의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신청서류를 해당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을 담당하는 인증 및 평가기관 서버로 전송하여 특정 제품의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신청을 대행하여 접수하는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신청서류 제출 지원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성형 AI 모델을 활용한 제품별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추천과 처리 자동화 방법.
KR1020230122959A 2023-09-15 2023-09-15 생성형 ai 모델을 활용한 제품별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추천과 처리 자동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6572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22959A KR102657222B1 (ko) 2023-09-15 2023-09-15 생성형 ai 모델을 활용한 제품별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추천과 처리 자동화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22959A KR102657222B1 (ko) 2023-09-15 2023-09-15 생성형 ai 모델을 활용한 제품별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추천과 처리 자동화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7222B1 true KR102657222B1 (ko) 2024-04-15

Family

ID=90715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22959A KR102657222B1 (ko) 2023-09-15 2023-09-15 생성형 ai 모델을 활용한 제품별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추천과 처리 자동화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7222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5163B1 (ko) * 2017-07-18 2018-07-05 주식회사 시큐어넷 인증서 및 시험서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10055878A (ko) * 2019-11-08 2021-05-18 김성제 블록체인 기반의 제품안전정보 관리 시스템
KR102351300B1 (ko) * 2021-07-29 2022-01-13 이성현 공공기관 인증 플랫폼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363961B1 (ko) * 2021-08-05 2022-02-16 재단법인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제품 이미지 기반의 분석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US20220405481A1 (en) * 2018-03-01 2022-12-22 Ink Content, Inc. Content generation using target content derived modeling and unsupervised language modeling
KR20230056239A (ko) * 2021-10-20 2023-04-27 장청현 Ai 기반의 비건 화장품 추천 방법
KR20230057635A (ko) * 2021-10-22 2023-05-02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개발 제품의 인증 프로세스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30093611A (ko) * 2021-12-20 2023-06-27 주식회사 씨디알아이 화장품 국가 인증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5163B1 (ko) * 2017-07-18 2018-07-05 주식회사 시큐어넷 인증서 및 시험서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20220405481A1 (en) * 2018-03-01 2022-12-22 Ink Content, Inc. Content generation using target content derived modeling and unsupervised language modeling
KR20210055878A (ko) * 2019-11-08 2021-05-18 김성제 블록체인 기반의 제품안전정보 관리 시스템
KR102351300B1 (ko) * 2021-07-29 2022-01-13 이성현 공공기관 인증 플랫폼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363961B1 (ko) * 2021-08-05 2022-02-16 재단법인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제품 이미지 기반의 분석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KR20230056239A (ko) * 2021-10-20 2023-04-27 장청현 Ai 기반의 비건 화장품 추천 방법
KR20230057635A (ko) * 2021-10-22 2023-05-02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개발 제품의 인증 프로세스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30093611A (ko) * 2021-12-20 2023-06-27 주식회사 씨디알아이 화장품 국가 인증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50316B2 (en)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channel content drill down
US20140244416A1 (en) Method and system to facilitate the addition of items to an electronic item catalog
US20020040431A1 (en)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method for exchanging XML signature
US20080091846A1 (en) Creation and transaction processes of intelligent documents
US20140033011A1 (en) Defining Hints for Dynamic Selection of Default Render/Submit/Runtime Configuration
US20210326875A1 (en) User account controls for online transactions
CN111221739A (zh) 业务测试方法、装置和系统
US1124994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lectronically generating submittal registers
WO2021195167A1 (en) Autonomous bidder solicitation and selection system
CN107851285A (zh) 社交账户交互与主不可知身份绑定
KR102039989B1 (ko) 비정형 텍스트 이미지에서 텍스트 데이터를 추출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90024505A (ko) 네트워크를 통한 중고기계의 안전거래방법
WO2004010360A1 (en) Consulting system using network, content mak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for storing a program to perform the system and method
CN116757786A (zh) 基于元宇宙的业务办理方法及金融服务平台、电子设备
JP2018067246A (ja) ふるさと納税者用確定申告支援処理装置、確定申告支援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確定申告支援処理システム
KR102475305B1 (ko) 이종 플랫폼 간의 자동 연동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657222B1 (ko) 생성형 ai 모델을 활용한 제품별 정부 및 공공기관 인증 추천과 처리 자동화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1312400A (ja) カスタマイズドプログラム自動生成サービス方法
KR101986672B1 (ko) 데이터베이스 상의 기계제품정보를 효율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20190171703A1 (en) System and Processes for Facilitating Generation and Manipulation of Custom Products
KR20200089485A (ko) 디자인-기술 융합 품질 인증평가 플랫폼 제공방법
CN114282908A (zh) 评价数据处理方法、装置、设备、介质和程序产品
KR20210045284A (ko) 이종 쇼핑몰 간의 연동 방법
CN112232737A (zh) 一种基于语音识别的进销存处理方法
KR100785848B1 (ko) 개인정보 제공 및 취득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