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7196B1 - An Ag-Cu wire Manufacturing Apparatus equipped with a coiler for Electric contact - Google Patents

An Ag-Cu wire Manufacturing Apparatus equipped with a coiler for Electric contac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7196B1
KR102657196B1 KR1020240004956A KR20240004956A KR102657196B1 KR 102657196 B1 KR102657196 B1 KR 102657196B1 KR 1020240004956 A KR1020240004956 A KR 1020240004956A KR 20240004956 A KR20240004956 A KR 20240004956A KR 102657196 B1 KR102657196 B1 KR 1026571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molten metal
roller
electrical contacts
raw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049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두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크로스워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크로스워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크로스워커스
Priority to KR1020240004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719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7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719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05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of wi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21B1/16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wire rods, bars, merchant bars, rounds wire or material of like small cross-section
    • B21B1/18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wire rods, bars, merchant bars, rounds wire or material of like small cross-section in a continuous pro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02Winding-up or coiling
    • B21C47/04Winding-up or coiling on or in reels or drums, without using a moving guide
    • B21C47/045Winding-up or coiling on or in reels or drums, without using a moving guide in rotating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01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of specific allo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6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moulds with travelling walls, e.g. with rolls, plates, belts, caterpillars
    • B22D11/0628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moulds with travelling walls, e.g. with rolls, plates, belts, caterpillars formed by more than two casting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전기접점용 Ag-Cu 와이어 제조장치는, 전기접점 소재인 은(Ag)과 구리(Cu)를 가열하는 용탕 가열장치와, 상기 용탕 가열장치 내에 배치되며 상기 은(Ag)과 구리(Cu)를 용융하여 용탕(M1)을 제조, 수용하는 전기접점용 Ag-Cu 용탕 도가니와, 상기 용탕 가열장치 상에 배치되며 상기 용탕 가열장치의 상부를 밀폐하는 용탕 커버부와, 상기 용탕 도가니로부터 출탕되는 용탕(M1)을 냉각시켜 와이어 형상의 주형 와이어로 제조하는 와이어 노즐 몰드 및 상기 주형 와이어를 롤링하여 전기접점용 Ag-Cu 와이어를 제조하는 와이어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롤러는, 롤러 하우징에서 제1 방향(X1)으로 연장되면서 마주보도록 장착된 와이어 제1 롤러, 와이어 제2 롤러 및 상기 롤러 하우징에 상기 제1 방향(X1)과 어긋나게 제2 방향(X2)으로 연장되도록 장착된 상기 와이어 코일러를 포함할 수 있다.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g-Cu wire for electrical contac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molten metal heating device for heating silver (Ag) and copper (Cu), which are electrical contact materials, and is disposed within the molten metal heating device to produce silver (Ag) and copper (Cu). An Ag-Cu molten metal crucible for electrical contacts that produces and accommodates molten metal (M1) by melting (Cu), a molten metal cover part disposed on the molten metal heating device and sealing the upper part of the molten metal heating device, and the molten metal crucible. It may include a wire nozzle mold that cools the molten metal (M1) tapped from the mold to manufacture a wire-shaped cast wire, and a wire roller that rolls the cast wire to manufacture an Ag-Cu wire for electrical contacts.
The wire roller includes a first wire roller, a second wire roller, and a wire roller installed to face each other while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X1) from the roller housing, and a second direction (X2) that is offset from the first direction (X1) It may include the wire coiler mounted to extend to.

Description

코일러를 구비하는 전기접점용 Ag-Cu 와이어 제조장치{An Ag-Cu wire Manufacturing Apparatus equipped with a coiler for Electric contact}{An Ag-Cu wire Manufacturing Apparatus equipped with a coiler for Electric contact}

실시예는 전기접점용 Ag-Cu 와이어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기접점용 Ag-Cu 와이어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embodiment relates to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g-Cu wire for electrical contacts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g-Cu wire for electrical contacts using the same.

전기접점 재료는 전기회로의 개폐 또는 접촉을 기계적으로 행하는 전기적 접촉 소자이며, 각종 스위치, 릴레이, 전자 개페기 등 전기, 전자, 통신, 자동차, 엘리베이터 등 전반적인 산업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Electrical contact materials are electrical contact elements that mechanically open and close electrical circuits or make contact, and are widely used in various industries such as electricity, electronics, communications, automobiles, and elevators, including various switches, relays, and electronic switches.

전기접점의 요구 성능으로는 접촉저항이 낮아야 하며, 전기 전도도, 열전도, 안정성이 높아야 하고, 내소모성이 우수하고 접촉면의 변형이 낮아야 한다.The required performance of electrical contacts requires low contact resistance, high electrical conductivity, thermal conductivity, and stability, excellent wear resistance, and low deformation of the contact surface.

이러한 전기접점의 성능은 전기접점의 구성물질에 의해 발현되기는 하나, 전기접점의 제조공정 중 발생할 수 있는 산화물이나 오염물질을 최소화하는 것이 전기접점의 성능 결정에 매우 중요하다.Although the performance of these electrical contacts is determined by the components of the electrical contacts, minimizing oxides or contaminants that may occur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electrical contacts is very important in determining the performance of the electrical contacts.

한편, 전기접점(electric contact) 소재는 사용 환경에 따라 다양한 재질의 접점이 전기 제품에 사용되고 있으며, 제조방식에 따라 용해법과 분말야금법 등으로 제조되고 있다.Meanwhile, electric contact materials of various materials are used in electrical products depending on the usage environment, and are manufactured using melting or powder metallurgy methods depending on the manufacturing method.

예를 들어, 용해법으로 제조되는 전기접점은 Ag-CdO계와 Ag-SnO2계 등이 있으며, 분말야금법으로 제조되는 전기접점은 Cu-W계, Ag-W계, Ag-WC계, Ag-C계, Ag-Ni 계 등이 있다.For example, electrical contacts manufactured by melting methods include Ag-CdO type and Ag-SnO 2 type, and electrical contacts manufactured by powder metallurgy method include Cu-W type, Ag-W type, Ag-WC type, and Ag type. -C-based, Ag-Ni-based, etc.

이 중에서 AgCdO계 접점재료는 높은 전류용량, 우수한 내 아크성(arc resistance), 낮은 접촉저항 등으로 인해 전기 차단기, 다단식 차단기의 통전접점, 과부하 계전기, 전자접촉기 등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Among these, AgCdO-based contact materials are widely used in electric circuit breakers, current-carrying contacts of multi-stage circuit breakers, overload relays, and electromagnetic contactors due to their high current capacity, excellent arc resistance, and low contact resistance.

한편, 이건 출원인의 내부기술에는 접점재료(electric contact)의 제조공정으로 용해, 빌렛 주조(billet casting), 열처리, 압출(extrusion), 신선(wire drawing), 절단, 산화 등의 공정을 진행하고 있고, 필요시 소정의 중간공정을 반복 실시하고 있었다.Meanwhile, the applicant's internal technology includes processes such as melting, billet casting, heat treatment, extrusion, wire drawing, cutting, and oxidation as a manufacturing process for electric contact materials. , certain intermediate processes were repeated when necessary.

예를 들어, AgCdO계 용해공정에서는 '용탕 도가니'에 은(Ag), 카드뮴(Cd) 등의 합금 원소를 적정 비율로 투입 후 고주파 유도를 통해 용융, 교반 후 주형 도가니에 주입하여 빌렛(billet)을 주조하였고, 이후 압출(extrusion), 신선(wire drawing) 등의 공정을 진행하고 있다.For example, in the AgCdO-based melting process, alloy elements such as silver (Ag) and cadmium (Cd) are added in an appropriate ratio to the 'molten metal crucible', melted through high-frequency induction, stirred, and then injected into the mold crucible to form a billet. was casted, and then processes such as extrusion and wire drawing are in progress.

한편, 종래기술에서 전기접점(electric contact) 소재는 제조방식에 따라 용해 후 압출방식(extrusion process)으로 제조되고 있다. 예를 들어, 아래 선행 특허문헌 1 내지 선행 특허문헌 7은 용해 후 압출방식으로 전기접점 소재를 제조하고 있음을 개시하고 있다.Meanwhile, in the prior art, electric contact materials are manufactured using an extrusion process after melting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method. For example, Prior Patent Documents 1 to 7 below disclose that electrical contact materials are manufactured using a melting and extrusion method.

[선행 특허문헌 1][Prior patent document 1]

● 공개번호(공개일): KR2011-0021401A(2011.03.04)●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1401A (2011.03.04)

● 발명의 명칭: 표면과 내부재질이 이종 재질로 구성되어 있는 전기 접점용 소재의 제조 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스위치● Title of invention: Method for manufacturing a material for electrical contacts whose surface and internal materials are composed of different materials and a switch using the same

[선행 특허문헌 2][Prior patent document 2]

● 공개번호(공개일): KR2016-0062411A(2016.06.0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2411A (2016.06.02)

● 발명의 명칭: 전기 스위치용 은-산화물계 전기접점재료의 제조방법 ● Name of invention: Manufacturing method of silver-oxide electrical contact material for electrical switches

[선행 특허문헌 3][Prior patent document 3]

● 공개번호(공개일): WO2000-065623A(2000.11.0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0-065623A (2000.11.02)

● 발명의 명칭: Ag-zno계 전기 접점 재료의 제조 방법 및 그 전기 접점 재료● Title of invention: Method for manufacturing Ag-zno-based electrical contact material and electrical contact material thereof

[선행 특허문헌 4][Prior patent document 4]

● 공개번호(공개일): WO2014-208419A(2014.12.3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208419A (2014.12.31)

● 발명의 명칭: 전기 접점 재료의 제조 방법● Title of invention: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ical contact material

[선행 특허문헌 5][Prior patent document 5]

● 공개번호(공개일): JP1998-177821A(1998.06.30)●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1998-177821A (1998.06.30)

● 발명의 명칭: 전기 접점 및 그 제조법● Title of invention: Electrical contac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선행 특허문헌 6][Prior patent document 6]

● 등록번호(등록일): KR10-1491932B(2015.02.03)● Registration number (registration date): KR10-1491932B (2015.02.03)

● 발명의 명칭: 은-산화물계 전기접점재료 및 이의 제조방법● Title of invention: Silver-oxide electrical contact materia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선행 특허문헌 7][Prior patent document 7]

● 공개번호(공개일): KR2014-0086133A(2014.07.08)●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6133A (2014.07.08)

● 발명의 명칭: 칩 압출법을 이용한 클래드 스트립재 판접점 제조 방법 및 판접점● Title of invention: Method for manufacturing plate contact points of clad strip material using chip extrusion method and plate contact points

한편, 위 선행 특허문헌들에서 개시된 바와 같이, 순수 은(Ag) 대신에 은(Ag)-구리(Cu) 합금을 기초로한 전기접점 소재의 개발이 이루어졌으나, Cu의 높은 산화성질로 인해 은(Ag)-구리(Cu) 합금의 전기접점용 소재는 용해 후 압출방식으로 제조되고 있었다.Meanwhile, as disclosed in the above prior patent documents, an electrical contact material based on silver (Ag)-copper (Cu) alloy was developed instead of pure silver (Ag), but due to the high oxidation properties of Cu, silver The (Ag)-copper (Cu) alloy material for electrical contacts was manufactured by melting and then extruding.

그런데 용해 후 압출방식으로 제조되는 은(Ag)-구리(Cu) 합금의 전기접점 소재는 압출 후 뒷 부분에서 약 10~15%의 압출 핀홀(pin hole)이 발생하여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However, the electrical contact material of silver (Ag)-copper (Cu) alloy manufactured by melting and then extruding has a problem in that approximately 10 to 15% of extrusion pin holes occur at the rear after extrusion, resulting in loss. .

한편, Ag 함량이 높고 Cu 함량이 낮은 경우, 스위치의 동작 시 약 2,000℃ 내외의 높은 온도에서 전기접점 소재의 융착(fusion)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Ag content is high and the Cu content is low, there is a problem that fusion of the electrical contact material occurs at a high temperature of about 2,000°C when the switch is operated.

이에 융착 없이 Ag-Cu 합금의 전기접점 소재가 작동하기 위해서는 은(Ag)-구리(Cu) 합금에서 구리(Cu)의 함량이 20% 이상, 예를 들어, 30% 이상, 예를 들어, 40%까지 올릴 필요가 있다. Therefore, in order for the electrical contact material of Ag-Cu alloy to operate without fusion, the copper (Cu) content in the silver (Ag)-copper (Cu) alloy must be 20% or more, for example, 30% or more, for example, 40% or more. There is a need to raise it to %.

반면, Cu 함량이 약 20%를 초과하여 높아지는 경우 Cu의 높은 산화성으로 인해 압출자체가 어렵고, 약 30% 정도의 압출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u content exceeds about 20%, extrusion itself is difficult due to the high oxidation property of Cu, and there is a problem that about 30% of extrusion defects occur.

예를 들어, 또한 구리(Cu)는 산화성이 높아 공기 중 산소와 반응하여 산화구리(CuO2)로 쉽게 바뀌는 성질이 있고, 용탕에 산화구리(CuO2)가 존재하게 되어 이후 신선(wire drawing) 공정에서 산화구리(CuO2)가 와이어(W) 내에 존재하여 디펙트로 작용하며, 와이어가 끊어지는 현상까지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For example, copper (Cu) has a high oxidation property, so it reacts with oxygen in the air and easily changes into copper oxide (CuO 2 ), and copper oxide (CuO 2 ) is present in the molten metal, which can then be used for wire drawing. During the process, there was a problem in that copper oxide (CuO 2 ) existed within the wire (W), acting as a defect, and even causing the wire to break.

한편, 종래 전기접점 기술에서는 Ag-Cu 합금에 산화를 방지하기 위한 Ni 등의 첨가제를 추가하고 있으나, Ni 등의 첨가제 첨가 시 융착을 유발하여 전기접점 소재로 적합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Meanwhile, in conventional electrical contact technology, additives such as Ni are added to Ag-Cu alloy to prevent oxidation, but there is a problem that adding additives such as Ni causes fusion, making it unsuitable as an electrical contact material.

또한 종래 전기접점 기술에서는 Ag-Cu 합금에 산화를 방지하기 위해 진공상태에서 용해가 진행되고 있으나, 고온의 용해로 자체의 진공을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Additionally, in conventional electrical contact technology, Ag-Cu alloy is melted in a vacuum to prevent oxidation, b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maintain a vacuum in the high-temperature melting furnace itself.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용해로의 용탕 도가니가 고온 상태에서 공기 중에 노출시 용탕 도가니의 산화로 인해 용탕 도가니의 급격한 손실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Additionally, in the prior art, there is a problem in that when the molten metal crucible in a melting furnace is exposed to air at a high temperature, rapid loss of the molten metal crucible occurs due to oxidation of the molten metal crucible.

또한 종래 기술에서 용탕 도가니에 추가로 재료를 주입하는 경우, 외부 공기에 용해된 용탕이 노출되어 표면 산화로 인해 오염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Additionally, in the prior art, when additional materials are injected into the molten metal crucibl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molten metal is exposed to external air and causes contamination due to surface oxidation.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용해 공정 후 전기 접점소재의 와이어 공정에서 와이어가 코일 형태로 둥글게 말리게 되는데, 별도의 와이어 코일링 장치가 설치되야 하는 문제가 있다.Additionally, in the prior art, the wire is rolled into a coil shape during the wire process of the electrical contact material after the melting process, but there is a problem that a separate wire coiling device must be installed.

실시예의 기술적 과제 중의 하나는, 은(Ag)-구리(Cu)의 전기접점 소재에서 구리(Cu)의 함량을 높이면서도 다른 첨가제 없이 구리(Cu)의 산화성을 방지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하고자 함이다.One of the technical tasks of the embodiment is to provide a method to prevent oxidation of copper (Cu) without other additives while increasing the content of copper (Cu) in the silver (Ag)-copper (Cu) electrical contact material. am.

또한 실시예의 기술적 과제 중의 하나는, 용해로의 용탕 도가니의 산화로 인해 용탕 도가니의 급격한 손실이 발생되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함니다.In addition, one of the technical challenges of the embodiment is to solve the problem of rapid loss of the molten metal crucible due to oxidation of the molten metal crucible in the melting furnace.

또한 실시예의 기술적 과제 중의 하나는, 용탕 도가니에 추가로 재료를 주입하는 경우, 외부 공기에 용해된 용탕이 노출되어 표면 산화로 인해 오염이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함이다.In addition, one of the technical challenges of the embodiment is to solve the problem that when additional materials are injected into the molten metal crucible, the molten metal is exposed to external air and contamination occurs due to surface oxidation.

또한 또한 실시예의 기술적 과제 중의 하나는, 용해 공정 후 전기 접점소재의 와이어 공정에서 와이어가 코일 형태로 둥글게 만들기 위한 별도의 와이어 코일링 장치가 설치되야 하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함이다.In addition, one of the technical problems of the embodiment is to solve the problem that a separate wire coiling device must be installed to round the wire into a coil shape in the wire process of the electrical contact material after the melting process.

실시예의 기술적 과제는 본 항목에 기재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해 파악될 수 있는 것을 포함한다.The technical problems of the embodiments are not limited to those described in this item and include those that can be understoo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실시예에 따른 전기접점용 Ag-Cu 와이어 제조방법은, 용탕 도가니에 주입된 전기접점 소재인 은(Ag)과 구리(Cu)를 용탕 가열장치를 이용하여 가열하여 전기접점용 용탕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용탕 도가니와 상기 용탕 가열장치 하측이 개공되어 상기 용탕을 출탕하여 와이어 노즐 몰드에 주입하여 주형 와이어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주형 와이어를 롤링하여 전기접점용 Ag-Cu 와이어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g-Cu wire for electrical contac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preparing molten metal for electrical contacts by heating silver (Ag) and copper (Cu), which are electrical contact materials, injected into a molten metal crucible using a molten metal heating device. and the molten metal crucible and the lower side of the molten metal heating device are opened so that the molten metal is tapped and injected into a wire nozzle mold to manufacture a mold wire, and the mold wire is rolled to manufacture an Ag-Cu wire for electrical contacts. It can be included.

상기 용탕 커버부는, 커버 바디와, 상기 커버 바디를 관통하는 관통 홀과, 상기 관통 홀 상에 결합되는 제1 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밸브와 상기 관통 홀을 통해 불활성 가스가 상기 용탕 도가니 상에 주입될 수 있다.The molten metal cover unit includes a cover body, a through hole penetrating the cover body, and a first valve coupled to the through hole, and an inert gas flows onto the molten metal crucible through the first valve and the through hole. can be injected.

상기 주형 와이어를 제조하는 단계에서의 상기 용탕 도가니에 주입되는 불활성 가스의 제2 온도는 용탕을 준비하는 단계에서 주입되는 불활성 가스의 제1 온도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cond temperature of the inert gas injected into the molten metal crucible in the step of manufacturing the mold wir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lower than the first temperature of the inert gas injected in the step of preparing the molten metal.

실시예는 상기 용탕 도가니 하측에 배치되는 전기접점 용탕 안정화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n electrical contact point molten metal stabilization furnace disposed below the molten metal crucible.

상기 용탕 안정화로는, 안정화로 바디와, 상기 안정화로 바디 내측에 배치되는 안정화용 도가니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lten metal stabilization furnace may include a stabilization furnace body and a stabilization crucible disposed inside the stabilization furnace body.

상기 용해된 용탕이 상기 전기접점 용탕 안정화로에 주입되어 안정화된 후에 안정화된 용탕이 상기 와이어 노즐 몰드로 주입될 수 있다.After the molten metal is injected into the electrical contact molten metal stabilization furnace and stabilized, the stabilized molten metal may be injected into the wire nozzle mold.

상기 용탕 커버부는, 커버 바디의 중앙부에 원료 주입구 및 상기 원료 주입구를 커버하는 주입구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lten metal cover part may include a raw material inlet in the center of the cover body and an inlet cover that covers the raw material inlet.

상기 원료 주입구는 상측의 폭이 하측의 폭 보다 클 수 있다.The upper width of the raw material inlet may be larger than the lower width.

상기 제1 밸브를 통해 주입된 불활성 가스가 상기 원료 주입구 내에도 위치할 수 있다.The inert gas injected through the first valve may also be located within the raw material injection port.

상기 용탕 커버부는, 상기 원료 주입구 하단에 가변형 원료 주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lten metal cover part may include a variable raw material inlet at the bottom of the raw material inlet.

상기 가변형 원료 주입구는, 소정의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통로가 열리는 탄성을 구비할 수 있다.The variable raw material inlet may have elasticity to open the passage when a predetermined pressure is applied.

또한 실시예는 상기 원료 주입장치를 통해 Ag와 Cu 분말을 포함하는 원료가 원료 주입구를 통해 주입되는 단계와, 상기 원료 주입장치에 소정의 하측방향으로 압력이 가해져서 상기 원료가 상기 가변형 원료 주입구를 통과하여 용탕 내부로 주입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mbodiment includes the step of injecting raw materials including Ag and Cu powder through the raw material injection port through the raw material injection device, and applying pressure to the raw material injection device in a predetermined downward direction so that the raw material is injected through the variable raw material injection hole. It may include the step of passing through and injecting into the molten metal.

실시예는, 제1 사이즈을 구비하는 주형 와이어가 상기 와이어 롤러에 의해 제2 사이즈의 전기접점용 Ag-Cu 와이어로 제조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a mold wire having a first size may be manufactured into an Ag-Cu wire for electrical contacts of a second size by the wire roller.

상기 전기접점용 Ag-Cu 와이어는 그 단면이 다각형을 포함할 수 있다.The Ag-Cu wire for electrical contact may have a polygonal cross-section.

상기 와이어 롤러는, 마주보는 한 쌍의 와이어용 제1 롤러와 와이어용 제2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용 제1 롤러와 상기 와이어용 제2 롤러는 각각 그 외주에 다각형 형상의 제1 리세스와 제2 리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The wire roller includes a pair of facing first rollers for wires and a second roller for wires, and each of the first rollers for wires and the second rollers for wires has a polygonal first recess on its outer periphery. It may include a second recess.

상기 와이어용 제1 롤러의 제1 리세스는, 밑 변이 제1 폭을 구비하고, 윗 변이 상기 제1 폭보다 작은 제2 폭을 구비하는 사다리꼴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recess of the first roller for the wire may have a trapezoidal shape with a lower side having a first width and an upper side having a second width smaller than the first width.

상기 와이어용 제1 롤러는, 제3 폭(W3)의 제1 빗 변, 제2 빗 변과, 상기 제3 폭보다 긴 제2 폭의 윗 변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roller for the wire may include a first oblique side, a second oblique side of the third width W3, and an upper edge of the second width that is longer than the third width.

상기 와이어 롤러는, 롤러 하우징과, 상기 롤러 하우징에 마주보며 장착된 와이어 제1 롤러, 와이어 제2 롤러 및 상기 롤러 하우징에 장착된 와이어 코일러를 포함할 수 있다.The wire roller may include a roller housing, a first wire roller mounted to face the roller housing, a second wire roller, and a wire coiler mounted on the roller housing.

상기 와이어 코일러는, 상기 와이어 롤러와 평행하지 않은 어긋난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The wire coiler may be installed in a direction that is not parallel to the wire roller.

상기 와이어 롤러는, 롤러 하우징에서 제1 방향(X1)으로 연장되면서 마주보도록 장착된 와이어 제1 롤러, 와이어 제2 롤러 및 상기 롤러 하우징에 상기 제1 방향(X1)과 어긋나게 제2 방향(X2)으로 연장되도록 장착된 와이어 코일러를 포함할 수 있다.The wire roller includes a first wire roller, a second wire roller, and a wire roller installed to face each other while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X1) from the roller housing, and a second direction (X2) that is offset from the first direction (X1) It may include a wire coiler mounted to extend to.

상기 제1 방향(X1)과 상기 제2 방향(X2)은 서로 평행하지 않게 어긋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방향(X1)과 상기 제2 방향(X2)의 연장선의 제1 영역에는 제1 거리는, 상기 제1 방향(X1)과 상기 제2 방향(X2)의 연장선의 제2 영역에서의 제2 거리보다 좁을 수 있다.The first direction ( It may be narrower than the second distance in the second area of the extension line of the first direction (X1) and the second direction (X2).

상기 와이어 코일러는, 상기 롤러 하우징에서 상기 제1 방향(X1)과 어긋나게 제2 방향(X2)으로 연장되도록 장착된 코일러 지지부와, 상기 코일러 지지부에 삽입된 회전 가능한 코일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wire coiler may include a coiler support unit mounted in the roller housing to extend in a second direction (X2) at odds with the first direction (X1), and a rotatable coiling unit inserted into the coiler support unit. there is.

상기 와이어 코일러는, 상기 코일링부 외측의 상기 코일러 지지부에 결합된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wire coiler may include a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coiler support portion outside the coiling portion.

상기 코일링부는 외곽 둘레에 리세스를 포함하며, 상기 코일링부의 리세스는 상기 제1, 제2 롤러의 제1 리세스, 제2 리세스와는 어긋난 방향으로 리세스가 배치될 수 있다.The coiling part includes a recess on an outer periphery, and the recess of the coiling part may be arranged in a direction that is offset from the first recess and the second recess of the first and second rollers.

상기 제1, 제2 롤러의 제1 리세스, 제2 리세스(R1, R2)는 상기 제1 방향(X1)에 수직한 방향으로 리세스가 배치되며, 상기 코일링부의 리세스는 상기 제1 방향(X1)에 어긋난 제2 방향(X2)에 수직한 방향으로 리세스가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recesses (R1, R2) of the first and second rollers are recess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X1), and the recesses of the coiling unit are The recess may be arrang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econd direction (X2), which is offset from the first direction (X1).

또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접점용 Ag-Cu 와이어 제조장치는, 전기접점 소재인 은(Ag)과 구리(Cu)를 가열하는 용탕 가열장치와, 상기 용탕 가열장치 내에 배치되며 상기 은(Ag)과 구리(Cu)를 용융하여 용탕(M1)을 제조, 수용하는 전기접점용 Ag-Cu 용탕 도가니와, 상기 용탕 가열장치 상에 배치되며 상기 용탕 가열장치의 상부를 밀폐하는 용탕 커버부와, 상기 용탕 도가니로부터 출탕되는 용탕(M1)을 냉각시켜 와이어 형상의 주형 와이어로 제조하는 와이어 노즐 몰드 및 상기 주형 와이어를 롤링하여 전기접점용 Ag-Cu 와이어를 제조하는 와이어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g-Cu wire manufacturing apparatus for electrical contact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ncludes a molten metal heating device for heating silver (Ag) and copper (Cu), which are electrical contact materials, and is disposed within the molten metal heating device and includes the silver (Ag) and copper (Cu). An Ag-Cu molten metal crucible for electrical contacts that melts copper (Cu) to manufacture and accommodate molten metal (M1), a molten metal cover placed on the molten metal heating device and sealing the upper part of the molten metal heating device, and the molten metal. It may include a wire nozzle mold that cools the molten metal (M1) tapped from the crucible to manufacture a wire-shaped cast wire, and a wire roller that rolls the cast wire to manufacture an Ag-Cu wire for electrical contacts.

상기 용탕 커버부는, 커버 바디와, 상기 커버 바디를 관통하는 관통 홀과, 상기 관통 홀 상에 결합되는 제1 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밸브와 상기 관통 홀을 통해 불활성 가스가 상기 용탕 도가니 상에 주입될 수 있다.The molten metal cover unit includes a cover body, a through hole penetrating the cover body, and a first valve coupled to the through hole, and an inert gas flows onto the molten metal crucible through the first valve and the through hole. can be injected.

상기 주형 와이어를 제조하는 단계에서의 상기 용탕 도가니에 주입되는 불활성 가스의 제2 온도는 용탕을 준비하는 단계에서 주입되는 불활성 가스의 제1 온도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cond temperature of the inert gas injected into the molten metal crucible in the step of manufacturing the mold wir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lower than the first temperature of the inert gas injected in the step of preparing the molten metal.

또한 실시예는 상기 용탕 도가니 하측에 배치되는 전기접점 용탕 안정화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n electrical contact point molten metal stabilization furnace disposed below the molten metal crucible.

상기 용탕 안정화로는, 안정화로 바디와, 상기 안정화로 바디 내측에 배치되는 안정화용 도가니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lten metal stabilization furnace may include a stabilization furnace body and a stabilization crucible disposed inside the stabilization furnace body.

상기 용해된 용탕이 상기 전기접점 용탕 안정화로에 주입되어 안정화된 후에 안정화된 용탕이 상기 와이어 노즐 몰드로 주입될 수 있다.After the molten metal is injected into the electrical contact molten metal stabilization furnace and stabilized, the stabilized molten metal may be injected into the wire nozzle mold.

상기 용탕 커버부는, 커버 바디의 중앙부에 원료 주입구 및 상기 원료 주입구를 커버하는 주입구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lten metal cover part may include a raw material inlet in the center of the cover body and an inlet cover that covers the raw material inlet.

상기 원료 주입구는 상측의 폭이 하측의 폭 보다 클 수 있다.The upper width of the raw material inlet may be larger than the lower width.

상기 제1 밸브를 통해 주입된 불활성 가스가 상기 원료 주입구 내에도 위치할 수 있다.The inert gas injected through the first valve may also be located within the raw material injection port.

상기 용탕 커버부는, 상기 원료 주입구 하단에 가변형 원료 주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lten metal cover part may include a variable raw material inlet at the bottom of the raw material inlet.

상기 가변형 원료 주입구는, 소정의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통로가 열리는 탄성을 구비할 수 있다.The variable raw material inlet may have elasticity to open the passage when a predetermined pressure is applied.

제1 사이즈을 구비하는 주형 와이어가 상기 와이어 롤러에 의해 제2 사이즈의 전기접점용 Ag-Cu 와이어로 제조될 수 있다.A mold wire having a first size can be manufactured into an Ag-Cu wire for electrical contacts of a second size by the wire roller.

상기 전기접점용 Ag-Cu 와이어는, 그 단면이 다각형을 포함할 수 있다.The Ag-Cu wire for electrical contact may have a polygonal cross-section.

상기 와이어 롤러는, 마주보는 한 쌍의 와이어용 제1 롤러와 와이어용 제2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용 제1 롤러와 상기 와이어용 제2 롤러는 각각 그 외주에 다각형 형상의 제1 리세스와 제2 리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The wire roller includes a pair of facing first rollers for wires and a second roller for wires, and each of the first rollers for wires and the second rollers for wires has a polygonal first recess on its outer periphery. It may include a second recess.

상기 와이어용 제1 롤러의 제1 리세스는, 밑 변이 제1 폭을 구비하고, 윗 변이 상기 제1 폭보다 작은 제2 폭을 구비하는 사다리꼴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recess of the first roller for the wire may have a trapezoidal shape with a lower side having a first width and an upper side having a second width smaller than the first width.

상기 와이어용 제1 롤러는, 제3 폭의 제1 빗 변, 제2 빗 변과, 상기 제3 폭보다 긴 제2 폭의 윗 변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roller for the wire may include a first hyphenated side, a second hyphenated side of a third width, and an upper side of a second width that is longer than the third width.

상기 와이어 롤러는, 롤러 하우징과, 상기 롤러 하우징에 마주보며 장착된 와이어 제1 롤러, 와이어 제2 롤러 및 상기 롤러 하우징에 장착된 와이어 코일러를 포함할 수 있다.The wire roller may include a roller housing, a first wire roller mounted to face the roller housing, a second wire roller, and a wire coiler mounted on the roller housing.

상기 와이어 코일러는, 상기 와이어 롤러와 평행하지 않은 어긋난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The wire coiler may be installed in a direction that is not parallel to the wire roller.

상기 와이어 롤러는, 롤러 하우징에서 제1 방향(X1)으로 연장되면서 마주보도록 장착된 와이어 제1 롤러, 와이어 제2 롤러 및 상기 롤러 하우징에 상기 제1 방향(X1)과 어긋나게 제2 방향(X2)으로 연장되도록 장착된 상기 와이어 코일러를 포함할 수 있다.The wire roller includes a first wire roller, a second wire roller, and a wire roller installed to face each other while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X1) from the roller housing, and a second direction (X2) that is offset from the first direction (X1) It may include the wire coiler mounted to extend to.

상기 제1 방향(X1)과 상기 제2 방향(X2)은 서로 평행하지 않게 어긋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방향(X1)과 상기 제2 방향(X2)의 연장선의 제1 영역에는 제1 거리는, 상기 제1 방향(X1)과 상기 제2 방향(X2)의 연장선의 제2 영역에서의 제2 거리보다 좁을 수 있다.The first direction ( It may be narrower than the second distance in the second area of the extension line of the first direction (X1) and the second direction (X2).

상기 와이어 코일러는, 상기 롤러 하우징에서 상기 제1 방향(X1)과 어긋나게 제2 방향(X2)으로 연장되도록 장착된 코일러 지지부와, 상기 코일러 지지부에 삽입된 회전 가능한 코일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wire coiler may include a coiler support unit mounted in the roller housing to extend in a second direction (X2) at odds with the first direction (X1), and a rotatable coiling unit inserted into the coiler support unit. there is.

상기 와이어 코일러는, 상기 코일링부 외측의 상기 코일러 지지부에 결합된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wire coiler may include a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coiler support portion outside the coiling portion.

상기 코일링부는 외곽 둘레에 리세스를 포함하며, 상기 코일링부의 리세스는 상기 제1, 제2 롤러의 제1 리세스, 제2 리세스와는 어긋난 방향으로 리세스가 배치될 수 있다.The coiling part includes a recess on an outer periphery, and the recess of the coiling part may be arranged in a direction that is offset from the first recess and the second recess of the first and second rollers.

상기 제1, 제2 롤러의 제1 리세스, 제2 리세스(R1, R2)는 상기 제1 방향(X1)에 수직한 방향으로 리세스가 배치되며, 상기 코일링부의 리세스는 상기 제1 방향(X1)에 어긋난 제2 방향(X2)에 수직한 방향으로 리세스가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recesses (R1, R2) of the first and second rollers are recess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X1), and the recesses of the coiling unit are The recess may be arrang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econd direction (X2), which is offset from the first direction (X1).

실시예에 의하면, 은(Ag)-구리(Cu)의 전기접점 소재에서 구리(Cu)의 함량을 높이면서도 다른 첨가제 없이 구리(Cu)의 산화성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xample, there is a technical effect of increasing the content of copper (Cu) in a silver (Ag)-copper (Cu) electrical contact material while preventing oxidation of copper (Cu) without other additives.

예를 들어, 실시예에 의하면, 불활성 분위기에서 용해로의 용탕 공정이 진행되고, 이후 압출방식이 아닌 연속주조 방식 공정에 의해 Ag-Cu 접점 소재에서 Cu 함량을 20~40%로 높이면서도 다른 첨가제 없이 Cu의 산화성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For example, according to an example, the molten metal process in a melting furnace is carried out in an inert atmosphere, and then the Cu content in the Ag-Cu contact material is increased to 20 to 40% through a continuous casting process rather than an extrusion process without any other additives. There is a technical effect that can prevent the oxidation of Cu.

또한 실시예에 의하면, 불활성 분위기에서 용탕 공정이 진행되고, 이후 연속주조 방식 공정에 의해 Ag-Cu 접점 소재의 와이어 제조가 가능하므로 압출시 발생하는 손실을 100% 보전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molten metal process is carried out in an inert atmosphere, and since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wire of Ag-Cu contact material through a continuous casting process, there is a technical effect of 100% compensating for losses occurring during extrusion.

또한 실시예에 의하면, 용탕 공정과, 연속주조 방식 및 압연공정을 순차적으로 진행함으로써 제품 조직을 치밀하게 만들어 더욱 개선된 제품을 제공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re is a technical effect of providing a further improved product by making the product structure dense by sequentially performing the molten metal process, continuous casting method, and rolling process.

또한 실시예에 의하면, 용해공정 후 불활성 분위기에서 용탕 도가니의 냉각이 진행됨에 따라 용탕 도가니의 산화로 인한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Additional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s the molten metal crucible is cooled in an inert atmosphere after the melting process, loss due to oxidation of the molten metal crucible can be prevented.

또한 실시예에 의하면, 용해공정 후 냉각된 불활성 분위기에서 용탕 도가니의 냉각이 진행됨에 따라 용탕 도가니의 산화로 인한 손실을 방지함과 동시에 용탕 도가니의 냉각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Additional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as cooling of the molten metal crucible proceeds in a cooled inert atmosphere after the melting process, loss due to oxidation of the molten metal crucible can be prevented and the cooling rate of the molten metal crucible can be improved.

또한 실시예에 의하면, 용탕 가열장치(110) 상에 배치되는 제2 용탕 커버부(150B)에 커버 바디(151)를 관통하는 원료 주입구(150T)를 구비하고, 용탕 커버부의 원료 주입구(150T)를 통해 용탕 소재를 주입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second molten metal cover portion 150B disposed on the molten metal heating device 110 is provided with a raw material injection port 150T penetrating the cover body 151, and the raw material injection port 150T of the molten metal cover portion is provided. The molten metal material can be injected through .

또한 용탕은 불활성 분위기가 유지될 수 있으므로 용탕이 외부 공기에 노출되지 않으면서도 용탕 소재를 추가로 주입할 수 있으므로 용탕 소재 주입시 용탕이 산화로 인해 오염이 발생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molten metal can be maintained in an inert atmosphere, additional molten metal materials can be injected without the molten metal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air, which has the technical effect of preventing the problem of contamination due to oxidation of the molten metal when injecting molten metal materials. there is.

또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기접점용 Ag-Cu 와이어 제조장치에 의하면, 용탕을 안정화시킬 수 있는 전기접점 용탕 안정화로(120)를 구비함으로써 고 품질의 전기접점용 Ag-Cu 와이어를 제조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g-Cu wire for electrical contact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high-quality Ag-Cu wire for electrical contacts can be manufactured by providing a stabilization furnace 120 for electrical contact molten metal that can stabilize the molten metal. There is a technical effect.

또한 제3 실시예에 의하면, 용탕 가열장치(110) 상에 배치되는 제2 용탕 커버부(150B)에 커버 바디(151)를 관통하는 원료 주입구(150T)를 구비하고, 용탕 커버부의 원료 주입구(150T)를 통해 용탕 소재를 주입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the second molten metal cover portion 150B disposed on the molten metal heating device 110 is provided with a raw material injection port 150T penetrating the cover body 151, and the raw material injection port 150T of the molten metal cover portion ( Molten metal material can be injected through 150T).

이에 따라 용탕은 불활성 분위기가 유지될 수 있으므로 용탕이 외부 공기에 노출되지 않으면서도 용탕 소재를 추가로 주입할 수 있으므로 용탕 소재 주입시 용탕이 산화로 인해 오염이 발생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As a result, an inert atmosphere can be maintained in the molten metal, so additional molten metal materials can be injected without the molten metal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air. This is a technical effect that can prevent the problem of contamination due to oxidation of the molten metal when injecting molten metal materials. There is.

또한 제4 실시예는, 제3 용탕 커버부(150B)가 원료 주입구(150T) 하단에 가변형 원료 주입구(157)를 포함할 수 있으며, 원료 주입장치(160)에 소정의 하측방향으로 압력이 가해져서 원료(160AC)가 가변형 원료 주입구(157)를 통과하여 용탕 내부로 주입될 수 있다. 이때 가변형 원료 주입구(157)에 원료(160AC)가 존재함에 따라 불활성 가스(G1)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으면서도 용탕 내부로 원료(160AC)가 효율적으로 공급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n the fourth embodiment, the third molten metal cover portion 150B may include a variable raw material inlet 157 at the bottom of the raw material inlet 150T, and pressure is applied to the raw material injection device 160 in a predetermined downward direction. As a result, the raw material 160AC can be injected into the molten metal through the variable raw material injection port 157. At this time, as the raw material (160AC) exists in the variable raw material inlet 157, there is a technical effect in that the raw material (160AC) can be efficiently supplied into the molten metal without the inert gas (G1) leaking to the outside.

제5 실시예에 의하면, 와이어용 제1 롤러(171)의 제1 리세스(R1)와 와이어용 제2 롤러(172)의 제2 리세스(R2)가 각각 다각형 형상을 구비함에 따라, 원형 단면의 리세스에 대비하여 주형 와이어에 대한 접촉 면적을 높이면서 롤링 압력을 균일하게 가함으로써 결정품질이 우수한 전기접점용 Ag-Cu 와이어(W2)를 제조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the first recess (R1) of the first roller 171 for a wire and the second recess (R2) of the second roller 172 for a wire each have a polygonal shape, and thus have a circular shape. There is a technical effect of manufacturing Ag-Cu wire (W2) for electrical contacts with excellent crystal quality by uniformly applying rolling pressure while increasing the contact area to the mold wire compared to the recess of the cross section.

또한 제6 실시예에 의하면, 롤러장치에 어긋난 와이어 코일러(180)가 함께 설치됨에 따라, 롤러(171, 172)에 의해 롤링 후 어긋난 와이어 코일러(180)에 즉시 와이어의 코일링이 연속하여 가능하다. 이에 따라 용해 공정 후 전기 접점소재의 와이어 공정에서 와이어가 코일 형태로 둥글게 만들기 위한 별도의 와이어 코일링 장치가 설치되야 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as the misaligned wire coiler 180 is installed together with the roller device, the coiling of the wire continues immediately to the misaligned wire coiler 180 after rolling by the rollers 171 and 172. possible. Accordingly, there is a technical effect of solving the problem that a separate wire coiling device must be installed to round the wire into a coil shape in the wire process of the electrical contact material after the melting process.

실시예의 기술적 효과는 본 항목에 기재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해 파악될 수 있는 것을 포함한다.The technical effects of the embodiments are not limited to those described in this item and include those that can be understoo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a와 도 1b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접점용 Ag-Cu 와이어 제조장치(1001)의 개략도.
도 1c는 내부 기술에서 용해 후에 압출방식으로 전기접점소재 제작 시 이용되는 용탕 도가니의 사진.
도 2a 내지 도 2c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기접점용 Ag-Cu 와이어 제조장치(1002)의 개략도.
도 3a 내지 도 3b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전기접점용 Ag-Cu 와이어 제조장치(1003)의 개략도.
도 5a는 도 3a에서 제2 용탕 커버부(150B)의 제1 평면도이며, 도 5b는 제2 용탕 커버부(150B)의 제2 평면도.
도 6a와 도 6b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전기접점용 Ag-Cu 와이어 제조장치(1003)에서의 원료 주입과정을 설명하는 예시도.
도 7a와 도 7c는 제4 실시예에 따른 전기접점용 Ag-Cu 와이어 제조장치(1004)의 개략도.
도 8은 제5 실시예에 따른 전기접점용 Ag-Cu 와이어 제조장치(1005)의 개략도.
도 9a는 제5 실시예에서의 와이어 롤러(170)에 대한 사진.
도 9b는 와이어 롤러(170)의 부분 제1 단면도.
도 9c는 와이어 롤러(170)의 부분 제2 단면도.
도 10은 제6 실시예에 따른 전기접점용 Ag-Cu 와이어 제조장치(1006)의 개략도.
도 11a는 제6 실시예에서의 제2 와이어 롤러(170C)에 대한 제1 사진.
도 11b는 제2 와이어 롤러(170C)의 제2 사진.
도 11c는 실시예에 따른 전기접점용 Ag-Cu 와이어 코일(WC)의 사진.
1A and 1B are schematic diagrams of an apparatus 1001 for manufacturing Ag-Cu wire for electrical contact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ure 1c is a photograph of a molten metal crucible used to manufacture electrical contact materials by extrusion after melting in the internal technology.
2A to 2C are schematic diagrams of an apparatus 1002 for manufacturing Ag-Cu wire for electrical contact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3A to 3B are schematic diagrams of an Ag-Cu wire manufacturing apparatus 1003 for electrical contact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FIG. 5A is a first plan view of the second molten metal cover part 150B in FIG. 3A, and FIG. 5B is a second plan view of the second molten metal cover part 150B.
Figures 6a and 6b are illustrations illustrating the raw material injection process in the Ag-Cu wire manufacturing apparatus 1003 for electrical contact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7A and 7C are schematic diagrams of an Ag-Cu wire manufacturing apparatus 1004 for electrical contacts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Figure 8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Ag-Cu wire manufacturing apparatus 1005 for electrical contacts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Figure 9A is a photograph of the wire roller 170 in the fifth embodiment.
9B is a partial first cross-sectional view of wire roller 170.
9C is a partial second cross-sectional view of wire roller 170.
Figure 10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Ag-Cu wire manufacturing apparatus 1006 for electrical contacts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Figure 11A is a first photograph of the second wire roller 170C in the sixth embodiment.
Figure 11b is a second photo of the second wire roller (170C).
Figure 11c is a photograph of an Ag-Cu wire coil (WC) for electrical cont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실시예에 따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inven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The suffixes “module” and “par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simply given in consideration of the ease of writing this specification, and do not in themselves give any particularly important meaning or role. Accordingly, the terms “module” and “unit” may be used interchangeably.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contain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가지다" 또는 “구비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have,” or “compris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실시예)(Example)

도 1a와 도 1b는 실시예에 따른 전기접점용 Ag-Cu 와이어 제조장치(1001)의 개략도이다. 이하 '실시예'는 '실시예'로 약칭하기로 한다.1A and 1B are schematic diagrams of an apparatus 1001 for manufacturing Ag-Cu wire for electrical contac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Hereinafter, 'Example' will be abbreviated as 'Example'.

우선, 도 1a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전기접점용 Ag-Cu 와이어 제조장치(1001)는, 용탕 가열장치(110)와, 전기접점용 Ag-Cu 용탕 도가니(111)와, 용탕 커버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 1A, the Ag-Cu wire manufacturing apparatus 1001 for electrical contact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ncludes a molten metal heating device 110, an Ag-Cu molten metal crucible 111 for electrical contacts, and a molten metal cover part. It may include (150).

예를 들어, 실시예에 따른 전기접점용 Ag-Cu 와이어 제조장치(1001)는, 전기접점 소재인 은(Ag)과 구리(Cu)를 가열하는 용탕 가열장치(110)와, 상기 용탕 가열장치(110) 내에 배치되며 상기 은(Ag)과 구리(Cu)를 용융하여 용탕(M1)을 제조, 수용하는 전기접점용 Ag-Cu 용탕 도가니(111)와, 상기 용탕 가열장치(110) 상에 배치되며 상기 용탕 가열장치(110)의 상부를 밀폐하는 용탕 커버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Ag-Cu wire manufacturing apparatus 1001 for electrical contact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ncludes a molten metal heating device 110 for heating silver (Ag) and copper (Cu), which are electrical contact materials, and the molten metal heating device. An Ag-Cu molten metal crucible 111 for electrical contact that is disposed within (110) and melts the silver (Ag) and copper (Cu) to produce and accommodate molten metal (M1), and on the molten metal heating device 110. It may include a molten metal cover part 150 that is disposed and seals the upper part of the molten metal heating device 110.

상기 용탕 가열장치(110)는 소정의 가열 코일(H)을 이용한 고주파 유도가열을 통해 은(Ag)과 구리(Cu)를 용융하여 용탕(M1)을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 전기접점용 Ag-Cu 합금의 용해는 고주파를 사용하여 용해하므로 파장에 의하여 일정하게 교반이 이루어져 일정한 비율의 합금 용해가 가능할 수 있다.The molten metal heating device 110 can manufacture molten metal (M1) by melting silver (Ag) and copper (Cu) through high-frequency induction heating using a predetermined heating coil (H),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an embodiment, the Ag-Cu alloy for electrical contacts is melted using high frequency waves, so constant stirring is performed by wavelength, thereby enabling dissolution of the alloy at a constant rate.

상기 용탕 도가니(111)는 카본 용탕 도가니일 수 있고, 이를 통해 온도 조절성 높으므로 이후 제조되는 와이어의 표면 개질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The molten metal crucible 111 may be a carbon molten metal crucible, and since temperature control is high through this, the surface modification of the wire manufactured thereafter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또한 상기 용탕 도가니(111)와 상기 용탕 가열장치(110)는 각각 용탕이 출탕될 수 있는 제1 하단 출구(T1)과 제2 하단 출구(T2)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하단 출구(T1)과 제2 하단 출구(T2)는 일체의 하나의 출구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dditionally, the molten metal crucible 111 and the molten metal heating device 110 may include a first lower outlet T1 and a second lower outlet T2 through which molten metal can be tapped, respectively. Alternatively, the first lower outlet (T1) and the second lower outlet (T2) may be in the form of a single outlet, but are not limited thereto.

실시예에서 소정의 흑연봉(미도시)이 용융 중에 상기 제1 하단 출구(T1) 또는 상기 제2 하단 출구(T2)를 밀폐 후 상기 흑연봉이 제거되어 상기 제1 하단 출구(T1) 또는 상기 제2 하단 출구(T2)를 오픈시킬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n embodiment, after a predetermined graphite rod (not shown) is melted and the first lower outlet (T1) or the second lower outlet (T2) is closed, the graphite rod is removed to open the first lower outlet (T1) or the second lower outlet (T2). The second lower exit (T2) may be opened, but is not limited to this.

또한 도 1a와 도 1b를 함께 참조하면, 실시예는 상기 용탕 도가니(111)로부터 출탕되는 용탕(M1)을 냉각시켜 와이어 형상의 주형 와이어(W1)로 제조하는 와이어 노즐 몰드(130)를 포함할 수 있다.Also, referring to FIGS. 1A and 1B together, the embodiment may include a wire nozzle mold 130 for manufacturing a wire-shaped mold wire (W1) by cooling the molten metal (M1) tapped from the molten metal crucible 111. You can.

또한 실시예는 상기 용탕 가열장치(110)의 제2 하단 출구(T2)와 상기 와이어 노즐 몰드(130) 사이에 배치된 용탕 개폐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embodiment may include a molten metal opening/closing unit 132 disposed between the second lower outlet T2 of the molten metal heating device 110 and the wire nozzle mold 130.

계속하여, 도 1a와 도 1b를 참조하면, 상기 용탕 개폐부(132)는 용탕이 준비된 후 용탕 가열장치(110)의 제2 하단 출구(T2)를 개공시켜 용탕을 와이어 노즐 몰드(130)로 주입할 수 있다.Continuing to refer to FIGS. 1A and 1B , after the molten metal is prepared, the molten metal opening/closing unit 132 opens the second lower outlet T2 of the molten metal heating device 110 to inject the molten metal into the wire nozzle mold 130. can do.

또한 실시예는 상기 와이어 노즐 몰드(130)에서 출사되는 주형 와이어(W1)의 이동 속도를 제어하는 제1 핀치 롤(141), 제2 핀치 롤(142)과, 주형 와이어(W1)의 이송을 안내하는 가이드 롤(143) 및 구동 모터(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mbodiment includes the first pinch roll 141, the second pinch roll 142, which controls the moving speed of the mold wire W1 emitted from the wire nozzle mold 130, and the transportation of the mold wire W1. It may include a guiding guide roll 143 and a driving motor (not shown).

또한 실시예는 와이어 노즐 몰드(130) 외곽 둘레 배치된 냉각 자켓(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각 자켓은 냉각수 또는 열전소자 등으로 용탕을 냉각시킬 수 있다. Additionally, the embodiment may include a cooling jacket (not shown) disposed around the perimeter of the wire nozzle mold 130. The cooling jacket can cool the molten metal using coolant or a thermoelectric element.

도 1a와 도 1b를 참조하면, 실시예에서는 도 1b의 연속주조 개시 전에 소정의 더미 와이어(미도시)를 상승시켜 더미 와이어의 헤드가 상기 와이어 노즐 몰드(130)의 하면에 결합, 삽입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A and 1B, in the embodiment, a predetermined dummy wire (not shown) is raised before the start of continuous casting in FIG. 1B, so that the head of the dummy wire can be coupled to and inserted into the lower surface of the wire nozzle mold 130. there is.

또한 상기 용탕(M1)이 준비된 후 상기 제1 하단 출구(T1), 상기 제2 하단 출구(T2)를 밀폐하는 흑연봉이 제거되고, 상기 용탕 가열장치(110)의 제2 하단 출구(T2)가 상기 용탕 개폐부(132)의 이동으로 개공되어 용탕(M1)이 와이어 노즐 몰드(130)로 주입되어 더미 와이어 헤드와 밀착된 상태로 응고될 수 있다.In addition, after the molten metal (M1) is prepared, the graphite rods sealing the first lower outlet (T1) and the second lower outlet (T2) are removed, and the second lower outlet (T2) of the molten metal heating device 110 is removed. The molten metal M1 may be opened by moving the molten metal opening/closing part 132, and the molten metal M1 may be injected into the wire nozzle mold 130 and solidified in close contact with the dummy wire head.

이후 제1 핀치 롤(141)에 의해 더미 와이어(미도시)가 주형 와이어(W1)와 함께 아래로 이동될 수 있다. 이후 소정의 벤딩 가이드 롤(미도시)이 이동하여 더미 와이어를 주형 와이어(W1)로부터 분리하고, 분리된 더미 와이어는 제3 핀치 롤(미도시)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되고, 분리된 주형 와이어(W1)는 가이드 롤(143), 제2 핀치 롤(142)을 따라 이송되면서 연속 주조가 진행될 수 있다.Thereafter, the dummy wire (not shown) may be moved downward along with the mold wire (W1) by the first pinch roll 141. Afterwards, a predetermined bending guide roll (not shown) moves to separate the dummy wire from the mold wire (W1), the separated dummy wire is moved downward by a third pinch roll (not shown), and the separated mold wire ( W1) may be continuously cast while being transported along the guide roll 143 and the second pinch roll 142.

실시예의 기술적 과제 중의 하나는, 은(Ag)-구리(Cu)의 전기접점 소재에서 구리(Cu)의 함량을 높이면서도 구리(Cu)의 산화성을 방지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하고자 함이다.One of the technical challenges of the embodiment is to provide a method to prevent oxidation of copper (Cu) while increasing the content of copper (Cu) in the silver (Ag)-copper (Cu) electrical contact material.

도 1a와 도 1b를 참조하면, 실시예는 상기 용탕 가열장치(110) 상에 배치되며 상기 용탕 가열장치(110)의 상부를 밀폐하는 용탕 커버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A and 1B , the embodiment may include a molten metal cover portion 150 that is disposed on the molten metal heating device 110 and seals the upper part of the molten metal heating device 110 .

상기 용탕 커버부(150)는 커버 바디(151)와, 상기 커버 바디(151)를 관통하는 관통 홀(152)과, 상기 관통 홀(152) 상에 결합되는 제1 밸브(153)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lten metal cover unit 150 may include a cover body 151, a through hole 152 penetrating the cover body 151, and a first valve 153 coupled to the through hole 152. You can.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밸브(153)를 통해 질소, 아르곤 등의 불활성 가스(G1)를 용탕 가열장치(110) 내의 상기 용탕 도가니(111) 상에 주입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an inert gas (G1) such as nitrogen or argon may be injected into the molten metal crucible 111 in the molten metal heating device 110 through the first valve 153.

실시예에 의하면, 은(Ag)-구리(Cu)의 전기접점 소재에서 구리(Cu)의 함량을 높이면서도 다른 첨가제 없이 구리(Cu)의 산화성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xample, there is a technical effect of increasing the content of copper (Cu) in a silver (Ag)-copper (Cu) electrical contact material while preventing oxidation of copper (Cu) without other additives.

예를 들어, 실시예에 의하면, 불활성 분위기에서 용해로의 용탕 공정이 진행되고, 이후 압출방식이 아닌 연속주조 방식 공정에 의해 Ag-Cu 접점 소재에서 Cu 함량을 20~40%로 높이면서도 다른 첨가제 없이 Cu의 산화성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For example, according to an example, the molten metal process in a melting furnace is carried out in an inert atmosphere, and then the Cu content in the Ag-Cu contact material is increased to 20 to 40% through a continuous casting process rather than an extrusion process without any other additives. There is a technical effect that can prevent the oxidation of Cu.

또한 실시예에 의하면, 불활성 분위기에서 용탕 공정이 진행되고, 이후 연속주조 방식 공정에 의해 Ag-Cu 접점 소재의 와이어 제조가 가능하므로 압출 시 발생하는 손실을 100% 보전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molten metal process is carried out in an inert atmosphere, and then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wire of Ag-Cu contact material through a continuous casting process, so there is a technical effect of compensating 100% of the loss occurring during extrusion.

또한 실시예에 의하면, 용탕 공정과, 연속주조 방식 및 압연공정을 순차적으로 진행함으로써 제품 조직을 치밀하게 만들어 더욱 개선된 제품을 제공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re is a technical effect of providing a further improved product by making the product structure dense by sequentially performing the molten metal process, continuous casting method, and rolling process.

다음으로 도 1c는 내부 기술에서 압출방식으로 전기접점소재 제작 시 이용되는 용탕 도가니의 사진이다. 도 1c의 (a)는 처음 입고된 용탕 도가니(C1)에 대한 사진이며, 도 1c의 (b)는 압출방식으로 전기접점소재 제작에 약 1~2 주 사용된 용탕 도가니(C2)에 대한 사진이다.Next, Figure 1c is a photograph of a molten metal crucible used to manufacture electrical contact materials using the extrusion method in internal technology. (a) in Figure 1C is a photograph of the molten metal crucible (C1) that was first received, and (b) in Figure 1C is a photograph of the molten metal crucible (C2) that was used for about 1 to 2 weeks to produce electrical contact materials using the extrusion method. am.

내부 기술에 의하면 압출방식으로 전기접점소재 제작시 고온의 용탕 도가니가 공기 중에 노출됨에 따라 산화되어 용탕 도가니 자체의 소실이 심각하게 진행되는 실정이었다.According to internal technology, when manufacturing electrical contact materials using the extrusion method, the high-temperature molten metal crucible was exposed to the air and was oxidized, leading to serious loss of the molten metal itself.

예를 들어, 압출방식으로 전기접점소재 제작에 약 1~2 주 사용된 용탕 도가니(C2, 우측)의 제2 두께(TC2)는 처음 입고된 용탕 도가니(C1, 좌측)의 제1 두께(TC1)의 약 1/2 이하로 줄었으며, 산화로 인해 용탕의 품질에도 심각한 문제를 유발하는 실정이었다.For example, the second thickness (T C2) of the molten metal crucible (C2, right), which was used for about 1 to 2 weeks to manufacture electrical contact materials using the extrusion method, is the first thickness (T C2 ) of the molten metal crucible (C1, left) that was first received. T C1 ) was reduced to less than 1/2, and oxidation was causing serious problems in the quality of the molten metal.

반면, 도 1b를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연속주조에 의해 용탕(M1)이 와이어 노즐 몰드(130)로 주입됨에 따라 용탕 도가니(111) 내부에도 불활성 가스(G1)가 주입됨에 따라 용탕 도가니(111)가 일반 공기 중에 노출되지 않게 되어 산화가 방지될 수 있는 특별한 기술적 효과가 있다.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FIG. 1B, in the embodiment, as the molten metal (M1) is injected into the wire nozzle mold 130 by continuous casting, the inert gas (G1) is also injected into the molten metal crucible 111, thereby forming the molten metal crucible 111. ) has a special technical effect in that it is not exposed to the general air and oxidation can be prevented.

또한 실시예에 의하면, 용해 후 연속주조 공정이 진행될 때, 불활성 가스의 온도는 용해 공정 중에 주입되는 제1 온도보다 낮은 제2 온도로 주입될 수 있다.Additional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continuous casting process is performed after dissolution, the temperature of the inert gas may be injected at a second temperature lower than the first temperature injected during the dissolution process.

이에 따라 실시예에 의하면, 용해공정 후 냉각된 제2 온도의 불활성 분위기에서 용탕 도가니의 냉각이 진행됨에 따라 용탕 도가니의 산화로 인한 손실을 방지함과 동시에 용탕 도가니의 냉각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According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s cooling of the molten metal crucible proceeds in an inert atmosphere at the second temperature cooled after the melting process, a technical method is provided to prevent loss due to oxidation of the molten metal crucible and at the same time improve the cooling rate of the molten metal crucible. It works.

(제2 실시예)(Second Embodiment)

다음으로 도 2a 내지 도 2c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기접점용 Ag-Cu 와이어 제조장치(1002)의 개략도이다. 제2 실시예는 실시예의 기술적 특징을 채용할 수 있으며, 이하 제2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Next, FIGS. 2A to 2C are schematic diagrams of the Ag-Cu wire manufacturing apparatus 1002 for electrical contact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e second embodiment can adopt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embodiment, and will be described below focusing on the second embodiment.

도 2a를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기접점용 Ag-Cu 와이어 제조장치(1002)는, 상기 용탕 가열장치(110)와, 상기 용탕 도가니(111) 하측에 배치되는 전기접점 용탕 안정화로(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A, the Ag-Cu wire manufacturing apparatus 1002 for electrical contac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ncludes the molten metal heating device 110 and the electric contact molten metal stabilization furnace disposed below the molten metal crucible 111. (120) may be further included.

제2 실시예에서 용탕 안정화로(120)는, 안정화로 바디(121)와 상기 안정화로 바디(121) 내측에 배치되는 안정화용 도가니(1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정화용 도가니(122)와 상기 안정화로 바디(121)는 각각 제3 하단 출구(T3)와 제4 하단 출구(T4)를 구비할 수 있다.In the second embodiment, the molten metal stabilization furnace 120 may include a stabilization furnace body 121 and a stabilization crucible 122 disposed inside the stabilization furnace body 121. The stabilization crucible 122 and the stabilization furnace body 121 may be provided with a third lower outlet (T3) and a fourth lower outlet (T4), respectively.

제2 실시예에 의하면, 용해된 용탕을 전기접점 용탕 안정화로(120)에 주입 후 안정화된 후에 안정화된 용탕이 와이어 노즐 몰드(130)로 주입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e molten metal may be injected into the electrical contact molten metal stabilization furnace 120 and stabilized, and then the stabilized molten metal may be injected into the wire nozzle mold 130.

또한 제2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전기접점 용탕 안정화로(120)가 상기 용탕 가열장치(110)와 밀착 배치됨에 따라 외부 공기와의 접촉을 최소화하여 용탕의 산화 등을 방지할 수 있다.Additionally,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s the electrical contact point molten metal stabilization furnace 120 is placed in close contact with the molten metal heating device 110, contact with external air can be minimized to prevent oxidation of the molten metal.

이에 따라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기접점용 Ag-Cu 와이어 제조장치에 의하면, 용탕을 안정화시킬 수 있는 전기접점 용탕 안정화로(120)를 구비함으로써 고 품질의 전기접점용 Ag-Cu 와이어를 제조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Accordingly, according to the Ag-Cu wire manufacturing apparatus for electrical contact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high-quality Ag-Cu wire for electrical contacts can be manufactured by providing a stabilization furnace 120 for electrical contact molten metal capable of stabilizing the molten metal. There are technical effects that can be achieved.

제2 실시예에 따른 안정화용 도가니(122)는 카본 안정화용 도가니를 채용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온도 조절성 높으므로 와이어의 표면 개질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실시예에 따른 카본 안정화용 도가니(122)는 숨구멍 있어서 온도 전달력이 높으며, 열전도 향상되어 용탕의 내측과 외측에서의 균일한 냉각이 가능할 수 있다.The stabilization crucible 122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may employ a carbon stabilization crucible, and through this, the surface modification of the wire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due to high temperature control. For example, the carbon stabilization crucible 122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has pores, so temperature transfer ability is high, and heat conduction is improved to enable uniform cooling of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molten metal.

이에 따라 제2 실시예에 의하면 용탕의 외측과 내측의 냉각속도 차이가 크지 않고 균일한 냉각이 가능하여 이후 제조되는 와이어 표면에 껍질 등의 표면결함이나 산화 스케일 결함이 발생되지 않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Accordingly,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e difference in cooling rate between the outside and inside of the molten metal is not large and uniform cooling is possible, so there is a technical effect in that surface defects such as shells or oxide scale defects do not occur on the surface of the wire manufactured thereafter.

또한 제2 실시예의 카본 안정화용 도가니를 채용하는 경우 카본의 윤활성 성질에 의해 표면 개질의 향상으로 압출, 신선 공정에서 표면 품질이 현저한 향상되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In addition, when the carbon stabilization crucible of the second embodiment is adopted, there is a technical effect of significantly improving surface quality in the extrusion and drawing processes by improving surface modification due to the lubricating properties of carbon.

다음으로 도 2c를 참조하면, 도 2b와 같이 용탕 안정화로(120)에서 안정화된 용탕(M2)은 제3 하단 출구(T3)와 제4 하단 출구(T4)를 밀폐하던 흑연봉이 제거되고, 용탕 개폐부(132)가 오픈될 때 와이어 노즐 몰드(130)로 주입될 수 있다.Next, referring to FIG. 2C, the graphite rods that sealed the third lower outlet (T3) and the fourth lower outlet (T4) of the molten metal (M2) stabilized in the molten metal stabilization furnace 120 as shown in FIG. 2B are removed, When the molten metal opening/closing part 132 is opened, it may be injected into the wire nozzle mold 130.

계속하여 도 2c를 참조하면, 제2 실시예는 상기 와이어 노즐 몰드(130)에서 출사되는 주형 와이어(W1)의 이동 속도를 제어하는 제1 핀치 롤(141), 제2 핀치 롤(142)과, 주형 와이어(W1)의 이송을 안내하는 가이드 롤(143) 및 구동 모터(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Continuing to refer to FIG. 2C, the second embodiment includes a first pinch roll 141, a second pinch roll 142, and , it may include a guide roll 143 and a drive motor (not shown) that guide the transfer of the mold wire (W1).

예를 들어, 안정화된 용탕(M2)이 준비된 후 제3 하단 출구(T3), 상기 제4 하단 출구(T4)를 밀폐하는 흑연봉이 제거되고, 용탕 안정화로(120)의 제4 하단 출구(T4)가 상기 용탕 개폐부(132)의 이동으로 개공되어 안정화된 용탕(M2)이 와이어 노즐 몰드(130)로 주입되어 더미 와이어 헤드와 밀착된 상태로 응고될 수 있다.For example, after the stabilized molten metal (M2) is prepared, the graphite rods sealing the third lower outlet (T3) and the fourth lower outlet (T4) are removed, and the fourth lower outlet ( T4) is opened by the movement of the molten metal opening/closing part 132, and the stabilized molten metal M2 is injected into the wire nozzle mold 130 and solidified in close contact with the dummy wire head.

이후 제1 핀치 롤(141)에 의해 더미 와이어(미도시)가 주형 와이어(W1)와 함께 아래로 이동될 수 있다. 이후 소정의 벤딩 가이드 롤(미도시)이 이동하여 더미 와이어를 주형 와이어(W1)로부터 분리하고, 분리된 더미 와이어는 제3 핀치 롤(미도시)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되고, 분리된 주형 와이어(W1)는 가이드 롤(143), 제2 핀치 롤(142)을 따라 이송되면서 연속 주조가 진행될 수 있다.Thereafter, the dummy wire (not shown) may be moved downward along with the mold wire (W1) by the first pinch roll 141. Afterwards, a predetermined bending guide roll (not shown) moves to separate the dummy wire from the mold wire (W1), the separated dummy wire is moved downward by a third pinch roll (not shown), and the separated mold wire ( W1) may be continuously cast while being transported along the guide roll 143 and the second pinch roll 142.

(제3 실시예)(Third Embodiment)

다음으로 도 3a 내지 도 3b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전기접점용 Ag-Cu 와이어 제조장치(1003)의 개략도이다. 제3 실시예는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의 기술적 특징을 채용할 수 있으며, 이하 제3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Next, FIGS. 3A to 3B are schematic diagrams of the Ag-Cu wire manufacturing apparatus 1003 for electrical contact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The third embodiment may adopt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first or second embodiment, and will be described below focusing on the third embodiment.

도 3a를 참조하면, 제3 실시예에 따른 전기접점용 Ag-Cu 와이어 제조장치(1003)는, 상기 용탕 가열장치(110) 상에 배치되며 상기 용탕 가열장치(110)의 상부를 밀폐하는 제2 용탕 커버부(150B)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A, the Ag-Cu wire manufacturing apparatus 1003 for electrical contact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s disposed on the molten metal heating apparatus 110 and seals the upper part of the molten metal heating apparatus 110. 2 It may include a molten metal cover part (150B).

상기 제2 용탕 커버부(150B)는 커버 바디(151)와, 상기 커버 바디(151)를 관통하는 관통 홀(152)과, 상기 관통 홀(152) 상에 결합되는 제1 밸브(153)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molten metal cover part 150B includes a cover body 151, a through hole 152 penetrating the cover body 151, and a first valve 153 coupled to the through hole 152. It can be included.

특히 상기 제2 용탕 커버부(150B)는, 커버 바디(151)의 중앙부에 원료 주입구(150T) 및 주입구 커버(150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료 주입구(150T)는 상측의 폭이 하측의 폭 보다 클 수 있다.In particular, the second molten metal cover part 150B may include a raw material inlet 150T and an inlet cover 150C at the center of the cover body 151. The upper width of the raw material injection port 150T may be larger than the lower width.

도 3b를 참조하면, 제3 실시예는 상기 제1 밸브(153)를 통해 불활성 가스(G1)를 용탕 가열장치(110) 내의 상기 용탕 도가니(111) 상에 주입할 수 있다. 이때 원료 주입구(150T) 내에도 제2 불활성 가스(G1)가 위치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B, in the third embodiment, the inert gas (G1) may be injected into the molten metal crucible 111 in the molten metal heating device 110 through the first valve 153. At this time, the second inert gas (G1) may be located within the raw material injection port (150T).

다음으로 도 4a는 도 3a에서 제2 용탕 커버부(150B)를 포함하는 제1 영역(A1)에 대한 부분 단면도이며, 도 4b는 제2 용탕 커버부(150B)를 포함하는 제1 영역(A1)에 대한 평면도이다.Next, FIG. 4A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rst area A1 including the second molten metal cover part 150B in FIG. 3A, and FIG. 4B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rst area A1 including the second molten metal cover part 150B. ) is a floor plan for.

상기 제2 용탕 커버부(150B)는, 커버 바디(151)의 중앙부에 원료 주입구(150T) 및 주입구 커버(150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료 주입구(150T)는 상측의 제2 주입구(150T2)의 폭이 하측의 제1 주입구(150T1)의 폭 보다 클 수 있다.The second molten metal cover part 150B may include a raw material injection port 150T and an injection port cover 150C at the center of the cover body 151. The width of the second injection hole 150T2 on the upper side of the raw material injection hole 150T may be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first injection hole 150T1 on the lower side.

이에 따라 제3 실시예에 의하면, 용탕 가열장치(110) 상에 배치되는 제2 용탕 커버부(150B)에 커버 바디(151)를 관통하는 원료 주입구(150T)를 구비하고, 용탕 커버부의 원료 주입구(150T)를 통해 용탕 소재를 주입할 수 있다. Accordingly,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the second molten metal cover portion 150B disposed on the molten metal heating device 110 is provided with a raw material injection port 150T penetrating the cover body 151, and the raw material injection port 150T of the molten metal cover portion is provided. Molten metal material can be injected through (150T).

이에 따라 용탕은 불활성 분위기가 유지될 수 있으므로 용탕이 외부 공기에 노출되지 않으면서도 용탕 소재를 추가로 주입할 수 있으므로 용탕 소재 주입시 용탕이 산화로 인해 오염이 발생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As a result, an inert atmosphere can be maintained in the molten metal, so additional molten metal materials can be injected without the molten metal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air. This is a technical effect that can prevent the problem of contamination due to oxidation of the molten metal when injecting molten metal materials. There is.

또한 상기 원료 주입구(150T)의 상측의 제2 주입구(150T2)의 폭이 하측의 제1 주입구(150T1)의 폭 보다 크게 제어하여, 용탕 원료인 Ag, Cu 분말을 효과적으로 주입하면서도 용탕 내부의 불활성 가스가 외부로 유출될 가능성을 낮출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width of the second injection hole 150T2 on the upper side of the raw material injection hole 150T is controlled to be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first injection hole 150T1 on the lower side, thereby effectively injecting Ag and Cu powder, which are molten metal raw materials, while also effectively injecting the inert gas inside the molten metal. There is a technical effect that can reduce the possibility of leakage to the outside world.

다음으로 도 5a는 도 3a에서 제2 용탕 커버부(150B)의 제1 평면도이며, 도 5b는 제2 용탕 커버부(150B)의 제2 평면도이다.Next, FIG. 5A is a first plan view of the second molten metal cover part 150B in FIG. 3A, and FIG. 5b is a second plan view of the second molten metal cover part 150B.

도 5a는 제2 용탕 커버부(150B)에서 주입구 커버(150C)가 원료 주입구(150T)를 커버링하는 제1 상태 평면도이며, 도 5b는 제2 용탕 커버부(150B)에서 주입구 커버(150C)가 원료 주입구(150T)를 커버링하지 않고 오픈시키는 제2 상태 평면도이다.Figure 5a is a first state plan view in which the inlet cover 150C covers the raw material inlet 150T in the second molten metal cover part 150B, and Figure 5b is a plan view of the inlet cover 150C in the second molten metal cover part 150B. This is a second state plan view in which the raw material injection port 150T is opened without covering it.

상기 주입구 커버(150C)는 커버 힌지(150H)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도 5a 참조) 또는 반시계 방향(도 5b 참조)으로 회전할 수 있다. The inlet cover 150C may rotate clockwise (see FIG. 5A) or counterclockwise (see FIG. 5B) around the cover hinge 150H.

다음으로 도 6a와 도 6b를 참조하여 제3 실시예에 따른 전기접점용 Ag-Cu 와이어 제조장치(1003)에서의 원료 주입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Next, the raw material injection process in the Ag-Cu wire manufacturing apparatus 1003 for electrical contact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A and 6B.

도 6a를 참조하면, 원료 주입장치(160)를 통해 Ag와 Cu 분말을 포함하는 원료(160AC)가 원료 주입구(150T)를 통해 주입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A, raw material 160AC containing Ag and Cu powder may be injected through the raw material injection port 150T through the raw material injection device 160.

이때 상기 원료 주입구(150T)에는 불활성 가스(G1)가 존재하여 원료의 산화를 방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an inert gas (G1) is present in the raw material injection port (150T) to prevent oxidation of the raw material.

다음으로 도 6b를 참조하면, 주입된 원료(160AC)가 원료 주입구(150T)를 통해 용탕으로 주입될 수 있다. 이때 원료(160AC)에 의해 불활성 가스(G1)는 유출되지 않을 수 있다.Next, referring to FIG. 6B, the injected raw material 160AC may be injected into the molten metal through the raw material injection port 150T. At this time, the inert gas (G1) may not leak out due to the raw material (160AC).

이에 따라 제3 실시예에 의하면, 용탕 가열장치(110) 상에 배치되는 제2 용탕 커버부(150B)에 커버 바디(151)를 관통하는 원료 주입구(150T)를 구비하고, 용탕 커버부의 원료 주입구(150T)를 통해 용탕 소재를 주입할 수 있다. Accordingly,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the second molten metal cover portion 150B disposed on the molten metal heating device 110 is provided with a raw material injection port 150T penetrating the cover body 151, and the raw material injection port 150T of the molten metal cover portion is provided. Molten metal material can be injected through (150T).

이에 따라 용탕은 불활성 분위기가 유지될 수 있으므로 용탕이 외부 공기에 노출되지 않으면서도 용탕 소재를 추가로 주입할 수 있으므로 용탕 소재 주입시 용탕이 산화로 인해 오염이 발생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As a result, an inert atmosphere can be maintained in the molten metal, so additional molten metal materials can be injected without the molten metal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air. This is a technical effect that can prevent the problem of contamination due to oxidation of the molten metal when injecting molten metal materials. There is.

(제4 실시예)(Fourth Embodiment)

다음으로 도 7a와 도 7c는 제4 실시예에 따른 전기접점용 Ag-Cu 와이어 제조장치(1004)의 개략도이다. 제4 실시예는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의 기술적 특징을 채용할 수 있으며, 이하 제4 실시예의 특징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Next, Figures 7a and 7c are schematic diagrams of the Ag-Cu wire manufacturing apparatus 1004 for electrical contacts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The fourth embodiment can adopt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and will be described below focusing on the features of the fourth embodiment.

제4 실시예는, 제3 용탕 커버부(150B)가 원료 주입구(150T) 하단에 가변형 원료 주입구(157)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fourth embodiment, the third molten metal cover part 150B may include a variable raw material inlet 157 at the bottom of the raw material inlet 150T.

상기 가변형 원료 주입구(157)는 소정의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통로가 열리는 탄성을 구비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variable raw material inlet 157 may have elasticity to open the passage when a predetermined pressure is appli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하, 도 7a와 내지 도 7c를 참조하여 제4 실시예에 따른 전기접점용 Ag-Cu 와이어 제조장치(1004)에서의 원료 주입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raw material injection process in the Ag-Cu wire manufacturing apparatus 1004 for electrical contacts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A and 7C.

도 7b를 참조하면, 원료 주입장치(160)를 통해 Ag와 Cu 분말을 포함하는 원료(160AC)가 원료 주입구(150T)를 통해 주입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B, raw material 160AC containing Ag and Cu powder may be injected through the raw material injection port 150T through the raw material injection device 160.

이때 가변형 원료 주입구(157)에 의해 주입된 원료는 원료 주입구(150T) 내에 위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raw material injected through the variable raw material inlet 157 may be located within the raw material inlet 150T.

한편, 가변형 원료 주입구(157)에 의해 불활성 가스(G1)는 용탕 내측에 위치할 수 있고, 외부로 유출되지 않을 수 있다.Meanwhile, the inert gas (G1) can be located inside the molten metal and not leak out to the outside due to the variable raw material injection port 157.

다음으로 도 7c를 참조하면, 원료 주입장치(160)에 소정의 하측방향으로 압력이 가해져서 원료(160AC)가 가변형 원료 주입구(157)를 통과하여 용탕 내부로 주입될 수 있다.Next, referring to FIG. 7C, pressure is applied to the raw material injection device 160 in a predetermined downward direction so that the raw material 160AC can be injected into the molten metal through the variable raw material injection port 157.

이때 가변형 원료 주입구(157)에 원료(160AC)가 존재함에 따라 불활성 가스(G1)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으면서도 용탕 내부로 원료(160AC)가 효율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용탕은 불활성 분위기가 유지될 수 있으므로 용탕이 외부 공기에 노출되지 않으면서도 용탕 소재를 추가로 주입할 수 있으므로 용탕 소재 주입시 용탕이 산화로 인해 오염이 발생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raw material (160AC) exists in the variable raw material inlet 157, the raw material (160AC) can be efficiently supplied into the molten metal without the inert gas (G1) leaking to the outside. As a result, an inert atmosphere can be maintained in the molten metal, so additional molten metal materials can be injected without the molten metal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air. This is a technical effect that can prevent the problem of contamination due to oxidation of the molten metal when injecting molten metal materials. There is.

(제5 실시예)(Embodiment 5)

다음을 도 8은 제5 실시예에 따른 전기접점용 Ag-Cu 와이어 제조장치(1005)의 개략도이다. 제5 실시예는 제1 실시예 내지 제4 실시예의 기술적 특징을 채용할 수 있으며, 이하 제5 실시예의 특징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Next, FIG. 8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Ag-Cu wire manufacturing apparatus 1005 for electrical contacts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The fifth embodiment can adopt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first to fourth embodiments, and the description will now focus on the features of the fifth embodiment.

제5 실시예에 의하면, 주형 와이어(W1)가 가이드 롤(143), 제2 핀치 롤(142)을 따라 이송되면서 연속 주조가 진행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continuous casting may be performed while the mold wire W1 is transported along the guide roll 143 and the second pinch roll 142.

제5 실시예에 의하면, 용탕 공정과, 연속주조 방식 및 압연공정을 순차적으로 진행함으로써 전기접점용 Ag-Cu 와이어의 제품 조직을 치밀하게 만들어 높은 품질을 제공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there is a technical effect of providing high quality by making the product structure of the Ag-Cu wire for electrical contacts dense by sequentially performing the molten metal process, continuous casting method, and rolling process.

예를 들어, 도 8을 참조하면, 제1 사이즈(D1)을 구비하는 주형 와이어(W1)가 와이어 롤러(170)에 의해 제2 사이즈(D2)의 전기접점용 Ag-Cu 와이어(W2)가 될 수 있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8, a mold wire (W1) having a first size (D1) is formed into an Ag-Cu wire (W2) for electrical contact of a second size (D2) by the wire roller 170. It can be.

예를 들어, 10~12mm의 제1 사이즈(D1)을 구비하는 주형 와이어(W1)가 와이어 롤러(170)에 의해 5~7 mm의 제2 사이즈(D2)의 전기접점용 Ag-Cu 와이어(W2)가 될 수 있다. 상기 사이즈는 각각의 와이어의 직경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각각의 와이어는 그 단면이 다각형, 예를 들어 직사각형을 포함할 수 있고, 사이즈는 그 대각선의 길이 또는 마주보는 변 사이의 거리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For example, a mold wire (W1) having a first size (D1) of 10 to 12 mm is formed into an Ag-Cu wire for electrical contact (D2) of a second size (D2) of 5 to 7 mm by the wire roller 170. It can be W2). The size may refer to the diameter of each wire, but is not limited thereto. Each of the wires may have a polygonal cross-section, for example, a rectangle, and the size may be the length of its diagonal or the distance between opposite sides,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9a는 제5 실시예에서의 와이어 롤러(170)에 대한 사진이며, 도 9b는 와이어 롤러(170)의 부분 제1 단면도이며, 도 9c는 와이어 롤러(170)의 부분 제2 단면도이다.FIG. 9A is a photograph of the wire roller 170 in the fifth embodiment, FIG. 9B is a partial first cross-sectional view of the wire roller 170, and FIG. 9C is a partial second cross-sectional view of the wire roller 170.

제5 실시예에서의 와이어 롤러(170)는 마주보는 한 쌍의 와이어용 제1 롤러(171)와 와이어용 제2 롤러(172)를 포함할 수 있다.The wire roller 170 in the fifth embodiment may include a pair of facing first rollers 171 and second rollers 172 for wires.

도 9b를 참조하면, 와이어용 제1 롤러(171)와 와이어용 제2 롤러(172)는 각각 그 외주에 다각형 형상의 제1 리세스(R1)와 제2 리세스(R2)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 9b, the first roller 171 for the wire and the second roller 172 for the wire may each include a first recess (R1) and a second recess (R2) of a polygonal shape on their outer peripheries. there is.

예를 들어, 와이어용 제1 롤러(171)의 제1 리세스(R1)는, 밑 변이 제1 폭(W1)을 구비하고, 위 변이 제1 폭(W1)보다 작은 제2 폭(W2)을 구비하는 사다리꼴 형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밑 변은 제1 롤러(171)가 상기 제2 롤러(172)를 마주보는 변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For example, the first recess (R1) of the first roller 171 for wire has a first width (W1) on its bottom side, and a second width (W2) on its upper side that is smaller than the first width (W1). It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a trapezoidal shape. The bottom side may be the side where the first roller 171 faces the second roller 172, but is not limited to this.

다음으로, 도 9c를 참조하면, 와이어용 제1 롤러(171)는, 제3 폭(W3)의 제1 빗 변(R1a), 제2 빗 변(R1b)과 제2 폭(W2)의 윗 변(R1c)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Next, referring to FIG. 9C, the first roller 171 for wire is disposed on the first hypotenuse (R1a) of the third width (W3), the second hypotenuse (R1b), and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width (W2). It may include the side (R1c),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와이어용 제2 롤러(172)도 와이어용 제1 롤러(171)와 대응되는 제2 리세스(R2)를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second roller 172 for wire may also include a second recess R2 corresponding to the first roller 171 for wire.

잠시 도 11c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This will be briefly explained with reference to FIG. 11C.

도 11c는 실시예에 따른 전기접점용 Ag-Cu 와이어(WC)가 코일과 같이 감겨 있는 사진이다.Figure 11c is a photograph of an Ag-Cu wire (WC) for electrical cont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wound like a coil.

제5 실시예에 의하면, 와이어용 제1 롤러(171)의 제1 리세스(R1)와 와이어용 제2 롤러(172)의 제2 리세스(R2)가 각각 다각형 형상을 구비함에 따라, 원형 단면의 리세스에 대비하여 주형 와이어(W1)에 대한 접촉 면적을 높이면서 롤링 압력을 균일하게 가함으로써 결정품질이 우수한 전기접점용 Ag-Cu 와이어(WC)를 제조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the first recess (R1) of the first roller 171 for a wire and the second recess (R2) of the second roller 172 for a wire each have a polygonal shape, and thus have a circular shape. There is a technical effect of manufacturing Ag-Cu wire (WC) for electrical contacts with excellent crystal quality by uniformly applying rolling pressure while increasing the contact area to the mold wire (W1) compared to the recess of the cross section.

(제6 실시예)(Example 6)

다음으로 도 10은 제6 실시예에 따른 전기접점용 Ag-Cu 와이어 제조장치(1006)의 개략도이다. Next, Figure 10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Ag-Cu wire manufacturing apparatus 1006 for electrical contacts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도 11a는 제6 실시예에서의 제2 와이어 롤러(170C)에 대한 제1 사진이며, 도 11b는 제2 와이어 롤러(170C)의 제2 사진이고, 도 11c는 실시예에 따른 전기접점용 Ag-Cu 와이어 코일(WC)의 사진이다.FIG. 11A is a first photograph of the second wire roller 170C in the sixth embodiment, FIG. 11B is a second photograph of the second wire roller 170C, and FIG. 11C is Ag for electrical contact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is is a photo of Cu wire coil (WC).

제6 실시예는 제1 실시예 내지 제5 실시예의 기술적 특징을 채용할 수 있으며, 이하 제6 실시예의 특징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The sixth embodiment can adopt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first to fifth embodiments, and the description will now focus on the features of the sixth embodiment.

제6 실시예에 의하면, 주형 와이어(W1)가 가이드 롤(143), 제2 핀치 롤(142)을 따라 이송되면서 연속 주조가 진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을 참조하면, 제1 사이즈(D1)을 구비하는 주형 와이어(W1)가 제2 와이어 롤러(170C)에 의해 제2 사이즈(D2)의 전기접점용 Ag-Cu 와이어(W2)가 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continuous casting may be performed while the mold wire W1 is transported along the guide roll 143 and the second pinch roll 142.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10, a mold wire (W1) having a first size (D1) is formed into an Ag-Cu wire (W2) for an electrical contact of a second size (D2) by a second wire roller (170C). ) can be.

도 10과 도 11a를 참조하면, 제6 실시예에서의 제2 와이어 롤러(170C)는, 롤러 하우징(170B)과, 상기 롤러 하우징(170B)에 마주보며 장착된 와이어 제1 롤러(171), 와이어 제2 롤러(172) 및 상기 롤러 하우징(170B)에 장착된 와이어 코일러(18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0 and 11A, the second wire roller 170C in the sixth embodiment includes a roller housing 170B, a first wire roller 171 mounted facing the roller housing 170B, and It may include a second wire roller 172 and a wire coiler 180 mounted on the roller housing 170B.

제6 실시예에 의하면, 롤러장치에 와이어 롤러와 평행하지 않은 어긋난 와이어 코일러(180)가 함께 설치됨에 따라, 롤러(171, 172)에 의해 롤링 후 어긋난 와이어 코일러(180)에 즉시 와이어의 코일링이 연속하여 가능하다. 이에 따라 용해 공정 후 전기 접점소재의 와이어 공정에서 와이어가 코일 형태로 둥글게 만들기 위한 별도의 와이어 코일링 장치가 설치되야 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as the misaligned wire coiler 180 that is not parallel to the wire roller is installed in the roller device together, the wire is immediately transferred to the misaligned wire coiler 180 after rolling by the rollers 171 and 172. Coiling is possible continuously. Accordingly, there is a technical effect of solving the problem that a separate wire coiling device must be installed to round the wire into a coil shape in the wire process of the electrical contact material after the melting process.

구체적으로 도 11a를 참조하면 제6 실시예에서의 제2 와이어 롤러(170C)는, 롤러 하우징(170B)에 제1 방향(X1)으로 연장되면서 마주보도록 장착된 와이어 제1 롤러(171), 와이어 제2 롤러(172) 및 상기 롤러 하우징(170B)에 상기 제1 방향(X1)과 어긋나게 제2 방향(X2)으로 연장되도록 장착된 와이어 코일러(180)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11A, the second wire roller 170C in the sixth embodiment includes a first wire roller 171 mounted to face the roller housing 170B while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X1), and a wire It may include a second roller 172 and a wire coiler 180 mounted on the roller housing 170B to extend in a second direction (X2) that is offset from the first direction (X1).

상기 제1 방향(X1)과 상기 제2 방향(X2)은 서로 평행하지 않게 어긋나게 배치됨에 따라 제1 영역에는 제1 거리(DS1)를 유지하나, 제2 영역에서는 제2 거리(DS2)를 유지할 수 있다.As the first direction X1 and the second direction You can.

다음으로 도 11b를 참조하면, 와이어 코일러(180)는, 롤러 하우징(170B)에 상기 제1 방향(X1)과 어긋나게 제2 방향(X2)으로 연장되도록 장착될 수 있다.Next, referring to FIG. 11B, the wire coiler 180 may be mounted on the roller housing 170B so as to extend in the second direction (X2) deviating from the first direction (X1).

구체적으로, 상기 와이어 코일러(180)는, 상기 롤러 하우징(170B)에서 상기 제1 방향(X1)과 어긋나게 제2 방향(X2)으로 연장되도록 장착된 코일러 지지부(181)와, 상기 코일러 지지부(181)에 삽입된 회전 가능한 코일링부(182)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wire coiler 180 includes a coiler support portion 181 mounted in the roller housing 170B to extend in a second direction (X2) at an angle to the first direction (X1), and the coiler It may include a rotatable coiling part 182 inserted into the support part 181.

또한 상기 와이어 코일러(180)는, 상기 코일링부(182) 외측의 상기 코일러 지지부(181)에 결합된 결합부(183)를 포함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wire coiler 180 may include a coupling portion 183 coupled to the coiler support portion 181 outside the coiling portion 182.

상기 코일러 지지부(181)는 나사산을 포함하는 볼트 봉일 수 있으며, 상기 결합부(183)는 너트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coiler support portion 181 may be a bolt rod including threads, and the coupling portion 183 may be a nut,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코일링부(182)는 외곽 둘레에 리세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코일링부의 리세스는 제1, 제2 롤러(171, 172)의 제1 리세스(R1), 제2 리세스(R2)와는 어긋난 방향으로 리세스가 배치될 수 있다.The coiling part 182 may include a recess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and the recess of the coiling part includes the first recess R1 and the second recess (R1) of the first and second rollers 171 and 172. The recess may be arranged in a direction that is different from R2).

예를 들어, 도 11a를 참조하면, 제1, 제2 롤러(171, 172)의 제1 리세스, 제2 리세스(R1, R2)는 제1 방향(X1)에 수직한 방향으로 리세스가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11A, the first and second recesses (R1, R2) of the first and second rollers 171 and 172 are recess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X1). can be formed.

반면, 상기 코일링부의 리세스는 상기 제1 방향(X1)에 어긋난 제2 방향(X2)에 수직한 방향으로 리세스가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ecess of the coiling part may be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econd direction (X2) that is offset from the first direction (X1).

이에 따라 제1, 제2 롤러(171, 172)의 제1 리세스, 제2 리세스(R1, R2)를 통과한 Ag-Cu 와이어(W2)가 도 11c와 같이 즉시 코일 형태로 변환될 수 있는 특별한 기술적 효과가 있다.Accordingly, the Ag-Cu wire (W2) passing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recesses (R1, R2) of the first and second rollers 171 and 172 can be immediately converted into a coil form as shown in Figure 11c. There are special technical effects.

이에 따라 제6 실시예에 의하면, 롤러장치에 어긋난 와이어 코일러(180)가 함께 설치됨에 따라 롤러(171, 172)에 의해 롤링 후 어긋난 와이어 코일러(180)에 즉시 와이어의 코일링이 연속하여 가능하며, 용해 공정 후 전기 접점소재의 와이어 공정에서 와이어가 코일 형태로 둥글게 만들기 위한 별도의 와이어 코일링 장치가 설치되야 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Accordingly,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as the misaligned wire coiler 180 is installed together with the roller device, the coiling of the wire continues immediately to the misaligned wire coiler 180 after rolling by the rollers 171 and 172. It is possible, and has the technical effect of solving the problem of having to install a separate wire coiling device to round the wire into a coil shape in the wire process of the electrical contact material after the melting process.

이상에서 실시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eatures, structures, effects, etc.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above are included in at least one embodiment and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only one embodiment. Furthermore, the features, structures, effects, etc. illustrated in each embodiment can be combined or modified and implemented in other embodiments by a person with ordinary knowledge in the field to which the embodiments belong. Therefore, contents related to such combinations and modification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embodiments.

Claims (16)

전기접점 소재인 은(Ag)과 구리(Cu)를 가열하는 용탕 가열장치;
상기 용탕 가열장치 내에 배치되며 상기 은(Ag)과 구리(Cu)를 용융하여 용탕(M1)을 제조, 수용하는 전기접점용 Ag-Cu 용탕 도가니;
상기 용탕 가열장치 상에 배치되며 상기 용탕 가열장치의 상부를 밀폐하는 용탕 커버부;
상기 용탕 도가니로부터 출탕되는 용탕(M1)을 냉각시켜 와이어 형상의 주형 와이어로 제조하는 와이어 노즐 몰드; 및
상기 주형 와이어를 롤링하여 전기접점용 Ag-Cu 와이어를 제조하는 와이어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 롤러는,
롤러 하우징에서 제1 방향(X1)으로 연장되면서 마주보도록 장착된 와이어 제1 롤러, 와이어 제2 롤러 및
상기 롤러 하우징에 상기 제1 방향(X1)과 어긋나게 제2 방향(X2)으로 연장되도록 장착된 와이어 코일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방향(X1)과 상기 제2 방향(X2)은 서로 평행하지 않게 어긋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방향(X1)과 상기 제2 방향(X2)의 연장선의 제1 영역에서의 제1 거리는 상기 제1 방향(X1)과 상기 제2 방향(X2)의 연장선의 제2 영역에서의 제2 거리보다 좁은, 전기접점용 Ag-Cu 와이어 제조장치.
A molten metal heating device that heats silver (Ag) and copper (Cu), which are electrical contact materials;
An Ag-Cu molten metal crucible for electrical contact that is disposed in the molten metal heating device and melts the silver (Ag) and copper (Cu) to produce and accommodate the molten metal (M1);
a molten metal cover portion disposed on the molten metal heating device and sealing an upper portion of the molten metal heating device;
A wire nozzle mold for manufacturing a wire-shaped mold wire by cooling the molten metal (M1) tapped from the molten metal crucible; and
It includes a wire roller for manufacturing Ag-Cu wire for electrical contacts by rolling the mold wire,
The wire roller is,
A first wire roller, a second wire roller, and
It includes a wire coiler mounted on the roller housing to extend in a second direction (X2) offset from the first direction (X1),
The first direction (X1) and the second direction (X2) are arranged to be offset and not parallel to each other,
The first distance in the first area of the extension line of the first direction (X1) and the second direction (X2) is the distance of the first distance in the second area of the extension line of the first direction (X1) and the second direction (X2) Ag-Cu wire manufacturing equipment for electrical contacts narrower than 2 distanc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코일러는,
상기 롤러 하우징에서 상기 제1 방향(X1)과 어긋나게 제2 방향(X2)으로 연장되도록 장착된 코일러 지지부와,
상기 코일러 지지부에 삽입된 회전 가능한 코일링부를 포함하는, 전기접점용 Ag-Cu 와이어 제조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wire coiler is,
a coiler support part mounted on the roller housing to extend in a second direction (X2) at a distance from the first direction (X1);
Ag-Cu wire manufacturing device for electrical contact, including a rotatable coiling part inserted into the coiler suppor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코일러는, 상기 코일링부 외측의 상기 코일러 지지부에 결합된 결합부를 포함하는, 전기접점용 Ag-Cu 와이어 제조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wire coiler includes a coupling part coupled to the coiler support outside the coiling par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링부는 외곽 둘레에 리세스를 포함하며,
상기 코일링부의 리세스는 상기 제1, 제2 롤러의 제1 리세스, 제2 리세스와는 어긋난 방향으로 리세스가 배치되는, 전기접점용 Ag-Cu 와이어 제조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coiling portion includes a recess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g-Cu wire for electrical contacts, wherein the recess of the coiling part is disposed in a direction that is offset from the first recess and the second recess of the first and second roller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롤러의 제1 리세스, 제2 리세스(R1, R2)는 상기 제1 방향(X1)에 수직한 방향으로 리세스가 배치되며,
상기 코일링부의 리세스는
상기 제1 방향(X1)에 어긋난 제2 방향(X2)에 수직한 방향으로 리세스가 배치되는, 전기접점용 Ag-Cu 와이어 제조장치.
According to clause 5,
The first and second recesses (R1, R2) of the first and second rollers are arrang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X1),
The recess of the coiling part is
Ag-Cu wire manufacturing apparatus for electrical contacts, wherein a recess is dispos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econd direction (X2), which is offset from the first direction (X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탕 커버부는,
커버 바디와, 상기 커버 바디를 관통하는 관통 홀과, 상기 관통 홀 상에 결합되는 제1 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밸브와 상기 관통 홀을 통해 불활성 가스가 상기 용탕 도가니 상에 주입되는, 전기접점용 Ag-Cu 와이어 제조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molten metal cover part,
It includes a cover body, a through hole penetrating the cover body, and a first valve coupled to the through hole,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g-Cu wire for electrical contacts, in which an inert gas is injected into the molten metal crucible through the first valve and the through ho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탕 도가니 하측에 배치되는 전기접점 용탕 안정화로를 더 포함하는, 전기접점용 Ag-Cu 와이어 제조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g-Cu wire manufacturing apparatus for electrical contact, further comprising an electrical contact molten metal stabilization furnace disposed below the molten metal crucibl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용탕 안정화로는,
안정화로 바디와, 상기 안정화로 바디 내측에 배치되는 안정화용 도가니를 포함하는, 전기접점용 Ag-Cu 와이어 제조장치.
According to clause 8,
In the above molten metal stabilization,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g-Cu wire for electrical contacts, comprising a stabilization furnace body and a stabilization crucible disposed inside the stabilization furnace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탕 커버부는,
커버 바디의 중앙부에 원료 주입구 및
상기 원료 주입구를 커버하는 주입구 커버를 포함하는, 전기접점용 Ag-Cu 와이어 제조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molten metal cover part,
Raw material inlet and
An Ag-Cu wire manufacturing device for electrical contacts, including an inlet cover that covers the raw material inlet.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 주입구는 상측의 폭이 하측의 폭 보다 큰, 전기접점용 Ag-Cu 와이어 제조장치.
According to clause 10,
The raw material injection port is an Ag-Cu wire manufacturing device for electrical contacts, wherein the upper width is larger than the lower width.
전기접점 소재인 은(Ag)과 구리(Cu)를 가열하는 용탕 가열장치;
상기 용탕 가열장치 내에 배치되며 상기 은(Ag)과 구리(Cu)를 용융하여 용탕(M1)을 제조, 수용하는 전기접점용 Ag-Cu 용탕 도가니;
상기 용탕 가열장치 상에 배치되며 상기 용탕 가열장치의 상부를 밀폐하는 용탕 커버부;
상기 용탕 도가니로부터 출탕되는 용탕(M1)을 냉각시켜 와이어 형상의 주형 와이어로 제조하는 와이어 노즐 몰드; 및
상기 주형 와이어를 롤링하여 전기접점용 Ag-Cu 와이어를 제조하는 와이어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 롤러는,
롤러 하우징에서 제1 방향(X1)으로 연장되면서 마주보도록 장착된 와이어 제1 롤러, 와이어 제2 롤러 및
상기 롤러 하우징에 상기 제1 방향(X1)과 어긋나게 제2 방향(X2)으로 연장되도록 장착된 와이어 코일러를 포함하며,
상기 용탕 커버부는,
커버 바디와, 상기 커버 바디를 관통하는 관통 홀과, 상기 관통 홀 상에 결합되는 제1 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밸브와 상기 관통 홀을 통해 불활성 가스가 상기 용탕 도가니 상에 주입되며,
상기 용탕 커버부는, 상기 커버 바디의 중앙부에 원료 주입구 및 상기 원료 주입구를 커버하는 주입구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밸브를 통해 주입된 불활성 가스가 상기 원료 주입구 내에도 위치하는, 전기접점용 Ag-Cu 와이어 제조장치.
A molten metal heating device that heats silver (Ag) and copper (Cu), which are electrical contact materials;
An Ag-Cu molten metal crucible for electrical contact that is disposed in the molten metal heating device and melts the silver (Ag) and copper (Cu) to produce and accommodate the molten metal (M1);
a molten metal cover portion disposed on the molten metal heating device and sealing an upper portion of the molten metal heating device;
A wire nozzle mold for manufacturing a wire-shaped mold wire by cooling the molten metal (M1) tapped from the molten metal crucible; and
It includes a wire roller for manufacturing Ag-Cu wire for electrical contacts by rolling the mold wire,
The wire roller is,
A first wire roller, a second wire roller, and
It includes a wire coiler mounted on the roller housing to extend in a second direction (X2) offset from the first direction (X1),
The molten metal cover part,
It includes a cover body, a through hole penetrating the cover body, and a first valve coupled to the through hole,
Inert gas is injected into the molten metal crucible through the first valve and the through hole,
The molten metal cover unit includes a raw material inlet at a central portion of the cover body and an inlet cover covering the raw material inlet,
Ag-Cu wire manufacturing apparatus for electrical contacts, wherein the inert gas injected through the first valve is also located in the raw material injection port.
전기접점 소재인 은(Ag)과 구리(Cu)를 가열하는 용탕 가열장치;
상기 용탕 가열장치 내에 배치되며 상기 은(Ag)과 구리(Cu)를 용융하여 용탕(M1)을 제조, 수용하는 전기접점용 Ag-Cu 용탕 도가니;
상기 용탕 가열장치 상에 배치되며 상기 용탕 가열장치의 상부를 밀폐하는 용탕 커버부;
상기 용탕 도가니로부터 출탕되는 용탕(M1)을 냉각시켜 와이어 형상의 주형 와이어로 제조하는 와이어 노즐 몰드; 및
상기 주형 와이어를 롤링하여 전기접점용 Ag-Cu 와이어를 제조하는 와이어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 롤러는,
롤러 하우징에서 제1 방향(X1)으로 연장되면서 마주보도록 장착된 와이어 제1 롤러, 와이어 제2 롤러 및
상기 롤러 하우징에 상기 제1 방향(X1)과 어긋나게 제2 방향(X2)으로 연장되도록 장착된 와이어 코일러를 포함하며,
상기 용탕 커버부는, 커버 바디의 중앙부에 원료 주입구 및 상기 원료 주입구를 커버하는 주입구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용탕 커버부는,
상기 원료 주입구 하단에 가변형 원료 주입구를 포함하는, 전기접점용 Ag-Cu 와이어 제조장치.
A molten metal heating device that heats silver (Ag) and copper (Cu), which are electrical contact materials;
An Ag-Cu molten metal crucible for electrical contact that is disposed in the molten metal heating device and melts the silver (Ag) and copper (Cu) to produce and accommodate the molten metal (M1);
a molten metal cover portion disposed on the molten metal heating device and sealing an upper portion of the molten metal heating device;
A wire nozzle mold for manufacturing a wire-shaped mold wire by cooling the molten metal (M1) tapped from the molten metal crucible; and
It includes a wire roller for manufacturing Ag-Cu wire for electrical contacts by rolling the mold wire,
The wire roller is,
A first wire roller, a second wire roller, and
It includes a wire coiler mounted on the roller housing to extend in a second direction (X2) offset from the first direction (X1),
The molten metal cover unit includes a raw material inlet in the center of the cover body and an inlet cover covering the raw material inlet,
The molten metal cover part,
Ag-Cu wire manufacturing device for electrical contacts, including a variable raw material inlet at the bottom of the raw material inlet.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형 원료 주입구는
소정의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통로가 열리는 탄성을 구비하는, 전기접점용 Ag-Cu 와이어 제조장치.
According to clause 13,
The variable raw material inlet is
Ag-Cu wire manufacturing device for electrical contacts, which has elasticity to open the passage when a predetermined pressure is appli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롤러는
마주보는 한 쌍의 와이어용 제1 롤러와 와이어용 제2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용 제1 롤러와 상기 와이어용 제2 롤러는 각각 그 외주에 다각형 형상의 제1 리세스와 제2 리세스를 포함하는, 전기접점용 Ag-Cu 와이어 제조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wire roller is
It includes a pair of facing first rollers for wires and a second roller for wires,
The first roller for the wire and the second roller for the wire each include a first recess and a second recess of a polygonal shape on their outer peripheries. Ag-Cu wire manufacturing apparatus for electrical contacts.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용 제1 롤러의 제1 리세스는,
밑 변이 제1 폭을 구비하고, 윗 변이 상기 제1 폭보다 작은 제2 폭을 구비하는 사다리꼴 형상을 포함하는, 전기접점용 Ag-Cu 와이어 제조장치.
According to clause 15,
The first recess of the first roller for the wire is,
An Ag-Cu wire manufacturing device for electrical contacts, comprising a trapezoidal shape where the bottom side has a first width and the top side has a second width that is smaller than the first width.
KR1020240004956A 2024-01-11 2024-01-11 An Ag-Cu wire Manufacturing Apparatus equipped with a coiler for Electric contact KR10265719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04956A KR102657196B1 (en) 2024-01-11 2024-01-11 An Ag-Cu wire Manufacturing Apparatus equipped with a coiler for Electric contac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04956A KR102657196B1 (en) 2024-01-11 2024-01-11 An Ag-Cu wire Manufacturing Apparatus equipped with a coiler for Electric contac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7196B1 true KR102657196B1 (en) 2024-04-25

Family

ID=90885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04956A KR102657196B1 (en) 2024-01-11 2024-01-11 An Ag-Cu wire Manufacturing Apparatus equipped with a coiler for Electric contac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7196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6942A (en) * 2000-01-28 2001-08-17 이기군 A continuity molding device for horizon typ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6942A (en) * 2000-01-28 2001-08-17 이기군 A continuity molding device for horizon typ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57196B1 (en) An Ag-Cu wire Manufacturing Apparatus equipped with a coiler for Electric contact
KR102657194B1 (en) An Ag-Cu wire Manufacturing Apparatus for Electric contact
KR102657195B1 (en)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Ag-Cu wire for Electric contact using the same
CA1221221A (en) Continuous casting furnace and method of continuously manufacturing cast product
JPS627715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win roll type continuous casting
KR20240007952A (en) A rolling device for electrical contact equipped with a rounding recess and an electrical contact manufactur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930006299B1 (en) Method for producing thin plate of phosphor bronze
US3710844A (en) Method of producing superconducting strips
KR102392155B1 (en) Electric contact billet manufacturing device including Electric heating furnace for electrical contact, Electric contact billet manufacturing device including carbon mold crucible And Carbon mold crucible detachment and movement device
CN116497206A (en) Composite material selective heat treatment equipment
JP3771899B2 (en) Method for surface modification of steel slab containing copper, modified slab and processed product
KR102392156B1 (en) Electric contact billet manufacturing device including carbon mold crucible and carbon mold crucible detachment and movement device
WO2022254647A1 (en) Electrical contact material, method for producing same, circuit breaker and electromagnetic switch
JP4428082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semiconductor thermoelectric material
KR100732119B1 (en) Continuous casting machine of steel
KR102179557B1 (en) Mold and casting method
JP3771900B2 (en) Steel slab surface reformer
JPH11250747A (en) Manufacture of nb3sn based superconducting wire
JP2004516944A (en) Production method of laminated metal product slab and laminated metal product slab
KR20130092532A (en) Vertical type continuous casting apparatus for alloy wire
KR100304351B1 (en) Method and device of production with copper alloy a be due to horizontal continuous casting
KR100588071B1 (en) Plasma torch for heating molten steel
KR2012000227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quenching ribbon for electric contact material
JPH0451256B2 (en)
JPS63225413A (en) Manufacture of compound superconductive wi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