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7176B1 - Led 디스플레이의 점등 정보 수집을 위한 영상생성장치 - Google Patents

Led 디스플레이의 점등 정보 수집을 위한 영상생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7176B1
KR102657176B1 KR1020240005652A KR20240005652A KR102657176B1 KR 102657176 B1 KR102657176 B1 KR 102657176B1 KR 1020240005652 A KR1020240005652 A KR 1020240005652A KR 20240005652 A KR20240005652 A KR 20240005652A KR 102657176 B1 KR102657176 B1 KR 1026571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and
spi
image
chip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05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돈원
Original Assignee
(주)컴버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컴버스테크 filed Critical (주)컴버스테크
Priority to KR10202400056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71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7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71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92Details of a display terminals using a flat pane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6Electronic inspection or testing of displays and display drivers, e.g. of LED or LCD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93Calibration of display system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8Fault-tolerant or redundant circuits, or circuits in which repair of defects is prepar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12Test circuits or failure detection circuits included in a display system, as permanent part thereof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8Details of image data interface between the display device controller and the data line driver circ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LED 디스플레이의 점등 정보 수집을 위한 영상생성장치는 컴퓨터의 추가적인 영상 출력 포트 없이 송신부의 하드웨어 프로그램 지원에 의존하지 않고 디스플레이 화면의 수집 및 수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송신부를 업그레이드하거나 교체할 필요가 없는 효과를 가지며 컴퓨터 그래픽 카드를 업그레이드하였을 시, 더 많은 교정 시나리오를 지원하여 교정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LED 디스플레이의 점등 정보 수집을 위한 영상생성장치는 명령어를 출력하는 제어부, 명령어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출력하는 신호발생부 및 신호발생부에서 출력되는 이미지를 수신하는 송신부 및 송신부에서 이미지를 수신하는 화면수신카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LED 디스플레이의 점등 정보 수집을 위한 영상생성장치{Image Generating Device For Collecting Lighting Information On LED Display}
본 발명은 LED 디스플레이의 점등 정보 수집을 위한 영상 생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보정 기술 분야에 속한다.
현재 LED 디스플레이는 광범위한 응용 시나리오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LED 발광 다이오드는 자체 밝기와 파장의 불일치로 인해 디스플레이의 균일하지 못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특히, 실내에 설치된 소형 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 효과의 일관성에 대한 요구 사항이 높다.
업계에서는 LED 디스플레이에 대해 단일 LED 차별화를 제어하여 균일한 밝기 및 색상을 제어하는 보정 프로세서를 설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보통, 보정 프로세스에는 조명 정보 수집, 데이터 처리, 계수 업로드 및 기타 링크가 포함된다. 그 중 램프 포인트를 수집할 때 두 가지 방법이 있다. 그 중 첫 번째 방법은 컴퓨터가 고정화면 이미지를 그려 그래픽카드를 통해 전송장치에 출력하고 전송장치가 그래픽카드를 통해 영상화면을 수신하면 영상화면을 해석하여 네트워크선을 통해 디스플레이 수신카드에 전송하고, 수신카드가 LED 디스플레이를 제어하여 화면을 표시하고 카메라가 수집하는 방법이다. 그리고 두 번째 방법은 컴퓨터가 직렬 포트를 통해 명령을 송신부로 전송하고 송신부가 직렬 포트를 통해 명령을 수신한 후 내부에 화면을 생성하고 네트워크 케이블을 통해 LED 디스플레이 수신 카드로 전송하고, 수신 카드가 화면을 표시하도록 LED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방법이다.
이때, 두 번째 방법은 명령 수신을 지원하고 자체 리소스를 사용한다. 두 번째 방법은 실시간으로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해 송신부 하드웨어 프로그램이 필요하며 하드웨어 리소스에 대한 요구 사항이 높다. 여기서, 일부 사용 시나리오는 컴퓨터에 그래픽 카드 출력 없이 수집(예: 얇고 가벼운 노트북)을 수행할 수 없도록 제어하고 송신부의 오래된 하드웨어 프로그램 버전도 2열 포트 스크린 타기를 지원하지 않아 디스플레이 현장에서 수정할 수 없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30811호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및 방법’(공고일자: 2019년 11월 08일)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화면의 현장 보정이 가능하고 하드웨어 요구사항이 낮은 LED 디스플레이 광점 정보 수집용 영상 생성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LED 디스플레이의 점등 정보 수집을 위한 영상생성장치는, 명령어를 출력하는 제어부, 명령어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출력하는 신호발생부, 신호발생부에서 출력되는 이미지를 수신하는 송신부 및 송신부에서 이미지를 수신하는 화면수신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호스트컴퓨터가 되고, 호스트컴퓨터가 출력하는 명령어는 S=(x, y, w, h, color, gray, mod)가 되고, 명령어에서 x는 직사각형 영역 내에서 조명이 켜진 시작점의 x축 지점이 되고, y는 직사각형 영역 내에서 조명이 켜진 시작점의 y축 지점이 되고, w는 직사각형 영역을 점등된 조명의 너비가 되고 h는 직사각형 영역을 점등된 조명의 높이가 되고, color는 표시색이 되고, gray는 표시색 color의 그레이스케일이 되고, mod는 조명된 램프 포인트의 간격 수가 될 수 있다.
삭제
상기 제어부는 복합버튼을 포함하고 복합버튼을 통해 통합 명령어를 출력하고 상기 명령어는 직사각형의 영역을 점등하는 시작점 좌표, 상기 직사각형 영역의 폭 및 높이, 상기 표시색, 상기 표시색 그레이스케일 수준 및 상기 점등된 조명 간 사이의 간격 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호발생부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논리제어칩과 인코딩칩 그리고 이미지 데이터 인터페이스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래밍 가능한 논리제어칩은 명령에 기초하여 이미지를 그리고 인코딩칩은 이미지를 코딩하고, 이미지 데이터 인터페이스는 코딩된 이미지를 송신부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호스트컴퓨터는 명령 인터페이스 칩과 프로토콜 인터페이스칩을 포함하고, 출력된 명령어를 명령 인터페이스 칩과 프로토콜 인터페이스칩을 통해 프로그래밍 가능한 논리제어칩으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래밍 가능한 논리제어칩은 명령어분석모듈, SPI 인터페이스제어모듈, 데이터생성모듈을 포함하고, 명령어분석모듈은 제어유닛명령 및 제어신호를 분석하고, SPI 인터페이스제어모듈은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제어명령을 포함하는 SPI 명령을 데이터생성모듈에 출력하며 데이터생성모듈은 제어명령에 따라 이미지를 생성하고 이를 인코딩 칩으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래밍 가능한 논리제어칩은 SPI 저장제어모듈 및 SPI 저장장치를 더 포함하고, SPI 인터페이스제어모듈은 SPI 저장제어모듈을 통해, SPI 저장장치의 캐시로 SPI 명령어를 출력하고, SPI 저장제어모듈은 SPI 저장장치의 내부 SPI 명령을 호출하여 데이터생성모듈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래밍 가능한 논리제어칩은 주소생성모듈, 외부기억제어모듈 및 외부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SPI 인터페이스제어모듈이 출력하는 SPI 명령에는 SPI 주소신호도 포함되며, SPI 저장제어모듈이 호출하는 SPI 주소신호를 주소생성모듈로 출력하고, 데이터생성모듈은 서로 다른 크기의 이미지를 생성하고, 각 이미지데이터를 외부기억제어모듈을 통해 외부메모리에 캐시 함과 동시에 각 이미지데이터에 해당하는 주소를 주소생성모듈로 출력하고, 외부기억제어모듈은 외부메모리에 캐시 된 이미지데이터를 호출하여 인코딩칩으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래밍 가능한 논리제어칩은 전원 투입 후 예비 구성 명령을 저장하는 구성 RAM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호발생부는 명령어분석모듈, SD저장제어모듈, SD메모리카드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명령어분석모듈은 명령어를 분석한 후, 호스트컴퓨터에서 출력된 데이터 신호를 SD저장제어모듈로 전송하고, SD저장제어모듈은 데이터 신호에 따라 SD메모리카드모듈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를 호출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인코딩칩으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LED 디스플레이의 점등 정보 수집을 위한 영상생성장치는 컴퓨터의 추가적인 영상 출력 포트 없이 송신부의 하드웨어 프로그램 지원에 의존하지 않고 디스플레이 화면의 수집 및 수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송신부를 업그레이드하거나 교체할 필요가 없는 효과를 가지며 컴퓨터 그래픽 카드를 업그레이드하였을 시, 더 많은 교정 시나리오를 지원하여 교정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디스플레이의 점등 정보 수집을 위한 영상생성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신호발생부의 구조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3은 mod=4, 색상은 녹색, 회색=255(0,255,0)로 생성된 비디오 이미지의 개략도이다.
도 4는 FPGA 내부 구조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장치는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은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 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기재된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디스플레이의 점등 정보 수집을 위한 영상생성장치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디스플레이의 점등 정보 수집을 위한 영상생성장치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LED 디스플레이의 점등 정보 수집을 위한 영상생성장치(1)는 컴퓨터의 추가적인 영상 출력 포트 없이 송신부의 하드웨어 프로그램 지원에 의존하지 않고 디스플레이 화면의 수집 및 수정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송신부를 업그레이드하거나 교체할 필요가 없는 효과를 가지며 컴퓨터 그래픽 카드를 업그레이드하였을 시, 더 많은 교정 시나리오를 지원하여 교정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LED 디스플레이의 점등 정보 수집을 위한 영상생성장치(1)는 제어부(10), 신호발생부(20), 송신부(30) 및 화면수신카드부(40)를 구성요소로 포함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LED 디스플레이의 점등 정보 수집을 위한 영상생성장치(1)는 제어부(10)가 명령어를 출력한다. 그리고 신호발생부(20)가 명령어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출력하고 송신부(30)가 신호발생부(20)에서 출력되는 이미지를 수신하여 화면수신카드부(40)를 통해 LED 디스플레이 화면으로 출력한다. 즉, 본 발명의 LED 디스플레이의 점등 정보 수집을 위한 영상생성장치(1)는 수신된 명령에 따라 카드를 수신하여 화면 표시 이미지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0)는 호스트컴퓨터(110)가 될 수 있다. 여기서, 호스트컴퓨터(110)는 명령어를 출력할 수 있다. 호스트컴퓨터(110)는 명령 인터페이스 칩(111)과 프로토콜 인터페이스칩(112)을 포함하여 출력된 명령어를 프로그래밍 가능한 논리제어칩(210)으로 전달한다. 이때, 출력되는 명령어는 S=(x, y, w, h, color, gray, mod)가 된다. 이러한 명령어에서 x는 직사각형 영역 내에서 조명이 켜진 시작점의 x축 지점이 되고, y는 직사각형 영역 내에서 조명이 켜진 시작점의 y축 지점이 된다. 그리고 w는 직사각형 영역을 점등된 조명의 너비가 되고 h는 직사각형 영역을 점등된 조명의 높이가 된다. 그리고 color는 표시색이 되고, gray는 표시색 color의 그레이스케일이 되고, mod는 조명된 램프 포인트의 간격 수가 될 수 있다. 전술한 제어부(10)는 복합버튼(120)을 포함한다. 제어부(10)는 복합버튼(120)을 통해 통합 명령어를 출력한다. 이때, 명령어는 직사각형의 영역을 점등하는 시작점 좌표, 직사각형 영역의 폭 및 높이, 표시색, 표시색 그레이스케일 수준 및 점등된 조명 간 사이의 간격 수를 포함한다.
신호발생부(20)는 명령어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출력한다.
이러한 신호발생부(20)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논리제어칩(210), 인코딩칩(220), 이미지 데이터 인터페이스(230)를 포함한다. 여기서, 프로그래밍 가능한 논리제어칩(210)은 명령에 따라 이미지를 그린다. 이때, 이미지는 인코딩칩(220)에 의해 인코딩 된 후 이미지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송신부(30)로 출력한다. 그리고 이미지 데이터 인터페이스(230)는 코딩 된 이미지를 송신부(30)로 출력한다.
전술된 프로그래밍 가능 논리제어칩(210)은 명령어분석모듈(2101), SPI 인터페이스제어모듈(2102), 데이터생성모듈(2103)을 포함한다. 여기서, 명령어분석모듈(2101)은 제어유닛명령 및 제어신호를 분석한다. 그리고 SPI 인터페이스제어모듈(2102)은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제어명령을 포함하는 SPI 명령을 데이터생성모듈(2103)에 출력한다. 그리고 데이터생성모듈(2103)은 제어명령에 따라 이미지를 생성한다. 그리고 제어 명령을 인코딩칩(220)으로 전송한다. 또한 프로그래밍 가능 논리제어칩(210)에는 SPI 저장제어모듈(2104)과 SPI 저장장치(2105)도 포함되며, SPI 인터페이스제어모듈(2102)은 SPI 저장제어모듈(2104)을 통해 SPI 저장장치(2105) 캐시에 SPI 명령을 출력한다. 이때, SPI 인터페이스제어모듈(2102)의 SPI 명령 출력에는 SPI 주소 신호도 포함된다. 그리고 SPI 저장제어모듈(2104)은 SPI 메모리를 호출한다. 여기서 SPI 저장제어모듈(2104)이 호출하는 SPI 주소신호를 주소생성모듈(2106)로 출력한다. 프로그래밍 가능한 논리제어칩(210)은 소프트웨어 내부의 SPI 명령을 데이터생성모듈(2103)로 출력한다. 또한, 프로그래밍 가능한 논리제어칩(210)은 SPI 저장제어모듈(2104)에 의해 호출하고 SPI 저장장치의 캐시로 SPI 명령어를 출력한다. 이때, SPI 저장제어모듈(2104)은 SPI 저장장치(2105)의 내부 SPI 명령을 호출하여 데이터생성모듈(2103)로 출력한다. 또한, 프로그래밍 가능한 논리제어칩(210)은 주소생성모듈(2106), 외부기억제어모듈(2107) 및 외부메모리(2108)도 포함한다. 그리고 전원이 켜진 후 예비 구성 명령을 저장하기 위한 구성 RAM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구성 RAM은 전원 투입 후 예비 구성 명령을 저장하는 장치가 된다. 이러한 프로그래밍 가능한 논리제어칩(210)은 SPI 저장제어모듈(2104)이 호출하는 SPI 주소신호를 주소생성모듈(2106)로 출력한다.
프로그래밍 가능한 논리제어칩(210)은 데이터생성모듈(213)을 서로 다른 크기의 이미지를 생성하고 각 이미지데이터를 외부기억제어모듈(217)을 통해 외부메모리(2108)에 캐시 함과 동시에 각 이미지데이터에 해당하는 주소를 주소생성모듈(2106)로 출력한다. 그리고 외부기억제어모듈(2107)을 통해 외부메모리(2108)에 캐시 된 이미지데이터를 호출하여 인코딩칩(220)으로 전송한다. 또한, 신호발생부(20)는 명령어분석모듈(2101), SD저장제어모듈(2110), SD메모리카드모듈(2111)을 포함한다. 여기서, 명령어분석모듈(2101)은 호스트컴퓨터(110)에서 출력된 명령을 분석한 후 데이터 신호를 SD저장제어모듈(2110)에 전송한다. 이때, 데이터 신호 호출에 따라 SD메모리카드모듈(2111)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를 인코딩칩(220)으로 전송한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LED 디스플레이의 점등 정보 수집을 위한 영상생성장치(1)의 작동 상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신호발생부의 구조 블록 다이어그램이고, 도 3은 mod=4, 색상은 녹색, 회색=255(0,255,0)로 생성된 비디오 이미지의 개략도이다. 그리고 도 4는 FPGA 내부 구조의 블록도이다.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제어부(10)는 호스트컴퓨터(110)를 포함한다. 호스트컴퓨터(110)는 USB 모드를 통해 명령을 출력하며 이 명령어를 포함한다. 이때, 명령어는 S=(x, y, w, h, color, gray, mod)가 된다. 일례로, 정보가 S=(0, 0, 1920, 1080, r, 255, 4) 일 때, 0, 0은 USB 모드의 시작점이 된다. 그리고 1920과 1080은 각각 조명이 켜진 직사각형 영역의 너비와 높이가 된다. 즉, 조명이 켜진 직사각형 영역에는 1920개의 픽셀 열과 1080개의 픽셀 행이 된다. 그리고 r은 표시 색상인 빨간색이 되고 255는 표시 색상 r의 그레이스케일의 레벨, 즉 (255,0,0)이 된다. 그리고 4는 램프 점을 점등하는 대체 점의 수가 된다. 일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램프 점이 4행 4열마다 점등된다. 설명 된 신호발생부(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명령 인터페이스 칩이 진행하는 단계(S1), 프로토콜 인터페이스 칩이 진행하는 단계(S2), 프로그래밍 가능 논리제어칩이 진행하는 단계(S3), 인코딩칩이 진행하는 단계(S4), 이미지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진행되는 단계(S5)를 통해 명령어를 처리한다. 이때, 호스트컴퓨터(110)에서 출력된 명령은 명령 인터페이스 칩을 통해 처리되는 단계(S1) 및 프로토콜 인터페이스 칩을 통해 처리되는 단계(S2)를 통해 프로그래밍 가능 논리제어칩으로 진행되는 단계(S3)로 처리된다. 이때, 이미지 데이터는 인코딩칩에 의해 진행되는 단계(S4)에 의해 인코딩된 이미지 데이터는 이미지 데이터 인터페이스 단계(S5)를 통해 송신부(30)로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송신부(30)는 인코딩 된 이미지 데이터를 네트워크 케이블 등을 통해 전송한다. 화면수신카드부(40)로 전송된 수신 카드는 화면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한다. 이때, 교정 장비를 사용하여 이미지를 수집하여 조명 색도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LED 디스플레이의 교정을 완료할 수 있다.
설명된 명령 인터페이스 칩 단계(S1)는 신호발생부의 신호 및 데이터 입력 하는 단계가 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 칩은 USB, 직렬 포트 또는 네트워크 포트와 같은 일반적인 하드웨어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칩이 될 수 있다. 그리고 프로토콜 인터페이스 칩 단계(S2)는 USB, 시리얼 포트, 네트워크 포트 등의 인터페이스에 해당하는 프로토콜 칩으로, 서로 다른 인터페이스와 해당 칩을 통해 신호와 데이터를 전송한다.
프로그래밍 가능 논리제어칩이 처리하는 단계(S3)는 분석된 제어신호에 따라 이미지를 생성하고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FPGA를 채용하는 단계가 된다. 설명된 인코딩칩 단계(S4)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논리제어칩 단계(S3)에 의해 생성된 이미지를 HDMI, DP 또는 DVI와 같은 이미지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에 따라 인코딩한다. 이미지 데이터 인터페이스 단계(S5)는 신호발생부의 이미지 출력 인터페이스로서 HDMI, DP, DVI 또는 SDI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하드웨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가 처리하는 단계가 된다.
신호발생부(20)는 외부메모리가 처리하는 단계(S7), 외부클럭이 처리하는 단계(S8), SPI 저장장치가 처리하는 단계(S9) 및 전원공급장치가 처리하는 단계(S11)를 거쳐 데이터를 처리한다. 여기서, 외부메모리는 이미지 데이터 및 메모리 제어 명령의 저장에 사용되며 SDR SDRAM, DDR SDRAM과 같은 일반적인 데이터 저장 칩이 될 수 있다.
외부클록가 처리하는 단계(S8)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논리제어칩이 처리하는 단계(S3)에 의해 요구되는 기준 클록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가 된다. 그리고 SPI 저장장치가 처리하는 단계(S9)는 SPI 명령어를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단계이다. 그리고 전원공급장치가 처리하는 단계(S11)는 각 하드웨어 칩에서 요구되는 서로 다른 전압과 전류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하는 단계가 된다. 프로그래밍 가능 논리제어칩이 처리하는 단계(S3)는 명령어분석모듈(2101), SPI 인터페이스제어모듈(2102), SPI 저장제어모듈(2104), 구성 RAM, 데이터생성모듈(2103), 주소생성모듈(2106), 외부기억제어모듈(2107) 및 외부메모리(2108)를 포함한다.
신호발생부 작업 흐름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행될 수 있다. 이하, 도 4에 도시된 실시예 1의 흐름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발생부(20)는 명령어분석모듈(2101)이 프로토콜 인터페이스 칩이 처리하는 단계(S2)를 통해 호스트컴퓨터(110) 명령을 수신하고 이를 분석하여 제어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로 시작한다(M1). 그리고 명령어분석모듈(2101)이 SPI 인터페이스제어모듈(2102)에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진행한다(M2). 그리고 SPI 인터페이스제어모듈(2102)이 SPI 호출 명령을 SPI 저장제어모듈(2104)에 출력하며 SPI 명령에는 제어 명령과 SPI 주소 신호가 포함하는 단계를 진행한다(M3). 그리고 SPI 저장제어모듈(2104)이 SPI 인터페이스제어모듈(2102)을 통해 핸드셰이크 신호를 반환하는 단계를 진행한다(M4). 그리고 SPI 저장제어모듈(2104)이 SPI 저장장치(2105) 캐시에 SPI 명령을 출력하는 단계를 진행한다(M5). 이후, SPI 저장제어모듈(2104)이 SPI 저장장치(2105) 내부 SPI 명령을 호출하고 이를 구성 RAM에 출력하는 단계를 진행한다. 그리고 구성 RAM은 신호 생성 장치의 전원이 켜진 후 예비 구성 명령을 저장하는 단계를 진행한다(M7). 그리고 구성 RAM은 예비 구성 명령 및 SPI 명령의 제어 명령을 데이터생성모듈(2103)에 전송하는 단계를 진행한다(M8). 이후, SPI 저장제어모듈(2104)이 호출한 SPI 주소 신호를 주소생성모듈(2106)로 전송하는 단계를 진행한다(M15). 데이터생성모듈(2103)이 SPI 명령어의 제어 명령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의 이미지를 생성하고 각 이미지에 해당하는 주소 신호를 주소생성모듈(2106)로 출력하는 단계를 진행한다(M17). 그리고 주소생성모듈(2106)이 데이터생성모듈(2103)에 핸드셰이크 신호를 반환하는 단계를 진행한다(M16). 그리고 데이터생성모듈(2103)이 제어 명령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이미지를 생성하여 외부기억제어모듈(2107)로 전송하는 단계를 진행한다(M9). 그리고 외부기억제어모듈(2107)이 데이터생성모듈(2103)에 의해 생성된 서로 다른 크기의 이미지 데이터를 해당 주소에 따라 외부메모리(2108)에 캐시하는 동시에 메모리 제어 명령을 외부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진행한다(M10).
외부기억제어모듈(2107)이 외부 메모리에 캐시 된 이미지 데이터를 호출하고 외부 메모리에 의해 반환된 핸드쉐이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진행한다(M11). 그리고 외부기억제어모듈(2107)이 호출된 외부 메모리의 이미지 데이터를 인코딩칩(220)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진행한다(M12). 그리고 주소생성모듈(2106)이 각 이미지에 해당하는 주소 신호를 외부기억제어모듈(2107)로 전송하는 단계를 진행한다(M18). 이후, 외부기억제어모듈(2107)이 핸드셰이크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주소생성모듈(2106)로 주소를 반환하는 단계를 진행한다(M19). 그리고 인코딩칩(220)이 영상 데이터를 인코딩한 후 영상 데이터 인터페이스 칩(S5)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진행한다(M13).
이하, 신호발생부 작업 흐름에 대한 실시 예 2 및 실시 예 3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실시 예 2 및 실시 예 3에 대한 설명이 간결하고 명확할 수 있도록, 실시 예 1과 동일한 내용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가 있는 부분에 대해서만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 예2와 실시예 1의 차이점은 제어부에 대해 차이가 있다. 제어부(10)는 복합버튼(120)을 포함한다. 복합버튼(120)은 기존의 다이얼 스위치가 될 수 있다. 이때, 점등된 직사각형 영역의 위치와 크기는 복합버튼(120)에 의해 수동으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복합버튼(120)은 그레이 스케일, 간격 수 등을 제어하고 키 조합을 통해 색상을 전환할 수 있으며 호스트컴퓨터(110) 신호 입력이 없는 경우 키 조합을 통해 명령어를 형성하여 다른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진행한다.
본 실시 예3과 실시 예 1의 차이점은 신호발생부에 대해 차이가 있다.
신호발생부(20)는 명령어분석모듈(2109), SD저장제어모듈(2110) 및 SD메모리카드(2111)를 포함한다. 명령어분석모듈(2109)은 명령어를 분석한 후, 호스트컴퓨터(110)에서 출력된 이미지 데이터 신호를 분석한 후 이를 SD저장제어모듈(2110)로 전송하는 단계를 진행한다(M20).
SD저장제어모듈(2110)은 데이터 신호에 따라 SD메모리카드모듈(2111)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를 호출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인코딩칩(220)으로 전송한다. 그리고 SD저장제어모듈(2110)은 분석된 이미지 데이터를 SD메모리카드(2111)에 저장하는 단계를 진행한다(M21). 보다 구체적으로, 신호발생부의 작업 흐름은 아래와 같다.
신호발생부(20)는 명령어분석모듈(2109)이 호스트컴퓨터(110)가 출력한 명령어를 분석하여 SD저장제어모듈(2110)로 전달하는 단계를 진행한다(M20). 그리고 SD저장제어모듈(2110)이 분석된 명령에 따라 SD메모리카드모듈(2111) 내부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를 호출하는 단계를 진행한다(M22). 그리고 SD저장제어모듈(2110)이 호출된 SD메모리카드(2111) 내부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를 외부기억제어모듈(2107)로 전송하는 단계를 진행한다(M23). 그리고 외부기억제어모듈(2107)이 이미지 데이터 및 메모리 제어 명령을 외부메모리(2108)에 캐시하는 단계를 진행한다(M10). 그리고 외부기억제어모듈(2107)이 외부메모리(2108)에 캐시 된 이미지 데이터를 호출하고 외부메모리(2108)에 의해 반환된 핸드쉐이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진행한다(M11). 그리고 외부기억제어모듈(2107)이 이미지 데이터를 인코딩칩(220)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진행한다(M12). 그리고 인코딩칩(220)이 이미지 데이터를 인코딩한 후, 이미지 데이터 인터페이스 칩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진행한다(M13).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디스플레이의 점등 정보 수집을 위한 영상생성장치에 대한 발명의 구체 적인 실시 예가 상세하게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1: LED 디스플레이의 점등 정보 수집을 위한 영상생성장치.
10: 제어부
110: 호스트컴퓨터 120: 복합버튼
111: 명령인터페이스 칩 112: 프로토콜 인터페이스 칩
20: 신호발생부
210: 프로그래밍 가능한 논리제어칩
2101: 명령어분석모듈 2102: SPI 인터페이스제어모듈
2103: 데이터생성모듈 2104: SPI 저장제어모듈
2105: SPI 저장장치 2106: 주소생성모듈
2107: 외부기억제어모듈 2108: 외부메모리
2109: 명령어분석모듈 2110: SD저장제어모듈
2111: SD메모리카드모듈
220: 인코딩칩 230: 이미지 데이터 인터페이스
30: 송신부 40: 화면수신카드부

Claims (10)

  1. LED 디스플레이의 이미지 생성 장치에 있어서,
    명령어를 출력하는 제어부(10);
    명령어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출력하는 신호발생부(20);
    신호발생부(20)에서 출력되는 이미지를 수신하는 송신부(30); 및
    송신부(30)에서 이미지를 수신하는 화면수신카드부(40)를 포함하고,
    제어부(10)는,
    호스트컴퓨터(110)가 되고,
    호스트컴퓨터(110)가 출력하는 명령어는 S=(x, y, w, h, color, gray, mod)가 되고, 명령어에서 x는 직사각형 영역 내에서 조명이 켜진 시작점의 x축 지점이 되고, y는 직사각형 영역 내에서 조명이 켜진 시작점의 y축 지점이 되고, w는 직사각형 영역을 점등된 조명의 너비가 되고 h는 직사각형 영역을 점등된 조명의 높이가 되고, color는 표시색이 되고, gray는 표시색 color의 그레이스케일이 되고, mod는 조명된 램프 포인트의 간격 수가 되는, LED 디스플레이의 점등 정보 수집을 위한 영상생성장치(1).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제어부(10)는,
    복합버튼(120)을 포함하고, 복합버튼(120)을 통해 통합 명령어를 출력하고,
    명령어는 직사각형의 영역을 점등하는 시작점 좌표, 직사각형 영역의 폭 및 높이, 표시색, 표시색 그레이스케일 수준 및 점등된 조명 간 사이의 간격 수를 포함하는, LED 디스플레이의 점등 정보 수집을 위한 영상생성장치(1).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신호발생부(20)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논리제어칩(210)과 인코딩칩(220) 그리고 이미지 데이터 인터페이스(230)을 포함하고,
    프로그래밍 가능한 논리제어칩(210)은 명령에 기초하여 이미지를 그리고 인코딩칩(220)은 이미지를 코딩하고, 이미지 데이터 인터페이스(230)는 코딩 된 이미지를 송신부(30)로 출력하는, LED 디스플레이의 점등 정보 수집을 위한 영상생성장치(1).
  5. 제4항에 있어서, 호스트컴퓨터(110)는,
    명령 인터페이스 칩(111)과 프로토콜 인터페이스칩(112)을 포함하고,
    출력된 명령어를 명령 인터페이스 칩(111)과 프로토콜 인터페이스칩(112)을 통해 프로그래밍 가능한 논리제어칩(210)으로 전달하는, LED 디스플레이의 점등 정보 수집을 위한 영상생성장치(1).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래밍 가능한 논리제어칩(210)은,
    명령어분석모듈(2101), SPI 인터페이스제어모듈(2102), 데이터생성모듈(2103)을 포함하고,
    명령어분석모듈(2101)은 제어유닛명령 및 제어신호를 분석하고,
    SPI 인터페이스제어모듈(2102)은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제어명령을 포함하는 SPI 명령을 데이터생성모듈(2103)에 출력하며,
    데이터생성모듈(2103)은 제어명령에 따라 이미지를 생성하고 이를 인코딩칩(220)으로 전송하는, LED 디스플레이의 점등 정보 수집을 위한 영상생성장치(1).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래밍 가능한 논리제어칩(210)은,
    SPI 저장제어모듈(2104) 및 SPI 저장장치(2105)를 더 포함하고,
    SPI 인터페이스제어모듈(2102)은 SPI 저장제어모듈(2104)을 통해,
    SPI 저장장치의 캐시로 SPI 명령어를 출력하고,
    SPI 저장제어모듈(2104)은 SPI 저장장치(2105)의 내부 SPI 명령을 호출하여 데이터생성모듈(2103)로 출력하는, LED 디스플레이의 점등 정보 수집을 위한 영상생성장치(1).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래밍 가능한 논리제어칩(210)은,
    주소생성모듈(2106), 외부기억제어모듈(2107) 및 외부메모리(2108)를 더 포함하고,
    SPI 인터페이스제어모듈(2102)이 출력하는 SPI 명령에는 SPI 주소신호도 포함되며,
    SPI 저장제어모듈(2104)이 호출하는 SPI 주소신호를 주소생성모듈(2106)로 출력하고,
    데이터생성모듈(213)은 서로 다른 크기의 이미지를 생성하고, 각 이미지데이터를 외부기억제어모듈(217)을 통해 외부메모리(2108)에 캐시 함과 동시에 각 이미지데이터에 해당하는 주소를 주소생성모듈(2106)로 출력하고, 외부기억제어모듈(2107)은 외부메모리(2108)에 캐시 된 이미지데이터를 호출하여 인코딩칩(220)으로 전송하는, LED 디스플레이의 점등 정보 수집을 위한 영상생성장치(1).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래밍 가능한 논리제어칩(210)은,
    전원 투입 후 예비 구성 명령을 저장하는 구성 RAM을 더 포함하는, LED 디스플레이의 점등 정보 수집을 위한 영상생성장치(1).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발생부(20)는,
    명령어분석모듈(2109), SD저장제어모듈(2110), SD메모리카드모듈(2111)을 포함하고,
    상기 명령어분석모듈(2109)은 명령어를 분석한 후, 호스트컴퓨터(110)에서 출력된 데이터 신호를 SD저장제어모듈(2110)로 전송하고,
    SD저장제어모듈(2110)은 데이터 신호에 따라 SD메모리카드모듈(2111)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를 호출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인코딩칩(220)으로 전송하는, LED 디스플레이의 점등 정보 수집을 위한 영상생성장치(1).
KR1020240005652A 2024-01-12 2024-01-12 Led 디스플레이의 점등 정보 수집을 위한 영상생성장치 KR1026571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05652A KR102657176B1 (ko) 2024-01-12 2024-01-12 Led 디스플레이의 점등 정보 수집을 위한 영상생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05652A KR102657176B1 (ko) 2024-01-12 2024-01-12 Led 디스플레이의 점등 정보 수집을 위한 영상생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7176B1 true KR102657176B1 (ko) 2024-04-15

Family

ID=90715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05652A KR102657176B1 (ko) 2024-01-12 2024-01-12 Led 디스플레이의 점등 정보 수집을 위한 영상생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717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9268A (ko) * 2006-06-14 2007-12-20 이동옥 엘이디의 제어 방법
KR101007891B1 (ko) * 2010-06-22 2011-01-14 허정영 Led 전광판의 정보 표출 시스템
KR102030811B1 (ko) 2019-03-26 2019-11-08 박종철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583282B1 (ko) * 2022-07-26 2023-09-26 (주) 아하 영상 처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라이브 스튜디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9268A (ko) * 2006-06-14 2007-12-20 이동옥 엘이디의 제어 방법
KR101007891B1 (ko) * 2010-06-22 2011-01-14 허정영 Led 전광판의 정보 표출 시스템
KR102030811B1 (ko) 2019-03-26 2019-11-08 박종철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583282B1 (ko) * 2022-07-26 2023-09-26 (주) 아하 영상 처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라이브 스튜디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45825B2 (ja) 多色表示装置
JP2006145798A (ja) 画像信号表示装置
US1052206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display characters of display device
CN1269004C (zh) Lcd显示器的窗口亮度增强方法
CN108962140B (zh) 显示驱动电路、显示驱动方法及显示装置
CN105208246A (zh) 显示屏参数自适应的显示屏总成及控制方法
KR102657176B1 (ko) Led 디스플레이의 점등 정보 수집을 위한 영상생성장치
CN114067724A (zh) 灰度数据处理方法、装置及系统和显示装置
CN101882412B (zh) 平面显示器和平面显示器的检测和校正系统
CN114360461A (zh) Tcon芯片及oled面板驱动架构
US20080129765A1 (en) Image adjustment method for display
KR101482197B1 (ko) 광원 구동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광원 구동회로 및 이를갖는 표시장치
CN112015318B (zh) 一种显示模组调试装置、系统及方法
US8547314B2 (en) Liquid crystal display with white correction of a backlight and driving method thereof
CN110839307B (zh) 适配不同箱体的控制数据管理方法、扫描卡及存储介质
CN201204025Y (zh) 异形显示系统
CN115188322A (zh) 显示单元配置方法及装置
CN116501425A (zh) 用于led显示屏灯点信息采集的图像生成装置
CN114637711A (zh) 芯片的控制方法、控制数据传输方法、装置和计算机设备
KR20210143972A (ko) 액정표시장치의 로컬 디밍 시스템 및 방법
CN112967659B (zh) 亮暗线调节方法及装置和显示屏控制系统
CN113870768A (zh) 显示补偿方法和装置
KR101701766B1 (ko) 디지털 영상 처리를 위한 서브픽셀 값 및 광원 조정 값의 생성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영상 처리회로
JP2012203118A (ja) 映像表示システム及び色補正方法
CN114783366B (zh) 一种基于异形模组的显示方法、装置及led显示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