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6889B1 - 터치스크린 패널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터치스크린 패널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6889B1
KR102656889B1 KR1020220027461A KR20220027461A KR102656889B1 KR 102656889 B1 KR102656889 B1 KR 102656889B1 KR 1020220027461 A KR1020220027461 A KR 1020220027461A KR 20220027461 A KR20220027461 A KR 20220027461A KR 102656889 B1 KR102656889 B1 KR 1026568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touch screen
screen panel
housing
tou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7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30376A (ko
Inventor
고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성글로벌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성글로벌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성글로벌코리아
Priority to KR1020220027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6889B1/ko
Publication of KR20230130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03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68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68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컴퓨터의 모니터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외장형 정정용량방식 터치스크린 패널을 장착하기 위한 터치스크린 패널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터치스크린 패널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디스플레이 장치{Touch screen panel assembly and touch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컴퓨터의 모니터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터치스크린 패널을 장착하기 위한 터치스크린 패널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터치스크린 패널(touch screen panel)은 마우스나 키보드 등을 대체 가능한 입력 장치이다. 사용자가 직접 손이나 펜 등으로 터치스크린 패널이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터치하는 경우 그 위치를 파악하여 GUI(Graphic User Interface) 환경 아래에 저장된 소프트웨어가 특정 처리를 수행하도록 한다.
터치스크린 패널은 작동 원리에 따라 정전용량 방식(capacitive), 저항막 방식(resistive), 적외선 방식(infrared), 음파 방식(acoustic) 또는 압력 방식(pressure)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빛 투과성, 반응속도 및 내구성 측면에서 유리한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 패널이 다양한 분야에서 주로 이용되고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 패널은 그 구조에 따라 외장형(add on type) 또는 내장형(on cell/in cell type)으로 구분될 수 있다. 외장형은 터치스크린 패널이 디스플레이 패널의 외부에 구비되는 경우를 의미하며, 내장형은 터치스크린 패널이 디스플레이 패널의 내부에 구비되는 경우를 의미한다. 내장형은 외장형에 비해 경박화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터치스크린 패널 표면의 광반사가 줄어 백라이트에 필요한 전력소모량도 감소하는 장점이 있지만, 설계 및 생산 난이도가 높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한편,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기존에 사용하던 디스플레이 장치에 터치스크린 패널을 추가하고자 하는 경우, 외장형은 기존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터치스크린 패널을 장착하여 이러한 필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반면, 내장형은 기존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활용할 수 없어 기존 제품 활용성 및 경제성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컴퓨터의 모니터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외장형 정정용량방식 터치스크린 패널을 장착하기 위한 터치스크린 패널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명세서의 전반적인 내용으로부터 본 발명의 추가적인 과제를 쉽게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없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터치스크린 패널 조립체는, 전방을 향해 개방된 수용공간을 구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방측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수용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에 구비되는 터치스크린 패널; 및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의 입력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개구부가 관통 형성되며,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밀착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의 전방측에서 상기 하우징에 체결되는 커버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 조립체는, 상기 개구부에 대응하는 제1 윈도우가 관통 형성되며, 상기 커버프레임과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 사이에서 완충 및 밀착을 보조하는 제1 완충수단; 및 상기 개구부에 대응하는 제2 윈도우가 관통 형성되며,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사이에서 완충 및 밀착을 보조하는 제2 완충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프레임은, 상기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의 전방측에 위치하는 전면프레임; 및 상기 전면프레임의 후방을 향해 연장되며, 상기 하우징과의 나사체결을 위한 체결홀이 형성된 연장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전방측 선단에서 상기 수용공간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지지 가능한 지지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 조립체는 상기 하우징의 전방측 둘레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면에 밀착되는 고정위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면으로부터 이격되는 이격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한 지지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터치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 전방을 향해 개방된 수용공간을 구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이 전방을 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측에 구비되는 터치스크린 패널;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의 입력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개구부가 관통 형성되며,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밀착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의 전방측에서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커버프레임; 상기 개구부와 대응하는 제1 윈도우가 관통 형성되며, 상기 커버프레임과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 사이에서 완충 및 밀착을 보조하는 제1 완충수단; 상기 개구부와 대응하는 제2 윈도우가 관통 형성되며,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사이에서 완충 및 밀착을 보조하는 제2 완충수단; 및 상기 하우징에 상기 커버프레임을 고정시키는 체결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전방측 둘레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고정 가능한 고정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상술한 사항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아래의 설명으로부터 합리적으로 유추 가능한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터치스크린 패널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디스플레이 장치는 별도의 접착수단이 없이도 터치스크린 패널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터치스크린 패널을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분리시키는 경우에 발생하는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터치스크린 패널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디스플레이 장치는 베젤이 얇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서도 통상적인 외장형 터치스크린 패널을 효과적으로 밀착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구조적 안정성 및 경제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술한 사항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아래의 설명으로부터 합리적으로 유추 가능한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터치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a) 및 배면도(b)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터치스크린 패널 조립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터치스크린 패널 조립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터치스크린 패널 조립체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4의 (a)는 커버프레임의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의 (b)는 하우징의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터치스크린 패널 조립체에서 고정수단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고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터치스크린 패널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디스플레이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도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위하여 강조되거나 과장될 수 있다.
컴퓨터 모니터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외장형 터치스크린 패널을 장착하고자 하는 경우, 양면 테이프 또는 접착제 등의 접착물질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터치스크린 패널을 부착하고 이들 위에 커버를 씌우는 방법이 널리 이용되었다. 이 경우 외장형 터치스크린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비교적 쉽게 부착할 수 있지만, 터치 입력 기능이 불필요해지는 경우 등에 있어서 외장형 터치스크린을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없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분리 과정에서 외장형 터치스크린 패널이 파손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부의 접착물질이 잔존할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이다.
최근 출시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시각적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베젤(bezel)의 두께를 2~3mm 내외의 두께로 극히 얇게 한 제로베젤(zero bezel) 디스플레이 장치가 주류를 이룬다. 반면, 외장형 터치스크린 패널은 신호 감지 및 전달을 위한 전극과 배선이 패널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어야 하므로, 외장형 터치스크린 패널에 구비되는 베젤은 최소 16mm 이상의 두께를 가지게 된다. 제로베젤 디스플레이 장치에 외장형 터치스크린 패널을 장착하고자 하는 경우, 화면의 일부가 외장형 터치스크린 패널의 베젤에 가려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화면가림 없이 외장형 터치패널을 장착하고자 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와 외장형 터치스크린 패널 사이에 충분한 접착 면을 확보할 수 없으며, 외장형 터치스크린 패널의 베젤부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14mm 이상 튀어나와 단차를 형성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실리콘 등의 부자재를 이용하여 단차를 메움과 동시에 외장형 터치스크린 패널과 디스플레이 장치 사이의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적용될 수도 있으나, 이 경우 역시 수리 등의 이유로 외장형 터치스크린 패널을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제거할 필요성이 있을 때 분리 과정에서 외장형 터치스크린 패널이 파손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부에 부자재가 잔존하는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외장형 터치스크린 패널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으면서도, 추후 분리가 필요할 때 외장형 터치스크린 패널과 디스플레이 장치의 손상 없이 이들을 용이하게 분리 가능한 터치스크린 패널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하, 구체적인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터치스크린 패널 조립체 및 터치디스플레이 장치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터치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a) 및 배면도(b)이다.
도 1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터치디스플레이 장치(1)는 화면 출력 기능과 터치 신호 입력 기능을 구비하는 터치디스플레이 유닛(10)과 터치디스플레이 유닛(10)에 연결되어 터치디스플레이 유닛(10)을 지지 가능한 지지구조(20)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디스플레이 유닛(10)은 터치스크린 패널 조립체(100)와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컴퓨터용 모니터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널리 이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터치스크린 패널 조립체(100)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터치스크린 패널 조립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터치스크린 패널 조립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 2에 표시된 X-X' 방향으로 터치스크린 패널 조립체를 절단한 경우의 단면도이다. 도 3에서 점선 원 영역에 도시된 도면은 A 영역에 대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터치스크린 패널 조립체(1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수용되는 하우징(150),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면부측에 배치되는 터치스크린 패널(130), 터치스크린 패널(130)의 전방측에 배치되어 하우징(150)에 고정되는 커버프레임(11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50)에는 전방을 향해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된 수용공간(152)이 구비되며,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수용공간(152)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수용공간(152)의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수용공간(152)을 형성하는 하우징(150)의 내면과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후면이 서로 맞닿거나 미소한 이격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수용공간(152)을 형성하는 하우징(150)의 내면과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후면 사이에는 완충 및 밀착을 보조하는 제3 완충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제3 완충수단의 소재 및 형상은 특별히 국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후술하는 제1 완충수단(120) 및 제2 완충수단(140)과 유사한 재질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150)에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입출력 포트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입출력 포트 개구부(12) 및 터치스크린 패널(130)의 입출력 포트(14)가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50)의 전방측에는 하우징(150)의 전방측 선단으로부터 수용공간(152)을 향해 연장되는 지지프레임(156)이 구비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156)은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상하면 및 좌우면을 둘러싸도록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지지프레임(156)에 지지되어 수용공간(152) 내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156)의 단부에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상하면 및 좌우면과 대응하는 형상의 지지부(156A)가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56A)가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상하면 및 좌우면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밀착되므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수용공간(152) 내에 보다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커버프레임(110)이 체결수단(160)에 의해 하우징(150)에 체결되는 경우, 지지프레임(156)은 터치스크린 패널(130)을 커버프레임(110) 측으로 가압하는 위치에 위치하므로,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터치스크린 패널(130)은 보다 견고하게 밀착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 패널(130)은 하우징(150)에 수용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면에 밀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 패널(130)은 외장형 터치스크린 패널이며, 정정용량식의 터치스크린 패널일 수 있다.
커버프레임(110)은 터치스크린 패널(130)의 전방에 배치되며, 체결수단(160)에 의해 하우징(150)에 고정될 수 있다. 커버프레임(110) 및 하우징(150)에는 체결을 위한 체결홀들(114, 154)이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체결수단(160)이 체결홀들(114, 154)에 삽임 고정됨으로써 커버프레임(110)이 하우징(150)에 고정될 수 있다. 체결수단(160)은 나사일 수 있으며, 체결홀들(114, 154)의 내주면에는 체결수단(160)에 형성된 나사산과 대응하는 형상의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커버프레임(110)에는 개구부(112)가 관통 형성되며, 사용자는 개구부(112)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 터치스크린 패널(130)의 입력부를 터치하여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커버프레임(110)은 터치스크린 패널(130)의 베젤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제공되어 터치스크린 패널(130)에 밀착되는 전면프레임(110a) 및 전면프레임(110a)의 단부로부터 후방측을 향해 연장되는 연장프레임(110b)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체결홀(114)은 연장프레임(110b)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터치스크린 패널 조립체(100)는 커버프레임(110)과 터치스크린 패널(130)의 사이 및 터치스크린 패널(130)과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완충 및 밀착을 보조하는 제1 완충수단(120) 및 제2 완충수단(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완충수단(120) 및 제2 완충수단(140)은 고무 또는 스펀지와 같은 고탄성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들 소재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완충 및 밀착을 보조 가능한 소재라면 제한되지 않는다. 제1 완충수단(120)에는 제1 개구부(112)와 대응하는 형상의 제1 윈도우(122)가 관통 형성되며, 제2 완충수단(140)에는 제1 윈도우(122)와 대응하는 형상의 제2 윈도우(142)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방출되는 출력 신호는 제2 윈도우(142), 터치스크린 패널(130), 제1 윈도우(122) 및 개구부(112)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사용자에게 도달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개구부(112) 및 제1 윈도우(122)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통해 터치스크린 패널(130)에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제1 완충수단(120) 및 제2 완충수단(140)의 폭 및 높이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견고한 밀착을 위해 터치스크린 패널(130)의 베젤과 대응하는 폭 및 높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터치스크린 패널 조립체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4의 (a)는 커버프레임의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의 (b)는 하우징의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터치스크린 패널 조립체에서 고정수단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고정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터치스크린 패널 조립체(100)는 하우징(150)의 상하좌우에 각각 구비되는 고정수단(15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는 상하좌우에 각각 2개씩 구비되는 고정수단(155)을 도시하였으나, 고정수단(155)의 개수 및 설치 간격은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사이즈 또는 무게에 따라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다르게 변형되어 적용될 수 있다.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터치스크린 패널 조립체(100)에 적용되는 고정수단(155)은 나사형 클램프일 수 있다. 고정수단(155)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연결부재(155b), 연결부재(155b)의 일단에 연결되어 사용자로부터 연결부재(155b)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손잡이부(155a) 및 연결부재(155b)의 타단에 배치되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양 측면 또는 상하면에 밀착 가능한 지지플레이트(155c)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50)에는 고정수단(155)이 관통 설치되는 위치에 관통홀(도시하지 않음)이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연결부재(155b)는 관통홀을 관통하도록 삽입 배치될 수 있다. 관통홀의 내주면에는 연결부재(155b)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대응하는 형상의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으며, 손잡이부(155a)가 회전함에 따라 연결부재(155b)는 연결부재(155b)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지지플레이트(155c)는 연결부재(155b)가 회전하더라도 회전하지 않는 독립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지지플레이트(155c)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양 측면 또는 상하면에 밀착 가능한 형상이라면 그 형상이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밀착력 및 공간효율성 측면에서 직사각형 형태의 플레이트로 제공될 수 있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프레임(110)에는 고정수단(155)이 설치되는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함몰홈(116)이 형성될 수 있으며, 커버프레임(110)과 하우징(150)이 서로 결합되는 경우 연결부재(155b)는 함몰홈(116)을 관통하는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공간(152)에 위치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일면과 밀착되는 고정위치(H)로 지지플레이트(155c)가 이동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하우징(150) 내에서 보다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분리가 필요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일면으로부터 이격되는 이격위치(H', 도시 안함)로 지지플레이트(155c)를 이동하여 하우징(150)으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터치스크린 패널 조립체(100)는 고정수단(155)을 구비하므로, 터치스크린 패널 조립체(100)에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보다 견고히 고정할 수 있다. 특히, 동일한 화면 크기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라고 하더라도 제조사 또는 모델에 따라 외부의 형상이 달라질 수 있지만, 본 발명의 터치스크린 패널 조립체(100)는 고정수단(155)을 구비하므로 지지프레임(156)과 디스플레이 장치(200) 사이에 일부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터치스크린 패널 조립체(100)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디스플레이 장치(1)는 별도의 접착수단을 적용하지 않고서도 터치스크린 패널(130)을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터치스크린 패널(130)을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분리시키는 경우에 발생하는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터치스크린 패널 조립체(100)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디스플레이 장치(1)는 베젤이 얇은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대해서도 통상적인 외장형 터치스크린 패널(130)을 효과적으로 밀착 및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구조적 안정성 및 경제성을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와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이하에 기재된 청구항들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1: 터치디스플레이 장치 10: 터치디스플레이 유닛
12: 입출력포트 개구부 14: 입출력포트
20: 지지구조 100: 터치스크린 패널 조립체
110: 커버프레임 110a: 전면프레임
110b: 연장프레임 112: 개구부
114, 154: 체결홀 116: 함몰홈
120: 제1 완충수단 122: 제1 윈도우
130: 터치스크린 패널 140: 제2 완충수단
142: 제2 윈도우 150: 하우징
152: 수용공간 155: 고정수단
155a: 손잡이부 155b: 연결부재
155c: 지지플레이트 160: 체결수단
200: 디스플레이 장치

Claims (7)

  1. 전방을 향해 개방된 수용공간을 구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방측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수용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에 구비되는 터치스크린 패널;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의 입력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개구부가 관통 형성되며,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밀착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의 전방측에서 상기 하우징에 체결되는 커버프레임;
    상기 개구부에 대응하는 제1 윈도우가 관통 형성되며, 상기 커버프레임과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 사이에서 완충 및 밀착을 보조하는 비접착성의 제1 완충수단;
    상기 개구부에 대응하는 제2 윈도우가 관통 형성되며,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사이에서 완충 및 밀착을 보조하는 비접착성의 제2 완충수단; 및
    상기 하우징의 전방측 둘레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배치되는 손잡이부;
    외주면에 나사산을 구비하여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손잡이부에 일단이 연결된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연결부재와 함께 회전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면에 밀착되는 고정위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면으로부터 이격되는 이격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한 지지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프레임은,
    상기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의 전방측에 위치하는 전면프레임; 및
    상기 전면프레임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연장되며, 상기 연결부재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절개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함몰홈이 구비된 연장프레임을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패널 조립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프레임에는 상기 하우징과의 나사체결을 위한 체결홀이 관통 형성된, 터치스크린 패널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전방측 선단에서 상기 수용공간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지지 가능한 지지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패널 조립체.
  5. 삭제
  6. 디스플레이 장치;
    전방을 향해 개방된 수용공간을 구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이 전방을 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방측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측에 구비되는 터치스크린 패널;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의 입력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개구부가 관통 형성되며,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밀착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의 전방측에서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커버프레임;
    상기 개구부에 대응하는 제1 윈도우가 관통 형성되며, 상기 커버프레임과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 사이에서 완충 및 밀착을 보조하는 비접착성의 제1 완충수단;
    상기 개구부에 대응하는 제2 윈도우가 관통 형성되며,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사이에서 완충 및 밀착을 보조하는 비접착성의 제2 완충수단; 및
    상기 하우징의 전방측 둘레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배치되는 손잡이부;
    외주면에 나사산을 구비하여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손잡이부에 일단이 연결된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연결부재와 함께 회전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면에 밀착되는 고정위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면으로부터 이격되는 이격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한 지지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프레임은,
    상기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의 전방측에 위치하는 전면프레임; 및
    상기 전면프레임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연장되며, 상기 연결부재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절개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함몰홈을 구비하는 연장프레임을 포함하는, 터치디스플레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하우징에 상기 커버프레임을 고정시키는 체결수단을 더 포함하는, 터치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20027461A 2022-03-03 2022-03-03 터치스크린 패널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디스플레이 장치 KR1026568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7461A KR102656889B1 (ko) 2022-03-03 2022-03-03 터치스크린 패널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7461A KR102656889B1 (ko) 2022-03-03 2022-03-03 터치스크린 패널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0376A KR20230130376A (ko) 2023-09-12
KR102656889B1 true KR102656889B1 (ko) 2024-04-12

Family

ID=88019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7461A KR102656889B1 (ko) 2022-03-03 2022-03-03 터치스크린 패널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688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6748A (ja) 1999-08-20 2001-02-27 Funai Electric Co Ltd タッチパネルの取付構造
KR200319974Y1 (ko) * 2003-04-22 2003-07-12 주식회사 지티티 터치스크린모듈
WO2014083692A1 (ja) 2012-11-30 2014-06-05 三菱電機株式会社 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9494U (ko) * 1998-04-13 1999-11-15 윤종용 액정 표시 모니터의 액정 패널 결착 구조
KR20080048882A (ko) * 2006-11-29 2008-06-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102553480B1 (ko) * 2016-06-13 2023-07-1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KR20200098177A (ko) * 2019-02-12 2020-08-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디스플레이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6748A (ja) 1999-08-20 2001-02-27 Funai Electric Co Ltd タッチパネルの取付構造
KR200319974Y1 (ko) * 2003-04-22 2003-07-12 주식회사 지티티 터치스크린모듈
WO2014083692A1 (ja) 2012-11-30 2014-06-05 三菱電機株式会社 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0376A (ko) 2023-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17314B2 (en) Holding structure for a touch panel
JP6084299B2 (ja) 多機能キーボードアセンブリ
JP4833201B2 (ja) タッチスクリーン・システムのための応力封止
EP3037871B1 (en) Display device
US8619421B2 (en) Portable computer hard drive structures
KR20080095659A (ko) 휴대용 컴퓨터
EP3436905B1 (en) Pressure sensing display
KR20150022620A (ko) 터치패널의 지지구조
KR20140096952A (ko) 터치패널 지지체
US9317122B2 (en) Electronic device
KR20150066615A (ko) 액정 표시 장치
JPWO2012111348A1 (ja) 電子機器
KR102656889B1 (ko) 터치스크린 패널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디스플레이 장치
TWI609306B (zh) 觸控顯示器
US10460891B2 (en) Keyboard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JPH06231079A (ja) 入力・表示一体型電子機器の上ケースユニット
JP2012173896A (ja) 電子機器
US10725545B2 (en) Touch panel with tactile force feedback, tactile force feedback system thereof, and display device
JP5496373B2 (ja) 電子機器
JP5715862B2 (ja) 電子機器
JP2000311059A (ja) タブレット入力装置
CN218383921U (zh) 触控显示模组和触控显示装置
CN217416064U (zh) 一种触控一体机绑定屏的安装结构
CN211718865U (zh) 触控反馈模组及电子设备
JP2012173897A (ja) 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