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5503B1 - 메서쉴드 구체와 가변 선단 보강장치 및 그를 활용한 터널 굴착방법 - Google Patents

메서쉴드 구체와 가변 선단 보강장치 및 그를 활용한 터널 굴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5503B1
KR102655503B1 KR1020230149743A KR20230149743A KR102655503B1 KR 102655503 B1 KR102655503 B1 KR 102655503B1 KR 1020230149743 A KR1020230149743 A KR 1020230149743A KR 20230149743 A KR20230149743 A KR 20230149743A KR 102655503 B1 KR102655503 B1 KR 1026555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cavation
reinforcement
tip
tunnel
reinforcemen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49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덕
임대성
김태현
서두원
전병한
홍은수
Original Assignee
엘티삼보 주식회사
주식회사 에이치비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티삼보 주식회사, 주식회사 에이치비씨 filed Critical 엘티삼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1497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55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5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55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06Making by using a driving shield, i.e. advanced by pushing means bearing against the already placed lining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14Lining predominantly with metal
    • E21D11/15Plate linings; Laggings, i.e. linings designed for holding back formation material or for transmitting the load to main supporting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5/00Props; Chocks, e.g. made of flexible containers filled with backfilling material
    • E21D15/02Non-telescopic prop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20/00Setting anchoring-bolts
    • E21D20/02Setting anchoring-bolts with provisions for grouting
    • E21D20/028Devices or accesories for injecting a grouting liquid in a bore-hole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001Improving soil or rock, e.g. by freezing; Injections

Abstract

일반적인 메서쉴드 공법은 막장의 토류판(막장막이), 상부와 측면의 강지보와 토류판으로 구체를 형성하고 토사의 유입을 방지하며 선단부의 메서를 수동 유압 잭으로 조금씩 전진시키며 막장막이를 일부 개방하여 조금씩 굴착을 진행하는 공법으로 연장이 짧고 규모가 작은 터널의 굴착을 중심으로 수행되는 터널 굴착공법이다.
막장막이의 개폐를 반복하며 굴착이 수행되므로 작업이 복잡하고 굴착면이 협소하여 인력 위주의 굴착이 진행되므로 시공속도가 느리면서, 막장부 변형이 크기 때문에 유사한 비개착 공법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지반 침하가 큰 단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메서쉴드 공법으로 굴착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본 출원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존의 메서쉴드 공법의 단점을 선단 보강장치를 이용하여 해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길이가 길고 폭이 좁은 빔형태로 구성되고, 상하로 수직한 굴착면 쪽으로 선단슈가 구비된 전방보강판; 및 상기 선단슈의 반대쪽 전방보강판에 구비된 전방보강판 연결부; 및 상기 전방보강판 연결부와 연결되어 상기 전방보강판을 굴착면쪽으로 전진시켜 굴착공간이 붕괴되지 않도록 보강하는 후방보강판 연결부를 구비한 후방보강판; 및 상기 후방보강판의 타단에는 후미부를 더 구비하여 후방의 토류판과 연결하는 선단 보강장치를 제공한다.
본 출원 발명의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연약지반에서 터널굴착을 진행하는 전방을 콘크리트 그라우팅으로 보강하여 어드밴스 코어를 생성하여 굴착함으로써 굴착이 이루어지는 막장의 선단을 보강하고, 굴착면을 45도로 유지하여 막장막이 없이 굴삭기와 같은 장비로 굴착할 수 있어 빠른 굴착이 가능한 효과가 있는 굴착방법을 제동하는 효과가 있는 발명이다.

Description

메서쉴드 구체와 가변 선단 보강장치 및 그를 활용한 터널 굴착방법{.}
연약지반의 터널을 굴착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가변 선단 보강장치를 메서쉴드 구체에 활용한 터널 굴착방법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출원 이전의 선행기술로 워터젯 절단 타입 암반 굴착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연약지반이나 대수 지반에 터널을 만들 때 사용되는 굴착공법인 실드 공법 또는 RCD 공법 대용으로 사용될 수 있으면서 암반을 굴착할 수 있도록 한 워터젯 절단 타입 암반 굴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초고압으로 제공되는 워터(물)를 이용하여 암반을 1차 절단한 상태에서 스크레이퍼를 이용하여 암반을 파쇄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성 향상은 물론이고, 저비용으로 장비의 유지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선행기술로 개량형 TBM 암반터널에서 연약지반 굴착보강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기술에서는 회전에 의해 암반을 천공 굴착하는 회전커터헤드와 상기 회전커터헤드를 전진시키는 전진이동부를 갖는 굴착체와; 상기 굴착체의 전진이동부 외면에 구비되고 굴착된 암반면에 밀착되어 상기 굴착체 전진이동할 때 굴착체를 지지하는 그리퍼체와; 상기 굴착체의 회전커터헤드와 상기 그리퍼체 사이에 구비되어 암반 천공 굴착시 단층파쇄구간을 보강하는 보강체와; 상기 보강체에 의해 상기 단층파쇄구간에 시공되는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체는, 상기 굴착체의 전진이동부 외면을 포설하고 베어링부를 갖는 보강체하우징부와; 상기 보강체하우징부와 지지프레임부로 연결되어 상기 보강체하우징부의 둘레부에 위치되고 내주면을 따라 연동기어가 구비되는 보강체회전부와; 상기 보강체회전부의 연동기어와 치합되는 구동기어를 갖는 보강체회전모터와; 상기 보강체회전부와 보강체브라켓으로 연결되는 제1실린더부 및 제2실린더부와; 상기 제1실린더부와 일측이 연결되는 제1링크부 및 상기 제2실린더부와 일측이 연결되는 제2링크부와; 상기 제1링크부의 타측과 상기 제2실린더부의 타측이 연결되고 상기 세그먼트와 연결되는 연결돌부를 갖는 세그먼트이랙터로 구성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 다른 선행기술로 터널의 평면 선형을 변경하는 잭 서포트 메서쉴드 굴착공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 기술은 터널 내에서 굴착방향을 임의의 각도로 변경 또는 변화시키고자 할 때 인양 잭을 이용하여 발진기지를 설치한 후 복공(覆工)용 메서 플레이트를 굴착된 터널의 상부에 밀착 구성한 것으로, 터널 내부에서 수평지보 설치를 위한 확폭 굴착(여굴부) 구간 및 높이를 현저히 줄여 최소로 유지하면서도 임의 방향(각도)으로 터널의 굴착방향을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등록특허공보 10-2260787 등록특허공보 10-1774713 공개특허공보 10-2010-0136249
일반적인 메서쉴드 공법은 막장의 토류판(막장막이), 상부와 측면의 강지보와 토류판으로 구체를 형성하고 토사의 유입을 방지하며 선단부의 메서를 수동 유압 잭으로 조금씩 전진시키며 막장막이를 일부 개방하여 조금씩 굴착을 진행하는 공법으로 연장이 짧고 규모가 작은 터널의 굴착을 중심으로 수행되는 터널 굴착공법이다.
막장막이의 개폐를 반복하며 굴착이 수행되므로 작업이 복잡하고 굴착면이 협소하여 인력 위주의 굴착이 진행되므로 시공속도가 느리면서도, 막장부 변형이 크기 때문에 유사한 비개착 공법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지반 침하가 큰 단점이 있다(홍창수 등, 2005; 황영호 등, 2007). 도 1은 일반적인 메서쉴드 공법으로 굴착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본 출원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존의 메서쉴드 공법의 단점을 선단 보강장치를 이용하여 해결하고자 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다음과 같은 과제해결 수단을 제공한다.
길이가 길고 폭이 좁은 빔형태로 구성되고, 상하로 수직한 굴착면 쪽으로 선단슈가 구비된 전방보강판; 및
상기 선단슈의 반대쪽 전방보강판에 구비된 전방보강판 연결부; 및
상기 전방보강판 연결부와 연결되어 상기 전방보강판을 굴착면 쪽으로 전진시켜 굴착공간이 붕괴되지 않도록 보강하는 후방보강판 연결부를 구비한 후방보강판; 및
상기 후방보강판의 타단에는 후미부를 더 구비하여 후방의 토류판과 연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서쉴드 구체와 가변 선단 보강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선단 보강장치는 상기 상하로 수직한 굴착면의 폭방향으로 상기 선단 보강장치를 연결하여 터널의 폭만큼 확장할 수 있도록 상기 선단 보강장치의 일측면에는 결합홈을 타측면에는 결합돌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서쉴드 구체와 가변 선단 보강장치를 제공한다.
본 출원 발명의 메서쉴드 구체와 가변 선단 보강장치를 활용한 터널 굴착방법에 있어서,
터널을 굴착해야 하는 연약지반의 굴착지반 상부, 측벽부 및 전방지반을 터널 지름 또는 폭(1D)의 1.5D 이상의 3차원 공간을 시멘트 그라우팅으로 지반을 보강하는 전방지반 보강단계; 및
브레이커의 강력한 타격력으로 전방보강판을 압입하고, 상기 전방보강판에 보강판을 결합하여 압입하는 선단 보강장치 압입단계; 및
상기 선단 보강장치가 굴착 후에도 안전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상부 및 좌우 측부에서 상기 가변 선단 보강장치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핀을 상기 전방지반 보강단계에서 보강된 지반에 추가로 상기 선단 보강장치 보다 앞쪽으로 압입하는 고정핀 압입단계; 및
상기 선단 보강장치가 설치된 공간을 굴착장비를 활용하여 굴착 비탈면의 각도를 45도 이상으로 유지하면서 굴착하는 굴착단계; 및
상기 굴착단계에서는 터널의 안전한 공사를 위하여 1회당 굴착 심도는 강지보 간격인 0.8m를 유지하며 굴착하고, 0.8m 간격으로 굴착할 때마다. 강지보를 삽입하며, 터널 굴착은 전방의 보강된 지반의 길이가 1D가 남을 때까지 굴착을 반복하는 반복굴착단계; 및
어드밴스 코어 이론(Lunardi, 2000)에 의하여 터널의 막장면이 무너지지 않을 안전한 위치까치 굴착을 한 후 다시 선단 보강장치를 굴착면 쪽으로 압입하는 선단 보강장치 추진과 동시에 상기 선단보강장치의 추진으로 생긴 터널의 공간부의 상부와 좌우 측벽부에 보강판과 토류벽을 삽입하여 터널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하는 토류벽 작업단계; 및
상기 가변 선단 보강장치의 상부 보강재중 일부는 상부 하중을 분담하기 위한 사보강재를 설치하는 단계; 및
추진과 동시에 하부 지지판을 깔고, 강지보를 추가로 설치하고 및 강지보의 수평 이동을 방지하도록 각각의 타이로드를 용접하여 고정하는 단계; 및
지반보강을 통하여 다시 1.5D 까지 그라우팅 등으로 지반을 보강하고 보강 지반이 1D 가 되는 위치까지 굴착하는 단계 과정까지를 반복 수행하며, 원하는 위치까지 터널을 굴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서쉴드 구체와 가변 선단 보강장치를 활용한 터널 굴착방법을 제공한다.
본 출원 발명의 메서쉴드 구체와 가변 선단 보강장치를 활용한 터널 굴착방법을 활용하여 땅속 기존 구조물에 연결하는 굴착방법에 있어서,
메서쉴드 구체와 상기 가변 선단 보강장치를 활용하여 굴착을 진행하여 터널을 연결하여야 하는 기존 구조물 근처에 도달하는 경우, 기존 구조물 상부와 주변을 2D 정도 그라우팅 등을 통한 지반 보강을 수행하는 기존 구조물 주변 지반보강단계; 및
가변 선단 보강장치를 활용하여 터널을 연결하고자 하는 기존 구조물의 인접위치 까지 굴착하는 기존 구조물 주변 지반굴착단계; 및
굴착된 공간에 토류판과 가변 선단 보강장치 하단에는 강지보를 설치하여 상부 하중지지 및 굴착 공간의 지지를 안전하게 유지하는 강지보 설치단계; 및
터널과 기존구조물의 연결을 위하여 기존 구조물 외벽을 제거하는 기존 구조물 외벽 제거단계; 및
가변 선단 보강장치를 기존 구조물 내부로 추진하여 기존 구조물에 위치시키고 해체하여 반출하는 가변 선단 보강장치 해체 제거단계; 및
터널내부에 콘크리트 라이닝을 터널내부에서 현장 타설하는 기존 구조물 연결완료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서쉴드 구체와 가변 선단 보강장치를 활용한 터널 굴착방법을 활용하여 땅속 기존 구조물에 연결하는 굴착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발명의 구성에 의하여 연약지반에서 터널굴착을 진행하는 전방을 콘크리트 그라우팅으로 보강하여 어드밴스 코어를 생성하여 굴착함으로써 굴착이 이루어지는 막장의 선단을 보강하고, 굴착면을 45도로 유지하여 막장막이 없이굴삭기와 같은 장비로 굴착할 수 있어 빠른 굴착이 가능한 효과가 있는 굴착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는 발명이다.
도 1은 기존의 메서쉴드 공법의 굴착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선단 보강장치를 구비한 메서쉴드 공법의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막장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하여 사용한 어드밴스 코어 기술 설명도이다.
도 4는 기존의 하프페이스 어드밴드 공법에서 막장붕괴가 발생하는 경우와 그렇지 않는 경우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선단 보강장치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선단 보강장치의 수평 연결부의 상세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선단 보강장치를 구비한 메서쉴드 공법으로 굴착한 터널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선단 보강장치를 구비한 메서쉴드 공법으로 터널 작업을 하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어드밴스 코어 기술을 이용하기 위하여 굴착 전면과 상부를 보강한 측단면도 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선단 보강장치를 구비한 메서쉴드 공법으로 터널을 굴착하는 설명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선단 보강장치를 구비한 메서쉴드 공법으로 기존의 구조물에 터널을 연결하는 구성도이다.
본 출원 발명의 작용효과를 도면을 활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기존의 메서쉴드 공법의 단점을 해결하고자 가변 선단 보강장치를 활용하여 굴착하는 방법을 본 출원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출원 발명의 가변 선단 보강장치를 이용한 메서쉴드 공법 설명도이다. 이 공법은 막장의 토류판(막장막이), 상부와 측면의 강지보와 토류판으로 구체를 형성하고 토사의 유입을 방지하고 가변 선단 보강장치를 전진시키며 굴착을 진행하는 면에서 기존의 일반적인 메서쉴드 공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굴착을 하고 있다. 굴착방법에서는 유사하지만, 토류판(막장막이)를 사용하지 않고, 시멘트 그라우팅 등으로 막장을 보강하여 굴착 식 막장이 무너지지 않도록 하는 기술을 적용하고 있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굴착 중 터널 내부 또는 지상에서 지속적으로 터널직경 D의 1.5 ∼ 2 배의 전방 지반을 터널 단면 크기만큼 시멘트 그라우팅 방법으로 전방 지반을 보강함으로써,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막장 면이 안정되어 보강된 전방지반이 어드밴스 코어 역할을 함으로써 막장의 붕괴 없이 굴착할 수 있다. 시멘트 그라우팅으로 보강된 전방의 지반이 어드밴스 코어 역할을 함으로써 안정된 상기 막장 면에 고정핀을 압입함으로써, 상기 고정핀이 상부 하중의 받침점 역할을 한다. 상기 받침점 역할을 하는 고정핀을 중심으로 가변 선단 보강장치가 상부 및 지반 측면의 하중을 지지하는 보의 역할을 하여, 굴착작업 시 막장면의 붕괴를 방지한다. 이때 상기 시멘트 그라우팅이 어드밴스 코어의 기능을 함으로써 붕괴 없이 굴착이 가능하다.
도시와 생활이 발전하면서, 지상에 설치하였던 전신주, 전선 등을 지하로 설치하여 지상부 환경을 깨끗이 하는 노력들이 많아지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터널 등의 굴착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터널을 굴착하는 것 자체가 지반에 공동을 발생시키는 과정이므로, 굴착과 동시에 지반에 공동이 생성되고, 이는 상부의 하중을 지탱하던 지반을 제거하는 것이므로, 상기 공동의 압력이 낮아지기 때문에 상기 공동 주변의 지반이 공동(터널)로 이동하려는 경향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터널을 굴착하면서 터널의 천단(윗쪽)과 측벽은 각종 보강재로 보강하는 작업으로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굴착이 가능하다. 그러나, 굴착이 진행되는 전면의 막장면은 굴착을 진행하는 과정이기 때문에 터널 굴착 작업에서 막장면이 가장 불안정한 상태이며, 특별히 연약한 지반에서는 막장면의 붕괴(face failure)가 발생할 가능성이 가장 높다(도 4 (b), ( c))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지반이 충분히 단단하다면, 막장면이 터널 굴착과정에서 무너지지 않을 수 있다. 이는 터널의 종방향 아칭(arching) 또는 횡방향 아칭을 통해 상부 하중을 터널 주변 지반이 분담하여 막장 부근의 터널이 부담하는 하중을 줄여주기 때문이며 이것을 아칭현상 (arching effect)이라고 한다.
상기와 같은 아칭현상은 풍화암 이상의 강도를 가지는 지반에서는 터널 굴착과정에서 무너지지 않고 잘 유지되지만, 토사 지반이나 점토와 같은 탄성계수가 상대적으로 작은 연약지반의 경우 아칭에 의한 막장면의 안정성을 기대할 수 없으므로 막장 주변을 보강하지 않고 굴착한다면 터널 막장의 붕괴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막장면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터널의 굴착과정에서 굴착 안정에 영향을 미치는 터널 막장면 전방 1D 범위를 어드밴스 코어 (advance core)라 정의하고(Lunardi, 2000) 이의 보강을 통한 안전한 터널 굴착 공법을 본 출원 발명에서 제안하고자 한다(도 3)
또한 굴착면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기존의 막장면 상하반 분할방식 보다 안정적인 효과가 있는 굴착면의 경사를 흙의 안식각 또는 토사지반 공사 중 임시 비탈면의 굴착 각도인 45도를 유지 (사면경사 1:1) 하며 굴착한다.
상기 방법에 의한 굴착은 기존의 메서쉴드 방법이 전방을 보강하여 어드밴스 코어를 만들지 않고, 막장막이의 개폐를 반복하며 굴착하는 방법(도 1)과 비교하여 막장막이 없이 연속적으로 굴착이 수행되므로 시공성이 개선된다(도 2) 또한, 기존의 메서쉴드 공법의 경우 막장막이를 항상 사용하여야하기 때문에 작업공간이 협소하여 인력에 의한 굴착만 가능할 뿐 굴삭기 등을 사용할 수 없었다. 그러나, 본 출원 발명의 가변 선단 보강장치를 이용한 메서쉴드 공법은 굴착 시 막장막이를 상용하지 않기 때문에 작업공간이 충분하여 기계굴착이 가능하기 때문에 시공속도가 빠르고, 막장의 붕괴 가능성이 없기 때문에 매우 안정적으로 굴착이 가능하다. 이러한 굴착이 가능한 것은 굴착 전에 터널직경 D의 1.5 ∼ 2 배의 전방 연약지반에 시멘트 그라우팅으로 어드밴스 코어를 생성하여 지반을 강화시킨 후에 작업하기에 가능한 것이며, 이러한 전방 지반의 강화로 지반침하가 감소하는 장점이 있는 공법이다.
도 5는 본 출원 발명의 선단 보장강치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전방보강판과 후방보강판이 있고, 전방보강판과 후방보강판을 연결하는 전방보강판 연결부와 후방보강판 연결부를 겹쳐 결합볼트로 결합함으로써 전방보강판과 후방보강판이 결합된다. 전방보강판과 후방보강판의 상부에는 보강판의 단면2차 모멘트를 증가시키기 위한 상부보강재가 구비되고, 전방보강판과 후방보강판은 아래가 열린 형태의 역 유자(‘U’)형태를 하고 있으며, 사보강재의 지지와 보강판을 브레이커 또는 레그드릴과 같은 타격장비를 이용하여 추진을 위하여 K 자 형태로 보강된 격벽을 안쪽에 구비하고 있으며, 격벽은 측면의 부재보다 길이가 짧아서 추진시 하부의 강지보와의 마찰을 줄여주는 기능을 추가하고 있다. 후방보강판에는 후미부를 더 구비하고 있어 추가의 후방보강판을 연결하거나, 측면토류판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전방보강판의 선단에는 선단슈를 구비하고 있다. 선단슈의 경우 가늘고 긴 형태로 구비되어 전방에 보강된 어드밴스 코어에 압입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또한, 선단 보강장치를 어드밴스코어에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어드밴스 코어에 고정핀을 먼저 고정하고, 선단 보강장치를 상기 고정핀에 연결하여 막장의 붕괴를 방지한다.
상기 선단슈는 상부 보강재의 삽입이 쉬울 수 있도록 상단으로 돌출되어 지반에 삽입된다. 상부보강재 등에 구비된 격벽은 측면에서 발생하는 압력을 견디고 상부보강재의 뒤틀림 강도를 보강함으로써 인입 시 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구비되었다.
도 6은 전방보강판의 상세도로 단면을 보면 좌우측으로 원형의 돌기와 돌기를 삽입할 수 있는 홈이 구성되어 있다. 이는 굴착 시 상부를 지지하는 상부보강재들 간에 수평 결합을 위하여 돌기와 삽입홈을 구비하여 결합함으로써 지반의 상부에서 누르는 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보강반의 좌단끝단과 우끝단은 마감돌기와 마감홈을 더 구비하여 상부보강을 마무리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도 7은 본 출원 발명의 시멘트 그라우팅으로 보강된 막장면에 압입된 설치된 가변 선단 보강장치 단면도이다. 위쪽 및 좌우측에 선단 보강장치가 압입되어 지반을 지지함으로써, 굴착을 안정적으로 작업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8은 본 출원 발명의 굴착모습을 측면에서 도시하고 있다. 어드밴스 코어 이론을 사용하여 막장면의 안전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굴착면의 전면에 시멘트 그라우팅을 하고, 굴착 중인 터널의 전면을 고정 지지하기 위하여 시멘트 그라우팅된 지반에 고정핀을 압입설치하고, 압입설치된 고정핀에 선단 보강장치를 상단 및 좌우측을 연결하여 굴착 중인 지반을 지지하며, 굴착이 완료된 터널은 토류판으로 상단 및 측면을 마감하여 지반을 지지하는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어드밴스 코어 이론을 사용하여 막장전방의 충분한 보강지반 구간 1D 를 확보하고 막장의 경사면을 45도로 유지하면서 굴착하기 때문에 보강판의 측면이 45도 경사로 구성된 것을 볼 수 있다.
도 9는 본 출원 발명의 지반보강 및 어드밴스 코어를 이용한 45도 경사 굴착공법을 도시하고 있다. 연약지반의 경우 터널의 상단부 및 터널 지름 D의 1.5 ∼ 2 배 전방까지 시멘트 그라우팅을 하고, 45도 각도로 굴착을 진행하며, 굴착된 후방은 토류판을 시공하여 터널을 마감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본 출원 발명의 메서쉴드 구체와 가변 선단 보강장치를 활용한 터널 굴착방법을 도10을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a. 전방지반 보강단계
연약지반을 굴착지반 상부, 측벽부 및 전방지반을 1.5D 이상의 깊이는 시멘트 그라우팅으로 지반을 보강하는 단계.
b. 가변 선단 보강장치 압입단계
브레이커의 강력한 타격력으로 가변 선단 보강장치를 구성하는 각각의 보강재를 압입하는 선단 보강장치 압입단계
상기 선단 보강장치가 굴착 후에도 안정감있게 고정될 수 있도록 상부 및 측부 가변 선단 보강장치의 고정핀이 보강 지반에 압입되어 외부 하중에 대한 안정을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핀은 좀 더 깊숙이 압입하는 고정핀 압입단계를 포함함.
c. 지반굴착단계
굴삭기(백호)와 같은 굴착장비를 활용하여 흙의 안식각 내지는 토사지반 공사 중 임시 비탈면의 굴착 각도인 45도를 유지 (사면경사 1:1) 하여 굴착함.
이때 1회당 굴착 심도는 강지보 간격인 0.8m를 유지하며 굴착하고, 0.8m 간격으로 굴착할 때 마다. 강지보를 삽입함, 지반 굴착은 전방지반 보강 길이가 1D가 남을 때까지 반복함.
d. 가변 선단 보강장치 추진
브레이커 또는 레그드릴 등으로 보강된 격벽을 타격하여 선단 보강장치의 추진과 동시에 상부와 측벽부의 보강판 후미부에 토류벽을 삽입하여 지반의 안정을 유지함.
가변 선단 보강장치의 상부 보강재중 일부는 상부 하중을 분담하기 위한 사보강재를 설치하며 지반의 상태가 풍화암보다 좋은 경우 생략할 수 있음.
e. 하부 지지판, 강지보 추가 설치 및 타이로드 용접
- 추진과 동시에 하부 지지판을 깔고 그 위에 강지보를 설치함.
- 강지보와 강지보는 수평 이동을 방지하도록 타이로드를 용접하여 고정함.
f. a 단계의 지반보강을 통하여 다시 1.5D 까지 그라우팅 등으로 지반을 보강하고 보강 지반이 1D 가 되는 위치까지 굴착하는 e 단계 과정까지를 반복 수행함.
[실시예2]
o 기존 구조물에 연결하는 경우
sa. 기존 구조물 주변 지반보강단계
굴착 장비가 기존 구조물 근처에 도달하는 경우 구조물 상부와 주변을 2D 정도 그라우팅 등을 통한 지반 보강을 수행함
sb. 기존 구조물 주변 지반굴착단계
가변 선단 보강장치를 활용하여 기존 구조물 주변 지반굴착
sc. 강지보 설치단계
가변 선단 보강장치하단에 강지보를 설치하여 상부 하중지지
sd. 기존 구조물 외벽 제거
터널 연결을 위하여 기존 구조물 외벽 제거
se. 가변 선단 보강장치 해체 제거
가변 선단 보강장치 추진하여 기존 구조물에 위치시키고 해체하여 반출함
sf. 기존 구조물 연결
콘크리트 라이닝을 현장 타설하여 구축함.
상기와 같은 발명의 작용효과를 나타내기 위한 발명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길이가 길고 폭이 좁은 빔형태로 구성되고, 상하로 수직한 굴착면 쪽으로 선단슈가 구비된 전방보강판; 및
상기 선단슈의 반대쪽 전방보강판에 구비된 전방보강판 연결부; 및
상기 전방보강판 연결부와 연결되어 상기 전방보강판을 굴착면쪽으로 전진시켜 굴착공간이 붕괴되지 않도록 보강하는 후방보강판 연결부를 구비한 후방보강판; 및
상기 후방보강판의 타단에는 후미부를 더 구비하여 후방의 토류판과 연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단 보강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선단 보강장치는 상기 상하로 수직한 굴착면의 폭방향으로 상기 선단 보강장치를 연결하여 터널의 폭만큼 확장할 수 있도록 상기 선단 보강장치의 일측면에는 결합홈을 타측면에는 결합돌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사보강재의 지지와 보강판을 브레이커 또는 레그드릴과 같은 타격장비를 이용하여 추진을 위하여 K 자 형태로 보강되는 격벽을 구비하는 선단 보강장치를 제공한다.
본 출원 발명의 메서쉴드 구체와 가변 선단 보강장치를 활용한 터널 굴착방법에 있어서,
터널을 굴착해야하는 연약지반의 굴착지반 상부, 측벽부 및 전방지반을 터널 지름 또는 폭(1D)의 1.5D 이상의 3차원 공간을 시멘트 그라우팅으로 지반을 보강하는 전방지반보강단계; 및
브레이커의 강력한 타격력으로 전방보강판을 압입하고, 상기 전방보강판에 보방보강판을 결합하여 압입하는 선단 보강장치 압입단계; 및
상기 선단 보강장치가 굴착 후에도 안전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상부 및 좌우 측부에서 상기 가변 선단 보강장치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핀을 상기 전방지반보강단계에서 보강된 지반에 추가로 상기 가변 선단 보강장치 보다 앞쪽으로 압입하는 고정핀 압입단계; 및
상기 선단 보강장치가 설치된 공간을 굴착장비를 활용하여 굴착 비탈면의 각도를 45도 이상으로 유지하면서 굴착하는 굴착단계; 및
상기 굴착단계에서는 터널의 안전한 공사를 위하여 1회당 굴착 심도는 강지보 간격인 0.8m를 유지하며 굴착하고, 0.8m 간격으로 굴착할 때마다. 강지보를 삽입하며, 터널 굴착은 전방의 보강된 지반의 길이가 1D가 남을 때까지 굴착을 반복하는 반복굴착단계; 및
어드밴스 코어 이론에 의하여 터널의 막장면이 무너지지않을 안전한 위치까치 굴착을 한 후 다시 선단 보강장치를 굴착면쪽으로 압입하는 선단 보강장치 추진과 동시에 상기 선단보강장치의 추진으로 생긴 터널의 공간부의 상부와 좌우측벽부에 보강판과 토류벽을 삽입하여 터널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하는 토류벽작업단계; 및
상기 가변 선단 보강장치의 상부 보강재중 일부는 상부 하중을 분담하기 위한 사보강재를 설치하는 단계; 및
추진과 동시에 하부 지지판을 깔고, 강지보를 추가로 설치하고 및 강지보의 수평 이동을 방지하도록 각각의 타이로드를 용접하여 고정하는 단계; 및
지반보강을 통하여 다시 1.5D 까지 그라우팅 등으로 지반을 보강하고 보강 지반이 1D 가 되는 위치까지 굴착하는 단계 과정까지를 반복 수행하며, 원하는 위치까지 터널을 굴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서쉴드 구체와 가변 선단 보강장치를 활용한 터널 굴착방법을 제공한다.
본 출원 발명의 메서쉴드 구체와 가변 선단 보강장치를 활용하여 땅속 기존 구조물에 연결하는 굴착방법에 있어서,
메서쉴드 구체와 상기 가변 선단 보강장치를 활용하여 굴착을 진행하여 터널을 연결하여야 하는 기존 구조물 근처에 도달하는 경우, 기존 구조물 상부와 주변을 2D 정도 그라우팅 등을 통한 지반 보강을 수행하는 기존 구조물 주변 지반보강단계; 및
가변 선단 보강장치를 활용하여 터널을 연결하고자 하는 기존 구조물의 인접위치 까지 굴착하는 기존 구조물 주변 지반굴착단계; 및
굴착된 공간에 토류판과 가변 선단 보강장치 하단에는 강지보를 설치하여 상부 하중지지 및 굴착 공간의 지지를 안전하게 유지하는 강지보 설치단계; 및
터널과 기존구조물의 연결을 위하여 기존 구조물 외벽을 제거하는 기존 구조물 외벽 제거단계; 및
가변 선단 보강장치를 기존 구조물 내부로 추진하여 기존 구조물에 위치시키고 해체하여 반출하는 가변 선단 보강장치 해체 제거단계; 및
터널내부에 콘크리트 라이닝을 터널내부에서 현장 타설하는 기존 구조물 연결완료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서쉴드 구체와 가변 선단 보강장치를 활용하여 땅속 기존 구조물에 연결하는 굴착방법을 제공한다.
100 : 가변 선단 보강장치
200 : 전방보강판
210 : 전방보강판 연결부
211 : 결합볼트
220 : 선단슈
230 : 상부보강재
231 : 결합돌기
232 :결합홈
233 :마감돌기
234 : 마감홈
250 : 고정핀
300 : 후방보강판
310 : 후방보강판 연결부
320 : 후미부
335 : 격벽
400 : 측면토류판
450 : 강지보

Claims (4)

  1. 길이가 길고 폭이 좁은 빔형태로 구성되고, 상하로 수직한 굴착면 쪽으로 선단슈가 구비된 전방보강판; 및
    상기 선단슈의 반대쪽 전방보강판에 구비된 전방보강판 연결부; 및
    상기 전방보강판 연결부와 연결되어 상기 전방보강판을 굴착면 쪽으로 전진시켜 굴착공간이 붕괴되지 않도록 보강하는 후방보강판 연결부를 구비한 후방보강판; 및
    역 유자(‘U’)형태로 내부에 사보강재의 지지와 타격장비에 의한 추진을 위하여 K 자 형태로 보강된 격벽을 구비하는 전방보강판; 및
    상기 후방보강판의 타단에는 후미부를 더 구비하여 후방의 토류판과 연결할 수 있으며,
    선단 보강장치는 상기 상하로 수직한 굴착면의 폭방향으로 상기 선단 보강장치를 연결하여 터널의 폭만큼 확장할 수 있도록 상기 선단 보강장치의 일측면에는 결합홈을 타측면에는 결합돌기를 더 구비한 메서쉴드 구체와 가변 선단 보강장치를 활용한 터널 굴착방법에 있어서,
    터널을 굴착해야하는 연약지반의 굴착지반 상부, 측벽부 및 전방지반을 터널 지름 또는 폭(1D)의 1.5D 이상의 3차원 공간을 시멘트 그라우팅으로 지반을 보강하는 전방지반 보강단계(a); 및
    브레이커 또는 레그드릴의 강력한 타격력으로 전방보강판을 압입하고, 상기 전방보강판에 후방보강판을 결합하여 압입하는 선단 보강장치 압입단계; 와
    상기 선단 보강장치가 굴착 후에도 안전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상부 및 좌우 측부에서 상기 가변 선단 보강장치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핀을 상기 전방지반 보강단계에서 보강된 지반에 추가로 상기 가변 선단 보강장치 보다 앞쪽으로 압입하는 고정핀 압입단계(b); 및
    상기 선단 보강장치가 설치된 공간을 굴착장비를 활용하여 굴착 비탈면의 각도를 45도 이상으로 유지하면서 굴착하는 굴착단계와
    상기 굴착단계에서는 터널의 안전한 공사를 위하여 1회당 굴착 심도는 강지보 간격인 0.8m를 유지하며 굴착하고, 0.8m 간격으로 굴착할 때마다. 강지보를 삽입하며, 터널 굴착은 전방의 보강된 지반의 길이가 1D가 남을 때까지 굴착을 반복하는 반복굴착단계(c); 및
    어드밴스 코어 이론에 의하여 터널의 막장면이 무너지지 않을 안전한 위치까치 굴착을 한 후 다시 선단 보강장치를 굴착면 쪽으로 압입하는 선단 보강장치 추진과 동시에 상기 선단보강장치의 추진으로 생긴 터널의 공간부의 상부와 좌우측벽부에 보강판과 토류벽을 삽입하여 터널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하는 토류벽작업단계(d); 및
    상기 가변 선단 보강장치의 상부 보강재중 일부는 상부 하중을 분담하기 위한 사보강재를 설치하고, 가변 선단 보강장치를 굴착면 앞쪽으로 추진이동과 동시에 하부 지지판을 깔고 그 위에 강지보를 설치하고, 강지보와 강지보는 수평 이동을 방지하도록 타이로드를 용접하여 고정하는 하부 터널 강지보설치단계(e); 및
    (a) 단계의 전방지반 보강단계를 통하여 다시 1.5D 까지 그라우팅 등으로 지반을 보강하고 보강 지반이 1D 가 되는 위치까지 굴착하는 상기 강지보설치단계(e) 단계 과정까지를 반복 수행하며, 원하는 위치까지 터널을 굴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서쉴드 구체와 가변 선단 보강장치를 활용한 터널 굴착방법.
  2. 삭제
  3. 삭제
  4. 길이가 길고 폭이 좁은 빔형태로 구성되고, 상하로 수직한 굴착면 쪽으로 선단슈가 구비된 전방보강판; 및
    상기 선단슈의 반대쪽 전방보강판에 구비된 전방보강판 연결부; 및
    상기 전방보강판 연결부와 연결되어 상기 전방보강판을 굴착면 쪽으로 전진시켜 굴착공간이 붕괴되지 않도록 보강하는 후방보강판 연결부를 구비한 후방보강판; 및
    역 유자(‘U’)형태로 내부에 사보강재의 지지와 타격장비에 의한 추진을 위하여 K 자 형태로 보강된 격벽을 구비하는 전방보강판; 및
    상기 후방보강판의 타단에는 후미부를 더 구비하여 후방의 토류판과 연결할 수 있으며,
    선단 보강장치는 상기 상하로 수직한 굴착면의 폭방향으로 상기 선단 보강장치를 연결하여 터널의 폭만큼 확장할 수 있도록 상기 선단 보강장치의 일측면에는 결합홈을 타측면에는 결합돌기를 더 구비한 메서쉴드 구체와 가변 선단 보강장치를 활용한 터널 굴착방법을 활용하여 땅속 기존 구조물에 연결하는 굴착방법에 있어서,
    메서쉴드 구체와 상기 가변 선단 보강장치를 활용하여 굴착을 진행하여 터널을 연결하여야 하는 기존 구조물 근처에 도달하는 경우, 기존 구조물 상부와 주변을 2D 정도 그라우팅 등을 통한 지반 보강을 수행하는 기존 구조물 주변 지반보강단계; 및
    가변 선단 보강장치를 활용하여 터널을 연결하고자 하는 기존 구조물의 인접위치 까지 굴착하는 기존 구조물 주변 지반굴착단계; 및
    굴착된 공간에 토류판과 가변 선단 보강장치 하단에는 강지보를 설치하여 상부 하중지지 및 굴착 공간의 지지를 안전하게 유지하는 강지보 설치단계; 및
    터널과 기존구조물의 연결을 위하여 기존 구조물 외벽을 제거하는 기존 구조물 외벽 제거단계; 및
    가변 선단 보강장치를 기존 구조물 내부로 추진하여 기존 구조물에 위치시키고 해체하여 반출하는 가변 선단 보강장치 해체 제거단계; 및
    터널내부에 콘크리트 라이닝을 터널내부에서 현장 타설하는 기존 구조물 연결완료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서쉴드 구체와 가변 선단 보강장치를 활용하여 땅속 기존 구조물에 연결하는 굴착방법.
KR1020230149743A 2023-11-02 2023-11-02 메서쉴드 구체와 가변 선단 보강장치 및 그를 활용한 터널 굴착방법 KR1026555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49743A KR102655503B1 (ko) 2023-11-02 2023-11-02 메서쉴드 구체와 가변 선단 보강장치 및 그를 활용한 터널 굴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49743A KR102655503B1 (ko) 2023-11-02 2023-11-02 메서쉴드 구체와 가변 선단 보강장치 및 그를 활용한 터널 굴착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5503B1 true KR102655503B1 (ko) 2024-04-22

Family

ID=90881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49743A KR102655503B1 (ko) 2023-11-02 2023-11-02 메서쉴드 구체와 가변 선단 보강장치 및 그를 활용한 터널 굴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5503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9762A (ko) * 1996-07-05 1998-04-30 이토오 토모오 지하터널 구축공법
KR200175128Y1 (ko) * 1999-10-27 2000-03-15 김기홍 보강수단을 구비하는 매서 플레이트
JP2006051522A (ja) * 2004-08-11 2006-02-23 Okudo Kinzoku:Kk H型鋼溶接継手構造
KR20100136249A (ko) 2009-06-18 2010-12-28 티제이건설 주식회사 터널의 평면 선형을 변경하는 잭 서포트 메서쉴드 굴착공법
KR101289391B1 (ko) * 2010-05-28 2013-07-29 위준복 비개착식 터널굴착공법의 선단구조체
KR101774713B1 (ko) 2016-12-02 2017-09-05 안석 개량형 tbm 암반터널에서 연약지반 굴착보강장치
KR102260787B1 (ko) 2020-09-17 2021-06-03 이중완 워터젯 절단 타입 암반 굴착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9762A (ko) * 1996-07-05 1998-04-30 이토오 토모오 지하터널 구축공법
KR200175128Y1 (ko) * 1999-10-27 2000-03-15 김기홍 보강수단을 구비하는 매서 플레이트
JP2006051522A (ja) * 2004-08-11 2006-02-23 Okudo Kinzoku:Kk H型鋼溶接継手構造
KR20100136249A (ko) 2009-06-18 2010-12-28 티제이건설 주식회사 터널의 평면 선형을 변경하는 잭 서포트 메서쉴드 굴착공법
KR101289391B1 (ko) * 2010-05-28 2013-07-29 위준복 비개착식 터널굴착공법의 선단구조체
KR101774713B1 (ko) 2016-12-02 2017-09-05 안석 개량형 tbm 암반터널에서 연약지반 굴착보강장치
KR102260787B1 (ko) 2020-09-17 2021-06-03 이중완 워터젯 절단 타입 암반 굴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2743B1 (ko) 벽체말뚝용 피에이치씨 파일과 이를 이용한 흙막이벽체의 시공방법
JP6762800B2 (ja) 既設杭基礎の補強工法及び補強構造
KR100713787B1 (ko) 지하 구조물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지하 구조물 축조 방법
CN106930321B (zh) 一种大直径顶管结合洞桩修建地下结构的施工方法
KR20090094555A (ko) 기성 콘크리트 기둥부재를 이용한 탑다운 시공방법
JP2006322222A (ja) 大断面トンネルの構築方法
KR102195504B1 (ko) 보강부재와 cip공법을 이용한 자립식 흙막이 공법
KR20100115019A (ko) 지하연속벽 시공용 패널 조인트 및 이를 이용한 지하연속벽 시공방법
KR101040066B1 (ko) 강관을 이용한 지하터널 시공방법
CN110043264A (zh) 一种顶进预制矩形竖井结构型式的施工方法
JP6186267B2 (ja) 地下トンネルの構築方法
KR100442712B1 (ko) 지하터널 형성용 구조물 설치방법 및 그 구조
JP6355148B1 (ja) ボックスカルバート挿入補助器具
KR20070052109A (ko) 슬림형 합성 바닥 구조를 이용한 슬라브와 외벽의 동시 타설 및 지하 역타설 동시구축방법
CN109811773A (zh) 一种偏压隧道洞口开挖防护结构及其施工方法
KR102317138B1 (ko) 지중벽용 겹침형 주열식 콘크리트 말뚝의 시공방법
KR102655503B1 (ko) 메서쉴드 구체와 가변 선단 보강장치 및 그를 활용한 터널 굴착방법
JP4485006B2 (ja) 地下構造物の施工法
KR100784201B1 (ko) 암석구간에서의 강관루프 구조체를 이용한 터널시공 방법
JP4407716B2 (ja) 土留め壁の構築方法
JP3948655B2 (ja) 山留め壁及び地下構造物の構築方法
KR200296444Y1 (ko) 배노트 공법에 의해 설치된 현장타설 대구경 파일을이용한 지중연속벽체
KR102195496B1 (ko) 더블 아이 빔이 포함된 현장타설콘크리트 파일을 이용한 자립식 흙막이용 파일
JP2017197910A (ja) 土留壁構造の構築方法および土留壁構造
CN108843339B (zh) 既有隧道扩挖时穿越大型溶洞的辅助注浆平台及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