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5442B1 - 능동형 시트 벨트 장치 - Google Patents

능동형 시트 벨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5442B1
KR102655442B1 KR1020190039412A KR20190039412A KR102655442B1 KR 102655442 B1 KR102655442 B1 KR 102655442B1 KR 1020190039412 A KR1020190039412 A KR 1020190039412A KR 20190039412 A KR20190039412 A KR 20190039412A KR 102655442 B1 KR102655442 B1 KR 1026554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assenger
vehicle
belt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9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7386A (ko
Inventor
이충령
박해권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39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5442B1/ko
Publication of KR20200117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73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5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54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28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16Passenger detection systems using force or pressure sen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44Passenger detection systems detecting seat belt parameters, e.g. length, tension or height-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54Seat position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6Anchoring devices secured to the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3/00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 F16F13/04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 F16F13/26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characterised by adjusting or regulating devices responsive to exterior conditions
    • F16F13/30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characterised by adjusting or regulating devices responsive to exterior conditions comprising means for varying fluid viscosity, e.g. of magnetic or electrorheological fluids
    • F16F13/305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characterised by adjusting or regulating devices responsive to exterior conditions comprising means for varying fluid viscosity, e.g. of magnetic or electrorheological fluids magnetorheologic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2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dampers and springs in combin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24/00Materials; Material properties
    • F16F2224/04Fluids
    • F16F2224/045Fluids magnetorheolog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능동형 시트 벨트 장치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능동형 시트 벨트 장치는: 차량의 시트에 승객의 어깨와 흉부를 감싸게 장착되는 벨트부; 벨트부에 장착되고, 벨트부의 하중을 조절하여 승객의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 차량의 주행 정보와 시트에 착석한 승객의 체형 또는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감지부에서 감지된 정보를 통해 완충부가 벨트부를 구속하는 강도를 조절하여 벨트부의 하중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능동형 시트 벨트 장치{ACTIVE SEAT BELT APPARATUS}
본 발명은 능동형 시트 벨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주행 및 충돌 상황에서 충돌 조건, 승객의 체중, 위치에 대하여 최적의 벨트 하중을 생성 및 제어할 수 있는 능동형 시트 벨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충돌 발생시 차량에 탑승한 승객의 상해를 줄이기 위한 승객 구속 안정 장치로 시트 벨트와 에어백이 적용된다. 이 시트 벨트와 에어백은 차량에서 각각 고정된 위치에 설치된다.
종래 기술에서 시트 벨트는 차량의 충돌시 충돌 심각도, 승객의 체중 등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특성으로 승객을 구속한다. 즉 종래의 시트 벨트는 그 특성이 고정되어 있어 차량의 모든 충돌 상황에 대하여 동일하게 작동된다.
승객의 체중과 위치, 차량의 충돌 조건에 따라 요구되는 최적의 벨트 하중은 각각 다르다. 그러나 시트 벨트에서 상기 조건에 대해 동일한 벨트 특성이 적용됨으로써, 벨트 하중이 과도하게 작용되어 승객에게 불편함을 유발하거나, 벨트 하중이 부족하여 승객에게 상해를 방지할 수 있는 충분한 구속력을 제공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된다. 승객 조건, 충돌 상황 등을 반영하여 적절한 벨트 하중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주행 및 충돌 상황에서 충돌 조건, 승객의 체중, 위치에 대하여 최적의 벨트 하중을 생성 및 제어할 수 있는 능동형 시트 벨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능동형 시트 벨트 장치는: 차량의 시트에 승객의 어깨와 흉부를 감싸게 장착되는 벨트부; 상기 벨트부에 장착되고, 상기 벨트부(100)의 하중을 조절하여 상기 승객의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 상기 차량의 주행 정보와 상기 시트에 착석한 상기 승객의 체형 또는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정보를 통해 상기 완충부가 상기 벨트부를 구속하는 강도를 조절하여 상기 벨트부의 하중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완충부는, 상기 시트에 장착되는 완충하우징; 일측이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완충하우징에 삽입되는 제1로드부; 일측이 상기 벨트부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완충하우징에 삽입되는 제2로드부; 일측이 상기 제1로드부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2로드부에 연결되며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부 및 상기 제1로드부 또는 상기 제2로드부를 수용하고, 상기 제1로드부 또는 상기 제2로드부에 감쇠력을 제공하는 댐퍼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댐퍼부는 상기 제1로드부 또는 상기 제2로드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유체가 충전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댐퍼부의 유체는 MR 유체(Magneto-rheological Fluid) 또는 ER 유체(Electro-rheological Fluid)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차량에 장착되고, 상기 차량의 주행 조건을 감지하는 주행 감지부; 및 상기 차량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승객의 체형 또는 위치를 감지하는 승객 정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승객 정보부는, 상기 차량에 상기 승객 측을 향하게 장착되고, 상기 승객을 촬영하는 영상 정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승객 정보부는, 상기 시트에 장착되고, 상기 시트에 착석한 상기 승객의 체중을 감지하는 무게 센서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능동형 시트 벨트 장치에 의하면, 차량의 충돌시 충돌의 정도, 승객의 위치 및 체중을 고려하여 벨트부의 하중을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충돌 상황에서 차량의 충돌 상황에 적합한 최적의 벨트부의 하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형 시트 벨트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형 시트 벨트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형 시트 벨트 장치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형 시트 벨트 장치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능동형 시트 벨트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형 시트 벨트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형 시트 벨트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형 시트 벨트 장치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형 시트 벨트 장치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형 시트 벨트 장치는 벨트부(100), 완충부(200), 감지부(300),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벨트부(100)는 차량(10)의 시트(20)에 승객(30)의 어깨와 흉부를 감싸게 장착된다. 벨트부(100)는 시트(20) 또는 차량(10)에 고정되어, 차량(10) 충돌 시 승객(30)이 차량(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서 벨트부(100))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벨트부(100)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완충부(200)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다.
벨트부(100)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직물 또는 고무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벨트부(100)는 직물 또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져, 완충부(200)의 강도 조절에 대해 탄성 변형되면서 승객(30)의 흉부와의 접촉에서 승객(30)의 신체에 손상을 가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완충부(200)는 벨트부(100)에 장착되고, 벨트부(100)의 하중을 조절하여 승객(30)의 충격을 흡수한다. 완충부(200)는 완충하우징(210), 제1로드부(220), 제2로드부(230), 탄성부(240), 댐퍼부(250)를 포함한다.
완충하우징(210)은 시트(20)의 일측면(도 1 기준 우측면)에 장착된다. 완충하우징(210)은 시트(20)에 본딩 또는 볼팅에 의해 결합된다.
제1로드부(220)는 일측(도 3 기준 하측)이 제어부(400)에 연결되고, 타측(도 3 기준 상측)이 완충하우징(210)에 삽입된다. 제1로드부(220)는 시트(20)에 고정되거나, 완충하우징(210) 내부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로드부(230)는 일측(도 3 기준 상측)이 벨트부(100)에 연결되고, 타측(도 3 기준 하측)이 완충하우징(210)에 삽입된다. 제2로드부(230)는 완충하우징(210) 내부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로드부(230)를 통해 탄성부(240)의 탄성력과 댐퍼부(250)의 감쇠력이 벨트부(100)로 전달되어, 벨트부(100)가 승객(30)의 어깨와 흉부에 가해지는 하중이 조절된다.
탄성부(240)는 일측(도 3 기준 하측)이 제1로드부(220)와 연결되고, 타측(도 3 기준 상측)이 제2로드부(230)에 연결되며 탄성 변형 가능하여 압축 또는 신장되면서 제1로드부(220) 또는 제2로드부(230)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탄성부(240)는 코일 스프링(coiled spring)으로 이루어진다. 탄성부(240)는 제1로드부(220)와 제2로드부(230)에 본딩 또는 용접에 의해 결합된다.
탄성부(240)는 평상시 제1로드부(220)와 제2로드부(230)를 초기 설계 위치로 위치되게 하고, 차량(10)의 충돌 사고시 승객(30)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제1로드부(220) 또는 제2로드부(230)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댐퍼부(250)의 위치를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댐퍼부(250)는 제1로드부(220) 또는 제2로드부(230)를 수용하고, 제1로드부(220) 또는 상기 제2로드부(230)에 감쇠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도 3 및 도 4에서 댐퍼부(250)는 벨트부(100)와 연결된 제2로드부(230)의 슬라이드로드(231)의 단부(도 4 기준 하단부)를 수용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댐퍼부(250)의 내부 공간에는 제1로드부(220) 또는 제2로드부(230)의 이동을 제한하는 유체가 충전된다. 제1로드부(220) 또는 제2로드부(230)는 댐퍼부(250) 내부에 충전된 유체의 압축에 의해 제1로드부(220) 또는 제2로드부(230)의 이동이 유체의 압력에 의해 이동이 제한된다. 제1로드부(220) 또는 제2로드부(230)의 이동이 제한되는 유체의 압력은 댐퍼부(250)에 충전되는 유체의 종류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댐퍼부(250)의 유체는 MR 유체(Magneto-rheological Fluid) 또는 ER 유체(Electro-rheological Fluid)로 이루어진다.
댐퍼부(250)의 유체가 MR 유체인 경우를 설명한다. MR 유체는 실리콘 오일 또는 미네랄 오일 등의 비전도성 용매 속에 미크론 크기의 자성을 가지는 입자들을 분산시킨 비콜로이드 용액이다. 제어부(400)에 의해 댐퍼부(250)에 자기장이 부하되지 않은 경우는 MR 유체의 분산 입자가 뉴튼 유체 성질을 나타내지만, MR 유체로 자기장이 부하되면 분산 입자가 분극화를 일으켜 부하된 자기장과 평행한 방향으로 섬유질이 형성되어 전단력이나 유동에 대한 저항력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댐퍼부(250)는 제어부(400)에 조절되는 자기력 세기에 따라 강도가 조절되고, 제1로드부(220) 또는 제2로드부(230)의 이동이 제한되어 벨트부(100)의 하중이 조절된다.
댐퍼부(250)의 유체가 ER 유체인 경우를 설명한다. 제어부(400)에 의해 댐퍼부(250)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 제1로드부(220) 또는 제2로드부(230)는 완충하우징(210) 내부에 자유롭게 슬라이드 이동된다. 제어부(400)에 의해 댐퍼부(250)에 전압에 따라 발생되는 전기장에 의하여 ER 유체의 점성이 변화하고, 변화된 점성에 의하여 제1로드부(220) 또는 제2로드부(230)가 댐퍼부(250) 내에서의 압력 변화에 의해 이동이 제한된다. 따라서 댐퍼부(250)는 제어부(400)에 조절되는 전압에 따라 제1로드부(220) 또는 제2로드부(230)의 이동이 제한되어 벨트부(100)의 하중이 조절된다.
감지부(300)는 차량(10)의 주행 정보와 시트(20)에 착석한 승객(30)의 체형 또는 위치를 감지한다. 감지부(300)는 주행 감지부(310)와 승객 정보부(320)를 포함한다.
주행 감지부(310)는 차량(10)에 장착되고, 차량(10)의 주행 환경을 감지한다. 본 발명에서 주행 감지부(310)는 차량(10)의 주행 속도, 상대 측 차량(10)의 속도, 충돌 방향 등의 충돌 조건을 감지한다. 차량(10)의 충돌 전에는 외부 환경 센서의 정보를 통해 충돌 조건을 예측한다.
승객 정보부(320)는 차량(10) 내부에 장착되고, 시트(20)에 착석한 승객(30)의 체형 또는 위치를 감지한다. 주행 감지부(310)와 승객 정보부(320)는 각각 제어부(400)에 연결되어, 제어부(400)로 정보를 전달한다.
승객 정보부(320)는 영상 정보부(321)를 포함한다. 영상 정보부(321)는 차량(10)에 승객(30) 측을 향하게 장착되고, 승객(30)을 촬영하는 영상 카메라로 이루어진다. 영상 정보부(321)는 승객(30)의 키 또는 승객(30)이 시트(20)에 착석한 자세, 위치, 승객(30)과 인접한 차량(10) 내의 인테리어(미도시)와의 거리를 촬영하여 제어부(400)로 전달한다. 여기에서 기술하는 키는 시트(20)에 앉은 승객(30)의 앉은 키를 의미한다.
승객 정보부(320)는 무게 센서부(323)를 더 포함한다. 무게 센서부(323)는 시트(20)에 착석하는 승객(30)의 엉덩이 측에 장착되어, 시트(20)에 착석한 승객(30)의 체중을 감지한다. 무게 센서부(323)는 승객(30)의 체중에 관한 정보를 통해 승객(30)의 체형 정보를 제어부(400)로 전달한다.
제어부(400)는 감지부(300)에서 감지된 정보를 통해 완충부(200)가 벨트부(100)를 구속하는 강도를 조절하여 벨트부(100)가 승객(30)에 가하는 하중을 조절한다.
제어부(400)는 감지부(300)에서 감지된 정보를 통해 댐퍼부(250)의 유체에 전달되는 자기력 또는 전압을 조절한다. 제어부(400)는 감지부(300)의 주행 감지부(310)와, 승객 정보부(320)의 영상 정보부(321), 무게 센서부(323)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어부(400)는 주행 감지부(310)로부터 차량(10)의 속도 정보 등, 영상 정보부(321)로부터 승객(30)의 키 또는 승객(30)이 시트(20)에 착석한 자세, 위치 등의 영상 정보와 승객(30)과 차량(10) 내부의 인테리와의 거리, 무게 센서부(323)로부터 승객(30)의 체중에 대한 정보 등을 전달 받는다.
제어부(400)는 상술한 주행 감지부(310)를 통해 전달 받은 차량(10)의 속도 등의 주행 환경 정보와, 승객 정보부(320)의 영상 정보부(321)를 통해 전달 받은 승객(30)의 체형 또는 위치와 승객(30)과 차량(10) 내의 인테리어와의 거리 정보와, 무게 센서부(323)를 통해 전달 받은 승객(30)의 체중 등의 체형 정보를 전달 받는다. 제어부(400)는 전달 받은 정보를 통해 완충부(200)의 댐퍼부(250)의 강도를 조절하여 벨트부(100)가 승객(30)의 어깨와 흉부에 가하는 하중을 조절한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형 시트 벨트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형 시트 벨트 제어 방법은 차량 주행 및 승객 정보 습득 단계(S101), 충돌 회피 가능 여부 판단 단계(S102), 제1 벨트 하중 산출 단계(S103), 제1 벨트 하중 제어 단계(S104), 충돌 종료 여부 판단 단계(S105), 컴포드 모드 단계(S106)를 포함한다.
차량 주행 및 승객 정보 습득 단계(S101)는 감지부(300)의 주행 감지부(310)를 통해 차량(10)의 속도 등의 주행 환경 정보를 습득한다. 또한 감지부(300)의 승객 정보부(320)의 영상 정보부(321) 또는 무게 센서부(323)를 통해 시트(20)에 착석한 승객(30)의 체형, 위치 등의 정보를 습득한다. 감지부(300)에서 감지된 정보는 제어부(400)로 전달된다.
충돌 회피 가능 여부 판단 단계(S102)는 제어부(400)에서 감지부(300)의 주행 감지부(310)로부터 감지된 정보를 통해, 차량(10)의 충돌 회피 가능 여부를 판단한다.
제1 벨트 하중 산출 단계(S103)는 제어부(400)에서 감지부(300)의 주행 감지부(310)로부터 감지된 정보를 통해, 제어부(400)에서 설정 기준에서 차량(10)이 충돌 회피할 수 없는 충돌 회피 불가능으로 판단하는 경우, 감지부(300)의 정보에서 차량(10)의 충돌 심각도, 승객(30)의 체형과 위치 등의 정보, 승객(30)과 차량(10) 실내 인테리어와의 충돌 거리 등을 고려하여 벨트부(100)의 하중을 산출한다.
제1 벨트 하중 제어 단계(S104)는 제어부(400)가 벨트부(100)에 장착된 완충부(200)의 댐퍼부(250)의 강도 조절을 통해 승객(30)의 체형과 차량(10) 실내 환경에 적합하게 제어된 설정 하중으로 제어하여 승객(30)을 충돌 사고 등으로부터 보호한다.
충돌 종료 여부 판단 단계(S105)는 감지부(300)를 통해 차량(10)의 충돌 종료를 판단하고, 차량(10)의 충돌이 종료되지 않으면, 다시 제어부(400)는 감지부(310)의 정보에서 차량(10)의 충돌 심각도, 승객(30)의 체형과 위치 등의 정보, 승객(30)과 차량(10) 실내 인테리어와의 충돌 거리 등을 고려하여 벨트부(100)의 하중을 산출한다. 즉 제1 벨트 하중 산출 단계(S103)로 복귀한다.
컴포드 모드 단계(S106)는 제어부(400)에서 감지부(300)를 통해 차량(10)의 충돌 종료로 판단시, 완충부(200)의 제어를 해제한다. 즉 완충부(200)의 댐퍼부(250)에서 통상 주행에 따른 벨트부(100)의 하중으로 조절한다.
그후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 감지부(300)의 주행 감지부(310)를 통해 차량(10)의 속도 등의 주행 환경 정보를 습득한다. 또한 감지부(300)의 승객 정보부(320)의 영상 정보부(321) 또는 무게 센서부(323)를 통해 승객의 체형, 위치 등의 정보를 습득한다. 감지부(300)에서 감지된 정보는 제어부(400)로 전달된다.
하기에서 충돌 회피 가능 여부 판단 단계(S102)에서 제어부(400)에서 설정 기준에서 차량(10)의 충돌이 회피 가능한 경우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승객 구속 필요 여부 판단 단계(S107), 제2 벨트 하중 산출 단계(S108), 제2 벨트 하중 제어 단계(S109)를 더 포함한다.
승객 구속 필요 여부 판단 단계(S107)는 충돌 회피 가능 여부 판단 단계(S102)에서 제어부(400)에서 차량(10)의 충돌이 회피 가능한 경우, 제어부(400)는 승객(30)의 구속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2 벨트 하중 산출 단계(S108)는 승객(30)을 구속할 필요가 있으면, 감지부(300)의 주행 감지부(310)와 승객 정보부(320)에서 감지된 승객(30)의 체형 또는 위치 정보와, 상기 차량(10)의 주행 정보를 고려하여, 완충부(200)의 댐퍼부(250)의 강도를 조절하여, 승객(30)에 적합한 벨트부(100)의 하중을 산출한다.
제2 벨트 하중 제어 단계(S109)는 벨트부(100)에 장착된 완충부(200)를 통해 상기 벨트부(100)의 하중을 제어한다. 벨트부(100)는 제어부(400)에서 댐퍼부(250)의 강도 조절에 따라 승객(30)의 체형과 차량(10) 실내 환경에 적합하게 제어된 설정 하중으로 승객(30)을 충돌 사고 등으로부터 보호한다.
그후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 감지부(300)의 주행 감지부(310)를 통해 차량(10)의 속도 등의 주행 환경 정보를 습득한다. 또한 감지부(300)의 승객 정보부(320)의 영상 정보부(321) 또는 무게 센서부(323)를 통해 승객의 체형, 위치 등의 정보를 습득한다. 감지부(300)에서 감지된 정보는 제어부(400)로 전달된다.
본 발명에 따른 능동형 시트 벨트 장치에 의하면, 차량(10)의 충돌시 충돌의 정도, 승객(30)의 위치 및 체중을 고려하여 벨트부(100)의 하중을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충돌 상황에서 차량의 충돌 상황에 적합한 최적의 벨트부(100)의 하중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차량 20: 시트
30: 승객 100: 벨트부
200: 완충부 210: 완충하우징
220: 제1로드부 230: 제2로드부
240: 탄성부 250: 댐퍼부
300: 감지부 310: 주행 감지부
320: 승객 정보부 321: 영상 정보부
323: 무게 센서부 400: 제어부

Claims (7)

  1. 차량의 시트에 승객의 어깨와 흉부를 감싸게 장착되는 벨트부;
    상기 벨트부에 장착되고, 상기 벨트부의 하중을 조절하여 상기 승객의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
    상기 차량의 주행 정보와 상기 시트에 착석한 상기 승객의 체형 또는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정보를 통해 상기 완충부가 상기 벨트부를 구속하는 강도를 조절하여 상기 벨트부의 하중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차량에 장착되고, 상기 차량의 주행 조건을 감지하는 주행 감지부; 및
    상기 차량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승객의 체형 또는 위치를 감지하는 승객 정보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행 감지부는 상기 차량의 주행 속도와, 상대 측 차량의 속도와, 상기 차량과 상기 상대 측 차량의 충돌 방향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시트 벨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상기 시트에 장착되는 완충하우징;
    일측이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완충하우징에 삽입되는 제1로드부;
    일측이 상기 벨트부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완충하우징에 삽입되는 제2로드부;
    일측이 상기 제1로드부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2로드부에 연결되며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부; 및
    상기 제1로드부 또는 상기 제2로드부를 수용하고, 상기 제1로드부 또는 상기 제2로드부에 감쇠력을 제공하는 댐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시트 벨트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부는 상기 제1로드부 또는 상기 제2로드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유체가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시트 벨트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부의 유체는 MR 유체(Magneto-rheological Fluid) 또는 ER 유체(Electro-rheological Fluid)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시트 벨트 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객 정보부는, 상기 차량에 상기 승객 측을 향하게 장착되고, 상기 승객을 촬영하는 영상 정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시트 벨트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승객 정보부는, 상기 시트에 장착되고, 상기 시트에 착석한 상기 승객의 체중을 감지하는 무게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시트 벨트 장치.
KR1020190039412A 2019-04-04 2019-04-04 능동형 시트 벨트 장치 KR1026554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9412A KR102655442B1 (ko) 2019-04-04 2019-04-04 능동형 시트 벨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9412A KR102655442B1 (ko) 2019-04-04 2019-04-04 능동형 시트 벨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7386A KR20200117386A (ko) 2020-10-14
KR102655442B1 true KR102655442B1 (ko) 2024-04-08

Family

ID=72846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9412A KR102655442B1 (ko) 2019-04-04 2019-04-04 능동형 시트 벨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54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01446B (zh) * 2022-04-20 2023-02-28 湖南汽车工程职业学院 一种用于车辆自动驾驶的安全防护装置及防护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7454B1 (ko) * 2004-07-05 2005-12-19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용 안전벨트의 완충장치
JP4161665B2 (ja) * 2002-10-01 2008-10-0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ベルト装置
JP2009248955A (ja) * 2008-04-11 2009-10-29 Nhk Spring Co Ltd シートベルト装置、シート装置およびチャイルドシート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6464B1 (ko) * 2015-07-24 2017-02-15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로드리미터 및 그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61665B2 (ja) * 2002-10-01 2008-10-0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ベルト装置
KR100537454B1 (ko) * 2004-07-05 2005-12-19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용 안전벨트의 완충장치
JP2009248955A (ja) * 2008-04-11 2009-10-29 Nhk Spring Co Ltd シートベルト装置、シート装置およびチャイルドシート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7386A (ko) 2020-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55747B2 (en) Head stabilizing system
US9527415B2 (en) Active suspension of a motor vehicle passenger seat
US20120007408A1 (en) Method for protecting and restraining a passenger of a vehicle; and protection and restraining device for protecting a passenger of a vehicle
KR100529645B1 (ko) 에어백의 팽창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RU150075U1 (ru) Сиденье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с саморегулирующейся жесткостью
CN109421647A (zh) 用于车辆的安全气囊
US10266079B2 (en) Adjustable damping system for a vehicle seat
RU2693602C2 (ru) Узел сиденья
US10518674B1 (en) Passive safety system for occupant deceleration
KR102655442B1 (ko) 능동형 시트 벨트 장치
KR102659561B1 (ko) 승객 구속 장치
KR102000620B1 (ko) 자기유변탄성체를 활용한 자동차 헤드레스트 시스템
EP0878348B1 (en) Active control of occupant's body with a limited force restraint system in a head-on collision
KR20200113657A (ko) 시트 벨트
KR101706464B1 (ko) 로드리미터 및 그 동작 방법
KR101229097B1 (ko) 충격완화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시트장치
Żuchowski et al. Analysis of properties of operation of the supporting equipment for the seat belts
KR20170060976A (ko) 시트 충격 저감 장치 및 그 방법
KR102214276B1 (ko) Mre를 이용한 차량용 헤드레스트 시스템
KR102024045B1 (ko) 리트랙터 제어용 가속도 센싱장치
KR101397631B1 (ko) 인장압축식 완충댐퍼가 구비된 아동용 안전벨트
KR101315794B1 (ko) 자동차용 액티브 헤드레스트 장치
US11718264B1 (en) Seatbelt with head restraint systems and methods
KR100427872B1 (ko) 자동차용 로드리미터
KR100551780B1 (ko) 자동차의 서브마린 방지용 승객 구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