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5229B1 - 항공장애표시구 - Google Patents

항공장애표시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5229B1
KR102655229B1 KR1020160149403A KR20160149403A KR102655229B1 KR 102655229 B1 KR102655229 B1 KR 102655229B1 KR 1020160149403 A KR1020160149403 A KR 1020160149403A KR 20160149403 A KR20160149403 A KR 20160149403A KR 102655229 B1 KR102655229 B1 KR 1026552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misphere
fastening
aviation
wire
indic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9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2271A (ko
Inventor
박봉규
양순철
노시동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60149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5229B1/ko
Publication of KR201800522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22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5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52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5/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aircraft, e.g. air-traffic control [ATC]
    • G08G5/04Anti-collis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공장애표시구에 관한 것으로, 전선(L)의 일부를 감싸도록 단면이 반원 형상인 내경(130a,130b)이 구비되는 상반구(110)와 상기 상반구(110)와 결합하여 구 형상을 형성하고 상기 상반구(110)의 반원 형상인 내경(130a,130b)과 대응되는 내경(130a,130b)이 구비되어 상기 상반구(110)와 결합시 전선(L)이 통과하는 관통공(130)를 형성하는 하반구(120)와 상기 상반구(110)와 하반구(120)에 외면 일부가 요입되어 형성되며 상기 상반구(110)와 하반구(120)가 결합된 상태를 고정하는 클램프 부재(150)가 체결되는 체결면(14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풍소음 발생이 예방되고 경량화가 가능하며 시공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항공장애표시구{AIRCRAFT WARNING SPHERE}
본 발명은 항공장애표시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정높이 이상인 철탑이나 송전선로와 같은 항공장애요인이 되는 선로에 설치되는 항공장애표시구에 관한 것이다.
항공기의 충돌을 예방하기 위하여 60m 이상인 철탑 및 송전선로에는 항공장애표시구를 설치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현재 사용중인 항공장애표시구(1)는,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FRP)이 주된 재질이고,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반구(2)와 하반구(3)가 결합된 구 형상이고 내부가 비어 있으며 전선(L)을 취부하는 클램프 스트랩(4) 부분이 전선 소선 단선을 예방하도록 에틸렌프로필렌 고무(EPDM) 재질로 된다.
항공장애표시구(1)는 전선에 설치하기 위해 아마롯드를 전선(L)에 먼저 설치하고 항공장애표시구(1)를 조립하게 된다. 아마롯드는 전선이 절단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하여 감아 붙이는 전선과 같은 종류로 된 보상선을 의미한다.
항공장애표시구(1)는 상반구(2)와 하반구(3)의 접합부분(5)이 통풍에 의한 소음을 예방하기 위하여 요철형으로 되고 전선(L)에 조립되면 플랜지 접합 고정장치(6,7)를 적용하여 조립된 상태를 고정하게 된다.
그런데 항공장애표시구(1)는 상반구(2)와 하반구(3)의 접합부분(5)을 요철형으로 하고 플랜지 접합 고정장치(6,7)로 고정하였음에도 진동에 의한 접합부분 이완으로 공명음이 발생하고 그로 인해 풍소음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이로 인해 지속적으로 민원이 발생하고 있으며, 민원이 발생하면 현재 사용하고 있는 항공장애표시구(1)의 내부 빈공간에 구 형태의 스티로폼을 별도 제작하여 충진하는 방법으로 풍속음을 줄이고 있다.
그러나 현재 사용중인 항공장애표시구(1)는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 재질로 되므로 중량(약 6.8kg)이 무겁고 볼트가 많으며 아마롯드를 설치해야 하므로 전선(L)에서 이동 및 시공이 어렵다. 따라서 시공품질 저하가 우려되고 안전사고 발생 가능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285582호(2002.07.31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시공이 용이하고 시공품질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져 올 뿐만 아니라 자재비 및 시공관련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항공장애표시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풍소음 발생이 예방되고 무게가 경량화된 항공장애표시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선의 일부를 감싸도록 내경이 구비되는 상반구와 상기 상반구와 결합하여 구 형상을 형성하고 상기 상반구의 내경과 대응되는 내경이 구비되어 상기 상반구와 결합시 전선이 통과하는 관통공를 형성하는 하반구와 상기 상반구와 하반구에 외면 일부가 요입되어 형성되며 상기 상반구와 하반구가 결합된 상태를 고정하는 클램프 부재가 체결되는 체결면을 포함한다.
상기 상반구와 하반구는, 상기 단면이 반원 형상인 내경이 구비되고 반구 형상을 형성하는 충진재와 상기 충진재의 외부를 감싸 외면을 형성하는 외피를 포함하며, 상기 충진재와 외피는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제작된 후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충진재는 폴리스티렌(PS) 재질로 될 수 있다.
상기 외피는 폴리카보네이트(PC) 재질로 될 수 있다.
상기 전선이 통과하는 상기 상반구와 하반구의 접합부분은 에틸프로필렌 고무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체결면은 상기 상반구의 요입된 외면에서 상기 전선이 통과하는 방향과 수직이 되게 내경 양측으로 관통되는 제1 체결공이 형성되는 제1 체결면과, 상기 하반구의 요입된 외면에서 상기 전선이 통과하는 방향과 수직이 되게 내경 양측으로 관통되며 상기 상반구와 하반구의 결합시 상기 제1 체결공과 연통되는 제2 체결공이 형성되는 제2 체결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선이 통과하는 상기 상반구와 하반구의 접합부분에서 상기 체결면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전선 손상을 예방하기 위한 전선 보호재가 배치되는 장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선 보호재는 상기 제1 체결공 및 제2 체결공과 연통하는 연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선 보호재는 에틸프로필렌 고무될 수 있다.
상기 클램프 부재는 상기 상반구의 제1 체결공, 상기 전선 보호재의 연통공, 상기 하반구의 제2 체결공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체결볼트와, 상기 제1 체결공 및 제2 체결공을 통해 외부로 돌출된 상기 체결볼트의 단부에 결합되는 체결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볼트에 체결면의 깨짐 방지를 위한 안전플레이트가 체결될 수 있다.
상기 하반구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상반구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상기 하반구의 가장자리를 커튼식으로 덮으면서 상기 걸림턱에 걸어지는 걸이턱이 형성될 수 있다.
상반구와 하반구가 결합하여 전선이 통과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상반구와 하반구는 내부가 충진된 반구 형상을 형성하는 충진재와 상기 충진재의 외부를 감싸 외면을 형성하는 외피로 되고, 상기 충진재와 외피는 이중 사출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제작된 후 부착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항공장애표시구를 형성하는 상반구와 하반구가 폴리스티렌(PS) 재질의 충진재와 폴리카보네이트(PC) 재질의 외피로 일체로 형성되므로 경량화가 가능하고 내부 충진으로 풍소음 발생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폴리스티렌 재질이 전선에 비해 강도가 낮고 전선이 통과하는 상반구와 하반구의 접합부분에 에틸프로필렌 고무가 배치되므로 전선에 항공장애표시구를 장기간 설치하여도 전선 손상의 염려가 없어 기존에 추가로 설치하던 아마롯드를 설치하지 않고도 전선 손상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반구와 하반구를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 부재가 체결되는 체결면이 요입 구조로 되므로 공기저항이 최소화되어 풍소음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반구와 하반구의 접합부분이 커튼식 구조로 되므로 접합부분을 통한 통풍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반구와 하반구를 전선에 1차 결합한 상태에서 클램프 부재를 이용하여 상반구와 하반구가 결합한 상태를 고정하는 작업으로 항공장애표시구를 전선에 시공하는 작업이 간단하게 완료되므로 시공이 용이하고 시공품질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져 올 뿐만 아니라 종래에 비해 볼트 수가 최소화되어 자재비 및 시공관련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항공장애표시구를 보인 정면도.
도 2는 종래의 항공장애표시구의 상반구 내부를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항공장애표시구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항공장애표시구의 상반구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항공장애표시구의 하반구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항공장애표시구의 상반구와 하반구의 체결면에 클램프 부재가 체결된 상태를 보인 부분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항공장애표시구의 상반구와 하반구의 걸림턱 및 걸이턱 구조를 보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항공장애표시구의 하반구를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항공장애표시구의 상반구와 하반구가 결합된 단면을 보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항공장애표시구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반구(110)와 하반구(120)가 결합하여 구 형상을 형성하고 중앙을 가로질러 전선(L)이 통과하는 관통공(130)이 형성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반구(110)와 하반구(120)는 내부가 충진된 반구 형상을 형성하는 충진재(111,121)와 충진재(111,121)의 외부를 감싸 외면을 형성하는 외피(113,123)로 된다.
충진재(111,121)는 경량화를 위해 폴리스티렌(PS) 재질로 된다. 폴리스티렌 재질은 전선에 비해 강도가 낮고 종래의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 재질에 비해 비중이 작아 중량을 35% 정도 줄일 수 있으므로 항공장애표시구(100)의 경량화를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충진재(111,121)는 항공장애표시구(100) 내부를 충진하여 풍소음 발생을 예방한다.
외피(113,123)는 경량화를 위해 폴리카보네이트(PC) 재질로 된다. 폴리카보네이트 재질은 종래의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 재질에 비해 강도는 크고 비중이 작아 총중량을 34% 정도 줄일 수 있으므로 항공장애표시구(100)의 경량화를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충진재(111,121)는 항공장애표시구(100) 내부를 충진하여 풍소음 발생을 예방한다. 외피는 약 1~2mm 두께로 될 수 있다.
충진재(111,121)와 외피(113,123)는 이중 사출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제작된 후 부착될 수 있다. 폴리스티렌과 폴리카보네이트는 전기 절연성이 우수하고 사출성형이 용이하므로 제작이 용이하다.
관통공(130)은 상반구(110)의 내경(130a)과 하반구(120)의 내경(130b)이 결합하여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관통공(130)은 전선(L)의 일부를 감싸도록 상반구(110)에 단면이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내경(130a)과 상반구(110)의 내경과 대응되게 하반구(120)에 반원 형상으로 형성된 내경(130b)이 결합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관통공(130)는 전선(L)의 외경과 대응되어 상반구(110)와 하반구(120)가 결합시 전선(L)과 밀착됨으로써 풍소음 발생을 예방한다.
관통공(130)은 다양한 전선 직경에 적용할 수 있도록 가장 큰 전선 직경에 대응되게 제작할 수도 있다. 통상 가장 큰 전선 직경과 가장 작은 전선 직경은 2cm 정도 차이가 나는데, 2cm 정도의 직경 차이로 인한 관통공(130)과 전선(L) 사이의 틈은 공명음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 하지만, 관통공(130)과 전선(L) 직경 차이로 인한 틈 방지를 위해 관통공(130)에 실링부재를 배치할 수도 있다.
상반구(110)와 하반구(120)는 양측에 상반구(110)와 하반구(120)가 결합된 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 부재(150)가 체결되는 체결면(140)이 형성된다.
체결면(140)은 상반구(110)와 하반구(120)의 대응되는 외면 일부가 요입되어 형성된다. 상반구(110)와 하반구(120)의 외면 일부를 요입시켜 체결면(140)을 형성하고 클램프 부재(150)를 체결하면 종래의 돌출 플랜지 구조에 비해 공기 저항이 최소화되어 풍하중을 최소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돌출 플랜지 구조는 돌출 플랜지가 날개 역할을 하여 뒤뚱뒤뚱하면서 양쪽으로 회전하는 교번회전 발생 문제가 있으나, 상반구(110)와 하반구(120)의 외면 일부를 요입시켜 체결면(140)을 형성하고 클램프 부재(150)를 체결하면 날개 역할을 하는 부분이 제거되므로 교번회전이 방지된다.
체결면(140)은 상반구(110)의 외면 일부가 요입되어 형성되는 제1 체결면(141)과 하반구(120)의 외면 일부가 요입되어 형성되는 제2 체결면(145)를 포함한다.
제1 체결면(141)에는 전선(L)이 통과하는 방향과 수직이 되게 상반구(110)의 내경(130a) 양측 위치로 관통되는 한 쌍의 제1 체결공(143)이 형성된다.
제2 체결면(145)에는 전선(L)이 통과하는 방향과 수직이 되게 하반구(120)의 내경(130b) 양측 위치로 관통되는 한 쌍의 제2 체결공(147)이 형성된다. 제1 체결공(143)과 제2 체결공(147)은 상반구(110)와 하반구(120)의 결합시 서로 연통되어 클램프 부재(150)를 체결할 수 있다.
클램프 부재(150)는 상반구(110)의 제1 체결공(143), 후술할 연통공(161,171), 하반구(120)의 제2 체결공(147)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체결볼트(151)와, 제1 체결공(143) 및 제2 체결공(147)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체결볼트(151)의 단부에 결합되는 체결너트(153)를 포함한다.
체결볼트(151)는 일자 형상으로 되고 외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제1 체결공(143)을 통해 외부로 돌출된 단부와 제2 체결공(147)을 통해 외부로 돌출된 단부에 각각 체결너트(153)를 체결할 수 있다.
체결볼트(151)에 체결면(140)의 깨짐 방지를 위한 안전플레이트(155,157)가 체결된다. 안전플레이트(155,157)는 한 쌍의 체결볼트(151)가 각각 통과할 수 있도록 2개의 구멍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안전플레이트(155,157)는 철판 또는 스테인레이스 재질로 되어 체결면(140)의 깨짐을 예방하면서 적정 토크로 체결볼트(151)를 체결할 수 있도록 한다.
체결볼트(151)에 체결너트(153)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한 와셔가 더 체결될 수도 있다. 또한, 체결너트(153)는 고무가 부착되어 있는 풀림방지너트일 수 있다.
상반구(110)와 하반구(120)는 전선(L)이 통과하는 상반구(110)와 하반구(120)의 접합부분에서 체결면(140)과 대향되는 위치에는 전선(L) 방향으로 개구되는 장착부(148,149)가 형성된다. 장착부(148,149)에는 전선 손상을 예방하기 위한 전선 보호재(160,170)가 배치된다.
전선 보호재(160,170)는 상반구(110)의 제1 체결공(143) 및 하반구(120)의 제2 체결공(147)과 연통하는 연통공(161,171)이 형성된다. 전선 보호재(160,170)는 전선(L)이 통과하는 요입공(163,173)이 형성된다.
전선 보호재(160,170)는 경도조정으로 관통공(130)을 통과하는 전선(L)과 틈새를 최소화한다. 전선 보호재(160,170)는 에틸프로필렌 고무(EPDM)로 된다. 에틸프로필렌 고무는 전기 절연성이 우수하고 실링 효과가 우수하여 통풍을 차단하는 기능을 갖는다.
전선 보호재(160,170)는 요입공(163,173)이 형성된 면에 전선결과 대응되는 요철이 형성된다. 요철은 전선(L)과의 밀착력을 높여주는 역할을 한다.
하반구(120)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요입된 걸림턱(181)이 형성되고, 상반구(110)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하반구(120)의 가장자리를 커튼식으로 덮으면서 걸림턱(181)에 걸어지는 걸이턱(183)이 형성된다.
걸림턱(181)과 걸이턱(183) 구조는 상반구(110)와 하반구(120)의 접합부분을 통한 통풍을 차단하여 공명음을 예방하는데 기여한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항공장애표시구를 전선에 설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반구(110)의 내경(130a)이 전선(L)의 외경 일부를 감싸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하반구(120)의 내경(130b)이 전선(L)의 나머지 일부를 감싸도록 배치한다.
그 과정에서 상반구(110)에 형성된 걸이턱(183)이 하반구(120)의 걸림턱(181)에 걸어져 결합되므로 상반구(110)와 하반구(120)가 전선(L)을 감싼 상태가 일차 고정된다.
이때, 상반구(110)의 장착부(148)와 하반구(120)의 장착부(149)에는 각각 전선 보호재(160,170)가 배치된 상태이며, 전선 보호재(160,170)는 각 장착부(148,149)에 끼움 결합하는 것에서 일차 가고정이 되므로 외력을 가하지 않는 한 임의 이탈하지 않는다.
전선(L)에 상반구(110)와 하반구(120)를 결합한 상태에서 상반구(110)의 제1 체결공(143), 상반구(110)의 장착부(148)에 배치된 전선 보호재(160)의 연통공(161), 하반구(120)의 장착부(149)에 배치된 전선 보호재(170)의 연통공(171) 및 하반구(120)의 제2 체결공(147)을 관통하도록 체결볼트(151)를 체결한다.
다음으로, 제1 체결공(143) 및 제2 체결공(147)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체결볼트(151)의 각 단부에 안전플레이트(155,157)와 체결너트(153)를 순차적으로 결합한다.
상술한 과정에 의해 상반구(110)와 하반구(120)의 양측 체결면(140)을 통해 체결볼트(151), 안전플레이트(155,157) 및 체결너트(153)를 체결하면 상반구(110)와 하반구(120)가 결합된 상태가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술한 항공장애표시구(1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 부재(150)가 상반구(110)와 하반구(120)의 요입된 체결면(140)을 통해 체결되어 상반구(110)와 하반구(120)가 결합된 상태를 고정하게 되므로 외부로 돌출된 부위가 없어 공기저항이 최소화되고 풍압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항공장애표시구(100)는 상반구(110)와 하반구(120)의 접합부분이 걸림턱(181)과 걸림턱(181)을 감싸면서 걸어지는 걸이턱(183)의 커튼식 구조로 되므로 접합부분을 통한 통풍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항공장애표시구(100)는 경량소재인 충진재(111,121)가 외피(113,123) 내부에 충진된 구조로 되므로 통풍이 예방되고 공명음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전선이 통과하는 상반구와 하반구의 접합부분에 에틸렐프로필렌 고무를 배치하므로 전선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적정토크로 시공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한편, 도 7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항공장애표시구의 상반구와 하반구의 걸림턱 및 걸이턱 구조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항공장애표시구의 하반구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9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항공장애표시구의 상반구와 하반구가 결합된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항공장애표시구는 하반구(120a)의 일측 가장자리를 둘러서 돌출된'ㄴ'자 형상의 걸림턱(181a)이 형성되고, 상반구(110a)의 일측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하반구(120a)의 외면을 커튼식으로 덮으면서 걸림턱(181a)에 맞물려 걸어지는 'ㄱ'자 형상의 걸이턱(183a)이 형성된다.
더 상세하게는, 항공장애표시구는 하반구(120a)의 일측 가장자리를 둘러서 돌출된'ㄴ'자 형상의 걸림턱(181a)이 형성되고 타측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ㄱ'자 형상의 걸이턱이 형성된 좌우 비대칭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상반구(110a)의 경우도 일측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하반구(120a)의 외면을 커튼식으로 덮으면서 걸림턱(181a)에 맞물려 걸어지는 'ㄱ'자 형상의 걸이턱(183a)이 형성되고 타측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ㄴ'자 형상의 걸림턱(181a)이 형성된 좌우 비대칭 구조를 가진다.
이는 상반구(110a)와 하반구(120a)를 별도로 제작하지 않고 걸림턱(181a)과 걸이턱(183a)이 좌우 비대칭 구조인 하나의 반구 형상을 제작한 후, 상반구(), 하반구()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반구(110a)를 뒤집으면 하반구(120a)가 되고, 좌우 비대칭인 걸림턱(181a), 걸이턱(183a) 구조로 인해 두 반구의 결합이 용이한 것이다.
다른 실시예의 걸림턱(181a) 및 걸이턱(183a) 구조는 일 실시예의 걸림턱(181a) 및 걸이턱(183a) 구조에 비해 제작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항공장애표시구는 상반구(110a)와 하반구(120a)의 충진재(111a,121a)가 서로 접하는 부분을 곡면 설계하여 통풍을 차단하고 소음발생을 차단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반구(110a)의 충진재(111a)에 오목부와 볼록부를 갖도록 곡면을 형성하고 하반구(120a)의 충진재(121a)에 상반구(110a)의 충진재(111a)에 형성한 오목부 및 볼록부와 대응되게 볼록부와 오목부를 갖도록 곡면을 형성한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반구(120a)의 충진재(121a)는 상반구(110a)의 충진재(111a)와 접하는 일측이 볼록하고 반대되는 타측으로 갈수록 오목해지는 곡면을 형성하게 되어, 상반구(110a)와 하반구(120a)의 충진재(111a,121a)가 서로 접합하면 곡면 구조로 접합되고 접합면을 통한 통풍이 차단된다.
이 경우 상반구(110a)와 하반구(120a)의 각 볼록부 부분에만 전선(L)의 외경 일부 또는 전부를 감싸는 내경(130a'130b')이 형성되고, 상반구(110a)와 하반구(120a)를 접합하면 두 내경(130a'130b')이 서로 연통되면서 전선(L)이 통과할 수 있는 관통공(130)이 형성된다.
다른 실시예의 경우 일 실시예와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본 발명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 실시예와 다른 실시예로 구분하여 설명하였으나, 일 실시예의 구조와 다른 실시예의 구조를 혼용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은 클램프 부재가 체결되는 체결면 형상을 개선하여 풍압을 최소화하고 교번회전을 방지하며, 내부를 충진재로 충진하여 공명에 의한 소음을 방지하고, 충진재 접합부 곡면설계를 통해 통풍을 차단할 수 있는 구조이다.
또한, 충진재는 폴리스티렌으로 형성하여 내수성 및 성형성이 우수하도록 하였으며, 충진재를 감싸는 외피는 내충격성 및 내후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로 형성한다. 따라서, 통풍 및 공명음 차단으로 인한 민원예방 및 이미지 제고의 이점과 경량화 및 시공 용이성 확보로 인한 작업여건 개선 이점과 시공 후 내구성 확보 등의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도면과 명세서에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발명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권리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항공장애표시구 110: 상반구
120: 하반구 111,121: 충진재
113,123: 외피 130: 관통공
130a,130b: 내경 140: 체결면
141: 제1 체결면 143: 제1 체결공
145: 제2 체결면 147: 제2 체결공
148,149: 장착부 150: 클램프 부재
151: 체결볼트 153: 체결너트
155,157: 안전플레이트 160,170: 전선 보호재
161,171: 연통공 163,173: 요입공
181: 걸림턱 183: 걸이턱

Claims (19)

  1. 전선의 일부를 감싸도록 내경이 구비되는 상반구;
    상기 상반구와 결합하여 구 형상을 형성하고 상기 상반구의 내경과 대응되는 내경이 구비되어 상기 상반구와 결합시 전선이 통과하는 관통공를 형성하는 하반구; 및
    상기 상반구와 하반구에 외면 일부가 요입되어 형성되며 상기 상반구와 하반구가 결합된 상태를 고정하는 클램프 부재가 체결되는 체결면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면은
    상기 상반구의 요입된 외면에서 상기 전선이 통과하는 방향과 수직이 되게 상기 내경 양측으로 관통되는 제1 체결공이 형성되는 제1 체결면과,
    상기 하반구의 요입된 외면에서 상기 전선이 통과하는 방향과 수직이 되게 상기 내경 양측으로 관통되며 상기 상반구와 하반구의 결합시 상기 제1 체결공과 연통되는 제2 체결공이 형성되는 제2 체결면를 포함하며,
    상기 전선이 통과하는 상기 상반구와 하반구의 접합부분에서 상기 체결면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는 전선과 밀착력를 향상하는 요철이 형성되고, 전선 손상을 예방하기 위한 전선 보호재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장애표시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반구와 하반구는,
    상기 전선의 일부를 감싸는 내경이 구비되고 반구 형상을 형성하는 충진재와 상기 충진재의 외부를 감싸 외면을 형성하는 외피를 포함하며, 상기 충진재와 외피는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제작된 후 서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장애표시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충진재는 폴리스티렌(PS) 재질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장애표시구.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외피는 폴리카보네이트(PC) 재질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장애표시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선이 통과하는 상기 상반구와 하반구의 접합부분은 에틸프로필렌 고무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장애표시구.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선 보호재는 상기 제1 체결공 및 제2 체결공과 연통하는 연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장애표시구.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선 보호재는 에틸프로필렌 고무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장애표시구.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부재는 상기 상반구의 제1 체결공, 상기 전선 보호재의 연통공, 상기 하반구의 제2 체결공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체결볼트와,
    상기 제1 체결공 및 제2 체결공을 통해 외부로 돌출된 상기 체결볼트의 단부에 결합되는 체결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장애표시구.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체결볼트에 상기 체결면의 깨짐 방지를 위한 안전플레이트가 체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장애표시구.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반구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상반구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상기 하반구의 가장자리를 커튼식으로 덮으면서 상기 걸림턱에 걸어지는 걸이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장애표시구.
  13. 상반구와 하반구가 결합하여 전선이 통과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상반구와 하반구는 내부가 충진된 반구 형상을 형성하는 충진재와 상기 충진재의 외부를 감싸 외면을 형성하는 외피로 되고, 상기 충진재와 외피는 이중 사출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제작된 후 서로 부착되며,
    상기 상반구와 하반구는 상기 상반구와 하반구가 결합된 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 부재가 체결되도록 외면 일부가 요입되어 형성되는 체결면를 구비하고,
    상기 전선이 통과하는 상기 상반구와 하반구의 접합부분에서 상기 체결면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전선 손상을 예방하기 위한 전선 보호재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장애표시구.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충진재는 폴리스티렌(PS) 재질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장애표시구.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외피는 폴리카보네이트(PC) 재질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장애표시구.
  16. 삭제
  17. 삭제
  18.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전선 보호재는 에틸프로필렌 고무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장애표시구.
  19.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하반구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상반구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상기 하반구의 가장자리를 커튼식으로 덮으면서 상기 걸림턱에 걸어지는 걸이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장애표시구.
KR1020160149403A 2016-11-10 2016-11-10 항공장애표시구 KR1026552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9403A KR102655229B1 (ko) 2016-11-10 2016-11-10 항공장애표시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9403A KR102655229B1 (ko) 2016-11-10 2016-11-10 항공장애표시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2271A KR20180052271A (ko) 2018-05-18
KR102655229B1 true KR102655229B1 (ko) 2024-04-08

Family

ID=62453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9403A KR102655229B1 (ko) 2016-11-10 2016-11-10 항공장애표시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52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8853B1 (ko) * 2020-06-23 2021-11-22 한국전력공사 항공 장애물 표시장치
KR102679828B1 (ko) 2021-10-29 2024-07-01 주식회사 휴비츠 Oct 영상에서 망막 단층의 측정 방법
KR102636222B1 (ko) 2021-10-29 2024-02-14 주식회사 휴비츠 Oct 영상에서 망막 단층의 분할 방법
KR102645581B1 (ko) * 2022-11-03 2024-03-08 (주)이맥이노베이션 에너지 하베스팅 기능을 갖는 자체 발광 항공장애 표시구, 및 그 동작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7246B1 (ko) * 2008-01-18 2008-07-22 (주)에이치엘 종합기술단 송전 및 배전선로용 항공 장애 표시구
KR101085165B1 (ko) * 2010-12-01 2011-11-18 한국전력공사 딤플형 항공장애 표시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5582B1 (ko) 1999-03-05 2001-03-15 황인길 카세트 이송장치
KR200230988Y1 (ko) * 1999-05-15 2001-07-03 주영철 항공 장애물 표시장치
KR200460010Y1 (ko) * 2007-07-19 2012-04-26 엄순천 항공장애표시구의 결합부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7246B1 (ko) * 2008-01-18 2008-07-22 (주)에이치엘 종합기술단 송전 및 배전선로용 항공 장애 표시구
KR101085165B1 (ko) * 2010-12-01 2011-11-18 한국전력공사 딤플형 항공장애 표시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2271A (ko) 2018-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55229B1 (ko) 항공장애표시구
JP5285708B2 (ja) 風力発電装置
US10350851B2 (en) Composite element for protection devices of parts of the human body
US9376013B2 (en) Composite fuel tank support
CN104428469A (zh) 包括缆线和多个翼板的结构和张紧元件
CN105896317A (zh) 一种防脱落的避雷针
CN115480352A (zh) 自承式光缆
KR101592289B1 (ko) 나선형 날개 유닛 및 그 제조 방법
CN101242085A (zh) 钩式防振锤
KR20110051974A (ko) 선박용 윈도우 박스 결합장치
CN206158319U (zh) 一种电力线路施工拉线装置
KR101065936B1 (ko) 합성수지 맨홀 및 그 제조방법
CN201163713Y (zh) 钩式防振锤
KR200460010Y1 (ko) 항공장애표시구의 결합부재
KR20180106011A (ko) 절연성능 향상을 위한 애자 프로텍터
CN208479143U (zh) 加筋型哈夫式减震球铰玻璃钢海底电缆保护管
JP5691431B2 (ja) 送受波器保護装置
JP4815520B2 (ja) 定着金物及びそれを用いた法面安定化構造並びに法面安定化工法
CN101736820A (zh) 一种带柔性定位件的保温构件及其连接件
KR101024349B1 (ko) 항공 장애물 표시 장치
CN212182654U (zh) 混凝土振捣棒控制器与线缆连接结构
CN205530676U (zh) 一种抗风阳台
KR101751240B1 (ko) 부양력을 증가시킨 친환경 부구의 제조방법과 그 제조방법을 이용한 부구
KR20200002561U (ko) 수도계량기용 보온재의 부력 방지 구조
KR20200044440A (ko) 송전선로 가설용 스페이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