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5153B1 - 사면 보강용 소구경 다축 억지 말뚝 구조 및 공법 - Google Patents

사면 보강용 소구경 다축 억지 말뚝 구조 및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5153B1
KR102655153B1 KR1020220185190A KR20220185190A KR102655153B1 KR 102655153 B1 KR102655153 B1 KR 102655153B1 KR 1020220185190 A KR1020220185190 A KR 1020220185190A KR 20220185190 A KR20220185190 A KR 20220185190A KR 102655153 B1 KR102655153 B1 KR 1026551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ope
pile
head portion
ground
resistanc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85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상훈
Original Assignee
(주) 효창이엔지
신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효창이엔지, 신상훈 filed Critical (주) 효창이엔지
Priority to KR1020220185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51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5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51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23Details of top sections of foundation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48Piles varying in construction along their length, i.e. along the body between head and shoe, e.g. made of different materials along their length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4Piles with prefabricated supports or anchoring parts; Anchoring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1Height being adjust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23Dune restoration or creation; Cliff stabilis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른 방향으로 지반에 관입, 정착되는 소구경 다축 억지 말뚝 시공에 의해 사면을 보강하는 구조 및 공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면 절토부에 안착되는 헤드부; 사면 파괴 거동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선단부부터 상기 헤드부를 지나 지반에 관입, 정착되는 단수 또는 복수개의 파괴저항축 파일; 상기 파괴저항축 파일에 대한 인발하중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선단부부터 상기 헤드부를 지나 지반에 관입, 정착되는 단수 또는 복수개의 인발저항축 파일; 상기 헤드부에 상기 파괴저항축 파일의 관입 방향 반대방향 측방으로 결합된 인장봉; 및 상기 인장봉에 끼워져, 상기 인장봉을 잡아당기는 힘의 반력에 의해 사면 표층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압박하며 고정되는 가압판; 을 포함하여 구성된 사면 보강용 소구경 다축 억지 말뚝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사면 보강용 소구경 다축 억지 말뚝 구조 및 공법{Small-diameter multi-axial stabilizing pile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slope reinforcement}
본 발명은 다른 방향으로 지반에 관입, 정착되는 소구경 다축 억지 말뚝 시공에 의해 사면을 보강하는 구조 및 공법에 관한 것이다.
사면(비탈면) 보강 공사는 철도 또는 도로공사 시 인접사면을 보강하거나 기타 토목·건축 공사에 수반되는 절토 사면 등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한 경우에 수반된다.
토사로 형성된 사면에는 주로 소일네일(Soil Nail)이 시공되어 지반 자체의 전체적인 전단강도를 증대시키고 공사중이나 공사가 끝난 뒤에 발생할 수 있는 사면의 변위를 억제한다. 다만, 사면 천공 후 천공홀에 네일(철근, 강봉 등)을 삽입하고 그라우팅하는 과정이 필요하므로, 그라우팅을 위한 장비와 그라우트재 경화 시간이 소요된다.
소일네일 공법은 어스앵커 공법 등에 비해 비교적 간단한 사면 보강 공법이지만, 작업 공간이 협소하고 보강 대상 사면이 넓지 않으며 빠르게 보강 공사를 완료해야 하는 상황에서는 위와 같은 소일네일 공법조차도 적용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1. 등록특허 10-2014125 "3축 내진 말뚝 구조 및 공법" 2. 등록특허 10-2294532 "기초콘크리트 내진 보강을 위한 다축 파일 시공 방법" 3. 등록특허 10-2052336 "가동성이 확보된 철근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소일네일링 보강 절토지반 전면의 마감패널 설치 공법"
본 발명은 작업공간이 협소하고, 보강 대상 사면이 넓지 않으며, 빠르게 보강 공사를 완료해야 하고, 대형 천공장비의 사용이 불가능한 작업 조건에서 인력에 의해 효율적으로 시공할 수 있는 사면 보강용 소구경 다축 억지 말뚝 구조 및 공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사면의 계단식 절토부 수평면에 안착되는 헤드부; 사면 파괴 거동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선단부부터 상기 헤드부를 지나 지반에 관입, 정착되는 단수 또는 복수개의 파괴저항축 파일; 상기 파괴저항축 파일에 대한 인발하중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선단부부터 상기 헤드부를 지나 지반에 관입, 정착되는 단수 또는 복수개의 인발저항축 파일; 상기 헤드부에 상기 파괴저항축 파일의 관입 방향 반대방향 측방으로 결합된 인장봉; 및 상기 인장봉에 끼워져, 상기 인장봉을 잡아당기는 힘의 반력에 의해 사면 표층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압박하며 고정되는 가압판; 을 포함하여 구성된 사면 보강용 소구경 다축 억지 말뚝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헤드부는 내부가 빈 원통형으로 구성되고, 상판 및 하판에 상기 파괴저항축 파일과 인발저항축 파일이 관통하기 위한 통공이 형성된 것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인장봉의 선단부는 헤드부 측방 통공을 통해 상기 헤드부에 내입되고, 상기 측방 통공에 내접하는 방향으로 상기 인장봉 선단부에 결합된 반구너트; 를 더 포함하여, 반구너트의 반구형 단부가 상기 측방 통공에 접한 상태에서, 상기 인장봉이 스핀세차운동 궤적 범위에서 가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가압판 외측에서 상기 인장봉에 끼워진 스프링; 및 상기 인장봉 후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스프링을 상기 가압판 방향으로 압축 고정시키는 압박고정구;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다수개의 와이어로프를 사면 표면에서 격자를 이루도록 가로, 세로로 배치하여 긴장 상태로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가압판이 상기 와이어로프의 격자지점을 압박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파괴저항축 파일은 상기 헤드부를 꼭지점으로 하는 사이각이 90°내지 150°를 이루는 2개가 지반에 관입, 정착되고, 상기 인발저항축 파일은 상기 헤드부를 꼭지점으로 하여 연직방향을 기준으로 사면 표면으로 60° 범위 내에서 1개가 지반에 관입, 정착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2개의 파괴저항축 파일과 1개의 인발저항축 파일이 동심원상에 120° 간격으로 이격하여 하방향 외측으로 벌어지는 각도로 경사지게 지반에 관입, 정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은 상기 헤드부의 중앙을 종방향으로 관통하여 지반에 관입, 정착되는 헤드부 고정파일;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사면 보강용 소구경 다축 억지 말뚝 구조를 설치하는 공법으로서, (a) 보강 대상 사면의 표층을 계단식으로 절토하여 사면 절토부를 형성시키는 단계; (b) 헤드부를 상기 사면 절토부 수평면에 안착시키는 단계; (c) 단수 또는 복수개의 파괴저항축 파일을, 상기 헤드부를 거쳐, 사면 파괴 거동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지반에 관입, 정착시키는 단계; (d) 단수 또는 복수개의 인발저항축 파일을, 상기 헤드부를 거쳐, 상기 파괴저항축 파일에 대한 인발하중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지반에 관입, 정착시키는 단계; 및 (e) 상기 인장봉을 잡아당기는 힘의 반력에 의해 가압판으로 상기 사면 표층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압박하며 고정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면 보강용 소구경 다축 억지 말뚝 공법을 함께 제공한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사면 보강용 소구경 다축 억지 말뚝 구조 및 공법에 의하면,
작업 공간이 협소하고, 보강 대상 사면이 넓지 않으며, 빠르게 보강 공사를 완료해야 하는 작업 조건에서 효율적인 사면 보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사면 전체가 일체(一體)로 거동하는 구조를 형성하여, 사면의 내력을 강화할 수 있으며, 모든 방향에서 작용하는 하중에 대해 사면 전체가 일체로 대항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제공하는 사면 보강용 소구경 다축 억지 말뚝 구조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및 [도 3]은 헤드부와 인장봉의 결합 구조를 예시한 것이다.
[도 4]는 헤드부를 예시한 것이다.
[도 5] 및 [도 6]은 2개의 파괴저항축 파일과 1개의 인발저항축 파일이 동심원상에 120° 간격으로 이격하여 하방향 외측으로 벌어지는 각도로 설치되는 실시예(3축 파일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사면(1)의 계단식 절토부(2) 수평면에 안착되는 헤드부(10); 사면(1) 파괴 거동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선단부부터 상기 헤드부(10)를 지나 지반에 관입, 정착되는 단수 또는 복수개의 파괴저항축 파일(20); 상기 파괴저항축 파일(20)에 대한 인발하중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선단부부터 상기 헤드부를 지나 지반에 관입, 정착되는 단수 또는 복수개의 인발저항축 파일(30); 상기 헤드부(10)에 상기 파괴저항축 파일(20)의 관입 방향 반대방향 측방으로 결합된 인장봉(40); 및 판면 중앙홀을 통해 상기 인장봉에 끼워져, 상기 인장봉(40)을 잡아당기는 힘의 반력에 의해 경사 지면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압박하며 고정되는 가압판(50); 을 포함하여 구성된 사면 보강용 소구경 다축 억지 말뚝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보강 대상 사면에 소구경 억지 말뚝을 다축으로(서로 다른 방향으로) 관입, 정착시킴으로써, 사면 전체가 일체(一體)로 거동하는 구조를 형성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는 여러 방향으로 뻗은 나무 뿌리가 사면을 일체화시켜 붕괴를 방지하는 원리와 동일선상에서 이해할 수 있으며, 보강 대상 사면에 본 발명 구조를 다수개 설치함으로써 모든 방향에서 작용하는 하중에 대해 사면 전체가 일체로 대항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다축 억지 말뚝"은 "2개 이상의 서로 다른 방향의 축을 따라 관입, 정착되는 복수개의 억지 말뚝 "을 의미하며, 축 수에 제한은 없으나 시공 효율성 및 효과면에서 2~4축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억지 말뚝은 구조적 의의에 따라 파괴저항축 파일(20)과 인발저항축 파일(30)로 구분되며, 상기 파괴저항축 파일(20) 및 인발저항축 파일(30)은 모두 헤드부(10)를 거쳐 지반에 관입, 정착된다. 따라서, 헤드부(10)를 먼저 사면에 정착시켜야 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 대상 사면(1)의 표층을 계단식으로 절토하여 절토부(2)를 형성시키고, 상기 헤드부(10)를 상기 절토부(2) 수평면에 안착시킬 수 있다.
상기 헤드부(10)는 내부가 빈 원통형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 및 하판에 상기 파괴저항축 파일(20)과 인발저항축 파일(30)이 관통하기 위한 통공(11)을 미리 형성시켜 둘 수 있다. 상기 파괴저항축 파일(20)과 인발저항축 파일(30)을 각각 헤드부(10) 상판의 통공(11)에서 하판의 통공(11)으로 삽입함으로써 그 삽입방향을 그대로 따라 지반에 관입시킬 수 있으므로, 파일 관입 방향을 가이드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요소(가이드관 등)는 불필요하게 된다.
상기 인장봉(4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헤드부(10)에 상기 파괴저항축 파일(20)의 관입 방향 반대방향 측방으로 결합되는 것이고, 상기 인장봉(40)에는 가압판(50)이 끼워져, 상기 인장봉(40)을 잡아당기는 힘의 반력에 의해 상기 가압판(50)이 사면(1) 표층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압박하며 고정된다. 상기 가압판(50)에 의한 사면(1) 표층 압박에 의해 상기 사면(1) 표층의 국부적 붕괴, 토사 유실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가압판(50) 외측에서 상기 인장봉(40)에 끼워진 스프링(60) 및 상기 인장봉(40) 후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스프링(60)을 상기 가압판(50) 방향으로 압축 고정시키는 압박고정구(65)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상기 스프링(60)의 복원력으로 인해 사면 표층에 대한 지속적인 가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압박고정구(65)는 너트형, 쐐기형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사면(1) 표면에는 다수개의 와이어로프(70)가 격자를 이루도록 가로, 세로로 배치되어 턴버클 등으로 긴장 상태를 유지하며 설치되고, 상기 가압판(50)이 상기 와이어로프(70)의 격자지점을 압박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압판(50)은 상기 와이어로프(70)의 격자지점을 압박함으로써 사면(1) 표면을 간접적으로 압박하는 대신 압박 범위가 상기 와이어로프(70)를 따라 넓어질 수 있다.
다만, 사면의 경사각, 시공 상황 등에 따라 인장봉(40)의 위치 조정이 필요할 경우가 있다. 이에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헤드부(10)를 내부가 빈 원통형으로 구성하는 경우, 상기 인장봉(40)의 선단부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 측방 통공(12)을 통해 상기 헤드부(10)에 내입되고, 상기 측방 통공(12)에 내접하는 방향으로 상기 인장봉(40) 선단부에 결합된 반구너트(45)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상기 반구너트(45)의 반구형 단부가 상기 측방 통공(12)에 접한 상태에서, 상기 인장봉(40)이 스핀세차운동 궤적 범위에서 가동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인장봉(40)의 위치 조정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파괴저항축 파일(20)은 사면(1) 파괴 거동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선단부부터 상기 헤드부(10)를 지나 지반에 관입, 정착되는 억지 말뚝이다. 사면(1)에는 표층부 이하 일정 영역까지 파괴영역이 형성되며, [도 1]에는 사면(1) 보강이 없는 경우 지반에서 떨어져 나갈 수 있는 파괴영역선(3)을 표시하였다.
소일네일 공법 등의 일반적인 사면 보강 공법도 상기 파괴영역선(3) 이하까지 천공하여 네일(철근, 강봉 등)을 삽입하고 그라우팅을 하는 과정으로 파괴 거동에 저항하는 네일체를 형성시키는 것이며, 본 발명에서도 사면(1) 파괴 거동에 저항하기 위해(즉, 전단 저항을 위해) 상기 파괴영역선(3) 보다 깊게 파괴저항축 파일(2)을 지반에 관입, 정착시킨다. 단 본 발명에서는 파괴저항축 파일(2) 복수개를 지반에 관입시킬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헤드부(10)를 꼭지점으로 한 사이각이 90°내지 150°를 이루는 파괴저항축 파일(2) 2개를 지반에 관입, 정착시켜 사면 전단 하중을 분담시킬 수 있다.
상기 인발저항축 파일(30)은 상기 파괴저항축 파일(20)에 대한 인발하중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선단부부터 상기 헤드부를 지나 지반에 관입, 정착되는 억지 말뚝이다. 소일네일 공법에서는 네일(철근, 강봉 등)과 그라우트체와의 마찰력 및 그라우트체와 지반의 마찰력으로 네일 인발하중에 저항하는 것에 반해, 본 발명은 별도의 인발저항축 파일(30)을 사면 지반에 관입시킴으로써, 상기 파괴저항축 파일(20)에 가해지는 인발하중이 상기 헤드부(10)를 매개로 상기 인발저항축 파일(30)에 가해지는 압축하중 또는 전단하중 전환되도록 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인발저항축 파일(30) 1개를 상기 헤드부(10)를 꼭지점으로 하여 연직방향을 기준으로 사면 표면으로 60° 범위 내에서 관입, 정착시켜 상기 파괴저항축 파일(20)에 대한 인발저항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는 2개의 파괴저항축 파일(20)과 1개의 인발저항축 파일(30)이 동심원상에 120° 간격으로 이격하여 하방향 외측으로 벌어지는 각도로 설치되는 실시예(3축 파일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삼발이 형태의 3축 파일 구조는 그 자체만으로 보더라도, 어느 한 축에 작용하는 압축하중이 다른 두 축에는 인장하중으로 작용하고, 어느 한 축에 작용하는 인장하중이 다른 두 축에는 압축하중으로 작용하여 안정적 하중 분담이 이루어지며, 위의 3축 파일이 지반에 매립된 상태에서는 상기 3축 파일을 매개로 사면 전체가 일체(一體)를 이루게 되어 지반 전체가 작용 하중을 분담하게 된다.
위와 같은 3축 파일 구조에서는 상기 헤드부(10)의 중앙을 종방향으로 관통하여 지반에 관입, 정착되는 헤드부 고정파일(80)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헤드부 고정파일(80)은 상기 헤드부(10)를 상기 절토부(2) 수평면에 안착시키는 단계에서 설치함으로써, 상기 헤드부(10)가 고정된 상태에서 2개의 파괴저항축 파일(20)과 1개의 인발저항축 파일(30)을 차례로 설치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사면 보강용 소구경 다축 억지 말뚝 구조는,
(a) 보강 대상 사면(1)의 표층을 계단식으로 절토하여 사면 절토부(2)를 형성시키는 단계; (b) 상기 헤드부(10)를 상기 사면의 절토부(2) 수평면에 안착시키는 단계; (c) 단수 또는 복수개의 파괴저항축 파일(20)을, 상기 헤드부(10)를 거쳐, 사면 파괴 거동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지반에 관입, 정착시키는 단계; (d) 단수 또는 복수개의 인발저항축 파일(30)을, 상기 헤드부(10)를 거쳐, 상기 파괴저항축 파일(20)에 대한 인발하중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지반에 관입, 정착시키는 단계; 및 (e) 상기 인장봉(40)을 잡아당기는 힘의 반력에 의해 가압판(50)으로 상기 사면(1) 표층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압박하며 고정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면 보강용 소구경 다축 억지 말뚝 공법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파괴저항축 파일(20)과 인발저항축 파일(30)을 각각 지반에 관입, 정착시키는 공정은 항타 방법 또는 회전 관입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회전 관입 방법을 적용해야 하는 경우는 상기 파괴저항축 파일(20)과 인발저항축 파일(30)의 선단부에 스크류날(미도시)을 형성시키거나 결합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인 실시예와 함께 상세하게 살펴보았다. 그러나 본 발명은 위의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이와 같은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다.
1: 사면 2 : 절토부 3 : 파괴영역선
10 : 헤드부 11 : 통공 12 : 측방 통공
20 : 파괴저항축 파일 30 : 인발저항축 파일 40 : 인장봉
45 : 반구너트 50 : 가압판 60 : 스프링
65 : 압박고정구 70 : 와이어로프 80 : 헤드부 고정파일

Claims (9)

  1. 사면(1)의 계단식 절토부(2) 수평면에 안착되는 헤드부(10);
    사면(1) 파괴 거동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선단부부터 상기 헤드부(10)를 지나 지반에 관입, 정착되는 단수 또는 복수개의 파괴저항축 파일(20);
    상기 파괴저항축 파일(20)에 대한 인발하중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선단부부터 상기 헤드부(10)를 지나 지반에 관입, 정착되는 단수 또는 복수개의 인발저항축 파일(30);
    상기 헤드부(10)에 상기 파괴저항축 파일(20)의 관입 방향 반대방향 측방으로 결합된 인장봉(40); 및
    상기 인장봉(40)에 끼워져, 상기 인장봉(40)을 잡아당기는 힘의 반력에 의해 경사 지면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압박하며 고정되는 가압판(50); 을 포함하며,
    상기 헤드부(10)는 내부가 빈 원통형으로 구성되고, 상판 및 하판에 상기 파괴저항축 파일(20)과 인발저항축 파일(30)이 관통하기 위한 통공(1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 보강용 소구경 다축 억지 말뚝 구조.
  2. 삭제
  3. 제1항에서,
    상기 인장봉(40)의 선단부는 헤드부 측방 통공(12)을 통해 상기 헤드부(10)에 내입되고,
    상기 측방 통공(12)에 내접하는 방향으로 상기 인장봉(40) 선단부에 결합된 반구너트(45); 를 더 포함하여,
    반구너트(45)의 반구형 단부가 상기 측방 통공(12)에 접한 상태에서, 상기 인장봉(40)이 스핀세차운동 궤적 범위에서 가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 보강용 소구경 다축 억지 말뚝 구조.
  4. 제1항에서,
    상기 가압판(50) 외측에서 상기 인장봉(40)에 끼워진 스프링(60); 및
    상기 인장봉(40) 후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스프링(60)을 상기 가압판(50) 방향으로 압축 고정시키는 압박고정구(65);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 보강용 소구경 다축 억지 말뚝 구조.
  5. 제1항에서,
    사면 표면에 다수개가 격자를 이루도록 가로, 세로로 배치되어 긴장 상태로 설치되는 와이어로프(70);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압판(50)이 상기 와이어로프(70)의 격자지점을 압박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 보강용 소구경 다축 억지 말뚝 구조.
  6. 제1항에서,
    상기 파괴저항축 파일(20)은 상기 헤드부(10)를 꼭지점으로 하는 사이각이 90°내지 150°를 이루는 2개가 지반에 관입, 정착되고,
    상기 인발저항축 파일(30)은 상기 헤드부(10)를 꼭지점으로 하여 연직방향을 기준으로 사면 표면으로 60° 범위 내에서 1개가 지반에 관입, 정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 보강용 소구경 다축 억지 말뚝 구조.
  7. 제1항에서,
    2개의 파괴저항축 파일(20)과 1개의 인발저항축 파일(30)이 동심원상에 120° 간격으로 이격하여 하방향 외측으로 벌어지는 각도로 경사지게 지반에 관입, 정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 보강용 소구경 다축 억지 말뚝 구조.
  8. 제7항에서,
    상기 헤드부(10)의 중앙을 종방향으로 관통하여 지반에 관입, 정착되는 헤드부 고정파일(80);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 보강용 소구경 다축 억지 말뚝 구조.
  9. 제1항, 제3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사면 보강용 소구경 다축 억지 말뚝 구조를 설치하는 공법으로서,
    (a) 보강 대상 사면(1)의 표층을 계단식으로 절토하여 사면 절토부(2)를 형성시키는 단계;
    (b) 상기 헤드부(10)를 상기 사면의 절토부(2) 수평면에 안착시키는 단계;
    (c) 단수 또는 복수개의 파괴저항축 파일(20)을, 상기 헤드부(10)를 거쳐, 사면 파괴 거동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지반에 관입, 정착시키는 단계;
    (d) 단수 또는 복수개의 인발저항축 파일(30)을, 상기 헤드부(10)를 거쳐, 상기 파괴저항축 파일(20)에 대한 인발하중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지반에 관입, 정착시키는 단계; 및
    (e) 상기 인장봉(40)을 잡아당기는 힘의 반력에 의해 가압판(50)으로 상기 사면(1) 표층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압박하며 고정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면 보강용 소구경 다축 억지 말뚝 공법.
KR1020220185190A 2022-12-27 2022-12-27 사면 보강용 소구경 다축 억지 말뚝 구조 및 공법 KR1026551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5190A KR102655153B1 (ko) 2022-12-27 2022-12-27 사면 보강용 소구경 다축 억지 말뚝 구조 및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5190A KR102655153B1 (ko) 2022-12-27 2022-12-27 사면 보강용 소구경 다축 억지 말뚝 구조 및 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5153B1 true KR102655153B1 (ko) 2024-04-08

Family

ID=90714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5190A KR102655153B1 (ko) 2022-12-27 2022-12-27 사면 보강용 소구경 다축 억지 말뚝 구조 및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515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1843A (ko) * 2008-01-25 2009-07-29 (주) 효창이엔지 외장형 스프링 락볼트를 이용한 암사면지반 보강공법
KR102014125B1 (ko) 2019-06-03 2019-08-26 (주)효창이엔지 3축 내진 말뚝 구조 및 공법
JP2019183522A (ja) * 2018-04-11 2019-10-24 大成建設株式会社 基礎およびその構築方法
KR102052336B1 (ko) 2018-08-27 2019-12-06 주식회사 정원지오텍 가동성이 확보된 철근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소일네일링 보강 절토지반 전면의 마감패널 설치 공법
KR102294532B1 (ko) 2021-02-24 2021-08-30 (주)에스와이텍 기초콘크리트 내진 보강을 위한 다축 파일 시공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1843A (ko) * 2008-01-25 2009-07-29 (주) 효창이엔지 외장형 스프링 락볼트를 이용한 암사면지반 보강공법
JP2019183522A (ja) * 2018-04-11 2019-10-24 大成建設株式会社 基礎およびその構築方法
KR102052336B1 (ko) 2018-08-27 2019-12-06 주식회사 정원지오텍 가동성이 확보된 철근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소일네일링 보강 절토지반 전면의 마감패널 설치 공법
KR102014125B1 (ko) 2019-06-03 2019-08-26 (주)효창이엔지 3축 내진 말뚝 구조 및 공법
KR102294532B1 (ko) 2021-02-24 2021-08-30 (주)에스와이텍 기초콘크리트 내진 보강을 위한 다축 파일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9805B1 (ko)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엄지말뚝과 이를 이용한 자립식 가설 흙막이 시공방법
KR101152265B1 (ko)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현장타설 콘크리트말뚝 시공방법 및 그 구조
KR20190036591A (ko)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엄지말뚝과 이를 이용한 자립식 가설 흙막이 시공방법
KR102014125B1 (ko) 3축 내진 말뚝 구조 및 공법
KR100918771B1 (ko) 마이크로 파일 두부 정착장치 및 그를 이용한 정착방법
KR101353882B1 (ko) 근접 병설 터널의 필라부 선보강 및 굴착 시공 방법
US9683347B2 (en) Systems and methods to reinforce excavation walls
KR101633289B1 (ko) 소구경 파일의 두부 정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존 기초콘크리트의 보강 방법
KR20120090502A (ko) 3방향 구속타입 전면판을 갖는 쏘일네일 장치
KR101471487B1 (ko) 다용도 하중 분산형 그라운드 앵커체
KR102655153B1 (ko) 사면 보강용 소구경 다축 억지 말뚝 구조 및 공법
KR102079563B1 (ko) 압축마찰형 앵커 패널 지반 보강 시스템
KR101202845B1 (ko) 한 개의 천공홀에 어스앵커와 소일네일링 합성에 의한 지반보강방법
CN111809620A (zh) 一种预应力钢锚管锚索张拉装置
KR200449724Y1 (ko) 확경형 락볼트
KR102382845B1 (ko) 경사식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엄지말뚝과 이를 이용한 자립식 가설 흙막이 시공방법
KR101623342B1 (ko) 원지반 토사를 활용한 흙막이 벽체구조물 및 흙막이 벽체구조물 시공 방법
KR20210104484A (ko)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엄지말뚝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 시공방법
KR101132809B1 (ko) 앵커체 및 시공방법
KR102577895B1 (ko) 다용도 하중 분산형 그라운드 앵커체
KR102595512B1 (ko) 연성보강재를 이용한 지반 보강 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0913320B1 (ko) 다기능 복합형 앵커체
KR101771423B1 (ko) 사면보강을 위한 앵커체
KR20080112454A (ko) 지반붕괴방지보강조립체용 내하체겸 전단보강조립체 및 이에 의한 시공방법
KR100721605B1 (ko) 쏘일네일의 전면 지압판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