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5141B1 - Safety management system through image analysis and safety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Safety management system through image analysis and safety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5141B1
KR102655141B1 KR1020230115776A KR20230115776A KR102655141B1 KR 102655141 B1 KR102655141 B1 KR 102655141B1 KR 1020230115776 A KR1020230115776 A KR 1020230115776A KR 20230115776 A KR20230115776 A KR 20230115776A KR 102655141 B1 KR102655141 B1 KR 1026551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risk
work site
situation
s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1577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낙일
임종현
Original Assignee
엔아이소프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아이소프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엔아이소프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115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514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51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5141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40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 G06V10/62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relating to a temporal dimension, e.g. time-based feature extraction; Pattern trac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10Terrestrial scenes
    • G06V20/176Urban or other man-made stru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2Surveillance or monitoring of activities, e.g. for recognising suspicious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03Static body considered as a whole, e.g. static pedestrian or occupant recogni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산업 현장에서의 재난 발생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안전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안전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안전 관리 시스템은, 작업 현장의 복수의 구역에 배치된 복수의 CCTV들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위험 상황에 대한 영상 정보를 수집하도록 구성된 위험 상황 인식부와, 상기 수집된 영상 정보에서 인식된 작업자의 안전 수칙 준수 여부에 대한 제 1 정보, 상기 작업 현장의 장비 정상 배치/외관 정상 여부에 대한 제 2 정보, 상기 작업 현장에서의 위험물과 상기 작업자 간의 위치 관계에 대한 제 3 정보 및 상기 작업 현장에서의 재난 상황 발생 여부에 대한 제 4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상기 위험 상황의 위험도를 판단하도록 구성된 위험도 판단부 및 상기 판단된 위험 상황의 위험도가 일정 기준 이상일 경우, 상기 위험 상황에 대한 영상 정보를 상기 작업 현장을 관리하는 현장 관리자가 이용하는 현장 관리자 단말기 및 상기 현장 관리자를 통제하는 메인 관리자가 이용하는 메인 관리자 단말기에 제공하도록 구성된 출력부를 포함한다.
We provide a safety management system that can efficiently respond to disasters at industrial sites and safety management methods using it.
A safe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angerous situation recognition unit configured to collect image information about at least one dangerous situation from a plurality of CCTVs disposed in a plurality of areas of a work site, and the collected image information. First information about whether the worker complies with the safety rules recognized in the work site, second information about whether the equipment at the work site is normally arranged/appears normal, third information about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dangerous substances at the work site and the worker, and A risk determination unit configured to determine the risk of the hazardous situation in consideration of at least one of the fourth pieces of information about whether a disaster situation has occurred at the work site, and if the determined risk of the hazardous situation is above a certain standard, the hazardous situation and an output unit configured to provide video information about the work site to a site manager terminal used by a site manager who manages the work site and a main manager terminal used by a main manager who controls the site manager.

Description

영상 분석을 통한 안전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안전 관리 방법{SAFETY MANAGEMENT SYSTEM THROUGH IMAGE ANALYSIS AND SAFETY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AME}Safety management system through video analysis and safety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ame {SAFETY MANAGEMENT SYSTEM THROUGH IMAGE ANALYSIS AND SAFETY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안전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안전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영상 분석을 통해 산업 현장에서의 위험도를 정확하게 판단하여 재난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안전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안전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management system and a safety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to a safety management system that accurately determines the level of risk at an industrial site through video analysis and effectively responds to disasters, and a safety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ame. It's about.

산업재해로 인한 사고, 사망 건수는 매년 비슷한 수치로 줄어들고 있지 않으며, 이로 인한 경제적 손실액은 매년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The number of accidents and deaths due to industrial accidents does not decrease at a similar rate every year, and the resulting economic losses are rapidly increasing every year.

따라서, 산업 현장에서의 위험 데이터를 관리 및 활용하고 이를 통해 재난 사고를 예측하는 것은 재난으로 인한 인명과 재산 피해를 최소화하는 측면에서 중요하다.Therefore, managing and utilizing risk data at industrial sites and predicting disaster accidents through it are important in terms of minimizing damage to life and property caused by disasters.

그러나, 기존의 안전 관리 시스템의 경우, 산업 현장에서의 위험 상황에 대한 영상을 취득한 후 이를 기초로 위험도를 판단하는데 있어서 정확도가 낮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existing safety management systems, there is a problem of low accuracy in determining the degree of risk based on the images of hazardous situations at industrial sites after acquiring them.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산업 현장에서의 재난 발생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안전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안전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its purpose is to provide a safety management system that can efficiently respond to disasters in industrial sites and a safety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ame.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에 기재된 발명의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technical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below.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영상 분석을 통한 안전 관리 시스템은, 작업 현장의 복수의 구역에 배치된 복수의 CCTV들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위험 상황에 대한 영상 정보를 수집하도록 구성된 위험 상황 인식부와, 상기 수집된 영상 정보에서 인식된 작업자의 안전 수칙 준수 여부에 대한 제 1 정보, 상기 작업 현장의 장비 정상 배치/외관 정상 여부에 대한 제 2 정보, 상기 작업 현장에서의 위험물과 상기 작업자 간의 위치 관계에 대한 제 3 정보 및 상기 작업 현장에서의 재난 상황 발생 여부에 대한 제 4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상기 위험 상황의 위험도를 판단하도록 구성된 위험도 판단부 및 상기 판단된 위험 상황의 위험도가 일정 기준 이상일 경우, 상기 위험 상황에 대한 영상 정보를 상기 작업 현장을 관리하는 현장 관리자가 이용하는 현장 관리자 단말기 및 상기 현장 관리자를 통제하는 메인 관리자가 이용하는 메인 관리자 단말기에 제공하도록 구성된 출력부를 포함한다.A safety management system through video analysis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angerous situation recognition unit configured to collect video information about at least one dangerous situation from a plurality of CCTVs arranged in a plurality of areas of a work site, First information about whether the worker complies with the safety rules recognized from the collected video information, second information about whether the equipment at the work site is normally arranged/appears normal, and about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dangerous substances at the work site and the worker. A risk determination unit configured to determine the risk of the dangerous situation by considering at least one of the third information and the fourth information about whether a disaster situation has occurred at the work site, and if the determined risk of the dangerous situation is above a certain standard, and an output unit configured to provide video information about the dangerous situation to a site manager terminal used by a site manager who manages the work site and a main manager terminal used by a main manager who controls the site manager.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작업자의 안전 장비 착용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정보는 상기 작업 현장의 장비가 지면에 대해 기울어진 정도에 대한 정보 및 외관 파손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정보는 상기 작업 현장에서의 위험물과 상기 작업자 간의 수직 방향에서의 간격 및 상기 작업 현장에서의 위험물과 상기 작업자 간의 수평 방향에서의 간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4 정보는 상기 작업 현장에서의 화재 발생 여부에 대한 정보, 상기 작업 현장에서의 유독 가스/유독물 누출 여부에 대한 정보, 상기 작업 현장에서의 누수 여부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작업 현장의 장비의 폭발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first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about whether the worker wears safety equipment, and the second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about the degree to which the equipment at the work site is tilted with respect to the ground and information about whether the exterior is damaged. It includes, and the third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about the distance in the vertical direction between the dangerous goods at the work site and the worker and the gap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etween the dangerous goods at the work site and the worker, and the fourth Information on whether a fire occurs at the work site, information on whether toxic gases/toxic substances leak at the work site, information on whether there is a water leak at the work site, and information on whether equipment at the work site explodes. May contain informa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위험도 판단부는, 상기 작업 현장에서의 고위험물 배치 여부에 따라, 상기 위험 상황의 위험도 판단시 상기 제 1 정보 및 상기 제 2 정보를 상기 제 3 정보 및 상기 제 4 정보보다 더 우선적으로 고려하거나, 상기 제 3 정보 및 상기 제 4 정보를 상기 제 1 정보 및 상기 제 2 정보보다 더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제 1 가중치를 부여하여 상기 위험 상황의 위험도를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risk determination unit gives priority to the first information and the second information over the third information and the fourth information when determining the risk of the dangerous situation, depending on whether high-risk materials are placed at the work site. Alternatively, the third information and the fourth information may be configured to determine the risk of the dangerous situation by giving a first weight that considers the third information and the fourth information more preferential than the first information and the second informa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위험도 판단부는, 상기 작업 현장이 속하는 산업 분야에 따라, 상기 위험 상황의 위험도 판단시 상기 제 1 정보보다 상기 제 2 정보 내지 상기 제 4 정보를 더 우선적으로 고려하거나, 상기 제 1 정보를 상기 제 2 정보 내지 상기 제 4 정보보다 더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제 2 가중치를 부여하여 상기 위험 상황의 위험도를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risk determination unit considers the second to fourth information more preferentially than the first information when determining the risk of the hazardous situation, depending on the industrial field to which the work site belongs, or the first information. It may be configured to determine the risk of the dangerous situation by assigning a second weight that considers the information more preferentially than the second to fourth informa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위험도 판단부는, 상기 작업 현장 전체 면적 대비 상기 작업자의 밀도에 따라, 상기 위험 상황의 위험도 판단시 상기 제 1 정보보다 상기 제 2 정보 내지 상기 제 4 정보를 더 우선적으로 고려하거나, 상기 제 1 정보를 상기 제 2 정보 내지 상기 제 4 정보보다 더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제 3 가중치를 부여하여 상기 위험 상황의 위험도를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risk determination unit considers the second to fourth information more preferentially than the first information when determining the risk of the dangerous situation, depending on the density of the workers compared to the total area of the work site, or It may be configured to determine the risk of the dangerous situation by assigning a third weight that gives priority to the first information over the second to fourth informa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위험도 판단부는, 상기 위험 상황의 위험도 판단시, 상기 제 1 가중치를 상기 제 2 가중치 및 상기 제 3 가중치보다 더 높게 설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risk determination unit may be configured to set the first weight higher than the second weight and the third weight when determining the risk of the dangerous situa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위험도 판단부는, 상기 제 4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위험 상황의 위험도를 판단할 때, 상기 작업 현장이 위치한 지역의 현재 기상 상황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작업 현장이 위치한 지역의 지리적 특성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상기 위험 상황의 위험도를 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Preferably, when the risk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the risk of the hazardous situ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fourth information, information on the current weather situation in the area where the work site is located and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the area where the work site is located It may be configured to adjust the risk of the risk situation by considering at least one of the information about the risk situa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위험 상황 인식부는 상기 작업 현장의 복수의 구역에 배치된 복수의 CCTV들 각각으로부터 영상 정보들을 수집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출력부는 각각의 영상 정보들 중 상기 위험도 판단부에 의해 일정 기준 이상의 위험도를 가지는 것으로 판단된 영상 정보에 대해서만 선택적으로 상기 현장 관리자 단말기 및 상기 메인 관리자 단말기에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risk situation recognition unit is configured to collect image information from each of a plurality of CCTVs disposed in a plurality of areas of the work site, and the output unit uses a predetermined criterion by the risk determination unit among the image information. It may be configured to selectively provide only video information determined to have the above risk level to the field manager terminal and the main manager terminal.

바람직하게는, 상기 출력부는, 각각의 영상 정보들 중 상기 위험도 판단부에 의해 일정 기준 이상의 위험도를 가지는 것으로 판단된 영상 정보에서, 상기 작업자의 외형 중 적어도 일부가 비식별되게 영상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output unit may be configured to process the image so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worker's appearance is non-identified in the image information determined to have a risk level above a certain standard by the risk determination unit among the pieces of image information. there is.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영상 분석을 통한 안전 관리 방법은, 작업 현장의 복수의 구역에 배치된 복수의 CCTV들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위험 상황에 대한 영상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와, 상기 수집된 영상 정보에서 인식된 작업자의 안전 수칙 준수 여부에 대한 제 1 정보, 상기 작업 현장의 장비 정상 배치/외관 정상 여부에 대한 제 2 정보, 상기 작업 현장에서의 위험물과 상기 작업자 간의 위치 관계에 대한 제 3 정보 및 상기 작업 현장에서의 재난 상황 발생 여부에 대한 제 4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상기 위험 상황의 위험도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된 위험 상황의 위험도가 일정 기준 이상일 경우, 상기 위험 상황에 대한 영상 정보를 상기 작업 현장을 관리하는 현장 관리자가 이용하는 현장 관리자 단말기 및 상기 현장 관리자를 통제하는 메인 관리자가 이용하는 메인 관리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safety management method through video analysis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collecting video information about at least one dangerous situation from a plurality of CCTVs arranged in a plurality of areas of a work site, and the collected video information First information about whether the worker complies with the safety rules recognized in the work site, second information about whether the equipment at the work site is normally arranged/appears normal, third information about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dangerous substances at the work site and the worker, and A step of determining the risk of the dangerous situation by considering at least one of the fourth information about whether a disaster situation occurs at the work site, and if the determined risk of the dangerous situation is above a certain standard, image information about the dangerous situation It includes providing a site manager terminal used by a site manager who manages the work site and a main manager terminal used by a main manager who controls the site manag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작업자의 행동, 작업자와 작업 현장과의 위치 관계, 재난 발생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위험 상황의 일정 기준 이상의 위험도 판단시 현장 관리자 및 메인 관리자에게 위험 상황을 통지할 수 있으므로, 산업 현장에서의 재난 발생에 보다 더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determining the risk of a dangerous situation above a certain standard by comprehensively considering the worker's behavior, the loca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worker and the work site, and the disaster occurrence situation, the site manager and the main manager are notified of the dangerous situation.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in being able to respond more efficiently to disasters occurring at industrial sites.

이외에도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의하여, 여러 다른 추가적인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여러 효과들에 대해서는 각 실시예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거나, 당업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는 효과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various other additional effects can be achieved by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se various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each embodiment, or descriptions of effects that can be easi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omitted.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분석을 통한 안전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구비된 위험 상황 인식부에 의해 인식되는 위험 상황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도 1의 시스템에 구비된 위험도 판단부가 위험 상황의 위험도를 판단하는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시스템에 구비된 출력부가 위험도가 높은 영상 정보에서 작업자를 비 식별 처리하는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분석을 통한 안전 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The following drawings attached to this specification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erve to further underst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later, s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matters described in such drawings. It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limited to only .
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a safety management system through image analy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risk situations recognized by a risk situation recognition unit provided in the system of FIG. 1.
Figures 3 to 5 are diagrams showing an example of how the risk determination unit provided in the system of Figure 1 determines the risk of a dangerous situation.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the output unit provided in the system of FIG. 1 de-identifies a worker from high-risk image information.
Figure 7 is a flowchart showing a safety management method through image analy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Prior to this,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ir usu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must appropriately use the concept of terms to explain his or her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must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of definability.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one of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entirely repres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so at the time of filing the present application, various options that can replace them are availabl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equivalents and variations may exis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분석을 통한 안전 관리 시스템(10)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시스템(10)에 구비된 위험 상황 인식부(100)에 의해 인식되는 위험 상황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a safety management system 10 through image analy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a safety management system 10 recognized by the dangerous situation recognition unit 100 provided in the system 10 of Figure 1. This is a diagram illustrating dangerous situations.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관리 시스템(10)은, 위험 상황 인식부(100), 위험도 판단부(200) 및 출력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safety management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hazardous situation recognition unit 100, a risk determination unit 200, and an output unit 300.

상기 안전 관리 시스템(10)은, 서버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안전 관리 시스템(10)은, AI 모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I 모델은 비지도 학습(unsupervised learning) 방식에 기초하여 학습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지도 학습(supervised learning), 반-지도 학습 방식(semi-persistent learning)에 기초하여 학습될 수도 있다.The safety management system 10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server. Specifically, the safety management system 10 may include an AI model. The AI model may be learned based on unsupervised learning, but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also be learned based on supervised learning or semi-persistent learning. there is.

또한, AI 모델은 하나 이상의 신경망(neural network) 레이어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 신경망에는 하나 이상의 가중치가 포함될 수 있다. AI 모델은 하나 이상의 가중치와 입력 데이터 간의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학습/추론을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서, AI 모델은 DNN(Deep Neural Network), CNN(Convolution Neural Network) 등에 기반하여 영상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Additionally, an AI model may consist of one or more neural network layers, and each neural network may include one or more weights. AI models can perform learning/inference by performing operations between one or more weights and input data. As an example, the AI model can perform image analysis based on Deep Neural Network (DNN), Convolution Neural Network (CNN), etc.

상기 위험 상황 인식부(100)는, 작업 현장의 복수의 구역에 배치된 복수의 CCTV들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위험 상황에 대한 영상 정보를 수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dangerous situation recognition unit 100 may be configured to collect image information about at least one dangerous situation from a plurality of CCTVs arranged in a plurality of areas of the work site.

상기 위험도 판단부(200)는, 도 2에서와 같이 위험 상황 인식부(100)를 통해 수집된 영상 정보에서 인식된 작업자의 안전 수칙 준수 여부에 대한 제 1 정보, 작업 현장의 장비 정상 배치/외관 정상 여부에 대한 제 2 정보, 작업 현장에서의 위험물과 상기 작업자 간의 위치 관계에 대한 제 3 정보 및 작업 현장에서의 재난 상황 발생 여부에 대한 제 4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위험 상황의 위험도를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risk determination unit 200 provides first information on whether the worker complies with safety rules recognized from the image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hazardous situation recognition unit 100, and the normal arrangement/appearance of equipment at the work site. Determine the risk of a hazardous situation by considering at least one of the second information about whether it is normal, third information about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dangerous substances at the work site and the worker, and fourth information about whether a disaster situation occurs at the work site. It can be configured to do so.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위험도 판단부(200)는 단순히 위험 상황 인식부(100)를 통해 수집된 영상에서의 작업자와 작업 현장의 외형만을 고려하여 위험도를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작업자의 행동, 작업자와 작업 현장과의 위치 관계, 재난 발생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위험 상황의 위험도를 판단할 수 있다.That is,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isk determination unit 200 does not simply determine the risk by considering only the appearance of the worker and the work site in the image collected through the risk situation recognition unit 100, but also determines the risk by considering the worker's behavior. , the degree of risk of a hazardous situation can be determined by comprehensively considering the loca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worker and the work site, the disaster occurrence situation, etc.

상기 출력부(300)는, 위험도 판단부(200)에 의해 판단된 위험 상황의 위험도가 일정 기준 이상일 경우, 위험 상황에 대한 영상 정보를 작업 현장을 관리하는 현장 관리자가 이용하는 현장 관리자 단말기(20) 및 현장 관리자를 통제하는 메인 관리자가 이용하는 메인 관리자 단말기(30)에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output unit 300 is a site manager terminal 20 that, when the risk of the dangerous situation determined by the risk determination unit 200 is above a certain standard, the video information about the dangerous situation is used by the site manager who manages the work site. and may be configured to provide the information to the main manager terminal 30 used by the main manager who controls the field manager.

이 때, 상기 현장 관리자 단말기(20)는, 현장 관리자가 이용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PC 등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관리자 단말기(30)는, 메인 관리자가 이용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PC 등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eld manager terminal 20 may be a mobile device or a PC used by the field manager. And, the main manager terminal 30 may be a mobile device or a PC used by the main manager.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 구성에 의하면, 작업자의 행동, 작업자와 작업 현장과의 위치 관계, 재난 발생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위험 상황의 일정 기준 이상의 위험도 판단시 현장 관리자 및 메인 관리자에게 위험 상황을 통지할 수 있으므로, 산업 현장에서의 재난 발생에 보다 더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is implementation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determining the risk of a dangerous situation above a certain standard by comprehensively considering the worker's behavior, the loca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worker and the work site, and the disaster occurrence situation, the risk situation is notified to the site manager and the main manager. Therefore,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respond more efficiently to disasters occurring at industrial sites.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상기 제 1 정보는, 작업자의 안전 장비 착용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서, 제 1 정보는, 작업자가 안전모, 안전복, 안전화 등을 착용하였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again to FIG. 2, the first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on whether the worker is wearing safety equipment. As an example, the first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whether the worker wore a safety helmet, safety clothing, safety shoes, etc.

상기 제 2 정보는, 작업 현장의 장비가 지면에 대해 기울어진 정도에 대한 정보 및 장비의 외관 파손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서, 작업 현장의 장비는, 저장 탱크(tank), 운송관, 제조 기계, 저장 창고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degree to which the equipment at the work site is tilted with respect to the ground and information about whether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equipment is damaged. As an example, equipment on a job site may include storage tanks, transportation pipes, manufacturing machinery, storage warehouses, etc.

상기 제 3 정보는, 작업 현장에서의 위험물과 작업자 간의 수직 방향에서의 간격 및 작업 현장에서의 위험물과 작업자 간의 수평 방향에서의 간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서, 위험물은, 유독물질, 유조차, 건설 기계/장비, 기름 탱크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third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vertical distance between hazardous materials and workers at the work site and the horizontal distance between hazardous materials and workers at the work site. As an example, hazardous materials may include toxic substances, tank trucks, construction machinery/equipment, oil tanks, etc.

상기 제 4 정보는, 작업 현장에서의 화재 발생 여부에 대한 정보, 작업 현장에서의 유독 가스/유독물 누출 여부에 대한 정보, 작업 현장에서의 누수 여부에 대한 정보 및 작업 현장의 장비의 폭발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fourth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on whether a fire occurs at the work site, information on whether toxic gases/toxic substances leak at the work site, information on whether there is a water leak at the work site, and information on whether equipment at the work site explodes. May contain information.

도 3 내지 도 5는 도 1의 시스템(10)에 구비된 위험도 판단부(200)가 위험 상황의 위험도를 판단하는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3 to 5 are diagrams showing an example of how the risk determination unit 200 provided in the system 10 of FIG. 1 determines the risk of a dangerous situation.

도 3을 참조하면, 위험도 판단부(200)는, 작업 현장에서의 고위험물 배치 여부에 따라, 위험 상황의 위험도 판단시 제 1 정보 및 제 2 정보를 제 3 정보 및 제 4 정보보다 더 우선적으로 고려하거나, 제 3 정보 및 제 4 정보를 제 1 정보 및 제 2 정보보다 더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제 1 가중치를 부여하여 위험 상황의 위험도를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3, the risk determination unit 200, Depending on whether high-risk materials are placed at the work site, when determining the risk of a hazardous situation, the first and second information are considered more preferential than the third and fourth information, or the third and fourth information are considered as first information. and may be configured to determine the risk of a risky situation by assigning a first weight that is considered more preferential than the second information.

구체적으로, 위험도 판단부(200)는, 작업 현장에 가연성 소재, 기름 탱크 등의 고위험물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위험 상황의 위험도 판단시 제 1 정보 및 제 2 정보보다 제 3 정보 및 제 4 정보를 더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제 1 가중치를 부여하여 위험 상황의 위험도를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작업 현장에 고위험물이 있는 경우, 작업 현장에서의 위험물과 작업자 간의 위치 관계에 대한 제 3 정보 및 작업 현장에서의 재난 상황 발생 여부에 대한 제 4 정보가 위험 상황의 위험도 판단에 있어서, 작업자의 안전 수칙 준수 여부에 대한 제 1 정보 및 작업 현장의 장비 정상 배치/외관 정상 여부에 대한 제 2 정보보다 더 큰 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Specifically, when the risk determination unit 200 determines that there are high-risk materials such as flammable materials or oil tanks at the work site, the third information and fourth information are used rather than the first and second information when determining the risk of a hazardous situation. It may be configured to determine the risk of a risky situation by assigning a first weight that considers more preferentially. This means that when there is a high-risk material at the work site, the third information about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dangerous material at the work site and the worker and the fourth information about whether a disaster situation occurs at the work site are used by the worker in determining the risk of the hazardous situation. This is because it acts as a bigger factor than the first information about whether the safety rules are followed and the second information about whether the equipment at the work site is normally arranged/appeared normal.

또는, 위험도 판단부(200)는, 작업 현장에 가연성 소재, 기름 탱크 등의 고위험물이 없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위험 상황의 위험도 판단시 제 1 정보 및 제 2 정보를 제 3 정보 및 제 4 정보보다 더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제 1 가중치를 부여하여 위험 상황의 위험도를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작업 현장에 고위험물이 없는 경우, 작업자의 안전 수칙 준수 여부에 대한 제 1 정보 및 작업 현장의 장비 정상 배치/외관 정상 여부에 대한 제 2 정보가 위험 상황의 위험도 판단에 있어서, 작업 현장에서의 위험물과 작업자 간의 위치 관계에 대한 제 3 정보 및 작업 현장에서의 재난 상황 발생 여부에 대한 제 4 정보보다 더 큰 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Alternatively, when the risk determination unit 200 determines that there are no high-risk materials such as flammable materials or oil tanks at the work site, the first information and the second information are ranked higher than the third information and the fourth information when determining the risk of a hazardous situation. It may be configured to determine the risk of a risky situation by assigning a first weight that is considered more preferential. This means that, in cases where there are no high-risk materials at the work site, the first information on whether the worker complies with the safety rules and the second information on whether the equipment is normally placed/appeared at the work site are used at the work site in determining the risk of a hazardous situation. This is because it acts as a bigger factor than the third information about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hazardous materials and workers and the fourth information about whether a disaster situation occurs at the work site.

도 4를 참조하면, 위험도 판단부(200)는, 작업 현장이 속하는 산업 분야에 따라, 위험 상황의 위험도 판단시 제 1 정보보다 제 2 정보 내지 제 4 정보를 더 우선적으로 고려하거나, 제 1 정보를 제 2 정보 내지 제 4 정보보다 더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제 2 가중치를 부여하여 위험 상황의 위험도를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depending on the industrial field to which the work site belongs, the risk determination unit 200 considers the second to fourth information more preferentially than the first information when determining the risk of a hazardous situation, or considers the first information more preferentially than the first information. It may be configured to determine the risk of a dangerous situation by assigning a second weight that considers it more preferentially than the second to fourth information.

구체적으로, 위험도 판단부(200)는, 작업 현장이 다수의 시설물이 요구되는 장비집약적 또는 기술집약적인 산업 분야(예 : 건설, 정유, 플랜트 등)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위험 상황의 위험도 판단시 제 1 정보보다 제 2 정보 내지 제 4 정보를 더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제 2 가중치를 부여하여 위험 상황의 위험도를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작업 현장이 다수의 시설물이 요구되는 장비집약적 또는 기술집약적인 산업 분야에 속하는 경우, 작업 현장의 장비 정상 배치/외관 정상 여부에 대한 제 2 정보, 작업 현장에서의 위험물과 작업자 간의 위치 관계에 대한 제 3 정보 및 작업 현장에서의 재난 상황 발생 여부에 대한 제 4 정보가 위험 상황의 위험도 판단에 있어서, 작업자의 안전 수칙 준수 여부에 대한 제 1 정보보다 더 큰 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Specifically, when the risk determination unit 200 determines that the work site belongs to an equipment-intensive or technology-intensive industrial field (e.g., construction, oil refining, plants, etc.) that requires a large number of facilities, when determining the risk of a hazardous situation, It may be configured to determine the risk of a dangerous situation by assigning a second weight that considers the second to fourth information more preferentially than the first information. This is, if the work site belongs to an equipment-intensive or technology-intensive industrial field that requires multiple facilities, second information on whether the equipment is normally placed/appeared at the work site, and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hazardous materials and workers at the work site. This is because the third information about and the fourth information about whether a disaster situation occurs at the work site acts as a greater factor than the first information about whether the worker complies with safety rules in determining the risk of a hazardous situation.

또는, 위험도 판단부(200)는, 작업 현장이 시설물이 많이 요구되지 않는 산업 분야(예: 일반서비스업, 전문서비스업, 농업 등)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위험 상황의 위험도 판단시 제 2 정보 내지 제 4 정보보다 제 1 정보를 더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제 2 가중치를 부여하여 위험 상황의 위험도를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작업 현장이 시설물이 많이 요구되지 않는 산업 분야에 속하는 경우, 작업자의 안전 수칙 준수 여부에 대한 제 1 정보가 위험 상황의 위험도 판단에 있어서, 작업 현장의 장비 정상 배치/외관 정상 여부에 대한 제 2 정보, 작업 현장에서의 위험물과 작업자 간의 위치 관계에 대한 제 3 정보 및 작업 현장에서의 재난 상황 발생 여부에 대한 제 4 정보보다 더 큰 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Alternatively, if the risk determination unit 200 determines that the work site belongs to an industrial field that does not require many facilities (e.g., general service industry, professional service industry, agriculture, etc.) , the second information to the second information is used when determining the risk of a hazardous situation. It may be configured to determine the risk of a risky situation by assigning a second weight that considers the first information more preferentially than the 4 information. This means that if the work site belongs to an industrial field that does not require many facilities, the first information about whether the worker complies with safety rules is used as a criterion for determining the risk of a hazardous situation and whether the equipment at the work site is normally placed/appears normal. This is because it acts as a bigger factor than the second information, the third information about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hazardous materials and workers at the work site, and the fourth information about whether a disaster situation occurs at the work site.

도 5를 참조하면, 위험도 판단부(200)는, 작업 현장 전체 면적 대비 작업자의 밀도에 따라, 위험 상황의 위험도 판단시 제 1 정보보다 제 2 정보 내지 제 4 정보를 더 우선적으로 고려하거나, 제 1 정보를 제 2 정보 내지 제 4 정보보다 더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제 3 가중치를 부여하여 위험 상황의 위험도를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risk determination unit 200 considers the second to fourth information more preferentially than the first information when determining the risk of a hazardous situation, depending on the density of workers compared to the total area of the work site. It may be configured to determine the risk of a dangerous situation by assigning a third weight that considers the first information more preferentially than the second to fourth information.

구체적으로, 위험도 판단부(200)는, 작업 현장 전체 면적 대비 작업자의 밀도가 일정 기준 이상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위험 상황의 위험도 판단시 제 1 정보보다 제 2 정보 내지 제 4 정보를 더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제 3 가중치를 부여하여 위험 상황의 위험도를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작업 현장 전체 면적 대비 작업자의 밀도가 높은 경우, 작업 현장의 장비 정상 배치/외관 정상 여부에 대한 제 2 정보, 작업 현장에서의 위험물과 작업자 간의 위치 관계에 대한 제 3 정보 및 작업 현장에서의 재난 상황 발생 여부에 대한 제 4 정보가 위험 상황의 위험도 판단에 있어서, 작업자의 안전 수칙 준수 여부에 대한 제 1 정보보다 더 큰 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Specifically, when the risk determination unit 200 determines that the density of workers compared to the total area of the work site is above a certain standard, the risk determination unit 200 considers the second to fourth information more preferentially than the first information when determining the risk of a hazardous situation. It may be configured to determine the risk of a risky situation by assigning a third weight. This means that when the density of workers is high compared to the total area of the work site, the second information on whether the equipment is normally arranged/appeared at the work site, the third information about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hazardous materials and workers at the work site, and the This is because the fourth information about whether a disaster situation has occurred acts as a bigger factor in determining the risk of a dangerous situation than the first information about whether the worker complies with safety rules.

또는, 위험도 판단부(200)는, 작업 현장 전체 면적 대비 작업자의 밀도가 일정 기준 이하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위험 상황의 위험도 판단시 제 2 정보 내지 제 4 정보보다 제 1 정보를 더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제 3 가중치를 부여하여 위험 상황의 위험도를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작업 현장 전체 면적 대비 작업자의 밀도가 낮은 경우, 작업자의 안전 수칙 준수 여부에 대한 제 1 정보가 위험 상황의 위험도 판단에 있어서, 작업 현장의 장비 정상 배치/외관 정상 여부에 대한 제 2 정보, 작업 현장에서의 위험물과 작업자 간의 위치 관계에 대한 제 3 정보 및 작업 현장에서의 재난 상황 발생 여부에 대한 제 4 정보보다 더 큰 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Alternatively, when the risk determination unit 200 determines that the density of workers compared to the total area of the work site is below a certain standard, the risk determination unit 200 considers the first information more preferentially than the second to fourth information when determining the risk of a hazardous situation. 3 It can be configured to determine the risk of a risky situation by assigning weight. This means that when the density of workers is low compared to the total area of the work site, the first information about whether workers comply with safety rules is used in determining the risk of a hazardous situation, the second information about whether the equipment at the work site is normally arranged/appears normal, This is because it acts as a bigger factor than the third information about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hazardous materials and workers at the work site and the fourth information about whether a disaster situation occurs at the work site.

일 실시예에서, 위험도 판단부(200)는, 위험 상황의 위험도 판단시, 제 1 가중치를 제 2 가중치 및 제 3 가중치보다 더 높게 설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risk determination unit 200 may be configured to set the first weight higher than the second weight and the third weight when determining the risk of a risky situation.

즉, 위험도 판단부(200)는, 전술한 위험 상황의 위험도 판단시의 가중치 항목들 중에서, 작업 현장에서의 고위험물 배치 여부를 고려하는 제 1 가중치를, 작업 현장이 속하는 산업 분야를 고려하는 제 2 가중치 및 작업 현장 전체 면적 대비 작업자의 밀도를 고려하는 제 3 가중치보다 더 중요한 요인으로 고려할 수 있다.That is, the risk determination unit 200 sets the first weight that considers whether or not high-risk materials are placed at the work site among the weight items when determining the risk of the above-mentioned dangerous situation, and the first weight that considers the industrial field to which the work site belongs. 2 It can be considered a more important factor than the third weight, which considers the density of workers compared to the total area of the work site.

이는, 작업 현장에 가연성 소재, 기름 탱크 등의 고위험물이 있는 경우, 이상 상황 발생시 작업 현장에서 화재 등의 대형 재난이 발생할 가능성이 고위험물이 없는 경우에 비해 훨씬 커질 수 있기 때문이며, 위험도 판단부(200)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위험 상황의 위험도 판단시, 제 1 가중치를 제 2 가중치 및 제 3 가중치보다 더 높게 설정할 수 있다.This is because if there are high-risk materials such as flammable materials or oil tanks at the work site, the possibility of a large-scale disaster such as a fire occurring at the work site when an abnormal situation occurs can be much greater than if there are no high-risk materials, and the risk judgment department ( Taking this into account, 200) may set the first weight to be higher than the second and third weights when determining the risk of a dangerous situation.

일 실시예에서, 위험도 판단부(200)는, 작업 현장에서의 재난 상황 발생 여부에 대한 제 4 정보를 고려하여 위험 상황의 위험도를 판단할 때, 작업 현장이 위치한 지역의 현재 기상 상황에 대한 정보 및 작업 현장이 위치한 지역의 지리적 특성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상기 위험 상황의 위험도를 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when determining the risk of a hazardous situation by considering the fourth information about whether a disaster situation occurs at the work site, the risk determination unit 200 includes information about the current weather situation in the area where the work site is located. and information on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the area where the work site is located, and may be configured to adjust the risk of the hazardous situation.

즉, 위험도 판단부(200)는, 작업 현장에서의 재난 상황 발생 여부에 대한 제 4 정보를 고려하여 위험 상황의 위험도를 판단할 때, 작업 현장이 위치한 지역의 환경적 정보(기상 상황에 대한 정보, 지리적 특성에 대한 정보)를 추가적으로 고려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risk determination unit 200 determines the risk of a hazardous situation by considering the fourth information about whether a disaster situation has occurred at the work site, environmental information (information about the weather situation) of the area where the work site is located , information on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can be additionally considered.

일례로서, 작업 현장이 위치한 지역의 현재 기상 상황에 대한 정보는, 작업 현장이 위치한 지역에 현재 비가 내리는지, 눈이 내리는지, 우박이 내리는지, 안개가 발생하였는지, 태풍/강풍이 발생하였는지 등에 대한 정보 및 작업 현장이 위치한 지역이 맑은지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작업 현장이 위치한 지역의 현재 기상 상황에 따라 동일한 재난 상황(예: 화재 발생 등)에서도 위험도가 달라지므로, 이러한 요인을 위험 상황의 위험도 판단시 고려하기 위함이다. 예시적으로, 위험도 판단부(200)는, 작업 현장이 위치한 지역의 기상 상황이 악조건(예: 강풍/태풍 발생 등)인 경우, 재난 상황이 보다 더 빠르게 악화(예: 강풍으로 인해 화재 등이 더 빠르게 전파될 수 있음)될 수 있음을 고려하여 위험 상황의 위험도를 더 높게 설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작업 현장이 위치한 지역의 현재 기상 상황에 대한 정보는, 별도의 기상 정보 안내 서버(미도시)로부터 위험도 판단부(200)에 전송될 수 있다.For example, information about current weather conditions in the area where the work site is located, such as whether it is currently raining, snowing, hailing, foggy, or experiencing typhoons/strong winds in the area where the work site is located. It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weather and whether the area where the work site is located is clear. This is to consider these factors when determining the risk of a hazardous situation, as the level of risk varies even in the same disaster situation (e.g. fire outbreak, etc.) depending on the current weather conditions in the area where the work site is located. By way of example, if the weather conditions in the area where the work site is located are adverse (e.g., strong wind/typhoon occurrence, etc.), the risk determination unit 200 determines that the disaster situation will deteriorate more quickly (e.g., fire, etc. due to strong winds). Considering that it can spread faster, it can be configured to set the risk of a dangerous situation higher. Here, information about the current weather situation in the area where the work site is located may be transmitted to the risk determination unit 200 from a separate weather information information server (not shown).

또한, 작업 현장이 위치한 지역의 지리적 특성에 대한 정보는, 작업 현장이 위치한 지역이 개활지인지, 삼림 지형인지, 구릉지인지, 평지인지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작업 현장이 위치한 지역의 지리적 특성에 따라 동일한 재난 상황(예: 물탱크 파손으로 인한 누수 발생 등)에서도 위험도가 달라지므로, 이러한 요인을 위험 상황의 위험도 판단시 고려하기 위함이다. 예시적으로, 위험도 판단부(200)는, 작업 현장이 위치한 지역의 지리적 특성이 악조건(예: 구릉지 등)인 경우, 재난 상황이 보다 더 빠르게 악화(예: 구릉지의 경사면을 따라 고지대에서 저지대로 빠르게 누수된 물이 유입될 수 있음)될 수 있음을 고려하여 위험 상황의 위험도를 더 높게 설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작업 현장이 위치한 지역의 지리적 특성에 대한 정보는, 별도의 지리적 정보 안내 서버(미도시)로부터 위험도 판단부(200)에 전송될 수 있다.Additionally, information about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the area where the work site is located, It may include information on whether the area is open, forested, hilly, or flat. This is because the level of risk varies even in the same disaster situation (e.g. water leakage due to water tank damage, etc.) depending on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the area where the work site is located, so these factors are taken into consideration when determining the risk of a hazardous situation. Illustratively, the risk determination unit 200 determines that if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the area where the work site is located are adverse conditions (e.g., hilly areas, etc.), the disaster situation deteriorates more quickly (e.g., from highlands to lowlands along the slope of a hilly area). Considering that leaked water may quickly flow in, the risk of a hazardous situation may be set higher. Here, information about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the area where the work site is located may be transmitted to the risk determination unit 200 from a separate geographical information information server (not shown).

이와 같이, 작업 현장이 위치한 지역의 환경적 정보(기상 상황에 대한 정보, 지리적 특성에 대한 정보)를 추가적으로 고려하여 위험 상황의 위험도를 판단할 수 있으므로, 산업 현장에서의 재난 발생에 보다 더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level of risk of a hazardous situation can be determined by additionally considering environmental information (information about weather conditions, information about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the area where the work site is located, so it is possible to more efficiently prevent disasters at industrial sites. You can deal with it.

도 6은 도 1의 시스템(10)에 구비된 출력부(300)가 위험도가 높은 영상 정보에서 작업자를 비 식별 처리하는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the output unit 300 provided in the system 10 of FIG. 1 de-identifies a worker from high-risk image information.

도 6을 참조하면, 위험 상황 인식부(100)는, 작업 현장의 복수의 구역에 배치된 복수의 CCTV들 각각으로부터 영상 정보들을 수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dangerous situation recognition unit 100 may be configured to collect image information from each of a plurality of CCTVs arranged in a plurality of areas of the work site.

그리고, 출력부(300)는, 각각의 영상 정보들 중 위험도 판단부(200)에 의해 일정 기준 이상의 위험도를 가지는 것으로 판단된 영상 정보에 대해서만 선택적으로 현장 관리자 단말기(20) 및 메인 관리자 단말기(30)에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output unit 300 selectively outputs only the image information determined to have a risk level above a certain standard by the risk determination unit 200 among the image information to the field manager terminal 20 and the main manager terminal 30. ) can be configured to provide.

즉, 출력부(300)는, 작업 현장의 모든 영상 정보를 현장 관리자 및 메인 관리자에게 통지하는 것이 아니라, 높은 위험도를 가지는 것으로 판단된 영상 정보에 대해서만 통지할 수 있어, 불필요한 영상 정보 전달로 인해 안전 관리의 효율성이 저하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output unit 300 does not notify the site manager and main manager of all video information at the work site, but only video information judged to have a high risk, thereby ensuring safety due to unnecessary video information transmission. Deterioration in management efficiency can be minimized.

보다 구체적으로, 출력부(300)는, 각각의 영상 정보들 중 위험도 판단부(200)에 의해 일정 기준 이상의 위험도를 가지는 것으로 판단된 영상 정보에서, 작업자의 외형 중 적어도 일부가 비식별되게 영상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서, 출력부(300)는, 일정 기준 이상의 위험도를 가지는 것으로 판단된 영상 정보에서, AI 모델(예: CNN 알고리즘 등을 이용)을 통해 작업자의 외형 중 적어도 일부가 비식별되게 영상 처리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output unit 300 selects image information determined to have a risk higher than a certain standard by the risk determination unit 200 among each image information, The image may be configured to process the image so that at least part of the worker's appearance is non-identifiable. As an example, the output unit 300 can process the image so that at least a part of the worker's appearance is non-identified through an AI model (e.g., using a CNN algorithm, etc.) from image information determined to have a risk level above a certain standard. there is.

즉, 출력부(300)는 높은 위험도를 가지는 영상 정보를 현장 관리자 및 메인 관리자에 통지할 때, 해당 영상 정보에 나타난 작업자의 프라이버시(privacy) 보호를 위해 작업자의 외형 중 적어도 일부를 비식별되게 처리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output unit 300 notifies the field manager and the main manager of video information with a high risk, at least part of the worker's appearance is de-identified to protect the privacy of the worker shown in the video information. can do.

일례로서, 출력부(300)는, 도 6의 옵션 1에서와 같이 일정 기준 이상의 위험도를 가지는 것으로 판단된 영상 정보에서 작업자의 안면이 노출되지 않도록 블러(blur)처리할 수 있다. 또는, 출력부(300)는, 도 6의 옵션 2에서와 같이 일정 기준 이상의 위험도를 가지는 것으로 판단된 영상 정보에서 작업자의 전체적인 외형을 3D 컴퓨터 이미지 형태로 처리할 수도 있다.As an example, the output unit 300 may perform blur processing so that the worker's face is not exposed in image information determined to have a risk level above a certain standard, as in option 1 of FIG. 6 . Alternatively, the output unit 300 may process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worker in the form of a 3D computer image from image information determined to have a risk level above a certain standard, as in option 2 of FIG. 6.

이러한 실시 구성에 의하면 불필요한 영상 정보 전달로 인해 안전 관리의 효율성이 저하되는 것을 최소화하면서도, 작업자의 프라이버시를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is implementation configura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can reliably protect the privacy of workers while minimizing the decrease in safety management efficiency due to unnecessary transmission of image information.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분석을 통한 안전 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Figure 7 is a flowchart showing a safety management method through image analy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분석을 통한 안전 관리 방법은, 하기 S1 단계 내지 S3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전 관리 방법은, 전술한 시스템(1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범용적인 단계들이 상기 안전 관리 방법에 더 포함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safety management method through image analy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following steps S1 to S3. And, the safety management method can be performed by the above-described system 10.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other general steps may be further included in the safety management method.

상기 S1 단계에서, 위험 상황 인식부(100)는, 작업 현장의 복수의 구역에 배치된 복수의 CCTV들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위험 상황에 대한 영상 정보를 수집한다.In step S1, the dangerous situation recognition unit 100 collects image information about at least one dangerous situation from a plurality of CCTVs arranged in a plurality of areas of the work site.

상기 S2 단계에서, 위험도 판단부(200)는, 수집된 영상 정보에서 인식된 작업자의 안전 수칙 준수 여부에 대한 제 1 정보, 작업 현장의 장비 정상 배치/외관 정상 여부에 대한 제 2 정보, 작업 현장에서의 위험물과 작업자 간의 위치 관계에 대한 제 3 정보 및 작업 현장에서의 재난 상황 발생 여부에 대한 제 4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위험 상황의 위험도를 판단한다.In step S2, the risk determination unit 200 provides first information on whether the worker complies with the safety rules recognized from the collected image information, second information on whether the equipment is normally placed/appeared at the work site, and the work site. The degree of risk of a hazardous situation is determined by considering at least one of the third information about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hazardous material and the worker and the fourth information about whether a disaster situation occurs at the work site.

상기 S3 단계에서, 출력부(300)는, 판단된 위험 상황의 위험도가 일정 기준 이상일 경우, 위험 상황에 대한 영상 정보를 작업 현장을 관리하는 현장 관리자가 이용하는 현장 관리자 단말기(20) 및 현장 관리자를 통제하는 메인 관리자가 이용하는 메인 관리자 단말기(30)에 제공한다.In step S3, the output unit 300, when the risk of the determined dangerous situation is greater than a certain standard, sends video information about the dangerous situation to the site manager terminal 20 and the site manager for use by the site manager who manages the work site. It is provided to the main manager terminal 30 used by the controlling main manager.

한편, 영상 분석을 통한 안전 관리 방법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컴퓨터 프로그램은 영상 분석을 통한 안전 관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고,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어들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safety management method through image analysis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That is, the computer program may include instructions for implementing a safety management method through image analysis, and the instructions of the computer program may be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Computer programs may include mobile applications.

예를 들면,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기계어 코드 및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floptical disks. It may include magneto-optical media,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include machine code created by a compiler and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limited example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ollowing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ce of the patent claims to be described.

한편, 본 발명에서 상, 하, 좌, 우, 전, 후와 같은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가 사용되었으나, 이러한 용어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대상이 되는 사물의 위치나 관측자의 위치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본 발명의 당업자에게 자명하다.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terms indicating directions such as up, down, left, right, front, and back are used, but these terms are only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may vary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the target object or the location of the observer.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is can be done.

10 : 시스템
20 : 현장 관리자 단말기
30 : 메인 관리자 단말기
100 : 위험 상황 인식부
200 : 위험도 판단부
300 : 출력부
10: system
20: Field manager terminal
30: Main administrator terminal
100: Hazardous situation recognition unit
200: Risk judgment unit
300: output unit

Claims (5)

작업 현장의 복수의 구역에 배치된 복수의 CCTV들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위험 상황에 대한 영상 정보를 수집하도록 구성된 위험 상황 인식부;
상기 수집된 영상 정보에서 인식된 작업자의 안전 수칙 준수 여부에 대한 제 1 정보, 상기 작업 현장의 장비 정상 배치/외관 정상 여부에 대한 제 2 정보, 상기 작업 현장에서의 위험물과 상기 작업자 간의 위치 관계에 대한 제 3 정보 및 상기 작업 현장에서의 재난 상황 발생 여부에 대한 제 4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상기 위험 상황의 위험도를 판단하도록 구성된 위험도 판단부; 및
상기 판단된 위험 상황의 위험도가 일정 기준 이상일 경우, 상기 위험 상황에 대한 영상 정보를 상기 작업 현장을 관리하는 현장 관리자가 이용하는 현장 관리자 단말기 및 상기 현장 관리자를 통제하는 메인 관리자가 이용하는 메인 관리자 단말기에 제공하도록 구성된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위험도 판단부는,
상기 작업 현장이 속하는 산업 분야에 따라, 상기 위험 상황의 위험도 판단시 상기 제 1 정보보다 상기 제 2 정보 내지 상기 제 4 정보를 더 우선적으로 고려하거나, 상기 제 1 정보를 상기 제 2 정보 내지 상기 제 4 정보보다 더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가중치를 부여하여 상기 위험 상황의 위험도를 판단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위험도 판단부는,
상기 작업 현장이 장비집약적 또는 기술집약적인 산업 분야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위험 상황의 위험도 판단시 제 1 정보보다 제 2 정보 내지 제 4 정보를 더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가중치를 부여하여 상기 위험 상황의 위험도를 판단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작업 현장이 장비집약적 또는 기술집약적인 산업 분야보다 시설물이 많이 요구되지 않는 산업 분야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위험 상황의 위험도 판단시 제 2 정보 내지 제 4 정보보다 제 1 정보를 더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가중치를 부여하여 상기 위험 상황의 위험도를 판단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위험도 판단부는,
상기 제 4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위험 상황의 위험도를 판단할 때, 상기 작업 현장이 위치한 지역의 현재 기상 상황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작업 현장이 위치한 지역의 지리적 특성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상기 위험 상황의 위험도를 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위험도 판단부는,
상기 작업 현장이 위치한 지역의 기상 상황이 악조건인 경우, 재난 상황이 보다 더 빠르게 악화될 수 있음을 고려하여 위험 상황의 위험도를 더 높게 설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작업 현장이 위치한 지역의 지리적 특성이 악조건인 경우, 재난 상황이 보다 더 빠르게 악화될 수 있음을 고려하여 위험 상황의 위험도를 더 높게 설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분석을 통한 안전 관리 시스템.
A dangerous situation recognition unit configured to collect image information about at least one dangerous situation from a plurality of CCTVs arranged in a plurality of areas of the work site;
First information on whether the worker complies with the safety rules recognized from the collected video information, second information on whether the equipment at the work site is normally placed/appears normal, and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hazardous materials at the work site and the worker. a risk determination unit configured to determine the risk of the hazardous situation by considering at least one of third information about and fourth information about whether a disaster situation occurs at the work site; and
If the risk of the determined dangerous situation is above a certain standard, video information about the dangerous situation is provided to the site manager terminal used by the site manager who manages the work site and the main manager terminal used by the main manager who controls the site manager. It includes an output unit configured to,
The risk determination unit,
Depending on the industrial field to which the work site belongs, when determining the risk of the hazardous situation, the second to fourth information is given more priority than the first information, or the first information is compared to the second to fourth information. 4 It is configured to determine the risk of the above-mentioned risk situation by assigning a weight that takes priority over information,
The risk determination unit,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work site belongs to an equipment-intensive or technology-intensive industrial field, when determining the risk of the hazardous situation, weighting is given that gives priority to the second to fourth information over the first information to determine the risk of the hazardous situation. It is configured to determine the degree of risk,
If the work site is determined to belong to an industrial field that does not require more facilities than equipment-intensive or technology-intensive industrial fields, the first information is given priority over the second to fourth information when determining the risk of the hazardous situation. It is configured to determine the risk of the risk situation by assigning a weight to,
The risk determination unit,
When determining the degree of risk of the hazardous situ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fourth information, at least one of information about the current weather situation in the area where the work site is located and information about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the area where the work site is located is taken into consideration. It is configured to adjust the risk of a hazardous situation,
The risk determination unit,
If the weather conditions in the area where the work site is located are adverse, the risk of the hazardous situation is set higher considering that the disaster situation may worsen more quickly,
A safety management system through video analys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set the risk of a dangerous situation higher considering that the disaster situation may worsen more quickly if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the area where the work site is located are adverse condition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작업자의 안전 장비 착용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정보는,
상기 작업 현장의 장비가 지면에 대해 기울어진 정도에 대한 정보 및 외관 파손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정보는,
상기 작업 현장에서의 위험물과 상기 작업자 간의 수직 방향에서의 간격 및 상기 작업 현장에서의 위험물과 상기 작업자 간의 수평 방향에서의 간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4 정보는,
상기 작업 현장에서의 화재 발생 여부에 대한 정보, 상기 작업 현장에서의 유독 가스/유독물 누출 여부에 대한 정보, 상기 작업 현장에서의 누수 여부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작업 현장의 장비의 폭발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분석을 통한 안전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1,
The first information is,
Contains information on whether the worker wears safety equipment,
The second information is,
Contains information on the degree to which the equipment at the work site is tilted with respect to the ground and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the exterior is damaged,
The third information above is,
Contains information about the distance in the vertical direction between dangerous goods at the work site and the worker and the gap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etween the dangerous goods at the work site and the worker,
The fourth information above is,
Information on whether a fire occurred at the work site, information on whether toxic gases/toxic substances leaked at the work site, information on whether there was a water leak at the work site, and information on whether equipment at the work site exploded. A safety management system through video analys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도 판단부는,
상기 작업 현장에서의 고위험물 배치 여부에 따라, 상기 위험 상황의 위험도 판단시 상기 제 1 정보 및 상기 제 2 정보를 상기 제 3 정보 및 상기 제 4 정보보다 더 우선적으로 고려하거나, 상기 제 3 정보 및 상기 제 4 정보를 상기 제 1 정보 및 상기 제 2 정보보다 더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제 1 가중치를 부여하여 상기 위험 상황의 위험도를 판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분석을 통한 안전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1,
The risk determination unit,
Depending on whether high-risk materials are placed at the work site, when determining the risk of the hazardous situation, the first information and the second information are considered more preferential than the third information and the fourth information, or the third information and A safety management system through video analys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determine the degree of risk of the dangerous situation by assigning a first weight that considers the fourth information more preferential than the first information and the second informa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 상황 인식부는,
상기 작업 현장의 복수의 구역에 배치된 복수의 CCTV들 각각으로부터 영상 정보들을 수집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출력부는,
각각의 영상 정보들 중 상기 위험도 판단부에 의해 일정 기준 이상의 위험도를 가지는 것으로 판단된 영상 정보에 대해서만 선택적으로 상기 현장 관리자 단말기 및 상기 메인 관리자 단말기에 제공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분석을 통한 안전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1,
The risk situation recognition unit,
Configured to collect image information from each of a plurality of CCTVs arranged in a plurality of areas of the work site,
The output unit,
Safety management through video analys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selectively provide to the field manager terminal and the main manager terminal only the video information determined to have a risk level above a certain standard by the risk determination unit among each video information. system.
영상 분석을 통한 안전 관리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영상 분석을 통한 안전 관리 방법에 있어서,
작업 현장의 복수의 구역에 배치된 복수의 CCTV들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위험 상황에 대한 영상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영상 정보에서 인식된 작업자의 안전 수칙 준수 여부에 대한 제 1 정보, 상기 작업 현장의 장비 정상 배치/외관 정상 여부에 대한 제 2 정보, 상기 작업 현장에서의 위험물과 상기 작업자 간의 위치 관계에 대한 제 3 정보 및 상기 작업 현장에서의 재난 상황 발생 여부에 대한 제 4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상기 위험 상황의 위험도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된 위험 상황의 위험도가 일정 기준 이상일 경우, 상기 위험 상황에 대한 영상 정보를 상기 작업 현장을 관리하는 현장 관리자가 이용하는 현장 관리자 단말기 및 상기 현장 관리자를 통제하는 메인 관리자가 이용하는 메인 관리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 관리 시스템은,
상기 작업 현장이 속하는 산업 분야에 따라, 상기 위험 상황의 위험도 판단시 상기 제 1 정보보다 상기 제 2 정보 내지 상기 제 4 정보를 더 우선적으로 고려하거나, 상기 제 1 정보를 상기 제 2 정보 내지 상기 제 4 정보보다 더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가중치를 부여하여 상기 위험 상황의 위험도를 판단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안전 관리 시스템은,
상기 작업 현장이 장비집약적 또는 기술집약적인 산업 분야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위험 상황의 위험도 판단시 제 1 정보보다 제 2 정보 내지 제 4 정보를 더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가중치를 부여하여 상기 위험 상황의 위험도를 판단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작업 현장이 장비집약적 또는 기술집약적인 산업 분야보다 시설물이 많이 요구되지 않는 산업 분야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위험 상황의 위험도 판단시 제 2 정보 내지 제 4 정보보다 제 1 정보를 더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가중치를 부여하여 상기 위험 상황의 위험도를 판단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안전 관리 시스템은,
상기 제 4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위험 상황의 위험도를 판단할 때, 상기 작업 현장이 위치한 지역의 현재 기상 상황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작업 현장이 위치한 지역의 지리적 특성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상기 위험 상황의 위험도를 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안전 관리 시스템은,
상기 작업 현장이 위치한 지역의 기상 상황이 악조건인 경우, 재난 상황이 보다 더 빠르게 악화될 수 있음을 고려하여 위험 상황의 위험도를 더 높게 설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작업 현장이 위치한 지역의 지리적 특성이 악조건인 경우, 재난 상황이 보다 더 빠르게 악화될 수 있음을 고려하여 위험 상황의 위험도를 더 높게 설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분석을 통한 안전 관리 방법.
In a safety management method through video analysis performed by a safety management system through video analysis,
Collecting video information about at least one dangerous situation from a plurality of CCTVs placed in a plurality of areas of the work site;
First information on whether the worker complies with the safety rules recognized from the collected video information, second information on whether the equipment at the work site is normally placed/appears normal, and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hazardous materials at the work site and the worker. determining the degree of risk of the hazardous situation by considering at least one of third information about and fourth information about whether a disaster situation occurs at the work site; and
If the risk of the determined dangerous situation is above a certain standard, video information about the dangerous situation is provided to the site manager terminal used by the site manager who manages the work site and the main manager terminal used by the main manager who controls the site manager. Including the steps of:
The safety management system is,
Depending on the industrial field to which the work site belongs, when determining the risk of the hazardous situation, the second to fourth information is given more priority than the first information, or the first information is compared to the second to fourth information. 4 It is configured to determine the risk of the above-mentioned risk situation by assigning a weight that takes priority over information,
The safety management system is,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work site belongs to an equipment-intensive or technology-intensive industrial field, when determining the risk of the hazardous situation, weighting is given that gives priority to the second to fourth information over the first information to determine the risk of the hazardous situation. It is designed to determine the level of risk,
If the work site is determined to belong to an industrial field that does not require more facilities than equipment-intensive or technology-intensive industrial fields, the first information is given priority over the second to fourth information when determining the risk of the hazardous situation. It is configured to determine the risk of the risk situation by assigning a weight to,
The safety management system is,
When determining the degree of risk of the hazardous situ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fourth information, at least one of information about the current weather situation in the area where the work site is located and information about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the area where the work site is located is taken into consideration. It is configured to adjust the risk of a hazardous situation,
The safety management system is,
If the weather conditions in the area where the work site is located are adverse, the risk of the hazardous situation is set higher considering that the disaster situation may worsen more quickly,
A safety management method through video analys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the area where the work site is located are unfavorable, the risk of a hazardous situation is set higher considering that the disaster situation may worsen more quickly.
KR1020230115776A 2023-08-31 2023-08-31 Safety management system through image analysis and safety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ame KR10265514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15776A KR102655141B1 (en) 2023-08-31 2023-08-31 Safety management system through image analysis and safety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15776A KR102655141B1 (en) 2023-08-31 2023-08-31 Safety management system through image analysis and safety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5141B1 true KR102655141B1 (en) 2024-04-05

Family

ID=90714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15776A KR102655141B1 (en) 2023-08-31 2023-08-31 Safety management system through image analysis and safety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5141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0973A (en) * 2015-11-25 2017-06-02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Operating method and system for drones to prevent industrial disasters
KR20220092361A (en) * 2020-12-23 2022-07-01 주식회사 케이씨씨건설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train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that judges danger in work site
KR20230083919A (en) * 2021-12-03 2023-06-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and system for safety control for construction sit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0973A (en) * 2015-11-25 2017-06-02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Operating method and system for drones to prevent industrial disasters
KR20220092361A (en) * 2020-12-23 2022-07-01 주식회사 케이씨씨건설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train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that judges danger in work site
KR20230083919A (en) * 2021-12-03 2023-06-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and system for safety control for construction sit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ai et al. Evacuation risk assessment of regional evacuation for major accidents and its application in emergency planning: A case study
Salzano et al. Public awareness promoting new or emerging risks: Industrial accidents triggered by natural hazards (NaTech)
US11561851B2 (en) Datacenter IoT-triggered preemptive measures using machine learning
Argenti et al. The assessment of the attractiveness of process facilities to terrorist attacks
Kolen et al. Time needed to evacuate the Netherlands in the event of large‐scale flooding: strategies and consequences
Warren The facilities manager preparing for climate change related disaster
Reniers et al. A multi-attribute systemic risk index for comparing and prioritizing chemical industrial areas
KR102266066B1 (en) Method and system for decision-making visualization for responding of earthquake disasters
Iqbal et al. On centrality-related disaster vulnerability of network regions
KR102655141B1 (en) Safety management system through image analysis and safety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ame
Bristow et al. Simulation to aid disaster planning and mitigation: Tools and techniques for water distribution managers and emergency planners
Rodrigues et al. Risk management in water supply networks: Aveiro case study
Chroust et al. Anticipation and systems thinking: A key to resilient systems
Cruz et al. Natech disaster risk reduction: Can integrated risk governance help?
Rogova et al. Reasoning about situations in the early post-disaster response environment
Maranghides et al. A Case Study of the Camp Fire: Fire Progression Timeline, Appendix C.. Community WUI Fire Hazard Evaluation Framework
JP6571512B2 (en) Assessment device and assessment method
Mijović et al. Ontology enabled decision support system for emergency management at airports
Tarapata et al. Risk analysis and alert system for CBRN threats: features and functions
Barry Risk-informed industrial fire protection engineering
Yoshizawa et al. Lessons learned from good practices during the accident at Fukushima Daiichi nuclear power station in light of resilience engineering
Cozzani et al. Other causes of escalation
Chen et al. An integrative agent‐based vertical evacuation risk assessment model for near‐field tsunami hazards
Chen et al. Safety and Security of Domino Effects in the Process Industry: The State of the Art
KR102538688B1 (en) Risk assessment based accident predction safety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