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4328B1 - 일체형 부재를 포함하는 한옥 벽체의 연결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한옥 구조물 - Google Patents

일체형 부재를 포함하는 한옥 벽체의 연결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한옥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4328B1
KR102654328B1 KR1020220088572A KR20220088572A KR102654328B1 KR 102654328 B1 KR102654328 B1 KR 102654328B1 KR 1020220088572 A KR1020220088572 A KR 1020220088572A KR 20220088572 A KR20220088572 A KR 20220088572A KR 102654328 B1 KR102654328 B1 KR 1026543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rlin
support member
hanok
groove
pilla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8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40011042A (ko
Inventor
구성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오한옥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오한옥건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오한옥건설
Priority to KR1020220088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4328B1/ko
Publication of KR20240011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10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4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43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6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wood
    • E04B1/2604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7/02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plane sloping surfaces, e.g. saddle roofs
    • E04B7/022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plane sloping surfaces, e.g. saddle roof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parallel similar trusses or portal frames
    • E04B7/024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plane sloping surfaces, e.g. saddle roof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parallel similar trusses or portal frames the trusses or frames supporting load-bearing purlins, e.g. braced purli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04B2001/199Details of roofs, floors or walls supported by the frame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체형 부재를 포함하는 한옥 벽체의 연결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한옥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기둥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기둥 사이를 연결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의 상측에 상기 지지부재와 나란하게 배치되며, 한옥 지붕의 골격을 형성하는 복수의 서까래를 아래에서 지지하는 도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도리를 지지하는 장여부, 상기 장여부의 하부에 형성되며 소로가 삽입되는 소로방막이부 및 상기 소로방막이부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기둥 사이를 연결하는 창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일체형 부재를 포함하는 한옥 벽체의 연결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한옥 구조물{Connection structure of Korean-style house wall including integrated member and Korean-style house structure with the same}
본 발명은 일체형 부재를 포함하는 한옥 벽체의 연결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한옥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한옥은 한국의 전통 건축 양식으로 축조한 가옥을 일컫는다. 한옥은 초가집, 기와집, 너와집, 귀틀집 등의 여러 양식이 존재하지만, 일반적으로 주로 목재를 이용하여 뼈대를 구성하는 목조 구조의 기와집을 떠올리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한옥은 현대화를 거치면서 도입된 양옥이 급격하게 보급됨에 따라 주변에서 자주 찾아보기는 어렵게 되었지만, 최근 들어 한옥 특유의 아름다움과 장점으로 인해 한옥을 찾는 사람들이 점차 증가하고 있고, 이에따라 한옥을 보급화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다만, 한옥은 한국 전통의 곡선의 미를 잘 드러내고, 자연과 조화되며, 친환경적이고, 구조적으로 안정적이고 견고한 장점이 있으나, 단열이나 방음 등의 효과가 양옥에 비해 부족한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이에, 한옥의 장점을 유지하면서 단열이나 방음 등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한옥의 축조 방식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단열이나 방음 등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일체형 부재를 포함하는 한옥 벽체의 연결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한옥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기둥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기둥 사이를 연결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의 상측에 상기 지지부재와 나란하게 배치되며, 한옥 지붕의 골격을 형성하는 복수의 서까래를 아래에서 지지하는 도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도리를 지지하는 장여부, 상기 장여부의 하부에 형성되며 소로가 삽입되는 소로방막이부 및 상기 소로방막이부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기둥 사이를 연결하는 창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장여부, 상기 소로방막이부 및 상기 창방부를 포함하도록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도리는 장부이음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도리의 사이에는 팽창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한옥 구조물은 전술한 한옥 벽체의 연결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단열이나 방음 등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일체형 부재를 포함하는 한옥 벽체의 연결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한옥 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효과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효과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한옥 벽체의 연결 구조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리와 지지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도리를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지지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목재의 변형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팽창부재를 포함하는 연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2의 X-X'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2의 소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원칙에 기초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부재를 포함하는 한옥 벽체의 연결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한옥 구조물을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한옥 벽체 연결 구조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일 예에 따른 한옥의 벽체 연결 구조를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이는 한옥의 다양한 축조 방식 중 한 방식을 설명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러한 축조 방식에 한정되어 적용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범위에서 다양한 한옥 축조 방식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옥 벽체의 연결 구조는 벽체의 기초 골격을 이루는 기둥과 지붕의 골격을 이루는 서까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기둥은 초석 위에 지면과 수직으로 세워질 수 있고, 기둥은 복수개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기둥은 기둥 사이에 배치되는 부재에 의해 연결되며, 이에 의해 골격은 안정성과 견고함을 확보할 수 있다.
이때, 기둥 사이에는 창방이 배치될 수 있다. 창방은 기둥 사이를 연결하도록 연장되어 형성되는 부재로서, 창방의 양 끝단에는 기둥에 삽입되기 위한 부분이 형성되고, 기둥의 머리 부분에는 창방의 양 끝단이 삽입되기 위한 홈이 형성되어 창방과 기둥은 끼움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도리는 서까래를 받치기 위한 부재로서 기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리는 창방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리의 하측에는 장여가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여는 도리의 하측에 배치되며, 창방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장여는 도리를 떠받치는 부재로서, 도리와 나란한 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한옥 벽체의 연결 구조에는 복수의 기둥을 창방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결하는 부재로서 보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보는 그 끝단이 기둥의 머리에 연결될 수 있고, 이 경우 보와 창방은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장여는 보와 기둥의 머리가 연결되는 부분에 연결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장여는 보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창방과 장여와 도리는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고, 보는 이들과 수직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장여와 창방의 사이에는 장여의 하중을 받치면서 목재의 변형을 방지하는 소로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소로는 장여와 창방의 사이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고, 나머지는 외부로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소로는 장여와 창방의 사이에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고, 이 경우 소로와 소로를 연결하는 위치에 소로방막이가 배치될 수 있다. 즉, 소로방막이는 장여 및 창방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장여와 창방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창방의 하측에는 인방이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인방은 창방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인방은 복수개가 구비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리(100)와 지지부재(2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도리(100)를 아래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의 지지부재(200)의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옥 벽체의 연결 구조는 도리(100)와 지지부재(2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리(100)와 지지부재(200)는 목재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도리(100)와 지지부재(200)는 나무를 깎아 만드는 부재일 수 있다.
도리(100)는 한옥 지붕의 골격을 형성하는 복수의 서까래의 아래에 배치되어 서까래를 지지하는 부재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도리(100)는 개략적으로 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납도리(100)일 수 있다.
도리(100)는 길이를 갖도록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리(100)는 적어도 두 기둥을 연결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도리(100)는 한옥 구조물을 한 방향으로 모두 가로지를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가질 수 있고, 한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서까래를 모두 지지할 수도 있다.
도리(100)는 제1 상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상부(110)는 도리(100)의 위쪽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제1 상부(110)에는 서까래가 얹혀질 수 있고, 이에 따라 도리(100)는 서까래를 지지할 수 있다.
제1 상부(110)는 제1 상면(11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상면(111)은 제1 상부(110)의 평평한 면일 수 있다. 이처럼 도리(100)는 평평한 제1 상면(111)을 포함하므로, 도리(100)의 제작과정이 용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리(100)를 굴곡지게 형성하는 것에 비해 일면을 평평하게 깎음으로써 도리(100)의 제조공정이 용이해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상부(110)는 제1 모따기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모따기부(112)는 제1 상면(111)의 양측에 완만한 곡선형으로 형성되는 부분일 수 있다. 따라서, 도리(100)의 제1 상부(110)에는 각진 모서리 부분이 없게 되므로 작업자는 도리(100)를 안전하게 취급할 수 있다. 또한, 제1 모따기부(112)는 완만한 곡선형으로 형성되므로, 도리(100)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다른 부재에 도리(100)의 모서리가 걸리더라도 자연스럽게 미끄러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모따기부(112)의 완만한 곡선으로 인해 한옥 특유의 심미감이 향상될 수 있다.
도리(100)는 제1 측면(1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측면(120)은 도리(10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양 끝단의 면을 의미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측면(120)은 평평한 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도리(100)의 제작과정은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한옥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도리(100)의 끝단에 다른 부재가 연결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제1 측면(120)은 평평하게 형성됨으로써 다른 부재와의 연결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도 있다.
지지부재(200)는 기둥 사이에 배치되어 기둥 사이를 연결하는 부재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지부재(200)는 서로 인접한 기둥을 연결하도록 기둥을 가로질러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재(200)와 도리(100)는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도리(100)는 지지부재(200)의 상부에 나란하게 얹혀질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지지부재(200)는 장여부(210), 소로방막이부(220) 및 창방부(23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장여부(210), 소로방막이부(220) 및 창방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지지부재(200)는 장여부(210), 소로방막이부(220) 및 창방부(23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도록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장여부(210), 소로방막이부(220) 및 창방부(230)를 포함하도록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목재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형이 일어나는 재료이므로 여러 부재가 조립되는 경우 목재의 변형에 의해 틈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재(200)는 장여부(210), 소로방막이부(220) 및 창방부(230)를 포함하도록 일체로 형성되어 틈의 발생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장여부(210)는 지지부재(200)의 최상단에 위치하여 도리(100)를 지지할 수 있다. 즉, 도리(100)는 장여부(210)의 상부에 거치되어 지지될 수 있다.
장여부(210)는 제2 상부(21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상부(211)는 장여부(210)의 위쪽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제2 상부(211)에는 도리(100)가 얹혀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장여부(210)는 도리(100)를 지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지지부재(200)와 도리(100)는 장부이음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지부재(200)의 상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촉이 형성될 수 있고, 도리(100)의 하부에는 촉이 삽입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도리(100)는 제1 하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부(130)는 도리(100)의 아래쪽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제1 하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홈(131)과 제1 촉(132)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재(200)는 제2 상부(21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상부(211)는 지지부재(200)의 위쪽 부분을 의미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장여부(210)의 상단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제2 상부(211)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촉(2111)과 제2 홈(21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홈(131)은 제2 촉(2111)이 삽입되는 부분이고, 제2 홈(2112)은 제1 촉(132)이 삽입되는 부분일 수 있다.
제1 홈(131)은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고, 예를 들면 제1 하부(130)에 도리(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두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홈(131)은 제1 하부(130)에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두 개의 제1 홈(131)의 사이에는 자연스럽게 제1 촉(132)이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촉(2111)은 제1 홈(131)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예를 들면, 장여부(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두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촉(2111)은 제2 상부(211)에서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촉(2111)의 사이에는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2 홈(2112)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리(100)와 장여부(210)는 서로 장부이음 될 수 있다. 즉, 장여부(210)의 제2 상부(211)에 형성된 제2 촉(2111)은 도리(100)의 제1 홈(131)에 삽입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도리(100)의 제1 하부(130)에 형성된 제1 촉(132)은 장여부(210)의 제2 홈(2112)에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리(100)와 장여부(210)는 적어도 하나의 촉을 통해 장부이음 방식으로 연결됨으로써 견고하게 조립될 수 있고, 도리(100)와 장여부(210)는 서로로부터 이탈하지 않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도리(100)와 장여부(210)가 장부이음 됨으로써 도리(100)와 장여부(210)의 연결면은 요철이 반복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공기나 열 또는 소리의 이동경로가 복잡해져 단열효과 및 방음효과가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하부(130)는 제2 모따기부(1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모따기부(133)는 제1 하부(130)의 양 측면에 완만한 곡선형으로 형성되는 부분일 수 있다. 따라서, 도리(100)의 제1 하부(130)에는 각진 모서리 부분이 줄어들게 되므로 작업자는 도리(100)를 안전하게 취급할 수 있다. 또한, 제2 모따기부(133)는 완만한 곡선형으로 형성되므로, 도리(100)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다른 부재에 도리(100)의 모서리가 걸리더라도 자연스럽게 미끄러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 모따기부(133)의 완만한 곡선으로 인해 한옥 특유의 심미감이 향상될 수 있다.
장여부(210)는 제2 측면(2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측면(212)은 장여부(21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양 끝단의 면을 의미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측면(212)은 평평한 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지부재(200)가 도리(100)와 대응되는 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되고, 창방부(230)만이 주두(기둥의 머리)에 내삽되는 경우에는 제2 측면(212)은 평평하게 형성되어 장여부(210)의 제작과정이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한옥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장여부(210)의 끝단에 다른 부재가 연결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제2 측면(212)은 평평하게 형성됨으로써 다른 부재와의 연결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지지부재(200)가 기둥과 기둥 사이를 연결할 만큼의 길이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지지부재(200) 전체가 주두에 내삽되는 경우에는 제2 측면(212)에는 주두에 내삽되기 위한 연결구조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 경우 제2 측면(212)에는 주두에 삽입되기 위한 촉이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소로방막이부(220)는 소로(300)가 내삽되는 부분일 수 있다.
소로방막이부(220)는 장여부(21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소로방막이부(220)는 장여부(210)보다 좁은 폭을 갖도록 내측으로 움푹 패이도록 형성되는 소로 삽입홈(221)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소로(300)는 쪽소로일 수 있다. 즉, 소로(300)는 중심을 가로지르도록 갈이 형성되는 소로가 아닌 지지부재(200)의 양측에 내삽되도록 분리되어 형성되는 소로일 수 있다.
소로(300)에 대해서는 자세하게 후술한다.
창방부(230)는 소로방막이부(220)의 하부에 형성되며 기둥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즉, 창방부(230)는 기둥 사이를 연결하여 기둥 간의 간격을 유지시킴과 동시에 지붕의 하중을 기둥에 균일하게 전달할 수 있다.
창방부(230)는 제3 측면(231)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측면(231)은 창방부(23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양 끝단의 면을 의미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3 측면(231)은 평평한 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지부재(200)가 도리(100)와 대응되는 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되고, 창방부(230)의 양 끝이 아닌 사이 부분이 주두에 내삽되는 경우에는 제3 측면(231)은 평평하게 형성되어 창방부(230)의 제작과정이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한옥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창방부(230)의 끝단에 다른 부재가 연결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제3 측면(231)은 평평하게 형성됨으로써 다른 부재와의 연결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지지부재(200)가 기둥과 기둥 사이를 연결할 만큼의 길이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경우에는 제3 측면(231)에는 주두에 내삽되기 위한 연결구조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 경우 제3 측면(231)에는 주두에 삽입되기 위한 촉이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된 도리(100)와 지지부재(200)는 편의상 짧게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도리(100)와 지지부재(200)는 도면에 도시된 것보다 길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리(100)는 그 위에 얹혀지는 서까래를 모두 받을 수 있을 만큼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200)는 적어도 기둥과 기둥 사이를 연결할 수 있을 만큼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지지부재(200)는 도리(100)의 길이에 대응되는 만큼 연장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6은 목재의 변형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목재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틈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목재로 구성되는 부재가 서로 조리된 후 시간이 지나게 되면, 각 부분은 변형되거나 수축하게 되고, 이로 인해 각 부재가 연결된 부분에는 틈이 발생하게 된다.
이는, 한옥의 구조적 안정성을 약화시킴은 물론이고, 그 틈을 통해 열이나 소리가 새어나가게 되므로 한옥의 단열이나 방음효과가 감소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목재로 이루어지는 구성을 일체화하여 틈의 발생 가능성을 낮출 수 있고, 이에 더하여 목재가 수축되더라도 틈을 메울 수 있는 부재를 배치하여 열이나 소리의 통로를 차단할 수 있다.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팽창부재(400)를 포함하는 연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2의 X-X'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도리(100)와 지지부재(200)의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팽창부재(400)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팽창부재(400)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팽창하는 테이프일 수 있다. 즉, 팽창부재(400)는 목재가 접합되는 부분에 배치되어 목재가 변형되거나 수축하는 경우 그 접합부분에서 팽창하여 그 틈을 메워줄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도 9를 참조하면, 도리(100)와 장여부(210)는 조립과정에서 제1 홈(131)에 제2 촉(2111)이 삽입되고, 제2 홈(2112)에 제1 촉(132)이 삽입되어 완전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리(100)와 장여부(210)가 접촉되는 부분에는 팽창부재(400)가 배치되어 도리(100)와 장여부(210)의 접촉부분에 발생할 수 있는 틈을 완전히 메울 수 있다.
구체적 실시예로서, 팽창부재(400)는 도리(100)에 형성되는 두 개의 제1 홈(131)과 장여부(210)에 형성되는 두 개의 제2 촉(2111)의 접촉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팽창부재(400)는 제1 홈(131)과 제2 촉(21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홈(131)과 제2 촉(2111)의 사이에는 틈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어 단열효과와 방음효과가 크게 향상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필요에 따라 팽창부재(400)는 도리(100)에 형성되는 제1 촉(132)과 장여부(210)에 형성되는 제2 홈(2112)의 사이에 더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리(100)와 장여부(210)의 변형이나 수축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틈을 더욱 완전하게 메우게 되므로 단열효과와 방음효과는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도 10은 도 2의 소로(3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소로(300)는 소로 삽입홈(221)에 내삽되는 삽입부(310)와 소로 삽입홈(221)에 삽입되지 않는 돌출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부(310)는 삽입부 상면(311)과 삽입부 상면(312)을 포함할 수 있다. 삽입부 상면(311)은 삽입부(310)의 상단면을 의미할 수 있고, 삽입부 상면(312)은 삽입부(310)의 하단면을 의미할 수 있다.
삽입부 상면(311)으로부터 삽입부(310)의 하면까지의 길이는 소로방막이부(220)의 소로 삽입홈(221)의 높이와 같을 수 있다. 따라서, 소로(300)는 소로 삽입홈(221)에 삽입되어 지지부재(200)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형되거나 수축하더라도 장여부(210)와 창방부(230)의 사이 거리를 유지시킬 수 있다. 즉, 소로(300)는 지지부재(200)의 변형을 최소화하도록 그 힘을 지지할 수 있다.
돌출부(320)는 소로(300) 중 소로 삽입홈(221)에 삽입되지 않는 부분으로서 소로(300)가 소로 삽입홈(221)에 내삽되었을 때, 소로 삽입홈(221)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일 수 있다.
이로 인해, 돌출부(320)는 소로방막이부(22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한옥 구조물의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소로(300)는 소로방막이부(220)를 따라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즉, 소로 삽입홈(221)은 소로방막이부(2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고, 소로(300)는 소로 삽입홈(221)에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부재(200)의 변형을 더욱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한옥 벽체의 연결 구조를 이루는 장여부(210), 소로방막이부(220) 및 창방부(230)를 일체로 형성하여 목재의 변형에 따른 틈의 발생을 차단함으로써 단열효과의 감소 및 방음효과의 감소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리(100)와 지지부재(200)를 장부이음 방식으로 연결함으로써 그 체결을 견고하게 함과 동시에 그 조립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리(100)와 지지부재(200)가 장부이음 방식으로 연결됨으로써 도리(100)와 장여부(210)의 연결면은 요철이 반복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공기나 열 또는 소리의 이동경로가 복잡해져 단열효과 및 방음효과가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도리(100)와 지지부재(200)의 연결부분, 즉 도리(100)와 장여부(210)의 촉과 홈 사이에 팽창부재(400)를 배치함으로써 단열효과와 방음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목재의 변형이나 수축에 의해 틈이 발생할 수 있는 부분에 팽창부재(400)를 배치함으로써 단열효과 및 방음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종래에는 목재와 목재 사이에 폴리우레탄(polyurethane)과 같은 실란트를 도포하여 단열 및 차음을 도모하였다. 이 경우 시공 당시 또는 시공 후 일정 기간 동안에는 단열효과와 방음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나 목재의 변형이나 수축에 의해 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는 없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는 달리 본 발명은 단열 및 차음을 위해, 종래의 실란트가 아닌 팽창부재(400)를 배치함으로써 단열효과 및 방음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실시예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실시 예들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실시 예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00: 도리
200: 지지부재
210: 장여부
220: 소로방막이부
230: 창방부
300: 소로
400: 팽창부재

Claims (5)

  1. 기둥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기둥 사이를 연결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의 상측에 상기 지지부재와 나란하게 배치되며, 한옥 지붕의 골격을 형성하는 복수의 서까래를 아래에서 지지하는 도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도리를 지지하는 장여부;
    상기 장여부의 하부에 형성되며 소로가 삽입되는 소로방막이부; 및
    상기 소로방막이부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기둥 사이를 연결하는 창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리는 제1 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하부는 상기 도리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촉과 상기 제1 촉의 양 옆에 각각 나란하게 형성되는 제1 홈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제2 상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상부는 상기 지지부재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홈과 상기 제2 홈의 양 옆에 각각 나란하게 형성되는 제2 촉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도리는,
    상기 제1 촉이 상기 제2 홈에 내삽되고, 상기 제2 촉이 상기 제1 홈에 삽입되는 장부이음 방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도리가 연결되는 부분 중 상기 제1 홈과 상기 제2 촉 사이에만 배치되는 팽창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팽창부재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도리의 적어도 일부가 변형되는 경우 팽창하는 테이프이고,
    상기 팽창부재는,
    상기 제1 홈 및 상기 제2 촉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한옥 벽체의 연결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장여부, 상기 소로방막이부 및 상기 창방부를 포함하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한옥 벽체의 연결 구조.
  3. 삭제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한옥 벽체의 연결 구조를 포함하는, 한옥 구조물.
KR1020220088572A 2022-07-18 2022-07-18 일체형 부재를 포함하는 한옥 벽체의 연결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한옥 구조물 KR1026543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8572A KR102654328B1 (ko) 2022-07-18 2022-07-18 일체형 부재를 포함하는 한옥 벽체의 연결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한옥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8572A KR102654328B1 (ko) 2022-07-18 2022-07-18 일체형 부재를 포함하는 한옥 벽체의 연결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한옥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1042A KR20240011042A (ko) 2024-01-25
KR102654328B1 true KR102654328B1 (ko) 2024-04-04

Family

ID=89722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8572A KR102654328B1 (ko) 2022-07-18 2022-07-18 일체형 부재를 포함하는 한옥 벽체의 연결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한옥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432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2959B1 (ko) * 2012-09-12 2014-06-02 이규인 결구식 경량 목구조 개량형 한옥
KR101880666B1 (ko) * 2017-07-17 2018-07-20 주식회사 고진케이우드 기밀성 향상된 한옥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2959B1 (ko) * 2012-09-12 2014-06-02 이규인 결구식 경량 목구조 개량형 한옥
KR101880666B1 (ko) * 2017-07-17 2018-07-20 주식회사 고진케이우드 기밀성 향상된 한옥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비특허문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1042A (ko) 2024-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18805B2 (en) Modular framing system and a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US10858822B2 (en) Construction and method for constructing same
ES2251230T3 (es) Elemento delimitador de espacio a partir de elementos prefabricados, como paredes exteriores, paredes divisorias y techos o similares y procedimiento para su construccion.
US20080245025A1 (en) Building system
KR20170017390A (ko) 구조 부재를 결속하는 확장 브라켓을 갖는 커튼 월 시스템
KR102654328B1 (ko) 일체형 부재를 포함하는 한옥 벽체의 연결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한옥 구조물
AU2006289285A1 (en) Building system for constructing walls
KR102654334B1 (ko) 한옥 벽체의 연결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한옥 구조물
KR102041344B1 (ko) 커튼월 시스템
DK2896761T3 (en) Modular base element as well as longitudinal support, plank and panel, formed by such base elements
KR20110015899A (ko) 스틸 커튼 월 시스템의 수직프레임 및 프레임 결합구조
CN215888728U (zh) 一种卫生间阳角结构
JP7504111B2 (ja) 建物間柱、このような建物間柱を備える壁構造体、及び壁構造体を形成するための方法
JP2000192574A (ja) 建物の壁構造及び建物の壁の構築方法
KR101200012B1 (ko) 창호 프레임용 연결구
JP2006207340A (ja) パネル組み立て式パーティション
JP5965324B2 (ja) 建物の断熱構造
KR102556913B1 (ko) 한옥 지붕의 연결 구조, 이를 포함하는 한옥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JP6830709B1 (ja) ログハウス
JP7266726B1 (ja) 連結構造
FI119779B (fi) Seinäelementti
KR200309132Y1 (ko) 천정판 지지부재
KR101614936B1 (ko) 조립식 마감 패널
JP3537296B2 (ja) ユニット建物
JP2966802B2 (ja) 外壁パネルシステ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