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3935B1 - 그라우팅 재료 주입용 지수판 및 그 연결부재 - Google Patents

그라우팅 재료 주입용 지수판 및 그 연결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3935B1
KR102653935B1 KR1020220069407A KR20220069407A KR102653935B1 KR 102653935 B1 KR102653935 B1 KR 102653935B1 KR 1020220069407 A KR1020220069407 A KR 1020220069407A KR 20220069407 A KR20220069407 A KR 20220069407A KR 102653935 B1 KR102653935 B1 KR 1026539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top
stop plate
insertion groove
central portion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9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68751A (ko
Inventor
이인길
서복선
Original Assignee
대룡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룡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룡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69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3935B1/ko
Publication of KR20230168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87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3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39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6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in foundation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3Injection of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450/00Gas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Bulkheads Adapted To Foundation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라우팅 재료를 주입하여 벽사이 틈을 메우는 지수판 및 그 지수판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재에 관한 것으로 지수판 연결부재는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에 각각 제1 노즐과 제2 노즐이 형성되어 제1 노즐에 그라우팅 재료가 주입되면 제2 노즐을 통해 그라우팅 재료가 흘러 나오는 것을 보고 중공홀에 그라우팅 재료가 가특 차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그라우팅 재료 주입용 지수판 및 그 연결부재{Water Stop Plate for Grouting Material Injection and Its Connecting Member}
본 발명은 그라우팅 재료를 주입하여 벽사이 틈을 메우는 지수판 및 그 지수판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재에 관한 것이다.
지수판은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벽의 이음매에 설치되어 벽 외측에서 내측으로 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75649에 소개된 지수판에 대해 도시하고 있다.
도 1 및 도 2의 종래 지수판(10)은 몸체부(20), 하단부(50), 방수부(40), 및 측방지지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몸체부(20)의 일단에는 돌기부(22)가 형성되며 타단에는 상기 돌기부(22)가 형합되어 고정될 수 있는 결합홈(25)이 형성되며, 이를 통해, 복수의 지수판(10)이 상호 연결되어 콘크리트 적층경계부의 방수를 위하여 설치된다.
하단부(50)는 소정길이 하측으로 연장되어 거푸집(60) 사이로 채워진 1단 콘크리트 적층부(71)가 굳기 전에 그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고정된다.
방수부(40)는 몸체부(20)와 일체로 압출성형되되, 2단 콘크리트 적층부의 하부를 가로질러 배치되도록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1단 콘크리트 적층부(71)에 하단부(50)가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1단 콘크리트 적층부(71) 양측 상부에 새로이 설치되는 거푸집(미도시) 사이로 2단 콘크리트 적층부(미도시)가 채워지며, 이때, 2단 콘크리트 적층부의 하부에 방수부(40)가 직립된 채로 배치된다.
도 1 및 도 2에서는 상하의 콘크리트 벽에 대한 시공을 도시 하였지만, 콘크리트 벽이 수평으로 연속 시공되는 경우로서 콘크리트 벽의 이음매가 수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종래의 위와 같은 지수판은 물이 시공 후에 물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예컨대 이음매를 통해 벽 외측으로부터 침수가 시작되면 지수판의 외면을 타고 흘러 궁극적으로는 콘트리트 벽 내면까지 도달할 수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종래의 적어도 하나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침수가 발생한 경우 그라우팅 재료를 주입하여 침수 유로를 차단할 수 있는 인젝션 타입의 지수판과 그 지수판을 서로 연결하여 지수판의 길이를 연장하되 그라우팅 재료를 지수판의 중공부로 주입하는 연결부가 구비되는 지수판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그라우팅 재료 주입용 지수판 및 그 연결부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의한 그라우팅 재료 주입용 지수판 조립체는 제1 중앙부와 상기 제1 중앙부 일측에서 연장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중앙부와 상기 제1 연장부 중 적어도 하나에 내부로 그라우팅 재료가 주입되도록 제1 중공홀이 형성된 제1 지수판; 제2 중앙부와 상기 제2 중앙부 일측에서 연장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중앙부와 상기 제2 연장부 중 적어도 하나에 내부로 그라우팅 재료가 주입되도록 제2 중공홀이 형성된 제2 지수판; 일측에 상기 제1 지수판의 일단이 삽입되도록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1 삽입홈이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제2 지수판의 일단이 삽입되도록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1 삽입홈의 반대방향으로 형성된 제2 삽입홈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 삽입홈에 결합된 상기 제1 지수판의 상기 제1 중공홀 내부와 상기 본체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삽입홈에 결합된 상기 제2 지수판의 상기 제2 중공홀 내부와 상기 본체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는, 측면에는 제1 연결홀이 형성되며 길이방향 일단은 폐쇄되고 타단은 개방되되 상기 제1 삽입홈에 노출되는 제1 연결관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연결부는, 측면에는 제2 연결홀이 형성되며 길이방향 일단은 폐쇄되고 타단은 개방되되 상기 제2 삽입홀에 노출되는 제2 연결관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는, 일단은 상기 제1 연결홀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본체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제1 노즐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2 연결부는, 일단은 상기 제2 연결홀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본체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제2 노즐을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관 및 상기 제2 연결관은 상기 타단이 상기 제1 삽입홈 및 상기 제2 삽입홈에 노출된 상태로 상기 본체에 인서트 사출되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관과 상기 제2 연결관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연결관과 상기 제2 연결관이 연결되는 부분의 외면에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플랜지부;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의한 그라우팅 재료 주입용 지수판 연결부재는 일측에 제1 지수판의 일단이 삽입되도록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1 삽입홈이 형성되고 타측에 제2 지수판의 일단이 삽입되도록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1 삽입홈의 반대방향으로 형성된 제2 삽입홈이 형성된 본체; 상기 제1 삽입홈에 결합된 상기 제1 지수판의 제1 중공홀 내부와 상기 본체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삽입홈에 결합된 상기 제2 지수판의 제2 중공홀 내부와 상기 본체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의한 그라우팅 재료 주입용 지수판 조립체는 제1 중앙부와 상기 제1 중앙부 일측에서 연장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중앙부와 상기 제1 연장부 중 적어도 하나에 내부로 그라우팅 재료가 주입되도록 제1 중공홀이 형성된 제1 지수판; 제2 중앙부와 상기 제2 중앙부 일측에서 연장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중앙부와 상기 제2 연장부 중 적어도 하나에 내부로 그라우팅 재료가 주입되도록 제2 중공홀이 형성된 제2 지수판; 일측에 상기 제1 지수판의 일단이 삽입되도록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1 삽입홈이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제2 지수판의 일단이 삽입되도록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1 삽입홈의 반대방향으로 형성된 제2 삽입홈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제1 삽입홈에 결합된 상기 제1 지수판의 상기 제1 중공홀 내부와 상기 제2 삽입홈에 결합된 상기 제2 지수판의 상기 제2 중공홀 내부를 연통시키는 연통부를 포함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의한 그라우팅 재료 주입용 지수판 연결부재는 일측에 제1 지수판의 일단이 삽입되도록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1 삽입홈이 형성되고 타측에 제2 지수판의 일단이 삽입되도록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1 삽입홈의 반대방향으로 형성된 제2 삽입홈이 형성된 본체; 상기 제1 삽입홈에 결합된 상기 제1 지수판의 제1 중공홀 내부와 상기 제2 삽입홈에 결합된 상기 제2 지수판의 제2 중공홀 내부를 연통시키는 연통부를 포함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지수판 연결부재는 지수판을 서로 연결하면서 지수판 내부에 그라우팅 재료를 주입할 수 있는 효과를 달성한다.
또한, 지수판 연결부재는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에 각각 제1 노즐과 제2 노즐이 형성되어 제1 노즐에 그라우팅 재료가 주입되면 제2 노즐을 통해 그라우팅 재료가 흘러 나오는 것을 보고 중공홀에 그라우팅 재료가 가특 차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호스, 중공홀 및 제2 호스가 U자형으로 연결되어 있어 제1 호스측을 가압하면 중공홀에 차있는 그라우팅 재료가 제2 호스로 빠져나오게 할 수 있는 효과를 달성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지수판 연결부재는 침수가 발생한 경우 그라우팅 작업이 가능하도록 지수판을 연결할 때 중공부가 서로 연통되도록 연결하는 효과를 달성한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지수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지수판이 시공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하나의 실시예에 의한 지수판 조립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하나의 실시예에 의한 지수판 조립체의 하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은 하나의 실시예에 의한 지수판 조립체의 연결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는 하나의 실시예에 의한 지수판 조립체의 연결부재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하나의 실시예에 의한 지수판 조립체의 연결부재에서 제1 노즐과 제2 노즐이 제거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는 하나의 실시예에 의한 지수판 조립체의 연결부재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제1 연결관 및 제2 연결관이 일체로 형성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는 다른 실시예에 의한 지수판 조립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의한 지수판 조립체의 연결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다른 실시예에 의한 지수판 조립체의 연결부재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제1 및 제2 지수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제1 노즐과 제2 노즐에 제1 호스 및 제2 호스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그 대상이 되는 복수 항목들의 여하한 조합의 경우를 모두 포함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컨대, “A 및/또는 B”는 “A”, “B”, “A 및 B” 등 3 가지 경우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들이 기판, 각층(막), 영역, 패드 또는 패턴들의 "상/위(on)"에 또는 "하/아래(under)"에 형성된다는 기재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층을 개재하여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상/위” 또는 “하/아래”에 대한 기준은 편의상 도면에 도시된 모습을 기준으로 하며, 구성요소들 간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편의상 나타내기 위해 사용될 뿐, 실제 구성요소들의 위치를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되서는 안 된다. 예컨대, “위 B”는 달리 언급되지 않거나 또는 A나 B의 속성 상 A가 B 위에 위치되지 않으면 안되는 경우가 아니라면, 도면 상에서 A 위에 B가 도시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것일 뿐이며, 실제 실시 제품 등에서는 B가 A 밑에 위치할 수도 있고, B와 A가 옆으로 좌우 배치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도면에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하여 변형될 수 있으므로,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그라우팅 재료 주입용 지수판 조립체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수판(100), 제2 지수판(190) 및 연결부재(280)를 포함한다.
제1 지수판(100)은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길게 형성된다. 그 길이는 콘크리트 벽 시공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수평형 이음매에 설치될 수도 있고, 수직형 이음매에 설치될 수도 있다.
제1 지수판(100)은 제1 중앙부(110), 제1-1 연장부(160), 제1-2 연장부(170) 및 제1 중공부를 포함한다.
제1 중앙부(110)는 단면이 원형이며,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내부에는 후술할 제1 중공홀(130)이 형성된다.
제1-1 연장부(160)는 플레이트 형상이며, 제1 중앙부(110)의 외면 일측에서 연장 형성된다.
제1-2 연장부(170)는 플레이트 형상이며, 제2 중앙부(200) 외면 타측에서 연장 형성되되 제1-1 연장부(160)가 형성된 부분의 반대측에 형성된다.
제1 중공홀(130)은 제1 중앙부(110), 제1 연장부 및 제2 연장부 중 적어도 하나에 내부로 그라우팅 재료가 주입되도록 제1 중앙부(110) 내부에 형성된다.
제1 지수판(100)은 콘크리트 타설물을 부어 제1 콘크리트 벽을 형성할 때 그 타설물이 경화되기 전에 제1-1 연장부(160) 측을 삽입하여 설치한 후 타설물을 경화시켜 제1 콘크리트 벽에 제1-1 연장부(160)를 매립 경화시키고, 다음으로 연속하는 다음 콘트리트 벽을 위해 제1-2 연장부(170)를 매립하도록 콘크리트 타설물을 붓고 경화시켜 제2 콘크리트 벽을 형성한다.
제1 지수판(100)의 제1 중앙부(110)에는 제1 주입부가 형성된다. 제1 주입부는 제1 중앙부(110)에 형성된 제1 중공홀(130)을 포함하며, 후술할 제1 중공홀(130)과 제1 중앙부(110) 외면을 관통시키는 제1 분출홀(도면상의 제1 커버부(180)에 가려져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2 분출홀(230)과 동일하므로 제2 분출홀(230)을 참조)을 포함한다.
제1 분출홀(미도시)은 도 4에 보이는 바와 같이 중앙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정 거리마다 반복하여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 분출홀은 원주방향을 따라서는 지그재그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분출홀은 그라우팅 재료가 외부로 분출될 수 있는 크기이면 무방하다.
또한, 제1 중앙부(110)의 외주면에는 그 내면 바닥에 제1 분출홀이 형성된 제1 오목홈(150)이 형성된다. 제1 오목홈(150)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제1 지수판(100)은 압출을 통해 일체적으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상기에 언급한 제1 분출홀은 압출 이후에 별도의 가공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제1 중앙부(110)의 외면에는 제1 분출홀을 막기 위한 제1 커버부(180)가 설치된다.
제1 커버부(180)는 제1 오목홈(150)에 설치되며, 제1 커버부(180)도 제1 지수판(100)의 길이와 동일하게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제1 커버부(180)는 적어도 그라우팅 재료가 액상으로 주입될 때 그것을 투과시킬 수 있도록 투과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시적으로, 제1 커버부(180)는 발포 재질로 만들어진다. 또한, 예시적으로 제1 커버부(180)는 투과성의 스펀지, 고무, 부직포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제1 커버부(180)는 마이크로 시멘트, 우레탄 등이 투과될 수 있는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제1 커버부(180)는 비투과성 재질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비투과성 재질인 경우에는 제1 커버부(180)와 중앙부의 경계면을 통해 그라우팅 액이 분출될 수 있다.
또한, 제1 커버부(18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투과성 재질로 만들어지고, 제1 분출홀을 덮는 일부에 비투과성 코팅층이 형성될 수도 있다. 비투과성 코팅층은 콘크리트 벽 양생 작업 시에 제1 분출홀을 덮어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그라우팅 작업 시에는 제1 분출홀로 분출되는 그라우팅 액의 압력에 의해 제1 분출홀과의 사이에 틈을 허용함으로써 그라우팅 액의 분출을 허용한다.
제2 지수판(190)은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길게 형성된다.
제2 지수판(190)은 제2 중앙부(200), 제2-1 연장부(250), 제2-2 연장부(260) 및 제2 중공부를 포함한다.
제2 중앙부(200)는 단면이 원형이며,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내부에는 후술할 제2 중공홀(도 13의 제1 중공홀(130)과 동일함)이 형성된다.
제2-1 연장부(250)는 플레이트 형상이며, 제2 중앙부(200)의 외면 일측에서 연장 형성된다.
제2-2 연장부(260)는 플레이트 형상이며, 제2 중앙부(200) 외면 타측에서 연장 형성되되 제2-1 연장부(250)가 형성된 부분의 반대측에 형성된다.
제2 중공홀은 제2 중앙부(200), 제2-1 연장부(250) 및 제2-2 연장부(260) 중 적어도 하나에 내부로 그라우팅 재료가 주입되도록 제2 중앙부(200) 내부에 형성된다.
제2 지수판(190)은 콘크리트 타설물을 부어 제1 콘크리트 벽을 형성할 때 그 타설물이 경화되기 전에 제2-1 연장부(250) 측을 삽입하여 설치한 후 타설물을 경화시켜 제1 콘크리트 벽에 제-1 연장부를 매립 경화시키고, 다음으로 연속하는 다음 콘트리트 벽을 위해 제2-2 연장부(260)를 매립하도록 콘크리트 타설물을 붓고 경화시켜 제2 콘크리트 벽을 형성한다.
제2 지수판(190)의 제2 중앙부(200)에는 제2 주입부가 형성된다. 제2 주입부는 제2 중앙부(200)에 형성된 제2 중공홀(도 13의 제1 중공홀 참조)을 포함하며, 제2 중공홀(미도시)과 제2 중앙부(200) 외면을 관통시키는 제2 분출홀(230)을 포함한다.
제2 분출홀(230)은 도 4에 보이는 바와 같이 중앙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정 거리마다 반복하여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2 분출홀(230)은 원주방향을 따라서는 지그재그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분출홀(230)은 그라우팅 재료가 외부로 분출될 수 있는 크기이면 무방하다.
또한, 제2 중앙부(200)의 외주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면 바닥에 제1 분출홀이 형성된 제2 오목홈(240)이 형성된다. 제2 오목홈(240)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제2 지수판(190)은 압출을 통해 일체적으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상기에 언급한 제2 분출홀(230)은 압출 이후에 별도의 가공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제2 중앙부(200)의 외면에는 제2 분출홀(230)을 막기 위한 제2 커버부(270)가 설치된다.
제2 커버부(270)는 제2 오목홈(240)에 설치되며, 제2 커버부(270)도 제2 지수판(190)의 길이와 동일하게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제2 커버부(270)는 적어도 그라우팅 재료가 액상으로 주입될 때 그것을 투과시킬 수 있도록 투과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시적으로, 제2 커버부(270)는 발포 재질로 만들어진다. 또한, 예시적으로 제2 커버부(270)는 투과성의 스펀지, 고무, 부직포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제2 커버부(270)는 마이크로 시멘트, 우레탄 등이 투과될 수 있는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제2 커버부(270)는 비투과성 재질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비투과성 재질인 경우에는 제2 커버부(270)와 중앙부의 경계면을 통해 그라우팅 액이 분출될 있다.
또한, 제2 커버부(27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투과성 재질로 만들어지고, 제2 분출홀(230)을 덮는 일부에 비투과성 코팅층이 형성될 수도 있다. 비투과성 코팅층은 콘크리트 벽 양생 작업 시에 제1 분출홀을 덮어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그라우팅 작업 시에는 제2 분출홀(230)로 분출되는 그라우팅 액의 압력에 의해 제2 분출홀(230)과의 사이에 틈을 허용함으로써 그라우팅 액의 분출을 허용한다.
제2 지수판(190)은 상기에 언급한 제1 지수판과 형상이 동일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그라우팅 재료 주입용 지수판 조립체의 연결부재를 설명한다.
연결부재(280)는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90), 제1 연결부(320), 제2 연결부(330)를 포함한다.
본체(290)는 일측에 제1 지수판(100)의 일단이 삽입되도록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1 삽입홈(300)이 형성된다. 제1 삽임홈은 제1 지수판(100)의 단면과 동일한 형상일 수 있다.
본체(290)는 타측에 제2 지수판(190)의 일단이 삽입되도록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되 제1 삽입홈(300)의 반대방향으로 형성된 제2 삽입홉(310)이 형성된다. 제2 삽임홈은 제2 지수판(190)의 단면 형상과 동일한 형상일 수 있다.
제1 연결부(320)는 본체(290) 내부에 구비되고, 제1 삽입홈(300)에 결합된 제1 지수판(100)의 제1 중공홀(130) 내부와 본체(290)의 외부를 연통시킨다.
제1 연결부(320)는 측면에 제1 연결홀(360)이 형성되며 길이방향 일단은 폐쇄되고 타단은 개방되되 타단이 제1 삽입홈(300)에 노출되는 제1 연결관(340)을 포함한다. 제1 연결관(340)은 길이 방향 일단은 본체(290) 내부에 인서트 사출되고 타단은 제1 삽입홈(300)의 끝단까지 연장된다.
제1 연결부(320)는 일단은 제1 연결홀(360)과 연결되고, 타단은 본체(290)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제1 노즐(380)을 추가로 포함한다.
제2 연결부(330)는 본체(290) 내부에 구비되고, 제2 삽입홉(310)에 결합된 제2 지수판(190)의 제2 중공홀 내부와 본체(290)의 외부를 연통시킨다.
제2 연결부(330)는 측면에 제2 연결홀(370)이 형성되며 길이방향 일단은 폐쇄되고 타단은 개방되되 타단은 제2 삽입홀에 노출되는 제2 연결관을 포함한다. 제2 연결관은 길이 방향 일단은 본체(290) 내부에 인서트 사출되고 타단은 제2 삽입홉(310)의 끝단까지 연장된다.
제2 연결부(330)는 일단은 제2 연결홀(370)과 연결되고, 타단은 본체(290)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제2 노즐(390)을 추가로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라 제1 연결관(340) 및 제2 연결관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연결관(340)과 상기 제2 연결관이 연결되는 부분의 외면에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플렌지부(400)를 추가로 포함한다.
플렌지부(400)는 일체로 구비된 제1 연결관(340)과 제2 연결관이 본체(290)에 인서트 사출될 때 정 중앙을 유지하고, 본 체내에서 길이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달성한다.
실시예에 따라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체(290)에 제1 삽입홈(300)과 제1 연결부(320)만 형성되도록 하여 제1 지수판(100)과 제2 지수판(190)을 연결하는 것이 아니라 제1 지수판(100)의 일단과 타단을 각각 폐쇄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의한 그라우팅 재료 주입용 지수판 조립체를 설명한다.
다른 실시예의 그라우팅 재료 주입용 지수판 조립체는 제1 지수판(100). 제2 지수판(190) 및 연결부재(401)를 포함한다.
제1 지수판(100)과 제2 지수판(190)의 구성은 상기에 언급한 바와 같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른 실시예의 연결부재(401)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410) 및 연통부(440)를 포함한다.
본체(410)는 일측에 제1 지수판(100)의 일단이 삽입되도록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1 삽입홈(420)이 형성된다. 제1 삽입홈(420)은 제1 지수판(100)의 단면형상과 동일한 형상일 수 있다.
본체(401)는 타측에 제2 지수판(190)의 일단이 삽입되도록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되 제1 삽입홈(420)의 반대방향으로 형성된 제2 삽입홉(430)이 형성된다. 제2 삽입홈(430)은 제2 지수판(190)의 단면과 동일한 형상일 수 있다.
연통부(440)는 제1 삽입홈(420)에 결합된 제1 지수판(100)의 제1 중공홀(130) 내부와 제2 삽입홈(430)에 결합된 제2 지수판(190)의 제2 중공홀 내부를 연통시켜 그라우팅 재료가 제1 중공홀(130)에서 제2 중공홀로 흘러가도록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연통부(440)는 일단은 본체(410)내부에 인서트 사출되고, 타단은 제1 삽입홈(420) 내에서 제1 삽입홈(420)의 입구까지 연장된 제1 연통관(450)을 포함한다.
연통부(440)는 일단은 본체(410) 내부에 인서트 사출되고, 타단은 제2 삽입홈(430) 내에서 제2 삽입홉(430)의 끝단까지 연장된 제2 연통관(460)을 포함한다.
제1 연통관(450)과 상기 제2 연통관(460)이 연결되는 부분의 외면에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플렌지부(400)를 추가로 포함한다.
플렌지부(400)는 일체로 구비된 제1 연통관(450)과 제2 연통관(460)이 본체(290)에 인서트 사출될 때 정 중앙을 유지하고, 본 체내에서 길이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달성한다.
다음으로 도 14를 참조하여 제1 지수판 또는 제2 지수판에 그라우팅 재료가 주입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제1 노즐(380)과 제2 노즐(390)에는 각각 제1 호스(470)와 제2 호스(480)가 연결되며, 제1 호스(470), 제2 호스(480) 및 지수판 본체(290)는 콘크리트 타설 작업시에 매립된다.
그라우팅 재료는 제1 호스(470)를 통해 제1 노즐(380)과 제1 연결부(320)를 거쳐 제1 중공홀(130)로 유입된다. 이 경우 제1 중공홀(130)에 그라우팅 재료가 빈 공간 없이 완전히 유입되었는지 확인할 수가 없고, 제1 중공홀(130)에 차있던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할 경우 그라우팅 재료가 제1 중공홀(130)에 가득차지 못하고 에어포켓이 생기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도 14의 실시예에 보이는 바와 같이, 그라우팅 인렛(490)에 제1 호스(470)와 제2 호스(480)가 연결되고, 그라우팅 인렛(490)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구(500)와 배출구(510)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라우팅 재료가 그라우팅 인렛(490)에 형성된 유입구(500)를 통해 주입되면 중공홀을 거쳐 다른 쪽의 그라우팅 인렛(490)에 형성된 배출구(510)를 통해 그라우팅 재료의 일부가 흘러나오게 된다. 이를 통해 작업자는 중공홀에 그라우팅 재료가 가득찬 것으로 판단하고 배출구(510)를 폐쇄한 상태에서 유입구(500)에 그라우팅 재료를 가압하여 추가로 주입하면 배출구(510)로 빠져나가지 못하는 그라우팅 재료가 분출홀을 통해 분출되어 콘크리트 사이의 틈으로 유입되고 물의 침수를 허용하던 콘크리트 사이에 형성된 물길을 막아 침수를 방지한다.
그라우팅 재료를 가압하여 분출홀로 분출시키는 압력은 순간 압력으로 약 20bar까지 상승할 수 있다. 전술한 커버부(180)는 접착제에 의해 지수판에 접착될 수 있는데, 이때, 사용되는 접착제는 그 접착력이 분출홀에서 분출하는 압력에는 미치지 못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예시적으로 상기 접착제는 5bar 이상의 압력에서 그 접착력을 유지하지 못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라우팅 인렛(490)은 콘크리트 벽에 유입구(500)와 배출구(510)가 노출되도록 매립된다.
이상에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 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제1 지수판
110: 제1 중앙부
130: 제1 중공홀
150: 제1 오목홈
160: 제1-1 연장부
170: 제1-2 연장부
180: 제1 커버부
190: 제2 지수판
200: 제2 중앙부
230: 제2 분출홀
240: 제2 오목홈
250: 제2-1 연장부
260: 제2-2 연장부
270: 제2 커버부
280: 연결부재
290: 본체
300: 제1 삽입홈
310: 제2 삽입홈
320: 제1 연결부
330: 제2 연결부
340: 제1 연결관
350: 제2 연결관
360: 제1 연결홀
370: 제2 연결홀
380: 제1 노즐
390: 제2 노즐
400: 플렌지부
401: 연결부재
410: 본체
420: 제1 삽입홈
430: 제2 삽입홈
440: 연통부
450: 제1 연통관
460: 제2 연통관
461: 플랜지부
470: 제1 호스
480: 제2 호스
490: 그라우팅 인렛
500: 유입구
510: 배출구

Claims (8)

  1. 제1 중앙부와 상기 제1 중앙부 일측에서 연장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중앙부와 상기 제1 연장부 중 적어도 하나에 내부로 그라우팅 재료가 주입되도록 제1 중공홀이 형성된 제1 지수판;
    제2 중앙부와 상기 제2 중앙부 일측에서 연장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중앙부와 상기 제2 연장부 중 적어도 하나에 내부로 그라우팅 재료가 주입되도록 제2 중공홀이 형성된 제2 지수판;
    일측에 상기 제1 지수판의 일단이 삽입되도록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1 삽입홈이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제2 지수판의 일단이 삽입되도록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1 삽입홈의 반대방향으로 형성된 제2 삽입홈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 삽입홈에 결합된 상기 제1 지수판의 상기 제1 중공홀 내부와 상기 본체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삽입홈에 결합된 상기 제2 지수판의 상기 제2 중공홀 내부와 상기 본체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는 연결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부는,
    측면에는 제1 연결홀이 형성되며 길이방향 일단은 폐쇄되고 타단은 개방되되 상기 제1 삽입홈에 노출되는 제1 연결관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연결부는,
    측면에는 제2 연결홀이 형성되며 길이방향 일단은 폐쇄되고 타단은 개방되되 상기 제2 삽입홈에 노출되는 제2 연결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관 및 상기 제2 연결관은,
    상기 타단이 상기 제1 삽입홈 및 상기 제2 삽입홈에 노출되고, 상기 일단은 상기 제1 연결홀 및 상기 제2 연결홀이 상기 본체 외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본체에 인서트 사출되며,
    상기 제1 연결관은,
    일단은 상기 제1 연결홀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본체 외부로 노출되도록 결합되는 제1 노즐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관은,
    일단은 상기 제2 연결홀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본체 외부로 노출되도록 결합되는 제2 노즐을 추가로 포함하는,
    그라우팅 재료 주입용 지수판 조립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관과 상기 제2 연결관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연결관과 상기 제2 연결관이 연결되는 부분의 외면에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플랜지부;
    를 추가로 포함하는,
    그라우팅 재료 주입용 지수판 조립체.
  6. 삭제
  7. 제1 중앙부와 상기 제1 중앙부 일측에서 연장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중앙부와 상기 제1 연장부 중 적어도 하나에 내부로 그라우팅 재료가 주입되도록 제1 중공홀이 형성된 제1 지수판;
    제2 중앙부와 상기 제2 중앙부 일측에서 연장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중앙부와 상기 제2 연장부 중 적어도 하나에 내부로 그라우팅 재료가 주입되도록 제2 중공홀이 형성된 제2 지수판;
    일측에 상기 제1 지수판의 일단이 삽입되도록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1 삽입홈이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제2 지수판의 일단이 삽입되도록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1 삽입홈의 반대방향으로 형성된 제2 삽입홈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제1 삽입홈에 결합된 상기 제1 지수판의 상기 제1 중공홀 내부와 상기 제2 삽입홈에 결합된 상기 제2 지수판의 상기 제2 중공홀 내부를 연통시키는 연통부를 포함하는 연결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연통부는,
    일단은 상기 본체 내부에 인서트 사출되고 타단은 상기 제1 삽입홈 내에서 상기 제1 삽입홈의 입구까지 연장 형성된 제1 연통관과, 일단은 상기 본체 내부에 인서트 사출되고 타단은 상기 제2 삽입홈 내에서 상기 제2 삽입홈의 입구까지 연장 형성된 제2 연통관을 포함하는,
    그라우팅 재료 주입용 지수판 조립체.
  8. 일측에 제1 지수판의 일단이 삽입되도록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1 삽입홈이 형성되고 타측에 제2 지수판의 일단이 삽입되도록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1 삽입홈의 반대방향으로 형성된 제2 삽입홈이 형성된 본체;
    상기 제1 삽입홈에 결합된 상기 제1 지수판의 제1 중공홀 내부와 상기 제2 삽입홈에 결합된 상기 제2 지수판의 제2 중공홀 내부를 연통시키는 연통부를 포함하는 연결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연통부는,
    일단은 상기 본체 내부에 인서트 사출되고 타단은 상기 제1 삽입홈 내에서 상기 제1 삽입홈의 입구까지 연장 형성된 제1 연통관과, 일단은 상기 본체 내부에 인서트 사출되고 타단은 상기 제2 삽입홈 내에서 상기 제2 삽입홈의 입구까지 연장 형성된 제2 연통관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연통관과 상기 제2 연통관은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제1 연통관과 상기 제2 연통관이 연결되는 부분의 외면에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플렌지부
    를 더 포함하는,
    그라우팅 재료 주입용 지수판 연결부재.
KR1020220069407A 2022-06-08 2022-06-08 그라우팅 재료 주입용 지수판 및 그 연결부재 KR1026539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9407A KR102653935B1 (ko) 2022-06-08 2022-06-08 그라우팅 재료 주입용 지수판 및 그 연결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9407A KR102653935B1 (ko) 2022-06-08 2022-06-08 그라우팅 재료 주입용 지수판 및 그 연결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8751A KR20230168751A (ko) 2023-12-15
KR102653935B1 true KR102653935B1 (ko) 2024-04-03

Family

ID=89125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9407A KR102653935B1 (ko) 2022-06-08 2022-06-08 그라우팅 재료 주입용 지수판 및 그 연결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3935B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10420A (ja) * 1996-05-24 1997-12-02 Onoda:Kk コンクリート打ち継ぎ部の止水工法
KR100538920B1 (ko) * 2003-07-16 2005-12-29 김병수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을 위한 지수판
KR20060133502A (ko) * 2006-11-01 2006-12-26 박정호 연결 지수판
KR101053165B1 (ko) * 2008-04-29 2011-08-02 대룡공업주식회사 복합지수판 유니버셜 커플링
KR20120036095A (ko) * 2010-10-07 2012-04-17 김옥현 지수판 연결 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126823B1 (ko) * 2018-11-29 2020-06-25 대룡공업주식회사 인젝션 지수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8751A (ko) 2023-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L186512B1 (pl) Listwa spoinowa do uszczelniania spoiny między dwoma segmentami betonowanymi i sposób wytwarzania uszczelnienia spoiny między dwoma segmentami betonowymi
KR102653935B1 (ko) 그라우팅 재료 주입용 지수판 및 그 연결부재
CN206903673U (zh) 毛细排水板、毛细排水管组合的隧道防排水系统
KR102126823B1 (ko) 인젝션 지수판
RU2126073C1 (ru) Стыковочная шина для установки в бетонируемую стену с целью заделывания планируемых разрывов
CA2073627A1 (en) Process to seal structural joints
KR20240022287A (ko) 그라우팅 재료 주입용 지수판
CN110528728B (zh) 一种免支模的建筑保温系统及其施工方法
CN110528725B (zh) 一种建筑外墙的保温系统及其施工方法
JP3121658U (ja) クラック誘発止水構造
JP4117426B2 (ja) トンネルの止水構造
KR200362798Y1 (ko) 방수시트 연결부의 절연식 접합구조
JP7308484B2 (ja) 可変パッド
KR102169487B1 (ko) 비닐 하우스 기둥용 거푸집
JPH09111956A (ja) 瓦葺構造
KR20080112657A (ko) 터널용 방수 및 배수 시트
CN112814413B (zh) 一种用于混凝土表面的玻璃钢衬垫
CN216920713U (zh) 一种防水卷材的连接结构
CN213926386U (zh) 一种底板后浇带施工缝防渗漏结构
KR101907915B1 (ko) 건축 구조물의 옥상 보강 구조 및 공법
KR102131768B1 (ko) 방수시트의 이음부 접합구조
CN217439327U (zh) 一种装配式建筑防水密封装置
CN214144190U (zh) 一种新型防火保温材料板
JPH09310420A (ja) コンクリート打ち継ぎ部の止水工法
KR20200112479A (ko) 지하연속벽용 인젝션 지수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