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3923B1 - 휠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자동차 - Google Patents

휠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자동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3923B1
KR102653923B1 KR1020230114387A KR20230114387A KR102653923B1 KR 102653923 B1 KR102653923 B1 KR 102653923B1 KR 1020230114387 A KR1020230114387 A KR 1020230114387A KR 20230114387 A KR20230114387 A KR 20230114387A KR 102653923 B1 KR102653923 B1 KR 1026539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steering
link
support memb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14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관태
정승현
Original Assignee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114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39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39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39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18Electric motor acting on road wheel 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7/00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 B60K7/0007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the motor being elect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03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common housing for motor and gear box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7/00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 B62D7/18Steering knuckles; King p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7/00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 B62D7/20Links, e.g. track r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4Electric machine technologies in electromo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들은 자동차의 차체에 결합되는 로워 암, 하단부가 로워 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휠을 조향하는 너클, 하단부가 너클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조향링크, 자동차의 차체에 고정되며 조향링크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조향링크를 회전시키는 조향구동부를 포함하는 휠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자동차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휠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자동차{WHEEL MODULE AND VEHICLE HAVING THE SAME}
본 실시예들은 휠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엔진으로부터 발생되는 동력이 크랭크축과, 변속기 등의 동력전달장치를 통해 휠에 전달되어 구동이 이루어지는 구동시스템과 자동차의 진행 방향을 조작하기 위한 조향시스템, 자동차의 속도를 조작하기 위한 제동시스템, 주행으로 인한 노면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현가시스템 등이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엔진 대신 전기 모터를 이용한 전기자동차가 개발되어 사용되기 시작함에 따라서 휠에 전기 모터를 장착한 인휠 모터 시스템도 개발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인휠 모터 시스템은 별도의 조향시스템과 제동시스템, 현가시스템 등을 자동차에 장착해야 하는 구조이어서 기존의 엔진 자동차와 비교하여 부피나 무게 등이 큰 차이가 없어서 자동차 전체의 경량화와 연비 절감 측면에서 문제가 많았다.
특히, 자동차의 자율 주행이 대두되고 있는 최근에는 자동차 전체의 경량화와 연비 절감 뿐만 아니라 각각의 휠에 구동시스템과 조향시스템, 제동시스템, 현가시스템을 통합적으로 구현하면서 각각의 휠에 대한 정밀성과 신뢰성, 내구성 등을 확보하면서 자동차에 조립시 조립 공정을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는 휠 모듈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실시예들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휠 모듈의 정밀성과 신뢰성, 내구성 등을 확보할 수 있게 됨과 더불어 자동차에 휠 모듈을 조립하는 조립 공정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휠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자동차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자동차의 차체에 결합되는 로워 암, 하단부가 로워 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휠을 조향하는 너클, 하단부가 너클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조향링크, 자동차의 차체에 고정되며 조향링크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조향링크를 회전시키는 조향구동부를 포함하는 휠 모듈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차체의 코너부위에 배치되는 휠하우징 공간의 내측 하단부에 구비되는 내측프레임, 내측프레임에 연결되어 휠하우징 공간의 상단부에 양측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제1하우징프레임과 제2하우징프레임을 연결하며 휠하우징 공간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상부프레임, 일단부가 내측프레임에 결합되는 로워 암, 하단부가 로워 암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휠을 조향하는 너클, 하단부가 너클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조향링크, 상부프레임에 고정되며 조향링크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조향링크를 회전시키는 조향구동부를 포함하는 휠 모듈을 포함하는 자동차가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휠 모듈의 정밀성과 신뢰성, 내구성 등을 확보할 수 있게 됨과 더불어 자동차에 휠 모듈을 조립하는 조립 공정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1과 도 2는 본 실시예들에 의한 휠 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과 도 4는 본 실시예들에 의한 휠 모듈 중 일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실시예들에 의한 휠 모듈 중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실시예들에 의한 휠 모듈 중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은 본 실시예들에 의한 휠 모듈이 자동차에 조립되기 전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본 실시예들에 의한 휠 모듈이 자동차에 조립된 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기술사상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한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구성 요소들의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둘 이상의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등이 된다고 기재된 경우, 둘 이상의 구성 요소가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될 수 있지만, 둘 이상의 구성 요소와 다른 구성 요소가 더 "개재"되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여기서, 다른 구성 요소는 서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되는 둘 이상의 구성 요소 중 하나 이상에 포함될 수도 있다.
구성 요소들이나, 동작 방법이나 제작 방법 등과 관련한 시간적 흐름 관계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 또는 흐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구성 요소에 대한 수치 또는 그 대응 정보(예: 레벨 등)가 언급된 경우,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수치 또는 그 대응 정보는 각종 요인(예: 공정상의 요인, 내부 또는 외부 충격, 노이즈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실시예들에 의한 휠 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과 도 4는 본 실시예들에 의한 휠 모듈 중 일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실시예들에 의한 휠 모듈 중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실시예들에 의한 휠 모듈 중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은 본 실시예들에 의한 휠 모듈이 자동차에 조립되기 전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본 실시예들에 의한 휠 모듈이 자동차에 조립된 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들에 의한 휠 모듈(100)은, 자동차의 차체에 결합되는 로워 암(150), 하단부가 로워 암(15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휠(104)을 조향하는 너클(120), 하단부가 너클(120)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조향링크(130), 자동차의 차체에 고정되며 조향링크(130)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조향링크(130)를 회전시키는 조향구동부(110)를 포함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휠(104)의 내측에는 구동시스템 및 제동시스템(106)이 장착되고 휠(104)의 외측에는 타이어(102)가 결합되며, 로워 암(150)에 결합되는 너클(120)은 하단부가 로워 암(150)에 회전 지지되고 너클(120)의 상단부는 현가시스템(140) 및 조향링크(130)과 결합된다.
자동차의 차체에 결합되는 로워 암(150)은 너클(120)과 결합되고, 너클(120)은 로워 암(150)에 하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조향구동부(110)에 의해 회전하며 휠(104)을 회전시킨다.
너클(120)은 고정자와 마운팅부재로 체결되는 마운팅홀(121a)이 구비되어 있는 바디부(121), 바디부(121)의 하측에서 연장되며 로워 암(150)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샤프트(152)가 관통되는 힌지홀(122S)이 구비되어 있는 암 결합부(125), 바디부(121)의 상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며 현가시스템(140)과 연결되는 연결홀(123a)이 구비된 현가연결부(123), 바디부(121)의 상측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며 조향링크(130)와 연결되는 연결홀(122a)이 구비된 링크연결부(122)를 구비한다.
조향구동부(110)는 자동차의 차체에 결합되어 고정되며, 조향링크(130)를 매개로 너클(120)을 회전시킨다.
조향링크(130)의 상단부는 조향구동부(110)에 결합되고 조향링크(130)의 하단부는 너클(120)에 연결되어 조향구동부(110)의 조향회전력을 너클(120)에 전달한다.
조향구동부(110)는 전기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조향액츄에이터(101), 조향액츄에이터(101)의 구동을 제어하는 전자제어장치(103), 조향액츄에이터(101)와 전자제어장치(103)가 내장되는 구동부하우징(105), 구동부하우징(105)의 하단부에 구비되며 자동차의 차체(200)에 체결부재(200a)로 고정되는 하우징고정부(107)를 포함하며 조향액츄에이터(101)의 구동력을 조향링크(130)으로 전달한다.
그리고, 현가시스템(140)의 상단부는 조향링크(130)에 지지되며 결합되고 하단부는 너클(120)에 결합됨으로써 현가시스템(140)이 조향링크(130)와 너클(120)에 지지되면서 타이어(102)와 휠(104)을 통해 전달되는 노면의 충격을 흡수한다.
휠(104)을 구동하는 구동시스템 및 제동시스템(106)은 휠(104)과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는 회전자와 회전자를 회전시키는 고정자 등으로 구성되는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하우징고정부(107)는 구동부하우징(105)의 하단부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플랜지 형상으로 형성되며 자동차의 차체(200)에 고정되는데 구동부하우징(105)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개로 형성되어 구동부하우징(105)에 결합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들에서는 하우징고정부(107)가 구동부하우징(105)에 결합되는 것을 일례로 도시하였다.
구동부하우징(105)보다 반경방향으로 더 돌출되게 형성되는 하우징고정부(107)에는 원주방향으로 이격되며 배치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체결홀(107a)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조향링크(130)는, 조향액츄에이터(101)의 조향구동축(101a)에 결합되는 상부링크(131), 너클(120)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하부링크(135), 상부링크(131)와 하부링크(135)를 연결하는 연결링크(133)를 포함한다.
상부링크(131)의 일단에는 조향구동축(101a)이 결합되는 삽입홀(132)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링크(131)의 타단에는 서로 마주보는 상부연결부가 구비되어 있어서 연결링크(133)의 상단부와 상부힌지축(131a)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연결링크(133)의 하단부는 서로 마주보는 하부연결부가 구비되어 있어서 두개의 하부링크(135)와 제1하부힌지축(135a)으로 연결되며, 하부링크(135)는 너클(120)의 바디부(121)에 형성된 링크연결부(122)와 제2하부힌지축(135b)으로 연결된다.
조향구동부(110)는 조향구동축(101a)과 상부링크(131)를 연결하며 상부링크(131)의 회전을 지지하는 회전지지부재(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회전지지부재(160)는, 조향구동축(101a)과 상부링크(131)에 결합되어 조향구동축(101a)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회전지지부재(161), 제1회전지지부재(161)의 외주측에 결합되며 하우징고정부(107)에 고정되어 제1회전지지부재(161)의 회전을 지지하는 제2회전지지부재(16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회전지지부재(161)의 내측에는 조향구동축(101a)이 결합되고 제1회전지지부재(161)의 하단부가 상부링크(131)에 결합되어 조향구동축(101a)의 회전시 상부링크(131)를 회전시켜 조향이 이루어진다.
제1회전지지부재(161)의 외주면과 제2회전지지부재(163)의 내주면 사이에는 구 형상의 구름부재(167)가 결합되어 제1회전지지부재(161)와 상부링크(131)의 회전시 구름부재(167)가 이동하면서 회전을 지지한다.
제1회전지지부재(161)의 외주면에는 구름부재(167)가 안착되어 지지되는 제1안착홈(161h)이 형성되어 있고, 제2회전지지부재(163)의 내주면에는 구름부재(167)가 안착되어 지지되는 제2안착홈(163h)이 형성되어 있다.
제1안착홈(161h)과 제2안착홈(163h)은 서로 마주보는 원주방향의 홈으로 형성되어 구름부재(167)가 제1안착홈(161h)과 제2안착홈(163h)을 따라서 원주방향으로 구름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제1안착홈(161h)과 제2안착홈(163h)은 한쌍의 1열로 형성되거나 2열 이상이 형성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들에서는 상하로 2열이 형성되는 것을 일례로 도시하였다.
제1회전지지부재(161)는 중심부에 조향구동축(101a)이 결합되는 축결합홀(168)이 구비되고 조향구동축(101a)의 외주면과 축결합홀(168)의 내주면에는 원주방향으로 산과 골이 연속 배치되는 스플라인부(101S, 168S)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조향액츄에이터(101)에 의해 조향구동축(101a)이 회전할 때 제1회전지지부재(161)와 슬립이 발생되지 않고 구동력이 제1회전지지부재(161)를 통해 상부링크(131)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제1회전지지부재(161)는 하단부에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상부링크(131)와 체결부재(134)로 결합되는 링크결합부(161T)를 구비할 수 있다.
즉,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결합부(161T)가 상부링크(131)의 상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부링크(131)와 링크결합부(161T)를 체결부재(134)로 결합하여 상부링크(131)를 보다 견고하게 제1회전지지부재(161)와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제1회전지지부재(161)의 중심부 하단에 하측으로 돌출되어 상부링크(131)에 형성된 삽입홀(132)에 결합되는 돌출단부(165)가 구비될 수 있으며, 돌출단부(165)의 내측에는 축결합홀(168)과 연통되는 개구부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1회전지지부재(161)를 상부링크(131)와 결합시 돌출단부(165)를 삽입홀(132)에 삽입한 후 체결부재(134)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정확한 위치에서의 조립이 가능해 진다.
그리고, 조향구동축(101a)은 축결합홀(168)을 관통하여 끝단부가 개구부의 내측에 배치되고 끝단부에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조향구동축(101a)의 나사부에 체결너트(166)가 나사 체결되며 제1회전지지부재(161)의 하단에 지지되며 고정될 수 있다.
이렇게 조향구동축(101a)이 체결너트(166)로 제1회전지지부재(161)의 하단에 지지되며 결합됨으로써 조향구동축(101a)과 제1회전지지부재(161)의 슬립을 보다 견고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스플라인부(101S, 168S)의 유격으로 인한 진동과 노이즈를 방지하게 된다.
한편, 도 9와 도 10을 도 1 내지 도 8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들에 의한 자동차는, 차체(200)의 코너부위에 배치되는 휠하우징 공간의 내측 하단부에 구비되는 내측프레임(201), 내측프레임(201)에 연결되어 휠하우징 공간의 상단부에 양측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제1하우징프레임(211)과 제2하우징프레임(212)을 연결하며 휠하우징 공간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상부프레임(215), 일단부가 내측프레임(201)에 결합되는 로워 암(150), 하단부가 로워 암(150)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휠을 조향하는 너클(120), 하단부가 너클(120)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조향링크(130), 상부프레임(215)에 고정되며 조향링크(130)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조향링크(130)를 회전시키는 조향구동부(110)를 포함하는 휠 모듈(100)을 포함할 수 있다.
조향구동부(110)는, 전기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조향액츄에이터(101), 조향액츄에이터(101)의 구동을 제어하는 전자제어장치(103), 조향액츄에이터(101)와 전자제어장치(103)가 내장되는 구동부하우징(105), 구동부하우징(105)의 하단부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플랜지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프레임(215)에 체결부재로 고정되는 하우징고정부(107)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조향액츄에이터(101), 전자제어장치(103), 구동부하우징(105), 하우징고정부(107) 등의 조향구동부(110)는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자동차 차체(200)의 코너부위에는 휠 모듈(100)이 장착되는 휠하우징 공간이 배치되며 휠하우징 공간의 내측 하단부에는 자동차의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는 내측프레임(201)이 구비되어 로워 암(150)이 결합된다.
휠하우징 공간의 상단부에는 하단부가 내측프레임(201)에 연결되는 제1하우징프레임(211)과 제2하우징프레임(212)이 자동차의 양측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제1하우징프레임(211)과 제2하우징프레임(212)을 연결하며 휠하우징 공간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상부프레임(215)이 구비되어 조향구동부(110)가 결합된다.
상부프레임(215)에는 구동부하우징(105)이 관통되는 절개홀(215a)이 구비되어 있어서 상부프레임(215)의 상측에 구동부하우징(105)이 배치되고 하우징고정부(107)가 상부프레임(215)의 하측에 지지되면서 체결부재(200a)로 결합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휠 모듈(100)을 자동차에 조립할 때 휠하우징 공간으로 휠 모듈(100)을 배치하고 상측에서 상부프레임(215)과 하우징고정부(107)를 체결부재(200a)로 체결하고 하측에서 내측프레임(201)과 로워 암(150)을 체결하기만 하면 조립이 완료되어 조립 공정이 획기적으로 줄어들게 된다.
로워 암(150)의 일단부에는 자동차의 전후방향으로 배치되어 내측프레임(201)에 결합되는 제1지지부재(153)와, 자동차의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 내측프레임(201)에 결합되는 제2지지부재(155)가 구비되어 있다.
로워 암(150)의 일단부는 2개의 고정부(151a, 151b)로 분기되어 형성되며 각각의 고정부에 제1지지부재(153)와 제2지지부재(155)가 구비되며, 제1지지부재(153)와 제2지지부재(155)는 자동차의 전후방향과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 서로 수직으로 구비된다.
로워 암(150)의 일단부에 형성된 2개의 고정부 중 제1고정부(151a)에는 자동차의 전후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고정홀이 구비되어 제1지지부재(153)가 제1고정홀에 결합된다.
여기서, 제1지지부재(153)는 제1고정홀에 삽입되는 제1탄성부재(153b)와 제1탄성부재(153b)의 중심홀에 삽입되어 내측프레임(201)에 결합되는 제1지지축(153a)을 포함한다.
로워 암(150)의 나머지 제2고정부(151b)에는 자동차의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제2고정홀이 구비되어 제2지지부재(155)가 제2고정홀에 결합된다.
제2지지부재(155)는 제2고정홀에 삽입되는 제2탄성부재(155b)와 제2탄성부재(155b)의 중심홀에 삽입되어 내측프레임(201)에 결합되는 제2지지축(155a)을 포함한다.
또한, 자동차 차체의 내측프레임(201)에는 제1지지부재(153)가 결합되는 제1프레임브라켓(223)과 제2지지부재(155)가 결합되는 제2프레임브라켓(225)이 구비될 수 있다.
제1프레임브라켓(223)에는 자동차의 전후방향으로 제1지지홀(223a)이 형성되어 제1지지축(153a)이 결합됨으로써 로워 암(150)이 제1지지축(153a)을 중심축으로 하는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제2프레임브라켓(225)에는 자동차의 상하방향으로 제2지지홀(225a)이 형성되어 제2지지축(155a)이 결합됨으로써 로워 암(150)이 제2지지축(155a)을 충심축으로 하는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자동차의 주행중에 휠 모듈(100)을 통해 전달되는 불규직한 방향의 충격하중이 전달되더라도 일정 범위 내에서 충격하중을 흡수함으로써 휠 모듈(100)의 변형이나 파손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휠 모듈의 정밀성과 신뢰성, 내구성 등을 확보할 수 있게 됨과 더불어 자동차에 휠 모듈을 조립하는 조립 공정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개시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기술사상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개시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개시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0)

  1. 자동차의 차체에 결합되는 로워 암;
    하단부가 상기 로워 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휠을 조향하는 너클;
    하단부가 상기 너클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조향링크;
    자동차의 차체에 고정되며 상기 조향링크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조향링크를 회전시키는 조향구동부;
    를 포함하며,
    상기 조향구동부는,
    전기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조향액츄에이터;
    상기 조향액츄에이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전자제어장치;
    상기 조향액츄에이터와 전자제어장치가 내장되는 구동부하우징;
    상기 구동부하우징의 하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자동차의 차체에 체결부재로 고정되는 하우징고정부;
    를 포함하며,
    상기 조향링크는,
    상기 조향액츄에이터의 조향구동축에 결합되는 상부링크;
    상기 너클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하부링크;
    상기 상부링크와 하부링크를 연결하는 연결링크;
    를 포함하는 휠 모듈.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고정부는 상기 구동부하우징의 하단부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플랜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모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고정부에는 원주방향으로 이격되며 배치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체결홀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모듈.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구동부는 상기 조향구동축과 상부링크를 연결하며 상기 상부링크의 회전을 지지하는 회전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휠 모듈.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지지부재는,
    상기 조향구동축과 상부링크에 결합되어 상기 조향구동축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회전지지부재;
    상기 제1회전지지부재의 외주측에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고정부에 고정되어 상기 제1회전지지부재의 회전을 지지하는 제2회전지지부재;
    를 포함하는 휠 모듈.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지지부재의 외주면과 상기 제2회전지지부재의 내주면 사이에는 구 형상의 구름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모듈.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지지부재의 외주면에는 상기 구름부재가 안착되어 지지되는 제1안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모듈.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지지부재의 내주면에는 상기 구름부재가 안착되어 지지되는 제2안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모듈.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지지부재는 중심부에 상기 조향구동축이 결합되는 축결합홀이 구비되고 상기 조향구동축의 외주면과 상기 축결합홀의 내주면에는 원주방향으로 산과 골이 연속 배치되는 스플라인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모듈.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지지부재는 하단부에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부링크와 체결부재로 결합되는 링크결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모듈.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지지부재는 중심부 하단에 하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상부링크에 형성된 삽입홀에 결합되는 돌출단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모듈.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단부의 내측에는 상기 축결합홀과 연통되는 개구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모듈.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구동축은 상기 축결합홀을 관통하여 끝단부가 상기 개구부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끝단부에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나사부에 체결너트가 나사 체결되며 상기 제1회전지지부재의 하단에 지지되며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모듈.
  16. 차체의 코너부위에 배치되는 휠하우징 공간의 내측 하단부에 구비되는 내측프레임;
    상기 내측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휠하우징 공간의 상단부에 양측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제1하우징프레임과 제2하우징프레임을 연결하며 상기 휠하우징 공간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상부프레임;
    일단부가 상기 내측프레임에 결합되는 로워 암, 하단부가 상기 로워 암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휠을 조향하는 너클, 하단부가 상기 너클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조향링크, 상기 상부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조향링크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조향링크를 회전시키는 조향구동부를 포함하는 휠 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조향구동부는,
    전기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조향액츄에이터;
    상기 조향액츄에이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전자제어장치;
    상기 조향액츄에이터와 전자제어장치가 내장되는 구동부하우징;
    상기 구동부하우징의 하단부에 구비되며 자동차의 차체에 체결부재로 고정되는 하우징고정부;
    를 포함하며,
    상기 조향링크는,
    상기 조향액츄에이터의 조향구동축에 결합되는 상부링크;
    상기 너클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하부링크;
    상기 상부링크와 하부링크를 연결하는 연결링크;
    를 포함하는 자동차.
  17. 삭제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로워 암의 일단부에는 자동차의 전후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내측프레임에 결합되는 제1지지부재와, 자동차의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내측프레임에 결합되는 제2지지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로워 암의 일단부에는 자동차의 전후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고정홀이 구비되고, 상기 제1지지부재는 상기 제1고정홀에 삽입되는 제1탄성부재와 상기 제1탄성부재의 중심홀에 삽입되어 상기 내측프레임에 결합되는 제1지지축을 포함하는 자동차.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로워 암의 일단부에는 자동차의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제2고정홀이 구비되고, 상기 제2지지부재는 상기 제2고정홀에 삽입되는 제2탄성부재와 상기 제2탄성부재의 중심홀에 삽입되어 상기 내측프레임에 결합되는 제2지지축을 포함하는 자동차.
KR1020230114387A 2023-08-30 2023-08-30 휠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자동차 KR1026539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14387A KR102653923B1 (ko) 2023-08-30 2023-08-30 휠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자동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14387A KR102653923B1 (ko) 2023-08-30 2023-08-30 휠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자동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3923B1 true KR102653923B1 (ko) 2024-04-03

Family

ID=90662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14387A KR102653923B1 (ko) 2023-08-30 2023-08-30 휠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자동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392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0478A (ko) * 2005-12-08 2007-06-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프론트 서스펜션의 로워암 유니트
JP2010184636A (ja) * 2009-02-13 2010-08-26 Kanzaki Kokyukoki Mfg Co Ltd 乗用型作業車両
US20190248233A1 (en) * 2016-06-17 2019-08-15 The University Of Sydney Drive module
KR102430176B1 (ko) * 2022-01-25 2022-08-11 주식회사 만도 휠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20230019651A (ko) * 2021-08-02 2023-02-09 서한산업(주) 전동식 독립 조향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0478A (ko) * 2005-12-08 2007-06-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프론트 서스펜션의 로워암 유니트
JP2010184636A (ja) * 2009-02-13 2010-08-26 Kanzaki Kokyukoki Mfg Co Ltd 乗用型作業車両
US20190248233A1 (en) * 2016-06-17 2019-08-15 The University Of Sydney Drive module
KR20230019651A (ko) * 2021-08-02 2023-02-09 서한산업(주) 전동식 독립 조향장치
KR102430176B1 (ko) * 2022-01-25 2022-08-11 주식회사 만도 휠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57036B2 (en) Mounting structure of part
US7789178B2 (en) Wheel support device
US7621357B2 (en) In-wheel motor system and method of installing the same
US7121367B2 (en) Installation structure for electric rotating machine in motor vehicle
US7243749B2 (en) Motor-driven wheel small in size and improved in ride comfort and ease of assembly
JP4321199B2 (ja) 駆動モータの取付構造
US10011164B2 (en) In-wheel motor drive unit
US20060219449A1 (en) Driving unit for driving vehicle by motor
US20070068715A1 (en) Wheel supporting apparatus improving ride comfort of vehicle
US11888377B2 (en) Axle assembly having an electric motor module
US10328763B2 (en) Vehicle suspension apparatus capable of adjusting vehicle height
US20230234415A1 (en) Wheel module
US20080210479A1 (en) Vehicular wheel assembly with improved load distribution
CN107531118B (zh) 用于车辆的悬架构造
KR102653923B1 (ko) 휠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자동차
US20220379676A1 (en) Suspension device for in-wheel motor
KR102660410B1 (ko) 차량용 휠 모듈
KR20240033635A (ko) 차량용 휠 모듈
JP2017171251A (ja) インホイールモータ駆動装置
JP2005343354A (ja) 自動車のモータ駆動システム
KR20220151948A (ko) 차량용 기동액슬 조립체
CN107244190A (zh) 后置后驱电动车传动连接结构
KR20230038954A (ko) 인휠모터용 서스펜션장치
KR20220159557A (ko) 인휠모터용 서스펜션장치
KR20220159556A (ko) 인휠모터용 서스펜션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