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3776B1 - Removing device for smartphone protective film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Removing device for smartphone protective film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3776B1
KR102653776B1 KR1020210040737A KR20210040737A KR102653776B1 KR 102653776 B1 KR102653776 B1 KR 102653776B1 KR 1020210040737 A KR1020210040737 A KR 1020210040737A KR 20210040737 A KR20210040737 A KR 20210040737A KR 102653776 B1 KR102653776 B1 KR 1026537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film
display panel
axis
actuator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07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35111A (en
Inventor
이준호
김길호
강형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필옵틱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필옵틱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필옵틱스
Priority to KR1020210040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3776B1/en
Publication of KR202201351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511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37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3776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1/00Machines for separating superposed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54Article strippers, e.g. for stripping from advanc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1Processing surface of handled material upon transport or guiding thereof, e.g. cleaning
    • B65H2301/5112Processing surface of handled material upon transport or guiding thereof, e.g. cleaning removing material from outer surface
    • B65H2301/51122Processing surface of handled material upon transport or guiding thereof, e.g. cleaning removing material from outer surface peeling layer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3/00Sensing or detecting means
    • B65H2553/80Arangement of the sen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5/00Actuating means
    • B65H2555/10Actuating means linear
    • B65H2555/11Actuating means linear pneumatic, e.g. inflatabl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5/00Actuating means
    • B65H2555/10Actuating means linear
    • B65H2555/13Actuating means linear magnetic, e.g. induction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7Nature of material
    • B65H2701/172Composite material
    • B65H2701/1726Composite material including detachable components

Abstract

본 발명의 일면에 의하면, 보호필름이 부착된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패널이 안착되는 테이블(T) 상에 서로 수직한 제1 내지 제3 축 상으로 이동하도록 하기 위한 액츄에이터(10); 액츄에이터(10)의 일단부에 위치하여 테이블(T) 상에 안착된 보호필름 버(B)를 박리하기 위한 박리부(20); 박리부(20)에 의하여 박리된 보호필름 버(B)를 파지 및 파지 해제를 하기 위한 클램핑부(30); 클램핑부(30)의 파지 해제 동작시 보호필름 버(B)를 클램핑부(30)로부터 고압에 의하여 탈거시키기 위한 송압부(40); 및 테이블(T)의 일측에 위치한 보호필름 버(B)를 회수하기 위한 회수부(50)로 이루어지는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패널의 보호필름 제거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ctuator (10) for moving on first to third axes perpendicular to each other on a table (T) on which a smartphone display panel with a protective film attached is seated; A peeling unit 20 located at one end of the actuator 10 for peeling off the protective film burr (B) seated on the table (T); A clamping part (30) for gripping and releasing the protective film burr (B) peeled off by the peeling part (20); A pressure feeding unit 40 for removing the protective film burr (B) from the clamping unit 30 by high pressure during the grip release operation of the clamping unit 30; and a recovery unit 50 for recovering the protection film burr B located on one side of the table T. A protective film removal device for a smartphone display panel is provided.

Description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패널의 보호필름 제거장치 및 그 방법{Removing device for smartphone protective film and method thereof}Removing device for smartphone protective film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패널의 보호필름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가공 공정에 있어서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패널의 보호를 위한 보호필름의 일부인 더미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효율적으로 더미를 제거할 수 있는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패널의 보호필름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removing the protective film of a smartphone display panel.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removing the protective film of a smartphone display panel, and more specifically, to efficiently remove the dummy, which is part of the protective film for protecting the smartphone display panel, in the post-processing process of the smartphone display panel. It relates to a device for removing the protective film of a smartphone display panel that can remove .

최근에 휴대폰,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디지털 카메라, PMP(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노트북, 전자사전, 게임기기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가 급속도로 보급되고 있는 실정이며, 상기의 휴대용 단말기들은 터치스크린 방식의 것이 많이 상용화되고 있다.Recently, portable terminals such as mobile phones, smartphones, smart pads, digital cameras,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laptops, electronic dictionaries, game devices, etc. are rapidly becoming popular, and these portable terminals are touch screen type. Many of these are being commercialized.

터치스크린 방식을 취할 경우 그 특성상 디스플레이 패널의 표면재질을 강화시키지 않는 이상 사용상에서의 스크래치가 발생될 수 있다. 발생은 피할 수 없는 상황이다.When using the touch screen method, scratches may occur during use unless the surface material of the display panel is strengthened due to its nature. Occurrence is an unavoidable situation.

이에 따라 스크래치 등과 같은 외부의 크고 작은 충격으로부터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표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필름(protective film)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Accordingly, protective films are widely used to prevent the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of a portable terminal from being damaged from large or small external impacts such as scratches.

디스플레이 패널 일면에 이러한 보호필름을 일체로 형성할 시, 디스플레이 패널의 크기보다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보호필름을 디스플레이 패널 상면에 형성되도록 하고, 이러한 보호필름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테두리 주변으로 돌출되어지는 자투리(Burr, 버)를 제거해야 하는 공정이 필요하다.When such a protective film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display panel, a protective film of a size relatively larger than the size of the display panel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and from this protective film, a remnant (protruding from the edge of the display panel) is formed. A process is required to remove burrs.

그에 따라 이러한 보호필름의 버를 보호필름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분리한 이후에도, 이를 효과적으로 외부에 제거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Accordingly, the development of a device that can effectively remove the burrs of the protective film to the outside, even after effectively separating the burrs from the protective film, is emerging.

이와 관련하여 특허 제 10-2052007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에 보호필름이 형성된 디스플레이 패널의 테두리부분인 보호필름 버(Burr, B)를, 버 분리장치(10)를 이용하여 레이져로 커팅처리하여 분리한 후, 분리한 버(B)를 디스플레이 패널이 설치된 워크테이블 외부로 제거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용 보호필름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버(B) 부분의 상면에 대응접촉되어지는 지지부(20); 상기 지지부(20)의 일측에 힌지작동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지지부(20)에 밀착하고 있는 버(B)의 저면에 대응접촉되며 버(B)를 잡은 후, 원상태로 복귀하며 지지부(20)와 벌어져, 상기 버(B)를 사전설정위치에 탈거시켜 제거하는 힌지부(30); 로 이루어져, 상기 버 분리장치(10)에서 분리하여 잡고 있는 버(B)의 일단부를 잡아 외부로 제거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용 보호필름 버 제거장치를 개시하고 있다.In this regard, Patent No. 10-2052007, as shown in FIG. 1, uses a burr separation device 10 to remove a protective film burr (B), which is the edge of a display panel with a protective film formed on the upper surface. In the display panel protective film removal device for removing the separated burr (B) to the outside of the worktable on which the display panel is installed after cutting and separating it with a laser, a device that is in corresponding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burr (B) portion Support portion (20); A hinge operation is possible on one side of the support part 20, and it contacts the bottom of the burr B,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upport part 20. After holding the burr B, it returns to its original state and the support part 20 ) and a hinge portion (30) that opens and removes the burr (B) at a preset position; Disclosed is a protective film burr removal device for a display panel, which removes one end of the burr (B) separated from the burr separation device 10 and removed to the outside.

그러나 이러한 기술에 의할 경우 보호필름의 버에 해당되는 부분을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에서 오작동이나 정밀하게 벗겨내지 못할 뿐만 아니라, 벗겨내는 과정에서 디스플레이 패널 기판 배선에 손상을 입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보호필름의 접착성분으로 인하여 버 분리장치로부터 보호필름의 탈거 작업의 오류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using this technology, there are problems with not only malfunctions or inability to precisely peel off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burr of the protective film from the display panel, but also damage to the display panel board wiring during the peeling process.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errors occur in the removal of the protective film from the burr separation device due to the adhesive component of the protective film.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Therefore,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that can solve these problems is require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패널의 보호필름 제거시 디스플레이패널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효율적으로 보호필름을 제거할 수 있는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패널의 보호필름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otective film removal device for a smartphone display panel that can efficiently remove the protective film while preventing damage to the display panel when removing the protective film of the smartphone display panel.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호필름의 접착성분에 대한 탈거 분리 작업 효율성을 안정적으로 수행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패널의 보호필름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otective film removal device for a smartphone display panel that can improve productivity by stably performing removal and separation efficiency for the adhesive component of the protective film.

본 발명의 일면에 의하면, 보호필름이 부착된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패널이 안착되는 테이블(T) 상에 서로 수직한 제1 내지 제3 축 상으로 이동하도록 하기 위한 액츄에이터(10); 액츄에이터(10)의 일단부에 위치하여 테이블(T) 상에 안착된 보호필름 버(B)를 박리하기 위한 박리부(20); 박리부(20)에 의하여 박리된 보호필름 버(B)를 파지 및 파지 해제를 하기 위한 클램핑부(30); 클램핑부(30)의 파지 해제 동작시 보호필름 버(B)를 클램핑부(30)로부터 고압에 의하여 탈거시키기 위한 송압부(40); 및 테이블(T)의 일측에 위치한 보호필름 버(B)를 회수하기 위한 회수부(50)로 이루어지는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패널의 보호필름 제거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ctuator (10) for moving on first to third axes perpendicular to each other on a table (T) on which a smartphone display panel with a protective film attached is seated; A peeling unit 20 located at one end of the actuator 10 for peeling off the protective film burr (B) seated on the table (T); A clamping part (30) for gripping and releasing the protective film burr (B) peeled off by the peeling part (20); A pressure feeding unit 40 for removing the protective film burr (B) from the clamping unit 30 by high pressure during the grip release operation of the clamping unit 30; and a recovery unit 50 for recovering the protection film burr B located on one side of the table T. A protective film removal device for a smartphone display panel is provided.

여기서, 박리부(20)와 클램핑부(30)가 결합되는 브라켓(12)을 제1 축(Z축)방향으로 승하강 이동시키기 위한 제1 액츄에이터(14), 제1 액츄에이터(14)을 제2 축(Y축)방향으로 전후진 이동시키기 위한 제2 액츄에이터(16), 및 제2 액츄에이터(16)를 제3축(X)방향으로 전후진 이동시키기 위한 제3 액츄에이터(미도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first actuator 14 is used to raise and lower the bracket 12 to which the peeling part 20 and the clamping part 30 are coupled in the first axis (Z-axis) direction. Consists of a second actuator 16 for moving forward and backward in the two-axis (Y-axis) direction, and a third actuator (not shown) for moving the second actuator 16 forward and backward in the third axis (X) direction. It is desirable.

또한, 제3 액츄에이터(미도시)는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패널의 보호필름 제거장치의 본체 프레임(미도시)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third actuator (not shown) is preferably coupled to one end of the main body frame (not shown) of the device for removing the protective film of the smartphone display panel.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3 액츄에이터는 공압실린더나 리니어 모터가 구비된 선형이동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irst to third actuators are preferably composed of a linear moving part equipped with a pneumatic cylinder or a linear motor.

또한, 박리부(20)는 일단부로 갈수록 테퍼진 첨점부(22a)과 타단부에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22b)을 가진 박리부재(2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eeling portion 20 preferably includes a peeling member 22 having a peak portion 22a that is tapered toward one end and a coupling portion 22b for coupling to the other end.

또한, 박리부(20)는 브라켓(12)에 대하여 결합되며 박리부(20)의 결합부(22b)가 삽입되어 고정결합되기 위한 결합공(24)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eeling portion 20 is coupled to the bracket 12 and preferably further includes a coupling hole 24 through which the coupling portion 22b of the peeling portion 20 is inserted and fixedly coupled.

또한, 클램핑부(30)는 제1 액츄에이터(14)의 단부 또는 제1 액츄에이터(14)의 결합되는 브라켓(12)에 대하여 결합되는 몸체부(32), 몸체부(32)에 서로 대향되도록 힌지결합되는 파지부(34), 및 파지부(34)를 몸체부(32)에서 힌지회전하도록 하기 위한 회동부(미도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lamping part 30 is hinged so as to face each other on the body part 32, which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first actuator 14 or the bracket 12 to which the first actuator 14 is coupled. It is preferable that the holding part 34 is coupled and a rotating part (not shown) for hinge-rotating the holding part 34 on the body 32.

또한, 클램핑부(30)의 파지부(34)의 내측에는 파지된 보호필름 버(B)가 파지된 상태에서 슬립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서로 암수 대응되는 요철홈(36)을 각각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inside of the gripping part 34 of the clamping part 30 is preferably provided with male and female concavo-convex grooves 36 corresponding to each other in order to prevent the gripped protective film burr B from slipping in the gripped state. .

또한, 송압부(40)는 클램핑부(30)의 몸체부(32)의 중공부와 연결되어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덕트(42)와, 클램핑부(30)의 몸체부(32) 중공부를 관통하여 파지부(34)에 의하여 파지된 보호필름 버(B)를 상방향에서 하방향으로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기 위한 노즐(44)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ressure feeding part 40 is connected to the hollow part of the body part 32 of the clamping part 30 and includes a duct 42 for supplying high-pressure air, and a hollow part of the body part 32 of the clamping part 30. It is preferable that the nozzle 44 is configured to spray high-pressure air from upward to downward to the protective film burr B held by the gripping portion 34 through the portion.

또한, 송압부(40)는 몸체부(32)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구비된 노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ressure feeding unit 40 preferably includes a nozzle provided independently of the body unit 32.

또한,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패널의 보호필름 제거장치의 지지대(60) 상에 위치하여 보호필름(F)이 안착되는 테이블(T) 상에 이물질의 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이물질 센서부(70)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located on the support 60 of the protective film removal device of the smartphone display panel and further includes a foreign matter sensor unit 70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foreign matter on the table T on which the protective film F is seated. It is desirable to do so.

또한, 박리부(20)의 박리부재(22)의 원점 위치를 감지하여 원점 위치를 보정하기 위한 원점보정센서부(80)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desirable to further include an origin correction sensor unit 80 for detecting the origin position of the peeling member 22 of the peeling unit 20 and correcting the origin position.

또한, 원점보정센서부(80)는 반복적으로 이동 동작하는 박리부(20)의 누적 피로에 따른 원점 위치 이탈 여부를 감지하여 박리부(20)의 원점 위치를 정위치로 보정하도록 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며, 제어부(미도시)는 원점보정센서부(80)에 의하여 생성된 신호에 의하여 박리부(20)의 원점 위치를 보정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액츄에이터(10)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origin correction sensor unit 80 detects whether the origin position is deviated due to accumulated fatigue of the peeling unit 20 that moves repeatedly and sends a signal to correct the origin position of the peeling unit 20 to the correct position. Preferably, the control unit (not shown) controls the actuator 10 to move the origin position of the peeling unit 20 to the corrected position by the signal generated by the origin correction sensor unit 80.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의하면, 원점에 위치한 박리부(20)의 박리부재(22)에 대하여 액츄에이터(10)의 제1 액츄에이터(14)에 의하여 제1 박리부(20)/박리부재(22)를 제1 축(Z축)방향으로 하강 이동시키는 제1 단계; 보호필름 버(B)의 일정 깊이로 밀착된 박리부재(22)에 대하여 그 수직 위치를 유지한 상태에서 제3 액츄에이터(미도시)에 의하여 제3축(X)방향으로 전진 이동시킴으로써 보호필름 버(B)의 상면의 일측이 제3축(X)방향으로 디스플레이 패널(P)로부터 슬립되어 부분 탈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2 단계; 보호필름 버(B)의 중앙부분이 볼록하게 디스플레이 패널(P)로부터 부분 탈거된 상태에서 볼록하게 부분 탈거된 보호필름 버(B)의 중앙부를 파지하도록 클램핑부(30)의 파지부(34)는 제2 축(Y축)방향에 대하여 파지되도록 하는 제3 단계; 클램핑부(30)의 파지부(34)에 의하여 파지된 보호필름 버(B)의 중앙이 제1 축(Z축) 방향에 대하여 상승하도록 제1 액츄에이터(14)가 클램핑부(30)를 상승시키는 제4 단계; 제2 액츄에이터(16)에 의하여 클램핑부(30)의 파지부(34)를 회수부(50)가 위치한 방향인 제2 축(Y축)방향으로 전진 이동시키는 제5 단계; 및 클램핑부(30)의 파지부(34)는 탈거 분리된 보호필름 버(B)를 파지해제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패널의 보호필름 제거방법이 제공된다.Meanwhil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eeling part 20/peeling member ( A first step of moving 22) downward in the first axis (Z-axis) direction; The protective film burr is moved forward in the third axis ( A second step of allowing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B) to slip from the display panel (P) in the third axis (X) direction to allow partial removal; In a state in which the central portion of the protective film bur (B) is convex and partially removed from the display panel (P), the holding portion 34 of the clamping portion 30 is provided to hold the central portion of the partially removed protective film bur (B) in a convex manner. is a third step of being held about the second axis (Y-axis) direction; The first actuator 14 raises the clamping part 30 so that the center of the protective film burr (B) held by the gripping part 34 of the clamping part 30 rises in the first axis (Z-axis) direction. The fourth step of ordering; A fifth step of moving the holding part 34 of the clamping part 30 forward by the second actuator 16 in the second axis (Y-axis) direction, which is the direction in which the recovery part 50 is located; And a sixth step of releasing the holding part 34 of the clamping part 30 from gripping the separated protective film burr (B). A method of removing the protective film of a smartphone display panel is provided.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패널의 보호필름 제거시 디스플레이패널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효율적으로 보호필름을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호필름의 접착성분에 대한 탈거 분리 작업 효율성을 안정적으로 수행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can the protective film be efficiently removed while preventing damage to the display panel when removing the protective film of the smartphone display panel, but also the efficiency of the removal and separation work for the adhesive component of the protective film can be stably performed, thereby improving productivity. can be improved.

도 1은 특허 제 10-2052007호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용 보호필름 버 제거장치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패널의 보호필름 제거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패널의 보호필름 제거장치에 있어서, 액츄에이터와 클램핑부의 부분을 확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패널의 보호필름 제거장치에 있어서, 박리부재의 형상을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패널의 보호필름 제거장치에 있어서, 클램핑부의 개략적인 사시도, AA선에 대한 단면도와 파지동작을 나타낸 동작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패널의 보호필름 제거장치에 있어서, 테이블의 이물질 센서부와 박리부재의 원점을 보정하기 위한 보정센서부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패널의 보호필름 제거장치에 있어서 보호필름 버(B) 부분에 대하여 박리부재의 이동 동작에 의하여 박리가 이루어지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패널의 보호필름 제거장치의 동작과정을 나타낸 동작도이다.
Figure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protective film burr removal device for a display panel according to Patent No. 10-2052007.
Figure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protective film removal device for a smartphone display pane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n enlarged portion of the actuator and the clamping part in the device for removing the protective film of a smartphone display pane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hape of a peeling member in the device for removing the protective film of a smartphone display pane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clamping part, a cross-sectional view along the AA line, and an operation diagram showing the gripping operation in the device for removing the protective film of a smartphone display pane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schematic sid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oreign matter sensor part of the table and the correction sensor part for correcting the origin of the peeling member in the device for removing the protective film of the smartphone display pane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peeling is performed by moving a peeling member with respect to the protective film burr (B) portion in the device for removing the protective film of a smartphone display pane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n operation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process of a protective film removal device for a smartphone display pane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패널의 보호필름 제거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protective film removal device for a smartphone display pane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패널의 보호필름 제거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패널의 보호필름 제거장치에 있어서, 액츄에이터와 클램핑부의 부분을 확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패널의 보호필름 제거장치에 있어서, 박리부재의 형상을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패널의 보호필름 제거장치에 있어서, 클램핑부의 개략적인 사시도, AA선에 대한 단면도와 파지동작을 나타낸 동작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패널의 보호필름 제거장치에 있어서, 테이블의 이물질 센서부와 박리부재의 원점을 보정하기 위한 보정센서부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패널의 보호필름 제거장치에 있어서 보호필름 버(B) 부분에 대하여 박리부재의 이동 동작에 의하여 박리가 이루어지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패널의 보호필름 제거장치의 동작과정을 나타낸 동작도이다.Figure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protective film removal device for a smartphone display pane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3 is a protective film removal device for a smartphone display pane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ctuator. It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enlarging the part of the clamping part, and Figure 4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peeling member in the protective film removal device for the smartphone display pane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5 is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evice for removing the protective film of a smartphone display pane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clamping part,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A line, and an operation diagram showing the gripping operation are shown, and Figure 6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clamping par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otective film removal device for the smartphone display panel, a schematic sid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oreign matter sensor part of the table and the correction sensor part for correcting the origin of the peeling member, and Figure 7 is a smartphon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state in which peeling is performed by moving the peeling member with respect to the protective film burr (B) portion in the display panel protective film removal device, and Figure 8 is a smartphone display pane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n operation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protective film removal devic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패널의 보호필름 제거장치에 의하면, 보호필름이 부착된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패널이 안착되는 테이블(T) 상에 서로 수직한 제1 내지 제3 축 상으로 이동하도록 하기 위한 액츄에이터(10), 액츄에이터(10)의 일단부에 위치하여 테이블(T) 상에 안착된 보호필름 버(B)를 박리하기 위한 박리부(20), 박리부(20)에 의하여 박리된 보호필름 버(B)를 파지 및 파지 해제를 하기 위한 클램핑부(30), 클램핑부(30)의 파지 해제 동작시 보호필름 버(B)를 클램핑부(30)로부터 고압에 의하여 탈거시키기 위한 송압부(40) 및 테이블(T)의 일측에 위치한 보호필름 버(B)를 회수하기 위한 회수부(50)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2, according to the device for removing the protective film of a smartphone display pane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wo devices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re placed on a table (T) on which the smartphone display panel with the protective film attached is seated. An actuator 10 for moving on the first to third axes, a peeling part 20 located at one end of the actuator 10 for peeling off the protective film burr B seated on the table T, Clamping unit 30 for gripping and releasing the protective film burr (B) peeled off by the peeling unit 20, and clamping unit 30 for holding and releasing the protective film burr (B) during the gripping release operation of the clamping unit 30. ) It consists of a pressure feeding unit 40 for removal by high pressure and a recovery unit 50 for recovering the protective film burr (B) located on one side of the table (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패널의 보호필름 제거장치에 있어서, 액츄에이터(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리부(20)와 클램핑부(30)가 결합되는 브라켓(12)를 제1 축(Z축)방향으로 승하강 이동시키기 위한 제1 액츄에이터(14), 제1 액츄에이터(14)을 제2 축(Y축)방향으로 전후진 이동시키기 위한 제2 액츄에이터(16), 및 제2 액츄에이터(16)를 제3축(X)방향으로 전후진 이동시키기 위한 제3 액츄에이터(미도시)로 이루어진다. 이 때, 제3 액츄에이터(미도시)는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패널의 보호필름 제거장치의 본체 프레임(미도시)의 일단부에 결합된다. In the protective film removal device for the smartphone display pane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ctuator 10 includes a bracket 12 to which the peeling part 20 and the clamping part 30 are coupled, as shown in FIG. 3. ) a first actuator 14 for moving up and down in the first axis (Z-axis) direction, and a second actuator 16 for moving the first actuator 14 forward and backward in the second axis (Y-axis) direction. , and a third actuator (not shown) for moving the second actuator 16 forward and backward in the third axis (X) direction. At this time, the third actuator (not shown)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main body frame (not shown) of the device for removing the protective film of the smartphone display panel.

상기 제1 내지 제3 액츄에이터는 공압실린더나 리니어 모터가 구비된 선형이동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to third actuators are preferably composed of a linear moving part equipped with a pneumatic cylinder or a linear motor.

박리부(20)는 액츄에이터(10)의 제1 액츄에이터(14)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브라켓(12)을 매개하여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제1 액츄에이터(14)의 단부에 직접 결합되어도 좋다.The peeling portion 20 is preferably coupled to the end of the first actuator 14 of the actuator 10 via a bracket 12, but may also be directly coupled to the end of the first actuator 14.

박리부(20)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로 갈수록 테퍼진 첨점부(22a)과 타단부에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22b)을 가진 박리부재(22)와, 브라켓(12)에 대하여 결합되며 박리부(20)의 결합부(22b)가 삽입되어 고정결합되기 위한 결합공(24)으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S. 3 and 4, the peeling portion 20 includes a peeling member 22 having a peak portion 22a tapered toward one end and a coupling portion 22b for coupling to the other end, and a bracket. It is coupled to (12) and consists of a coupling hole (24) into which the coupling portion (22b) of the peeling portion (20) is inserted and fixedly coupled.

클램핑부(30)는, 도 3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액츄에이터(14)의 단부 또는 제1 액츄에이터(14)의 결합되는 브라켓(12)에 대하여 결합되는 몸체부(32), 몸체부(32)에 서로 대향되도록 힌지결합되는 파지부(34), 및 파지부(34)를 몸체부(32)에서 힌지회전하도록 하기 위한 회동부(미도시)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S. 3 and 5, the clamping portion 30 includes a body portion 32 coupled to the end of the first actuator 14 or the bracket 12 to which the first actuator 14 is coupled, It consists of a gripping part 34 that is hinged to the body 32 so as to face each other, and a pivoting part (not shown) for allowing the gripping part 34 to hinge and rotate on the body 32.

클램핑부(30)의 파지부(34)의 내측에는 파지된 보호필름 버(B)가 파지된 상태에서 슬립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서로 암수 대응되는 요철홈(36)을 각각 구비한다.The inside of the gripping part 34 of the clamping part 30 is provided with male and female concavo-convex grooves 36 corresponding to each other in order to prevent the gripped protective film burr B from slipping in the gripped state.

송압부(40)는 클램핑부(30)의 몸체부(32)의 중공부와 연결되어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덕트(42)와, 클램핑부(30)의 몸체부(32) 중공부를 관통하여 파지부(34)에 의하여 파지된 보호필름 버(B)를 상방향에서 하방향으로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기 위한 노즐(44)로 이루어진다. 한편, 송압부(40)는 몸체부(32)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구비된 노즐을 포함하여 이루어져도 좋다.The pressure feeding part 40 is connected to the hollow part of the body part 32 of the clamping part 30 and penetrates the duct 42 for supplying high-pressure air and the hollow part of the body part 32 of the clamping part 30. It consists of a nozzle 44 for spraying high-pressure air onto the protective film burr B held by the gripper 34 from upward to downward. Meanwhile, the pressure feeding unit 40 may include a nozzle provided independently of the body unit 32.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패널의 보호필름 제거장치에 의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패널의 보호필름 제거장치의 지지대(60) 상에 위치하여 보호필름(F)이 안착되는 테이블(T) 상에 이물질의 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이물질 센서부(70)를 더 구비한다.Meanwhile, according to the protective film removal device for the smartphone display pane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6, the protective film is located on the support 60 of the protective film removal device for the smartphone display panel. It is further provided with a foreign matter sensor unit 70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foreign matter on the table (T) on which (F) is seated.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패널의 보호필름 제거장치에 의하면, 박리부(20)의 박리부재(22)의 원점 위치를 감지하여 원점 위치를 보정하기 위한 원점보정센서부(80)를 더 구비한다. 원점보정센서부(80)는 반복적으로 이동 동작하는 박리부(20)의 누적 피로에 따른 원점 위치 이탈 여부를 감지하여 박리부(20)의 원점 위치를 정위치로 보정하도록 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며, 제어부(미도시)는 원점보정센서부(80)에 의하여 생성된 신호에 의하여 박리부(20)의 원점 위치를 보정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액츄에이터(10)를 제어한다.Meanwhile, according to the protective film removal device for the smartphone display pane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rigin correction sensor unit ( 80) is further provided. The origin correction sensor unit 80 detects whether the origin position of the peeling unit 20, which moves repeatedly, is deviated due to accumulated fatigue, and generates a signal to correct the origin position of the peeling unit 20 to the correct position. , the control unit (not shown) controls the actuator 10 to move the origin position of the peeling unit 20 to the corrected position by the signal generated by the origin correction sensor unit 80.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패널의 보호필름 제거장치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protective film removal device for the smartphone display pane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점에 위치한 박리부(20)의 박리부재(22)에 대하여 액츄에이터(10)의 제1 액츄에이터(14)에 의하여 제1 박리부(20)/박리부재(22)를 제1 축(Z축)방향으로 하강 이동시킨다. 이 때, 박리부재(22)가 최종 하강하는 위치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필름(F)을 이루는 보호필름 버(B)의 중간 두께 위치 정도까지 이동되도록 제1 액츄에이터(14)가 동작된다. 이러한 동작과정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클램핑부(30)의 파지부(34)는 서로 대향되도록 벌어진 상태를 유지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8에서는 보호필름(F)/보호필름 버(B)의 도면은 생략하기로 한다.First, as shown in FIGS. 7 and 8, the first peeling portion 20/ The peeling member 22 is moved downward in the first axis (Z-axis) direction.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7, the final descending position of the peeling member 22 is such that the first actuator 14 is moved to about the mid-thickness position of the protective film burr B forming the protective film F. It works. During this operation process, the gripping portions 34 of the clamping portion 30 are maintained in an open state so as to face each oth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drawing of the protective film (F)/protective film burr (B) will be omitted in FIG. 8.

이후, 보호필름 버(B)의 일정 깊이로 밀착된 박리부재(22)에 대하여 그 수직 위치를 유지한 상태에서 제3 액츄에이터(미도시)에 의하여 제3축(X)방향으로 전진 이동시킴으로써 보호필름 버(B)의 상면의 일측이 제3축(X)방향으로 디스플레이 패널(P)로부터 슬립되어 부분 탈거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 때, 보호필름 버(B)의 중앙부분은 박리부재(22)가 밀착되지 않은 부분은 디스플레이 패널(P)에 접착재에 의하여 밀착고정된 반면에 박리부재(22)에 의하여 밀착 슬립 이동되는 반대측의 보호필름 버(B)는 이동되기 때문에 보호필름 버(B)의 중앙부분(B´)이 디스플레이 패널(P)의 상면으로부터 볼록하게 탈거되는 상태를 가진다.Afterwards, protection is achieved by moving the peeling member 22,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protective film burr (B) at a certain depth, forward in the third axis (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lm burr (B) slips from the display panel (P) in the third axis (X) direction to allow partial removal. At this time, the central part of the protective film burr (B) is tightly fixed to the display panel (P) by an adhesive, while the part that is not in close contact with the peeling member (22) is on the opposite side that is closely and slip moved by the peeling member (22). Because the protective film burr (B) is moved, the central portion (B') of the protective film burr (B) is convexly detach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P).

이후, 이와 같이, 보호필름 버(B)의 중앙부분이 볼록하게 디스플레이 패널(P)로부터 부분 탈거된 상태에서 볼록하게 부분 탈거된 보호필름 버(B)의 중앙부를 파지하도록 클램핑부(30)의 파지부(34)는 제2 축(Y축)방향에 대하여 파지되도록 X축에 대하여 힌지 회전하게 된다.Thereafter, in a state in which the central portion of the protective film burr (B) is convex and partially removed from the display panel (P), the clamping portion 30 is used to hold the central portion of the partially convexly removed protective film burr (B). The gripping part 34 hinges and rotates about the X-axis so as to be gripped about the second axis (Y-axis) direction.

이후, 클램핑부(30)의 파지부(34)에 의하여 파지된 보호필름 버(B)의 중앙이 제1 축(Z축) 방향에 대하여 상승하도록 제1 액츄에이터(14)가 클램핑부(30)를 상승시킨다. 그에 따라 클램핑부(30)의 파지부(34)에 의하여 파지된 보호필름 버(B)의 중앙부분(B´)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패널(P)에 대하여 보호필름 버(B)의 잔여 접착된 부분도 완전히 디스플레이 패널(P)로부터 탈거 분리된다.Thereafter, the first actuator 14 moves the clamping part 30 so that the center of the protective film burr (B) held by the gripping part 34 of the clamping part 30 rises in the first axis (Z-axis) direction. raises. Accordingly, not only the central part (B') of the protective film burr (B) held by the gripping part 34 of the clamping part 30, but also the remaining adhesive of the protective film burr (B) to the display panel (P) The part is also completely removed and separated from the display panel (P).

이후, 제2 액츄에이터(16)에 의하여 클램핑부(30)의 파지부(34)를 회수부(50)가 위치한 방향인 제2 축(Y축)방향으로 전진 이동시킨다.Thereafter, the gripping part 34 of the clamping part 30 is moved forward by the second actuator 16 in the second axis (Y-axis) direction, which is the direction in which the recovery part 50 is located.

이후, 클램핑부(30)의 파지부(34)는 탈거 분리된 보호필름 버(B)을 파지해제한다. 이 후, 보호필름 버(B)의 저면에는 디스플레이 패널(P)과의 접착력을 위한 접착제가 접착되어 있기 때문에 클램핑부(30)의 파지부(34)의 파지 해제동작이 이루어지더라도 불완전하게 회수부(50)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송압부(40)에 의하여 노즐(44)을 통해 고압의 공기가 분사되도록 하여 파지부(34)에 대하여 접착된 보호필름 버(B)를 완벽하게 회수부(50)로 회수하도록 한다.Afterwards, the gripping part 34 of the clamping part 30 releases the gripping of the separated protective film burr (B). Afterwards, since an adhesive for adhesion to the display panel (P) is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protective film burr (B), even if the gripping release operation of the gripping part 34 of the clamping part 30 is performed, the recovery is incomplete. In order to prevent it from falling into the unit 50, high-pressure air is sprayed through the nozzle 44 by the pressure delivery unit 40 to completely protect the protective film burr (B) attached to the grip unit 34. It is recovered to the recovery unit (50).

이후, 보호필름 버(B)가 회수부(50)로 회수된 후에 전술한 동작과 역순서의 동작으로 진행된다. 이 때, 원점보정센서부(80)에 의하여 박리부재(22)의 위치가 원점에 위치하였는지를 검출하며, 위치 이탈이 발생하였을 경우 제어부(미도시)는 박리부(20)의 박리부재(22)가 원점 위치에 위치하도록 액츄에이터(10)를 제어한다.Thereafter, after the protective film burr (B) is recovered to the recovery unit 50, the operation is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of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At this time, the origin correction sensor unit 80 detects whether the position of the peeling member 22 is located at the origin, and if a position deviation occurs, the control unit (not shown) detects the peeling member 22 of the peeling unit 20. Control the actuator 10 so that it is located at the origin position.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패널의 보호필름 제거장치에 의하면, 접착성분을 가진 보호필름 버(B)를 디스플레이 패널(P)로부터 효율적으로 분리하여 작업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refore,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otective film removal device for the smartphone display panel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ective film burr (B) with adhesive component is efficiently separated from the display panel (P), thereby improving work productivity. You can do it.

B: 보호필름 버
F: 보호필름
P: 디스플레이 패널
T: 테이블
10: 액츄에이터
12: 브라켓
14: 제1 액츄에이터
16: 제2 액츄에이터
20: 박리부
22: 박리부재
24: 결합공
30: 클램핑부
40: 송압부
50: 회수부
60: 지지대
70: 이물질 센서부
80: 원점보정센서부
B: Protective film burr
F: Protective film
P: Display panel
T: table
10: actuator
12: bracket
14: first actuator
16: second actuator
20: Peeling part
22: Peeling member
24: Joining hole
30: Clamping part
40: pressure feeding unit
50: recovery unit
60: support
70: Foreign matter sensor unit
80: Origin correction sensor unit

Claims (18)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원점에 위치한 박리부(20)의 박리부재(22)에 대하여 액츄에이터(10)의 제1 액츄에이터(14)에 의하여 제1 박리부(20)/박리부재(22)를 제1 축(Z축)방향으로 하강 이동시키는 제1 단계;
보호필름 버(B)의 일정 깊이로 밀착된 박리부재(22)에 대하여 그 수직 위치를 유지한 상태에서 제3 액츄에이터(미도시)에 의하여 제3축(X)방향으로 전진 이동시킴으로써 보호필름 버(B)의 상면의 일측이 제3축(X)방향으로 디스플레이 패널(P)로부터 슬립되어 부분 탈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2 단계;
보호필름 버(B)의 중앙부분이 볼록하게 디스플레이 패널(P)로부터 부분 탈거된 상태에서 볼록하게 부분 탈거된 보호필름 버(B)의 중앙부를 파지하도록 클램핑부(30)의 파지부(34)는 제2 축(Y축)방향에 대하여 파지되도록 하는 제3 단계;
클램핑부(30)의 파지부(34)에 의하여 파지된 보호필름 버(B)의 중앙이 제1 축(Z축) 방향에 대하여 상승하도록 제1 액츄에이터(14)가 클램핑부(30)를 상승시키는 제4 단계;
제2 액츄에이터(16)에 의하여 클램핑부(30)의 파지부(34)를 회수부(50)가 위치한 방향인 제2 축(Y축)방향으로 전진 이동시키는 제5 단계; 및
클램핑부(30)의 파지부(34)는 탈거 분리된 보호필름 버(B)를 파지해제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패널의 보호필름 제거방법.
The first peeling part 20/peeling member 22 is moved along the first axis (Z axis) by the first actuator 14 of the actuator 10 with respect to the peeling member 22 of the peeling part 20 located at the origin. A first step of moving downward in the direction;
The protective film burr is moved forward in the third axis ( A second step of allowing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B) to slip from the display panel (P) in the third axis (X) direction to allow partial removal;
In a state in which the central portion of the protective film bur (B) is convex and partially removed from the display panel (P), the holding portion 34 of the clamping portion 30 is provided to hold the central portion of the partially removed protective film bur (B) in a convex manner. is a third step of being held about the second axis (Y-axis) direction;
The first actuator 14 raises the clamping part 30 so that the center of the protective film burr (B) held by the gripping part 34 of the clamping part 30 rises in the first axis (Z-axis) direction. The fourth step of ordering;
A fifth step of moving the holding part 34 of the clamping part 30 forward by the second actuator 16 in the second axis (Y-axis) direction, which is the direction in which the recovery part 50 is located; and
A method of removing a protective film of a smartphone display panel, comprising a sixth step of releasing the holding part 34 of the clamping part 30 from gripping the separated protective film burr (B).
제14항에 있어서, 송압부(40)에 의하여 노즐(44)을 통해 고압의 공기가 분사되도록 하여 파지부(34)에 대하여 접착된 보호필름 버(B)를 완전 분리 낙하시키도록 하는 제7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패널의 보호필름 제거방법.The seventh method of claim 14, wherein high-pressure air is sprayed through the nozzle 44 by the pressure feeding unit 40 to completely separate and fall the protective film burr (B) adhered to the gripping unit 34. A method of removing the protective film of a smartphone display panel,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삭제delete 제14항 내지 제1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원점보정센서부(80)에 의하여 박리부재(22)의 위치가 원점에 위치하였는지를 검출하며, 위치 이탈이 발생하였을 경우 제어부(미도시)는 박리부(20)의 박리부재(22)가 원점 위치에 위치하도록 액츄에이터(10)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패널의 보호필름 제거방법.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4 to 15, whether the position of the peeling member 22 is located at the origin is detected by the origin correction sensor unit 80, and if the position deviation occurs, the control unit (not shown) A method of removing the protective film of a smartphone display panel, further comprising controlling the actuator 10 so that the peeling member 22 of the peeling unit 20 is located at the origin position. 제14항 내지 제1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박리부재(22)가 최종 하강하는 위치는 보호필름(F)을 이루는 보호필름 버(B)의 중간 두께 위치 정도까지 이동되도록 제1 액츄에이터(14)가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패널의 보호필름 제거방법.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4 to 15, the first actuator ( 14) A method of removing the protective film of a smartphone display panel, characterized in that it operates.
KR1020210040737A 2021-03-29 2021-03-29 Removing device for smartphone protective film and method thereof KR10265377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0737A KR102653776B1 (en) 2021-03-29 2021-03-29 Removing device for smartphone protective film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0737A KR102653776B1 (en) 2021-03-29 2021-03-29 Removing device for smartphone protective film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5111A KR20220135111A (en) 2022-10-06
KR102653776B1 true KR102653776B1 (en) 2024-04-02

Family

ID=83597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0737A KR102653776B1 (en) 2021-03-29 2021-03-29 Removing device for smartphone protective film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377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3580B1 (en) * 2022-12-09 2023-09-01 (주)우남테크 Protective vinyl removal system for selectively removing protective vinyl on the surface of metal plat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9205B1 (en) * 2004-10-25 2006-03-10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Cutting supply apparatus of tire steel cord sheet
JP2020121855A (en) * 2019-01-30 2020-08-13 日機装株式会社 Peel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4098B1 (en) * 2003-10-30 2005-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Particle detecting apparatus of protective adhesive tape for semiconductor wafer
KR102424743B1 (en) * 2017-10-13 2022-07-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otecting film peeling device and peeling method for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9205B1 (en) * 2004-10-25 2006-03-10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Cutting supply apparatus of tire steel cord sheet
JP2020121855A (en) * 2019-01-30 2020-08-13 日機装株式会社 Peel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5111A (en) 2022-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9587B1 (en) Protective tape join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as well as protective tape separat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EP3800135B1 (en) Film adhering method and film adhering apparatus thereof
US20080017311A1 (en) Sheet peeling apparatus and peeling method
KR102653776B1 (en) Removing device for smartphone protective film and method thereof
JP6301685B2 (en) Protective tape peeling apparatus and protective tape peeling method
TW201724337A (en) Peeling method and peeling device
JPH09309664A (en) Protective sheet peeling method and peeling device used therefor
TW201913852A (en) Adhesive tape stripping method and adhesive tape stripping device
JP6413078B2 (en) Component mounting device
KR101221429B1 (en) PCB Protection Film Removal Device
KR101419353B1 (en) Apparatus for attaching functional film
TWI665747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protective tape
TW20194381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adhesive tape capable of accurately separating and removing an adhesive tape from a wafer without using a peeling adhesive tape
JP2012001291A (en) Film peeling device and method
KR102569102B1 (en) Display manufacture system having robot arm
KR102575834B1 (en) Display manufacture system having robot arm
JP2007137471A (en) Label pasting machine
WO2010061885A1 (en) Film peeling apparatus and film peeling method
JP2006199478A (en) Peeling device of double-side films of glass
JP2011077238A (en) Method and device for peeling sticking member
JPH0969553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ducing semiconductor
JP5378089B2 (en) Protective tape peeling device
JP4002444B2 (en) Polarizer supply device
JP2008230737A (en) Method and device for peeling plate protective film
TWI725201B (en) Substrate breaking device and substrate break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