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3012B1 - 기능이 향상된 수벽용 벽강관말뚝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차수벽체 설치 방법 - Google Patents

기능이 향상된 수벽용 벽강관말뚝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차수벽체 설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3012B1
KR102653012B1 KR1020210189362A KR20210189362A KR102653012B1 KR 102653012 B1 KR102653012 B1 KR 102653012B1 KR 1020210189362 A KR1020210189362 A KR 1020210189362A KR 20210189362 A KR20210189362 A KR 20210189362A KR 102653012 B1 KR102653012 B1 KR 1026530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wall steel
wall
pipe pil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9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99918A (ko
Inventor
박대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틸코리아
박대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틸코리아, 박대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틸코리아
Priority to KR1020210189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3012B1/ko
Publication of KR20230099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99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3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30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02Sheet piles or sheet pile bulkheads
    • E02D5/03Prefabricated parts, e.g. composite sheet piles
    • E02D5/04Prefabricated parts, e.g. composite sheet piles made of steel
    • E02D5/06Fitted piles or other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losing gaps between two sheet piles or between two walls of sheet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9/00Keeping dry foundation sites or other areas in the ground
    • E02D19/06Restraining of underground water
    • E02D19/12Restraining of underground water by damming or interrupting the passage of underground water
    • E02D19/18Restraining of underground water by damming or interrupting the passage of underground water by making use of sealing aprons, e.g. diaphragms made from bituminous or clay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02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04Sealing li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02Sheet piles or sheet pile bulkheads
    • E02D5/14Sealing joints between adjacent sheet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4Prefabricated piles
    • E02D5/28Prefabricated piles made of steel or other metals
    • E02D5/285Prefabricated piles made of steel or other metals tubular, e.g. prefabricated from sheet pil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ulkheads Adapted To Foundation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수벽용 벽강관말뚝 구조물은,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원형 파이프 형상의 제1벽강관말뚝본체(11); 제1벽강관말뚝본체(11)의 일측에 측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되,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하나의 제1벽강관말뚝일측연결부(12); 제1벽강관말뚝본체(11)의 타측에 측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되,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하나의 제1벽강관말뚝타측연결부(13);를 갖춘 제1벽강관말뚝(10)과;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원형 파이프 형상의 제2벽강관말뚝본체(21); 제2벽강관말뚝본체(21)의 일측에 측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되, 길이방향으로 구비되어, 제1벽강관말뚝타측연결부(13)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맞물려 끼워지는 하나의 제2벽강관말뚝일측연결부(22); 제2벽강관말뚝본체(21)의 타측에 측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되,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하나의 제2벽강관말뚝타측연결부(23);를 갖춘 제2벽강관말뚝(20)과;
길이방향으로 구비되어, 제1벽강관말뚝본체(11)의 외측에 맞대어지는 제1접촉부(31);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되, 제1접촉부(31)에 대향되게 구비되어, 제2벽강관말뚝본체(21)의 외측에 맞대어지는 제2접촉부(32); 길이방향으로 구비되어, 제1접촉부(31)와 제2접촉부(32)를 연결하는 연결부(33)를 갖추고서, 제1,2벽강관말뚝(10,20)을 따라 배치되며, 제1,2벽강관말뚝(10,20)과 함께 충전공간(a)을 형성하는 충전공간형성부재(30)와;
충전공간(a)에 채워져서, 제1,2벽강관말뚝(10,20) 사이를 밀폐하는 충전재(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벽용 벽강관말뚝 구조물을 이용한 수벽용 차수벽체 설치 방법은,
상기 수벽용 벽강관말뚝 구조물을 이용하여 수벽용 차수벽체를 설치하는 것으로,
다수의 제1,2벽강관말뚝(10,20)이 서로 연결되도록, 제1,2벽강관말뚝(10,20)을 수저(水底)에 박아서, 링 형상의 벽강관 벽체를 형성하는 벽강관말뚝 설치 단계와;
제1,2벽강관말뚝(10,20)의 외측에 충전공간형성부재(30)를 밀착설치하여 제1,2벽강관말뚝(10,20)과 충전공간형성부재(30) 사이에 충전공간(a)을 형성하는 충전공간형성부재 설치 단계와;
충전공간(a)에 충전재(40)를 충전하여, 벽강관벽체와 충전재(40)에 의해 수벽용 차수벽체가 형성되도록 하는 충전재 충전 단계와;
수벽용 차수벽체 내부의 물을 빼내는 차수벽체 물 제거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기능이 향상된 수벽용 벽강관말뚝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차수벽체 설치 방법{Steel Pipe Cofferdam and Steel Pipe Cofferdam Installing Method}
본 발명은 구조가 단순하고, 구조적으로 안정성을 갖추며, 설치 작업이 편리한 '기능이 향상된 수벽용 벽강관말뚝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차수벽체 설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토목 기초공사에는 많은 변화가 일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사용환경이 열악한 지반개량이나 굴토 또는 성토 등 토목 공사의 수요가 늘어 강관말뚝을 사용하는 공법이 꾸준히 개발 보급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복수의 벽강관말뚝을 이용한 공법은 항만 접안 시설 공사 등과 같이 수심이 깊은 연약지반이나 수심이 깊은 현장에서 말뚝기초와 차수벽체를 동시에 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공법이다.(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253410호, 벽강관말뚝의 연결구조체 참조)
이러한 복수의 벽강관말뚝을 이용한 공법은 복수의 벽강관말뚝을 벽강관말뚝의 연결구조체를 통해 서로 견고하게 연결함으로써, 연결구조체에 충전재를 충전하여, 복수의 벽강관말뚝이 차수 구현 및 토사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일종의 벽을 형성함과 동시에 다양한 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에도 강한 지지력을 갖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충전재를 충전하면서 벽강관말뚝 간의 연결을 견고히 하기 위해 상기 연결구조체와 벽강관말뚝 간의 연결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상기 연결구조체에 충전재를 충전하기 위해 연결구조체의 부피가 커져야 하기 때문에 벽강관말뚝 간의 간격이 넓어지고 이로 인해 차수벽체의 구조적 안정성이 낮아지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종래에는 상기와 같이 상기 연결구조체와 벽강관말뚝 간의 연결구조가 복잡해지고 연결구조체의 부피가 커짐으로 인해, 차수벽체를 설치하는 작업 공정이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25341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구조가 단순하고, 구조적으로 안정성을 갖추며, 설치 작업이 편리한 '기능이 향상된 수벽용 벽강관말뚝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차수벽체 설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과제의 해결 수단은,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원형 파이프 형상의 제1벽강관말뚝본체(11); 제1벽강관말뚝본체(11)의 일측에 측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되,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하나의 제1벽강관말뚝일측연결부(12); 제1벽강관말뚝본체(11)의 타측에 측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되,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하나의 제1벽강관말뚝타측연결부(13);를 갖춘 제1벽강관말뚝(10)과;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원형 파이프 형상의 제2벽강관말뚝본체(21); 제2벽강관말뚝본체(21)의 일측에 측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되, 길이방향으로 구비되어, 제1벽강관말뚝타측연결부(13)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맞물려 끼워지는 하나의 제2벽강관말뚝일측연결부(22); 제2벽강관말뚝본체(21)의 타측에 측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되,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하나의 제2벽강관말뚝타측연결부(23);를 갖춘 제2벽강관말뚝(20)과;
길이방향으로 구비되어, 제1벽강관말뚝본체(11)의 외측에 맞대어지는 제1접촉부(31);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되, 제1접촉부(31)에 대향되게 구비되어, 제2벽강관말뚝본체(21)의 외측에 맞대어지는 제2접촉부(32); 길이방향으로 구비되어, 제1접촉부(31)와 제2접촉부(32)를 연결하는 연결부(33)를 갖추고서, 제1,2벽강관말뚝(10,20)을 따라 배치되며, 제1,2벽강관말뚝(10,20)과 함께 충전공간(a)을 형성하는 충전공간형성부재(30)와;
충전공간(a)에 채워져서, 제1,2벽강관말뚝(10,20) 사이를 밀폐하는 충전재(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과제의 해결 수단은,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원형 파이프 형상의 제1벽강관말뚝본체(11); 제1벽강관말뚝본체(11)의 일측에 측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되,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하나의 제1벽강관말뚝일측연결부(12); 제1벽강관말뚝본체(11)의 타측에 측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되,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하나의 제1벽강관말뚝타측연결부(13);를 갖춘 제1벽강관말뚝(10)과;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원형 파이프 형상의 제2벽강관말뚝본체(21); 제2벽강관말뚝본체(21)의 일측에 측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되,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제2벽강관말뚝일측연결부(22); 제2벽강관말뚝본체(21)의 타측에 측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되,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제2벽강관말뚝타측연결부(23);를 갖춘 제2벽강관말뚝(20)과;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간격조절부재본체(71)와, 간격조절부재본체(71)의 일측에 구비되되, 길이방향으로 구비되어, 제1벽강관말뚝(10)의 제1벽강관타측연결부(13)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맞물려 끼워지는 하나의 제1간격조절부재연결부(72); 간격조절부재본체(71)의 타측에 구비되되, 길이방향으로 구비되어, 제2벽강관말뚝(20)의 제2벽강관말뚝일측연결부(22)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맞물려 끼워지는 제2간격조절부재연결부(73);을 갖추고서, 제1,2벽강관말뚝(10,20)을 따라 배치되는 간격조절부재(70)와;
길이방향으로 구비되어, 제1벽강관말뚝본체(11)의 외측에 맞대어지는 제1접촉부(31);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되, 제1접촉부(31)에 대향되게 구비되어, 제2벽강관말뚝본체(21)의 외측에 맞대어지는 제2접촉부(32); 길이방향으로 구비되어, 제1접촉부(31)와 제2접촉부(32)를 연결하는 연결부(33)를 갖추고서, 제1,2벽강관말뚝(10,20) 및 간격조절부재(70)를 따라 배치되며, 제1,2벽강관말뚝(10,20) 및 간격조절부재(70)와 함께 충전공간(a)을 형성하는 충전공간형성부재(30)와;
충전공간(a)에 채워져서, 제1,2벽강관말뚝(10,20) 및 간격조절부재(70) 사이를 밀폐하는 충전재(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과제의 해결 수단은,
제1과제의 해결 수단에 있어서,
상기 제1벽강관말뚝본체(11)의 내측에 맞대어지고,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제1접촉부(31);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되, 상기 제1접촉부(31)에 대향되게 구비되어, 제2벽강관말뚝본체(21)의 내측에 맞대어지는 제2접촉부(32); 길이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접촉부(31)와 상기 제2접촉부(32)를 연결하는 연결부(33)를 갖추고서, 제1,2벽강관말뚝(10,20)을 따라 배치되며, 제1,2벽강관말뚝(10,20)과 함께 충전공간(a)을 형성하는 충전공간형성부재(30)와;
상기 충전공간(a)에 채워져서, 제1,2벽강관말뚝(10,20) 사이를 밀폐하는 충전재(4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4과제의 해결 수단은,
제2과제의 해결 수단에 있어서,
상기 제1벽강관말뚝본체(11)의 내측에 맞대어지고,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제1접촉부(31);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되, 상기 제1접촉부(31)에 대향되게 구비되어, 제2벽강관말뚝본체(21)의 내측에 맞대어지는 제2접촉부(32); 길이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접촉부(31)와 상기 제2접촉부(32)를 연결하는 연결부(33)를 갖추고서, 제1,2벽강관말뚝(10,20) 및 간격조절부재(70)를 따라 배치되며, 제1,2벽강관말뚝(10,20) 및 간격조절부재(70)와 함께 충전공간(a)을 형성하는 충전공간형성부재(30)와;
상기 충전공간(a)에 채워져서, 제1,2벽강관말뚝(10,20) 및 간격조절부재(70) 사이를 밀폐하는 충전재(4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5과제의 해결 수단은,
제1 내지 제4 과제의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2벽강관말뚝(10,20) 및 충전공간형성부재(30)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충전공간형성부재(30)에 설치되는 자석체(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6과제의 해결 수단은,
제1 내지 제4 과제의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40)는, 수분함유시 팽창하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7과제의 해결 수단은,
제1항 내지 제4 과제의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충전공간(a)에 설치되되, 천 재질로 이루어져 주머니 형상을 갖는 수용부재(60)를 더 포함하고,
충전재는, 수용부재 내부에 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8과제의 해결 수단은,
제1과제의 해결 수단의 수벽용 벽강관말뚝 구조물을 이용하여 수벽용 차수벽체를 설치하는 것으로,
다수의 제1,2벽강관말뚝(10,20)이 서로 연결되도록, 제1,2벽강관말뚝(10,20)을 수저(水底)에 박아서, 링 형상의 벽강관 벽체를 형성하는 벽강관말뚝 설치 단계와;
제1,2벽강관말뚝(10,20)의 외측에 충전공간형성부재(30)를 밀착설치하여 제1,2벽강관말뚝(10,20)과 충전공간형성부재(30) 사이에 충전공간(a)을 형성하는 충전공간형성부재 설치 단계와;
충전공간(a)에 충전재(40)를 충전하여, 벽강관벽체와 충전재(40)에 의해 수벽용 차수벽체가 형성되도록 하는 충전재 충전 단계와;
수벽용 차수벽체 내부의 물을 빼내는 차수벽체 물 제거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9과제의 해결 수단은,
제2과제의 해결 수단의 수벽용 벽강관말뚝 구조물을 이용하여 수벽용 차수벽체를 설치하는 것으로,
다수의 제1,2벽강관말뚝(10,20)을 수저(水底)에 박고, 다수의 제1,2벽강관말뚝(10,20) 및 다수의 간격조절부재(70)가 서로 연결되도록, 제1,2벽강관말뚝(10,20) 사이에 간격조절부재(70)를 설치하여, 링 형상의 벽강관 벽체를 형성하는 벽강관말뚝 설치 단계와;
제1,2벽강관말뚝(10,20)의 외측에 충전공간형성부재(30)를 밀착설치하여 제1,2벽강관말뚝(10,20)과 간격조절부재(70)와 충전공간형성부재(30) 사이에 충전공간(a)을 형성하는 충전공간형성부재 설치 단계와;
충전공간(a)에 충전재(40)를 충전하여, 벽강관벽체와 충전재(40)에 의해 수벽용 차수벽체가 형성되도록 하는 충전재 충전 단계와;
수벽용 차수벽체 내부의 물을 빼내는 차수벽체 물 제거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은 과제의 해결 수단에 따른 본 발명은, 길이방향으로 구비된 원형 파이프 형상의 제1,2벽강관말뚝(10,20)이 서로 직접 연결되고, 연결된 제1,2벽강관말뚝(10,20)의 외측에 충전공간형성부재(30)를 설치하여, 실링을 위한 충전공간(a) 형성을 위해 제1,2벽강관말뚝(10,20)의 외측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때 본 발명은 제1,2벽강관말뚝(10,20)을 직접 연결하면서 충전공간(a)을 형성하기 때문에 제1,2벽강관말뚝(10,20)간의 간격이 줄고, 이에 따라 다수의 제1,2벽강관말뚝(10,20)을 이어 차수벽체(W)를 설치할 시, 차수벽체(W)가 구조적 안정성을 갖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충전공간형성부재(30)에 자석체(50)가 설치되어, 충전공간(a) 형성을 위해 제1,2벽강관말뚝(10,20)에 충전공간형성부재(30)를 설치하기 용이하고, 이에 따라 차수벽체(W) 설치 작업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2벽강관말뚝(10,20)과 충전공간형성부재(30) 간의 단순한 구조적 결합을 통해 차수벽체(W)를 쉽게 설치하고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차수벽체(W)를 쉽게 분리할 수 있어 재사용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충전공간(a)에 수용부재(60)를 배치한 후 수용부재(60)에 충전재(40)를 충전하여, 충전재(40)가 충전공간(a)에서 이탈하는 것을 최소화하면서 제1,2벽강관말뚝(10,20)의 연결지점을 기밀하게 실링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충전공간형성부재(30) 및 충전재(40) 및 자석체(50)를 매개로, 제1,2벽강관말뚝(10,20)의 내측 연결지점을 실링하여, 보다 견고하게 차수벽체(W)를 실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간격조절부재(70)를 매개로 제1,2벽강관말뚝(10,20) 간의 이격거리를 조절할 수 있고, 이때 충전공간형성부재(30) 및 충전재(40)를 매개로 제1,2벽강관말뚝(10,20) 및 간격조절부재(70) 간의 연결지점을 기밀하게 실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때 본 발명은 자석체(50)를 매개로 충전공간형성부재(30)를 제1,2벽강관말뚝(10,20)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간격조절부재(70)를 매개로 제1,2벽강관말뚝(10,20) 간의 이격거리를 조절할 수 있어, 제1,2벽강관말뚝(10,20)을 매개로 차수벽체(W)를 설치할 시, 제1,2벽강관말뚝(10,20) 간을 연결하기 어려운 지점을 효율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구조가 단순하고 작업이 편리하여 상기와 같은 장점을 나타내면서 공사 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1,2벽강관말뚝을 나타낸 단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충전공간형성부재를 나타낸 단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수벽체 설치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4는 충전공간형성부재 및 충전재를 매개로 제1,2벽강관말뚝 외측을 실링하는 수벽용 벽강관말뚝 구조물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충전공간형성부재 및 충전재 및 자석체를 매개로 제1,2벽강관말뚝 내측을 실링하는 수벽용 벽강관말뚝 구조물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4 및 도 5에 따른 수벽용 벽강관말뚝 구조물을 이용하여 차수벽체가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충전공간형성부재 및 수용부재 및 충전재를 매개로 제1,2벽강관말뚝 외측을 실링하는 수벽용 벽강관말뚝 구조물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충전공간형성부재 및 수용부재 및 충전재 및 자석체를 매개로 제1,2벽강관말뚝 외측을 실링하는 수벽용 벽강관말뚝 구조물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충전공간형성부재 및 충전재를 매개로 제1,2벽강관말뚝 외측 및 내측을 실링하고 자석체가 제1,2벽강관말뚝 내측에 구비되는 수벽용 벽강관말뚝 구조물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충전공간형성부재 및 수용부재 및 충전재를 매개로 제1,2벽강관말뚝 외측 및 내측을 실링하고 자석체가 제1,2벽강관말뚝 내측에 구비되는 수벽용 벽강관말뚝 구조물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서 간격조절부재, 충전공간형성부재, 충전재를 매개로 제1,2벽강관말뚝 외측을 실링하는 수벽용 벽강관말뚝 구조물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서 간격조절부재, 충전공간형성부재, 충전재, 자석체를 매개로 제1,2벽강관말뚝 외측을 실링하는 수벽용 벽강관말뚝 구조물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은 간격조절부재, 충전공간형성부재, 충전재를 매개로 제1,2벽강관말뚝 외측 및 내측을 실링하고 자석체가 제1,2벽강관말뚝 내측에 구비되는 수벽용 벽강관말뚝 구조물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고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1,2벽강관말뚝을 나타낸 단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충전공간형성부재를 나타낸 단면 사시도로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벽용 벽강관말뚝 구조물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수벽용 벽강관말뚝 구조물은 제1벽강관말뚝(10)과, 제2벽강관말뚝(20)과, 제1,2벽강관말뚝(10,20)의 외측에 구비되는 충전공간형성부재(30)와, 제1,2벽강관말뚝(10,20)의 외측에 충전되는 충전재(40)를 포함하고, 필요에 따라 제1,2벽강관말뚝(10,20)의 내측에 구비되는 충전공간형성부재(30)와, 제1,2벽강관말뚝(10,20)의 내측에 충전되는 충전재(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벽강관말뚝(10)은 원형 파이프 형상의 제1벽강관말뚝본체(11)와, 제1벽강관말뚝본체(11)의 일측에 측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제1벽강관말뚝일측연결부(12)과, 제1벽강관말뚝본체(11)의 타측에 측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제1벽강관말뚝타측연결부(13)를 갖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1벽강관말뚝일측연결부(12) 및 제1벽강관말뚝타측연결부(13)는 평단면이 꺾인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1벽강관말뚝일측연결부(12) 및 제1벽강관말뚝타측연결부(13)는 평단면이 갈고리 형상을 갖는 꺾인 형상으로 이루어지지만, 상기 평단면이 다양한 형태의 꺾인 형상을 이룰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제1벽강관말뚝(10)은 강성의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벽강관말뚝(20)은, 원형 파이프 형상의 제2벽강관말뚝본체(21)와, 제2벽강관말뚝본체(21)의 일측에 측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어 제1벽강관말뚝타측연결부(13)에 상하 방향(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제2벽강관말뚝일측연결부(22)와, 제2벽강관말뚝본체(21)의 타측에 측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제2벽강관말뚝타측연결부(23)를 갖춘다. 본 발명에서 제2벽강관말뚝타측연결부(23)는 또 다른 제1벽강관말뚝(10)의 제1벽강관말뚝일측연결부(12)에 상하 방향(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2벽강관말뚝일측연결부(22) 및 제2벽강관말뚝타측연결부(23)는 평단면이 꺾인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2벽강관말뚝일측연결부(22) 및 제2벽강관말뚝타측연결부(23)는 평단면이 갈고리 형상을 갖는 꺾인 형상으로 이루어지지만, 상기 평단면이 다양한 형태의 꺾인 형상을 이룰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제2벽강관말뚝(20)은 강성의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충전공간형성부재(30)는 제1벽강관말뚝본체(11)의 외측에 맞대어지는 제1접촉부(31)와, 제1접촉부(31)에 대향되게 구비되어 제2벽강관말뚝본체(21)의 외측에 맞대어지는 제2접촉부(32)와, 제1접촉부(31)와 제2접촉부(32)를 연결하는 연결부(33)를 갖추고서, 제1,2벽강관말뚝(10,20)과 함께 충전공간(a)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접촉부(31)는 제1벽강관말뚝본체(11)와 밀접접촉되도록 라운드 형상을 이루고, 제2접촉부(32)는 제2벽강관말뚝본체(21)와 밀접접촉되도록 라운드 형상을 이룬다.
또한, 본 발명에서 충전공간형성부재(30)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충전공간형성부재(30)가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시 충전공간형성부재(30)에는 강한 자력을 갖는 자석체(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자석체(50)는 충전공간형성부재(30)의 내측에 설치되어 충전공간형성부재(30)를 자화시킨다. 그러면 충전공간형성부재(30)는 자력에 의해 제1,2벽강관말뚝(10,2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충전공간형성부재(30)는 볼팅 체결방식 등 다양한 체결방식으로 제1,2벽강관말뚝(10,2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1,2벽강관말뚝(10,20)의 내측에 구비되는 충전공간형성부재(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전공간형성부재(30)는, 제1벽강관말뚝본체(11)의 내측에 맞대어지는 제1접촉부(31)와, 상기 제1접촉부(31)에 대향되게 구비되어 제2벽강관말뚝본체(21)의 내측에 맞대어지는 제2접촉부(32)와, 상기 제1접촉부(31)와 상기 제2접촉부(32)를 연결하는 연결부(33)를 갖추고서, 제1,2벽강관말뚝(10,20)의 외측에 구비되는 충전공간형성부재(30)에 대향되게 구비되어, 제1,2벽강관말뚝(10,20)과 함께 충전공간(a)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접촉부(31)는 제1벽강관말뚝본체(11)와 밀접접촉되도록 라운드 형상을 이루고, 상기 제2접촉부(32)는 제2벽강관말뚝본체(21)와 밀접접촉되도록 라운드 형상을 이룬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충전공간형성부재(30)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충전공간형성부재(30)가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시 충전공간형성부재(30)에는 강한 자력을 갖는 자석체(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자석체(50)는 상기 충전공간형성부재(30)의 내측에 설치되어 충전공간형성부재(30)를 자화시킨다. 그러면 상기 충전공간형성부재(30)는 자력에 의해 제1,2벽강관말뚝(10,2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충전공간형성부재(30)는 볼팅 체결방식 등 다양한 체결방식으로 제1,2벽강관말뚝(10,2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충전재(40)는 충전공간(a)에 채워진다. 본 발명에서 충전재(40)는 수분함유시 팽창하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때 본 발명에서 충전재(40)는 벤토나이트(bentonite) 또는 고흡수성수지(super absorbent polymer)일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에서 충전재(40)는 충전공간(a)에 채워지면서 팽창하여, 충전공간(a)의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충전재(40)는 네오프렌(neoprene) 재질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충전공간(a)에 설치되되, 상측이 개구된 주머니 형상인 수용부재(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수용부재(60)는 천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측이 개구된 주머니 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발명에서는 수용부재(60)에 충전재(40)가 채워지면, 충전재(40)가 물을 흡수하면서 팽창하고, 충전재(40)는 수용부재(60)에 수용되어, 제1,2벽강관말뚝(10,20) 간의 연결지점이 실링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수용부재(60)는 신축 재질 또는 탄성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충전재(40)는 충전공간(a)에 채워진다. 본 발명에서 충전재(40)는 수분함유시 팽창하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때 본 발명에서 충전재(40)는 벤토나이트(bentonite) 또는 고흡수성수지(super absorbent polymer)일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에서 충전재(40)는 충전공간(a)에 채워지면서 팽창하여, 충전공간(a)의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충전재(40)는 네오프렌(neoprene) 재질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충전공간(a)에 설치되되, 상측이 개구된 주머니 형상인 수용부재(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수용부재(60)는 천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측이 개구된 주머니 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발명에서는 수용부재(60)에 충전재(40)가 채워지면, 충전재(40)가 물을 흡수하면서 팽창하고, 충전재(40)는 수용부재(60)에 수용되어, 제1,2벽강관말뚝(10,20) 간의 연결지점이 실링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수용부재(60)는 신축 재질 또는 탄성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수벽체 설치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4는 충전공간형성부재 및 충전재를 매개로 제1,2벽강관말뚝 외측을 실링하는 수벽용 벽강관말뚝 구조물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충전공간형성부재 및 충전재 및 자석체를 매개로 제1,2벽강관말뚝 내측을 실링하는 수벽용 벽강관말뚝 구조물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4 및 도 5에 따른 수벽용 벽강관말뚝 구조물을 이용하여 차수벽체가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충전공간형성부재 및 수용부재 및 충전재를 매개로 제1,2벽강관말뚝 외측을 실링하는 수벽용 벽강관말뚝 구조물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충전공간형성부재 및 수용부재 및 충전재 및 자석체를 매개로 제1,2벽강관말뚝 외측을 실링하는 수벽용 벽강관말뚝 구조물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충전공간형성부재 및 충전재를 매개로 제1,2벽강관말뚝 외측 및 내측을 실링하고 자석체가 제1,2벽강관말뚝 내측에 구비되는 수벽용 벽강관말뚝 구조물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충전공간형성부재 및 수용부재 및 충전재를 매개로 제1,2벽강관말뚝 외측 및 내측을 실링하고 자석체가 제1,2벽강관말뚝 내측에 구비되는 수벽용 벽강관말뚝 구조물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서 간격조절부재, 충전공간형성부재, 충전재를 매개로 제1,2벽강관말뚝 외측을 실링하는 수벽용 벽강관말뚝 구조물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서 간격조절부재, 충전공간형성부재, 충전재, 자석체를 매개로 제1,2벽강관말뚝 외측을 실링하는 수벽용 벽강관말뚝 구조물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은 간격조절부재, 충전공간형성부재, 충전재를 매개로 제1,2벽강관말뚝 외측 및 내측을 실링하고 자석체가 제1,2벽강관말뚝 내측에 구비되는 수벽용 벽강관말뚝 구조물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3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수벽체 설치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차수벽체 설치 방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강관말뚝 설치 단계(S1)와, 충전공간형성부재 설치 단계(S2)와, 충전재 충전 단계(S3) 및, 차수벽체 물 제거(S4)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본 발명의 수벽용 벽강관말뚝 구조물을 이용하여 차수벽체가 설치된다.
상기 벽강관말뚝 설치 단계(S1)는, 차수벽체 설치를 위한 구성을 작업 위치로 이동한 후, 다수의 제1,2벽강관말뚝(10,20)이 서로 직접 또는 간접 연결되어 링 형상의 벽강관벽체가 형성되도록, 다수의 제1,2벽강관말뚝(10,20)을 바닥에 박는다.
일예로, 본 발명에서는 바지선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수벽용 벽강관말뚝 구조물 제작용 자재(구성)를 작업 위치로 이동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자재를 작업 위치로 이동할 수 있으면 다양한 형태의 수상 운송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제1벽강관말뚝(10)을 수저(水底) 바닥에 박은 상태에서 제2벽강관말뚝(20)의 제2벽강관말뚝일측연결부(22)가 제1벽강관말뚝(10)의 제1벽강관말뚝타측연결부(13)에 슬라이딩되게 제2벽강관말뚝(20)을 하방으로 박으면, 제1벽강관말뚝(10)의 제1벽강관말뚝타측연결부(13)와 제2벽강관말뚝(20)의 제2벽강관말뚝일측연결부(22)가 서로 끼워지면서 제2벽강관말뚝(20)이 수저(水底) 바닥에 박힌다. 이후 또 다른 제1벽강관말뚝(10)의 제1벽강관말뚝일측연결부(12)가 상기 제2벽강관말뚝(20)의 제2벽강관말뚝타측연결부(23)에 슬라이딩되게 상기 제1벽강관말뚝(10)을 하방으로 박으면, 상기 제2벽강관말뚝(20)의 제2벽강관말뚝타측연결부(23)와 상기 제1벽강관말뚝(10)의 제1벽강관말뚝일측연결부(12)가 서로 끼워지면서 상기 제1벽강관말뚝(10)이 수저(水底) 바닥에 박힌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다수의 제1,2벽강관말뚝(10,20)을 설치하여 링 형상의 벽강관벽체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충전공간형성부재 설치 단계(S2)는, 제1,2벽강관말뚝(10,20)을 직접적으로 연결할 시에는 제1,2벽강관말뚝(10,20)의 외측에 충전공간형성부재(30)를 밀착설치하여 제1,2벽강관말뚝(10,20)과 충전공간형성부재(30) 사이에 충전공간(a)을 형성한다.(도 4참조, 도 4에서는 센터선을 기준으로 상측이 제1,2벽강관말뚝본체의 외측, 하측이 제1,2벽강관말뚝본체의 내측을 나타냄). 이때 상기 충전공간형성부재(30)를 향해 수류(水流: 물의 흐름) 작용하면, 수류에 의해 상기 충전공간형성부재(30)가 상기 제1,2벽강관말뚝(10,20)에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충전공간형성부재 설치 단계(S2)에서는, 충전공간형성부재(30) 중 수류(水流: 물의 흐름)에 저항하지 않는 충전공간형성부재(30)에 자석체(50)를 설치한다(도 5 참조, 도 5에서 센터선을 기준으로 하측이 제1,2벽강관말뚝본체의 외측, 상측이 제1,2벽강관말뚝본체의 내측을 나타냄). 그러면 상기 충전공간형성부재(30)가 자화되어, 상기 충전공간형성부재(30)를 향해 수류가 작용하지 않더라도 상기 충전공간형성부재(30)가 제1,2벽강관말뚝(10,20)에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상기 충전재 충전 단계(S3)는, 충전공간(a)에 충전재(40)를 충전하여, 벽강관벽체와 충전재(40)에 의해 차수벽체(W)가 형성되도록 한다.(도 6 참조). 본 발명에서 충전재(40)는 벤토나이트가 적용되어, 충전재(40)를 충전공간(a)에 충전하면 충전재(40)가 물을 흡수하면서 팽창하여 충전공간(a)이 충전재(40)에 의해 채워지고, 이로 인해 제1벽강관말뚝(10)과 제2벽강관말뚝(20)의 연결지점이 실링된다.
상기 차수벽체 물 제거 단계(S4)는 펌프를 매개로 차수벽체(W) 내부의 물을 빼낸다. 이와 같이 차수벽체(W)에서 물을 빼면, 차수벽체(W) 내부에 건설 구조물(일예로 교각 등)을 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충전공간형성부재 설치 단계(S2) 및 충전재 충전 단계(S3)를 통해 충전공간형성부재(30)를 설치하고 제1벽강관말뚝(10)과 제2벽강관말뚝(20)의 연결지점을 실링하는 다른 방식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는, 충전재 충전 단계(S3)에서, 충전공간(a)에 수용부재(60)를 설치하고, 수용부재(60) 내부에 충전재(40)를 투입하여, 수용부재(60)와 충전재(40)를 매개로 충전공간(a)을 채워, 제1벽강관말뚝(10)과 제2벽강관말뚝(20)의 연결지점을 실링할 수 있다(도 7 참조, 도 7에서는 센터선을 기준으로 상측이 제1,2벽강관말뚝본체의 외측, 하측이 제1,2벽강관말뚝본체의 내측을 나타냄).
여기서, 본 발명의 충전공간형성부재 설치 단계(S2)에서는, 충전공간형성부재(30) 중 수류(水流: 물의 흐름)에 저항하지 않는 충전공간형성부재(30)에 자석체(50)를 설치한다(도 8 참조, 도 8에서 센터선을 기준으로 하측이 제1,2벽강관말뚝본체의 외측, 상측이 제1,2벽강관말뚝본체의 내측을 나타냄).
또한, 본 발명에서 충전공간형성부재 설치 단계(S2) 및 충전재 충전 단계(S3)를 통해 제1벽강관말뚝(10)과 제2벽강관말뚝(20)의 연결지점을 실링하는 다른 방식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충전공간형성부재 설치 단계(S2)에서는, 제1,2벽강관말뚝(10,20)의 내측에 충전공간형성부재(30)를 밀착설치하여 제1,2벽강관말뚝(10,20)과 충전공간형성부재(30) 사이에 충전공간(a)을 형성하고, 충전공간형성부재(30)에 자석체(50)를 설치한다.(도 9 참조, 도 9에서는 센터선을 기준으로 상측이 제1,2벽강관말뚝본체의 외측, 하측이 제1,2벽강관말뚝본체의 내측을 나타냄).
상기 충전재 충전 단계(S3)는, 충전공간(a)에 충전재(40)를 충전하여, 벽강관벽체와 충전재(40)에 의해 차수벽체(W)가 형성되도록 한다(도 9 참조, 도 9에서는 센터선을 기준으로 상측이 제1,2벽강관말뚝본체의 외측, 하측이 제1,2벽강관말뚝본체의 내측을 나타냄).
또한, 본 발명에서 충전재 충전 단계(S3)를 통해 제1벽강관말뚝(10)과 제2벽강관말뚝(20)의 연결지점을 실링하는 다른 방식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충전재 충전 단계(S3)에서는 충전공간(a)에 충전재(40)를 충전할 시, 도 7과 같은 방식으로 충전공간(a)을 충전할 수 있다(도 10 참조, 도 10에서는 센터선을 기준으로 상측이 제1,2벽강관말뚝본체의 외측, 하측이 제1,2벽강관말뚝본체의 내측을 나타냄).
또한, 본 발명에서 벽강관말뚝 설치 단계(S1) 및 충전공간형성부재 설치 단계(S2) 및 충전재 충전 단계(S3)를 통해 제1벽강관말뚝(10)과 제2벽강관말뚝(20)을 연결하고, 제1벽강관말뚝(10)과 제2벽강관말뚝(20)의 연결지점을 실링하는 다른 방식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벽강관말뚝 설치 단계(S1)는, 제1,2벽강관말뚝(10,20)을 간접적으로 연결할 시에, 제1,2벽강관말뚝(10,20) 사이에 간격조절부재(70)를 설치하여, 간격조절부재(70)를 매개로 제1,2벽강관말뚝(10,20)을 서로 연결한다.
본 발명에서 간격조절부재(70)는, 평단면이 벌어진 'ㄷ'자 형상의 간격조절부재본체(71)와, 제1벽강관말뚝(10)의 제1벽강관타측연결부(13)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제1간격조절부재연결부(72)와, 제2벽강관말뚝(20)의 제2벽강관말뚝일측연결부(22)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제2간격조절부재연결부(73)을 갖춘다.
상기 제1간격조절부재연결부(72) 및 제2간격조절부재연결부(73)는 평단면이 꺾인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1간격조절부재연결부(72) 및 제2간격조절부재연결부(73)는 평단면이 갈고리 형상을 갖는 꺾인 형상으로 이루어지지만, 상기 평단면이 다양한 형태의 꺾인 형상을 이룰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간격조절부재(70)는 강성의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충전공간형성부재 설치 단계(S2)는, 제1,2벽강관말뚝(10,20)을 간접적으로 연결할 시에, 제1,2벽강관말뚝(10,20)의 외측에 충전공간형성부재(30)를 밀착설치하여 제1,2벽강관말뚝(10,20)과 간격조절부재(70)와 충전공간형성부재(30) 사이에 충전공간(a)을 형성한다.(도 11 참조, 도 11에서는 센터선을 기준으로 상측이 제1,2벽강관말뚝본체의 외측, 하측이 제1,2벽강관말뚝본체의 내측을 나타냄).
한편, 본 발명의 충전공간형성부재 설치 단계(S2)에서는, 충전공간형성부재(30) 중 수류(水流)에 저항하지 않는 충전공간형성부재(30)에 자석체(5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충전공간형성부재(30)는 자석체(50)의 자력에 의해 제1,2벽강관말뚝(10,20)에 안정적으로 고정된다(도 12 참조, 도 12에서는 센터선을 기준으로 상측이 제1,2벽강관말뚝본체의 내측, 하측이 제1,2벽강관말뚝본체의 외측을 나타냄).
상기 충전재 충전 단계(S3)는, 제1,2벽강관말뚝(10,20)을 간접적으로 연결할 시에, 충전공간(a)에 충전재(40)를 충전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충전공간형성부재 설치 단계(S2) 및 충전재 충전 단계(S3)를 통해 제1벽강관말뚝(10) 및 제2벽강관말뚝(20) 및 간격조절부재(70)의 연결지점을 실링하는 다른 방식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충전공간형성부재 설치 단계(S2)에서는, 제1,2벽강관말뚝(10,20)의 외측 및 내측에 충전공간형성부재(30)를 밀착설치하여 제1,2벽강관말뚝(10,20)과 충전공간형성부재(30) 사이에 충전공간(a)을 형성하고, 제1,2벽강관말뚝(10,20)의 내측에 위치한 충전공간형성부재(30)에 자석체(50)를 설치한다.(도 13 참조, 도 13에서는 센터선을 기준으로 상측이 제1,2벽강관말뚝본체의 외측, 하측이 제1,2벽강관말뚝본체의 내측을 나타냄).
상기 충전재 충전 단계(S3)는, 충전공간(a)에 충전재(40)를 충전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충전재 충전 단계(S3)를 통해 제1벽강관말뚝(10) 및 제2벽강관말뚝(20) 및 간격조절부재(70)의 연결지점을 실링하는 다른 방식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는 충전공간(a)에 설치되되, 상측이 개구된 주머니 형상인 수용부재(60)(미도시, 도 10의 외측 수용부재 참조)를 더 포함하여, 충전재(40)와 함께 제1벽강관말뚝(10) 및 제2벽강관말뚝(20) 및 간격조절부재(70)의 연결지점을 실링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수용부재(60)는 천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측이 개구된 주머니 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발명에서는 수용부재(60)에 충전재(40)가 채워지면, 충전재(40)가 물을 흡수하면서 팽창하고, 충전재(40)는 수용부재(60)에 수용되어, 제1벽강관말뚝(10) 및 제2벽강관말뚝(20) 및 간격조절부재(70) 간의 연결지점이 실링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수용부재(60)는 신축 재질 또는 탄성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충전공간(a)에 설치되되, 상측이 개구된 주머니 형상인 수용부재(60)(미도시, 도 10의 내측 수용부재 참조)를 더 포함하여, 충전재(40)와 함께 제1벽강관말뚝(10) 및 제2벽강관말뚝(20) 및 간격조절부재(70)의 연결지점을 실링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수용부재(60)는 천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측이 개구된 주머니 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발명에서는 수용부재(60)에 충전재(40)가 채워지면, 충전재(40)가 물을 흡수하면서 팽창하고, 충전재(40)는 수용부재(60)에 수용되어, 제1벽강관말뚝(10) 및 제2벽강관말뚝(20) 및 간격조절부재(70) 간의 연결지점이 실링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수용부재(60)는 신축 재질 또는 탄성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길이방향으로 구비된 원형 파이프 형상의 제1,2벽강관말뚝(10,20)이 서로 직접 연결되고, 연결된 제1,2벽강관말뚝(10,20)의 외측에 충전공간형성부재(30)를 설치하여, 실링을 위한 충전공간(a) 형성을 위해 제1,2벽강관말뚝(10,20)의 외측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때 본 발명은 제1,2벽강관말뚝(10,20)을 직접 연결하면서 충전공간(a)을 형성하기 때문에 제1,2벽강관말뚝(10,20)간의 간격이 줄고, 이에 따라 다수의 제1,2벽강관말뚝(10,20)을 이어 차수벽체(W)를 설치할 시, 차수벽체(W)가 구조적 안정성을 갖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충전공간형성부재(30)에 자석체(50)가 설치되어, 충전공간(a) 형성을 위해 제1,2벽강관말뚝(10,20)에 충전공간형성부재(30)를 설치하기 용이하고, 이에 따라 차수벽체(W) 설치 작업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2벽강관말뚝(10,20)과 충전공간형성부재(30) 간의 단순한 구조적 결합을 통해 차수벽체(W)를 쉽게 설치하고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차수벽체(W)를 쉽게 분리할 수 있어 재사용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충전공간(a)에 수용부재(60)를 배치한 후 수용부재(60)에 충전재(40)를 충전하여, 충전재(40)가 충전공간(a)에서 이탈하는 것을 최소화하면서 제1,2벽강관말뚝(10,20)의 연결지점을 기밀하게 실링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충전공간형성부재(30) 및 충전재(40) 및 자석체(50)를 매개로, 제1,2벽강관말뚝(10,20)의 내측 연결지점을 실링하여, 보다 견고하게 차수벽체(W)를 실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간격조절부재(70)를 매개로 제1,2벽강관말뚝(10,20) 간의 이격거리를 조절할 수 있고, 이때 충전공간형성부재(30) 및 충전재(40)를 매개로 제1,2벽강관말뚝(10,20) 및 간격조절부재(70) 간의 연결지점을 기밀하게 실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때 본 발명은 자석체(50)를 매개로 충전공간형성부재(30)를 제1,2벽강관말뚝(10,20)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간격조절부재(70)를 매개로 제1,2벽강관말뚝(10,20) 간의 이격거리를 조절할 수 있어, 제1,2벽강관말뚝(10,20)을 매개로 차수벽체(W)를 설치할 시, 제1,2벽강관말뚝(10,20) 간을 연결하기 어려운 지점을 효율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구조가 단순하고 작업이 편리하여 상기와 같은 장점을 나타내면서 공사 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 제1벽강관말뚝 11: 제1벽강관말뚝본체
12: 제1벽강관말뚝일측연결부 13: 제1벽강관말뚝타측연결부
20: 제2벽강관말뚝 21: 제2벽강관말뚝본체
22: 제2벽강관말뚝일측연결부 23: 제2벽강관말뚝타측연결부
30: 충전공간형성부재 31: 제1접촉부
32: 제2접촉부 33: 연결부
40: 충전재 50: 외측자석체
60: 수용부재 70: 간격조절부재
71: 간격조절부재본체 72: 제1간격조절부재연결부
73: 제2간격조절부재연결부 a: 충전공간
W: 차수벽체

Claims (17)

  1.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원형 파이프 형상의 제1벽강관말뚝본체; 제1벽강관말뚝본체의 일측에 측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되,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하나의 제1벽강관말뚝일측연결부; 제1벽강관말뚝본체의 타측에 측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되,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하나의 제1벽강관말뚝타측연결부;를 갖춘 제1벽강관말뚝과;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원형 파이프 형상의 제2벽강관말뚝본체; 제2벽강관말뚝본체의 일측에 측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되, 길이방향으로 구비되어, 제1벽강관말뚝타측연결부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맞물려 끼워지는 하나의 제2벽강관말뚝일측연결부; 제2벽강관말뚝본체의 타측에 측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되,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하나의 제2벽강관말뚝타측연결부;를 갖춘 제2벽강관말뚝과;
    길이방향으로 구비되어, 제1벽강관말뚝본체의 외측에 맞대어지는 제1접촉부;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되, 제1접촉부에 대향되게 구비되어, 제2벽강관말뚝본체의 외측에 맞대어지는 제2접촉부; 길이방향으로 구비되어, 제1접촉부와 제2접촉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갖추고서, 제1,2벽강관말뚝을 따라 배치되며, 제1,2벽강관말뚝과 함께 충전공간을 형성하는 충전공간형성부재와;
    충전공간에 채워져서, 제1,2벽강관말뚝 사이를 밀폐하는 충전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벽용 벽강관말뚝 구조물.
  2.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원형 파이프 형상의 제1벽강관말뚝본체; 제1벽강관말뚝본체의 일측에 측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되,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하나의 제1벽강관말뚝일측연결부; 제1벽강관말뚝본체의 타측에 측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되,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하나의 제1벽강관말뚝타측연결부;를 갖춘 제1벽강관말뚝과;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원형 파이프 형상의 제2벽강관말뚝본체; 제2벽강관말뚝본체의 일측에 측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되,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제2벽강관말뚝일측연결부; 제2벽강관말뚝본체의 타측에 측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되,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제2벽강관말뚝타측연결부;를 갖춘 제2벽강관말뚝과;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간격조절부재본체와, 간격조절부재본체의 일측에 구비되되, 길이방향으로 구비되어, 제1벽강관말뚝의 제1벽강관타측연결부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맞물려 끼워지는 하나의 제1간격조절부재연결부; 간격조절부재본체의 타측에 구비되되, 길이방향으로 구비되어, 제2벽강관말뚝의 제2벽강관말뚝일측연결부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맞물려 끼워지는 제2간격조절부재연결부;을 갖추고서, 제1,2벽강관말뚝을 따라 배치되는 간격조절부재와;
    길이방향으로 구비되어, 제1벽강관말뚝본체의 외측에 맞대어지는 제1접촉부;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되, 제1접촉부에 대향되게 구비되어, 제2벽강관말뚝본체의 외측에 맞대어지는 제2접촉부; 길이방향으로 구비되어, 제1접촉부와 제2접촉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갖추고서, 제1,2벽강관말뚝 및 간격조절부재를 따라 배치되며, 제1,2벽강관말뚝 및 간격조절부재와 함께 충전공간을 형성하는 충전공간형성부재와;
    충전공간에 채워져서, 제1,2벽강관말뚝 및 간격조절부재 사이를 밀폐하는 충전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벽용 벽강관말뚝 구조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벽강관말뚝본체의 내측에 맞대어지고,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제1접촉부;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되, 상기 제1접촉부에 대향되게 구비되어, 제2벽강관말뚝본체의 내측에 맞대어지는 제2접촉부; 길이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접촉부와 상기 제2접촉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갖추고서, 제1,2벽강관말뚝을 따라 배치되며, 제1,2벽강관말뚝과 함께 충전공간을 형성하는 충전공간형성부재와;
    상기 충전공간에 채워져서, 제1,2벽강관말뚝 사이를 밀폐하는 충전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벽용 벽강관말뚝 구조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벽강관말뚝본체의 내측에 맞대어지고,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제1접촉부;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되, 상기 제1접촉부에 대향되게 구비되어, 제2벽강관말뚝본체의 내측에 맞대어지는 제2접촉부; 길이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접촉부와 상기 제2접촉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갖추고서, 제1,2벽강관말뚝 및 간격조절부재를 따라 배치되며, 제1,2벽강관말뚝 및 간격조절부재와 함께 충전공간을 형성하는 충전공간형성부재와;
    상기 충전공간에 채워져서, 제1,2벽강관말뚝 및 간격조절부재 사이를 밀폐하는 충전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벽용 벽강관말뚝 구조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벽강관말뚝 및 충전공간형성부재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충전공간형성부재에 설치되는 자석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벽용 벽강관말뚝 구조물.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는, 수분함유시 팽창하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벽용 벽강관말뚝 구조물.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공간에 설치되되, 천 재질로 이루어져 주머니 형상을 갖는 수용부재를 더 포함하고,
    충전재는, 수용부재 내부에 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벽용 벽강관말뚝 구조물.
  8. 제1항의 수벽용 벽강관말뚝 구조물을 이용하여 수벽용 차수벽체를 설치하는 것으로,
    다수의 제1,2벽강관말뚝이 서로 연결되도록, 제1,2벽강관말뚝을 수저(水底)에 박아서, 링 형상의 벽강관 벽체를 형성하는 벽강관말뚝 설치 단계와;
    제1,2벽강관말뚝의 외측에 충전공간형성부재를 밀착설치하여 제1,2벽강관말뚝과 충전공간형성부재 사이에 충전공간을 형성하는 충전공간형성부재 설치 단계와;
    충전공간에 충전재를 충전하여, 벽강관벽체와 충전재에 의해 수벽용 차수벽체가 형성되도록 하는 충전재 충전 단계와;
    수벽용 차수벽체 내부의 물을 빼내는 차수벽체 물 제거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벽용 차수벽체 설치 방법.
  9. 제2항의 수벽용 벽강관말뚝 구조물을 이용하여 수벽용 차수벽체를 설치하는 것으로,
    다수의 제1,2벽강관말뚝을 수저(水底)에 박고, 다수의 제1,2벽강관말뚝 및 다수의 간격조절부재가 서로 연결되도록, 제1,2벽강관말뚝 사이에 간격조절부재를 설치하여, 링 형상의 벽강관 벽체를 형성하는 벽강관말뚝 설치 단계와;
    제1,2벽강관말뚝의 외측에 충전공간형성부재를 밀착설치하여 제1,2벽강관말뚝과 간격조절부재와 충전공간형성부재 사이에 충전공간을 형성하는 충전공간형성부재 설치 단계와;
    충전공간에 충전재를 충전하여, 벽강관벽체와 충전재에 의해 수벽용 차수벽체가 형성되도록 하는 충전재 충전 단계와;
    수벽용 차수벽체 내부의 물을 빼내는 차수벽체 물 제거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벽용 차수벽체 설치 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210189362A 2021-12-28 2021-12-28 기능이 향상된 수벽용 벽강관말뚝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차수벽체 설치 방법 KR1026530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9362A KR102653012B1 (ko) 2021-12-28 2021-12-28 기능이 향상된 수벽용 벽강관말뚝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차수벽체 설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9362A KR102653012B1 (ko) 2021-12-28 2021-12-28 기능이 향상된 수벽용 벽강관말뚝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차수벽체 설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9918A KR20230099918A (ko) 2023-07-05
KR102653012B1 true KR102653012B1 (ko) 2024-04-01

Family

ID=87158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9362A KR102653012B1 (ko) 2021-12-28 2021-12-28 기능이 향상된 수벽용 벽강관말뚝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차수벽체 설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30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02783B1 (ko) * 2024-03-04 2024-09-04 지더블유이엔씨 주식회사 강가시설의 차수공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32744A (ja) * 2009-08-03 2011-02-17 Jfe Steel Corp 海洋鋼構造物鋼部材の防食構造および防食方法
KR101017117B1 (ko) * 2010-09-01 2011-02-25 김진수 비개착 지중구조물의 축조를 위한 강관루프구조체의 배수식 방수 방법 및 장치
JP2013112982A (ja) * 2011-11-28 2013-06-10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壁体構造
KR102077830B1 (ko) * 2019-09-20 2020-02-14 주식회사 지오이엔비 압착이 가능한 차수수단을 이용한 차수벽체 및 이를 이용한 가시설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3410B1 (ko) 2010-12-27 2013-04-11 롯데건설 주식회사 벽강관말뚝의 연결구조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32744A (ja) * 2009-08-03 2011-02-17 Jfe Steel Corp 海洋鋼構造物鋼部材の防食構造および防食方法
KR101017117B1 (ko) * 2010-09-01 2011-02-25 김진수 비개착 지중구조물의 축조를 위한 강관루프구조체의 배수식 방수 방법 및 장치
JP2013112982A (ja) * 2011-11-28 2013-06-10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壁体構造
KR102077830B1 (ko) * 2019-09-20 2020-02-14 주식회사 지오이엔비 압착이 가능한 차수수단을 이용한 차수벽체 및 이를 이용한 가시설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9918A (ko) 2023-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5420B1 (ko) 흙막이 가시설 구조
KR100722665B1 (ko) 지하연속벽 시공을 위한 스틸 가이드 월과 이를 이용한지하연속벽 시공방법
KR20120001856A (ko) 지오신세틱스와 개수로를 이용한 연약지반 표층 보강공법
KR102653012B1 (ko) 기능이 향상된 수벽용 벽강관말뚝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차수벽체 설치 방법
WO2006083976A2 (en) Wall structural member and method for contructing a wall structure
US10676890B2 (en) Retaining wall system, method of supporting same, and kit for use in constructing same
KR100375020B1 (ko) 흙막이 설치용 원통기둥 및 그것을 이용한 흙막이 설치공법
JP6632028B2 (ja) コンクリート組立擁壁
KR100610563B1 (ko) 건축물의 기초공사용 토류판 구조
KR20100065521A (ko) 아치형 강판파일과 H-Pile을 이용한 흙막이공법
CN104532867B (zh) 复腔钢管桩连续墙止水效果检测方法
JP2007009505A (ja) 基礎補強工法
KR20110136258A (ko) 지하 합성 외벽 구조물 시공 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된 지하 합성 외벽 구조물
JP6760529B1 (ja) 防水壁および防水壁の構築方法
JP4888293B2 (ja) 親杭横矢板からなる土留め壁、親杭横矢板からなる土留め壁の止水構造、及び親杭横矢板からなる土留め壁の構築方法、並びに親杭横矢板からなる土留め壁の止水工法
JP2015148105A (ja) 地盤改良工法、及び地盤改良システム
JP2008038524A (ja) 岸壁の耐震補強構造
CN103266624B (zh) 输油气管道穿越岩溶强活动区的管道穿越支撑方法
JP4789860B2 (ja) 不等沈下修正工法
JP4905296B2 (ja) 山留め壁の構築方法及び山留め壁
CN111206594A (zh) 基坑支护施工方法
KR102571803B1 (ko) 토류 프레임을 이용한 관매설 방법
CN114482072B (zh) 软土近接双基坑联合拉锚设计方法、支护结构和施工方法
KR101215270B1 (ko) 철판을 이용한 흙막이 시공공법
KR20040017168A (ko) 차수벽 흙막이 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