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2714B1 - Chock holder for vehicle - Google Patents

Chock holder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2714B1
KR102652714B1 KR1020240006994A KR20240006994A KR102652714B1 KR 102652714 B1 KR102652714 B1 KR 102652714B1 KR 1020240006994 A KR1020240006994 A KR 1020240006994A KR 20240006994 A KR20240006994 A KR 20240006994A KR 102652714 B1 KR102652714 B1 KR 1026527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ock
support
vehicle
chocks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069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명호
Original Assignee
정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명호 filed Critical 정명호
Priority to KR1020240006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271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2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271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3/00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e.g. cho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18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using cams, levers, eccentrics, or togg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고임목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다리차 등의 고소 작업 차량이나 소방차 등과 같은 대형 차량을 이용해 작업할 때 차량의 바퀴를 고정시켜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고임목의 보관 및 운반을 편리하게 하면서 바퀴의 전, 후면에 대한 고정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차량 고임목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고임목 거치대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양 측단에 위치 조정 가능하게 결합하는 한 쌍의 고임목, 상기 한 쌍의 고임목을 각각 상기 지지대에 고정시키는 클램핑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chock holder, and more specifically, to the storage and transportation of chocks that prevent safety accidents from occurring by fixing the wheels of the vehicle when working with aerial work vehicles such as ladder trucks or large vehicles such as fire trucks. This relates to a vehicle chock holder that makes fixing the front and rear of the wheel more stable while making it convenient.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vehicle chock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a pair of chocks that are position-adjustably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support, and a clamping device that secures the pair of chocks to the supports, respectively.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means.

Description

차량 고임목 거치대{CHOCK HOLDER FOR VEHICLE}Vehicle chock holder {CHOCK HOLD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고임목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다리차 등의 고소 작업 차량이나 소방차 등과 같은 대형 차량을 이용해 작업할 때 차량의 바퀴를 고정시켜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고임목의 보관 및 운반을 편리하게 하면서 바퀴의 전, 후면에 대한 고정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차량 고임목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chock holder, and more specifically, to the storage and transportation of chocks that prevent safety accidents from occurring by fixing the wheels of the vehicle when working with aerial work vehicles such as ladder trucks or large vehicles such as fire trucks. This relates to a vehicle chock holder that makes fixing the front and rear of the wheel more stable while making it convenient.

사다리차 등의 고소 작업 차량이나 소방차 등과 같은 대형 차량은 약간의 경사도가 있는 도로에서 브레이크 시스템만으로 정차 상태를 유지하기 어려우므로 바퀴와 지면 사이에 고임목을 끼워서 바퀴가 구르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It is difficult for aerial work vehicles such as ladder trucks or large vehicles such as fire trucks to remain stopped on roads with slight inclines using only the brake system, so it is very important to prevent the wheels from rolling by inserting chocks between the wheels and the ground.

이러한 고임목은 대형 차량의 작업에 있어서 경사로는 물론 평지에서도 필수적으로 사용된다.These chocks are essential when working with large vehicles, not only on slopes but also on level ground.

종래의 일반적인 고임목은 바퀴의 외면에 접하는 빗면부와 지면에 밀착되는 저면부가 소정 각도로 연결된 직각 삼각형 형태로써, 목재 또는 고무나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로 제작된다.Conventional common chocks are in the form of a right triangle with an inclined surface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wheel and a bottom part in close contact with the ground connected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are made of wood or synthetic resin such as rubber or plastic.

이때 차량의 전후 움직임이 발생하지 않도록 바퀴의 전, 후로 고임목을 각각 끼워서 사용하는데, 차량의 바퀴가 최소 4개인 것을 감안하면 총 8개의 고임목을 비치하여 사용해야 한다.At this time, chocks are used by inserting them in front and behind the wheels to prevent the vehicle from moving back and forth. Considering that the vehicle has at least four wheels, a total of eight chocks must be provided and used.

그런데 종래의 고임목과 같이 고임목들이 각각 낱개의 구성으로 이루어지게 되면 고임목들에 대한 보관 및 운반이 불편하고, 고임목을 설치할 때도 작업자가 바퀴의 앞뒤로 움직여서 순차적으로 고임목을 끼워야 하기 때문에 작업 준비가 번거로운 단점이 있다.However, if the chocks are made up of individual chocks like the conventional chocks, storage and transportation of the chocks is inconvenient, and when installing the chocks, the worker must move the wheel back and forth and insert the chocks sequentially, which makes work preparation cumbersome. there is.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로써, 등록특허 제10-1969400호, 공개실용신안 제20-2015-0001575호, 등록특허 제10-1969400호 등이 있다.Related prior technologies include Registered Patent No. 10-1969400, Open Utility Model No. 20-2015-0001575, and Registered Patent No. 10-1969400.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지지대의 양 측단에 각각 고임목이 별도의 클램핑 수단으로 고정되게끔 하여, 고임목의 보관 미 운반이 편리하면서 한 쌍의 고임목이 서로 일정한 거리를 가지고 견고하게 고정되어 차량을 보다 안전하게 정차시킬 수 있는 차량 고임목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 vehicle chock that allows the chocks to be fixed at both ends of the support using separate clamping means, making it convenient to store and transport the chocks, and allowing the vehicle to stop more safely as a pair of chocks are firmly fixed at a certain distance from each other. The purpose is to provide a stan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고임목 거치대는,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vehicle chock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지지대,support fixture,

상기 지지대의 양 측단에 위치 조정 가능하게 결합하는 한 쌍의 고임목,A pair of chock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support in a position-adjustable manner,

상기 한 쌍의 고임목을 각각 상기 지지대에 고정시키는 클램핑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clamping means for fixing the pair of chocks to the support respectively.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고임목 거치대에서,And in the vehicle chock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고임목은 고리부를 포함하고,The chock includes a ring portion,

상기 클램핑 수단은 상기 지지대에 결합된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에 힌지 결합된 누름 레버와, 상기 누름 레버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고리부에 걸리는 잠금 고리를 구비한 토글 클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lamping means includes a toggle clamp having a base coupled to the support, a push lever hinged to the base, and a locking ring hinged to the push lever and hooked to the hook.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고임목 거치대에서,In addition, in the vehicle chock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토글 클램프는 상기 누름 레버에서 전후진하여 출몰하도록 결합되며 내측부에 걸림부가 형성된 걸쇠와, 상기 받침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걸림부에 걸리는 잠금 돌기와, 상기 걸쇠를 인출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oggle clamp is coupled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from the push lever and includes a latch with a locking portion formed on the inner side, a locking protrusion that protrudes from the support portion and catches the locking portion, and a spring that elastically supports the latch in the withdrawal direction. It is characterized by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고임목 거치대에서,In addition, in the vehicle chock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지지대에 수직으로 결합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서 회동하도록 결합된 파지부로 이루어진 회동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pivoting handle consisting of a connection part vertically coupled to the support, and a grip part coupled to rotate on the connection part.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고임목 거치대는,The vehicle chock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지지대의 양 측단에 각각 고임목이 구비되어 있어 보관 및 운반이 편리하면서 바퀴의 전, 후면에 고임목들을 한 번에 설치하여 작업 준비의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고,Chocks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for convenient storage and transportation. Chocks can be installed on the front and rear of the wheel at once to reduce the hassle of preparing for work.

특히 각각의 고임목이 별도의 클램핑 수단을 통해 하나의 지지대에 서로 연결되어 고정되므로 바퀴의 압력으로 인해 고임목이 제자리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해 차량을 보다 안전하게 정차하여 유지할 수 있고,In particular, each chock is connected and fixed to a single support through a separate clamping means, preventing the chock from moving out of place due to the pressure of the wheels, allowing the vehicle to be stopped and maintained more safely.

토글 클램프를 이용해 고임목을 고정시켜 빠른 설치 및 제거가 가능하면서, 토글 클램프의 누름 레버에 걸쇠를 추가하여 누름 레버가 임의로 풀리는 것을 방지해 안전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By fixing the chock using a toggle clamp, quick installation and removal is possible, and by adding a latch to the push lever of the toggle clamp, safety can be increased by preventing the push lever from being released arbitrarily.

지지대의 상부로 회동 손잡이가 연결되어 있어 고임목의 설치 및 제거 작업을 보다 쉽고 빠르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 rotating handle is connected to the top of the support, which makes installing and removing chocks easier and fast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고임목 거치대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사용 실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샘플의 요부 사진도.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예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chock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view of Figure 1.
3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hotograph of the main part of a samp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main 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게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bject to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forms, implementation examples (o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posting form,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In each drawing, the same reference signs, especially the tens and ones digits, or the same tens, one's, and alphabets, indicate members having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and unless otherwise specified, each of the drawings The member indicated by the reference sign can be understood as a member that complies with these standards.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In addition, in each drawing, the components are expressed exaggeratedly large (or thick), small (or thin), or simplified in size or thickness in consideration of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etc., but this interpre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limited. It shouldn't be.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merely used to describe specific implementation examples (sun, aspect, aspect) (or example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include~ or ~consist of~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element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sense. No.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First~, ~Second~, etc.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different components, and are not limited by the order of manufacture, and the names are us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claims of the invention. may not match.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고임목 거치대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1을 참고하여 특정하면,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하측으로 하여 보이는 방향 그대로 상하좌우를 정하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다른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In explaining the vehicle chock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if an approximate direction standard that is not strict is specified with reference to FIG. 1, the direction in which gravity acts is set to the bottom, and the up, down, left, and right are determined as shown, and as shown in other drawings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claims of the related invention, the direction is specified and described according to this standard, unless otherwise specifi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고임목 거치대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vehicle chock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고임목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크게 지지대(10), 한 쌍의 고임목(20), 클램핑 수단, 회동 손잡이(40)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chock holder as shown in FIGS. 1 to 4, and largely includes a support stand (10), a pair of chocks (20), a clamping means, and a rotating handle (40).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지지대(10),support (10),

상기 지지대(10)의 양 측단에 위치 조정 가능하게 결합하는 한 쌍의 고임목(20),A pair of chocks (20)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support (10) in a position-adjustable manner,

상기 한 쌍의 고임목(20)을 각각 상기 지지대(10)에 고정시키는 클램핑 수단,Clamping means for fixing the pair of chocks (20) to the support (10), respectively,

상기 지지대(10)에 수직으로 결합된 연결부(41)와, 상기 연결부(41)에서 회동하도록 결합된 파지부(42)로 이루어진 회동 손잡이(40)를 포함한다.It includes a rotation handle 40 consisting of a connection part 41 vertically coupled to the support 10 and a grip part 42 coupled to rotate on the connection part 41.

상기 지지대(10)는 바(bar) 타입의 부재로써 차량에 장착된 바퀴(T)의 직경을 기반으로 바퀴(T)와 지면 사이 전후(차량의 주행 방향 기준) 공간의 너비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따라서 차량의 종류나 각 차량의 바퀴(T) 사이즈에 따라 다양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The support 10 is a bar-type member and has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space before and after (based on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between the wheel T and the ground based on the diameter of the wheel T mounted on the vehicle. Therefore, it can have various lengths depending on the type of vehicle or the size of the wheels (T) of each vehicle.

상기 고임목(20)은 좌우 일 측면부가 소정 각도의 경사 받침면(20)으로 형성된 유사 삼각형(직각 삼각형) 형상으로, 상기 경사 받침면(20)은 소정 곡률의 원호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거나 또는 일반적인 직선 형태의 빗변 형상일 수도 있으며, 상기 경사 받침면(20)의 경사도 역시 고임목(20)이 사용되는 바퀴(T)의 사이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The chock 20 has a quasi-triangular (right triangle) shape in which one left and right side portions are formed with an inclined support surface 20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the inclined support surface 20 is concave in an arc shape with a predetermined curvature or is generally concave. It may have a straight hypotenuse shape, and the inclination of the inclined support surface 20 may also vary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wheel T on which the chock 20 is used.

이러한 고임목(20)은 저면에 복수개의 미끄럼 방지 돌기(22)가 좌우로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미끄럼 방지 돌기(22)는 경사 받침면(20)의 반대방향(즉, 지지대(10)의 양 측단부)을 향해 소정 각도로 하향 경사진 형태를 갖는다.This chock 20 has a plurality of anti-slip protrusions 22 arranged on the left and right on the bottom, and the anti-slip protrusions 22 are loc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inclined support surface 20 (i.e.,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10). It has a shape inclined downward at a predetermined angle toward the end.

도면부호 23은 상기 고임목(20)의 타 측면부에서 돌출된 돌출부로 고임목(20)을 손이나 발로 끼울 때 사용된다.Reference numeral 23 is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other side of the chock 20 and is used when inserting the chock 20 with a hand or foot.

아울러 상기 고임목(20)의 외면에는 빛을 반사시켜 식별을 용이하게 하는 반사면(24)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 reflective surface 24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hock 20 to reflect light and facilitate identification.

상기 반사면(24)은 형광시트나 반사시트를 열 융착 등의 방식으로 부착하거나 형광 페인트 등을 도포하여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반사면(24)의 위치나 개수에 제한이 없으나 상기 돌출부(23)를 포함한 외부로 노출되는 모든 면에 일정 면적의 반사면(24)이 형성되어 고임목(20)을 보다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eflective surface 24 may be formed by attaching a fluorescent sheet or reflective sheet using a method such as heat fusion or applying fluorescent paint, etc. There is no limit to the location or number of the reflective surface 24, but the protrusion 23 It is desirable that a reflective surface 24 of a certain area is formed on all surfaces exposed to the outside, including ) so that the chock 20 can be more easily identified.

또한 상기 고임목(20)의 좌우 타 측면부에는 상기 돌출부(23)가 끼워지는 브래킷(25)이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브래킷(25)은 상기 고임목(20)의 전후 일면으로 연장된 가이드부(251)가 연결되어 있다.In addition, a bracket 25 into which the protrusion 23 is inserted is coupled to the other left and right side surfaces of the chock 20, and the bracket 25 includes a guide portion 251 extending to the front and back surfaces of the chock 20. is connected.

상기 가이드부(251)는 삽입홈을 형성하는 걸림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지지대(10)의 일단이 끼워져 결합하여, 상기 지지대(10)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고임목(20)이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한다.The guide portion 251 is composed of a locking structure that forms an insertion groove, and one end of the support 10 is inserted and coupled to enable the chock 20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10. .

아울러 상기 브래킷(25)은 상기 가이드부(251)의 타측에서 돌출된 고리부(252)를 포함하여, 후술하는 잠금 고리(33)가 상기 고리부(252)에 걸려서 고임목(20)의 고정이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bracket 25 includes a ring portion 252 protruding from the other side of the guide portion 251, and the locking ring 33,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caught on the ring portion 252 to secure the chock 20. It comes true.

이어서 상기 클램핑 수단은 상기 지지대(10)에 결합된 받침부(31)와, 상기 받침부(31)에 힌지 결합된 누름 레버(32)와, 상기 누름 레버(32)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고리부(252)에 걸리는 잠금 고리(33)를 구비한 토글 클램프(30)를 포함한다.Subsequently, the clamping means includes a support portion 31 coupled to the support 10, a push lever 32 hinged to the support portion 31, and a hinge coupled to the push lever 32 to form the ring portion. It includes a toggle clamp (30) with a locking ring (33) hooked on (252).

상기 받침부(31)는 상기 지지대(10)의 전후 일면에 판 형상으로 결합되어, 상기 누름 레버(32)가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있다.The support portion 31 is coupled to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support 10 in a plate shape, and the push lever 32 is hinged so that it can rotate left and right.

그리고 상기 누름 레버(32)에는 상기 잠금 고리(33)가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있어, 상기 잠금 레버(32)를 당긴 상태에서 상기 잠금 고리(33)를 상기 고리부(252)에 걸거나 풀 수 있고, 상기 잠금 고리(33)를 상기 고리부(252)에 건 상태에서 상기 잠금 레버(32)를 누르면 상기 잠금 고리(33)가 상기 고리부(252)를 당기면서 잠가지게 된다.In addition, the locking ring 33 is hinged to the pressing lever 32 so as to be rotatable left and right, so that the locking ring 33 can be hung on the ring portion 252 while the locking lever 32 is pulled. It can be turned on or off, and when the locking lever 32 is pressed while the locking ring 33 is attached to the ring portion 252, the locking ring 33 is locked by pulling the ring portion 252.

나아가 상기 토글 클램프(30)는 상기 누름 레버(32)에서 전후진하여 출몰하도록 결합되며 내측부에 걸림부(341)가 형성된 걸쇠(34)와, 상기 받침부(31)에서 돌출되어 상기 걸림부(341)에 걸리는 잠금돌기(311)와, 상기 걸쇠(34)를 인출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한다.Furthermore, the toggle clamp 30 is coupled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from the push lever 32 and has a latch 34 with a locking portion 341 formed on the inner side, and a latch 34 that protrudes from the support portion 31 and has a locking portion ( It includes a locking protrusion 311 caught on 341) and a spring that elastically supports the latch 34 in the withdrawal direction.

상기 걸쇠(34)는 상기 누름 레버(32)의 상하 일면을 관통하도록 끼워져 출몰 작동하며 내측부에 홈 형상의 걸림부(341)가 형성되어 있다.The latch 34 is inserted so as to penetrate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push lever 32, and has a groove-shaped locking portion 341 formed on the inner side.

상기 잠금돌기(311)는 상기 걸림부(341)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고리 모양으로 돌출되어 있다.The locking protrusion 311 protrudes in a ring shap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ocking portion 341.

상기 스프링은 상기 누름 레버(32)에 대하여 상기 걸쇠(34)를 인출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압축 스프링(35)이 사용될 수 있는데, 인장 스프링을 이용할 수도 있다.The spring may be a compression spring 35 that elastically supports the latch 34 in the withdraw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push lever 32, and a tension spring may also be used.

이에 상기 토글 클램프(30)를 잠금 해제한 상태에서 상기 고임목(20)을 바퀴(T)의 전, 후면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벌려서 위치시킨 후 상기 고임목(20)을 바퀴(T)와 지면 사이로 끼운 다음 상기 잠금 고리(33)를 고리부(252)에 걸고서 상기 누름 레버(32)를 누르면 상기 고임목(20)이 바퀴(T)를 향해 가압되면서 고정이 이루어지고,Accordingly, with the toggle clamp 30 unlocked, the chocks 20 are plac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from the front and rear of the wheel T, and then the chocks 20 are sandwiched between the wheel T and the ground. Next, when the locking ring 33 is hung on the ring portion 252 and the pressing lever 32 is pressed, the chock 20 is pressed toward the wheel T and fixed,

이때 상기 걸쇠(34)의 걸림부(341)로 상기 잠금돌기(311)가 끼워지며, 이 상태에서 상기 압축 스프링(35)에 의해 상기 걸쇠(34)가 다시 인출되면서 상기 걸림부(341)에 상기 잠금돌기(311)가 걸리게 된다.At this time, the locking protrusion 311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portion 341 of the latch 34, and in this state, the latch 34 is pulled out again by the compression spring 35 and is attached to the locking portion 341. The locking protrusion 311 is caught.

이렇게 잠긴 토글 클램프(30)는 상기 걸쇠(34)를 누르지 않는 한 상기 누름 레버(32)가 풀리지 않게 되므로, 상기 고임목(20)의 고정이 의도치 않게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The toggle clamp 30 locked in this way prevents the push lever 32 from being released unless the latch 34 is pressed, thereby preventing unintentional release of the chock 20.

상기 고임목(20)을 제거하는 경우에만 상기 걸쇠(34)를 누른 상태로 상기 누름 레버(32)를 이용해 토글 클램프(30)를 열어서 고임목(20)의 고정을 해제시켜 고임목(20)들을 바퀴(T)와 지면 사이에서 빼낼 수 있게 된다.Only when removing the chock 20, open the toggle clamp 30 using the push lever 32 while pressing the latch 34 to release the chock 20 and move the chock 20 onto the wheels ( It can be pulled out between T) and the ground.

나아가 상기 회동 손잡이(40)는 차량 고임목 거치대를 보다 쉽게 운반과 설치 및 제거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파이프 형상의 연결부(41)가 상기 지지대(10)의 상면 중앙에 입설되도록 결합되어 있다.Furthermore, the pivoting handle 40 makes it easier to transport, install, and remove the vehicle chock holder, and the pipe-shaped connection portion 41 is coupled to be installed upright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10.

그리고 상기 연결부(41)의 상단에는 상기 파지부(42)가 전후로 회동하도록 힌지 결합되어 있다.And the gripping part 42 is hinged at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ng part 41 so that it rotates back and forth.

이에 상기 파지부(42)를 수직방향으로 회동한 상태에서 차량 고임목 거치대를 쉽게 운반하고, 상기 파지부(42)를 수평방향으로 회동한 상태에서 차량 하부로 밀어서 넣거나 차량 하부에서 빼내어 차량 고임목 거치대의 설치 및 제거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vehicle chock holder can be easily transported with the holding part 42 rot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vehicle chock holder can be pushed into or removed from the bottom of the vehicle with the holding part 42 rot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stallation and removal work can be made easier.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차량 고임목 거치대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hicle chock holder has been main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changed and replaced in various way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such modifications, changes and substitu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interpreted as belonging.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 : 지지대 20 : 고임목
30 : 토글 클램프 40 : 회동 손잡이
*Explanation of main parts of the drawing*
10: support 20: chock
30: Toggle clamp 40: Rotating handle

Claims (4)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양 측단에 위치 조정 가능하게 결합하는 한 쌍의 고임목,
상기 한 쌍의 고임목을 각각 상기 지지대에 고정시키는 클램핑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고임목은 고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핑 수단은 상기 지지대에 결합된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에 힌지 결합된 누름 레버와, 상기 누름 레버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고리부에 걸리는 잠금 고리를 구비한 토글 클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토글 클램프는 상기 누름 레버에서 전후진하여 출몰하도록 결합되며 내측부에 걸림부가 형성된 걸쇠와, 상기 받침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걸림부에 걸리는 잠금돌기와, 상기 걸쇠를 인출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고임목 거치대.
support fixture,
A pair of chock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support in a position-adjustable manner,
Comprising clamping means for securing the pair of chocks to the support respectively,
The chock includes a ring portion,
The clamping means includes a toggle clamp having a base coupled to the support, a push lever hinged to the base, and a locking ring hinged to the push lever and hooked to the hook,
The toggle clamp is coupled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from the push lever and includes a latch with a locking portion formed on the inner side, a locking protrusion that protrudes from the support portion and catches the locking portion, and a spring that elastically supports the latch in the withdrawal direction. A vehicle chock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임목은 저면에 복수개의 미끄럼 방지 돌기가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고임목 거치대.
According to claim 1,
The chock is a vehicle chock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anti-slip protrusions are arranged on the bottom of the chock.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임목의 외면에는 빛을 반사시켜 식별을 용이하게 하는 반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고임목 거치대.
According to claim 1,
A vehicle chock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a reflective surface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hock to facilitate identification by reflecting light.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에 수직으로 결합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서 회동하도록 결합된 파지부로 이루어진 회동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고임목 거치대.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 vehicle chock holder further comprising a rotating handle consisting of a connection part vertically coupled to the support, and a grip part coupled to rotate on the connection part.
KR1020240006994A 2024-01-16 2024-01-16 Chock holder for vehicle KR10265271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06994A KR102652714B1 (en) 2024-01-16 2024-01-16 Chock holder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06994A KR102652714B1 (en) 2024-01-16 2024-01-16 Chock holder for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2714B1 true KR102652714B1 (en) 2024-04-01

Family

ID=90666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06994A KR102652714B1 (en) 2024-01-16 2024-01-16 Chock holder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2714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73162A1 (en) * 2006-07-10 2008-03-27 Scott Gary M Over-center clamping wheel chocks
JP3176654U (en) * 2012-04-16 2012-06-28 西日本高速道路株式会社 Adjustable car stopp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73162A1 (en) * 2006-07-10 2008-03-27 Scott Gary M Over-center clamping wheel chocks
JP3176654U (en) * 2012-04-16 2012-06-28 西日本高速道路株式会社 Adjustable car stopp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79205A (en) Extensible windshield portable phone holder
US4413801A (en) Ladder rack
KR102652714B1 (en) Chock holder for vehicle
US7204475B1 (en) Vehicle lift for motorcycles
US5472162A (en) Cap lock for sign stand
US3016225A (en) Form setting devices for cement sidewalk and driveway forms
US3865244A (en) Bicycle rack
US20040149878A1 (en) Wall-mountable holder
US20180186298A1 (en) Ladder Stop and Method
CA2404326A1 (en) Windshield repair apparatus
US20090188284A1 (en) Apparatus for immobilizing a vehicle
CN211421792U (en) Safe type scaffold frame for construction
EP0322302A2 (en) Device to adapt an advertisement support to a pole, such as a street lamp
US3990592A (en) Scooter jack
CN211547484U (en) Construction of repairing roads is with reflection of light warning way awl
WO2002029769A1 (en) Device for hanging advertising posters or showcards
JP4187816B2 (en) Roof carrier equipment
CN220977760U (en) Deceleration strip convenient to maintain
CN214460432U (en) Town road foundation ditch safety device
CN213114434U (en) Movable road guardrail
US20220340088A1 (en) Hitch mounted tree carrier for a motor vehicle
CN218346049U (en) Temporary isolation device for traffic and transportation accidents
CN108297976B (en) Vehicle carrying device for bicycle vertical parking system
TWM472643U (en) Adjustable bike carrier structure
CN211446680U (en) Portable private car is from taking way awl